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977B1 -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 - Google Patents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1977B1 KR101021977B1 KR1020090023525A KR20090023525A KR101021977B1 KR 101021977 B1 KR101021977 B1 KR 101021977B1 KR 1020090023525 A KR1020090023525 A KR 1020090023525A KR 20090023525 A KR20090023525 A KR 20090023525A KR 101021977 B1 KR101021977 B1 KR 1010219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prt vehicle
- prt
- lifting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06010012411 Derail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1973 Ficus microcar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6 consolid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06—Electric devices for operating points or scotch-blocks, e.g. using electromotive driv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06—Electric devices for operating points or scotch-blocks, e.g. using electromotive driving means
- B61L5/065—Construction of driving mechanis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7/00—Remote control of local operating means for points, signal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 B61L7/06—Remote control of local operating means for points, signal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using electrical transmis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7/00—Remote control of local operating means for points, signal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 B61L7/06—Remote control of local operating means for points, signal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using electrical transmission
- B61L7/061—Remote control of local operating means for points, signal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using electrical transmission using electromotive driving means
- B61L7/063—Construction of driving mechanism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02—Tongues; Associated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다수의 분기점 및 합류점을 가지는 주행트랙을 따라 주행하는 PRT차량의 주행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주행트랙의 분기점과 합류점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PRT차량이 상기 분기점 또는 합류점으로 진입할 때, 주행트랙측으로 상향 이동함으로써 PRT차량의 좌측편 또는 우측편 안내휠의 측부에 도달하여 분기 또는 합류시 PRT차량에 미치는 원심력의 반대방향의 지지력을 안내휠에 제공해 PRT차량을 원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승강레일과, 상기 승강레일을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는, 차량의 주행트랙 하부에 시소운동을 통해 승강 가능한 승강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레일로 하여금 차량의 분기 또는 합류를 유도하게 함으로써, 동작이 신속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구현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며 작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잇점을 갖는다.
PRT, 선로, 분기, 합류, 레일, 가이드레일
Description
본 발명은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PRT(Personal Rapid Transit)는, 원격 제어되는 소형차량을 전용 주행트랙을 따라 주행시켜 탑승자가 목적지까지 논스톱으로 이동하게 하는 친환경 미래형 교통 시스템이다. 이러한 PRT는 대기오염과 교통체증 등을 유발하지 않음은 물론 여러 가지 복잡한 도시교통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앞으로 도시 대중교통의 주류를 이룰 전망이다.
상기 PRT시스템은 이를테면 2인승 내지 6인승 정도의 소형 차량을 수십 대 또는 수백 대 씩 한꺼번에 주행트랙 위에서 운행하게 되며, 수많은 소규모의 루프를 가지는 네트워크 방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어느 교통 시스템보다 빈번한 분기와 합류가 이루어지며, 상기 분기 및 합류를 신속 정확하게 구현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적용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PRT시스템은 수십 대 내지 수백 대의 차량이 주행 중 다양한 경로를 따라 분기 및 합류하기 때문에, 분기와 합류를 어떤 방식으로 하는 가에 시스템의 안전성과 성능이 좌우된다.
상기 PRT시스템을 포함한 종래의 궤도 시스템에 있어서 분기와 합류 방식은 세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로 주행궤도 자체가 전환되는 방식이다. 이는 실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궤도 자체가 움직이는 것이므로, 정확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궤도에 엇갈림이 생겨 탈선의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여러 단계별 쇄정과정을 수행해야 하고 선로 전환속도가 느리다는 문제를 갖는다.
두 번째 방식은 차량에 설치된 선로전환장치를 사용하여 주행 경로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는 스위칭 장치로 하여금 전환하고자 하는 방향의 궤도면을 잡게 하여 구심력을 이용해 차량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상기 두 번째 방식은 구동 명령을 무선통신을 통해 전달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안전성 면에서 큰 약점을 갖는다.
또한 세 번째 방식은 제 3의 선로를 설치하여 차량의 방향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는 시스템 성능면이나 안전성에 장점이 있으나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주행트랙 하부에 시소운동을 통해 승강 가능한 승강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레일로 하여금 차량의 분기 또는 합류를 유도하게 함으로써, 동작이 신속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구현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며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는, 다수의 분기점 및 합류점을 가지는 주행트랙을 따라 주행하는 것으로, 승객이 탑승하는 객실과, 상기 객실을 지지하는 차대(車臺)와, 상기 차대의 하부에 구비되며 주행트랙에 나란하게 깔려 있는 레일을 따라 구름운동 하는 다수의 주행휠과, 상기 차대의 양측부에 위치하되 그 회전축이 상기 주행휠과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안내휠로 구성되는 PRT차량의 주행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주행트랙의 분기점과 합류점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PRT차량이 상기 분기점 또는 합류점으로 진입할 때, 주행트랙측으로 상향 이동함으로써 PRT차량의 좌측편 또는 우측편 안내휠의 측부에 도달하여 분기 또는 합류시 PRT차량에 미치는 원심력의 반대방향의 지지력을 안내휠에 제공해 PRT차량을 원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승강레일과, 상기 승강레일을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레일은, 곡선주행하는 PRT차량의 주행경로와 나란하게 연장된 일정단면의 선형부재로서 주행경로의 곡률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지고, 안내휠에 접하여 안내휠이 그 측면을 따라 구름운동 하게 함으로써 PRT차량이 상기 원심력에 의해 측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승강레일에 고정되는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회동플레이트를 회동시켜 회동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승강레일을 승강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승강레일은 회동플레이트의 상부 양측에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도록 고정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회동플레이트를 시소운동시켜 일측 승강레일이 상승할 때 반대측 승강레일이 하강하게 하고, 반대측 승강레일이 상승할 때 일측 승강레일이 하강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는 외부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서보모터로서, 구동축이 연결부재를 통해 회동플레이트에 직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트랙은; 상기 레일이 깔려 있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폭방향 양측부에 위치하며 상기 PRT차량의 탈선을 방지하는 사이드벽을 가지고,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승강레일이 바닥부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승강레일을 상향 통과시키는 슬릿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는, 차량의 주행트랙 하부에 시소운동을 통해 승강 가능한 승강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레일로 하여금 차량의 분기 또는 합류를 유도하게 함으로써, 동작이 신속 정확하 고 안정적으로 구현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며 작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잇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PRT차량의 일부를 도시한 발췌 사시도 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주행트랙 및 분기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의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는, PRT차량이 주행하는 주행트랙의 하부에 시소 운동을 통해 승강하는 한 쌍의 승강레일(33a,33b)을 설치하고, 상기 승강레일(33a,33b)의 승강운동을 통해 PRT차량의 진로를 결정하는 기본 메카니즘을 갖는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를 위해 PRT차량의 양측부에는 안내휠(17)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는 차량의 차대(車臺) 양측부에 수평의 안내휠이 구비되어 있는 PRT차량이라면 본 실시예의 분기 및 합류장치를 적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PRT차량이 주행하는 주행트랙(21)의 하부에 한 쌍의 승강레일(33a,33b)과, 상기 승강레일(33a,33b)을 지지하는 회동플레이트(31)와, 상기 회동플레이트(31)를 시소운동 시키는 구동부(35)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구동부(35)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35b)와, 상기 모 터(35b)를 수용 고정하는 케이싱(35a)과, 상기 모터(35b)의 구동축(35d)에 고정되며 회동플레이트(31)에 결합하는 디스크 형태의 연결부재(35c)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35c)는 모터(35b)의 회전토오크를 회동플레이트(31)에 전달하여 회동플레이트(31)가 시소운동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주행트랙(21)을 따라 운행하는 PRT차량은, 승객을 수용하는 차량객실(도 6의 53)과, 상기 차량객실(53)의 하부에 위치하며 차량객실(53)을 지지하는 차대(車臺)(11)와, 상기 차대(11)의 하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주행휠(13)과, 상기 차대(11)의 좌우측 측부 전후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사이드휠(15)과, 상기 사이드휠(15)의 하부에 사이드휠(15)과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안내휠(17)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휠(15)은 수평으로 설치된 바퀴로서 주행트랙(21)의 양측 사이드벽(25)에 지지되어 차대(11)가 측방향으로 탈선되는 것을 차단한다. 아울러 상기 안내휠(17)은 각 사이드휠(15)의 하부에 구비되며 사이드휠(15)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상기 안내휠(17)은 슬릿(23a)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 승강레일(33a 또는 33b)에 가이드 되며 승강레일(33a,33b)을 타고 굴러, 차대(11)가 승강레일(33a,33b)을 따라 가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주행트랙(2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의 기둥(도 6의 51)에 올려져 PRT차량이 원하는 지점으로 운행하게 한다. 상기 기둥(51)은 지면(55)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주행트랙(21)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주행트랙(21)은, 고정레일(27)이 그 위에 나란하게 깔려 있는 바닥부(23)와, 상기 바닥부(23)의 좌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사이드벽(25)을 포함한다. 상기 주행휠(13)이 고정레일(27)의 상부에서 구름 운동함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레일(27)은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두 개가 하나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가 두 개로 갈라지기도 한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철도 레일과 동일한 것이다.
상기 사이드벽(25)은 PRT차량이 좌우로 탈선하지 않도록 마련한 것으로서, PRT차량이 정상 운행할 때에는 사이드휠(15)로부터 떨어져 있다. 운행 중 비정상적인 이유로 차대(11)가 폭방향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사이드휠(15)이 사이드벽(25)에 접하며 더 이상의 폭방향 이동을 방지하여 탈선을 막는다.
아울러 상기 고정레일(27)의 외측 측부에는 슬릿(2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23a)은 도 3이나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승강레일(33a,33b)을 상부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이다. 상기 두 개의 승강레일(33a,33b) 중 선택된 하나의 승강레일은 상기 슬릿(23a)을 상향 통과하여 안내휠(17)과 주행휠(13)의 사이에 삽입된다. 이와같이 삽입된 상태에서 안내휠(17)과 승강레일(33a,33b)의 간격이 좁을수록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릿(23a)이 선로의 분기점이나 합류점에서 승강레일(33a,33b)의 길이만큼 연장된 형태를 취하지만, 승강레일(33a,33b)의 길이에 상관없이 슬릿(23a)을 주행트랙(21)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는, 상기 주행트랙(21)의 분기점이나 합류점의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승강레일(33a,33b)과, 상 기 승강레일(33a,33b)을 상호 연결하며 지지하는 회동플레이트(31)와, 상기 회동플레이트(31)를 축 S를 중심으로 시소(seesaw)운동 시키는 모터(35b)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35b)는 케이싱(35a)에 내장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서보모터이다. 특히 상기 모터(35b) 및 케이싱(35a)은 프레임(도 6의 37)을 통해 기둥(51)의 상단부에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 모터(35b)의 구동축(35d)에는 디스크 형태의 연결부재(35c)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35c)는 회동플레이트(31)에 고정됨으로써 구동축(35d)과 회동플레이트(31)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연결부재의 형식은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승강레일(33a,33b)은 주행트랙의 분기점이나 합류점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분기점이나 합류점을 통과하는 PRT차량의 안내휠(17)이, 슬릿(23a)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승강레일(33a 또는 33b)의 지지면(33c)을 타고 구르며 PRT차량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한다. 상기 승강레일(33a,33b)은, 분기점이나 합류점의 곡선주로를 주행하는 PRT차량에 가해지는 원심력의 반대방향 힘을 안내휠(17)에 가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35b)의 작용에 의해 회동플레이트(31)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도면상 우측 승강레일(33b)이 상향 이동하여 주행휠(13)과 안내휠(17) 사이에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반대측 승강레일(33a)이 하부로 이동함은 물론이다.
상기 승강레일(33b)은 주행휠(13)과 안내휠(17)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지지면(33c)으로 안내휠(17)을 화살표 f방향으로 지지한다. 상기 안내휠(17)은 PRT차량의 분기나 합류를 위해 지지면(33c)에 접하며 지지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가이드레일(33b)이 연장된 방향으로 PRT차량을 유도해 나간다.
도 4는 상기 회동플레이트(31)가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하여, 도면상 좌측 승강레일(33a)이 슬릿(23a)을 통해 상향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승강레일(33a)은 안내휠(17)과 주행휠(13)의 사이에 끼워지며 도 3에 설명한 바와 동일한 원리로 PRT차량의 곡선 주행을 가이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의 평면도로서 고정레일(27)을 함께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나의 레일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A경로와 B경로로 분기됨을 알 수 있다. 역으로 표현하면,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두 개의 레일이 하나로 합류하는 것으로 볼 수 도 있다.
여하튼 상기 고정레일(27)의 양측부에 승강레일(33a,33b)이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승강레일(33a,33b)은 고정레일(27)과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승강레일(33a,33b)의 하부에 회동플레이트(31)가 구비되어 있 다. 상기 회동플레이트(31)는 승강레일(33a,33b)에 고정되어 승강레일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모터(35b)에 의해 시소운동한다. 상기 시소운동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승강레일(33a 또는 33b)이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안내휠(17)을 가이드함은 상기한 바와같다.
특히 도면에서 두 개의 회동플레이트(31)와 각 회동플레이트(31)를 회동시키기 위한 두 개의 모터(35b)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한 회동플레이트(31)와 모터(35b)의 개수는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도 6은 상기 PRT차량 및 이를 제어하는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지면(55)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는 기둥(51)의 상단부에 프레임(37)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37)의 형식은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37)에는 모터(35b)를 수용하고 있는 케이싱(35a)이 견고히 고정된다. 모터(35b)도 케이싱(35a) 내부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35c)에 회동플레이트(3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동플레이트(31)는 수평으로 대기하다가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시소운동하여 선택된 하나의 승강레일(33a,33b)을 상승시켜 PRT차량의 주행 경로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주행트랙(21)의 바닥부(23)에 깔려 있는 고정레일(27) 위에 주행휠(13)이 올라가 있다. 상기 주행휠(13)은 고정레일(27)을 따라 구름운동하여 차대(11)를 주행시킨다. 상기 차대(11)의 상부에는 차량객실(53)이 설치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 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화살표 Z방향으로 이동하는 PRT차량(58)이 분기점에 도달하여 우측경로(R)로 진입한 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PRT차량(58)을 우측경로(R)로 유도하기 위하여 우측 승강레일(33a)이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승강레일(33a)은 PRT차량(58)의 우측 안내휠(17)을 그 바깥쪽 면인 지지면(33c)으로 가이드하며 f1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PRT차량(58)을 A경로로 유도한다. 상기 지지력 f1은 우측경로(R)로 진입할 때 PRT차량(58)에 발생하는 원심력과 동일하며 방향이 반대인 힘이다.
도 8의 경우에는, PRT차량(58)이 두 개의 경로(우측경로(R), 좌측경로(L)) 중 좌측경로(L)로 진입하여 주행하는 모습이다. 화살표 Z방향으로 주행하던 PRT차량(58)을 좌측경로(L)로 유도하기 위해서 좌측의 승강레일(33b)이 상승하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승강레일(33b)은 PRT차량(58)의 좌측에 구비되어 있는 안내휠(17)을 바깥쪽 지지면(33c)으로 가이드하며 화살표 f2방향으로 지지하여, PRT차량(58)을 화살표 B방향으로 유도한다.
한편, 상기 승강레일(33a)은 PRT차량(58)의 합류를 위해서도 사용된다. 즉 화살표 A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PRT차량(58)을 메인경로(M)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레일(33a)을 상승시켜 승강레일(33a)로 하여금 PRT차량(58)의 주행방향 좌측의 안내휠(17)을 f1방향으로 지지하게 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화살표 B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PRT차량(58)을 메인경 로(M)로 유도하기 위하여, 반대편 승강레일(33b)을 상승시켜, 승강레일(33b)로 하여금 PRT차량(58)의 주행방향 우측의 안내휠(17)을 화살표 f2방향으로 지지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력 f1,f2는 PRT차량(58)의 곡선 주행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대응하는 힘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PRT차량의 일부를 도시한 발췌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주행트랙 및 분기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PRT차량 및 이를 제어하는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차대(車臺) 13:주행휠
15:사이드휠 17:안내휠
21:주행트랙 23:바닥부
23a:슬릿 25:사이드벽
27:고정레일 31:회동플레이트
33a,33b:승강레일 33c:지지면
35:구동부 35a:케이싱
35b:모터 35c:연결부재
35d:구동축 37:프레임
51:기둥 53:차량객실
55:지면 58:PRT차량
Claims (5)
- 다수의 분기점 및 합류점을 가지는 주행트랙을 따라 주행하는 것으로, 승객이 탑승하는 객실과, 상기 객실을 지지하는 차대(車臺)와, 상기 차대의 하부에 구비되며 주행트랙에 나란하게 깔려 있는 레일을 따라 구름운동 하는 다수의 주행휠과, 상기 차대의 양측부에 위치하되 그 회전축이 상기 주행휠과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안내휠로 구성되는 PRT차량의 주행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상기 주행트랙의 분기점과 합류점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PRT차량이 상기 분기점 또는 합류점으로 진입할 때, 주행트랙측으로 상향 이동함으로써 PRT차량의 좌측편 또는 우측편 안내휠의 측부에 도달하여 분기 또는 합류시 PRT차량에 미치는 원심력의 반대방향의 지지력을 안내휠에 제공해 PRT차량을 원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승강레일과,상기 승강레일을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승강레일은,곡선주행하는 PRT차량의 주행경로와 나란하게 연장된 일정단면의 선형부재로서 주행경로의 곡률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지고,안내휠에 접하여 안내휠이 그 측면을 따라 구름운동 하게 함으로써 PRT차량이 상기 원심력에 의해 측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며,상기 구동부는;상기 승강레일에 고정되는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회동플레이트를 회동시켜 회동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승강레일을 승강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승강레일은 회동플레이트의 상부 양측에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도록 고정되며,상기 모터는, 상기 회동플레이트를 시소운동시켜 일측 승강레일이 상승할 때 반대측 승강레일이 하강하게 하고, 반대측 승강레일이 상승할 때 일측 승강레일이 하강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모터는 외부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서보모터로서, 구동축이 연결부재를 통해 회동플레이트에 직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주행트랙은;상기 레일이 깔려 있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폭방향 양측부에 위치하며 상기 PRT차량의 탈선을 방지하는 사이드벽을 가지고,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승강레일이 바닥부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승강레일을 상향 통과시키는 슬릿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3525A KR101021977B1 (ko) | 2009-03-19 | 2009-03-19 |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3525A KR101021977B1 (ko) | 2009-03-19 | 2009-03-19 |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4850A KR20100104850A (ko) | 2010-09-29 |
KR101021977B1 true KR101021977B1 (ko) | 2011-03-16 |
Family
ID=4300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3525A KR101021977B1 (ko) | 2009-03-19 | 2009-03-19 |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197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5645B1 (ko) * | 2010-10-20 | 2012-05-24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소형궤도열차 시스템의 차량 및 시설물 상태정보 전송방법 |
KR101299273B1 (ko) * | 2011-12-26 | 2013-08-23 |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 차량용 분기장치 |
KR102118506B1 (ko) * | 2017-09-27 | 2020-06-03 | 인티그레이트 엔지니어스 피티이 엘티디 | 전력구 자재 취급 시스템 및 이송방법 |
CN110576752B (zh) * | 2019-09-23 | 2023-08-22 | 万泽霈 | 个人自动控制轻型可变轨磁悬浮轨道交通系统 |
CN116189427B (zh) * | 2023-01-12 | 2024-05-28 | 东风悦享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prt的可移动式站点换乘方法及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61608U (ko) | 1974-11-08 | 1976-05-14 | ||
KR20040040676A (ko) * | 2002-11-07 | 2004-05-13 | 주식회사 스카이카 | 궤도차량용 분기장치 |
KR20100026617A (ko) * | 2008-09-01 | 2010-03-10 | 주식회사 대명엔지니어링 | 분기기 스위칭 장치 |
KR20100090877A (ko) * | 2009-02-09 | 2010-08-18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차상 제어 분기장치 및 분기방법 |
-
2009
- 2009-03-19 KR KR1020090023525A patent/KR10102197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61608U (ko) | 1974-11-08 | 1976-05-14 | ||
KR20040040676A (ko) * | 2002-11-07 | 2004-05-13 | 주식회사 스카이카 | 궤도차량용 분기장치 |
KR20100026617A (ko) * | 2008-09-01 | 2010-03-10 | 주식회사 대명엔지니어링 | 분기기 스위칭 장치 |
KR20100090877A (ko) * | 2009-02-09 | 2010-08-18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차상 제어 분기장치 및 분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4850A (ko) | 2010-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56095B2 (ja) | 懸垂式車両用の軌道及びボギー台車 | |
KR101021977B1 (ko) | Prt차량용 선로 분기 및 합류장치 | |
CN105984701B (zh) | 搬运台车和搬运台车系统 | |
US8813653B2 (en) | Rail-guided cart system and branching control method for a rail-guided cart system | |
CN105416096A (zh) | 门架型平交道口移动式电车线 | |
CN207449912U (zh) | 一种转向架和具有其的轨道交通系统 | |
US9393968B2 (en) | Cable transport installation | |
CN110748215B (zh) | 悬挂列车出入库系统、悬挂列车移载装置和悬挂式列车车库 | |
CN210062968U (zh) | 一种道岔换向装置、轨道车辆、轨道及其道岔换向系统 | |
KR20010077501A (ko) | 선형유도모터를 차량바닥에 장착한 피알티시스템 | |
KR102216942B1 (ko) | 모노레일용 천차대 시스템의 제어방법 | |
KR100511450B1 (ko) | 경량전철 대차의 안내 프레임 구조 | |
KR102665494B1 (ko) | 포인트 스위치 및 상기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철도 네트워크 | |
CN204174989U (zh) | 一种立体车库搬运车的驱动装置 | |
JP5395445B2 (ja) | 鉄道車両用トラバーサ | |
JP4566379B2 (ja) | 浮上式移動体 | |
WO2000018629A1 (fr) | Mecanisme de transport grande vitesse sur rails | |
JPH06156928A (ja) | 縦横走行自走式エレベータ装置 | |
CN108327737A (zh) | 一种电动式跨座单轨登车梯系统 | |
KR20150124315A (ko) | 로봇의 수평 및 수직 레일 주행장치 | |
CN217351959U (zh) | 空中列车自主导向装置及导向系统 | |
JP3190564U (ja) | 車両用台車、車両及び車両走行システム | |
CN111527018A (zh) | 单轨列车 | |
CN204174986U (zh) | 一种停车库用搬运车行驶轨道的支撑结构 | |
CN109641600B (zh) | 车辆旋转装置以及使用车辆旋转装置的轨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