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290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290B1
KR101006290B1 KR1020080061291A KR20080061291A KR101006290B1 KR 101006290 B1 KR101006290 B1 KR 101006290B1 KR 1020080061291 A KR1020080061291 A KR 1020080061291A KR 20080061291 A KR20080061291 A KR 20080061291A KR 101006290 B1 KR101006290 B1 KR 101006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connection
mounting groove
insertion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115A (ko
Inventor
토시하루 미요시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와 동등한 소형ㆍ박형화를 도모하면서, 용융된 땜납이 결선부로부터 적하되어서 인접하는 콘택트 사이에 솔더 브릿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케이블을 결선부에 작업성 좋게, 또한 높은 강도로 납땜할 수 있는 커넥터의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피치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콘택트(20)는, 플러그(1)의 리셉터클에의 삽입방향 뒤쪽의 상부에 상향으로 개확(開擴)하여 리드선(72, 74)이 납땜되는 V자 형상의 제1 결선부(26, 27)를 가지고 삽입방향 뒤쪽에서 본 형상이 Y자형인 제1 콘택트(20b, 20d, 20e)와, 삽입방향 뒤쪽의 하부에 하향으로 개확하여 리드선(71, 73)이 납땜되는 역(逆) V자 형상의 제2 결선부(28)를 가지고 삽입방향 뒤쪽에서 본 형상이 역 Y자형인 제2 콘택트(20a, 20c)의 2종류를 포함하고, 제1 콘택트(20b, 20d, 20e)와 제2 콘택트(20a, 20c)가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피치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보디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종래 케이블로부터 인출된 리드선을 납땜하기 위해서 상기 콘택트의 뒤쪽에 직각 구부림으로 형성되어 있던 결선부의 굽힘 각도를 대략 45˚로 억제함으로써, 커넥터의 소형ㆍ박형화를 도모하는 기술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4-158288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리드선을 대략 45˚의 경사로 경사진 결선부에 납땜하므로, 용융된 땜납이 결선부로부터 적하되어서 인접하는 콘택트 사이에 솔더 브릿지를 발생시키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동등한 소형ㆍ박형화를 도모하면서, 용융된 땜납이 결선부로부터 적하되어서 인접하는 콘택트 사이에 솔더 브릿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리드선을 결선부에 작업성 좋게, 또한 높은 강도로 납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는, 피치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보디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콘택트는, 상대쪽 커넥터가 구비된 콘택트와 접촉시키는 접촉부와, 상기 보디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케이블로부터 인출된 리드선과 접속하는 단자부를 가지며, 상기 단자부는, 커넥터의 상대쪽 커넥터에의 삽발방향과 상기 삽발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피치방향에 직교하는 커넥터의 두께방향을 따라 개확(開擴)해서 상기 리드선이 납땜되는 결선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결선부가 커넥터의 두께방향을 따라서 개확하므로, 용융된 땜납이 결선부로부터 적하되어서 인접하는 콘택트 사이에 솔더 브릿지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리드선의 납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 시에, 납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콘택트의 피치 간격을 확장하거나, 결선부의 위치를 커넥터의 두께방향으로 간격을 두지 않고, 종래와 동등한 커넥터의 크기로 결선부를 커넥터의 두께방향을 따라서 개확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결선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커넥터의 두께방향을 따라서 개확하고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결선부 형상의 V자화에 의해서, 용융된 땜납이 결선부로부터 적하되어서 인접하는 콘택트 사이에 솔더 브릿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 리드선의 납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납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콘택트의 피치 간격을 확장하거나, 결선부의 위치를 커넥터의 두께방향으로 간격을 두지 않고, 종래와 동등한 커넥터의 크기로 결선부 형상을 V자화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커넥터의 상대쪽 커넥터에의 삽입방향 뒤쪽의 상부에 제1 결선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서 본 형상이 Y자형인 제1 콘택트와, 상기 삽입방향 뒤쪽의 하부에 제2 결선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서 본 형상이 역(逆) Y자형인 제2 콘택트의 2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택트와 제2 콘택트가 상기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콘택트에 리드선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속할 수 있고, 콘택트의 협(狹)피치화를 도모하면서, 리드선의 선직경을 대경 화할 수 있고, 소형·박형으로 전기특성이 우수한 협피치의 커넥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선부는, 상기 제1 콘택트의 단자부의 상부를 경사지게 구부린 경사부로부터 상기 삽입방향 뒤쪽으로 연설된 한쪽의 사변(斜邊)과, 상기 한쪽의 사변의 하부로부터 굴곡부를 개재해서 위쪽으로 경사져 연설된 다른 쪽의 사변을 가지며, 상기 제2 결선부는, 상기 제2 콘택트의 단자부의 하부를 경사지게 구부린 경사부로부터 상기 삽입방향 뒤쪽으로 연설된 한쪽의 사변과, 상기 한쪽의 사변의 상부로부터 굴곡부를 개재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져 연설된 다른 쪽의 사변을 가지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결선부 형상을 V자화한 콘택트를 종래와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간단하면서 염가로 얻을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는,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피치방향 한쪽의 최외측의 단부 콘택트는, 이것의 1개 안쪽의 콘택트와 동일종류로 하고, 상기 단부 콘택트와 이것의 1개 안쪽의 콘택트의 결선부 상호간이 단락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단부 콘택트와 이것의 1개 안쪽의 콘택트의 결선부를 납땜에 의해 단락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리드선의 개수보다 1개 많은 수를 가지며, 단락되는 상기 결선부 중 상기 단부 콘택트의 결선부에만 리드선이 납땜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 다.
상기 청구항 6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리드선에 접속되지 않은 나머지의 콘택트를 발생하지 않는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는,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상기 삽입방향 뒤쪽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리드선의 말단부를 수용하는 제1 납땜공간 및 제2 납땜공간과, 상기 제1 납땜공간 및 제2 납땜공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설해서 콘택트의 전체길이를 삽입 가능한 복수의 콘택트장착홈을 가지며, 상기 콘택트장착홈은, Y자형의 제1 콘택트삽입구를 가지고 상기 제1 콘택트의 전체길이가 삽입되는 제1 콘택트장착홈과, 역 Y자형의 제2 콘택트삽입구를 가지고 상기 제2 콘택트의 전체길이가 삽입되는 제2 콘택트장착홈의 2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택트장착홈과 제2 콘택트장착홈이 상기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콘택트장착홈은, 상기 제1 콘택트삽입구 상부가 상기 제1 납땜공간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벽의 상부면에 상기 제1 결선부를 뒤쪽으로부터 지지하는 V자형의 제1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콘택트장착홈은, 상기 제2 콘택트삽입구 하부가 상기 제2 납땜공간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벽의 하부면에 상기 제2 결선부를 뒤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역 V자형의 제2 홈을 형성하고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결선부 형상을 V자화한 콘택트의 유지부뿐만 아니라 단자부 및 결선부를 포함해서 보디에 유지시킬 수 있고, 결선부 형상을 V자화한 콘택트의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 리드선의 납땜공간을 결선부 형상의 V자화에 의해서 침범하지 않고 필요 충분히 확보하면서, 결선부를 위치고정한 상태에서 리드선의 납땜공간에 위치정밀도 좋게 노출할 수 있으며, 리드선의 납땜 작업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동시에, 납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는,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부 콘택트의 콘택트장착홈은, 상기 제1 콘택트삽입구와 상기 제2 콘택트삽입구를 겸하는 제1ㆍ제2 콘택트공통삽입구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제1ㆍ제2 콘택트공통삽입구 상부가 상기 제1 납땜공간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벽의 상부면에 상기 제1 홈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1ㆍ제2 콘택트공통삽입구 하부가 상기 제2 납땜공간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벽의 하부면에 상기 제2 홈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콘택트장착홈과 제2 콘택트장착홈을 겸하는 제1ㆍ제2 콘택트공통장착홈으로 하고, 상기 제1ㆍ제2 콘택트공통장착홈에 상기 단부 콘택트의 전체길이가 삽입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청구항 8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단부 콘택트가 제1 콘택트, 제2 콘택트 중 어느 한 종류이어도 대응할 수 있어서,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는,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인접하는 상기 제1 결선부의 사이에서 제1 결선부보다 위쪽으로 돌출시키는 제1 제방과, 인접하는 상기 제2 결선부의 사이에서 제2 결선부보다 아래쪽으로 돌출시키는 제2 제방을 가지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청구항 9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인접하는 제1 결선부의 사이 및 인접하는 제2 결선부의 사이에 솔더 브릿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접하는 제1 결선부의 간격 및 인접하는 제2 결선부의 간격은 최소한으로 해결된다. 이에 의해, 결선부를 크기를 작게 하지 않고 콘택트의 피치 간격을 좁힐 수 있으므로, 커넥터를 보다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콘택트의 피치 간격을 확장시키지 않고 결선부를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어, 리드선의 납땝 작업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동시에, 납땜 강도를 더욱더 높일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는,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방의 양쪽 측면은, 인접하는 한쪽의 상기 제1 결선부의 한쪽의 사변 표면과 다른 쪽의 상기 제1 결선부의 다른 쪽의 사변 표면으로부터 이들 각 사변보다도 급격한 경사각을 가지고 돌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제방의 양쪽 측면은, 인접하는 한쪽의 상기 제2 결선부의 한쪽의 사변 표면과 다른 쪽의 상기 제2 결선부의 다른 쪽의 사변 표면으로부터 이들 각 사변보다도 급격한 경사각을 가지고 돌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청구항 10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제1 제방 및 제2 제방을 용융된 땜납이 더욱더 넘어가기 어려워지며, 높은 솔더 브릿지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리드선의 말단부를 제1 결선부 및 제2 결선부에 재치(載置)할 경우에 제1 제방 및 제2 제방이 장해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1 제방의 경사면 및 제2 제방의 경사면이 리드선의 말단부의 제1 결선부 및 제2 결선부에의 도입가이드가 되며, 리드선의 납땜 작업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에 있어서, 마이크로 USB 커넥터 규격 준거의 마이크로 USB 플러그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USB 커넥터 중에서 현시점에서 가장 소형·박형인 마이크로 USB 플러그에 있어서, 해당 크기를 손상시키지 않고, 콘택트의 결선부 형상의 V자화에 의해서, 용융된 땜납이 결선부로부터 적하되어서 인접하는 콘택트 사이에 솔더 브릿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 리드선의 납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납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동등한 소형ㆍ박형화를 도모하면서, 용융된 땜납이 결선부로부터 적하되어서 인접하는 콘택트 사이에 솔더 브릿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리드선을 결선부에 작업성 좋게, 또한 높은 강도로 납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커넥터의 정면도, 도 1(B)은 동일커넥터의 우측면도, 도 1(C)은 동일커넥터의 저면도이며, 도 2(A)는 동일커넥터의 오버몰드만 절반 단면한 상태의 평면도, 도 2(B)는 동일커넥터의 오버몰드만 전체 단면한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동일커넥터의 플러그 본체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케이블은 도시하지 않음)이고,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우측면도이며, 도 5는 동일커넥터의 보디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6은 동일커넥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동일커넥터의 보디의 배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이고, 도 9(A)는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9(B)는 도 7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D-D선 단면도이며, 도 11은 동일커넥터의 제1 콘택트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A)는 동일커넥터의 제1 콘택트의 우측면도 및 배면도, 도 12(B)는 동일커넥터의 다른 제1 콘택트의 우측면도 및 배면도, 도 12(C)는 동일커넥터의 제2 콘택트의 우측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13은 동일커넥터의 쉘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A)는 동일커넥터의 쉘의 정면도, 도 14(B)는 동일커넥터의 쉘의 평면도, 도 14(C)는 동일커넥터의 쉘의 측면도, 도 14(D)는 도 14(B)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5(A)는 동일커넥터의 쉘커버의 정면도, 도 15(B)는 동일커넥터의 쉘커버의 평면도, 도 15(C)는 동일커넥터의 쉘커버의 우측면도, 도 15(D)는 도 15(B)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한 단서가 없는 경우, 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 a-b방향을 커넥터의 상대쪽 커넥터에의 삽발(揷拔)방향이 되는 전후방향(커넥터의 길이방향), 화살표 c-d방향을 상기 삽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피치방향이 되는 좌우방향(커넥터의 폭방향), 화살표 e-f방향을 상기 삽발방향과 피치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 되는 상하방향(커넥터의 두께방향)으로서 설명한다.
도 1(A), 도 1(B), 도 1(C), 도 2(A), 도 2(B)에 있어서, 부호(1)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 규격 준거의 마이크로 USB 커넥터를, 예를 들면 휴대전화, 디지털카메라, PDA, 휴대음악플레이어 등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AB타입의 리셉터클(상 대쪽 커넥터)로 구성하는 A타입의 마이크로 USB 플러그(케이블 하네스(harness)용)로서, 도 5,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콘택트(20)와 복수의 래치(록 스프링(lock spring))(30)를 절연성의 보디(40)에 장착하고, 다음에 케이블(70)의 단부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리드선(71, 72, 73, 74)의 말단부를 소정의 콘택트(20)의 뒤쪽에 납땜으로 접속하고, 다음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쉘(80)과 쉘커버(90)에 의해 보디(40)를 차폐해서, 케이블(70)의 단부에 플러그 본체(10)를 조립하고, 마지막에 사출성형용 금형의 캐비티 내에 플러그 본체(10)와 이 플러그 본체(10)의 뒤쪽으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케이블(70)이 있는 길이(인서트 품)를 장전하고, 절연성의 수지를 주입해서 케이블(70)의 단부로부터 플러그 본체(10)의 뒤쪽 파지부를 경유해서 플러그 본체(10)의 앞쪽 끼워맞춤부의 근원부까지를 용융수지로 감싸서 고체화시켜고, 일체화되는 오버몰드가공(인서트성형)을 실행하여, 제품으로서 완성되는 것이다.
또, 부호(2)는 플러그(1)의 오버몰드수지(외피)이며, 부호(3)는 플러그(1)의 뒤쪽 파지부 주위에 있는 오버몰드수지(2)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미끄러짐 방지이다. 또한, 플러그(1)의 뒤쪽 파지부 주위에 있는 오버몰드수지(2)의 상하부면에는, 플러그(1)가 이 상대쪽 커넥터인 리셉터클에 정규 삽입되도록 플러그(1)의 종류나 삽입방향을 표시하는 아이콘 등의 도시하지 않은 조각을 덧붙일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1)는, 케이블(70)이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20)와, 복수의 래치(30)와, 이들 콘택트(20) 및 래치(30)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보디(40)와, 이 보디(40)를 덮는 차폐용 쉘(80)(2피스 구조)과, 이들 복수의 콘택트(20), 복수의 래 치(30), 보디(40), 쉘(80)을 구비해서 구성되는 플러그 본체(10)와 케이블(70)에 일체화되어서, 케이블(70)의 단부로부터 플러그 본체(10)의 뒤쪽 파지부를 경유해서 플러그 본체(10)의 앞쪽 끼워맞춤부의 근원부까지를 연속적으로 덮는 오버몰드수지(2)를 구비해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오버몰드된 플러그(1)는, 케이블(70)의 내굴곡성 및 인장강도, 플러그 본체(10)의 견뢰성이 향상되고, 케이블(70)을 인장하면서의 이탈이나 경사지게 비틀면서의 이탈 등의 부적정한 이탈에 강하고, 또한, 경사지게 비틀면서의 삽입이나 무리한 압입식 삽입, 역삽입 등의 부적정한 삽입에 강하고, 거친 취급에 강하다.
다음에, 플러그(1)의 각 부품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콘택트(20)는 1번 ~ n번(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1번 ~ 5번) 콘택트(20a, 20b, 20c, 20d, 20e)로 구성되고, 도 5에 있어서, 우단부가 1번 콘택트(20a), 우측에서 2번째, 3번째, 4번째가 2번 콘택트(20b), 3번 콘택트(20c), 4번 콘택트(20d), 좌단부가 5번 콘택트(20e)이다. 또, 콘택트(20)는 뒤쪽의 결선부 형상이 상이한 2종류의 콘택트, 즉 도 11, 도 12(A)에 도시한 제1 콘택트 및 이 제1 콘택트와 동일종류인 도 12(B)에 도시한 다른 제1 콘택트와, 도 12(C)에 도시한 제2 콘택트의 2종류를 포함하고, 2번, 5번 콘택트(20b, 20e)에 제1 콘택트를 이용하고, 4번 콘택트(20d)에 다른 제1 콘택트를, 1번, 3번 콘택트(20a, 20c)에 제2 콘택트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콘택트(20)는 양호한 도전성의 얇은 금속평판을 타발가공한 후, 타발한 금속평판을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판두께방향(타발방향)을 플러그(1)의 좌우방향에 일치시켜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플러그(1)의 전후방향을 따른 길이와, 좌우방향을 따른 폭과, 상하방향을 따른 높이를 가진다.
도 11, 도 12(A), 도 12(B),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트(20)는 뒤쪽에 보디(40)에 유지되는 유지부(21)를 가지며, 앞쪽에 스프링부(22)를 가진다. 유지부(21)는 상부에 이탈방지용 걸어맞춤클로(23)를 설치한다. 스프링부(22)는 유지부(21)로부터 앞쪽을 향해서 연설되고, 뒷부분의 근원부(유지부(21)의 앞부분)를 지점(支點)으로 앞부분이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캔딜레버구조를 가진다.
또, 콘택트(20)는 앞쪽에 리셉터클이 구비되는 도시하지 않은 콘택트와 접촉시키는 접촉부(24)를 가지고, 뒤쪽에 케이블(70)과 접속하는 단자부(25)를 가진다. 접촉부(24)는 스프링부(22)의 전단부로부터 위쪽으로 향해 돌출되어서 산형상으로 형성된다. 단자부(25)는 유지부(21)로부터 뒤쪽을 향해서 연설된다.
또한, 콘택트(20)는 단자부(25)에 상하방향을 따라서 V자 형상으로 개확해서 리드선(71, 72, 73, 74)이 납땜되는 결선부를 가진다. 결선부는 개확방향이 상향인 제1 결선부(26) 및 다른 제1 결선부(27)와, 개확방향이 하향인 제2 결선부(28)의 2종류를 포함한다.
제1 결선부(26)는 제1 콘택트인 2번, 5번 콘택트(20b, 20e)에 형성되고, 단자부(25)의 상부를 대략 55˚의 굽힘 각도로 뒷면에서 보면 좌측을 경사지게 구부려서 형성한 경사부(25a)로부터 뒤쪽을 향해서 동일면으로 연설된 한쪽의 사변(26a)과, 한쪽의 사변(26a)의 하부에서 굽힘 각도 대략 70˚의 굴곡부(26b)를 개재해서 뒷면에서 보면 우측이 위쪽을 향해서 경사져 연설된 다른 쪽의 사변(26c)을 가지며, 2번, 5번 콘택트(20b, 20e)의 수직인 중심선 위에 중심을 가지고, 배면에서 보면 단자부(25)의 바로 위쪽에서 상향으로 대략 110˚로 개확하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른 제1 결선부(27)는 다른 제1 콘택트인 4번 콘택트(20d)에 형성되고, 한쪽의 사변(27a)의 하부로부터 굽힘 각도 대략 35˚인 굴곡부(27b)를 개재해서 다른 쪽의 사변(27c)이 뒷면에서 보면 우측을 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연설되고, 각 사변(27a, 27c) 사이의 개확각도가 약간 큰 것, 다른 쪽의 사변(27c)의 폭이 약간 짧은 것 이외는 제1 결선부(26)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제2 결선부(28)는 제2 콘택트인 1번, 3번 콘택트(20a, 20c)에 형성되고, 단자부(25)의 하부를 대략 55˚의 굽힘 각도로 뒷면에서 보면 우측을 경사지게 구부려서 형성한 경사부(25b)로부터 뒤쪽을 향해서 동일면으로 연설된 한쪽의 사변(28a)과, 한쪽의 사변(28a)의 상부로부터 굽힘 각도 대략 70˚의 굴곡부(28b)를 개재해서 뒷면에서 보면 좌측이 아래쪽을 향해서 경사져 연설된 다른 쪽의 사변(28c)을 가지며, 1번, 3번 콘택트(20a, 20c)의 수직인 중심선 위에 중심을 가지며, 뒷면에서 보면 단자부(25)의 바로 아래에서 하향으로 대략 110˚로 개확하는 역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콘택트인 2번, 5번 콘택트(20b, 20e) 및 다른 제1 콘택트인 4번 콘택트(20d)는 뒤쪽 단부의 상부에 상향으로 개확하는 V자 형상의 제1 결선부(26) 및 제2 결선부(27)를 가지고 뒷면에서 본 형상이 Y자형이 되고, 제2 콘택트인 1번, 3번 콘택트(20a, 20c)는 뒤쪽 단부의 하부에 하향으로 개확하는 역 V자형상인 제2 결선부(28)를 가지고 뒷면에서 본 형상이, 2번, 5번 및 4번 콘택트(20b, 20e, 20d)의 뒷면에서 본 형상과 점대칭의 역 Y자형이 된다.
계속해서, 래치(30)는 대칭구조의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된다. 래치(30)는 콘택트(20)의 대략 2 ~ 3배의 판두께를 가지는 스프링용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평판을 타발가공한 후, 타발한 금속평판을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콘택트(20)와 마찬가지로 판두께방향(타발방향)을 플러그(1)의 좌우방향에 일치시켜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플러그(1)의 전후방향을 따른 길이와, 좌우방향을 따른 폭과, 상하방향을 따른 높이를 가진다.
도 5, 도 6, 도 7,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30)는 뒤쪽에 보디(40)에 유지되는 유지부(31)를 가지며, 앞쪽에 스프링부(32)를 가진다. 유지부(31)는 측면에서 보면 앞쪽을 향해서 개구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하부에 이탈방지용 걸어맞춤클로(33)를 형성한다. 스프링부(32)는 유지부(31)의 위쪽 편부로부터 앞쪽을 향해서 연설되고, 유지부(31)의 위쪽 편부의 뒷부분의 근원부를 지점으로 앞부분이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캔딜레버구조를 가진다.
또, 래치(30)는 앞쪽에 리셉터클이 구비되는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부와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34)를 가지며, 좌우대칭구조인 한 쌍의 회전규제부(35, 36)의 한쪽을 한쪽의 래치(30)의 뒤쪽에 형성하고, 다른 쪽을 다른 쪽의 래치(30)의 뒤쪽에 형성한다. 걸어맞춤부(34)는 스프링부(32)의 전단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되어서 산형상으로 형성된다. 한쪽의 회전규제부(35)는 도 5에 있어서 좌측의 래치(30)의 유지부(31)로부터 뒤쪽을 향해서 동일면으로 연설되는 수직편(35a)과, 수 직편(35a)의 하부로부터 뒷면에서 보면 우측을 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연설되는 걸어맞춤편(35b)을 가지며, L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쪽의 회전규제부(36)는 도 5에 있어서 우측의 래치(30)의 유지부(31)로부터 뒤쪽을 향해서 동일면으로 연설되는 수직편(36a)과, 수직편(36a)의 하부로부터 뒷면에서 보면 좌측을 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연설되는 걸어맞춤편(36b)을 가지며, 한쪽의 회전규제부(35)와 좌우대칭인 L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래치(30)는 뒤쪽의 회전규제부 형상만이 다르며, 좌우대칭구조를 가진다.
계속해서, 보디(40)는 절연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사출성형품이며, 도 5, 도 6, 도 7, 도 9(A), 도 9(B),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뒤쪽에 플러그(1)를 삽발할 경우에 손으로 파지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파지부(40a)를 가지며, 앞쪽에 리셉터클에 삽입하는 끼워맞춤부(40b)를 가진다. 끼워맞춤부(40b)는 파지부(40a)보다 얇은 직육면체 형상이고, 파지부(40a)의 상하중간위치에서 앞쪽을 향해서 일체로 연설된다. 파지부(40a)의 상부면과 끼워맞춤부(40b)의 상부면의 단차면이 되는 끼워맞춤부(40b)보다 위쪽인 파지부(40a)의 전단부면은 뒤쪽에 대략 45˚의 경사로 경사지는 경사면(40c)으로 형성된다.
또, 보디(40)는, 파지부(40a)의 뒷부분 상부면에 형성되는 절개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제1 결선부(26)에 납땜되는 리드선(72, 74)의 말단부를 수용하는 위쪽과 뒤쪽에 개방된 제1 납땜공간(40d)과, 파지부(40a)의 뒷부분 하부면에 형성되는 절개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제2 결선부(28)에 납땜되는 리드선(71, 73)의 말단부 를 수용하는 아래쪽과 뒤쪽에 개방된 제2 납땜공간(40e)과, 각 공간(40d, 40e)의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40f)과, 끼워맞춤부(40b)의 앞부분 상부면에 형성되는 절개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리셉터클에 구비하는 콘택트가 삽입되는 위쪽과 앞쪽에 개방된 오목부(40g)를 가진다. 끼워맞춤부(40b)의 정면형상은 오목부(40g)에 의해 오목형으로 형성된다.
또, 보디(40)는 경사면(40c)의 좌우 양쪽 측면부에, 쉘(80)의 후술하는 극간에 끼여서 상기 극간을 막기 위한 좌우의 실링부(41, 42)를 가진다. 또한, 실링부(41, 42)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한, 보디(40)는 콘택트(20)를 장착하는 복수의 콘택트장착홈(43)을 가지는 동시에, 래치(30)를 장착하는 좌우대칭구조인 한 쌍의 래치장착홈(44a, 44b)을 가진다. 콘택트장착홈(43)은 콘택트(20)에 대응해서 1번 ~ 5번 콘택트장착홈(43a, 43b, 43c, 43d, 43e)으로 구성되고, 도 5에 있어서, 우단부가 1번 콘택트장착홈(43a), 우측에서 2번째 , 3번째 , 4번째가 2번 콘택트장착홈(43b), 3번 콘택트장착홈(43c), 4번 콘택트장착홈(43d), 좌단부가 5번 콘택트장착홈(43e)이다. 또, 콘택트장착홈(43)은 콘택트(20)에 대응해서 뒤쪽인 콘택트삽입구 형상이 다른 2종류의 콘택트장착홈, 즉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면에서 본 형상이, 제1 콘택트 및 다른 제1 콘택트에 대응한 Y자형의 제1 콘택트장착홈 및 다른 제1 콘택트장착홈과, 제2 콘택트에 대응한 역 Y자형의 제2 콘택트장착홈의 2종류를 포함하고, 2번, 5번 콘택트장착홈(43b, 43e)에 제1 콘택트장착홈을 이용하고, 4번 콘택트장착홈(43d)에 다른 제1 콘택트장착홈을, 1번, 3번 콘택트장착홈(43a, 43c)에 제2 콘택 트장착홈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콘택트장착홈(43)은 콘택트(20)의 판두께보다 약간 큰 홈 폭을 가지며, 보디(40)의 격벽(40f)의 폭 내, 또한 오목부(40g)의 폭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피치 간격을 두고 병설되고, 격벽(40f)의 후단부면으로부터 끼워맞춤부(4Og)의 전단부면에 걸쳐서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설되어서 보디(40)의 전체길이에 형성되고, 보디(40)의 뒤쪽에서 대응하는 콘택트(20)의 전체길이가 삽입되어서 장착된다.
콘택트장착홈(43)은 뒤쪽에 콘택트(20)의 유지부(21)를 고정유지하는 유지부 장착부(44)를 가지며, 앞쪽에 콘택트(20)의 스프링부(22)를 수용하는 스프링부 장착부(45)를 가진다. 유지부 장착부(44)는 주위가 파지부(40a)의 수지에 의해 폐쇄된 구멍구조를 가진다. 스프링부 장착부(45)는 유지부 장착부(44)로부터 앞쪽을 향해 연설되어서 끼워맞춤부(40b)에 형성되고, 전단부가 끼워맞춤부(40b)의 전단부면에 개방되고, 상부가 오목부(40g) 내에 개방된다.
또, 콘택트장착홈(43)은 뒤쪽에 콘택트(20)의 단자부(25) 및 결선부를 유지하는 콘택트삽입구를 가진다. 콘택트삽입구는 제1 콘택트인 2번, 5번 콘택트(20b, 20e)를 삽입하는 제1 콘택트삽입구(46) 및 다른 제1 콘택트인 4번 콘택트(20d)를 삽입하는 다른 제1 콘택트삽입구(47)와, 제2 콘택트인 1번, 3번 콘택트(20a, 20c)를 삽입하는 제2 콘택트삽입구(48)의 2종류를 포함한다.
제1 콘택트삽입구(46)는 2번, 5번 콘택트(20b, 20e)의 뒷면에서 본 형상에 대응한 Y자형으로 형성되고, 제1 콘택트장착홈인 2번, 5번 콘택트장착홈(43b, 43e) 에 형성된다. 제1 콘택트삽입구(46)는 2번, 5번 콘택트장착홈(43b, 43e)의 유지부 장착부(44)로부터 뒤쪽을 향해 연설되어서 격벽(40f)에 형성되고, 후단부가 격벽(40f)의 후단부면에 개방되고, 상부가 제1 납땜공간(40d)에 개방되어서 격벽(40f)의 상부면(제1 납땜공간(40d)의 바닥면)에 2번, 5번 콘택트(20b, 20e)의 단자부(25)의 상부의 경사부(25a) 및 제1 결선부(26)를 뒤쪽(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V자형의 제1 홈(49)을 형성한다.
다른 제1 콘택트삽입구(47)는 4번 콘택트(20d)의 뒷면에서 본 형상에 대응한 Y자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제1 콘택트장착홈인 4번 콘택트장착홈(43d)에 형성된다. 다른 제1 콘택트삽입구(47)는 4번 콘택트장착홈(43d)의 유지부 장착부(44)로부터 뒤쪽을 향해 연설되어서 격벽(40f)에 형성되고, 후단부가 격벽(4Of)의 후단부면에 개방되고, 상부가 제1 납땜공간(40d)에 개방되어서 격벽(40f)의 상부면에 4번 콘택트(20d)의 단자부(25)의 상부의 경사부(25a) 및 다른 제1 결선부(27)를 뒤쪽으로부터 지지하는 V자형의 다른 제1 홈(50)을 형성한다.
제2 콘택트삽입구(48)는 1번, 3번 콘택트(20a, 20c)의 뒷면에서 본 형상에 대응한 역 V자형으로 형성되고, 제2 콘택트장착홈인 1번, 3번 콘택트장착홈(43a, 43c)에 형성된다. 제2 콘택트삽입구(48)는 1번, 3번 콘택트장착홈(43a, 43c)의 유지부 장착부(44)로부터 뒤쪽을 향해 연설되어서 격벽(40f)에 형성되고, 후단부가 격벽(40f)의 후단부면에 개방되고, 하부가 제2 납땜공간(40e)에 개방되어서 격벽(40f)의 하부면(제2 납땜공간(40e)의 천정면)에 1번, 3번 콘택트(20a, 20c)의 단자부(25)의 하부의 경사부(25b) 및 제2 결선부(28)를 뒤쪽(위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역 V자형의 제2 홈(51)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콘택트장착홈인 5번 콘택트장착홈(43e)은, 제1 콘택트삽입구(46)의 하부 I자부(제1 콘택트인 2번, 5번 콘택트(20b, 20e)의 유지부(21), 스프링부(22), 접촉부(24), 단자부(25)가 삽입되는 부분)에, 제2 콘택트삽입구(48)의 상부 I자부(제2 콘택트인 1번, 3번 콘택트(20a, 20c)의 유지부(41), 스프링부(42), 접촉부(43), 단자부(44)가 삽입되는 부분)를 겹쳐서, 제2 콘택트삽입구(48)를 가지고 있다. 즉, 5번 콘택트장착홈(43e)은 제1 콘택트삽입구(46)와 제2 콘택트삽입구(48)를 겸한 제1ㆍ제2 콘택트공통삽입구(52)를 가지는 동시에, 제1ㆍ제2 콘택트공통삽입구(52)의 상부가 제1 납땜공간(40d)에 개방되어서 격벽(40f)의 상부면에 제1 홈(50)을 형성하고, 또한 제1ㆍ제2 콘택트공통삽입구(52)의 하부가 제2 납땜공간(40e)에 개방되어서 격벽(40f)의 하부면에 제2 홈(51)을 형성하는, 제1 콘택트장착홈과 제2 콘택트장착홈을 겸하는 제1ㆍ제2 콘택트공통장착홈으로 하고, 제1 콘택트와 제2 콘택트의 전체길이가 택일적으로 삽입 가능하다.
래치장착홈(44a, 44b)은 래치(30)의 판두께보다 약간 큰 홈 폭을 가지며, 보디(40)의 콘택트장착홈(43)을 사이에 두는 좌우 양쪽 측면부에 형성되고, 콘택트장착홈(43)과 평행하게 전후방향으로 연설되고, 보디(40)의 뒤쪽에서 대응하는 래치(30)의 전체길이가 삽입되어서 장착된다.
래치장착홈(44a, 44b)은 래치(30)의 유지부(31)를 고정 유지하는 유지부 장착부(53)를 가지며, 앞쪽에 래치(30)의 스프링부(32)를 수용하는 스프링부 장착부(54)를 가진다. 유지부 장착부(53)는 주위가 파지부(40a)의 수지에 의해 폐쇄된 구멍구조를 가진다. 스프링부 장착부(54)는 유지부 장착부(53)로부터 앞쪽을 향해 연장되어서 끼워맞춤부(40b)의 오목부(40g)로부터 좌우 외부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하부가 끼워맞춤부(40b)의 상하부면에 개방되고, 전단부는 끼워맞춤부(40b)의 전단부면에 이르지 못하고, 조금 뒤쪽에 위치한다.
또, 래치장착홈(44a, 44b)은 래치(30)의 회전규제부(35,36)를 수용하는 좌우대칭구조인 한 쌍의 래치삽입구(55, 56)의 한쪽을 한쪽의 래치장착홈(44a)의 뒤쪽에 형성하고, 다른 쪽을 다른 쪽의 래치장착홈(44b)의 뒤쪽에 형성한다. 한쪽의 래치삽입구(55)는 도 5에 있어서 좌측의 래치(30)의 회전규제부(35)의 형상에 대응한 L형으로 형성되고, 도 5에 있어서 좌측의 래치장착홈(44a)의 유지부 장착부(53)로부터 뒤쪽을 향해 연설되어서 격벽(40f)으로부터 좌측에 형성되고, 후단부가 보디(40)의 후단부면에 개방되고, 하부가 보디(40)의 하부면에 개방되어서 보디(40)의 뒤쪽 하부면에 한쪽의 회전규제부(35)의 걸어맞춤편(35b)을 아래쪽으로부터 접촉시키는 걸어맞춤면(57)을 형성한다. 다른 쪽의 래치삽입구(44b)는 도 5에 있어서 우측의 래치(30)의 회전규제부(36)의 형상에 대응한 L형으로 형성되고, 도 5에 있어서 우측의 래치장착홈(44b)의 유지부 장착부(53)로부터 뒤쪽을 향해 연설되어서 격벽(40f)으로부터 우측에 형성되고, 후단부가 보디(40)의 후단부면에 개방되고, 하부가 보디(40)의 하부면에 개방되어서 보디(40)의 뒤쪽 하부면에 다른 쪽의 회전규제부(36)의 걸어맞춤편(36b)을 아래쪽으로부터 접촉시키는 걸어맞춤면(58)을 형성한다.
그리고, 1번 ~ 5번 콘택트(20a, 20b, 20c, 20d, 20e)의 전체길이를 보디(40) 의 뒤쪽으로부터 제1, 다른 제1, 제2 콘택트삽입구(46, 47, 48)를 통과해서 1번 ~ 5번 콘택트장착홈(43a, 43b, 43c, 43d, 43e)에 삽입하고, 보디(40)에 복수의 콘택트(20)을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피치 간격을 두고 병렬로 장착하는 동시에, 좌우 한 쌍인 래치(30)의 전체길이를 보디(40)의 뒤쪽으로부터 래치삽입구(55, 56)를 통과해서 좌우 한 쌍인 래치장착홈(44a, 44b)에 삽입하고, 보디(40)에 한 쌍의 래치(30)를 복수의 콘택트(20)를 사이에 두고 병렬로 장착한다.
장착상태에서는 콘택트(20)는, 유지부(21)가 유지부 장착부(44)에 압입되어서 걸어맞춤클로(23)의 파지부(40a)의 수지에의 침투에 의해 이탈방지된 상태에서 보디(40)에 고정유지되고, 스프링부(22)가 스프링부 장착부(45)에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고, 접촉부(24)가 끼워맞춤부(40b)의 오목부(4Og) 내에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피치 간격을 두고 병렬로 돌출 배치된다.
또, 2번, 5번 콘택트(20b, 20e)의 단자부(25) 및 제1 결선부(26)는 단자부(25)의 경사부(25a)의 전단부면이 제1 납땜공간(40d)의 앞쪽 둘레의 벽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2번, 5번 콘택트장착홈(43b, 43e)의 제1 콘택트삽입구(46)에 삽입 배치되고, 단자부(25)의 경사부(25a) 및 제1 결선부(26)의 뒷면이 제1 홈(49)에 의해서 뒷쪽으로부터 지지되고, 표면이 제1 납땜공간(40d)의 하부에 노출된다. 4번 콘택트(20d)의 단자부(25) 및 다른 제1 결선부(27)는 단자부(25)의 경사부(25a)의 전단부면이 제1 납땜공간(40d)의 앞쪽 둘레의 벽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4번 콘택트장착홈(43d)의 다른 제1 콘택트삽입구(47)에 삽입 배치되고, 단자부(25)의 경사부(25a) 및 다른 제1 결선부(27)의 뒷면이 다른 제1 홈(50)에 의해서 뒤쪽으로부터 지지되고, 표면이 제1 납땜공간(40d)의 하부에 노출된다. 1번, 3번 콘택트(20a, 20c)의 단자부(25) 및 제2 결선부(28)는 단자부(25)의 경사부(25b)의 전단부면이 제2 납땜공간(40e)의 앞쪽 둘레의 벽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1번, 3번 콘택트장착홈(43a, 43c)의 제2 콘택트삽입구(48)에 삽입 배치되고, 단자부(25)의 경사부(25b) 및 제2 결선부(28)의 뒷면이 제2 홈(51)에 의해서 뒷쪽으로부터 지지되고, 표면이 제2 납땜공간(40e)의 상부에 노출된다. 이에 의해, 피치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콘택트(20)의 뒤쪽에 각각의 결선부(26, 27, 28)가 상하 2단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피치방향 한쪽의 최외측의 단부 콘택트로서의 5번 콘택트(20e)에는, 이것의 1개 안쪽의 4번 콘택트(20d)와 동일종류인 제1 콘택트가 배치된다. 5번 콘택트(20e)의 제1 결선부(26)는 4번 콘택트(20d)쪽의 한쪽의 사변(26a)이 4번 콘택트(20d)의 다른 제1 결선부(27)의 5번 콘택트(20e)쪽의 다른 쪽의 사변(27c)의 위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이와 같이 보디(20)에 장착된 콘택트(20)에의 리드선(71, 72, 73, 74)의 결선작업은, 제1 결선부(26) 및 다른 제1 결선부(27)가 상향으로 개확하는 상태(도 7의 상태)로 보디(40)를 유지하고, 제1 납땜공간(40d) 내에서 제1 결선부(26) 위에 대응하는 리드선(72, 74)의 말단부(박리처리에 의해 절연성의 외피(72b, 74b)가 제거된 심선(72a, 74a))을 재치(載置)해서 땜납을 접합함으로써, 2번, 5번 콘택트(20b, 20e)에 대응하는 리드선(72, 74)을 접속하는 동시에, 이때에 다른 제1 결선부(27)에도 땜납을 접합해서 4번, 5번 콘택트(20d, 20e)의 제1 결선부(27, 26)를 서로 단락하는 공정과, 제2 결선부(28)가 상향으로 개확하는 상태(도 7의 상태에서 보디(40)를 뒤집은 상태)로 보디(40)를 유지하고, 제2 납땜공간(40e) 내에서 제2 결선부(28) 위에 대응하는 리드선(71, 73)의 말단부(박리처리에 의해 절연성의 외피(71b, 73b)가 제거된 심선(71a, 73a))를 재치해서 땜납을 접합함으로써, 1번, 3번 콘택트(20a, 20c)에 대응하는 리드선(71, 73)을 접속하는 공정에 의해서 실행된다.
여기서, 도 5, 도 6,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40)에는, 2번 콘택트장착홈(43b)의 제1 콘택트삽입구(46)에 의해서 형성된 제1 홈(49)과 4번 콘택트장착홈(43d)의 다른 제1 콘택트삽입구(47)에 의해서 형성된 다른 제1 홈(50)의 사이에, 이들 제1 홈(49)과 다른 제1 홈(50)에 지지되는 2번 콘택트(20b)의 단자부(25)의 상부의 경사부(25a) 및 제1 결선부(26)와 4번 콘택트(20d)의 단자부(25)의 상부의 경사부(25a) 및 다른 제1 결선부(27)의 사이에서, 이들 경사부(25a) 및 제1, 다른 제1 결선부(26, 27)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하는 제1 제방(59)을 가지는 동시에, 1번, 3번, 5번 콘택트장착홈(43a, 43c, 43e)의 제2 콘택트삽입구(48)에 의해서 형성된 3개의 제2 홈(51)의 각각의 사이에, 이들 제2 홈(51)에 지지되는 1번, 3번 콘택트의 단자부(25)의 하부의 경사부(25b) 및 제2 결선부(28)의 사이와, 3번 콘택트의 단자부(25)의 하부의 경사부(25b) 및 제2 결선부(28)의 5번 콘택트(20e)쪽에서, 이들 경사부(25b) 및 제2 결선부(28)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한 제2 제방(60)을 가진다. 제1 제방(59)은 2번 콘택트(20b)의 제1 결선부(26)에 리드선(72)의 말단부를 납땜하는 경우에, 이 제1 결선부(26)와 이것에 인접하는 다른 제1 결선부(27)의 상호간에 솔더 브릿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인접하는 제2 결선 부(28)의 상호간으로부터 돌출된 제2 제방(60)은 1번 콘택트(20a)의 제2 결선부(45) 및 3번 콘택트(20c)의 제2 결선부(28)에 리드선(71, 73)의 말단부를 납땜하는 경우에, 이 인접하는 제2 결선부(28)의 상호간에 솔더 브릿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3번 콘택트의 단자부(25)의 하부의 경사부(25b) 및 제2 결선부(28)의 5번 콘택트(20e)쪽에 있는 제2 제방(60)은 3번 콘택트(20c)의 제2 결선부(28)에 리드선(73)의 말단부를 납땜하는 경우에, 일부의 땜납이 빈 제2 홈(51)에서 5번 콘택트장착홈(43e)의 제1ㆍ제2 콘택트공통삽입구(5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제1 제방(59)의 양쪽 측면은, 이 제1 제방(59)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한쪽의 제1 결선부(26)의 다른 쪽의 사변(26c) 표면과 다른 쪽의 다른 제1 결선부(27)의 한쪽의 사변(27a) 표면으로부터 이들 각 사변(26c, 27a)보다도 급격한 경사각을 가지고 돌기하는 경사면(59a, 59b)으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제2 결선부(28)의 상호간으로부터 돌출된 제2 제방(60)의 양쪽 측면은, 이 제2 제방(60)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한쪽의 제2 결선부(28)의 한쪽의 사변(28a) 표면과 다른 쪽의 제2 결선부(28)의 다른 쪽의 사변(28c) 표면으로부터 이들 각 사변(28a, 28c)보다도 급격한 경사각을 가지고 돌기하는 경사면(60a, 60b)으로 형성되고, 이것과 동일한 경사면(60a, 60b)이 3번 콘택트의 단자부(25)의 하부의 경사부(25b) 및 제2 결선부(28)의 5번 콘택트(20e)쪽에 있는 제2 제방(60)의 양쪽 측면에도 형성된다.
또한, 보디(40)에는, 4번 콘택트장착홈(43d)의 다른 제1 콘택트삽입구(47)에 의해서 형성된 다른 제1 홈(50)과 5번 콘택트장착홈(43e)의 제1 콘택트삽입구(46)에 의해서 형성된 제1 홈(49)의 사이에는 제1 제방(59)은 가지고 있지 않다. 이에 의해, 5번 콘택트(20e)의 제1 결선부(26)에 리드선(74)의 말단부를 납땜하는 경우에, 일부의 땜납을 4번 콘택트(20d)의 다른 제1 결선부(27)에 유입하고, 이 일부의 땜납에 의해서 4번, 5번 콘택트(20d, 20e)의 제1 결선부(27, 26)를 서로 단락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플러그(1)는, 피치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콘택트(20)와, 상기 콘택트(20)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보디(40)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20)는, 리셉터클이 구비되는 콘택트와 접촉시키는 접촉부(24)와, 상기 보디(40)에 유지되는 유지부(21)와, 케이블(70)로부터 인출된 리드선(71, 72, 73, 74)과 접속하는 단자부(25)를 가지며, 상기 단자부(25)는, 플러그(1)의 리셉터클에의 삽발방향과 상기 삽발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피치방향에 직교하는 플러그(1)의 두께방향을 따라 개확해서 상기 리드선(71, 72, 73, 74)이 납땜되는 결선부(26, 27, 28)를 가진다. 이와 같이, 결선부(26, 27, 28)가 플러그(1)의 두께방향을 따라서 개확하므로, 용융된 땜납이 결선부로부터 적하되어서 인접하는 콘택트 사이에 솔더 브릿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 리드선(71, 72, 73, 74)의 납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납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콘택트(20)의 피치 간격을 확장하거나, 결선부(26, 27, 28)의 위치를 플러그(1)의 두께방향으로 간격을 두지 않고, 종래와 동등한 플러그의 크기로 결선부(26, 27, 28)를 플러그(1)의 두께방향을 따라서 개확할 수 있다.
또, 상기 결선부(26, 27, 28)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플러그(1)의 두께방향을 따라서 개확하고 있다. 결선부 형상의 V자화에 의해서, 용융된 땜납이 결선 부(26, 27, 28)로부터 적하되어서 인접하는 콘택트의 사이에 솔더 브릿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 리드선(71, 72, 73, 74)의 납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납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콘택트(20)의 피치 간격을 확장하거나, 결선부(26, 27, 28)의 위치를 플러그(1)의 두께방향으로 간격을 두지 않고, 종래와 동등한 플러그의 크기로 결선부 형상을 V자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택트(20)는, 플러그(1)의 리셉터클에의 삽입방향 뒤쪽의 상부에 제1 결선부(26, 27)를 가지고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서 본 형상이 Y자형인 제1 콘택트(20b, 20d, 20e)와, 상기 삽입방향 뒤쪽의 하부에 제2 결선부(28)를 가지고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서 본 형상이 역 Y자형인 제2 콘택트(20a, 20c)의 2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택트(20b, 20d, 20e)와 제2 콘택트(20a, 20c)가 상기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콘택트(20)에 리드선(71, 72, 73, 74)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속할 수 있고, 콘택트(20)의 협피치화를 도모하면서, 리드선(71, 72, 73, 74)의 선직경을 대경화할 수 있고, 소형ㆍ박형으로 전기특성이 우수한 협피치의 플러그(1)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결선부(26, 27)는, 상기 제 1 콘택트(20b, 20d, 20e)의 단자부 (25)의 상부를 경사지게 구부린 경사부(25a)로부터 상기 삽입방향 뒤쪽으로 연설된 한쪽의 사변(26a, 27a)과, 상기 한쪽의 사변(26a, 27a)의 하부로부터 굴곡부(26b, 27b)를 개재해서 위쪽으로 경사져 연설된 다른 쪽의 사변(26c, 27c)을 가지며, 상기 제2 결선부(28)는, 상기 제2 콘택트(20a, 20c)의 단자부(25)의 하부를 경사지게 구부린 경사부(25b)로부터 상기 삽입방향 뒤쪽으로 연설된 한쪽의 사변(28a)과, 상 기 한쪽의 사변(28a)의 상부로부터 굴곡부(28b)를 개재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져 연설된 다른 쪽의 사변(28c)을 가지므로, 결선부 형상을 V자화한 콘택트(20)를 종래와 동일한 제조방법에 의해 간단하며, 또한 염가로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피치방향 한쪽의 최외측의 단부 콘택트(20e)는, 이것의 1개 안쪽의 콘택트(20d)와 동일종류로 하고, 상기 단부 콘택트(20e)와 이것의 1개 안쪽의 콘택트(20d)의 결선부(26, 27)가 서로 단락되어 있으므로,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단부 콘택트(20e)와 이것의 1개 안쪽의 콘택트(20d)의 결선부(26, 27)를 납땜에 의해 단락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콘택트(20)는, 리드선(71, 72, 73, 74)의 개수보다 1개 많은 수를 가지며, 단락되는 상기 결선부(26, 27) 중 상기 단부 콘택트(20e)의 결선부(26)에만 리드선(74)이 납땜되어 있으므로, 리드선(71, 72, 73, 74)에 접속되지 않은 나머지의 콘택트를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보디(40)는, 상기 삽입방향 뒤쪽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리드선(71, 72, 73, 74)의 말단부를 수용하는 제1 납땜공간(40d) 및 제2 납땜공간(40e)과, 상기 제1 납땜공간(40d) 및 제2 납땜공간(40e)의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40f)과, 상기 격벽(40f)의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설해서 콘택트(20)의 전체길이를 삽입 가능한 복수의 콘택트장착홈(43)을 가지며, 상기 콘택트장착홈(43)은, Y자형의 제1 콘택트삽입구(46, 47)를 가지고 상기 제1 콘택트(20b, 20d, 20e)의 전체길이가 삽입되는 제1 콘택트장착홈(43b, 43d, 43e)과, 역 Y자형의 제2 콘택트삽입구(48)를 가지고 상기 제2 콘택트(20a, 20c)의 전체길이가 삽입되는 제2 콘택트장착홈(43a, 43c)의 2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택트장착홈(43b, 43d, 43e)과 제2 콘택트장착홈(43a, 43c)이 상기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콘택트장착홈(43b, 43d, 43e)은, 상기 제1 콘택트삽입구(46, 47) 상부가 상기 제1 납땜공간(40d)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벽(40f)의 상부면에 상기 제1 결선부(26, 27)를 뒤쪽으로부터 지지하는 V자형의 제1 홈(49, 5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콘택트장착홈(43a, 43c)은, 상기 제2 콘택트삽입구(48) 하부가 상기 제 2납땜공간(40e)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벽(40f)의 하부면에 상기 제2 결선부(28)를 뒤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역 V자형의 제2 홈(5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결선부 형상을 V자화한 콘택트(20)의 유지부(21)뿐만 아니라 단자부(25) 및 결선부(26, 27, 28)를 포함해서 보디(40)에 유지시킬 수 있으며, 결선부 형상을 V자화한 콘택트(20)의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 리드선(71, 72, 73, 74)의 납땜공간(40d, 40e)을 결선부 형상의 V자화에 의해서 침범하지 않고 필요 충분히 확보하면서, 결선부(26, 27, 28)를 위치 고정한 상태에서 리드선(71, 72, 73, 74)의 납땜공간(40d, 40e)에 위치 정밀도 좋게 노출할 수 있으며, 리드선(71, 72, 73, 74)의 납땜 작업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동시에, 납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단부 콘택트(20e)의 콘택트장착홈(43e)은, 상기 제1 콘택트삽입구(46)와 상기 제2 콘택트삽입구(48)를 겸하는 제1ㆍ제2 콘택트공통삽입구(52)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제1ㆍ제2 콘택트공통삽입구(52) 상부가 상기 제1 납땜공간(40d)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벽(40f)의 상부면에 상기 제1 홈(49)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1ㆍ제2 콘택트공통삽입구(52) 하부가 상기 제2 납땜공간(40e)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 벽(40f)의 하부면에 상기 제2 홈(51)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콘택트장착홈과 제2 콘택트장착홈을 겸하는 제1ㆍ제2 콘택트공통장착홈(43e)으로 하고, 상기 제1ㆍ제2 콘택트공통장착홈(43e)에 상기 단부 콘택트(20e)의 전체길이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단부 콘택트(20e)가 제1 콘택트, 제2 콘택트 중 어느 한 종류이어도 대응할 수 있어서,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보디(40)는, 인접하는 상기 제1 결선부(26, 27)의 사이에서 제1 결선부(26, 27)보다 위쪽으로 돌출시키는 제1 제방(59)과, 인접하는 상기 제2 결선부(28)의 사이에서 제2 결선부(28)보다 아래쪽으로 돌출시키는 제2 제방(60)을 가지므로, 인접하는 제1 결선부(26, 27)의 사이 및 인접하는 제2 결선부(28)의 사이에 솔더 브릿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접하는 제1 결선부(26, 27)의 간격 및 인접하는 제2 결선부(28)의 간격은 최소한으로 해결된다. 이에 의해, 결선부(26, 27, 28)를 크기를 작게 하지 않고 콘택트(20)의 피치 간격을 좁게 힐 수 있으므로, 플러그(1)를 보다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콘택트(20)의 피치 간격을 확장하지 않고 결선부(26, 27, 28)를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으며, 리드선(71, 72, 73, 74)의 납땜 작업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동시에, 납땜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제1 제방(59)의 양쪽 측면은, 인접하는 한쪽의 상기 제1 결선부(27)의 한쪽의 사변(27a) 표면과 다른 쪽의 상기 제1 결선부(26)의 다른 쪽의 사변(26c) 표면으로부터 이들 각 사변(27a, 26c)보다도 급격한 경사각을 가지고 돌기하는 경사면(59a, 59b)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제방(60)의 양쪽 측면은, 인접하는 한쪽의 상기 제2 결선부(28)의 한쪽의 사변(28a) 표면과 다른 쪽의 상기 제2 결선부(28)의 다른 쪽의 사변(28c) 표면으로부터 이들 각 사변(28a, 28c)보다도 급격한 경사각을 가지고 돌기하는 경사면(60a, 60b)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제방(59) 및 제2 제방(60)을 용융된 땜납이 더욱더 넘어가기 어려워지며, 높은 솔더 브릿지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리드선(71, 72, 73, 74)의 말단부를 제1 결선부(26, 27) 및 제2 결선부(28)에 재치할 경우에 제1 제방(59) 및 제2 제방(60)이 장해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1 제방(59)의 경사면(59a, 59b) 및 제2 제방(60)의 경사면(60a, 60b)이 리드선(71, 72, 73, 74)의 말단부의 제1 결선부(26, 27) 및 제2 결선부(28)에의 도입가이드가 되고, 리드선(71, 72, 73, 74)의 납땜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플러그(1)는 USB 커넥터 중에 현시점에서 가장 소형ㆍ박형인 마이크로 USB 커넥터 규격 준거의 마이크로 USB 플러그이지만, 이 크기를 손상시키지 않고, 콘택트(20)의 결선부 형상의 V자화에 의해서, 용융된 땜납이 결선부(26, 27, 28)로부터 적하되어서 인접하는 콘택트 사이에 솔더 브릿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 리드선(71, 72, 73, 74)의 납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납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1)는, 종래와 동등한 소형ㆍ박형화를 도모하면서, 용융된 땜납이 결선부(26, 27, 28)로부터 적하되어서 인접하는 콘택트 사이에 솔더 브릿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리드선(71, 72, 73, 74)을 결선부(26, 27, 28)에 작업성 좋게, 또한 높은 강도로 납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장착상태에서는 래치(30)는, 유지부(31)가 유지부 장착부(53)에 압입되어서 걸어맞춤클로(33)의 파지부(40a)의 수지에의 침투에 의해 이탈방지된 상태에서 고정유지되고, 스프링부(32)가 스프링부 장착부(54)에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며, 걸어맞춤부(34)가 끼워맞춤부(4Ob)의 오목부(40g)로부터 좌우 바깥 측면부의 좌우 양쪽 상부면으로 돌출 배치된다.
또, 좌측의 래치(30)의 회전규제부(35)는 좌측의 래치장착홈(44a)의 래치삽입구(55)에 삽입 배치되고, 걸어맞춤편(35b)이 보디(40)의 걸어맞춤면(57)에 아래쪽으로부터 접촉되어 걸어 맞춘다. 우측의 래치(30)의 회전규제부(36)는 우측의 래치장착홈(44a)의 래치삽입구(56)에 삽입 배치되고, 걸어맞춤편(36b)이 보디(40)의 걸어맞춤면(58)에 아래쪽으로부터 접촉되어 걸어 맞춘다. 이에 의해, 플러그(1)의 리셉터클에의 삽발 시에 래치(30)가 걸어맞춤부(34)의 압하에 수반해서 도 10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고, 유지부 장착부(53)의 주위에 있는 수지가 마모되어서 보디(40)의 래치유지력이 저하되는 것에 의한 플러그(1)의 록 기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 도 13, 도 14(A), 도 14(B), 도 14(C), 도 1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쉘(80)은 콘택트(20)보다 약간 두꺼운 판두께를 가지는 스프링용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평판을 타발가공한 후, 타발한 금속평판을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되며, 보디(40)의 파지부(40a)의 상부면을 덮는 직사각형의 베이스(81)와, 이 베이스(81)의 연장부를 꺾어 세워서 이루어지는 복수의 측판을 가진다. 측판은, 베이스(81)의 앞쪽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연장부가, 보디(40)의 파지부(40a)의 상부면 과 끼워맞춤부(40b)의 상부면의 단차면이 되는 끼워맞춤부(40b)보다 위쪽인 파지부(40a)의 전단부면이 뒤쪽에 대략 45˚의 경사로 경사진 경사면(40c)을 따르도록, 대략 45˚의 굽힘 각도로 구부려 꺾어 세워진 전측판(82)과, 베이스(81)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연장부가, 보디(40)의 파지부(40a)의 좌우측면을 따르도록 대략 90˚의 굽힘 각도로 꺾어 세워진 좌우측판(83, 84)을 포함한다.
또, 쉘(80)은, 전측판(82)의 앞쪽 가장자리로부터 한층 더 연장된 베이스(81) 및 전측판(82)보다 폭이 넓은 연장부가, 보디(40)의 끼워맞춤부(40b)의 주위 측면을 따르도록, 사각통형으로 절곡된 통형상부(85)와, 베이스(81)의 뒤쪽 가장자리 중앙부에서 뒤쪽으로 연설편(86)을 개재해서 돌출 형성된 케이블압압판(87)을 가진다.
또한, 쉘(80)은, 좌우측판(83, 84)의 전후 2개소에서 바깥쪽으로 절단해서 세워 형성된 스프링편으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클로(83a, 83b, 84a, 84b)와, 통형상부(85)의 주위의 벽 상부의 좌우 측면부에 개구 형성된 래치창(85a, 85b)과, 통형상부(85)의 주위의 벽 하부의 좌우 2개소에서 아래쪽으로 절단해서 세워 형성된 가늘고 긴 스프링편으로 이루어지는 그라운드용 접편(85c, 85d)을 가진다.
여기서, 타발한 금속평판을 절곡가공해서 쉘(80)을 형성할 경우, 각 절곡부가 둥글게 휘어지기(아르(round)) 때문에, 베이스(81)의 연장부를 꺾어 세워서 이루어지는 측판 중, 전측판(82)의 좌우측 가장자리와 이 전측판(82)에 인접하는 좌우측판(83, 84)의 앞쪽 가장자리의 사이에 극간(88, 89)이 형성되고, 또한 전측판(82)이 베이스(81)의 연장부를 굽힘 각도 45˚로 꺾어 세워지고, 좌우측판(83, 84)이 베이스(81)의 연장부를 굽힘 각도 90˚로 꺾어 세워진 것이기 때문에, 극간(88, 89)은 슬릿형상의 가는 극간이 아니라 삼각형상으로 크게 개방한다.
보디(40)의 앞쪽과 쉘(80)의 뒤쪽을 서로 대향한 상태에서, 보디(40)를 쉘(80)의 안쪽으로 압입하면서, 보디(40)의 끼워맞춤부(40a)를 쉘(80)의 통형상부(85)에 압입함으로써, 보디(40)의 바깥쪽에 쉘(80)이 장착된다.
장착상태에서는 쉘(80)은, 보디(40)의 끼워맞춤부(40a)의 주위를 통형상부(85)에 의해 덮고, 끼워맞춤부(4Oa)의 오목부(40g)를 덮는 동시에, 보디(40)의 파지부(40a)의 상부면 및 좌우측면을 베이스(81) 및 좌우측판(83, 84)에 의해 덮는다. 또, 보디(40)의 파지부(40a)의 상부면과 끼워맞춤부(40b)의 상부면의 단차면이 되는 끼워맞춤부(40b)보다 위쪽인 파지부(40a)의 전단부면이 뒤쪽에 대략 45˚의 경사로 경사진 경사면(40c)이 전측판(82)에 의해서 덮인다. 또, 쉘(80)의 연설편(86) 및 케이블압압판(87)은 보디(40)의 뒤쪽 상부로부터 케이블(70)의 단부 위 표면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보디(40)의 끼워맞춤부(40b)는 앞쪽만이 개방되고, 이 끼워맞춤부(40b) 내에 콘택트(20)의 접촉부(24)가 좌우방향으로는 일정한 피치 간격을 두고 병렬로 돌출 배치되는 동시에, 끼워맞춤부(40b)의 상부 금속 표면의 좌우 측면부에 통형상부(85)의 좌우의 래치창(85a, 85b)을 통과시켜서 좌우의 래치(30)의 걸어맞춤부(34)가 돌출 배치된다.
그리고, 도 3,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서 이미 기재된 보디(40)의 좌우의 실링부(41, 42)는, 경사면(40c)의 좌우 양쪽 측면부로부터 앞쪽을 향해서 돌출 형성되고, 쉘(80)의 극간(83, 84)의 좌우 폭, 상하 폭에 상당하는 두께, 높이를 가지는 동시에, 극간(83, 84)의 전후 폭보다 약간 긴 길이를 가진다. 또, 좌우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좌우의 실링부(41, 42)의 내부면(41a, 42a)은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이 서로 대향하는 내부면(41a, 42a)간의 거리는 쉘(80)의 전측판(82)의 좌우 폭과 대략 동일한 치수로 설정된다. 좌우의 실링부(41, 42)의 외부면(41b, 42b)은 보디(40)의 파지부(40a)의 좌우측면과 동일면이다.
이와 같은 좌우의 실링부(41, 42)는, 쉘(80)의 보디(40)에의 장착완료 직전에, 이 전단부쪽으로부터 쉘(80)의 좌우의 극간(88, 89)에 끼이고, 장착이 진행됨에 따라서, 이 서로 대향하는 내부면(41a, 42a)을 쉘(80)의 전측판(82)의 좌우 단부면과 슬라이딩식 접촉하면서, 한층 더 쉘(80)의 좌우의 극간(88, 89)에 끼이고, 장착완료에 의해서 쉘(80)의 좌우의 극간(88, 89)을 완전히 막는다. 이에 의해서, 플러그(1)를 제조할 경우의 최종공정에서 실행되는 오버몰드가공 시에, 용융수지가 쉘(80)의 좌우의 극간(88, 89)으로부터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용융수지가 쉘(80)의 좌우의 극간(88, 89)으로부터 안쪽의 보디(40)의 끼워맞춤부(40b)로 유입되고, 콘택트(20)의 스프링부(22) 및 접촉부(24)나 래치(30)의 스프링부(32) 및 걸어맞춤부(34)가 가동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 도 15(A), 도 15(B), 도 15(C), 도 1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쉘커버(90)는 쉘(80)보다 약간 두꺼운 판두께를 가지는 스프링용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평판을 타발가공한 후, 타발한 금속평판을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보디(40)의 파지부(40a)의 하부면을 덮는 직사각형의 다른 베이스(91)와, 이 다른 베이스(91)의 연장부를 꺾어 세워서 이루어지는 복수의 측판을 가진다. 측판은, 다른 베이스(91)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연장부가, 쉘(80)의 좌우측판(83, 84)의 외부면을 따르도록 대략 90˚의 굽힘 각도로 꺾어 세워진 다른 좌우측판(92, 93)을 포함한다.
또, 쉘커버(90)는, 다른 베이스(91)의 뒤쪽 가장자리 중앙부에서 뒤쪽으로 돌출 형성된 연설편(94)의 단부에 상향으로 개확한 U자 형상의 케이블고정판(95)을 가진다. 또한, 쉘커버(90)는, 다른 좌우측판(92, 93)의 전후 2개소에 개구 형성된 걸어맞춤구멍(92a, 92b, 93a, 93b)을 가진다.
쉘(80)이 장착된 보디(40)의 하부면과 쉘커버(90)의 다른 베이스(91)의 내부면을 서로 대향한 상태에서, 보디(40)를 쉘커버(90)의 안쪽으로 압입하면서, 쉘(80)의 좌우측판(83, 84)을 쉘커버(90)의 다른 좌우측판(92, 93)의 안쪽에 겹침으로써, 쉘(80)의 걸어맞춤클로(83a, 83b, 84a, 84b)가 쉘커버(90)의 걸어맞춤구멍(92a, 92b, 93a, 93b)에 끼이고, 보디(40) 바깥쪽에 쉘(80)에 대해서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쉘커버(90)가 장착된다.
장착상태에서는 쉘커버(90)는, 보디(40)의 파지부(40a)의 하부면을 쉘(80)의 베이스(81)와 서로 대향하는 다른 베이스(91)에 의해 덮고, 쉘(80)에 의해 보디(40)의 주위의 전체 면을 감싸고, 높은 차폐효과를 얻는 동시에, 플러그 본체(10)의 견뢰성을 향상시킨다.
또, 쉘커버(90)의 장착 후, 케이블고정판(95)의 안쪽에 케이블(70)의 단부를 재치한 상태에서, 케이블(70)의 단부 및 쉘(80)의 케이블압압판(87)을 감싸도록 케 이블고정판(95)을 클램핑가공함으로써, 플러그 본체(10)의 뒤쪽에 케이블(70)의 단부가 강고히 결합 고정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플러그(1)는, 케이블(70)과 접속되는 콘택트(20)를 가지며, 상기 콘택트(20)가 절연성의 보디(40)에 유지되고, 상기 보디(40)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쉘(80)에 의해 차폐된 플러그 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10)의 일부가 오버몰드되어 있는 플러그로서, 상기 쉘(80)은, 직사각형상의 베이스(81)와, 상기 베이스(81)의 연장부를 꺾어 세워서 이루어지는 복수의 측판(82, 83, 84)을 가지며, 상기 보디(40)는, 상기 쉘(80)이 인접하는 상기 측판(82, 83, 84)의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88, 89)에 끼여서 상기 극간(88, 89)을 막는 실링부(41, 42)를 가진다.
또, 상기 보디(40)는, 플러그(1)의 리셉터클에의 삽입방향 뒤쪽에 형성하는 플러그(1)의 파지부(40a)와, 상기 파지부(40a)로부터 상기 삽입방향 앞쪽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리셉터클에 삽입하는 상기 파지부(40a)보다 얇은 끼워맞춤부(40b)를 가지며, 상기 쉘(80)은, 상기 파지부(40a)의 상기 삽입방향 앞쪽의 전단부면(40c)을 덮는 전측판(82)과, 상기 파지부(40a)의 전단부면(40c)에 인접하는 좌우측면을 따르는 좌우측판(83, 84)과, 상기 전측판(82)의 연장부를 절곡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워맞춤부(40b)를 덮는 통형상부(85)를 가지며, 상기 실링부(41, 42)는, 상기 전측판(82)과 좌우측판(83, 84)의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88, 89)에 끼여서 상기 극간(88, 89)을 막고, 상기 플러그 본체(10)의 상기 보디(40)의 파지부(40a)에서 끼워맞춤부(40b)의 근원부까지가 오버몰드되어 있다.
또, 상기 보디(40)의 끼워맞춤부(40b)를 리셉터클에 삽입한 경우에 상기 리셉터클에 걸어 맞추는 래치(30)를 가진다.
또, 상기 쉘(80)은, 상기 베이스(81)의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 위치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택트(20)에 접속된 상기 케이블(70)과 결합하는 고정부(95)를 가지며, 상기 케이블(70)의 단부로부터 상기 플러그 본체(10)의 상기 보디(40)의 파지부(40a)를 경유해서 끼워맞춤부(40b)의 근원부까지가 오버몰드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81)와 서로 대향하는 다른 베이스(91)와, 상기 다른 베이스(91)의 연장부를 꺾어 세워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측판(82, 84)과 겹치는 다른 좌우측판(92, 93)을 가지며, 상기 쉘(80)에 의해 상기 보디(40)의 파지부(40a)의 전체 주위를 덮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쉘커버(90)를 구비한다.
또, 상기 쉘커버(90)는, 상기 다른 베이스(91)의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 위치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택트(20)에 접속된 상기 케이블(70)과 결합하는 다른 고정부(95)를 가진다.
따라서 플러그(1)는, 쉘(80)의 불가피한 극간(88, 89)을 보디(40)의 실링부(41, 42)에 의해 막으므로, 오버몰드가공을 실시할 경우에 용융수지가 쉘(80)의 극간(88, 89)으로부터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콘택트(20)나 래치(30)의 가동부가 가동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커넥터(플러그)의 매우 적합한 일실시의 형태를 마이크로 USB 커넥터의 플러그(1)에 의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커넥터의 정면도, 도 1(B)은 동일커넥터의 우측면도, 도 1(C)은 동일커넥터의 저면도;
도 2(A)는 동일커넥터의 오버몰드만 절반 단면한 상태의 평면도, 도 2(B)는 동일커넥터의 오버몰드만 전체 단면한 상태의 우측면도;
도 3은 동일커넥터의 플러그 본체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케이블은 도시하지 않음);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우측면도;
도 5는 동일커넥터의 보디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동일커넥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동일커넥터의 보디의 배면도;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
도 9(A)는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9(B)는 도 7의 C-C선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D-D선 단면도;
도 11은 동일커넥터의 제1 콘택트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A)는 동일커넥터의 제1 콘택트의 우측면도 및 배면도, 도 12(B)는 다른 제1 콘택트의 우측면도 및 배면도, 도 12(C)는 제2 콘택트의 우측면도 및 배면도;
도 13은 동일커넥터의 쉘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A)는 동일커넥터의 쉘의 정면도, 도 14(B)는 쉘의 평면도, 도 14(C)는 쉘의 측면도, 도 14(D)는 (B)의 A-A선 단면도;
도 15(A)는 동일커넥터의 쉘커버의 정면도, 도 15(B)는 쉘커버의 평면도, 도 15(C)는 쉘커버의 우측면도, 도 15(D)는 (B)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플러그(마이크로 USB 플러그) 20: 콘택트
20a: 1번 콘택트(제2 콘택트) 20b: 2번 콘택트(제1 콘택트)
20c: 3번 콘택트(제2 콘택트) 20d: 4번 콘택트(다른 제 1콘택트)
20e: 5번 콘택트(제1 콘택트, 단부 콘택트)
21: 유지부 24: 접촉부
25: 단자부 25a, 25b: 경사부
26: 제1 결선부 26a, 26c: 사변
26b: 굴곡부 27: 다른 제1 결선부
27a, 27c: 사변 27b: 굴곡부
28: 제2 결선부 28a, 28c: 사변
28b: 굴곡부 4O: 보디
4Od: 제1 납땜공간 40e: 제2 납땜공간
4Of: 격벽 43: 콘택트장착홈
43a: 1번 콘택트장착홈(제2 콘택트장착홈)
43b: 2번 콘택트장착홈(제1 콘택트장착홈)
43c: 3번 콘택트장착홈(제2 콘택트장착홈)
43d: 4번 콘택트장착홈(다른 제1 콘택트장착홈)
43e: 5번 콘택트장착홈(제1 콘택트장착홈, 제1ㆍ제2 콘택트공통장착홈)
46: 제1 콘택트삽입구 47: 다른 제1 콘택트삽입구
48: 제2 콘택트삽입구 49: 제 1홈
50: 다른 제 1홈 51: 제 2홈
52: 제 1·제2 콘택트공통삽입구 59: 제 1제방
59a, 59b: 경사면 60: 제 2제방
60a, 60b: 경사면 70: 케이블
71, 72, 73, 74: 리드선

Claims (11)

  1. 피치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보디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콘택트는, 상대쪽 커넥터가 구비된 콘택트와 접촉시키는 접촉부와, 상기 보디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케이블로부터 인출된 리드선과 접속하는 단자부를 가지며, 상기 단자부는, 커넥터의 상대쪽 커넥터에의 삽발방향과 상기 삽발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피치방향에 직교하는 커넥터의 두께방향을 따라 개확(開擴)해서 상기 리드선이 납땜되는 결선부를 가지고,
    상기 결선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커넥터의 두께방향을 따라서 개확하고 있고,
    상기 콘택트는, 커넥터의 상대쪽 커넥터에의 삽입방향 뒤쪽의 상부에 제1 결선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서 본 형상이 Y자형인 제1 콘택트와, 상기 삽입방향 뒤쪽의 하부에 제2 결선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서 본 형상이 역(逆) Y자형인 제2 콘택트의 2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택트와 제2 콘택트가 상기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결선부는, 상기 제1 콘택트의 단자부의 상부를 경사지게 구부린 경사부로부터 상기 삽입방향 뒤쪽으로 연설된 한쪽의 사변(斜邊)과, 상기 한쪽의 사변의 하부로부터 굴곡부를 개재해서 위쪽으로 경사져 연설된 다른 쪽의 사변을 가지며, 상기 제2 결선부는, 상기 제2 콘택트의 단자부의 하부를 경사지게 구부린 경사부로부터 상기 삽입방향 뒤쪽으로 연설된 한쪽의 사변과, 상기 한쪽의 사변의 상부로부터 굴곡부를 개재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져 연설된 다른 쪽의 사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피치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보디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콘택트는, 상대쪽 커넥터가 구비된 콘택트와 접촉시키는 접촉부와, 상기 보디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케이블로부터 인출된 리드선과 접속하는 단자부를 가지며, 상기 단자부는, 커넥터의 상대쪽 커넥터에의 삽발방향과 상기 삽발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피치방향에 직교하는 커넥터의 두께방향을 따라 개확(開擴)해서 상기 리드선이 납땜되는 결선부를 가지고,
    상기 결선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커넥터의 두께방향을 따라서 개확하고 있고,
    상기 콘택트는, 커넥터의 상대쪽 커넥터에의 삽입방향 뒤쪽의 상부에 제1 결선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서 본 형상이 Y자형인 제1 콘택트와, 상기 삽입방향 뒤쪽의 하부에 제2 결선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서 본 형상이 역(逆) Y자형인 제2 콘택트의 2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택트와 제2 콘택트가 상기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피치방향 한쪽의 최외측의 단부 콘택트는, 이것의 1개 안쪽의 콘택트와 동일종류로 하고, 상기 단부 콘택트와 이것의 1개 안쪽의 콘택트의 결선부 상호간이 단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방향 한쪽의 최외측의 단부 콘택트는, 이것의 1개 안쪽의 콘택트와 동일종류로 하고, 상기 단부 콘택트와 이것의 1개 안쪽의 콘택트의 결선부 상호간이 단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리드선의 개수보다 1개 많은 수를 가지며, 단락되는 상기 결선부 중 상기 단부 콘택트의 결선부에만 리드선이 납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USB 커넥터 규격을 따른 마이크로 USB 플러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피치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보디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콘택트는, 상대쪽 커넥터가 구비된 콘택트와 접촉시키는 접촉부와, 상기 보디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케이블로부터 인출된 리드선과 접속하는 단자부를 가지며, 상기 단자부는, 커넥터의 상대쪽 커넥터에의 삽발방향과 상기 삽발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피치방향에 직교하는 커넥터의 두께방향을 따라 개확(開擴)해서 상기 리드선이 납땜되는 결선부를 가지고,
    상기 결선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커넥터의 두께방향을 따라서 개확하고,
    상기 콘택트는, 커넥터의 상대쪽 커넥터에의 삽입방향 뒤쪽의 상부에 제1 결선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서 본 형상이 Y자형인 제1 콘택트와, 상기 삽입방향 뒤쪽의 하부에 제2 결선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방향 뒤쪽에서 본 형상이 역(逆) Y자형인 제2 콘택트의 2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택트와 제2 콘택트가 상기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보디는, 상기 삽입방향 뒤쪽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리드선의 말단부를 수용하는 제1 납땜공간 및 제2 납땜공간과, 상기 제1 납땜공간 및 제2 납땜공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설해서 콘택트의 전체길이를 삽입 가능한 복수의 콘택트장착홈을 가지며, 상기 콘택트장착홈은, Y자형의 제1 콘택트삽입구를 가지고 상기 제1 콘택트의 전체길이가 삽입되는 제1 콘택트장착홈과, 역 Y자형의 제2 콘택트삽입구를 가지고 상기 제2 콘택트의 전체길이가 삽입되는 제2 콘택트장착홈의 2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택트장착홈과 제2 콘택트장착홈이 상기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콘택트장착홈은, 상기 제1 콘택트삽입구 상부가 상기 제1 납땜공간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벽의 상부면에 상기 제1 결선부를 뒤쪽으로부터 지지하는 V자형의 제1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콘택트장착홈은, 상기 제 2 콘택트삽입구 하부가 상기 제2 납땜공간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벽의 하부면에 상기 제2 결선부를 뒤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역 V자형의 제2 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상기 삽입방향 뒤쪽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리드선의 말단부를 수용하는 제1 납땜공간 및 제2 납땜공간과, 상기 제1 납땜공간 및 제2 납땜공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설해서 콘택트의 전체길이를 삽입 가능한 복수의 콘택트장착홈을 가지며, 상기 콘택트장착홈은, Y자형의 제1 콘택트삽입구를 가지고 상기 제1 콘택트의 전체길이가 삽입되는 제1 콘택트장착홈과, 역 Y자형의 제2 콘택트삽입구를 가지고 상기 제2 콘택트의 전체길이가 삽입되는 제2 콘택트장착홈의 2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택트장착홈과 제2 콘택트장착홈이 상기 피치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콘택트장착홈은, 상기 제1 콘택트삽입구 상부가 상기 제1 납땜공간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벽의 상부면에 상기 제1 결선부를 뒤쪽으로부터 지지하는 V자형의 제1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콘택트장착홈은, 상기 제 2 콘택트삽입구 하부가 상기 제2 납땜공간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벽의 하부면에 상기 제2 결선부를 뒤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역 V자형의 제2 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콘택트의 콘택트장착홈은, 상기 제1 콘택트삽입구와 상기 제2 콘택트삽입구를 겸하는 제1ㆍ제2 콘택트공통삽입구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제1ㆍ제2 콘택트공통삽입구 상부가 상기 제1 납땜공간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벽의 상부면에 상기 제1 홈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1ㆍ제2 콘택트공통삽입구 하부가 상기 제2 납땜공간에 개방되어서 상기 격벽의 하부면에 상기 제2 홈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콘택트장착홈과 제2 콘택트장착홈을 겸하는 제1ㆍ제2 콘택트공통장착홈으로 하고, 상기 제1ㆍ제2 콘택트공통장착홈에 상기 단부 콘택트의 전체길이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인접하는 상기 제1 결선부의 사이에서 제1 결선부보다 위쪽으로 돌출시키는 제1 제방과, 인접하는 상기 제2 결선부의 사이에서 제2 결선부보다 아래쪽으로 돌출시키는 제2 제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방의 양쪽 측면은, 인접하는 한쪽의 상기 제1 결선부의 한쪽의 사변 표면과 다른 쪽의 상기 제1 결선부의 다른 쪽의 사변 표면으로부터 이들 각 사변보다도 급격한 경사각을 가지고 돌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제방의 양쪽 측면은, 인접하는 한쪽의 상기 제2 결선부의 한쪽의 사변 표면과 다른 쪽의 상기 제2 결선부의 다른 쪽의 사변 표면으로부터 이들 각 사변보다도 급격한 경사각을 가지고 돌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삭제
KR1020080061291A 2007-06-29 2008-06-27 커넥터 KR101006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72302A JP4500832B2 (ja) 2007-06-29 2007-06-29 コネクタ
JPJP-P-2007-00172302 2007-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115A KR20090003115A (ko) 2009-01-09
KR101006290B1 true KR101006290B1 (ko) 2011-01-06

Family

ID=3972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291A KR101006290B1 (ko) 2007-06-29 2008-06-27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24221B2 (ko)
EP (1) EP2009743B1 (ko)
JP (1) JP4500832B2 (ko)
KR (1) KR101006290B1 (ko)
CN (1) CN101335394B (ko)
CA (1) CA2633710C (ko)
TW (1) TW20090157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7903A (ja) * 2009-04-28 2010-11-11 Alps Electric Co Ltd コネクタ
JP5322846B2 (ja) * 2009-08-20 2013-10-23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用いたコネクタ
DE102009055014A1 (de) * 2009-12-18 2011-06-22 Robert Bosch GmbH, 70469 Steckverbindung mit erhöhter Schwingfestigkeit
JP5212499B2 (ja) * 2010-09-08 2013-06-19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8845356B2 (en) * 2012-01-31 2014-09-30 Invue Security Products Inc. Power adapter cord having locking connector
AR092299A1 (es) * 2012-02-09 2015-04-15 Sanofi Aventis Deutschland Micro enchufe y micro receptaculo estandar modificado
US8475212B1 (en) * 2012-02-21 2013-07-0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harging connector
US9124008B2 (en) * 2013-08-29 2015-09-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9484689B2 (en) * 2014-04-30 2016-11-0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Wire spacer for different types of cable wires
JP6638583B2 (ja) * 2016-07-12 2020-01-2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接続アセンブリ
CN107785684B (zh) * 2017-09-08 2019-06-1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导线端子防熔融滴落结构和滚筒洗衣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168A (ko) * 2001-02-08 2002-08-14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와이어 처리 부재 및 와이어 처리 부재를 갖는 전기케이블 커넥터
JP2004158288A (ja) * 2002-11-06 2004-06-0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6332005A (ja) * 2005-05-30 2006-12-07 Mitsumi Electric Co Ltd 電線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0698A (en) * 1971-05-12 1973-06-19 Honeywell Inf Systems Ribbon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stress relieving means
JPH03128376U (ko) * 1990-04-04 1991-12-24
JP3132985B2 (ja) * 1995-06-12 2001-02-05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タクトにおける接続端子部構造
CA2252610A1 (en) * 1996-04-22 1997-10-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Cable plug-in connector with contact tongues provided with soldered connections and secured in an insulating body
JP3287810B2 (ja) * 1999-04-28 2002-06-0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6386926B1 (en) * 2001-06-19 2002-05-14 Su-Lan Yang Lee Serial bus connector terminal main body
JP3826073B2 (ja) 2002-06-05 2006-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クリーンセーバ作成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887104B2 (en) * 2002-11-12 2005-05-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5149784A (ja) * 2003-11-12 2005-06-09 Kel Corp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TWM261868U (en) * 2004-06-18 2005-04-11 Advanced Connectek Inc A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atch device
TWM297074U (en) * 2005-12-29 2006-09-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168A (ko) * 2001-02-08 2002-08-14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와이어 처리 부재 및 와이어 처리 부재를 갖는 전기케이블 커넥터
JP2004158288A (ja) * 2002-11-06 2004-06-0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3800604B2 (ja) * 2002-11-06 2006-07-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332005A (ja) * 2005-05-30 2006-12-07 Mitsumi Electric Co Ltd 電線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04926A1 (en) 2009-01-01
EP2009743A2 (en) 2008-12-31
JP2009009895A (ja) 2009-01-15
TW200901570A (en) 2009-01-01
JP4500832B2 (ja) 2010-07-14
CA2633710A1 (en) 2008-12-29
CA2633710C (en) 2015-07-07
EP2009743B1 (en) 2015-10-28
EP2009743A3 (en) 2014-08-06
CN101335394B (zh) 2012-01-11
CN101335394A (zh) 2008-12-31
US7824221B2 (en) 2010-11-02
TWI357692B (ko) 2012-02-01
KR20090003115A (ko) 200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569B1 (ko) 커넥터
KR101006290B1 (ko) 커넥터
US773619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US1168285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60118729A1 (en) Connector
EP3096409B1 (en) A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s
EP0963009A1 (en)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r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and a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CN101183756B (zh) 具有电线对准功能且尺寸可减小的电连接器
JP2013524411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におけるバスバーパターン識別方法
JP5598849B2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ハウジング、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06066291A (ja) 多極コネクタ
JP5134098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組立体
JP2002141131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7267214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WO2022230439A1 (ja) コネクタ
CN213184691U (zh) 具有遮蔽壳体的电连接器
WO2023218926A1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WO2023204010A1 (ja) コネクタ
KR20130080006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080000734U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70053391A (ko) 전기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