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287B1 -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287B1
KR101012287B1 KR1020090009281A KR20090009281A KR101012287B1 KR 101012287 B1 KR101012287 B1 KR 101012287B1 KR 1020090009281 A KR1020090009281 A KR 1020090009281A KR 20090009281 A KR20090009281 A KR 20090009281A KR 101012287 B1 KR101012287 B1 KR 101012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tire
housing
spike
roa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034A (ko
Inventor
성백오
Original Assignee
성백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백오 filed Critical 성백오
Priority to KR1020090009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2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9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43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with special shape of the plug-body portion, i.e. not cylindrical
    • B60C11/1668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with special shape of the plug-body portion, i.e. not cylindrical with an additional col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75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with special shape of the plug- tip
    • B60C11/1687Multiple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 서로 다른 모양의 핀부를 갖는 다수의 스파이크핀과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스파이크핀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노면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스파이크핀과 하우징 간의 착탈 구조가 단순화되어 이에 따른 부품 수가 간소화되고 스노우체인과는 달리 간편하게 장착되어 이용이 편리해지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트레드부의 홈에 안착되며 내주연에 L자홈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중공형의 기둥부와, 기둥부의 상부 개구부를 감싸는 사각판형의 제1지지판과, 기둥부의 하부 개구부를 밀폐하는 사각판형의 제2지지판을 갖는 하우징 및 기둥부 내부에 수용되며 양측면에 L자홈에 삽설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바디부와, 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되 트레드부의 홈 외부로 노출되는 첨단부가 노면에 접지되는 핀부를 갖는 스파이크핀을 포함하고, 핀부가 네 개의 삼각뿔, 십자형 또는 일자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노면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대처가 가능한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미끄럼, 스파이크핀, 타이어, 트레드부, 핀부, 하우징

Description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ANTI-SLIDE DEVICE FOR TIRES}
본 발명은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서로 다른 모양의 핀부를 갖는 다수의 스파이크핀과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스파이크핀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노면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스파이크핀과 하우징 간의 착탈 구조가 단순화되어 이에 따른 부품 수가 간소화되고 스노우체인과는 달리 간편하게 장착되어 이용이 편리해지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 눈 또는 비로 인하여 노면이 얼게 되면, 급브레이크 작동시 타이어가로크(Lock)되어 차량이 미끄러지고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진행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노면이 미끄러운 경우 타이어에 미끄럼 방지 방치인 스노우체인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스노우체인은 통상적으로, 타이어의 정렬에 맞게 노상에 펼친 후 차량을 운전하여 타이어를 스노우체인 중앙에 세우고 다시 하차하여 스노우체인을 타이어에 장착하는 복잡한 절차를 통해 타이어에 체결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노우체인은 타이어에 견고하게 설치되지 않으면 주행 중 차 량으로부터 분리될 위험이 있다. 뿐만 아니라, 타이어가 래디얼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구조상 옆면이 얇기 때문에 스노우체인을 이용하는 경우 타이어가 손상될 우려가 있어 스노우체인의 이용이 적절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스노우체인의 장착에 따른 불편함과 타이어의 손상 우려를 고려한 미끄럼 방지 장치로 스노우타이어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노우타이어 또란 동절기에 타이어를 일일이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장시간 사용시 노면과의 잦은 마찰로 인하여 미끄럼 방지 효율이 떨어지므로 교체에 따른 비용이 부가적으로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노면 상태가 좋은 장소에서 스노우체인 또는 스노우타이어 등의 미끄럼 방지 장치를 사용할 경우 미끄럼 방지 장치가 심하게 마모되어 손상되거나 노면이 파손되고 먼지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이어에 핀을 설치하고 노면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노면과 마찰되는 핀의 돌출 여부를 조정하는 자동 미끄럼 방지 장치가 연구되었으나(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82795'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391'를 참조한다.), 공기 주입 장치와 같이 핀의 돌출을 위한 별도의 작동 수단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스노우체인, 스노우타이어 및 자동 미끄럼 방지 장치 등은 겨울철 노면에 쌓인 눈의 많고 적음에 따라 타이어와 노면과의 마찰을 조정하는 것이 어렵고, 타이어가 진흙탕, 웅덩이와 같은 노상에 로크되는 경우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각각 서로 다른 모양의 핀부를 갖는 다수의 스파이크핀과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스파이크핀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노면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대처가 가능한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파이크핀과 하우징 간의 착탈 구조를 단순화하여 이에 따른 부품 수가 간소화되고 스노우체인과는 달리 간편하게 장착되어 이용이 편리해지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11)의 홈(12)에 안착되며 내주연에 L자홈(110a, 110b)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중공형의 기둥부(111)와, 상기 기둥부(111)의 상부 개구부(111a)를 감싸는 사각판형의 제1지지판(112)과, 상기 기둥부(111)의 하부 개구부(111b)를 밀폐하는 사각판형의 제2지지판(113)을 갖는 하우징(110) 및
상기 기둥부(111) 내부에 수용되며 양측면에 상기 L자홈(110a, 110b)에 삽설되는 돌출부(130a, 130b)가 형성된 바디부(131, 231, 331)와, 상기 바디부(131, 231)의 상면(131a, 231a, 331a)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트레드부(11)의 홈(12) 외부로 노출되는 첨단부(133a)가 노면에 접지되는 핀부(133, 233, 333)를 갖는 스파이크핀(130, 230, 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핀부(133)는 다수 개의 삼각뿔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부(131)의 상면(131a) 중심부에는 상기 스파이크핀(130)을 상기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고리홈(13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핀(130)의 바디부(13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호핀(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핀(230)의 핀부(233)는 상기 바디부(231)의 상면(231a)을 전체적으로 덮는 십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부(233)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스파이크핀(230)을 상기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고리홈(23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핀(330)의 핀부(333)는 상기 바디부(331)의 상면(331a)을 가로지르는 일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부(333)의 상부 중앙부에는 상기 스파이크핀(330)을 상기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고리홈(33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는 트레드부에 설치된 하우징 및 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되 핀부가 네 개의 삼각뿔, 십자형 및 일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스파이크핀을 포함하여 다양한 노면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 는 효과가 있다.
또한, L자홈과 돌출부를 포함하여 스파이크핀이 하우징에 간편하게 체결되며, 고리홈을 매개로 하우징으로부터 스파이크핀을 쉽게 착탈 가능하므로 스노우체인과달리 복잡한 제반 과정이 없이도 설치가 가능하여 편리하고, 종래 자동 미끄럼 방지 장치의 공기 주입 장치 등과 같은 복잡한 구성을 생략할 수 있고, 하나의 하우징에 다양한 스파이크핀이 착탈 가능하므로 부품 수가 간소화되며 이에 따른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범한 노면 상태에서는 스파이크핀 대신에 보호핀을 하우징에 장착함으로써 하우징 내부로 이물질의 삽입이 방지되고,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로 인한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의 손상이 줄어들기 때문에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가 장착된 타이어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타이어를 A-A'선에 따라 자른 부분절개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는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된다. 도 1에서는 하나의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가 등 간격으로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격된 두 개 이상의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가 등 간격 또는 지그재그 간격으로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는 트레드부(11)에 형성된 홈(12)에 안착되는 하우징(110) 및 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스파이크핀(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파이크핀(13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노면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타이어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는 타이어(10)에 고정된 하우징(110)에 스파이크핀(130)은 각각, L자홈(110a, 110b)과 이에 삽섭되는 돌출부(130a, 130b)를 포함하여 스노우체인과는 달리 간편한 체결 구조를 가짐으로써 운전자가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의 분리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 중 하우징(110) 을 B-B' 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 중 보호핀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는 하우징(110), 스파이크핀(130) 및 보호핀(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하우징(110)은 기둥부(111), 제1지지판(112) 및 제2지지판(113)으로 이루어진다. 기둥부(111)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중공형의 원통파이프로 이루어진다. 기둥부(111)는 스파이크핀(130)이 인입되는 상부 개구부(111a) 및 제2지지판(113)에 의해 밀폐되는 하부 개구부(111b)를 포함한다. 또한, 기둥부(111)는 내주연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L자홈(110a, 110b)을 포함하며, 스파이크핀(130)은 L자홈(110a, 110b)을 매개로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된다. 기둥부(111)는 트레드부(11)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대략 2㎝ 내지 3㎝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판(112)은 직사각형의 판상부재로 상부 개구부(111a)의 주변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제2지지판(113)은 직사각형의 판상부재로 하부 개구부(111b)를 밀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지지판(112) 및 제2지지판(113)은 비교적 강성이 약한 타이어(10)에 하우징(110)이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즉, 제1지지판(112) 및 제2지지판(113)은 노면과 스파이크핀(130) 간의 접촉 시 스파이크핀(130)으로 인해 타이어(10)의 내주연으로 하우징(110)이 빠지거나 반대로 하우징(110)이 타이어(10)의 외주연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110)은 철(Fe) 등의 단단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둥부(111), 제1지지판(112) 및 제2지지판(113)은 용접 또는 사출 성형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하우징(110)의 재질 및 형 성 방법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파이크핀(130)은 하우징(110)에 장착되며 타이어(10)와 노면 간의 접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파이크핀(130)은 기둥부(111) 내부에 수용되는 바디부(131) 및 바디부(131)로부터 돌출되는 핀부(133)를 포함한다. 바디부(131)는 기둥부(111)의 중공부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면에 기둥부(111)의 L자홈(110a, 110b)에 삽입되는 돌출부(130a, 130b)가 형성된다. 육면체 형상의 돌출부(130a, 130b)는 스파이크핀(130)의 삽입으로 인해 기둥부(111)의 L자홈(110a, 110b)에 슬라이딩되며, 스파이크핀(130)을 회전시켜 L자홈(110a, 110b)의 절곡된 단부에 삽설되도록 하우징(110)에 조립된다. 바디부(131)는 트레드부(11)의 홈(12)에 노출되는 상면(131a) 및 제2지지판(113)에 안착되는 하면(131b)을 포함한다. 바디부(131)의 상면(131a)에는 실질적으로 노면과의 사이에서 마찰되는 핀부(133)가 형성된다. 핀부(133)는 바디부(131)의 상면(131a)으로부터 돌출되고, 자세하게는 첨단부(133a)가 트레드부(11)의 홈(12) 외부로 노출되어 노면에 접지되도록 바디부(131)에 형성된다. 핀부(133)는 다수 개의 삼각뿔이 사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삼각뿔의 각 첨단부(133a)는 노면에 접지되어 타이어(10)의 접지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바디부(131)의 중심부에는 스파이크핀(130)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고리홈(135)이 더 형성된다. 고리홈(135)은 손가락 또는 손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35a)과, 내삽된 손가락 또는 손을 지지하여 스파이크핀(130)을 하우징(110)과 분리 가능하도록 돕는 걸림부(135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고리홈(135)의 형상 및 위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노면과 타이어(10)의 접지력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바디부(131)에 설치되거나 또는 스파이크핀(13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 개의 삼각뿔로 이루어진 핀부(133)는 대략 1.5㎜ 내지 2.5㎜의 깊이로 노면에 접지될 수 있으므로 소량의 눈이 쌓인 빙판길에 적절하다. 스파이크핀(130)은 하우징(110)과 동일한 철(Fe) 등의 간단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바디부(131) 및 핀부(133)는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스파이크핀(130)의 재질 및 형성방법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호핀(140)은 노면이 미끄러지지 않는 평상시에 개구된 하우징(110)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다. 즉, 보호핀(140)은 스파이크핀(130) 대신 하우징(110)에 장착되어 개구된 하우징(110)의 기둥부(111)를 막음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이 기둥부(111) 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핀(140)은 스파이크핀(130)과 마찬가지로 양측면에 형성된 돌출부(141a, 141b)가 하우징(110)의 L자홈(110a, 110b)에 삽설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보호핀(140)은 상면(140a)이 평평하게 이루어지고 핀부(133)와 같이 트레드부(11)의 홈 밖으로 노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평상시 노면과 타이어(10)의 손상 없이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보호핀(140)의 상면(140a)에는 하우징(110)과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고리홈(145)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리홈(145)은 스파이크핀(130)의 고리홈(135)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는 트레드부(11)에 설치된 하우징(110) 및 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스파이크핀(130)을 포함하여, 타이어(10)와 노면 간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스파이크핀(130)은 돌출부(130a, 130b)를 하우징(110)의 L자홈(110a, 110b)에 삽설하는 방식으로 하우징(110)에 장착 가능하며, 바디부(131)에 형성된 고리홈(135)을 이용하여 하우징(11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다. 따라서,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는 스노우체인과는 달리 복잡한 제반 과정이 없이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이용이 편리하며, 고리홈(235)을 매개로 스파이크핀(130)이 하우징(11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므로 종래의 자동 미끄럼 방지 장치의 공기 주입 장치 등과 같은 복잡한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부품 수가 간소화되고 이에 따른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는 스파이크핀(130) 대신에 하우징(110)과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보호핀(140)을 더 포함하여 노면이 미끄럽지 않은 평상시에 하우징(110) 내부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타이어(10)와 노면의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는 노면의 상태에 따라 스파이크핀(130) 또는 보호핀(140)을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중 스파이크핀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고, 도 7에는 스파이크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파이크핀을 제 외한 다른 부분은 도 1 내지 도 5의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의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의 스파이크핀(230)은 바디부(231), 핀부(233) 및 고리홈(2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부(231)는 양측면에 형성된 돌출부(230a, 230b)를 포함하여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에 안착된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핀부(233)는 평평한 바디부(231)의 상면(231a)을 전체적으로 덮는 십자형으로 이루어진다. 핀부(233)는 축방향으로 절개 시, 단면 형상이 역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110)과 결합 시 타이어(10)의 주행방향(R1)과 교차를 이루는 십자형의 첨단부(233a)는 트레드부(11)의 홈(12) 외부로 노출되어 노면과 접촉되어 타이어(10)가 노면에 적절히 접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핀부(233)는 운행 시 3㎜ 내지 5㎜의 깊이로 노면에 접지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많은 눈이 쌓인 빙판길에 적절하다. 여기서, 고리홈(235)은 첨단부(233a) 바로 하측에 형성되어 십자형으로 이루어진 핀부(233)의 전면에서 후면을 관통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스파이크핀(230)이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스파이크핀(330)은 핀부(333)가 바디부(331)의 상면(331a)을 가로지는 일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핀부(333)는 축방향으로 절개 시 단면 형상이 역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110)과 결합 시 일자형의 첨단부(333a)가 트레드부(11)의 홈(12)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핀부(333)의 상부 중심부에는 하우징(110)으로부터 스파이크핀(330)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고리홈(335)이 핀부(333)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 다른 스파이크핀(330)은 타이어(10)의 주행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첨단부(333a)가 노면에 접지되어 타이어(10)가 노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핀부(333)는 대략 1㎝의 깊이로 노면에 접지될 수 있기 때문에 진흙탕, 웅덩이에서 차량이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핀부(233, 333)가 십자형 또는 일자형으로 이루어진 스파이크핀(230, 330)을 포함하여 비교적 눈이 많이 쌓인 노면이나 진흙탕, 웅덩이가 있는 노면에서 상대적으로 타이어(10)의 주행이 용이해진다.
한편, 상술한 스파이크핀(130, 230, 330)은 도 1 내지 도 5의 하우징(110)에 모두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타이어(10)에 안착되는 하우징(110)을 변형 설계하지 않아도 다양한 스파이크핀(130, 230, 330)의 적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므로 구조적으로 간편한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가 장착된 타이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타이어를 A-A'선에 따라 자른 부분절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하우징을 B-B' 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중 보호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중 스파이크핀의 사시도.
도 7은 스파이크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타이어 11 : 트레드부
12 : 홈 100 :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110 : 하우징 130, 230, 330 : 스파이크핀
133, 233, 333 : 핀부 140 : 보호핀

Claims (5)

  1.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11)의 홈(12)에 안착되며 내주연에 L자홈(110a, 110b)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중공형의 기둥부(111)와, 상기 기둥부(111)의 상부 개구부(111a)를 감싸는 사각판형의 제1지지판(112)과, 상기 기둥부(111)의 하부 개구부(111b)를 밀폐하는 사각판형의 제2지지판(113)을 갖는 하우징(110) 및
    상기 기둥부(111) 내부에 수용되며 양측면에 상기 L자홈(110a, 110b)에 삽설되는 돌출부(130a, 130b)가 형성된 바디부(131, 231, 331)와, 상기 바디부(131, 231)의 상면(131a, 231a, 331a)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트레드부(11)의 홈(12) 외부로 노출되는 첨단부(133a)가 노면에 접지되는 핀부(133, 233, 333)를 갖는 스파이크핀(130, 230, 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133)는 다수 개의 삼각뿔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부(131)의 상면(131a) 중심부에는 상기 스파이크핀(130)을 상기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고리홈(1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핀(130)의 바디부(13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호핀(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핀(230)의 핀부(233)는 상기 바디부(231)의 상면(231a)을 전체적으로 덮는 십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부(233)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스파이크핀(230)을 상기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고리홈(2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핀(330)의 핀부(333)는 상기 바디부(331)의 상면(331a)을 가로지르는 일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부(333)의 상부 중앙부에는 상기 스파이크핀(330)을 상기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고리홈(3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KR1020090009281A 2009-02-05 2009-02-05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KR101012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281A KR101012287B1 (ko) 2009-02-05 2009-02-05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281A KR101012287B1 (ko) 2009-02-05 2009-02-05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034A KR20100090034A (ko) 2010-08-13
KR101012287B1 true KR101012287B1 (ko) 2011-02-09

Family

ID=4275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281A KR101012287B1 (ko) 2009-02-05 2009-02-05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6821A1 (en) * 2015-12-29 2017-07-06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Tire projection and hous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9600B2 (ja) * 2011-10-18 2016-01-2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910527B2 (ja) * 2012-03-22 2016-04-2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795B1 (ko) 1998-02-10 2001-03-02 이문수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장치
KR100645336B1 (ko) 2005-10-06 2006-11-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스노우 타이어용 스파이크
KR100785500B1 (ko) 2006-09-25 2007-12-1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스노우 타이어의 사이프 보강을 위한 스파이크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795B1 (ko) 1998-02-10 2001-03-02 이문수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장치
KR100645336B1 (ko) 2005-10-06 2006-11-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스노우 타이어용 스파이크
KR100785500B1 (ko) 2006-09-25 2007-12-1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스노우 타이어의 사이프 보강을 위한 스파이크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6821A1 (en) * 2015-12-29 2017-07-06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Tire projection and housing system
US10981423B2 (en) 2015-12-29 2021-04-20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Tire projection and hou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034A (ko) 201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2463T3 (es) Protector de llanta.
KR101012287B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KR20140068804A (ko) 차량 바퀴의 트랙션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78339B1 (ko) 스노우 타이어 커버 및 그 장착방법
KR101557940B1 (ko) 스노우 체인
KR20170079372A (ko) 타이어 부착형 스노우 패치
KR200336620Y1 (ko) 자동차의 휠 미끄럼 방지 장치용 아암
JP2613110B2 (ja) 走行輪
KR100831068B1 (ko) 스노우 타이어용 스파이크핀 블럭
JPS6361609A (j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4030292B2 (ja) 滑り止め具
KR200358911Y1 (ko) 수송용 자동차의 복륜타이어 외륜에 적용되는 스노우체인
KR200378235Y1 (ko) 자동차체인용 미끄럼방지구
KR200216183Y1 (ko) 자동차 타이어용 스노우 체인
KR200461549Y1 (ko)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구의 구조
JPH07251614A (ja) タイヤ滑り止め具
KR200231824Y1 (ko) 탈부착이 가능한 타이어용 스파이크의 장착구조
KR200252911Y1 (ko) 미끄럼방지용 밴드
KR20090054082A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KR200253610Y1 (ko) 미끄럼 방지용 스파이크 벨트
KR20130014995A (ko) 차량용 스노우 체인 패드
KR200318710Y1 (ko)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장치
KR100387979B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구
KR910007848Y1 (ko) 전차 무한궤도의 패드겸용 방활구 (snow pad)
JPH07186634A (ja) タイヤ用滑り止め具及びこれを装着した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