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634B1 - 차수층 유닛 및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차수층 유닛 및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634B1
KR100997634B1 KR1020100011785A KR20100011785A KR100997634B1 KR 100997634 B1 KR100997634 B1 KR 100997634B1 KR 1020100011785 A KR1020100011785 A KR 1020100011785A KR 20100011785 A KR20100011785 A KR 20100011785A KR 100997634 B1 KR100997634 B1 KR 100997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order layer
unit
leachat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철
이기완
성창경
김영준
백광호
배준일
신은철
오영인
권태옥
최성화
김귀용
Original Assignee
죽암건설(주)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죽암건설(주),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죽암건설(주)
Priority to KR102010001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매립지에 설치되어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침출수가 지면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수층 유닛 및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차수층 유닛은 지면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심 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가 파손되어 상기 침출수가 지면으로 누수 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부;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어 상기 폐기물의 하중에 의한 상기 돌출부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센서부; 상기 돌출부 보다 낮은 위치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센서부의 감지에 의해 상기 침출수가 지면으로 누수 될 경우 상기 돌출부에 보수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보수물질 공급파이프를 구비함으로써 침출수의 정확한 누수 확인이 가능함과 동시에 지반측에서 발생한 지하수의 유입을 확인할 수 있고, 침출수 및 지하수의 배출이 가능하며, 누수부위에 보수물질을 공급하는 공급부분이 폐기물의 전체 하중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보수물질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고, 폐기물의 하중에 의해 돌출부분의 변위 변화에 따라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의 사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사전대응이 효과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차수층 유닛 및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WATER LEAKAGE PROTECTION UNIT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REOF}
본 발명은 차수층 유닛 및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엠보싱과 같은 돌출부를 구비한 유닛형태로 제작하여 돌출부분의 상태를 파악함에 따라 침출수의 정확한 누수 확인이 가능함과 동시에 지반측에서 발생한 지하수의 유입을 확인할 수 있고, 침출수 및 지하수의 배출이 가능하며, 누수부위에 보수물질을 공급하는 공급부분이 폐기물의 전체 하중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보수물질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고, 폐기물의 하중에 의해 돌출부분의 변위 변화에 따라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의 사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사전대응이 효과적으로 가능하며, 혼합차수층 또는 지반에 일부분이 매립되어 설치된 부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차수층 유닛 및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폐기물 매립지 건설 시 차수의 목적으로 시공한 차수시트의 손상으로 누수에 의해 발생되는 환경오염에 따른 지하수나 상수원에 대한 보호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폐기물 매립지에는 지반 또는 암반 상부에 다짐점토 층, 차수시트 층, 배수 층, 필터 층 등 복수의 적층형 구조로 시공됨에 의해 중간에 게재되는 차수시트 층에서의 누수 발생 시 이를 감지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또한 누수 발생을 감지하더라도 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차수시트 별로 진공상태인 진공챔버 내에 누설감지관을 통해 보수액공급탱크의 보수액을 충전하되, 상기 차수시트에 누설부위가 발생되면 그 누수부위를 통해 진공챔버 내의 보수액이 상기 보수액공급탱크와 차수시트의 압력차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보수액의 벤토나이트가 토립자를 점결시켜 상기 차수시트의 누설부위를 보수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차수시트 별도의 진공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차수시트에 진공챔버를 형성하기 위해 격자형의 이중망시트를 게재하도록 하는데 상기 이중망시트의 구조로 인해 밀실한 보수액의 충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누수가 발생하는 누설부위에 보수액을 공급하는 공급부분이 폐기물의 전체 하중이 가해짐으로 보수액의 충전 시 원활하게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돌출부분의 변위 상태를 파악함에 따라 침출수의 정확한 누수 확인 및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의 사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사전대응이 효과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차수층 유닛 및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폐기물의 전체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보수물질의 공급을 위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차수층 유닛 및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폐기물에서 발생하여 하부 지반측으로 누수되는 침출수 및 혼합차수층과 같은 지반 부위에서 상부측으로 발생하는 지하수 등의 유입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차수층 유닛 및 차수층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혼합차수층에 부분매립 되어 혼합차수층 상부에서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고, 각종 파이프가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음으로서 상부 하중 등에 의해 기기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차수층 유닛 및 차수층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층 유닛은 중심 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혼합차수층에 매립되는 연결부를 포함한 본체;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가 파손되어 상기 침출수가 상부에서 지면으로 누수 되거나, 상기 혼합차수층이 파손되어 지면으로부터 하부에서 상부로 발생하는 지하수의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부; 상기 돌출부 보다 낮은 위치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센서부의 감지에 의해 상기 침출수의 지면누수 또는 상기 지하수의 유입이 발생할 경우 상기 돌출부에 보수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보수물질 공급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센서부는 상기 돌출부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는 전극과, 상기 돌출부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전극과 연결되어 누수발생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전극과 상기 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폐기물의 하중에 의한 상기 돌출부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센서부는 상기 폐기물의 하중에 의해 낮아지는 상기 돌출부의 변위 변화를 감지하는 변위센서이다.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보강부재는 요철(凹凸)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침출수 또는 상기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혼합차수층에 매립된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평단면이 다각형인 평탄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폐기물의 하중을 감지하기 위한 로드셀(Load cell)과 같은 형태의 제 3 센서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의 차수층 유닛은 중심 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혼합차수층에 매립되는 연결부를 포함한 본체;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가 파손되어 상기 침출수가 상부에서 지면으로 누수 되거나, 상기 혼합차수층이 파손되어 지면으로부터 하부에서 발생한 지하수의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부; 상기 돌출부 보다 낮은 위치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센서부의 감지에 의해 상기 침출수의 지면누수 또는 상기 지하수의 유입이 발생할 경우 이를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돌출부에 보수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이중관 형태의 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센서부는 상기 돌출부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는 전극과, 상기 돌출부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전극과 연결되어 누수발생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전극과 상기 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폐기물의 하중에 의한 상기 돌출부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변위센서와 같은 형태의 제 2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요철(凹凸)이 형성된다.
상기 혼합차수층에 매립된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평단면이 다각형인 평탄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폐기물의 하중을 감지하기 위한 로드셀(Load cell)과 같은 형태의 제 3 센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은 중심 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혼합차수층에 매립되는 연결부를 포함한 본체를 혼합차수층의 상부에 설치하는 본체 설치 단계; 상기 연결부를 상기 혼합차수층에 매립하는 부분 매립단계;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상기 연결부가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평탄부재를 설치하는 평탄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설치단계 이후에는 상기 돌출부가 파손되어 상기 침출수가 상부에서 지면으로 누수 되거나, 상기 혼합차수층이 파손되어 지면으로부터 하부에서 발생한 지하수의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부를 설치하는 제 1 센서부 설치단계가 실시되고, 상기 돌출부 보다 낮은 위치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센서부의 감지에 의해 상기 침출수의 지면누수 또는 상기 지하수의 유입이 발생할 경우 상기 돌출부에 보수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보수물질 공급파이프를 설치하는 공급파이프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를 상기 혼합차수층에 매립하는 부분 매립단계 이후에는 상기 돌출부가 파손되어 상기 침출수가 상부에서 지면으로 누수 되거나, 상기 혼합차수층이 파손되어 지면으로부터 하부에서 발생한 지하수의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부를 설치하는 제 1 센서부 설치단계가 실시되고, 상기 돌출부 보다 낮은 위치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센서부의 감지에 의해 상기 침출수의 지면누수 또는 상기 지하수의 유입이 발생할 경우 상기 돌출부에 보수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보수물질 공급파이프를 설치하는 공급파이프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층 유닛 및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은 침출수의 정확한 누수 확인이 가능함과 동시에 지반측에서 발생한 지하수의 유입을 확인할 수 있고, 누출수 및 유입수의 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누수부위에 보수물질을 공급하는 공급부분이 폐기물의 전체 하중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보수물질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며 외부하중에 기한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기물의 하중에 의해 돌출부분의 변위 변화에 따라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의 사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사전대응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매립장 별로 관리를 할 필요가 없이 원격에서 통합적인 누수 및 보수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수층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수층 유닛이 설치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수층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수층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수층 유닛이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수층 유닛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수층 유닛이 설치된 여러 지역을 일괄적으로 통제 하는 통제 시스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수층 유닛의 설치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수층 유닛(1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수층 유닛(100)이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수층 유닛(100)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차수층 유닛(100)은 폐기물이 매립되도록 형성된 공간의 바닥에 다수개의 유닛(100)을 연결시켜 해당 부분이 용기와 같은 형태가 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지반 또는 혼합차수층(5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차수층 유닛(100)은 단위 유닛이 연결되도록 조립되어 특정 유닛에서 누수가 감지될 경우 누수가 감지된 유닛 공간의 지반으로 침출수의 침투 방지를 위한 보수물질을 공급하고, 해당 유닛 각각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누수의 사전대응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지반 또는 혼합차수층(500)이 파손되어 하부에서 발생하는 지하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상부에서 하부로 발생하는 침출수의 누수 및 하부에서 상부로 발생하는 지하수의 유입을 동시에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차수층 유닛(100)은 지반 또는 혼합차수층(5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100)가 있으며, 본체(100)의 중심부분에는 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0)의 주변에는 하향 절곡되어 혼합차수층(500)에 매립되는 연결부(1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0)에는 폐기물의 하중에 의해 돌출부(110)가 파손될 경우 이에 따른 폐기물의 침출수가 지면으로 누수 되거나 지반 또는 혼합차수층(500)이 파괴되어 발생할 수 있는 지하수의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부(130)를 구비한다.
제 1 센서부(130)는 돌출부(110)의 내측 공간(S1)에 설치되는 전극(132)과 전극(132)과 연결되어 누수발생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34)를 포함한다.
전극(132)과 감지센서(134)에는 전원공급부(136)가 연결되어 이들에게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전원공급부(136)에 의해 전극(132)과 감지센서(134)에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어느 유닛(100)의 돌출부(110)가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침출수에 의해 전극(132)과 감지센서(134)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전위차의 발생에 대한 신호, 즉 누수신호가 감지센서(134)로부터 호스트컴퓨터(170)로 전달 될 것이며 이러한 신호에 의해 호스트컴퓨터(170)는 이를 통해 후술하게 될 보수물질을 해당 유닛(100)의 부분으로 공급시켜 누수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돌출부(110)의 상부에는 폐기물의 하중에 의한 돌출부(110)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이를 호스트컴퓨터(170)로 전달시켜 사용자에게 모니터링 하게 하는 제 2 센서부(150)가 설치된다. 제 2 센서부(150)는 돌출부(110)의 변위 변화를 감지하는 변위센서(150)를 사용한다.
이러한 변위센서(150)에 의해 돌출부(110)의 변위가 감지되어 이를 사용자가 인식하게 될 경우 돌출부(110)의 높이가 변화하는 것에 따라 향후 해당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어 사전대응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른 누수의 경우에 있어서도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폐기물이 매립되어 있는 다른 지역에 대해서도 중앙에서 일괄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여러 지역의 매립장들의 상태 또한 전체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혼합차수층(500)의 상부위치인 돌출부(110)의 저면에는 돌출부(110)에 의해 형성된 공간(S1)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부재(400)가 구비된다. 보강부재(400)에는 요철(凹凸)이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10)에는 돌출부(110) 보다 낮은 위치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어 제 1 센서부(130)의 감지에 의해 침출수(W)가 지면으로 누수 될 경우 돌출부(110)에 보수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보수물질 공급파이프(160)가 연결된다.
보수물질 공급파이프(160)는 보수물질이 공급되는 단부가 돌출부(110) 내의 공간(S1)에 위치하게 되며, 돌출부(110)의 외부에 위치한 일정부분은 절곡되어 연결부(112)의 상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연결부(112)의 상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보수물질 공급파이프(160)를 절곡하는 것은 돌출부(110) 외부로 공급파이프(16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폐기물의 하중에 의해 휨 등의 변형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수물질(미도시)은 모르타르를 사용할 수 있는 바,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경우 공급파이프(160) 및 돌출부(110) 내부에서 유동성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공급파이프(160)의 직경 및 돌출부(110) 내부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배합비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보수물질은 다른 재료로 고흡수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흡수성 수지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물에 대한 흡수력이 상이하며 종류에 따라서 자체무게에 10배 ~ 100배 정도의 물을 흡수할 수 있다. 일예로 아크릴 계통의 고흡수성 수지를 사용하면 자체무게의 100배 이상의 물을 흡수하여 겔 상태를 유지하고 외압에 의해서도 물이 잘 배출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흡수성 수지를 보수물질로 사용하면 돌출부(110)를 통해 내부에서 누수 된 물과 반응하여 겔 상태로 누수 된 크랙부분이나 돌출부(110) 내부를 충전하게 되는 것이다.
보수물질 공급파이프(160)의 연결 높이를 돌출부(110)의 높이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하는 것은 폐기물의 하중(F)이 공급파이프(160)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듯 폐기물의 하중(F)이 분산되어 공급파이프(160)에 작용할 경우 휨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작동불능, 즉 신속한 보수물질의 공급되지 않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보수물질 공급파이프(160)의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피복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폐기물에 의한 침출수에 의해 공급파이프(160)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돌출부(110)의 내측공간(S1)에는 돌출부(110)가 파손되어 침출수가 누수 되거나 혼합차수층(500)이 파손되어 지하수가 유입될 경우 침출수 또는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파이프(165)가 구비된다.
배수 파이프(165)는 제 1 센서부(130)에 의해 침출수 또는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이 인식 될 경우 곧바로 보수물질을 주입하기 전에 해당유닛(100)에 존재하는 침출수 또는 지하수를 먼저 외부로 배출한 후 보수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침출수 또는 지하수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보수물질 공급파이프(160)를 통해 보수물질을 공급할 경우 해당 부분을 정확하게 보수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제거한 상태에서 보수물질의 공급이 가능하게 하여 해당부분의 정확한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각각의 차수층 유닛(100)의 연결은 재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하여 설치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본체(112)를 맞대기 방식으로 하여 연결부분을 기밀하게 하는 방법이나 본체(112)의 일부분이 겹쳐지게 하여 기밀하게 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차수층 유닛(100)이 겹쳐지는 연결부(112)의 상부에는 매립된 연결부(112)부분의 높이가 돌출부(11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가 되게 하는 평탄부재(175)가 구비된다.
평탄부재(175)는 폐기물의 하중이 돌출부(110)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폐기물의 하중(F)을 연결부(112) 부분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며, 특히 연결부(112) 부분에 매립된 공급파이프(160) 및 배수파이프(165)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서 하중에 의해 파이프에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돌출부(110)에는 폐기물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로드셀(152, Load cell)과 같은 제 3 센서부가 설치된다. 로드셀(152)을 설치할 경우 돌출부(110)가 파괴되는 하중을 사전에 호스트컴퓨터(170)에 인식시킨 후 실제 폐기물의 하중의 변화에 따라 이를 비교하여 돌출부(110)가 파손되는 것을 사전에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차수층 유닛(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부(112)를 연결할 경우 역사다리꼴의 형태가 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22)를 굴곡진 형태로 제작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층 유닛(100)을 일체로 형성하여 연결부(112)(222) 부분을 프레싱(Pressing)하는 방법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에에 따른 차수층 유닛(100)의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지의 공간에 혼합차수층(500) 등을 형성한 상태에서 차수층 유닛(100)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때, 유닛(100)을 연결하는 연결부(112)는 혼합차수층(500)에 매립한다. 이렇게 연결부(112)가 혼합차수층(500)에 매립됨에 의해 미끌림이 방지되어 견고하게 혼합차수층(500)의 상부에서 차수층 유닛(100)이 조립이 되는 것이다.
이후 연결부(112)의 상부에 평탄부재(175)를 설치한다. 그리고 보수물질 공급파이프(160) 및 배수 파이프(165)를 설치한다. 이와는 반대로 평탄부재(175)의 설치는 먼저 보수물질 공급파이프(160) 및 배수 파이프(165)를 설치한 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설치한 후 폐기물이 매립되면 돌출부(110)에는 하중(F1)이 가해진다. 폐기물의 매립양이 증가함에 따라 하중(F1)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돌출부(110)는 가압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낮아져 변위차가 일어나는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돌출부(110)의 높이가 낮아져 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변위센서(150)에 의해 감지되고, 이는 호스트 컴퓨터(170)로 전달되어 해당부분에 이상 징후가 포착되었음을 사전에 알려주게 된다. 이 부분은 향후 누수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부분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부분을 사전대응이 필요한 부분으로 선정하여 누수가 발생될 경우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변위차가 발생하는 부분은 호스트컴퓨터(170) 뿐만 아니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서버(600a)(700a)(800a)로 전달시켜 메모리 함으로 매립지 전체의 이상부분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서버(600a)(700a)(800a)는 중앙의 통제서버(900)로 해당 매립지의 상태를 전달하여 일괄적인 통제 및 관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10)의 변위가 낮아지는 현상이 지속될 경우 해당 부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손이 발생되어 침출수(W1)가 누수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침출수(W1)에 의해 전극(132)과 감지센서(134)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전위차의 발생에 대한 신호, 즉 누수신호가 감지센서(134)로부터 호스트컴퓨터(170)로 전달 될 것이며 이러한 신호에 의해 호스트컴퓨터(170)는 이를 통해 보수물질을 해당 유닛(100)의 부분으로 공급시켜 누수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110)의 변위 변화를 통해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인식하고, 실제로 해당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신속하게 대응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폐기물에 의한 하중(F1)에 따른 침출수(W1)의 누수뿐만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 또는 혼합차수층(500)이 파손되어 지하수(W2)가 차수층 유닛(100)측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전극(132)과 감지센서(134)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침출수(W1)의 누수 또는 지하수(W2)의 유입에 의한 신호가 전달될 경우 사용자는 배수 파이프(165)에 연결된 펌프(미도시)를 작동시켜 해당 유닛(100)에 존재하는 침출수(W1) 또는 지하수(W2)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침출수(W1) 또는 지하수(W2)의 배출이 완료된 후 보수물질 공급파이프(160)를 통해 보수물질을 해당부분으로 공급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본 발명의 차수층 유닛(100)을 매립장의 측면 즉 경사부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매립장의 측면에는 혼합차수층(500)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차수층 유닛(100)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중구조의 시트 즉 폐기물 등과 접하는 상부차수시트와 지반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하부차수시트를 구성하여 그 사이의 공간부에 엠보싱 형상의 중간판을 게재하여 이러한 이중구조의 시트를 본 발명의 차수층 유닛(100)과 부착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차수층 유닛(100)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돌출부(110)에는 보수물질의 공급과 침출수(W1) 또는 지하수(W2)의 배출이 가능한 형태의 파이프(185)가 설치된다. 파이프(185)는 이중관 형태로 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바깥쪽에 위치한 외측파이프(186) 및 내측에 위치한 내측파이프(187)와 같은 형태를 사용하게 되며, 외측파이프(186)를 통해서는 침출수(W1) 또는 지하수(W2)를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고, 내측파이프(187)를 통해서는 보수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외측파이프(186)와 내측파이프(187)의 길이를 다른 형태로 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수물질이 공급되는 내측파이프(187)를 길게 형성할 경우 외측파이프(186)를 통해서는 침출수(W1) 또는 지하수(W2)를 배출하고, 이와 동시에 보수물질을 내측파이프(187)를 통해 공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매립장(600)(700)(800)을 통괄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해당 매립장(600)(700)(800)에서 특정 차수층 유닛(100)에 손상이 생겨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호스트컴퓨터(170)로 누수신호가 전달되고, 호스트컴퓨터(170)는 이러한 상황을 해당 매립지(600)(700)(800)의 해당 서버(600a)(700a)(800a)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서버(600a)(700a)(800a)는 중앙의 통제서버(900)로 해당 매립지의 상태를 전달하여 일괄적인 통제 및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2 및 도 13을 사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수층 유닛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나의 방법의 실시예로 중심 부분에 돌출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혼합차수층(500)에 매립되는 연결부(112)를 포함한 본체(100)를 혼합차수층(100)의 상부에 설치하는 본체 설치 단계(S100)를 실시한다.
이후 연결부(112)를 혼합차수층(500)에 매립하는 부분 매립단계(S200)를 실시한다.
그리고 연결부(112)의 상부에 연결부(112)의 부분이 돌출부(110)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평탄부재(175)를 설치하는 평탄부재 설치단계(S500)를 실시한다.
본체 설치단계(S100) 이후에는 제 1 센서부(130)를 설치하는 제 1 센서부 설치단계(S200) 및 보수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보수물질 공급파이프(160)를 설치하는 공급파이프 설치단계(S300)를 실시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도13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설치 단계(S1100) 및 부분 매립단계(S1200)를 실시한 후 제 1센서부(130)를 설치하는 제 1 센서부 설치단계(S1300) 및 공급파이프 설치단계(S1400)를 먼저 실시한다. 이후 평탄부재(175)를 설치하는 평탄부재 설치단계(S1500)를 실시하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2 센서부(150) 및 제 3 센서부(152)를 설치하는 단계를 앞서 설명한 도 12 및 도 13을 통하여 실시할 경우 제 1센서부(130)를 설치하는 단계(S200)(S1300) 이후에 설치하게 된다.
100: 차수층 유닛 110: 돌출부
130: 제 1 센서부 132: 전극
134: 김지센서 136: 전원공급부

Claims (14)

  1. 매립된 폐기물로부터 발생하는 침출수가 지면으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차수층 유닛에 있어서,
    중심 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혼합차수층에 매립되는 연결부를 포함한 본체;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가 파손되어 상기 침출수가 상부에서 지면으로 누수 되거나, 상기 혼합차수층이 파손되어 지면으로부터 하부에서 상부로 발생하는 지하수의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부;
    상기 돌출부 보다 낮은 위치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센서부의 감지에 의해 상기 침출수의 지면누수 또는 상기 지하수의 유입이 발생할 경우 상기 돌출부에 보수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보수물질 공급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층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부는 상기 돌출부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는 전극과, 상기 돌출부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전극과 연결되어 누수발생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전극과 상기 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층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폐기물의 하중에 의한 상기 돌출부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층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서부는 상기 폐기물의 하중에 의해 낮아지는 상기 돌출부의 변위 변화를 감지하는 변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층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층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요철(凹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층 유닛.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침출수 또는 상기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층 유닛.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물질 공급파이프와 상기 배수 파이프는 일관이 타관을 감싸는 이중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층 유닛.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차수층에 매립된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는 연결부분이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평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층 유닛.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폐기물의 하중을 감지하기 위한 제 3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층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센서부는 로드셀(Load 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층 유닛.
  13. 매립된 폐기물로부터 발생하는 침출수가 지면으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수층 유닛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심 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혼합차수층에 매립되는 연결부를 포함한 본체를 혼합차수층의 상부에 설치하는 본체 설치 단계;
    상기 연결부를 상기 혼합차수층에 매립하는 부분 매립단계;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상기 연결부가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평탄부재를 설치하는 평탄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설치단계 이후에는 상기 돌출부가 파손되어 상기 침출수가 상부에서 지면으로 누수 되거나, 상기 혼합차수층이 파손되어 지면으로부터 하부에서 발생한 지하수의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부를 설치하는 제 1 센서부 설치단계가 실시되고,
    상기 돌출부 보다 낮은 위치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센서부의 감지에 의해 상기 침출수의 지면누수 또는 상기 지하수의 유입이 발생할 경우 상기 돌출부에 보수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보수물질 공급파이프를 설치하는 공급파이프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
KR1020100011785A 2010-02-09 2010-02-09 차수층 유닛 및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 KR100997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785A KR100997634B1 (ko) 2010-02-09 2010-02-09 차수층 유닛 및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785A KR100997634B1 (ko) 2010-02-09 2010-02-09 차수층 유닛 및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7634B1 true KR100997634B1 (ko) 2010-12-01

Family

ID=4351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785A KR100997634B1 (ko) 2010-02-09 2010-02-09 차수층 유닛 및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0043A (zh) * 2014-06-27 2014-10-22 中国环境科学研究院 防渗层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914A (ja) 1999-03-30 2000-10-10 Masahito Takahashi 埋立最終処分場の区画割りブロック化工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914A (ja) 1999-03-30 2000-10-10 Masahito Takahashi 埋立最終処分場の区画割りブロック化工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0043A (zh) * 2014-06-27 2014-10-22 中国环境科学研究院 防渗层
CN104110043B (zh) * 2014-06-27 2017-09-01 中国环境科学研究院 防渗层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28127A (ja) 流体保持構造
US20200256048A1 (en) Retaining Structure
JP4479575B2 (ja) 防水材の密性検査方法
KR100978383B1 (ko)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쓰레기 매립지용 침출수 누출 및 안전감시 시스템
KR100978103B1 (ko)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KR100997634B1 (ko) 차수층 유닛 및 차수층 유닛 설치방법
KR10108290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1805610B1 (ko) 지하 매설 배수형 유류저장탱크와 그 시공방법, 그리고 기존 지하 매설 유류저장탱크를 배수형 유류저장탱크로 보수하는 시공방법
ITPN950018A1 (it) Sistema di controllo per foglio costituente barriera impermeabilizzante
KR101426251B1 (ko) 지중 매설물 보호 및 피해 예방 시스템
JP2012154052A (ja) 土砂災害感知システム
JP4657517B2 (ja) 廃棄物処分施設における遮水構造とその施工法
JP2017029944A (ja) 汚染拡散防止システムおよび汚染拡散防止方法
KR20080109455A (ko) 파손 감지 및 관로 위치 파악이 용이한 감지관
JP4374273B2 (ja) 貯蔵ピットのライニング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20081165A (ko)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또는 차수층의 손상위치 및누수검지 시스템과 이에 따르는 보수 방법
KR20210048127A (ko)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방법
JP4657522B2 (ja) 廃棄物処分施設における遮水シート及びその施工法
KR200387581Y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KR100463314B1 (ko) 물을 재하 하중으로 이용한 대규모 부지의 연약지반개량공법
KR100736631B1 (ko) 기초바닥 영구배수 구조 및 영구배수 공법
JP2006117255A (ja) 二重殻タンク
JP2005193176A (ja) 遮水壁、遮水壁の遮水状況管理システムおよび遮水壁の遮水状況管理方法
JP2023019583A (ja) 既設構造物の更生システム及び既設構造物の更生方法
JP2001198542A (ja) 遮水シートの補修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