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6223A -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6223A
KR20100136223A KR1020090054467A KR20090054467A KR20100136223A KR 20100136223 A KR20100136223 A KR 20100136223A KR 1020090054467 A KR1020090054467 A KR 1020090054467A KR 20090054467 A KR20090054467 A KR 20090054467A KR 20100136223 A KR20100136223 A KR 20100136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ntroller
network
vehicle
electronic
gatew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291B1 (ko
Inventor
전재욱
손창완
서석현
김진호
윤승현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4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291B1/ko
Publication of KR2010013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60W2050/021Means for detecting failure or mal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로 상이한 복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른 제1 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1 전자제어부와; 제2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른 제2 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전자제어부와; 상기 제1 전자제어부 및 제2 전자제어부로부터 제1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제2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의해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로 변환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1 전자제어부 및 제2 전자제어부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차량 내부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적절하게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뿐 아니라, 예기치 않은 사고의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NETWORK SYSTEM OF IN-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서 서로 상이한 복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호간에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 버스와 같은 일반 차량이나, 군사용 차량(이하, '차량'이라 함)이 점차 고기능/고급화되어가는 추세에 따라 차량의 지능화 기술의 개발이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능화 차량(Intelligent vehicle)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위치나 속도와 같은 상태정보와 차량 외부의 환경정보가 실시간으로 인식 및 검출되어야 하며, 차량이 반자동 또는 사고를 피하기 위하는 등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지능화 차량에서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차량 일부를 제어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Driver assistance system)이나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위험 상황을 경고하는 충돌경고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지능형 센싱 및 제어 알고리즘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차량의 지능화가 높은 수준으로 진화됨에 따라 차량의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레이더 센서, 각종 제어용 모터 등과 같이 부가적인 전자 부품의 수도 급속히 증가되어 가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지능화 차량으로서, 전자부품, 전자제어부(Electronic Control Unit: ECU) 및 스위치 등을 공유된 전선으로 연결하는 차량 내부 네트워크 시스템(In-vehicle network system)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차량 제어용 네트워크 프로토콜인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프로토콜, CAN(Controller Area Network) 프로토콜, FlexRay 프로토콜이 등이 사용된다.
이에, 차량의 주행이나 안전, 기타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센서들이 위와 같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전자제어부 및 액츄에이터와 연결되어, 차량 상태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 내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상기와 같은 모니터링에 따라 차량 내부에서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운전중인 사용자가 이를 미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 중에 차량 내부의 고장으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차량 내부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적절하게 통지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차량 내부에서 엔진, 브레이크 등과 같이 운전자의 생명 및 안전유지와 같은 주요 업무를 담당하는 전자제어부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는 심각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주요 전자제어부의 오류에 대하여 보다 강인한 차량 내부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 중에 차량 내부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적절하게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의 생명 및 안전유지와 관련된 주요 전자제어부에서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다른 전자제어부에서 처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부의 자원을 상황에 맞춰 유동적으로 선택하도록 하여 안전에 대한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른 제1 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1 전자제어부와; 제2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른 제2 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전자제어부와; 상기 제1 전자제어부 및 제2 전자제어부로부터 제1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제2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의해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로 변환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1 전자제어부 및 제2 전자제어부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에서 대역폭이 최대인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제1 전자제어부 및 상기 제2 전자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 전자제어부 및 상기 제2 전자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전자제어부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제2 전자제어부가 상기 제1 전자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전자제어부는 차량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는 주요 전자제어부이고, 상기 제2 전자제어부는 차량의 부가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는 부가 전자제어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장치가 제1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른 제1 버스를 통해 제1 전자제어부의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제2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른 제2 버스를 통해 제2 전자제어부의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수신된 상기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수신된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에 포함된 제1 전자제어부 및 제2 전자제어부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에서 대역폭이 최대인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제1 전자제어부 및 상기 제2 전자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 전자제어부 및 상기 제2 전자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자제어부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제2 전자제어부가 상기 제1 전자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전자제어부는 차량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는 주요 전자제어부이고, 상기 제2 전자제어부는 차량의 부가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는 부가 전자제어부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운전 중에 차량 내부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적절하게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뿐 아니라, 예기치 않은 사고의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의 생명 및 안전유지와 관련된 주요 전자제어부에서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다른 전자제어부에서 처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부의 자원을 상황에 맞춰 유동적으로 선택하도록 하여 안전에 대한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In-vehicle network system)(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1)은 상호 상이한 복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합 관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제어부(10a,10b),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제어부(20a,20b), 적어도 하나의 제3 전자제어부(30a,30b), 게이트웨이 장치(40) 및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자제어부 (10a,10b), 제2 전자제어부(20a,20b), 제3 전자제어부(30a,30b) 각각은 차량의 주행이나 안전, 기타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센서 및 액츄에이터와 소정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의해 연결되어 차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전자제어부(Electronic Control Unit: ECU)로 구현된다.
제1 전자제어부(10a,10b) 상호간은 제1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교환하며 제1 버스(11)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또한, 제2 전자제어부(20a,20b) 상호간은 제2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교환하며 제2 버스(21)를 통해 상호 연결되고, 제3 전자제어부(30a,30b) 상호간은 제3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교환하며 제3 버스(31)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프로토콜, 제2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제3 네트워크 프 로토콜은 상호 상이한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설정되며, 본 발명에서는 제1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프로토콜이고, 제2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CAN(Controller Area Network) 프로토콜이며, 제3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FlexRay프로토콜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1)에서는 LIN 프로토콜, CAN 프로토콜, FlexRay프로토콜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뿐 아니라, 서로 상이한 2개 이상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게이트웨이 장치(40)는 제1 버스(11)를 통해 제1 전자제어부(10a,10b)들과 연결되어 제1 네트워크 프로토콜, 즉 LIN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교환하고, 제2 버스(21)를 통해 제2 전자제어부(20a,20b)들과 연결되어 제2 네트워크 프로토콜, 즉 CAN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교환하며, 제3 버스(31)를 통해 제3 전자제어부(30a,30b)들과 연결되어 제3 네트워크 프로토콜, 즉, FlexRay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교환한다.
여기서, LIN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를 LIN 데이터라 하고, CAN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를 CAN 데이터라 하며, FlexRay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를 FlexRay 데이터라 한다.
한편, 게이트웨이 장치(40)는 제1 전자제어부(10a,10b), 제2 전자제어부(20a,20b) 및 제3 전자제어부(30a,30b) 상호 간이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LIN 데이터, CAN 데이터 및 FlexRay 데이터 상호 간을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제어부(10a,10b)로부터 제2 전자제어부(20a,20b) 로 전 송되는 LIN 데이터는 제1 전자제어부(10a,10b)로부터 제1 버스(11)를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40)로 전송되고, 게이트웨이 장치(40)는 제1 전자제어부(10a,10b)로부터 전송된 LIN 데이터를 분석하여 CAN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게이트웨이 장치(40)는 생성된 CAN 데이터를 제2 버스(21)를 통해 해당 제2 전자제어부(20a,20b)로 전송한다.
제1 전자제어부(10a,10b)와 제3 전자제어부(30a,30b) 상호간 및 제2 전자제어부(20a,20b) 및 제3 전자제어부(30a,30b) 상호간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1)은 상호 상이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호 상이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개별 네트워크에 대하여 네트워크 매니지먼트에 기법에 의한 통합 관리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네트워크 매니지먼트 기법을 사용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1)에서 제1 전자제어부(10a,10b), 제2 전자제어부(20a,20b) 및 제3 전자제어부(30a,30b)는 동일 네트워크 상의 다른 노드를 모니터링하고, 각각의 네트워크 상태를 게이트웨이 장치(40)로 전달한다.
예컨대, 제1 전자제어부(10a,10b), 제2 전자제어부(20a,20b) 및 제3 전자제어부(30a,30b)는 각각에 설정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포함하는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라 게이트웨이 장치(40)로 전송한다.
게이트웨이 장치(40)는 제1 전자제어부(10a,10b), 제2 전자제어부(20a,20b) 및 제3 전자제어부(30a,30b)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모니터링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In-vehicle network system)(1)의 게이트웨이 장치(40)와 디스플레이 장치(5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 장치(40)는 제1 전자제어부(10a,10b)의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 메시지 입출력부(41), 제2 전자제어부(20a,20b)의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메시지 입출력부(42), 제3 전자제어부(30a,30b)의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3 메시지 입출력부(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 입출력부의 개수는 본 발명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In-vehicle network system)(1)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종류의 개수에 대응된다.
게이트웨이 장치(40)는 각 메시지 입출력부(41,42,43)로부터 수신된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통합하여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50)에 대응하도록 변환하는 데이터 비교 변환부(44), 데이터 비교 변환부(44)에서 출력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50)로 출력하는 제4 메시지 입출력부(45) 및 데이터 비교 변환부(44)의 비교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46)를 더 포함한다.
게이트웨이 장치(40)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각 메시지 입출력부(41,42,43)로부터 수신되는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각 전자제이부(10a,10b,20a,20b,30a,30b)의 네트워크 상태를 파악한다.
구체적으로, 각 전자제어부(10a,10b,20a,20b,30a,30b)는 네트워크 매니지먼트를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데이터 비교 변환부(44)는 각 전자제이부(10a,10b,20a,20b,30a,30b)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통합 및 비교하여, 주기적으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 횟수 및 시간을 파악하여 각 전자제어부(10a,10b,20a,20b,30a,30b)에 대한 오류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 비교 변환부(44)는 각 네트워크 상태를 기존의 상태와 비교하여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전체 전자제어부(10a,10b,20a,20b,30a,30b)의 네트워크 상태를 통합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50)에서 수신 가능한 메시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는 제4 메시지 입출력부(45)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50)로 전송된다.
데이터 비교 변환부(44)에서 생성된 네트워크 상태의 통합 데이터는 시간정보와 함께 실시간으로 데이터 저장부(46)에 저장된다.
여기서, 데이터 비교 변환부(44)는 소정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이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실행시키는 마이컴, CPU 등의 프로세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게이트웨이 장치(40)는 OSEK/VDX의 차량용 실시간 운영체제를 사용하여 모든 태스크 실행의 데드라인 실행 시간을 넘지 않도록 보증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시간의 신뢰성을 높게 보장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50)는 게이트웨이 장치(40)로부터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5 메시지 입출력부(51), 수신된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를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52) 및 데이터 변환부(52)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3)를 포함한다.
제5 메시지 입출력부(51)는 디스플레이 장치(50)에서 지원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의해 게이트웨이 장치(40)로부터 전체 전자제어부(10a,10b,20a,20b,30a,30b)에 대한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다.
데이터 변환부(52)는 수신된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53)가 표시 가능한 포맷의 신호로 변환하고, 디스플레이부(53)는 데이터 변환부(5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53)는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데이터 변환부(5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에 표시되게 처리하는 패널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은 LCD, LED 패널 등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별도의 프로젝터 장치 등으로 연결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부의 통합 네트워크 상태정보의 표시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3)에 표시되는 표시화면(60)은 각 전자제어부의 오류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차량의 형태(61), 각 전자제어부의 상태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표시화면(60)은 각 전자제어부 별로 정상상태(62), 순간적으로 전자제어부가 정지된 상태(63), 일정 시간이 지나 네트워크에서 제외된 상태(64)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차량에 장착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기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본 발명에서는 대역폭이 최대인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50)(예컨대, MOST 라고도 한다)를 통해 상태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제어부(10a,10b), 제2 전자제어부(20a,20b) 및 제3 전자제어부(30a,30b) 각각은 엔진, 브레이크와 같은 차량 사용자의 생명 및 시스템 안전유지와 같은 크리티컬한 기능을 담당하는 주요 전자제어부와, 에어컨이나 파워 윈도우 등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부가 전자제어부로 분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0)는 표시화면(60) 상에 각 전자제어부의 모니터링 결과 상태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전자제어부가 주요 전자제어부인지, 부가 전자제어부인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화면(60)은 오류가 발생한 주요 전자제어부의 핵심 기능을 처리 가능한 부가 전자제어부 목록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된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부가 전자제어부는 고유의 부가 업무 대신에 선택된 주요 업무를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50)는 탑승자 안전레벨과 같은 기준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탑승자의 생명 유지를 위한 중요도에 따라서 각 전자제어부에 가중치를 두고, 특정 전자제어부로부터 오동작으로 판단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등의 상태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가중치 만큼 점수를 감하여 차량의 탑승자 안전레벨을 다운시킬 수 있다.
예컨대, 레벨 5가 차량의 상태가 가장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는 최대값으로 설정된 경우, 레벨 4인 경우에는 에어컨 및 공조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경미한 상태, 레벨 3 이하는 탑승자의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상태라고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벨 3 이하인 경우 사용자는 부가 전자제어부가 고유의 기능을 포기하고, 오류가 발생한 주요 전자제어부에 할당된 주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으로 예를 들면, 엔진의 스로틀 벨브 제어를 담당하는 주요 전자제어부가 상태이상을 일으키면,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주요 전자제어부의 상태이상 및 안전 레벨을 표시한다.
이에,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안전 레벨이 3 이하가 되어 사용자의 안전이 위험하다는 경고 및 "부가 기능을 포기하고 안전 레벨을 높이시겠습니까?"라는 선택문을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안전 레벨을 높이는 선택을 하면, 사용 가능한 부가 전자제어부 즉, 모니터, 스피커, 에어컨 등를 담당하는 부가 전자제어부를 표시하고, 운전자가 표시된 목록 중 에어컨을 담당하는 부가 전자 제어부를 선택하면, 해당 부가 전자제어부는 에어컨 기능은 수행하지 않고 대신 스로틀 밸브 제어의 핵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 장치(40)는 네트워크 모니터링을 통해 전체 전자제어부의 상태를 판단하고,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50)로 전송하며, 디스플레이 장치(50)의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통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여 핵심 기능을 수행하도록 선택된 부가 전자제어부에 오류가 발생한 주요 전자제어부에 할당되었던 핵심 기능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전송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1)에 있어서, 그 제어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 장치(40)는 전자제어부(10a,10b,20a,20b,30a,30b)로부터 수신되는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S11).
게이트웨이 장치(40)는 수신된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통합 및 비교하여,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를 생성한다(S12). 여기서, 게이트트웨이 장치(40)는 생성된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40)는 단계 S12에서 생성된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50)에서 수신 가능한 메시지로 변환한다(S13).
단계 S13에서 변환된 메시지는 디스플레이 장치(50)로 전송된다(S14).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차량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가지는 장치로서, 가장 큰 네트워크 대역폭을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수신된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53)에서 표시 가능한 신호로 변환한다(S15).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단계 S15에서 변환된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16). 단계 S16에서 표시되는 정보에 주요 전자제어부의 상태이상이 포함되는 경우, 표시화면(60)에는 해당 주요 전자제어부의 상태이상 정보뿐 아니라, 상태 이상이 발생한 주요 전자제어부의 기능을 수행 가능한 부가 전자제어부의 목록을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는 단계 S16의 표시화면(60)에서 주요 전자제어부의 기능을 소정 부가 전자제어부가 수행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S17).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단계 S17의 선택 정보를 게이트웨이 장치(40)로 전송하고, 게이트웨이 장치(40)는 단계 S17에서 선택된 부가 전자제어부에 상태 이상이 발생한 주요 전자제어부의 핵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송한다(S18).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부의 통합 네트워크 상태정보의 표시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10a,10b : 제1 전자제어부 11 : 제1 버스
20a,10b : 제2 전자제어부 21 : 제2 버스
10a,10b : 제1 전자제어부 31 : 제3 버스
40 : 게이트웨이 장치 50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0)

  1. 서로 상이한 복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른 제1 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1 전자제어부와;
    제2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른 제2 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전자제어부와;
    상기 제1 전자제어부 및 제2 전자제어부로부터 제1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제2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의해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로 변환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1 전자제어부 및 제2 전자제어부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에서 대역폭이 최대인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제1 전자제어부 및 상기 제2 전자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 전자제어부 및 상기 제2 전자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전자제어부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제2 전자제어부가 상기 제1 전자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제어부는 차량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는 주요 전자제어부이고,
    상기 제2 전자제어부는 차량의 부가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는 부가 전자제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6. 서로 상이한 복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장치가 제1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른 제1 버스를 통해 제1 전자 제어부의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제2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른 제2 버스를 통해 제2 전자제어부의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수신된 상기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수신된 통합 네트워크 상태 메시지에 포함된 제1 전자제어부 및 제2 전자제어부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에서 대역폭이 최대인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제1 전자제어부 및 상기 제2 전자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 전자제어부 및 상기 제2 전자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제어부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제2 전자제어부가 상기 제1 전자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제어부는 차량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는 주요 전자제어부이고,
    상기 제2 전자제어부는 차량의 부가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는 부가 전자제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90054467A 2009-06-18 2009-06-18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73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467A KR101073291B1 (ko) 2009-06-18 2009-06-18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467A KR101073291B1 (ko) 2009-06-18 2009-06-18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223A true KR20100136223A (ko) 2010-12-28
KR101073291B1 KR101073291B1 (ko) 2011-10-12

Family

ID=4351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467A KR101073291B1 (ko) 2009-06-18 2009-06-18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29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97160A1 (en) * 2014-01-15 2015-07-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switching a mode of a vehicle
KR101715331B1 (ko) * 2016-01-19 2017-03-27 울산과학기술원 복수의 통신 방식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차량용 통신 송수신기
KR20190029012A (ko) * 2017-09-11 2019-03-20 주식회사 만도 통합형 ecu
KR20190029994A (ko) * 2017-09-13 2019-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제어 장치의 진단 방법 및 장치
KR20190065588A (ko) * 2017-12-04 2019-06-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 통신 시스템
CN110290980A (zh) * 2017-02-28 2019-09-27 奥迪股份公司 具有分成多个分开的域的数据网络的机动车及用于运行数据网络的方法
CN112291194A (zh) * 2020-09-27 2021-01-29 上海赫千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车载网络中ecu的状态管理方法、装置及智能汽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261B1 (ko) * 2013-06-07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 전자제어시스템의 오작동 진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814B1 (ko) * 2006-02-16 2007-12-18 주식회사 오토전자 자동차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게이트웨이
JP2009027245A (ja) * 2007-07-17 2009-02-05 Fujitsu Ten Ltd 変換ユニット、変換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97160A1 (en) * 2014-01-15 2015-07-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switching a mode of a vehicle
US9751422B2 (en) * 2014-01-15 2017-09-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switching a mode of a vehicle
KR101715331B1 (ko) * 2016-01-19 2017-03-27 울산과학기술원 복수의 통신 방식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차량용 통신 송수신기
CN110290980A (zh) * 2017-02-28 2019-09-27 奥迪股份公司 具有分成多个分开的域的数据网络的机动车及用于运行数据网络的方法
US11438343B2 (en) 2017-02-28 2022-09-06 Audi Ag Motor vehicle having a data network which is divided into multiple separate domain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ata network
KR20190029012A (ko) * 2017-09-11 2019-03-20 주식회사 만도 통합형 ecu
KR20190029994A (ko) * 2017-09-13 2019-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제어 장치의 진단 방법 및 장치
KR20190065588A (ko) * 2017-12-04 2019-06-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 통신 시스템
CN112291194A (zh) * 2020-09-27 2021-01-29 上海赫千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车载网络中ecu的状态管理方法、装置及智能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291B1 (ko)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291B1 (ko)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991177B2 (en) Method for processing vehicle fault,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US7801162B2 (en) Gateway device, network system and data converting method applied to vehicle using plurality of network protocol different from each other
US6629033B2 (en) Open communication system for real-time multiprocessor applications
WO2019021403A1 (ja) 制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車載中継装置
US11348495B2 (en) Image display system for vehicle
JPS62161037A (ja) 車両に搭載される総合診断装置
KR20140036954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시스템
US11713007B2 (en) Configurable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of use
KR101673780B1 (ko) 고장진단 제어방법
KR101010220B1 (ko) 차량내 전자제어 시스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EP3466742B1 (en) System for managing, identifying and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propulsion batteries of an electric vehicle
KR20110083962A (ko) 차량 진단 기능을 가지는 avn 단말기 및 차량 진단 방법
JP2009213092A (ja) 異常箇所特定装置、そ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異常箇所特定システム
JP2014031077A (ja) 車両動作検証システム
KR101039926B1 (ko) 차량용 자기진단 제어 시스템
US20210163025A1 (en) Vehicle-mounted communication system, data acquisition device, management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US11573568B2 (en) Function-oriented electronics architecture
EP3651418B1 (en) Network system
WO2020012822A1 (ja) 演算システム、演算装置
JP5700426B2 (ja) 車両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5292131A (zh) 用于通知车辆信息的装置及其方法
JP4258460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故障診断方法
CN117615939A (zh) 车辆系统
JP2008041425A (ja) ヒューズ監視装置およびヒューズ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