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594B1 -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594B1
KR100995594B1 KR1020080048495A KR20080048495A KR100995594B1 KR 100995594 B1 KR100995594 B1 KR 100995594B1 KR 1020080048495 A KR1020080048495 A KR 1020080048495A KR 20080048495 A KR20080048495 A KR 20080048495A KR 100995594 B1 KR100995594 B1 KR 100995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oods
loading
article
ware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2604A (ko
Inventor
이종태
최원용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48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59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2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01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 G06K7/1007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 G06K7/100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using at least one directional antenna or directional interrogation field to resolve the collision
    • G06K7/1009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using at least one directional antenna or directional interrogation field to resolve the collision the directional field being used for pinpointing the location of the record carrier, e.g. for finding or locating an RFID tag amongst a plurality of RFID tags, each RFID tag being associated with an object, e.g. for physically locating the RFID tagged object in a wareh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가 부착된 물품의 정보를 파악하여 창고에 입고된 물품의 입고된 순서대로 물품을 출고시킬 수 있는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실시예는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창고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적재대와,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에 부착된 RFID태그의 물품정보를 읽고, 읽은 물품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입고리더부와, 적재대에 적재된 물품에 부착된 RFID태그의 물품정보를 읽고, 읽은 물품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와, 창고에서 출고되는 물품에 부착된 RFID태그의 물품정보를 읽고, 읽은 물품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출고리더부와, 입고리더부,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 및 출고리더부에서 전송되는 물품정보 및 물품의 보관시간을 관리하여 물품을 정해진 날짜에 출고시키는 창고서버와, 창고서버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입고된 물품의 적재위치를 표시하는 다수개의 적재표시부를 포함한다.
RFID, 창고, 관리, 반품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WAREHOUSE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본 발명은 RFID가 부착된 물품의 정보를 파악하여 창고에 입고된 물품의 입고된 순서대로 물품을 출고시킬 수 있는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코드 시스템은 특정한 정보를 바(Bar) 패턴으로 형성시킨 부착물을 관리 대상물에 부착시키고 상기 바 패턴을 읽어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고, 자기 인식 시스템은 마그네틱 카드의 마그네틱 바에 소정 정보를 기록한 후 이를 리더기에서 판독하여 정보를 리드하는 것이다.
종래의 바코드 시스템은 바코드의 훼손으로 인한 인식이 불가능하였고, 바코드의 인식은 작업자의 핸들링이나 근접식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또한 생산 이후 물품의 정보가 변동되면 그 정보를 보유하지 못했다.
또한, 종래의 시스템은 공통적으로 대상의 정보를 판독하기 위하여 하나의 대상 정보를 판독하는데 한 번의 핸들링이 있어야 하며, 관리자에 의한 핸들링이 없이 대상의 이동이 발생할 경우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생산된 물품을 파레트(pallet)등에 적재하여 이 적재된 파레트에 일련 번호등을 부여한 후 제품창고의 빈 장소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확인된 빈 장소에 지게차등을 이용하여 제품을 적재하며, 창고에 입고된 제품의 출고시에는 출고할 제품이 적재된 파레트의 번호에 의해 해당제품을 찾은 다음 다시 지게차등을 이용하여 출고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창고의 입, 출고 방식은, 창고의 입출고 작업이 수작업 또는 단순장비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정확한 재고관리 및 입, 출고 관리가 어렵고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창고에 입고된 물품들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수작업으로 출고하게 되므로, 입고된 물품들이 입고된 날짜의 순서대로 출고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RFID가 부착된 물품의 정보를 파악하여 창고에 입고된 물품의 입고된 순서대로 물품을 출고시킬 수 있는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실시예는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창고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적재대와,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에 부착된 RFID태그의 물품정보를 읽고, 읽은 물품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입고리더부와, 적재대에 적재된 물품에 부착된 RFID태그의 물품정보를 읽고, 읽은 물품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와, 창고에서 출고되는 물품에 부착된 RFID태그의 물품정보를 읽고, 읽은 물품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출고리더부와, 입고리더부,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 및 출고리더부에서 전송되는 물품정보 및 물품의 보관시간을 관리하여 물품을 정해진 날짜에 출고시키는 창고서버와, 창고서버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입고된 물품의 적재위치를 표시하는 다수개의 적재표시부와, 상기 입고되는 물품들의 이상을 파악하여 상기 RFID 태그에 이상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이상데이터가 입력된 물품의 반품 정보 및 수량을 관리하는 반품관리부 및 상기 반품 관리부로부터 반품되는 물품에 대한 이상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 및 표시되도록 하는 반품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RFID태그가 부착된 물품의 정보를 파악하여 창고에 입고 된 물품의 입고된 순서대로 물품을 출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고된 순서대로 물품을 출고시키므로, 원하지 않는 재고가 발생되지 않고, 출고날짜를 넘겨 출고시키지 못하는 물품이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고 및 출고시 발생되는 물품의 파손 또는 불량 등을 확인하여 반품사유를 물품의 RFID태그에 기록하여 반품시킬 수 있으므로, 반품된 물품을 개봉하지 않고 반품사유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실시예는 창고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적재대(30)와,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10)에 부착된 RFID태그(1)의 물품정보를 읽고, 읽은 물품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입고리더부(20)와, 적재대(30)에 적재된 물품(10)에 부착된 RFID태그(1)의 물품정보를 읽고, 읽은 물품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와, 창고에서 출고되는 물품(10)에 부착된 RFID태그(1)의 물품정보를 읽고, 읽은 물품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출고리더부(50)와, 입고리더부(20),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 및 출고리더부(50)에서 전송되는 물품정보 및 물품(10)의 보관시간을 관리하여 물품(10)을 정해진 날짜에 출고시키는 창 고서버(60)와, 창고서버(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입고된 물품(10)의 적재위치를 표시하는 다수개의 적재표시부(70)를 포함한다.
여기서, RFID태그(1)의 물품정보는 물품의 종류에 따른 물품명, 제조일, 제조회사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창고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적재대(30)는 창고의 입구에서 출구까지 물품(10)들이 이동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입고리더부(20)는 창고의 입구에 배치되고, 출고리더부(50)는 창고의 출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는 다수개의 적재대(30)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입고리더부(20),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 및 출고리더부(50)는 각각 읽혀진 물품정보를 외부로 전송시킬 수 있는 입고통신부(21), 다수개의 적재통신부(41) 및 출고통신부(5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입고리더부(20),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 및 출고리더부(50)는 각각 물품(10)에 부착된 RFID태그(1)의 물품정보를 읽을 수 있는 리더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창고서버(60)는 입고리더부(20)에서 읽혀진 물품(10)의 정보를 전송받아, 읽혀진 물품(10)이 적재대(30)에 적재되도록 적재표시부(7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창고서버(60)는 적재대(30)에 적재된 물품(10)의 적재된 날짜를 기준으로 다음순서의 적재대(30)로 이동시키거나 출고시키도록 적재표시부(7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적재대(30)는 다수의 적재공간(32)으로 구획되고, 다수의 적재공간(32)에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가 각각 배치되며,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 들에는 각각의 ID가 부여될 수 있다.
여기서, 적재대(30)는 다수의 적재공간(32)으로 구획되어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물품(10)들이 각각 적재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적재대(30)는 물품(10)들이 종류별로 적재되면서, 입고된 시간(날짜)의 순서대로 적재되도록 소정간격으로 이격되jrp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는 각각의 ID가 부여될 수 있으므로, 창고서버(60)는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에 부여된 각각의 ID를 인식하여 각각의 적재대리더부(40)를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창고서버(60)는 물품(10)을 최초에 적재된 적재부(30)에서 다음의 적재부(30)로 이동시키도록 최초의 적재부(30)에 배치된 적재표시부(70)와 다음의 적재부(30)에 배치된 적재표시부(70)를 구동시키면 작업자는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물품(10)을 최초의 적재부(30)에서 다음의 적재부(30)로 쉽게 이동시 킬 수 있다.
또한, 창고서버(60)는 물품(10)의 종류를 파악하여 다수의 적재공간(32)에 서로 다른 종류의 물품(10)을 각각 배치시키도록 적재표시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적재표시부(70)는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10)의 적재위치를 표시하는 입고표시부(71)와, 창고에 입고되어 적재대(30)에 적재된 물품(10)의 다음 적재위치를 표시하는 이동표시부(73)와, 적재대(30)에 적재된 물품(10)의 출고를 표시하는 출고표시부(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재위치는 적재공간(32)일 수 있다. 그리고, 입고표시부(71), 이동 표시부(73) 및 출고표시부(75)는 서로 다른 색의 다수개의 램프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입고표시부(71)의 램프는 파란색, 이동표시부(73)의 램프는 노란색, 출고표시부(75)의 램프는 빨간색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 램프들은 다수개의 적재대(3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물품(10)이 입고되면 이를 창고서버(60)가 인지하여 적재대(30)에서 파란색의 램프가 점등되면, 작업자는 판란색의 램프가 점등된 적재대(30)에 입고된 물품(10)을 적재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작업자는 최초의 물품(10)이 입고되면 파란색을 확인하여 최초의 물품(10)을 적재대(30)의 적재공간(32)에 적재시키고, 다음에 입고되는 물품(10)이 최초에 입고된 물품(10)과 다른 경우에는 창고서버(60)가 최초의 적재대(30)의 적재공간(32)에 점등되었던 파란색 램프는 소등되고 다른 적재공간(32)의 파란색의 램프가 점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종류가 서로 다른 물품(10)을 하나씩 순서대로 입고시키면, 적재대(30)의 다른 적재공간(32)에서 순서대로 파란색의 램프가 점등되므로, 작업자는 혼동하지 않으면서 각각의 적재공간(32)에 서로 다른 종류의 물품(10)을 정확하게 적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적재대(30)들 중에 2개의 적재대(30)에서 노란색의 램프가 각각 점등되면, 작업자는 노란색의 램프가 각각 점등된 2개의 적재대(30) 중 입구에 가까운 적재대(30)의 물품(10)을 출구에 가까운 적재대(30)로 이동시켜서 적재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서로 다른 적재대(30)에서 각각의 적재공간(32)에 배치된 2개의 노란색의 램프가 점등되면 작업자는 입구에 가까운 적재대(30)의 물품을 출구에 가까운 적재대(30)로 적재시킨다. 이때, 적재가 완료되면 2개의 노란색의 램프는 소등된다. 이어서, 다른 종류의 이동될 물품(10)에 대한 2개의 노란색의 램프가 점등되므로, 작업자는 이에 대한 물품(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한 종류의 물품(10)의 이동이 완료되면 다른 종류의 물품(10)의 이동을 위하여 다른 2개의 노란색의 램프가 점등되므로, 작업자는 이를 혼동하지 않으면서 물품(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적재대(30)에서 빨간색의 램프가 각각 점등되면, 작업자는 이를 확인하여 빨간색의 램프가 점등된 적재대(30)에 적재된 물품(10)을 출구로 출고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창고서버(60)는 입고리더부(20),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 및 출고리더부(50)에서 전송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는 서버통신부(61)와, 물품정보를 인식하여 물품(10)의 종류를 파악하여 관리하는 물품관리부(63)와, 물품관리부(63)에서 파악된 물품(10)에 대한 적재대(30)의 적재위치를 관리하는 적재대관리부(65)와, 물품(10)의 입고시간에 따라 적재대관리부(65)에서 관리되는 각각의 적재위치에서 상기 적재표시부(70)가 표시되도록 관리하는 표시관리부(67)와, 물품관리부(63)에서 각각의 물품정보를 인식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제공하는 시간관리부(6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창고서버(60)는 PC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통신부(61)와, 물품관리부(63)와, 적재대관리부(65)와, 표시관리부(67) 및 시간관리부(69)는 제어부(6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PC는 모니터와 키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통신부(61)는 근거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통신부(61)를 통해 물품정보가 수신되면 물품관리부(63)는 물품(10)의 종류를 파악하고, 적재대관리부(65)에서 관리되는 적재대(30)의 적재위치 즉 물품(10)이 적재될 적재공간(32)을 적재표시부(7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관리부(63)는 입고리더부(20), 적재대리더부(40) 및 출고리더부(50)에서 전송되는 물품정보를 각각 분류하여 인식하는 물품인식부(63a)와, 물품인식부(63a)에서 각각 인식된 물품정보를 이용하여 물품의 종류를 확인하는 종류확인부(63b)와, 물품인식부(63a)에서 각각 인식된 물품정보를 이용하여 물품의 종류별 수량을 확인하는 수량확인부(63c)와, 시간관리부(69)에서 제공되는 시간을 근거로 적재대(30)에 적재된 물품(10)의 이동 및 출고를 지시하는 물품이동부(63d)와, 종류확인부(63b)에서 확인된 물품종류와, 수량확인부(63c)에서 확인된 물품수량과, 물품이동부(63d)에 의해 물품(10)의 이동 및 출고상황이 데이터화되어 저장되는 물품DB(63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물품인식부(63a)는 전송된 물품정보가 입고리더부(20)에서 읽혀진 것인지, 적재대리더부(40)에서 읽혀진 것인지, 출고리더부(50)에서 읽혀진 것인지 각각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종류확인부(63b)는 물품정보들을 통해 적재대(30)에 적재되는 각각의 물품명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량확인부(63c)는 적재대(30)에 적재되는 물품(10)의 수량을 확인하여 각각의 총합계를 가산하고, 적재대(30)에서 출고되는 물품(10)의 수량을 확인하여 총합계에서 감산할 수 있다. 이때, 시간관리부(69)에서 적재대(30)에 적대된 물품(10)들의 적재시간을 카운팅하면 물품이동부(63d)는 각각의 물품(10)에 해당되는 날짜에 따른 이동 및 출고를 지시할 수 있다.
즉, 물품(10)의 입고날짜를 계산하여 입고된 물품(10)을 날짜의 흐름에 따라 출구에 가깝게 이동시키고, 최종적으로 출구에 위치된 물품(10)은 출고날짜에 의해 출고될 수 있도록 물품이동부(63d)의 지시에 의해 적재표시부(70)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대관리부(65)는 물품관리부(63)에서 인식된 각각 물품(10)이 적재대(30)에 적재되도록 적재대(30)의 빈 적재위치를 확인하는 적재위치확인부(65a)와, 적재위치확인부(65a)에 의해 확인된 적재위치에 물품(10)의 적재완료를 확인하는 적재완료확인부(65b)와, 다수의 구역으로 구획된 상기 적재대(30)의 적재위치와, 적재대(30)에 설치된 적재대리더부(40)의 ID가 저장되고, 물품(10)의 적재 및 이동상황이 저장되는 적재DB(65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재위치확인부(65a)는 물품관리부(63)에서 인식된 물품정보가 입고리더부(20)에서 읽혀진 것이면 적재대(30)의 첫 번째 적재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적재대리더부(40)에서 읽혀진 것이면 적재대(30)의 다음 적재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적재완료확인부(65b)는 적재대(30)에 물품(10)이 적재되면 적재된 적재위치를 적재DB(65c)에 저장할 수 있고, 적재대(30)에서 물품(10)이 출고되면 빈 적재위치를 적재DB(65c)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표시관리부(67)에 의해 적재표시부(70)의 입고표시부(71), 이동표시부(73) 및 출고표시부(75)는 각각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관리부(69)는 물품관리부(63)에서 인식된 물품(10)들의 입고, 이동 및 출고시간을 확인하는 시간확인부(69a)와, 시간확인부(69a)에서 확인된 입고 및 이동되는 물품(10)의 이동 및 출고시간을 설정하는 이동설정부(69b)와, 시간확인부(69a) 및 이동설정부(69b)에 시간을 제공하는 시간제공부(69c)와, 시간확인부(69a)의 확인된 물품(10)의 입고, 이동 및 출고시간을 카운팅하는 시간카운팅부(69d)와, 이동설정부(69b)의 설정시간과 상기 시간카운팅부(69d)의 카운팅시간을 판단하여 물품(10)의 이동 및 출고시간을 제공하는 이동시간제공부(69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설정부(69b)는 PC에 구비된 키보드의 입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시간제공부(69c)는 타이머일 수 있다.
그리고, 시간확인부(69a)는 물품(10)의 입고된 시간, 적재대(30)의 적재공간(32)에서 다른 적재공간(32)으로 이동된 시간, 적재대(30)에서 출고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시간확인부(69a)는 입고리더부(20),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 및 출고리더부(50)에서 전송되는 물품정보의 전송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설정부(69b)는 입고된 물품(10)의 종류에 따라 이동 및 출고시 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입고된 물품(10)이 식품, 유제품, 농산물, 수산물, 육류 등은 유통기간이 비교적 짧기 때문에 창고에 장시간 보관될 수 없다. 따라서, 이에 해당되는 물품(10)들은 이동 및 출고시간을 짧게 설정하여야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유통기간이 긴 물품(10)들은 창고에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물품(10)은 입고된 순간부터 시간이 체크되어 출구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점차 가까운 적재대(30)로 이동되도록 이동시간이 제공될 수 있고, 이동된 물품(10)도 설정된 시간에 출고되도록 출고시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고에 입고된 물품(10)은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적재대(30)에서 이동되고, 적재대(30)에서 출고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고된 물품(10)의 이상을 파악하여 반품하도록 관리하는 반품관리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반품관리부(80)는 물품(10)에 대한 이상상황을 상기 물품(10)의 RFID태그(1)에 입력하는 라이터(81)와, RFID태그(1)의 물품정보를 인식하는 반품리더기(82)와, 라이터(81)에 이상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이상데이터가 저장되고, 반품리더기(82)의 읽혀진 물품정보가 저장되는 라이터DB(83)와, 라이터(81)의 입력시간을 체크하는 입력체크부(85)와, 입력체크부(85)에 시간을 제공하는 입력시간제공부(86)와, 반품리더기(82)의 인식 횟수를 카운트하는 입력카운트부(87)와, 라이터(81)의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시간 및 입력횟수와, 반품리더기(82)의 인식된 물품의 반품정보 및 반품수량을 상기 라이터DB(83)에 저장시키는 입력관리부(88)와, 라 이터DB(83)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외부로 전송하는 반품통신부(8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라이터(81)와, 반품리더기(82)와, 라이터DB(83)와, 입력체크부(85)와, 입력시간제공부(86)와, 입력카운트부(87)와, 입력관리부(88)와, 반품통신부(89)는 반품제어부(80a)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창고서버(60)는 반품처리부(8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반품처리부(84)는 반품메모리(84a)가 구비되어 반품정보에 대한 이상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즉, 반품관리부(80)에서 전송되는 반품되는 물품(10)에 대한 이상데이터를 전송받아 관리하고, 별도의 모니터(도시생략)를 통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창고에 물품(10)이 입고되면 작업자는 물품(10)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포장의 이상 또는 물품의 이상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라이터(81)를 이용하여 RFID태그(1)에 이상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관리부(88)를 구동시켜 라이터DB(83)에서 저장된 이상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이상데이터는 포장불량, 포장파손, 물품파손, 출고날짜초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이상데이터를 선택하여 선택된 이상데이터를 RFID태그(1)에 입력시킬 수 있다. 이때, 출고날짜초과는 출고날짜가 초과되어 사용하지 못하는 즉 상한 물품(10)들 일 수 있다.
또한, 이상데이터가 RFID태그(1)에 입력되면 입력관리부(88)가 입력된 이상데이터 및 입력시간을 반품되는 물품(10)의 물품정보를 매칭시켜 함께 라이터 DB(83)에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물품(10)의 종류 및 각각의 입력카운트횟수를 라이터DB(83)에 저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라이터DB(83)에 저장된 어떤 물품(10)들이 반품되는지, 반품되는 물품(10)은 몇 개인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품되는 물품(10)에 대한 데이터는 창고서버(60)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의 적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창고서버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물품관리부를 보인 블록도.
도 4는 도 2의 적재대관리부를 보인 블록도.
도 5는 도 2의 시간관리부를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반품관리부를 보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RFID태그 10 : 물품
20 : 입고리더부 30 :적재대
40 : 적재대리더부 50 : 출고리더부
60 : 창고서버 70 : 적재표시부
80 : 반품관리부

Claims (9)

  1.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창고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적재대(30);
    상기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10)에 부착된 RFID태그(1)의 물품정보를 읽고, 읽은 물품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입고리더부(20);
    상기 적재대(30)에 적재된 물품(10)에 부착된 RFID태그(1)의 물품정보를 읽고, 읽은 물품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
    상기 창고에서 출고되는 물품(10)에 부착된 RFID태그(1)의 물품정보를 읽고, 읽은 물품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출고리더부(50);
    상기 입고리더부(20),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 및 출고리더부(50)에서 전송되는 물품정보 및 물품(10)의 보관시간을 관리하여 물품(10)을 정해진 날짜에 출고시키는 창고서버(60);
    상기 창고서버(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입고된 물품(10)의 적재위치를 표시하는 다수개의 적재표시부(70);
    상기 입고되는 물품(10)들의 이상을 파악하여 상기 RFID 태그(1)에 이상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이상데이터가 입력된 물품의 반품 정보 및 수량을 관리하는 반품관리부(80); 및
    상기 반품 관리부(80)로부터 반품되는 물품(10)에 대한 이상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 및 표시되도록 하는 반품처리부(84)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30)는
    다수의 적재공간(32)으로 구획되고,
    상기 다수의 적재공간(32)에 상기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들에는 각각의 ID가 부여되는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표시부(70)는
    상기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10)의 적재위치를 표시하는 입고표시부(71);
    상기 창고에 입고되어 적재대(30)에 적재된 물품(10)의 다음 적재위치를 표시하는 이동표시부(73);
    상기 적재대(30)에 적재된 물품(10)의 출고를 표시하는 출고표시부(75)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서버(60)는
    상기 입고리더부(20), 다수개의 적재대리더부(40) 및 출고리더부(50)에서 전송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는 서버통신부(61);
    상기 물품정보를 인식하여 물품(10)의 종류를 파악하여 관리하는 물품관리 부(63);
    상기 물품관리부(63)에서 파악된 물품(10)에 대한 적재대(30)의 적재위치를 관리하는 적재대관리부(65);
    상기 물품(10)의 입고시간에 따라 상기 적재대관리부(65)에서 관리되는 각각의 적재위치에서 상기 적재표시부(70)가 표시되도록 관리하는 표시관리부(67);
    상기 물품관리부(63)에서 각각의 물품정보를 인식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제공하는 시간관리부(69)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관리부(63)는
    상기 입고리더부(20), 적재대리더부(40) 및 출고리더부(50)에서 전송되는 물품정보를 각각 분류하여 인식하는 물품인식부(63a);
    상기 물품인식부(63a)에서 각각 인식된 물품정보를 이용하여 물품의 종류를 확인하는 종류확인부(63b);
    상기 물품인식부(63a)에서 각각 인식된 물품정보를 이용하여 물품의 종류별 수량을 확인하는 수량확인부(63c);
    상기 시간관리부(69)에서 제공되는 시간을 근거로 적재대(30)에 적재된 물품(10)의 이동 및 출고를 지시하는 물품이동부(63d);
    상기 종류확인부(63b)에서 확인된 물품종류와, 상기 수량확인부(63c)에서 확 인된 물품수량과, 상기 물품이동부(63d)에 의해 물품(10)의 이동 및 출고상황이 데이터화되어 저장되는 물품DB(63e)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관리부(65)는
    상기 물품관리부(63)에서 인식된 각각 물품(10)이 적재대(30)에 적재되도록 적재대(30)의 빈 적재위치를 확인하는 적재위치확인부(65a);
    상기 적재위치확인부(65a)에 의해 확인된 적재위치에 물품(10)의 적재완료를 확인하는 적재완료확인부(65b);
    다수의 구역으로 구획된 상기 적재대(30)의 적재위치와, 상기 적재대(30)에 설치된 적재대리더부(40)의 ID가 저장되고, 상기 물품(10)의 적재 및 이동상황이 저장되는 적재DB(65c)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관리부(69)는
    상기 물품관리부(63)에서 인식된 물품(10)들의 입고, 이동 및 출고시간을 확인하는 시간확인부(69a);
    상기 시간확인부(69a)에서 확인된 입고 및 이동되는 물품(10)의 이동 및 출고시간을 설정하는 이동설정부(69b);
    상기 시간확인부(69a) 및 이동설정부(69b)에 시간을 제공하는 시간제공부(69c);
    상기 시간확인부(69a)의 확인된 물품(10)의 입고, 이동 및 출고시간을 카운팅하는 시간카운팅부(69d);
    상기 이동설정부(69b)의 설정시간과 상기 시간카운팅부(69d)의 카운팅시간을 판단하여 물품(10)의 이동 및 출고시간을 제공하는 이동시간제공부(69e)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품관리부(80)는
    상기 물품(10)에 대한 이상상황을 상기 물품(10)의 RFID태그(1)에 입력하는 라이터(81);
    상기 RFID태그(1)의 물품정보를 인식하는 반품리더기(82);
    상기 라이터(81)에 이상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이상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반품리더기(82)의 읽혀진 물품정보가 저장되는 라이터DB(83);
    상기 라이터(81)의 입력시간을 체크하는 입력체크부(85);
    상기 입력체크부(85)에 시간을 제공하는 입력시간제공부(86);
    상기 반품리더기(82)의 인식 횟수를 카운트하는 입력카운트부(87);
    상기 라이터(81)의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시간 및 입력횟수와, 반품리더기(82)의 인식된 물품의 반품정보 및 반품수량을 상기 라이터DB(83)에 저장시키는 입력관리부(88);
    상기 라이터DB(83)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외부로 전송하는 반품통신부(89);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KR1020080048495A 2008-05-26 2008-05-26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KR100995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495A KR100995594B1 (ko) 2008-05-26 2008-05-26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495A KR100995594B1 (ko) 2008-05-26 2008-05-26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604A KR20090122604A (ko) 2009-12-01
KR100995594B1 true KR100995594B1 (ko) 2010-11-22

Family

ID=4168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495A KR100995594B1 (ko) 2008-05-26 2008-05-26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5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037B1 (ko) 2011-07-04 2011-12-20 김민규 물품의 보관장치
CN104991556A (zh) * 2015-06-24 2015-10-21 上海快仓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仓储分拣站及其仓储分拣方法
KR20200069847A (ko) 2018-12-07 2020-06-17 (주)에이알에프엔씨 물류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887B1 (ko) * 2015-04-14 2017-03-0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창고 내 최적 위치 안내 방법 및 그 장치
KR101720727B1 (ko) * 2015-06-01 2017-04-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화물 열차의 화물 체결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화물 열차의 모니터링 방법
KR102359137B1 (ko) * 2019-10-18 2022-02-08 (주)바인테크 위치 기반의 적재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48058B1 (ko) * 2019-11-29 2022-01-10 한국원자력연구원 위치 파악 장치 및 방법
KR102166962B1 (ko) 2020-06-25 2020-10-16 한미헬스케어 주식회사 위치정보 기반의 차등적 조명제어시스템
KR20220075250A (ko) 2020-11-29 2022-06-08 박철우 물류대행을 위한 물류대행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037B1 (ko) 2011-07-04 2011-12-20 김민규 물품의 보관장치
CN104991556A (zh) * 2015-06-24 2015-10-21 上海快仓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仓储分拣站及其仓储分拣方法
KR20200069847A (ko) 2018-12-07 2020-06-17 (주)에이알에프엔씨 물류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604A (ko) 200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594B1 (ko)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CN109685425B (zh) 一种基于cps的可视化实物自动盘库系统
EP1818285B1 (en) Automatic warehouse
KR20200069847A (ko) 물류 관리 시스템
KR20070085549A (ko) 보관 시스템
CN112085446A (zh) 多模块无人仓及智能管理系统
KR20070114277A (ko) 태그 판독의 데이터 구조체를 사용하는 id 태그 추적시스템 및 방법
JP5013142B2 (ja) 検品システムと検品方法
US112818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ock picking using RFID tags
CN111784261A (zh) 一种可视化仓储管理方法
US201102527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amping packaged goods in the nature of cigarettes
JP7265994B2 (ja) 動的ストレージデバイス(Dynamic storage device)及び動的アクセス管理方法
CN213024481U (zh) 多模块无人仓及智能管理系统
JP5719137B2 (ja) 倉庫に保管した物品のピッキングシステム
KR20220150523A (ko) Rfid가 부착된 물류관리시스템
JP7067970B2 (ja) 搬送システム
Paul et al. Managing stock in warehouse: a case study of a retail industry in Jakarta
KR101507634B1 (ko) 픽킹 설비 및 투입 표시기
KR101042199B1 (ko) Rfid를 이용한 용기 투입물 관리방법
JP2010269807A (ja) 物品収納容器及び物品保管設備
JP6940432B2 (ja) 搬送システム
JP2001019146A (ja) 多品種多形状電気部品の高速仕分け方式
JP2006027810A (ja) 倉庫管理システム
CN116198898B (zh) 用于存储货物的仓库
TWI744708B (zh) 具有燈光控制揀存料的自動倉儲系統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