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586A - 물품 자동분류시스템과 이의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물품 자동분류시스템과 이의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586A
KR20170028586A KR1020150125386A KR20150125386A KR20170028586A KR 20170028586 A KR20170028586 A KR 20170028586A KR 1020150125386 A KR1020150125386 A KR 1020150125386A KR 20150125386 A KR20150125386 A KR 20150125386A KR 20170028586 A KR20170028586 A KR 20170028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tilting
article
shaf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1829B1 (ko
Inventor
권기덕
김남욱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주)티에스피지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주)티에스피지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Priority to KR1020150125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8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28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자동분류시스템과 이의 운영방법은 이송하는 물품을 해당 분류 구역에서 낙하시켜 분류하는 분류시스템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한 쌍의 스프라켓이 양립하여 설치되고, 양측 스프라켓을 연결한 체인 한 쌍이 양립하여 무한궤도로 이루도록 설치된 이송컨베이어; 양립된 체인을 가로질러 연결 고정된 트레이프레임, 트레이프레임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되면서 물품이 얹혀지는 트레이와, 트레이를 축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레버작동부를 구비한 다수의 분류장치;를 포함하고, 레버작동부는 물품의 분류 구역들마다 설치되고, 각 물품의 해당 분류구역에서 낙하하도록 개별 동작하여 해당 트레이를 축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물품 자동분류시스템과 이의 운영방법{System for automatic sorting product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대량의 물품을 빠르고 정확하게 분류하기 위한 물품 자동분류시스템과 이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자가 생산한 물품은 주문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지역 및 장소에 따라 정확히 분류되어 배달된다.
일례로, 약품의 경우 다종목 다량의 약품 통 또는 약품 상자는 해당 주문에 따라 정확히 분류한 후 배송하게 된다. 즉, 지역별 대리점, 주문자인 병원 또는 약국 등에서 주문한 각각의 양품 및 개수 등이 맞춰 약품을 배달하기 위해 자동분류장치를 이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약품 자동분류장치는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28916호(자동 약품 분류장치)와, 등록특허 제1194189호(발명의 명칭 : 약품보관 및 약품 인출입 자동화 관리시스템)에서와 같이 컨베이어벨트로 이동하는 약품 통 또는 약품 상자의 바코드를 바코드리더기로 인식하여 분류하고, 바코드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약품 통 또는 약품 상자를 로봇암으로 들어올린 후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들 약품 자동분류장치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시간당 분류 작업 효율이 낮아 대형 창고에서 대량의 약품을 다수의 주문자에 맞춰 분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와 더불어 약품 이외에 택배회사의 물품 등 다양한 제품에 대해 보다 많은 종류 및 수량을 보다 더 빠른 시간 내에 분류할 수 있도록 한 단계 개량된 기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8916호(2010.12.08.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4189호(2012.10.25. 공고)
상기된 요구에 부합되도록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의 물품에 대해 표면에 부착된 표식을 신속히 인식한 후 해당 구역에서 인출함으로써, 대량 및 다양한 물품을 단시간에 분류할 수 있도록 한 물품 자동분류시스템과 이의 운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은 이송하는 물품을 해당 분류 구역에서 낙하시켜 분류하는 분류시스템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한 쌍의 스프라켓이 양립하여 설치되고, 양측 스프라켓을 연결한 체인 한 쌍이 양립하여 무한궤도로 이루도록 설치된 이송컨베이어; 양립된 체인을 가로질러 연결 고정된 트레이프레임, 트레이프레임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되면서 물품이 얹혀지는 트레이와, 트레이를 축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레버작동부를 구비한 다수의 분류장치;를 포함하고, 레버작동부는 물품의 분류 구역들마다 설치되고, 각 물품의 해당 분류구역에서 낙하하도록 개별 동작하여 해당 트레이를 축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분류장치는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된 틸팅돌기를 관통하면서 트레이프레임에 삽입되는 트레이축, 트레이프레임에 왕복 이동하도록 삽입되는 틸팅축을 더 구비하고, 틸팅축은 표면에 가공된 틸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트레이프레임에 트레이축과 틸팅축이 장착된 상태에서 트레이축이 이동하면 틸팅홈에 틸팅돌기가 수용되어 트레이가 축회전하고, 트레이축이 복귀하면 틸팅홈과 틸팅돌기가 어긋나 트레이도 축회전에서 복귀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틸팅축에서 틸팅홈 근처에 가공된 이탈방지홈과, 트레이에서 틸팅돌기 근처에 가공되어 이탈방지홈에 수용되는 이탈방지돌기를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트레이축의 왕복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류장치는 물품을 분류하기 위해 트레이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면서 일면이 곡면을 이루는 틸팅레버, 틸팅레버를 시소운동하도록 설치된 실린더와, 트레이가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복귀하는 이동 경로 상에 일면이 곡면을 이루는 복귀레버를 구비한 레버작동부를 더 구비하고, 틸팅레버가 시소운동하면서 틸팅축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틸팅축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트레이가 복귀하는 도중에 복귀레버가 틸팅축의 타단부와 접촉하여 반대방향으로 복귀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분류장치는 트레이에 물품을 올려놓기 전과 후를 검지하여 물품의 유무를 측정하는 한 쌍의 제1검지센서, 트레이에 올려진 물품의 표시부를 검지하는 제2검지센서, 트레이를 검지한 시점을 원점으로 하여 트레이의 이동 거리 또는 이동 시간을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 제1접촉부재, 제2접촉부재 및 제3접촉부재, 물품 분류구역마다 트레이 하측에 설치된 안내패널, 안내패널을 따라 낙하한 물품을 담는 수집함과, 수집함을 출하 장소로 이동시키는 배출컨베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검지센서는 트레이에 가공된 검지슬롯을 관통하여 물품을 검지하는 포토센서 또는 레이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리측정센서는 트레이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엔코더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트레이의 축회전 상태를 복원시키기 위해 제1접촉부재는 트레이의 전진 수평이동구간에서 수직이동구간으로 이동하는 트레이의 축회전 각도를 좁히도록 트레이와 접촉하게 고정되고, 제2접촉부재는 트레이의 전진 수직이동구간에서 트레이가 수직이 되도록 트레이와 접촉하게 고정되며, 제3접촉부재는 트레이의 복귀 수평이동구간에서 트레이가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트레이와 접촉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체인은 다수의 메인롤러, 메인롤러들을 연결하는 인너 플레이트와 아우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제작되고, 메인롤러는 보조롤러가 관통하도록 설치된 베어링과, 베어링 외면에 가공된 코팅부를 구비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체인은 메인롤러들 사이에 일정 패턴으로 배치되어 인너 플레이트와 아우터 플레이트로 연결되는 다수의 보조롤러와, 트레이프레임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아우터 플레이트에 가공된 돌기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이송컨베이어는 메인프레임의 양측 스프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메인롤러의 코팅부 하부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면을 구비하는 체인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이 체인프레임은 코팅부의 이탈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코팅부 하부를 수용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한 쌍의 안내날개, 코팅부의 상부를 가리도록 돌출된 커버와, 커버와 체인을 가리도록 고정된 가리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검지센서들 사이에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공급장치;를 더 포함하고, 공급장치는 물품이 담긴 보관함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공급컨베이어와, 물품을 옮긴 이후 빈 보관함을 회수하도록 설치된 회수컨베이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품의 종류와 물품이 배송될 장소를 미리 저장하고, 이송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에 적용하여 해당 분류구역에서 물품을 분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이송컨베이어를 작동시키고, 제1검지센서, 제2검지센서 또는 거리측정센서에서 트레이 또는 물품의 정보를 수신하며, 해당 분류구역에 해당 트레이 가 도착하면 틸팅레버가 트레이축을 밀도록 실린더를 제어하고, 공급컨베이어 또는 회수컨베이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된 본 발명의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의 운영방법은,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작동하는 이송컨베이어에 장착된 트레이가 비어있는지 1차 검지하는 제10단계(S10); 해당 트레이에 물품을 탑재하는 제11단계(S11); 해당 트레이에 물품이 탑재되었는지 2차 검지하는 제12단계(S12); 물품에 부착된 표시부를 검지하는 제13단계(S13); 해당 트레이의 이동 거리 또는 이동 시간을 측정하는 제14단계(S14); 해당 트레이가 해당 분류구역에 도달하면 트레이를 축회전시켜 물품을 낙하시키는 제15단계(S15); 해당 트레이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는 제16단계(S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2단계(S12)에서 트레이에 관통된 검지슬롯 위에 물품을 올리고, 제10단계(S10)와 제12단계(S12)에서 검지슬롯을 관통하여 물품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4단계(S14)에서 엔코더가 트레이를 감지한 시점을 원점으로 하여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5단계(S15)에서 해당 트레이가 해당 분류구역에 도달하면 실린더를 통해 틸팅레버를 작동시키고, 틸팅레버의 곡면에 해당 트레이의 트레이축 일단측이 접촉하여 일측으로 밀리고, 트레이축의 틸팅홈이 트레이의 틸팅돌기를 수용하도록 이동하면 해당 트레이가 축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6단계(S16)에서 해당 트레이가 복귀하는 동안 뒤집히면서 축회전 상태가 원위치로 복귀하고, 돌출된 트레이축의 타단측이 복귀레버의 곡면과 접촉하여 트레이축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해당 트레이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량의 물품을 단시간에 지역별, 대리점별, 주문자별로 신속히 분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컨베이어의 체인에서 체인프레임과 접촉하는 메인롤러에 우레탄 재질의 코팅부를 부착하여 소음과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수단의 구동부가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체인이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인이 체인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체인과 체인프레임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트레이의 체결부위가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도 9과 도 10에 도시된 트레이의 작동 상태가 나타난 측면도와 작동 상태도이다.
도 15와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구동원의 작동 상태가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17과 도 18은 도 4에서 트레이의 하측이 도시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탑재구간이 확대된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물품 자동분류시스템 이용하여 물품을 분류하는 운영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은 일방향 무한궤도를 이루어 회전하도록 설치된 이송컨베이어(100) 위에 일정 크기의 물품을 올려놓으면, 분류장치(200)가 물품의 표식을 검지하여 해당 위치에서 분류하도록 이루어진 장치이다. 이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은 개별 물품을 해당 지역별 또는 대리점별로 분류할 수도 있고, 주문자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주소별로 분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은 물류창고에서 물품을 분류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약품을 포함하여 표면에 바코드, RFID 또는 QR코드 등의 표시부가 부착된 거의 모든 물품을 분류 보관하거나 보관된 물품을 분류하여 출하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에 대해 물품을 약품 통 또는 약품 상자를 일례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약품 통 또는 약품 상자는 개인이 소지하여 먹을 수 있는 소단위의 작은 크기일 수도 있고, 지역 대리점, 병원 또는 약국에 공급하는 중/대 단위의 큰 크기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은 약국에서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위해 소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고, 약품 제조회사 또는 물류 창고에서 지역 대리점이나 약국 또는 병원에 대량으로 공급하기 위해 대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바코드, RFID 또는 QR코드 등을 포함한 표시부가 표면에 부착된 소단위의 작은 크기의 약품으로 하여 설명하고, '약품상자'로 통칭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된 '전진'은 약품 또는 악품상자를 분류하기 위한 트레이가 이동하는 방향을 지칭하고, '복귀'는 분류 이후 트레이가 원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수단의 구동부가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체인이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인이 체인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체인과 체인프레임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트레이의 체결부위가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도 9과 도 10에 도시된 트레이의 작동 상태가 나타난 측면도와 작동 상태도이다. 도 15와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구동원의 작동 상태가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17과 도 18은 도 4에서 트레이의 하측이 도시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탑재구간이 확대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무한궤적을 이루어 물품을 이송하도록 설치된 이송컨베이어(100), 분류장치(200), 공급장치(300)와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은 이송컨베이어(100)를 통해 물품이 이송하는 동안을 각 구간으로 구분하여 보면, 탑재구간(L1), 검지구간(L2)과 이송/분류구간(L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탑재구간(L1)에는 작업자가 물품을 이송컨베이어(100)에 올려놓을 수 있는 공급장치(300)가 설치되고, 물품이 올려지기 전과 이후를 검지하는 제1검지센서가 설치되어 물품의 존재 유무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또한, 검지구간(L2)에는 물품의 표시부를 검지하여 물품의 종류, 물품이 분류될 구역 등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검지센서가 설치된다. 또한, 이송/분류구간(L3)에는 이송된 물품을 해당 구역에서 낙하시키기 위한 다수의 분류장치(200)가 설치된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송컨베이어(100)는 약품상자를 이송시키도록 설치되고, 다종의 약품상자를 각각의 해당 위치에서 분류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이 이송컨베이어(100)는 메인프레임(110), 구동부(120), 스프라켓(130), 체인(140)과 체인프레임(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프라켓(130)과 체인(140)은 풀리와 벨트로 대체될 수도 있고, 이외에도 분류장치(200)를 이동시키면서 후술된 트레이(210, 도 2와 도 3 참조)의 하향 축회전을 간섭하지 않는 통상의 기구로 대체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인프레임(110)은 다종의 약품상자를 종류별, 배송 지역별 또는 배송 주소별로 분류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제작된다. 이 메인프레임(110)의 측면상 양측에는 체인(140)이 감겨진 스프라켓(130)이 고정되고, 일측에 스프라켓(130)을 구동시키도록 구동부(120)가 설치된다. 물론, 스프라켓(130), 체인(140), 구동부(120)와, 체인(140)에 설치된 분류장치(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또한, 메인프레임(11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트레이(210)가 틸팅된 상태에서 체인(140)이 하향 이동할 때 스프라켓(130)들이 양측에 장착된 연결축(131)과의 접촉을 회피키면서 수직의 상태를 유도하도록 제1접촉부재(111)와, 제2접촉부재(11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제1접촉부재(111)는 완충 재질이면서 스프라켓(130) 근처의 메인프레임(110)의 가로 바(bar)에 설치될 수 있고, 제2접촉부재(112)는 롤러 형태이면서 트레이(210)를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110)에는 체인(140)이 회귀 이동할 때, 자중에 의해 트레이(210)가 수평인 상태가 되지만, 수평 상태가 되지 않은 트레이(210)를 수평 상태로 눕히기 위해 제3접촉부재(11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제3접촉부재(113)는 롤러 형태일 수 있고, 후술된 복귀레버(252)의 설치 위치보다 더 이전에 설치된다.
또한, 구동부(120)는 어느 하나 또는 한 쌍 또는 2쌍의 스프라켓(130)을 회전시키도록 메인프레임(110)에 장착되고, 제어부 또는 작업자에 의해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또, 스프라켓(13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메인프레임(110)의 측면상 길이방향의 양측에 고정되고, 평면상 폭방향으로 2개, 측면상 상/하 방향으로 2개씩 설치된다. 즉, 메인프레임(110)의 측면상 일측에만 4개씩 설치된다. 이들 스프라켓(130)은 수평으로 위치한 스프라켓(130)들 간에는 상호 연결축(131)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체인(140)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메인프레임(110)에 평면상 폭방향 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각각 1개씩 설치되고, 좀 더 자세하게는 체인(140) 1개가 양측 4개의 스프라켓(130)에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감기며, 타측 역시 다른 체인(140) 1개가 양측 4개의 스프라켓(130)에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감아서 설치된다. 따라서, 체인(140)은 평면상 메인프레임(110)의 폭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1개씩 각각 4개의 스프라켓(130)에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장착된다. 이 체인(140)은 도 4에서와 같이 적어도 1개의 메인롤러(141), 메인롤러(141)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보조롤러(142)와, 이들 메인롤러(141)와 보조롤러(142)를 연결하여 체결된 인너 플레이트(143)와 아우터 플레이트(144)를 구비하여 제작된다. 여기서, 메인롤러(141)는 체인프레임(150)에 접촉하면서 구름 운동을 하는 롤러로, 외면에 코팅부(146)가 가공된 베어링(145)을 보조롤러(142)에 설치하여 제작된다. 여기서, 코팅부(146)는 소음방지와 내마모성 재질의 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2개의 메인롤러(141)들 사이에 2개의 보조롤러(142)가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고, 모든 롤러를 메인롤러(141)로 배치할 수도 있으며, 이외의 다양한 패턴으로 배치 가능하다. 따라서,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메인롤러(141)와 체인프레임(150) 간의 접촉만 발생하게 되고, 보조롤러(142)는 접촉하기 않게 된다. 이는 체인(140) 이동시 체인프레임(150)과 롤러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소음을 감소시킴은 물론 롤러 및 체인(140)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체인(140)은 스프라켓(130)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스프라켓(130)과 스프라켓(130) 사이에 설치된 체인프레임(150)의 안내 및 지지를 받게 된다. 여기서, 체인(140)의 아우터 플레이트(144)들 중 일정 간격마다 후술된 트레이프레임(220)을 고정시키기 위해 외향 돌출된 돌기부(147)를 구비하고,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여기서, 체인프레임(150)은 도 3과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라켓(130)들 사이에서 체인(140)이 처지거나 이동위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이 체인프레임(150)은 체인(140)의 메인롤러(141) 코팅부(146)의 하부와 접촉하는 지지면(151)과, 메인롤러(141)의 상부를 가리도록 돌출된 커버(152)를 구비하여 제작된다. 또한, 체인프레임(150)은 체인(140)이 전진할 때, 코팅부(146)의 하부가 끼워져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면(151)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안내날개(15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코팅부(146), 즉 메인롤러(141)의 하부는 안내날개(153) 사이에 끼워지면서 지지면(151)과 접촉하여 이동하게 되고, 보조롤러(142)는 지지면(151) 또는 안내날개(153)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체인프레임(150)과 롤러 간의 마찰이 최소화되면서 소음이 감소되고,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체인(140)이 복귀할 때, 코팅부(146)의 하부가 커버(152)의 내면과 접촉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 체인프레임(150)은 메인프레임(110)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홈이 가공될 수 있고, 커버(152)와 체인(140)을 가릴 수 있도록 가리개(미도시)를 고정시킬 수 홈이 더 가공될 수 있다.
한편, 분류장치(200)는 도 10 내지 도 14에서 보듯이, 트레이(210), 제1검지센서, 제2검지센서, 트레이프레임(220), 트레이축(230), 틸팅축(240), 거리측정센서, 레버작동부(250), 안내패널(260), 수집함(270)과 배출컨베이어(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트레이(210)는 대략 평판 형상이고, 일측부에 축회전을 위해 돌출 가공된 적어도 1개의 틸팅돌기(211)와, 중앙부위에 약품상자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관통하도록 가공된 검지슬롯(212)을 구비한다. 이 트레이(210)는 틸팅돌기(211)의 반대측 면을 제외한 3면에 상향 돌출된 턱이 가공될 수 있고, 틸팅돌기(211) 근처에 이탈방지돌기(213)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검지센서는 검지슬롯(212)을 통해 트레이(210)에 약품상자가 존재하는지를 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 제1검지센서는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될 수 있고, 레이저 센서인 경우 트레이(210)의 상/하부에 각각 발광/수광부 및 반사판이 설치될 수 있으며, 포토 센서인 경우 트레이(210)의 상/하부에 각각 발광/수광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제1검지센서는 작업자가 약품상자를 트레이(210)에 올려놓기 이전과 이후, 2곳에 설치되고, 작업 전의 트레이(210)를 검지하고, 작업 후의 트레이(210)를 검지하여 작업 후 약품상자가 얹혀진 상태로 이동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로 송부하게 된다.
또, 제2검지센서는 트레이(210)에 약품상자가 얹혀져 제1검지센서를 통과하면 약품상자에 부착된 표시부(바코드, QR코드, RFID태그)를 인식하는 센서로, 바코드 리더기, QR코드 리더기 또는 RFID태그 리더기일 수 있다. 물론, 표시부의 종류에 따라 그를 인식할 수 있는 리더기가 된다. 이 제2검지센서에서 인식한 정보를 제어부가 수신하고, 해당 약품상자가 분류되어야할 구역을 지정한 후 분류장치(200)의 레버작동부(25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프레임(220)은 평면상 폭방향으로 양립된 체인(140)들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양측부가 각각 체인(140)의 아우터 플레이트(144)의 돌기부(147)에 고정되어 체인(140)과 함께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이 트레이프레임(220)는 트레이(210)의 숫자만큼 설치되고, 틸팅축(240)과 트레이축(230)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가공된다. 또한 트레이프레임(220)은 트레이(210)가 하방향으로 축회전하여 트레이프레임(220)의 일부위와 직접 닿아 손상을 입는 경우를 배제하기 위해 트레이(210)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214)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축(230)은 트레이(210)가 트레이프레임(220)에 대해 축회전할 수 있도록 대략 봉(棒) 형상으로, 틸팅돌기(211)를 관통하면서 트레이프레임(220)에 장착된다.
또, 틸팅축(240)은 트레이프레임(220)에 장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표면에 가공된 적어도 1개의 틸팅홈(241)을 구비하며, 이탈방지홈(24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틸팅축(240)은 강도가 크고 마모성에 강한 아세탈 재질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틸팅홈(241)은 도 12에서와 같이 측면상 일측면이 경사지게 가공되고, 이는 틸팅돌기(211)가 수용된 후 이탈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틸팅홈(241)과 틸팅돌기(211)는 도 11과 도 12에서와 같이 상호 어긋나 트레이(210)가 수평인 상태를 초기 상태로 하고, 도 13과 도 14에서와 같이 틸팅축(240)이 틸팅레버(251)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하면 틸팅홈(241)에 틸팅돌기(211)가 위치하여 트레이(210)가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도 12와 도 14에서와 같이 이탈방지홈(242)에는 이탈방지돌기(213)가 수용된 상태에서 왕복 이동함으로써, 틸팅축(240)이 왕복 이동하는 동안 틸팅축(24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거리측정센서는 이동하는 트레이(210) 또는 약품상자를 감지하는 순간 이동 거리의 원점으로 설정하고, 트레이(210)의 이동 거리 또는 시간을 제어부에 실시간으로 송신한다. 이때, 트레이(210)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엔코더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레버작동부(250)는 트레이(210)를 축회전시키기 위해 틸팅축(240)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는 도 12, 도 14,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이 틸팅레버(251), 복귀레버(252), 실린더(253)와, 실린더(253)와 틸팅레버(251)를 메인프레임(110)에 고정시키는 장착브라켓(2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레버작동부(250)는 약품상자를 분류하는 각 구역마다 설치된다.
여기서, 틸팅레버(251)는 체인(140)을 따라 이동하는 틸팅축(240)의 일단측 부위와 접촉하여 틸팅축(240)을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면이 곡면(또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가공되고, 실린더(253)에 의해 축회전 또는 시소운동(이하 '시소운동'으로 통칭한다)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복귀레버(252)는 도 2에서 보듯이 체인(140)이 복귀할 때, 틸팅축(240)의 타단측 부위와 접촉하여 틸팅축(240)을 복귀시키도록 일면이 곡면을 이루어 가공되고, 메인프레임(110)에 고정된다.
또, 실린더(253)는 틸팅레버(251)를 시소운동시키고, 약품상자의 표시부를 감지한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약품상자가 분류 구역에 도달하면 실린더(253)가 동작하여 틸팅레버를 시소운동시키도록 제어된다. 이때, 실린더(253)는 틸팅레버(251)가 체인(140)의 이동속도에 따라 해당 틸팅축(240)만 접촉할 수 있는 속도로 시소운동을 하도록 작동된다. 이를 위해 실린더(253)의 스트로크를 짧게 하고, 순간 동작을 위해 인접하게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패널(260)은 트레이(210)가 틸팅되어 약품상자가 낙하하는 각 분류 구역마다 도 1, 도 17과 도 18에서와 같이 안내패널(260)이 설치된다. 이 안내패널(260)은 트레이(210)에서 낙하하는 약품상자를 수집함(270)으로 안내하도록 경사바닥면을 가지고, 각 분류 구역마다 메인프레임(110)에 장착된다. 또한, 안내패널(260)마다 바닥면에는 제품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부착되고, 경광등이 설치된다. 이 센서는 하측의 박스에 약품상자가 어느 높이 이상 쌓이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를 통하거나 또는 직접 경광등을 점등 또는 점멸시켜 작업자에게 알리도록 설치된다.
또한, 수집함(270)은 이송컨베이어(100)에서 하측에서 벗어난 위치에 각 분류 구역에 해당하는 만큼의 개수를 배치한다. 이 수집함(270)에는 약품상자가 채워진 상태를 감지하고, 가득차면 신호를 제어부를 통하거나 또는 직접 경광등을 점등 또는 점멸시켜 작업자에게 알리도록 설치된다. 이 센서는 높이를 감지할 수도 있고, 무게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 배출컨베이어(280)는 수집함(270)에 분류된 물품을 출하하기 위한 적재장소로 운반하기 위해 이송컨베이어(100) 근처에 설치된다. 이 배출컨베이어(280)는 약품 상자가 분류되어 일시 담아두는 수집함(270)이 가득 차면 작업자가 옮겨 적재장소로 운반하게 된다. 물론, 옮겨진 수집함(270) 대신 새로운 빈 수집함(270)이 놓이게 된다.
한편, 공급장치(300)는 이송컨베이어(100)에 분류할 약품상자를 작업자가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 공급장치(300)는 도 19에서 보듯이, 개별 약품상자가 담긴 다수의 보관함(310)을 작업자에게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320)와, 작업이 완료된 보관함(310)을 회수시키는 회수컨베이어(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공급컨베이어(320)는 작업자가 당해 보관함(310)으로 작업할 때는 정지하였다가 당해 보관함(310)의 작업이 끝나면 다음 보관함(310)을 이송하도록 작동하고, 회수컨베이어(330)는 정지된 상태에서 작업이 끝난 보관함(310)이 얹혀지면 작동하도록 각종 센서가 설치될 수 있고, 이 센서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즉, 공급컨베이어(320)와 회수컨베이어(330)는 작업자의 작업 속도에 따라 작동 및 정지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제어부는 공급장치(300)의 공급컨베이어(320), 회수컨베이어(330), 이송컨베이어(100), 구동부(120), 제1검지센서, 제2검지센서 등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의 전원 및 각종 센서를 제어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제2검지센서가 약품상자의 표시부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는 해당 트레이(210)에 대해 후속공정을 정지시키고, 이송/분류구간(L3) 이전 또는 이후에 트레이(210)를 축회전시켜 약품상자를 낙하시킨다. 이 약품상자는 별도로 수집하여 다시 트레이(210)에 올려놓게 된다.
<작동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공급장치(300)의 공급컨베이어(320) 및 회수컨베이어(330)와, 구동부(120)에 의한 이송컨베이어(100)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상태를 전제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어느 하나의 트레이(210)의 동작에 따라 약품상자를 분류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이는 해당 트레이(210) 이외의 모든 트레이(210)에 적용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물품 자동분류시스템 이용하여 물품을 분류하는 운영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제1검지센서가 이송컨베이어(100)를 따라 이동하는 어느 하나의 트레이(210)를 1차 검지하여 약품상자가 없음을 검지한다(S10). 이때, 트레이(210)에 가공된 검지슬롯(212)을 통해 약품상자가 없음을 검지한다.
다음으로, 탑재구간(L1)에서 작업자가 공급장치(300)에서 공급된 약품상자를 해당 트레이(210)에 올려 놓는다(S11). 물론, 트레이(210)의 검지슬롯(212) 위에 위치하도록 놓는다.
다음으로, 제1검지센서가 해당 트레이(210)를 2차 검지하여 약품상자가 있음을 검지한다(S12). 이때, 제1검시센서가 검지슬롯(212)을 통해 약품의 존재를 검지한다. 트레이(210)에 약품상자가 없는 경우 이를 제어부에 전송하면 제어부는 해당 트레이(210)에 대해 후속 공정에서 제외시키도록 제어하고, 트레이(210)에 약품상자가 있는 경우 후속 공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2검지센서가 해당 트레이(210)의 약품상자의 표시부를 검지한다(S13). 제2검지센서의 정보는 제어부로 송신된다.
다음으로, 거리측정센서가 해당 트레이(210)를 인지하는 순간을 원점으로 하고, 해당 트레이(210)의 이동 거리 또는 이동 시간을 측정한다(S14). 이 거리측정센서의 정보는 제어부로 송신된다.
다음으로, 해당 트레이(210)가 분류 구역에 도달하면 해당 트레이(210)가 축회전하여 약품상자를 낙하시킨다(S15). 도 11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트레이(210)의 정보를 토대로 해당 분류 구역에 도달하면 제어부가 실린더(253)를 작동시켜 틸팅레버(251)를 시소운동시키면 틸팅레버(251)의 일면과 접촉한 틸팅축(240)이 일측으로 밀리게 되고, 틸팅돌기(211)가 틸팅홈(241)에 위치하면서 트레이(210)가 하향 축회전하게 된다. 이때, 낙하된 약품상자는 안내패널(260)을 따라 수집함(270)으로 이동된다. 또한, 수집함(270)에 약품상자가 가득 차면, 이 수집함(270)을 배출컨베이어(280)로 옮기고 새 수집함(270)을 교체하여 배치한다.
끝으로, 이송컨베이어(100)를 따라 이동한 트레이(210)가 뒤집힌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복원되어 탑재구간(L1)으로 이동한다(S16). 이송컨베이어(100)가 일방향으로 수평이동, 수직이동 후 다시 반대 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 복귀하게 되면 트레이(210)도 따라 이동하면서 뒤집힌 상태가 되어 중력 및 자중에 의해 원위치인 수평으로 복원된다. 여기서, 트레이(210)의 원위치 복귀를 위해 이동하는 동안 제1접촉부재(111) 제2접촉부재(112) 및 제3접촉부재(113)가 트레이(210)와 접촉되어 트레이(210)가 뒤집힌 상태에서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트레이(210)가 뒤집혀 수평인 상태에서 복귀레버(252)가 틸팅축(240)을 원위치로 밀어 복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이송컨베이어 110:메인프레임
111:제1접촉부재 112:제2접촉부재
113:제3접촉부재 120:구동부
130:스프라켓 131:연결축
140:체인 141:메인롤러
142:보조롤러 143:인너 플레이트
144:아우터 플레이트 145:베어링
146:코팅부 147:돌기부
150:체인프레임 151:지지면
152:커버 153:안내날개
200:분류장치 210:트레이
211:틸팅돌기 212:검지슬롯
213:이탈방지돌기 214:완충부재
220:트레이프레임 230:트레이축
240:틸팅축 241:틸팅홈
242:이탈방지홈 250:레버작동부
251:틸팅레버 252:복귀레버
253:실린더 254:장착브라켓
260:안내패널 270:수집함
280:배출컨베이어
300:공급장치 310:보관함
320:공급컨베이어 330:회수컨베이어
L1:탑재구간 L2:검지구간
L3:이송/분류구간.

Claims (14)

  1. 이송하는 물품을 해당 분류 구역에서 낙하시켜 분류하는 분류시스템에 있어서,
    메인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한 쌍의 스프라켓(130)이 양립하여 설치되고, 양측 스프라켓(130)을 연결한 체인(140) 한 쌍이 양립하여 무한궤도로 이루도록 설치된 이송컨베이어(100);
    상기 양립된 체인(140)을 가로질러 연결 고정된 트레이프레임(220), 트레이프레임(220)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되면서 물품이 얹혀지는 트레이(210)와, 트레이(210)를 축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레버작동부(250)를 구비한 다수의 분류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작동부(250)는 물품의 분류 구역들마다 설치되고, 각 물품의 해당 분류구역에서 낙하하도록 개별 동작하여 해당 트레이(210)를 축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 물품 자동분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장치(200)는 트레이(210)의 일측에 마련된 틸팅돌기(211)를 관통하면서 트레이프레임(220)에 삽입되는 트레이축(230), 트레이프레임(220)에 왕복 이동하도록 삽입되는 틸팅축(240)을 더 구비하고,
    상기 틸팅축(240)은 표면에 가공된 틸팅홈(241)을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프레임(220)에 트레이축(230)과 틸팅축(240)이 장착된 상태에서 트레이축(230)이 이동하면 틸팅홈(241)에 틸팅돌기(211)가 수용되어 트레이(210)가 축회전하고, 트레이축(230)이 복귀하면 틸팅홈(241)과 틸팅돌기(211)가 어긋나 트레이(210)도 축회전에서 복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틸팅축(240)에서 틸팅홈(241) 근처에 가공된 이탈방지홈(242)과, 상기 트레이(210)에서 틸팅돌기(211) 근처에 가공되어 이탈방지홈(242)에 수용되는 이탈방지돌기(213)를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트레이축(230)의 왕복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설치된 물품 자동분류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장치(200)는 물품을 분류하기 위해 트레이(210)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면서 일면이 곡면을 이루는 틸팅레버(251), 틸팅레버(251)를 시소운동하도록 설치된 실린더(253)와, 트레이(210)가 이송컨베이어(100)를 따라 복귀하는 이동 경로 상에 일면이 곡면을 이루는 복귀레버(252)를 구비한 레버작동부(250)를 더 구비하고,
    상기 틸팅레버(251)가 시소운동하면서 틸팅축(240)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틸팅축(240)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트레이(210)가 복귀하는 도중에 복귀레버(252)가 틸팅축(240)의 타단부와 접촉하여 반대방향으로 복귀시키도록 이루어진 물품 자동분류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장치(200)는 트레이(210)에 물품을 올려놓기 전과 후를 검지하여 물품의 유무를 측정하는 한 쌍의 제1검지센서, 트레이(210)에 올려진 물품의 표시부를 검지하는 제2검지센서와 트레이(210)를 검지한 시점을 원점으로 하여 트레이(210)의 이동 거리 또는 이동 시간을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 제1접촉부재(111), 제2접촉부재(112) 및 제3접촉부재(113), 물품 분류구역마다 트레이(210) 하측에 설치된 안내패널(260), 안내패널(260)을 따라 낙하한 물품을 담는 수집함(270)과, 수집함(270)을 출하 장소로 이동시키는 배출컨베이어(28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검지센서는 트레이(210)에 가공된 검지슬롯(212)을 관통하여 물품을 검지하는 포토센서 또는 레이저센서이며,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트레이(210)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엔코더를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210)의 축회전 상태를 복원시키기 위해 제1접촉부재(111)는 트레이(210)의 전진 수평이동구간에서 수직이동구간으로 이동하는 트레이(210)의 축회전 각도를 좁히도록 트레이(210)와 접촉하게 고정되고, 제2접촉부재(112)는 트레이(210)의 전진 수직이동구간에서 트레이(210)가 수직이 되도록 트레이(210)와 접촉하게 고정되며, 제3접촉부재(113)는 트레이(210)의 복귀 수평이동구간에서 트레이(210)가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트레이(210)와 접촉하게 고정되어 이루어진 물품 자동분류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140)은 다수의 메인롤러(141), 메인롤러(141)들을 연결하는 인너 플레이트(143)와 아우터 플레이트(1434를 포함하여 제작되고,
    상기 메인롤러(141)는 보조롤러(142)가 관통하도록 설치된 베어링(145)과, 베어링(145)의 외면에 가공된 코팅부(146)를 구비하여 제작된 물품 자동분류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140)은 메인롤러(141)들 사이에 일정 패턴으로 배치되어 인너 플레이트(143)와 아우터 플레이트(1434로 연결되는 다수의 보조롤러(142)와, 트레이프레임(220)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아우터 플레이트(1434에 가공된 돌기부(147)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물품 자동분류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100)는 메인프레임(110)의 양측 스프라켓(130)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메인롤러(141)의 코팅부(146) 하부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면(151)을 구비하는 체인프레임(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인프레임(150)은 코팅부(146)의 이탈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코팅부(146) 하부를 수용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한 쌍의 안내날개(153), 코팅부(146)의 상부를 가리도록 돌출된 커버(152)와, 커버(152)와 체인(140)을 가리도록 고정된 가리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물품 자동분류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검지센서들 사이에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공급장치(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장치(300)는 물품이 담긴 보관함(310)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공급컨베이어(320)와, 물품을 옮긴 이후 빈 보관함(310)을 회수하도록 설치된 회수컨베이어(3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물품 자동분류시스템.
  9.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종류와 물품이 배송될 장소를 미리 저장하고, 이송컨베이어(100)로 이송되는 물품에 적용하여 해당 분류구역에서 물품을 분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송컨베이어(100)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검지센서, 제2검지센서 또는 거리측정센서에서 트레이(210) 또는 물품의 정보를 수신하며, 해당 분류구역에 해당 트레이(210)가 도착하면 틸팅레버(251)가 트레이축(230)을 밀도록 실린더(253)를 제어하고, 공급컨베이어(320) 또는 회수컨베이어(33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물품 자동분류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의 운영방법은,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작동하는 이송컨베이어(100)에 장착된 트레이(210)가 비어있는지 1차 검지하는 제10단계(S10);
    상기 해당 트레이(210)에 물품을 탑재하는 제11단계(S11);
    상기 해당 트레이(210)에 물품이 탑재되었는지 2차 검지하는 제12단계(S12);
    상기 물품에 부착된 표시부를 검지하는 제13단계(S13);
    상기 해당 트레이(210)의 이동 거리 또는 이동 시간을 측정하는 제14단계(S14);
    상기 해당 트레이(210)가 해당 분류구역에 도달하면 트레이(210)를 축회전시켜 물품을 낙하시키는 제15단계(S15);
    상기 해당 트레이(210)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는 제16단계(S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의 운영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단계(S12)에서 트레이(210)에 관통된 검지슬롯(212) 위에 물품을 올리고, 제10단계(S10)와 제12단계(S12)에서 검지슬롯(212)을 관통하여 물품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도록 이루어진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의 운영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4단계(S14)에서 엔코더가 트레이(210)를 감지한 시점을 원점으로 하여 이동 거리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의 운영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5단계(S15)에서 해당 트레이(210)가 해당 분류구역에 도달하면 실린더(253)를 통해 틸팅레버(251)를 작동시키고, 틸팅레버(251)의 곡면에 해당 트레이(210)의 트레이축(230) 일단측이 접촉하여 일측으로 밀리고, 트레이축(230)의 틸팅홈(241)이 트레이(210)의 틸팅돌기(211)를 수용하도록 이동하면 해당 트레이(210)가 축회전하도록 이루어진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의 운영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6단계(S16)에서 해당 트레이(210)가 복귀하는 동안 뒤집히면서 축회전 상태가 원위치로 복귀하고, 돌출된 트레이축(230)의 타단측이 복귀레버(252)의 곡면과 접촉하여 트레이축(23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해당 트레이(210)가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자동분류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150125386A 2015-09-04 2015-09-04 물품 자동분류시스템과 이의 운영방법 KR101721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386A KR101721829B1 (ko) 2015-09-04 2015-09-04 물품 자동분류시스템과 이의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386A KR101721829B1 (ko) 2015-09-04 2015-09-04 물품 자동분류시스템과 이의 운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586A true KR20170028586A (ko) 2017-03-14
KR101721829B1 KR101721829B1 (ko) 2017-03-31

Family

ID=5846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386A KR101721829B1 (ko) 2015-09-04 2015-09-04 물품 자동분류시스템과 이의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829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5285A (zh) * 2017-12-05 2018-03-30 昆山精讯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面板分等装置
CN108247936A (zh) * 2018-01-11 2018-07-06 安徽纳赫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内饰件冲压下料机构
CN108639692A (zh) * 2018-06-29 2018-10-12 中国重型机械研究院股份公司 一种拉伸机侧上料装置及方法
CN109178864A (zh) * 2018-11-14 2019-01-11 江苏省南扬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焊管内焊筋去除系统
CN109225904A (zh) * 2018-10-09 2019-01-18 湖北新日电动车有限公司 一种电动车包装自动分拣输送线
CN109335633A (zh) * 2018-11-28 2019-02-15 新百丽鞋业(深圳)有限公司 一种产品传输装置
CN109807078A (zh) * 2019-03-28 2019-05-28 舟山海山机械密封材料股份有限公司 金属密封垫片磁悬浮防震称重挑选装置
CN111086844A (zh) * 2020-03-09 2020-05-01 昆山市嘉源昊泽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真空焊接炉的轨道搬运装置
KR102277623B1 (ko) * 2020-12-02 2021-07-15 씨제이대한통운 (주) 물품 분류 시스템 및 물품 분류 방법
KR102328162B1 (ko) * 2021-04-26 2021-11-18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물품 분류 시스템 및 분류 방법
CN115382790A (zh) * 2022-09-07 2022-11-25 深圳市本特利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雷管的质量检测装置
CN117800054A (zh) * 2024-03-01 2024-04-02 广东赛斐迩物流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慧仓库的仓储管理系统及操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766A (ko) 2017-11-20 2019-05-29 원황희 물품거래서류 자동 발행 및 분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1853B1 (ko) 2019-07-12 2020-03-20 원황희 물품거래서류 자동 발행 및 분류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080U (ja) * 1991-12-05 1993-06-29 有限会社武藤選果機製作所 農産物の選別装置
JPH08175647A (ja) * 1994-12-21 1996-07-09 Ishii Ind Co Ltd 搬送物選別装置
KR20100128916A (ko) 2009-05-29 2010-12-08 (주)제이브이엠 자동 약품 분류장치
KR101194189B1 (ko) 2010-04-06 2012-10-25 (주)제이브이엠 약품보관 및 약품 인출입 자동화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080U (ja) * 1991-12-05 1993-06-29 有限会社武藤選果機製作所 農産物の選別装置
JPH08175647A (ja) * 1994-12-21 1996-07-09 Ishii Ind Co Ltd 搬送物選別装置
KR20100128916A (ko) 2009-05-29 2010-12-08 (주)제이브이엠 자동 약품 분류장치
KR101194189B1 (ko) 2010-04-06 2012-10-25 (주)제이브이엠 약품보관 및 약품 인출입 자동화 관리시스템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5285A (zh) * 2017-12-05 2018-03-30 昆山精讯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面板分等装置
CN107855285B (zh) * 2017-12-05 2024-06-04 昆山精讯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面板分等装置
CN108247936A (zh) * 2018-01-11 2018-07-06 安徽纳赫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内饰件冲压下料机构
CN108639692B (zh) * 2018-06-29 2024-03-01 中国重型机械研究院股份公司 一种拉伸机侧上料装置及方法
CN108639692A (zh) * 2018-06-29 2018-10-12 中国重型机械研究院股份公司 一种拉伸机侧上料装置及方法
CN109225904A (zh) * 2018-10-09 2019-01-18 湖北新日电动车有限公司 一种电动车包装自动分拣输送线
CN109225904B (zh) * 2018-10-09 2023-10-10 湖北新日电动车有限公司 一种电动车包装自动分拣输送线
CN109178864A (zh) * 2018-11-14 2019-01-11 江苏省南扬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焊管内焊筋去除系统
CN109335633A (zh) * 2018-11-28 2019-02-15 新百丽鞋业(深圳)有限公司 一种产品传输装置
CN109807078A (zh) * 2019-03-28 2019-05-28 舟山海山机械密封材料股份有限公司 金属密封垫片磁悬浮防震称重挑选装置
CN109807078B (zh) * 2019-03-28 2024-04-19 舟山海山机械密封材料股份有限公司 金属密封垫片磁悬浮防震称重挑选装置
CN111086844A (zh) * 2020-03-09 2020-05-01 昆山市嘉源昊泽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真空焊接炉的轨道搬运装置
KR102277623B1 (ko) * 2020-12-02 2021-07-15 씨제이대한통운 (주) 물품 분류 시스템 및 물품 분류 방법
KR102328162B1 (ko) * 2021-04-26 2021-11-18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물품 분류 시스템 및 분류 방법
CN115382790B (zh) * 2022-09-07 2023-10-27 深圳市本特利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雷管的质量检测装置
CN115382790A (zh) * 2022-09-07 2022-11-25 深圳市本特利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雷管的质量检测装置
CN117800054A (zh) * 2024-03-01 2024-04-02 广东赛斐迩物流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慧仓库的仓储管理系统及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829B1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829B1 (ko) 물품 자동분류시스템과 이의 운영방법
JP7496388B2 (ja) アイテムを仕分ける方法および材料取り扱いシステム
CN112896965B (zh) 带有运载工具的物料处理设备
US9199792B2 (en) Sorting and distributing system
US11654456B2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and manual sorting of items using a dynamically configurable sorting array
US9483897B2 (en) Linear dispensing system with universal escapement
CA2263649C (en) Belt-carried tilt tray sorter
US9181034B2 (en) Overhead conveyor system for conveying packaging trays
US78094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der picking of articles into order containers
WO1998008759A9 (en) Belt-carried tilt tray sorter
US119264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transport pockets into a conveying system of a hanging conveying installation, and the hanging conveying installation
JP6641431B2 (ja) 果菜自動選別方法と、果菜載せ体と、果菜自動選別装置
WO2018203921A1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and manual sorting of items using a dynamically configurable sorting array
JP4875425B2 (ja) 農産物の選別装置
US20230391558A1 (en) Conveying system having product dispensing monitoring
US20140041991A1 (en) Checking station, separating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piece goods
JP6166583B2 (ja) 果菜自動選別箱詰め装置
JP2020083519A (ja) 物品の仕分け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