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631B1 - 워크피스를 원심 탈수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워크피스를 원심 탈수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5631B1 KR101005631B1 KR1020020044049A KR20020044049A KR101005631B1 KR 101005631 B1 KR101005631 B1 KR 101005631B1 KR 1020020044049 A KR1020020044049 A KR 1020020044049A KR 20020044049 A KR20020044049 A KR 20020044049A KR 101005631 B1 KR101005631 B1 KR 1010056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llet
- workpiece
- rotation
- corner
- transfer mechanis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팰릿이나 이와 유사한 트레이 또는 용기 등의 사각형 평면을 갖는 워크피스(workpiece)에 부착된 세정액 등의 액체를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원심 탈수기술에 관한 것으로, 직각평면을 갖는 워크피스의 직각 평면의 한쪽 대각선 상에 워크피스를 유지하고, 대각선이 회전축과 일치하는 상태로 워크피스를 회전시켜 워크피스에 부착된 액체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원심탈수, 경사수단, 지지부재, 이송기구, 회전수단, 컨베이어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의 주요부에 관한 레이아웃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팰릿 설치를 위한 기립수단의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기립수단의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기립수단의 부분을 도시한 좌측면도.
도 5는 기립수단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6은 팰릿을 기울게 하는 경사수단의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경사수단을 도시한 부분 확대 측면도.
도 8은 탈수실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탈수실의 중앙에서 본 내부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제1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한쪽 이송기구의 확대 정면도.
도 11은 제1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한쪽 이송기구의 확대 평면도.
도 12는 제1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한쪽 이송기구의 확대 측면도.
도 13은 이송기구의 다른 동작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이송기구의 또 다른 동작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제1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다른 쪽 이송기구의 확대 정면도.
도 16은 제1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다른 쪽 이송기구의 평면도.
도 17은 제2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한 쪽 이송기구의 확대 평면도.
도 18은 제2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다른 쪽 이송기구의 확대 평면도.
도 19는 원심 탈수수단의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20은 팰릿의 하부 코너부를 유지하기 위한 하부 유지수단을 도시한 확대 수직 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2는 팰릿의 상부 코너부를 유지하기 위한 상부 유지수단을 도시한 확대 수직단면도.
본 발명은 팰릿(pallet)나 이와 유사한 트레이 또는 용기 등의 사각형 평면을 갖는 워크피스(workpiece)(이하, 팰릿 등이라 함)에 부착된 세정액 등의 액체를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제거하는 원심 탈수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수지로 형성된 팰릿 등이 원심 탈수되는 경우에는 팰릿 등이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원심 탈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팰릿 등에는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의 리브(rib)가 설치되고, 이들 리브에 의해 다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오목부에 잔류하는 세정액은 원 심 탈수하여도 용이하게 제거될 수 없었다. 따라서 팰릿의 원심탈수에 관하여 팰릿을 기립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기술이 발표되었다(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6-52973). 이 경우에는 오목부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팰릿을 유지할 때 중심이 어긋나기 쉬워서 팰릿이 그대로 회전하더라도 불균형 때문에 불안정하게 되어 위험이 커진다는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사정 때문에 팰릿을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홀더가 복잡하고 대형화하는 경향이 있다. 또 팰릿의 종류는 매우 많고, 크기가 다른 팰릿을 동일한 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한다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적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팰릿 등을 유지할 때 그 팰릿 등의 중심을 간편하게 회전축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원심력에 의해 진동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는 팰릿 등의 원심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사각형 평면을 갖는 워크피스가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유지수단에 의해 실질적으로 직각평면의 대각선 상에 유지되고, 그 워크피스의 대각선이 회전축과 일치된다. 워크피스의 중심은 일반적으로 그 대각선 상에 위치되므로 워크피스의 중심은 상술한 구조에 따라 회전축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원심력에 기인한 진동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언급되는 워크피스의 대각선과 회전축의 일치는 엄밀한 의미에서는 생각될 수 없으며, 워크피스의 대각선과 회전축을 일치시켜 회전의 불균형을 회피함으로써 장애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원심력에 기인한 진동을 억제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만약 워크피스의 코너부의 한 쌍이 한 쌍의 홀더에 의해 대각선 상에 유지되면, 워크피스의 대각선이 회전축과 용이하게 일치될 수 있다. 워크피스의 회전방향은 정방향과 역방향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고, 전환주기는 2회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한쪽 에지(edge)가 바닥에 설치되도록 워크피스가 직립상태로 세정된 후 워크피스는 코너부분이 바닥으로 설치되도록 경사지며, 경사진 상태로 원심탈수가 실행된다. 더욱이 워크피스의 코너부의 한 쌍이 각각 홀더의 한 쌍에 의해 유지될 때, 각각의 코너부가 두 개의 인접한 에지부(edge portion) 사이에 위치되면서 홀더는 두 개의 인접한 에지부에 일치되게 접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두 개의 에지 부분 사이에 위치된 워크피스 바닥의 코너부와 함께 두 개의 에지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기구와 지지기구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기구가 추가로 포함되면 좋다.
또, 본 발명은 평면의 펠릿과 같은 평면의 워크피스를 원심 탈수하는데 이용할 수 있으나, 워크피스의 형상은 이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워크피스의 형상은 장방형 고체, 정방형 등으로 될 수도 있다. 장방형 평면의 워크피스로는 최소한 일방향에서 볼 때 직각평면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워크피스는 탈수 시에 최소한 한쌍의 코너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특징과 이점은 다음의 첨부도면과 관련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분명해 질 것이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레이아웃도이다. 워크피스로서의 팰릿(1)은 저장실(2) 내에 수평으로 적층상태로 수용되며, 배출 컨베이어(3)를 통해 하나씩 기립수단(4)으로 이송된다. 기립수단(4)에 이송된 팰릿(1)은 적재된 표면이 바닥으로서 하나의 에지와 수직으로 되도록 적재되고, 기립상태로 반입 컨베이어(5)에 적재된다. 반입 컨베이어(5)에 적재된 팰릿(1)은 기립상태로 세정실(6)로 이송되며, 세정실(6)의 양쪽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세정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세정노즐을 통해 세정액이 팰릿의 표면과 이면에 살포됨에 따라 팰릿(1)의 세정이 실행된다. 또한 팰릿(1)의 각각의 측면은 세정노즐(7, 8)과 도시되지 않은 다른 세정노즐을 이용함으로써 세정된다. 세정실(6)로의 팰릿(1)의 이송에서 그 크기와 형상에 상관없이 팰릿(1)은 팰릿(1)의 최선단부가 기준위치와 일치되고, 예를 들면, 기준으로서의 기준위치를 이용함으로써 세정노즐(7, 8)이 전후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부 에지부로부터 하강될 때 세정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팰릿(1)이 정지됨이 없이 반입 컨베이어(5)에 의해 이송되면서 세정노즐(7, 8)을 수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세정이 실행되는 형태를 채택할 수도 있다. 세정액으로서는 수돗물, 세제를 가한 수돗물, 액체에 가스가 혼합된 가스액체 혼합용액, 또는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세정액이 가열된 액체 또는 미립자 물질이 혼합된 액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 세제에 의한 세정 후에는 헹굼을 부가한 형태를 채택할 수도 있다. 세정 후, 세정된 팰릿(1)은 직립상태 그대로 탈수실(9)로 이송된다. 탈수실(9)로 이송된 팰릿(1)은 팰릿(1)이 반입 컨베이어(5)로부터 상승할 때 경사수단(후술함)에 의해 바닥으로서 그 한쪽 코너에 대해 경사지게 된다. 팰릿(1)은 경사상태 그대로 원심 탈수수단(10)에 보내지고, 팰릿(1)에 부착된 액체방울은 원심 탈수된다. 원심 탈수의 완료시에, 팰릿(1)은 경사진 상태로 반출 컨베이어(11)로 이송되고, 그 경사상태가 바닥으로서 그 한쪽 에지와 함께 직립상태로 복귀된 후 팰릿(1)은 반출 컨베이어(11)에 적재된다. 원심 탈수된 후 반출 컨베이어(11)에 적재된 팰릿(1)은 직립상태로 반전수단(12)으로 이송된다. 반전수단(12)에 의해 수평상태로 반전된 후, 팰릿(1)은 적층상태로 팰릿 적재소(13) 등에 의해 하나씩 반송된다. 이러한 사용의 형태에 있어서 기립수단(4)과 반전수단(12)은 수평상태의 팰릿(1)이 기립되거나 기립상태의 팰릿(1)이 수평상태로 반전된다는 점에서는 서로 다르지만 반전 메커니즘으로서 사용된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메커니즘이다.
또, 평면의 팰릿(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탈수되지만, 탈수될 워크피스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워크피스의 형상은 장방형 고체, 정방형 등으로 될 수도 있다. 워크피스에서 다수의 리브와 다수의 요부가 배치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요소의 부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술한 기립수단(4)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기립수단(4)의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평면도, 도 4는 좌측면도, 도 5는 부분 확대도이다. 기립수단(4)은 그 주요 요소로서 팰릿(1)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나란하게 거리를 두고 있는 하부 지지부재(14, 15)와, 하부 지지부재(14, 15)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거리를 두고 있는 상부 지지부재(16, 17)도 포함한다. 저장실(2)로부터 하나씩 이송된 각각의 팰릿(1)은 한편으로는 하부 지지부재(14, 15) 사이에, 또 한편으로는 상부 지지부재(16, 17) 사이에 삽입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직립된다. 상부 지지부재(16, 17)는 삽입될 팰릿이 그들 사이에 삽입되는 상태로 접속수단(18, 19)에 의해 하부 지지부재(14, 15)에 접속되어 고정된다. 상부 지지부재(16, 17)는 접속수단(20, 21)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또한 유지판(22)은 상부 지지부재(17)에 부착되고 유지판(22)의 하단부는 팰릿(1)의 단면을 유지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팰릿(1)을 위한 삽입공간으로 바로 나오도록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부재(14, 15)는 지지판(23, 24)에 의해 각각 지지축(25)에 피봇식으로 고정된다. 또한 하부 지지부재 (14, 15)는 연결부재(26)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구동을 위한 실린더(27, 28)가 하부 지지부재(14,15) 또는 연결부재(26) 상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도 4에서 참조번호 29는 한편으로는 접속부재(18, 19) 사이에 배치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부 지지부재(16, 17)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판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컨베이어(3)는 직립수단(4) 하부 위치까지 연장되며, 하부 지지부재(14,15)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이처럼, 저장실(2)에 수용된 팰릿(1)이 배출 컨베이어(3)에 의해 하나씩 직립수단(4)에 이송되며, 팰릿(1)은 한편으로는 하부 지지부재(14, 15) 사이에, 다른 한편으로는 상부 지지부재(16, 17) 사이에 삽입되고, 진행방향의 선단부는 유지판(22)에 의해 유지되고 정위치에 정지된다. 이어서, 도 5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7, 28)가 구동되어 출력축이 돌출 되도록 하면, 하부 지지부재(14, 15)는 접속핀(31)을 통해 지지축(25)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된다. 결국, 하부 지지부재(14, 15)와 상부 지지부재(16, 17) 사이에 삽입된 팰릿(1)은 유지판(22)에 의해 유지된 쪽의 하 나의 에지가 그 바닥으로서 설치되는 상태로 반입 컨베이어(5)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직립상태로 반입 컨베이어(5)에 적재된 팰릿(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부재(16, 17)의 종단부 쪽에 형성된 갭부분(32)으로부터 이동해 나가며, 직립상태로 세정실(6)로 이동된다. 세정실(6)에서는 세정액이 세정실(6)의 양쪽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세정노즐(7, 8)로부터 표면과 이면에 살포된다. 이어서, 팰릿(1)은 직립상태로 세정실(6)에서 탈수실(9)로 이송된다. 이 이송시에, 하부 지지부재(14,15) 및 상부 지지부재(16, 17)는 가이드로서 작용하며, 팰릿(1)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 또한 상부 지지부재(16, 17)와 하부 지지부재(14, 15) 사이에 형성된 팰릿 삽입 간격은 팰릿(1)의 크기 변화에 대하여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만들어져 모든 대상 팰릿이 직립되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세정실(6)의 입구와 출구에는 밀봉수단이 구비되어 세정액이 외부로 살포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다음으로, 탈수실(9)에 이송된 팰릿(1)이 반입 컨베이어(5)로부터 상승할 때 바닥으로서 하나의 코너를 이용하여 팰릿(1)을 경사지게 하는 경사수단과, 팰릿(1)을 경사상태로 원심 탈수수단(10)에 전달하는 제1 이송기구와, 탈수된 팰릿(1)을 경사상태로 원심 탈수수단(10)으로부터 반출을 위한 반출 컨베이어(11)로 이송하는 제2 이송기구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팰릿(1)을 경사시키는 경사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그 부분확대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입 컨베이어(5)를 구성하기 위해 한 쌍의 스프로켓 사이에 나란히 놓여져 열을 이룬 2개의 연결체인을 구비하는 체인 컨베이어(36)의 이송 면의 소정위치에 경사수단(39)이 배치된다. 이 경사수단(39)은 유지부(37)를 구비하며, 그것에 의해 팰릿(1)의 전단 부는 팰릿(1)의 하부 에지를 지지하도록 유지부(37)에 수직이면서 일체로 형성된 하부 에지 지지부(38)와 체인 컨베이어(36)에 의해 이송된다. 이 경사수단(39)은 체인 컨베이어(36)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지지축(40)에 의해 팰릿(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그 구동팔(drive arm)(41)의 종단부는 구동용 실린더(42)의 출력축(43)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다. 이처럼, 체인 컨베이어(36)의 이송 면에 이송된 팰릿(1)이 경사수단(39)의 부분에 도달하면, 그 선단부는 우선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유지부(37)에 의해 유지되고, 팰릿(1)은 정지된다. 이어서, 실린더(42)는 적절한 시간에 구동되어 전방향으로 출력축(43)을 전진시키고, 경사수단(39)은 지지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실선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팰릿(1)을 경사시킬 수 있다. 이 경사시에, 팰릿(1)에 부착된 세정액이 떨어져 나간다. 또한 팰릿(1)의 한쪽 코너가 경사수단(39)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팰릿(1)의 크기 등과 같은 형상의 변경 때문에 모델변경이 불필요하고 따라서 경사수단(39)의 결합사용이 행해질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스에서 팰릿(1)이 유지부(37)에 접근하면, 필요에 따라 센서에 의해 그 도착이 검출될 수 있으며 체인 컨베이어(36)는 감속된다. 또한 체인 컨베이어(36)는 팰릿(1)이 유지부(37)에 의해 유지되고 정지될 때의 시간으로 그의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정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체인 컨베이어(36)는 경사수단(39)의 회전 후에 정지되거나, 계속되는 팰릿(1)을 이송하기 위한 구동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번호(44)는 체인 컨베이어(36)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를 나타내며, 45는 실린더(4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나타낸다.
도 8은 탈수실(9)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9는 탈수실(9)의 중앙에서 본 내부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경사수단(39)에 적재되고 경사상태로 설정되는 팰릿(1)을 상승시키고, 경사상태로 원심 탈수수단(10)에 이송하기 위한 제1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이송기구(46, 47)가 탈수실(9)의 내면의 양쪽 부분에 배치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실(9)의 배면의 양쪽 부분에는 한 쌍의 이송기구(48, 49)가 배치된다. 이 이송기구는 원심 탈수수단(10)에 의해 탈수처리가 경사상태로 달성되는 팰릿(1)을 상승시키고, 반출 컨베이어(11)에 배치된 경사상태의 팰릿(1)을 경사상태에서 수평상태로 경사복구 수단에 이송하기 위한 제2 이송기구를 구성한다. 제1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이송기구(46, 47)와 제2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이송기구(48, 49)는 각각 양쪽에 수평으로 놓이는 상하부 레일(50∼53)에 의해 지지되어 인도되면서 이동되도록 배열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이송기구(46, 48)의 설치높이는 다른 이송기구(47, 49)보다 높게 설치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제1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한쪽 이송기구(46)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정면도, 도 11은 평면도, 도 12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3 및 도 14는 이송기구(46)의 다른 동작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기구(46)는 레일(50, 51)에 슬라이딩식으로 결합하는 결합부재(54, 55)에 의해 레일(50, 51)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는 사각파이프형 부착부재(56)를 구비한다. 레일(57)은 이 부착부재(56)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승강판(60)은 레일(57)에 슬라이딩식으로 결합하는 결합부재(58, 59)에 의해 부착판에 승강가능하 게 부착된다. 이 승강판(60)은 접속부(63)에 의해 부착부재(56)에 설치된 실린더(61)의 출력축(62)에 접속되며, 실린더(61)가 구동될 때 승강가능하게 배열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64)에 의해 팰릿(1)을 지지하는 지지팔(65)은 승강판(60)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지지팔(65)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64)을 따라 수평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6)가 끼워 넣어진 후 지지팔(65)이 직각으로 구부러져 수평으로 연장되는 회전팔 부분(67)을 형성하고 상향으로 구부러지도록 배열된다. 팰릿(1)의 에지부를 경사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68)는 그 종단부에 구비된다. 돌출부(66)는 팰릿(1)이 승강될 때 반입 컨베이어(5)에 배치되는 경사수단(39)에 적재된 팰릿(1) 하부 위치로 지지부(68)가 돌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부(68)는 U자형으로 형성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팰릿(1)의 에지부에 접촉하는 경사면(69)과, 경사면(69) 양쪽에 있는 한 쌍의 지지편(70, 71)을 구비한다. 지지편(70, 71) 사이의 내부 폭은 팰릿(1)의 두께보다 넓게 설치되므로 팰릿(1)은 지지편(70, 71) 사이에 단순히 삽입됨으로써 지지될 수 있고, 또한 다른 팰릿에도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송기구에 의해 팰릿(1)의 에지부를 지지하는 것에 관해서는 가능하면 중앙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팰릿(1)을 지지함으로써 안정한 이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만약 경사면(69)이 마찰저항이나 접착력을 줄일 수 있는 수지 등으로 코팅되어 있으면, 팰릿(1)이 2개의 이송기구(46, 47)에 의해 승강되는 시간을 다르게 하면서 지지될 때 지지상태로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소정 위치에 팰릿(1)을 적재한 후 저장실(46)이 팰릿(1)으로부터 멀어지면 경사면(69)과 팰릿(1)의 에지부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갈매기형 구동팔(73)은 지지축(72)에 의해 상술한 승강판(60)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구동팔(73)의 종단부는 접속핀(78)을 통해 실린더(76)의 출력축(77)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다. 실린더(76)는 장착부재(75)를 통해 승강판(60)의 외면에 고정된 장착판(7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더욱이, 지지팔(65)의 일부를 구성하는 회전팔 부분(67)의 중간부에 접속핀(79)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접속부재(80)의 다른 단부는 구동팔(73)의 중앙부에 있는 만곡부에 접속핀(8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접속된다. 이송 나사축(83)과 결합하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재(84)는 부착부재(56)의 배면에 설치되고, 이송기구(46)의 수평운동이 부착부재(56) 때문에 서보모터(82)에 의해 실행되도록 배열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배열된 이송기구(46)에 대해서는, 출력축(62)이 도 10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하향 돌출하도록 실린더(61)가 구동될 때 접속부(63)를 통해 출력축(62)에 접속된 승강판(60)은 부착부재(56)에 놓여진 레일(57)과 함께 결합부재(58, 59)의 결합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하강하여 팰릿(1)용 지지부(68)를 하향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실린더(76)가 출력축(77)을 후퇴시키는 시간까지 구동되면, 접속핀(78)을 통해 출력축(77)에 접속된 구동팔(73)은 지지축(72)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한다. 동시에 지지팔(65)을 구성하는 회전팔 부분(67)은 접속핀(81)을 통해 접속된 접속부재(80)에 의해 베어링(64)을 중심으로 구동팔(73)의 중앙부에 있는 만곡부까지 하향회전하여 지지부(68)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부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68)는 실린더(61)를 구동시킴으로써 승강판(60)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68)는 실린더(76)를 구동시킴으로써 지지팔(65)에 의해 수평위치와 하부위치 사이에서 베어링(6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5는 제1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이송기구(47)의 확대정면도, 도 16은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이송기구의 대부분은 상술한 이송기구(46)와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레일(52, 53)의 설치위치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이송기구(46) 보다 낮은 위치에서 팰릿(1)의 에지부를 지지하는 관계를 고려하여 위치가 낮다는 점과, 그 종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부(86)와 팰릿(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팔(85)의 형상이 다르다는 점에서, 이 실시예의 이송기구(47)는 전술한 실시예의 이송기구(46)와는 상이하다.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전술한 이송기구(46)의 대응부분 들과 대칭인 배열이 채택되고 그들의 기능적인 면에서는 차이가 없기 때문에 이들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팔(85)에 대해서는 베어링(64)을 따라 수평으로 돌출한 돌출부(87)가 사이에 끼워 넣어진 후, 지지팔(85)이 직각으로 구부러져 수평으로 연장되는 회전팔 부분(88)을 형성하고, 경사상태로 팰릿(1)의 에지부를 지지하는 상술한 지지부(86)는 회전팔(88)의 종단부에 직접 구비된다. 이 지지부(86)는 경사 팰릿(1)의 다른 에지부에 접하고 반대방향을 지향하는 경사면(89)과, 경사면(89)의 양면의 한 쌍의 지지편(90, 91)을 구비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보모터(9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되는 이송 나사축(93)과 결합하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재(94)는 부착부재(56)의 배면에 설치되며, 이송기구(47)의 수평운동이 서보모터(92)에 의해 실행되도록 배열된다.
제1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이송기구(46, 47)의 수평운동과 위치결정은 서보모터(82, 92)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실행된다. 첨언하자면, 세정된 팰릿(1)이 반입 컨베이어(5) 상에 설치된 경사수단(39)으로 반송되면, 이송기구(46, 47)는 그들이 팰릿(1)의 반입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까지 후진한다. 팰릿(1)이 경사수단(39)에 장착된 후, 팰릿(1)이 실린더(42)에 의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이송기구(46, 47)는 서보모터(82, 92)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되고, 지지부(68, 86)는 팰릿(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돌출된다. 이 경우에, 이송기구(46, 47)의 양 실린더(61)의 출력축(62)은 그들의 하부위치에 승강판(60)이 설정되도록 돌출되며, 이송기구(46, 47)의 실린더(76) 중의 하나 또는 둘의 출력축(77)은 필요에 따라 후퇴되고, 차례로 구동팔(73)이 지지축(72)을 중심으로 하향하게 하며, 지지팔(65, 85)이 접속부재(80)에 의해 베어링(64)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하게 한다. 상술한 방식으로, 팰릿(1)을 지지하는 지지부(68, 86)는 지지부(68, 86)가 하부위치에 각각 설치된 상태로 경사수단(39)에 장착된 팰릿(1) 하부로 돌출한다.
다음으로 지지부(68, 86)가 경사수단(39)에 장착된 팰릿(1) 하부로 돌출한 경우에 실린더(76)의 출력축(77)은 양 지지팔(65, 85)을 회전시키도록 돌출되므로 수평상태로 복귀된다. 동시에 이송기구(46, 47)의 양 실린더(61)의 출력축(62)은 승강판(60)을 상승시키도록 후진한다. 실린더(76, 61)의 구동시간은 동시적일 수도 있고 시간지연을 가질 수도 있다. 지지부(68, 86)가 상술한 방식으로 상승되면, 팰릿(1)의 하부 두 에지부는 지지편(70, 71) 사이 및 지지편(90, 91) 사이에 각각 삽입되며, 경사면(69, 89)과 접한다. 이때 팰릿(1)은 경사상태가 유지되면서 경사수단(39)으로부터 상향 이동된다. 이어서 두 개의 서보모터(82, 92)가 구동되어 제1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이송기구(46, 47)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고, 팰릿(1)은 경사상태로 원심 탈수수단(10)의 하부 유지수단 위의 위치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송기구(46, 47)의 양 실린더(61)의 출력축(62)은 돌출되어 승강판(60)을 하강시키며, 팰릿(1)은 경사상태로 원심 탈수수단(10)의 하부 유지수단에 적재된다. 이송기구(46, 47)의 실린더(76)의 하나 또는 모두의 출력축(77)은 필요에 따라 후진하여 지지축(72)을 중심으로 하향하여 구동팔(73)을 회전시키며, 방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팔(65, 85)을 접속부재(80)에 의해 베어링(64)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시켜 지지축(68)을 후진시킨다. 동시에 팰릿(1)의 지지부는 상부 유지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이어서, 두 개의 서보모터(82, 92)는 양 이송기구(46, 47)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므로 이송기구(46,47)는 그들이 원심 탈수수단(10)에 의해 탈수동작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후진하여 후속동작이 이루어 질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경사상태로 탈수된 후 팰릿(1)을 원심 탈수수단(10)으로부터 반출 컨베이어(11)까지 이송하는 제2 이송기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 및 도 18은 제2 이송기구를 도시한 것으로, 도 17은 제2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한쪽 이송기구(48)를 도시한 확대 평면도, 도 18은 다른 쪽 이송기구(40)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이들 이송기구(48, 49)는 제1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이송기구(46, 47)의 방향과 반대로 수평이동하며, 탈수처리된 팰릿(1)은 상술한 경사수단(39)의 것과 동일한 기구를 구성하는 경사복구수단(95)에 이송되고, 경사상태로 팰릿(1)을 수용하도록 채택되며, 그 팰릿을 직립상태로 복구시킨 다음 반출 컨베이어(11)에 적재시킨다. 따라서 탈수처리된 팰릿(1)이 경사복구수단(95)에 이송되면, 이송기구(48, 49)에서 팰릿(1)을 지지하는 지지부는 제1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이송기구(46, 47)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98, 99)을 따라 이송기구(46, 47)와 반대 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00, 101)가 삽입된 후 지지팔(96, 97)이 직각으로 구부러져 수평으로 연장되는 회전팔부분(102, 103)을 형성하도록 제2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이송기구(48, 49)의 지지팔(96, 97)이 배열된다. 또한 경사상태로 팰릿(1)의 에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04, 105)는 그들의 종단부에 구비된다. 제2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이송기구(48, 49)는 다음의 점에서 제1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이송기구(46, 37)와 다르다. 첫째, 상술한 지지부(104, 105)가 돌출하는 방향이 다르다. 둘째, 제1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이송기구(46, 47)의 경우에는 팰릿(1)이 세정액에 의해 젖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비록 팰릿(1)의 에지부와 접촉하는 부분이 단순히 경사면이라 하더라도 지지부(68, 86)는 팰릿(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제2 이송기구의 경우에는 액체가 팰릿(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어 분리가 어렵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등을 제공함으로써 지지부(104, 105) 내에서 팰릿(1)의 에지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찰력이 인가되지 않도록 방법을 고안해 내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다른 기본적인 배열에 있어서는 제1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이송기구(46, 47)와 제2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이송기구(48, 49)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없다. 첨언하자면, 도 10에 도시된 참조번호 106은 상술한 제2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한쪽 이송기구(48)를 구동하기 위한 서보모터를 나타내며, 이것은 이송기구(48)가 이송 나사축(107)과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재(108)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배열된다. 이 부재(108)는 서보모터(10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참조번호 109는 상술한 제2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다른 쪽 이송기구(49)를 구동하는 서보모터를 나타내며, 이것은 이송기구(49)가 이송 나사축(110)과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재(111)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배열된다. 이 부재(111)는 서보모터(10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원심 탈수수단(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 탈수수단(10)은 탈수실(9)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도 19는 이 원심 탈수수단(10)의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 탈수수단(10)은 팰릿(1)의 대각선 코너부를 지지하는 하부 유지수단(112)과 상부 유지수단(113)을 구비하며, 이들 유지수단(112, 113)에 의해 경사상태로 팰릿(1)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동안 원심 탈수처리를 실행한다. 도 20은 하부 유지수단(112)의 확대 수직단면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유지수단(112)은 베어링(114)을 수단으로 장치프레임(11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116)과, 회전축(116)의 상부에 배치된 2개 의 측판(117, 118)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 유지부(120)로 구성되며, 이 코너유지부에서 팰릿(1)의 코너부가 측판(117, 118)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수납공간(119)이 형성된다. 기어 등의 구동휠(121)은 회전축(116)의 하부에 고정되며, 이 구동휠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가 형성된 벨트(122) 등의 수단에 의해 브레이크를 구비한 모터(12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원심 탈수시에 회전축(116)의 회전방향이 정방향과 역방향 사이에서 변경되어 팰릿(1)의 회전방향이 변경되도록 장치가 제공되면 탈수효과의 측면에서는 매우 유효한 장치가 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U자형의 접속부재(125)는 회전축(116)과 일체로 형성된 종단판(124)에 의해 회전축(116)의 상부에 고정되며, 코너 유지부(120)는 접속핀(126, 127)에 의해 그 접속부재(125)의 양쪽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33)는 접속부재(125) 측에 부착된 지지판(132)과 코너 유지부(120) 사이에 배치되므로 탄성부재(133, 134)는 지지축(128)에 피봇식으로 고정된 로드 위로 각각 결합되어 코너 유지부(120)를 관통하게 되고 코너 유지부(120)에 일정한 추진력을 주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상태로 복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양측에 접속핀(126, 127)을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U자형 접속부재(125)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며, 팰릿(1)의 코너부가 이들 접속핀(126, 127)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코너부의 선단부가 코너 유지부(120)의 회전중심과 일치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그러나 도 20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지지축을 이 용함으로써 지지축의 중간부를 반구형으로 잘라내어 코너부의 선단부가 코너유지부(120)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도록 한 장치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린더형 롤러(135∼138)가 상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축(139∼142)은 코너 유지부(120)를 관통하게 하여 설치되고 너트에 의해 각각 고정된다. 부가적으로 지지축(139∼142)은 팰릿(1)이 접촉하는 실린더형 롤러(135, 136)의 평면 접속 접촉부와 실린더형 롤러(137, 138)의 평면 접속 접촉부 사이의 교차점이 접속핀(126, 127)의 중앙과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즉, 지지축(139∼142)은 팰릿(1)이 실린더형 롤러(135∼138)에 의해 지지될 때 팰릿(1)의 코너부의 선단부가 접속핀(126, 127)의 중앙과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탄성 클램핑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압착 지지부재(143)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팰릿(1)의 두께변화에 따라 코너 유지부(120)의 내면에 구비되므로, 팰릿(1)은 그 두께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게 된다.
도 22는 팰릿(1)이 상부 코너부를 유지하는 상부 유지수단(113)을 도시한 확대 수직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유지수단(113)에 대해서는 팰릿(1)을 유도하는 가이드판(144, 145)이 구비되고 회전축(146)이 베어링(147)에 의해 지지되어 팰릿(1)의 회전과 관련하여 회전될 수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하부 유지수단(112)의 것들과 유사한 장치가 채택되기 때문에, 구성요소의 부품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언하면, 가이드판(144, 145)은 하부 유지수단(112)에 적재되고 특히 상이한 크기와 종횡비를 갖는 팰릿(1)의 상부 코너부가 상부 유지수단(113)으로 안내되어 유지될 때 등에 유용하다.
제1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이송기구(46, 47)에 의해 하부 유지수단(112) 상부 위치로 경사상태로 이송되는 팰릿(1)은 코너 유지부(120)에 삽입된 하부 코너부와 함께 경사상태로 적재된다. 이때, 코너유지부(120)는 상술한 탄성부재(133, 134)의 탄성작용에 의해 실질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결국, 지지 프레임(148) 또는 회전축(116)의 부분이 적절한 방법에 의해 하향하고 상부 유지수단(113)이 하향하면 팰릿(1) 상부의 코너부가 가이드판(144, 145)에 의해 코너 유지부(120)로 인도된다. 이 경우에 팰릿(1)이 정사각형인 경우에는 팰릿(1)이 실질적으로 경사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로 상부 코너부가 코너 유지부(120)로 인도된다. 그러나 팰릿(1)이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상부 코너부는 수직 대각선이 하부 유지수단(112)과 상부 유지수단(113)을 접속하는 회전중심에 접근하도록 경사상태로 점차 변화하면서 코너유지부(120)로 인도된다. 만약 상부 유지수단(113)이 더 낮아지면 팰릿(1)의 에지부와 실린더형 롤러(135 및 136, 또는 137 및 138)는 서로 접촉하며, 하부 유지수단(112)과 상부 유지수단(113)의 양 코너 유지부(120)는 탄성부재(133, 134)가 탄성을 극복함으로써 경사지게 되어 팰릿(1)의 에지부와 실린더형 롤러(135, 136, 137, 138)가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게 된다. 결국 팰릿(1)의 대각선이 회전축(116)상에 설정되어, 진동량이 작은 안정한 원심 탈수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팰릿 세정장치의 다양한 구성부품으로 장치의 결합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탈수수단(10)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탈수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험 1에서, 수지제 팰릿에 대하여 상술한 원심 탈수수단(10)을 이용하여 보통의 물세척을 실행한 후, 정회전 역회전 사이의 전환 여부와 전환이 5초 간격으로 실행되는 경우의 전환 주기에 따라 탈수효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부가적으로, 팰릿의 회전속도는 450rpm으로 설정되었다. 그러나 정방향과 역방향 사이의 전환시에 팰릿의 회전속도에 관한 상승에 있어서는 450rpm의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3초 정도의 가속시간이 걸린다. 표 1은 상술한 시험결과를 나타낸다. 표에서 물방울의 수는 탈수처리된 팰릿이 골판지에 놓인 경우에 계수된 물방울의 수를 보여주며, 골판지의 표면에 부착된 물방울의 수도 동시에 계수된다. 이 경우에, 적재면에 형성된 개구부 등을 통해 팰릿의 표면 부근에 이동된 팰릿의 내측에 남아있는 물방울의 수도 또한 계수된다. 이 실험 1의 결과로부터 만약 정회전과 역회전 사이의 전환이 전혀 실행되지 않는 경우와 일단 비교하면 탈수효과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해 졌다. 또한 정회전과 역회전 사이의 전환 빈도가 2 이상으로 설정되면 원심탈수 후 지속되는 상태에 실제적인 사용의 문제가 없는 만족할 만한 탈수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 분명해진다. 특히, 정회전과 역회전 사이의 전환빈도가 3 이상으로 설정되어 팰릿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적어도 두 번 회전하는 경우에는 보다 양호한 탈수결과를 안정되게 얻을 수 있는 것이 분명해 진다.
팰릿의 회전방법 | 골판지에 부착된 불방울의 수 | 표면의 배수상태 | 내부의 배수상태 | |
정(F)역(R)전환 없음 | 15 | 약간 젖은 상태 | 정회전 방향의 뒤쪽의 오목부 1개소에 4 또는 5의 물방울이 있는 상태 | |
정역전환 1회 | F→R | 8 | 상당히 건조상태 | 역회전방향의 앞쪽 오목부 1개소에 1 또는 2의 물방울이 있는 상태 |
정역전환 2회 | F→R→F | 5 | 실질적으로 건조상태 | 실질적으로 물방울이 없는 상태 |
정역전환 3회 | F→R→F→R | 4 | 실질적으로 건조상태 | 실질적으로 물방울이 없고 상태가 양호한 상태 |
정역전환 5회 | F→R→F→R→F→R | 3 | 실질적으로 건조상태 | 실질적으로 물방울이 없고 상태가 양호한 상태 |
정역전환 9회 | F→R→F→R→F→RF→R→F→R | 3 | 잘 건조된 상태 | 실질적으로 물방울이 없고 상태가 양호한 상태 |
F: 5초동안 정방향으로 회전 R: 5초동안 역방향으로 회전 |
실험 2에서, 상술한 실험 1과 동일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정회전과 역회전 사이의 전환 빈도가 3으로 설정되어 팰릿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두 번 회전하는 상태로 정회전과 역회전 사이의 전환 간격이 변화하는 경우의 탈수효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팰릿의 회전속도는 실험 1과 동일한 방식으로 450rpm으로 설정되었다. 표 2는 상술한 실험 2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에서 물방울의 수는 탈수처리된 팰릿이 실험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골판지 상에 위치될 때 골판지의 표면에 부착된 물방울의 수가 계수되는 경우에 계수된 물방울의 수를 보여준다. 이 실험 2의 결과로부터 비록 정회전과 역회전 사이의 전환간격이 변화하는 경우에 조차도 실질적인 사용에 탈수효과에 많은 차이가 없다는 점이 분명해 진다. 즉, 만약 정회전과 역회전 사이의 전환빈도가 적절한 수로 설정되면 정회전과 역회전 사이의 전환간격을 짧은 주기로 설정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탈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팰릿의 회전방법 | 골판지에 부착된 물방울의 수 | |
정역전환 3회 | F→R→F→R 각각 5초 동안 동작 |
4 |
정역전환 3회 | F→R→F→R 각각 10초 동안 동작 |
4 |
정역전환 3회 | F→R→F→R 각각 15초 동안 동작 |
3 |
정역전환 3회 | F→R→F→R 각각 30초 동안 동작 |
3 |
실험 3에서, 상술한 실험과 동일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정회전과 역회전 사이의 전환 빈도가 3으로 설정되어 팰릿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두 번 회전하는 상태로 팰릿의 회전속도가 변화하는 경우의 탈수효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표 3은 상술한 실험 3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에서 물방울의 수는 탈수처리된 팰릿이 실험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골판지 상에 위치될 때 골판지의 표면에 부착된 물방울의 수가 계수되는 경우에 계수된 물방울의 수를 보여준다. 표시 "○"는 대부분의 물방울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반면, 표시 "△"는 물방울이 눈에 띠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 실험 3의 결과로부터 팰릿의 회전속도가 만약 350rpm 이상으로 설정되면, 겉표면에 남아있는 물방울의 수와 측면 또는 내면에서의 배출 상태 때문에 만족할 만한 탈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해 진다.
팰릿의 회전속도(rpm) | 골판지에 부착된 물방울의 수 | 배수상태 | ||
겉표면 | 측면 | 내면 | ||
450 | 3 | ○ | ○ | ○ |
400 | 3 | ○ | ○ | ○ |
350 | 4 | ○ | ○ | ○ |
300 | 8 | △ | ○ | △ |
250 | 20 | △ | ○ | △ |
상술한 바와 같이, 실험 1 내지 실험 3으로부터, 만약 정회전과 역회전 사이 의 전환이 일단 실행되면 전환이 없는 경우에 비해 실질적으로 탈수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또한 정회전과 역회전 사이의 전환빈도와 관련하여, 만약 전환빈도가 2 이상으로 설정되면 원심 탈수 후 지속되는 상태에서 실제적인 사용에 문제가 없는 실질적으로 만족할 만한 탈수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또한 정회전과 역회전 사이의 전환에 대하여 만약 그 전환이 장기간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도 탈수효과는 많이 향상되지 않는다는 것이 분명해 진다. 따라서 정회전과 역회전 사이의 전환간격이 장치 등에 부담이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한 짧은 기간으로 설정되면 보다 효과적인 탈수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팰릿의 회전속도에 관하여 만약 회전속도가 350rpm 이상으로 설정되면 만족할 만한 탈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 진다.
본 발명에서 팰릿 등이 대각선으로 유지되면서 회전되도록 장치가 구비되기 때문에 팰릿 등의 중심이 회전축 상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원심력에 기인한 진동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장치가 고속으로 회전되더라도 안정성이 확보되며, 동작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대각선 상에 한 쌍의 코너부가 유지되기 때문에 팰릿 등의 중심이 회전축과 용이하게 일치될 수 있고, 팰릿 등이 회전하는 동안 위치 어긋남을 정확하게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의 설명 및 실시예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설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당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는 다양한 수정을 포함한다.
Claims (10)
- 워크피스의 원심탈수방법에 있어서,워크피스를 한쪽 에지가 바닥부가 되도록 직립한 상태에서 세정을 실행하는 단계와,한쪽 코너부가 바닥부가 되도록 경사시키고, 한쪽의 대각선으로 유지하는 단계와,상기 한쪽의 대각선을 회전축심에 일치시켜서 회전시키는 회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피스에 부착된 액체를 제거하는 워크피스 원심탈수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워크피스의 회전방향은 정회전과 역회전 사이에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정회전과 역회전 사이에서의 상기 회전방향의 전환은 2회 이상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워크피스의 원심탈수장치에 있어서,워크피스를 한쪽 에지가 바닥부가 되도록 직립한 상태에서 세정을 실행하는 세정수단과,한쪽 코너부가 바닥부가 되도록 경사시키고, 한쪽의 대각선으로 유지시키는 유지수단과,상기 한쪽의 대각선을 회전축심에 일치시켜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피스에 부착된 액체를 제거하는 워크피스 등의 원심탈수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워크피스의 회전방향은 정회전과 역회전 사이에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정회전 방향과 역회전 방향 사이의 회전방향의 전환은 2회 이상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삭제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워크피스의 한쪽 코너부가 바닥부가 되도록 경사시킨 하부 유지수단(112)과 대응하는 대각선상의 코너부를 유지시키는 상부 유지수단(113)을 포함하고,상기 유지수단은 각 코너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2개의 에지부와 접촉하여 상기 워크피스를 경사질 수 있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워크피스의 바닥의 코너부를 사이에 둔 상기 두 개의 에지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기구와;상기 지지기구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1-00226858 | 2001-07-26 | ||
JP2001226858A JP4386231B2 (ja) | 2001-07-26 | 2001-07-26 | パレットの洗浄脱水方法及び装置 |
JP2002033713A JP4009316B2 (ja) | 2002-02-12 | 2002-02-12 | パレット洗浄方法及び装置 |
JPJP-P-2002-00033714 | 2002-02-12 | ||
JPJP-P-2002-00033713 | 2002-02-12 | ||
JPJP-P-2002-00033715 | 2002-02-12 | ||
JP2002033715A JP3875115B2 (ja) | 2002-02-12 | 2002-02-12 | パレット遠心脱水装置 |
JP2002033714A JP4383714B2 (ja) | 2002-02-12 | 2002-02-12 | パレット移送方法及び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10540A KR20030010540A (ko) | 2003-02-05 |
KR101005631B1 true KR101005631B1 (ko) | 2011-01-05 |
Family
ID=27482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44049A KR101005631B1 (ko) | 2001-07-26 | 2002-07-26 | 워크피스를 원심 탈수하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6658761B2 (ko) |
KR (1) | KR10100563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655002B2 (en) * | 1996-03-21 | 2010-02-02 | Second Sight Laser Technologies, Inc. | Lenticular refractive surgery of presbyopia, other refractive errors, and cataract retardation |
US9889043B2 (en) * | 2006-01-20 | 2018-02-13 | Lensar, Inc. | System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laser beam to the lens of an eye |
US9545338B2 (en) * | 2006-01-20 | 2017-01-17 | Lensar, Llc. |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accommodative amplitude and increasing the refractive power of the human lens with a laser |
US20100022996A1 (en) * | 2008-07-25 | 2010-01-28 | Frey Rudolph W |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bubble shield for laser lens procedures |
US8500723B2 (en) * | 2008-07-25 | 2013-08-06 | Lensar, Inc. | Liquid filled index matching device for ophthalmic laser procedures |
US8480659B2 (en) * | 2008-07-25 | 2013-07-09 | Lensar, Inc. | Method and system for removal and replacement of lens material from the lens of an eye |
US8382745B2 (en) * | 2009-07-24 | 2013-02-26 | Lensar, Inc. | Laser system and method for astigmatic corrections in association with cataract treatment |
CA2769097A1 (en) * | 2009-07-24 | 2011-01-27 | Lensar, Inc. |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ladar assisted procedures on the lens of an eye |
TWI372035B (en) * | 2011-01-21 | 2012-09-11 | Yang Yih Machinery Co Ltd | Bactericidal baker for tableware |
CN107741137A (zh) * | 2017-10-24 | 2018-02-27 | 温子墨 | 带筛分功能的农业谷物脱水干燥装置 |
CN110182575B (zh) * | 2019-05-17 | 2021-03-30 | 安徽明洋电子有限公司 | 一种数码管喷码装置的输送结构及其操作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61356A (en) * | 1977-01-21 | 1979-07-17 | Burchard John S | Apparatus for in-situ processing of photoplates |
JPH0652973U (ja) * | 1991-04-08 | 1994-07-19 |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 パレットなどの縦型洗浄装置 |
JPH07227584A (ja) * | 1994-02-18 | 1995-08-29 | Fujitsu Ltd | 乾燥方法及び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04682A (en) * | 1988-08-09 | 1992-04-14 | Mazda Motor Corporation | Coating method |
JPH0652973A (ja) | 1992-07-28 | 1994-02-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正抵抗温度係数発熱体 |
US5458249A (en) * | 1994-06-22 | 1995-10-17 | Shang-Lu; Tsai | Hanging device for drying clothes |
CN1283721A (zh) * | 1999-06-16 | 2001-02-14 | 杨泰和 | 旋转离心风干式干衣机 |
-
2002
- 2002-07-26 KR KR1020020044049A patent/KR10100563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7-26 US US10/205,392 patent/US6658761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61356A (en) * | 1977-01-21 | 1979-07-17 | Burchard John S | Apparatus for in-situ processing of photoplates |
JPH0652973U (ja) * | 1991-04-08 | 1994-07-19 |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 パレットなどの縦型洗浄装置 |
JPH07227584A (ja) * | 1994-02-18 | 1995-08-29 | Fujitsu Ltd | 乾燥方法及び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30029053A1 (en) | 2003-02-13 |
US6658761B2 (en) | 2003-12-09 |
KR20030010540A (ko) | 2003-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5631B1 (ko) | 워크피스를 원심 탈수하는 방법 및 장치 | |
JP5711360B2 (ja) | パレット拭き取り装置、パレット洗浄装置及びパレット作業ライン | |
CN114618754B (zh) | 一种晶圆片玻璃浆填充装置 | |
CN111394739A (zh) | 一种金属掩膜板清洗设备 | |
CN218055943U (zh) | 一种光通信器件清洗用转动上料工装 | |
JPH0414494B2 (ko) | ||
JP4009316B2 (ja) | パレット洗浄方法及び装置 | |
JP3999529B2 (ja) | パレット洗浄装置 | |
JPH0347574B2 (ko) | ||
JP4383714B2 (ja) | パレット移送方法及び装置 | |
JP3875115B2 (ja) | パレット遠心脱水装置 | |
JP7307756B2 (ja) | 食器反転装置、トレー搬送反転システム及びトレーバックシステム | |
CN215391445U (zh) | 一种玻璃清洗机 | |
CN115569949A (zh) | 镜片工件的自动擦拭方法及自动擦拭系统 | |
CN114405910A (zh) | 一种零件清洗机 | |
JP2016216142A (ja) | 搬送機構並びにこれを適用した洗浄装置 | |
CN213701066U (zh) | 托料治具循环机构 | |
JP2022025929A (ja) | パレット脱水装置 | |
JP2000037669A (ja) | 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 |
JP5353503B2 (ja) | パレット乾燥装置 | |
JP3743954B2 (ja) | 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及び基板洗浄装置及び基板洗浄方法及び現像装置及び現像方法 | |
JP4386259B2 (ja) | パレット遠心脱水装置におけるパレットの受渡し装置 | |
CN220153177U (zh) | 一种翻转型烘干机 | |
JPH09321118A (ja) | 基板搬送装置 | |
JP2000015193A (ja) | パレットの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420 Effective date: 20100831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