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543B1 - 기준전압발생기 회로 - Google Patents

기준전압발생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543B1
KR101015543B1 KR1020090058054A KR20090058054A KR101015543B1 KR 101015543 B1 KR101015543 B1 KR 101015543B1 KR 1020090058054 A KR1020090058054 A KR 1020090058054A KR 20090058054 A KR20090058054 A KR 20090058054A KR 101015543 B1 KR101015543 B1 KR 101015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resistor
current
voltage
bipolar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784A (ko
Inventor
민경식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8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543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05Substrate bias-voltage gener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6Current mirrors
    • G05F3/262Current mirror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준전압발생기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와 같은 회로배치를 갖는 기준전압발생기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는 종래의 기준전압발생기 대비 레이아웃 면적을 50% 정도 절약할 수 있고, 또한 종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 대비 대략 30% 정도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기준전압발생기, 면적, 전력소모

Description

기준전압발생기 회로{REFERENCE VOLTAGE GENERATOR CIRCUIT}
본 발명은 기준전압발생기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과, 제1 전류 패스 (Path1)와 제2 전류 패스 (Path2)와 제3 전류 패스 (Path3)로 구성되며 제1 전류 패스 (Path1)와 제2 전류 패스 (Path2)와 제3 전류 패스 (Path3)를 흐르는 각각의 전류를 서로 미러링 (mirroring)해주는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와,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Q1)과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Q2)와 제1 저항 (R1)으로 이루어진 기준전류를 만들어주는 부분과 출력노드 전압 (VOUTPUT) 및 그에 연결된 제2 저항 (R2)과 제1 NMOSFET (MN1)을 포함하되, 상기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1 전류 패스 (Path1)가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2 전류 패스 (Path2)가 제1 저항의 일측 터미널에 연결되고, 제1 저항의 타측 터미널은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3 전류 패스 (Path3)는 제2 저항의 일측 터미널에 연결되고, 제2 저항의 타측 터미널은 제1 NMOSFET의 드레인 에 연결되고, 출력노드 전압 (VOUTPUT)은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3 전류 패스 (Path3)와 제2 저항의 일측 터미널이 연결되는 노드에서 나오며,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면적과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면적의 비가 1 : A 이며, 제1 저항의 양단에 제 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 전압과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 전압의 차이 (VEB1-VEB2)가 인가되고, 두 개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 전압 간의 차이인 (VEB1-VEB2)를 제1 저항으로 나눈 값만큼의 제1 저항 전류 (IR1)이 제1 저항에 흐르며, 제1 저항 전류 (IR1)이 전류 미러 (current mirror)를 통해서 제 2 저항에 흘러 제2 저항 양단에 전압 (ΔVR2)를 생성하며, 그 생성된 전압 (ΔVR2)이 제 1 NMOSFET의 게이트-소스 전압인 (VGS1)과 합쳐져서 출력노드 전압 (VOUTPUT)을 만들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전압발생기 회로에 관한 것이다.
기준전압발생기는 외부의 전원전압 및 온도 변화에 상관없는 일정한 전압을 지속적으로 만들어주는 회로로서 아날로그 회로와 메모리 회로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회로이다. 도1에 종래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의 일례를 보였다. 도 1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에서 VDD는 전원전압을 나타내며 MP1′과 MP2′와 MP3′는 함께 전류 미러 (current mirror)를 구성하는 제1′PMOSFET, 제2′PMOSFET, 제3′PMOSFET을 나타낸다. 또한 V′SS는 접지전압을 나타내며 Q1′과 Q2′는 각각 제1′바이폴 라 트랜지스터,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나타낸다. Q1′과 Q2′ 사이의 1:A′라는 표시는 Q1′의 에미터 면적에 비해서 Q2′의 에미터 면적이 A′배 만큼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R1′, R2′, R3′, R4′는 각각 제1′ 저항, 제2′저항, 제3′저항, 제4′ 저항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제2′저항과 제3′저항은 같은 값을 사용한다. 그리고 OP1′은 VEB1′ 노드와 VEB2′ 노드의 전압을 서로 같게 만들도록 음의 피드백 역할을 하는 OP 앰프를 의미한다. V′OUTPUT은 출력노드 전압을 나타내고 IR1′은 제1′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보듯이 제1′ PMOSFET의 드레인은 은 제1′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에미터와 제2′저항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PMOSFET의 드레인은 제1′저항의 터미널에 연결되어 있고 제1′저항의 다른 터미널은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제3′저항에 연결되어 있다. OP1′이 음의 피드백을 동작시켜서 VEB1′과 VEB2′의 노드의 전압을 서로 갖게 만들기 때문에 제1′저항에는 제1′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 전압과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 전압의 차이만큼의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제1′PMOFET과 제2′ PMOSFET의 사이즈가 같다고 가정하면 두 개의 PMOSFET에는 같은 양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제2′ PMOSFET에 흐르는 전류 IMP2′를 계산하면 식 1과 같다.
Figure 112009039213708-pat00001
(식 1)
위의 식에서 k는 볼쯔만 상수를 의미하고, A′는 제1′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와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면적비, T은 외부의 절대 온도, q는 Coulomb 상수를 나타낸다. 또한 Ln은 자연로그 함수를 의미한다. 위의 식의 의해서 출력노드의 전압(VOUTPUT)을 계산하면 식 2와 같다.
Figure 112009039213708-pat00002
(식 2)
위의 식은 전압전압의 값의 함수가 안되므로 V′OUTPUT 전압이 전원전압의 변화에 둔감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제 1 저항, 제 2 저항, 제 3 저항, 제 4 저항 값을 잘 조절함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른 V′OUTPUT 값의 변화를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회로의 문제는 제2′저항과 제3′저항을 만들기 위해서 많은 면적이 필요하다는 것에 있다. 제2′저항과 제3′저항의 값이 크면 큰 값의 저항을 칩 위에서 구현하기 위해서 많은 면적이 필요하며 그 면적은 기준전압발생기 회로의 전체 면적에서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회로와 비슷한 성능을 발휘할 있으면서도 소면적과 저전력 소비를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기준전압발생기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전압(VDD)과 접지전 압(VSS)과, 제1 전류 패스 (Path1)와 제2 전류 패스 (Path2)와 제3 전류 패스 (Path3)로 구성되며 제1 전류 패스 (Path1)와 제2 전류 패스 (Path2)와 제3 전류 패스 (Path3)를 흐르는 각각의 전류를 서로 미러링 (mirroring)해주는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와,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Q1)과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Q2)와 제1 저항 (R1)으로 이루어진 기준전류를 만들어주는 부분과 출력노드 전압 (VOUTPUT) 및 그에 연결된 제2 저항 (R2)과 제1 NMOSFET (MN1)을 포함하되, 상기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1 전류 패스 (Path1)가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2 전류 패스 (Path2)가 제1 저항의 일측 터미널에 연결되고, 제1 저항의 타측 터미널은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3 전류 패스 (Path3)는 제2 저항의 일측 터미널에 연결되고, 제2 저항의 타측 터미널은 제1 NMOSFET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출력노드 전압 (VOUTPUT)은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3 전류 패스 (Path3)와 제2 저항의 일측 터미널이 연결되는 노드에서 나오며,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면적과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면적의 비가 1 : A 이며, 제1 저항의 양단에 제 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 전압과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 전압의 차이 (VEB1-VEB2)가 인가되고, 두 개의 바 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 전압 간의 차이인 (VEB1-VEB2)를 제1 저항으로 나눈 값만큼의 제1 저항 전류 (IR1)이 제1 저항에 흐르며, 제1 저항 전류 (IR1)이 전류 미러 (current mirror)를 통해서 제 2 저항에 흘러 제2 저항 양단에 전압 (ΔVR2)를 생성하며, 그 생성된 전압 (ΔVR2)이 제 1 NMOSFET의 게이트-소스 전압인 (VGS1)과 합쳐져서 출력노드 전압 (VOUTPUT)을 만들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전압발생기 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1 전류 패스 (Path1)는 제1 PMOSFET (MP1)으로 이루어지고 제2 전류 패스 (Path2)는 제2 PMOSFET (MP2)로 이루어지고, 제3 전류 패스 (Path3)는 제3 PMOSFET (MP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접압발생기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준전압발생기 회로는 종래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와 비교하여, 종래의 기준전압발생기에서 사용했던 저항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저항에 의한 레이아웃 면적 소비를 50%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준전압발생기에서 사용했던 저항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류 소비도 줄어 종래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 대비 전체 전력 소비 중에서 대략 30% 정도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는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과, 제1 전류 패스 (Path1)와 제2 전류 패스 (Path2)와 제3 전류 패스 (Path3)로 구성되며 제1 전류 패스 (Path1)와 제2 전류 패스 (Path2)와 제3 전류 패스 (Path3)를 흐르는 각각의 전류를 서로 미러링 (mirroring)해주는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와,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Q1)과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Q2)와 제1 저항 (R1)으로 이루어진 기준전류를 만들어주는 부분과 출력노드 전압 (VOUTPUT) 및 그에 연결된 제2 저항 (R2)과 제1 NMOSFET (MN1)을 포함하되, 상기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1 전류 패스 (Path1)가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2 전류 패스 (Path2)가 제1 저항의 일측 터미널에 연결되고, 제1 저항의 타측 터미널은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3 전류 패스 (Path3)는 제2 저항의 일측 터미널에 연결되고, 제2 저항의 타측 터미널은 제1 NMOSFET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출력노드 전압 (VOUTPUT)은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3 전류 패스 (Path3)와 제2 저항의 일측 터미널이 연결되는 노드에서 나오며,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면적과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면적의 비가 1 : A 이며, 제1 저항의 양단에 제 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 전압과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 전압의 차이 (VEB1-VEB2)가 인가되고, 두 개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 전압 간의 차이인 (VEB1-VEB2)를 제1 저항으로 나눈 값만큼의 제1 저항 전류 (IR1)이 제1 저항에 흐르며, 제1 저항 전류 (IR1)이 전류 미러 (current mirror)를 통해서 제 2 저항에 흘러 제2 저항 양단에 전압 (ΔVR2)를 생성하며, 그 생성된 전압 (ΔVR2)이 제 1 NMOSFET의 게이트-소스 전압인 (VGS1)과 합쳐져서 출력노드 전압 (VOUTPUT)을 만들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회로에서 제 1 저항에 흐르는 전류 (IR1)은 다음과 같은 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9213708-pat00003
(식 3)
여기에서 k는 볼쯔만 상수를 나타내며, q는 Coulomb 상수, Ln은 자연 로그를 나타낸다. 또한 A는 제 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제 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면적 비를 나타내고 R1은 제 1 저항의 저항 값을 나타내고 T는 절대온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류 미러 (current mirror)는 상호 전류 미러링을 할 수 있으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전류 미러의 제1 전류 패스 (Path1)는 제1 PMOSFET (MP1)으로 이루어지고 제2 전류 패스 (Path2)는 제2 PMOSFET (MP2)로 이루어지고, 제3 전류 패스 (Path3) 는 제3 PMOSFET (MP3)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다른 전류 미러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저항의 전류 (IR1)은 전류미러를 통해서 제 3 PMOSFET으로 전달되고 그 전류가 제2 저항에 흐르게 되어서 제2 저항 양단에 전압을 만들어내고 그 전압이 제 1 NMOSFET의 게이트-소스 전압과 더해져서 최종 출력 노드의 전압이 생성되게 된다. 식 (3)에서 보듯이 제2 저항의 양단에서 발생하는 전압은 온도의 증가에 따라서 늘어나는 성질을 갖고 있는 전압이다. 기준전압발생기의 출력노드 전압은 외부 온도의 변화에 무관하게 일정한 출력 값을 내보내야 하므로, 온도에 따라서 증가 의존성을 갖고 있는 제2 저항의 양단 전압을 보상할 수 있는, 온도에 대한 감소 의존성이 있는 어떤 전압을 만들어서 그것을 제2 저항의 양단 전압과 합해 주어여 한다. 이러한 감소 의존성이 있는 전압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포화영역에서 동작하는 제 1 NMOSFET의 게이트-소스 전압이 선택되었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는 제 1 NMOSFER의 게이트-소스 전압이 제 2 저항 양단의 전압과 합해져서, 각각의 온도에 대한 전압 변화의 증가 의존성과 감소 의존성이 서로 상쇄되어서, 외부의 온도 변화에 무관하게 일정한 출력노드 전압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종래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상)와 본 발명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하)의 면적을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4는 종래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상)와 본 발명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하)의 전류 소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에 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는 종래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에 비해 레이아웃 면적을 50% 정도 절약할 수 있고, 또한 종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 대비 대략 30% 정도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온도변화에도 전압변화가 적음을 알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전압발생기 회로의 회로도
도3는 종래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상)와 본 발명의 기준전압발생기 회로(하)의 면적을 비교한 그래프
도4는 종래의 기준전압발생기회로(상)와 본 발명의 기준전압발생기회로(하)의 전류 소비를 비교한 그래프

Claims (2)

  1.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과, 제1 전류 패스 (Path1)와 제2 전류 패스 (Path2)와 제3 전류 패스 (Path3)로 구성되며 제1 전류 패스 (Path1)와 제2 전류 패스 (Path2)와 제3 전류 패스 (Path3)를 흐르는 각각의 전류를 서로 미러링 (mirroring)해주는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와,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Q1)과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Q2)와 제1 저항 (R1)으로 이루어진 기준전류를 만들어주는 부분과 출력노드 전압 (VOUTPUT) 및 그에 연결된 제2 저항 (R2)과 제1 NMOSFET (MN1)을 포함하되,
    상기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1 전류 패스 (Path1)가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2 전류 패스 (Path2)가 제1 저항의 일측 터미널에 연결되고, 제1 저항의 타측 터미널은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3 전류 패스 (Path3)는 제2 저항의 일측 터미널에 연결되고, 제2 저항의 타측 터미널은 제1 NMOSFET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출력노드 전압 (VOUTPUT)은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3 전류 패스 (Path3)와 제2 저항의 일측 터미널이 연결되는 노드에서 나오며,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면적과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면적의 비가 1 : A 이며, 제1 저항의 양단에 제 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 전압과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 전압의 차이 (VEB1-VEB2)가 인가되고, 두 개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 전압 간의 차이인 (VEB1-VEB2)를 제1 저항으로 나눈 값만큼의 제1 저항 전류 (IR1)이 제1 저항에 흐르며, 제1 저항 전류 (IR1)이 전류 미러 (current mirror)를 통해서 제 2 저항에 흘러 제2 저항 양단에 전압 (ΔVR2)를 생성하며, 그 생성된 전압 (ΔVR2)이 제 1 NMOSFET의 게이트-소스 전압인 (VGS1)과 합쳐져서 출력노드 전압 (VOUTPUT)을 만들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전압발생기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미러 (current mirror)의 제1 전류 패스 (Path1)는 제1 PMOSFET (MP1)으로 이루어지고 제2 전류 패스 (Path2)는 제2 PMOSFET (MP2)로 이루어지고, 제3 전류 패스 (Path3)는 제3 PMOSFET (MP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접압발생기 회로.
KR1020090058054A 2009-06-29 2009-06-29 기준전압발생기 회로 KR101015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054A KR101015543B1 (ko) 2009-06-29 2009-06-29 기준전압발생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054A KR101015543B1 (ko) 2009-06-29 2009-06-29 기준전압발생기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784A KR20110000784A (ko) 2011-01-06
KR101015543B1 true KR101015543B1 (ko) 2011-02-16

Family

ID=4360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054A KR101015543B1 (ko) 2009-06-29 2009-06-29 기준전압발생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55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014A (ko) * 2000-09-30 2002-04-06 윤종용 능동저항소자를 사용한 기준전압 발생회로
JP2002244749A (ja) 2001-02-15 2002-08-30 Seiko Instruments Inc 基準電圧回路
JP2002244748A (ja) 2001-02-13 2002-08-30 Nec Corp 基準電流回路及び基準電圧回路
KR100605258B1 (ko) 2005-02-28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초 저전력 소모 특성을 갖는 기준전압 발생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014A (ko) * 2000-09-30 2002-04-06 윤종용 능동저항소자를 사용한 기준전압 발생회로
JP2002244748A (ja) 2001-02-13 2002-08-30 Nec Corp 基準電流回路及び基準電圧回路
JP2002244749A (ja) 2001-02-15 2002-08-30 Seiko Instruments Inc 基準電圧回路
KR100605258B1 (ko) 2005-02-28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초 저전력 소모 특성을 갖는 기준전압 발생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784A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9513B2 (ja) バンドギャップ基準回路
JP4722502B2 (ja) バンドギャップ回路
Zhang et al. A nano-watt MOS-only voltage reference with high-slope PTAT voltage generators
JP5607963B2 (ja) 基準電圧回路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JP4817825B2 (ja) 基準電圧発生回路
JP3519361B2 (ja) バンドギャップレファレンス回路
JP2008108009A (ja) 基準電圧発生回路
JP2008015925A (ja) 基準電圧発生回路
KR20090126812A (ko) 기준 전압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917187B1 (ko) 기준전압 발생기
JP2008505412A (ja) 絶対温度に比例する電圧回路
JP2000089844A (ja) Cmosバンドギャップ電圧基準
TW201413415A (zh) 參考電壓產生器
JP2009098802A (ja) 基準電圧発生回路
WO2009118267A1 (en) A bias current generator
KR102544302B1 (ko) 밴드갭 레퍼런스 회로
JP2007305010A (ja) 基準電圧生成回路
TWI716323B (zh) 電壓產生器
JP2009116748A (ja) 定電圧回路
JP2007095031A (ja) 低電圧用バンドギャップ基準電圧発生回路
TWI792988B (zh) 電壓生成電路及半導體裝置
JP2007287095A (ja) 基準電圧発生回路
JP5699515B2 (ja) 基準電圧発生回路
KR101015543B1 (ko) 기준전압발생기 회로
JP3673479B2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