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862B1 -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 - Google Patents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862B1
KR100996862B1 KR1020080102208A KR20080102208A KR100996862B1 KR 100996862 B1 KR100996862 B1 KR 100996862B1 KR 1020080102208 A KR1020080102208 A KR 1020080102208A KR 20080102208 A KR20080102208 A KR 20080102208A KR 100996862 B1 KR100996862 B1 KR 100996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urtain
carriage
duct
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2967A (ko
Inventor
김성신
백경동
김정민
이수진
허정민
전태룡
정승영
조재우
이현
장호철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02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8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9/00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J1/00 - B60J7/00
    • B60J9/04Ai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5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combined with a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철 객차의 출입문이 설치되는 출입구로 공기를 분출하여 개방된 객차의 출입구에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는 전철 객차 내부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철 객차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난방기와 연동되는 에어커튼을 제공함으로써 에어커튼 장치의 구성이 단순해져 전철 객차에 에어커튼을 설치하는 비용이 절감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는 에어송출기, 에어커튼용 덕트, 방향전환수단, 출입구용 센서, 제어장치로 이루어진다. 에어송출기는 전철의 객차 천장 상부공간에 설치되어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에어커튼용 덕트는 에어송출기와 연통가능하게 설치되고, 출구가 객차의 출입구에 위치되어 에어송출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객차의 출입구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한다. 방향전환수단은 에어송출기와 에어커튼용 덕트 사이에 설치되어 에어송출기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객차의 내부공간과 에어커튼용 덕트의 출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유도되도록 한다. 츨입구용 센서는 객차의 출입구 개폐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제어장치는 출입구용 센서로부터 출입구의 개폐정보를 입력받아 방향전환수단을 작동시키되, 출입구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객차의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도되도록 하고,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개방된 출입구에 출구가 형성된 에어커튼용 덕트로 공기가 유도되도록 한다.
전철, 객차, 에어커튼, 덕트, 센서

Description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An aircurtain apparatus for a carriage of electric railway}
본 발명은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철 객차의 기본 구성요소인 냉난방기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분출시키는 에어커튼이 제공되어 구성이 단순해짐에 따라 에어커튼의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심의 교통체증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하에 설치되는 지하철과 같이 대중수송을 위한 전철은 다수개의 객차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전철을 이루는 각각의 객차에는 객차 내부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난방기를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지하를 통과하게 되는 전철의 경우, 공기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먼지 및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염된 지하의 공기가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전철 역에서 전철 객차의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동안 전철 객차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여름철이나 겨울철에는 냉난방이 이루어지는 전철 객차 내부로 상온의 외부 공기가 순간적으로 유입되면서 출입구 주위의 승객에서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이 객차의 출입구 개방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 전철 객차의 출입문이 설치되는 출입구나 전철역의 스크린도어로 공기를 분출하여 개방된 객차의 출입구나 스크린도어에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에어커튼 장치이다. 이와 같은 에어커튼은 건물의 출입구에도 현재 설치되고 있는데, 에어커튼은 압축공기를 분출시켜 공기의 유막을 만들어 내외부가 서로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에어커튼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191077호 "지하철 출입문의 에어커튼 장치", 등록번호 제20-0427932호 "지하철역의 에어커튼 장치",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29046호 "지하철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커튼 형성방법",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03809호 "지하철역의 쾌적한 환경과 안전 및 미관을 위한 차단 방법과 그 장치" 등이 현재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철과 관련된 종래의 에어커튼 장치는 기존의 전철 객차 시스템이나 전철역의 설비와는 독립되어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형태여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구성, 공기를 압축시키기 위한 장치구성, 압축된 공기를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장치구성이 요구됨에 따라, 구성이 복잡해져 에어커튼 장치의 제조비용 및 설비구축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전철 객차의 기본 구성요소인 냉난방기와 연통되도록 객차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냉난방기의 공기를 분출시키게 되는 덕트에 의해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여 구성이 단순해짐에 따라 에어커튼의 설치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철 객차의 출입문이 설치되는 출입구로 공기를 분출하여 개방된 객차의 출입구에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전철의 객차 천장 상부공간에 설치되어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게 되는 에어송출기와; 상기 에어송출기와 연통가능하게 설치되고, 출구가 상기 객차의 출입구에 위치되어 상기 에어송출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객차의 출입구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커튼용 덕트와; 상기 에어송출기와 에어커튼용 덕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송출기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객차의 내부공간과 상기 에어커튼용 덕트의 출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유도되도록 하는 방향전환수단 및; 상기 객차의 출입구 개폐여부를 검출하게 되는 출입구용 센서 및; 상기 출입구용 센서로부터 출입구의 개폐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방향전환수단을 작동시키되, 상기 출입구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객차의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도되도록 하고, 상기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개방된 출입구에 출구가 형성된 에어커튼용 덕트로 공기가 유도되도록 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객차의 천장에 형성되어 상기 객차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송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송출구를 개폐시키게 되는 객차용 개폐구와, 상기 에어송출기와 상기 에어커튼용 덕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커튼용 덕트의 출구와 상기 에어송출기를 연통시키는 상기 에어커튼용 덕트의 통로를 개폐시키게 되는 출입구용 개폐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에서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에어송출기와 연통되어 공기를 공급받고,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송출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배출시키되,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객차의 천장 상부공간에 힌지결합되게 설치되어 정해진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객차의 송출구와 상기 에어커튼용 덕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에서 상기 에어커튼용 덕트는 단면적 비율이 2:1인 서로 분리된 두개의 통로로 이루어져 서로 이격된 두개의 출구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X'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커튼용 덕트는 서로 마주보는 3쌍의 출입구가 양측에 형성된 객차에 적용되어 작은 단면적을 가진 통로의 출구가 객차 중앙에 위치한 출입구에 동시에 연통되도록 객차에 한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에 의하면 전철 객차 내부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냉난방기를 활용하는 단순한 구성의 에어커튼 장치를 제공하여 에어커튼 장치의 전철 객차 설치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따라, 에어커튼 장치가 설치되는 전철 객차의 대중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의 방향전환수단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에 사용되는 에어커튼용 덕트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에어커튼용 덕트가 사용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가 적용된 전철 객차의 평면도이다.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100)는 전철 객차(1)의 출입문(3)이 설치되는 출입구(4)로 공기를 분출하여 개방된 객차(1)의 출입구(4)에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100)는 도 1에서와 같이 에어송출기(10), 에어커튼용 덕트(20), 방향전환수단(30), 출입구용 센서(40), 제어장치(50)로 이루어지는데, 전철 객차(1)의 기본 구성요소인 냉난방기(60)와 객차(1)의 출입구(4)를 연통시키는 에어커튼용 덕트(20)가 설치되어 냉난방기(60)로부터 에어커튼을 형성시키기 위한 공기를 공급받게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에어커튼 장치(100)의 구성이 단순해져 에어커튼의 설치비용이 절감된다.
에어송출기(10)는 전철 객차(1)의 출입구(4)에 에어커튼을 형성시키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전철의 객차(1)의 천장(5) 상측 상부공간(7)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에어송출기(10)는 전철 객차(1)의 내부공간(2)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전철 객차(1)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냉난방기(60) 자체이거나, 냉난방기(60)와 결합되어 냉난방기(6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이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별도의 장치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여기서, 에어송출기(10)는 하부에 배출구(12)가 형성되어 냉난방기(60)로부터 공급되는 정해진 온도의 공기를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에어송출기(10)는 방향전환수단(30)을 통해 에어커튼용 덕트(20)와 객차(1)의 천장(5)에 형성된 송출구(6)와 연통된다.
에어커튼용 덕트(20)는 출구(22)가 객차(1)의 출입구(4)에 위치되는 것으로, 에어송출기(10)와 연통가능하게 설치되어 에어송출기(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객차(1)의 출입구(4)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에어커튼용 덕트(20)의 입구(24)는 에어송출기(10)와 연결되는 방향전환수단(30)에 연통되어 에어송출기(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전달받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장치(100)는 도 4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3쌍의 출입구(4)가 양측에 형성된 객차(1)에 적용되는 것으로, 하나의 객차(1)에 에어송출기(10)와 에어커튼용 덕트(20)가 각각 2개씩 설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용 덕트(20)는 도 5의 (a)와 (b)에서와 같이 내부가 서로 분리된 두개의 통로(26)로 이루어져 서로 이격된 두개의 출구(22)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X'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장치(100)에서 객차(1)의 양측 양끝단부에 위치한 출입구(4)에는 상기와 같은 'X'자 형상의 에어커튼용 덕트(20)의 일측 출구(22a)가 각각 배정되고, 객차(1)의 양측 중앙에 위치한 출입구(4)에는 두개의 에어커튼용 덕트(20)의 타측 출구(22b)가 동시에 배정되게 되는데, 객차(1)에 형성된 각각의 출입구(4)에 동일한 양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용 덕트(20)는 서로 분리된 두개의 통로(26)의 단면적 비율이 2:1이 되도록 하고, 작은 단면적을 가진 통로(26)의 출구(22b)가 객차(1) 중앙에 위치한 출입구(4)에 동시에 연통되도록 한다. 물론 에어커튼용 덕트(20)의 끝단부에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두개의 출구(22a)(22b)의 단면적 비율도 2:1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X'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에어커튼용 덕트(20)는 중앙부에 입구(24a)(24b)가 형성되어 에어송출기(10)와 연통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입구(24a)(24b)의 단면적 비율도 2:1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전환수단(30)은 에어송출기(10), 에어커튼용 덕트(20) 및, 객차(1)의 천장(5)에 형성된 송출구(6) 사이에 설치되어 에어송출기(1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송출구(6)를 통해 객차(1)의 내부공간(2)으로 유도되거나, 에어커튼용 덕트(20)를 통해 객차(1)의 출입구(4)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향전환수단(30)은 에어송출기(10), 에어커튼용 덕트(20)와 분리되어 별도의 독립된 장치구성을 가지는 모듈로 이루어지거나, 에어송출기(10)나 에어커튼용 덕트(20)의 내외부에 고정설치되는 기구요소의 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수단(30)은 도 2와 같이 에어송출기(10)나 에어커튼용 덕트(20)의 내외부에 고정설치되는 기구요소의 집합체로서 객차용 개폐구(32)와, 출입구용 개폐구(34)로 이루어져 있다.
객차용 개폐구(32)는 객차(1)의 천장(5)에 형성되어 객차(1)의 내부공간(2)과 연결되는 송출구(6)에 설치되는 것으로, 송출구(6)를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객차용 개폐구(32)는 객차(1)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냉난방기(60)로부터 공급되는 설정된 온도의 공기를 객차(1)의 내부공간으로 배출할 시 공기의 배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날개편 형태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객차용 개폐구(32)는 송출구(6)에 힌지결합되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정해진 각도로 회전하면서 송출구(6)를 개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출입구용 개폐구(34)는 에어송출기(10)와 에어커튼용 덕트(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에어커튼용 덕트(20)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26)를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에어커튼용 덕트(20)의 통로(26)는 객차(1)의 출입구(4)와 연결되는 에어커튼용 덕트(20)의 출구(22)와 에어송출기(10)와 연통되는 에어커튼용 덕트(20)의 입구(24)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철은 객차(1)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출입구(4)를 형성시키고 있으므로, 각각의 출입구(4)와 연결되 는 에어커튼용 덕트(20)의 출구(22)와 에어커튼용 덕트(20)의 통로(26)는 서로 반대편에 형성된 것과 구분되며 방향성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출입구용 개폐구(34)는 에어송출기(10)와 에이커튼용 덕트(20) 사이 공간에 힌지결합되게 설치되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정해진 각도로 회전하면서 에어커튼용 덕트(20)의 통로(26)를 개폐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개폐구(34)는 통로(26)의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크기를 가지는 날개편 형상으로 이루어져 에어커튼용 덕트(20)의 통로(26)를 개폐시키게 된다.
한편, 방향전환수단(30)은 상기한 구성 이외의 다양한 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수단(30)과 달리 하나의 독립된 모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독립된 모듈로 구성되는 방향전환수단은 에어송출기(10)와 연통되어 공기를 공급받고, 일측에 유출구가 형성되어 에어송출기(1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하되, 객차(1)의 천장(5) 상측 상부공간(7)에 힌지결합되게 설치되어 정해진 각도로 회전하면서 객차(1)의 송출구(6)와 상기 에어커튼용 덕트(2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츨입구용 센서(40)는 객차(1)의 출입구(4) 개폐여부를 검출하게 되는 것으로, 객차(1)의 출입구(4)에 설치되거나 객차(1)의 출입구(4)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장치(50)는 출입구용 센서(40)로부터 출입구(4)의 개폐정보를 입력받아 방향전환수단(30)을 작동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제어장치(50)는 출입구(4)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객차(1)의 내부공간(2)으로 공기가 유도되도록 하고, 출입구(4)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개방된 출입구(4)에 출구(22)가 형성된 에어커튼용 덕트(20)로 공기가 유도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장치(100)에서는 방향전환수단(30)이 정해진 각도로 회전하는 객차용 개폐구(32)와 출입구용 개폐구(34)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어장치(50)는 객차용 개폐구(32)와 출입구용 개폐구(34)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즉, 출입구(4)가 폐쇄되어 객차(1)의 내부공간(2)이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태에서 제어장치(50)는 도 3의 (a)와 같이 출입구용 개폐구(34)가 에어커튼용 덕트(20)의 통로(26)를 폐쇄시키도록 하면서 객차용 개폐구(32)가 일정각 회전하여 송출구(6)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객차(1)의 내부공간(2)으로 공기가 유도되도록 한다.
그리고, 출입구(4)가 개방되어 객차(1)의 내부공간(2)이 외부로부터 개방된 상태에서 제어장치(50)는 도 3의 (b)나 도 3의 (c)에서와 같이 객차용 개폐구(32)가 송출구(6)를 폐쇄시키도록 하면서 출입구용 개폐구(34)가 일정각 회전하여 에어커튼용 덕트(2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객차(1)의 출입구(4)로 공기가 유도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의 방향전환수단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에 사용되는 에어커튼용 덕트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에어커튼용 덕트가 사용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가 적용된 전철 객차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객차 2 : 내부공간
3 : 출입문 4 : 출입구
5 : 천장 6 : 송출구
7 : 상부공간 10 : 에어송출기
12 : 배출구 20 : 에어커튼용 덕트
22, 22a, 22b : 출구 24, 24a, 24b : 입구
26 : 통로 30 : 방향전환수단
32 : 객차용 개폐구 34 : 출입구용 개폐구
40 : 출입구용 센서 50 : 제어장치
60 : 냉난방기 100 : 에어커튼 장치

Claims (4)

  1. 전철 객차의 출입문이 설치되는 출입구로 공기를 분출하여 개방된 객차의 출입구에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전철의 객차 천장 상부공간에 설치되어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게 되는 에어송출기와;
    상기 에어송출기와 연통가능하게 설치되고, 출구가 상기 객차의 출입구에 위치되어 상기 에어송출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객차의 출입구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커튼용 덕트와;
    상기 에어송출기와 에어커튼용 덕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송출기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객차의 내부공간과 상기 에어커튼용 덕트의 출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유도되도록 하는 방향전환수단 및;
    상기 객차의 출입구 개폐여부를 검출하게 되는 출입구용 센서 및;
    상기 출입구용 센서로부터 출입구의 개폐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방향전환수단을 작동시키되, 상기 출입구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객차의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도되도록 하고, 상기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개방된 출입구에 출구가 형성된 에어커튼용 덕트로 공기가 유도되도록 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객차의 천장에 형성되어 상기 객차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송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송출구를 개폐시키게 되는 객차용 개폐구와, 상기 에어송출기와 상기 에어커튼용 덕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커튼용 덕트의 출구와 상기 에어송출기를 연통시키는 상기 에어커튼용 덕트의 통로를 개폐시키게 되는 출입구용 개폐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객차용 개폐구는 상기 송출구에 힌지결합되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정해진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송출구를 개폐시키게 되고,
    상기 출입구용 개폐구는 상기 에어송출기와 상기 에어커튼용 덕트 사이 공간에 힌지결합되게 설치되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정해진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에어커튼용 덕트의 출구와 상기 에어송출기를 연통시키는 상기 에어커튼용 덕트의 통로를 개폐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용 덕트는 단면적 비율이 2:1인 서로 분리된 두개의 통로로 이루어져 서로 이격된 두개의 출구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X'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커튼용 덕트는 서로 마주보는 3쌍의 출입구가 양측에 형성된 객차에 적용되어 작은 단면적을 가진 통로의 출구가 객차 중앙에 위치한 출입구에 동시에 연통되도록 객차에 한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
KR1020080102208A 2008-10-17 2008-10-17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 KR100996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208A KR100996862B1 (ko) 2008-10-17 2008-10-17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208A KR100996862B1 (ko) 2008-10-17 2008-10-17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967A KR20100042967A (ko) 2010-04-27
KR100996862B1 true KR100996862B1 (ko) 2010-11-29

Family

ID=42218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208A KR100996862B1 (ko) 2008-10-17 2008-10-17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8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075B1 (ko) * 2015-12-01 2016-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에어 커튼 장치
KR20170031856A (ko) 2015-09-11 2017-03-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시철도 승강장 스크린 도어 취부형 객실 외기유입 최소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2003645B1 (ko) 2018-07-10 2019-07-25 문명호 철도차량용 객차통로 에어 순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8868A (zh) * 2015-06-15 2015-10-21 张芳 防撞式水泥隔离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4261A (en) 1981-06-11 1982-12-1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Method for sprinkling chemical liquid for field irrigation and method for treating residual liquid
JPH11268642A (ja) 1998-03-20 1999-10-05 Calsonic Corp 鉄道車両用空調装置
KR100527136B1 (ko) 2003-11-18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출입문을 통한 배기 오염물질 유입 차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4261A (en) 1981-06-11 1982-12-1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Method for sprinkling chemical liquid for field irrigation and method for treating residual liquid
JPH11268642A (ja) 1998-03-20 1999-10-05 Calsonic Corp 鉄道車両用空調装置
KR100527136B1 (ko) 2003-11-18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출입문을 통한 배기 오염물질 유입 차단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856A (ko) 2015-09-11 2017-03-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시철도 승강장 스크린 도어 취부형 객실 외기유입 최소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691075B1 (ko) * 2015-12-01 2016-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에어 커튼 장치
KR102003645B1 (ko) 2018-07-10 2019-07-25 문명호 철도차량용 객차통로 에어 순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967A (ko) 201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4533B2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having two-layered air flow
KR100996862B1 (ko) 전철 객차의 에어커튼 장치
EP2238033B1 (en) Boarding bridge with air conditioner facility
WO2018004203A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58077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US3308740A (en) Draft-free air curtain closure
JP2012071680A (ja) 給気装置と排気装置と排気送風機とを備える鉄道車両、および、鉄道車両に備えられる給気装置と排気装置と排気送風機の制御方法
KR20170036887A (ko) 복합형 스크린도어
CZ295258B6 (cs) Zařízení pro tvorbu vzduchové clony ve dveřních otvorech, zejména u vozidel místní hromadné dopravy
KR20070064937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CN109070684B (zh) 车用空调
KR10253656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2106589A (ja) 鉄道車両用空調装置
JPH03164364A (ja) 車両用天井扇装置
KR201800016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744488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JP5814544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253657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28710B1 (ko) 도시철도 승강장 스크린 도어 취부형 객실 외기유입 최소화 장치 및 그 방법
JP5199647B2 (ja) 建築用開閉装置
KR2018000161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143993A (ko)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
EP3403861A1 (en) Door device with an air curtain
JPH035507U (ko)
CN113969551B (zh) 一种站房用可变式装配分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