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840B1 - 로터리 압축기 - Google Patents

로터리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840B1
KR101001840B1 KR1020087013989A KR20087013989A KR101001840B1 KR 101001840 B1 KR101001840 B1 KR 101001840B1 KR 1020087013989 A KR1020087013989 A KR 1020087013989A KR 20087013989 A KR20087013989 A KR 20087013989A KR 101001840 B1 KR101001840 B1 KR 101001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chamber
end plate
cylinder
refrigeran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7706A (ko
Inventor
다께히로 가나야마
고오끼 모리모또
마사노리 야나기사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7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both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2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both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hinged to the outer member and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10Outer members for co-operation with rotary pistons; Casings
    • F01C21/104Stators; Members defining the outer boundaries of the working chamber
    • F01C21/108Stators; Members defining the outer boundaries of the working chamber with an axial surface, e.g. s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both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1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04C29/065Noise dampening volumes, e.g. muffler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제1 실린더실(122)에 연통되는 제1 머플러실(142)에, 장벽(181)에 의해 형성되는 정체 공간(180)을 마련하고 있다. 이 정체 공간(180)은, 상기 제1 실린더실(122)의 중심축(122a) 방향으로부터 보아, 중심 평면(S1)보다도 상기 제1 실린더실(122)의 냉매 가스의 흡입측에 중첩된다. 상기 제1 머플러실(142)에서는,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상기 정체 공간(180)에 진입하기 어려워져, 상기 제1 실린더실(122)의 흡입측으로 열을 빼앗기기 어려워진다.
실린더실, 머플러실, 롤러, 블레이드, 토출구

Description

로터리 압축기{ROTARY COMPRESSO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에어컨이나 냉장고 등에 이용되는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로터리 압축기로서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개구 단부에 장착되는 단부판 부재와, 이 단부판 부재에 상기 실린더와 반대측에 부착되는 머플러 커버와, 상기 실린더와 상기 단부판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실린더실을 냉매 가스의 흡입실과 냉매 가스의 토출실로 구획하는 롤러를 구비한 것이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9-151888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의 로터리 압축기에서는, 상기 실린더실로부터 토출된 고온의 냉매 가스는, 상기 머플러 커버와 상기 단부판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머플러실을 통과할 때, 상기 실린더실의 저온 저압의 상기 흡입실에 중첩되는 공간을 통과한다. 즉, 이 고온의 냉매 가스는 상기 실린더실의 상기 흡입실로 열을 빼앗긴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실로부터 토출된 냉매 가스의 상기 실린더실로의 열전달이 촉진되어, 압축 효율이 저하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실린더실로부터 머플러실로 토출된 냉매 가스의 실린더실로의 열전달을 억제하여,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개구 단부에 부착되는 단부판 부재와,
이 단부판 부재에 상기 실린더와 반대측에 장착되는 머플러 커버와,
상기 실린더와 상기 단부판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실린더실을 냉매 가스의 흡입실과 냉매 가스의 토출실로 구획하는 롤러 및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실린더에 지지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실린더실의 중심축을 공전 운동하고,
상기 머플러 커버와 상기 단부판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실에 연통되는 머플러실에 장벽에 의해 형성되는 정체 공간을 마련하고,
이 정체 공간은, 상기 실린더실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실린더실에 가장 돌출된 상태의 상기 블레이드의 중심과 상기 실린더실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중심 평면보다도 상기 실린더실의 냉매 가스의 흡입측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에 따르면, 상기 머플러실에, 상기 장벽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정체 공간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상기 실린더실로부터 상기 머플러실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상기 장벽에 방해되어, 상기 정체 공간에 진입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머플러실의 상기 정체 공간은 상기 실린더실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중심 평면보다도 상기 실린더실의 냉매 가스의 흡입측에 중첩되므로, 상기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상기 실린더실의 저온 저압의 흡입측에 중첩되는 부분을 통과하기 어려워져, 상기 실린더실의 흡입측으로 열을 빼앗기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실로부터 상기 머플러실에 토출된 냉매 가스의 상기 실린더실로의 열전달을 억제하여,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의 로터리 압축기에서는, 상기 장벽은 상기 단부판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머플러 커버는 평판 형상이다.
본 실시 형태의 로터리 압축기에 따르면, 상기 장벽은 상기 단부판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머플러 커버는 평판 형상이므로, 상기 머플러 커버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의 로터리 압축기에서는, 상기 머플러 커버에 상기 단부판 부재와 반대측에 장착되는 다른 머플러 커버를 갖고, 이 다른 머플러 커버와 상기 머플러 커버에 의해 상기 머플러실에 연통되는 다른 머플러실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로터리 압축기에 따르면, 상기 머플러실에 연통되는 다른 머플러실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 다른 머플러실에 의해 머플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의 로터리 압축기에서는, 상기 단부판 부재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한 면에 설치된 보스부를 갖고, 상기 장벽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보스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단부판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로터리 압축기에 따르면, 상기 장벽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보스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단부판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장벽은 리브로서 기능하여 상기 단부판 부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에 따르면, 상기 머플러실의 상기 정체 공간은, 상기 실린더실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중심 평면보다도 상기 실린더실의 냉매 가스의 흡입측에 중첩되므로, 상기 실린더실로부터 상기 머플러실로 토출된 냉매 가스의 상기 실린더실로의 열전달을 억제하여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2는 로터리 압축기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3은 로터리 압축기의 제1 머플러실 부근의 횡단면도이다.
도4는 로터리 압축기의 제2 머플러실 부근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 형태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의 일 실시 형태인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로터리 압축기는, 밀폐 용기(1)와, 이 밀폐 용기(1) 내에 배치된 압축 요소(2)와, 상기 밀폐 용기(1) 내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 요소(2)를 샤프트(12)를 통해 구동하는 모터(3)를 구비하고 있다. 이 로터리 압축기는, 소위 고압 돔형으로, 상기 밀폐 용기(1) 내에 상기 압축 요소(2)를 하부에, 상기 모터(3)를 상부에 배치하고 있다.
상기 모터(3)는 회전자(6)와, 이 회전자(6)의 직경 방향 외측에 에어 갭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고정자(5)를 갖는다. 상기 회전자(6)에는 상기 샤프트(1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자(6)는, 예를 들어 적층된 전자기 동판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자 본체와, 이 회전자 본체에 매립 설치된 자석을 갖는다. 상기 고정자(5)는, 예를 들어 철로 이루어지는 고정자 본체와, 이 고정자 본체에 권취된 코일을 갖는다.
상기 모터(3)는 상기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상기 고정자(5)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회전자(6)를 상기 샤프트(12)와 함께 회전시키고, 이 샤프트(12)를 통해 상기 압축 요소(2)를 구동한다.
상기 밀폐 용기(1)에는 냉매 가스를 흡입하는 흡입관(11)이 장착되고, 이 흡입관(11)에는 어큐뮬레이터(10)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압축 요소(2)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0)로부터 상기 흡입관(11)을 통해 냉매 가스를 흡입한다.
이 냉매 가스는, 이 로터리 압축기와 함께, 냉동 시스템의 일례로서의 공기 조화기를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응축기, 팽창 기구, 증발기를 제어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로터리 압축기는, 압축한 고온 고압의 토출 가스를 상기 압축 요소(2)로부터 토출하여 상기 밀폐 용기(1)의 내부에 채우는 동시에, 상기 모터(3)의 상기 고정자(5)와 상기 회전자(6)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기 모터(3)를 냉각한 후, 토출관(13)으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밀폐 용기(1) 내의 고압 영역의 하부에 윤활유(9)를 모으고 있다.
상기 압축 요소(2)는 상기 샤프트(12)의 회전축을 따라 위로부터 아래로 차례로, 상측 단부판 부재(50)와, 제1 실린더(121)와, 중간 단부판 부재(70)와, 제2 실린더(221)와, 하측 단부판 부재(60)를 갖는다.
상기 상측 단부판 부재(50) 및 상기 중간 단부판 부재(70)는 상기 제1 실린더(121)의 상하 개구 단부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중간 단부판 부재(70) 및 상기 하측 단부판 부재(60)는 상기 제2 실린더(221)의 상하의 개구 단부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 실린더(121), 상기 상측 단부판 부재(50) 및 상기 중간 단부판 부재(70)에 의해 제1 실린더실(122)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실린더(221), 상기 하측 단부판 부재(60) 및 상기 중간 단부판 부재(70)에 의해 제2 실린더실(222)을 형성한다.
상기 상측 단부판 부재(50)는 원판 형상의 본체부(51)와, 이 본체부(51)의 중앙에 상방으로 설치된 보스부(52)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51) 및 상기 보스부(52)는 상기 샤프트(12)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51)에는 상기 제1 실린더실(122)에 연통되는 토출구(51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51)에 관하여 상기 제1 실린더(121)와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51)에 토출 밸브(131)가 장착되어 있다. 이 토출 밸브(131)는, 예를 들어 리드 밸브로, 상기 토출구(51a)를 개폐한다.
상기 본체부(51)에는, 상기 제1 실린더(121)와 반대측에 상기 토출 밸브(131)를 덮도록 컵 형상의 제1 머플러 커버(14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제1 머플 러 커버(140)는 (볼트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부(5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 머플러 커버(140)는 상기 보스부(52)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상기 제1 머플러 커버(140) 및 상기 상측 단부판 부재(50)에 의해 제1 머플러실(142)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머플러실(142)과 상기 제1 실린더실(122)은 상기 토출구(51a)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
상기 하측 단부판 부재(60)는 원판 형상의 본체부(61)와, 이 본체부(61)의 중앙에 하방으로 설치된 보스부(62)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61) 및 상기 보스부(62)는 상기 샤프트(12)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61)에는, 상기 제2 실린더실(222)에 연통되는 (도시하지 않은)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61)에 관하여 상기 제2 실린더(221)와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61)에 (도시하지 않은) 토출 밸브가 장착되고, 이 토출 밸브는 상기 토출구를 개폐한다.
상기 본체부(61)에는, 상기 제2 실린더(221)와 반대측에, 상기 토출 밸브를 덮도록 직선 형상의 평판 형상의 제2 머플러 커버(24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제2 머플러 커버(240)는, (볼트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부(6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 머플러 커버(240)는 상기 보스부(62)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상기 제2 머플러 커버(240) 및 상기 하측 단부판 부재(60)에 의해 제2 머플러실(242)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머플러실(242)과 상기 제2 실린더실(222)은 상기 토출구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1 머플러 커버(140)에는, 상기 상측 단부판 부재(50)와 반대측에, 컵 형상의 제3 머플러 커버(340)가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 머플러 커버(140) 및 상기 제3 머플러 커버(340)에 의해 제3 머플러실(342)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머플러실(142)과 상기 제3 머플러실(342)은 상기 제1 머플러 커버(140)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구멍부에 의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상기 제2 머플러실(242)과 상기 제3 머플러실(342)은 상기 하측 단부판 부재(60), 상기 제2 실린더(221), 상기 중간 단부판 부재(70), 상기 제1 실린더(121) 및 상기 상측 단부판 부재(50)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구멍부에 의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상기 제3 머플러실(342)과 상기 제3 머플러 커버(340)의 외측은 상기 제3 머플러 커버(340)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구멍부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상기 단부판 부재(50, 60, 70), 상기 실린더(121, 221) 및 상기 머플러 커버(140, 240, 340)는 볼트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압축 요소(2)의 상기 상측 단부판 부재(50)는 용접 등에 의해 상기 밀폐 용기(1)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12)의 일단부는, 상기 상측 단부판 부재(50) 및 상기 하측 단부판 부재(60)에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샤프트(12)는 외팔보이다. 상기 샤프트(12)의 일단부(지지 단부측)는 상기 제1 실린더실(122) 및 상기 제2 실린더실(222)의 내부에 진입하고 있다.
상기 샤프트(12)에는, 상기 제1 실린더실(122) 내에 위치하도록 제1 편심 핀(126)을 설치하고 있다. 이 제1 편심 핀(126)은 제1 롤러(127)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제1 롤러(127)는, 상기 제1 실린더실(122) 내에서 상기 제1 실린더실(122)의 중심축을 공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제1 롤러(127)의 공전 운동에 의해 압축 작용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샤프트(12)에는, 상기 제2 실린더실(222) 내에 위치하도록 제2 편심 핀(226)을 설치하고 있다. 이 제2 편심 핀(226)은 제2 롤러(227)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제2 롤러(227)는, 상기 제2 실린더실(222) 내에서 상기 제2 실린더실(222)의 중심축을 공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제2 롤러(227)의 공전 운동에 의해 압축 작용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1 편심 핀(126)과 상기 제2 편심 핀(226)은 상기 샤프트(12)의 회전축에 대해 180°어긋난 위치에 있다.
다음에, 상기 제1 실린더실(122)의 압축 작용을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롤러(127)에 일체로 설치한 블레이드(128)로 상기 제1 실린더실(122) 내를 구획하고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128)의 우측 실(室)은, 하나의 상기 흡입관(11)이 상기 제1 실린더실(122)의 내면에 개방되어, 냉매 가스의 흡입실(저압실)(123)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128)의 좌측 실은, (도1에 도시하는) 상기 토출구(51a)가 상기 제1 실린더실(122)의 내면에 개방되어, 냉매 가스의 토출실(고압실)(124)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블레이드(128)의 양면에는, 반원 기둥 형상의 부쉬(125, 125)가 밀착하여 밀봉을 행하고 있다. 상기 부쉬(125, 125)는 상기 제1 실린더(121)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128)는 상기 제1 실린더(121)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128)와 상기 부쉬(125, 125) 사이, 및 상기 부쉬(125)와 상기 제1 실린더(121) 사이는, 상기 윤활유(9)에 의해 윤활을 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편심 핀(126)이 상기 샤프트(12)와 함께 편심 회전하여, 상기 제1 편심 핀(126)에 끼워 맞춘 상기 제1 롤러(127)가, 이 제1 롤러(127)의 외주면을 상기 제1 실린더실(122)의 내주면에 접하여, 공전한다.
상기 제1 롤러(127)가 상기 제1 실린더실(122) 내에서 공전하는 데 수반하여, 상기 블레이드(128)는 이 블레이드(128)의 양 측면이 상기 부쉬(125, 125)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진퇴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흡입관(11)으로부터 저압의 냉매 가스를 상기 흡입실(123)로 흡입하고, 상기 토출실(124)에서 압축하여 고압으로 한 후, (도1에 도시하는) 상기 토출구(51a)로부터 고압의 냉매 가스를 토출한다.
그 후,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51a)로부터 토출된 냉매 가스는, 상기 제1 머플러실(142) 및 상기 제3 머플러실(342)을 경유하여, 상기 제3 머플러 커버(34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2 실린더실(222)의 압축 작용도 상기 제1 실린더실(122)의 압축 작용과 마찬가지이다. 즉, 다른 상기 흡입관(11)으로부터 저압의 냉매 가스를 상기 제2 실린더실(222)로 흡입하고, 상기 제2 실린더실(222) 내에서 상기 제2 롤러(227)의 공전 운동으로 냉매 가스를 압축하여, 이 고압의 냉매 가스를 상기 제2 머플러실(242) 및 상기 제3 머플러실(342)을 경유하여 상기 제3 머플러 커버(340)의 외측으로 배출한다.
상기 제1 실린더실(122)의 압축 작용과 상기 제2 실린더실(222)의 압축 작용 은 180°어긋난 위상에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머플러실(142)에, 냉매 가스가 진입하지 않는 정체 공간(180)을 마련하고 있다. 또, 도3에서는, 상기 정체 공간(180)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머플러 커버(140)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정체 공간(180)은, 도2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린더실(122)의 중심축(122a)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1 실린더실(122)에 가장 돌출된 상태의 상기 블레이드(128)의 중심과 상기 제1 실린더실(122)의 중심축(122a)을 통과하는 중심 평면(S1)보다도, 상기 제1 실린더실(122)의 냉매 가스의 흡입측[상기 흡입관(11)측]에 중첩된다.
상기 정체 공간(180)은 2개의 장벽(181, 18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장벽(181)은 상기 상측 단부판 부재(5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51)와 상기 보스부(52)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장벽(181)은 상기 보스부(52)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상기 장벽(181)은 리브로서 기능하여, 상기 상측 단부판 부재(50)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장벽(181)과 (도1에 도시하는) 상기 제1 머플러 커버(140)는 접촉하고 있어도 좋고, 또는 그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갖고 있어도 좋다. 즉, 상기 정체 공간(180)은 밀폐 또는 개방된 공간이다.
상기 구성의 상기 제1 머플러실(142)에서는, 상기 제1 실린더실(122)로부터 상기 토출구(51a)를 통해 상기 제1 머플러실(142)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상기 장벽(181)에 방해되어 상기 정체 공간(180)으로 진입하기 어려워진다.
즉, 이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상기 제1 실린더실(122)의 저온 저압의 흡입측에 중첩되는 부분을 통과하기 어려워져, 상기 제1 실린더실(122)의 흡입측으로 열을 빼앗기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 제1 실린더실(122)로부터 상기 제1 머플러실(142)로 토출된 냉매 가스의 상기 제1 실린더실(122)로의 열전달을 억제하여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1 머플러실(142)의 냉매 가스는, (도1에 도시하는) 상기 제1 머플러 커버(140)에 형성된 구멍부(140a)를 통해, (도1에 도시하는) 상기 제3 머플러실(342)로 배출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머플러실(242)에 냉매 가스가 진입하지 않는 정체 공간(280)을 마련하고 있다. 또, 도4에서는, 상기 정체 공간(280)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머플러 커버(240)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정체 공간(280)은, 상기 제2 실린더실(222)의 중심축(222a)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실린더실(222)에 가장 돌출된 상태의 상기 블레이드(228)의 중심과 상기 제2 실린더실(222)의 중심축(222a)을 통과하는 중심 평면(S2)보다도, 상기 제2 실린더실(222)의 냉매 가스의 흡입측[상기 흡입관(11)측]에 중첩된다.
상기 정체 공간(280)은 2개의 장벽(281, 28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장벽(281)은 상기 하측 단부판 부재(6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61)와 상기 보스부(62)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장벽(281)은 상기 보스부(62)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상기 장벽(281)은 리브로서 기능하여, 상기 하측 단부판 부재(60)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장벽(281)을 상기 하측 단부판 부재(60)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도1에 도시하는) 상기 제2 머플러 커버(240)를 평판 형상으로 할 수 있어, 상기 제2 머플러 커버(240)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장벽(281)과 (도1에 도시하는) 상기 제2 머플러 커버(240)는 접촉하고 있어도 좋고, 또는 그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갖고 있어도 좋다. 즉, 상기 정체 공간(280)은 밀폐 또는 개방된 공간이다.
상기 구성의 상기 제2 머플러실(242)에서는, 상기 제2 실린더실(222)로부터 상기 토출구(61a)를 통해 상기 제2 머플러실(242)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상기 장벽(281)에 방해되어 상기 정체 공간(280)으로 진입하기 어려워진다.
즉, 이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상기 제2 실린더실(222)의 저온 저압의 흡입측에 중첩되는 부분을 통과하기 어려워져, 상기 제2 실린더실(222)의 흡입측으로 열을 빼앗기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 제2 실린더실(222)로부터 상기 제2 머플러실(242)에 토출된 냉매 가스의 상기 제2 실린더실(222)로의 열전달을 억제하여,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2 머플러실(242)의 냉매 가스는, 상기 하측 단부판 부재(60)에 형성된 구멍부(60b)를 통과하여, (도1에 도시하는) 상기 제3 머플러실(342)에 배출된다.
상기 구성의 로터리 압축기에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머플러실(142)과 상기 제2 머플러실(242)에 연통되는 상기 제3 머플러실(342)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3 머플러실(342)에 의해 머플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2단 머플러로 함으로써, 상기 제1 머플러실(142)과 상기 제2 머플러실(242)에서는 머플러 공간을 작게 하여, 냉매 가스의 열전달의 촉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압축 요소(2)로서, 롤러와 블레이드가 별개 부재인 로터리 타입이라도 좋다. 상기 압축 요소(2)로서, 1개의 실린더실을 갖는 1 실린더 타입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3 머플러 커버(340)를 생략한 1단 머플러라도 좋다.
또한, 상기 장벽(181, 281)을 상기 머플러 커버(140, 240)측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장벽(181, 281)을 상기 단부판 부재(50, 60)와 상기 머플러 커버(140, 240)에 설치해도 좋다.

Claims (4)

  1. 하나 이상의 실린더(121, 221)와,
    이 실린더(121, 221)의 개구 단부에 장착되는 단부판 부재(50, 60)와,
    이 단부판 부재(50, 60)에 상기 실린더(121, 221)와 반대측에 장착되는 머플러 커버(140, 240)와,
    상기 실린더(121, 221)와 상기 단부판 부재(50, 60)에 의해 형성되는 실린더실(122, 222)을 냉매 가스의 흡입실(123)과 냉매 가스의 토출실(124)로 구획하는 롤러(127, 227) 및 블레이드(128, 228)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128, 228)는 상기 실린더(121, 221)에 지지되고, 상기 롤러(127, 227)는 상기 실린더실(122, 222)의 중심축(122a, 222a)을 공전 운동하고,
    상기 머플러 커버(140, 240)와 상기 단부판 부재(50, 60)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실(122, 222)에 연통하고, 동시에 상기 실린더실(122, 222)의 중심축(122a, 222a)의 둘레 일주의 범위에 형성되는 머플러실(142, 242)에, 냉매 가스의 진입을 방해하는 두 개의 장벽(181, 281)에 의해 형성되는 냉매 가스가 진입하기 어려운 정체 공간(180, 280)을 마련하고,
    이 정체 공간(180, 280)은, 상기 실린더실(122, 222)의 중심축(122a, 222a)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실린더실(122, 222)에 가장 돌출된 상태의 상기 블레이드(128, 228)의 중심과 상기 실린더실(122, 222)의 중심축(122a, 222a)을 통과하는 중심 평면(S1, S2)보다도 상기 실린더실(122, 222)의 냉매 가스의 흡입측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281)은 상기 단부판 부재(6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머플러 커버(240)는 평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 커버(140)에 상기 단부판 부재(50)와 반대측에 장착되는 다른 머플러 커버(340)를 갖고,
    이 다른 머플러 커버(340)와 상기 머플러 커버(140)에 의해 상기 머플러실(142)에 연통되는 다른 머플러실(34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판 부재(50, 60)는 본체부(51, 61)와, 이 본체부(51, 61)의 한 면에 설치된 보스부(52, 62)를 갖고,
    상기 장벽(181, 281)은 상기 본체부(51, 61)와 상기 보스부(52, 62)를 연결하도록 상기 단부판 부재(50, 6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KR1020087013989A 2005-12-27 2006-12-11 로터리 압축기 KR101001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74059 2005-12-27
JP2005374059A JP4007383B2 (ja) 2005-12-27 2005-12-27 ロータリ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706A KR20080067706A (ko) 2008-07-21
KR101001840B1 true KR101001840B1 (ko) 2010-12-15

Family

ID=3821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989A KR101001840B1 (ko) 2005-12-27 2006-12-11 로터리 압축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30648B2 (ko)
EP (1) EP1967737B1 (ko)
JP (1) JP4007383B2 (ko)
KR (1) KR101001840B1 (ko)
CN (1) CN101326370B (ko)
AU (1) AU2006329388B2 (ko)
ES (1) ES2607358T3 (ko)
WO (1) WO2007074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66140B1 (en) * 2009-08-10 2016-04-27 LG Electronics Inc. Compressor
US9512841B2 (en) * 2011-11-16 2016-12-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Rotary compressor with oil retaining portion
WO2013073182A1 (ja) 2011-11-16 2013-05-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ロータリ圧縮機
EP2796721B1 (en) * 2011-12-22 2018-10-10 Panasonic Corporation Rotary compressor
JP6176577B2 (ja) * 2012-05-29 2017-08-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圧縮機
JP6210331B2 (ja) * 2012-06-26 2017-10-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ロータリ圧縮機
JP6206776B2 (ja) * 2012-06-26 2017-10-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ロータリ圧縮機
JP5920406B2 (ja) * 2014-06-11 2016-05-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
AU2016225795B2 (en) * 2015-09-11 2020-03-05 Fujitsu General Limited Rotary compressor
JP6777167B2 (ja) * 2017-02-09 2020-10-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
KR102238358B1 (ko) * 2017-03-15 2021-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787A (ja) 2001-02-05 2002-08-14 Daikin Ind Ltd 高圧ドーム型ロータリ圧縮機
JP2003097472A (ja) 2001-09-27 2003-04-03 Sanyo Electric Co Ltd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0222A (en) * 1936-12-30 1940-05-07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2764342A (en) * 1952-01-31 1956-09-25 Gen Electric Noise damping muffler
DE3468489D1 (en) * 1983-06-24 1988-02-11 Matsushita Refrigeration Rotary compressor
JPH078864Y2 (ja) * 1988-10-31 1995-03-06 株式会社東芝 圧縮機
JPH045485A (ja) * 1990-04-20 1992-01-09 Hitachi Ltd ロータリ圧縮機
KR920007624B1 (ko) * 1990-10-22 1992-09-09 대우캐리어 주식회사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소음감소장치
JPH09151888A (ja) 1995-11-29 1997-06-10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型回転圧縮機
KR100285846B1 (ko) * 1998-05-08 2001-04-16 윤종용 밀폐형회전압축기
KR100286837B1 (ko) * 1998-07-15 2001-05-02 구자홍 로터리 압축기의 공명기
KR100283653B1 (ko) * 1999-01-14 2001-02-15 윤종용 밀폐형 회전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JP2001132673A (ja) * 1999-11-04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ロータリー圧縮機
CN1430705A (zh) * 2000-04-25 2003-07-16 Lg电子株式会社 压缩机
JP4153160B2 (ja) * 2000-09-04 2008-09-1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斜板式圧縮機の脈動低減構造
US7128540B2 (en) 2001-09-27 2006-10-31 Sanyo Electric Co., Ltd. Refrigeration system having a rotary compressor
ES2291277T3 (es) * 2001-11-16 2008-03-01 Lg Electronics, Inc. Silenciador para compresor giratorio hermetico.
JP3622755B2 (ja) * 2003-06-02 2005-02-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
CN1580574A (zh) * 2003-07-30 2005-02-1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压缩机的消声器
CN1704607A (zh) * 2004-05-27 2005-12-0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封闭型压缩机排气结构及其消音装置
KR100600767B1 (ko) * 2004-11-02 2006-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의 토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787A (ja) 2001-02-05 2002-08-14 Daikin Ind Ltd 高圧ドーム型ロータリ圧縮機
JP2003097472A (ja) 2001-09-27 2003-04-03 Sanyo Electric Co Ltd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26796A1 (en) 2010-09-09
JP2007177633A (ja) 2007-07-12
ES2607358T3 (es) 2017-03-30
US8430648B2 (en) 2013-04-30
AU2006329388B2 (en) 2010-05-27
EP1967737A4 (en) 2015-05-06
KR20080067706A (ko) 2008-07-21
EP1967737A1 (en) 2008-09-10
CN101326370B (zh) 2012-04-04
WO2007074631A1 (ja) 2007-07-05
EP1967737B1 (en) 2016-11-30
AU2006329388A1 (en) 2007-07-05
CN101326370A (zh) 2008-12-17
JP4007383B2 (ja) 200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840B1 (ko) 로터리 압축기
EP1703129B1 (en) Rotary vane compressor
JP4900081B2 (ja) ロータリ圧縮機
JP4225353B2 (ja) ステータ、モータおよび圧縮機
US9429156B2 (en) Compressor
KR101009133B1 (ko) 압축기
KR20090012839A (ko) 로터리 식 2단 압축기
JP2007291996A (ja) 密閉型回転式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7255332A (ja) 圧縮機
JP2011064183A (ja) 多気筒回転式圧縮機
KR100938053B1 (ko) 압축기
JP4380734B2 (ja) ロータリ圧縮機
KR20050074891A (ko) 압축기
WO2016139873A1 (ja) 圧縮機
EP1808602B1 (en) Muffler installation structure for compressor
JP2012072679A (ja) 圧縮機
JP3976080B2 (ja) 圧縮機
JP5040111B2 (ja) 圧縮機
KR101340164B1 (ko) 로터리식 2단 압축기
JPH09151850A (ja) 密閉型回転圧縮機
WO2021079401A1 (ja) ロータリ圧縮機
JP2007092738A (ja) 圧縮機
JP2019011748A (ja) 回転式圧縮機
JP2007211672A (ja) ロータリ圧縮機
JP2020197176A (ja) ロータリー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