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067A - 원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067A
KR19990077067A KR1019980705201A KR19980705201A KR19990077067A KR 19990077067 A KR19990077067 A KR 19990077067A KR 1019980705201 A KR1019980705201 A KR 1019980705201A KR 19980705201 A KR19980705201 A KR 19980705201A KR 19990077067 A KR19990077067 A KR 19990077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odule
interface
platform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이스 에릭 노울드
Original Assignee
내쉬 로저 윌리엄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쉬 로저 윌리엄,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filed Critical 내쉬 로저 윌리엄
Publication of KR19990077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06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고객 구내(도 1의 "5")내에서 전기적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전화 소켓과 같은 네트워크 종단 장비(12)에 의한 통신 회선(4)과 전화 교환기(도 1의 "3")와의 연결을 위한 홈 제어 인터페이스(15)로 이루어지고, 홈 제어 인터페이스(15)는 모듈 인터페이스(16)에 의해 전기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전화망과 연결된 홈 제어 플랫포옴(도 1의 "8")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반응하며, 요구되는대로 시스템과 연결된 전기적 장치의 각각의 부분의 전류 상태를 나타내는 통신 회선(4)으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배치되고, 수요자는 원격 제어 요구가 홈 제어 플랫포옴(도 1의 "8")으로 전송되는 경우 각각의 교환기를 정의하고 통화자에게 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듈 인터페이스(16)상에서 각각의 연결에 부착된 전기적 장치의 정의를 미리 기록하기 위해 전화(14)를 사용할 수 있으며, 홈 제어 플랫포옴(도 1의 "8")은 여러 시각에서 스위칭에 요구된 변경을 정의하는 데이터의 실제 양을 저장하는 능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격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존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전용 전기통신 링크 또는 액세스 목적을 위한 전용 전기통신 번호를 자주 요구한다. 그러한 해법은 전용 회선을 요구하기 때문에 구현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거나, 또는 전용 전화 통화 설치 요구 때문에 액세스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또한, 특히 가내 설치 목적으로, 시스템에 설계될 수 있는 복잡한 양이 극히 제한된다.
가입자가 부재하는 동안 가내 전화 회선상에서도 경쟁 요구가 실제로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팩스 기기 및 자동 응답 기기는 일반적인 전기통신과 함께 회선을 공유할 수 있다. 통화 응답상에서 팩스 기기로의 호출 식별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팩스 교환기가 개발되었지만,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 추가 실현적인 자동 응답기 도입으로 통화를 전송하는 것은 가내 스위칭 요구를 복잡하게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된 통신망에 의해 각각 연결된 다수의 다른 제어된 위치에서 처리될 오퍼레이션을 정의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을 통한 통신에 응하는, 스위치된 통신망과의 연결을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된 위치 각각은 각각의 스위치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통신망으로부터의 시그낼링에 응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갖고, 제어 시스템은 스위치된 통신망을 통해 제어된 위치 각각으로 통화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며, 각각의 연결된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스위치 각각의 현재 상태를 정의하는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도록 배치된 제어 플랫포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랫포옴은 각각의 스위치의 현재 상태가 알려지도록 데이터를 저장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대개, 제어 플랫포옴은 제어된 위치중의 한 위치에서 각각의 스위치의 상태를 통화하는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 사용자로부터의 통화에 응한다. 플랫포옴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위치의 상태 변경 요구를 정의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통화동안 시그낼링에 응할 수 있고, 또한 그러한 상태 변경이 요구되는 시각에 원격으로 프로그램 가능해질 수 있다.
적절한 실시예에서, 플랫포옴은 스위치에 의해 제어된 장치의 특징을 정의하는 음성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고객의 스위치의 상태 정보 요구를 나타내는 신호에 응한다. 음성 안내는 대개 각각의 제어된 위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한 전화 통화에 의해 미리 기록된 정보로부터 나온다. 따라서, 플랫포옴은 시스템 사용자가 잇따른 사용자 정보를 위해 플랫포옴에 의해 저장되는 제어된 위치에서 그 또는 각각의 스위치를 정의하는 음성 메시지를 기록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어된 위치로부터 수신된 통화에 응한다.
상기 플랫포옴은 제어된 위치로부터 데이터를 받는 즉시 정확한 스위치 상태와 요구된 상태를 비교하고, 만일 정확하고 요구된 상태가 다르다면 스위치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해 제어된 위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전화망과 통신 회선간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 및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유닛은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통신 회선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응하고, 인터페이스는 스위치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통신 회선 신호로 돌아가거나 또는 스위치의 요구된 상태를 나타내는 통신 회선 데이터 신호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유닛이 스위치를 감시하는 제 1 모드로부터 인터페이스 유닛이 통신 회선으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응하는 제 2 모드까지 스위치하기 위해 통신 회선으로부터의 선택적인 경보 신호에 응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대개, 상기 시스템은 각각이 제어 수단 및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스위치 제어 모듈로 이루어지고, 제어 수단은 각각의 스위치가 각각의 스위치의 현재 상태를 요구에 따라 나타내는 신호를 작동 및/또는 인터페이스 유닛으로 돌려보내도록 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한다.
인터페이스 유닛과 스위치 제어 모듈간의 시그낼링은 전자적 주요 전파회로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인터페이스와 스위치 제어 모듈간의 시그낼링은 전자적 주요 전파회로에 의해 이뤄질 수 있고, FSK 시그낼링을 사용할 수 있다.
FSK 시그낼링은 한 바이트가 다수의 모듈중 하나가 어드레스되는 것을 나타내는 모듈 지정 바이트이고, 하나의 다른 바이트가 요구된 동작을 나타내는 오퍼레이션 바이트인 다수의 바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이트는 동일하지 않은 길이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적절한 실시예에서, 스위치 제어 모듈 각각은 다수의 스위치를 제어하고, 인터페이스 유닛으로부터의 시그낼링의 스위치 지정 바이트는 각각의 관련된 스위치중의 어떤 스위치가 요구된 동작과 관련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제어 수단이 지정된 스위치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유닛으로 FSK 시그낼링을 돌려보낼 수 있는 경우, 요구된 동작은 상태 보고가 될 수 있다.
각각의 스위치 제어 모듈은 모듈이 응답해야 하는 인터페이스 유닛으로부터 모듈 지정을 나타내는 모듈 번호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오퍼레이션의 제 1 모드에서, 인터페이스 유닛은 주기적으로 상태 요구 바이트를 원격 제어 유닛 각각으로 전송하고, 시스템내 각각의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결과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장치에 저장한다. 통신 회선으로부터 미리 수신된 데이터가 시스템내 스위치중의 한 스위치의 상태가 예정된 시각에 변경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인터페이스 유닛은 각각의 스위치 제어 모듈이 어드레스되도록 하고, 주 전파회로에 의해 각각의 스위치에 관한 변경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주요 전파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수단, 제어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그 또는 각각의 스위치의 상태내 변경에 영향을 주기 위해 주요 전파회로에 의해 스위치된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시그낼링에 응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모듈이 제공된다.
대개, 모듈은 스위치의 현재 상태를 특징짓는 주 전파회로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제어 수단은 상태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주 전파회로로부터 수신된 시그낼링에 응할 수 있다.
지금부터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예의 방법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두 개의 고객 구내 시스템과 연결된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고객 구내 시스템중의 하나를 나타내는 블록 개략도,
도 3은 도 2의 홈 제어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모듈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e는 도 1의 홈 제어 플랫포옴의 오퍼레이션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및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제어 프로세서의 오퍼레이션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같은 전기통신 네트워크는 두 개만 도시된 다수의 DMSU(digital main switching units)(1,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DMSU는 대부분의 경우 전체적으로 상호연결될 것이다. 각각의 DMSU는 DMSU(1)와 부착된 것으로 하나만 도시된 다수의 시내 교환기(3)와 연결될 것이다. 시내 교환기(3)는 전화 서비스 설비를 위해 각각의 회선(4)을 통해 고객 구내 시스템(5)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고객 구내 시스템은 추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회선(4)은 구리 또는 광섬유 또는 무선 상호연결을 포함하는 어떤 다른 적절한 매체 또는 이들을 혼합한 것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DMSUs(1,2) 및 시내 교환기(3)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6)에 응한다. 새로운 서비스 요구는 고객 서비스 시스템(CSS)에 수신된다. CSS(7)는 새로운 서비스 요구를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6)으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6)은 요구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각각의 구성요소를 구성하기 위해 네트워크내 각각의 구성요소로 요구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DMSUs중의 하나는 데이터베이스(9,10)로 액세스를 하는 홈 제어 플랫포옴(8)으로 액세스를 갖고 데이터베이스 각각은 홈 제어 플랫포옴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시내 교환기 및/또는 DMSUs와 관련될 수 있다(연결이 도시되지 않음). 데이터베이스(9,10)는 물론 플랫포옴(8)과 함께 위치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6), CSS(7), 홈 제어 플랫포옴(8), 및 데이터베이스(9,10)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PCT 특허출원 GB95/00853에, 공동 종단 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해 발신신호를 제공할 필요없이 고객 구내내 전화선과 연결된 장치와 통신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시스템은 네트워크의 데이터 채널상에서 C7 시그낼링을 사용하여 운영하고, 원격 측정 인터페이스의 작동에서와 같이 지정 고객 구내 장비와 회선(4)과의 통신 연결을 설치하기 위해 DMSUs(1,2)로부터 시내 교환기(3)까지 시그낼링을 사용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제 도 2를 추가로 참조하면, 고객 구내 시스템(5)중의 하나가 도시되어 있다. 고객 구내 시스템(5)에서, 회선(4)은 종종 네트워크 종단 장비로 언급되는 월 소켓(12)에서 종단되고, 이것은 전화 장비(14), (본 발명의 부분을 형성하지 않는) 원격 측정 인터페이스(11), 및 본 발명에 종속되는 홈 제어 인터페이스(15)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 원격 측정 인터페이스(11)는 스위치 온하기 위한 회선 반전에 따른 톤 신호와 같은 시내 교환기(3)로부터의 지정 신호에 응답하고, 유틸리티 미터(도시되지 않음)를 읽기 위해 네트워크 플랫포옴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한다.
홈 제어 인터페이스(15)는 교환기(3)로부터의 회선 반전에 따른 경보 목적으로 다른 주파수(들)를 사용하는 울림없는 네트워크 시그낼링에 반응한다.
제어 플랫포옴(8)으로부터의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잇따라 수신된 신호는 홈 제어 인터페이스(15)로 명령을 제공하거나, 그로부터 정보를 요구한다.
홈 제어 인터페이스(15)는 일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거나, 또는 좀더 특수하게 차례로 다른 전기적 장치를 제어하는 다수의 모듈 인터페이스(16)와 통신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홈 제어 인터페이스(15)는 제어 프로세서(20) 및 신호 검출기(17), 톤 전송기(18), 및 모듈 인터페이스(16)와의 통신을 위한 추가 시그낼링 인터페이스(19)를 포함한다. 적절한 전력 공급(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주회로로부터 동력이 공급될 가능성이 가장 많은 인터페이스(15)는 NTE(12)로부터 회선을 지속적으로 모니터한다. 만일 신호 검출기(17)가 회선 반전, 즉 시내 교환기(3)로부터의 연결의 A 및 B 레그간의 전압의 스위치를 검출하면, 홈 제어 플랫포옴 통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위한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시그낼링 또는FSK(frequency shift keying) 시그낼링의 형태로 잇따른 정보를 모니터할 것이다. 만일 적절한 경보 신호가 수신되면, 연속적인 신호들은 인터페이스(15)에 의해 취해지도록 요구되는 제어 프로세서(20) 동작을 나타낸다.
정보가 아웃워드 종단 장비(12) 및 네트워크에 의해 홈 제어 플랫포옴(8)으로 반환되는 경우, 톤 전송기(18)는 그러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프로세서(20)에 의해 제어된다. 모듈(15)은 일련의 스위치(S1,S2...Sn)에 의해 일부 회로를 직접적으로 제어 및/또는 그곳에 부착된 회로를 제어하기 위해 모듈 인터페이스(16)와 통신할 수 있다. FSK 인터페이스(19)는 알려진 방법으로 고객 구내 시스템(5)의 주회로상에 겹쳐진 제어 프로세서(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유사하게, 모듈 인터페이스(16)로부터의 신호는 제어 프로세서 시그낼링의 정보 및/또는 인지를 제공하기 위해 FSK 시그낼링을 이용하는 주회로에 의해 반환된다.
도 4를 보면, 모듈 인터페이스(16)중의 하나가 도시되어 있다. 모듈 인터페이스(16)는 마이크로프로세서(21) 및 FSK 인터페이스(22),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릴레이 스위치(SM1), 및 예를 들어 모듈 수를 인터페이스로 할당하기 위해 수동으로 설정될 수 있는 다수의 이진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아이덴티티 선택 메카니즘(23)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의 스위치(SM1)만 도시되어 있지만, 싱글 모듈 인터페이스(16)는 홈 제어 플랫포옴(8)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응하는 다수의 스위치를 제공하므로써 다수의 회로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그러나 가내 주요 공급을 통해 FSK 인터페이스(19,22)를 사용하여 통신을 제공하므로써, 모듈 인터페이스(16)가 적당한 연결기(플러그 및 소켓 설비)에 의해 구내의 일반적인 주요 소켓과 연결이 이뤄질 수 있고, 따라서 장치의 특정 부분에 제한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그러나, 조리기구, 비디오 레코더, 전자렌지, 및 다른 가전기기와 같은 장비의 생산자는 제조하는 동안 모듈 인터페이스의 다른 성분과 함께 FSK 인터페이스(22)를 통합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인식될 것이다. 대신, 모듈 인터페이스(16)의 성분 부분은 영구 배선된 주 소켓 또는 다른 전용 아웃렛으로 통합될 수 있다.
개략적으로, 시스템의 기본 조작은 홈 제어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한 고객이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홈 제어 플랫포옴(8)으로 통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일단 DTMF 시그낼링을 사용하여 플랫포옴과 연결되면, 예를 들어 고객은 제어된 고객 구내 시스템(5)을 식별할 수 있고, 일단 통화 회선 아이덴티티와 같은 미리 배치된 특징 또는 개인 식별번호를 사용하는 적당한 보안 점검에 종속적으로 되면, 홈 제어 플랫포옴(8)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그리로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플랫포옴(8)이 특정한 고객 구내에서의 요구를 수신하자마자, 홈 제어 인터페이스(15)로 경보를 울리고 인터페이스로부터 데이터 덤프를 요구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 구내 시스템(5)으로 통화를 설정할 것이다.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각각의 모듈 인터페이스(16) 및 그 모듈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스위치 각각의 현재 상태를 식별할 것이다. 특정 고객을 위한 홈 제어 데이터베이스내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듈 인터페이스(16) 및 스위치 아이덴티티는 이제 지정 장비 아이템으로 번역될 수 있고, 고객이 요구한다면 제어된 아이템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고객에게 음성으로 알려질 수 있다.
대신, 고객은 DTMF 키 패드를 이용하여 특수 명령으로 입력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장비 부분과 관련된 숫자로 된 아이덴티티의 홈 제어 플랫포옴으로부터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 식별된 바와 같은 특수 장비 부분 또는 모든 적합한 모듈 인터페이스(16)와 관련된 고객으로부터 요구되는 경우, 홈 제어 플랫포옴(8)은 그러한 장비 부분들 각각의 현재 상태 및/또는 요구된 상태 변경과 관련된 어떤 타이밍 정보를 고객에게 음성으로 알릴 수 있다.
다시 DTMF 시그낼링을 사용하면, 고객은 지정된 시각에서의 추가 상태 변경 요구 또는 제어된 장비에 관한 즉각적인 동작 요구를 플랫포옴(8)에 통지할 수 있다. 고객에 의한 각각의 키 동작에 응해서, 플랫포옴은 요구된 아이템의 명칭, 현재 상태, 및 어떤 수신된 타이밍과 함께 요구된 상태 변경을 음성으로 알릴 것이다. 시스템을 통한 전체 안내가 제공될 수 있다.
고객이 홈 제어 플랫포옴에 통화를 하는 동안, 만일 즉각적인 동작이 요구되거나 또는 플랫포옴으로의 고객 통화의 완료 즉시, 플랫포옴은 고객 구내 시스템(5)으로 추가 데이터 통화(울리지 않는 통화)를 설정하고, 만일 있다면 홈 제어 인터페이스에 의해 취해질 동작을 나타내기 위해 인터페이스(15)로의 데이터 덤프를 처리할 것이다.
대안적인 조작 방법에서, 홈 제어 플랫포옴(8)은 고객 구내 시스템(5)에 영향을 미칠 변경 타이밍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서비스 조작이 요구되는 그 시각 또는 대략적인 그 시각에 울림없는 통화를 설정할 수 있다. 이것은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고객 구내 시스템(5)에서 발생하는 국한된 타이밍 오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추가적인 보안 점검에서, 시스템은 홈 제어 인터페이스(15)로부터 주기적인 데이터 덤프를 요구하고, 제어된 장치의 각각의 부분의 현재 상태와 홈 제어 데이터베이스(9,10)에 의해 요구된 상태와 관련하여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금부터 도 1의 홈 제어 플랫포옴(8) 및 홈 제어 인터페이스(15)의 조작을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서비스가 조작적 회선으로부터의 발신 통화가 착수되는 것을 홈 제어 플랫포옴에게 나타내는 시내 교환기에 의해 생성된 통화 회선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바와 같은 고객 구내(5)로부터 발신되는 홈 제어 플랫포옴(8)으로부터의 통화를 참조로 도 2의 인터페이스 모듈(16)의 정의 설정을 먼저 고려하는 것이 편리하다.
도 5d를 참조하면, 고객 자신의 회선 통화는 (통화가 또다른 고객 구내에서의 원격 제어 작동에 영향을 미칠 목적으로 발신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 일단 고객에 의해 확인되면) 도 5d의 "105"에서 시작되는 프로세싱 동작이 발생되도록 한다. 통화가 유효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홈 제어 플랫포옴은 고객의 개인적인 식별 번호를 요구하는 음성 메시지가 단계(110)에서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는 고객으로부터 수신되는 DTMF 숫자로 나타나야 한다. "115"에서 수신된 DTMF 숫자가 데이터베이스(9)에 저장된 대응하는 정보를 참조로 단계(120)에서 식별된 바와 같이 유효한 것으로 가정하면, 플랫포옴은 동작의 옵션을 음성 메시지 목록에 리스트하는 상태(125)로 들어간다. 그러한 동작은 아이템 및 그 각각의 아이덴티티의 리스트 요구, 상태 요구, 변경 요구 또는 정의 요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단계(120)에서 수신된 PIN이 유효하지 않다면, 단계(130)에서 카운터가 예정된 최대 시도 횟수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여, 일단 카운터가 단계(135)에서 증가되면, 고객은 다시 그 PIN을 입력하도록 요구될 것이다. 그러나, 만일 단계(130)에서 PIN 입력 시도 횟수가 예정된 최대값을 초과하면, 통화는 통화하는 고객의 진실성을 설정하기 위해 오퍼레이터에 의한 수동적인 개입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 헬프 데스크와 연결된다(단계(140)).
이제 단계(125)로 돌아가면, 미리 언급된 리스트가 반복되는 경우에, 시스템은 옵션의 반복 요구가 될 수 있는 요구된 고객 동작을 나타내는 DTMF 톤을 모니터하는 것을 계속한다. 그러나, 만일 고객이 단계(150)에서 옵션 리스트에 응하여 전송된 톤 신호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은 정의를 추가 또는 변경하도록 요구하는 경우, 시스템은 고객에게 모듈 인터페이스 번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할 것이다. 모듈 인터페이스 번호는 잇따른 조작에서 4비트 이진 코드로 표시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1 내지 16의 범위내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DTMF 신호가 단계(155)에서 모듈 인터페이스 번호의 형태로 다시 주어지는 경우, 일단 그 유효성이 단계(160)에서 확인되면, 제어 플랫포옴(8)은 모듈 인터페이스 번호 또는 입력된 모듈 엔트리가 새로운 모듈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도 4를 간단하게 참조하면, 입력된 모듈 인터페이스 번호가 고객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될 수 있는, 도 4에 도시된 모듈의 아이덴티티(23)에 대응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만일 새로운 모듈 인터페이스가 시스템에 추가되면, 프로그램 단계(175)에서, 홈 제어 플랫포옴(8)은 모듈의 타입 또는 모듈이 현재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데이터 덤프 요구와 고객 구내안의 홈 제어 인터페이스(15)를 비교할 수 있다. 모듈 타입이 결정되거나, 또는 만일 모듈이 앞서 나타난 바와 같이 현존 모듈인 경우, 시스템은 모듈이 싱글 조작 스위치를 갖는 하나인지 또는 하나 이상의 포트를 갖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모듈이 하나 이상의 포트를 갖는다면, 고객은 아마도 단계(185)에서 잇따른 조작에서 2개 이진수로 표시될 수 있는 1 내지 4 범위에서 포트 번호를 입력하라는 음성 요구를 수신한다. 다시 단계(190)에서, 포트 번호값의 DTMF 표시가 수신되는 경우, 그 유효성이 점검되고, 단계(200)에서 유효한 범위내 번호가 수신되도록 제공되는 경우, 모듈 및 (만일 있다면) 포트의 현존하는 디지털로 저장된 음성 식별이 고객에게 전송될 것이다.
여기서, 단계(160) 및 단계(190) 모두에서, 만일 고객이 범위밖의 수를 입력하거나 또는 시스템이 요구된 모듈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홈 제어 인터페이스로부터의 데이터 덤프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엔트리가 유효하지 않고 또한 그 비유효성의 이유를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를 반환하고, 다시 적절한 모듈 번호 또는 포트 번호를 요구할 것이다. 이제 단계(200)로 돌아가서, 일단 현존 엔트리가 재생되면, 고객은 음성 메시지에 의해 새로운 타이틀을 기록하도록 요구되고, 단계(210)에서 고객으로부터 수신된 어떠한 음성 메시지가 지정된 모듈 및/또는 포트 번호에 대응해 홈 제어 데이터베이스(9,10)에 숫적으로 저장된다. 새롭게 기록된 아이템의 현재 상태(즉, 최근 데이터 덤프로부터 결정된 것과 같은 특정 모듈 및 포트의 상태)가 이제 단계(215)에서 얻어지고, 고객과 함께 정의된 음성 타이틀이 이제 단계(220)로 돌아와 방송될 것이다. 고객은 단계(225)에서 추가 엔트리를 만들도록 요구될 수 있고, 따라서 추가 동작을 위한 옵션이 목록에 리스트되는 경우 및 만일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프로그램을 참조로 단계(460)를 참조하여 전화의 송수화기를 교체하도록 요구된 조작적인 데이터로 추가 변경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단계(125)로 돌아갈 것이다.
보안 이유로, 고객은 원격적으로 모듈 정의를 변경할 수 없지만,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고객 구내 시스템(5)으로부터만은 가능하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제 도 5a 내지 도 5c로 돌아가면, 만일 고객이 모듈(16)중의 어떤 모듈에 부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된 아이템의 상태 변경을 실행하기를 원하는 경우, 단계(305)에서 플랫포옴(8)을 호출할 때 플랫포옴은 착신지 식별, 즉 서비스가 연결되는 고객 구내 시스템의 전화번호를 요구한다. 관련 데이터를 습득하기 위해 적절한 홈 제어 데이터베이스(9)와의 즉각적인 연결이 이뤄질 수 있고(도시되지 않음), 고객 식별을 받은 후(단계(310)), 고객은 단계(315)에서 도 5d의 단계(110)를 참조로 미리 설명된 바와 같이 PIN을 입력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도 5d와 유사한 방법으로, 착신지 PIN의 유효성 및 고객이 착신지 PIN을 정확하게 식별하는데 있어서의 어떠한 실패와 관련된 단계(120 내지 135,325,330,335)는 유효한 정보를 얻기 위해, 그리고 유인 헬프 데스크와의 통화 연결이 안된 경우 시도를 반복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이제 유효한 착신지 PIN이 단계(325)에 들어간다고 가정하면, 시스템은 홈 제어 인터페이스(15)와의 데이터 상호교환을 실행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화를 고객 구내 시스템(5)에 설정하려는 시도를 한다. 따라서, 단계(340)에서 울림없는 통화는 전화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발신 신호를 제공하지 않고 고객 구내 시스템(5)에 필요로 되는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 및 시내 교환기(3) 및 DMSU(1)를 통해 설정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6a를 추가로 참조하면, 신호 검출기(17)가 홈 제어 인터페이스 통화를 나타내는 유효한 톤 신호에 따른 회선 반전을 검출하는 네트워크 종단 장비(12)에 의해 경보를 수신하는 경우, 단계(500)에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어 프로세서(20)로 인터럽트가 전송된다. 제어 프로세서(20)는 경보를 유효하게 하고, 톤 전송기(18)를 사용하여 승인 신호를 반환한다. 플랫포옴(8)에서, 단계(345)에서 전송된 승인 신호는 단계(350)에서 전송되는 상태 데이터 요구를 발생시키고, 다시 신호 검출기(17)에 의해 검출되면, 제어 프로세서(20)로 전송되며, 단계(550)에서 제어 플랫포옴과 뒤로 연결된 모든 모듈 인터페이스에 대한 현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써 단계(515)에서 응답한다. 제어 플랫포옴(8)에서, 전송된 상태 데이터가 확인되고, 고객 구내에서 모듈 인터페이스의 현재 상태가 저장되며, 단계(360)에서 통화가 방출되어 단계(525)에서 홈 제어 인터페이스(15)가 그 일반적인 조작 상태로 돌아가는 결과를 낳는다. 전송된 상태 데이터의 수집은 도 6b를 참조로 후술될 것이다.
만일 단계(340)에서, 시스템이 울림없는 통화 설정에 실패 및/또는 고객 구내 시스템(5)으로부터 어떠한 응답도 수신되지 않는다면, 단계(370)에서 실패 경고가 통화하는 고객에게 방송될 수 있다. 울림없는 통화 시도의 방출후에, 단계(375)에서 고객은 상기한 수동 헬프 데이크와 연결된다. 고객 구내 시스템(5)에서 모듈 인터페이스 및 포트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울림없는 통화를 설정하는 것과 함께, 시스템은 단계(390)에서 옵션 목록을 리스트하고, 단계(395)에서 고객으로부터 수신될 톤을 기다린다.
단계(390)에서 옵션 리스트는 고객이 어떠한 모듈 또는 포트의 정의를 변경할 기회를 제공받지 못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5d의 단계(125)에서의 옵션 리스트와 유사할 것이다. 따라서 단계(395)에서 고객으로부터 수신된 톤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옵션으로는 예를 들어 아이템 리스트, 상태 요구, 또는 변경 요구등이 있다. 고객은 물론 어떤 상황에서 만일 어떠한 DTMF 시그낼링도 단계(395)에서 수신되지 않는다면, 시스템이 하나의 시간주기 후에 할 수 있는 단계(390)로 돌아가는 경우에 옵션 리스트가 반복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단계(395)에서 고객의 아이템 리스트 요구를 먼저 고려하면, 시스템은 각각의 모듈 및 포트에 대해 고객에 의해 미리 주어진 숫자화된 음성 지시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통화하고, 적절한 모듈 인터페이스 번호, 포트 번호, 및 식별을 즉시 설정된 울림없는 통화의 주기동안 결정된 바와 같은 아이템의 현재 상태와 함께 단계(405)에서 고객에게 다시 음성으로 알릴 것이다. 고객은 통화동안 어떠한 지점에서 변경 요구를 입력할 수도 있고, 또는 리스트된 아이템이 반복되도록 요구할 수도 있다. 만일 변경요구가 수신되는 경우, 시스템은 단계(410)에서 고객에게 옵션을 리스트할 수 있고, 명령을 확인하기 위해 톤을 모니터할 것이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03,1 "라운지 조명은 현재 꺼져 있음", "그대로 유지하려면 0을 누르시오", "켜려면 1을 누르시오"를 음성으로 알릴 수 있다. 만일 고객이 1 또는 0을 입력하면, 추가로 모듈 인터페이스 및 포트번호부를 음성으로 알릴 필요없이 적절한 응답이 단계(415)에서 주어진다. 따라서 단계(415)에서 숫자화된 메시지 "라운지 조명 켬" 또는 "라운지 조명을 꺼진채로 둠"을 확인하기 위해 1을 누르거나 또는 "취소하려면 0"의 메시지가 고객에게 음성으로 알려질 수 있다. 만일 고객이 0을 누르면, 시스템은 단계(400)에서 아이템을 리스트하는 것으로 반환할 수 있다. 만일 고객이 1을 누르면, 단계(420)에서 시스템은 추가 정보, 즉 지금 변경이 이뤄지도록 하기 위해 1, 또는 변경이 나중에 이뤄지도록 하기 위해 0을 누르도록 요구할 것이다. 만일 변경이 후에 이뤄지게 되면, 시간, 분의 형태로 먼저 시간을 요구하는 변경의 날짜 및 시간의 음성 요구가 단계(430)에서 이뤄질 수 있고, 달, 일자의 형태로 잇따라 날짜 또는 오늘 확인을 요구하여 유효 시간이 입력된다. 모든 요구된 데이터가 수신되면, 시스템은 변경 세부사항이 "오늘 1900시에 라운지 조명을 켭니다. 확인하려면 1번을, 취소하려면 0번을 누르시오"와 같은 적절한 형태로 고객에게 음성이 다시 안내되도록 한다. 이러한 특징이 단계(445)에 도시되어 있고, 만일 고객이 취해진 동작을 확인하면, 상태 변경 세부사항은 단계(450)에서 기록될 것이다. 고객은 이제 단계(455)에서 추가 동작이 요구되는가하는 질문을 받을 수 있고, 만일 그렇다면 단계(390)의 옵션 리스트로 돌아갈 것이다. 간단한 리스팅이 기술되었지만, 날짜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어떠한 미리 요구된 변경도 고객에게로의 현재 상태 정보 전송에 이어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단계(460)에서 고객이 송수화기를 교체하도록 요구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이제 단계(395)로 가면, 만일 고객이 직접적으로 변경 요구를 입력하는 경우, 고객에게 아이템 리스트를 제공할 필요없이 아이템 번호가 요구된다. 따라서 단계(465)에서 아이템 번호가 요구되고, 수신되는 경우 아이템 및 그 특정 아이템의 현재 상태가 상기한 바와 같이 단계(470)에서 음성으로 안내된다. 아이템 번호가 단계(475)에서 수신되는 때에 (현재 저장된 어떠한 변경 정보와 함께) 지정 아이템 및 현 상태가 단계(405)에서 음성으로 안내되는 경우, 고객이 단계(395)에서 아이템의 상태를 간단하게 요구할 수 있다는 것도 주의해야 한다.
만일 어떠한 지점에서, 제어 플랫포옴(8)으로의 통화주기 동안, 고객이 클리어하거나 추가 정보 변경이 요구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낸다면(단계(225) 및 단계(445) 참조), 단계(480)에서 현재 상태 데이터 및 요구된 데이터는 비교되고, 만일 있다면 이뤄질 변경은 단계(485 내지 495)에서 울림없는 통화 설정에 의해 전송된다. 따라서, 도 6의 단계(515)에서, 만일 홈 제어 인터페이스(15)가 단계(515)에서 상태 요구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단계(490)에서 데이터의 전송을 기다리고, 단계(520,525)에서 수신된 바와 같은 데이터의 유효성을 점검할 것이다. 만일 유효 데이터가 홈 제어 플랫포옴으로부터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단계(53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에러 메시지가 홈 제어 플랫포옴으로 다시 전송될 것이다. 그러나 만일 유효 데이터가 수신되면, 단계(535)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은 동작을 위해 데이터가 저장되고, 단계(540)에서 성공 메시지가 홈 제어 플랫포옴으로 전송된다. 에러 또는 성공 메시지의 전송은 현재 포함된 바와 같은 상태 데이터의 전송에 따르고, (후술될) 감시 인터럽트와 같은 시각이 상태 변경을 활성화할 때까지 시스템에 의해 이뤄진 어떠한 갱신을 반영하지 않을 것이다.
도 5c의 홈 제어 플랫포옴의 동작으로 돌아가면, 시간 주기는 추가적인 울림없는 통화가 홈 제어 플랫포옴에 의해 단계(600)에서 설정되기 전에 경과할 것이다. 단계(605)에서 울림없는 통화가 다시 설치된 후, 상기한 바와 같이 단계(610)에서 상태 데이터가 요구된다. 이것은 단계(615)에서 고객 구내 시스템(5)에 대해 홈 제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현재 상태간의 데이터 비교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만일 어떠한 차이가 검출되는 경우홈 제어 플랫포옴이 고객의 요구를 반영하도록 하기 위해 추가 시도가 이뤄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특정 모듈 인터페이스 및 포트의 일부 연속적인 조작이 고객에 의해 요구됐을 수도 있기 때문에, 각각의 연산이 시간 주기에 의해 분리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플랫포옴은 고객 구내 시스템(5)내 모듈이 고객의 희망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단계(610,615,480 내지 605)에서와 같이 데이터 비교를 처리하는 상태 데이터를 요구하고 새로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주기적으로 거친다.
이제 도 3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어 프로세서(20)는 실시간 시계를 포함하고, 주기적인 간격에서 감시 타이머는 제어 프로세서(20)가 단계(700)에서 시작하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에 들어가고 프로그램을 변경하도록 한다. 단계(705)에서, 모듈 인터페이스 번호는 "0"인 제 1 가능 모듈로 설정되고, 단계(710)에서 아웃렛 번호는 다시 "0"의 제 1 가능 아웃렛으로 유사하게 설정된다. 단계(715)에서 상태 요구가 모듈 및 아웃렛 번호의 형태로 FSK 인터페이스(19)에 의해 가내 주 전기회로로 전송된다. 모듈(16) 각각은 그 자신의 FSK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전송된 모듈 인터페이스 번호 및 아웃렛 번호 및 상태 요구로서 이것을 식별하는 추가 정보를 수신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듈 인터페이스 번호는 일부 다른 방법으로 고객 또는 프리셋 데이터에 의해 작동가능한 일련의 스위치가 될 수 있는 아이덴티티 기억장치(23)에 저장된 아이덴티티가 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는 (만일 1 이상이면) 모듈 번호, 아웃렛 번호, 및 현재 상태를 식별하는 N비트 이진 코드의 형태로 모듈 및 포트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므로써 요구에 응답할 것이다. 이 응답은 단계(72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20)에 의해 홈 제어 인터페이스(15)에 수신되고 저장된다. 수신된 응답은 모듈 및 아웃렛 번호에 대해 요구된 데이터와 비교되고, 만일 그들이 동일하거나 또는 응답이 식별된 스위치가 변경을 위해 수동 무효 동작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특정한 아웃렛 스위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계(730,735)에서 어떠한 추가 동작도 행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만일 활성인 자동 유닛으로부터 동일하지 않은 상태 응답이 수신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1)가 스위치(SM1 내지 SM4)의 상태를 적절하게 변경하도록 하는 FSK 인터페이스(19,22)에 의해 모듈 및 아웃렛에 대해 변경 신호가 전송된다. 단계(740)에서 변경 신호를 전송한 후, 프로세서(20)는 현재 액세스되는 모듈이 추가 아웃렛 스위치를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만일 그렇다면 단계(745)에서 아웃렛 번호를 증가시키며, 모듈 번호상의 다음 아웃렛에 대해 단계(715-740)의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일단 제 1 모듈의 모든 아웃렛이 단계(745)에서와 같이 테스트되고 적용가능하여 갱신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최대 모듈이 단계(755)에서 질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만일 그렇지 않다면 단계(760)에서 모듈 수를 증가시키고, 모든 가능한 모듈 및 아웃렛이 테스트될 때까지 단계(710-745)의 프로세스를 반복할 것이다. 만일 모듈로부터 어떠한 응답도 없거나 또는 모듈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시스템은 추가 모듈을 검사하기 위해 단계를 진행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모든 가능한 모듈의 주기적인 스캐닝은 새로운 모듈이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고 신속하게 식별된다는 것을 보장하고, 도 5를 참조로 상기한 바와 같은 원격 통화가 고객 구내 시스템(5)에서 수신되는 어떠한 때, 홈 제어 인터페이스(15)는 모든 모듈의 현재 상태를 반환하고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26)

  1. 스위치된 통신망에 의해 각각 연결된 다수의 다른 제어된 위치에서 처리될 오퍼레이션을 정의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을 통한 통신에 응하는, 스위치된 통신망과의 연결을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된 위치 각각은 각각의 스위치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통신망으로부터의 시그낼링에 응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갖고,
    제어 시스템은 스위치된 통신망을 통해 제어된 위치 각각으로 통화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며, 각각의 연결된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스위치 각각의 현재 상태를 정의하는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도록 배치된 제어 플랫포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랫포옴은 각각의 스위치의 현재 상태가 알려지도록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플랫포옴은 제어된 위치중의 한 위치에서 각각의 스위치의 상태를 통화하는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 사용자로부터의 통화에 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포옴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위치의 상태 변경 요구를 정의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한 시스템 사용자로부터의 통화 동안 수신된 시그낼링에 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포옴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위치의 상태 변경이 요구되는 시각을 저장하기 위해 추가적인 시그낼링에 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포옴은 그 상태가 요구된 스위치에 의해 제어된 장치의 특징을 정의하는 음성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고객이 정보를 요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에 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음성 안내는 미리 기록된 정보로부터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미리 기록된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한 플랫포옴으로의 전화 통화에 의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음성 안내는 각각의 제어된 위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화 통화에 의해 미리 기록된 정보로부터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포옴은 시스템 사용자가 메시지가 잇따른 전송을 위해 플랫포옴에 의해 저장되는 제어된 위치에서 그 또는 각각의 스위치를 정의하는 음성 메시지를 기록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어된 위치로부터 수신된 통화에 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10. 제 2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 사용자로부터 통화를 받는 즉시, 제어 시스템은 스위치 각각의 현재 상태를 정의하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정의된 각각의 제어된 위치로 통화를 설정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플랫포옴은 제어된 위치에서의 각각의 스위치의 상태와 요구된 상태를 비교하고, 실제 상태와 요구된 상태간의 차이가 검출되는 경우 그러한 스위치의 상태를 변경시키도록 제어된 위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제어된 위치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에 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12. 전화망과 통신 회선간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 및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유닛은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통신 회선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응하고,
    인터페이스는 스위치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통신 회선 신호로 돌아가거나 또는 스위치의 요구된 상태를 나타내는 통신 회선 데이터 신호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유닛이 스위치를 감시하는 제 1 모드로부터 인터페이스 유닛이 통신 회선으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응하는 제 2 모드까지 스위치하기 위해 통신 회선으로부터의 선택적인 경보 신호에 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각각이 제어 수단 및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스위치 제어 모듈로 이루어지고, 제어 수단은 각각의 스위치가 각각의 스위치의 현재 상태를 요구에 따라 나타내는 신호를 작동 및/또는 인터페이스 유닛으로 돌려보내도록 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유닛과 스위치 제어 모듈간의 시그낼링은 전자적 주요 전파회로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와 스위치 제어 모듈간의 시그낼링은 전자적 주요 전파회로에 겹쳐진 시그널된 키되는 주파수 시프트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주파수 시프트 키된 시그낼링은 한 바이트가 다수의 모듈중 하나가 어드레스되는 것을 나타내는 모듈 지정 바이트이고, 하나의 다른 바이트가 요구된 동작을 나타내는 오퍼레이션 바이트인 다수의 바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스위치 제어 모듈 각각은 다수의 스위치를 제어하고, 인터페이스 유닛으로부터의 시그낼링의 추가 바이트는 각각의 관련된 스위치중의 어떤 스위치가 요구된 동작과 관련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데이터 바이트는 동일하지 않은 길이중의 하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19. 제 14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구된 동작이 상태 보고인 경우, 어드레스된 스위치 제어 모듈의 각각의 제어 수단은 주파수 시프트 키된 시그낼링을 지정된 스위치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유닛으로 돌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주파수 시프트 키된 시그낼링은 전기적 주요 전파회로에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21. 제 13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위치 제어 모듈은 모듈이 응답해야 하는 인터페이스 유닛으로부터 모듈 지정을 나타내는 모듈 번호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22. 제 13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퍼레이션의 제 1 모드에서, 인터페이스 유닛은 주기적으로 상태 요구를 원격 제어 유닛 각각으로 전송하고, 시스템내 각각의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결과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유닛은 정해진 시각에 주요 전파회로에 의해 변경 정보를 각각의 스위치 제어 모듈로 전송하므로써 시스템내 스위치중의 한 스위치의 상태가 예정된 시각에 변경되도록 하기 위해 통신 회선으로부터 미리 수신된 저장된 데이터에 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24.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모듈에 있어서,
    모듈은 주요 전파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수단, 제어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그 또는 각각의 스위치의 상태내 변경에 영향을 주기 위해 주요 전파회로에 의해 스위치된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시그낼링에 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25. 제 24 항에 있어서,
    모듈은 그 또는 각각의 스위치를 특징짓는 신호를 주요 전파회로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상태 신호가 관련된 스위치(들)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상태 신호를 그러한 주요 전파회로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주요 전파회로로부터 수신된 시그낼링에 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KR1019980705201A 1996-01-04 1996-12-31 원격 제어 시스템 KR199900770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600096.3 1996-01-04
GBGB9600096.3A GB9600096D0 (en) 1996-01-04 1996-01-04 Remote contro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067A true KR19990077067A (ko) 1999-10-25

Family

ID=1078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201A KR19990077067A (ko) 1996-01-04 1996-12-31 원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115456A (ko)
EP (1) EP0872113B1 (ko)
JP (1) JP2000503186A (ko)
KR (1) KR19990077067A (ko)
AU (1) AU718505B2 (ko)
CA (1) CA2240517C (ko)
DE (1) DE69632071D1 (ko)
GB (1) GB9600096D0 (ko)
MX (1) MX9805268A (ko)
NO (1) NO983086L (ko)
NZ (1) NZ324796A (ko)
WO (1) WO19970258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453B1 (ko) * 2000-08-25 2011-01-21 시코쿠 케이소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원격제어서버, 중앙서버 및 그것들로 구축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8885B1 (fr) * 1997-09-22 2000-05-19 France Telecom Systeme de telesurveillance du dysfonctionnement d'un ou plusieurs appareils installes sur un site
FR2768879B1 (fr) * 1997-09-22 2000-01-21 France Telecom Systeme de telesurveillance du dysfonctionnement d'un ou plusieurs appareils installes sur un site
JP2000184471A (ja) * 1998-12-11 2000-06-30 Nec Corp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方式
US6529589B1 (en) * 1999-05-20 2003-03-04 3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utomation equipment by modem
DE19947100A1 (de) 1999-09-30 2001-04-12 Siemens Ag Verfahren zur Umsetzung einer sprachgebundenen Ausgabe von Gerätezuständen
EP1109393A1 (de) * 1999-12-17 2001-06-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Fernsteuergerät zur Verwendung mit einem Telekommunikationsnetz
US6715069B1 (en) * 2000-04-07 2004-03-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version of an electronic assembly using a unique embedded identification signature for each different version
JP2001339773A (ja) 2000-05-30 2001-12-07 Daikin Ind Ltd 電気機器の遠隔操作システム、電気機器の遠隔操作方法及び電気機器の遠隔操作を行う基地局
US7861272B2 (en) 2000-11-14 2010-12-28 Russ Samuel H Networked subscriber television distribution
US8127326B2 (en) 2000-11-14 2012-02-28 Claussen Paul J Proximity detection using wireless connectivity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20020178258A1 (en) * 2001-05-22 2002-11-28 Hushing Sumner K.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monitoring telemetry data
US6582105B1 (en) * 2001-08-02 2003-06-24 The Will-Burt Company Extendable mast arrangement having a coded remote control system
NZ519636A (en) * 2002-06-18 2005-02-25 Murray Valpy Kennett A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n transducer with an interface and a text generation means which uses short message service (SMS) text messaging as its input and/or output
US7516470B2 (en) 2002-08-02 2009-04-07 Cisco Technology, Inc. Locally-updated interactive program guide
US7908625B2 (en) 2002-10-02 2011-03-15 Robertson Neil C Networked multimedia system
US8046806B2 (en) 2002-10-04 2011-10-25 Wall William E Multiroom point of deployment module
US7360235B2 (en) 2002-10-04 2008-04-15 Scientific-Atlant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peripheral record/playback device in a networked multimedia system
US8094640B2 (en) 2003-01-15 2012-01-10 Robertson Neil C Full duplex wideband communications system for a local coaxial network
BRPI0400430A (pt) * 2004-01-29 2005-09-13 Mordejai Goldenberg Sichman Dispositivo de interface entre linha celular e aparelhos telefônicos fixos, ligados ou não à linha de telefonia fixa e processo de funcionamento
US20060250578A1 (en) * 2005-05-06 2006-11-09 Pohl Garrick G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onitoring, and using remote applications
US20070079341A1 (en) * 2005-10-05 2007-04-05 Scientific-Atlanta, Inc. Dvd multi-room playback after headend conversation
US7876998B2 (en) 2005-10-05 2011-01-25 Wall William E DVD playback over multi-room by copying to HDD
JP4238870B2 (ja) * 2005-12-27 2009-03-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1536535B (zh) * 2006-01-27 2012-07-18 Lg电子株式会社 远程控制设备
US7653443B2 (en) 2007-03-01 2010-01-26 Daniel Flohr Methods, systems, circuit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lectrical service demand management
JP5618957B2 (ja) * 2011-09-20 2014-11-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需給調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6703A (en) * 1986-04-21 1991-02-26 Gray William F Remote supervisory monitoring and control apparatus connected to monitored equipment
JPH07118826B2 (ja) * 1987-09-23 1995-12-18 山武ハネウエル株式会社 ビル管理システム
US4899217A (en) * 1987-12-01 1990-02-06 Smart House Limited Partnership Communication and energy control system for houses
AU3567189A (en) * 1988-05-10 1989-11-29 Canadian Communications Innovations Inc. Remote on/off telephone switching system
US5086385A (en) * 1989-01-31 1992-02-04 Custom Command Systems Expandable home automation system
US5051720A (en) * 1989-11-13 1991-09-24 Secure Telecom, Inc. Remote control system using power line of remote site
US5434973A (en) * 1992-03-17 1995-07-18 Lu; Chao-Cheng Microcontroller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electrical switches
US5544036A (en) * 1992-03-25 1996-08-06 Brown, Jr.; Robert J. Energy management and home automation system
EP0675626B1 (en) * 1994-03-28 2003-01-22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Security system
US5583923A (en) * 1994-04-13 1996-12-10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Telephony network having no-ring telemetry call aborted in favor of incoming telephony cal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453B1 (ko) * 2000-08-25 2011-01-21 시코쿠 케이소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원격제어서버, 중앙서버 및 그것들로 구축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18505B2 (en) 2000-04-13
JP2000503186A (ja) 2000-03-14
NO983086D0 (no) 1998-07-03
NO983086L (no) 1998-09-03
CA2240517C (en) 2001-10-23
WO1997025808A1 (en) 1997-07-17
GB9600096D0 (en) 1996-03-06
CA2240517A1 (en) 1997-07-17
DE69632071D1 (de) 2004-05-06
MX9805268A (es) 1998-10-31
US6115456A (en) 2000-09-05
EP0872113A1 (en) 1998-10-21
AU1205097A (en) 1997-08-01
NZ324796A (en) 2000-03-27
EP0872113B1 (en)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7067A (ko) 원격 제어 시스템
US5136634A (en) Voice operated facsimile machine network
US5109403A (en) System for programming of features of a mobile cellular telephone unit
US5737400A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for accessing subscriber premises equipment using ring suppression
EP0301573A2 (en) Registration of a new cordless telephone to an existing system
US5146489A (en) Dedicated line eliminator for facsimile/telephone systems
US56994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 single telephone line between a facsimile machine, data modem, telephone answering device, and a person
JPS59160360A (ja) 通信方式
GB2256113A (en) Programming of the functions of a cellular radio
US4891834A (en) Recording telephone system equipped with a remote control change-over switch
US7062281B2 (en) Multi-mode paging system
KR19990064286A (ko) 전기통신 스위치
KR0166660B1 (ko) 자동 메모리 다이얼링 회로 및 방법
KR20000002587A (ko) 전화 단말 장치의 안내 전화 번호 디스플레이 방법
CA2217804C (en) Method for silently alerting inbound-only telemetry interface units
CA1291834C (en) Registration of a new cordless telephone to an existing system
CN1207227A (zh) 遥控系统
KR970004825B1 (ko) 국제통신 콜링(calling) 제어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09153949A (ja) 防災通信用交換機及び防災通信用交換機の制御方法
CA2254453C (en) Control of telemetry interface gateway during a voice call
KR100724128B1 (ko)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정보변경 시스템 및 방법
KR0176407B1 (ko) 전화기의 착신호출기능 시험방법
JP3589816B2 (ja) 構内電話交換機
KR960015873B1 (ko) 전화응답 소형교환기
JPH0758865A (ja) ポケットベルコ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