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427B1 - 분기기 스위칭 장치 - Google Patents

분기기 스위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427B1
KR101016427B1 KR1020080085686A KR20080085686A KR101016427B1 KR 101016427 B1 KR101016427 B1 KR 101016427B1 KR 1020080085686 A KR1020080085686 A KR 1020080085686A KR 20080085686 A KR20080085686 A KR 20080085686A KR 101016427 B1 KR101016427 B1 KR 101016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ail
track girder
fixed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617A (ko
Inventor
황종균
이종민
김동성
김봉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명엔지니어링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철도시설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명엔지니어링,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철도시설공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명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85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4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0Safety means for switches, e.g. switch point protectors, auxiliary or guiding 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36Fastening means for fish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이 막힌 가이드홈에 플레이트를 가이드하여 상대각도변형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옥외 노출된 장소에서 이물질 혼입을 방지하여 장비고장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분기기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기기 스위칭 장치{SWITCH FOR BRAN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상면이 막힌 가이드홈에 플레이트를 가이드하여 상대각도변형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옥외 노출된 장소에서 이물질 혼입을 방지하여 장비고장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분기기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분기기 스위칭 장치로서, 예컨대 일본특허 제2942335호(미국특허 제51999674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에 따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고정궤도거더(1)와 2개의 고정궤도(제2고정궤도거더(2a) 및 제3고정궤도거더(2b)) 사이를 스위칭 연결하는 스위칭 장치는 스위칭 궤도 거더(3)를 갖는다. 스위칭 궤도 거더(3)를 전환 이동함으로써 제1고정궤도거더(1)와 제2고정궤도거더(2a) 사이를 연결하는 제1궤도와, 제1고정궤도거더(1)와 제3고정궤도거더(2b) 사이를 연결하는 제2궤도 사이의 전환이 행해진다.
스위칭 궤도 거더(3)는 분할되어 복수의 가동궤도거더, 예컨대 제1가동궤도 거더(4), 제2가동궤도거더(5), 제3가동궤도거더(6)로 구성하여 있다. 제1고정궤도거더(1)와 제1가동궤도거더(4) 사이 및 각 가동궤도거더(4,5,6) 사이에는 서로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구동장치(24)에 의해 가동궤도거더(4,5,6)가 동기하여 전환 이동된다.
고정궤도거더(1,2a,2b) 및 가동궤도거더(4,5,6)에는 차량을 주행 안내하는 주레일(7)이 고정된다.
스위칭 궤도 거더(3)의 전환 이동에 의해, 제1고정궤도거더(1)와 제3가동궤도거더(6) 사이 및 각 가동궤도거더(4,5,6) 사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α)로 꺽어진다.
주레일(7)과 주레일(7)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에는 중간레일(8)이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레일(7)의 단부에는 凸부(9)가 일체로 형성되고, 중간레일(8)의 단부에는 凸부(9)가 탈착 자유롭게 삽입 가이드되는 凹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주레일(7)의 하면에는 지지편(11)이 고정되고, 이 지지편(11)에는 중간레일(8)의 단차진 노치(12)가 받쳐진다.
또한, 凸부(9) 위에는 타이 플레이트(13)가 나사공(15)에 체결되는 고정나사(14)에 의해 고정되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레일(8)이 주레일(7)로부터 상하방향으로 탈락(분리)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위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트러블이 있다.
凹부(10)가 후면만이 막힌 홈이기 때문에, 옥외 노출된 장소에서 상면을 통해 이물질 혼입에 의한 장비 고장의 원인이 된다(설령 타이 플레이트(13)가 위에 고정되더라도 어느 정도 상면에 틈새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凹부(10)가 후면만이 막힌 홈이기 때문에 중간레일(8)의 분리 방지를 위한 별도의 타이 플레이트(13)가 필요하다.
또한, 凸부(9)가 凹부(10) 내에서 각도 변형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틈새가 형성되어야 하는데, 凹부(10)가 평면(도 3의 위)에서 볼 때 이 틈새가 대체적으로 사각형태의 일정하여 불필요한 틈새 부분이 형성된다. 이러한 불필요한 틈새 부분은 잘려나가기 때문에 강도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주레일(7)과 중간레일(8)이 상대적으로 각도 변환에 의해 마모가 발생할 수 있는데, 특히 마모 상태에 따라 凸부(9)가 마모가 심한 경우 주레일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옥외 노출된 장소에서도 이물질 혼입 등을 방지하여 장비의 고장 원인을 방지하는 분기기 스위칭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기재된 분기기 스위칭 장치는,
1개의 고정궤도거더와 복수의 고정궤도거더 사이를 스위칭 접속하는 가동스위치 궤도거더를 갖는 분기기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위치 궤도거더가 분할되어 복수의 가동궤도거더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궤도거더와 상기 고정궤도거더에는 각각 차량이 주행하기 위한 주레일이 고정되고, 상기 주레일과 주레일 사이에 중간 레일이 배치되고, 상기 주레일은 상기 중간레일에 받쳐 지지하고, 상기 주레일에는 일단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상면과 타단면이 막힌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레일에는 상기 가이드홈에서 상대각도변형 가능하게 플레이트가 끼워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홈의 상면이 막혀있어, 옥외 노출된 장소에서도 이물질 혼입 등을 방지하여 장비의 고장 원인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2에 기재된 분기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가이드홈은 일단면에서 타단면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T자형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서, 플레이트의 자유단은 플레이트의 고정단보다 회전 원호 길이가 길기 때문에 고정단측과 자유단측의 회전 원호 길이 차이를 커버링할 수 있는 T자 홈으로 구현하면, 불필요한 부분까지 가공할 필요가 없어 강도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3에 기재된 분기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중간레일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대각도변형에 따른 마모 발생시 레일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플레이트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 측면이 우수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이드홈의 상면이 막혀있어, 옥외 노출된 장소에서도 이물질 혼입 등을 방지하여 장비의 고장 원인을 방지한다.
둘째, 플레이트의 자유단은 플레이트의 고정단보다 회전 원호 길이가 길기 때문에 고정단측과 자유단측의 회전 원호 길이 차이를 커버링할 수 있는 T자 홈으로 구현하면, 불필요한 길이 차이 부분까지 가공할 필요가 없어 강도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셋째, 플레이트가 주레일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상대각도변형에 따 른 마모 발생시 레일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플레이트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 측면에서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레일과 중간레일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레일(107)과 중간레일(108)의 끝부분에서는 상대각도변형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중간레일(108)의 끝단부에는 돌출한 플레이트(109)가 설치되어 있다.
주레일(107)에는 플레이트(109)가 삽입되어 회전 가이드되는 가이드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가이드홈(110)은 일단면(플레이트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시작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상면과 타단면(삽입 완료 후 플레이트의 자유단이 위치하는 곳)이 막힌 홈(110)이다.
따라서, 상면이 막힌 가이드홈(110)의 구성으로 인해, 옥외 노출된 장소에 설치되더라도 가이드홈(110)을 통한 이물질 혼입을 방지하여 장비 고장의 원인 제공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면이 막힌 가이드홈(110)의 구성으로 인해, 플레이트(109)의 위쪽 이탈을 방지하는 별도의 타이 플레이트(종래 참조)를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 감소 및 조립 등이 간편하다.
또한, 가이드홈(110)은 T자 형상의 홈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단면측 홈(112)의 폭(w1)은 타단면측 홈(114)의 폭(w2)보다 좁게 하고, 그 길이도 짧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플레이트(109)의 자유단측이 고정단측보다 회전 원호 거리가 더 길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타단면측 홈(114)의 폭(w2)을 일단면측 홈(112)의 폭(w1)보다 더 넓게 가공하면 강도 측면에서 우수해질 수 있다.
물론, 일단면측 홈(112)의 길이(L1)는 타단면측 홈(114)의 길이(L2)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하여, 플레이트(109)와 가이드홈(110) 간의 상대각도변형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길이(L2) 구간에서는 플레이트(109)의 전후면과 일단면측 홈(112)의 전후면에는 상대각도변형 가능한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레이트(109)는 중간레일(108)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109)가 체결되는 구조로 되면, 상대각도변형에 따른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 마모 상태에서 따라 플레이트만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유지보수가 효율적이지만,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가 주레일에 일체로 형성된 경우 전체 레일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 유지부수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매우 크다.
플레이트(109)가 중간레일(108)에 체결되는 경우, 주레일(107)과 중간레일(108)의 두께가 같으면, 플레이트(109)의 두께만큼 중간레일(108)의 하면에 플레 이트장착홈(1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플레이트장착홈(116)에는 체결공(118)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118)에 대응되는 부분의 플레이트(109)에는 나사공(115)이 형성되어, 체결요소(119)로 체결하여 플레이트(109)를 플레이트장착홈(116)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처럼, 플레이트(109)가 플레이트장착홈(116)에 체결 고정되기 때문에, 플레이트(109)의 마모에 따라 교체하는 경우 플레이트(109)만 분해한 후 다른 플레이트로 체결 고정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주레일(107)의 끝단에는 하면에 돌출한 지지편(111)이 형성되고, 중간레일(108)의 끝단에는 상면에 지지편(111)에 놓여 지지되는 피지지편(117)이 형성되고 있다.
또한, 중간레일(108)에는 주레일(107)과 중간레일(108) 간의 요합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장치가 설치되는 브라켓(12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스위칭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주레일과 중간레일의 상대각도변형을 허용하는 궤일 거더라면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스위칭 장치의 개략 평면도,
도 2는 꺾임 상태에 있는 궤도거더간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주레일과 중간레일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레일과 중간레일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5의 상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7 : 주레일 108 : 중간레일
109 : 플레이트 110 : 가이드홈
111 : 지지편 112 : 일단면 가이드홈
114 : 타단면 가이드홈 115 : 나사공
116 : 플레이트장착홈 117 : 피지지편
118 : 체결공 119 : 체결요소
120 : 브라켓

Claims (3)

1개의 고정궤도거더와 복수의 고정궤도거더 사이를 스위칭 접속하는 가동스위치 궤도거더를 갖는 분기기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위치 궤도거더가 분할되어 복수의 가동궤도거더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궤도거더와 상기 고정궤도거더에는 각각 차량이 주행하기 위한 주레일이 고정되고,
상기 주레일과 주레일 사이에 중간 레일이 배치되고,
상기 주레일은 상기 중간레일에 받쳐 지지하고,
상기 주레일에는 일단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상면과 타단면이 막힌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레일에는 상기 가이드홈에서 상대각도변형 가능하게 끼워지는 플레이트가 돌출 형성되는 분기기 스위칭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일단면에서 타단면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T자형 홈인 분기기 스위칭 장치.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중간레일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분기기 스위칭 장치.
KR1020080085686A 2008-09-01 2008-09-01 분기기 스위칭 장치 KR101016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686A KR101016427B1 (ko) 2008-09-01 2008-09-01 분기기 스위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686A KR101016427B1 (ko) 2008-09-01 2008-09-01 분기기 스위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617A KR20100026617A (ko) 2010-03-10
KR101016427B1 true KR101016427B1 (ko) 2011-02-18

Family

ID=4217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686A KR101016427B1 (ko) 2008-09-01 2008-09-01 분기기 스위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4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977B1 (ko) * 2009-03-19 2011-03-1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28243Y1 (ko) * 1964-10-29 1968-11-21
JPH04153401A (ja) * 1990-09-26 1992-05-26 H S S T:Kk 多関節型転てつ装置
JP2002194703A (ja) 2000-12-26 2002-07-10 Sekisui Chem Co Ltd 線路の敷設方法
JP2005009118A (ja) 2003-06-17 2005-01-13 Sekisui Chem Co Ltd 分岐部用まくら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28243Y1 (ko) * 1964-10-29 1968-11-21
JPH04153401A (ja) * 1990-09-26 1992-05-26 H S S T:Kk 多関節型転てつ装置
JP2002194703A (ja) 2000-12-26 2002-07-10 Sekisui Chem Co Ltd 線路の敷設方法
JP2005009118A (ja) 2003-06-17 2005-01-13 Sekisui Chem Co Ltd 分岐部用まくら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617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5090B2 (en) Frame rail assemblies and interlocking frame rail systems
CN103154571A (zh) 具有弹簧保持特性的叶片张紧器
US20110047786A1 (en) Guide plate for a system for securing a rail on a substrate and a system comprising such guide plate
DE102007061296B4 (de) Schutz- und Führungsvorrichtung für ein Kabel
KR20090106497A (ko) 패널, 특히 바닥 패널
KR101016427B1 (ko) 분기기 스위칭 장치
EP2634119A1 (en) Shoe sorter conveyor switch
KR101029528B1 (ko) 분기기 스위칭 장치
DE102010021594A1 (de) Schienensystem, insbesondere für eine Elektro-Palettenbahn
AU699604B2 (en) Shielding device of screening apparatus
AU2016234892B2 (en) Screen panel locking system
CN102046507A (zh) 电梯的操作面板装置
EP1350595A2 (en) Sealing structure
CA2855131C (en) Double frog for track crossings
RU2735747C1 (ru) Остря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CA2121651C (en) Track and rail-form slider combination
CN1083025C (zh) 把经纱加到穿经机上的装置
JP6941534B2 (ja) 汚泥掻寄機
EP0664359A1 (de) Zungenvorrichtung an einer Rillenschienenweiche
US6234301B1 (en) Strand guide, specially for a slab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KR20060120106A (ko) 엘리베이터 풀리 설치방법
DE102005021841B4 (de) Befestigunsvorrichtung von Schaltgeräten auf Tragschiene
KR200186862Y1 (ko) 트롤리 바
CN214656092U (zh) 路面伸缩缝装置
CN219077366U (zh) 固定装置及电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