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453B1 - 원격제어서버, 중앙서버 및 그것들로 구축된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제어서버, 중앙서버 및 그것들로 구축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453B1
KR101010453B1 KR1020037002759A KR20037002759A KR101010453B1 KR 101010453 B1 KR101010453 B1 KR 101010453B1 KR 1020037002759 A KR1020037002759 A KR 1020037002759A KR 20037002759 A KR20037002759 A KR 20037002759A KR 101010453 B1 KR101010453 B1 KR 101010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remote control
monitoring
virtu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082A (ko
Inventor
나카니시요시카즈
오노코지
히가시하라료이치로
오자키켄지
토요타마사시
이마이토루
쿠로카와순지
마쯔모토사다유키
Original Assignee
시코쿠 케이소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시코쿠 덴료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코쿠 케이소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시코쿠 덴료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코쿠 케이소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7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special application, e.g. multi-arm co-operation, assembly, grasp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457Factory remote control, monitoring through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 및 중앙서버가 웬(WAN) 및/또는 랜(LAN)을 매개로해서, 감시·제어 대상기기와 제어계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원격제어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자율적인 분산제어를 행하는 시스템이다. 그 시스템상을 감시·제어 대상기기와 같은 정보를 갖는 분신(分身)으로 기술하고, 또 이것들 대상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하는 복수의 통신프로토콜을 그 중에 은폐(隱蔽)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오브젝트로 있는 가상기기를 투과성을 갖고 이동시키고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중앙서버, 원격제어서버에 상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격 제어, 클라이언트, 서버

Description

원격제어서버, 중앙서버 및 그것들로 구축된 시스템{REMOTE CONTROL SERVER, CENTER SERVER, AND SYSTEM CONSTITUTED OF TH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대상기기의 감시·제어를 행하는 서버, 특히 원격제어서버 및 중앙서버, 및 그것들로 구축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원거리의 복수 지점에 있는 각종 산업용 기기, 장치 등을 감시·제어하거나 전자식 계측기를 포함하는 각종 계측 장치를 사용해 측정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하는 것에는 감시·제어 센터나 데이터 수집 센터로부터 지령을 내고 현지에 설치하는 중앙컴퓨터로 해서 특수한 어셈블리 언어나 C언어로 기술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산업용 퍼스널이나 컴퓨터를 사용하고 감시·계측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제어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제어 대상기기등을 제어하거나 해서 기기의 작동 결과나 감시 계측 데이터등을 무선으로 전파를 날리거나 전화 회선이나 사용선을 경유해서 감시·제어 센터에 전송할 필요가 있었다.
이 경우, 감시·제어 센터로부터 멀리의 복수 지점에 있는 퍼스널이나 컴퓨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등에는 개별마다 무선 연락하거나 전화를 접속해서 지령을 내거나 데이터등을 받거나 한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통신프로토콜이나 제어계 프로그램에 상세히 전문을 만들고 담당자등에 시스템의 구축을 의뢰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전용의 프로그램등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부터, 시스템의 가격은 비싸게 되고, 더욱이 지령이나 데이터등의 전송 속도도 늦고, 통신료도 높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환경하에 대상기기의 감시·제어를 행하는 서버, 특히 원격제어서버 및 중앙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중앙서버가 상기의 원격제어서버와 접속된 자율적인 분산제어를 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것을 이용하면 각종 장치, 기기와 접속하는 것에 따라, 운전의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이나 이것들에 관련된 정보의 수발신등이 가능하고 인터넷을 이용한 범용성이 높은 원격 감시·제어나 휴대 전화, 포켓벨(pocket bell)등을 이용한 긴급 통보등의 시스템 구축이 용이해서 종래의 감시·제어 전용 시스템 보다 간단, 유연하고 낮은 비용으로 시스템 구축을 할 수 있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 특히 원격제어서버 및 중앙서버를 제공하는 것, 및 이것들로 구축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중앙서버가 웬(WAN) 및/또는 랜(LAN)을 매개로해서, 감시·제어 대상기기와 제어계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의 원격제어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자율적인 분산제어를 행하는 시스템으로, 그 시스템상을 감시·제어 대상기기와 같은 정보를 갖는 분신(分身)으로 기술하고, 또 이것들 대상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하는 복수의 통신프로토콜을 그 중에 은폐(隱蔽)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오브젝트로 있는 가상기기를 투과성을 갖고 이동시키고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또는 중앙서버, 원격제어서버에 저장하고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요지로 하고 있다.
상기의「투과성을 갖는 이동」으로는 기기의 상태정보나 제어정보등을 소프트웨어 오브젝트(수치와 그 수치를 읽고 쓰거나 하는 수속을 함께 갖는 데이터 구조)에 쓰고 변환하는 것에 따라, 또 상기 가상기기 중에 복수의 통신프로토콜을 갖고 있는 것으로부터, 정보계통신망과 제어계통신망 간을 이음새 없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서버, 특히 원격제어서버가 상기의 가상기기를 조작하는 것에 따라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정보를 변경 및/또는 감시·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본 발명은 감시·제어대상기기와 같은 정보를 갖고 분신(分身)으로 기술된 소프트웨어 오브젝트로 있고, 이것들 대상기기와의 통신에 사용된 복수의 통신프로토콜을 그 중에 은폐한 가상기기를 작성하고, 저장하고 및/또는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및/또는 이 가상기기를 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 다른 서버가 작성한 가상기기를 호출하고 저장하고 및/또는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및/또는 상기의 가상기기를 조작하는 것에 따른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정보를 변경 및/또는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을 요지로 하고 있다.
게다가 상기의 서버, 특히 원격제어서버가 복수의 가상기기 및/또는 각 가상기기의 행동등의 기능을 기술한 고정 에이전트의 설정 및/또는 각 가상기기를 통해 취득한 기록까지를 포함해 포함 가상기기 및 부가해서는 복수의 포함 가상기기를 통괄하는 통괄 가상기기를 작성하고 저장하고 및/또는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및/또는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고 및/또는 다른 원격제어서버가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나 통괄 가상기기를 호출하고 저장하고 및/또는 작동시키는 기능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포함 가상기기 및/또는 통괄 가상기기를 조작하는 것에 따라 복수의 감시·제어대상기기 각각의 정보를 변경 및/또는 감시·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본 발명은 감시·제어대상기기와 같은 정보를 갖는 분신으로 기술된 소프트웨어 오브젝트로 있어, 이것들 대상기기와의 통신에 사용된 복수의 통신프로토콜을 그 중에 은폐한 가상기기를 호출하고 저장하고 및/또는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및/또는 이 가상기기를 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및/또는 다른 원격제어서버가 작성한 가상기기를 호출하고 저장하고 및/또는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부가한 복수의 가상기기 및/또는 각 가상기기의 행동등의 기능을 기술한 고정 에이전트의 설정 및/또는 각 가상기기를 통해 취득한 기록까지를 포함하는 포함 가상기기 및 부가적으로는 복수의 포함 가상기기를 통괄하는 통괄 가상기기를 작성하고 저장하고 및/또는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및/또는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원격제어서버가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나 통괄 가상기기를 호출하고 저장하고 및/또는 동작시키는 기능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포함 가상기기 및/또는 통괄 가상기기를 조작하는 것에 따라 복수의 감시·제어대상기기 각각의 정보를 변경 및/또는 감시·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을 요지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통신·정보계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1 또는 2 이상의 상기의 원격제어서버나 감시·제어대상기기 전체가 네트워크로 해서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의 관리를 하는 중앙서버로 있어, 감시·제어대상기기와 같은 정보를 갖는 분신으로 기술된 소프트웨어 오브젝트로 있고, 이것들 대상기기와의 통신에 사용된 복수의 통신프로토콜을 그 중에 은폐하고 있는 가상기기를 작성하고, 저장하고 및/또는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1 또는 2 이상의 원격제어서버에 그 가상기기 및/또는 그 서버의 행동등을 정한 에이전트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복수의 가상기기 및/또는 가상기기의 행동등의 기능을 기술한 고정 에이전트의 설정, 및/또는 각 가상기기를 통해 취득해 기록한 것까지 포함한 포함 가상기기 및 부가적으로는 복수의 포함 가상기기를 통괄하는 통괄 가상기기를 작성하고, 저장하고 및/또는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및/또는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및/또는 다른 원격제어서버가 작성한 가상기기, 포함 가상기기, 통괄 가상기기를 호출하고, 저장하고 및/또는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갖고, 감시·제어대상기기와 같은 정보를 공유하고, 당해 가상기기, 포함 가상기기, 통괄 가상기기를 조작하는 것에 따라, 및/또는 에이전트를 동작시키는 것에 따라, 그 대상기기의 정보를 변경, 및/또는 감시·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들 행위에 따라 수집한 데이터의 관리·가공이나 시스템의 관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서버의 하드웨어 개략 블록도이다.
도 2는 서버를 중앙서버에 대해 원격제어서버로 해서 위치된 경우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감시·제어대상기기와의 연계를 표시한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 3은 클라이언트나 중앙측의 정보 단말기(클라이언트머신이나 중앙서버)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작 프로그램으로 있는 Vm클래스파일을 관리하는 OP서버(110)와 클라이언트나 중앙측에 감시·제어대상기기의 Vm클래스를 전달하는 HTTP서버(120)를 갖는 서버프로그램(100)의 설명도이다.
도 4는 OP서버가 있고, 감시·제어대상기기의 Vm관리테이블(130)(각 감시·제어대상기기를 원격 조작하기 위해 감시·제어대상기기의 Vm클래스 번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번호도 함께 수집되고 있다)의 설명도이다.
도 5는 감시·제어대상기기의 네트워크 변수에 대응하는 필드 변수와 이것들 필드 변수를 파악하는 정보참조 메쏘드, 필드 변수 중의 변경 또는 설정을 허용된 변수를 조작하는 정보 조작 메쏘드를 갖는 서버 프로그램 설명도이다.
도 6은 제 2도의 상태로부터 원격제어서버(54)에 감시·제어대상기기(561, 562)가 새롭게 접속되고 포함 가상기기를 사용해 정보를 공유하거나 감시·제어를 행하거나 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7은 제 6도의 상태로부터 원격제어서버(55)에도 감시·제어대상기기(571, 572)가 새롭게 접속되고 원격제어서버(90)를 접속하고 통괄 가상기기를 사용해서 정보를 공유하거나 감시·제어를 행하거나 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8은 제 7도에 있어서, 포함 가상기기 기능(901)을 갖거나 원격제어서버(90)가 원격제어서버(54, 55)가 각각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54Se, 55Se)를 호출하고, 저장하는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제 7도에 있어서, 중앙서버(51)가 원격제어서버(90)가 작성한 통괄 가상기기(90Tc)를 호출하고, 저장하고 있는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중앙서버가 웬(WAN) 및/또는 랜(LAN)을 통해 제어용 통신 포트를 통해 감시·제어대상기기를 접속한 원격제어서버로 위치된 2 서버와 접속되고 중앙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감시·제어대상기기의 감시·제어를 행하는 시스템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 6도의 상태로부터 감시·제어대상기기가 증가하고 포함 가상기기를 이용한 정보의 공유나 감시·제어, 부가적으로는 운동 제어를 행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 7도의 상태로부터 원격제어서버(90)를 웬(WAN) 및 /또는 랜(LAN)을 통해 접속하고 통괄 가상기기를 이용한 정보의 공유나 감시·제어, 부가적으로는 운동 제어를 행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서버는, 무선통신장치를 표준 탑재하는 동시에, 그 무선통신장치로부터 구비되고 있는 RS232C로 교체하는 것에 따라 시리얼 통신 기능을 갖는 외부 통신 장치도 설치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필요에 따라 감시·제어대상기기나 제어계통신용 엘에스아이(LSI)로 있는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제어계통신용 모듈을 실장한 입출력 장치등의 통신 및 전력 공급을 행할 수 있는 제어용 통신 포트를 구비한 것이다. 이더넷(Ethernet) 포트를 구비하고, 랜(LAN : Local Area Network) 및 웬(WAN : Wide Area Network)용 기기를 통해 광역 통신 네트워크 경유로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필요에 따라 감시·제어대상기기용으로 해서 내부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디지털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것이다.
또, 시스템의 기능 설정, 보수용으로한 콘솔 장치를 접속할 수 있는 시리얼 포트를 구비한 것이다.
더욱이, 백업 전지에 의해 정전시에 있어서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 보호를 행하는 동시에, 정전일시를 기록할 수 있고, 복구시에 정전전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필요에 따라 외부기억장치에의 소프트웨어 인스톨이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타이밍 입력으로 소프트웨어 입력 스위치와 하드웨어 리셋 스위치를 외부로부터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리얼타임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 자바(Java) 실행 환경을 표준 탑재하고, 클라이언트 서버 기능, 에이전트 서버 기능, 에이치티티피(HTTP) 서버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필요에 따라 무선 전화나 모뎀등을 통해 케이블 설치를 할 수 없는 장소에서의 서버의 설치나 모바일 매체로부터의 접속등을 허용하기 때문에, 공중회선경유로 데이터 변환이나 쌍방향의 호출을 할 수 있는 피피피(PPP: Point to Point Protocol) 접속 기능을 구비하고, 자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피피피의 접속을 직접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이상 통지등의 긴급 호출 기능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필요에 따라 에프티피(FTP) 기능, 텔넷(TELNET)기능을 갖고 있는 것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중앙서버 및/또는 외부 시스템과의 사이에 파일이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송될 수 있고,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실행 관리하기 위한 환경을 갖는다. 디지털 입력을 자바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필요에 따라 자기진단기능에 의해 발견한 이상상태, 또는 감시·제어대상기기나 제어계 통신망의 동작이나 이상상태를 시스템로그 관리기능에 의해 로그메세지로 시스템 내부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고, 미리 설정된 부분이나 사람으로 경보메세지등을 전자메일로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필요에 따라 고정 에이전트를 전달, 상주시킨 원격 스테이션 시스템을 구비하고 외부에 연결해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정보 수집 및 감시·제어를 가상기기를 사용해 행하는 동시에, 그것들의 정보의 가공·연산등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서버의 바람직한 태양은 감시·제어대상기기와 같은 정보를 갖는 분신으로 기술된 소프트웨어 오브젝트가 있고, 이것들 대상기기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복수의 통신프로토콜을 그 중에 은폐하고 있는 가상기기를 작성하고, 저장하고, 및/또는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및/또는 그 가상기기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복수의 가상기기, 및/또는 가상기기의 행동등의 기능을 기술한 고정 에이전트를 설정, 및/또는 각 가상기기를 통해 취득한 기록까지 포함한 포함 가상기기 및 부가적으로는 복수의 포함 가상기기를 통괄하는 통괄 가상기기를 작성하고, 저장하고, 및/또는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그 가상기기, 포함 가상기기, 및/또는 통괄 가상기기를 조작하는 것에 따라, 각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정보를 변경, 및/또는 감시·제어를 행할 수 있고, 및/또는 고정 에이전트를 전달, 상주시킨 원격 스테이션 시스템을 구비하고 외부에 연결하는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정보 수집 및 제어를 가상기기를 사용해 행하는 동시에 그것들의 정보의 가공·연산등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이다.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필요에 따라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정보 및 현상치를 미리 등록된 스케줄에 따라 수집·보존하거나 지정된 정보의 상태 변화 기록의 보존이나 지정 주기에의 아날로그치의 트렌드 기록, 일보·월보등의 작성을 행하는 동시에, 가상기기를 통해 현상치의 표시 및 보존 데이터의 네트워크 경유에 의한 열람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케줄 운전 실행 관리 기능 및 기기 운동 제어 기능을 탑재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해 설명한다.
도 1은 서버의 하드웨어 개략 블록도이고, 도 2는 서버를 중앙서버에 대해 원격제어서버로 위치시킨 경우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감시·제어대상기기와의 연계를 표시한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본 발명의 서버는 제 1도로 표시한 통하는 3개의 시리얼 포트(1, 2 및 3), 이더넷( 미국 XEROX사의 등록상표) 포트(4), 마이크로컴퓨터(5), 외부기억장치(6), 시계회로(7), 이상감시회로(8), 백업회로(9), 디지털 입력 인터페이스(10), 아이솔레이터(11), 제어용 통신 포트(12), 이것들을 실장한 서버 기판(13), 수납한 하우징(14), 피에이치에스(PHS)나 휴대전화 모뎀등의 공중회선통신장치(15), 소프트웨어 입력 스위치(16), 하드웨어 리셋 스위치(17)를 구비하고 있다.
시리얼 포트(1)는 공중회선통신장치(15)를 접속한 포트로 있고, 예를들면 이동체통신 모뎀은 하우징(14)에 설치 가능하고, 공중회선통신장치가 외부에 접속된 경우에는 통신 규격 RS232C로 교체하는 것에 의해 접속할 수 있는 구조로 있다. 시리얼 포트(2)는 표준 탑재하고 있는 통신 규격 RS232C와 RS422의 어느 것을 교체에 따라 통신을 행하는 시리얼 포트이다.
시리얼 포트(3)는 보수용 또는 소프트웨어의 입력등에 사용하는 콘솔 장치를 접속하는 전용의 시리얼 포트이다.
이더넷 포트(4)는 예를들면 티씨피/아이피(TCP/IP)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것으로 10BaseT의 인터페이스로 이루어 지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5)는 리얼타임 오퍼레이팅시스템 및 자바 실행 환경등의 시스템이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제어하기 위해 중앙 연산 장치로 있다. 외부기억장치(6)는 비휘발성 메모리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필요한 데이터, 프로그램등을 보존하고 또 정전시에는 백업회로(9)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시계회로(7)는 마이크로컴퓨터(5)와는 독립되어 동작하고 있고, 시계 데이터 및 내부 시스템 동작에 필요한 삽입 타이머나 정주기 타이머를 실현하고 있다.
디지털 입력 인터페이스(10)는 예를들면 감시·제어대상기기등의 정보를 직접 취입하는 것으로 있고, 마이크로컴퓨터(5)등의 내부 시스템과는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아이소르다(11)를 통해 정보가 취입된다.
제어용 통신 포트(12)는 감시·제어 대상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는 포트이고,예를들면 론웍스(미국 ECHELON사의 등록상표)등을 사용해 통신을 행할 수 있다.
하우징(14)는 서버 기판(13)등을 보호하는 동시에 서버의 설치 장소등의 제약을 받지 않는 콤팩트한 형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다음으로, 도 2는 서버를 중앙서버(15)에 대해 원격제어서버로 위치시킨 경우의 클라이언트 단말기(52) 및 감시·제어대상기기와의 연계를 표시한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중앙서버나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웬 및/또는 랜(53)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원격제어서버(도 2에서는 원격제어서버(54, 55) 두대의 예를 표시하고 있다)로 연결되어 있다. 원격제어서버는 감시·제어대상기기가 제어계 통신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계통신망을 통해 직접,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계통신 기능을 갖는 입출력 장치를 경유해서 연결하고 있다.
도 2에는 원격제어서버(54)와 감시·제어대상기기(56)와 제어계통신망(59)에 직접, 원격제어서버(55)가 제어계통신망(60)을 통해 입출력장치(61)를 경유해서 감시·제어대상기기(57)와 연결되어 있는 예를 표시할 수 있다.
《감시·제어대상기기측》
감시·제어대상기기는 제어계통신망과 접속된다. 제어계통신망 엘에스아이로 있는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제어계통신용 모듈이 실장되거나 제어계통신용 엘에스아이로 있는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제어계통신용 모듈이 실장된 입출력 장치와 접속되는 접속 태양이 예시된다.
《감시·제어대상기기측의 제어계통신용 모듈》
제어계통신망과 접속된 감시·제어대상기기는 제어계통신용 엘에스아이로 있는 마이크로컴퓨터(예를들면, ECHELON사가 만든 LON칩)또는 제어계통신용 모듈이 실장되는 것, 및/또는 제어계통신용 엘에스아이로 있는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제어계통신용 모듈이 실장된 입출력 장치(이하, 간단히 「입출력 장치」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요한다.
이하, 기술된「감시·제어대상기기」는 상기 제어계통신용 엘에스아이로 있는 마이크로컴퓨터(예를들면, 상기의 ECHELON사가 만든 LON칩)또는 제어계통신용 모듈이 실장되어 있는 기기, 및/또는 제어계통신용 엘에스아이로 있는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제어계통신용 모듈이 실장된 입출력 장치와 접속되어 있는 기기를 말하는 경우가 있다.
이 마이크로컴퓨터의 프로그램은 자바언어(자바 : 미국 선 마이크로시스템사의 등록상표)와 상호 통신 가능한 C언어(ECHELON사가 만든 LON칩의 경우는, neuron C 언어)에 의해 기술된다.
또, 마이크로컴퓨터는 감시·제어대상기기를 제어 가능하게 하는 제어 프로그램과 제어계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프로토콜을 갖는 제어계통신 프로그램을 갖는다.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계통신망과의 통신 프로그램은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칩 아이디(ID), 설치 위치등을 표시하는 인덱스 번호, Vm 클래스 번호(가상 머신 클래스 번호), Vm 인터페이스 클래스 번호(가상 머신 인터페이스 클래스 번호)를 기기 관리 정보로 해서 통상 갖고 있고, 외부로부터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외부에 공개해도 좋은 상태 정보나 외부로부터의 조작을 허용하는 조작 정보를 갖고 있다. 이하, 가상 머신을 Vm이라 한다. 이것들 기기 관리 정보 및 상태 정보나 조작 정보는 웬 및/또는 랜등을 통해 참조 가능한 네트워크 변수로 된다. Vm 클래스 파일은 감시·제어대상기기 조작 소프트웨어로 있고 Vm 인터페이스 클래스 파일은 Vm 클래스 파일과 결합해 상기 감시·제어대상기기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이다.
예를들면, 감시·제어대상기기가 감시 카메라로 있는 경우에는 칩 아이디, Vm 클래스 번호, 메이커, 형식등의 머신 정보, 카메라의 온/오프 정보, 조명의 밝기, 방향 제어, 줌 제어, 녹음등의 제어 정보, 이것들의 제어의 현재 상태의 상태 정보가 있다.
이것들 네트워크 변수는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메이커에 따라 설정되고, 위치 정보등을 표시하는 인덱스 번호는 사용자측에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서버 프로그램》
다음으로, 서버의 외부기록 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서버 프로그램 에 대해 설명한다.
이 서버를 개략하면, 서버는 제어계통신망을 통해 직접 통신 가능한 또는 입출력 장치를 경유하는 것에 따라 통신 가능하게 되는 감시·제어대상기기와 접속되고 웬 및/또는 랜을 통해 클라이언트 머신이나 중앙서버가 접속 가능하게 되고, 정보계통신망과 제어계통신망을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기능을 갖는 서버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다.
서버 프로그램은 감시·제어대상기기가 정보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는 직접,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입출력 장치를 경유해서 접속된 제어계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된 때에 감시·제어대상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칩 아이디, 인덱스 번호(특정 정보), 상태 정보 및 조작 가능 정보를 취득한다. 또, 서버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머신(이하, 간단히 「클라이언트」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이나 중앙서버(이하, 간단히 「센터」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가 웬 및/또는 랜등을 통해 서버에 억세스한 때에 클라이언트나 센터에 대해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상태 정보 및 조작 가능 정보를 참조·조작하는 Vm 클래스(감시·제어대상기기 조작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동시에 서버측에 Vm 클래스와 결합한 감시·제어대상기기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인터페이스 클래스(인터페이스 클래스 소프트웨어)를 갖는다.
클라이언트 서버 프로그램은 서버의 소프트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리얼타임 처리가 가능하고 멀티태스크 및 멀티스레드에 대응하는 오퍼레이팅시스템 프로그램(OS)이 실장되어 있다. 이 오에스(OS)에는 예를들면, ITRON, VX-WORKS등이 있다.
이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무선 및 유선 전화기, 트랜시버등의 공중회선계통신용 드라이버, 제어계통신용 드라이버, 파일 시스템, 시계 드라이버등의 각종 드라이버 프로그램류, 및 이것들의 드라이버 프로그램류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대응시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가 실장되어 있다.
또, 오퍼레이팅 시스템에는 분산 객체 지향 언어(예를들면, 자바등 플랫폼 프리의 언어)로 기술된 원격 조작 시스템 프로그램이 실장되어 있다.
《원격 조작 시스템 프로그램》
서버의 시스템 프로그램에는 서버 자신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과 에이전트를 송수신하는 에이전트 서버 프로그램과 티씨피/아이피(TCP/IP)나 피피피(PPP)에 기초한 무선 및 유선 전화기, 트랜시버등에 의해 네트워크 통신을 행하는 브라우저로 있는 통신 프로그램과 외부의 웬 및/또는 랜과 제어계통신망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기능을 다하는 서버 프로그램(100)을 갖는다.
이 게이트웨이 기능은 정보계통신망과 제어계통신망을 이음새 없이 접속한 점에, 이른바 정보계 네트워크 같은것을 접속하는 게이트웨이와 다르고, 인터넷등의 외부 네트워크의 임의의 단말기 컴퓨터로부터 서버에 억세스해 서버에 제어계통신망으로 연결하는 감시·제어대상기기를 열람·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서버 프로그램》
도 3을 사용해서 설명하면, 서버 프로그램(100)은 클라이언트나 중앙측(센터측)의 정보 단말기(클라이언트 머신이나 중앙서버)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작 프로그램으로 있는 Vm 클래스 파일(이하, 「Vm 클래스」라고 한다)을 관리하는 OP서버(110)와 클라이언트나 중앙측에 감시·제어대상기기의 Vm 클래스를 전달하는 HTTP서버(120)를 갖는다.
OP서버(110)는 감시·제어대상기기의 Vm 관리 테이블(130)과 감시·제어대상기기의 Vm 클래스 라이브러리(140)와 감시·제어대상기기와의 제어계통신용의 Vm 인터페이스 클래스 라이브러리(150)를 갖는다.
OP서버(110)는 제어계통신망 상에 접속된 새로운 감시·제어대상기기로부터 기기 자신 또는 통신 기능을 내장한 입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된 기기 정보를 검지해 감시·제어대상기기의 Vm 관리 테이블(130)에 등록하는 감시·제어대상기기 검지용의 프로그램을 갖는다.
예를들면, 이것들 감시·제어대상기기 정보로 해서는 감시 카메라(카메라1의 경우), 도 4에 표시된 것과 같이, 칩 아이디, 인덱스 번호, Vm 클래스 번호가 있다. 이것들의 정보는 제어계통신망상의 감시·제어대상기기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Vm 관리 테이블(130)은 각 감시·제어대상기기를 원격 조작하기 위해 감시·제어대상기기의 Vm 클래스 번호를 기록하고 있고, 각 감시·제어대상기기의 Vm 클래스 번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번호도 합쳐서 기록되어 있다. Vm 관리 테이블에 있어서, Vm 클래스 번호와 인터페이스 클래스 번호를 연관시키는 것에 따라 Vm 클래스 번호를 지정하면 Vm 클래스와 그것들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클래스 번호의 인터페이스 클래스를 결합한 상태로 불러오는 것이 가능하다.
Vm 클래스 라이브러리(140)에는 Vm 클래스 번호와 그 Vm 클래스 번호가 지정하는 Vm 클래스(141 ~ 143 …)가 기록되어 있다.
Vm 클래스(141 ~ 143 …)는 도 5에 참조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감시·제어대상기기의 네트워크 변수에 대응하는 필드 변수와 그것들 필드 변수를 읽어서 취한 정보 참조 메쏘드(170), 필드 변수 중에 변경 또는 설정을 허용한 변수를 조작하는 정보 조작 메쏘드(180)를 갖는다.
예를들면, 감시 카메라(카메라1)의 필드 변수는 칩 아이디, Vm 클래스 번호, 메이커, 형식등의 머신 정보, 카메라의 온/오프 정보, 조명의 밝기, 방향 제어, 줌 제어, 녹음등의 제어 정보, 이것들의 제어 현재 상태의 상태 정보가 있다.
이것들의 필드 변수에 있어서, 네트워크 변수 중에 변동하는 데이터는 일정 시간(예를들면, 1000 ms)마다 변경된다. 필드 변수의 설치 위치등을 표시한 인덱스 번호는 사용자측이 설정 가능하게 되고, 당초에는 널(NULL)로 되어 있다.
Vm 클래스 중에 이것들의 필드 변수는 상태 참조 메쏘드에 의해 감시·제어대상기기로부터 참조되어 표시 가능하게 되고, 상태 조작 메쏘드에 의해 감시·제어대상기기에 대해 설정·제어 가능하게 된다.
이 Vm 클래스는 감시·제어대상기기 마다 제어된 항목이나 표시된 항목이 다르기 때문에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제조 메이커에 의해 설계되고 기술되거나, 클라이언트나 센터가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제조 메이커로부터 제어된 항목이나 표시된 항목을 들은 후에, 설계하고 기술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 Vm 클래스는 감시·제어대상기기 또는 입출력 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의 메모리로부터 불러와도 좋지만 마이크로컴퓨터에 이 Vm 클래스를 기억시키는 것은 메모리 영역의 증대가 되기 때문에 인터넷상에 Vm 전달 센터를 설치하고 이 Vm 전달 센터로부터 다운로드시키거나 또 감시·제어대상기기(기기가 통신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는 입출력 장치)에 기록 매체(예를들면, IC 카드나 PCI 카드, 자기디스크, CDROM등)를 첨부해서, 이 기억 매체로부터 Vm 클래스를 읽어서 취하게 시켜도 좋다.
기억 매체로부터 Vm 클래스를 읽어 들어오는 것에는, 기억 매체를 읽고 취하는 기억 매체 읽기 장치가 필요하지만 이 기억 매체 읽기 장치는 서버에 내장 또는 외부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설치해도 좋고 제어계통신망 상에 접속해도 좋다.
제어계통신망상에 기억 매체 읽기 장치를 접속한 경우에는 그 읽기 장치에는 읽기 장치 자신을 구동하기 위해 Vm 클래스를 짜넣는다. 그러나, 제어계통신망상에 제어계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퍼스널컴퓨터 또는 매체 읽기 장치가 접속되어 있으면 그것을 이용해도 좋다.
Vm 인터페이스 클래스 라이브러리(150)는 Vm 클래스를 감시·제어대상기기(카메라1 그밖에)에 접속시키기 위해 Vm 인터페이스(151 ~ 153 …)를 기록한 것도 있다.
기록된 Vm 인터페이스(151 ~ 153 …)는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에 전달된 Vm 클래스와 대응되도록 되어 있고,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이 있는 Vm 클래스 번호를 지정하면 그 Vm 클래스 번호에 대응한 Vm 클래스가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에 전달되는 동시에 서버측에는 지정한 Vm 클래스 번호에 대응하는 Vm 인터페이스 클래스 파일이 기동되고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의 Vm 클래스와 서버측의 인터페이스 클래스 파일이 결합한다.
Vm 인터페이스 클래스(151 ~ 153 …)는 Vm 인터페이스 클래스 번호를 갖고 있다. 이 Vm 인터페이스 클래스 번호는 Vm 클래스 번호와 대응되도록 되어 있다.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이 Vm 클래스 번호를 지정하면 그 Vm 클래스 번호에 대응한 Vm 인터페이스 클래스 번호가 호출되고 그 Vm 인터페이스 클래스 번호의 Vm 인터페이스 클래스 파일이 기동된다. 이 호출된 Vm 인터페이스 클래스 파일에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의 Vm 클라스 파일이 결합한다.
Vm 인터페이스 클래스(151 ~ 153 …)는 제어계통신망상의 감시·제어대상기기(카메라1 그외에)와 제어계통신을 행하는 프로토콜을 갖고 있다.
이 경우의 통신프로토콜은 제어계통신망상에 있기 때문에 제어계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지만 다른 규격의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망의 경우(예를들면, 무선통신이나 광통신으로 구성된 통신망, 또는 전용선으로 구성된 통신망등의 경우)에는 그것들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이것에 따라 각종의 감시·제어대상기기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범용성이 향상한다.
《HTTP 서버》
클라이언트나 센터에 Vm을 제공하는 HTTP 서버(120)는 WWW 서버로 있어, 예를들면, 네스케이프사의 네스케이프 네비게이터나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인터넷 익스플로어, 그외의 웹 브라우저에 의해 클라이언트나 센터가 억세스한 때에 클라이언트나 센터가 지정하는 Vm 클래스 번호에 기초해 Vm 클래스를 클라이언트나 센터에 전달한다.
《클라이언트 머신 및 중앙(센터) 서버》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상의 크고 작은 컴퓨터, 펄스널 컴퓨터(PC), 모바일 컴퓨터, 휴대형 정보 단말기, 문자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 그외에 광역 네트워크를 이용 가능한 정보 장치이다.
클라이언트나 센터는 서버의 Vm 클래스를 조작하기 위해 객체 지향 언어로 기술된 Vm 조작 프로그램(이하, 간단히 「Vm 어플리케이션」이라 한다)을 필요로 한다.
이 Vm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에 짜넣는 것이 필요하지만 인터넷 또는 씨디롬·자기 디스크·자기 카드·아이씨 카드 그외의 기억 매체에 의해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에 다운로드 또는 인스톨해도 좋다.
Vm 어플리케이션은 억세스하기 전에 조작하는 대상으로 되는 서버의 유알엘(URL), Vm 클래스 번호, 인덱스 번호를 대입한다. 다만, 미리 이것들의 서버의 유알엘, Vm 클래스 번호, 인덱스 번호와 클라이언트측의 전화번호등을 고정해 짜넣은 Vm 어플리케이션으로 하면 서버측의 인증이 쉬운 이점이 있다.
Vm 어플리케이션은 서버측에 억세스하기 위한 패스워드와 그외의 조작자 자신의 인증 항목을 기입하고 서버측에 있어서도 그 조작자의 억세스를 허용하기 위한 인증 요건을 미리 소망하는 암호 방식등에 의해 설정해 놓는다. 미리 클라이언트나 센터와 서버 간에 월(月), 일(日)이나 시간당 또는 억세스 장소에 따라 부정 형으로 변화하도록 이 인증 요건을 취해 결정하고, 제3자의 위(僞)명에 의한 억세스에 대항하도록 해도 좋다.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의 사용자는 Vm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하고, Vm 어플리케이션이 갖는 서버의 유알엘, Vm 번호, 인덱스 번호를 지정하면, 클라이언트나 센터가 웹 브라우저에 의해 서버에 억세스하고 서버측으로부터 Vm 클래스를 받고 목적한 감시·제어대상기기와 서버를 통해 접속된다. Vm 클래스는 Vm 인터페이스 클래스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제어계통신망상의 감시·제어대상기기(카메라1 그외에)와 접속되고, Vm 오브젝트로 된 감시·제어대상기기의 현상의 정보가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에 표시된다.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의 사용자가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조작 종료를 Vm 어플리케이션에 지시하면, Vm 어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의 Vm 오브젝트를 감멸시킨다. 이것에 의해, 서버측의 Vm 인터페이스 클래스가 감멸한다.
《감시·제어대상기기의 등록 공정》
다음으로, 서버에 제어계통신망상의 감시·제어대상기기가 등록되는 공정을 설명한다.
제어계통신망상에 감시·제어대상기기가 접속되면, 감시·제어대상기기는 자기의 칩 아이디, 인덱스 번호, Vm 클래스 번호를 제어계통신망상에 출력한다. 감시·제어대상기기가 통신 기능을 내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통신 기능을 내장한 입출력 장치를 통해 칩 아이디, 인덱스 번호, Vm 클래스 번호를 제어계통신망상에 출력한다. OP서버(110)는 감시·제어대상기기 검지 프로그램에 의해 접속된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칩 아이디, 인덱스 번호, Vm 클래스 번호를 취득하고 Vm 관리 테이블(130)에 기록한다.
OP서버의 감시·제어대상기기 검지 프로그램은 취득한 Vm 클래스 번호로 부호한 Vm 클래스 및 Vm 인터페이스 클래스가 있는지 어떤지를 검색하고 Vm 클래스 및 Vm 인터페이스 클래스가 Vm 클래스 라이브러리(140) 또는 Vm 인터페이스 클래스 라이브러리(150)로 하지 않으면 인터넷등의 광역 네트워크상의 Vm 전달 센터, 감시·제어대상기기 메이커로부터 Vm 클래스와 Vm 인터페이스 클래스를 취득한다. 물론, 상기에 의해, 기억 매체에 Vm 클래스, Vm 인터페이스 클래스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억 매체의 읽기 장치로부터 Vm 클래스 및 Vm 인터페이스 클래스를 취득한다.
이것에 의해, OP서버(110)는 웬 및/또는 랜상의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으로부터 억세스 가능하게 된다.
《클라이언트나 센터로부터의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조작》
클라이언트나 센터가 OP서버(110)에 억세스해서 OP서버(110)에 접속된 감시·제어대상기기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나 센터의 OP서버 억세스용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이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에 의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에 OP서버(110)의 유알엘, Vm 클래스 번호, 인덱스 번호, 인증 수속에 필요한 사항을 입력한다.
이것들의 억세스에 필요한 사항 및 인증에 필요한 사항을 세트하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서버에 억세스를 행한다.
클라이언트나 센터의 억세스가 있다면 서버에 의한 클라이언트나 센터의 인증이 행해진다.
서버의 인증에 의해, 클라이언트나 센터가 억세스가 허용된 것으로 있는 것이 확인되면 클라이언트나 센터는 서버의 OP서버(110)에 억세스 가능하게 된다.
클라이언트나 센터가 서버의 OP서버(110)에 억세스하면 OP서버(110)는 클라이언트나 센터에 대해 어플리케이션의 지정한 Vm 클래스를 전달하는 동시에 OP서버(110)에 전달한 Vm 클래스의 Vm 인터페이스 클래스를 기동시킨다.
클라이언트나 센터의 어플리케이션에 전달된 Vm 클래스는 다음에 OP서버(110)의 Vm 인터페이스 클래스와의 결합을 요구하고, 클라이언트의 Vm 클래스와 OP서버(110)의 Vm 인터페이스 클래스가 웬 및/또는 랜을 통해 결합한다. Vm 인터페이스 클래스는 제어계통신망상의 감시·제어대상기기의 네트워크 변수를 클라이언트나 센터의 Vm 클래스에 제공하고, Vm 클래스의 필드 변수에 네트워크 변수가 참조되어 대입된다. 이것에 의해, Vm 클래스 및 Vm 인터페이스 클래스는 Vm 오브젝트 또는 Vm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로 되고, 제어계통신망상의 감시·제어대상기기의 현재 정보가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에 표시된다. 이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에 참조된 네트워크 변수는 소정 시간 마다 변화하지만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의 정보 참조 메쏘드가 네트워크 변수를 상시 참조하고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변수의 변화의 도에 새로운 네트워크 변수를 참조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에 정보 조작 메쏘드에 의한 필드 변수를 조작하면 이 조작은 Vm 인터페이스를 통해 감시·제어대상기기의 네트워크 변수에 반영된다.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에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면 클라이언트나 센터의 Vm 오브젝트는 멸소되고, OP서버(110)의 Vm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도 멸소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이와 같은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어계통신망의 위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정보를 웬 및/또는 랜 상의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으로부터 호출해서 참조 또는 조작할 수 있다.
더구나, 서버의 OP서버(110)로부터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에 Vm 클래스가 복사에 의해 전달되기 때문에 OP서버(110)측의 Vm 클래스가 개찬될 염려가 없는 동시에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의 수복이나 버전업등에 따른 제어 정보나 제어 방법이 바뀌는 경우, OP서버(110)의 Vm 클래스를 전달 센터 또는 기억 매체로부터 변경하면 상시 새로운 버전의 Vm 클래스 및 Vm 인터페이스 클래스를 준비할 수 있다.
이 경우, OP서버(110)는 Vm 클래스 라이브러리(140) 및 Vm 인터페이스 클래스 라이브러리(150)의 Vm 클래스 및 Vm 인터페이스가 새로운 버전으로 되어 있지 않은지 어떤지를 정기적으로 조회하도록 해도 좋다.
또,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의 어플리케이션을 OP서버(110)측으로부터 전달하도록 하면, 클라이언트나 센터측의 기종 변환이나 버전업등에도 자재로 대응할 수 있고, 인증이 확립되는 한 센터나 각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에 억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감시·제어대상기기가 제어계통신망으로부터 잘려서 따로되면, Vm 관리 테이블(130)의 Vm 클래스는 논액티브하게 되지만 재차, 감시·제어대상기기가 제어계통신망에 접속되면, Vm 관리 테이블(130) 상의 감시·제어대상기기의 Vm 클래스는 액티브로 되고, 클라이언트나 센터와 서버와 감시·제어대상기기와의 통신 접속 조건의 확립이 빠르다.
또, 클라이언트나 센터의 Vm 클래스는 감시·제어대상기기의 네트워크 변수를 참조하고만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나 센터와 서버와의 접속이 끊긴 때, Vm 클래스는 멸소하는 동시에 바이트 코드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페이스 클래스나 감시·제어대상기기의 네트워크 변수의 개찬등은 곤란하다.
《포함 가상기기 및 통괄 가상기기》
다음으로, 감시·제어대상기기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각 기기와의 정보를 공유하고, 신속하고 또한 윤활적인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운동 제어 대상으로 된 기기 같은 것이 정보를 참조하면서, 보다 적절한 운동 제어를 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포함 가상기기와 통괄 가상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포함 가상기기와는 서버와 제어계통신망상에 연결되어 있는 각 감시·제어대상기기의 가상기기와 각 가상기기의 행동등의 기능을 기술한 고정 에이전트의설정, 및/또는 각 가상기기를 통해 취득한 기록까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있다. 또, 통괄 가상기기와는 이것들의 복수의 포함 가상기기를 통괄하는 것으로 있다.
이하, 도면을 사용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2에 있어서, 제어계통신망(59)상에 감시·제어대상기기(56)와 연결되어 있는 원격제어서버(54)(이하, 간단히 「서버(54)」라고 말하는 것이 있다)에 새롭게 제어계통신망(591, 592)을 각각 통해 감시·제어대상기기(561, 562)의 2대가 연결된 경우의 일예를 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버(54)에는 고정 에이전트(610)가 상주하고 있고, 고정 에이전트(610)는 모니터링 기능(612)과 가상기기 포함 기능(611)을 갖고 있다. 이 가운데, 모니터링 기능(612)은 각 가상기기를 통해 감시·제어대상기기를 감시하거나 데이터를 취득해 기록하는 상태 감시·기록 기능(613)과 각 가상기기의 행동을 설정하는 스케줄 / 운동 제어 기능(614)를 포함하고 있다. 또, 가상기기 포함 기능(611)은 서버와 제어계통신망상에 연결되어 있는 각 감시·제어대상기기의 가상기기(56a, 561a, 562a)와 각 가상기기의 행동등의 기능을 기술한 고정 에이전트의 설정(542)과 각 가상기기를 통해 취득한 기록(541)까지를 포함한 포함 가상기기를 작성하는 기능이 있다. 또, 포함 가상기기를 작성한 때에는 센터나 클라이언트에 필요한 정보나 설정, 기록에 맞게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교정하는 것으로 트래픽양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중앙서버(51)(이하, 간단히 「센터(51)」라고 말하는 것이 있다)는 서버(54)에 제어계통신망상에 연결되어 있는 각 감시·제어대상기기와 정보를 공유하거나 감시·제어를 행하는 경우, 센터(51)는 서버(54)에 있는 고정 에이전트(610)가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54Sc)를 호출하고, 저장하고, 조작하는 것에 따라, 정보를 공유하거나 감시·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클라이언트단말기(52)로 정보를 공유하거나 조작하는 경우도 서버(54)가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54Sd)를 호출하고, 저장하고, 조작하는 것에 따라 같은 형태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도 7과 같이 원격제어서버(55)(이하, 간단히 「서버(55)」라고 말하는 것이 있다)에도 제어계통신망(601, 602)상에 감시·제어대상기기(571, 572)가 각각 접속된 경우에는 통괄 가상기기를 사용하면 보다 신속 또한 윤활하게 중앙서버가 각 원격제어서버에 제어계통신망상에 연결되어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와 정보를 공유하거나 이것들을 감시·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7의 예에는, 원격제어서버(90)(이하, 간단히 「서버(90)」라고 말하는 것이 있다)는 서버(55)와 정보계통신망(62)을 통해 또 서버(54 와 55)는 정보계통신망(58)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더욱이 서버(55)에는 서버(54)의 고정 에이전트(610)와 같은 기능을 갖는 고정 에이전트(620)가 상주하고 있다. 이때, 서버(90)에는 다른 서버가 작성하고, 서버(90)가 호출하고, 저장하고 있는 포함 가상기기를 통괄하는 통괄 가상기기를 작성하는 포함 가상기기 통괄 기능(901)을 갖고 있다.
서버(90)는 서버(54, 55)가 각각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54Se, 55Se)를 호출하고, 저장하고 있고, 포함 가상기기 통괄 기능(901)에 따라, 통괄 가상기기(90Tc)를 작성한다. 센터(51)는 이 통괄 가상기기(90Tc)를 호출하고 저장하고 있다. 이 통괄 가상기기(90Tc)는 서버(54, 55)가 작성하고, 서버(90)가 호출하고, 저장하는 포함 가상기기(54Se, 55Se)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또 포함 가상기기(54Se)는 서버(54)에 저장하고 있는 가상기기(56a, 561a, 562a)와 또 포함 가상기기(55Se)는 서버(55)에 저장하고 있는 가상기기(57a, 571a, 572a)와 항상 정보가 공유되고 있고, 가상기기(56a, 561a, 562a, 57a, 571a, 572a)는 각 감시·제어대상기기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그런데, 통괄 가상기기(90Tc)는 서버(54, 55)에 제어계통신망상에 연결되어 있는 각 감시·제어대상기기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게 되기 때문에 센터(51)는 서버(90)가 작성한 통괄 가상기기(90Tc)를 호출하고, 저장하고, 조작하는 것에 따라, 서버(54, 55)에 제어계통신망상에 접속되어 있는 각 감시·제어대상기기와 효율 좋게 정보를 공유하고, 신속 또한 원활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통괄 가상기기를 작성한 때에도 센터나 클라이언트에 필요로 하는 정보나 설정, 기록에 맞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교정하는 것으로 트래픽양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8은 서버(90)는 서버(54, 55)가 각각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54Se, 55Se)를 호출하고, 저장하는 상태를 또 도 9는 서버(90)가 작성하고, 센터(51)가 서버(90)로부터 호출하고, 저장하고 있는 통괄 가상기기(90Tc)의 상세를 표시한 것이다.
또, 도 7에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2)를 사용해서, 서버(54나 55)에 제어계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와 정보를 공유하거나 감시·제어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같이 통괄 가상기기(90Td)를 호출하고, 저장하고, 조작하는 것에 따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함 가상기기나 통괄 가상기기를 이용하면 센터는 정보를 공유하거나 감시·제어하도록 하고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 마다의 가상기기를 호출하고, 저장하고, 조작하는 것 없이 효율적으로 정보의 공유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 이것들 포함 가상기기나 통괄 가상기기의 등록 공정은 감시·제어대상기기의 등록 공정과 거의 같다.
이상의 것에 따르면, 감시·제어대상기기와 같은 정보를 갖는 분신으로 기술된 소프트웨어 오브젝트로서 이것들 대상기기와의 통신에 사용된 복수의 통신프로토콜을 그 중에 은폐한 가상기기, 및/또는 복수의 감시·제어대상기기의 가상기기와 각 가상기기의 행동등의 기능을 기술한 고정 에이전트의 설정, 및/또는 각 가상기기를 통해 취득한 기록까지를 포함하는 포함 가상기기 및 부가적으로는 복수의 포함 가상기기를 통괄하는 통괄 가상기기를 호출하고, 저장하고, 및/또는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및/또는 이 가상기기, 포함 가상기기, 통괄 가상기기를 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감시·제어대상기기와 같은 정보를 공유하고, 가상기기를 조작하는 것에 따라 그 대상기기의 정보를 변경, 및/또는 감시·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용도》
이하와 같은 용도의 적용을 생각할 수 있다.
a. 각종 전기 사업용 기기, 장치의 원격 감시 및 원격 제어·메인터넌스.
b. 각종 산업용 기기, 장치의 원격 감시 및 원격 제어·메인터넌스.
c. 농사용, 수산용 기기, 장치, 시설의 원격 감시, 제어, 메인터넌스.
d. 빌딩, 기숙사·아파트등의 원격 설비 감시, 및 각 방의 자동 검침.
e. 축열공조등의 빌딩 설비의 원격 감시, 원격 메인터넌스. 운전 스케줄의 전달등에 의한 최적 축열 제어.
f. 원격 교육 장치의 원격 제어·메인터넌스.
g. 데이터 수집·제공·가공 서비스.
h. 방범·방재 감시 시스템.
i. 환경 측정·계측 데이터 자동 수집 시스템.
j. 에너지 절약 진단 데이터 수집 시스템.
또, 작용으로 해서는
①우주선에도 채용된 리얼타임 OS를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있기 때문에 각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 기동해도 더욱 안정한 작동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자바에 의해 리드타임이 작은 개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②가장 높은 내후성, 내환경성에 안정한 24시간 가동을 실현하고 있다.
③웬 및/또는 랜의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어계통신 기능으로도 폭이 넓은 서버이다.
인터넷망을 활용하면 통신료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선회선이 없는 지역에서는 PHS나 휴대 전화등의 무선계통신망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종래 보다도 넓은 지역에의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④가상기기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어떤 컴퓨터 상에 동작해도 항상 실물과 같은 정보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감독이 미치는 범위의 가상기기를 조작, 관리하는 것으로 원격지의 기기의 관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가상기기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때에, 소프트웨어 부품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이나 계측 제어의 지식이 적어도 고도한 감시·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더욱이 시스템의 변경이나 각종 파라메타의 설정등을 네트워크 경유로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기기의 교체나 기술자가 직접 현장에 나오는 정도가 작게 되고, 메인터넌스 비용이 적게 된다.
⑤트랜시버 모터를 활용하면 통신비가 적게 된다.
⑥원격제어서버가 자율적으로 제어하는 것에 따라 센터가 다운해도 현지에의 영향은 적고 또 이상시만 통보를 행하거나 필요한 때에만 통신을 행하면 좋기 때문에 통신비가 절약된다.
⑦복수의 감시·제어대상기기가 있고, 이것들의 제조 메이커가 각각 다르게 있어도 대상기기 마다의 상태 정보나 제어 정보를 감독이 미치는 범위의 클라이언트단말기나 중앙서버에 있는 가상기기로 열람하거나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맞는 이것들을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원 발명의 상세를 실시예로 설명한다. 본원 발명은 이것들 실시예에 따라 어떤 한정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원격제어서버는 제어계통신망상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를 통합하고, 감시·제어 데이터등을 정보계의 시스템에 제공하는 데이터 서버 기능을 갖는 동시에 정보계시스템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요구가 있는 즉시 필드에 대해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서버 기능을 갖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원격제어서버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도 있기 때문에 각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어도 더욱 안정한 동작을 확보하는등 소프트웨어의 안정성이나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
더욱이, 옥외등의 과혹한 환경하에서 24시간 작동하는 내환경성을 구비하고, 현장 스페이스의 확보에 우수한 소형 사이즈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하드웨어면에서 본 특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원격제어서버는 공중회선통신장치(예를들면, 유선이나 무선 전화기등의 통신 장치)를 표준탑재하고 있고, RS232C로의 교체에 의해 시리얼 통신 기능을 갖는 외부 통신장치(예를들면 모뎀등)도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클라이언트 컴퓨터등 다른 매체가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과의 통신을 행하는 이더넷 포트를 구비하고 있고, 감시·제어대상기기나 입출력 장치와의 통신으로 ECHELON사가 제공하고 있는 론웍스등을 제공한다. 더욱이, 시리얼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와의 통신으로 시리얼 통신 포트(RS232C, RS422씨의 교체 가능)를 구비하는등 정보계 및 제어계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각종 접속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원격제어서버에는 감시·제어대상기기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털 입력(DI:1점)을 구비하고 있고, 보수용 콘솔 전속 접속 인터페이스로 RS232C 포트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원격제어서버는 제어용 통신 포트로부터 감시·제어대상기기나 입출력 장치에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있을 뿐 아니라, 정전시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 보호를 행하는 동시에 정전일시를 기록할 수 있는 기능이나 외부기억장치에의 소프트웨어 인스톨이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타이밍 입력으로의 소프트웨어 입력 스위치, 하드웨어 리셋 스위치등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소프트웨어 기능면에서 본 특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원격제어서버는 리얼타임 오에스(OS)(예를들면, ITRON, VX-WORKS등)을 구비하고 있고, 제어계통신망상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의 관리를 행하는 동시에 제어계통신망과 정보계통신망을 연계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기능, 스테션얼리 에이전트등을 실장할 수 있는 에이전트 서버 기능, WWW시스템에 있어서 정보를 HTML파일로 송수신할 수 있는 HTTP서버를 갖고 있고, 자바 실행 환경에서 동작하는 환경을 표준으로 탑재하고, 자바 실행 환경의 조입을 소용양의 자원으로 실현하고 있다.
또, PHS나 모뎀등의 공중회선망과의 접속에 필요한 PPP(Point to Point Protocol)접속 기능을 갖고 있고, 공중회선 경유로 PHS등의 무선 전화를 사용해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고, 케이블을 설치할 수 없는 장소에서의 시스템의 구축이나 모바일 매체와의 접속에 유효한 기능을 갖고 있다. 더욱이, 이더넷에 라우터를 접속하면 외부시스템과의 데이터 교환도 가능하게 되고, 원격제어서버로부터 펄스널 컴퓨터(클라이언트 모드), 펄스널 컴퓨터로부터 서버에의 쌍방향의 호출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자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PPP의 접속을 제어할 수 있어 알람 통지를 위한 긴급 호출등도 가능하게 된다.
FTP기능, 텔넷 기능을 갖고 있고,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중앙서버, 및/또는 외부시스템과 원격제어서버 간에 파일이나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하고, 또,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 환경하에 관리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갖고 있고, 더욱이 디지탈 입력을 자바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리할 수 있다.
시스템 로그 관리 기능에 의한 로그 메세지를 서버상의 비활성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중앙서버나 클라이언트 단말기, 시스템 관리자나 기기 관리자등에 인터넷 메일 경보 메세지를 송신해 연락하는 것이 가능한 메일 송신 기능도 갖고 있다.
모니터링 기능으로는 원격 스테이션 시스템이 고정 에이전트를 서버상에 상주시키고,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정보 수집 및 감시·제어를 가상기기를 사용해 행한다. 또, 수집한 정보를 가공·연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미리 과금을 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시키면 감시·제어대상기기로부터 수집한 기기의 사용 회수, 통전시간, 전기사용양등을 같이 대상기기의 사용요금을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이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각종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정보를 등록된 스케쥴에 따라, 수집·보존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에이전트는 감시·제어대상기기 보다 직접, 또 입출력 장치를 통해 정보를 수집한다. 또, 지정된 포인트의 상태 변화 기록의 보존, 지정 주기에의 아날로그치의 보존(트랜드 기록), 일보·월보등의 작성을 행한다.
보존된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정보 및 현상치를 클라이언트나 센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가상기기를 통해 현상치의 표시 및 보존 데이터의 네트워크 경유에 의한 열람이 가능하다. 상기의 FTP 기능을 사용해 외부 시스템의 서버등에 파일이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따라, 외부시스템측에도 데이터를 축적하고, 일괄 관리, 보존, 과금 처리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 장 기간에 걸쳐 또한 상세히 통계적인 데이터 해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각종 감시·제어대상기기가 이상하게 된 때, 미리 설정된 감시 부분등에 통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들면, 기기이상시나 상하한치설정에 의한 아날로그치가 이상하게 되는 경우는 전자 메일로의 경보 발신이 가능하다.
더욱이, 기기의 상태(온/오프)나 정보의 변화, 타이머 시각등의 요인을 트리거해서, 미리 설정한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설정 내용에 따른 운전 제어가 행해진다.
스케줄 운전 기능은 각종 설비 기기에 대해 설정된 타임 스케줄에 따라, 자동발정제어(기기의 온/오프)를 행하는 기능이 있고, 「스케줄 패턴」은 일주간 단위의 스케줄을 갖고, 요일별로 운전시간의 설정을 행한다. 발정시각은 0 ~ 24 시간으로 운전하는 시간대(시각)를 분단위로 설정할 수 있고, 1일의 온/오프 회수는 온/오프 시각의 설정에 의해 등록할 수 있다.
연동기기 등록 설정으로 정의된 정보에 의해, 연동기기(연동원)의 운전 상태에 의한 대상기기(연동선)의 온/오프 제어를 행하는 것에 의해, 기기의 연동 운전이 가능하다.
연동원의 조건에는 온/오프 조건·앤드(AND)/오알(OR) 조건, 연동선의 조건에는 온/오프 조건의 설정이 가능하다.
더욱이, 고정 에이전트가 가상기기 포함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감시·제어대상기기의 가상기기와 각 가상기기의 행동등의 기능을 기술한 고정 에이전트의 설정, 및/또는 각 가상기기를 통해 취득한 기록까지를 포함한 포함 가상기기를 작성하고, 저장하고, 동작시키고, 및/또는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부가적으로는 포함 가상기기 통괄 기능을 갖고 있으면, 복수의 포함 가상기기를 통괄하는 통괄 가상기기를 호출하고, 저장하고, 및/또는 동작시키고, 및/또는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들 포함 가상기기나 통괄 가상기기를 사용하면, 제어 점수가 대폭 증대한 경우나 다수의 사업소 간에 기기를 감시·제어하는 경우, 신속 또한 윤활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효율적으로 또한 다채로운 기기 간의 연동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격제어서버는
①리얼타임 OS에 Vx-WORKS를 채용하고 있다. 또, 소프트웨어로 자바 실행 환경을 소용양 자원으로 표준 탑재하고 있다.
②가장 높은 내후성, 대환경성으로 24시간 가동을 실현하고 있다.
③PHS·휴대전화를 시작으로 하는 공중회선 통신 기능을 표준 탑재하고 있 다. 또, 확장 포트로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용에 이더넷 포트를 구비한다. 더욱이 제어계통신용으로 론웍스를 채용한다. 그외 통신용 포트로 2포트의 시리얼 회선이나 외부 기기 감시용으로 디지탈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④멀리에 있는 실물의 기기·장치와 항상 같은 정보를 갖는 가상기기(가상 머신 : 자바의 순수한 소프트웨어 오브젝트)를 작성하고, 이것을 저장하고,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⑤감시·제어대상기기가 다수 존재하거나 감시·제어 점수가 상당수로 되는 경우, 복수의 가상기기나 각 감시·제어대상기기의 행동등의 기능을 기술한 고정 에이전트의 설정, 각 가상기기를 통해 취득한 기록등을 포함한 포함 가상기기나 복수의 포함 가상기기를 통괄하는 통괄 가상기기를 작성하고, 이것을 저장하고,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이것들 포함 가상기기나 통괄 가상기기의 정보를 열람하거나 조작하는 것에 따라, 신속 또한 용이하게 복수의 감시·제어대상기기를 감시, 조작하거나 보다 효율적이고 또한 다채로운 연동 제어를 행할 수 있다.
⑥클라이언트나 서버는 웬 및/또는 랜을 통해 원격제어서버에 억세스해서 감시·제어대상기기의 가상기기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감시·계측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클라이언트나 센터에 저장하고 있는 가상기기에 제어 지령을 인풋하는 것이 가능하기 위해 클라이언트나 센터로부터 감시·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갖고 있다.
⑦감시·제어 센터 또는 데이터 수집 센터등에 있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네트워크 경유로 에이전트를 전달하고, 이 에이전트가 제어하려는 감시·제어대상기기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가상기기에 억세스하고, 가상기기를 조작하는 것으로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갖고 있다.
⑧센터나 클라이언트가 전달하는 지령이나 에이전트를 네트워크 경유로 직접 수신해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미리 키로 된 원격제어서버와 전달하는 경로를 결정해 놓으면, PHS회선이나 PHS의 트랜시버 모드를 활용해서 순회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갖고 있다.
⑨고정 에이전트를 상주시켜 놓으면, 등록된 스케줄로 데이터의 수집을 행해 보존하거나 과금 처리를 시작으로 데이터 가공을 행하고, 이것들 데이터도 보존해 놓는 것이 가능하고, 외부통신 기기의 요구에 따라 센터나 클라이언트에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이상 데이터가 있으면 자율적으로 통보하는 등 각각이 자율 분산의 감시·제어, 데이터 수집, 가공, 전달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⑩클라이언트 단말기나 중앙서버로부터 송신되온 감시·제어대상기기의 행동을 변경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한 에이전트를 수신해 외부기억 장치에 저장하도록 하고, 동작시키고, 감시·제어대상기기의 행동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원격제어서버가 저장하도록 하고 있는 가상기기나 포함 가상기기, 부가적으로는 통괄 가상기기를 조작하고, 제어 정보등의 설정치를 변경하는 것등에 의해, 기기의 행동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서버는
①멀리 있는 실물의 기기·장치와 항상 같은 정보를 갖는 가상기기(가상 머신 : 자바의 순수한 소프트웨어 오브젝트)를 작성하고, 이것을 저장하도록 하고,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②복수의 가상기기나 각 감시·제어대상기기의 행동등의 기능 기술된 고정 에이전트의 설정, 각 가상기기를 통해 취득한 기록등을 포함한 포함 가상기기나 복수의 포함 가상기기를 통괄하는 통괄 가상기기를 작성하고, 이것을 저장하도록 하고, 동작시키고, 및/또는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③웬 및/또는 랜을 통해 원격제어서버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의 가상기기, 포함 가상기기, 통괄 가상기기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고, 감시·계측 데이터를 표시하고 있거나 중앙서버가 저장하도록 하고 있는 가상기기에 제어 지령을 인풋하는 것으로 감시·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④감시·제어 센터 또는 데이터 수집 센터 등에 있는 중앙서버로부터 네트워크 경유로 에이전트를 전달하고, 이 에이전트가 제어하려는 감시·제어대상기기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가상기기에 억세스하고, 가상기기를 조작하는 것으로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제어를 행하라고 말하는 것도 가능하다.
⑤중앙서버가 전달하는 지령이나 에이전트는 네트워크 경유로 원격제어서버에 각각 직접 운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미리 키로 있는 원격제어서버와 전달하는 경로를 결정해 놓으면, PHS회선이나 PHS의 트랜시버 모드를 활용하고, 회선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⑥각 원격제어서버에 있는 고정 에이전트는 가상기기를 통해 수집하고 보존하고 있는 기록이나 가공하고 보존하고 있는 기록을 중앙서버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중앙서버에 송신시키고, 중앙서버측에 이것들 기록을 보존하거나 가공(과금 처리를 포함한다)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⑦웬 및/또는 랜을 통해 원격제어서버에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에이전트를 송신하고, 원격제어서버가 이것을 수신해 외부기록 장치에 저장하도록 하고, 이것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감시·제어대상기기의 행동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중앙서버에 저장하도록 하고 있는 가상기기, 포함 가상기기, 통괄 가상기기의 중에 있는 기기의 행동을 규정하는 설정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현장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의 행동을 현지에 다다르는 것 없이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⑧중앙서버로부터 지령을 원격제어서버에 송신하고, 원격제어서버가 저장하도록 하고 있는 기록을 중앙서버에 송신시키고, 중앙서버는 이것을 수신해서 저장하도록 하고, 과금 정보에 변환하는 것에 의해, 감시·제어대상기기 마다의 과금, 청구 처리를 보다 신속하게 또한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⑨중앙서버와 제어계통신망으로 감시·제어대상기기와 연결되어 있는 1 또는 2이상의 원격제어서버는 웬 및/또는 랜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시스템의 시각동기, 에이전트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관리, 수집 데이터 관리등의 시스템 관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 의한 실시 형태의 설명》
도 10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중앙서버가 웬 및/또는 랜을 통해 제어용 통신 포트를 통해 감시·제어대상기기를 접속한 원격제어서버와 위치된 1 또는 2 이상의 서버(도 10에는 원격제어서버는 2대의 경우)와 접속되어 있고, 중앙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감시·제어대상기기의 감시·제어를 행하는 시스템 예이다.
구체적으로는 중앙서버(51)와 클라이언트 단말기(52)는 웬 및/또는 랜(53)을 통해 원격제어서버(54, 55)와 접속되어 있다. 원격제어서버(54)는 제어계 통신 기능을 갖고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와 제어계통신망(59)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원격제어서버(55)는 감시·제어대상기기(57)가 제어계 통신 기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어계 통신 기능 있는 입출력 장치(61)를 경유하고 감시·제어대상기기(57)와 제어계통신망(60)상에 연결되어 있다. 또, 원격제어서버(54)와 원격제어서버(55)는 정보계통신망(58)(이 예의 경우는 이더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 이 예의 경우, 감시·제어대상기기와 원격제어서버와의 제어계통신으로는 론웍스(미국 ECHELON사의 등록 상표)를 채용하고 있다.
원격제어서버(54)는 제어계통신망(59)상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로부터 최신의 데이터를 수집해 놓고, 감시·제어대상기기(56)의 가상기기로 있는 가상기기(56a)를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또 같은 형태로 원격제어서버(55)는 제어계통신망(60)상에 있는 입출력 장치(61)를 경유해 감시·제어대상기기(57)로부터 최신의 데이터의 수집을 행해 놓고, 감시·제어대상기기(57)의 가상기기로 있는 가상기기(57a)를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보통, 원격제어서버(54) 중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의 가상기기(56a)와 웬 및/또는 랜(53)을 통해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가상기기(56c)를 중앙서버(51)는 자신의 중에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또, 원격제어서버(55) 중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7)의 가상기기(57a)와 웬 및/또는 랜(53)을 통해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가상기기(57c)도 중앙서버(51)는 자신의 중에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같은 형태로, 클라이언트 단말기(52)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 57)의 각각의 가상기기로 있는 가상기기(56a, 57a)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가상기기(56d, 57d)를 자신의 중에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또, 원격제어서버(55)는 원격제어서버(54)에 접속되어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의 가상기기(56a)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가상기기(56b)를 저장하도록 하고 있고, 역으로 원격제어서버(54)는 원격제어서버(55)에 입출력 장치(61)를 경유해 연결하고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7)의 가상기기(57a)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가상기기(57b)를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중앙서버(51)나 클라이언트 단말기(52)에 저장하도록 되어 있는 가상기기와 원격제어서버(54, 55)에 있는 가상기기는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중앙서버(51)나 클라이언트 단말기(52)측은 감시·제어대상기기(56, 57)의 정보를 상시 공유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감시·제어대상기기(56, 57)의 현재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앙서버(51)로부터 감시·제어대상기기(56)를 제어하는 경우, 중앙서버(51)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와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가상기기(56c)를 조작하면 원격제어서버(54)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의 가상기기(56a)의 제어 정보는 쓰고 변환되고, 원격제어서버(54)도 감시·제어대상기기(56)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기 때문에 감시·제어대상기기(56)가 제어되는 것으로 된다. 제어된 결과는 이것과 역의 흐름으로, 중앙서버(51)에 반송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52)로부터 원격제어서버(54)와 제어계통신망(59)상에 연결되어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도 같은 형태이다.
다음으로, 원격제어서버(54)와 원격제어서버(55)에 각각 제어계통신망(59, 60)으로 연결되어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 57)와의 사이에 기기의 연동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원격제어서버(55)에는 미리, 감시·제어대상기기(57)에 이상이 있으면 감시·제어대상기기(56)를 제어하도록 인풋된 고정 에이전트가 상주하고 있다.
원격제어서버(55)가 감시·제어대상기기(57)의 이상등을 감지하고, 연동 대상기기로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를 제어하도록 하는 경우, 우선 감시·제어대상기기(57)의 이상 정보가 입출력 장치(61)를 경유해 제어계통신망(60)을 통해 원격제어서버(55)로 감지되고, 감시·제어대상기기(57)의 가상기기(57a)의 정보가 바뀐다.
원격제어서버(55)에 있는 고정 에이전트는 감시·제어대상기기(57)의 가상기기(57a)의 정보가 변화하는 것에 따라 기동하고, 연동선으로 미리 설정된 감시·제어대상기기(56)를 조작하기 때문에 원격제어서버(54)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의 가상기기(56a)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가상기기(56b)를 조작한다. 원격제어서버(55)에 있는 가상기기(56b)의 정보가 변화하면 원격제어서버(54)에 있는 가상기기(56a)와 가상기기(56b)는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가상기기(56a)의 정보가 변화하고, 가상기기(56a)와 감시·제어대상기기(56)와 항시 정보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감시·제어대상기기(56)는 제어되게 된다.
한편, 중앙서버(51)에 있는 가상기기(56c, 57c)와 클라이언트 단말기(52)에 있는 가상기기(56d, 57d)는 원격제어서버(54, 55)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 57)의 가상기기(56a, 57a)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중앙서버(51)와 클라이언트 단말기(52)에 연동 제어가 행해진 결과가 연계된 것으로 된다.
이상, 외부로부터 이들의 일련의 흐름을 보면, 중앙서버(51)와 클라이언트 단말기(52)에 있는 가상기기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마치 이 가상기기가 웬 및/또는 랜(53)을 네트워크 투과성을 가지고 이동하고, 감시·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고 있도록 보이게 한다.
다음에, 보다 구체적인 응용예로서, 앞에 나온 도 10을 사용하여 감시·제어대상기기 마다 과금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원격제어서버(54)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 예를들면 사용 회수와 전기 사용량, 통전시간, 상태 정보, 조작 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를 감시·제어대상기기(56)의 가상기기(56a)를 통해서 취득하고, 원격제어서버(54)의 외부기억장치에 보존하고 있다. 또, 원격제어서버(55)는 감시·제어대상기기(5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각종 데이터를 가상기기(57a)를 통해서 취득하고, 원격제어서버(55)의 외부기억장치에 보존하고 있다.
원격제어서버(54, 55)는 중앙서버(51)로부터의 지령이 있으면, 그리고/또는 원격제어서버(54, 55)에 상주시키고 있는 고정 에이전트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타이밍(예를들면 매일 오전 0시)에 동작하면, 각각의 원격제어서버의 외부기억장치에 보존하고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 57)의 각종 데이터를 중앙서버(51)로 송신한다. 중앙서버(51)는 원격제어서버(54, 55)로부터 송신되고 있는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것을 기본으로 중앙서버(51)에 있는 연산부에서 과금을 위한 데이터로 감시·제어대상기기 마다 변환하여 중앙서버(51)에 있는 기억장치에 보존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예를들면 사용회수와 전기사용량 등)와 알고리즘에 의해 중앙서버(51)의 연산부에서 감시·제어대상기기 마다의 사용 요금을 계산하여, 중앙서버(51)의 기억장치에 보존하는 동시에 금융 기관의 구좌인출등의 지불 처리에 연계한다.
또, 원격제어서버(54, 55)에 과금 처리를 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한 에이전트를 상주시켜 놓으면 원격제어서버(54, 55)는 각각의 서버가 외부기억장치에 보존하고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 57)의 데이터를 기초로 과금 처리하고, 원격제어서버(54, 55)의 각각의 외부기억장치에 보존해 놓는다. 그래서, 중앙서버(51)가 지령을 원격제어서버(54, 55)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그리고/또는 원격제어서버(54, 55)에 상주시키고 있는 고정 에이전트가 미리 설정해 놓은 타이밍(예를들면, 매일 오전 0 시)에 동작하면, 이들 서버가 보존하고 있는 과금정보를 중앙서버(51)에 각각 송신한다. 중앙서버(51)는 이것을 수신하여 기억 장치에 보존 유지하고, 금융 기관의 구좌인출등의 지불 처리에 연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중앙서버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최후에, 하나의 원격제어서버가 감시·제어할 수 있는 점수가 예를들어 백수십점이고, 실제로 감시·제어해야 하는 점수가 수백점에서 수천점에 이르는 경우에 대해서, 포함 가상기기를 이용함으로써, 이것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감시·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10과 마찬가지로 이 예에서의 원격제어서버와 각 감시·제어대상기기를 연결하는 제어계 통신망은 론웍스를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앙서버(51)와 클라이언트 단말기(52)는 웬 및/또는 랜(53)을 통해서 원격제어서버(54, 55, 65)와 접속되어 있다. 원격제어서버(54)는 제어계통신기능을 가지고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와 제어계통신망(59)상에, 감시·제어대상기기(561)와는 제어계통신망(591)상에, 감시·제어대상기기(562)와는 제어계통신망(592) 상에 연결되어 있다. 또, 원격제어서버(55)는 감시·제어대상기기(57)가 제어계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제어계 통신 기능을 가진 입출력 장치(61)를 경유하여 감시·제어대상기기(57)와 제어계 통신망(60)상에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원격제어서버(55)는 제어계통신망(601)상에서 감시·제어대상기기(571)와 제어계통신망(602) 상에서 감시·제어대상기기(572)와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더하여, 원격제어서버(65)는 감시·제어대상기기(650)각 제어계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제어계 통신 기능을 가진 입출력 장치(64)를 경유하여 감시·제어대상기기(650)와 제어계 통신망(604) 상에서 연결되어 있다. 또, 원격제어서버(65)는 제어계 통신망(605) 상에서 감시·제어대상기기(651)와 제어계통신망(606)상에서 감시·제어대상기기(652)와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원격제어서버(54)는 제어계통신망(59)상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의 가상기기(56a)를 작성하고, 보존 유지하고, 같은 가상기기(56a)를 통하여 최신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감시·제어대상기기(56)와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또, 같은 서버(54)는 제어계통신망(591)상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1)의 가상기기(561a)에서 최신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감시·제어대상기기(561)와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계통신망(592)상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2)의 가상기기(562a)를 작성하고, 보존 유지하고, 같은 가상기기(562a)에서 최신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감시·제어대상기기(562)와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원격제어서버(55)도 마찬가지로 제어계통신망(60, 601, 602)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7, 571, 572)와 각각의 가상기기(57a, 571a, 572a)를 통해서 최신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또한, 원격제어서버(65)도 마찬가지로 하여 감시·제어대상기기(650, 651, 652)와 각각의 가상기기(650a, 651a, 652a)를 통하여 최신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한편, 원격제어서버(54)는 상태 감시, 기록 기능과 스케줄/연동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기능과 가상기기 포함 기능의 양방을 포함하는 고정 에이전트(610)가 상주하고 있다. 같은 원격제어서버(55)는 원격제어서버(54)에 있는 고정 에이전트(610)와 같은 기능을 가진 고정 에이전트(620)가 상주하고 있고, 마찬가지로 원격제어서버(65)는 원격제어서버(54)에 상주하고 있는 고정 에이전트(610)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고정 에이전트(630)가 상주하고 있다.
원격제어서버(54)에 있어서는 고정 에이전트(610)에 있는 가상기기 포함 기능에 의해 원격제어서버(54)가 제어계통신망 상에서 각각 연결되어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 561, 562)의 가상기기(56a, 561a, 562a)와 고정 에이전트(610)에 포함되고, 이들 가상기기의 동작등의 기능을 기술한 스케줄/연동 제어 기능의 설정과 고정 에이전트(610)에 포함되는 상태 감시, 기록 기능이 가상기기를 통해 취득한 기록을 포함한 포함 가상기기를 작성하고,유지하고, 동작시키고, 또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서버(55)에 있어서는 고정 에이전트(620)에 있는 가상기기 포함 기능에 의해 원격제어서버(55)가 제어계통신망 상에서 각각 연결되어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7, 571, 572)의 가상기기(57a, 571a, 572a)와 고정 에이전트(620)에 포함되고 이들 가상기기의 동작등의 기능을 기술한 스케줄/연동 제어 기능의 설정과 고정 에이전트(620)에 포함되는 상태 감시, 기록 기능이 가상기기를 통하여 취득한 기록을 포함한 포함 가상기기를 작성하고, 보존 유지하고, 동작시키고, 또한 전달할 수 있다.
원격제어서버(65)도 고정 에이전트(630)에 있는 가상기기 포함 기능에 의해, 원격제어서버(65)가 제어계 통시망 상에서 각각 연결되어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650, 651, 652)의 가상기기(650a, 651a, 652a)와 고정 에이전트(630)에 포함되는 이들 가상기기의 동작등의 기능을 기술한 스케줄/연동 제어 기능의 설정과 고정 에이전트(630)에 포함되는 상태 감시, 기록 기능이 가상기기를 통해 취득한 기록을 포함한 포함 가상기기를 작성하고, 보존 유지하고, 동작시키고, 또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수집 데이터 관리 기능(511), 에이전트 관리 기능(512), 서비스 정보 관리 기능(513), 시스템 관리 기능(514), 맨머신 모니터링 기능(515)을 가지는 중앙서버(51)는 원격제어서버(54)의 고정 에이전트(610)가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54Sc)를 불러와 보존하고, 마찬가지로 원격제어서버(55)의 고정 에이전트(620)가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55Sc)를 그리고 원격제어서버(65)의 고정 에이전트(630)가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65Sc)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각각 불러와 보존 유지하고 있다.
이때, 중앙서버(51) 내에 보존 유지되어 있는 포함 가상기기(54Sc)는 원격제어서버(54)의 고정 에이전트(610)에 의해 원격제어서버(54)내에 있고, 원격제어서버(54)와 제어계 통신망(59, 591, 592)의 각각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 561, 562)의 가상기기(56a, 561a, 562a)와 각각 항상 정보가 공유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중앙서버(51) 내에 보존 유지되어 있는 포함 가상기기(55Sc)는 원격제어서버(55)의 고정 에이전트(620)에 의해 원격제어서버(55) 내에 있고, 원격제어서버(55)와 제어계통신망(60, 601, 602)의 각각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7, 571, 572)의 가상기기(57a, 571a, 572a) 각각에 항상 정보가 공유되어 있다.
또한, 중앙서버(51) 내에 보존 유지되어 있는 포함 가상기기(65Sc)에 있어서도 원격제어서버(65)의 고정 에이전트(630)에 의해 원격제어서버(65) 내에 있고, 원격제어서버(65)와 제어계통신망(604, 605, 606)의 각각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650, 651, 652)와 가상기기(650a, 651a, 652a) 각각에 정보가 공유되어 있다.
단, 클라이언트 단말기(52)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원격제어서버(54)는 원격제어서버(55)의 고정 에이전트(620)가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55Sb)를 그리고 원격제어서버(65)의 고정 에이전트(630)가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65Sb)에 대해서도 각각 불러와 보존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원격제어서버(55)는 원격제어서버(54)의 고정 에이전트(610)가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54Sb)를 그리고 원격제어서버(65)의 고정 에이전트(630)가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65Sm)에 대해서도 각각 불러와 보존하고 있다. 또한 원격제어서버(65)는 원격제어서버(54)의 고정 에이전트(610)가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54Sm)를 그리고 원격제어서버(55)의 고정 에이전트(620)가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55Sm)에 대해서도 각각 불러와 보존하고 있다.
여기서, 원격제어서버(54) 내에 보존하고 있는 원격제어서버(55)의 고정 에이전트(620)에 의해 작성된 포함 가상기기(55Sb)는 원격제어서버(55) 내에 있고, 원격제어서버(55)와 제어계통신망(60, 601, 602)의 각각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7, 571, 572)의 가상기기(57a, 571a, 572a)와 각각 항상 정보가 공유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원격제어서버(54)내에 보존되어 있고, 원격제어서버(65)의 고정 에이전트(630)에 의해 작성된 포함 가상기기(65Sb)는 원격제어서버(65) 내에 있고, 원격제어서버(65)와 제어계통신망(604, 605, 606) 각각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650, 651, 652)의 가상기기(650a, 651a, 652a)와 각각 항상 정보가 공유되고 있다.
이하, 마찬가지로 원격제어서버(55) 내에 보존되어 있는 포함 가상기기(54Sb)는 원격제어서버(54)와 제어계통신망(59, 591, 592)의 각각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 561, 562)의 가상기기(56a, 561a, 562a)와 항상 정보가 공유되고 있고, 원격제어서버(55)내에 보존되고 있는 포함 가상기기(65Sm)은 원격제어서버(65)와 제어계통신망(604, 605, 606) 각각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650, 651, 652)의 가상기기(650a, 651a, 652a)와 각각 항상 정보가 공유되고 있다. 동시에, 원격제어서버(65) 내에 보존되어 있는 포함 가상기기(54Sm)는 원격제어서버(54)와 제어계통신망(59, 591, 592)의 각각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 561, 562)의 가상기기(56a, 561a, 562a)와 각각 항상 정보가 공유되고 있고, 원격제어서버(65) 내에 보존되어 있는 포함 가상기기(55Sm)는 원격제어서버(55)와 제어계통신망(60, 601, 602)의 각각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7, 571, 572)의 가상기기(57a, 571a, 572a)와 각각 항상 정보가 공유되고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중앙서버(51)와 웬 및/또는 랜(53)을 통해서 연결되고 있는 원격제어서버(54, 55, 65)는 각각의 서버가 작성하고, 보존하고, 불러오기도 하고, 전달하기도 하는 것이 가능한 포함 가상기기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정보가 공유되고 있다.
다음에, 중앙서버(51)에서 감시·제어대상기기(56)를 제어하는 경우, 전술한 설명에 의해 중앙서버(51)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와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포함 가상기기(54Sc)를 조작하면, 이 포함 가상기기(54Sc)는 원격제어서버(54)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의 가상기기(56a)와 정보를 항상 공유하고 있는 것이므로 정보가 고쳐 쓰여지고, 제어되게 된다. 제어된 결과는 이것과 역류되어 중앙서버(51)로 반송된다.
이하, 중앙서버(51)에서 감시·제어 기기(561, 562, 57, 571, 572, 650, 651, 652)를 포함 가상기기(54Sc, 55Sc, 65Sc)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고, 클라이언트 단말기(52)에서 원격제어서버(54, 55, 65)와 제어계통신망 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 561, 562, 57, 571, 572, 650, 651 ,652)를 포함 가상기기(54Sd, 55Sd, 65Sd)를 사용하여 제어할 때도 동일하게 행할 수 있고, 이들의 결과도 중앙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 원격제어서버로 반송되게 된다.
게다가, 원격제어서버(54)와 원격제어서버(55)에 각각 제어계 통신망(59, 60)에서 연결되어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 57)와의 사이에서 기기의 연동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원격제어서버(55)에는 미지 감시·제어대상기기(57)에 이상이 있으면, 감시·제어대상기기(56)를 제어하도록 입력된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한 고정 에이전트(620)가 상주하고 있다.
원격제어서버(55)가 감시·제어대상기기(57)의 이상등을 검지하여 연동 대상기기인 감시·제어대상기기(56)를 제어하도록 하는 경우, 우선, 감시·제어대상기기(57)의 이상 정보가 입출력 장치(61)를 경유하여 제어계통신망(60)을 통해 원격제어서버(55)에서 검지되고, 감시·제어대상기기(57)의 가상기기(57a)의 정보가 변한다.
원격제어서버(55)에 있는 고정 에이전트(620)가 감시·제어대상기기(57)의 가상기기(57a)의 정보가 변화한 것에 의해 기동하고, 연동에 앞서 미리 설정된 감시·제어대상기기(56)를 조작하기 위해 원격제어서버(55) 내에 있고, 원격제어서버(54)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의 가상기기(56a)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포함 가상기기(54Sb)를 조작한다. 원격제어서버(55)에 있는 포함 가상기기(54Sb)의 정보가 변화하면, 원격제어서버(54)에 있는 가상기기(56a)와 포함 가상기기(54Sb)는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가상기기(56a)의 정보가 변화하고, 가상기기(56a)와 감시·제어대상기기(56)는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감시·제어대상기기(56)는 제어되게 된다.
한편, 중앙서버(51)에 있는 포함 가상기기(54Sc, 55Sc)와 클라이언트 단말ㄱ기2)에 있는 포함 가상기기(54Sd, 55Sd)는 원격제어서버(54, 55)에 있는 감지·제어대상기기(56, 57)의 가상기기(56a, 57a)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중앙서버(51)와 클라이언트 단말기(52)에 연동 제어가 행해진 결과가 연계된 것으로 된다.
또한, 원격제어서버(54)는 자신이 불러들이고, 보존하고 있는 원격제어서버(55)의 포함 가상기기(55Sb), 원격제어서버(65)의 포함 가상기기(65Sb)의 기록 정보와 제어 설정 정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자신이 제어계 통신망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의 감시와 제어에 대해서 종합적인 감안을 하여 보다 다채로운 감시·제어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면, 원격제어서버(54)에 있어서, 어느 기기의 스케줄 운전을 할 때 상주하는 고정 에이전트(610)에 제어계통신망상에 연결되어 있는 당해 기기의 전류치가 임계치(threshold)를 넘고, 원격제어서버(54, 55, 65)를 합친 전류치도 임계치를 넘은 경우, 이들의 전류치가 각각의 한계치의 범위 내에 있으면, 원격제어서버(55와 65)에서 호출하고, 보존하고 있는 포함 가상기기(55Sb, 65Sb)를 참조하고, 원격제어서버(55, 65)에 제어계통신망상에서 접속되어 있는 각 기기의 운전 시간을 고려하여 당해 기기를 남은 시간을 운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감시·제어해야할 점수가 수만점에 이르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 12에 예시하고 있는 것처럼 원격제어서버(90)를 원격제어서버(54, 55, 65)와 웬 및/또는 랜(53)에서 연결하고, 원격제어서버(90)에 포함 가상기기를 총괄하는 총괄 가상기기를 작성하는 포함 가상기기 총괄 기능(901)을 상주시킨다. 이 기능에 의해 원격제어서버(90)가 호출하고, 보존하고 있는 원격제어서버(54)의 포함 가상기기(54Se), 원격제어서버(55)의 포함 가상기기(55Se), 원격제어서버(65)의 포함 가상기기(65Se)를 총괄하는 총괄 가상기기를 원격제어서버(90)가 작성한다. 중앙서버(51)와 클라이언트 단말기(52)는 원격제어서버(90)가 작성한 총괄 가상기기(90Tc, 90Td)를 불러내고, 보존하고, 조작하는 것에 의해 각 감시·제어대상기기(56, 561, 562, 57, 571, 572, 650, 651, 652)와 효율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신속하고 원활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예를들면 중앙서버(51)가 불러내고, 보존하고 있는 총괄 가상기기(90Tc)는 항상 원격제어서버(90)가 원격제어서버(54)에서 불러내고, 보존하고 있는 포함 가상기기(54Se)와 정보를 공유하고, 이 포함 가상기기(54Se)는 전술한 것처럼 원격제어서버(54)가 작성하여 보존하고 있는 가상기기(56a, 561a, 562a)와 정보를 공유하고 있고, 이들 가상기기는 제어계통신망(59, 591, 592)의 각각에서 원격제어서버(54)와 연결되어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 561, 562)와 정보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격제어서버(55)와 원격제어서버(6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또한, 기기 사이의 연동제어를 행하는 경우, 예를들면 원격제어서버(54)와 제어계통신망(59)상에서 접속되어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6)와 원격제어서버(55)와 제어계통신망(60)에서 입출력 장치(61)를 경유하여 접속되어 있는 감시·제어 기기(57)가 연동 제어대상기기인 경우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이 경우, 각 원격제어서버에 있는 고정 에이전트에는 어느 기기 사이에서 연동 제어하는 가를 입력해 놓는다.
그런데, 예를들면 원격제어서버(55)와 입출력 장치(61)를 경유하여 접속되어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57)의 상태에 이상이 일어난 경우, 원격제어서버(55)가 보존하고, 감시·제어대상기기(57)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가상기기(57a)의 정보가 변경된다. 가상기기(57a)의 내용이 변경되면, 이것을 원격제어서버(90)가 불러내고, 보존하고, 원격제어서버(55)가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55Se)는 원격제어서버(55)에 있는 가상기기(57a)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포함 가상기기(55Se)의 내용이 변경된다.
원격제어서버(90)가 불러내고, 보존하고 있는 포함 가상기기(55Se)의 내용이 변경되면 원격제어서버(55)가 작성하고, 원격제어서버(54)가 불러내고, 보존하고 있는 포함 가상기기(55Sb)와 포함 가상기기(55Se)는 정보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포함 가상기기(55Sb)의 정보가 변경된다. 원격제어서버(54)에서는 포함 가상기기(55Sb)의 변경된 것에 의해 고정 에이전트(610)가 기동하고, 연동 제어대상기기인 감시·제어대상기기(56)의 가상기기(56a)의 정보가 변경된다. 가상기기(56a)의 내용이 변경되면, 감시·제어대상기기(56)는 가상기기(56a)와 항상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감시·제어대상기기(56)가 제어된다.
또, 중앙서버(51)와 클라이언트 단말기(52)는 원격제어서버(90)가 작성하고, 중앙서버(51)가 불러내고, 보존하고 있는 총괄 가상기기(90Tc)와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기(52)가 불러내고, 보존하고 있는 총괄 가상기기(90Td)가 포함 가상기기(55Se)와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원격제어서버(90)에 있는 포함 가상기기(55Se)의 내용이 변경되면 총괄 가상기기(90Tc, 90Td)의 내용이 변경된다.
감시·제어대상기기(56)가 제어된 내용에 대해서도, 여기까지의 설명과 같이 원격제어서버(54, 55, 65, 90), 중앙서버(51), 클라이언트 단말기(52)에서의 가상기기와 포함 가상기기, 총괄 가상기기가 정보를 항상 공유하고 있으므로 결과가 연계되는 것으로 된다.
또, 원격제어서버(54, 55, 65)의 사이에서 다른 감시·제어대상기기 사이에서 연동제어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이들의 경우, 예를들면 원격제어서버(90)가 고장났어도 각 원격제어서버 사이에서 서로가 작성한 포함 가상기기를 불러내고, 보존하고 있으므로, 각 원격제어서버 사이에서 정보의 공유와 연동제어를 행할 수 있고,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이용 가능성이 있다.
1) 중앙이나 클라이언트에 있는 감시·제어대상기기와 같은 정보를 갖는 분신으로서 기술된 소프트웨어 오브젝트인 가상기기는 항상 감시·제어대상기기와 같은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중앙이나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유지하고 있는 가상기기의 변경을 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원격지의 감시·제어대상기기의 감시·제어를 행할 수 있다.
2) 기기의 감시·제어를 실현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경우에 가상기기를 소프트웨어 부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통신이나 계측제어의 지식이 없어도 고도한 감시·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3) 시스템의 변경이나 각종 파라미터의 설정등을 네트워크 경유로 가능하게 하므로 기기의 교환이나 기술자가 직접 현장으로 나가는 정도가 적게되고, 유지비 용이 저렴하게 된다.
4) 제어계와 정보계의 네트워크를 연결매개 없이 연계할 수 있고, 가상기기를 네트워크 분산 오브젝트 기술로 실장하고, 위치의존성을 없게 한 것으로 에이전트 기술을 이용한 기기의 감시·제어가 가능하게 되었다.
5) 중앙서버나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처리하는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수를 대폭으로 늘릴 수 있고, 이들 다수의 감시·제어대상기기나 원격제어서버와 중앙서버, 클라이언트 단말기와의 트래픽량을 삭감할 수 있고, 효율적인 관리, 감시·제어를 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휴대전화등의 무선 공중 전화를 탑재하는 것에 의해, 유선 공중 회선망이 없는 지역에서도 무선공중회선으로 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RS232C로의 변환을 할 수 있고, 외부통신장치의 부착도 가능한 시리얼 포트를 가지는 것 때문에 외부와의 통신수단의 폭을 넓히는 동시에 서버의 설치 가능한 장소의 폭도 넓힐 수 있다.
6) 감시·제어대상기기나 입출력 장치와의 제어 신호,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통신용 포트를 가지고 있고, 그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등으로의 전력 공급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전기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7) 광역통신네트워크 경유로 예를들면 TCP/IP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중앙등이 원격지에 있는 경우, 인터넷을 이용하면 공중회선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통신료를 싸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의 어느 장소에서도 원격제어서버의 액세스를 값싸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8) 감시·제어대상기기에서 직접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9) 시스템의 기능 설정이나 보수 전용의 시리얼 포트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시스템의 기능 설정이나 유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0) 백업 회로를 탑재하고 있어서, 정전시에 데이터를 잃어 버리는 일이 없고, 정전전의 상태로 복구할 수 있고, 감시·제어 데어터등의 연속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11) 소프트웨어 입력 스위치를 통해서 셧다운등을 외부에서 행한 때에, 기동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등을 안전하게 종료시키기 때문에 하드웨어를 종료시킬 수 있다.
12) 우주선에서도 채용되는 리얼타임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한 기기의 감시·제어가 행해지는 동시에 시스템 전체의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 또, 자바 실행 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객체 지향에 기초한 비주얼한 개발 환경에 의해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13) 종래는 설치할 수 없었던 장소나 환경에서의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게 되고, 종래 시스템에 비해서 적용범위가 넓어진다. 또 이동 매체에서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교정적인 장소에서의 시스템 관리에서 해방될 뿐 아니라, 이상이 있는 경우 예를들면 유지 요원을 긴급 호출함으로써 빠른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14) 중앙서버나 클라이언트 단말기, 외부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의 이용이나 외부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나 가공이 가능하게 되고, 데이터 분석의 정밀도를 높일 수도 있다.
16) 범용 디지털 입력을 자바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적용범위가 넓다.
17) 시스템의 동작이나 이상 상태를 로그메세지로서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억시킬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시스템의 경보메세지등을 관리자에게 전자메일등으로 통보하기 때문에 빠른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18) 서버에 에이전트를 상주시켜 감시·제어를 행함으로써, 단독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다른 서버가 다운되어도 자율적인 감시·제어가 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언제나 기기와의 통신 회선을 접속해 놓을 필요가 없으므로 통신료가 싸게 된다.
19) 사용자의 요구에 세밀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의 운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효율 좋은 시스템 전체의 운전 관리가 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원격제어서버 사이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상태를 감시하면서, 다른 원격제어서버가 수집한 기록이나 제어 설정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보다 면밀하고 다양한 감시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Claims (11)

  1.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중앙서버가 웬(WAN) 및 랜(LAN)으로 이루어진 정보계통신망으로 연결되며, 감시·제어대상기기와 제어용 통신포트를 통해 제어계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있는 원격제어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자율적인 분산제어를 행하는 시스템을 구비하되, 기억장치를 갖는 원격제어서버는 감시·제어대상기기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분신(分身)으로 기술되고 또한 이들 대상기기와의 통신에 사용된 복수의 통신프로토콜을 은폐(隱蔽)하고 정보계통신망 및 제어계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오브젝트인 가상기기를 상기 기억장치에 기록 및 저장하고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에 있어서,
    원격제어서버가 클라이언트 단말기 또는 중앙서버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감시·제어대상기기에 대응하는 가상기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 또는 중앙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가상기기와 인터페이스수단을 상기 기억장치에서 결합하는 것에 의해 감시·제어대상기기를 조작가능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서버는, 제1 원격제어서버와 제2 원격제어서버로 이루어지며, 제1 원격제어서버는, 상기 제2 원격제어서버가 제2 원격제어서버의 기억장치에 기록한 가상기기를 제1 원격제어서버의 기억장치로 호출 및 저장하고, 제1 원격제어서버의 기억장치에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갖고,
    제1 원격제어서버의 기억장치에서 가상기기를 조작하는 것에 따라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정보를 변경 및 감시·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서버는 복수의 가상기기, 및 각 가상기기를 통해 취득한 기록까지를 포함한 포함가상기기 및 부가적으로는 복수의 포함가상기기를 통괄하는 통괄가상기기를 상기 기억장치에 기록 및 저장하고,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정보계 통신망을 연결하여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서버는, 제1 원격제어서버와 제2 원격제어서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원격제어서버는 복수의 가상기기, 및 각 가상기기를 통해 취득한 기록까지를 포함한 포함가상기기 및 부가적으로는 복수의 포함가상기기를 통괄하는 통괄가상기기를 제1 원격제어서버의 기억장치에 기록 및 저장하고, 상기 제1 원격제어서버의 기억장치에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정보계 통신망을 연결하여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갖고,
    상기 제2 원격제어서버는 상기 제2 원격제어서버의 기억장치에 기록한 포함가상기기나 통괄가상기기를 정보계 통신망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원격제어서버의 기억장치로 호출 및 저장하고, 상기 제1 원격제어서버의 기억장치로부터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갖고,
    상기 제1 원격제어서버의 기억장치에서 포함가상기기, 또는 통괄가상기기를 조작하는 것에 따라 복수의 감시·제어대상기기 각각의 정보를 변경, 및 감시·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원격제어서버는 상기 기억장치에 고정에이전트를 상주시키고 고정에이전트가 외부에 연결하는 감시·제어대상기기의 정보 수집 및 감시·제어를 가상기기를 사용해서 행하는 동시에 그것들의 정보의 가공·연산 등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수단은 제어계통망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프로토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서버는 상기 감시·제어대상기기에 대응하는 가상기기와 상기 가상기기와 대응되는 인터페이스수단의 한 쌍을 복수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서버는 상기 가상기기를 갖는 가상기기 식별번호 및 상기 인터페이스수단의 동작상황을 관리하는 가상기기 관리테이블과, 상기 가상기기를 기록하는 가상기기라이브러리와, 상기 인터페이스수단을 기록하는 인터페이스수단 라이브러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037002759A 2000-08-25 2001-08-24 원격제어서버, 중앙서버 및 그것들로 구축된 시스템 KR101010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56421 2000-08-25
JPJP-P-2000-00256421 2000-08-25
PCT/JP2001/007276 WO2002017087A1 (fr) 2000-08-25 2001-08-24 Serveur de commande distant, serveur central et systeme qu'ils constitu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082A KR20030027082A (ko) 2003-04-03
KR101010453B1 true KR101010453B1 (ko) 2011-01-21

Family

ID=1874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759A KR101010453B1 (ko) 2000-08-25 2001-08-24 원격제어서버, 중앙서버 및 그것들로 구축된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712095B2 (ko)
EP (1) EP1327938B1 (ko)
KR (1) KR101010453B1 (ko)
CN (1) CN1224914C (ko)
AT (1) ATE349042T1 (ko)
AU (2) AU8015801A (ko)
CA (1) CA2420076C (ko)
DE (1) DE60125393T2 (ko)
HK (1) HK1057932A1 (ko)
TW (1) TW581944B (ko)
WO (1) WO200201708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491B1 (ko) 2013-09-30 2015-03-25 전자부품연구원 Pod 기반의 모듈형 데이터 센터 및 그의 모니터링 방법
KR101570400B1 (ko) 2014-09-30 2015-11-19 김귀찬 원격제어서버를 이용한 극한 작업 환경의 이물질 검사 및 제거 자동화 장비의 통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003127A1 (ko) * 2014-06-30 2016-01-07 전자부품연구원 서버/스토리지 관리 시스템
KR20160108004A (ko) 2015-03-06 2016-09-1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분산제어시스템에서의 플랜트 데이터 복원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74755B1 (es) * 2001-04-05 2004-08-16 Pulsar Technologies, S.A. Sistema autonomo para la gestion remota de dispositivos sujetos a un servicio de pago por uso.
US20030046398A1 (en) * 2001-08-29 2003-03-06 Charles Buckley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console devices in a network
US8489063B2 (en) * 2001-10-24 2013-07-16 Sipc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mergency messages to a mobile device
US7069161B2 (en) * 2002-01-17 2006-06-27 Gristina Family Trust System for managing resource infrastructure and resource consumption in real time
DE602005004396T2 (de) * 2004-03-15 2009-01-08 Abb Ab Steuersystem, verfahren und rechnerprogramm
DE102004051106A1 (de) 2004-10-19 2006-04-27 Demag Ergotech Gmbh Kunststoffverarbeitende Maschine
US7304586B2 (en) 2004-10-20 2007-12-04 Electro Industries / Gauge Tech On-line web accessed energy meter
US9080894B2 (en) 2004-10-20 2015-07-14 Electro Industries/Gauge Tech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and sending data at high speeds over a network
US7747733B2 (en) 2004-10-25 2010-06-29 Electro Industries/Gauge Tech Power meter having multiple ethernet ports
CA2486103A1 (en) * 2004-10-26 2006-04-26 Platespin Ltd.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ic optimization of physical and virtual resource use in a data center
US20060224250A1 (en) * 2005-04-01 2006-10-0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Industrial automation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JP4806625B2 (ja) * 2006-02-20 2011-11-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US7653794B2 (en) * 2006-05-08 2010-01-26 Microsoft Corporation Converting physical machines to virtual machines
US7502713B2 (en) 2006-06-23 2009-03-10 Cirba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arameter distribution, variance, outliers and trends in computer systems
KR100803575B1 (ko) * 2007-02-02 2008-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에어컨의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96996B1 (ko) * 2007-02-02 200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에어컨의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08099308A2 (en) * 2007-02-12 2008-08-21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Networked control system and device for a networked control system
US10845399B2 (en) 2007-04-03 2020-11-24 Electro Industries/Gaugetech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data transfers in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JP4956281B2 (ja) * 2007-05-29 201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DE102007030396B4 (de) * 2007-06-29 2014-11-27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Maschine sowie Fernkommunikationssystem
CA2697965C (en) 2007-08-31 2018-06-12 Cirba Inc.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virtualized environments
US8260366B2 (en) * 2007-09-28 2012-09-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tomatic setting of an alert mode on a wireless device
CN101424939B (zh) * 2007-10-31 2013-03-27 株式会社日立制作所 自律分散型安全系统以及其控制方法
WO2009108353A1 (en) * 2008-02-27 2009-09-03 Ncomputing Inc. 3d graphics acceleration in remote multi-user environment
US8350744B2 (en) 2008-12-03 2013-01-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Virtual universal remote control
JP2010218034A (ja) * 2009-03-13 2010-09-30 Toshiba Corp 統合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00280858A1 (en) * 2009-04-30 2010-11-04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a small form pluggable ethernet demarcation device
JP5274375B2 (ja) * 2009-05-25 2013-08-28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ネットワークi/oシステム及びその設定方法
US8955108B2 (en) * 2009-06-17 2015-02-10 Microsoft Corporation Security virtual machine for advanced auditing
EP2470934A1 (en) 2009-08-26 2012-07-04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Datacommunications/telecommunications patching systems with integrated connectivity module
US8301028B2 (en) 2009-12-21 2012-10-30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Data center with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s
US8588618B2 (en) * 2009-12-21 2013-11-19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Data center with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s
US8818196B2 (en) 2009-12-21 2014-08-26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Data center with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s
US8712250B2 (en) * 2009-12-21 2014-04-29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Data center with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s
US8452182B2 (en) * 2009-12-21 2013-05-28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Data center with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s
US8401393B2 (en) * 2009-12-21 2013-03-19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Data center with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s
US8483568B2 (en) 2009-12-21 2013-07-09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Data center with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s
US8655187B2 (en) * 2009-12-21 2014-02-18 Invention Science Fund I Data center with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s
US8483569B2 (en) * 2009-12-21 2013-07-09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Data center with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s
US20110164880A1 (en) * 2010-01-06 2011-07-07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Data center with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s
JP2011160300A (ja) * 2010-02-02 2011-08-18 Fujitsu Ltd ルータ、ルーティング方法、ルーティング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仮想マシン構築方法および仮想マシン構築プログラム
CN102164152A (zh) * 2010-02-23 2011-08-24 浙江省公众信息产业有限公司 一种远程处理文件的方法及系统
US11320797B2 (en) * 2010-09-27 2022-05-03 Fisher-Rosemount 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virtualize a process control system
US9350615B2 (en) * 2011-05-23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agement server,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of management of plural image forming apparatuses
JP5873671B2 (ja) * 2011-09-16 2016-03-01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KR101923487B1 (ko) 2011-09-29 2018-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4411376B (zh) * 2011-12-20 2017-08-11 安加扎设计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即付即用技术的太阳能照明方法与装置
US10380511B2 (en) 2012-03-08 2019-08-13 Husqvarna Ab Outdoor power equipment fleet management system with operator performance monitoring
US9973831B2 (en) 2012-03-08 2018-05-15 Husqvarna Ab Data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for fleet management
CN102843417B (zh) * 2012-06-14 2016-05-18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的远程操作方法
US9342341B2 (en) * 2013-03-14 2016-05-17 Alcatel Lucent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ing an application and an agent on a customer server in a selected network
KR101322831B1 (ko) * 2013-04-18 2013-10-28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이용한 cctv 촬영내용 공유 시스템
CN103455011A (zh) * 2013-09-11 2013-12-18 昆山奥德鲁自动化技术有限公司 智能终端设备
JP6260470B2 (ja) * 2014-06-26 2018-01-17 富士通株式会社 網監視システムおよび網監視方法
CN104270356B (zh) * 2014-09-24 2018-07-27 国家电网公司 智能服务器安全控制终端及服务器监测方法
JP2016220174A (ja) 2015-05-26 2016-12-22 株式会社東芝 家電制御方法及び家電制御装置
US10291648B2 (en) 2015-12-22 2019-05-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for distributing virtual entity behavior profiling in cloud deployments
TWI621013B (zh) * 2017-03-22 2018-04-1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監控服務設備之系統
CN110556180A (zh) * 2018-05-31 2019-12-10 北京绪水互联科技有限公司 医疗设备效益分析方法及系统、用于医疗设备效益分析的服务器及电子装置
AT522653A1 (de) * 2019-05-15 2020-12-15 Wittmann Kunststoffgeraete Verfahren zur Darstellung und Bedienung von Produktionsmitteln, insbesondere für die kunststoffverarbeitende Industrie
CN110839038B (zh) * 2019-11-20 2023-03-24 浙江军盾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安全设备的智能监控方法、平台服务器和安全设备
CN111542001B (zh) * 2020-04-21 2022-02-11 厦门欧万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服务器集群分布的网络系统及其构建方法
CN112526955B (zh) * 2021-02-10 2021-05-25 北京安帝科技有限公司 一种dcs流量的处理方法以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849A (ko) * 1997-11-17 1999-06-25 포만 제프리 엘 하드웨어 장치와의 원격 대화를 위한 방법및 장치
JPH11224392A (ja) * 1998-02-09 1999-08-17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遠隔監視システム
KR19990077067A (ko) * 1996-01-04 1999-10-25 내쉬 로저 윌리엄 원격 제어 시스템
KR20000047987A (ko) * 1998-12-08 2000-07-25 이데이 노부유끼 기기 동작 관리 방법 및 관리용 기기, 기기 동작 관리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공급 매체, 제어 기기,전자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3367B2 (ja) * 1991-01-28 1998-03-09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ネットワーク装置
US6185491B1 (en) * 1998-07-31 2001-02-06 Sun Microsystems, Inc. Networked vehicle controlling attached devices using JavaBeans™
US7065549B2 (en) * 2002-03-29 2006-06-20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Communication and process migration protocols for distributed heterogeneous compu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7067A (ko) * 1996-01-04 1999-10-25 내쉬 로저 윌리엄 원격 제어 시스템
KR19990044849A (ko) * 1997-11-17 1999-06-25 포만 제프리 엘 하드웨어 장치와의 원격 대화를 위한 방법및 장치
JPH11224392A (ja) * 1998-02-09 1999-08-17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00047987A (ko) * 1998-12-08 2000-07-25 이데이 노부유끼 기기 동작 관리 방법 및 관리용 기기, 기기 동작 관리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공급 매체, 제어 기기,전자 기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491B1 (ko) 2013-09-30 2015-03-25 전자부품연구원 Pod 기반의 모듈형 데이터 센터 및 그의 모니터링 방법
WO2016003127A1 (ko) * 2014-06-30 2016-01-07 전자부품연구원 서버/스토리지 관리 시스템
KR20160003358A (ko) * 2014-06-30 2016-01-11 전자부품연구원 서버/스토리지 관리 시스템
KR101596325B1 (ko) 2014-06-30 2016-02-23 전자부품연구원 서버/스토리지 관리 시스템
KR101570400B1 (ko) 2014-09-30 2015-11-19 김귀찬 원격제어서버를 이용한 극한 작업 환경의 이물질 검사 및 제거 자동화 장비의 통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8004A (ko) 2015-03-06 2016-09-1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분산제어시스템에서의 플랜트 데이터 복원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20076A1 (en) 2003-02-19
US7712095B2 (en) 2010-05-04
EP1327938A1 (en) 2003-07-16
CN1224914C (zh) 2005-10-26
DE60125393T2 (de) 2007-09-27
CN1449524A (zh) 2003-10-15
WO2002017087A1 (fr) 2002-02-28
KR20030027082A (ko) 2003-04-03
CA2420076C (en) 2010-09-28
US20040049524A1 (en) 2004-03-11
EP1327938A4 (en) 2005-01-26
DE60125393D1 (de) 2007-02-01
AU8015801A (en) 2002-03-04
HK1057932A1 (en) 2004-04-23
AU2001280158B2 (en) 2009-01-08
TW581944B (en) 2004-04-01
ATE349042T1 (de) 2007-01-15
EP1327938B1 (en)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453B1 (ko) 원격제어서버, 중앙서버 및 그것들로 구축된 시스템
JP4263387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サーバ、センターサーバおよびそれらを備えたシステム
CN102834818B (zh) 具有并行处理架构的集成安全系统
CN102648454B (zh) 虚拟外围集线器装置和系统
CA2493321C (en) System for acquiring data from a facility and method
EP1749250B1 (en)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rocess field devices
US7263459B2 (en) System for acquiring data from facilities and method
US200502403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electrical power consumption
EP1176568A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ervising and supporting customer services offered to a contracted dwelling by a service provider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JP4220306B2 (ja) 電力量計
EP2097846A1 (en) Diagnostic and telematic system
EP2683146A1 (en) Smartphone and microcontroller bas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EA016566B1 (ru) Способ мониторинга
US20120316658A1 (en) Web bas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JP2003536131A (ja) 埋め込み型デバイスにデータ、アプリケーションおよびサービスを提供し、制御を容易にするためのサービスプロバイダ
JP2004145875A (ja) 多数の見守りからの情報を送受信し処理する方法およびそれ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WO2003090137A1 (fr) Systeme, terminal, procede et programme de gestion de service de securite, et support d'enregistrement lisible par ordinateur, contenant ledit programme
CN103329512B (zh) 远程操作系统、中继设备、通信设备、以及远程操作方法
KR102406905B1 (ko) 산업 IoT 플랫폼을 이용한 엣지 컴퓨팅 기반 HMI 시스템
JP2011059809A (ja) 監視装置
JP3477348B2 (ja) プラント運転保守支援装置
JP2002333929A (ja) データセンタシステム
RU2745205C1 (ru)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носим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Song The Integrated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JP4423737B2 (ja) 電力・電灯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