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037B1 - 물품의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물품의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037B1
KR101095037B1 KR1020110065895A KR20110065895A KR101095037B1 KR 101095037 B1 KR101095037 B1 KR 101095037B1 KR 1020110065895 A KR1020110065895 A KR 1020110065895A KR 20110065895 A KR20110065895 A KR 20110065895A KR 101095037 B1 KR101095037 B1 KR 101095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s
management number
conveyor
rack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Original Assignee
김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규 filed Critical 김민규
Priority to KR1020110065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037B1/ko
Priority to PCT/KR2012/005314 priority patent/WO20130059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의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품이 보관되는 복수의 랙; 상기 랙들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물품의 관리번호가 입력되고, 관리번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기; 상기 관리번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랙들의 순서를 카운팅하는 슬래브 컨트롤러; 및 상기 관리번호 데이터를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에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상기 컨베이어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는, 상기 랙들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센서; 및 상기 이동감지센서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랙들이 이동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카운팅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랙의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이동방향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방향감지기는, 상기 이동감지센서와 함께 상기 랙들의 이동을 감지하는 추가센서 및; 상기 추가센서와 상기 이동감지센서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로 상기 랙들의 이동방향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방향감지기에 의해 상기 랙들의 이동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리셋수단이 마련될 경우 랙의 순서를 리셋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의 보관장치{APPARATUS FOR DEPOSIT}
본 발명은 물품의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탁물과 같은 물품이 보관된 랙을 이동시키면서 카운팅하여 해당물품을 검색할 수 있는 물품의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의류나 운동화와 같은 물품은 세탁이나 수선을 위하여 영업장에 맡겨져 보관되고, 물품의 세탁이나 수선이 완료된 후 영업장에서 해당 고객에게 인도된다.
과거에는 이러한 물품을 처리 및 보관하기 위하여 물품에 수작업으로 표기된 인식표를 부착하고, 인식표에 표기된 인식부호를 별도의 장부에 기재하여 물품을 관리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보관방법은 현대인의 일상이 빨라지고 편의성이 증가함에 따라 도태되는 추세이며, 자동화되어 대량의 물품을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보관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보관장치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69720호에 개시된 "알에프 태그를 이용한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세탁물을 걸 수 있는 다수의 걸이부재가 배치되는 컨베이어와,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걸이부재에 제각기 구비되는 RFID 태그와, RFID 태그의 고유번호를 인식하는 RFID 리더와,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제어박스와, 인식된 RFID 태그의 정부롤 전송하는 RFID 송수신모듈로 구성되는 컨베이어 장치; 및 특정 세탁물이 걸려진 걸이부재의 RFID 태그의 고유번호가 내장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며, RFID 송수신모듈에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모터구동신호를 송신하여 모터 및 컨베이어를 회전시키고, RFID 리더에 근접하는 다수의 RFID 태그의 고유번호를 전송받아 저장된 걸이부재의 RFID 태그의 고유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모터를 정지시키는 서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고유번호가 제각기 부여된 RFID 태그를 걸이부재의 각각에 구비하고, RFID 리더를 통해 특정 세탁물이 걸려진 걸이부재를 찾는 방식으로서, 서버에 고객정보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컨베이어가 작동되어 해당고객의 세탁물을 출고 위치로 이송시켜 주어 세탁물을 찾는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된다.
그런데, 선행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RFID 리더가 걸이부재에 제각기 구비된 RFID 태그의 고유번호를 비교하면서 검색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RFID 태그가 파손될 경우, 파손된 RFID 태그를 RFID 리더가 인식하지 못하므로 파손된 RFID 태그가 부착된 걸이부재를 검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각각의 걸이부재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주기적으로 일일이 점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선행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전술한 컨베이어 장치가 세탁물이 걸린 걸이부재를 회전시키면서 찾고자 하는 걸이부재가 검색되면 회전을 멈춘다.
이때, 걸이부재는 관성에 의해 전진하려는 하중이 작용하며, 특히 많은 수량의 세탁물이 걸려있는 경우, 회전을 멈추면서 세탁물의 하중에 의해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는 압력이 작용하여 설정된 위치에 정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걸이부재 각각에 고유번호를 부여하지 않고도,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하는 걸이부재의 순서만을 카운팅하면서 특정물품이 보관된 걸이부재를 검색할 수 있으며, 특히 어느 하나의 걸이부재만을 기준점으로 인식함으로써, 카운팅의 오류를 방지함과 아울러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한 물품의 보관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걸이부재의 이동방향을 감지함으로써, 걸이부재가 물품의 하중에 의해 설정된 정지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동하는 걸이부재의 순서를 리셋시킬 수 있는 물품의 보관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물품이 보관되며,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랙; 상기 랙들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랙에 보관되는 상기 물품의 관리번호가 입력되고, 입력되는 관리번호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관리번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입력기; 상기 입력기에서 인가되는 상기 관리번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랙들을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랙들의 순서를 카운팅하는 슬래브 컨트롤러; 및 상기 입력기의 관리번호 데이터를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에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상기 컨베이어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는, 상기 랙들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센서; 및 상기 이동감지센서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랙들이 이동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카운팅하면서 상기 입력기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랙을 검색하여, 상기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랙이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래브컨트롤러의 이동감지센서와 함께 상기 랙의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이동방향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방향감지기는, 상기 이동감지센서와 이격설치되어 상기 이동감지센서와 함께 상기 랙들의 이동을 감지하는 추가센서 및; 상기 추가센서와 상기 이동감지센서에서 제각기 인가되는 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랙들의 이동방향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물품이 보관되며,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랙; 상기 랙들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랙에 보관되는 상기 물품의 관리번호가 입력되고, 입력되는 관리번호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관리번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입력기; 상기 입력기에서 인가되는 상기 관리번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랙들을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랙들의 순서를 카운팅하는 슬래브 컨트롤러; 및 상기 입력기의 관리번호 데이터를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에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상기 컨베이어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에 의해 카운팅되는 상기 랙들의 순서를 리셋시켜서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의 카운팅을 초기화하는 리셋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셋수단은, 상기 랙들 중 초기화로 설정된 어느 하나의 랙이 초기화로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여 리셋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리셋신호를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에 전송하여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의 카운팅을 초기화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의 보관장치는,
슬래브 컨트롤러가 랙의 순서를 카운팅하면서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랙을 검색하므로 랙의 각각에 별개의 고유인식부재를 구비하지 않고도 정확하게 랙을 검색할 수 있다.
또, 랙이 연결핀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걸림편으로 구성되므로, 랙을 컨베이어에 의해 순환하는 순환식이나 컨베이어에 의해 왕복하는 왕복식과 같은 다양한 이동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컨베이어가 레일, 롤러 및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랙들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특히,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이 랙의 일측을 가압하면서 이동시키므로 랙들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슬래브 컨트롤러가 이동감지센서를 통해 랙들의 이동을 감지하므로 이동하는 랙의 순서를 정확하게 카운팅하여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랙을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추가센서로 구성되는 이동방향 감지기에 의해 랙들의 이동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감지된 랙의 이동방향을 통해 랙의 위치이탈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리셋수단에 의해 랙의 카운팅이 초기화되므로 카운팅의 오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리셋수단이 복수의 랙들 중 어느 하나의 랙에 마련되는 감지센서를 통해 리셋지점을 인식하므로, 랙들 각각을 점검할 필요없이 감지센서가 구비된 랙만을 점검함으로써 유지보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한편, 마스터 컨트롤러에 의해 슬래브 컨트롤러가 제어되므로, 컨베이어 및 슬래브 컨트롤러를 복수로 구성하여 독립적인 복수의 이동라인을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보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관장치의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슬래브컨트롤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보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은 보관되는 물품의 한 예로써 세탁물을 대상으로 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세탁물뿐만 아니라 걸린상태로 보관되는 다양한 물품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보관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10), 컨베이어(20), 입력기(30), 슬래브 컨트롤러(40) 및 무선통신기(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랙(10)은 세탁물과 같은 물품(G)이 보관되는 부재로써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11) 및 연결핀(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편(11)은 물품(G)이 걸려서 보관되는 부재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G)이 걸리는 걸림공(11a)이 복수로 형성되고, 각각의 걸림공(11a)을 분할하는 분할핀(11b)이 마련될 수 있다. 즉, 걸림편(11)은 복수의 걸림공(11a)을 통해 세탁물과 같은 물품(G)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분할핀(11b)을 통해 더욱 많은 수의 물품(G)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다.
연결핀(13)은 걸림편(11)을 또 다른 걸림편(11)과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재로써, 걸림편(11)의 일단부와 또 다른 걸림편(11)의 일단부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핀(13)은 걸림편(11)이 연결핀(13)을 중심으로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걸림편(11)을 일직선 또는 곡선형으로 서로 연결한다. 즉, 연결핀(13)은 걸림편(11)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랙(10)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식으로 형성한다.
컨베이어(2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랙(10)들을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써,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3)과, 롤러(25) 및 구동수단(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일(23)은 랙(10)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부재이며, 건물의 지면 또는 벽체에 고정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프레임(21)에 고정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10)들을 순환시키기 위하여 원형으로 형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갖는 관체 또는 봉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레일(23)은 도시된 바와 달리, 양단부가 분리되어 랙(10)들이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홈이 형성된 다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롤러(25)는 복수로 구성되어 랙(10)들에 제각기 연결되고, 레일(23)에 결합되어 레일(23)을 따라 랙(10)들을 이동시키는 부재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3)에 밀착되는 복수의 바퀴(R)에 의해 레일(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연결핀(13)의 상부에 결합되어 랙(10)들을 레일(23)에 현수된 상태로 결합시켜 이동시킨다.
또한, 롤러(25)는 연결핀(13)을 중심으로 피벗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방향성을 갖는다. 따라서, 롤러(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의 레일(23)을 따라 이동하면서 랙(10)들을 순환시킨다.
구동수단은 롤러(25)에 의해 레일(23)에 결합된 랙(10)들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랙(10)들을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써,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7) 및 회전판(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모터(27)는 전술한 지지프레임(21)에 설치되고, 외부전원에 연결되어 후술되는 슬래브컨트롤러(40)에 의해 구동한다.
회전판(28)은 구동모터(40)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랙(10)들의 일측을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부재로써, 레일(23)의 일측 또는 양측에 마련되어 구동모터(40)에 의해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판(2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핀(13)에 밀착되면서 랙(10)을 가압하여 회전시킨다.
한편, 구동수단은 슬립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슬립방지부재는 랙(10)을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회전판(28)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판(28) 및 랙(10)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써,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8)의 외주면 및 연결핀(13)의 외주면에 제각기 구비되는 마찰패드(29)로 구성된다.
마찰패드(29)는 구동모터(27)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28) 및 회전판(28)에 의해 가압되는 연결핀(13)에 제각기 마련되어 서로 밀착되면서 회전판(28)의 슬립을 방지한다. 따라서, 마찰패드(29)는 구동모터(27)의 구동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27)가 정지할 경우, 랙(10)이 회전관성에 의해 전진하거나 후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입력기(30)는 랙(10)에 보관되는 물품(G)의 관리번호(N)가 입력되고, 입력되는 관리번호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관리번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요소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나 키보드 형태로 구성되며, PC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관리번호(N)는 보관되는 물품(G)을 구분하는 코드이며, 관리번호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랙(10)들 중, 물품(G)이 보관되는 랙(10)의 순서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즉, 입력기(30)는 입력되는 물품(G)의 관리번호(N)를 기반으로 물품(G)이 보관되는 관리번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관리번호 데이터를 전송한다.
슬래브 컨트롤러(40)는 입력기(30)에 연결되고, 입력기(30)로부터 인가되는 관리번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컨베이어(20)를 제어하여 랙(10)들을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랙(10)들의 순서를 카운팅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슬래브 컨트롤러(40)는 컨베이어(20)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랙(10)의 순서를 카운팅하면서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랙(10)을 검색하여 설정된 위치 즉, 물품(G)을 보관하거나 꺼내기 위한 정지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슬래브컨트롤러(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20)에 마련되는 컨트롤박스(CB)를 통해 입력기(30) 및 구동모터(27)에 연결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감지센서(45) 및 제어부(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감지센서(45)는 랙(10)들의 이동을 감지하는 부재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20)에 고정되는 케이스(43)의 후면에 설치되어 랙(10)과 인접된 상태로 대면하면서 랙(10)을 향해 적외선을 조사하거나, 랙(10)으로부터 적외선을 수광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포토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감지센서(4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10)들의 일측에 제각기 마련되는 감지탭(45a)을 통해 랙(10)의 이동을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47)는 이동감지센서(45)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랙(10)들의 이동을 순차적으로 카운팅하면서, 전술한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랙(10)을 검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어부(47)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성되어 케이스(43)에 내장되며, 전술한 입력기(30)로부터 인가되는 관리번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컨베이어(20)를 구동시켜 랙(10)들을 카운팅하고,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랙(10)이 카운팅되면 설정된 위치로 랙(10)을 이동시켜 컨베이어(20)를 정지시킨다.
무선통신기(35)는 전술한 입력기(30)의 관리번호 데이터를 슬래브 컨트롤러(40)에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슬래브 컨트롤러(40)의 제어신호를 컨베이어(20)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수단으로써,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기(30)와 컨베이어(20)의 컨트롤박스(CB) 및 슬래브 컨트롤러(40)에 제각기 마련된 무선통신모듈(35a,35b,35c)로 구성된다. 여기서, 무선통신모듈(35a,35b,35c)은 도시된 바와 달리, 입력기(30)와 컨베이어(20)의 컨트롤박스(CB) 및 슬래브 컨트롤러(40)에 내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기(35)는 RS 232나 RS 485와 같은 무선통신에 의해 관리번호 데이터를 입력기(30)로부터 슬래브 컨트롤러(40)에 전송하고, 슬래브 컨트롤러(40)에 전송된 관리번호 데이터에 따른 제어신호를 슬래브 컨트롤러(40)로부터 컨베이어(20)에 전송한다.
따라서, 슬래브 컨트롤러(40)는 무선통신기(35)를 통해 컨베이어(20)를 제어하여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랙(10)을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입력기(30)와 슬래브 컨트롤러(40) 및 컨베이어(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케이블(CL)을 통해 연결되어 관리번호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유선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무선통신기(35)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방향 감지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방향 감지기는 슬래브컨트롤러(40)의 이동감지센서(45)와 함께 랙(10)들의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수단으로써,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센서(48) 및 연산부(48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추가센서(48)는 이동감지센서(45)의 일측에 이격설치되어, 이동감지센서(45)와 함께 감지탭(45a)의 이동을 연속적으로 감지한다.
이러한 추가센서(48)는 이동감지센서와 동일한 구성의 포토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3)에 설치된 이동감지센서(45)의 일측에 배치되어 랙(10)의 이동을 연속적으로 감지한다.
연산부(48a)는 추가센서(48)와 이동감지센서(45)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를 비교하여 랙(10)들의 이동방향을 연산하여 제어부(47)에 제공한다. 즉, 연산부(48a)는 추가센서(48)와 이동감지센서(45)에서 감지신호가 랙(10)의 이동방향에 맞게 순차적으로 인가됨과, 감지신호가 연속적으로 인가됨을 연산하여 랙(10)들의이동방향을 감지하여 제어부(47)에 제공한다.
여기서, 연산부(48a) 및 추가센서(48)로 구성되는 이동감지기는 도시된 바와 달리, 컨베이어(20)의 지지프레임(21) 또는 랙(10)이나 컨베이어(20) 부근의 미도시된 구조물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이동방향 감지기는 슬래브컨트롤러(40)와 별도로 설치되어 랙(10)들의 이동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슬래브 컨트롤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46) 및 램프(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6)는 케이스(43)에 설치되어 제어부(47)에 의해 검색중인 관리번호 데이터 또는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관리번호(N)를 사용자에 현시하며, 또한, 제어부(47)에 의해 검색예정인 관리번호 데이터 또는 관리번호(N)를 순차적으로 현시한다.
램프(44)는 케이스(43)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전술한 제어부(47)의 동작상태를 사용자에 현시하는 부재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마련되어 현재 제어부(47)의 동작상태나 컨베이어(20)의 구동상태 또는 이동방향 등을 현시한다. 이러한 램프(44)는 발광되는 색깔을 달리하면서 제어부(47)의 동작상태를 사용자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슬래브 컨트롤러(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너(49)에 의해 컨베이어(20)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패스너(49)는 케이스(43)에 고정되어 케이스(43)의 상부로 연장되는 행거브래킷(49a) 및 행거브래킷(49a)을 컨베이어(20)의 지지프레임(21)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볼트(49b)로 구성된다.
행거브래킷(49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3)를 지지프레임(21)에 걸린 상태로 결합하여, 케이스(43)의 낙하를 방지한다.
볼트(49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브래킷(49a)을 관통하여 지지프레임(21)을 가압하면서 행거브래킷(49a)을 지지프레임(21)에 고정한다. 따라서, 슬래브 컨트롤러(40)는 패스너(49)에 의해 컨베이어(2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리셋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셋수단은 슬래브 컨트롤러(40)에 의해 카운팅되는 랙(10)의 순서를 리셋시켜서 슬래브 컨트롤러(40)의 카운팅을 초기화함으로써 카운팅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51) 및 전송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지센서(51)는 레일(23)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랙(10)들 중 초기화로 설정된 어느 하나의 랙이 초기화로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부재이다. 즉, 감지센서(51)는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카운팅되는 랙(10)들 중 어느 하나의 랙(10)에 카운팅의 기준점 즉, 리셋지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감지센서(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화로 설정된 어느 하나의 랙(10)에 설치되는 스위치돌기(51a) 및 초기화로 설정된 위치에 마련되어 스위치돌기(51a)와의 접촉에 의해 스위칭되면서 리셋신호를 생성하는 리밋스위치(51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리밋스위치(51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컨트롤러(4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컨베이어(20)의 지지프레임(21) 또는 랙(10)이나 컨베이어(20) 부근의 미도시된 구조물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리밋스위치(51b)는 스위치돌기(51a)와 접촉가능한 거리에 설치되면 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부재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감지센서(51)는 전술한 바와 달리, 초기화로 설정된 어느 하나의 랙(10)에 설치되는 마그네트 및 초기화로 설정된 위치에 마련되어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리셋신호를 행성하는 홀소자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초기화로 설정된 어느 하나의 랙(10)에 설치되는 반사지와 같은 리플렉터 및 초기화로 설정된 위치에 마련되어 적외선을 조사하고,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광하여 리셋신호를 생성하는 포토센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감지센서(51)는 접촉식이나 비접촉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전송부(53)는 감지센서(51)의 리셋신호를 슬래브 컨트롤러(40)에 전송하여 슬레브 컨트롤러(40)의 카운팅을 초기화하는 것으로써, 감지센서(51)로부터 리셋신호가 인가될 경우, 리셋신호를 슬래브컨트롤러(40)의 제어부(47)에 인가함으로써, 제어부(47)에 의해 카운팅되는 랙(10)의 순서를 초기화한다.
한편, 리셋수단은 전술한 이동감지센서(45) 및 감지탭(45a)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감지탭(45a)은 전술한 바와 같이 랙(10)들의 일측에 제각기 마련되면서, 초기화로 설정된 어느 하나의 랙(10)에는 반사지와 같이 반사광도가 월등하여 감지감도가 식별되는 부재로 구성되어 카운팅의 리셋지점을 제공한다.
즉, 제어부(47)는 이동감지센서(45)를 통해 감지탭(45a)의 이동을 감지하여 랙(10)들을 카운팅하면서, 감지감도가 식별되는 감지탭(45a)이 감지되면 카운팅되는 랙(10)의 순서를 초기화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리셋수단이 이동감지센서(45) 및 감지탭(45a)으로 구성될 경우, 전술한 감지센서(51) 및 전송부(53)의 구성없이도 카운팅되는 랙(10)의 순서를 리셋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슬래브 컨트롤러(40)는 이동감지센서(45) 및 감지탭(45a)을 통해 랙(10)의 순서를 카운팅하는 동시에 랙(10)의 순서를 초기화할 수 있으며, 추가센서(48)를 통해 랙(10)들의 이동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보관장치는 수동스위치(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동스위치(80)는 슬래브컨트롤러(40)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20)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1)에 설치되어 슬래브컨트롤러(40)에 연결되며, 수동으로 조작되는 버튼을 통해 전술한 구동모터(27)를 제어하여 랙(10)들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거나 비상정지시킨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보관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컨트롤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컨트롤러(60)는 전술한 입력기(30)에 연결되며, 입력기(30)에서 인가되는 관리번호 데이터에 의해 슬래브 컨트롤러(40)를 제어하는 부재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로 구성되어 슬래브 컨트롤러(40) 및 컨베이어(20)를 제어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마스터 컨트롤러(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컨트롤러(40) 및 컨베이어(20)가 복수로 구성될 경우 효과적이다. 즉, 마스터 컨트롤러(60)는 컨베이어(20) 및 슬래브 컨트롤러(40)가 복수로 구성되어 랙(10)들이 제각기 이동하는 복수의 이동라인을 형성할 경우, 입력기(30)에서 인가되는 관리번호 데이터에 의해 복수의 슬래브 컨트롤러(40)를 제각기 제어한다.
또한, 마스터컨트롤러(60)는 입력기(30)에서 입력되는 관리번호(N)에 따른 관리번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인가할 수도 있다. 즉, 마스터컨트롤러(60)는 관리번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기(30)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보관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70)는 마스터 컨트롤러(60)에 연결되어 관리번호 데이터를 인가받으며, 인가된 관리번호 데이터나 전원을 슬래브 컨트롤러(40)로 분배하는 부재로써, 슬래브 컨트롤러(40)가 복수로 구성될 경우 마련되고, 복수의 슬래브 컨트롤러(40)들 중에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랙(10)이 위치한 슬래브 컨트롤러(40)에 관리번호 데이터나 전원을 할당하여 분배한다.
이러한 분배기(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컨트롤러(60)와 분리되어 각각의 컨베이어(20)에 설치된 슬래브 컨트롤러(40)에 연결되어 관리번호 데이터를 분배하며, 도시된 바와 달리, 마스터 컨트롤러(60)와 일체로 구성되어 관리번호 데이터를 분배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마스터 컨트롤러(60) 또는 분배기(70)는 관리번호 데이터를 전술한 무선통신기(35)를 통해 슬래브 컨트롤러(40)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연결케이블(CL)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부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고객이 세탁을 위한 물품(G)을 보관하거나 찾을 경우, 관리자는 입력기(30)를 통해 물품(G)을 구분하는 관리번호(N)를 입력한다.
이때, 입력기(30)는 입력되는 관리번호(N)를 기반으로 관리번호 데이터, 즉 물품(G)의 보관될 랙(10)의 순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관리번호 데이터를 무선통신기(35)를 통해 컨베이어(20)에 전송한다.
예컨대, 관리번호 데이터는 랙(10)이 10개로 구성되어 순차적으로 연결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51)의 스위치돌기(51a)가 설치된 랙(10)을 첫번째로 하여 열번째까지로 순차적으로 구분된다.
한편, 관리번호 데이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20)가 복수로 구성될 경우, 마스터컨트롤러(60)에서 생성되어 분배기(70)를 통해 인가되며,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랙(10)이 위치한 컨베이어(20)를 제어하는 슬래브 컨트롤러(40)로 무선통신기(35)를 통해 인가된다.
슬래브 컨트롤러(40)는 인가된 관리번호 데이터에 따라 무선통신기(35)를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컨베이어(20)의 구동모터(27)를 구동시키고, 회전판(28)은 구동모터(27)에 의해 회전하면서 랙(10)들을 레일(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때, 회전판(28) 및 랙(10)은 마찰패드(29)에 의해 슬립없이 회전한다.
또한, 슬래브 컨트롤러(40)는 랙(10)들을 이동감지센서(45)를 통해 감지하고, 제어부(47)가 감지된 랙(10)의 순서를 카운팅하면서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랙(10)을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47)는 감지센서(51)의 감지에 의해 전송부(53)에서 전송되는 리셋신호를 인가받으면서 카운팅의 순서를 초기화하여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랙(10)을 검색한다.
예컨대, 제어부(47)는 다섯번째의 관리번호 데이터를 갖는 랙(10)을 검색할 경우, 이동감지센서(45)를 통해 랙(10)의 순서를 카운팅하면서 다섯번째의 랙(10)을 검색하며, 감지센서(51)의 스위치돌기(51a)가 리밋스위치(51b)와 스위칭되면 랙(10)의 순서를 첫번째로 초기화하여 카운팅하면서 다섯번째의 랙(10)을 검색한다.
따라서, 제어부(47)는 슬립이나 물품(G)의 하중때문에 발생되는 랙(10)의 오버턴 또는 언더턴으로 인한 카운팅의 오작동을 리셋수단을 통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7)는 관리번호에 해당하는 랙(10)이 검색될 경우, 검색된 랙(10)을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컨베이어(2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관리자는 설정위치에 정지된 랙(10)에 물품(G)을 보관하거나 보관된 물품(G)을 꺼낸다.
한편, 랙(10)은 컨베이어(20)가 정지되면서 회전관성이나 물품(G)의 하중에 의한 압력에 의해 설정위치에 정지하지 못하고, 설정위치로부터 전진하거나 후진하여 정지한다. 이때, 제어부(47)가 추가센서(48) 및 연산부(48a)에 의해 랙(10)의 이동방향을 감지하여 랙(10)을 설정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수동스위치(80)가 관리자에 의해 제어되어 랙(10)을 설정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제어부(47)는 연속적으로 다른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랙(10)을 검색할 경우, 설정된 시간 동안 컨베이어(20)의 구동을 정지하고, 설정된 시간이 과된 후 컨베이어(20)를 재작동시키는 자동모드로 작동할 수 있으며, 수동스위치(80)를 통해 컨베이어(20)를 수동으로 재작동시키는 수동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7)의 동작상태 및 검색예정인 관리번호 데이터는 램프(44) 및 디스플레이(46)를 통해 관리자에 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의 보관장치는, 슬래브 컨트롤러(40)가 랙(10)의 순서를 카운팅하면서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랙(10)을 검색하므로, 랙(10)의 각각에 별개의 고유인식부재를 구비하지 않고도 정확하게 랙(10)을 검색할 수 있다.
또, 랙(10)이 연결핀(13)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걸림편(11)으로 구성되므로, 랙(10)을 컨베이어(20)에 의해 순환하는 순환식이나 컨베이어(20)에 의해 왕복하는 왕복식과 같은 다양한 이동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컨베이어(20)가 레일(23), 롤러(25) 및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랙(10)들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특히, 구동모터(27)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28)이 랙(10)의 일측을 가압하면서 이동시키므로 랙(10)들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슬래브 컨트롤러(40)가 이동감지센서(45)를 통해 랙(10)들의 이동을 감지하므로 이동하는 랙(10)의 순서를 정확하게 카운팅하여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랙(10)을 검색할 수 있다.
더욱이, 이동감지센서(45)가 포토센서로 구성될 경우, 슬래브 컨트롤러(40)가 더욱 정확하게 랙(10)들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추가센서(48)로 구성되는 이동방향 감지기에 의해 랙(10)들의 이동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감지된 랙(10)의 이동방향을 통해 랙(10)의 위치이탈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리셋수단에 의해 랙(10)의 카운팅이 초기화되므로 카운팅의 오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리셋수단이 복수의 랙(10)들 중 어느 하나의 랙에 마련되는 감지센서(51)를 통해 리셋지점을 인식하므로, 랙(10)들 각각을 점검할 필요없이 감지센서(51)가 구비된 랙(10)만을 점검함으로써 유지보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 슬래브컨트롤러(40)에 디스플레이(46)가 마련될 경우, 제어부(47)에 의해 검색 또는 검색예정인 관리번호 데이터가 표시되므로, 슬래브 컨트롤러(40)의 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덧붙여, 슬래브 컨트롤러(40)가 행거브래킷(49a) 및 볼트(49b)로 구성된 패스너(49)에 의해 컨베이어(20)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이동하는 랙(10)에 의한 진동에도 분리되거나 유동없이 랙(10)들을 검색할 수 있다.
한편, 마스터 컨트롤러(60) 및 분배기(70)에 의해 슬래브 컨트롤러(40)가 제어되고 관리번호 데이터가 분배되므로, 컨베이어(20) 및 슬래브 컨트롤러(40)를 복수로 구성하여 독립적인 복수의 이동라인을 운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랙 11 : 걸림편
13 : 연결핀 20 : 컨베이어
21 : 지지프레임 23 : 레일
25 : 롤러 27 : 구동모터
28 : 회전판 29 : 마찰패드
30 : 입력기 35 : 무선통신기
35a,35b,35c : 무선통신모듈 40 : 슬래브컨트롤러
43 : 케이스 44 : 램프
45 : 이동감지센서 45a : 감지탭
46 : 디스플레이 47 : 제어부
48 : 추가센서 49 : 패스너
49a : 행거브래킷 49b : 볼트
51 : 감지센서 60 : 마스터컨트롤러
70 : 분배기 80 : 수동제어기

Claims (8)

  1. 물품이 보관되며,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랙;
    상기 랙들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랙에 보관되는 상기 물품의 관리번호가 입력되고, 입력되는 관리번호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관리번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입력기;
    상기 입력기에서 인가되는 상기 관리번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랙들을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랙들의 순서를 카운팅하는 슬래브 컨트롤러; 및
    상기 입력기의 관리번호 데이터를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에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상기 컨베이어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는,
    상기 랙들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센서; 및
    상기 이동감지센서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랙들이 이동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카운팅하면서 상기 입력기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랙을 검색하여, 상기 관리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랙이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래브컨트롤러의 이동감지센서와 함께 상기 랙의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이동방향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방향감지기는,
    상기 이동감지센서와 이격설치되어 상기 이동감지센서와 함께 상기 랙들의 이동을 감지하는 추가센서 및;
    상기 추가센서와 상기 이동감지센서에서 제각기 인가되는 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랙들의 이동방향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물품의 보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물품이 걸려서 보관되는 걸림편; 및
    상기 걸림편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편을 또 다른 걸림편과 연속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물품의 보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랙들이 이동하는 레일;
    상기 레일에 결합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랙들에 제각기 연결되어 상기 랙들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롤러; 및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랙들에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물품의 보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에 의해 카운팅되는 상기 랙들의 순서를 리셋시켜서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의 카운팅을 초기화하는 리셋수단;을 더 포함하는 물품의 보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수단은,
    상기 랙들 중 초기화로 설정된 어느 하나의 랙이 초기화로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여 리셋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리셋신호를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에 전송하여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의 카운팅을 초기화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물품의 보관장치.
  6. 물품이 보관되며,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랙;
    상기 랙들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랙에 보관되는 상기 물품의 관리번호가 입력되고, 입력되는 관리번호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관리번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입력기;
    상기 입력기에서 인가되는 상기 관리번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랙들을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랙들의 순서를 카운팅하는 슬래브 컨트롤러; 및
    상기 입력기의 관리번호 데이터를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에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상기 컨베이어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에 의해 카운팅되는 상기 랙들의 순서를 리셋시켜서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의 카운팅을 초기화하는 리셋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셋수단은,
    상기 랙들 중 초기화로 설정된 어느 하나의 랙이 초기화로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여 리셋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리셋신호를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에 전송하여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의 카운팅을 초기화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물품의 보관장치.
  7. 삭제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와 연결되고, 상기 입력기에서 인가되는 상기 관리번호 데이터에 의해 상기 슬래브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마스터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물품의 보관장치.
KR1020110065895A 2011-07-04 2011-07-04 물품의 보관장치 KR101095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895A KR101095037B1 (ko) 2011-07-04 2011-07-04 물품의 보관장치
PCT/KR2012/005314 WO2013005990A1 (ko) 2011-07-04 2012-07-04 물품의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895A KR101095037B1 (ko) 2011-07-04 2011-07-04 물품의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037B1 true KR101095037B1 (ko) 2011-12-20

Family

ID=4550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895A KR101095037B1 (ko) 2011-07-04 2011-07-04 물품의 보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5037B1 (ko)
WO (1) WO201300599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083B1 (ko) 2013-11-07 2014-04-09 유지훈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출고 장치
KR101597271B1 (ko) * 2014-08-21 2016-02-24 유지훈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
KR20180002826U (ko) * 2017-03-24 2018-10-04 다이후쿠코리아 (주) 반송 설비의 캐리어 번호 인식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594B1 (ko) 2008-05-26 2010-11-2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2803B2 (ja) * 1993-12-28 2002-08-12 マツダ株式会社 倉庫管理装置
JP2005289605A (ja) * 2004-04-02 2005-10-20 Meidensha Corp 物品管理システム
KR20080069720A (ko) * 2006-12-14 2008-07-29 권혁숙 알에프 태그를 이용한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594B1 (ko) 2008-05-26 2010-11-2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083B1 (ko) 2013-11-07 2014-04-09 유지훈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출고 장치
KR101597271B1 (ko) * 2014-08-21 2016-02-24 유지훈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
KR20180002826U (ko) * 2017-03-24 2018-10-04 다이후쿠코리아 (주) 반송 설비의 캐리어 번호 인식 시스템
KR200487854Y1 (ko) 2017-03-24 2018-11-13 다이후쿠코리아 (주) 반송 설비의 캐리어 번호 인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5990A1 (ko)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9802B2 (ja) 搬送方法、搬送装置および搬送システム
US1184232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toring and retrieving retail store product inventory
JP2021183545A (ja) ボット位置検出
EP2417044B1 (e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7667602B2 (en) Multi-directional RFID reader for controlling inventory and shelf stock
US9592960B2 (en) Order-picking method and order-picking rack accessible from two sides
US2019008028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cking objects in a retail store utilizing changes in reads from sets of product rfid tags
US9576417B2 (en) Item pusher apparatus with channel-based shuttle displacement detection and associated methods
KR101095037B1 (ko) 물품의 보관장치
EP2874924B1 (en) Portal data reader indicator light control
EP3062124A1 (en) Determining a position of an agent
KR101858828B1 (ko) 택배차량용 컨베이어 장치
WO2012122414A2 (en) Linear dispensing system with universal escapement
KR20170028586A (ko) 물품 자동분류시스템과 이의 운영방법
KR101797656B1 (ko) 멀티자판기의 상품위치 검출장치
KR20080069720A (ko) 알에프 태그를 이용한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 시스템
EP4190670A1 (en) Contactless power feeding device
EP1742182B1 (en) Method for monitoring items passing through an entry/exit opening in a delimited space and apparatus to carry out such method
KR20150142702A (ko)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품이송장치, 및 오프라인 쇼핑 방법
US10600026B2 (en) Stocking level indication system and method
ITPI20070131A1 (it)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del carico di un carrello
US20200183397A1 (en) Method for handling goods
CN113692384B (zh) 具有能自动切换色彩的醒目器的仓库管理系统、分拣和仓储系统和分拣方法
JP7155491B2 (ja) 商品補充用制御装置、及び商品補充システム
KR101160800B1 (ko) 입출고 제어 관리 전동 모빌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