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220B1 -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220B1
KR101010220B1 KR1020080120595A KR20080120595A KR101010220B1 KR 101010220 B1 KR101010220 B1 KR 101010220B1 KR 1020080120595 A KR1020080120595 A KR 1020080120595A KR 20080120595 A KR20080120595 A KR 20080120595A KR 101010220 B1 KR101010220 B1 KR 101010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ntrol
control means
state
standby state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2146A (ko
Inventor
김재영
김광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2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62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3Avoiding failures by using redunda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센서와 엑츄에이터와 연결되어 부여된 고유의 ID에 따라 각각 활성화 상태 및 대기 상태로 이중화되는 다수개의 전자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은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으로 요청메시지를 출력하여 이상상태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발견시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으로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복잡한 전장부품과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차량에 전자제어장치에서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 이를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사고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ECU, 이중화, 활성화, 대기, 전환

Description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Dual apparatus and method for ECU in automotive}
본 발명은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의 부품 및 소프트웨어의 복잡도가 증가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전자제어장치(ECU)를 이중화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특화연구소설립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미래 지능형 자동차 전장용 임베디드 SW플랫폼 기술 개발].
일반적으로 미래 지능형 자동차는 운전자의 안전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생체 및 신체정보기반으로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운전 편의 서비스와 주행 공간의 센서정보를 수집, 융합 및 가공하여 상황인식 기반 통합 안전서비스를 제공하는 주행안전 서비스, 연료절감을 위한 제어 및 공해/오염물질 배출을 감시하는 에코 드라이빙(Eco-driving) 서비스, 텔레매틱스와 다양한 산업이 연계된 컨버젼스 서비스, 능동/수동형 안전 자동차 기술 등의 여러 서비스와 기술들이 적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서비스와 기술들이 적용되기 때문에 전장 시스템의 복잡성이 급증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처리하기 위해 차량내 전자제어장치(ECU)의 수가 급증하고 소프트웨어 크기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차량내 전자제어장치에서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 커다란 위험 요소가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이 치명적인 오류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제어장치(ECU)를 이중화하여 차량의 부품 및 소프트웨어의 복잡도가 증가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오류를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는, 각종 센서와 엑츄에이터와 연결되어 부여된 고유의 ID에 따라 각각 활성화 상태 및 대기 상태로 이중화되는 다수개의 전자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은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으로 요청메시지를 출력하여 이상상태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발견시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방법은, 다수개의 전자제어수단 사이에 상태정보를 주고 받아 활성화(active) 상태와 대기(standby)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에서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으로 요청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메시지의 응답 여부에 따라 상기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을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복잡한 전장부품과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차량에 전자제어장치에서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 이를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사고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는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 및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전자제어부 사이에 상태 정보(자신의 ID)를 주고 받아 각각 활성화 상태 및 대기 상태로 이중화되는데, 기 설정한 ID가 낮은 순서로 활성화 우선순위를 가진다. 물론 그 반대로 ID가 높은 순서로 활성화 우선순위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100)는 각종 센서와 엑츄에이터와 연결되어 각종 센서 및 엑츄에이터(1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타 전자제어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각종 센서 및 엑츄에이터(10)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타 전자제어부(미도시)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부(200)는 상기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100)와 동시에 상기 각종 센서 및 엑츄에이터(1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데, 이때 신호 및 메시지의 송신 기능은 수행을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부(200)는 상기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100)로 요청메시지를 출력하여 이상상태 여부를 모니터링하는데, 상기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100)에서 응답메시지가 없는 경우 이상발생으로 판단하여 자신을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로 전환하여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두개의 전자제어부는 서로 상태정보(자신의 고유 ID)를 주고 받아 활성화(active) 상태와 대기(standby) 상태를 결정한다(S210). 이때 상기 기 설정한 ID가 낮은 순서로 활성화 우선순위를 가진다. 물론 경우에 따라 ID 가 높은 순서로 활성화 우선순위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후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100)와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부(200)는 동시에 각종 센서 및 엑츄에이터(10)로부터 신호 및 타 전자제어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활성화 상태로 결정된 전자제어부(100)에서만 각종 센서 및 엑츄에이터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타 전자제어부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220).
이어서, 상기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100)에서 신호 및 메시지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을 때에 상기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부(200)에서는 상기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로 주기적으로 요청메시지인 heartbeat 메시지를 송신한다(S230).
상기 S230 단계의 요청메시지 송신 후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100)에서 일정시간내에 응답이 있을가를 판단하여 응답이 있는 경우 정상 상태로 판단한다(S240).
그러나, 일정시간 내에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대기상태의 전자제어부(200)는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10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신을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로 전환한다(S250).
이때, 상기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부(200)를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로 전환후, 이전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를 대기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전환메시지(예를 들어 "현재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였습니다.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부를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로 전환하겠습니다")를 출력한다(S260).
한편, 상기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100)는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부(200)로부터 설정주기 동안 요청메시지가 없는 경우, 대기 상태 전자제어부(200)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경고메시지(예를 들어 "현재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주의를 요합니다")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통지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과정을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부 200 :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부

Claims (10)

  1. 각종 센서와 엑츄에이터와 연결되어 부여된 고유의 ID에 따라 각각 활성화 상태 및 대기 상태로 이중화되는 다수개의 전자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은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으로 요청메시지를 출력하여 이상상태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발견시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으로 전환하는 것인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상태 및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은 동시에 상기 각종 센서 및 엑츄에이터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타 전자제어수단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인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에서만 각종 센서 및 엑츄에이터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타 전자제어수단으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인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은
    상기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으로부터 설정주기 동안 요청메시지가 없는 경우, 대기 상태 전자제어수단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전환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인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
  5. 다수개의 전자제어수단 사이에 상태정보를 주고 받아 활성화(active) 상태와 대기(standby)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에서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으로 요청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메시지의 응답 여부에 따라 상기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을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을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으로 전환후, 이전 활성화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을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사용자에게 전환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메시지는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heartbeat 메시지인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개의 전자제어수단에 고유의 ID를 부여하고, 기 설정한 ID가 낮은 순서로 활성화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인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상태 및 대기 상태에서는 동시에 각종 센서 및 엑츄에이터로부터 신호 및 타 전자제어수단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만 각종 센서 및 엑츄에이터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타 전자제어수단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인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상태의 전자제어수단으로부터 설정주기 동안 요청메시지가 없는 경우, 대기 상태 전자제어수단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경고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방법.
KR1020080120595A 2008-12-01 2008-12-01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KR101010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595A KR101010220B1 (ko) 2008-12-01 2008-12-01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595A KR101010220B1 (ko) 2008-12-01 2008-12-01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146A KR20100062146A (ko) 2010-06-10
KR101010220B1 true KR101010220B1 (ko) 2011-01-21

Family

ID=4236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595A KR101010220B1 (ko) 2008-12-01 2008-12-01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2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3887A (zh) * 2017-05-24 2017-08-25 柳州秦合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我保护功能的电气控制系统
KR20200022674A (ko) * 2018-08-23 2020-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고장 처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339B1 (ko) * 2013-11-04 2015-02-06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자 제어 유닛 및 전자 제어 유닛의 동작 방법
KR101662406B1 (ko) 2014-12-15 2016-10-04 두산엔진주식회사 엔진 제어기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DE112019007286T5 (de) * 2019-06-07 2022-04-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ahrzeuginterne steuerungsvorrichtung und fahrzeuginternes steuerungssystem
KR102173984B1 (ko) * 2019-06-27 2020-11-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
KR102456794B1 (ko) * 2019-06-27 2022-10-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
KR102446142B1 (ko) * 2019-06-27 2022-09-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
CN113635919B (zh) * 2021-09-06 2022-12-09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控制执行器的方法、装置、设备以及自动驾驶车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703361A (ko) * 1989-07-17 1992-12-17 원본미기재 차량 탑재용 차량 종합 제어 및 통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703361A (ko) * 1989-07-17 1992-12-17 원본미기재 차량 탑재용 차량 종합 제어 및 통신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3887A (zh) * 2017-05-24 2017-08-25 柳州秦合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我保护功能的电气控制系统
KR20200022674A (ko) * 2018-08-23 2020-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고장 처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452555B1 (ko) 2018-08-23 2022-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고장 처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146A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220B1 (ko)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CN112004730B (zh) 车辆控制装置
JP5999178B2 (ja) 車両用ネットワークの通信管理装置及び通信管理方法
US9891688B2 (en)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two data processing units with high availability, in particular in a vehicle, and device for operating a machine
JP4002182B2 (ja) 自動車における拘束システムのための制御機器
JP2016141160A (ja) 電子制御装置及び電子制御システム
KR20100136223A (ko)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4583017B (zh) 车载通信系统和车载通信方法
JP2006301952A (ja) 車両用usbシステム及び車載無線通信機器
JP6234460B2 (ja) 通信チャネルと接続されている装置を監視する方法、監視装置、及び、車両
KR101039926B1 (ko) 차량용 자기진단 제어 시스템
JP2009302783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の故障検知方法及び故障検知システム
WO2011034052A1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JP2009213092A (ja) 異常箇所特定装置、そ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異常箇所特定システム
KR101297024B1 (ko) 캔통신을이용한 자동차 고장진단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JP2004350137A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
JP2023106156A (ja) 電子制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5614365B2 (ja) データ中継装置、車載ネットワーク
CN111176251B (zh) 网络系统
CN113830096A (zh) 车辆的控制方法、设备及车辆
JP2015112962A (ja) 情報処理装置
CN112217703B (zh) 车载网络系统
JPH04275740A (ja) 車載用多重伝送装置
CN111869167A (zh) 针对监控实体和通信组件的方法和计算机程序、监控实体、通信组件、系统和车辆
JP7471756B2 (ja) 車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