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160B1 -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160B1
KR101001160B1 KR1020090047195A KR20090047195A KR101001160B1 KR 101001160 B1 KR101001160 B1 KR 101001160B1 KR 1020090047195 A KR1020090047195 A KR 1020090047195A KR 20090047195 A KR20090047195 A KR 20090047195A KR 101001160 B1 KR101001160 B1 KR 101001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heat treatment
heat
bamboo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8669A (ko
Inventor
함경식
김선희
방미애
고천성
조정용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16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기능성 소금은 미백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내성이나 안전성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미백 화장품을 포함한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소금, 미백

Description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의 제조방법{A METHOD OF PREPARING A SALT HAVING WHITENING ACTIVITY}
본 발명은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금의 주요성분은 염화나트륨(NaCl)으로, 상기 염화나트륨은 동물에게 생리적으로 필수 불가결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염화나트륨은 체내 특히 체액에 포함되어, 체액의 삼투압을 조정하고, 염화나트륨의 구성 성분인 나트륨은 인산과 결합하여, 완충물질로서 체액의 산염기 평행을 유지하고, 쓸개즙, 이자액 또는 장액 등의 알칼리성 소화액을 구성하고, 신경자극 전달 물질로 작용하며, 염화나트륨의 또 다른 구성성분인 염소는 위액을 구성한다.
일상 생활에서 식품의 맛을 내는 조미료로 사용되는 소금은 그 구성성분이 상기와 같이 동물의 생리활성 및 생명유지와 밀접하게 관련된 작용을 하므로, 소금섭취가 결필되면 단기적인 경우에는 소화액의 분비가 부족하게 되어 식욕감퇴가 일어나고, 장기적인 경우에는 전신 무력 ·권태 ·피로나 정신불안 등이 일어나며, 체내에서 급격한 염분의 손실이 일어나게 되면 현기증 ·무욕 ·의식혼탁 ·탈력 등 뚜렷한 육체적 및 정신적 기능상실이 일어난다.
한편,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 농도 및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자외선 등의 환경적 조건, 피로, 스트레스 등의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흑색소, Melanin)은 인간 피부의 색을 나타내고 피부를 보호하고, 자외선(UV)에 의한 피부 손상을 막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색소이다. 상기 멜라닌은 피부의 표피(epidermis)의 기저층(basal layer)에 있는 멜라노사이트 세포(melanocyte cells)에 의해 생산된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에 티로시나제가 작용하여 도파, 도파퀴논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멜라닌 생성경로는 알려져 있지만, 티로시나제가 작용하는 이전 단계인 멜라닌 합성 유도 메커니즘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상기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EC:1.14.18.1)는 구리원자를 포함하는 금속이온 함유 모노옥시제나제(a copper-containing monooxygenase)중 하나로, 상기한 바와 같이, 멜라닌 생합성 경로(melanin biosynthesis pathway)에 있어서 중요한 효소(key enzyme)이다.
상기 멜라닌이 피부에서 과도하게 생성되면, 피부색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내의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색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멜라닌 색소의 생합성의 감소는 타이로시네이즈를 저해하거나, 자외 선(UV)에 의한 노출을 감소시키거나, 멜라노사이트 세포를 저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중에서 타이로시네이즈를 저해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므로, 상기 타이로시네이즈 저해제가 미백용 화장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화학성분인 하이드로퀴논이나 아스콜빈산, 코직산, 글루타치온과 같은 티로시나제에 대해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피부 외용 연고나, 크림, 에센스 등의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피부 미백을 실현하거나,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하이드로퀴논은 피부 자극이 심하여 배합량을 극소량으로 제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아스콜빈산은 산화되기 쉬워 이를 배합한 화장료는 변색, 변취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제품의 질을 떨어뜨리고 그에 따라 미백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코직산은 경구 투여시 발암 가능성이 있어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더 필요하며,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가질 뿐만 아니라 경피 흡수에도 문제점이 있고,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도 극성이 높아 화장료의 배합 성분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천연재료로부터 분리한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은 주로 페놀 구조(phenol structure)를 가지거나 금속 킬레이트 효소(metal chelating agent)로, 상기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들은 활성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독성(high toxicity)과 불충분한 투과성(insufficient penetrative ability)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피부 미백에 효과적이면서도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 물질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의 유효성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백활성이 있는 천일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백활성이 우수한 천일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미백활성이 우수한 소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나 내성 등의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없는 천연물질 유래의 미백활성을 갖는 물질을 연구하던 중, 소금과 대나무를 특정한 비율로 혼합하고, 특정 방법으로 가열하는 경우,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금은 공업용이 아닌 식용으로 사용가능한 모든 유형의 소금을 의미하는 것으로, 천일염, 암염, 꽃소금, 구운 소금, 죽염 및 정제염 또는 재제소금, 태움용융 소금, 정제소금, 가공소금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천일염 또는 정제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일염은 바닷물 또는 해수를 저류지 또는 염전으로 유입 시킨 후, 바람과 햇빛 등의 자연력을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바닷물을 농축시켜 만든 가공되지 않은 소금을 의미하며, 굵고 반투명한 육각형의 결정을 가지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천일염은 칼슘, 마그네슘, 아연, 칼륨, 철 등의 많은 미네랄(무기질)이 풍부하여 미네랄 소금이라고 한다.
본 발명은 소금에 미백기능을 부여하여,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의 제조방법은 a) 소금을 열처리하는 제1 열처리 단계; b) 제1 열처리된 소금을 열처리하는 제2 열처리 단계; c) 상기 제2 열처리된 소금과 대나무를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제2 열처리된 소금과 대나무 혼합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열처리하는 제3 열처리 단계 및 d) 상기 제3 열처리 단계를 수행한 혼합물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열처리하는 제4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소금은 바람직하게는 열처리를 통하여 미백활성이 가장 많이 개선되는 천일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일염은 바닷물 또는 해수를 저류지 또는 염전으로 유입시킨 후, 바람과 햇빛 등의 자연력을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바닷물을 농축시켜 만든 가공되지 않은 소금을 의미하며, 굵고 반투명한 육각형의 결정을 가지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천일염은 바람직하게는 천일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염화나트륨 함량이 75 내지 95 중량%이고, 칼슘 함량이 0.1 내지 0.3 중량%이며, 칼륨 함량이 0.15 내지 0.45 중량%이고, 마그네슘 함량이 0.4 내지 2.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 함량이 80 내지 90 중량%이고, 칼슘 함량이 0.11 내지 0.22 중량%이며, 칼륨 함량이 0.2 내지 0.35 중량%이고, 마그네슘 함량이 0.6 내지 1.5 중량%인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 함량이 82.5 내지 88 중량%이고, 칼슘 함량이 0.13 내지 0.18 중량%이며, 칼륨 함량이 0.23 내지 0.27 중량%이고, 마그네슘 함량이 0.8 내지 1 중량%일 수 있으며, 추가로 망간(Mn), 철(Fe), 구리(Cu), 아연(Zn) 및 스트론튬(Sr)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염화나트륨 함량은 82.5 내지 88 중량%, 바람직하게 83 내지 8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84 내지 86 중량%일 수 있고, 상기 칼슘 함량은 0.13 내지 0.18 중량%, 바람직하게 0.14 내지 0.16 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칼륨 함량은 0.23 내지 0.27 중량%, 바람직하게 0.24 내지 0.26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245 내지 0.25 중량%일 수 있고, 상기 마그네슘 함량은 0.8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 0.81 내지 0.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82 내지 0.84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소금을 열처리하는 제1 열처리하는 a) 단계는 소금, 바람직하게 천일염을 700 내지 900℃, 바람직하게는 750 내지 850℃에서 30분 내지 4시간, 바람직하게는 45분 내지 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60분 내지 90분 동안 열을 가하거나 굽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열처리는 1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소금을 열처리하는 제2 열처리하는 b) 단계는 상기 제1 열처리된 소금을 700 내지 900℃, 바람직하게는 750 내지 85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30분 내지 4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열을 가하 거나 굽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열처리는 1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열처리된 소금과 대나무를 혼합하는 c) 단계는 상기 제2 열처리를 수행한 소금과 대나무를 중량비를 기준으로 40:60 내지 70:30(천일염:대나무)으로 혼합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대나무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 대나무아과에 속하는 상록성 여러해살이 식물의 총칭으로, 바람직하게는 대나무의 성숙도가 3 내지 4년생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대나무는 베어낸 지 일주일 이상이 되면 수액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베어내서 곧바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대나무는 대나무의 성숙도가 3 내지 4년생인 것을 베어낸 후, 파쇄하여 칩(chip) 형태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대나무 칩의 크기는 소금과의 혼합 정도, 생산성 및 공정 비용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1cm×2cm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된 천일염과 대나무를 혼합하는 c) 단계는 천일염과 대나무를 중량비를 기준으로 40:60 내지 70:30(소금:대나무), 바람직하게는 50:50 내지 60:40으로 혼합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천일염과 대나무를 혼합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구운 소금을 제조할 때 첨가되는 부재료인 대나무와 MgSO4를 함께 혼합한 혼합물 또는 죽력(Banbusae Caulis)과 MgSO4를 함께 혼합한 혼합물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열처리된 소금과 대나무 혼합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열처리하는 제3 열처리 단계를 수행하는 d) 단계는 상기 소금과 대나무 혼합물을 4 내지 6시간, 바람직하게는 4시간 30분 내지 5시간 30분 동안 가열하여 상기 혼합물이 1,100가 될 때까지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3 열처리 과정은 일 예로 도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금과 대나무 혼합물을 200가 될 때까지는 분당 2가 상승하도록 열을 가하고, 200에서 400가 될 때까지는 분당 4가 상승하도록 열을 가하며, 400에서 1,100가 될 때까지도 분당 4가 상승하도록 열을 가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방법에 의할 경우, 상기 소금과 대나무 혼합물이 0에서 200까지 가열되기 위하여, 1시간 20분 내지 2시간이 경과될 수 있고, 상기 혼합물이 200에서 400까지 가열되기 위하여, 30분 내지 1시간 10분이 경과될 수 있으며, 상기 혼합물이 400에서 1,100까지 가열되기 위하여, 2시간 30분 내지 3시간 10분이 경과될 수 있다.
상기 제3 열처리 단계를 수행한 혼합물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열처리하는 제4 열처리 단계를 수행하는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3 열처리 과정을 수행한 혼합물을 1,100에서 15분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20분 내지 40분 동안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3 열처리과정인 d) 단계는 e) 단계와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동일한 과정을 여러차례 반복하는 기존의 죽염 등을 제조하는 방법과 달리, 한번의 전체 가열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기존 소금이 가지지 못하거나 제한적으로만 인정되었던 미백효능과 관련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미백효능을 가지는 우수한 기능성 소금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200 내지 1,300로 가열하여 소금을 녹인 후, 다시 굳히고 분쇄하는 등의 기존 공정에 비하여 작업공정이 간단하면서도 연료비 및 인거비 등의 제조비용이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백효능을 갖는 소금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금은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이 우수하여 뛰어난 미백효능을 갖는 것을 예상되었다.
일반적으로, 타이로시나제는 동식물계에 넓게 분포하는 polyphenol oxidase로서, 체내에서 두 가지 반응을 촉매한다. 그 하나는 monophenol을 o-diphenol로 산화시키는 타이로시나제 산화효소(Tyrosinase oxidase)로서 기능이며, 다른 하나는 o-diphenol을 o-quinone으로 산화시키는 도파 산화효소(dopa oxidase)로서 기능이다. 타이로시나제는 상기 산화효소로서 기능으로 인하여, 체내에서 멜라닌 폴리머를 생합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멜라닌 생성 세포(melanocyte)에서 멜라닌을 생성할 때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멜라닌은 기미, 주근깨, 멜라닌 과색소침작 등의 병변으로 피부에 나타난다. 따라서, 타이로시나제 저해 활성이 우수한 경우,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여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활성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백활성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을 유효성분으로 하며, 상기 유효성분을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0.00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 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최소한의 피부 미백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유효성분의 함량은 상기 최소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과량 첨가에 따른 사용감 저하 및 각종 제형에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유효성분의 함량은 상기 최대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효성분의 함량은 제형 또는 미백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들의 함량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백 조성물은 화장품, 세제 및 섬유 등의 피부에 접촉하는 피부접촉물질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미백 조성물은 투여 경로에 제한이 없으나, 미백 목적상, 경피 투여, 피하 투여 등의 국부 투여가 바람직하다.
상기 미백활성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효성분과 함께 추가로 일반 피부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의 성분을 필요한 만큼 적용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백활성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유연화장수(스킨),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파우더, 연고, 서스펜션, 에멀젼, 스프레이, 미용액, 비누, 샴푸, 피부접착용 패취, 또는 피부접착용 겔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각 제형에 적합하고 당업계에 주지된 각종의 통상적인 담체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가능한 부형제로는, 글리세린, 전분, 유당,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살리실산, 다히아드로초산 및 생리식염수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백활성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두피용 화장품 또는 면도용 화장품의 용도로 제공될 수 있 다. 상기 기초화장품의 예로는 크림,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으며,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아이새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으며,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선스크린 크림, 선 오일 등이 있으며, 두피용 화장품으로는 헤어 토닉, 스칼프 트리트먼트가 있으며, 상기 면도용 화장품으로는 애프터셰이브로션, 셰이빙 크림 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우,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기존 방법에 비하여 경제적인 방법으로 소금의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금은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산화능도 우수하여, 상기 방법에 의해 제공된 소금은 미백기능이 요구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미백용 조성물 등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미백활성을 갖는 물질과 달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최근 식품으로 인정된 천연물질인 소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부작용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며, 나아가 우리나라 서해안 특히, 전라남도에서 풍부하게 생산되는 천일염을 원료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도 유리하여 산업적으로 그 효과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기능성 소금의 제조
실험에 사용한 천일염은(SS, solar salts) 태평소금(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고, 정제염은 한주소금(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으며, NaCl(PS, Purified salts)은 S9625(Sigma,. USA, NaCl 99.5%)을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자죽염(PBS , purple bamboo salt) 및 키파워 솔트(BS, Bamboo salt)는 청수식품(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다.
미백활성이 개선된 기능성 소금 제조에 사용되는 부재료 중 대나무는 플라스틱&대나무에서 구입하였고, MgSO4 및 죽력은 Farm Maker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항산화능이 개선된 기능성 소금은 원재료에 따라 시약급 소금을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소금의 경우, P-PS(Processed purified salts), 천일염을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소금의 경우, P-SS(Processed solar salts) 및 1회 열처리를 통해 구운소금을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소금의 경우, P-RS(Processed Roated salts)로 각각 명명하였다. 상기 1회 열처리는 소금을 800℃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굽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해당하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는 2회로 나누어 소금을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소금의 전처리에 해당하는 열처리는 상기 소금을 80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소금의 본처리에 해당하는 열처리는 도 1 및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열처리를 가하여 수행하였다.
미백활성을 갖는 기능성 소금의 최적 조건을 확인하기 위한 부재료의 첨가는 기능성 소금 1번의 경우, 중량부 기준으로 65 : 25 : 10(소금 : MgSO4 : 죽력)으로 혼합하였고, 기능성 소금 2번의 경우, 중량부 기준으로 60 : 40(소금 : 대나무)로 혼합하였고, 기능성 소금 3번의 경우, 중량부 기준으로 60 : 30 : 10(소금 : 대나무 : MgSO4)으로 혼합하였다.
[표 1]
Step Temp (℃) Step duration
in h : min
Temp-min
(℃/ min )
Temp gradient type
1 200 01:40 2 Gradient
2 400 00:50 4 Gradient
3 1,100 02:55 4 Gradient
4 1,100 00:30 - Step -n- hold
[표 2]
Figure 112009032406053-pat00001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원료 소금과 부재료를 첨가한 혼합물을 알루미나 재질의 세라믹 용기에 담아 전기로(아전가열, 대한민국)에서 표 1 및 도 1에 기재된 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미백활성의 측정
타이로시나제는 동식물계에 넓게 분포하는 polyphenol oxidase로서, 체내의 멜라닌 생성 세포(melanocyte)에서 멜라닌을 생성할 때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멜라닌은 기미, 주근깨, 멜라닌 과색소침작 등의 병변으로 피부에 나타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소금을 시료로 각 농도별로, 버섯으로부터 분리된 타이로시나제(Sigma, USA)를 이용하여 DOPA ox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산완충액(0.175M, pH 6.8) 0.5 ml에 10mM L-DOPA를 녹인 기질액 0.2 ml 및 시료용액 0.1 ml의 혼합액에 타이로시나제(110 U/ml) 2ml를 첨가하여 25℃에서 2분간 반응 시켰으며, 반응액 중 생성된 DOPA chrome을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Beckman DU-7500)를 이용하여 475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의 계산은 하기 계산식 1 즉,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계산식 1]
Figure 112009032406053-pat00002
상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금의 가공처리를 수행한 PRS-2, PSS-2 및 PPS-2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상기 대나무만을 첨가하여 열처리함으로써 가공처리를 한 소금들 중에서는, 천일염을 1차적으로 굽는 단계인 전단계로 처리한 PRS-2가 0.35mg를 첨가한 경우에 다른 소금에 비하여 약 10배에 가까운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타이로시나제 저해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우수한 타이로시나제 저해 활성은 결과적으로 체내에서 멜라닌의 합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미백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금의 미백활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의 열처리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Claims (4)

  1. a) 소금을 700 내지 900℃에서 30분 내지 4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제1 열처리 단계;
    b) 상기 제1 열처리를 수행한 소금을 700 내지 90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제2 열처리 단계;
    c) 상기 제2 열처리를 수행한 소금과 대나무를 중량비를 기준으로 40:60 내지 70:30(천일염:대나무)으로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소금과 대나무 혼합물을 4 내지 6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기 혼합물이 1,100℃가 될 때까지 가열하는 제3 열처리 단계; 및
    e) 상기 제3 열처리 단계를 수행한 혼합물을 1,100℃에서 15분 내지 60분 동안 열처리하는 제4 열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혼합물의 온도가 0내지 200의 범위에서는 상기 혼합물의 온도가 분당 2가 상승되도록 열을 가하고, 상기 혼합물의 온도가 200에서 400의 범위에서는 상기 혼합물의 온도가 분당 4가 상승되도록 열을 가하며, 상기 혼합물의 온도가 400에서 1,100의 범위에서는 분당 4가 상승하도록 열을 가하는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인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
  4. 제3항의 소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활성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47195A 2009-05-28 2009-05-28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의 제조방법 KR101001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195A KR101001160B1 (ko) 2009-05-28 2009-05-28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195A KR101001160B1 (ko) 2009-05-28 2009-05-28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669A KR20100128669A (ko) 2010-12-08
KR101001160B1 true KR101001160B1 (ko) 2010-12-15

Family

ID=43512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195A KR101001160B1 (ko) 2009-05-28 2009-05-28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1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784B1 (ko) * 2011-06-22 2011-12-21 한국농어촌공사 위 손상 예방 효과를 갖는 미네랄죽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792B1 (ko) * 2012-06-27 2014-02-03 청수식품주식회사 황산염을 이용한 미네랄죽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미네랄죽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499B1 (ko) 2005-05-31 2007-06-27 이선옥 해초성분이 포함된 사우나용 소금 크림
JP2008044873A (ja) 2006-08-11 2008-02-28 Telephony Direct Co Ltd パック用ソ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パック剤
JP2009114067A (ja) 2007-10-14 2009-05-28 Telephony Direct Co Ltd ソルト含有化粧料,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パック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499B1 (ko) 2005-05-31 2007-06-27 이선옥 해초성분이 포함된 사우나용 소금 크림
JP2008044873A (ja) 2006-08-11 2008-02-28 Telephony Direct Co Ltd パック用ソ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パック剤
JP2009114067A (ja) 2007-10-14 2009-05-28 Telephony Direct Co Ltd ソルト含有化粧料,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パック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784B1 (ko) * 2011-06-22 2011-12-21 한국농어촌공사 위 손상 예방 효과를 갖는 미네랄죽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669A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288B1 (ko) 용암해수와 탄산수, 또는 암반수를 이용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2008526956A6 (ja) クロマメノキ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美白及びシワ改善用の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JP2008526956A (ja) クロマメノキ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状態改善用の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KR100894628B1 (ko) 인삼추출물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11533B1 (ko)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0657B1 (ko) 디하이드로퀘세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521768B1 (ko)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01160B1 (ko) 미백활성을 갖는 소금의 제조방법
KR102476670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99024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26073B1 (ko) 비타민 c와 백년초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5388B1 (ko)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
KR101093901B1 (ko)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827655B1 (ko) 바나나를 포함하는 백발 예방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JP2012162487A (ja) 美白剤、抗老化剤及び皮膚化粧料
KR101796286B1 (ko) 바위손 발효액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83773B1 (ko) 유자 또는 지실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864203B1 (ko)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제주아그배 추출물
JP6513469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クウシンサイ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0967617B1 (ko) 털산박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39684B1 (ko) 자죽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KR102030419B1 (ko) 그라비올라를 포함하는 백발 예방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20060101100A (ko) 피부 미백 효능이 있는 장미 추출물
KR19990085941A (ko) 포도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