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210B1 - 제국기의 자동 출곡 장치 - Google Patents

제국기의 자동 출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210B1
KR101014210B1 KR1020100060947A KR20100060947A KR101014210B1 KR 101014210 B1 KR101014210 B1 KR 101014210B1 KR 1020100060947 A KR1020100060947 A KR 1020100060947A KR 20100060947 A KR20100060947 A KR 20100060947A KR 101014210 B1 KR101014210 B1 KR 101014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imperial
koji
unit
transf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녕
Original Assignee
(주)송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송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송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06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oy Sauces And Products Related Theret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를 입곡, 숙성, 출곡하는 제국기에서 숙성된 원료를 자동으로 출곡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국기의 종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고, 숙성된 원료를 제국기의 횡 방향으로 출곡하는 출곡대차와; 상기 출곡대차의 종 방향으로의 왕복 이송과 연동되고, 출곡대차로부터 출곡되는 원료를 수거하는 로터리 피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국기의 자동 출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 출곡 장치에 의하면, 출곡되는 원료의 손실이 차단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더불어 주위 작업 환경이 개선되며, 종래의 벨트 타입 컨베이어에서 발생되던 벨트 교체에 따른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국기의 자동 출곡 장치{APPARATUS FOR AUTO DISCHARGING OF KOJI MAKING MACHINE}
본 발명은 고추장과 된장 및 간장 등의 장류와 주정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를 숙성시키는 제국기에서 원료를 자동으로 출곡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국기(공고번호 10-1993-3066호)는 원료의 출곡을 위해 제국판의 측면에 벨트 타입의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었다.
상기 원료의 출곡을 위한 벨트 타입의 컨베이어는 출곡되는 원료가 벨트 컨베이어에 깔끔하게 안착되기 어려운 구조여서 주위 작업 환경을 저해하고, 원료 손실에 따른 제품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벨트 타입의 컨베이어를 일정 시간 사용하다 보면 곰팡이가 발생해 비위생적이어서, 벨트의 교체 주기가 빨라져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실되는 원료를 차단하여 생산성 및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유지비용 또한 줄일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제국기의 자동 출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원료를 입곡, 숙성, 출곡하는 제국기의 자동 출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국기의 종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고, 숙성된 원료를 제국기의 횡 방향으로 출곡하는 출곡대차와;
상기 출곡대차의 종 방향으로의 왕복 이송과 연동되고, 출곡대차로부터 출곡되는 원료를 수거하는 로터리 피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국기의 자동 출곡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출곡대차는 상기 제국기의 양측 종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이송레일에 안내되어 왕복 이송되며, 숙성된 원료를 제국기의 횡 방향으로 출곡하는 이송스크류부와; 숙성된 원료의 출곡을 위해 상기 이송스크류부에 구비된 이송스크류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국기의 종 방향으로 이송스크류부를 왕복 이송하기 위한 제2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국기의 자동 출곡 장치는, 제국기의 종 방향 일측에 출곡대차의 종 방향 이동 위치에 따라 개폐되는 다수개의 도어부가 장착된 차폐부와, 상기 도어부의 개방과 출곡대차의 구동으로 출곡되는 원료를 상기 로터리 피더로 유도하는 가이드판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곡되는 원료의 손실이 차단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더불어 주위 작업 환경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벨트 타입 컨베이어에서 발생되던 벨트 교체에 따른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국기에 본 발명에 따른 제국기의 자동 출곡 장치가 도시된 평면도,
도 2 내지 도 4는 제국기의 동작관계 및 본 발명에 따른 제국기의 자동 출곡 장치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출곡 장치의 동작관계가 잘 나타난 도 1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5의 B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피더의 확대도.
본 발명은 원료(500)를 입곡, 숙성, 출곡하는 제국기(100)의 자동 출곡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략적으로 제국기(100)의 동작관계를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곡 싸이클론(130)은 입곡 호스(131)로부터 원료(500)를 공급 받으면 제국기(100)의 종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는 교반대차(150)와 연동하여 제국기(100)의 종 방향으로 이송되고 동시에 제국기(100)의 횡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면서 원료(500)를 제국기(100)의 제국판(120)에 골고루 공급한다.
입곡 싸이클론(130)이 원료(500)를 제국판(120)의 전체 면에 공급하면, 교반대차(150)는 제국기(100)의 종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고, 동시에 교반날(151)을 회전시키면서 제국판(120)의 상부에 안착된 원료(500)를 평탄하게 한다. 교반대차(150)의 이러한 동작은 원료(500)의 숙성시 원료(500)에 공급될 항온 또는 항습한 공기가 원료(500)에 골고루 공급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국판(120)에도 다수개의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있어 항온 또는 항습한 공기가 제국판(120)의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유통되므로 이러한 제국판(120)에 의해서도 원료(500)의 숙성이 촉진된다.
교반대차(150)의 동작이 완료되고, 항온, 항습한 공기에 의해 원료(500)의 숙성이 완료되면, 본 발명에 따른 제국기의 자동 출곡 장치(이하, 출곡 장치라 함)가 구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출곡 장치는, 출곡대차(50)와 로터리 피더(90)로 구성된다.
출곡대차(50)는 상기 교반대차(150)와 동일하게 상기 제국기(100)의 종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고, 또한 숙성된 원료(500)를 제국기(100)의 횡 방향으로 출곡하는 장치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스크류부(20)와, 제1 구동부(30)와, 제2 구동부(40)로 구성된다.
이송스크류부(20)는 상기 제국기(100)의 양측 종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이송레일(111,112)에 안내되어 왕복 이송되며, 숙성된 원료(500)를 제국기(100)의 횡 방향으로 출곡하는 구성으로, 이송스크류(10)를 포함한다.
제1 구동부(30)는 숙성된 원료(500)의 출곡을 위해 상기 이송스크류부(20)에 구비된 이송스크류(10)를 구동하는 구성이다.
제2 구동부(40)는 상기 제국기(100)의 종 방향으로 이송스크류부(20)를 왕복 이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로터리 피더(9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곡대차(50)의 종 방향으로의 왕복 이송과 연동되고, 출곡대차(50)로부터 출곡되는 원료(500)를 수거하는 구성으로, 로터리 피더(90)에 의해 수거된 원료(500)는 외부에서 진공 흡입으로 재차 수거된다.
이와 같은 이송스크류부(20)와 제1 구동부(30)와 제2 구동부(40)로 이루어진 출곡대차(50)와 로터리 피더(90)의 구성은 도 5 내지 도 8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스크류부(20)는 이송스크류(10)와, 메인 프레임(11)과, 메인 프레임(11)의 하부측에 장착된 이송축(12)과, 메인 프레임(11)의 하단에 장착되며 끝단이 상기 이송스크류(10)의 양단에 장착된 베어링(8)과 연결되는 고정링크(13,14)와, 이송스크류(10)의 일측에 구비된 스프라켓(9)으로 구성된다.
제1 구동부(30)는 상기 메인 프레임(11)의 상단에 장착된 모터(21)와, 상기 모터(21)의 회전력과 연동하는 스프라켓(22)으로 구성된다. 제1 구동부(30)의 스프라켓(22)은 이송스크류부(20)의 스프라켓(9)과 체인 등으로 연결되어 이송스크류(10)를 회전시킨다.
제2 구동부(40)는 이송스크류부(20)의 이송축(12)의 양단에 장착된 스프라켓(23,27,28)과, 상기 스프라켓(27)과 체인 등으로 연결되는 스프라켓(26a) 및 상기 스프라켓(26a)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스프라켓(23,27,28)을 통한 이송축(12)을 회전시키는 모터(26)와, 상기 스프라켓(23,28)과 체인 등으로 연결된 스프라켓(24,28a) 및 상기 스프라켓(24,28a)에 전달된 회전력과 연동하여 이송레일(111,112)을 따라 이송되는 회전부(25,29)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송스크류부(20)와, 제1,2 구동부(30,40)는 당업자에 의해 여러 구동 방식으로 변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송스크류부(20)와 제1,2 구동부(30,40)의 구성을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로터리 피더(90)는 로터리 피더(90)를 이송레일(113)을 따라 출곡대차(50)의 종 방향 이동과 연동되게 하는 로터리 피더 이송부와, 이송스크류(10)에 의해 출곡되는 원료(500)를 공급받는 개구부(61)와, 상기 개구부(61)를 통해 유입되는 원료(500)를 회전시키면서 하강시키는 로터부(63) 및 모터(62)와, 상기 로터부(63)의 하측에 구비된 출구부(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출구부(64)는 진공 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 있어 출곡되는 원료(500)는 집결 싸이클론(미도시)에 이송된다.
로터리 피더 이송부는 모터(71)와, 상기 모터(72)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스프라켓(72)과, 스프라켓(72)의 회전력으로 이송레일(113)을 따라 이송되는 회전부(73,74)로 구성되어 로터리 피더(90)를 출곡대차(50)의 종 방향 이동과 연동되게 이송한다. 출곡대차(50)가 제국기(100)의 종 방향으로 이송될 때 로터리 피더를 연동되게 하는 방식은 예컨대, 출곡대차(50)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센서의 신호를 모터(71)가 전달받아 센서의 신호에 따른 모터(71)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출곡 장치는 상기 제국기(100)의 종 방향 측에 출곡대차(50)의 종 방향 이동 위치에 따라 개폐되는 다수개의 도어부(95)가 장착된 차폐부(96)와, 상기 도어부(95)의 개방과 출곡대차(50)의 구동으로 출곡되는 원료(500)를 상기 로터리 피더(90)로 유도하는 가이드판(97)을 더 구비한다.
즉, 가이드판(97)은 출곡시 원료(500)가 로터리 피더(90)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차폐부(96)는 출곡대차(50)의 이송스크류(10)를 통해 불규칙하게 출곡되는 원료(500)가 로터리 피더(90)가 수거할 수 없는 영역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따라서, 도어부(95)의 도어(9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리 피더(90)의 입구측 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도어(91)를 개폐하는 구성은 에어 또는 유압으로 동작되는 도어 실린더(92)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국기 111,112: 이송레일
120: 제국판 121: 관통공
500: 원료 10: 이송스크류
20: 이송스크류부 30: 제1 구동부
40: 제2 구동부 50: 출곡대차
90: 로터리 피더 95: 도어부
96: 차폐부 97: 가이드판

Claims (3)

  1. 원료(500)를 입곡, 숙성, 출곡하는 제국기(100)의 자동 출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국기(100)의 양측 종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이송레일(111,112)에 안내되어 왕복 이송되며, 숙성된 원료(500)를 제국기(100)의 횡 방향으로 출곡하는 이송스크류부(20)와,
    숙성된 원료(500)의 출곡을 위해 상기 이송스크류부(20)에 구비된 이송스크류(10)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30)와,
    상기 제국기(100)의 종 방향으로 이송스크류부(20)를 왕복 이송하기 위한 제2 구동부(40)로 구성되는 출곡대차(50)와;
    상기 출곡대차(50)의 종 방향으로의 왕복 이송과 연동되고, 출곡대차(50)로부터 출곡되는 원료(500)를 수거하는 로터리 피더(90)와;
    상기 제국기(100)의 종 방향 일측에 출곡대차(50)의 종 방향 이동 위치에 따라 개폐되는 다수개의 도어부(95)가 장착된 차폐부(96)와;
    상기 도어부(95)의 개방과 출곡대차(50)의 구동으로 출곡되는 원료(500)를 상기 로터리 피더(90)로 유도하는 가이드판(97);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국기의 자동 출곡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00060947A 2010-06-28 2010-06-28 제국기의 자동 출곡 장치 KR101014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947A KR101014210B1 (ko) 2010-06-28 2010-06-28 제국기의 자동 출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947A KR101014210B1 (ko) 2010-06-28 2010-06-28 제국기의 자동 출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4210B1 true KR101014210B1 (ko) 2011-02-14

Family

ID=4377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947A KR101014210B1 (ko) 2010-06-28 2010-06-28 제국기의 자동 출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2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225A (ko) * 1989-06-09 1991-01-30 아오이 죠이찌 엔진성능시험에서의 엔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47797B1 (ko) * 1999-06-30 2002-08-10 최현순 입상물질의 이송용 로터리 피더장치
JP3781078B2 (ja) 1997-09-24 2006-05-31 永田醸造機械株式会社 出麹装置及び昇降装置を備える回転式自動製麹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225A (ko) * 1989-06-09 1991-01-30 아오이 죠이찌 엔진성능시험에서의 엔진제어장치 및 방법
JP3781078B2 (ja) 1997-09-24 2006-05-31 永田醸造機械株式会社 出麹装置及び昇降装置を備える回転式自動製麹装置
KR100347797B1 (ko) * 1999-06-30 2002-08-10 최현순 입상물질의 이송용 로터리 피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30540A (zh) 一种全自动送料生产线
KR101014210B1 (ko) 제국기의 자동 출곡 장치
CN207387881U (zh) 用于生产强化地板的裁板机
CN110329748A (zh) 一种振动上料机
KR101554330B1 (ko) 건어물 다짐 가공장치
KR101014211B1 (ko) 제국기의 잔량수거 장치
KR101197907B1 (ko) 에어나이프용 립 클리너
CN208150495U (zh) 电磁旋转式除料机构
CN103861809A (zh) 具有增压室的空气分离器
CN109676536B (zh) 一种清洁型滚筒式喷砂机以及喷砂方法
CN107128707A (zh) 一种汽车地毯生产均匀铺料装置
CN207642764U (zh) 型材切割装置上的下料结构
CN117262597B (zh) 一种自清式提升设备
CN208247542U (zh) 旋转式压片机
CN208289710U (zh) 一种新型喷砂机
CN107232252B (zh) 一种连续式生产设备
CN201205547Y (zh) 粮食网带初清筛
CN205602543U (zh) 一种缓冲提升机
CN210132544U (zh) 一种条状食品的全自动切断机构
CN205381636U (zh) 新型板式输送机
CN218459664U (zh) 一种用于铸件生产的自动松砂机
CN208103458U (zh) 汉堡纸盒机的伺服送纸机构
CN213719655U (zh) 一种制作及传送馄饨皮的装置
CN2244973Y (zh) 抛丸清理机
CN212952631U (zh) 一种用于粘土砂处理的带式输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