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157B1 -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157B1
KR100627157B1 KR1020040047235A KR20040047235A KR100627157B1 KR 100627157 B1 KR100627157 B1 KR 100627157B1 KR 1020040047235 A KR1020040047235 A KR 1020040047235A KR 20040047235 A KR20040047235 A KR 20040047235A KR 100627157 B1 KR100627157 B1 KR 100627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ler
battery
powder
capsul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2083A (ko
Inventor
오상형
Original Assignee
오상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형 filed Critical 오상형
Priority to KR1020040047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157B1/ko
Publication of KR20050122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녹용 전지를 상온의 그늘에서 1차 건조시킨 후 에틸알코올에 침지시켜 소독과 함께 이물질을 제거하고, 소독된 녹용 전지를 함수율이 30%가 될 때까지 상온에서 송풍기로 2차 건조한 후 절단을 하고, 절단한 녹용편을 자외선 살균기로 1차 살균 시키고, 분말화한 후 2차 살균한 녹용 분말을 캡슐에 충진시킴으로서, 생녹용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많은 종류의 유효 성분을 그대로 지닐 수 있도록 녹용 분말을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녹용 분말 캡슐에 충진하는 녹용 분말은 녹용 전지를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냉동 동결시키거나 또는 100℃ 이상의 열을 가하지 아니하고도 상온에서 건조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착안하여 녹용 전지 특유의 비릿한 냄새를 없앴을 뿐만 아니라 녹용 전지가 함유하고 있는 유효 성분을 그대로 위생적으로 지닐 수 있도록 분말화시켜 살균처리한 후 캡슐에 충진시킴으로서 산패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스테아린산마그네슘과 같은 방부제는 사용하지 아니하고 녹용 분말만을 캡슐에 충진시켜 복용함으로서 녹용 분말이 잇몸에 달라붙지 않아 복용이 간편한 것이 장점이다.
녹용, 전지, 분말, 캡슐, 건조, 살균, 에틸알코올, 자외선 살균기, 녹용편

Description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f Capsule containing Powdered Deer Antler}
본 발명은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녹용 전지를 시원한 그늘에서 1차 건조시킨 후 에틸알코올로 소독을 하고, 소독된 녹용을 2차로 냉풍 건조한 후 절단을 하고, 절단된 녹용을 자외선 살균시켜 녹용 전지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많은 종류의 유효 성분을 그대로 지닐 수 있도록 녹용 분말로 제조한 후 캡슐에 충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에서 한약재로 사용되는 녹용은 대부분 온풍기 또는 그늘에서 건조시켜 절단한 후 일반 다른 약제와 함께 섞어 조제하여 중탕으로 다려서 복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와 같이 녹용을 다른 약제와 함께 섞어 중탕으로 다려서 복용할 경우에는 장기간 복용하여도 효과를 보기 힘들 뿐만 아니라 녹용 전지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많은 종류의 유효 성분들이 소실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특히 녹용 전지는 보관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조시키는데 잘못 건조시켜 보관할 경우에는 산패가 심하게 일어나 색상이 변하고, 녹용을 썰어보면 약간 비린내가 나며, 잘 건조 된 녹용의 경우에는 녹용 특유의 향기로운 냄새가 나지만 장기간 보관시에는 역시 산패에 의해 변질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녹용을 분말화시켜 분말 상태로 복용하거나 또는 상기 분말을 캡슐에 넣어 복용할 수 있도록 가공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특허들이 출원되었는데, 이들 특허의 내용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95-10775호와 공개특허공보 특02-14395호는 절단된 녹용에 물을 가한 후 115~131℃ 또는 100~110℃의 온도에서 압력을 가하여 녹용 엑기스를 제조한 후 여기에 마늘 분말, 영지 또는 덱스트린 등을 가하여 녹용 미분말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나 상기 특허들의 경우에는 열에 의한 화학적 변화로 인해 유효성분이 손실될 가능성이 있으며, 열에 의한 조직변성으로 복원성, 흡수율이 낮아지고, 녹용의 조직이 물리 화학적 변성될 수 있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 출원된 것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88664호와 등록특허공보 특92-1557호는 절각된 녹용 또는 절각하지 않은 사슴뿔을 - 25 내지 - 70℃까지 급냉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녹용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나 상기와 같이 - 25 내지 - 70℃의 온도까지 급냉시킬 경우에는 급냉 동결 설비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다시 건조시키는 공정이 복잡하고, 급냉 동결 후 건조시에 변질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방부제를 첨가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녹용을 분말로 복용할 경우에 녹용의 고유 냄새에 의해 섭취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19439호에는 동결 건조된 녹용 분말을 스테아린산마그네슘과 함께 캅셀에 넣은 녹용 캅셀제가 알려져 있으나 상기의 특허도 녹용을 - 70℃에서 냉동처리하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방부제의 역할을 하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이 함께 첨가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녹용 전지를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냉동 동결시키거나 또는 100℃ 이상의 열을 가하지 아니하고도 상온에서 건조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착안하여 녹용 전지 특유의 비릿한 냄새를 없앴을 뿐만 아니라 녹용 전지가 함유하고 있는 유효 성분을 그대로 위생적으로 지닐 수 있도록 분말화시켜 살균처리한 후 캡슐에 충진시킴으로서 산패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테아린산마그네슘과 같은 방부제는 사용하지 아니하고 녹용 분말만을 캡슐에 충진시켜 복용함으로서 녹용 분말이 잇몸에 달라붙지 않아 복용이 간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녹용 전지를 상온의 그늘에서 1차 건조시킨 후 에틸알코올에 침지시켜 소독과 함께 이물질을 제거하고, 소독된 녹용 전지를 함수율이 30%가 될 때까지 상온에서 송풍기로 2차 건조한 후 절단을 하고, 절단한 녹용편을 자외선 살균기로 1차 살균 시키고, 분말화한 후 2차 살균한 녹용 분말을 캡슐에 충진시킴으로서, 생녹용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많은 종류의 유효 성분을 그대로 지닐 수 있도록 녹용 분말을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녹용 분말 캡슐은 방부제 등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녹용 분말만을 캡슐에 충진시켰기 때문에 복용 후에는 이미 밝혀진 녹용의 효능인 지능발달, 상처 및 궤양의 유합촉진, 심근운동 개선, 골 및 골수 치아발육촉진, 조혈과 저혈압 및 강압작용, 소아발육촉진, 강정작용 및 흥분작용, 생체의 활동력 증강, 신체의 저항 력 증강, 동맥경화방지 등의 효능이 단기간에 나타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녹용은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가공하여야 하는데 잘못 건조시킬 경우에는 녹용에서 비린내가 발생하거나 또는 쉽게 부패되기 때문에 건조 공정은 대단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녹용 분말은 녹용 분말에서 냄새가 나기 때문에 캡슐에 충진시킨 것이 아니라 분말의 형태로 복용시에는 입안에서 잇몸 등에 달라붙어 복용시 불편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녹용 분말은 급냉 동결시키지 아니하고 1차로 상온의 그늘에서 18 내지 20일간 건조시킨 후, 에틸알코올로 소독처리한 후 2차로 상온에서 송풍기로 이틀간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화시킨 것을 다시 캡슐에 충진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녹용 고유의 향긋한 냄새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캡슐에 충진되는 내용물로는 녹용 분말만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녹용 분말과 홍삼 분말을 50 중량% 대 50 중량%씩 혼합시켜 충진하여도 좋다. 그리고 수요자의 요구나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홍삼 분말 대신 인삼, 산수유, 구기자, 음양곽, 산약(마), 당귀, 황기, 오가피, 두충, 누에가루, 자작나무잎, 차가버섯, 해삼, 새우 등에서 필요한 것을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함께 충진시킬 수도 있다. 이때 녹용 분말 이외의 상기와 같은 첨가 물질들은 가능한 그 첨가량이 50 중량%가 넘지 않도록 하여 녹용 분말의 고유 효능이 저하되 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녹용 전지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건조시켜 녹용 분말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ⅰ) 녹용 전지를 상온의 그늘에서 18 내지 20일간 충분히 건조시키는 단계;
ⅱ) 1차 건조된 녹용 전지를 순도 60%의 에틸알코올에 20 내지 30분간 침지시켜 소독과 함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ⅲ) 소독된 녹용 전지를 함수율이 30%가 될 때까지 상온에서 이틀간 송풍기로 건조시키는 단계;
ⅳ) 2차 건조된 녹용 전지를 두께 약 2mm가 되도록 절단하여 녹용편을 제조하는 단계;
ⅴ) 절단된 녹용편을 자외선 살균기로 5분간 살균하는 단계;
ⅵ) 살균한 녹용편을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ⅶ) 분말로 가공한 녹용 분말을 다시 자외선 살균기로 살균하는 단계;
ⅷ) 2차 살균한 녹용 분말을 캡슐에 충진하는 단계;
를 거쳐 녹용 분말 캡슐이 제조되어진다.
상기 ⅰ) 단계는 1차 건조 단계 공정으로서 녹용 전지를 장기간 보관하기 위 해 처리하는 공정 중 가장 중요한 공정으로 녹용 전지를 잘못 건조시에는 비린내가 발생하고, 쉽게 산패되기 때문이다. 상기의 건조 조건은 날씨가 맑은 날 상온의 그늘에서 18 내지 20일간 충분히 건조시키는데, 이 건조 단계에서 열을 가하여 건조시킬 경우에는 열에 의한 화학적 변화로 인해 유효성분이 손실될 가능성이 있으며, 열에 의한 조직변성으로 복원성, 흡수율이 낮아지고, 녹용의 조직이 물리 화학적 변성될 우려가 있으며, 냉동 동결시킬 경우에는 건조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변질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건조 방법에 의해 건조시킬 경우에는 상온의 그늘에서 충분히 건조시키기 때문에 녹용 특유의 향기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ⅱ) 단계에서 순도 60%의 에틸알코올에 20 내지 30분간 침지시키면 녹용 전지에 부착되어 있는 사슴 털들이 에틸알코올에 녹아 내리면서 동시에 털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과 찌꺼기들이 떨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녹용 전지의 털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스불을 이용하여 털을 태우게 되는데 이때 털을 태운 재 및 이물질들이 그대로 녹용 전지에 부착되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은 대단히 비위생적이다.
상기 ⅲ) 단계는 녹용 전지를 함수율이 30중량%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이유는 후공정인 ⅳ) 단계에서 녹용 전지를 쉽게 절단하기 위해서인데, 이때 녹용 전지를 너무 건조시킬 경우에는 녹용 전지가 단단해지기 때문에 쉽게 절단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ⅳ) 단계에서는 녹용 전지를 절단시킬 때 녹용편의 두께가 약 2mm가 되도록 절단을 하나 두께의 편차가 작업에 따라서는 ±10 내지 20%가 될 수 있다. 상기 ⅴ) 단계 및 ⅶ) 단계에서 살균시에는 자외선 살균기를 사용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적외선 살균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녹용 분말 캡슐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시아산 녹용 분말로서 중탕으로 달이지 않은 것을 대상으로 그 유효 성분을 분석하였고, 비교예 1 내지 3은 뉴질랜드산, 중국산, 러시아산 녹용편 만을 사용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중탕으로 달인 것을 대상하여 그 유효 성분을 분석하였는데, 비교예 1 내지 3의 시료를 사용하여 중탕을 달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초탕 압력솥에 녹용편 5냥(187.5g)과 물 약 2000cc넣고 쎈불로 시작하여 가열하다가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여 가면서 3시간정도 400cc(2대접)정도 되게 끓인다.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의 유효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건조물질에 의한 백분율 회분 35.2 34.8 34.0 34.9 35.5
지질 2.78 2.77 2.51 2.71 1.48
질소 9.5 9.8 8.4 9.3 9.0
8.7 8.6 5.7 7.2 6.3
칼슘 17.4 17.5 12.1 12.1 12.9
나트륨 0.53 0.51 0.83 0.79 0.69
칼륨 0.68 0.66 0.42 0.38 0.33
건조물질 1㎏에 대한 ㎎ 아연 120 125 69.2 67.3 66.5
비타민C 0.15 0.12 - - -
비타민B6 0.12 0.13 - - -
비타민B1 0.09 0.10 - - -
비타민A 0.19 0.16 - - -
비타민E 0.03 0.05 - - -
비타민D 0.07 0.06 - - -
1) 일반성분 분석 : 식품의약품안정청 식품공전 제 7장 일반시험법의 1.일반성분 시험법[ 2)회분, 3)질소화합물, 4)지질 ]에 따른다.
­회분
Figure 112004027247415-pat00001
W0 :항량이 된 회화용기에 무게(g)
W1 :회화 후의 회화용기와 회분의 무게(g)
S :검체의 채취량(g)
- 질소화합물
Figure 112004027247415-pat00002
a:공시험에서 중화에 소요된 0.05N 수산화나트륨액의 ㎖수
b:본시험에서 중화에 소요된 0.05N 수산화나트륨액의 ㎖수
- 지질
Figure 112004027247415-pat00003
W0:받는 그릇의 무게(g)
W1:조지방을 추출하여 건조시킨 받는 그릇의 무게(g)
S:검체의 채취량(g)
2) 무기질 분석 : 식품의약품안정청 식품공전 제 7장 일반시험법의 11.미량성분시험법 1)무기질분석 [(2)칼슘, (3)인, (4)철, (6)나트륨, (8)아연 ]에 따른다.
3) 비타민 : 식품의약품안정청 식품공전 제 7장 일반시험법의 11.미량성분시험법 2)비타민류 [(1)비타민A, (2)비타민B1, (4)비타민C, (6)비타민E, (7)비타민D, (9)비타민B6 ]에 따른다.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는 녹용 전지를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냉동 동결시키거나 또는 100℃ 이상의 열을 가하지 아니하고 상온에서 건조시킴으로써 녹용 전지가 함유하고 있는 유효 성분들 즉, 비타민류과 같은 성분들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비타민류 중 비타민E는 비타민A의 산화를 방지하 는 역할을 하며, 또한 아연은 비타민A의 혈중농도를 유지하며 전신의 필요한 조직에 분포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중탕으로 달인 비교예 1 내지 3보다 2배에 가까운 함유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비교예 1 내지 3은 중탕에 의해 유효 성분 비타민류가 손실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녹용 분말 캡슐에 충진하는 녹용 분말은 녹용 전지를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냉동 동결시키거나 또는 100℃ 이상의 열을 가하지 아니하고도 상온에서 건조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착안하여 녹용 전지 특유의 비릿한 냄새를 없앴을 뿐만 아니라 녹용 전지가 함유하고 있는 유효 성분을 그대로 위생적으로 지닐 수 있도록 분말화시켜 살균처리한 후 캡슐에 충진시킴으로서 산패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스테아린산마그네슘과 같은 방부제는 사용하지 아니하고 녹용 분말만을 캡슐에 충진시켜 복용함으로서 복용이 간편한 것이 장점이다.

Claims (5)

  1. 녹용 전지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건조시켜 녹용 분말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ⅰ) 녹용 전지를 상온의 그늘에서 18 내지 20일간 충분히 건조시키는 단계;
    ⅱ) 1차 건조된 녹용 전지를 순도 60%의 에틸알코올에 20 내지 30분간 침지시켜 소독과 함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ⅲ) 소독된 녹용 전지를 함수율이 30%가 될 때까지 상온에서 이틀간 송풍기로 건조시키는 단계;
    ⅳ) 2차 건조된 녹용 전지를 두께 약 2mm가 되도록 절단하여 녹용편을 제조하는 단계;
    ⅴ) 절단된 녹용편을 자외선 살균기로 5분간 살균하는 단계;
    ⅵ) 살균한 녹용편을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ⅶ) 분말로 가공한 녹용 분말을 다시 자외선 살균기로 살균하는 단계;
    ⅷ) 2차 살균한 녹용 분말을 캡슐에 충진하는 단계;
    를 거쳐 제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ⅴ) 단계 및 ⅶ) 단계의 살균 단계에서는 자외선 살균기 대신 적외선 살균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40047235A 2004-06-23 2004-06-23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 KR100627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235A KR100627157B1 (ko) 2004-06-23 2004-06-23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235A KR100627157B1 (ko) 2004-06-23 2004-06-23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083A KR20050122083A (ko) 2005-12-28
KR100627157B1 true KR100627157B1 (ko) 2006-09-25

Family

ID=3729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235A KR100627157B1 (ko) 2004-06-23 2004-06-23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1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561B1 (ko) * 2007-08-16 2010-10-29 이상문 조류 깃털 및 어류 비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89249B1 (ko) * 2007-11-02 2010-10-20 이상문 조류 깃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증식을 억제 및예방할 수 있는 세포증식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조성물
CN103211219B (zh) * 2013-04-25 2014-08-20 福建永生活力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缓解体力疲劳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WO2020112916A1 (en) * 2018-11-30 2020-06-04 Antler Chewz, Inc. Hardened antler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16326768A (zh) * 2021-12-22 2023-06-27 聂永志 一种人参马鹿茸胶囊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574A (ko) * 1986-09-23 1988-05-28 홍병규 인삼연조 엑기스등을 함유한 연질캅셀 제조방법
KR940000109A (ko) * 1992-06-18 1994-01-03 김재윤 녹용엑기스 함유 연질캅셀
KR940013381A (ko) * 1992-12-19 1994-07-15 한동근 농축 녹용 엑기스 및 건조 녹용 엑기스 미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식품
KR19990010416A (ko) * 1997-07-16 1999-02-18 백인범 녹용 캅셀제
KR0181375B1 (ko) * 1996-07-11 1999-03-20 유근형 녹용 건조 보존방법
KR20020091509A (ko) * 2001-05-31 2002-12-06 김수기 건조녹용 보관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574A (ko) * 1986-09-23 1988-05-28 홍병규 인삼연조 엑기스등을 함유한 연질캅셀 제조방법
KR940000109A (ko) * 1992-06-18 1994-01-03 김재윤 녹용엑기스 함유 연질캅셀
KR940013381A (ko) * 1992-12-19 1994-07-15 한동근 농축 녹용 엑기스 및 건조 녹용 엑기스 미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식품
KR0181375B1 (ko) * 1996-07-11 1999-03-20 유근형 녹용 건조 보존방법
KR19990010416A (ko) * 1997-07-16 1999-02-18 백인범 녹용 캅셀제
KR20020091509A (ko) * 2001-05-31 2002-12-06 김수기 건조녹용 보관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20001557
1019940000109
1019940013381
10199900104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083A (ko) 200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70538A (zh) 一种生物源海鲜营养保鲜剂
CA2599543A1 (en) Oral health care drink and method for reducing malodors
KR100774498B1 (ko) 쑥 훈증을 이용한 발효숙성 흑마늘 제조 방법
CN105815507A (zh) 荷叶茶的制备方法
KR101135423B1 (ko) 훈제 옻오리 및 그 제조방법
Ujah et al. Effect of ethanolic leaf extract of Moringa olifera leaf on haematolog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of wistar rats
KR100627157B1 (ko) 녹용 분말 캡슐의 제조 방법
KR20130088538A (ko) 황칠나무 액기스 추출 방법
KR101920859B1 (ko) 엉겅퀴 꽃 발효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85974B1 (ko)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JPH10245343A (ja) 体臭改善用経口組成物
Akpan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effect of aqueous root extract of Raphia hookeri (raffia palm) on metabolic clearance rate of ethanol in rabbits
KR20150025040A (ko) 살균 그린 커피빈 제조 방법
EP0381055B1 (en) Deodorizer
CN107661258A (zh) 一种口腔清洁消炎用草本漱口水
KR20210142545A (ko)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
JPH1036278A (ja) 過酸化脂質生成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CN106579118A (zh) 一种芝麻香秋葵全麦粉及其生产方法
CN106729650A (zh) 一种用于肿瘤患者的口腔含漱液
KR100543082B1 (ko) 체중감량 및 콜레스테롤 감소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6618128A (zh) 一种绿色环保线香及其制备方法
KR20210044762A (ko) 잣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2006176408A (ja) 水蛭粉末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水蛭粉末、該水蛭粉末を含有する血栓溶解促進組成物
KR20210048971A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식품용 샐러드
KR20140065220A (ko) 구취 억제용 감귤 액기스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