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278B1 - 커넥터하우징 - Google Patents

커넥터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278B1
KR100995278B1 KR1020080063015A KR20080063015A KR100995278B1 KR 100995278 B1 KR100995278 B1 KR 100995278B1 KR 1020080063015 A KR1020080063015 A KR 1020080063015A KR 20080063015 A KR20080063015 A KR 20080063015A KR 100995278 B1 KR100995278 B1 KR 100995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using body
housing
connector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949A (ko
Inventor
이동기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3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2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몸체(11)와,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일측에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탄성변형을 통해 상대커넥터의 체결턱(54)에 그 일부가 걸어지는 체결레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레버(20)에는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을 향하도록 돌출되게 체결음발생부(30)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레버(20)가 상기 체결턱(54)에 걸어지는 과정에서 상대커넥터의 외면에 부딪히면서 체결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두 커넥터 사이가 제대로 결합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체결음에 의해 이를 확인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어셈블리, 커넥터하우징, 체결음

Description

커넥터하우징{Connector housing}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터미널이 수납되는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커넥터는 상대커넥터와 결합하여 상대커넥터의 상대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작동하게 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커넥터어셈블리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제1커넥터(1)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수납되고, 상기 제1커넥터(1)의 외면에는 체결후크(3)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후크(3)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탄성변형을 통해 후술할 제2커넥터(5)의 체결공(5)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제1커넥터(1)에는 제2커넥터(5)가 결합된다. 상기 제2커넥터(5)는 상기 제1커넥터(1)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에 상대터미널이 수납되어, 상기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5)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커넥터(1)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커넥터(5)에는 체결공(5)이 형성되어, 상기 제1커넥터(1)의 상기 체결후크(3)가 걸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커넥터(1)와 상기 제2커넥터(5)가 서로 체결되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5) 사이의 조립작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작업자는 육안으로 체결후크(3)가 체결공(5)에 걸어졌는지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립작업이 매우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체결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워진다.
특히, 상기 체결후크(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되어 외력을 받기 쉬워,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체결후크(3)를 감싸도록 상기 제1커넥터(1)의 외면에 차폐부(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육안으로 체결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더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작업자는 체결후크(3)가 체결공(5)에 걸어지는 순간에 발생되는 체결음에 의존하여 두 커넥터(1,5) 사이의 체결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체결후크(3)는 단순히 상기 체결공(5) 내부에 삽입될 뿐이므로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체결음이 크지 않아 작업자가 제1 및 제2커넥터(1,5) 사이의 체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워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가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큰 체결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터미널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의 일측에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탄성변형을 통해 상대커넥터의 체결턱에 그 일부가 걸어지는 체결레버와, 상기 체결레버에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을 향하도록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체결레버가 상기 체결턱에 걸어지는 과정에서 상대커넥터의 외면에 부딪히면서 체결음을 발생시키는 체결음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음발생부의 내부에 요입되어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구되도록 증폭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외팔보형상으로 연결되는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선단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고 그 일단에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을 향해 걸이턱이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상대커넥터의 체결턱에 걸어지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음발생부는 상기 걸이턱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턱과 함께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된다.
삭제
상기 체결음발생부의 선단에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접촉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레버와 상대커넥터의 체결턱이 걸어지는 과정에서 상대커넥터의 외면을 타격한다.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을 향하는 상기 체결음발생부의 저면에 반구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음발생부는 상기 체결레버의 걸이턱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체결음발생부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을 향한 선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의 작동부 일측에는 상기 걸이턱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누름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누름부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지지바가 구비되어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하우징의 체결레버에 체결음발생부가 구비되어, 두 커넥터 사이가 결합되어 체결레버가 원형으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상대커넥터의 외면을 타격하여 체결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두 커넥터 사이가 제대로 결합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체결음에 의해 이를 확인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이에 결합되는 상대커넥터하우징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도 2는 커넥터하우징 및 상대커넥터하우징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구성이 보이도록 도시하였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하우징(10)의 골격은 하우징몸체(11)가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몸체(11)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내부에는 결합부(12)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12)에는 수납공간(12')이 양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수납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에는 차폐부(13)가 구비된다. 상기 차폐부(13)는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으로부터 아치형상으로 돌출되여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레버(20)의 일부를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몸체(11)에는 체결레버(2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레버(20)는 상기 하우징몸체(11)에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탄성변형을 통해 후술할 상대커넥터하우징(40)의 체결턱(54)에 그 일단이 걸어진다. 즉, 상기 체결레버(2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상대커넥터하우징(40) 사이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레버(20)는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과 연결되는 탄성변형부(21)와, 상기 탄성변형부(21)로부터 연장되는 작동부(22)를 포함하 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변형부(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으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외팔보형상으로 구비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작동부(22)는 상기 탄성변형부(21)의 선단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변형부(21)의 탄성변형에 따라 그 양단이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에 가까운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된다.
상기 작동부(22)의 양단에는 각각 누름부(23)와 체결부(24)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부(23)는 작업자에 의해 실질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부분이고, 상기 체결부(24)는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대커넥터하우징(40)의 체결턱(54)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체결부(24)에는 걸이턱(24')이 돌출되어, 상대커넥터하우징(40)의 체결턱(54)과 서로 걸어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걸이턱(24')은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누름부(23)와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 사이에는 지지바(28)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바(28)는 그 양단이 각각 누름부(23)의 일단과 하우징몸체(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부(23)가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 방향으로 눌리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24)에는 체결음발생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음발생부(30)는 상기 체결부(24)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부(24)의 일부라고 볼 수도 있다. 상기 체결음발생부(3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상대커넥터하우징(40)의 결합과정에서, 상대커넥터하우징(40)의 외면을 타격하여 체결음을 발생시 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음발생부(30)는 체결음이 보다 커질 수 있도록 상기 걸이턱(24')을 중심으로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체결음발생부(30)의 몸체(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그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음발생부(30)가 상대커넥터하우징(40)의 외면을 타격하게 되는 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이는 상기 체결음발생부(30)에 의해 발생되는 체결음이 강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체결음발생부(30)에는 증폭채널(32)이 형성된다. 상기 증폭채널(32)은 그 일단이 개구되도록 상기 체결음발생부(30)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체결음발생부(30)에 의해 발생되는 체결음을 증폭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을 향하는 체결음발생부(30)의 선단에는 접촉돌기(35)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돌기(35)는 상대커넥터하우징(40)의 외면에 실질적으로 접하게 되는 부분으로, 도 3에서 보듯이, 대략 반구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기(35)는 상대커넥터하우징(40)의 외면과 접하는 면적을 줄여 상기 체결음발생부(30)에 의해 발생되는 체결음이 강해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접촉돌기(35)는 삼각뿔이나 사각뿔을 비롯한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고, 상기 체결음발생부(30)에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대커넥터하우징(4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상대커넥터하우징(40)의 골격은 하우징몸체(41)가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몸체(41)에는 내부공 간(42)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42)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결합부(12)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몸체(41)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마찬가지로 수납공간(42')이 형성되어 상대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수납된다.
상기 상대커넥터하우징(40)에는 걸림부(50)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5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체결레버(20)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상대커넥터하우징(4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걸림부(50)는 상기 하우징몸체(41)로부터 판상으로 돌출되는 접촉판(51)과, 상기 접촉판(51)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체결레버(20)의 걸이턱(24')과 걸어지는 체결턱(5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턱(54)에는 경사면(54')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24')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한 커넥터하우징과 상대커넥터하우징이 결합되는 모습이 작업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편의를 위해 상기 도 5a 내지 도 5c는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 구성이 보이도록 도시하였다.
이에 따라, 커넥터하우징(10)과 상대커넥터하우징(40) 사이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작업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터미널을 결합시킨다. 즉,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수납공간(12')에 터미널을 삽입하여 안착시키는 것이다. 상대커넥터하우징(40)에도 이와 마찬가지로 상대터미널을 삽입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을 파지하고 상대커넥터하우징(4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결합부(12)가 상기 상대커넥터하우징(40)의 내부공간(42)을 향하도록 하여 결합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상대커넥터하우징(4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대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체결레버(20)는 상기 상대커넥터하우징(40)의 걸림부(50)와 접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체결레버(20)의 걸이턱(24')은 상기 걸림부(50)의 체결턱(54)을 타고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체결레버(20)는 탄성병형되어 체결레버(20)의 체결부(24)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모습이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체결레버(2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상대커넥터하우징(40)을 더욱 밀착시키면, 상기 체결레버(20)의 걸이턱(24')은 상기 걸림부(50)의 체결턱(54)을 타고 넘어가게 되고, 상기 체결레버(20)는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체결레버(20)와 걸림부(50)가 서로 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레버(20)가 원형으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레버(20)에 구비된 체결음발생부(30)는 상기 상대커넥터하우징(40)의 외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체결음발생부(30)의 일단이 상기 상대커넥터하우징(40)의 외면을 타격하면서 체결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상대커넥터하우징(40)의 외면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상기 체결음발생부(30)의 접촉돌기(35)가 상기 상대커넥터하우징(40)의 외면에 구비된 접촉판(51)을 타격하면서 체결음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차폐부(13)로 인해 체결레버(2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상대커넥터하우징(40)이 제대로 결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이에 결합되는 상대커넥터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 실시예의 한 커넥터하우징과 상대커넥터하우징이 결합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커넥터하우징 11: 하우징몸체
12: 결합부 12': 수납공간
13: 차폐부 20: 체결레버
21: 탄성변형부 22: 작동부
24': 걸이턱 28: 지지바
30: 체결음발생부 32: 증폭채널
35: 접촉돌기 40: 상대커넥터하우징
41: 하우징몸체 50: 걸림부

Claims (8)

  1.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터미널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의 일측에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탄성변형을 통해 상대커넥터의 체결턱에 그 일부가 걸어지는 체결레버와,
    상기 체결레버에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을 향하도록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체결레버가 상기 체결턱에 걸어지는 과정에서 상대커넥터의 외면에 부딪히면서 체결음을 발생시키는 체결음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음발생부의 내부에 요입되어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구되도록 증폭채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외팔보형상으로 연결되는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선단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고 그 일단에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을 향해 걸이턱이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상대커넥터의 체결턱에 걸어지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음발생부는 상기 걸이턱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턱과 함께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음발생부의 선단에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접촉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레버와 상대커넥터의 체결턱이 걸어지는 과정에서 상대커넥터의 외면을 타격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을 향하는 상기 체결음발생부의 저면에 반구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음발생부는 상기 체결레버의 걸이턱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음발생부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을 향한 선 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의 작동부 일측에는 상기 걸이턱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누름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누름부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지지바가 구비되어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KR1020080063015A 2008-06-30 2008-06-30 커넥터하우징 KR100995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015A KR100995278B1 (ko) 2008-06-30 2008-06-30 커넥터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015A KR100995278B1 (ko) 2008-06-30 2008-06-30 커넥터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49A KR20100002949A (ko) 2010-01-07
KR100995278B1 true KR100995278B1 (ko) 2010-11-19

Family

ID=4181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015A KR100995278B1 (ko) 2008-06-30 2008-06-30 커넥터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2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3050A (ko) 2016-10-19 2018-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8844A (ja) * 2005-05-16 2006-11-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8844A (ja) * 2005-05-16 2006-11-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3050A (ko) 2016-10-19 2018-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49A (ko)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385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3161578A (ja) 電気コネクタ
KR100995278B1 (ko) 커넥터하우징
KR100952436B1 (ko) 커넥터
KR100838786B1 (ko) 커넥터하우징
JP5284150B2 (ja) 一対の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JP4475122B2 (ja) コネクタ
KR101001882B1 (ko) 터미널고정구가 구비된 커넥터
JP2009054518A (ja) ロック機能付電気コネクタ
KR102429481B1 (ko) 커넥터
KR100976508B1 (ko) 터미널고정구가 구비된 커넥터
KR20100022841A (ko) 커넥터
JP4475172B2 (ja) コネクタ
KR101520928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JP4285166B2 (ja)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KR200448593Y1 (ko) 커넥터
KR20100070892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어셈블리
KR20200024507A (ko) 커넥터
KR200466410Y1 (ko) 커넥터
KR20150122606A (ko) 자동차용 커넥터 및 이 커넥터 장착 방법
JP3806922B2 (ja) コネクタ
KR101473485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KR20080108822A (ko) 커넥터용 더미캡
JP2012084402A (ja) 端子半挿入検知構造
JP4202308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