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172B1 - 연료 탱크용 덮개체 - Google Patents

연료 탱크용 덮개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172B1
KR101010172B1 KR1020057001552A KR20057001552A KR101010172B1 KR 101010172 B1 KR101010172 B1 KR 101010172B1 KR 1020057001552 A KR1020057001552 A KR 1020057001552A KR 20057001552 A KR20057001552 A KR 20057001552A KR 101010172 B1 KR101010172 B1 KR 101010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evel
fuel tank
guide
cov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1577A (ko
Inventor
다나카도모유키
고이데시게키
Original Assignee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23956A external-priority patent/JP40260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2395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97516B2/ja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1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02M37/103Mounting pumps on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01F23/36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using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17Fuel level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3/00Controlling delivery of fuel or combustion-ai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3/003Controlling the feeding of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 Failure or leakage prevention; Diagnosis or detection of failure; Arrangement of sensors in the fuel system; Electric wiring; Electrostatic dis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76Details of the fuel feeding system related to the fuel tank
    • F02M37/0082Devices inside the fuel tank other than fuel pumps or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33Gasoline tank c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제조가 쉬운 연료 탱크용 덮개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연료 탱크의 개구를 막는 덮개부(2)와 상기 연료 탱크 내에 수납되는 액면 검출 유닛(3)과 상기 액면 검출 유닛(3)이 고정되는 고정부인 브래킷(4)을 덮개부(2)에 설치한 연료 탱크용 덮개체(1)에서 덮개부(2)와 브래킷(4)을 수지로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 탱크용 덮개체{FUEL TANK COVER BODY}
본 발명은 연료 탱크의 개구를 막는 덮개부에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을 검출하는 액면 검출 유닛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설치한 연료 탱크용 덮개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료 탱크의 개구를 막는 덮개부에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을 검출하는 액면 검출 유닛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설치한 것에 대해서는 일본 공개 실용신안 공보 평1-118327호 등이 있다.
상기 발명은 커넥터 로크부와 상기 액면 검출 유닛을 사전에 일체로 형성한 브래킷을 덮개부의 성형시에 인서트 성형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덮개부를 성형하기 전에 상기 액면 검출 유닛을 구비한 상기 브래킷 등의 부품을 형성해 둘 필요가 있어, 성형시의 작업이 번잡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제조가 쉬운 연료 탱크용 덮개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연료 탱크의 개구를 막는 덮개부와 상기 연료 탱크 내에 수납되는 액면 검출 유닛과, 상기 액면 검출 유닛이 고정되는 고정부를 상기 덮개부에 설치 한 연료 탱크용 덮개체에서 상기 덮개부와 상기 고정부를 수지로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조가 쉬운 연료 탱크용 덮개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부를 2개의 판부와 상기 판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조가 쉽고, 또 상기 고정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연료 탱크용 덮개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부를 통형상체로 하고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에 상기 통형상체의 벽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조가 쉽고, 또 상기 고정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연료 탱크용 덮개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부를 그 단면 형상이 장방형인 통형상체로 하고,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에 상기 통형상체의 긴 변의 벽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조가 쉽고, 또 상기 고정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연료 탱크용 덮개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덮개부의 판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투영한 상기 액면 검출 유닛과 상기 고정부와 조립된 투영 부분에 상기 덮개부의 중심점을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덮개부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고,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또 비교적 큰 부위인 브래킷이 중심 위치가 되므로 성형시에 응력이 걸리기 어려워, 변형되기 어려운 연료 탱크용 덮개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액면 검출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로의 조립 방향으로 연장된 피(被)가이드부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가이드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에 상기 액면 검출 유닛에 접촉하여 상기 조립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벽을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조가 쉽고, 또 수지로 형성한 고정부에 액면 검출 유닛을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연료 탱크용 덮개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액면 검출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로의 조립 방향으로 연장된 피가이드부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가이드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에 접촉하여 상기 조립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벽을 상기 액면 검출 유닛에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조가 쉽고, 또 수지로 형성한 고정부에 액면 검출 유닛을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연료 탱크용 덮개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실시예의 조립전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C선의 단면도,
도 6은 실시예의 액면 검출 유닛의 배면도,
도 7은 도 3의 D-D선의 단면도,
도 8은 도 1 중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9는 실시예의 코드 클램프의 사시도 및
도 10은 도 1 중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코드 클램프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덮개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자동차 등의 차량에 적용한 경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덮개체(1)는 덮개부(2)와 액면 검출 유닛(3)을 고정하는 고정부인 브래킷(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덮개부(2)와 브래킷(4)은 수지,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2)는 도시하지 않은 연료 탱크에 설치된 개구를 막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액면 검출 유닛(3)은 도시하지 않은 연료 탱크의 액면에 뜨는 도시하지 않은 플로트에 연동하는 플로트 아암(5a)과 상기 플로트 아암(5a)의 회전 운동을 따라 움직이는 아암 홀더(5b)와 상기 아암 홀더(5b)가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축을 지지하는 본체 프레임(6)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회로 기판(7)과 회로 기판(7) 위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접점(8a)을 구비하고, 또 아암 홀더(5b)에 고정되는 접점 유지부재(8b)와 회로 기판(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9)와 상기 단자(9)와 도시하지 않은 외부 회로를 접속하는 리드선(10)을 구비하고, 액면의 변동에 따라 상기 플로트, 플로트 아암(5a), 아암 홀더(5b)를 통해서 슬라이딩 접점(8a)이 회로 기판(7) 위를 슬라이딩함으로써 회로 기판(7)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저항체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 변동을 리드선(10)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외부 회로에 출력하는 것이다.
플로트 아암(5a)은 금속제의 봉(棒) 형상으로 그 선단부에 액면에 뜨는 도시 하지 않은 플로트를 구비하고 있다. 또, 다른쪽 단부(5c)는 굽어져 있다.
아암 홀더(5b)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플로트 아암(5a)의 굽어진 단부(5c)가 관통하는 구멍(11)을 갖는 유지부(12)를 구비하고, 또 플로트 아암(5a)을 양측에서 유지하는 유지편(1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지부(12)와 유지편(13)에 의해 플로트 아암(5a)은 아암 홀더(5b)에 위치가 결정되어 고정되어 있다.
아암 홀더(5b)로의 플로트 아암(5a)의 조립은 플로트 아암(5a)의 단부(5c)를 유지부(12)의 구멍(11)에 삽입하고, 유지부(12)에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유지된 단부(5c)의 축을 중심으로 축부(14)의 축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켜서, 아암 홀더(5b)의 유지편(13)을 탄성 변형시켜 플로트 아암(5a)을 유지함으로써 플로트 아암(5a)의 회전 운동을 저지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조립함으로써, 플로트 아암(5a)을 아암 홀더(5b)에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아암 홀더(5b)는 아암 홀더(5b)의 회전 운동 지점인 2개의 축부(14)가 본체 프레임(6)의 2개의 이간된 베어링부(15, 16)에서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종래에 비해 간단하며 축부(14) 방향으로 얇은 구조이다.
회로 기판(7)은 세라믹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도전체(17)나 도시하지 않은 저항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로 기판(7)은 본체 프레임(6)에 고정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6)에는 회로 기판(7)을 수납하는 오목부(18)를 구비하고 있고, 사각형의 회로 기판(7)과 서로 마주하는 한변에 각각 걸어 고정하는 걸림 고리(19)를 구비한 탄성편(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림 고리(19)를 구비한 탄성편(20)에 의해 회로 기판(7)은 오목부(18)를 구성하는 측벽(18a)측에 밀어 붙여 고정된 다. 단자(9)는 금속제이며 판 형상 부재를 절곡 가공하여 형성한 것이다.
액면 검출 유닛(3)의 고정부인 브래킷(4)의 형상은 통형상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형상체의 단면 형상은 장방형이고, 상기 통형상체의 벽은 긴 변이 되는 판부(21a) 2개, 짧은 변이 되는 판부(21b) 2개로 구성되어 있고, 긴 변이 되는 판부(21a) 사이를 연결부(21c)로 연결하고 있다. 이 경우, 통형상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짧은 변이 되는 판부(21b)도 연결부에 포함된다.
본 실시예의 브래킷(4)은 한장의 판과 그것을 보강하는 리브를 설치한 형상에 비해 다각형인 사각 형상을 겹쳐 놓은 것이므로 변형되기 어렵다. 상기 사각형도 가능하다면 정다각형인 정방형이 바람직하지만, 제품의 크기 등의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가능한한 정방형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브래킷(4)을 형성함으로써 브래킷(4)을 덮개부(2)에 일체로 형성한 경우에, 성형시의 수지의 경화에 의한 수축 등에 의해 브래킷(4)이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변형되기 어려운 형상이므로 브래킷(4)은 덮개부(2)에 대해 설계한 그대로의 각도, 본 실시예에서는 직각인 각도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브래킷(4)의 덮개부(2)에 대한 각도는 직각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임의의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브래킷의 단면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면이 반원형인 통형상체이어도 좋다. 또, 연결부(21c)가 브래킷(4)과 동일한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면 납득이 가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브래킷(4)과 동일한 길이일 필요는 없다.
브래킷(4)에 설치한 긴 변이 되는 2개의 판부(21a)의 한쪽 외면에는 액면 검출 유닛(3)을 안내하는 가이드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22)는 브래킷(4)에 일체로 2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면이 コ자 형상(또는 옆으로 기울어진 U자 형상)의 가이드벽(23)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서로 개방된 개방부(24)가 서로 마주하고 있다. 2개의 가이드부(22)를 접속하는 부분이 접속부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판부(21a)가 접속부에 해당한다.
가이드벽(23)에는 가이드벽(23)의 일부를 사각 형상의 홈으로 만들어 형성한 계합부(25)를 구비하고 있다. 또, 계합부(25)는 가이드벽(23)을 2개로 나누고, 상기 가이드벽(23) 사이에 홈을 만들어 형성해도 좋다.
상기 가이드부(22)에 의해 안내되는 액면 검출 유닛(3)의 본체 프레임(6)은 합성 수지인 폴리아세탈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 프레임(6)에 가이드부(22)에 의해 안내되는 피가이드부로서 돌출한 돌출편(26)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편(26)은 4개가 형성되어 있고(도 3 참조), 도 3 중 좌우에 설치된 돌출편(26)은 각각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편(26)이 가이드벽(23) 내에 꼭 들어맞음으로써 돌출편(26)이 가이드벽(23)에서 안내되는 것이다.
그리고, 좌우에 설치된 한쌍의 돌출편(26)의 한쪽에는 계합부(25)에 걸어 고정하는 계지부(27)를 구비한 탄성편(2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28)은 좌우 각각에 설치한 상하 한쌍의 돌출편(26)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도 3 참조). 또, 탄성편(28)은 돌출편(26)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본체 프레임(6)에서 직접 설치해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계지부(27)는 계합부(25)에 합치하도록 사각 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계지부(27)가 계합부(25)에 끼워져 액면 검출 유닛(3)은 가이드부(22)에서 안내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 각 돌출편(26)의 측면의 일부와 탄성편(28)의 선단부에는 둥근스러움을 띠는 돌출부(2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29)가 가이드벽(23)의 안쪽 면(30)에 접하여 가이드부(22) 사이에 압입되어 있다. 그러므로, 액면 검출 유닛(3)은 가이드부(22) 사이에서 덜거덕거리지 않는다.
또, 가이드벽(23) 사이를 접속하는 브래킷(4)의 일부로서 접속부인 판부(21a)의 한쪽에 돌출벽(32)을 3개 형성하고 있다. 상기 돌출벽(32) 사이에는 오목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벽(32)은 액면 검출 유닛(3)에 접촉하는 것이며, 또, 액면 검출 유닛(3)을 브래킷(4)에 조립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벽(23)에는 리드선(10)을 고정하는 코드 클램프(34)와 코드 클램프(34)에서 리드선(10)이 빠지지 않도록 빠짐 방지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코드 클램프(34)는 그 단면 형상이 고리형이고, 개구부(34a)를 구비하고 있으며 코드 클램프(34) 내의 폭은 리드선(10)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 빠짐 방지부(35)는 돌기 형상이며, 개구부(34a)에서 리드선(10)이 어긋나 빠지지 않도록 또 코드 클램프(34)에 리드선(10)을 끼워 넣기 쉽도록 코드 클램프(34)로부터 리드선(10)의 두께 이상 열린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3, 도 4, 도 9, 도 10). 또, 도 1 중의 화살표 방향에서 코드 클램프(34)와 빠짐 방지부(35)를 본 경우(도 10), 리드선(1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코드 클램프(34)의 개구부(34a) 부분을 마치 빠짐 방지부(35)로 막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리드선(10)이 코드 클램프(34)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빠짐 방지부(35)의 코드 클램프(34)에 대한 위치는 리드선(10)이 코드 클램프(34)를 통과하는 방향(즉, 도 1 중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경우에 개구부(34a)에 대해 리드선(10)의 선 두께 이하이면 좋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도 1 중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경우에 개구부(34a)를 막도록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리드선(10)이 코드 클램프(34)를 통과하는 방향(즉, 도 1 중의 화살표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에서 본 경우에, 코드 클램프(34)에서 리드선(10)의 두께 이상 열린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 액면 검출 유닛(3)을 브래킷(4)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액면 검출 유닛(3)의 돌출편(26)을 가이드벽(23)에 끼워 넣고, 액면 검출 유닛(3)을 브래킷(4)을 따라 슬라이드시켜 가이드벽(23)을 따라 돌출편(26)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계지부(27)는 탄성편(28)이 굽혀져 가이드벽(23)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벽(23)의 계합부(25)를 설치한 부분에 계지부(27)가 도달하면, 탄성편(28)에 의해 가이드벽(23)의 내면을 누르고 있던 계지부(27)가 계합부(25)에 끼워져 걸어 고정되어, 액면 검출 유닛(3)이 브래킷(4)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벽(23)을 따라 액면 검출 유닛(3)을 안내 이동시켜 계지부(27)를 계합부(25)에 걸어 고정하는 것만으로 액면 검출 유닛(3)의 브래킷(4)으로의 고정이 완료되므로 나사 등의 고정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액면 검출 유닛(3)을 고정부인 브래킷(4)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쉬워 진다.
또, 브래킷(4)의 접속부인 판부(21a)에 돌출벽(32)을 형성함으로써 액면 검출 유닛(3)을 브래킷(4)에 조립할 때, 액면 검출 유닛(3)과 브래킷(4)과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고, 본체 프레임(6)을 쉽게 이동 가능하게 하며, 조립이 쉬워 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벽(32)을 브래킷(4) 등의 고정부측에 설치했지만,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체 프레임(6) 측에 설치해도 본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액면 검출 유닛(3)의 본체 프레임(6)의 브래킷(4)과의 대향면의 일부에는 오목부(33)(도 6 중, 사선부로 나타내는 부분이 오목부(33))가 형성된다. 이는 돌출부(32)와의 접촉 면적을 더욱 감소시키고, 또 조립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액면 검출 유닛(3)과 브래킷(4) 등의 고정부와의 접촉 면적이 크고, 액면 검출 유닛(3)을 고정부를 따라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특히 유효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돌출벽(32)은 끊어지는 부분이 없는 연속한 것이었지만,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 분단하여 점접촉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점접촉하는 돌출벽을 상기 조립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형성된다.
또, 본 실시예의 덮개부(2)에는 리드선(10)이 도시하지 않은 땜납으로 접속되는 단자(36)와 상기 연료 탱크 안과 밖을 연결하는 파이프부(37)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단자(36)는 커넥트부(38)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커넥트부(38)에 의해 액면 검출 유닛(3)으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계기 등에 출력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부(37)에 접속되어 연료 탱크 내로 연장되는 금속제의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지만,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는다.
또,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부(2)의 판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도 1 중의 화살표 방향)에서 투영한 액면 검출 유닛(3)과 브래킷(4)과 조립된 투영 부분(U)에 덮개부(2)의 중심점(C)을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조가 쉬운 연료 탱크용 덮개체를 제공할 수 있고, 또 덮개부(2)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소형화를 달성할 수가 있다. 또, 연료 탱크용 덮개체(1)를 구성하는 부위 중에서 비교적 큰 브래킷(4)이 중심 위치가 되므로 연료 탱크용 덮개체(1)의 성형시에 응력이 걸리기 어려워, 변형되기 어려운 연료 탱크용 덮개체(1)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료 탱크용 덮개체에 적절하고, 특히 액면 검출 유닛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한 연료 탱크용 덮개체에 적절하다.

Claims (7)

  1. 연료 탱크의 개구를 막는 덮개부, 상기 연료 탱크 내에 수납되는 액면 검출 유닛 및 상기 액면 검출 유닛이 고정되는 고정부를 상기 덮개부에 설치한 연료 탱크용 덮개체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와 상기 고정부를 수지로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를, 상기 덮개부의 판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단면 형상이 2개의 긴변이 되는 판부와, 2개의 짧은 변이 되는 판부로 이루어지는 장방형의 통형상체로 하고,
    상기 통형상체의 내부에 상기 통형상체의 긴 변의 벽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설치하고,
    상기 덮개부의 판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에서 투영한 상기 액면 검출 유닛과 상기 통형상체의 외면이고, 또한 상기 2개의 긴 변이 되는 판부의 한쪽에 상기 액면 검출 유닛을 고정한 상기 고정부와 조립된 투영 부분에 상기 덮개부의 중심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용 덮개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면 검출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로의 조립 방향으로 연장된 피가이드부 및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가이드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에 상기 액면 검출 유닛에 접촉하여 상기 조립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용 덮개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면 검출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로의 조립 방향으로 연장된 피가이드부 및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가이드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에 접촉하여 상기 조립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벽을 상기 액면 검출 유닛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용 덮개체.
KR1020057001552A 2002-07-31 2003-07-14 연료 탱크용 덮개체 KR101010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23957 2002-07-31
JPJP-P-2002-00223956 2002-07-31
JP2002223956A JP4026055B2 (ja) 2002-07-31 2002-07-31 液面検出ユニットの固定構造
JP2002223957A JP3997516B2 (ja) 2002-07-31 2002-07-31 燃料タンク用蓋体
PCT/JP2003/008946 WO2004013586A1 (ja) 2002-07-31 2003-07-14 燃料タンク用蓋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577A KR20050021577A (ko) 2005-03-07
KR101010172B1 true KR101010172B1 (ko) 2011-01-21

Family

ID=3149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552A KR101010172B1 (ko) 2002-07-31 2003-07-14 연료 탱크용 덮개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36989B2 (ko)
EP (1) EP1528376B1 (ko)
KR (1) KR101010172B1 (ko)
CN (1) CN1330947C (ko)
AU (1) AU2003281795A1 (ko)
DE (1) DE60321349D1 (ko)
WO (1) WO20040135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1047B2 (en) * 2006-08-10 2008-03-11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Vehicle fuel tank assembly
JP5078461B2 (ja) * 2007-06-28 2012-11-21 矢崎総業株式会社 液面レベル検出装置
JP2009180159A (ja) * 2008-01-31 2009-08-13 Denso Corp 燃料性状センサ
US8869775B2 (en) * 2010-02-09 2014-10-28 Denso Corporation Fuel supply apparatus
US8833159B2 (en) 2011-05-06 2014-09-16 Isspro, Inc. Fuel senders and methods of assembling fuel senders
USD667331S1 (en) 2011-05-06 2012-09-18 Isspro, Inc. Fuel sender
WO2013069096A1 (ja) * 2011-11-08 2013-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US9217403B1 (en) * 2012-06-15 2015-12-22 Walbro Engine Management, L.L.C. Level sensor mount
JP6020010B2 (ja) * 2012-09-28 2016-11-02 日本精機株式会社 液面検出装置、及び液面検出装置の製造方法
JP6068990B2 (ja) * 2013-01-18 2017-01-25 矢崎総業株式会社 液面レベルセンサの取付構造、及び液面レベルセンサ
JP6344222B2 (ja) * 2014-12-04 2018-06-20 株式会社デンソー 液面検出装置
JP6534638B2 (ja) * 2016-06-14 2019-06-26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液位検出装置
JP2017223501A (ja) * 2016-06-14 2017-12-21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液位検出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7112642B2 (ja) * 2018-10-29 2022-08-04 日本精機株式会社 液面検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8106A (ja) * 1997-04-10 1998-10-27 Nok Corp 液体遮断弁装置
JPH1162755A (ja) * 1997-08-22 1999-03-05 Kansei Corp 燃料タンクの蓋体構造
US20060138524A1 (en) * 2004-12-23 2006-06-29 Kim Jum S Flash memo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20971A (en) * 1930-01-16 1933-08-08 Richard C Murphy Liquid level gauge with diaphragm seal
US3266312A (en) * 1964-02-17 1966-08-16 Gen Motors Corp Level indicator sending unit
GB2088983B (en) * 1980-09-09 1984-06-20 Smiths Industries Ltd Tank units for fuel tanks
JPS5835421A (ja) * 1981-08-27 1983-03-02 Nissan Motor Co Ltd 燃料センサ
DE3144581A1 (de) * 1981-11-10 1983-05-26 SWF-Spezialfabrik für Autozubehör Gustav Rau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Fuellstandsgeber zur messung des tankinhalts bei kraftfahrzeugen
DE3320492A1 (de) * 1983-06-07 1984-12-13 SWF Auto-Electric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Tankgeraet
JPS61147932U (ko) * 1985-03-06 1986-09-12
US4574631A (en) * 1985-08-12 1986-03-11 Johnson Jr Stanley A Liquid level molded indicating gage portions
JPS6253228A (ja) * 1985-08-30 1987-03-07 Nissan Motor Co Ltd 樹脂製燃料タンクの開口部構造
JPS62123522U (ko) * 1986-01-28 1987-08-05
FR2597973A1 (fr) * 1986-04-28 1987-10-30 Millot Jean Jauge differentielle, notamment pour la mesure de la hauteur du niveau d'un liquide volatil dans un reservoir
GB2197475B (en) * 1986-10-29 1991-07-31 Yazaki Corp Liquid level indicator
JP2675258B2 (ja) * 1994-04-01 1997-11-12 太産工業株式会社 燃料槽の液面検出用光電センサを備えた電磁ポンプ
WO1996014506A1 (fr) * 1994-11-04 1996-05-17 Nippondenso Co., Ltd. Appareil d'alimentation en carburant
DE19581548B9 (de) * 1995-02-03 2008-11-06 Denso Corp., Kariya-shi Kraftstoffzuführsystem
JP3629840B2 (ja) * 1996-05-08 2005-03-16 株式会社デンソー 液面検出装置の取付け構造
US6293770B1 (en) * 1997-08-22 2001-09-25 Calsonic Kansei Corporation Automotive fuel pump and filter housing
JPH11237275A (ja) * 1998-02-23 1999-08-31 Yazaki Corp 液面レベルセンサ
EP1174692B1 (en) * 1999-11-30 2013-03-20 Nippon Seiki Co., Ltd. Liquid level det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8106A (ja) * 1997-04-10 1998-10-27 Nok Corp 液体遮断弁装置
JPH1162755A (ja) * 1997-08-22 1999-03-05 Kansei Corp 燃料タンクの蓋体構造
US20060138524A1 (en) * 2004-12-23 2006-06-29 Kim Jum S Flash memo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28376A1 (en) 2005-05-04
US20060042378A1 (en) 2006-03-02
KR20050021577A (ko) 2005-03-07
CN1672019A (zh) 2005-09-21
AU2003281795A1 (en) 2004-02-23
EP1528376B1 (en) 2008-05-28
CN1330947C (zh) 2007-08-08
US7536989B2 (en) 2009-05-26
DE60321349D1 (de) 2008-07-10
EP1528376A4 (en) 2006-04-19
WO2004013586A1 (ja) 200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172B1 (ko) 연료 탱크용 덮개체
US6297457B1 (en) Harness grommet
KR100718787B1 (ko) 액면검출장치
KR20020096847A (ko)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JP4138122B2 (ja) センサ装置
US20110204667A1 (en) Door mirror for an automobile
JP3333810B2 (ja) 電気部品
US7354170B2 (en) Vehicular mirror having tilt angle detection rod with swing axis
US7279648B2 (en) Automotive combination switch
JP3997516B2 (ja) 燃料タンク用蓋体
JP4026055B2 (ja) 液面検出ユニットの固定構造
JP4421728B2 (ja) センサ装置
JP3562291B2 (ja) 液面検出ユニットの固定構造
CN213842208U (zh) 门把手传感器
JP3870408B2 (ja) 液面検出装置及びその取付構造
JP2017198544A (ja) 液面検出装置
JP2000009521A (ja) 液面検出器
JP3208369B2 (ja) センサ装置
JP7360713B2 (ja) ワイパアームのカバー取付構造
JP3379103B2 (ja) 液面検出ユニットの固定構造
JPH11301280A (ja) グラスランのコーナー成形部の取付構造
JPS6110253Y2 (ko)
JP3208370B2 (ja) センサ装置
JPH0220764Y2 (ko)
JPH01166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