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594B1 - 드럼식 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식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594B1
KR101012594B1 KR1020097013013A KR20097013013A KR101012594B1 KR 101012594 B1 KR101012594 B1 KR 101012594B1 KR 1020097013013 A KR1020097013013 A KR 1020097013013A KR 20097013013 A KR20097013013 A KR 20097013013A KR 101012594 B1 KR101012594 B1 KR 101012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reverse
drive mode
drum
rotation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4298A (ko
Inventor
히로유키 이노우에
다다시 아사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94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7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spin-dry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회전 드럼은, 개구하는 정면측으로부터 바닥부가 되는 배면측을 향해 회전축 방향이 수평 또는 수평 방향으로부터 하향 경사가 되도록 하여 수조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는, 회전 드럼을 최하 위치인 0도 위치로부터 90도 위치를 초과하여 180도 미만의 위치에서 급정호회전, 급역호회전을 교호로 반복하는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탈수 단계 후에 실행한다.

Description

드럼식 세탁기{DRUM 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회전축 방향이 수평 또는 수평 방향으로부터 하향 경사가 되도록 하여 수조 내에 설치된 회전 드럼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회전 드럼 내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세탁기는, 하우징(31)과, 수조(32)와, 회전 드럼(34)과, 모터(35)와, 문(36)을 갖는다. 수조(32)는 하우징(31) 내에 서스펜션 구조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다수의 구멍(33)이 형성된 회전 드럼(34)은 수조(3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35)는 회전 드 럼(34)을 회전 구동한다. 문(36)은 하우징(31)의 정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유저는 문(36)을 여는 것에 의해 수조(32)의 정면 개구부와 회전 드럼(34)의 정면 개구부를 통해 세탁물을 회전 드럼(34) 내로부터 출납할 수 있다.
통상의 세탁 모드에서는, 유저는 문(36)을 열어 회전 드럼(34) 내에 세탁물과 세제를 투입하고, 운전을 개시한다. 그러면, 수조(32) 내에는 급수부(37)로부터 급수된다. 공급된 물 중, 소요량의 물은 구멍(33)을 통해서 회전 드럼(34) 내에도 공급된다. 모터(35)에 의해 회전 드럼(34)이 예를 들면 50rpm 정도의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되면, 회전 드럼(34) 내에 수용된 세탁물은 회전 드럼(34)의 내주 면에 설치된 교반 돌기(38)에 걸려 회전 방향으로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세탁물은 적당한 높이로부터 낙하한다. 이렇게 하여, 세탁물에는 두드려 빠는 작용이 더해짐으로써 세탁된다. 이 세탁 단계 후, 더러워진 세탁수는 배수부(41)에 의해 배출되고, 새롭게 급수부(37)로부터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헹굼 단계가 실시된다. 헹굼 단계가 종료하면 회전 드럼(34)이 예를 들면 1000rmp 정도로 고속 회전하여 탈수 단계가 실시된다. 이들 단계는 소정의 제어 순서에 기초하여 자동 실행된다.
그런데, 세탁 단계나 헹굼 단계의 연속 회전, 또한 탈수 단계에서의 회전 드럼(34)의 고속으로의 연속 회전에 의해,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물(61)은 엉키거나, 붙거나 한다. 특허 문헌 1은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회전 드럼(34)의 모터(35)에 의한 직결 구동에서의 회전 제어의 자유도 향상을 이용한 다음과 같은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즉, 탈수 단계 후에 회전 드럼(34)을 90도 이하의 미소 회전각 내에서, 특히 10도 이상 30도 미만의 미소 회전각으로, 복수회 정역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 제어에 의해,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34) 내에 붙은 세탁물(61)이 떼어진다. 혹은 회전 드럼(34) 내의 상부에서 뭉친 상태의 세탁물(61)이 풀린다. 그 결과, 탈수시의 언밸런스가 저감되어 건조 후의 세탁물(61)이 꺼내기 쉬워진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탈수 단계 후에 행하는 정역 교호의 미소각 회전은, 세탁물(61)을 회전 드럼(34)의 내면에 충분히 붙게 할 수 있는 55rpm 정도의 속도로 실행된다. 또 90도 이하의 미소 회전각 내에서, 특히 10도 이상 30도 미만의 미소 회전각으로 복수회 정역 회전시킬 뿐이다. 그 때문에 실질적으로 는, 미소각 회전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는 등속이 아니다. 즉 도중의 미소각 미만 역만이 소정 속도가 되고, 그 전후는 소정 속도를 향한 증속, 혹은 소정 속도로부터의 감속이 된다. 그 때문에, 세탁물(61)은 미소각 미만 위치까지 밖에 들어올릴 수 없다.
그 결과, 미소각 회전의 종기에서의 제동 등의 급감속에 의해 세탁물(61)에 관성력이 작용해도, 이 힘이 중력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때문에, 세탁물(61)은 회전 드럼(34)의 내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떼어져 떨어진다기보다, 아래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경향이 강해진다. 따라서, 미끄러져 떨어지는 세탁물(61)은 회전 드럼(34)의 다음의 역방향의 미소각 회전에 의해 미끄러져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후, 이러한 이동이 반복된다. 그 때문에, 회전 드럼(34)의 미소각 회전의 정역 반복에 있어서의 종기측에서의 미끄러져 떨어짐에 의해 세탁물(61)은 좌우로 요동되는 정도이며, 세탁물(61)끼리의 위치는 그다지 교체되지 않는다. 그 결과, 세탁물(61)은 회전 드럼(34)의 하부에 모이고, 회전 드럼(34)의 내면과의 미끄러짐 시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61)의 덩어리 전체로서 정역으로 약간 구르는 거동을 나타낸다.
따라서, 회전 드럼(34)의 내면에 세탁물(61)이 붙는 것을 해소할 수 있어도, 엉킴이나 비틀림을 푸는 효과는 충분하지 않다. 특히, 세탁 단계, 헹굼 단계에서의 엉킴, 비틀림, 주름에 의해 회전 드럼(34)의 내면에 강하게 압착된 세탁물(61)은 회전 드럼(34)에 붙어 강하게 자국이 생기게 된다. 그 때문에 엉킴이나 비틀림을 푸는 효과는 충분하지 않다. 이와 같이, 충분히 엉킴이나 비틀림이 풀려 있지 않은 세탁물(61)은 꺼내기 어렵고, 말리기 위해서도 풀거나 펴는 사후 처리가 필요하여 번거롭다. 특히, 세탁물(61)에는 건조 후에도 비틀림 자국이나 주름이 남아 그것을 펴는데 수고스럽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0-254385호 공보
본 발명은, 탈수 단계 후의 세탁물에 강하게 자국이 생기는 엉킴이나 비틀림을 충분히 풀고, 주름도 경감하여 세탁물의 마무리 상태를 높이는 드럼식 세탁기이다.
본 발명에 의한 드럼식 세탁기는, 수조와, 회전 드럼과, 모터와, 제어부를 갖는다.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회전 드럼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하는 정면측으로부터 바닥부가 되는 배면측을 향해 회전축 방향이 수평 또는 수평 방향으로부터 하향 경사가 되도록 하여, 수조 내에 설치되어 있다. 모터는 회전 드럼을 회전 구동한다. 제어부는 적어도 모터를 제어하여, 적어도 세탁 단계, 헹굼 단계, 탈수 단계를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는, 모터를 급구동시킴으로써 회전 드럼을 급호회전(急弧回轉)시키고, 회전 드럼의 급호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세탁물을 회전 드럼의 내면에 붙게 하여 회전 드럼의 최하 위치인 0도 위치로부터 90도 위치를 초과하여 180도 미만의 위치까지 세탁물을 들어올린다. 또 제어부는 모터의 회전을 급제동시킴으로써, 세탁물을 회전 드럼 내면으로부터 떼어내어, 회전 드럼의, 세탁물을 들어올리고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낙하시킨다. 제어부는 이 일련의 동작을, 정역 교호로 반복하여 행하는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탈수 단계 후에 실행한다.
이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회전 드럼의 급호회전에 의해 세탁물을 회전 드럼의 최하 위치로부터 최대한 90도를 초과하여 180도 미만까지 들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세탁물을 들어올리는 최종 단계시의 급제동에 의해 제동 상태가 발생한다. 이 제동 상태에 의해 세탁물을 그 관성 및 자중에 의해 회전 드럼 내면으로부터 떼어냄과 더불어 회전 드럼의 하부 범위의 들어올림 측과 반대측으로 낙하하는 동작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정역 교호의 급호회전 구동에 의해 세탁물의 들어올림 위치, 낙하 위치를 매회의 호회전 구동에 있어서 좌우 교호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세탁물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면서 푸는 작용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계력을 세탁물에 미치게 하는 회수를 늘릴 수 있다. 세탁물은 세탁 단계, 헹굼 단계 종료 시의 엉킴, 비틀림, 주름진 상태로 회전 드럼 내면에 강하게 압착되어 붙어 강하게 자국이 생기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탈수 단계 후에 실행함으로써, 세탁물이 풀림과 더불어, 기계력이 세탁물에 작용하여 주름도 펴지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드럼식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드럼식 세탁기의 내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드럼식 세탁기의 모터 부착 부분의 거의 절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나타낸 드럼식 세탁기의 정지 시에 있어서의 회전 드럼 내의 세탁물의 위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B는 도 4A 상태로부터 회전 드럼의 회전을 기동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C는 도 4B 상태로부터 회전 드럼의 회전을 감속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D는 도 4C 상태로부터 회전 드럼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하여 가속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E는 도 4D 상태로부터 회전 드럼의 회전을 감속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F는 도 4E 상태로부터 회전 드럼의 회전을 정방향으로 하여 가속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G는 도 4C로부터 도 4F에 나타내는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에서의 세탁물의 들어올림 위치 및 낙하 위치의 좌우 교체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드럼식 세탁기에서의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이상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회전 드럼 내면으로의 세탁물의 붙음과 떼어냄에 대한 회전 특성도이다.
도 6은, 도 1의 드럼식 세탁기에서의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와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의 조합 패턴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1의 드럼식 세탁기에서의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와 정역 호회 전 구동 모드의 조합 패턴의 다른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A는 도 1에 나타낸 드럼식 세탁기에서의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탈수 단계 후에 행한 후의 세탁물 상태예를 도시한 모사도이다.
도 8B는 도 1에 나타낸 드럼식 세탁기에서의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탈수 단계 후에 행한 후의 세탁물의 다른 상태예를 도시한 모사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A는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에서의 탈수 단계 후의 세탁물 상태예를 도시한 모사도이다.
도 10B는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에서의 탈수 단계 후의 세탁물의 다른 상태예를 도시한 모사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수조
3 : 구멍 4 : 회전 드럼
4A : 회전축 5 : 모터
5A : 스테이터 51 : 이너 로터
52 : 아우터 로터 6 : 문
7 : 급수부 8 : 교반 돌기
9 : 제어부 10 : 베어링
11 : 배수부 12 : 송풍기
13 : 통풍로 14 : 조작부
15 : 필터 16 : 제습부
17 : 가열부 18 : 압축기
19 : 공기조화기 20 : 세탁물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드럼식 세탁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드럼식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드럼식 세탁기의 내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드럼식 세탁기의 모터 부착 부분의 거의 절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세탁기는, 하우징(1)과, 수조(2)와, 회전 드럼(4)과, 모터(5)와, 문(6)을 갖는다. 수조(2)는 하우징(1) 내에 서스펜션 구조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다수의 구멍(3)이 형성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회전 드럼(4)은 수조(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5)는 회전 드럼(4)을 회전 구동한다. 문(6)은 하우징(1)의 정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유저는 문(6)을 여는 것에 의해 수조(2)의 정면 개구부와 회전 드럼(4)의 정면 개구부를 통해 세탁물을 회전 드럼(4) 내로부터 출납할 수 있다.
유저는 조작부(14)로부터 모드를 설정한다. 이 설정에 따라, 제어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탑재한 제어부(9)에 의해, 각종의 모드가 실행된다.
통상의 세탁 모드에서는, 유저는 문(6)을 열어 회전 드럼(4) 내에 세탁물과 세제를 투입하고, 운전을 개시한다. 그러면, 제어부(9)는 급수부(7)에 의해 수조(2) 내에 급수한다. 공급된 물 중, 소요량의 물은 구멍(3)을 통해서 회전 드럼(4) 내에도 공급된다.
다음에 제어부(9)는 모터(5)에 의해 회전 드럼(4)을 소정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한다. 그러면, 회전 드럼(4) 내에 수용된 세탁물은 회전 드럼(4)의 내주면에 설치된 교반 돌기(8)에 걸려 회전 방향으로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세탁물은 적당한 높이로부터 낙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세탁물에는 두드려 빠는 작용이 더해짐으로써 세탁된다.
이 세탁 단계 후, 제어부(9)는 배수부(11)에 의해 더러워진 세탁물을 배출하고, 또한 급수부(7)에 의해 새롭게 급수하여 헹굼 단계를 실시한다. 또한, 급수부(7)는 도시 생략의 전자밸브의 개폐에 의해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알맞은 때에 급수할 수 있고, 또 급수를 이용하여 도시 생략의 세제 수용부의 세제를 수조(2) 내에 알맞은 때에 투입한다. 배수부(11)는 도시 생략의 전자 밸브의 개폐에 의해, 세탁 단계 종료 시나 헹굼 단계 종료 시 등 필요한 때에 한 점 쇄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한다.
헹굼 단계가 종료하면 제어부(9)는 회전 드럼(4)을 고속 회전시켜 탈수 단계를 실시한다. 제어부(9)는 이러한 단계를 소정의 제어 순서에 기초하여 자동 실행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9)는 적어도 모터(5)를 제어하여, 적어도 세탁 단계, 헹굼 단계, 탈수 단계를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9)는, 송풍기(12)에 의해 수조(2)와 회전 드럼(4) 중의 공기를 흡인한다. 제습부(16)는 흡인된 공기를 제습한다. 가열부(17)는 제습된 공기를 가열한다. 통풍로(13)는 송풍기(12)와 수조(2), 가열부(17)와 수조(2)를 각각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건조부에 의해 제어부(9)는 수조(2) 및 회전 드럼(4) 내에 마른 고온 공기를 송풍한다. 이러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라 하는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탈수 단계 후에 건조 단계도 자동 실행된다.
송풍기(12)는, 건조부를 구성하는 통풍로(13) 내에서 도 1, 도 2에 나타낸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조(2) 및 회전 드럼(4) 내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통풍로(13)에는 수조(2)나 회전 드럼(4)으로부터의 도입 공기 중의 실보무라지 등을 포집(捕集)하여 제진하는 필터(1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습부(16)는 제진 후의 도입 공기를 제습한다. 송풍기(12)는 습기의 영향을 받기 어렵도록, 가열부(17)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도 2에서는, 제습부(16), 가열부(17)는 압축기(18)에 의해 냉매가 순환되어 순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는 증발기와 응축기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즉 이들은 공기조화기(19)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제습부(16), 가열부(17)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회전 드럼(4)의 회전축(4A)의 방향이 개구측으로부터 바닥부측을 향해 수평 또는 수평 방향으로부터 하향 경사가 되도록, 회전 드럼(4)은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회전 드럼(4)은 회전축(4A)에 수조(2) 상의 모터(5)가 직결되고, 수조(2)와 함께, 개구측으로부터 바닥부측을 향해 회전축(4A)의 방향이 수평 방향으 로부터 각도(θ)=20±10도로 경사져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회전 드럼(4)에 의해 세탁을 행하는 경우, 회전축(4A)을 수평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와 동일한 높이에 회전 드럼(4)을 설치해도 개구가 비스듬히 상향이 된다. 그 때문에 유저는, 구부리거나 하는 무리한 자세를 취하지 않고 용이하게 세탁물을 출납할 수 있다. 특히, 경사 각도(θ)를 20±10도로 함으로써, 아이로부터 어른까지의 신장차가 있어도, 휠체어 이용자여도, 세탁물의 출납 작업이 가장 행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 또, 회전 드럼(4) 내에 급수된 물이 배면측에 모여 적은 수량으로도 깊은 저수 상태가 얻어지는 이점도 있다.
탈수 단계는 예를 들면 1000rpm과 같은 고속으로의 연속 회전으로 실행된다. 그 때문에, 세탁물을 세탁 단계, 헹굼 단계에서의 엉킴, 비틀림, 주름진 상태인 채로 회전 드럼(4)의 내면에 붙게 하여 자국이 생겨 버린다. 그 결과, 유저는 세탁물을 꺼내기 어렵다. 또 세탁물에 심한 자국이 남기 쉬워 주름을 펴는데 많은 수고가 든다.
이러한 과제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어부(9)가 모터(5)에 의해 회전 드럼(4)을 구동하는 제어로서, 탈수 단계 후에 실행되는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호회전(pivot)」이란 일회전 미만의 회전 동작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호회전 구동 모드」에서는, 연직 방향 하단을 0도 위치로 했을 때 90도 위치를 초과하여 200도 미만의 위치까지 회전 드럼(4)이 급속도로 호회전하고, 또 급격하게 제동된다. 즉, 제어부(9)는 원심력으로 세탁물을 회전 드럼(4)의 내면에 붙게 할 정도의 변화율로 모터(5)를 급구동시켜 회전 드럼(4)을 급 호회전시킨다. 그리고 회전 드럼(4)의 최하 위치인 0도 위치로부터 90도 위치를 초과하여 180도 미만의 위치까지 세탁물을 들어올린다. 그리고, 제어부(9)는 세탁물이 회전 드럼(4)의 내면으로부터 떼어질 정도의 변화율로 모터(5)의 회전을 급제동시켜, 회전 드럼(4)의, 세탁물을 들어올리고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낙하시킨다. 이러한 동작이 정역 교호로 행해진다.
다음에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에 있어서의 세탁물(20)의 움직임을, 도 4A∼도 4G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A∼도 4G는, 세탁물(20)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식 세탁기의 정지 시에는 회전 드럼(4) 내의 세탁물(20)은 하측, 즉 0도 위치 부근에 있다. 그리고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4)은 정전(正轉) 방향의 85도 위치 근방까지 50rpm 이상으로 급속도로 호회전(급정호회전(急正弧回轉) 구동)되어, 세탁물(20)은 회전 드럼(4)의 내면에 붙어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세탁물(20)은 파선 위치로부터 실선 위치로 0도 위치로부터 90도 위치를 초과하여 180도 미만의 위치까지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4)에는 급제동이 걸려 정전 방향의 90도 위치를 초과하여 200도 미만의 위치, 예를 들면 165도 위치까지 급감속한다. 세탁물(20)은, 회전 드럼(4)의 회전 속도가 50rpm 이하가 되었을 때, 즉 정전 방향의 135도 위치 근방에서, 그 관성 및 자중에 의해, 회전 드럼(4)의 내면으로부터 떼어져, 세탁물(20)은 들어올림 측과 반대측을 향해 낙하한다. 그 후, 회전 드럼(4)은, 타성에 의해 정전 방향의 165도 위치 근방까지 회전하고, 그에 의해, 세탁물(20)은, 정전 방향의 15도 위치 근방까지 회전한다.
다음에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4)은, 역전 방향의 85도 근방까지, 즉 역전 방향으로 100도, 50rpm 이상으로 급가속된다. 이 회전에 의해 세탁물(20)이 회전 드럼(4)의 내면에 붙어 들어올려진다. 그 후, 도 4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4)은 급제동이 걸려 역전 방향의 165도 위치까지 급감속한다. 세탁물(20)은, 회전 드럼(4)의 회전 속도가 50rpm 이하가 되었을 때, 즉 역전 방향의 135도 위치 근방에서, 그 관성 및 자중에 의해 회전 드럼(4)의 내면으로부터 떼어져 들어올림 측과 반대측을 향해 낙하한다. 그 후, 회전 드럼(4)은, 타성에 의해 역전 방향의 165도 위치 근방까지 회전하고, 그에 따라, 세탁물(20)은, 역전 방향의 15도 위치 근방까지 회전한다.
또한, 도 4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4)은 정전 방향의 85도 위치 근방까지, 즉 정전 방향으로 100도, 50rpm 이상으로 급가속된다. 이 회전에 의해 세탁물(20)이 회전 드럼(4)의 내면에 붙어 들어올려진다. 그 후,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4)은 급제동이 걸려 정전 방향의 165도 위치까지 급감속한다. 이후, 도 4C∼도 4E를 이용하여 설명한 동작이 반복된다.
이러한 정역 교호의 급호회전 구동에 의해, 세탁물(20)의 들어올림 위치, 낙하 위치가 매회의 호회전 구동에 있어서 도 4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교호로 교체된다. 그 때문에, 세탁물(20)의 풀림 작용이 높아진다. 그 결과, 세탁물(20)의 엉킴, 비틀림, 회전 드럼(4)의 내면으로의 붙음을 방지할 수 있어, 세탁물(20) 을 꺼내는 것이 용이해짐과 더불어 세탁물(2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대폭으로 완화할 수 있다. 또, 세탁물(20)에 기계력을 고르게 미치게 할 수 있고, 두드림 작용이 있는 세탁물(20)의 낙하 회수를 대폭으로 증대하므로 주름을 펴는 효과를 비롯한 세탁기가 행하는 각 단계에서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사후 처리가 용이해지는 데다, 높은 마무리 상태를 얻어 주름을 펴는 수고를 크게 경감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고려하면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세탁 단계, 헹굼 단계, 혹은 건조 단계에 적용해도 된다.
회전 드럼(4)의 급정호회전과 급역호회전은, 정역 90도까지 세탁물(20)이 회전 드럼(4)의 내면에 붙는 가속도로 구동하여 실행된다. 그 때문에, 세탁물(20)의 자중에 의해 낙하하기 쉬워지는 90도 부근까지 탈수 후의 가벼운 세탁물(20)이라도 회전 드럼(4)의 내면에 붙는다. 그리고 급가속에 의해, 세탁물(20)은 호회전 위치까지 미끄러지지 않고 들어올려지며, 또한 회전 드럼(4)의 회전 속도에 알맞은 관성을 부여받아 호회전 종료 위치까지 확실하게 들어올려진다. 최종적으로, 세탁물(20)은 제동 상태로의 변화 시점에서 소정 방향으로의 급가속도로의 높은 관성 및 자중에 의해 강제적으로 떼어진다.
또, 회전 드럼(4)의 호회전 방향의 정역 전환은, 회전 드럼(4)의 호회전이 90도를 초과하여 200도 미만의 위치에서, 급격한 제동 동작의 사이에 행해진다. 이에 의해, 세탁물(20)의 붙음을 보증하는 가속도를 만족하는 조건에 있어서도, 세탁물(20)은 호회전의 최종 단계에서 확실하게 떼어진다. 또 세탁물(20)에 대한 기계력 부여의 시간적 로스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단시간에 세탁기의 각 단계 효과가 얻어지면서, 엉킴이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어, 주름이 생기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세탁물(20)의 거동으로부터 보면, 본 실시의 형태의 호회전 구동 모드에서는, 제어부(9)는, 회전 드럼(4)의 급호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세탁물(20)을 회전 드럼(4)의 내면에 붙게 하여 윗쪽으로 들어올린다. 그 후, 회전 드럼(4)의 급제동에 의해, 들어올린 세탁물(20)을 그 관성 및 자중에 의해 회전 드럼(4)의 내면으로부터 떼어내어 낙하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의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는, 이 호회전 구동 모드에 의한 구동을, 정역 교호로 반복하는 모드로서 파악할 수 있다.
또 보다 바람직한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에서는, 제어부(9)는, 회전 드럼(4)의 급호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세탁물(20)을 회전 드럼(4)의 내면에 붙게 하여 회전 드럼(4)의 상부 범위까지 들어올린다. 그 후, 회전 드럼(4)의 급제동에 의해, 세탁물(20)을 그 관성 및 자중에 의해 회전 드럼(4)의 내면으로부터 떼어내어 그 관성 및 자중에 의해 회전 드럼(4)의 하부 범위의 들어올림 측과 반대측으로 낙하시킨다. 이러한 구동 제어를 정역 교호로 반복한다. 제어부(9)는, 이러한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탈수 단계 후에 실행한다. 특히, 탈수 단계 후, 세탁물(20)은 탈수에 의해 가벼워지므로 회전 드럼(4)에 붙는 것이 약해진다. 그 때문에 세탁물(20)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세탁물(20)을 회전 드럼(4)의 내면에 붙게 할 수 있을 만큼의 회전 드럼(4)의 회전 속도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경우에 따라 세탁 단계나 헹굼 단계의 경우보다도 회전 드럼(4)의 회전 속도 를 높이는 것이 적합해진다.
이 경우도, 앞서 기술한 이유에 의해 회전 드럼(4)의 정호회전과 역호회전은 200도 미만의 위치에서 반복하는 것이 적합하고, 90도 위치를 초과하여 행하는 것이 최량이 된다.
여기서, 직경 500±50mm의 회전 드럼(4)에서 세탁물(20)의 중력을, 회전 드럼(4)의 중심 방향과 접선 방향으로 분해하여, 중심 방향의 힘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는 드럼 회전 속도를, (1)식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mrω2=mgcosθ …(1)
m:세탁물의 질량, r:회전 반경, ω:각속도, g:중력 가속도, θ:연직 방향을 0도로 하는 회전 방향의 각도
산출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사각의 플롯은, 각 각도 위치에 있어서 중심 방향의 힘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는데 필요한 드럼 회전 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실선 화살표는 각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회전 드럼(4)의 회전 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의 상태에 상당하는 정지 시를 나타내는 시점 21로부터,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드럼(4)은 급호회전되어, 도 4B의 상태에 상당하는 시점 22에서 회전수 60rpm 정도에 이른다. 시점 22에서는 실선 화살표가 플롯을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세탁물(20)이 회전 드럼(4)의 내면에 확실하게 붙는다. 이와 같이 회전 드럼(4)의 회전 각도가 90도 위치일 때, 세탁물(20)이 회전 드럼(4)에 확실하게 붙 게 되므로 세탁물(20)은 90도 위치를 초과하여 들어올려진다. 즉 필요한 회전 드럼(4)의 회전 각도는 85도가 되고, 이 각도는 90도에 약간 못 미치며, 앞서 기술한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 또 앞서 기술한 것에서는, 세탁물(20)의 붙음에 의한 들어올림은 회전 드럼(4)의 90도 위치를 초과하여 180도 미만의 위치로 했지만, 이 예에서는, 시점 26에서 나타내는 135도 위치 부근으로 하고 있다.
이 135도 위치 부근에서 플롯과 실선 화살표가 교차되고, 실선 화살표가 플롯보다 하회하기 때문에, 이 조건에서는 세탁물(20)은 회전 드럼(4)에 붙어 있지 못하고 떼어진다. 그래서 135도 위치 부근의 시점 26에서는, 제어부(9)는, 시점 23에 나타내는 165도 위치 부근에서 정지시키는 제동을 회전 드럼(20)에 작용시킨다. 이 제동에 의해 세탁물(20)에 작용하는 회전 관성 및 자중에 의해 회전 드럼(4)의 내면으로부터 세탁물(20)이 떼어진다. 이상으로부터 최대 회전수 50rpm와 약간의 감속 상태에 의해 세탁물(20)이 회전 드럼(4)으로부터 떼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산출 및 경험으로부터,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에서의 호회전의 최대 회전 속도는 50rp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 속도에 의해, 자중에 의해 낙하하기 쉬워지는 90도 위치 부근까지 탈수 후의 가벼운 세탁물(20)이라도 회전 드럼(4)의 내면에 붙게 하여 들어올릴 수 있다. 또 세탁물(20)을 떼어내기 위한 제동은 최대 회전 속도로 행해짐으로써,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에 의한 실효가 얻어진다. 또,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에서의 세탁물(20)의 떼어냄은,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85도 위치∼165도 위치의 범위에서의 제동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최대 회전 속도 50rpm으로의 호회전으로부터 감속하면, 이 회전수로 회전을 계속하려고 하는 세탁물(20)의 회전 관성 및 자중에 의해, 감속도에 따른 강제 떼어짐력이 세탁물(20)에 부여되어 낙하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4A로부터 도 4C에 이르는 첫회의 호회전은 0도 위치로부터 165도 근방의 위치 사이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C∼도 4F를 반복하는 그 이후의 호회전은 165도 위치 근방의 위치로부터 -15도 위치 근방 위치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첫회의 호회전 시에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4) 하부 범위에 정지하고 있는 세탁물(20)을, 90도 위치를 초과하여 180도 미만의 위치, 구체적으로는 165도 위치 근방까지의 호회전으로 135도 위치 근방까지 들어올린다. 그리고 135도 위치로부터 165도 위치 사이에서 제동한다. 이에 의해 회전 드럼(4)의 좌우의 반대측, 구체적으로는 회전 드럼(4)의 거의 직경선상 또는 그것보다 아래에 세탁물(20)이 떨어진다. 그 이후의 호회전에서는, 회전 드럼(4)은 165도 위치 근방으로부터 -15도 위치 근방의 사이의 180도 범위에서 구동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20)은 회전 드럼(4)의 좌우 한쪽으로 기울어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드럼(4)의 하단으로부터 거의 30도 기울어 떨어진 세탁물(20)은 회전 드럼(4)의 동일 측의 상부, 구체적으로는 거의 135도 위치로 들어올려져, 회전 드럼(4)의 좌우 반대측의 거의 30도 위치에 떨어진다. 이러한 거동이 거의 좌우 대칭적으로, 또한 회전 드럼(4)의 직경분이 되는 최대의 낙하 거리를 얻어 확실하게 달성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20)에 대한 풀림과 두드림의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에서의 호회전의 최대 회전 속도가 50rpm 미만인 경우, 회전 드럼(4)의 제동에 의한 세탁물(20)에 작용하는 회전 관성으로는 세탁물(20)은 회전 드럼(4)의 내면으로부터 떼어지지 않는다. 즉 회전 드럼(4)의 역전 시도 세탁물(20)이 회전 드럼(4)의 내면에 붙은 채로 회전 드럼(4)과 함께 회전한다. 그 때문에 풀림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다.
또한, 회전 드럼(4)의 회전 각도가 90도 이하인 경우는, 세탁물(20)을 들어올릴 수 없으며, 또, 회전 드럼(4)의 회전 각도가 200도 이상인 경우는, 회전 드럼(4)의 역전 시, 세탁물(20)이 180도의 위치(최상부)를 넘겨 버린다. 그 때문에 도 4G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세탁물(20)이 좌우 교호로 교체되는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회전 드럼(4)의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모터(5)에 걸리는 구동 부하가 매우 크다. 그 때문에 모터(5)의 극수를 증대시키는 등 대형화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조(2)의 바닥부 외면에 고정한 스테이터(5A)의 내주측에 이너 로터(51)가, 외주측에 아우터 로터(52)가 배치되어 있다. 이너 로터(51), 아우터 로터(52)는 회전축(4A)에 직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너 로터(51), 아우터 로터(52)는 스테이터(5A)에 대해 내외주로부터 서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모터(5)를 대형화하지 않고 구동 파워를 배증할 수 있어, 작은 모터(5)에 의해 급반전을 수반하는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어려움 없이 실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좌우 밸런스가 좋은 회전 특성을 가진 급반전을 수반하는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영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즉, 회전 드럼(4)의 정호회전, 역호회전의 어느 것에 있어서나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의 거의 30도 위치의 거의 동일한 위치에 세탁물(20)을 낙하시킬 수 있다. 또 그 낙하 시점으로부터 15도의 타성 회전 후, 거의 동일한 85도 위치까지의 역호회전으로 세탁물(20)의 붙음 영역에 도달한 후, 거의 동일한 회전각 30도에서의 급제동에 의해 세탁물(20)이 회전 드럼(4)으로부터 떼어진다. 또, 시점 24에서 나타낸 떼어냄 위치로부터 시점 26에서 나타내는 떼어냄 위치까지의 소요 시간은 0.8초 정도이고, 시점 25에서 나타내는 낙하 위치로부터 시점 23에서 나타내는 낙하 위치까지의 소요 시간은 0.8초 정도이며, 쌍방 동일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와 교호, 또는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에서의 정역 전환 사이에,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에서는, 제어부(9)는 회전 드럼(4)을 연속 회전시켜, 회전 방향을 정역 교호로 반복하여 전환한다. 그 때의 회전 속도는, 회전 드럼(4)의 회전에 의해 들어올려진 세탁물(20)이, 그 자중이 원심력을 이기는 높이로부터 낙하하는 거동을 나타내도록 설정되어 있다.
통상 탈수 단계 종료 시에 있어서, 세탁물(20)은 회전 드럼(4)의 내면에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강하게 압착되어 붙은 상태가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실행하면, 회전 드럼(4)의 윗쪽 부분에 위치하는 붙은 세탁물(20)은 회전 드럼(4)의 내면으로부터 떼어져 풀린다. 한편, 회전 드럼(4)의 아래쪽 부분에 붙은 세탁물(20)은 회전 드럼(4)이 90도 위치를 초과하여 200도 미만 의 위치에서의 회전을 반복할 뿐이므로, 회전 드럼(4)의 내면으로부터 떼어지지 않고, 붙은 상태인 채가 된다. 그래서,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의 사이에,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일부 떼어진 세탁물(20)이 회전 드럼(4) 내를 돌아다닌다. 이에 의해 붙은 상태였던 세탁물(20)을 떼어낼 수 있다.
또,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에 의해, 회전 드럼(4)의 둘레 방향의 위치가 변화한다. 이에 의해, 회전 드럼(4)의 아래쪽 부분에 붙은 세탁물(20)이 회전 드럼(4)의 윗쪽 부분에 위치할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다음의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의 실행에 의해, 회전 드럼(4) 내면에 붙은 세탁물(20)을 확실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 드럼(4)의 내면에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강하게 압착되어 붙은 상태가 된 세탁물(20)을 고르게 떼어낼 수 있음과 더불어 풀 수 있다.
그 결과,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세탁물(20)이 부드럽게 펼쳐지고, 주름도 대단히 적어져 마무리 상태가 양호해진다. 또, 계속하여 건조 단계를 실행할 때의 경우에는, 세탁물(20)의 환기성도 좋아져 골고루 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 단계에 있어서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와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를 조합시켜 실행하면 두드림 작용에 의해 주름이 펴져 세탁물(20)은 더 주름이 적은 마무리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세탁물(20)은, 더 부드러워지고, 또한, 얇은 천 생지 제품이라도 주름이 종래에 비하면 대단히 적은 높은 마무리 상태가 된다. 파일 제품에서는 파일은 누워 있지 않고 선 상태가 되고, 부직포 제물 등은 뻣뻣하지 않는다.
또한, 모터(5)를 과잉하게 파워업하는 것은 불경제적이다. 그 때문에, 회전 드럼(4)을 구동시키는 제1 모터 구동 지시에 의한 모터(5)의 구동에서, 모터(5)의 탈조 한계를 넘은 경우, 제어부(9)는 제2 모터 구동 지시로 모터(5)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2 모터 구동 지시에서는 모터(5)의 상한 부하를 넘지 않도록 회전수가 설정되어 있다. 이 제어에 의해, 그때마다 구동 부하에 차이가 있어도, 세탁물(20)에 대한 들어올림, 떼어냄의 거동을 설정대로 얻을 수 있는 회전 드럼(4)의 회전 특성이 보증된다. 그와 동시에 파워업의 상한이 억제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회전 드럼(4)의 회전 속도를 모니터하여 피드백 제어하면 된다.
또, 경과 시간 또는 세탁물(20)의 양에 따라, 회전 드럼(4)의 구동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탈수의 진행에 의한 조건의 변화 또는 세탁물(20)의 양에 따른 구동 부하의 차이에 대응하여 세탁물(20)에 최적인 상태로 회전 드럼(4)이 구동된다. 예를 들면, 초기에 있어서는,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의 비율을 많게 하여, 회전 드럼(4)의 내면의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붙은 세탁물(20)을 확실하게 모두 떼어낸다. 그 후, 소정 시간 경과하면,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많게 함으로써, 세탁물(20)의 엉킴이나 비틀림을 풀 수 있다. 또, 세탁물(20)의 양에 따른 구동 부하의 차이에 대응하여 세탁물(20)에 최적인 회전 드럼(4)의 구동을 할 수 있다. 세탁물(20)의 양이나 수분량은 이미 알려진 각종 검지 방법을 채용하면 된다.
또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에서는 구동 부하가 높다. 또, 회전 드럼(4)은 소정의 범위 내에서의 정호회전, 역호회전을 반복한다. 그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회전축(4A)과 베어링(10)의 둘레 방향의 위치가 변화하기 어려워 항상 동일한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하중이 걸리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회전축(4A)과 베어링(10)의 사이에 편측 마모가 발생하거나, 조기에 덜컹거림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한편,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에서의 구동 부하는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에서의 구동 부하에 비해 작다. 따라서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와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조합하여 실행함으로써 세탁 전체 단계에서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 회전축(4A)과 베어링(10)의 위치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회전축(4A)과 베어링(10)의 사이에 편측 마모가 발생하거나, 조기에 덜컹거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에서의 세탁물(20)의 엉킴, 비틀림, 주름을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에서 풀 수 있다.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에서, 제어부(9)는 일반적으로 40rpm 정도로 회전 드럼(4)을 회전시켜, 정역 1분씩 정도로 전환한다. 이 전환을 행하지 않고, 또는 다양하게 바꾸어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와 조합하여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합할 수 있다. 도 6은 α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9)는 α패턴에서는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T)와 교호로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D)를 실행한다. 도 7은 β, γ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패턴에서는 제어부(9)는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T)에서의 정역 전환 사이에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D)를 실행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β패턴과 γ패턴에서는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D)의 반복 회수가 다르다.
이러한 패턴에서는, 구동 부하가 높은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D)에 구동 부하가 낮은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T)를 병용하는 분만큼 기계적 부하가 경감된다. 그리고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T)에 있어서의 세탁물(20)의 엉킴, 비틀림, 주름, 세탁물(20)에 대한 기계력 부여의 불균형이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의 실행 비율에 따라 시정된다.
특히, 탈수 단계 후에 있어서, α패턴, β패턴, γ파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건조 단계로 이행하고,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D)의 정역 호회전의 반복 회수를 순차적으로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처음에는 회전 드럼(4)의 내면의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붙은 세탁물(20)이 확실하게 모두 떼어진다. 그 후, 주름을 펴는 작용이 높아져, 보다 효과적으로 세탁물(20)을 풀어 건조 단계로 이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효율적으로 건조 단계를 실시하여 세탁물(20)이 주름이 적은 상태가 된다.
또한,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T)와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D)의 사이에, 회전 휴지 시간(휴지 기간(K))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지 기간(K)에 의해, 전후가 다른 구동 모드(T, D)에서의 회전 드럼(4)이나 세탁물(20)의 거동이 일단 안정된다. 그리고 앞의 구동 모드에서의 회전 드럼(4)이나 세탁물(20)의 거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 다음의 구동 모드의 거동이 무리없이 조기에 실행되어 구동 부하가 경감된다. 휴지 시간은 1초 정도로 충분하다.
그러나, 이러한 T, D 양모드의 조합 패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세탁물(20)의 양의 다소에 따라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의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에 대한 실행 비율을 변경해도 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경과 시간에 의한 선택 조건의 변화나 구동 부하의 변화에 대해,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에 의한 세탁물(20)의 해소 특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다.
회전 드럼을 수평 방향 또는 경사지게 설치한 드럼식 세탁기에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탈수 단계 후에 세탁물에 강하게 자국이 생기는 엉킴이나 비틀림, 주름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Claims (7)

  1. 수조와,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개구하는 정면측으로부터 바닥부가 되는 배면측을 향해 회전축 방향이 수평 또는 수평 방향으로부터 하향 경사가 되도록 하여 상기 수조 내에 설치되고,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적어도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적어도 세탁 단계, 헹굼 단계, 탈수 단계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원심력으로 상기 세탁물을 상기 회전 드럼의 내면에 붙게 하는 것이 가능한 변화율로 상기 모터를 급구동시켜 상기 회전 드럼을 급호회전(急弧回轉)시키고, 상기 회전 드럼의 최하 위치인 0도 위치로부터 90도 위치를 초과하여 180도 미만의 위치까지 상기 세탁물을 들어올림과 더불어, 상기 세탁물이 상기 회전 드럼 내면으로부터 떼어지는 것이 가능한 변화율로 상기 모터의 회전을 급제동시켜, 상기 회전 드럼의, 상기 세탁물을 들어올리고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낙하시키는 일련의 동작을 정역(正逆) 교호로 반복 행하는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상기 탈수 단계의 종료 후에 실행하는 드럼식 세탁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에서의 정역 호회전 시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드럼의 최대 회전 속도를 50rpm 이상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모터 구동 지시로, 상기 모터의 탈조(脫調) 한계를 초과할 때, 상기 모터의 상한 부하를 초과하지 않는 제2 모터 구동 지시에 의해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드럼식 세탁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의해 들어올려진 세탁물이, 상기 세탁물의 자중이 원심력을 이기는 높이로부터 낙하하는 거동을 나타내는 회전 속도로 상기 회전 드럼을 연속 회전 시킴과 더불어 회전 방향을 정역 교호로 반복하여 전환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와 상기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를 교호로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에서의 정역 전환 사이에 상기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를 실행하는 드럼식 세탁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와 상기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의 사이에, 회전 휴지 시간을 설정하는 드럼식 세탁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와 상기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의 실행 비율을 변경 가능한 드럼식 세탁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역 연속 회전 구동 모드와 상기 정역 호회전 구동 모드의 실행 비율을, 경과 시간 또는 세탁물의 양에 따라 변경하는 드럼식 세탁기.
KR1020097013013A 2007-02-14 2007-11-28 드럼식 세탁기 KR101012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33087 2007-02-14
JP2007033087A JP4402122B2 (ja) 2007-02-14 2007-02-14 ドラム式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298A KR20090094298A (ko) 2009-09-04
KR101012594B1 true KR101012594B1 (ko) 2011-02-07

Family

ID=3968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013A KR101012594B1 (ko) 2007-02-14 2007-11-28 드럼식 세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402122B2 (ko)
KR (1) KR101012594B1 (ko)
CN (1) CN101583752B (ko)
TW (1) TW200840906A (ko)
WO (1) WO2008099548A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3736B2 (en) 2008-08-01 2014-05-06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8746015B2 (en) 2008-08-01 2014-06-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US8763184B2 (en) 2008-08-01 2014-07-01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8776297B2 (en) 2009-10-13 2014-07-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US8966944B2 (en) 2008-08-01 2015-03-03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9045853B2 (en) 2009-10-13 2015-06-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234307B2 (en) 2009-07-27 2016-01-12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9416478B2 (en) 2009-03-31 2016-08-1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US9695537B2 (en) 2009-07-27 2017-07-04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9822473B2 (en) 2009-07-27 2017-11-21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9932699B2 (en) 2009-02-11 2018-04-0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US10533275B2 (en) 2009-07-27 2020-01-14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3919B2 (en) 2007-09-21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28920A (ko) * 2008-09-05 2010-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1087113B1 (ko) 2009-09-15 201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및 세탁기
US20110047716A1 (en) * 2008-08-01 2011-03-03 In Ho Cho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KR101632210B1 (ko) * 2009-08-11 2016-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US20110030149A1 (en) * 2008-08-01 2011-02-10 In Ho Cho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KR101674936B1 (ko) * 2009-08-11 201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MX2011012606A (es) * 2009-08-11 2011-12-14 Lg Electronics Inc Metodo de control de una maquina de lavanderia.
WO2011053094A2 (en) * 2009-11-02 2011-05-05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4385A (ja) 1999-03-11 2000-09-19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JP2004049631A (ja) 2002-07-22 2004-02-19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3292A (ja) * 1990-11-27 1992-07-13 Brother Ind Ltd 脱水洗濯機
JPH10216390A (ja) * 1997-02-05 1998-08-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4385A (ja) 1999-03-11 2000-09-19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JP2004049631A (ja) 2002-07-22 2004-02-19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6015B2 (en) 2008-08-01 2014-06-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US8763184B2 (en) 2008-08-01 2014-07-01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8966944B2 (en) 2008-08-01 2015-03-03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8713736B2 (en) 2008-08-01 2014-05-06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9932699B2 (en) 2009-02-11 2018-04-0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US9416478B2 (en) 2009-03-31 2016-08-1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US9695537B2 (en) 2009-07-27 2017-07-04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9234307B2 (en) 2009-07-27 2016-01-12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9822473B2 (en) 2009-07-27 2017-11-21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10533275B2 (en) 2009-07-27 2020-01-14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9249534B2 (en) 2009-10-13 2016-02-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US9045853B2 (en) 2009-10-13 2015-06-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8776297B2 (en) 2009-10-13 2014-07-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94257A (ja) 2008-08-28
CN101583752B (zh) 2010-12-01
WO2008099548A1 (ja) 2008-08-21
JP4402122B2 (ja) 2010-01-20
TWI346731B (ko) 2011-08-11
TW200840906A (en) 2008-10-16
KR20090094298A (ko) 2009-09-04
CN101583752A (zh)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594B1 (ko) 드럼식 세탁기
KR101151061B1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KR100984583B1 (ko) 드럼식 세탁기
JP4851955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4933312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8194256A5 (ko)
JP5860763B2 (ja) 電気洗濯機
KR20080084363A (ko) 세탁기 및 그 포 풀림 제어방법
JP4358858B2 (ja) 洗濯機のセミドライ方法及びそのための通風構造とコントロール装置
KR101634179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651126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US20070157677A1 (en) Drum washing machine
JP2005152309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8194259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060785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800243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493162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8220621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8253474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8220622A5 (ko)
JP2008220623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WO2022059224A1 (ja) 洗濯機
JP5515753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3864769B2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