KR101016656B1 -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의 스캔 방법 - Google Patents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의 스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656B1
KR101016656B1 KR1020090043485A KR20090043485A KR101016656B1 KR 101016656 B1 KR101016656 B1 KR 101016656B1 KR 1020090043485 A KR1020090043485 A KR 1020090043485A KR 20090043485 A KR20090043485 A KR 20090043485A KR 101016656 B1 KR101016656 B1 KR 101016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riginal
original size
scanning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4465A (ko
Inventor
이병백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to KR102009004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656B1/ko
Priority to US12/567,827 priority patent/US8223408B2/en
Priority to JP2009237322A priority patent/JP2010273315A/ja
Priority to GB0919201A priority patent/GB2470445A/en
Priority to CN2009102581291A priority patent/CN101895654A/zh
Publication of KR20100124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876Recombination of partial images to recreate the original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02Scanning different formats; Scanning with different densities of dots per unit length, e.g. different numbers of dots per inch (dpi); Conversion of scanning standards
    • H04N1/0405Different formats, e.g. A3 and A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1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the main-scanning components remaining positionally invariant with respect to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Input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의 스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원고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롤러를 동작시키는 이송 롤러 모터구동부와, 평판 유리에 밀착된 제2 원고 크기의 제1 영역에서 제1 원고 크기의 폭보다 넓게 스캔하여 제1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이송 롤러에 의해 이송되어 평판 유리에 밀착된 제2 원고 크기의 제2 영역에서 제1 원고 크기의 폭보다 넓게 스캔하여 제2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캐닝부와,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로부터 선정된 오버레이 영역을 이용하여 화상 패턴의 매칭을 수행하고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들을 중첩하여 제2 원고 크기의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합성부를 포함함으로써, A4 크기의 길이보다 약간 넓은 스캔 센서로 A3 크기의 원고를 스캔할 수 있으며, 높은 품질의 합성된 A3 원고 화상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의 스캔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canning function and scann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의 스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A4 크기보다 약간 큰 스캔 센서로 평판 유리에 적재된 A3 원고의 일부를 스캔한 후 A3 원고를 이송하여 다시 A3 원고의 나머지를 스캔하고, 이 둘의 스캔된 화상들을 합성하여 A3 원고 화상을 생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의 스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를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을 말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스캔 수단을 통해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스캔하는 스캐닝부를 포함한다. 스캐닝부가 원고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해서는 스캐닝부의 스캔 센서가 이동하거나 대상체인 원고가 이동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원고를 고정시키고 스캔 센서가 이동하는 방식을 플랫 베드형(Flat Bed Type)이라 하고, 스캔 센서는 정지되어 있고 원고가 이동하는 방식을 시트 피 드형(Sheet Feed Type)이라 한다. 최근의 복합기는 이 두 방식을 모두 채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50)는 커버(10)와 본체(30)를 포함한다. 커버(10)에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20, Automatic Document Feeder)가 설치되며, 본체(30)에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20)에 의해 공급된 원고를 스캔하는 스캔 센서(40)가 설치된다.
여기서 스캔 센서(40)는 전하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상이 맺히도록 하는 촬상소자의 하나인 CCD(charge coupled device)가 내장된 CCDM(CCM Module)이 사용되거나, 원고를 스캔하는 CIS(CMOS Image Sensor)가 사용될 수도 있다.
자동 원고 급지 장치(20)는 일반적으로 급지되는 원고가 "C"형상의 이송경로(P)를 갖도록 되어 있으며, 원고대(21)에 적재된 원고는 픽업 롤러(22), 이송 롤러(23), 피딩 롤러(24)를 통해 스캔 센서(40)의 상부로 유입된다. 원고는 스캔 센서(40)에 의해 스캔된 후, 배지롤러(25)를 통해 유출된다. 이와 같이 자동 원고 급지 장치(20)를 이용하면 다매의 용지를 수월하게 스캔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원고 급지 장치(20)를 통하지 않고 원고를 스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커버(10)를 개방한 후, 본체(30)의 상면에 설치된 평판 유리(31)에 원고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스캔 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면, 스캔 센서(40)가 화살표(A)로 도시된 방향으로 스캔 창의 하부를 왕복 이동하면서 원고를 스캔한다. 따라서, 스캔 센서(40)가 이동하면서 자동 원고 급지 장치(20)를 이용하지 않고 단매의 원고를 스캔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스캔 기능을 구비한 종래의 복합기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A4 용지의 크기에 맞추어 스캔 센서(4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A4 용지보다 큰 A3 용지를 스캔하기 위해서는 A3 전용 화상 형성 장치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A3 전용 화상 형성 장치는 일반적인 A4 용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스캔 센서보다 2배 더 큰 스캔 센서를 사용해야 하며, 이러한 스캔 센서의 크기 증가는 평판 유리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화상 형성 장치의 부피도 커지므로, 제품의 제조원가 상승으로 직결되기 때문에 A3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 빈도가 낮은 사무실이나 가정에서는 별도로 A3 화상 형성 장치를 구매하기 힘들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A4 크기보다 약간 큰 스캔 센서로 평판 유리에 적재된 A3 원고의 일부를 스캔한 후 A3 원고를 이송하여 다시 A3 원고의 나머지를 스캔하고, 이 스캔된 화상들을 합성하여 A3 원고의 화상을 생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의 스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캔하고자 하는 원고를 적재할 수 있는 평판 유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판 유리를 통해 스캐닝할 수 있는 제1 원고 크기보다 큰 제2 원고 크기를 위한 스캐닝 모드인 경우, 제2 원고 크기의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원고크기의 제2 영역으로 상기 원고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롤러를 동작시키는 이송 롤러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이송 롤러 모터 구동부와, 상기 평판 유리에 밀착된 상기 제2 원고 크기의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원고 크기의 폭보다 넓게 스캔하여 제1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이송 롤러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평판 유리에 밀착된 상기 제2 원고 크기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원고 크기의 폭보다 넓게 스캔하여 제2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캐닝부와, 상기 스캐닝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화상 저장부와, 및 상기 화상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로부터 선정된 오버레이 영역을 이용하여 화상 패턴의 매칭을 수행하고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들을 중첩하여 제2 원고 크기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합성부를 제공한다.
상기 화상 합성부는, 상기 화상 패턴의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에서 패턴들의 코너를 검출하고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코너들 간에 대응점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 합성부는,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에서 패턴들의 코너를 검출하기 위해 해리스 코너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화상 합성부는,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코너 검출 이전에 상기 오버레이 영역에서 노이즈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에 가우시안 블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우시안 블러의 수행은,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의 부동 소수점 연산을 정수 연산으로 바꾸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 합성부는,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코너들 간의 대응점 연결 전에 회전 및 크기의 다양한 화상의 변화에 대한 매칭을 수행할 수 있는 지역 서술자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 합성부는, 상기 지역 서술자의 이용에 따른 일관성있는 매칭 포인트를 찾기 위해 랜덤 샘플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잘못된 대응 관계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 합성부는, 상기 화상 패턴의 매칭을 수행한 후에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의 기하학적 이동의 파라미터를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들의 중첩은,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의 기하학적 이동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회전 및 스큐를 보정하여 정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들의 중첩은, 상기 정렬된 두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의 중첩되는 부분이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스티칭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캔하고자 하는 원고를 적재할 수 있는 평판 유리와, 상기 원고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롤러와, 상기 평판 유리에 적재된 상고 원고로부터 화상을 스캔하기 위한 스캔 센서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스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평판 유리를 통해 스캐닝할 수 있는 제1 원고 크기보다 큰 제2 원고 크기를 위한 스캐닝 모드인 경우, 상기 평판 유리에 밀착된 상기 제2 원고 크기의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원고 크기의 폭보다 넓게 스캔하여 제1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 롤러를 동작시켜 상기 제2 원고 크기의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원고크기의 제2 영역으로 상기 원고를 이송시키고, 상기 이송 롤러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평판 유리에 밀착된 상기 제2 원고 크기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원고 크기의 폭보다 넓게 스캔하여 제2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및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로부터 선정된 오버레이 영역을 이용하여 화상 패턴의 매칭을 수행하고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들을 중첩하여 제2 원고 크기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의 스캔 방법은 스캔하고자 하는 원고를 적재할 수 있는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에 대해서도 스캐닝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품의 제조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의 스캔 방법은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들을 최적의 상태로 중첩함으로써 높은 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의 스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3 용지 스캔 기능을 구비한 A4 화상 형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3 용지 스캔 기능을 구비한 A4 화상 형성 장치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3 용지 스캔 기능을 구비한 A4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서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3 용지 스캔 기능을 구비한 A4 화상 형성 장치는 상부에 원고(10)를 적재할 수 있도록 평판 유리(110) 를 구비한 본체(100)와,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된 평판 유리(110)를 개폐하는 커버(120)를 포함하며, 또한, 다매의 원고를 자동으로 급지하는 자동 원고 급지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본체(100)에는 이송 롤러 부재(220), 이송 롤러 구동 모터(230), 이송 롤러 모터 구동부(240), 스캐닝부(310), 화상 저장부(320), 화상 합성부(330), A3 원고 스캔 버튼(410), 원고 스캔 버튼(420), 원고 크기 감지 센서(420) 및 제어부(430)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3 용지 스캔 기능을 구비한 A4 화상 형성 장치는 평판 유리(100)에 적재된 원고(10)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롤러 부재(220)와, 이 이송 롤러 부재(220)를 구동하기 위한 이송 롤러 구동 모터(230), 이 이송 롤러 구동 모터(230)를 제어하기 위한 이송 롤러 모터 구동부(240)를 포함한다.
이송 롤러 부재(220)는 평판 유리(110)의 상측에 자동 원고 급지 장치(130) 및 스캔 센서(312)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즉, 평판 유리(110)의 상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이송 롤러 부재(220)는 평판 유리(110)의 상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송 롤러축(221)과, 이 이송 롤러축(22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다수의 이송 롤러(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송 롤러 부재(220)는 스캔 센서(312)의 길이방향으로 평판 유리(110)에 인입된 원고(10)가 이송 롤러(222) 측으로 이송되도록 작동한다.
예를 들면, A3 크기의 원고를 스캔하기 위해 평판 유리(100) 위에서 A3 원고(10)의 단측부를 이송 롤러 부재(220)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이송 롤러 부재(220)가 작동하면, A3 원고(10)는 이송 롤러(222)의 회전에 의해 이송 롤러 부재(220) 측으로 이송된다.
또한, 이송 롤러 구동 모터(230)는 이송 롤러 부재(220) 즉, 이송 롤러축(221)과 연결되어 이송 롤러축(221)에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이송 롤러(222)가 회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송 롤러 구동 모터(230)는 평판 유리(110)에 놓여진 A3 원고(10)의 제1 영역인 상부가 스캔 센서(312)에 의해 스캔된 후, 스캔되지 않은 A3 원고(10)의 제2 영역인 나머지 부분이 평판 유리(110)에 놓이도록 이송 롤러 부재(22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도 7a에서 A4 원고는 제1 원고 크기를 가리키고, A3 원고는 제2 원고 크기를 가리키며, A3 원고는 A4 원고의 폭보다 넓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2번 스캔된다.
한편, 본체(100)에는 A3 원고를 지지하기 위하여 평판 유리(110)의 하측 즉, 이송 롤러(222)의 맞은편 단부에 지지 플랩(14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지지 플랩(140)은 자동 원고 급지 장치(130) 및 스캔 센서(312)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평판 유리(110)에 인입되는 본체(100) 외부로 노출된 A3 원고(10)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120)의 하측 하단 즉, 지지 플랩(140)과 인접한 커버(120)의 하단에는 A3 원고(10)가 커버(120)의 단부에 걸리지 않고 수월하게 평판 유리(110) 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소정공간으로 절개된 원고 인입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120)의 상측 하단 즉, 이송 롤러 부재(220)와 인접한 커버(120)의 하단에는 A3 원고(10)가 커버(120)의 단부에 걸리지 않고 수월하게 본체(100)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소정공간으로 절개된 원고 인출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고 인입구(121) 및 원고 인출구(122)에 의해 사용자는 커버(120)를 개폐하지 않고도 A3 원고를 용이하게 평판 유리(110)에 인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3 용지 스캔 기능을 구비한 A4 화상 형성 장치는 평판 유리(100)에 적재된 A3 원고(10)의 일부 영역을 스캔하여 화상 데이터로 출력하는 스캐닝부(310)와, 이 스캐닝부(310)에서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 저장부(320)와, 이 화상 저장부(320)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화상 패턴의 매칭을 수행하여 A3 원고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합성부(330)를 포함한다.
스캐닝부(310)는 평판 유리(110)에 적재된 원고로부터 화상을 스캔하기 위한 스캔 센서(3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캔 센서(312)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모듈인 CCDM 또는 CIS(CMOS Image Sensor)로서, 도 2 및 도 3에서 본체(100)의 좌측 상부, 정확하게는 후술되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130)의 하부에 설 치되어 자동 원고 급지 장치(130)를 통해 급지되는 원고를 스캔한다. 또한, 스캐닝부(310)는 스캔 센서(312)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스캔 센서 이동 수단을 구비하여 평판 유리(110) 상에 놓인 원고(10)를 스캔할 수 있다.
한편, A4 크기의 원고를 스캔하기 위한 일반적인 스캔 센서의 경우에는 A4 용지의 단측부 길이(210mm)에 맞게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 스캔 센서(312)는 그 길이가 A4 용지의 단측부 길이(210mm)보다 10mm 내지 30mm 정도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캐닝부(310)는 평판 유리(110) 상에 놓인 원고가 A4 크기의 경우에는 스캔 센서(312)를 이용하여 A4 크기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또한 평판 유리(110) 상에 놓인 원고가 A3 크기의 경우에는 스캔 센서(312)를 이용하여 A4 크기보다 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화상 저장부(320)는 DRAM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스캐닝부(310)에서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화상 합성부(300)는 스캐닝부(310)를 통해 스캔된 두 개의 화상을 결합하기 위한 화상 처리(image processing)를 수행하여 A3 크기의 스캔 화상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3 용지 스캔 기능을 구비한 A4 화상 형성 장치는 A4 크기 보다 약간 큰 스캔 센서(312)를 이용하여 A3 원고를 2회 스캔하고 화상 합성부(330)에서 이를 합성함으로써 A3 원고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3 용지 스캔 기능을 구비한 A4 화상 형성 장치 는 A3 원고의 스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신호를 출력하는 A3 원고 스캔 버튼(410), 및 이 A3 원고 스캔 버튼(410) 신호에 따라 스캐닝부(310)가 A3 원고를 스캔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한편, 이 A3 원고 스캔 버튼(410)과 같은 기능은 일반적인 원고의 스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신호를 출력하는 원고 스캔 버튼(420), 및 평판 유리(110) 위에 정렬된 원고의 크기를 감지하는 원고 크기 감지 센서(422)를 통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A3 원고 스캔 버튼(410)은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A3 원고를 스캔하기 위해 클릭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본체(100)와 커버(120) 사이에 형성된 원고 인입구(121)를 통해 평판 유리(110)에 적재된 A3 원고(10)가 스캔되도록 제어부(430)에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원고 스캔 버튼(420)에 의해 일반적인 원고의 스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신호가 출력되면, 원고 크기 감지 센서(260)는 원고 인입구(121)에 설치되어 원고 인입구(121)를 통해 인입되는 원고의 크기를 감지한다. 이때, 제어부(430)는 원고 크기 감지 센서(260)로부터 감지된 감지 결과, 평판 유리(110)에 정렬된 원고가 원고 인입구(1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경우 A3 원고라 판단하고, 평판 유리(110)에 정렬된 원고가 원고 인입구(1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경우 A4 원고라 판단한다.
제어부(430)는 A3 원고 스캔 버튼(410) 또는 원고 스캔 버튼(420) 및 원고 크기 감지 센서(26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전달받아 스캔 센서(312) 및 이송 롤러 구동 모터(230)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A3 원고인 경우 스캔이 수행되 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30)는 스캔 화상들이 저장되도록 제어부(430)를 제어하고, 저장된 스캔 화상들을 합성하도록 화상 합성부(3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자동 원고 급지 장치(130)는 커버(120)의 좌측, 정확하게는 스캔 센서(312)가 설치된 위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다매의 원고가 자동으로 급지되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자동 원고 급지 장치(130)는 내부에 다수의 급지 롤러들(131, 132, 133)을 구비하고 급지부(134)를 통해 급지된 원고를 배지부(135)를 통해 배출한다. 한편, 이송 롤러 구동 모터(230)는 연결 부재를 개입시켜 이 이송 롤러들(131, 132, 133)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스캔 센서(312)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130)의 하부에 정지된 상태로 급지되는 원고들을 스캔한다. 따라서, 스캔되는 원고들은 평판 유리(110)를 거치지 않고 스캔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3 용지 스캔 기능을 구비한 A4 화상 형성 장치의 스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A3 원고를 스캔하기 위해 평판 유리(110)에 A3 원고(10)의 단측부(210mm)가 이송 롤러 부재(220)와 접촉되어 정렬되도록 A3 원고를 위치시킨 후(S100), 원고 스캔 버튼(420)을 누르면(S200), 원고 크기 감지 센서(260)가 작동하여 평판 유리(110) 위에 정렬된 원고의 크기를 감지하고, 제어부(430)에 신호를 전달한다(S210).
이어서, 제어부(430)는 원고 크기 감지 센서(26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정렬된 원고의 크기가 A3 크기인지를 판단한다(S220).
이 판단 결과, 원고의 크기가 스캔 센서(312)의 스캔 용량 범위 밖인 경우 즉, A3 크기인 경우, 제어부(430)는 원고 스캔 버튼(250)의 동작 신호를 전달받아 평판 유리(110)에 밀착된 A3 원고(10)의 일부를 스캔하도록 스캔 센서(312)에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스캔 센서(312)는 평판 유리(110)의 하부를 왕복 이동하면서 평판 유리(110)에 밀착된 A3 원고를 스캔한다. 따라서 스캐닝부(310)는 A3 원고의 절반보다 좀 더 큰 크기에 대하여 스캔한 제1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이 제1 화상 데이터는 화상 저장부(320)에 저장된다(S300).
상기 스캔이 완료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제어부(430)는 이송 롤러 부재(220)가 회전되도록 이송 롤러 구동 모터(230)에 신호를 출력한다. 이송 롤러 부재(220)가 회전되면, A3 원고의 스캔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이 이송 롤러 부재(220) 측으로 이송되어 평판 유리(110)에 밀착되고, A3 원고의 스캔된 부분은 본체(100)와 커버(120) 사이에 형성된 원고 인출구(122)를 통해 본체 외부로 노출된다(S400).
이어서, 제어부(430)는 평판 유리(110)에 밀착된 A3 원고의 나머지 부분이 스캔되도록 스캔 센서(312)에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스캔 센서(312)가 다시 한번 평판 유리(110)의 하부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A3 원고를 스캔한다(S500). 따라서 스캐닝부(310)는 A3 원고의 절반보다 좀 더 큰 크기에 대하여 스캔한 제2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이 제2 화상 데이터는 화상 저장부(32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A3 원고의 스캔이 모두 완료되면, 화상 처리부(300)는 스캔된 두 개의 화상 데이터를 결합하기 위한 화상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하나의 A3 크기의 화상을 생성한다(S600).
반면, 원고 크기 감지 센서(260)의 감지 결과, 원고의 크기가 스캔 센서(312)의 스캔 용량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즉, A4 크기인 경우, 제어부(430)는 원고 스캔 버튼(250)의 동작 신호를 전달받아 평판 유리(110)에 밀착된 A4 원고를 스캔하도록 스캔 센서(312)에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스캔 센서(312)는 평판 유리(110)의 하부를 왕복 이동하면서 평판 유리(110)에 밀착된 A4 원고를 스캔한다. 따라서 A4 원고의 스캔 작업이 완료된다(S230).
이와 같이, 평판 유리(110) 위에 정렬된 원고의 크기에 따라 스캔 센서(312) 및 이송 롤러 구동 모터(230)의 동작을 제어하여 A4 원고 또는 A3 원고를 선택적으로 스캔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적용될 수 있는 화상 합성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b은 본 발명에서의 스캔된 화상들의 오버레이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 내에서 패턴의 코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의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 내의 코너들 간의 대응점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잘못된 대응 관계의 제거 전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합성부(330)는 코너 검출 모듈(340), 패턴 매칭 모듈(360), 특이값 제거 모듈(360), 이동 추정 모듈(370) 및 중첩 모듈(380)을 포함한다.
코너 검출 모듈(340)은 도 7b에 도시된 스캔된 제1 화상 데이터와 스캔된 제2 화상 데이터 중에서 300 화소 정도를 겹치게 한 다음 이 오버레이 영역에서 해리스 코너 검출(harris corner detector)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두 오버레이 영역에서 겹치는 화소수는 300 화소씩(1인치)이 적당하다. 이 겹치는 화소수를 작게 하면 계산 시간과 메모리는 줄지만 스큐가 심한 영상에서는 합성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여기서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 내에서 패턴의 코너란 화상 내 패턴의 두 에지가 만나는 점으로, 도 8(a)는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을 도시하고, 도 8(b)은 도 8(a)의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에 대하여 해리스 코너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찾은 코너들을 나타낸다. 즉, 도 8(b)에 도시된 빨간 점이 바로 해리스 코너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찾은 코너를 나타낸다. 이러한 코너는 이미지의 밝기 변화, 회전 및 스큐(skew) 등에 강인하여 쉽게 찾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노이즈에 강인한 코너 검출을 위해 오버레이 영역에 가우시안 블러(gaussian blur)를 적용한 후 미분을 하고 이 값을 이용하여 해리스 코너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한 해리스 매트릭스 A(x)를 계산할 수 있다. 이렇게 계산된 해리스 매트릭스의 고유값이 일정 공간에서 최대값이 되는 점이 바로 해리스 코너다.
한편, 이 해리스 코너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2번의 가우시안 블러의 계산이 필요하다. 이 가우시안 블러 계산은 기본적으로 부동 소수점(floating-point) 연산이며, 해리스 코너 검출의 속도를 결정하는 핵심 부분이다. 따라서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에 관한 가우시안 블러의 수행은 부동 소수점 연산을 정수 연산으로 바꾸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 매칭 모듈(350)은 두 오버레이 영역에서 찾은 코너들 간에 대응점을 찾는 구성이다. 도 9는 제1 화상과 제2 화상 간의 이러한 패턴 매칭의 예를 나타낸다.
패턴 매칭 모듈(350)은 패턴 매칭을 위해 우선 코너 주변의 정보를 이용하여 그 부분의 특징을 기술하는 지역 서술자(local descriptor)를 만든다. 즉, 패턴 매칭 모듈(350)은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 내 패턴의 코너들 간의 대응점 연결 전에 회전 및 크기의 다양한 화상의 변화에 대한 매칭을 수행할 수 있는 지역 서술자를 만든다. 그리고 패턴 매칭 모듈(350)은 두 오버레이 영역에서 이 지역 서술자를 비교하여 가장 비슷한 점을 대응점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 패턴 매칭에 의해 2번에 걸친 스캔 작업에서 생길 수 있는 밝기 변화나 폐색(occlusion)에도 강인하게 동작하기 때문에 화상 병합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특이값 제거 모듈(360)은 일관성 있는 매칭 포인트를 찾기 위해 랜덤 샘플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잘못된 대응 관계(outlier)를 제거한다.
상술한 지역 서술자는 좁은 범위의 정보만을 사용하며 화상의 전체적인 관계는 고려하지 않으므로, 상당한 양의 잘못된 대응 관계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특 이값 제거 모듈(360)은 랜덤 샘플링 알고리즘(random sampling algorithm)을 사용하여 잘못된 대응 관계를 제거한다. 이 랜덤 샘플링 알고리즘은 무작위로 뽑은 몇 개의 샘플로부터 해를 예측하고 나머지 원소들이 그 해와 일관되는지 테스트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정해진 횟수만큼 또는 적응적으로 반복함으로써 가장 적절한 해와 유효한 대응 관계를 얻게 된다.
이 랜덤 샘플링 알고리즘은 이론적으로 p (예를 들면 0.99)의 확률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Figure 112009029898997-pat00001
의 반복 횟수가 필요하다. 여기서 ε은 잘못된 대응 관계의 비율이며, m은 해를 예측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의 샘플 수이다. 따라서 가능한 작은 m을 사용하는 것이 랜덤 샘플링 알고리즘의 계산량을 줄일 수 있으며 잘못된 대응 관계가 높은 비율에서도 잘 동작할 수 있다. 두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 사이에서는 4-포인트 알고리즘을 사용하지만, 계산량을 줄이기 위해 2-포인트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a)은 랜덤 샘플링 알고리즘의 수행 전의 대응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은 랜덤 샘플링 알고리즘의 수행 후의 대응 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0(a)의 도시된 잘못된 대응 관계들이 모두 제거된다.
이동 추정 모듈(370)은 화상 패턴의 매칭을 수행한 후에 두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들의 기하학적 이동의 파라미터를 구한다.
두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들 사이에 존재하는 기하학적인 관계는 그 복잡도에 따라서 평형 이동(translation), 유클리드(euclidean), 유사점(simility), 아핀(affine) 및 투영 관계(projective)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A3 원고를 2번에 걸쳐 스캔하였을 때 두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 사이에 존재하는 이동은 회전과 스큐(skew)를 포함하는 유사점으로 충분히 모델링될 수 있다.
다음 표는 각 이동의 파라미터와 이를 구하는 데 필요한 자유 변수의 개수를 표시한다.
이동명 자유도
평형 이동 2
유클리드 3
유사점 4
아핀 6
투영 관계 8
위의 표를 참고하면 유사점은 4개의 자유 변수가 필요하고 따라서 최소 2개의 매칭점을 통하여 이동의 파라미터를 구할 수 있다.
화상 중첩 모듈(390)은 두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의 기하학적 이동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회전 및 스큐를 보정하여 정렬하며, 또한 이 정렬된 두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의 중첩되는 부분이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스티칭을 적용한다.
이동 추정 모듈(380)에서 구한 이동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두 번째 화상을 첫 번째 화상으로 투영(wraping)시켜 두 화상의 회전 및 스큐를 쉽게 보정하고 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계산량이 많은 부분은 두 화상의 겹치는 부분이 최대한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만드는 스티칭(stitching) 방법이다.
A3 원고의 스캔의 경우 같은 스캔 센서(312)를 두 번 사용하기 때문에 두 화상 사이에 밝기 변화는 거의 없다. 따라서 계산량이 많은 블렌딩(blending)을 하지 않고, 스티칭만으로도 만족스러운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즉, 두 화상이 겹치는 각 부분 중 최대한 비슷한 곳을 따라서 이어 붙일수록 보기에 자연스럽다. 최대한 비슷한 곳, 예를 들면 종의 흰 배경을 따라서 화상이 합쳐지면 결과적으로 자연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이음매(seam)를 찾기 위해서 비교적 계산량이 적은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사용한다.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이란 최적화 해를 구할 때 전체 문제를 쪼갠 부분 문제로 최적화하여 전체 문제의 최적화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여기서는 이음매를 결정할 때 제일 위의 한 점에서 시작하여 아래 세 방향 중 최대한 비슷한 점을 따라가도록 하여 최적화된 해를 찾는 방식으로 응용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합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의 화상은 스캔 센서(312)가 A3 원고 크기의 제1 영역에서 A4 크기보다 넓게 스캔하여 얻은 제1 화상이고, 도 12(b)의 화상은 스캔 센서(312)가 A3 원고 크기의 제2 영역에서 A4 크기보다 넓게 스캔하여 얻은 제2 화상이며, 도 12(c)의 화상은 도 12(a)의 제1 화상과 도 12(b)의 제 2화상을 화상 합성부(330)에서 합쳐 생성한 A3 원고 화상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캔된 화상들을 합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430)는 화상 저장부(320)에 저장된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 상 데이터가 화상 합성부(330)과 연동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화상 합성부(330)는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 중에서 오버레이 영역을 읽어오며, 오버레이 영역에서 노이즈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에 가우시안 블러를 수행한다(S602).
그리고 화상 합성부(330)는 해리스 코너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에서 패턴들의 코너들을 검출한다(S604).
그리고 화상 합성부(330)는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의 회전 및 크기의 다양한 화상의 변화에 대한 매칭을 수행할 수 있는 지역 서술자를 만들고, 오버레이 영역의 코너들 간의 대응점을 연결한다(S606).
그리고 화상 합성부(330)는 지역 서술자의 이용에 따른 일관성있는 매칭 포인트를 찾기 위해 랜덤 샘플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잘못된 대응 관계를 제거한다(S608).
그리고 화상 합성부(330)는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의 기하학적 이동의 파라미터를 구하여 기하학적 이동을 추정한다(S610).
그리고 화상 합성부(330)는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의 기하학적 움직임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회전 및 스큐를 보정하여 정렬하고, 정렬된 두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의 중첩되는 부분이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스티칭을 적용하여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들을 중첩한다(S612).
본 발명에서는 A4 크기의 스캔 센서를 이용하여 A3 원고를 스캔하는 화상 형 성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A3 크기 스캔 센서를 이용하여 A2 원고를 스캔하는 화상 형성 장치와 같이 스캔 센서의 스캔 용량의 두 배 크기인 원고를 스캔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3 용지 스캔 기능을 구비한 A4 화상 형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3 용지 스캔 기능을 구비한 A4 화상 형성 장치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3 용지 스캔 기능을 구비한 A4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3 용지 스캔 기능을 구비한 A4 화상 형성 장치의 스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에 적용될 수 있는 화상 합성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서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은 본 발명에서의 스캔된 화상들의 오버레이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에서의 코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의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들의 코너들 간의 대응점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잘못된 대응 관계의 제거 전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합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캔된 화상들을 합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8)

  1. 스캔하고자 하는 원고를 적재할 수 있는 평판 유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판 유리를 통해 스캐닝할 수 있는 제1 원고 크기보다 큰 제2 원고 크기를 위한 스캐닝 모드인 경우, 제2 원고 크기의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원고크기의 제2 영역으로 상기 원고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롤러를 동작시키는 이송 롤러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이송 롤러 모터 구동부와,
    상기 평판 유리에 밀착된 상기 제2 원고 크기의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원고 크기의 폭보다 넓게 스캔하여 제1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이송 롤러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평판 유리에 밀착된 상기 제2 원고 크기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원고 크기의 폭보다 넓게 스캔하여 제2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캐닝부와,
    상기 스캐닝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화상 저장부와,
    상기 화상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로부터 선정된 오버레이 영역을 이용하여 화상 패턴의 매칭을 수행하고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들을 중첩하여 제2 원고 크기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합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합성부는, 상기 화상 패턴의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에서 패턴들의 코너를 검출하고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코너들 간에 대응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는,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에서 패턴들의 코너를 검출하기 위해 해리스 코너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는,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코너 검출 이전에 상기 오버레이 영역에서 노이즈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에 가우시안 블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우시안 블러의 수행은,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의 부동 소수점 연산을 정수 연산으로 바꾸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는,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코너들 간의 대응점 연결 전에 회전 및 크기의 다양한 화상의 변화에 대한 매칭을 수행할 수 있는 지역 서술자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는, 상기 지역 서술자의 이용에 따른 일관성있는 매칭 포인트를 찾기 위해 랜덤 샘플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잘못된 대응 관계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는, 상기 화상 패턴의 매칭을 수행한 후에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의 기하학적 움직임의 파라미터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들의 중첩은,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의 기하 학적 움직임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회전 및 스큐를 보정하여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들의 중첩은, 상기 정렬된 두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의 중첩되는 부분이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스티칭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11. 스캔하고자 하는 원고를 적재할 수 있는 평판 유리와, 상기 원고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롤러와, 상기 평판 유리에 적재된 상고 원고로부터 화상을 스캔하기 위한 스캔 센서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스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평판 유리를 통해 스캐닝할 수 있는 제1 원고 크기보다 큰 제2 원고 크기를 위한 스캐닝 모드인 경우, 상기 평판 유리에 밀착된 상기 제2 원고 크기의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원고 크기의 폭보다 넓게 스캔하여 제1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 롤러를 동작시켜 상기 제2 원고 크기의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원고크기의 제2 영역으로 상기 원고를 이송시키고, 상기 이송 롤러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평판 유리에 밀착된 상기 제2 원고 크기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원고 크기의 폭보다 넓게 스캔하여 제2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로부터 선정된 오버레이 영역을 이용하여 화상 패턴의 매칭을 수행하고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들을 중첩하여 제2 원고 크기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원고 크기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 패턴의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에서 패턴들의 코너를 검출하고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코너들 간에 대응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스캔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고 크기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에서 패턴들의 코너 검출 이전에 상기 오버레이 영역에서 노이즈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에 가우시안 블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스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고 크기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코너들 간의 대응점 연결 전에 회전 및 크기의 다양한 화상의 변화에 대한 매칭을 수행할 수 있는 지역 서술자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스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고 크기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지역 서술자의 이용에 따른 일관성있는 매칭 포인트를 찾기 위해 랜덤 샘플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잘못된 대응 관계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스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고 크기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 패턴의 매칭을 수행한 후에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의 기하학적 움직임의 파라미터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스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들의 중첩은,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의 기하학적 이동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회전 및 스큐를 보정하여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스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들의 중첩은, 상기 정렬된 두 오버레이 영역의 화상의 중첩되는 부분이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스티칭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보다 큰 원고 크기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스캔 방법.
KR1020090043485A 2009-05-19 2009-05-19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의 스캔 방법 KR101016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485A KR101016656B1 (ko) 2009-05-19 2009-05-19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의 스캔 방법
US12/567,827 US8223408B2 (en) 2009-05-19 2009-09-28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canning function and scanning method thereof
JP2009237322A JP2010273315A (ja) 2009-05-19 2009-10-14 スキャン機能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このスキャン方法
GB0919201A GB2470445A (en) 2009-05-19 2009-11-03 Image forming apparatus for scanning documents larger than a flat glass.
CN2009102581291A CN101895654A (zh) 2009-05-19 2009-12-14 具有扫描功能的图像形成设备及其扫描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485A KR101016656B1 (ko) 2009-05-19 2009-05-19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의 스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465A KR20100124465A (ko) 2010-11-29
KR101016656B1 true KR101016656B1 (ko) 2011-02-25

Family

ID=4143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485A KR101016656B1 (ko) 2009-05-19 2009-05-19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의 스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23408B2 (ko)
JP (1) JP2010273315A (ko)
KR (1) KR101016656B1 (ko)
CN (1) CN101895654A (ko)
GB (1) GB24704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9672A (ja) * 2009-09-11 2011-04-21 Ricoh Co Ltd 原稿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原稿搬送方法
US8699098B2 (en) * 2011-07-13 2014-04-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anner gear assembly
US8717641B2 (en) 2011-07-13 2014-05-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edge identification to position components of a scanner
CN103780793A (zh) * 2012-10-19 2014-05-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可扫描大尺寸文件的扫描装置
US9013761B2 (en) 2013-04-16 2015-04-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anner with a scan sensor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platen
KR102135961B1 (ko) * 2013-11-01 2020-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US10116863B2 (en) * 2016-06-14 2018-10-30 Goodrich Corporation Scanning with frame averaging
TWI694720B (zh) * 2019-04-11 2020-05-21 虹光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使用彈性的多用途影像擷取設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1513A (ja) * 1995-02-07 1996-08-20 Nisca Corp 自動原稿送り装置及び自動原稿送り方法
KR20050074810A (ko) * 2004-01-14 2005-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의 스캔크기 초과 문서 스캔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9192A (ja) * 1995-11-17 1997-06-06 Minolta Co Ltd 画像読取装置
JPH1091765A (ja) * 1996-09-10 1998-04-10 Canon Inc 画像合成装置及びその方法
CN1096173C (zh) * 1997-11-24 2002-12-11 鸿友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扫描接图的装置与方法
GB2380473B (en) * 1999-02-08 2003-06-18 Hewlett Packard Co Method of scanning media sheets
US6542263B2 (en) * 1999-02-08 2003-04-01 Hewlett-Packard Company Automatic document feeder with improved sheet handling capabilities and method of feeding and scanning over-sized media sheets
JP3540696B2 (ja) * 1999-12-06 2004-07-07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合成方法、画像合成装置、画像合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218180A (ja) * 2001-01-23 2002-08-02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136199B2 (en) * 2001-10-26 2006-11-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ocument scanning apparatus with oversize document handling capability
US7259784B2 (en) * 2002-06-21 2007-08-2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mera color calibration and image stitching
JP2005057340A (ja) * 2003-08-05 2005-03-03 Canon Inc 画像読取記録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
US7382897B2 (en) * 2004-04-27 2008-06-03 Microsoft Corporation Multi-image feature matching using multi-scale oriented patches
JP2006235786A (ja) * 2005-02-23 2006-09-07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862644B2 (ja) * 2006-12-15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登録装置、登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36222B2 (ja) * 2007-06-14 2012-05-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照合装置、画像合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239688A (ja) * 2008-03-27 2009-10-15 Nec Access Technica Ltd 画像合成装置
US8144947B2 (en) * 2008-06-27 2012-03-2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finding a picture image in an image collection using localized two-dimensional visual fingerpri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1513A (ja) * 1995-02-07 1996-08-20 Nisca Corp 自動原稿送り装置及び自動原稿送り方法
KR20050074810A (ko) * 2004-01-14 2005-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의 스캔크기 초과 문서 스캔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95654A (zh) 2010-11-24
GB0919201D0 (en) 2009-12-16
US20100296136A1 (en) 2010-11-25
KR20100124465A (ko) 2010-11-29
US8223408B2 (en) 2012-07-17
JP2010273315A (ja) 2010-12-02
GB2470445A (en)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656B1 (ko) 스캔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의 스캔 방법
JP457224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8520273B2 (en) A4-size scanner having function of scanning A3 document and scanning method thereof
JP6537699B2 (ja) 画像読取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05020697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an image
JP3724183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8245209A (ja) スキャ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8153894A (ja) 画像形成装置
JP4620272B2 (ja) 画像読取り装置、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制御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544795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23115486A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システム及び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
JPH10336425A (ja) 画像読取装置
JP2006067329A (ja) 原稿読取装置および原稿読取方法
JP2022012616A (ja) 画像読取装置
JP4855017B2 (ja) 原稿サイズ検知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68893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7019854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8019236A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3516947A (zh) 成像设备及控制该设备的方法
JP2005210493A (ja) 原稿読取装置、原稿読取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5267108B2 (ja) 画像処理装置
KR101016655B1 (ko) A3 용지 스캔 기능을 구비한 a4 스캐너 및 이의 스캔 방법
JP2008028782A (ja) 原稿仕分装置及び原稿仕分方法
JP2006174373A (ja) 原稿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原稿読取方法
KR20180111214A (ko) A3용지 스캔 기능을 구비한 a4 스캐너 및 이의 스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