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561B1 - 조류 깃털 및 어류 비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류 깃털 및 어류 비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561B1
KR100990561B1 KR1020070082401A KR20070082401A KR100990561B1 KR 100990561 B1 KR100990561 B1 KR 100990561B1 KR 1020070082401 A KR1020070082401 A KR 1020070082401A KR 20070082401 A KR20070082401 A KR 20070082401A KR 100990561 B1 KR100990561 B1 KR 100990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es
minutes
cancer
hours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893A (ko
Inventor
이상문
Original Assignee
이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문 filed Critical 이상문
Priority to KR1020070082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561B1/ko
Priority to JP2010520937A priority patent/JP5735276B2/ja
Priority to US12/673,676 priority patent/US20110111045A1/en
Priority to PCT/KR2008/004675 priority patent/WO2009022842A2/en
Priority to CN200880106864A priority patent/CN101801395A/zh
Priority to EP08793189A priority patent/EP2190444A2/en
Publication of KR20090017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561B1/ko
Priority to US15/229,028 priority patent/US10744165B2/en
Priority to US16/996,201 priority patent/US1168463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57Birds; Materials from birds, e.g. eggs, feathers, egg white, egg yolk or endothelium corneum gigeriae gal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58Rept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 깃털 및 어류 비늘 또는 진피가 변화한 비늘, 비늘이 퇴화하거나 또는 각질화된 변형물, 파충류의 비늘이나 각린층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류 깃털 70 내지 85 중량% 및 어류 비늘 또는 진피가 변화한 비늘, 비늘이 퇴화하거나 또는 각질화된 변형물, 파충류의 비늘이나 각린층 15 내지 30 중량%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 및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증식성 질병인 암의 예방, 경감 및 치료 등 항암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조류 깃털, 우병, 우축, 어류 비늘, 항암, 종양 억제

Description

조류 깃털 및 어류 비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ell proliferative disease comprising mixture of feather of birds and scale of fish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조류 깃털 및 어류 비늘 또는 진피가 변화한 비늘, 비늘이 퇴화하거나 또는 각질화된 변형물, 파충류의 비늘이나 각린층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류 깃털 70 내지 85 중량% 및 어류 비늘 또는 진피가 변화한 비늘, 비늘이 퇴화하거나 또는 각질화된 변형물, 파충류의 비늘이나 각린층 15 내지 30 중량%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형질전환(形質轉換)된 세포의 억제되지 않는 증식과 무질서한 성장 결과로 빚어지는 복합적인 질환으로서, 대부분의 암은 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인 등의 여러 원인에 의해 발암 유전자(oncogene)와 종양억제 유전자(tumor suppressor gene)에 변이가 일어나 발생한다. 암세포는 초기에는 증식하여 인접한 조직에 침투 하여 이를 파괴하다가, 점점 순환계를 침범하여 암 발생부위로부터 멀리 떨어진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되어 결국 개체를 죽게 한다.
이러한 암을 치료하기 위하여 외과적 수술, 방사능 요법, 화학 요법 등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물질들에서 항암 효과를 지닌 성분들이 밝혀져서 이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화학적 항암제들은 세포증식에 작용하여 효능을 발휘하지만, 암세포에 대한 선택성이 없어 정상세포에 오히려 독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암세포에 대한 선택성이 우수하고 독성이 적으며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깃털은 조류에서만 볼 수 있는 표피의 변형물의 일종으로 케라틴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고, 발생학적으로는 포유류의 털이나 파충류의 비늘과 같다. 조류의 깃털은 신체에 접합된 부위인 우병(羽柄), 우병과 연결되어 중앙의 축이 되는 우축(羽軸) 및 우축으로부터 양쪽으로 뻗어나온 많은 수의 우지(羽枝)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지는 소우지에 의해 얽혀서 전체적으로 우판(羽辦)이라는 면을 형성한다. 깃털에는 일반적으로 갈색과 검은색 계통의 멜라닌 색소을 가져 색을 띠고 있으며, 주로 물, 염류 수용액 등의 용매에 녹지 않는 섬유상의 경(硬)단백질군으로 되어 있으며 뼈가 변한 것으로 주성분은 칼슘으로 되어 있고 칼슘고리로 서로 연결되어 통기성이 좋고 구조적인 안전성으로 날기에 적합하다.
어류 비늘은 어류의 표피를 덮고 있는 얇고 단단하게 생긴 작은 조각을 말하는 것으로, 어류의 비늘은 피부 중에서 진피(결합조직으로 된 부분)가 변화된 것으로 일정한 형태를 가지며, 그 수도 종류에 따라 일정하다. 예를 들면 종렬수는 잉어가 33개, 붕어는 27개, 연어는 150개, 송어는 118개를 가지고 있다. 비늘의 화학성분의 비율은 건조유기성분이 41∼84%, 회분(灰分)은 약 59%를 차지한다. 유기성분의 대부분은 경단백질콜라겐이 24%, 이크티레피딘이 76%이다. 잉어는 회분이 29.58%, 그 중에서 Ca3(PO4)2 51.42%, Mg3(PO4)2 6.45%, CaCO3 42.17%로 침착하는 칼슘은 인산염과 탄산염이 거의 등량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비늘은 대개 수산가공공장에서 어류가공 부산물로서 대다수가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며, 일부가 비늘을 가열한 뒤, 분말화하여 단순하게 사료 또는 비료로 이용되기도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천연물을 탐색하여 암세포 증식을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조류의 깃털, 특히 우병 및 우축과, 어류 비늘 또는 진피가 변화한 비늘, 비늘이 퇴화하거나 또는 각질화된 변형물, 파충류의 비늘이나 각린층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우수한 항암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류 깃털 및 어류 비늘 또는 진피가 변화한 비늘, 비늘이 퇴화하거나 또는 각질화된 변형물, 파충류의 비늘이나 각린층의 분말을 이용하여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류 깃털의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류 비늘의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피가 변화된 비늘 등의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구 투여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조류 깃털 및 어류 비늘 또는 진피가 변화한 비늘, 비늘이 퇴화하거나 또는 각질화된 변형물, 파충류의 비늘이나 각린층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되는 조류의 깃털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닭, 오리, 칠면조, 거위, 타조의 깃털을 이용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닭의 깃털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조류의 깃털은 우병(羽柄), 우축(羽軸) 및 우지(羽枝)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류의 깃털의 전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조류의 깃털 중 우병 및 우축 부분만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조류의 깃털의 빛깔을 나타내는 부분은 일반적으로 갈색과 검은색 계통의 멜라닌 색소가 많이 침착되어 있는 부분인데 이러한 부분이 많이 포함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가 더 우수하였으므로, 멜라닌 색소가 많이 포함되는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병 및 우축의 분리와 멜라닌 색소가 많이 침착되어 있는 부분은 조류의 깃털로부터 제한없이 분리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물에 침지하여 수화시킨 다음 물리적인 힘, 예를 들면 칼 등을 이용하여 우병 및 우축 또는 멜라닌 색소가 많이 침착되어 있는 부분을 분리하는 방법을 통해 바람직하게 분리할 수 있다.
침지에 사용하는 물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 수돗물이나 증류수가 바람직하며, 20℃ 내지 77℃의 온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온도가 77℃를 초과하는 경우 표피 조직에 변성을 가져올 수 있으며, 20℃ 미만인 경우 충분히 수화되기가 어렵게 된다. 침지시간은 각 재료의 상태에 따라 충분히 수화되도록 조절할 수 있으나 1분 내지 2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지시간이 1분 미만인 경우 충분히 수화되기가 어려우며, 2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경제성이 떨어지며 조직에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하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류 깃털의 전체 또는 조류 깃털의 우병 또는 우축의 분말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물질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조류의 깃털을 20℃ 내지 77℃의 물에 1분 내지 2시간동안 침지하는 단계; (b) 침지된 깃털을 염도 4.0도 내지 6.0도의 소금물에서 10분 내지 2시간동안 살균하는 단계; (c) 흐르는 물에 잘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깃털을 0.1 내지 0.2 중량%(v/v)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5분 내지 1시간동안 침지 및 살균하는 단계; (e) 상기 깃털을 15℃ 내지 30℃에서 30분 내지 72시간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f) 상기 건조된 깃털을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g) 상기 살균된 깃털에서 우병 또는 우축을 분리하는 단계; (h) 상기 분리된 깃털을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i) 상기 살균된 우병 또는 우축을 분쇄가 용이하도록 2mm 내지 7mm로 절단하는 단계; (j) 상기 절단된 깃털을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k) 상기 절단, 살균된 우병 또는 우축을 분쇄하는 단계; 및 (l) 상기 분쇄물을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물에 침지하여 수화시킴에 있어서, 물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일반 수돗물이나 증류수가 바람직하며, 20℃ 내지 77℃의 온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온도가 77℃를 초과하는 경우 표피 조직에 변성을 가져올 수 있으며, 20℃ 미만인 경우 충분히 수화되기가 어렵게 된다.
침지시간은 각 재료의 상태에 따라 충분히 수화되도록 조절할 수 있으나 1분 내지 2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지시간이 1분 미만인 경우 충분히 수화되기가 어려우며, 2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경제성이 떨어지며 조직에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침지과정 중 증식하는 잡균을 제거하기 위하여 침지된 깃털을 살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살균 방법은 깃털이 변성되지 않는 한 공지의 살균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염도 4.0도 내지 6.0도의 소금물에서 10분 내지 2시간동안 담가 살균하고,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물 1리터 당 1g 내지 2g의 염화나트륨(NaCl)을 첨 가하여 5분 내지 1시간 동안 침지 및 살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침지를 완료하고, 건조시키기 전에 수돗물 또는 증류수를 이용하여 염화나트륨이 남아있지 않도록 세척하여 준다. 이물질의 제거는 침지하는 동안 깃털이 충분히 수화되면, 물리적인 힘을 가해 불순물 등을 세척한다.
상기 세척 단계를 마친 조류 깃털의 건조방법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가능하면 직사광선이 미치지 않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시 1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약 25℃의 실온에서 30분 내지 72시간동안 완전히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하기에 기재한 바와 같은 자외선 조사를 수행한다
우병 및 우축의 분리는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건조시킨 깃털 전체를 사용 할 수도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깃털 중에서 광학적 특성, 다층구조 및 케라틴이 잘 발달된 우병 부위와 다층구조, 케라틴 및 멜라닌 색소가 다량 함유된 우축 부위를 선별한다. 건조시킨 깃털에서 우병 및 우축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우지 및 우판(작은 깃털)을 우축으로부터 물리적 힘을 가해 완전히 분리(뜯어낸다)한다. 추가적으로, 분리된 우병 및 우축에서 상태가 좋지 않거나, 우병의 아랫부위 및 우축의 상단부위가 너무 가늘 경우에는 절단하여 상태가 좋은 부위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하기에 기재한 바와 같은 자외선 조사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에서 분리된 깃털 전체 또는 선별된 우병 및 우축 부위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형태로 분쇄한다. 필요에 따라 분쇄가 용이하도록 미리 잘게(2mm 내지 7mm) 절단할 수 있다.
상기 분쇄된 분쇄물을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한다. 자외선은 10nm 내지 400nm의 파장을 가진 것을 이용하며, 열이 발생되지 않는 자외선 살균기를 분쇄물에서 10 내지 50cm 이격하여 조사한다. 조사시간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10분 내지 2시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되는 어류의 비늘 또는 진피가 변화한 비늘, 비늘이 퇴화하거나 또는 각질화된 변형물, 파충류의 비늘이나 각린층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해산어 중 비늘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숭어, 농어, 쥐노래미, 담수어 중 비늘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잉어, 붕어, 송어의 비늘을 이용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숭어의 비늘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에서 파충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뱀이 바람직하다.
어류의 비늘은 이를 어류에서 제거하여 세척한 것, 바람직하게는 분말화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즉, (a) 어류를 20℃ 내지 77℃의 물에 1분 내지 2시간동안 침지하여, 어류 비늘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세척된 비늘을 0.1 내지 0.2 중 량%(w/v)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5분 내지 1시간동안 침지 및 살균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침지된 비늘을 1 내지 3 중량%(v/v)의 식초 수용액에 15분 내지 20분동안 침지 및 살균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침지된 비늘을 30℃ 내지 70℃에서 5분 내지 48시간동안 건조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건조된 비늘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에서 살균된 비늘을 분쇄가 용이하도록 2mm 내지 7mm로 절단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에서 절단된 비늘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h) 상기 (g) 단계에서 살균된 비늘을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및 (i) 상기 (h) 단계에서 분쇄된 분쇄물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침지, 세척, 건조, 살균, 자외선 처리 등의 과정은 상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다.
아울러, 진피가 변화한 비늘, 비늘이 퇴화하거나 또는 각질화된 변형물, 파충류의 비늘이나 각린층의 분말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즉, (a) 비늘이나 껍질을 사체로부터 물리적인 힘을 가해 분리하는 단계; (b) 분리된 비늘이나 껍질을 염도 4.0도 내지 6.0도의 소금물에 10분 내지 2시간동안 살균하는 단계; (c) 상기 비늘이나 껍질을 1 내지 3%(v/v)의 식초수용액에 10분 내지 20분 동안 침지 및 살균하는 단계; (d) 상기 비늘이나 껍질을 흐르는 물에 잘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e) 상기 세척된 비늘이나 껍질을 20℃ 내지 70℃에서 5분 내지 7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f) 상기 건조된 비늘이나 껍질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g) 상기 비늘이나 껍질을 가로축 및 세로축이 3mm 내지 4mm가 되도록 절단하는 단계; (h) 상기 절단된 비늘이나 껍질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i) 상기 비늘이나 껍질을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및 (j) 상기 분쇄물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침지, 세척, 건조, 살균, 자외선 처리 등의 과정은 상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에서 제조된 각각의 재료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류 깃털 70 내지 85 중량% 및 어류 비늘 또는 진피가 변화한 비늘, 비늘이 퇴화하거나 또는 각질화된 변형물, 파충류의 비늘이나 각린층 15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조류 깃털 80 중량% 및 어류 비늘 또는 진피가 변화한 비늘, 비늘이 퇴화하거나 또는 각질화된 변형물, 파충류의 비늘이나 각린층 2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류의 깃털로서 각각 닭, 오리, 칠면조, 거위 깃털의 우병, 우축을 이용하고, 어류 비늘 또는 진피가 변화한 비늘, 비늘이 퇴화하거나 또는 각질화된 변형물, 파충류의 비늘이나 각린층의 분말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를 직장암 세포를 이식한 누드마우스에 투여하여 암세포 증식 억제 및 예방 효과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아무것도 투여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약 60%이상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보여 우수한 항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암세포 증식을 억제 및 예방할 수 있는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물질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세포증식성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는 10 내지 1000 mg/day/체중kg,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600mg/day/체중kg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양이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질환 및 이의 중증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과 같은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질환은 면역결핍에 의한 질환 및 세포증식성 질환이다. 세포증식성 질환이란 종양에 의해 유발되는 종양성 질병으로 예를 들면 암 질환일 수 있다. 상기 암 질환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대장암, 비장암, 직장암, 폐암, 간암, 위암, 식도암, 췌장암, 담낭암, 신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고환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융모암, 난소암, 유방암, 갑상선암, 뇌암, 두경부암, 악성흑색종, 림프종, 골수암, 연조직 육종, 척추암 등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로는 모든 종류의 용매, 분산매질,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젼, 수성 조성물, 리포좀, 마이크로비드 및 마이크로좀이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투여 경로에 따라 적합한 담체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경구 투여용 담체와 함께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카보하이트레이트(예를 들어, 글루코스, 만노즈, 슈크로즈 또는 덱스트란),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및/또는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조류 깃털의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a) 조류의 깃털을 20℃ 내지 77℃의 물에 1분 내지 2시간동안 침지하는 단계; (b) 침지된 깃털을 염도 4.0도 내지 6.0도의 소금물에서 10분 내지 2시간동안 살균하는 단계; (c) 흐르는 물에 잘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깃털을 0.1 내지 0.2 중량%(v/v)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5분 내지 1시간동안 침지 및 살균하는 단계; (e) 상기 깃털을 15℃ 내지 30℃에서 30분 내지 72시간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f) 상기 건조된 깃털을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g) 상기 살균된 깃털에서 우병 또는 우축을 분리하는 단계; (h) 상기 분리된 깃털을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i) 상기 살균된 우병 또는 우축을 분쇄가 용이하도록 2mm 내지 7mm로 절단하는 단계; (j) 상기 절단된 깃털을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k) 상기 절단, 살균된 우병 또는 우축을 분쇄하는 단계; 및 (l) 상기 분쇄물을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침지, 세척, 건조, 살균, 자외선 처리 등의 과정은 상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다.
아울러, 본 발명은 어류 비늘의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a) 어류를 20℃ 내지 77℃의 물에 1분 내지 2시간동안 침지하여, 어류 비늘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세척된 비늘을 0.1 내지 0.2 중량%(w/v)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5분 내지 1시간동안 침지 및 살균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침지된 비늘을 1 내지 3 중량%(v/v)의 식초 수용액에 15분 내지 20분동안 침지 및 살균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침지된 비늘을 30℃ 내지 70℃에서 5분 내지 48시간동안 건조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건조된 비늘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에서 살균된 비늘을 분쇄가 용이하도록 2mm 내지 7mm로 절단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에서 절단된 비늘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h) 상기 (g) 단계에서 살균된 비늘을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및 (i) 상기 (h) 단계에서 분쇄된 분쇄물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침지, 세척, 건조, 살균, 자외선 처리 등의 과정은 상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진피가 변화된 비늘 등의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상 기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a) 비늘이나 껍질을 사체로부터 물리적인 힘을 가해 분리하는 단계; (b) 분리된 비늘이나 껍질을 염도 4.0도 내지 6.0도의 소금물에 10분 내지 2시간동안 살균하는 단계; (c) 상기 비늘이나 껍질을 1 내지 3%(v/v)의 식초수용액에 10분 내지 20분동안 침지 및 살균하는 단계; (d) 상기 비늘이나 껍질을 흐르는 물에 잘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e) 상기 세척된 비늘이나 껍질을 20℃ 내지 70℃에서 5분 내지 72시간동안 건조하는 단계; (f) 상기 건조된 비늘이나 껍질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g) 상기 비늘이나 껍질을 가로축 및 세로축이 3mm 내지 4mm가 되도록 절단하는 단계; (h) 상기 절단된 비늘이나 껍질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i) 상기 비늘이나 껍질을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및 (j) 상기 분쇄물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침지, 세척, 건조, 살균, 자외선 처리 등의 과정은 상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다.
이러한 상기의 제조방법에서 염도 4.0도 내지 6.0도의 소금물과 3%(v/v)의 식초수용액에 살균하는 단계 및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구 투여 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분은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으며, 경구 투여 방법은 공지된 경구 투여 방법에 의한다.
본 발명의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 및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암의 예방, 경감 및 치료 등 항암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실시도 가능하므로 이들도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1-1> 조류(닭) 깃털 분말의 제조
닭의 깃털을 77℃의 물에 20분 동안 침지하고, 염도 4도의 소금물에서 30분간 담가놓았다. 이를 흐르는 물로 잘 세척한 다음 다시 0.1%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서 10분간 침지하면서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이를 통풍이 잘되는 실온에서 48시간동안 건조시켰다. 건조된 깃털을 자외선 램프(Birtcher사, 미국; 무발열 자외선 램프)로 30cm 이격하여, 자외선을 1시간 동안 조사한 다음 우병과 우축 등의 부분 을 제외한 다른 부분을 물리적 힘(손)을 가하여 제거하였다. 이를 다시 자외선 램프로 30cm 이격하여, 자외선을 1시간 동안 조사한 다음 절단기로 약 5mm간격으로 절단하였다. 자외선 램프로 30cm 이격하여, 자외선을 1시간 동안 조사한 다음 이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립자로 분쇄한 뒤, 자외선 램프로 분쇄물에서 30cm 이격하여, 자외선을 1시간 동안 조사하는 방법으로 닭의 깃털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1-2> 비늘 분말의 제조
숭어의 사체를 50℃의 물에 20분간 침지하고, 겉표면을 부드러운 수세미(또는 칫솔)로 세척한 후 물리적 힘을 가해 비늘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비늘을 잘 세척한 다음 0.1 중량 %(w/v) 소금물에 10분간 침지한 후 다시 1 중량%(v/v)의 식초수에 20분간 침지하였다. 이를 다시 흐르는 물에 잘 세척하여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물질을 제거한 비늘을 실온(약 25℃)에서 24시간동안 완전히 건조한 다음 자외선 램프로 30cm 이격하여, 자외선을 1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이를 절단기로 약 5mm 간격으로 절단한 다음 자외선 램프로 30cm 이격하여, 자외선을 1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다시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립자로 분쇄한 뒤, 자외선 램프로 30cm 이격하여, 자외선을 1시간 동안 조사하는 방법으로 비늘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파충류의 비늘이나 껍질, 각린 중에서 껍질을 사체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껍질을 염도 4.0도의 소금물을 30분간 담그어 놓았다. 이를 흐르는 물로 잘 세척한 다음 다시 1 중량%(v/v)의 식초수에 20분간 침지하였다. 이를 다시 흐르는 물에 잘 세척하여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통풍이 잘되는 실온에서 48시간동안 건조시킨 다음 자외선 램프로 30cm 이격하여, 자외선을 1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절단기로 약 3mm 내지 4mm간격으로 절단한 다음 자외선 램프로 30cm 이격하여, 자외선을 1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이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립자로 분쇄한 뒤, 자외선 램프로 분쇄물에서 30cm 이격하여, 자외선을 1시간 동안 조사하는 방법으로 비늘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1-3>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 및 <1-2>에서 각각 제조된 닭의 깃털의 분말, 숭어 비늘 분말을 각각 80 중량% 및 20 중량%가 되도록 혼합한 후 이를 잘 혼합하여 본 발명의 항암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오리의 깃털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오리 깃털의 분말을 제조한 다음 이를 비늘 분말과 함께 상기 실시예 <1-3>에서와 같이 혼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칠면조의 깃털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칠면조 깃털의 분말을 제조한 다음 이를 비늘 분말과 함께 상기 실시예 <1-3>에서와 같이 혼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거위의 깃털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거위 깃털의 분말을 제조한 다음 이를 비늘 분말과 함께 상기 실시예 <1-3>에서와 같이 혼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본 발명에 따른 항암용 조성물의 항암 효과의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가지는 항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주)켐온 전임상 연구센타(KGLP 인가)에서 인간의 직장암 세포를 이식한 누드마우스를 이용하여 이를 시험하였다.
7주령의 특정병원체 부재(SPF) 흉선제거 BALB/C 누드 마우스(athymic BALB/C nude mouse; SLC Japan, 일본)의 체중을 측정하고 이를 순위화하여 각 군당 10마리씩 6개의 군으로 분리하여 음성 대조군 1군, 양성 대조군 1군 및 실험군 4군으로 사용하였다. 개체식별은 사육상자의 식별라벨과 이어펀치(ear punch)법을 이용하였다.
각 시험군의 구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성별 동물수
(마리)
동물번호 투여량
(mg/kg)
투여횟수
(회/일)
G1 암컷 10 1 내지 10 0 2
G2 암컷 10 11 내지 20 2 0.5
G3 암컷 10 21 내지 30 75 2
G4 암컷 10 31 내지 40 150 2
G5 암컷 10 41 내지 50 300 2
G6 암컷 10 51 내지 60 300 2
G1: 부형제를 투여하는 음성대조군
G2: 양성대조물질을 1회/2일로 복강투여하는 양성대조군
G3-G6: 시험물질 투여군 (단, G6군은 시험물질을 직장암세포 이식 3주전부터 투여한 전 투여 군)
직장암 세포(HCT15)를 37℃ 항온수조에서 최대한 빨리 녹여 RPMI1640(SigmaAldrich, USA) 배양액 10 ml과 잘 섞은 후 1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펠렛에 10% 우태아혈청(FBS; fetal bovine serum)이 함유되어 있는 RPMI1640 배양액 5 ml를 혼합한 후 잘 섞고, 이를 세포배양용 플라스크에 넣어 37℃, 5% CO2의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암세포는 생리식염수에 1 x 107세포/ml로 현탁한 후 각각의 마우스의 피하에 0.3ml씩(3 x 106 세포) 이식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각각의 농도에 따라 부형제인 주사용 멸균증류수(중외제약, 대한민국)에 현탁하고, 분쇄기(homogenizer)를 사용하여 분쇄한 후, 마우스에 경구적으로 각각 75mg/kg체중(G3), 150mg/kg체중(G4) 및 300mg/kg체중(G5)으로 1일에 2회씩 3주간 투여하였다. 한편 실험군 중 전투여군(G6)는 암세포 이식 3주 전부터 마우스에 경구적으로 300mg/kg체중으로 1일에 2회씩 투여하였으며, 암세포 이식 후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3주간 계속 투여하였다.
음성 대조군(G1)은 본 발명에 따른 항암용 조성물 대신 상기 부형제를 경구적으로 1일에 2회씩 3주간 투여하였으며, 양성 대조군(G2)은 본 발명에 따른 항암용 조성물 대신 독소루비신(doxorubicin)을 2mg/kg체중으로 2일에 1회씩 복강에 3주간 투여하였다. 이 때, 독소루비신 용액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상기 부형제에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마우스의 사육은 23± 3℃의 온도 및 55± 15%의 상대습도 하에서 이루어 졌으며, 물과 사료를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종양의 크기 측정은 암세포 접종 후 각각 12일째, 15일째, 19일째 및 22일째에 모든 동물의 종양크기를 측정하였다. 종양의 크기는 장축, 단축 및 높이의 순으로 버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계산식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종양의 크기 = (장축 X 단축 X 높이) ÷ 2
종양 크기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단위 mm3)와 같다.
12일째 15일째 19일째 22일째
G1 48.2 ± 21.9 141.1 ± 39.0 289.0 ± 102.8 704.6 ± 212.4
G2 29.3 ± 16.0 93.7 ± 65.9 149.0 ± 77.6 258.6 ± 160.1
G3 32.2 ± 27.0 100.5 ± 56.9 172.2 ± 71.9 251.9 ± 108.8
G4 53.0 ± 29.1 104.2 ± 63.4 177.2 ± 106.4 235.3 ± 109.3
G5 33.1 ± 24.4 90.4 ± 51.6 180.3 ± 84.7 232.1 ± 121.7
G6 34.5 ± 28.9 96.6 ± 55.8 193.6 ± 78.6 214.2 ± 64.8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한 19일째 및 22일째의 측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한 모든 군(G3 내지 G6)에서 음성대조군(G1)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p<0.05) 종양 부피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고, 22일째(부검일)에 G3 내지 G6군에서는 각각 64.3%, 66.6%, 67.1% 및 69.6%의 종양 억제 효과([1-(투여군 종양부피/음성대조군 종양부피)] x 100(%))를 보였다. 이는 독소루비신을 투여한 군(G2)의 59.5%의 종양 억제 효과보다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한 이상증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체중변화는 하기 표 3(단위 g)과 같이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4일째 11일째 18일째 21일째
G1 19.93 ± 1.67 19.68 ± 1.53 19.80 ± 1.17 18.92 ± 1.29
G2 20.57 ± 0.99 20.51 ± 0.85 19.87 ± 0.99 18.85 ± 1.04
G3 20.58 ± 1.06 20.33 ± 1.08 19.94 ± 1.21 19.41 ± 1.48
G4 19.85 ± 0.51 19.90 ± 0.57 19.74 ± 0.49 19.26 ± 0.64
G5 20.11 ± 1.49 19.93 ± 1.46 19.90 ± 1.54 19.11 ± 1.59
G6 19.68 ± 0.82 19.86 ± 0.50 19.72 ± 0.85 19.16 ± 0.74
이상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종양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제조예 >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 100.0 mg, 옥수수전분 83.0 mg, 유당 175.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0 mg을 균질하게 혼합하여 1캅셀에 360 mg이 함유되도록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였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 및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암의 예방, 경감 및 치료 등 항암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인간직장암세포(HCT-15)를 이식한 누드마우스의 종양 부피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G1: 대조군
G2: 독소루비신 2 mg/kg
G3: 본 발명의 항암용 조성물 75mg/kg
G4: 본 발명의 항암용 조성물 150mg/kg
G5: 본 발명의 항암용 조성물 300 mg/kg
G6: 본 발명의 항암용 조성물 300 mg/kg (전처리)

Claims (17)

  1. (a) 조류의 깃털을 20℃ 내지 77℃의 물에 1분 내지 2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b) 침지된 깃털을 염도 4.0도 내지 6.0도의 소금물에서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살균하는 단계; (c) 흐르는 물에 잘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깃털을 0.1 내지 0.2 중량%(v/v)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5분 내지 1시간 동안 침지 및 살균하는 단계; (e) 상기 깃털을 15℃ 내지 30℃에서 30분 내지 72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f) 상기 건조된 깃털을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g) 상기 살균된 깃털에서 우병 또는 우축을 분리하는 단계; (h) 상기 분리된 깃털을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i) 상기 살균된 우병 또는 우축을 분쇄가 용이하도록 2mm 내지 7mm로 절단하는 단계; (j) 상기 절단된 깃털을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k) 상기 절단, 살균된 우병 또는 우축을 분쇄하는 단계; 및 (l) 상기 분쇄물을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류 깃털의 우병 또는 우축의 분말 70 내지 85 중량% 및
    (a) 어류를 20℃ 내지 77℃의 물에 1분 내지 2시간 동안 침지하여, 어류 비늘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세척된 비늘을 0.1 내지 0.2 중량%(w/v)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5분 내지 1시간 동안 침지 및 살균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침지된 비늘을 1 내지 3 중량%(v/v)의 식초 수용액에 15분 내지 20분 동안 침지 및 살균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침지된 비늘을 30℃ 내지 70℃에서 5분 내지 48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건조된 비늘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에서 살균된 비늘을 분쇄가 용이하도록 2mm 내지 7mm로 절단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에서 절단된 비늘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h) 상기 (g) 단계에서 살균된 비늘을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및 (i) 상기 (h) 단계에서 분쇄된 분쇄물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어류 비늘 분말 15 내지 30 중량%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a) 조류의 깃털을 20℃ 내지 77℃의 물에 1분 내지 2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b) 침지된 깃털을 염도 4.0도 내지 6.0도의 소금물에서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살균하는 단계; (c) 흐르는 물에 잘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깃털을 0.1 내지 0.2 중량%(v/v)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5분 내지 1시간 동안 침지 및 살균하는 단계; (e) 상기 깃털을 15℃ 내지 30℃에서 30분 내지 72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f) 상기 건조된 깃털을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g) 상기 살균된 깃털에서 우병 또는 우축을 분리하는 단계; (h) 상기 분리된 깃털을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i) 상기 살균된 우병 또는 우축을 분쇄가 용이하도록 2mm 내지 7mm로 절단하는 단계; (j) 상기 절단된 깃털을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k) 상기 절단, 살균된 우병 또는 우축을 분쇄하는 단계; 및 (l) 상기 분쇄물을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류 깃털의 우병 또는 우축의 분말 70 내지 85 중량% 및
    (a) 비늘이나 껍질을 사체로부터 물리적인 힘을 가해 분리하는 단계; (b) 분리된 비늘이나 껍질을 염도 4.0도 내지 6.0도의 소금물에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살균하는 단계; (c) 상기 비늘이나 껍질을 1 내지 3%(v/v)의 식초수용액에 10분 내지 20분 동안 침지 및 살균하는 단계; (d) 상기 비늘이나 껍질을 흐르는 물에 잘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e) 상기 세척된 비늘이나 껍질을 20℃ 내지 70℃에서 5분 내지 7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f) 상기 건조된 비늘이나 껍질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g) 상기 비늘이나 껍질을 가로축 및 세로축이 3mm 내지 4mm가 되도록 절단하는 단계; (h) 상기 절단된 비늘이나 껍질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 (i) 상기 비늘이나 껍질을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및 (j) 상기 분쇄물에 1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0분 내지 2시간 동안 조사하여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진피가 변화한 비늘, 비늘이 퇴화하거나 또는 각질화된 변형물, 파충류의 비늘, 파충류의 각린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 15 내지 30 중량%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는 닭, 오리, 칠면조, 거위, 타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는 숭어, 농어, 쥐노래미, 잉어, 붕어 및 송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증식성 질병은 종양성 질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성 질병은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대장암, 비장암, 직장암, 폐암, 간암, 위암, 식도암, 췌장암, 담낭암, 신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고환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융모암, 난소암, 유방암, 갑상선암, 뇌암, 두경부암, 악성흑색종, 림프종, 골 수암, 연조직 육종 및 척추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삭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충류는 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70082401A 2007-08-16 2007-08-16 조류 깃털 및 어류 비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90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401A KR100990561B1 (ko) 2007-08-16 2007-08-16 조류 깃털 및 어류 비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10520937A JP5735276B2 (ja) 2007-08-16 2008-08-12 鳥類の羽毛及び魚類のうろこの混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細胞増殖性疾病の予防及び治療用薬学的組成物
US12/673,676 US20110111045A1 (en) 2007-08-16 2008-08-12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ell proliferative disease comprising mixture of feather of birds and scale of fish as an active ingredient
PCT/KR2008/004675 WO2009022842A2 (en) 2007-08-16 2008-08-12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ell proliferative disease comprising mixture of feather of birds and scale of fish as an active ingredient
CN200880106864A CN101801395A (zh) 2007-08-16 2008-08-12 包含鸟羽毛和鱼鳞的混合物作为活性成分的用于预防和治疗细胞增殖疾病的药物组合物
EP08793189A EP2190444A2 (en) 2007-08-16 2008-08-12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ell proliferative disease comprising mixture of feather of birds and scale of fish as an active ingredient
US15/229,028 US10744165B2 (en) 2007-08-16 2016-08-04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ell proliferative disease comprising mixture of feather of birds and scale of fish as an active ingredient
US16/996,201 US11684639B2 (en) 2007-08-16 2020-08-18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ell proliferative disease comprising mixture of feather of birds and scale of fish as an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401A KR100990561B1 (ko) 2007-08-16 2007-08-16 조류 깃털 및 어류 비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893A KR20090017893A (ko) 2009-02-19
KR100990561B1 true KR100990561B1 (ko) 2010-10-29

Family

ID=4035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401A KR100990561B1 (ko) 2007-08-16 2007-08-16 조류 깃털 및 어류 비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20110111045A1 (ko)
EP (1) EP2190444A2 (ko)
JP (1) JP5735276B2 (ko)
KR (1) KR100990561B1 (ko)
CN (1) CN101801395A (ko)
WO (1) WO20090228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306B1 (ko) * 2006-02-10 2007-10-17 이상문 생체 전자기시그널 감응소재 및 이를 이용한 진단장치
KR100990561B1 (ko) 2007-08-16 2010-10-29 이상문 조류 깃털 및 어류 비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A2834695A1 (en) * 2011-05-02 2012-11-08 Cocky Smart Pty Ltd Avian-based treatment
EP2704730B1 (en) * 2011-05-02 2019-11-13 Cocky Smart Pty Ltd Avian-based treatment for microbial infections
CN104223115B (zh) * 2013-06-17 2017-04-05 史宗洁 鱼鳞胶原蛋白多肽的新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9985A (ja) * 1997-11-04 1999-05-25 Ichimaru Pharcos Co Ltd ケラチン蛋白質加水分解物由来の生理活性作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10555A1 (de) * 1986-03-26 1987-10-01 Sleweon Doe Arzneimittel
JP4109835B2 (ja) * 2001-04-10 2008-07-02 明 岩谷 薬効を有する鯉の抽出物
JP2003023970A (ja) * 2001-07-13 2003-01-28 Yozo Ishizuka 魚のうろこから得られるコラーゲン、キチン質複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食品への利用方法
US20060240117A1 (en) * 2002-12-02 2006-10-26 Lecca Pedro J Snake powder extract for treatment of cancer
JP2005306761A (ja) * 2004-04-20 2005-11-04 Shida Kanzume Kk 抗コルチゾール剤及び抗コルチゾール剤を含有する機能性食品
KR100627157B1 (ko) * 2004-06-23 2006-09-25 오상형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
KR100990561B1 (ko) 2007-08-16 2010-10-29 이상문 조류 깃털 및 어류 비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11139985A (ja) 2010-01-06 2011-07-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汚泥脱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9985A (ja) * 1997-11-04 1999-05-25 Ichimaru Pharcos Co Ltd ケラチン蛋白質加水分解物由来の生理活性作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2842A3 (en) 2009-09-11
US11684639B2 (en) 2023-06-27
US20210085726A1 (en) 2021-03-25
WO2009022842A2 (en) 2009-02-19
US20170027995A1 (en) 2017-02-02
US10744165B2 (en) 2020-08-18
US20110111045A1 (en) 2011-05-12
JP5735276B2 (ja) 2015-06-17
CN101801395A (zh) 2010-08-11
EP2190444A2 (en) 2010-06-02
JP2010536746A (ja) 2010-12-02
KR20090017893A (ko)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463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ell proliferative disease comprising mixture of feather of birds and scale of fish as an active ingredient
KR20130039309A (ko)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RU1783984C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средства дл компенсации недостатка минеральных солей в организме
Üstün et al. Regenerative activity of Hericium erinaceus on axonal injury model using in vitro laser microdissection technique
KR100989249B1 (ko) 조류 깃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증식을 억제 및예방할 수 있는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조성물
JP2010106024A (ja) 癌治療及び予防用薬学的組成物、これを含む癌改善並びに予防用健康機能食品
RU2275924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лекса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полипептидов для нормализации функций головного мозга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на его основе
CN101463079A (zh) 小牛软骨蛋白、制备方法及其应用
RU256258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го средства из голотурий, обладающего общеукрепляющими и иммуномодулирующими свойствами
CN106110312A (zh) 乌司他丁在制备治疗胆囊癌药物中的用途
KR102126245B1 (ko)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및 피부 손상 치료제
KR101359502B1 (ko) 누에를 이용한 골다공증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Ayna et al. Evaluation of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royal jelly on prostate and breast cancer cells
RU212184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глевод-белкового комплекса из приморского гребешка
JP2002104979A (ja) ケフィアを用いた糖尿病治療剤とその製造方法、及びケフィアを用いた放射線障害防護剤、並びにケフィアを用いた健康食品
Hossain et al. In vitro efficacy of medicinal plant material on the inhibition of development of egg of Ascaridia galli
RU2462257C1 (ru) Фитоминераль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вышения иммунитета птиц в промышленном птицеводстве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RU2450511C1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тресса свиней
RU2345523C2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активизации деятельности защитных приспособлений организма животного
AKBULUT et al. Shark cartilage and liver oil using possibilities against to the cancer formation
US20110059191A1 (en) Bcl-2 protein expressing agent, apoptosis inhibiting agent and agent for preventing ultraviolet dna damage of epidermal cell
JP2012149000A (ja) 免疫賦活剤ならびにこれを含む食品および医薬組成物
JP5841168B2 (ja) 抗腫瘍剤
Dantas et al. Clinical Case Reports
JP2016117772A (ja) ポリアミンを有効成分とする、組織の再生を促進するための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