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645B1 - 클램핑 장치, 클램핑 장치 부착 포장 백 - Google Patents

클램핑 장치, 클램핑 장치 부착 포장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645B1
KR101000645B1 KR1020057005624A KR20057005624A KR101000645B1 KR 101000645 B1 KR101000645 B1 KR 101000645B1 KR 1020057005624 A KR1020057005624 A KR 1020057005624A KR 20057005624 A KR20057005624 A KR 20057005624A KR 101000645 B1 KR101000645 B1 KR 101000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device
shape
packaging bag
male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570A (ko
Inventor
다케히로 이와모토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5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7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for facilitating the separation of the two walls, e.g. walls of inequal height, tabs; for maintaining the mouth of the sack or bag op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41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lide fastener, e.g. adapted to interlock with a sheet between the interlocking members having sections of particula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10Slide fasteners with a one-piece interlocking member on each stringer tape
    • A44B19/16Interlocking member having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str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서로 교합하는 한 쌍의 암수부재(21, 22)를 갖고, 포장 백의 개구부 주위에 따라 부착되는 클램핑 장치(20)에 있어서, 수형 부재(21) 및 암형 부재(22)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클램핑 장치의 연장 방향에 따라 연장하고, 주 사슬에 벤젠 고리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포장 백에 부착되었을 때 개구된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 유지부(213, 223)를 구비하고 있다. 포장 백을 개봉하면, 형상 유지부(213, 223)에 의해서 개구된 형상이 유지되고, 폐쇄할 때에는, 수형 부재(21) 및 암형 부재(22)를 교합시키는 것으로 밀봉성이 확보된다.

Description

클램핑 장치, 클램핑 장치 부착 포장 백{CLAMPING DEVICE, AND PACKAGING BAG WITH CLAMPING DEVICE}
본 발명은, 서로 교합하는 한 쌍의 암수 부재(male and female members)를 갖는 클램핑 장치, 및 이 클램핑 장치를 구비한 클램핑 장치 부착 포장 백에 관한 것이다.
포장 백의 개구부 주변에 따라 서로 교합하는 한 쌍의 암수부재를 고착한 클램핑 장치 부착 포장 백이 알려져 있다. 이 클램핑 장치 부착 포장 백에 의하면, 암수부재의 클램핑을 해제하여 식품 등을 수납하고, 다시 암수부재를 클램핑 시킴으로써, 식품 등의 내용물을 외기로부터 차단해서 보존할 수 있으므로, 식품 등의 내용물을 품질을 손상하는 일 없이 장기 보존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다른 개폐 자재인 포장 백으로서, 포장 백의 개구부 주위에 금속조로 이루어지는 개폐 부재를 설치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화 제61-59560호 공보 등).
이러한 개폐 부재는, 금속 조를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포장 백의 개구부를 폐색하거나, 개봉하거나 할 수 있고, 개봉시에는, 금속조를 원호 형상으로 넓히는 것으로 내용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클램핑 장치 부착 포장 백에서는, 개봉시 포장 백의 자중에 의해 개구 부분이 폐색해버리기 때문에, 개봉시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화 제61-59560호 공보에 개시되는 금속조가 설치된 포장 백에서는, 금속조의 변형에 의해 포장 백을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재 밀봉했을 때의 밀폐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포장 백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통상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금속조는 이종부재이기 때문에, 최근의 분별 폐기로 하면, 금속조를 포장 백으로부터 떼서 폐기하지 않으면 안되고, 폐기 처리의 손이 많이 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식품 등의 이물 혼입의 검사에서는 금속 탐지기를 사용하는 것이 있고,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은 금속조는, 탐지기에 반응해 버려, 식품용의 포장 백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주목적은, 포장 백에 부착될 때, 개봉시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충분히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 폐기 처리의 시간이 걸리지 않는 클램핑 장치 및 클램핑 장치 부착 포장 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클램핑 장치는, 서로 교합하는 한 쌍의 암수부재를 갖고, 포장 백의 개구 주위에 따라 부착되는 클램핑 장치(clamping device)로서, 수형 부재 및 암형 부재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클램핑 장치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주 사슬(main chain)에 벤젠 고리(benzene ring)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또는 주 사슬에 벤젠 고리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공압출의 일층으로서, 혹은 다층구성의 일층으로서 이루어지고, 포장 백에 부착할 때 개구된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클램핑 장치를 구성하는 수형 부재, 암형 부재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를 단축, 2축의 압출 성형기 등에 의해 압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고, 재질은, 사용되는 포장 백의 재질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면, 포장 백을 구성하는 필름의 재질이 폴리에틸렌이면, 수형 부재, 암형 부재의 재질로서도 폴리에틸렌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름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이면, 수형 부재, 암형 부재도 폴리프로필렌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형상 유지부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결정성 또는 비결정성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채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클램핑 장치를 구성하는 수형 부재 또는 암형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형상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개봉시 포장 백의 개구를 크게 넓히면, 그대로의 개구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포장 백에 이러한 클램핑 장치를 부착하는 것으로, 내용물을 꺼내기 쉬운 포장 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교합하는 한 쌍의 암수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이것들을 교합시키는 것으로 일단 개봉 후에도, 밀봉성을 확보해서 포장 백을 다시 밀봉할 수 있다.
또, 형상 유지부가 주 사슬에 벤젠 고리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등으로서 되는 것에 의해, 이 형상 유지부를 포함하는 재질을 전부 수지제로 할 수 있고, 형상 유지부를 빼서 폐기하는 필요가 없이, 폐기시의 시간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형상 유지부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PET를 채용함으로써, PET의 인성, 소성을 이용해서 형상 유지성을 확실히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저결정성 PET 혹은 비결정성 PET로 형상 유지부를 구성함으로써, 이들의 PET는 결정성 PET보다도 압출 성형온도가 낮으므로, 클램핑 장치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와의 공압출 성형에 즈음해서 압출시의 온도차가 적어지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눌어붙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전술한 형상 유지부를, 수형 부재 및/또는 암형 부재의 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고려되고, 바람직하게는, 수형 부재의 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수형 부재 및/또는 암형 부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외주 수지와, 형상 유지부를 구성하는 수지의 단면에 있어서의 면적 비율은, 외주수지:형상 유지부=1:9∼9:1의 사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범위를 벗어나면, 형상 유지성이 상실되거나, 클램핑 장치로서의 재 밀봉성이 나빠지는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수형 부재 또는 암형 부재의 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외피는 수형 부재 또는 암형 부재로서 적절한 수지를 채용해서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고, 형상 유지성은 내부의 형상 유지부에서 실현 할 수 있다. 또한, 수형 부재는 암형 부재와 결합하는 팽창부를 포함하는 단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내부에 형상 유지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제조하기 용이하다.
또한, 수형 부재, 암형 부재가 포장 백을 구성하는 필름 내면에 용착되는 용착 기부(띠형 기부)와, 이 용착 기부로부터 입설되어, 서로 교합되는 클램핑부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전술한 형상 유지부를, 수형 부재 및/또는 암형 부재의 용착 기부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 경우, 형상 유지부는, 공압출 성형 등에 의해 형상 유지부를 용착 기부와 함께 필름 형상으로 압출하거나, 라미네이트(laminate) 등에 의해 필름 형상의 형상 유지부를 띠형의 용착 기부에 적층 접착해서 일체화하여도 무방하다.
형상 유지부를 이렇게 형성하여도 상술한 것과 같은 작용 및 효과를 누릴 수 있으므로, 형상 유지부를 수형 부재 또는 암형 부재의 클램핑부 본체와 간섭하지 않도록 일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클램핑 형상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 형상 유지부가 용착 기부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용착 기부의 클램핑부 본체가 설정된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상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클램핑부 본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상 유지부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수형 부재 및 암형 부재의 클램핑부 본체끼리가 교합될 때, 형상 유지부의 인성, 소성 등에 의해 클램핑부 본체끼리의 클램핑을 저해하는 일이 없으므로, 수형 부재 및 암형 부재의 클램핑을 확실히 행하여, 확실히 밀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수형 부재 및 암형 부재의 어느 한쪽을 형상 유지부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하고, 어느 다른 쪽을 클램핑 시 이것에 추종하여 변형하는 가요성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여기서 가요성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필요에 따라서 개질제를 배합한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에 개질제를 배합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개질제로서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극성 비닐 모노머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클램핑 장치를 구성하는 한편의 부재를 PET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해당 한쪽의 부재에 인성, 소성을 갖는 형상 유지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쪽의 부재를 가요성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함으로써, 이 다른 쪽의 부재를, 형상 유지성을 갖는 한쪽의 부재에 따르게 해서 클램핑부 본체끼리를 교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이 공압출 성형을 실행하는 필요가 없고, 수형 부재, 암형 부재의 각각을 단독의 재료로 압출 성형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클램핑 장치로 할 수 있고, 보다 고효율로 제조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램핑 장치 부착 포장 백은, 전술한 클램핑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클램핑 장치를 포장 백의 개구부 주위에 따라 부착하고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클램핑 장치 부착 포장 백은, 식품, 특히 액체, 반액체의 식품을 밀폐 봉입하는 포장 백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백의 외형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램핑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장 백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장 백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클램핑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클램핑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클램핑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클램핑 장치 부착 포장 백(1)이 도시되어 있다. 이 포장 백(1)은, 평 백 형상의 포장 백으로서 구성되고, 연신 또는 무연신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중앙부에서 접어 백의 바닥부로 하고, 포개진 필름(10)에 소정 피치로 사이드 밀봉부(11)를 형성함으로써 구성되고, 도면중 아래쪽의 바닥부와는 반대측이 개구부(12)가 되는 폴리프로필렌제의 포장 백이다.
그리고, 이 개구부(12)의 주위 부분의 내측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클램핑 장치(20)가 설치되고, 이 클램핑 장치(20)는 사이드 밀봉부(11)와 교차하는 부분(20A)에서 압축되어 있다.
클램핑 장치(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름(10)의 내측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용착되는 한쌍의 암수부재(21, 22)를 구비하고 있다.
수형 부재(21)는 필름 내면에 용착되는 띠형 기부(211)과, 이 띠형 기부(211)로부터 세워 설치되고, 선단이 팽창하는 원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수형부 본체(212)를 구비한 단면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제의 선형상 부재이다.
이 수형 부재(21)의 선단 부분의 원형 중심부분에는, 비결정성 PET로 이루어지는 형상 유지부(21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수형 부재(21)의 연장 방향(도 2에 있어서의 지면 직교 방향)에 따라 연장하고 있다.
암형 부재(22)는 수형 부재(21)와 같이 띠형 기부(221)와, 이 띠형 기부(221)로부터 세워 설치되고,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한쌍의 클램핑 편으로 이루어지는 암형부 본체(222)를 구비한 단면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제의 선형상 부재이다.
이 암형 부재(22)의 띠형 기부(221)의 내부에는, 수형 부재(21)의 경우와 같은 비결정성 PET로 이루어지는 형상 유지부(22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암형 부재(22)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수형 부재(21) 및 암형 부재(22)는 수형부 본체(212)의 팽창 부분을, 암형부 본체(222)의 한 쌍의 클램핑 편의 사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교합되고, 교합함으로써, 포장 백(1)의 개구부(12)를 폐쇄할 수 있다.
클램핑 장치(20)를 제조할 경우에는, 예컨대, 수형 부재(21)이면, 단축 또는 2축의 압출 성형기를 2대 준비하고, 한쪽의 호퍼(hopper)에 비결정성 PET를 주성분으로 하는 펠릿(pellet)을 투입하고, 다른 쪽의 호퍼에 폴리프로필렌을 투입하고, 비결정성 PET를 폴리프로필렌으로 둘러싸는 것과 같은 공압출용의 다이에서 동시에 압출 성형하고, 인취 장치로 압출물을 끌어내리면서, 압출물을 냉각함으로써 제조된다. 암형 부재(22)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포장 백(1)은, 필름(10)을 폭방향 중앙부에서 반으로 꺽으면서, 수형 부재(21), 암형 부재(22)를 필름(10)의 내면측에 용착한 후, 필름(10)의 폭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용착을 행하여 사이드 밀봉부(11)를 형성하고, 또 사이드 밀봉부(11)에 따라 용접 절단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사이드 밀봉부(11)의 히트 시일 온도 및 밀봉 시간은, 교차 부분(20A)에서 비결정성 PET의 형상 유지부(213, 223)를 포함하는 수형 부재(21), 암형 부재(22)가 찌부러질때 까지의 온도, 시간으로서 설정되어, 교차 부분(20A)에 있어서의 공기 누설 등이 없도록 주의한다.
이러한 포장 백(1)을 사용할 경우, 클램핑 장치(20)의 수형 부재(21) 및 암형 부재(22)를 분리한 후, 예컨대, 도 3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수형 부재(21)가 설정된 필름(10)의 개구부(12) 근방을 넓혀서 포장 백(1) 내부에 수납된 내용물을 꺼낸다. 이 때, 수형 부재(21)에는, 형상 유지부(213)가 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확대한 형상이 유지되어, 포장 백(1) 내부에 손 등을 넣어도 포장 백(1)의 내면에 손이 닿는 일이 없이,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
사용 후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형 부재(21)에 암형 부재(22)를 삽입시켜, 클램핑 장치(20)에 의해, 포장 백(1)의 개구부(12)를 봉하여 막은 후, 윗쪽으로부터 꽉 눌러서 평편하게 하는 것에 의해, 밀폐 밀봉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클램핑 장치(20)의 수형 부재(21), 암형 부재(22)가 각각 형상 유지부(213, 223)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개봉시 포장 백(1)의 개구부(12)를 크게 외측으로 넓히면, 그대로 개구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포장 백(1)에 이러한 클램핑 장치(20)를 부착하는 것으로, 내용물을 꺼내기 쉬운 포장 백(1)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암수부재(21, 22)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포장 백(1)을 일단 개봉한 후에도, 밀봉성을 확보해서 포장 백(1)을 다시 밀봉할 수 있다.
또, 형상 유지부(213, 223)가 비결정성 PET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이 형상 유지부(213, 223)을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20)의 재질을 전부 수지제로 할 수 있고, 형상 유지부(213, 223)를 빼서 폐기하는 필요가 없고, 폐기시의 시간을 대폭 저감 할 수 있다.
그리고, 형상 유지부(213, 223)를 비결정성 PET로 구성함으로써, PET의 인성, 소성을 이용하여, 개봉시의 형상 유지성을 확실히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형상 유지부(213, 223)의 재료로 비결정성 PET를 채용한 것에 의해, 비결정성 PET는 결정성 PET보다도 압출 성형온도가 낮기 때문에, 클램핑 장치(20)를 구성하는 PP, PE 등의 열가소성과의 공압출 성형에 즈음해서 압출시의 온도차가 적어지고, 동시 압출에 따른 PP, PE의 눌어붙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형상 유지부(213, 223)를 암수부재(21, 22)의 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 함으로써, 외피 부분은 수형부 본체(212), 암형부 본체(222)의 클램핑에 적절한 PP, PE 등의 수지를 채용해서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고, 형상 유지성은 내부의 형상 유지부(213, 223)에서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수형 부재(21)는 암형 부재(22)와 교합하는 팽창부를 포함하는 수형부 본체(212) 내부에 형상 유지부(213)를 일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형상 유지부(213)가 외부에 노출하기 어렵고, 또한 제조 도 용이하다.
그리고, 이러한 포장 백(1)에 의하면, 형상 유지부(213, 223)에 의해 개봉시의 개구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또 클램핑 장치(20)에 의해 개봉후 다시 밀봉할 수 있으므로, 식품 등, 특히 액체, 반액체의 식품의 포장 백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의 부분 등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한다.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수형 부재(21)의 형상 유지부(213)는 수형부 본체(212)의 내부에 형성되고, 암형 부재(22)의 형상 유지부(223)는 띠형 기부(221) 내부에 형성되고, 이들은, 공압출 성형에 의해 수형 부재(21), 암형 부재(22)의 성형과 동시에 형상 유지부(213, 223)이 일체 형성되도록 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도 5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클램핑 장치(30)는 수형 부재(31)의 띠형 기부(311)에 형상 유지부(313)가 형성되어 있고, 암형 부재(32)의 띠형 기부(321)에 형상 유지부(323)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상위하다.
이러한 수형 부재(31), 암형 부재(32)는,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이, 공압출 성형에 의해 수형 부재(31), 암형 부재(32)의 내부에 형상 유지부(313, 323)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즉, 우선, 비결정성 PET로 이루어지는 형상 유지부(313, 323)를 띠형 기부(311, 321)의 폭 치수에 따른 형상으로 테이프 형상으로 압출 성형한다.
다음에, 수형부 본체(312)를 포함하는 클램핑 선단측의 부분, 암형부 본체(322)를 포함하는 클램핑 선단측 부분을 각각 압출성형하는 동시에, 수형 부재(31), 암형 부재(32)와 같은 PP, PE 등의 재료로 형상 유지부(313, 323)의 기단측의 부분을 테이프 형상으로 압출 성형한다.
완성된 3개의 부재를 접착제, 점착제 등으로 경쟁하게 해서 일체화 한다. 또한, 일체화에 즈음해서는, 접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각 부재를 적층 배치하여, 수형 부재(31), 암형 부재(32)를 둘러싸도록 한 쌍의 평판 대를 수형 부재(31), 암형 부재(32)의 연장 방향으로 배치하고, 기단측 테이프 형상부재의 외측으로부터 히트 시일 바(bar)로 가압하여 라미네이트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형상 유지부(313, 323)를 수형 부재(31)의 수형부 본체(312), 암형 부재(32)의 암형부 본체(322)와 간섭하지 않도록 일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수형부 본체(312), 암형부 본체(322)의 클램핑 형상을 형상 유지부(313, 323)에 의해 제한되는 일없이 설정할 수 있고, 클램핑 형상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한, 형상 유지부(313, 323)를 별체로 형성하고, 후에 라미네이트 등으로 일체화함으로써, 종래의 클램핑 장치의 압출 성형 형을 이용하여 클램핑 장치(30)의 수형부 본체(312), 암형부 본체(322)를 압출 성형하고, 그 후 적층 접착할 수 있으므로, 전용의 압출 성형형 등을 채용하는 필요가 없고, 제조 비용의 저감을 꾀할 수 있는 동시에, 기존의 클램핑 장치에 널리 적용하여, 형상 유지성을 부여 할 수 있다.
또, 수형부 본체(312), 암형부 본체(322)의 내부에 형상 유지부(313, 323)가 일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백 제조시의 사이드 밀봉에 의해, 수형부 본체(312), 암형부 본체(322)를 으깰 때에도, 통상의 온도, 밀봉 시간에서 실행할 수 있고, 생산성을 손상하는 일 없이, 형상 유지성을 구비하는 클램핑 장치(30)를 제조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클램핑 장치(30)는 수형 부재(31)의 띠형 기부(311), 암형 부재(32)의 띠형 기부(321)의 전체에 걸쳐서 형상 유지부(313, 323)가 일체 형성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클램핑 장치(40)를 구성하는 수형 부재(41)는, 띠형 기부(411)의 일부에 형상 유지부(413)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상위하다. 또한, 도시를 생략했지만, 클램핑 장치(40)를 구성하는 암형 부재도 마찬가지로 형상 유지부를 형성 할 수 있다.
이 수형 부재(41)의 형상 유지부(413)는 띠형 기부(411)의 수형부 본체(412)가 설정된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 즉 수형부 본체(412)에 요구되는 클램핑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요성을 필요로 하는 띠형 기부(411)의 부분을 피한 위치에 형상 유지부(4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클램핑 장치(40)는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이, 형상 유지부(413)를 구성하는 비결정성 PET 및 수형 부재(41)를 구성하는 PP, PE 등을 공압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클램핑 장치(40)를 포장 백의 개구부 주위에 부착하는 때는, 형상 유지부(413)가 형성된 부분이 개구부 단 가장자리측에, 수형부 본체(412)가 이 형상 유지부(413) 보다도 내측이 되도록 부착한다.
포장 백 개봉 시에는, 형상 유지부(413)에 의해 개구 상태를 유지해서 내용물을 꺼내고, 폐쇄시는, 가요성이 있는 수형 부재(41),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암형 부재를 변형시켜서 봉하여 막는다.
이러한 제3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형상 유지부(413)가 수형부 본체(41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형 부재(41)와 암형 부재를 교합시킬 때, 형상 유지부(413)의 형상 유지성에 의한 결합 어려움을 피할 수 있고, 클램핑이 용이하고, 또 형상 유지성도 구비한 클램핑 장치(40)로 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클램핑 장치(20, 30, 40)를 구성하는 수형 부재(21, 31, 41)이다. 암형 부재(22, 32)의 일부에 형상 유지부(213, 223, 313, 323, 4l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클램핑 장치(50)는, 수형 부재(51) 및 암형 부재(52)는, 각각 단일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 중, 수형 부재(51)가 비결정성 PET로 구성되어 있고, 암형 부재(52)는 이 수형 부재(51)의 변형 상태에 추종할 수 있는 것과 같은 가요성의 연질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상위하다. 그리고, 수형 부재(51) 자체가 형상 유지부의 역할을 담당한다.
수형 부재(51)는 띠형 기부(511), 수형부 본체(512)를 구비하고, 비결정성 PET를 주 원료로서 단축 압출 성형기 등으로 압출 성형한 것이다.
암형 부재(52)는 띠형 기부(521), 암형부 본체(522)를 구비하고, PP 나 PE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해서 필요에 따라 개질제 등을 배합한 가요성의 연질 열가소성 수지를 원료로서 마찬가지로 압출 성형한 것이다.
이러한 수형 부재(51), 암형 부재(52)를 포장 백을 구성하는 필름(10)에 장착하는 즈음에는, 암형 부재(52)에 대해서는, 종래 대로의 히트 시일에 의해 간단히 부착되지만, 비결정성 PET로 이루어지는 수형 부재(51)는 필름(10)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보다도 용융 온도가 높고, 수형 부재(51)의 용융 온도에서 히트 시일 하면 필름(10)의 눌어붙음을 일으키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필름(10) 및 필름(10)의 사이를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한다.
상술한 것과 같은 제4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수형 부재(51)가 비결정성 PET, 암형 부재(52)가 PP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연질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각을 통상의 클램핑 장치의 압출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클램핑 장치(5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수형 부재(51)를 비결정성 PET로 구성하고, 암형 부재(52)를 연질의 수지로 구성함으로써, 수형 부재(51)의 수형부 본체(512)에 대하여, 암형 부재(52)의 암형부 본체(522)를 밀착해서 교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클램핑 장치(50)의 밀봉성이 손상되는 일도 없다.
[실시 형태의 변형]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각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변형도 포함하는 것이다.
전술한 제 1 ∼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수형 부재(21, 31, 41) 및 암형 부재(22, 32, 42)의 각각에 형상 유지부(213, 223, 313, 323, 413)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클램핑 장치를 구성하는 암수부재의 한쪽에만 형상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형상 유지부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비결정성 PET를 채용하고 있었지만, 형상 유지부의 재료는 비결정성 PET를 주성분으로 한 조성물이면 무방하고, 예를 들면 결정성 PET의 배합을 증가하여 저결정성 PET로서도 무방하다. 또,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압출 성형할 수 있는 한, 결정성PET를 채용해도 무방하고, 요컨대, 주 사슬에 벤젠 고리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에서 형상 유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이면, 각종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클램핑 장치(20)의 단면형상은, 수형부 본체(212)의 선단부분이 원형형상으로 팽창하고, 암형부 본체(222)는 이것을 감싸는 것과 같은 한쌍의 클램핑 편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요컨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클램핑 형상이면 각종의 것에 본 발명을 적용 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구조 등으로서도 무방하다.
[실시예]
실시예 1;
제 1 실시형태의 클램핑 장치(20)를 구성하는 수형 부재(21), 암형 부재(22)에 대해서, 형상 유지부(213, 223)를 구성하는 수지를 비결정성 PET(이스만케미컬 주식회사 PETG6763), 이것을 둘러싸는 수형 부재(21), 암형 부재(22)를 구성하는 수지를 랜덤 폴리프로필렌(RPP:이데미쓰 석유화학 주식회사 F-744NP)로서 공압출 성형을 행하여, 수형 부재(21), 암형 부재(22)를 압출 성형했다. 비결정성 PET 및 RPP에 있어서의 각 압출 성형기의 압출 조건은, 표 1에 표시되는 대로이다.


실린더
직경
(mm)
실린더내 온도(℃) 어댑터
온도
(℃)
다이스
온도
(℃)
스크류
회전수
(rpm)
호퍼측 → 다이스측
C1 C2 C3 C4
비결정성
PET
φ30 195 205 215 235 240 240 20
RPP φ40 180 190 190 200 210 240 20
실시예 2;
형상 유지부(213, 223)를 구성하는 수지를 결정성 PET로 변경하고, 압출 성형 온도를 각 존(zone) 마다 약20℃ 높은 쪽으로 했다.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에서 수형 부재(21), 암형 부재(22)를 압출 성형했다.
실시예 3;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클램핑 장치(30)의 수형 부재(31) 및 암형 부재(32)를 실시예 1과 같은 재질, 압출 조건에서 압출 성형했다.
실시예 4∼6;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형 부재(21) 및 암형 부재(22)에 대해서, 수형 부재(21) 및 암형 부재(22)의 단면의 면적에 대한 형상 유지부(2l3, 223)의 면적비율을 변화시켜서 복수 종류의 수형 부재(21), 암형 부재(22)를 압출 성형했다. 재질, 성형 조건 등은 제 1 실시예와 같다. 실시예4∼실시예6에 있어서의 암수부재(21, 22)에 대한 면적비율을 표 2에 도시한다.
m 당 질량(g/m) 형상 유지부의 면적 비율(%)
실시예 4 5 80
실시예 5 10 50
실시예 6 20 50
비교예 1 ;
실시예 1에 있어서, 형상 유지부(213)를 구성하는 수지를 폴리아미드(Ny6: 우베흥산 주식회사 UBE 나일론1022)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에서 수형부재(21), 암형부재(22)를 압출 성형했다. 나일론의 압출 조건을 표 3에 도시한다.


실린더
직경
(mm)
실린더내 온도(℃) 어댑터
온도
(℃)
다이스
온도
(℃)
스크류
회전수
(rpm)
호퍼측 → 다이스측
C1 C2 C3 C4
Ny6 φ30 220 230 240 240 240 240 20
RPP φ40 180 190 190 200 210 240 20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RPP만으로 수형 부재, 암형 부재를 압출 성형했다. 이 때의 압출 성형 조건을 표 4에 도시한다.


실린더
직경
(mm)
실린더내 온도(℃) 어댑터
온도
(℃)
다이스
온도
(℃)
스크류
회전수
(rpm)
호퍼측 → 다이스측
C1 C2 C3 C4
RPP φ40 160 175 180 180 180 180 30
백 제조방법 ;
실시예 1∼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에서 얻어진 수형 부재, 암형 부재를 각각, 무연신 PP로 이루어지는 필름에 히트 시일 바(bar)로 용착한 후, 도 1을 참조하면, 사이드 밀봉부(11)를 형성하는 동시에, 교차부분(20A)을 시일 바(seal bar)로 압축하고, 2방향 밀봉 평형상의 포장 백(1)을 제조했다. 교차 부분(20A)을 시일 바로 압축할 때의 온도는 150℃로 설정하고, 쇼트(shot)수는 30쇼트/분으로 행하였다.
평가 방법;
(1) 형상 유지성
얻어진 포장 백을 개봉하고, 포장 백의 개구부 대략 중앙부분에서 클램핑 장치에 절목을 행하고, 그것을 넓힌 상태에서 평행하게 남겨두고, 1 분 후의 상태를 관찰해서 형상 유지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는, 포장 백의 개구부를 넓히는 일없이, 한쪽 손으로 용이하게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상태의 것을 0, 양손을 쓰지 않으면 내용물을 꺼낼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것을 ×라고 했다.
(2) 재밀봉성
포장 백 내부에 분말 형상, 덩어리 형상의 고형물을 넣고,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다시 교합시켜서 재밀봉성의 평가를 했다. 평가는, 재 밀봉한 포장 백을 거꾸로 했을 경우, 내용물이 발각되어 떨어지지 않을 경우를 0, 넘치는 경우를 ×라고 했다.
(3) 압축성
포장 백의 사이드 밀봉후의 교차 부분의 외관과, 이 부분의 밀봉 누설에 의해 클램핑 장치의 압축성을 평가했다. 평가는, 교차 부분의 외관이 양호해서 밀봉 누설이 없은 것을 0, 외관불량이지만 밀봉 누설이 없은 것을 △, 외관불량이고 밀봉 누설이 있는 것을 ×라고 했다.
이상의 결과를 표 5에 도시한다.
형상 유지부의 수지종류 암수부재의 수지종류 형상 유지부의 형성방법 압축성 형상
유지성
재 밀봉성
실시예 1 비결정성 PET RPP 공압출
실시예 2 비결정성 PET RPP 공압출
실시예 3 비결정성 PET RPP 공압출
실시예 4 비결정성 PET RPP 공압출
실시예 5 비결정성 PET RPP 공압출
실시예 6 비결정성 PET RPP 공압출
비교예 1 폴리아미드 RPP 공압출 ×
비교예 2 - RPP - ×
평가 결과;
실시예 1∼실시예 6은, 수형 부재 및 암형 부재에 형상 유지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를 넓힌 상태가 유지되어, 개봉시 내용물을 꺼내기 쉬운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6은 외관상 약간 불량이 생각되지만, 밀봉 누설은 생기고 있지 않고, 충분한 압축성을 갖는 것으로 인정된다.
한편, 비교예 1은, 폴리아미드를 형상 유지부로서 채용했으므로, 충분한 형상 유지성을 유지할 수 없고, 내용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부적절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2는 형상 유지부가 없기 때문에, 형상 유지성이 없고, 개구 형상을 유지 가능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서로 교합하는 한쌍의 암수부재를 갖는 클램핑 장치, 및 이 클램핑 장치를 구비한 클램핑 장치 부착 포장 백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식품용 등의 포장 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서로 교합(咬合)하는 한 쌍의 암형·수형 부재를 갖고, 포장 백의 개구부 주연부를 따라 부착되는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수형 부재 및 암형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클램핑 장치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주 사슬에 벤젠 고리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또는 주 사슬에 벤젠 고리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공압출하는 일층으로서, 혹은 다층 구성의 일층으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포장 백에 부착되었을 때에 개구된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는, 상기 수형 부재 및 상기 암형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 및 상기 암형 부재는, 상기 포장 백을 구성하는 필름 내면에 용착되는 용착 기부와, 이 용착 기부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서로 교합되는 클램핑부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형상 유지부는, 상기 수형 부재 및 상기 암형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용착 기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는 상기 용착 기부의 상기 클램핑부 본체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 및 상기 암형 부재 중 어느 한 쪽은 상기 형상 유지부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고,
    다른 한 쪽은, 교합 시에 이것에 추종하여 변형되는 가요성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클램핑 장치.
  7.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클램핑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장치 부착 포장 백.
KR1020057005624A 2002-10-01 2003-10-01 클램핑 장치, 클램핑 장치 부착 포장 백 KR101000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9149 2002-10-01
JP2002289149 2002-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570A KR20050065570A (ko) 2005-06-29
KR101000645B1 true KR101000645B1 (ko) 2010-12-10

Family

ID=3206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624A KR101000645B1 (ko) 2002-10-01 2003-10-01 클램핑 장치, 클램핑 장치 부착 포장 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496079B2 (ko)
KR (1) KR101000645B1 (ko)
CN (1) CN100482545C (ko)
AU (1) AU2003268719A1 (ko)
TW (1) TW200406345A (ko)
WO (1) WO20040310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4018940U1 (de) * 2004-12-07 2006-04-13 Asf Verwaltungs Gmbh Druckverschluß, Druckverschlußband und wiederverschließbarer Beutel
WO2007097570A1 (en) * 2006-02-22 2007-08-30 Sa Ryong Park An improved reclosable zipper strip
JP4872398B2 (ja) * 2006-03-17 2012-02-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咬合具及び咬合具付き包装袋
JP2012111521A (ja) * 2010-11-25 2012-06-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袋
JP6456092B2 (ja) * 2014-10-06 2019-01-23 株式会社細川洋行 包装袋用注出ユニットおよびファスナー付き包装袋
US20230346083A1 (en) * 2022-04-27 2023-11-02 Illinois Tool Works Inc. Zipper assemblies having non-common materi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5849A (ja) * 1997-05-06 1998-11-17 Taniyama Kagaku Kogyo Kk 形状保持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4658A (en) * 1991-07-12 1992-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lf-expanding and reclosable flexible pouch
JPH10258847A (ja) * 1997-03-14 1998-09-29 Takeki Aono 袋口形状の保持可能な収納袋
JP3082616U (ja) * 2000-12-05 2001-12-21 宏道 稲垣 袋本体の開口を閉じるジッパストリップ
JP2003040290A (ja) * 2001-07-30 2003-02-13 Fuji Seal Inc パウチ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5849A (ja) * 1997-05-06 1998-11-17 Taniyama Kagaku Kogyo Kk 形状保持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31042A1 (ja) 2004-04-15
CN1720173A (zh) 2006-01-11
JP4496079B2 (ja) 2010-07-07
JPWO2004031042A1 (ja) 2006-02-02
AU2003268719A1 (en) 2004-04-23
TW200406345A (en) 2004-05-01
KR20050065570A (ko) 2005-06-29
CN100482545C (zh)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9247B2 (en) Interlock tool, bag making use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m
JP4856853B2 (ja) チャックテープ及び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
CN101535141B (zh) 易开封性卡扣带、带有易开封性卡扣带的包装袋及易开封性卡扣带的制造方法
EP2045191B1 (en) Packaging bag with fastener tape
JP5639091B2 (ja) ジッパーテープ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包装袋
WO2010024241A1 (ja) ジッパーテープ及びジッパーテープ付包装袋
KR20070106012A (ko) 맞물림 장치 부착 테이프
JP4841977B2 (ja) 嵌合具および嵌合具付袋体
KR101000645B1 (ko) 클램핑 장치, 클램핑 장치 부착 포장 백
JP4931647B2 (ja) 多層テープ、その製造方法および包装袋
WO2020241777A1 (ja) ジッパーテープ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き容器
JP4503958B2 (ja) 咬合具および包装袋
US7246415B2 (en) Zipper and the packaging therewith
JP2009018052A (ja) 嵌合具及び嵌合具付包装用袋体
EP0597650A1 (en) Snap zipper and bag with the same
JPH10139050A (ja) 咬合具付き袋
CN114401901B (zh) 带、夹链带、具有带的容器以及具有夹链带的容器
JPH0937815A (ja) 咬合具及び咬合具付き包装袋
JPH0752961A (ja) 咬合具及び咬合具付き包装袋
JP2004203444A (ja) 嵌合具及び嵌合具付包装用袋体
JP2007020876A (ja) プラスチックチャックおよびそれを備えた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