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949B1 - 화상 처리 장치, 카메라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카메라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949B1
KR100995949B1 KR1020087028523A KR20087028523A KR100995949B1 KR 100995949 B1 KR100995949 B1 KR 100995949B1 KR 1020087028523 A KR1020087028523 A KR 1020087028523A KR 20087028523 A KR20087028523 A KR 20087028523A KR 100995949 B1 KR100995949 B1 KR 100995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hange
moving
picke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9940A (ko
Inventor
다쓰로 오가와
Original Assignee
오프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프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프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9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54Analysis of motion involving subtraction of ima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피사체에 변화가 생길 때는, 그 변화 부분이 확대된 화상을 만들어서, 피사체의 변화의 유무와 변화 부분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일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렌즈(22)에 의해 촬상 수단(221)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을 검출하는 이동 부분 검출 수단(110b); 이동 부분 검출 수단(110b)에 의해 이동이 검출된 이동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110d); 및 이동 영역 화상에 대하여, 촬영 렌즈에 의한 불균일의 보정 처리를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 보정 및 확대된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확대 화상 생성 수단(110e)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카메라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IMAGE PROCESSING DEVICE, CAMERA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카메라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에 결상된 촬영 화상에 대한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4-271902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감시 카메라 장치는, 촬영한 영상을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기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4-271902호 공보(요약서 기재 등을 참조)
감시 카메라 장치를, 예를 들면 야간에 무인 사무실 내를 감시 촬영하는 용도로 사용할 경우, 사무용 책상 등 움직임이 없는 정지물 등, 경시적인 변화를 수반하지 않는 피사체에 대하여 촬영이 계속적으로 행해진다. 이와 같은 무인 사무실 내의 피사체를 감시 촬영한 경우, 촬영된 영상 중에서 특히 필요한 영상은, 감시하고 있는 촬영 범위에 이상이 있을 때, 즉 변화가 있을 때의 영상이다. 예를 들면, 촬영 범위에 인물 등이 침입하거나, 혹은 촬영 범위 내에 있는 조명기가 점등되는 등 피사체에 변화가 있을 때의 영상이다.
그러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기록된 촬영 내용을 모니터 상에 재생하여, 피사체에 변화가 있는 곳 만을 보고자 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기록된 촬영 내용을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보고, 피사체의 변화의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감시하고 있는 범위의 이상, 즉 변화의 유무를 확인하는 작업에 장시간을 요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촬영된 영상이, 광각 촬영 렌즈에 의한 경우에는, 촬영되어 있는 범위가 넓고, 넓은 범위의 영상이 모니터에 표시된다. 그러므로, 피사체의 세부적인 변화를 발견하고 곤란하며, 그 내용도 확인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촬영 화상이 광각 렌즈에 의한 넓은 범위를 촬영한 화상이라 하더라도, 피사체에 변화가 있을 때는, 그 변화 부분이 확대된 영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피사체의 변화의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변화 부분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카메라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광각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을 검출하는 이동 부분 검출 수단과, 이동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이동이 검출된 이동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과, 이동 영역 화상에 대하여, 촬영 렌즈에 의한 불균일의 보정 처리를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 보정 확대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확대 화상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화상 처리 장치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의 화상에 대하여 보정 확대 화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촬영 화상이 광각 렌즈에 의한 넓은 범위를 촬영한 화상이라도 이동 부분의 화상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은, 이동 부분이 복수 있을 때에는 이동 부분마다 이동 영역 화상을 발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 처리 장치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이동 부분에 대하여, 이동 부분의 화상의 내용을 보정 확대 화상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은, 복수의 이동 부분이 소정 거리 내에 있을 때에는 복수의 이동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의 이동 영역 화상으로 발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 처리 장치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이동 부분이 소정 거리 내에 있을 때에는 복수의 이동 부분을 하나의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므로, 동일한 내용의 화상이 별도 장소에 중복되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은, 이동 부분의 이동량이 소정의 이동량을 초과할 때, 이동 영역 화상을 발취하고, 소정의 이동량은 이동 부분의 촬영 화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 처리 장치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피촬영 화상 상의 위치에 따라, 이동 부분의 검출 정밀도를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광각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을 검출하는 변화 부분 검출 수단과, 변화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변화가 검출된 변화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변화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수단과, 변화 영역 화상에 대하여, 촬영 렌즈에 의한 불균일의 보정 처리를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 보정 확대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확대 화상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화상 처리 장치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의 화상에 대한 보정 확대 화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촬영 화상이 광각 렌즈에 의한 넓은 범위를 촬영한 화상이라 하더라도 변화 부분의 화상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수단은, 변화 부분이 복수개 있을 때, 변화 부분마다 변화 영역 화상을 발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 처리 장치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변화 부분에 대하여, 변화 부분의 화상의 내용을 보정 확대 화상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수단은, 복수의 변화 부분이 소정 거리 내에 있을 때, 복수의 변화 부분을 포함한 하나의 변화 영역 화상에 의해 발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 처리 장치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변화 부분이 소정 거리 내에 있을 때, 복수의 변화 부분을 하나의 변화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므로, 동일한 내용의 화상이 별도의 장소에 중복되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광각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을 검출하는 이동 부분 검출 수단과, 이동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이동이 검출된 이동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과,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을 검출하는 변화 부분 검출 수단과, 변화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변화가 검출된 변화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변화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수단과, 이동 영역 화상 또는 변화 영역 화상에 대하여, 촬영 렌즈에 의한 불균일의 보정 처리를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 보정 확대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확대 화상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화상 처리 장치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의 화상에 대하여 보정 확대 화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촬영 화상이 광각 렌즈에 의한 넓은 범위를 촬영한 화상이라 하더라도, 이동 부분의 화상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피사체의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의 화상에 대하여 보정 확대 화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변화 부분의 화상의 내용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화상 처리 장치는, 보정 확대 화상을 기록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 처리 장치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록부에 기록된 보정 확대 화상만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은,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화상 처리 장치는, 보정 확대 화상의 프레임 번호 또는 챕터 번호 중에서 적어도 한쪽을 기록부에 기록한다.
화상 처리 장치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록부에 기록된 프레임 번호 또는 챕터 번호에 의해, 보정 확대 화상만 재생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는, 전술한 화상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카메라 장치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장치에서, 이동 부분 또는 변화 부분에 대하여 보정 확대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 처리 방법은,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광각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을 검출하는 이동 부분 검출 단계와, 이동 부분 검출 단계에 의해 이동이 검출된 이동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이동 영역 화상 발취 단계와, 이동 영역 화상 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촬영 렌즈의 왜곡 수차의 보정 처리를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 보정 확대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확대 화상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화상 처리 방법을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의 화상에 대하여 보정 확대 화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촬영 화상이 광각 렌즈에 의한 넓은 범위를 촬영한 화상이라 하더라도 이동 부분의 화상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 처리 방법은,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광각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을 검출하는 변화 부분 검출 단계와, 변화 부분 검출 단계에 의해 변화가 검출된 변화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변화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변화 영역 화상 발취 단계와, 변화 영역 화상 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촬영 렌즈의 왜곡 수차의 보정 처리를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 보정 확대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확대 화상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화상 처리 방법을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의 화상에 대하여 보정 확대 화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촬영 화상이 광각 렌즈에 의한 넓은 범위를 촬영한 화상이라 하더라도 변화 부분의 화상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 처리 방법은,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광각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을 검출하는 이동 부분 검출 단계와, 이동 부분 검출 단계에 의해 이동이 검출된 이동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이동 영역 화상 발취 단계와,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을 검출하는 변화 부분 검출 단계와, 변화 부분 검출 단계에 의해 변화가 검출된 변화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변화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변화 영역 화상 발취 단계와, 이동 영역 화상 또는 변화 영역 화상에 대하여, 촬영 렌즈에 의한 불균일의 보정 처리를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 보정 확대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확대 화상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화상 처리 방법을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의 화상에 대하여 보정 확대 화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촬영 화상이 광각 렌즈에 의한 넓은 범위를 촬영한 화상이라 하더라도, 이동 부분의 화상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피사체의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의 화상에 대하여 보정 확대 화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변화 부분의 화상의 내용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을 검출하는 이동 부분 검출 수단과, 이동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이동이 검출된 이동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과, 이동 영역 화상에 대하여, 촬영 렌즈에 의한 불균일의 보정 처리를 행하여, 보정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화상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화상 처리 장치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의 화상에 대하여 보정 화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 중에서 이동 부분의 화상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을 검출하는 변화 부분 검출 수단과, 변화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변화가 검출된 변화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변화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수단과, 변화 영역 화상에 대하여, 촬영 렌즈에 의한 불균일의 보정 처리를 행하여, 보정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화상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화상 처리 장치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의 화상에 대하여 보정 화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 중에서 변화 부분의 화상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을 검출하는 이동 부분 검출 수단과, 이동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이동이 검출된 이동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과,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을 검출하는 변화 부분 검출 수단과, 변화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변화가 검출된 변화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변화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수단과, 이동 영역 화상 또는 변화 영역 화상에 대하여, 촬영 렌즈에 의한 불균일의 보정 처리를 행하여, 보정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화상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화상 처리 장치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의 화상에 대하여 보정 화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 중에서 이동 부분의 화상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피사체의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의 화상에 대하여 보정 화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변화 부분의 화상의 내용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사체에 변화가 있을 때, 그 변화 부분이 확대된 영상으로 되므로, 촬영 화상이 광각 렌즈에 의한 넓은 범위를 촬영한 화상이라 하더라도, 피사체의 변화의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변화 부분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카메라부, HDD 및 모니터를 포함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HDD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 화상의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HDD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 화상이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화상 처리되어 모니터에 표시되었을 때의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HDD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 화상의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HDD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 화상이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화상 처리되어 모니터에 표시되었을 때의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HDD 및 모니터를 포함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부호의 설명]
10O: 화상 처리 장치
11Oa: 변화 부분 검출부(변화 부분 검출 수단)
11Ob: 이동 부분 검출부(이동 부분 검출 수단)
11Oc: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변화 영역 화상 발취 수단)
11Od: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
11Oe: 보정·확대 화상 생성부(보정 확대 화상 생성 수단)
221: 촬영 렌즈
230: 촬상 소자(촬상 수단)
300: HDD(기록부)
500: 카메라 장치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 방법에 대해서는, 화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에 맞추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화상 처리 장치(100)는, 카메라부(200)에 의해 촬영된 촬영 화상이 기록된 기록 수단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이하, "HDD"라고 기재함)(300)로부터, 촬영 화상을 읽어들이고, 모니터(150)에 표시할 때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서 카메라부(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카메라부(200)는, 도면의 점선에 의해 도시된 외장 케이싱(210), 광학계(220), 촬상 수단으로서 의 촬상 소자(230) 및 회로 장치(240)를 포함하고 있다. 외장 케이싱(210)은, 예를 들면, 가로 세로 3cm, 높이 1cm인 편평한 직육면체를 이루는 소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광학계(220)는 촬영 렌즈(221) 및 렌즈 경통(222)을 포함하고 있다.
광학계(220)는, 렌즈 경통(222)을 외장 케이싱(210) 내에 수용하고, 촬영 렌즈(221)를 외장 케이싱(210)의 외부에 노출시키고 있다. 촬영 렌즈(221)는 180°의 넓은 화각의 광학 특성을 가지는 이른바 광각 렌즈이다. 이 촬영 렌즈(221)는, 피사체 광의 입사측이 되는 앞면이 통상의 볼록 렌즈 정도로 볼록하게 되어 있고, 평면에 가깝게 되어 있다. 그러나, 렌즈 내부의 유리의 처리에 대해 고려하여, 180°의 화각을 가지면서, 또한 광축 주위의 모든 주위, 즉 360°의 모든 주위에 걸쳐처 촬영 가능하게 되어 있다.
촬영 렌즈(221)의 결상 위치에는 촬상 소자(230)가 설치되어 있다. 촬상 소자(230)로서는, 예를 들면 CMOS가 사용된다. CMOS 대신 CCD 혹은 그 외의 광전 소자를 사용해도 된다.
렌즈 경통(222)에는 핀트 조정 노브(223)가 설치되어 있다. 렌즈 경통(222)은, 핀트 조정 노브(223)를 손가락으로 광축의 주위에 회전시키면, 촬상 소자(230)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핀트 조정 노브(223)에 의해, 촬영 렌즈(221)의 결상 위치가 촬상 소자(230)의 촬상면으로 되도록, 촬영 렌즈(221)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 렌즈(221)에 의한 결상 화상은, 촬상 소자(230)의 촬상면 내에 모두 포함되도록 촬상 소자(230)의 촬상면의 크기, 및 촬영 렌즈(221)와 촬상 소자(230)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촬상 소자(230)의 촬상면에는, 촬영 렌즈(221)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의 화상이 결상된다.
또한, 카메라부(200)는, 마이크(201), 통신 수단으로서의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이 접속하는 USB 접속부(202), 및 오디오나 비디오의 신호를 출력하는 AV 신호 출력부(203)를 포함하고 있다. 마이크(201)는 촬영을 행하는 범위의 장소의 소리를 받아들인다.
도 1에, 카메라부(2OO)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O)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를 나타낸다. 카메라부(200)로 촬영된 촬영 화상은, 회로 장치(240)에서 화상 처리되어 HDD(300)에 기록된다.
촬영 렌즈(221)를 투과한 피사체 광은 촬상 소자(230)의 촬상면에 결상되고, 이 결상 화상에 기초한 화상 신호가 촬상 소자(230)로부터 출력된다. 촬상 소자(230)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는 회로 장치(240)에 입력된다. 이 회로 장치(240)는, 화상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화상 신호 처리부(241), 화상 압축 처리부(242), 제어부(243), 및 이 제어부(243)에 대하여 구비되는 메모리(244)를 포함하고 있다.
촬상 소자(230)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는, 화상 신호 처리부(241)에 입력된다. 이 화상 신호 처리부(241)에서, 촬상 소자(230)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컬러 처리 등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한다.
화상 압축 처리부(242)에서는, 화상 신호 처리부(241)에서 화상 처리가 행해진 화상 신호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고,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줄여진 압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화상 데이터의 압축 처리는,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를 사용하여 행한다.
제어부(243)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구성되며, 카메라부(200)의 동작의 제어를 담당한다. 메모리(244)는, 카메라부(200)의 각 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외에,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워크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다. 화상 신호 처리부(241)나 화상 압축 처리부(242)에서의 처리에서도 이 메모리(244)가 활용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카메라부(200)에 의해 촬영된 촬영 화상은 HDD(300)에 기록된다. 그리고, 이 HDD(300)에 기록된 촬영 화상을, 화상 처리 장치(100)를 통하여 모니터(150)에 표시하여, 카메라부(200)에 의해 촬영된 촬영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화상 처리 장치(10O)의 구성을 설명한다. 화상 처리 장치(10O)는, 제어부(11O), 이 제어부(110)에 대하여 구비되는 메모리(111), 좌표 변환부(120), 및 이 좌표 변환부(120)에 대하여 구비되는 메모리(121)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110)는, 예를 들면, CPU에 의해 구성되며, HDD(300)로부터 읽어들인 촬영 화상을 모니터(150)에 표시시키는 영상 생성 처리를 포함하여 화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의 제어를 담당한다. 제어부(11O)는, 변화 부분 검출 수단으로서의 변화 부분 검출부(11Oa), 이동 부분 검출 수단으로서의 이동 부분 검출부(11Ob),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수단으로서의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Oc),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으로서의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0d), 보정 확대 화상 생성 수단으로서의 보정·확대 화상 생성부(11Oe) 등을 포함하고 있다.
좌표 변환부(120)는, 제어부(110)와 함께, HDD(300)로부터의 촬영 화상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니터(150)에 표시하는 영상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를 행한다. 이 좌표 변환부(120)는, 촬상 소자(230)의 촬상면 상의 촬영 화상을 화상 처리하여 모니터(150)에 표시할 때, 촬상면에서의 촬영 화상의 좌표 위치를 모니터(150)에서의 영상의 좌표 위치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메모리(121)는, 좌표 변환부(120)를 사용하여 화상 처리를 행할 때의 워크 메모리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 처리 장치(10O)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카메라부(200)에 의해, 피사체를, 예를 들면 16 프레임/초, 또는 30 프레임/초 등의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연속적으로 촬영한 촬영 화상의 화상 데이터가 HDD(300)에 기록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화상 처리 장치(100)는, HDD(300)에 기록된 촬영 화상을 재생중에, 촬영 시간이 전후하는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의 내용에 변화가 있을 경우, 촬영 화상 중의 변화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의 화상을 변화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고, 또한 이 변화 영역 화상에 대하여,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확대된 보정 확대 화상을 모니터(150)에 표시한다. 또한, 촬영 화상 중에 이동 부분이 있는 경우, 이 이동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의 화상을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고, 또한 이 이동 영역 화상에 대하여,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확대한 보정 확대 화상을 모니터(150)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부(200)를 야간의 무인 사무실 내에 설치하고 감시 촬영을 행하고, 이 촬영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HDD(300)에 기록한다. 이 경우, 피사체인 야간의 무인 사무실 내는, 본래 움직임이 없는 피사체이다. 그러므로, HDD(300)에 기록된 촬영 화상은, 대부분 피사체의 움직임이 없는, 동일한 촬영 화상이 되어 있다.
그러나, 야간의 어두운 사무실 내에 전등이 점등하여, 피사체의 상태가 변화된 경우, 전등이 점등되기 전의 촬영 화상과 전등이 점등한 후의 촬영 화상은 촬영 화상의 내용이 상이하다. 또는, 무인 사무실 내에 인물이 침입한 경우, 인물이 침입하기 전의 촬영 화상과 침입한 후의 촬영 화상은 촬영 화상의 내용이 상이하고, 또한 침입한 인물이 사무실 내를 걸어 다닐 경우 등에는, 촬영 화상에서 이 인물이 이동 부분으로서 표시되된다.
따라서, HDD(300)에 기록된 촬영 화상을 화상 처리 장치(100)에 의해 재생할 경우, 재생중에 어두운 곳의 사무실 내에 전등이 점등하거나, 또는 무인 사무실 내에 사람이 침입하고 촬영 화상이 재생되는 장면이 되면, 전등 부분이나 인물을 포함하는 영역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확대된 보정 확대 화상이 모니터(150)에 표시되게 된다.
그러므로, 촬영 렌즈(221)의 화각 내의 모든 피사체를 모니터(150)에 표시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이와 같이, 촬영 화상에 변화가 있었을 때, 보정 확대 화상을 모니터(150)에 표시함으로써, 피사체의 변화를 놓치지 않고, 또한 변화 부분에 대응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개요의 동작을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10O)의 상세한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변화 부분 검출부(110a)에서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을 검출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의 검출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전후하는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에서 서로 같은 위치에 있는 화소에 대하여, 휘도 레벨 등의 화상 정보를 비교한다. 그리고, 화상 정보가 상이한 화소가 복수개 있는 경우, 이 복수의 화소 부분의 화상은 변화 부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인 사무실 내에 인물이 침입한 경우, 인물이 침입하기 전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과, 인물이 침입한 후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은, 동일한 위치에 있는 화소에 대하여, 인물이 침입하기 전후로 화소 정보에 차이가 생긴다. 따라서, 인물이 침입한 후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에서 인물이 찍힌 화소 부분의 촬영 화상을 변화 부분으로서 검출한다.
또한, 어두운 사무실 내에 전등이 점등한 경우에도, 전등이 점등(點燈)하기 전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과, 전등이 점등한 후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에서는, 동일한 위치에 있는 화소에 대하여, 전등이 점등되기 전후로 화소 정보에 차이가 생긴다. 따라서, 전등이 점등한 후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에서 점등한 전등이 찍힌 화소 부분의 촬영 화상을 변화 부분으로서 검출한다.
그리고, 복수 화소에 대하여 화소 정보를 비교하는 이유는, 노이즈에 의한 화소의 변화를 촬영 화상의 변화로서 취급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면, 피사체에 변화가 없어도, 노이즈에 의해 하나의 화소에 대해서만 화소 정보가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노이즈에 의한 화소 정보의 변화를 피사체의 변화로서 판단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면, 가로 및 세로 각각 10화소 이상의 화소에 대하여 변화가 있는 경우, 피사체에 변화가 있으므로, 촬영 화상에 변화 부분이 생긴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에, 이동 부분 검출부(11Ob)가 촬영 화상에서 이동 부분을 검출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간적으로 전후하는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을 비교하여, 각 촬영 화상중에, 화상의 형성 위치가 상이하고, 또한 화소 정보의 분포가 근사한 복수의 화소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전후하는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에 이와 같은 복수의 화소가 있으면, 이 복수의 화소는 이동 부분이라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움직임이 없는 배경 내를 인물이 이동하고 있는(걷고 있는) 경우, 시간적으로 전후하는 촬영 프레임의 각 촬영 화상에서, 인물이 찍힌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의 분포는 근사하고 있다. 따라서, 촬영 프레임이 전후하는 각 촬영 화상에서, 화소 정보의 분포가 근사한 복수 화소의 유무를 검출하고, 이 복수 화소의 화소 위치를, 전후하는 촬영 화상에서 비교하여, 상이하다면, 이 복수 화소 부분의 촬영 화상을 이동 부분으로서 검출한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화상 처리 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화상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또한, 도 4는 야간이나 휴일에 본래 무인 사무실 내인 실내(400)를 피사체로서 카메라부(200)로 촬영했을 때의 촬영 화상이며, HDD(300)에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부(200)는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의 (A), …, (B), (C), (D), (E), (F), …과 같은 순서로 차례로 촬영이 행해지고 있다. 도 5는 HDD(300)에 기록되어 있는 도 4의 (A)…(B)(C)(D)(E)(F)…의 촬영 화상을 화상 처리 장치(100)에 의해 화상 처리하여 모니터(150)에 표시했을 때의 영상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는 도 4의 (A)에, 도 5의 (B)는 도 4의 (B)에, 도 5의 (C)는 도 4의 (C)에, 도 5의 (D)는 도 4의 (D)에, 도 5의 (E)는 도 4(E)에, 도 5의 (F)는 도 4(F)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 렌즈(221)는, 180°의 화각을 가지면서, 또한 광축의 모든 주위, 즉 360°의 모든 주위에 걸쳐 촬영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촬영 렌즈(221)에 의한 결상 화상은, 촬상 소자(230)의 촬상면 내에 모두 포함되도록, 촬상 소자(230)의 촬상면의 크기, 및 촬영 렌즈(221)와 촬상 소자(230)가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촬상 소자(230)의 촬상면에는, 도 4의 (A)∼(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렌즈(221)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의 화상이 결상된다.
실내(400)에는 본래 무인 상태에 있다. 그러므로, HDD(300)에는, 실내(400)에 움직이는 물체가 없는 동안에는,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물인 출입구(401a, 401b)를 포함하는 실내(400)의 촬영 화상 M1이, 촬영 시간 동안의 촬영 프레임 수 만큼 기록된다. 각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M1은, 촬영된 시각은 상이하지만, 실내(400), 즉 피사체에 움직이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촬영 화상의 내용은 동일한 촬영 화상이 복수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M1으로서 HDD(300)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입구(401a)로부터 인물(402)이 실내(400)에 침입하려고 할 때는, 촬영 화상 M2가 촬영되어 HDD(300)에 기록된다. 그리고, 이 인물(402)이 실내(400)로 이동하면, 차례로, 도 4의 (C)에 나타낸 촬영 화상 M3, 그리고, 도 4의 (D)에 나타낸 촬영 화상 M4가 촬영되어 HDD(300)에 기록된다. 그리고, 인물(402)이 출입구(401b)로부터 실내(400) 밖으로 나간 후에는, 실내(400)에는 움직이는 것이 없어져서, 도 4의 (E) 및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입구(401a, 401b)를 포함하는 실내(400)의 촬영 화상 M5, M6가 촬영되어 HDD(300)에 기록된다. 촬영 화상 M6는, 촬영 화상 M1과 마찬가지로, 그 후의 촬영 시간 동안의 촬영 프레임 수 만큼 기록된다.
그리고, 촬영 화상 M1, M2, M3, M4, M5 및 M6는, 연속된 촬영 프레임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1초동안 십수개의 프레임 내지 수십 프레임의 촬영이 행해지므로, 연속하는 촬영 프레임 사이에 인물(402)이 이동하는 거리는 근소하다. 그러므로, 연속하는 촬영 프레임 사이에서의 인물(402)의 촬영 화상 상에서의 실제 이동량도 근소하다. 그러나,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물(402)이 이동하고 있는 것을 알기 쉽도록, 촬영 화상 상에서의 이동량을 크게 하여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HDD(300)에 기록된 촬영 화상 M1, M2, M3, M4, M5 및 M6를 재생할 때의 화상 처리에 대하여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HDD(300)에 기록된 촬영 화상을 촬영 시각 순으로 하나의 촬영 프레임씩 읽어들인다(단계 S1). 여기서는, 먼저 촬영 화상 M1이 읽어져서 나간다. 그리고, 이 촬영 화상 M1에 대하여, 이 촬영 화상 M1에 변화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가, 변화 부분 검출부(110a)에서 판단된다(단계 S2). 이 판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른 시각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과 비교하여, 화소 정보가 상이한 화소 집합의 유무에 의해 판단된다. 촬영 화상 M1은 가장 최초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이므로, 비교할 촬영 화상이 없기 때문에 변화 부분은 없다고 판단된다(단계 S2에서 No). 그리고, 촬영 화상 M1의 영상이 모니터(150)에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된다(단계 S3). 이 모니터(150)에 표시되는 도 5의 (A)의 영상은, 촬영 화상 M1의 화상을, 촬영 범위 등의 화상의 형태는 그대로인 상태로 표시된 것이다. 즉, 촬영 렌즈(221)에 의해 촬상 소자(230)에 촬상된 내용이 그대로 표시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촬영 렌즈(221)의 촬영 범위 전체를 표시한 모니터(150)의 영상을 전체 범위 영상으로 부르기로 한다.
이어서, 2번째 촬영 프레임이 읽어들여진다. 이 2번째 촬영 프레임은, 4의 (B)에 나타낸 인물(402)이 아직 실내(400)에 침입하기 전의 촬영 프레임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첫번째 촬영 프레임에서의 촬영 화상 M1과 동일한 피사체 내용의 촬영 화상 M1이 읽어들여진다. 그리고, 2번째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M1에 변화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가, 변화 부분 검출부(110a)에서 판단된다(단계 S2). 즉, 첫번째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M1과 2번째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M1을 비교하여, 화소 정보가 상이한 화소 집합의 유무에 의해 판단한다. 첫번째 및 2번째 촬영 프레임의 피사체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첫번째 및 2번째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M1의 화소의 화소 정보에는 변화가 없다. 따라서, 변화 부분 검출부(110a)에서, 첫번째 및 2번째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M1에는, 변화 부분은 없다고 판단되고(단계 S2에서 No), 첫번째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M1과 마찬가지로 도 5의 (A)에 나타낸 전체 범위 영상이 모니터(150)에 표시된다.
실내(400)에 인물(402)이 침입할 때까지는, 각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M1에 변화가 없기 때문에, 촬영 화상을 읽어들이고(단계 S1), 변화 부분이 있는지 여부의 판단으로 없다고 판단되고(단계 S2에서 No), 그리고, 모니터(150)에는 전체 범위 영상의 표시(단계 S3)가 반복된다. 즉, 모니터(150)에는, 도 5의 (A)에 나타낸 전체 범위 영상의 표시가 계속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인물(402)이 실내(400)에 침입했을 때의 촬영 화상으로서, 도 4의 (B)에 나타낸 촬영 화상 M2가 읽어들여졌을 때(단계 S1), 촬영 화상 M2에 변화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다(단계 S2에서 Yes). 촬영 화상 M2와 이 촬영 화상 M2가 촬영된 촬영 프레임 전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M1을 비교하면, 촬영 화상 M2에는, 촬영 화상 M1에는 촬영되지 않았던 인물(402)이 촬영되어 있다. 이 인물(402)이 찍힌 화소 부분인 인물 화상 부분 M2a에 대하여, 촬영 화상 M2의 화소 정보와 촬영 화상 M1의 화소 정보는 화상에서 부분적으로 상이하다. 즉, 인물 화상 부분 M2a가 촬영 화상 M2의 변화 부분으로서 판단된다(단계 S2에서 Yes).
다음에, 촬영 화상 M2에 이동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4). 촬영 화상 M2에 이동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 화상 M2가 표시되는 촬영 프레임보다 전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인 촬영 화상 M1과 비교하여, 양자에 화소 정보의 분포가 근사한 복수의 화소가 있으면서, 또한 이들 복수 화소의 촬영 화상에서의 형성 위치가 상이한지의 여부로 판단된다. 촬영 화상 M1, M2에 대해서는, 출입구(401a, 401b)에 대해서는, 화소 정보의 분포에 대해서는 근 사한 복수의 화소이지만, 촬영 화상에서의 형성 위치가 상이하지 않으므로, 이동 부분으로서는 판단되지 않는다. 또한, 촬영 화상 M2의 인물 화상 부분 M2a에 대해서는, 이 부분의 화소 정보의 분포에 근사시키는 복수의 화소는 촬영 화상 M1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촬영 화상 M2에는 이동 부분은 없다고 판단된다(단계 S4에서 No).
그리고, 인물 화상 부분 M2a를 포함하는 영역의 화상이, 변화 영역 화상 M2a'로서,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0c)에 의해 발취된다(단계 S5). 여기서는, 촬영 화상 M2의 윤곽의 원주 방향으로 대체로 1/4의 범위에 걸친 화상 영역이 변화 영역 화상 M2a'로서 발취된다.
그리고, 이 발취된 변화 영역 화상 M2a'에 대하여, 보정·확대 화상 생성부(110e)에 의해,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단계 S6),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150)에 변화 영역 화상 M2a'를 불균일 없이 또한 확대된 영상으로서 표시한다(단계 S3). 그리고, 보정·화상 생성부(110e)에서의 왜곡 수차의 보정과 확대 처리는, 변화 영역 화상 M2a'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소 데이터의 보간 처리 등을 행한다. 후술하는 다른 변화 영역 화상 및 이동 영역 화상에 대한 왜곡 수차의 보정과 확대 처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어서, 촬영 화상 M2가 촬영된 촬영 프레임에 이어지는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으로서, 도 4의 (C)에 나타낸 촬영 화상 M3가 읽어들여진다(단계 S1). 촬영 화상 M3를 촬영 화상 M2와 비교하면, 촬영 화상 M2에서는 출입구(401a)의 위치에 있는 인물(402)이, 촬영 화상 M3에서는 출입구(401a)로부터 이격된 실내(400)의 안쪽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출입구(401a)의 위치로부터는 인물(402)이 사라져 있다. 따라서, 이 촬영 화상 M3는, 변화 부분 검출부(110a)에서 변화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다(단계 S2에서 Yes).
그리고, 이동 부분 검출부(110b)에서, 이 촬영 화상 M3에 이동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4). 촬영 화상 M3에 이동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는, 촬영 화상 M3와 이 촬영 화상 M3가 표시되기 전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M2를 비교하여, 양자에 화소 정보의 분포가 근사하는 복수 화소가 있고, 또한 이들 복수 화소의 촬영 화상에서의 형성 위치가 상이한지의 여부로 판단된다.
촬영 화상 M3의 인물(402)이 찍혀 있는 화소 부분인 인물 화상 부분 M3a가, 촬영 화상 M2의 인물 화상 부분 M2a와 화소 정보의 분포가 근사하다고 판단되고, 또한 촬영 화상에서의 형성 위치가 상이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인물 화상 부분 M3a가 이동 부분으로서 판단된다(단계 S4에서 Yes).
그리고, 이 이동 부분으로서 판단된 인물 화상 부분 M3a를 포함하는 영역의 화상이, 이동 영역 화상 M3a'로서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0d)에 의해 발취된다(단계 S7). 여기서는, 촬영 화상 M3의 윤곽의 원주 방향으로 대체로 1/4의 범위에 걸친 화상 영역이 이동 영역 화상 M3a'로서 발취된다. 그리고, 이 이동 영역 화상 M3a'에 대하여, 보정·확대 화상 생성부(110e)에 의해,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고(단계 S6),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150)에 이동 영역 화상 M3a'를 불균일 없이 확대된 영상으로서 표시한다(단계 S3).
더 계속하여, 촬영 화상 M3가 촬영된 촬영 프레임에 이어지는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으로서, 도 4의 (D)에 나타낸 촬영 화상 M4가 읽어들여진다(단계 S1). 촬영 화상 M4를 촬영 화상 M3와 비교하면, 촬영 화상 M3에서는 실내(400)의 안쪽에 있던 인물(402)이, 촬영 화상 M4에서는 출입구(401b)의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실내(400)의 안쪽으로부터는 인물이 사라져 있다. 따라서, 이 촬영 화상 M4는, 변화 부분 검출부(110a)에서, 변화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다(단계 S2에서 Yes).
그리고, 이동 부분 검출부(110b)에서, 이 촬영 화상 M4에 이동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4). 촬영 화상 M4에 이동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는, 촬영 화상 M4와 이 촬영 화상 M4가 표시되기 전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M3를 비교하여, 양자에 화소 정보의 분포가 근사하는 복수의 화소가 있고, 또한 이들 복수 화소의 촬영 화상에서의 형성 위치가 상이한지의 여부로 판단된다.
촬영 화상 M4의 인물(402)이 찍혀 있는 화소 부분인 인물 화상 부분 M4a가, 촬영 화상 M3의 인물 화상 부분 M3a와 화소 정보의 분포가 근사하다고 판단되고, 또한 촬영 화상에서의 형성 위치가 상이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인물 화상 부분 M4a가 이동 부분으로서 판단된다(단계 S4에서 Yes).
그리고, 이 이동 부분으로서 판단된 인물 화상 부분 M4a를 포함하는 영역의 화상이, 이동 영역 화상 M4a'로서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0d)에 의해 발취된다(단계 S7). 여기서는, 촬영 화상 M4의 윤곽의 원주 방향으로 대체로 1/4의 범위에 걸친 화상 영역이 이동 영역 화상 M4a'로서 발취된다. 그리고, 이 이동 영역 화상 M4a'에 대하여, 보정·확대 화상 생성부(110e)에 의해,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단계 S6), 도 5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150)에, 이동 영역 화상 M4a'를 불균일없는 확대된 영상으로서 표시한다(단계 S3).
그리고, 더 계속하여, 촬영 화상 M4가 촬영된 촬영 프레임에 이어지는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으로서, 도 4의 (E)에 나타낸 촬영 화상 M5가 읽어들여진다(단계 S1). 촬영 화상 M5를 촬영 화상 M4와 비교하면, 촬영 화상 M4에서는 출입구(401b)의 위치에 있던 인물(402)이, 촬영 화상 M5에서는 출입구(401b)로부터 나가서 없어져 있다. 그리고, 출입구(401b)의 부분에는 출입구(401b)의 화상만 찍혀 있다. 즉, 촬영 화상 M4에서는 출입구(401b)의 위치에 인물 화상 부분 M4a가 찍혀 있던 것에 비해, 촬영 화상 M5에서는 찍혀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촬영 화상 M5는, 변화 부분 검출부(110a)에서, 변화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다(단계 S2에서 Y es). 즉, 출입구(401b)의 부분에서, 촬영 화상 M5에 변화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다(단계 S2에서 Yes).
그리고, 이동 부분 검출부(110b)에서, 이 촬영 화상 M5에 이동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4). 촬영 화상 M5에 이동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는, 촬영 화상 M5와, 이 촬영 화상 M5가 표시되기 전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M4를 비교하여, 양자에 화소 정보의 분포가 근사하는 복수의 화소가 있고, 또한 이들 복수 화소의 촬영 화상에서의 형성 위치가 상이한지의 여부로 판단된다.
촬영 화상 M4 및 M5에 대해서는, 출입구(401a, 401b)에 대해서는, 화소 정보 의 분포에 대해서는 근사한 복수의 화소이지만, 촬영 화상에서의 형성 위치가 상이하지 않으므로, 이동 부분으로는 판단되지 않는다. 또한, 촬영 화상 M4의 인물 화상 부분 M4a에 대해서는, 이 부분의 화소 정보의 분포에 근사한 복수의 화소는 촬영 화상 M5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촬영 화상 M5에는 이동 부분은 없다고 판단된다(단계 S4에서 No).
그리고, 출입구(401b) 부분 영역의 화상이, 변화 영역 화상 M5a'로서,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0c)에 의해 발취된다(단계 S5). 여기서는, 촬영 화상 M5의 윤곽의 원주 방향으로 대체로 1/4의 범위에 걸친 화상 영역이 변화 영역 화상 M5a'로서 발취된다.
그리고, 이 변화 영역 화상 M5a'에 대하여, 보정·확대 화상 생성부(110e)에 의해,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단계 S6), 도 5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150)에 변화 영역 화상 M5a'를 불균일 없는 확대된 영상으로서 표시한다(단계 S3).
그리고, 더 계속하여, 촬영 화상 M5가 촬영된 촬영 프레임에 이어지는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으로서, 도 4의 (F)에 나타낸 촬영 화상 M6가 읽어들여진다(단계 S1). 촬영 화상 M6와 촬영 화상 M5는, 인물(402)이 실내(400)로부터 나간 후의 촬영 화상이다. 즉, 촬영 화상 M6와 촬영 화상 M5는, 무인으로 움직이는 사물이 없는 실내(400)를 촬영한 촬영 화상이므로, 양자는 동일한 촬영 화상이다. 따라서, 촬영 화상 M6에는 변화 부분은 없다고 판단되고(단계 S2에서 No), 모니터(150)에는 도 5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범위 영상이 표시된다.
실내(400)에 인물(402)이 들어가서, 실내(400)에 다시 변화가 발생할 때까지는, 각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M6에 변화가 없기 때문에, 촬영 화상을 읽어들이고(단계 S1), 변화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으로 없다고 판단되고(단계 S2에서 No), 그리고, 모니터(150)에는 전체 범위 영상이 반복적으로 표시된다(단계 S3). 즉, 모니터(150)에는, 도 5의 (F)에 나타낸 전체 범위 영상이 계속 표시된다.
HDD(300)에 기록된 촬영 화상을 모니터(150)에 재생하고 있는 동안, 촬영 화상에 변화가 없는 경우, 피사체의 전체 범위 영상을 모니터(150)에 표시하고, 피사체에 변화가 생긴 경우, 그 변화된 부분을 발취되고, 발취된 부분에 대하여,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확대한 보정 확대 화상을 모니터(150)에 표시함으로써, 피사체의 변화를 놓치지 않고, 또한, 변화 부분에 대응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 (C)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인물 화상 부분 M3a, M4a)에 맞추어서, 이동 영역 화상(이동 영역 화상 M3a', M4a')으로서 발취되는 범위가 바뀐다. 즉, 피사체에 이동 부분이 있을 때는, 이 이동 부분에 맞추어서,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0d)에 의해 발취되는 이동 영역 화상의 범위가 바뀐다. 그리고, 모니터(150)에서, 피사체의 이동 부분의 영상을,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과 확대 처리가 된 이동 영역 화상의 영상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사체의 이동을 놓치지 않고, 또한 이동 부분에 대응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화 영역 화상 또는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되는 범위에 대해서 는,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촬영 화상의 윤곽의 원주 방향으로 1/4의 범위로 하였으나, 피사체의 내용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한다. 예를 들면, 변화 부분 또는 이동 부분이 작을 때는, 변화 영역 화상 또는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범위를 작게 하여, 모니터(150)에 표시될 때의 확대율이 커지도록 해도 된다. 반대로, 변화 부분 또는 이동 부분의 주위의 상황을 넓게 보고자 할 경우에는, 변화 영역 화상 또는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범위를 넓게 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변화 영역 화상 또는 이동 영역 화상은,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이 된 상태에서, 모니터(150)의 표시 면의 형상(일반적으로는 어스펙트비 4:3의 직사각형)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피사체에 변화 부분 또는 이동 부분이 한 군데일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피사체에 변화 부분 또는 이동 부분이 복수개 생긴 경우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4와 마찬가지로, 무인 사무실 내인 실내(400)를 피사체로 하여 카메라부(200)로 촬영했을 때의 촬영 화상으로서, HDD(300)에 기록되어 있다. 도 4와 다른 점은, 도 4에서는, 실내(400)(피사체)의 변화 부분 및 이동 부분이 한 군데[인물(402)이 한명]인데 비해, 도 6에 나타낸 피사체에서는, 실내(400)(피사체)의 변화 부분 및 이동 부분이 두군데[인물(402)이 두명]인 점에서 상이하다. 즉, 피사체에 변화 부분 또는 이동 부분이 복수개 생긴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도, 도 4와 마찬가지로, 도 6의 (A), …, (B), (C), (D), (E), (F), … 의 순서로 촬영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도 7은 도 5와 마찬가지로, HDD(300) 에 기록되어 있는 도 6의 (A) …(B)(C)(D)(E)(F)…의 촬영 화상을 화상 처리 장치(100)에 의해 화상 처리하여 모니터(150)에 표시했을 때의 영상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A)는 도 6의 (A)에, 도 7의 (B)는 도 6의 (B)에, 도 7의 (C)는 도 6의 (C)에, 도 7의 (D)는 도 6의 (D)에, 도 7의 (E)는 도 6의 (E)에, 도 7의 (F)는 도 6의 (F)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또한, 촬상 소자(230)의 촬상면에는, 도 6의 (A)∼(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렌즈(221)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의 화상이 결상되어 있다.
실내(400)는 본래 무인 상태에 있다. 그러므로, HDD(300)에는 실내(400)에 움직이는 사물이 없는 동안에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물인 출입구(401a, 401b)를 포함하는 실내(400)의 촬영 화상 N1이, 촬영 시간 동안의 촬영 프레임의 수만큼 기록된다. 각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N1은, 촬영한 시각은 상이하지만, 실내(400), 즉 피사체에 움직이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촬영 화상의 내용은 동일한 촬영 화상이 복수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N1으로서 HDD(300)에 기록된다.
그러나,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입구(401a)로부터 인물(402a)이, 또한 출입구(401b)로부터 인물(402b)이, 각각 실내(400)에 침입할려고 할 때, 촬영 화상 N2가 촬영되어 HDD(300)에 기록된다. 그리고, 이 인물(402a, 402b)이, 실내(400)로 이동하면, 차례로, 도 6의 (C)나타낸 촬영 화상 N3, 그리고, 도 6의 (D)에 나타낸 촬영 화상 N4가 촬영되어 HDD(300)에 기록된다. 그리고, 인물(402a, 402b)이 출입구(401b, 401a)로부터 각각 실내(400) 밖으로 나간 후에는, 실내(400) 에는 움직이는 사물이 없어져서, 도 6의 (E) 및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입구(401a, 401b)를 포함하는 실내(400)의 촬영 화상 N5 및 N6가 촬영되어 HDD(300)에 기록된다. 촬영 화상 N6는, 촬영 화상 N1과 마찬가지로, 촬영 시간 동안의 촬영 프레임의 수만큼 기록된다.
그리고, 촬영 화상 N1, N2, N3, N4, N5 및 N6는 연속된 촬영 프레임이다. 또한, 1초 동안 십수 프레임 내지 수십 프레임의 촬영이 행해지므로, 연속하는 촬영 프레임 사이에 인물(402)이 이동하는 거리는 근소하다. 그러므로, 연속하는 촬영 프레임 사이에서의 인물(402)의 촬영 화상 상에서의 실제 이동량도 근소하다. 그러나, 여기서는 설명을 위하여, 인물(402)이 이동하고 있는 것을 알기 쉽게 하도록, 촬영 화상 상에서의 이동량을 크게 하여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HDD(300)에 기록된 촬영 화상 N1, N2, N3, N4, N5 및 N6를 재생할 때의 화상 처리에 대하여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HDD(300)에 기록된 촬영 화상을 촬영 시각 순서로 하나의 촬영 프레임씩 읽어들인다(단계 S1). 여기서는, 먼저, 촬영 화상 N1이 읽어들여지게 된다. 그리고, 이 촬영 화상 N1에 대하여, 이 촬영 화상 N1에 변화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가 변화 부분 검출부(110a)에서 판단된다(단계 S2). 촬영 화상 N1은 첫번째 촬영 프레임이므로, 비교할 촬영 화상이 없기 때문에 변화 부분은 없다고 판단된다(단계 S2에서 No). 그리고, 촬영 화상 N1의 영상이 모니터(150)에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범위 영상으로서 표시된다(단계 S3).
이어서, 2번째 촬영 프레임이 읽어들여진다. 이 2번째 촬영 프레임은, 아직 도 6의 (B)에 나타낸 인물(402a, 402b)이 실내(400)에 침입하기 전의 촬영 프레임으로 한다. 따라서, 첫번째 촬영 프레임에서의 촬영 화상 N1과 동일한 피사체 내용의 촬영 화상 N1이 읽어들여진다. 그리고, 2번째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N1에 변화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가, 변화 부분 검출부(110a)에서 판단된다(단계 S2). 첫번째 및 2번째 촬영 프레임의 피사체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첫번째 및 2번째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N1의 화소의 화소 정보에는 변화가 없다. 따라서, 변화 부분 검출부(110a)에서, 첫번째 및 2번째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N1에는, 변화 부분은 없다고 판단되고(단계 S2에서 No), 첫번째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N1과 마찬가지로 도 7의 (A)에 나타낸 전체 범위 영상이 모니터(150)에 표시된다.
실내(400)에 인물(402a, 402b)이 침입할 때까지는, 각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N1에 변화가 없기 때문에, 촬영 화상을 읽어들이고(단계 S1), 변화 부분이 있는지 여부의 판단으로 없다고 판단되고(단계 S2에서 No), 그리고, 모니터(150)에는 전체 범위 영상이 반복적으로 표시된다(단계 S3). 즉, 모니터(150)에는, 도 7의 (A)에 나타낸 전체 범위 영상이 계속 표시된다.
그리고, 인물(402a, 402b)이 실내(400)에 침입했을 때의 촬영 화상으로서, 도 6의 (B)에 나타낸 촬영 화상 N2가 읽어들여질 때(단계 S1), 촬영 화상 N2에 변화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다(단계 S2에서 Yes). 촬영 화상 N2와, 이 촬영 화상 N2가 촬영된 촬영 프레임의 전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N1을 비교하면, 촬영 화상 N2에는, 촬영 화상 N1에는 촬영되어 있지 않았던 인물(402a, 402b)이 촬영되어 있다. 이 인물(402a, 402b)이 찍혀 있는 화소 부분인 인물 화상 부분 N2a, N2b에 대하여, 촬영 화상 N2의 화소 정보와 촬영 화상 N1의 화소 정보는 화상에서 부분적으로 상이하다. 즉, 인물 화상 부분 N2a와 인물 화상 부분 N2b가, 촬영 화상 N2의 변화 부분으로서 판단된다(단계 S2에서 Yes).
다음에, 촬영 화상 N2에 이동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4). 촬영 화상 N1 및 N2에서는 출입구(401a, 401b)의 화소 정보의 분포에 대해서는 근사한 복수의 화소이지만, 촬영 화상에서의 형성 위치가 상이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 부분으로는 판단되지 않는다. 또한, 촬영 화상 N2의 인물 화상 부분 N2a 및 N2b에 대해서는, 이 부분의 화소 정보의 분포에 근사한 복수의 화소는 촬영 화상 N1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촬영 화상 N2에는 이동 부분은 없다고 판단된다(단계 S4에서 No).
그리고, 단계 S5에서,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0c)에 의해, 변화 영역 화상의 발취 처리가 행해진다.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Oc)는, 변화 부분이 복수개 있고, 이 변화 부분이 소정 거리 내에 없을 때는, 각 변화 부분에 대하여, 각각 변화 영역 화상의 발취를 행한다. 소정 거리는, 예를 들면 변화 부분이, 변화 영역 화상의 발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거리이다. 여기서는, 변화 영역 화상의 발취 범위를 촬영 화상 N2의 윤곽의 원주 방향으로 대체로 1/4의 범위로 한다. 인물 화상 부분 N2a, N2b는, 촬영 화상 N2의 윤곽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인물 화상 부분 N2a, N2b는 변화 영역 화상의 발취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0c)는, 인물 화상 부분 N2a를 포함하는 영역의 화상을 변화 영역 화상 N2a'로서, 또한 인물 화 상 부분 N2b를 포함하는 영역의 화상을 변화 영역 화상 N2b'로서 각각 발취한다(단계 S5). 변화 영역 화상 N2a'와 변화 영역 화상 N2b'는, 각각 촬영 화상 N2의 윤곽의 원주 방향으로 대체로 1/4의 범위에 걸친 화상 영역으로서 발취된다.
그리고, 변화 영역 화상 N2a'와 변화 영역 화상 N2b'에 대하여, 보정·확대 화상 생성부(110e)에 의해,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한다(단계 S6). 그리고,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150)의 상하에, 각각 변화 영역 화상 N2a'와 변화 영역 화상 N2b'를 불균일없이 확대된 영상으로서 표시한다(단계 S3). 도 7의 (B)에서는, 상단이 변화 영역 화상 N2a'에 대응하는 영상이며, 하단이 변화 영역 화상 N2b'에 대응하는 영상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도 6의 (G)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 영역 화상의 발취 범위 내에, 2개의 변화 부분 P, Q가 발생한 경우, 단계 S5에서,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0c)는, 이 2개의 변화 부분 P, Q를 포함하는 영역의 화상을 변화 영역 화상 N2c'로서 발취한다. 그리고, 이 변화 영역 화상 N2c'에 대하여, 보정·확대 화상 생성부(110e)에 의해,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한다(단계 S6). 그리고, 도 7의 (G)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 영역 화상 N2c'를 불균일없이 확대된 영상으로서 표시한다(단계 S3).
이와 같이, 복수의 변화 부분이, 변화 영역 화상의 발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거리 내에 있을 때, 복수의 변화 부분을 하나의 변화 영역 화상에 포함시킴으로써, 변화 영역 화상을 모니터(150) 상에 보정·확대했을 때, 중복된 피사체 부분이 상 이한 영상으로서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화 부분 P와 변화 부분 Q 각각에 대하여, 변화 영역 화상을 발취하고, 도 7의 (B)의 영상과 같이, 각 변화 영역 화상에 대한 보정·확대 영상을 상하에 표시한 경우, 상하의 영상의 넓은 범위에서 동일한 영상이 표시되므로, 영상이 보기 싫게 느낄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부분이 표시됨에도 불구하고, 상하로 나누어져 표시되므로, 각각의 영상이 작아진다. 이에 비해, 도 7의 (G)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변화 부분인 변화 부분 P와 변화 부분 Q를 하나의 변화 영역 화상으로서 보정·확대하여 표시한 경우에는, 확대율이 높은 영상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촬영 화상 N2가 촬영된 촬영 프레임에 이어지는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으로서, 도 6의 (C)에 나타낸 촬영 화상 N3가 읽어들여진다(단계 S1). 촬영 화상 N3를 촬영 화상 N2와 비교하면, 촬영 화상 N2에서는, 인물(402a, 402b)이 각각 출입구(401a, 401b)의 위치에 있었던 것에 비해, 촬영 화상 N3에서는, 인물(402a, 402b)은 각각 출입구(401a, 401b)로부터 이격된 실내(400) 안쪽의 위치로 이동하고 있다. 또한, 출입구(401a, 401b)의 위치로부터는, 각각 인물(402a, 402b)가 사라져 있다. 따라서, 이 촬영 화상 N3는, 변화 부분 검출부(110a)에서, 변화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다(단계 S2에서 Yes).
그리고, 이동 부분 검출부(110b)에서, 이 촬영 화상 N3에 이동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4). 촬영 화상 N3에 이동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는, 촬영 화상 N3와, 이 촬영 화상 N3가 표시되기 전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N2를 비교하여, 양자에 화소 정보의 분포가 근사한 복수의 화소가 있고, 또한 이들 복수의 화소의 촬영 화상에서의 형성 위치가 상이한지의 여부로 판단된다.
촬영 화상 N3의 인물(402a)이 찍혀 있는 화소 부분인 인물 화상 부분 N3a와 촬영 화상 N2의 인물 화상 부분 N2a는, 서로 화소 정보의 분포가 근사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인물(402b)이 찍혀 있는 화소 부분인 인물 화상 부분 N3b와 촬영 화상 N2의 인물 화상 부분 N2b에 대해서도, 서로 화소 정보의 분포가 근사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더하여, 인물 화상 부분 N3a와 인물 화상 부분 N2a의 촬영 화상에서의 형성 위치가 상이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인물 화상 부분 N3b와 인물 화상 부분 N2b의 촬영 화상에서의 형성 위치에 대해서도 상이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인물 화상 부분 N3a, N3b가 이동 부분으로서 판단된다(단계 S4에서 Yes).
그리고, 단계 S7에서,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0d)에 의해, 이동 영역 화상의 발취 처리가 행해진다.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0d)는, 이동 부분이 복수개 있고, 이 이동 부분이 소정 거리 내에 없을 때에는 각 이동 부분에 대하여, 각각 이동 영역 화상의 발취를 행한다. 소정 거리는, 예를 들면 이동 부분이 이동 영역 화상의 발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거리로 한다. 여기서는, 이동 영역 화상의 발취 범위를, 전술한 변화 영역 화상의 발취 범위와 동일하게 하고, 촬영 화상 N3의 윤곽의 원주 방향으로 대체로 1/4의 범위로 한다. 인물 화상 부분 N3a 및 N3b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인물 화상 부분 N3a 및 N3b는 이동 영역 화상의 발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0d)는, 인물 화상 부분 N3a와 인물 화상 부분 N3b를 포함하는 영역의 화상을 이동 영역 화상 N3a'b'로서 발취한다(단계 S7). 이동 영역 화상 N3a'b'는, 촬영 화상 N3의 윤곽의 원주 방향으로 대체로 1/4의 범위에 걸친 화상 영역으로서 발취된다.
그리고, 이 이동 영역 화상 N3a'b'에 대하여, 보정·확대 화상 생성부(110e)에 의해,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단계 S6),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150)에, 이동 영역 화상 N3a'b'를 불균일없이 확대된 영상으로서 표시한다(단계 S3).
이와 같이, 복수의 이동 부분이, 이동 영역 화상의 발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거리 내에 있을 때, 복수의 이동 부분을 하나의 이동 영역 화상에 포함시킴으로써, 이동 영역 화상을 모니터(150) 상에 보정·확대할 때, 중복된 피사체 부분이 상이한 영상으로서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물 화상 부분 N3a와 인물 화상 부분 N3b 각각에 대하여, 이동 영역 화상을 발취하고, 도 7의 (B)의 영상과 같이, 각 이동 영역 화상에 대한 보정·확대 영상을 상하에 표시한 경우, 상하의 영상의 넓은 범위에서 동일한 영상이 표시되므로, 보기 싫은 영상으로 느낄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부분이 표시됨에도 불구하고, 상하로 나누어져 표시되므로, 각각의 영상이 작아진다. 이에 비해,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이동 부분인 인물 화상 부분 N3a와 인물 화상 부분 N3b를 하나의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보정·확대하여 표시한 경우에는, 확대율이 높은 영상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더 계속하여, 촬영 화상 N3가 촬영된 촬영 프레임에 이어지는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으로서, 도 6의 (D)에 나타낸 촬영 화상 N4가 읽어들여진다(단계 S1). 촬영 화상 N4를 촬영 화상 N3와 비교하면, 촬영 화상 N3에서는 실내(400)의 안쪽에 있는 인물(402a, 402b)이, 촬영 화상 N4에서는 각각 출입구(401b)와 출입구(401a)의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실내(400)의 안쪽으로부터는 인물이 사라져 있다. 따라서, 이 촬영 화상 N4는, 변화 부분 검출부(110a)에서, 변화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다(단계 S2에서 Yes).
그리고, 이동 부분 검출부(110b)에서, 이 촬영 화상 N4에 이동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4). 촬영 화상 N4에 이동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는, 촬영 화상 N4와, 이 촬영 화상 N4가 표시되기 전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N3를 비교하여, 양자에 화소 정보의 분포가 근사한 복수의 화소가 있고, 또한 이들 복수의 화소의 촬영 화상에서의 형성 위치가 상이한지의 여부로 판단된다.
촬영 화상 N4의 인물(402a)이 찍혀 있는 화소 부분인 인물 화상 부분 N4a와 촬영 화상 N3의 인물 화상 부분 N3a는, 서로 화소 정보의 분포가 근사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인물(402b)이 찍혀 있는 화소 부분인 인물 화상 부분 N4b와 촬영 화상 N3의 인물 화상 부분 N3b에 대해서도, 서로 화소 정보의 분포가 근사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더하여, 인물 화상 부분 N4a와 인물 화상 부분 N3a의 촬영 화상에서의 형성 위치가 상이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인물 화상 부분 N4b와 인물 화상 부분 N3b의 촬영 화상에서의 형성 위치에 대해서도 상이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인물 화상 부분 N4a 및 N4b가 이동 부분으로서 판단된다(단계 S4에서 Yes).
그리고, 단계 S7에서,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0d)에 의해, 이동 영역 화상의 발취 처리가 행해진다. 이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0d)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부분이 복수개 있고, 이 이동 부분이 소정 거리 내에 없을 때 에는 각 이동 부분에 대하여, 각각 이동 영역 화상의 발취를 행한다. 여기서는, 소정 거리는, 이동 부분이 이동 영역 화상의 발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거리이며, 이동 영역 화상의 발취 범위는, 촬영 화상 N3의 윤곽의 원주 방향으로 대체로 1/4의 범위로 되어 있다. 인물 화상 부분 N4a 및 N4b는, 촬영 화상 N4의 윤곽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인물 화상 부분 N4a 및 N4b는 이동 영역 화상의 발취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0d)는, 인물 화상 부분 N4a를 포함하는 영역의 화상을 이동 영역 화상 N4a'로서, 또한 인물 화상 부분 N4b를 포함하는 영역의 화상을 이동 영역 화상 N4b'로서 각각 발취한다(단계 S7). 이동 영역 화상 N4a'와 이동 영역 화상 N4b'는, 각각 촬영 화상 N4의 윤곽의 원주 방향으로 대체로 1/4의 범위에 걸친 화상 영역으로서 발취된다.
그리고, 이동 영역 화상 N4a'와 이동 영역 화상 N4b'에 대하여, 보정·확대 화상 생성부(110e)에 의해,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한다(단계 S6). 그리고, 도 7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150)의 상하에 각각 이동 영역 화상 N4a'와 이동 영역 화상 N4b'를 불균일없이 확대된 영상으로서 표시한다(단계 S3). 도 7의 (D)에는, 하단이 이동 영역 화상 N4a'에 대응하는 영상이며, 상단이 이동 영역 화상 N4b'에 대응하는 영상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더 계속하여, 촬영 화상 N4가 촬영된 촬영 프레임에 이어지는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으로서, 도 6의 (E)에 나타낸 촬영 화상 N5가 읽어들여진다(단계 S1). 촬영 화상 N5를 촬영 화상 N4와 비교하면, 촬영 화상 N4에서는 출입구(401a, 401b)의 위치에 있던 인물(402b, 402a)이, 촬영 화상 N5에서는 출입구(401a, 401b)로부터 나가서 없어져 있다. 그리고, 출입구(401a, 401b)의 부분에는, 출입구(401a, 401b)의 화상만 찍혀 있다. 즉, 촬영 화상 N4에서는, 출입구(401a, 401b)의 위치에, 각각 인물 화상 부분 N4b, N4a가 찍혀져 있던 것에 비해, 촬영 화상 N5에서는 찍혀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촬영 화상 N5는, 변화 부분 검출부(110a)에서, 변화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다(단계 S2에서 Yes). 즉, 출입구(401a, 401b)의 부분에서, 촬영 화상 N5에 변화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다(단계 S2에서 Yes).
그리고, 이동 부분 검출부(110b)에서, 이 촬영 화상 N5에 이동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4). 촬영 화상 N5에 이동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는, 촬영 화상 N5와, 이 촬영 화상 N5가 표시되기 전의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N4를 비교하여, 양자에 화소 정보의 분포가 근사한 복수의 화소가 있고, 또한 이들 복수의 화소의 촬영 화상에서의 형성 위치가 상이한지의 여부로 판단된다.
촬영 화상 N4 및 N5에 대해서는, 출입구(401a, 401b)에 대해서는, 화소 정보의 분포에 대해서는 근사한 복수의 화소이지만, 촬영 화상에서의 형성 위치가 상이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 부분으로서 판단되지 않는다. 또한, 촬영 화상 N4의 인물 화상 부분 N4a에 대해서는, 이 부분의 화소 정보의 분포에 근사한 복수의 화소는 촬영 화상 N5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촬영 화상 N4의 인물 화상 부분 N4b에 대해서는, 이 부분의 화소 정보의 분포에 근사한 복수의 화소는 촬영 화상 N5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촬영 화상 M5에는 이동 부분은 없다고 판단된다(단계 S4에서 No).
그리고, 출입구(401a와 401b) 부분 영역의 화상이, 각각, 변화 영역 화상 N5a 및 N5b로서,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0c)에 의해 발취된다(단계 S5). 여기서는, 촬영 화상 N5의 대체로 1/4의 범위에 걸친 화상 영역이 변화 영역 화상 N5a 및 5Nb로서 발취된다.
그리고, 변화 영역 화상 N5a와 변화 영역 화상 N5b에 대하여, 보정·확대 화상 생성부(110e)에 의해,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한다(단계 S6). 그리고, 도 7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150)의 상하에 각각 변화 영역 화상 N5a와 변화 영역 화상 N5b를 불균일없이 확대된 영상으로서 표시한다(단계 S3). 도 7의 (E)에서는, 상단이 변화 영역 화상 N5a에 대응하는 영상이며, 하단이 변화 영역 화상 N5b에 대응하는 영상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더 계속하여, 촬영 화상 N5가 촬영된 촬영 프레임에 이어지는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으로서, 도 6의 (F)에 나타낸 촬영 화상 N6가 읽어들여진다(단계 S1). 촬영 화상 N6와 촬영 화상 N5는, 인물(402a, 402b)이 실내(400)로부터 나간 후의 촬영 화상이다. 즉, 촬영 화상 N6와 촬영 화상 N5는, 무인여며 움직이는 사물이 없는 실내(400)를 촬영한 촬영 화상이므로, 양자는 동일한 촬영 화상이다. 따라서, 촬영 화상 N6에는 변화 부분은 없다고 판단되고(단계 S2에서 No), 모니터(150)에는 도 7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범위 영상이 표시된다.
그 후, 실내(400)에 인물(402)이 들어가거나 하여, 실내(400)에 다시 변화가 발생하기까지는, 각 촬영 프레임의 촬영 화상 N6에 변화가 없기 때문에, 촬영 화상을 받아들이고(단계 S1), 변화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으로 없다고 판단되고(단계 S2에서 No), 그리고, 모니터(150)에는 전체 범위 영상이 반복적으로 표시된다(단계 S3). 즉, 모니터(150)에는, 도 7의 (F)에 나타낸 전체 범위 영상이 계속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HDD(300)에 기록된 촬영 화상을 모니터(150)에 재생하고 있는 동안, 촬영 화상에 복수의 변화 부분이나 이동 부분이 발생한 경우, 각각의 부분에 대하여,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확대한 보정 확대 화상을 모니터(150)에 표시한다. 그러므로, 복수의 변화 부분이나 이동 부분에 대하여, 각각 피사체의 변화나 이동을 놓치지 않고, 또한 변화 부분이나 이동 부분에 대응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계 S4에서의 이동 부분 검출부(110b)에서, 이동 부분으로서 판단된 부분이 몇 화소만큼 이동했을 때 이동으로서 판단할지는, 이동 부분을 검출하는 정밀도(감도)를 어느 정도로 할지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한다. 이동했다고 판단하는 화소 수를 적게 하면, 정밀도(감도)는 높아지고, 많이 하면 정밀도(감도)는 낮아진다.
먼 곳의 피사체의 촬영 화상과 근거리의 피사체의 촬영 화상을 비교하면, 하나의 화소에 피사체의 이동량은, 먼 곳의 피사체 쪽이 근거리의 피사체의 이동량보다 크다. 따라서, 먼 곳의 피사체를 촬영할 때는 이동 부분의 검출 정밀도(감도)를 높이고, 근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할 때는 이동 부분의 검출 정밀도(감도)를 낮추 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광각 촬영 렌즈(221)에 의한 촬영 화상은, 화상의 주변부측에 비해 중심부측이, 결상 배율이 높다. 따라서, 화상의 주변부측과 중심부측의 화상의 피사체의 촬영 렌즈(221)로부터의 거리가 같다면, 하나의 화소에 대한 피사체의 이동량은, 중심부측의 피사체가 주변부측의 피사체의 이동량보다 크다. 따라서, 주변부측을 중심부측에 비해, 이동 부분의 검출 정밀도(감도)를 높여도 된다.
그리고, 복수의 변화 부분을 하나의 변화 영역 화상 내에 포함시킬지 여부의 판단의 기준이 되는 변화 부분 사이의 소정 거리는,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변화 부분이, 하나의 변화 영역 화상 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에 의해 판단하였지만 다음과 같이 해도 된다.
예를 들면, 2개의 변화 부분이, 하나의 변화 영역 화상 내에 포함되지만 이 영역의 양측에 대치하여 위치하는 경우, 이들 변화 부분을 하나의 변화 영역 화상 내에 포함시키면, 변화 부분이 대치하고 있는 측과 반대측의 화상을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변화 부분 각각에 대하여, 변화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변화 화상과 그 주변부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동 부분을 하나의 이동 영역 화상 내에 포함할지의 여부의 판단의 기준이 되는 이동 부분간의 소정 거리에 대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이동 부분이, 하나의 이동 영역 화상 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에 의해 판단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개의 이동 부분이 하나의 이동 영역 화상 내에 포함되지만 이 영역의 양측에 대치하여 위치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이동 부분을 하나의 이동 영역 화상 내에 포함시키면, 이동 부분이 대치하고 있는 측과 반대측의 화상을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이동 부분 각각에 대하여,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이동 화상의 주변부의 영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촬영 프레임 레이트를 16 프레임/초, 또는 30 프레임/초 등의 비교적 높은 촬영 프레임 레이트로 하고, 촬영된 화상을 촬영 프레임 순서로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이른바 동영상으로서 재생된다. 이에 비해, 촬영 프레임 레이트를, 예를 들면 1 프레임/분 등과 같이 작게 하여 촬영해도 된다.
이와 같이 촬영 프레임 레이트를 작게하여 촬영하는 경우, 이동 부분을 검출하는 것은 큰 의의가 없게 되고, 변화 부분의 검출이 주된 목적으로 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수상한 사람의 유무를 감시하는 목적으로 하는 경우, 촬영 프레임 레이트를 작게해도 된다. 이동 부분의 검출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화상 처리 장치(100)에서, 이동 부분 검출부(110b) 및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처리부(110d)를 포함하지 않고, 도 8에 나타낸 흐름도에 나타낸 화상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8에 나타낸 흐름도는, 도 3에 나타낸 흐름도 중에서, 이동 부분의 검출과 이동 부분에 대한 발취 처리에 관한 단계 S4 및 단계 S7의 처리를 생략한 것이다. 다른 처리(단계)에 대해서는 도 3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개략적인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촬영 화상을 읽어들이고(단계 S1), 변화 부분이 없으면(단계 S2에서 No), 전체 범위 영상이 모니터(150)에 표시된다(단계 S3). 수상한 물건 등이 놓여지거나 하여, 피사체에 변화 부분이 발생하지 않는 한, 단계 S1 및 단계 S2에서 No, 단계 S3, 그리고 단계 S1의 처리가 반복되고, 모니터(150)에는 전체 범위 영상이 계속 표시된다.
한편, 피사체 내에 수상한 물건 등이 놓여지거나 하여, 피사체에 변화 부분이 발생한 경우(단계 S2에서 Yes)에는, 변화 부분을 포함하는 변화 영역 화상이 발취되고(단계 S5), 이 변화 영역 화상에 대하여,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단계 S6), 모니터(150)에 변화 영역 화상에 대하여 보정 및 확대된 영상을 표시한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변화 영역 화상(예를 들면, 도 4에서의 M2a', M5a', 도 6에서의 N2a', N2b', N5a, N5b), 또는 이동 영역 화상(예를 들면, 도 4에서의 M3a', M4a', 도 6에서의 N3a'b', N4a', N4b')에 대하여, 보정·확대 화상 생성부(110e)에서,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한다(단계 S6).
그러나, 변화 영역 화상 또는 이동 영역 화상에 대하여, 확대 처리는 행하지 않고,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한 보정 화상을 생성하고, 이 보정 화상을 모니터(150)에 표시하도록(단계 S3) 할 수도 있다.
또는, 보정·확대 화상 생성부(11Oe)를, 변화 영역 화상 또는 이동 영역 화상에 대하여,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축소 처리를 행하는 보정 화상 생성부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변화 영역 화상 또는 이동 영역 화상에 대하여, 촬영 렌즈(221)의 왜곡 수차의 보정을 행하고, 또한 축소 처리를 행한 보정 및 축소한 영상을 생성하고, 이것을 모니터(150)에 표시하게 된다(단계 S3).
그리고, 변화 영역 화상 또는 이동 영역 화상이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변화 부분이나 이동 부분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개개의 변화 영역 화상 또는 이동 영역 화상에 대한 보정 화상 또는 보정 축소 화상을 모니터(150)에 배열하여 표시한다.
(변형예)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변화 부분이나 이동 부분을 모니터(150)에 표시하는 대신, 모든 촬영 프레임 중에서, 변화 부분이나 이동 부분을 포함하는 촬영 프레임을 변화 부분 파일 또는 이동 부분 파일로서 별도의 파일로 정리하여, HDD(300)에 기록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변화 부분/이동 부분 파일의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면, 변화 부분이나 이동 부분만 재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화 부분/이동 부분 파일 외에, 전체 범위 영상의 모든 촬영 프레임에 대해서도 HDD(300)에 기록해도 된다.
그리고, 변화 부분이나 이동 부분을 포함하는 촬영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나, 이 프레임을 포함하는 챕터 번호를 기록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프레임 번호 또는 챕터 번호에 기초하여, 변화 부분이나 이동 부분만 재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전술한 각 실시예는, 카메라부(200)에 의해 촬영하고, HDD(300)에 기록된 촬영 화상을 화상 처리 장치(100)로 화상 처리하여 재생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카메라부(200)에 의해 촬영한 촬영 화상을 직접 화상 처리 장치(100)로 처리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100)와 카메라부(200)를 구비하는 카메라 장치(500)로서 구성해도 된다. 화상 처리 장치(100)와 카메라부(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화상 처리 장치(100) 및 카메라부(200)와 동일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장치(500)는, 도 4에 나타낸 촬영 화상이 촬영되었을 때, 도 5에 나타낸 영상이 모니터(150)에 표시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촬영 화상이 촬영되었을 때, 도 7에 나타낸 영상이 모니터(150)에 표시된다. 따라서, 모니터(150)에 의해 실시간으로 피사체를 감시하는 경우, 피사체의 변화를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고, 또한 변화 부분을 포함하는 변화 영역 화상이나 이동 부분을 포함하는 이동 영역 화상이 확대되어 표시되므로, 변화 부분과 이동 부분의 정확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10O)에서 처리되어 출력되는 변화 영역 화상이나 이동 영역 화상의 보정 확대 화상만을 HDD(300) 등의 기록 수단에 기록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변화 영역 화상이나 이동 영역 화상의 보정 확대 화상만을 재생하 여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화상 처리 장치(10O) 및 카메라 장치(5O0)를, 사무실 내의 감시에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일반 주택의 옥내외의 감시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그 외 야생 동물의 생태 관찰을 행할 때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HDD(300)와 화상 처리 장치(100)를 USB 케이블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해도 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500)는, 카메라부(200)와 화상 처리 장치(100)를 카메라부(200)의 USB 접속부(202)에 접속되는 USB 케이블(도시하지 않음)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해도 된다.

Claims (17)

  1.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광각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을 검출하는 이동 부분 검출 수단;
    상기 이동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이동이 검출된 상기 이동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 및
    상기 이동 영역 화상에 대하여, 상기 촬영 렌즈에 의한 불균일의 보정 처리를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 보정 및 확대된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확대 화상 생성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은, 상기 이동 부분이 복수개 있을 때에는 상기 이동 부분마다 상기 이동 영역 화상을 발취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은, 복수의 상기 이동 부분이 소정 거리 내에 있을 때에는 상기 복수의 이동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의 이동 영역 화상으로 발취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은, 상기 이동 부분의 이동량이 소정의 이동량을 초과할 때, 이동 영역 화상을 발취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량은, 상기 이동 부분의 촬영 화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되는, 화상 처리 장치.
  5.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광각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을 검출하는 변화 부분 검출 수단;
    상기 변화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변화가 검출된 상기 변화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변화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수단; 및
    상기 변화 영역 화상에 대하여, 상기 촬영 렌즈에 의한 불균일의 보정 처리를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 보정 및 확대된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확대 화상 생성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수단은, 상기 변화 부분이 복수개 있을 때에는 상기 변화 부분마다 상기 변화 영역 화상을 발취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수단은, 복수의 상기 변화 부분이 소정 거리 내에 있을 때에는 상기 복수의 변화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의 변화 영역 화상으로 발취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광각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을 검출하는 이동 부분 검출 수단;
    상기 이동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이동이 검출된 상기 이동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
    상기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을 검출하는 변화 부분 검출 수단;
    상기 변화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변화가 검출된 상기 변화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변화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수단; 및
    상기 이동 영역 화상 또는 상기 변화 영역 화상에 대하여, 상기 촬영 렌즈에 의한 불균일의 보정 처리를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 보정 및 확대된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확대 화상 생성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은, 상기 이동 부분이 복수개 있을 때에는 상기 이동 부분마다 상기 이동 영역 화상을 발취하고,
    상기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수단은, 상기 변화 부분이 복수개 있을 때에는 상기 변화 부분마다 상기 변화 영역 화상을 발취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1항, 제5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보정 확대 화상을 기록부에 기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제1항, 제5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보정 확대 화상의 프레임 번호 또는 챕터 번호 중에서 적어도 한쪽을 기록부에 기록하는, 화상 처리 장치.
  11. 제1항, 제5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12.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광각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을 검출하는 이동 부분 검출 단계;
    상기 이동 부분 검출 단계에 의해 이동이 검출된 상기 이동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이동 영역 화상 발취 단계; 및
    상기 이동 영역 화상 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상기 촬영 렌즈의 왜곡 수차의 보정 처리를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 보정 및 확대된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확대 화상 생성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영역 화상 발취 단계에서, 상기 이동 부분이 복수개 있을 때에는 상기 이동 부분마다 상기 이동 영역 화상을 발취하는,
    화상 처리 방법.
  13.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광각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을 검출하는 변화 부분 검출 단계;
    상기 변화 부분 검출 단계에 의해 변화가 검출된 상기 변화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변화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변화 영역 화상 발취 단계; 및
    상기 변화 영역 화상 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상기 촬영 렌즈의 왜곡 수차의 보정 처리를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 보정 및 확대된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확대 화상 생성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변화 영역 화상 발취 단계에서, 상기 변화 부분이 복수개 있을 때에는 상기 변화 부분마다 상기 변화 영역 화상을 발취하는,
    화상 처리 방법.
  14.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광각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을 검출하는 이동 부분 검출 단계;
    상기 이동 부분 검출 단계에 의해 이동이 검출된 상기 이동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이동 영역 화상 발취 단계;
    상기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을 검출하는 변화 부분 검출 단계;
    상기 변화 부분 검출 단계에 의해 변화가 검출된 상기 변화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변화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변화 영역 화상 발취 단계; 및
    상기 이동 영역 화상 또는 상기 변화 영역 화상에 대하여, 상기 촬영 렌즈에 의한 불균일의 보정 처리를 행하고 또한 확대 처리를 행하여, 보정 및 확대된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확대 화상 생성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영역 화상 발취 단계에서, 상기 이동 부분이 복수개 있을 때에는 상기 이동 부분마다 상기 이동 영역 화상을 발취하고,
    상기 변화 영역 화상 발취 단계에서, 상기 변화 부분이 복수개 있을 때에는 상기 변화 부분마다 상기 변화 영역 화상을 발취하는,
    화상 처리 방법.
  15.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을 검출하는 이동 부분 검출 수단;
    상기 이동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이동이 검출된 상기 이동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 및
    상기 이동 영역 화상에 대하여, 상기 촬영 렌즈에 의한 불균일의 보정 처리를 행하여, 보정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화상 생성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은, 상기 이동 부분이 복수개 있을 때에는 상기 이동 부분마다 상기 이동 영역 화상을 발취하는,
    화상 처리 장치.
  16.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을 검출하는 변화 부분 검출 수단;
    상기 변화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변화가 검출된 상기 변화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변화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수단; 및
    상기 변화 영역 화상에 대하여, 상기 촬영 렌즈에 의한 불균일의 보정 처리를 행하여, 보정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화상 생성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수단은, 상기 변화 부분이 복수개 있을 때에는 상기 변화 부분마다 상기 변화 영역 화상을 발취하는,
    화상 처리 장치.
  17. 연속적으로 촬영된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렌즈에 의해 촬상 수단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이동 부분을 검출하는 이동 부분 검출 수단;
    상기 이동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이동이 검출된 상기 이동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이동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
    상기 피사체의 변화에 의한 촬영 화상의 변화 부분을 검출하는 변화 부분 검출 수단;
    상기 변화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변화가 검출된 상기 변화 부분의 촬영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변화 영역 화상으로서 발취하는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수단; 및
    상기 이동 영역 화상 또는 상기 변화 영역 화상에 대하여, 상기 촬영 렌즈에 의한 불균일의 보정 처리를 행하여, 보정 화상을 생성하는 보정 화상 생성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영역 화상 발취 수단은, 상기 이동 부분이 복수개 있을 때에는 상기 이동 부분마다 상기 이동 영역 화상을 발취하고,
    상기 변화 영역 화상 발취 수단은, 상기 변화 부분이 복수개 있을 때에는 상기 변화 부분마다 상기 변화 영역 화상을 발취하는,
    화상 처리 장치.
KR1020087028523A 2006-05-16 2007-05-14 화상 처리 장치, 카메라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KR100995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36146 2006-05-16
JP2006136146A JP2007311860A (ja) 2006-05-16 2006-05-16 画像処理装置、カメラ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940A KR20080109940A (ko) 2008-12-17
KR100995949B1 true KR100995949B1 (ko) 2010-11-22

Family

ID=3869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523A KR100995949B1 (ko) 2006-05-16 2007-05-14 화상 처리 장치, 카메라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39120B2 (ko)
EP (1) EP2034734A4 (ko)
JP (1) JP2007311860A (ko)
KR (1) KR100995949B1 (ko)
CN (1) CN101444098A (ko)
WO (1) WO2007132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7577B2 (ja) * 2009-12-04 2014-0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画像形成方法
WO2011108043A1 (ja) 2010-03-04 2011-09-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5810296B2 (ja) * 2011-06-07 2015-1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WO2014192804A1 (ja) * 2013-05-28 2014-12-04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コーダ及び監視システム
JP7182953B2 (ja) * 2017-12-25 2022-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71324B2 (ja) * 2019-08-28 2021-05-1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利用者検知システム
JP2023086534A (ja) * 2021-12-10 2023-06-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4504A (ja) * 1992-06-05 1993-12-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録画カメラ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モニタシステム
EP0878965A3 (en) * 1997-05-14 2000-01-12 Hitachi Denshi Kabushiki Kaisha Method for tracking entering object and apparatus for tracking and monitoring entering object
JP4048511B2 (ja) * 1998-03-13 2008-02-20 富士通株式会社 魚眼レンズカメラ装置及びその画像歪み補正方法
JP4516665B2 (ja) * 2000-05-19 2010-08-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監視装置
JP4374211B2 (ja) * 2002-08-27 2009-12-0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レーンマーカー位置検出方法及びレーンマーカー位置検出装置並びに車線逸脱警報装置
JP3789121B2 (ja) * 2002-11-27 2006-06-21 中央電子株式会社 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2004271902A (ja) 2003-03-07 2004-09-30 Sanyo Electric Co Ltd 監視カメラ装置
US20040189801A1 (en) * 2003-03-28 2004-09-30 Chao-Hung Chang Active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active video surveillance method therefore
JP4613558B2 (ja) * 2003-09-16 2011-01-1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画像を用いた人体検知装置
JP2005094443A (ja) * 2003-09-18 2005-04-07 Ramrock Eizo Gijutsu Kenkyusho:Kk 監視システム
JP2005135014A (ja) * 2003-10-28 2005-05-2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物体検出装置
JP2005176301A (ja) * 2003-11-11 2005-06-30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カメラ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79181B2 (ja) * 2004-03-22 2009-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
JP2005277698A (ja) * 2004-03-24 2005-10-06 Opt Kk 監視カメラおよび監視方法
JP2006033380A (ja) * 2004-07-15 2006-02-0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監視システム
JP2006033793A (ja) * 2004-06-14 2006-02-02 Victor Co Of Japan Ltd 追尾映像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34734A1 (en) 2009-03-11
JP2007311860A (ja) 2007-11-29
KR20080109940A (ko) 2008-12-17
CN101444098A (zh) 2009-05-27
EP2034734A4 (en) 2009-11-11
WO2007132800A1 (ja) 2007-11-22
US8139120B2 (en) 2012-03-20
US20100045826A1 (en)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949B1 (ko) 화상 처리 장치, 카메라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JP4140591B2 (ja) 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CN100525424C (zh) 成像装置和方法以及成像系统
EP1536633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supervising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437863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5954588B2 (ja) セキュリティー機能が強化されたドアロック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90110058A1 (en) Smart image processing CCTV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2006333132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撮像システム
EP1441529A1 (en) Image-taking apparatus and image-taking system
JP3770859B2 (ja) 監視カメラ装置
WO2007119712A1 (ja) カメラ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20070297753A1 (en) Image correcting apparatus
EP1829361A1 (en) Method for extracting of multiple sub-windows of a scanning area by means of a digital video camera
JP2004201231A (ja) 監視用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
KR20060056235A (ko) 자동 촬상 장치 및 자동 촬상 장치의 제어용 프로그램
JP2005175970A (ja) 撮像システム
TW201410015A (zh) 多攝影機的整合處理系統及其方法
JP3841033B2 (ja)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0515036C (zh) 智能型图像处理闭路电视摄像机装置及其物体追踪方法
JP4172352B2 (ja) 撮像装置及び方法、撮像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H1079881A (ja) 撮像装置
JPH09219854A (ja) 撮像記録装置
JP3991816B2 (ja)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6121320A (ja) 全方位監視カメラ装置
KR20070038656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협동 감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