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388A -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388A
KR20190050388A KR1020170145734A KR20170145734A KR20190050388A KR 20190050388 A KR20190050388 A KR 20190050388A KR 1020170145734 A KR1020170145734 A KR 1020170145734A KR 20170145734 A KR20170145734 A KR 20170145734A KR 20190050388 A KR20190050388 A KR 20190050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salt
natural
shampoo
salt
bambo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295B1 (ko
Inventor
한명애
Original Assignee
한명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애 filed Critical 한명애
Priority to KR1020170145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2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9번 구운 죽염 25중량% 및 증류수 75중량%를 혼합하여 포화 죽염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포화 죽염수를 증발시켜 순수 죽염을 얻는 단계; 천연샴푸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순수 죽염 및 포화 죽염수를 포함하는 죽염 10중량%, 샴푸 베이스 81 내지 82 중량% 및 천연재료 6 내지 8중량%를 중탕으로 교반하여 교반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물에 꿀 2 내지 4중량%, 천연오일 1 내지 3중량%, 천연 프로폴리스 0.002 내지 0.004중량% 및 천연향 0.5 내지 1중량%을 배합하여 천연샴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9번 구운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에 있어서, 천연샴푸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죽염 10중량%, 샴푸 베이스 81 내지 82 중량%, 천연재료 6 내지 8중량%, 꿀 2 내지 4중량%, 천연오일 1 내지 3중량%, 천연 프로폴리스 0.002 내지 0.004중량% 및 천연향 0.5 내지 1중량%을 포함하는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Natural shampoo using bamboo sa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9번 구운 죽염 및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천연샴푸를 제조함으로써, 미네랄이 풍부하여 두피 및 모발에 영향을 주고, 항균 및 보습효과가 향상된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에는 대기오염이 심각해지고, 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 증대 및 의약품이나 화장품에 화학합성물질의 다량 사용 등의 외부적, 내부적 요인으로 인해 두피의 가려움이나 비듬생성이 증가하고 머리결이 점점 거칠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모발의 노폐물를 씻겨내기 위하여 샴푸를 사용하고 있는데, 기존의 샴푸는 단순히 노폐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제조된 것이나 두피에 여러 가지 트러블이 발생한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또한, 항 비듬효과를 갖는 물질로 알려진 알란토인, 켑탄, 페놀, 황 화합물 등은 항 비듬 효과 이외에 독성이나 부작용의 우려가 페놀, 황 화합물 등은 항 비듬 효과 이외에 독성이나 부작용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두피 내 모낭충 등의 미세 기생충 및 피부 모공에 잔존하는 세균의 증식 등은 모발에 악영향을 끼치는데 이를 억제하기 위한 제품은 제시되고 있지 않아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9번 구운 죽염 및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천연샴푸를 제조함으로써, 미네랄이 풍부하여 두피 및 모발에 영향을 주고, 항균 및 보습효과가 향상된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의 제조방법은, 9번 구운 죽염 25중량% 및 증류수 75중량%를 혼합하여 포화 죽염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포화 죽염수를 증발시켜 순수 죽염을 얻는 단계; 천연샴푸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순수 죽염 및 포화 죽염수를 포함하는 죽염 10중량%, 샴푸 베이스 81 내지 82 중량% 및 천연재료 6 내지 8중량%를 중탕으로 교반하여 교반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물에 꿀 2 내지 4중량%, 천연오일 1 내지 3중량%, 천연 프로폴리스 0.002 내지 0.004중량% 및 천연향 0.5 내지 1중량%을 배합하여 천연샴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9번 구운 죽염은 상기 8번 구운 죽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8번 구운 죽염을 스테인리스 용융로에서 1500 내지 2000℃의 온도로 녹이는 단계 및 상기 녹이는 단계로 제조된 9번 구운 죽염을 굳히고 분쇄하는 단계로 제조되되, 상기 8번 구운 죽염을 제조하는 단계는 천일염 및 대나무 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천일염을 대나무 통에 다져 넣는 단계 및 황토가마에서 소나무 장작을 이용해 800℃ 내지 850℃의 온도에서 굽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굽는 단계는 8번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녹이는 단계는 상기 8번 구운 죽염에 송진을 분사한 후 녹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샴푸 베이스는 라우릴글루코사이드, 나트륨라우레이트, 미리스틴나트륨, 팔미틴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식물성 글리세린, 나트륨라우레스(3)셀페이트,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센텔라인지 아시아티카, 나트륨히알루로네이트 및 아쿠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죽염은 상기 순수 죽염 7.5 내지 8.5 중량% 및 포화 죽염수 1.5 내지 2.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연재료는 뽕잎, 누에, 뽕뿌리 및 오디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샴푸를 제조하는 단계는 진생베리 및 차가버섯으로 제조된 혼합추출분말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추출분말은 진생베리 및 차가버섯을 건조하는 단계; 추출기에 상기 건조된 진생베리, 차가버섯 및 용매를 넣고 80 내지 100℃에서 4 내지 6시간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혼합추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9번 구운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에 있어서, 천연샴푸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죽염 10중량%, 샴푸 베이스 81 내지 82 중량%, 천연재료 6 내지 8중량%, 꿀 2 내지 4중량%, 천연오일 1 내지 3중량%, 천연 프로폴리스 0.002 내지 0.004중량% 및 천연향 0.5 내지 1중량%을 포함하는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죽염은 순수 죽염 및 포화 죽염수를 포함하고, 상기 순수 죽염 및 포화 죽염수는 상기 9번 구운 죽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은 9번 구운 죽염 및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천연샴푸를 제조하여 미네랄이 풍부하여 두피 및 모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항균 및 항산화 작용으로 두피를 건강하게 해줌으로써 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보습 기능이 효과적이다.
또한, 9번 구운 죽염을 사용하여 소량의 첨가만으로 효과가 있어, 두피에 자극적이지 않고 두피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9번 구운 죽염을 제조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도 2의 S10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9번 구운 죽염을 제조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2의 S10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의 제조방법은 9번 구운 죽염을 이용하여 천연샴푸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9번 구운 죽염은 천일염을 대나무 통을 이용하여 9번 구울 수 있는데, 이와 같이 9번 구워진 죽염은 자죽염이라고도 불리우며, 좋은 성분만 남게되어 천연 미네랄, 유황성분, 백금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일반 천일염과 다르게 회색을 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9번 구운 죽염은 8번 구운 죽염을 제조하는 단계(S10), 8번 구운 죽염을 스테인리스 용융로에서 녹이는 단계(S20) 및 녹이는 단계로 제조된 9번 구운 죽염을 굳히고 분쇄하는 단계 (S30)로 제조될 수 있다.
8번 구운 죽염을 제조하는 단계(S10)는 천일염을 8번 구워 8번 구운 죽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S10 단계는 천일염 및 대나무 통을 준비하는 단계(S11), 천일염을 대나무 통에 다져 넣는 단계(S12) 및 황토가마에서 소나무 장작을 이용해 굽는 단계(S13)를 포함할 수 있다.
천일염 및 대나무 통을 준비하는 단계(S11)는 천일염 및 3 내지 5년된 생 대나무 통을 준비할 수 있다. 이때, 3 내지 5년된 대나무를 사용하는 것은 가장 단단하고, 천연 유황성분, 백금, 기타 미네랄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을 시기이기 때문이다.
천일염을 대나무 통에 다져 넣는 단계(S12)는 천일염을 대나무 통에 내부를 다 채우도록 다져 넣을 수 있다.
황토가마에서 소나무 장작을 이용해 굽는 단계(S13)는 천일염을 넣은 대나무 통을 황토가마에서 소나무 장작을 이용해 800 내지 850℃의 온도에서 3 내지 4시간동안 구울 수 있다.
이는 완전연소되기 위한 온도 및 시간으로 온도가 800℃ 미만, 시간이 3시간 미만일 경우 완전연소가 되기 힘들고, 온도가 850℃ 초과, 시간이 4시간을 초과할 경우 미네랄 등 좋은 성분까지 파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천일염을 대나무 통에 넣어 구우면 대나무가 타면서 천일염의 유해성분은 흡수하고, 대나무의 천연 유황성분, 백금, 기타 미네랄이 천일염으로 스며들게 되어 구운 죽염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S13 단계는 8번 반복되어 8번 구운 죽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구운 죽염을 다시 구울 때에는 새로운 대나무 통에 구운 죽염이 굳어진 후에 분쇄하여 후 넣고 S13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8번 구운 죽염을 스테인리스 용융로에서 녹이는 단계(S20)는 상기 S10 단계를 통해 제조된 8번 구운 죽염을 새 대나무 통에 넣고 스테인리스 용융로에서 1500 내지 2000℃의 온도로 구워 8번 구운 죽염을 녹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테인리스 용융로에서 1500 내지 2000℃의 높은 온도로 50분 내지 70분 동안 처리하게 되면 죽염의 성분이 달라지고 불순물이 최종적으로 제거되면서 미네랄 등과 같이 좋은 성분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때, 온도 및 시간은 8번 구운 죽염을 고온에서 짧은 시간에 구워 죽염의 성분을 바꾸기 위한 것으로, 온도가 1500℃, 시간이 50분 미만일 경우 죽염의 성분이 달라지지 않을 수 있고, 8번 구운 죽염과의 차이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온도가 2000℃ 초과, 시간이 70분을 초과할 경우 좋은 성분까지 같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죽염의 성분이 달라지게 되어 9번 구운 죽염에 못과 같은 철을 넣어도 철이 녹슬지 않게 된다.
또한, S20 단계는 8번 구운 죽염에 송진을 분사하여 녹일 수 있는데, 송진의 좋은 성분이 구운 죽염에 빠르게 스며들도록 할 수 있다.
녹이는 단계로 제조된 9번 구운 죽염을 굳히고 분쇄하는 단계(S30)는 S20단계로 9번째 구워져 녹은 상태의 9번 구운 죽염을 굳히고 먹거나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결정이나 분말형태로 분쇄하여 9번 구운 죽염을 최종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어 불순물이 제거되고 좋은성분이 극대화된 9번 구운 죽염을 천연샴푸를 제조하는데 사용하여 샴푸의 효과를 향상시키고 두피에 자극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기에서 도 3을 참조하여 9번 구운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의 제조방법은 9번 구운 죽염 및 증류수를 혼합하여 포화 죽염수를 제조하는 단계(S100), 포화 죽염수를 증발시켜 순수 죽염을 얻는 단계(S200), 순수 죽염 및 포화 죽염수를 포함하는 죽염, 샴푸 베이스 및 천연재료를 중탕으로 교반하여 교반물을 제조하는 단계(S300) 및 교반물에 꿀, 천연오일, 천연 프로폴리스 및 천연향을 배합하여 천연샴푸를 제조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9번 구운 죽염 및 증류수를 혼합하여 포화 죽염수를 제조하는 단계(S100)는 9번 구운 죽염 25중량% 및 증류수 75중량%를 혼합하여 포화 죽염수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9번 구운 죽염이 25중량%를 초과할 경우 증류수에 다 녹지 않아 침전물이 생길 수 있다.
포화 죽염수를 증발시켜 순수 죽염을 얻는 단계(S200)는 S100 단계에서 제조된 포화 죽염수를 23 내지 27℃ 온도에서 자연 증발 방식을 이용해 증발시켜 순수 죽염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자연 증발 방식이란 건조한 대기 조건을 만족하는 환경에서 자연적으로 증발시켜 정제 죽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9번 구운 죽염을 정제하여 순수 죽염으로 사용하는 것은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순수 죽염 및 포화 죽염수를 포함하는 죽염, 샴푸 베이스 및 천연재료를 중탕으로 교반하여 교반물을 제조하는 단계(S300)는 죽염, 샴푸 베이스 및 천연재료를 중탕에서 교반하여 교반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죽염은 순수 죽염 및 포화 죽염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순수 죽염 및 포화 죽염수를 같이 사용하는 것은 포화 죽염수를 사용하여 사용되는 죽염의 농도를 낮춰 천연 삼푸 사용시 사용자의 두피 및 피부에 자극이 가지않도록 하면서 기능은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S300 단계에서 중탕에서 교반하는 것은 각 재료의 성분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재료의 혼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샴푸 베이스는 라우릴글루코사이드, 나트륨라우레이트, 미리스틴나트륨, 팔미틴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식물성 글리세린, 나트륨라우레스(3)셀페이트,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센텔라인지 아시아티카, 나트륨히알루로네이트 및 아쿠아를 포함할 수 있다.
라우릴글루코사이드는 알킬계 천연유래 계면활성제의 대표성분으로써 당분과 지방질을 바탕으로 한 성분으로, 코코넛 오일이나 옥수수, 감자 전분 등에서 추출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이며, 세정효과를 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나트륨라우레이트는 샴푸 및 샴푸의 필수 성분으로 사용되며, 계면활성제, 유화제, 세정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미리스틴나트륨, 팔미틴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도 마찬가지로 계면활성제, 세정제, 유화제, 점도 증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식물성 글리세린은 주로 식물의 열매와 씨로부터 추출한 트라이아실글리세롤로, 대체로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고 있으며, 실온에서는 액체로 존재한다. 또한, 농도를 높게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흡수력이 높아져 피부와 모발의 건조화를 막아줄 뿐만 아니라 방부작용도 할 수 있다.
나트륨라우레스(3)셀페이트도 계면활성제 역할을 한다.
수크로오스는 포도당과 과당의 중합분자이며, 사카로스라고도 불리우며, 사탕수수에서 얻을 수 있다.
소르비톨은 포도당과 같은 육탄당을 환원하여 얻은 6가 알코올의 일종으로 단맛을 내며, 연소성과 흡습성을 지닌 흰색 결정으로 물이나 알코올에 잘 녹는 성질이 있다. 이러한 소르비톨은 사과, 복숭아, 마 가목 따위의 과즘에 함유되어 있다.
센텔라인지 아시아티카는 병풀이라고하며, 피부 재생력을 높여주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이때, 센텔라인지 아시아티카는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도록 생약규격에 따라 파우더 타입으로 1% 고농축하여 추출해서 사용해야 한다.
나트륨히알루로네이트는 피부 노화 방지 및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피부를 촉촉하고 탄력있게 만들 수 있다. 즉, 피부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할 수 있다.
아쿠아는 물을 의미하며, 수분 보충에 사용될 수 있다.
천연재료는 동결 건조를 이용하여 분말화된 뽕잎, 누에, 뽕뿌리 및 오디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뽕잎은 단백질 함량이 높고, 20여 종류의 아미노산과 철분, 칼슘, 각종 비타민 및 식이섬유 등이 풍부하고, 독성이 없으며 부종을 빼는데도 효과적이다.
특히, 세포를 늙게 만들어 노화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없애주는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다.
이러한 뽕잎은 피부자극을 완화하고 진정시켜 두피 건강을 유지시켜주며, 두피를 맑고 청결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다. 또한, 미백, 기미, 여드름, 비듬제거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누에는 뽕잎을 먹고 사는 나방과의 유충으로 콜라겐이 풍부하여 피부의 세포와 세포를 결합시켜 조직을 형성하고,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수분을 머금고 있는 역할을 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뽕뿌리는 뽕나무의 뿌리이며 껍질을 사용하는데, 껍질은 찬 성질을 가지고 있어 열로 인해 유발되는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효과적이다. 또한, 아미노산이 풍부해 모발의 보습효과가 뛰어나고,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두피 트러블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오디는 뽕나무의 과실로 비타민A, B1, B2, D가 풍부하고, 칼슘, 인, 철, 레스베라트롤, 안토시아닌 등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오디는 항산화에 도움을 주고, 탄력이 없는 모발이나 칙칙한 피부톤을 밝게 해줄 수 있다.
이러한 재료들을 S300 단계에서 천연샴푸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순수 죽염 및 포화 죽염수를 포함하는 죽염 10중량%, 샴푸 베이스 81 내지 82 중량% 및 천연재료 6 내지 8중량%를 교반할 수 있고, 순수 죽염 및 포화 죽염수를 포함하는 죽염 10중량%, 샴푸 베이스 81.85 중량% 및 천연재료 8중량%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죽염이 10중량%을 초과할 경우 샴푸의 거품 발생이 저하되어 세정력이 떨어질 수 있고, 예민한 피부를 가진 사람은 오히려 두피에 자극을 줘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죽염 10중량%는 순수 죽염 7.5 내지 8.5중량% 및 포화 죽염수 1.5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순수 죽염 8중량% 및 포화 죽염수 2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교반물에 꿀, 천연오일, 천연 프로폴리스 및 천연향을 배합하여 천연샴푸를 제조하는 단계(S400)는 S300 단계에서 교반된 교반물에 꿀, 천연 프로폴리스 및 천연향을 배합하여 최종적인 천연샴푸를 제조할 수 있다.
꿀은 항균활성물질에 의하여 피부화상치료나 상처난 조직이 빨리 아무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보습효과가 뛰어나고 미네랄과 비타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노화방지에 효과적이다.
천연오일은 코코넛 오일로, 코코넛 오일은 지방유로 보습에 효과적이다. 이때, 코코넛 오일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코코넛 오일, 포도씨 오일, 올리브 오일 및 에센셜 오일을 혼합한 천연오일일 수 있다.
포도씨 오일은 항산화 작용 및 필수지방산 공급원으로 작용하며, 레스베라트롤, 리놀레산, 토코페롤, 케티킨류 등이 함유되어 있어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 노화를 방지한다. 이에 따라, 기미, 주근깨 생성 방지 및 미백효과를 준다.
올리브 오일은 보습효과가 뛰어나며, 비타민E를 다량함유하고 있어 부드럽고, 탄력 있게 개선해준다. 특히, 민감성 피부에 적합하여 유아가 사용하기에 적절한 성분이다.
에센셜 오일은 항균 및 살균 성분이 함께 함유되어 있고 유분을 공급할 수 있다.
천연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식물에서 얻은 성분에 자신의 분비물을 섞어 만드는데 꿀을 채운 벌집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벌집의 틈새에 바르는 용도로 쓰인다. 이러한 천연 프로폴리스는 항균, 항바이러스, 항염작용을 하는 플라보노이드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천연향은 페퍼민트, 로즈마리, 라벤더, 박하, 아카시아, 피톤치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향을 낼 수 있으며 화학성분이 가미 되지 않은 천연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를 S400 단계에서 교반물에 천연샴푸 전체 중량에 대하여, 꿀 2 내지 4중량%, 천연오일 1 내지 3중량%, 천연 프로폴리스 0.002 내지 0.004중량% 및 천연향 0.5 내지 1중량%을 배합할 수 있고, 꿀 3중량%, 천연오일 2중량%, 천연 프로폴리스 0.003중량% 및 천연향 0.5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꿀이 2 중량% 미만일 경우 보습효과가 미미하고, 4중량%가 초과되면 샴푸 제형에 끈적임이 발생할 수 있고 거품 발생이 저하될 수 있다.
천연오일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오일에 의한 효과가 미미하고, 3중량%가 초과되면 거품의 발생이 저하되어 사용감이 불편할 수 있고 지성 모발인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S400 단계는 교반물에 혼합추출분말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혼합추출분말은 진생베리 및 차가버섯으로 제조된 것으로, 천연샴푸에 첨가되어 항균, 항산화, 활성산소 억제, 미백효과 기능,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진생베리는 안토시아닌, 비타민, 아미노산 등이 풍부하여 피부를 밝게 하고 두피에 영양을 줄 수 있으며, 사포닌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작용을 하고 샴푸의 거품 발생력을 향상시켜주어 세정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또한, 진생베리는 진세포사이드 성분으로 활성산소를 억제하여 두피 노화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차가버섯은 에스오디 성분으로 활성산소를 억제할 수 있고, 미네랄이 풍부하고, 프로보노이드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추출분말은 진생베리 및 차가버섯을 건조하는 단계, 추출기에 건조된 진생베리, 차가버섯 및 용매를 넣고 80 내지 100℃에서 4 내지 6시간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여과된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혼합추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진생베리 및 차가버섯을 건조하는 단계는 진생베리 및 차가버섯을 세척하고 손질한 뒤 건조할 수 있다.
진생베리는 세척하고 이물질을 제거한 뒤 건조할 수 있다.
차가버섯은 세척하고 이물질을 제거한 뒤 얇은 두께로 절단한 뒤 건조할 수 있다. 이는 추출시 차가버섯의 추출물이 용이하게 추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추출기에 건조된 진생베리, 차가버섯 및 용매를 넣고 80 내지 100℃에서 4 내지 6시간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는 진생배리 30 내지 40중량%, 차가버섯 60 내지 70중량%와 진생베리 및 차가버섯의 10배인 용매를 추출기에 넣고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용매가 진생베리 및 차가버섯의 중량에 10배 미만일 경우 유효성분이 완전히 추출되기 어렵고, 10배를 초과하면 용매에 비해 유효성분의 함량이 너무 적을 수 있다.
또한, 진생베리가 30중량% 미만일 경우 진생베리의 효능이 미미하고, 40중량%를 초과할 경우 두피나 피부의 열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추출온도가 80℃ 미만, 추출시간이 4시간 미만일 경우 추출 효율이 저하되고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으며, 100℃, 6시간을 초과할 경우 살균면에서는 효과적이나 성분들이 파괴될 수 있다.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는 추출된 추출물을 여과하여 추출물이 추출된 진생베리, 차가버섯을 분리할 수 있다.
여과된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혼합추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여과된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여 혼합추출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40℃에서 동결 건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출물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추출분말 6중량%를 교반물에 더 첨가함으로써, 천연샴푸의 항균, 항산화, 활성산소 억제, 미백효과 기능,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진생베리 및 차가버섯을 분말형태로 제조한 혼합추출분말은 진생베리 및 차가버섯의 좋은 성분만 추출하고 분말형태로 제조하여 소량만으로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샴푸는 천연샴푸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죽염 10중량%, 샴푸 베이스 81 내지 82 중량%, 천연재료 6 내지 8중량%, 꿀 2 내지 4중량%, 천연오일 1 내지 3중량%, 천연 프로폴리스 0.002 내지 0.004중량% 및 천연향 0.5 내지 1중량%을 포함할 수 있고, 천연샴푸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죽염 10중량%, 샴푸 베이스 81.85 중량%, 천연재료 8중량%, 꿀 3중량%, 천연오일 2중량%, 천연 프로폴리스 0.003중량% 및 천연향 0.5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죽염은 순수 죽염 및 포화 죽염수를 포함하고, 순수 죽염 및 포화 죽염수는 9번 구운 죽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은 9번 구운 죽염 및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천연샴푸를 제조하여 미네랄이 풍부하여 두피 및 모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항균 및 항산화 작용으로 두피를 건강하게 해줌으로써 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보습 기능이 효과적이다.
또한, 9번 구운 죽염을 사용하여 소량의 첨가만으로 효과가 있어, 두피에 자극적이지 않고 두피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천연샴푸의 효능을 입증하기 위하여 하기 실험예를 진행하였다.
이하, 실시되는 실험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험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9번 구운 죽염 25중량% 및 증류수 75 중량%를 혼합하여 포화 죽염수를 제조하고, 포화 죽염수를 증발시켜 순수 죽염을 얻은 후 천연샴푸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죽염 10중량, 샴푸 베이스 81.85중량%, 뽕잎 8중량%, 꿀 3중량%, 코코넛 오일 2중량%, 천연 프로폴리스 0.003중량% 및 라벤더향 0.5중량%를 중탕에서 교반하여 천연샴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뽕잎대신 누에 8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뽕잎대신 뽕뿌리 8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뽕잎대신 오디 8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혼합추출분말 6중량%룰 더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혼합추출분말은 건조된 진생베리 30중량% 및 차가버섯 70중량%와 진생베리 및 차가버섯의 10배의 용매를 추출기에 넣고 100℃에서 4시간동안 추출물을 추출하고, 추출물을 여과한 뒤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1]
샴푸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샴푸 베이스 77중량%, 3번 구운 죽염 22.5중량% 및 로즈마리향 0.5중량%를 중탕으로 교반하여 샴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샴푸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샴푸 베이스 89.5 중량%, 대추 10중량% 및 아카시아향 0.5중량%를 중탕으로 교반하여 샴푸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샴푸의 탈모 효과, 가려움증 완화, 보습, 샴푸거품, 세정력, 무자극성 효능
본 발명으로 제조된 천연샴푸의 탈모 효과, 가려움증 완화, 보습, 샴푸거품, 세정력, 무자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및 2를 각각 두피가 민감한 임의의 남성 50명(20세 이상 25명, 20세 미만 25명)과 여성 50명(20세 이상 25명, 10세 이상 20세 미만 25명)을 선발하여 사용하게 하고 사용한 1개월 뒤에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1및 2를 사용한 후 탈모 효과, 가려움증 완화, 보습력, 샴푸거품, 세정력 효과 및 자극성을 조사하였다.
효과 조사는 5점 측정법(1:효과 없음, 2:문제있음, 3:보통, 4:효과있음, 5:매우 효과있음)으로, 자극성은 있음, 없음으로 실시하였고, 평균을 도출하였다.
조사 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탈모효과 가려움증 완화 보습력 샴푸거품 세정력 자극성
실시예 1 4.35 4.21 4.26 4.29 4.31 없음
실시예 2 4.29 4.18 4.27 4.28 4.24 없음
실시예 3 4.27 4.22 4.33 4.31 4.25 없음
실시예 4 4.12 4.20 4.32 4.30 4.28 없음
실시예 5 4.36 4.22 4.35 4.41 4.33 없음
비교예 1 3.77 3.52 2.99 3.29 3.81 있음
비교예 2 3.64 3.66 3.55 3.45 3.78 없음
상기 표 1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5는 비교예 1 및 2보다 탈모효과, 가려움증 완화, 보습력, 샴푸거품, 세정력의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천연샴푸는 가려움증 완화, 보습력, 세정력 효과가 좋고 거품 발생력이 높으며, 비듬 제거, 항산화 작용 및 항균 작용과 영양을 공급함으로써 두피의 건강을 향상시켜 탈모 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9번 구운 소금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5는 사용하는데 사용자에게 자극을 주지 않았으나, 3번 구운 죽염을 22.5중량%를 사용한 비교예 1은 사용자의 두피에 자극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항균 효과 입증
본 발명의 항균력을 더 입증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1 및 2의 항균성을 측정하였다.
항균성은 디스크확산법을 적용하며, 전 배양된 여드름균을 디스크 확산법 측정용 평판배지(Reinforced clostridial medium. Difco.USA)에 100 ㎕씩 분주하여 도말한 후, 실시예 1 내지 5와 대조군 1 및 2를 멸균된 페이퍼 디스크에 5mg/disc의 농도로 시료를 점적한 후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이 평판배지를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육저지환(Clean Zone)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육저지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생체 내 조건에서(in vivo), 두피의 모낭에 모낭충이 존재하는 일반인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1 및 2(각 예마다 10명씩)로 아침에 머리를 감은 후 1일 단위로 모낭충의 검출여부를 일주일(7일)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은 편의상 숫자번호로 나타냈었고, 7일 동안 검출 및 불검출이 같이 나왔을 경우에는 기록하지 않았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항균성(mm) 20 21 20 21 19 27 30
번호 성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 비교예2
1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검출 검출
2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검출 검출
3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검출
4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검출 불검출
5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6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검출
7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8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검출
9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검출
10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검출
상기 표 2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항균성은 실시예 1 내지 5가 비교예 1 및 2보다 생육저지효과가 좋아 생육저지환의 크기가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3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비교예 1 및 2로 머리를 감은 후보다 실시예 1 내지 5로 머리를 감은 후에 모낭충이 더 사멸되어 검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Claims (10)

  1. 9번 구운 죽염 25중량% 및 증류수 75중량%를 혼합하여 포화 죽염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포화 죽염수를 증발시켜 순수 죽염을 얻는 단계;
    천연샴푸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순수 죽염 및 포화 죽염수를 포함하는 죽염 10중량%, 샴푸 베이스 81 내지 82 중량% 및 천연재료 6 내지 8중량%를 중탕으로 교반하여 교반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물에 꿀 2 내지 4중량%, 천연오일 1 내지 3중량%, 천연 프로폴리스 0.002 내지 0.004중량% 및 천연향 0.5 내지 1중량%을 배합하여 천연샴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9번 구운 죽염은,
    상기 8번 구운 죽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8번 구운 죽염을 스테인리스 용융로에서 1500 내지 2000℃의 온도로 녹이는 단계 및
    상기 녹이는 단계로 제조된 9번 구운 죽염을 굳히고 분쇄하는 단계로 제조되되,
    상기 8번 구운 죽염을 제조하는 단계는,
    천일염 및 대나무 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천일염을 대나무 통에 다져 넣는 단계 및
    황토가마에서 소나무 장작을 이용해 800℃ 내지 850℃의 온도에서 굽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굽는 단계는 8번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녹이는 단계는,
    상기 8번 구운 죽염에 송진을 분사한 후 녹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샴푸 베이스는,
    라우릴글루코사이드, 나트륨라우레이트, 미리스틴나트륨, 팔미틴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식물성 글리세린, 나트륨라우레스(3)셀페이트,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센텔라인지 아시아티카, 나트륨히알루로네이트 및 아쿠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죽염은,
    상기 순수 죽염 7.5 내지 8.5 중량% 및 포화 죽염수 1.5 내지 2.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재료는,
    뽕잎, 누에, 뽕뿌리 및 오디 중 하나를 포함하는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샴푸를 제조하는 단계는,
    진생베리 및 차가버섯으로 제조된 혼합추출분말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분말은,
    진생베리 및 차가버섯을 건조하는 단계;
    추출기에 상기 건조된 진생베리, 차가버섯 및 용매를 넣고 80 내지 100℃에서 4 내지 6시간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혼합추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의 제조방법.
  9. 9번 구운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에 있어서,
    천연샴푸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죽염 10중량%, 샴푸 베이스 81 내지 82 중량%, 천연재료 6 내지 8중량%, 꿀 2 내지 4중량%, 천연오일 1 내지 3중량%, 천연 프로폴리스 0.002 내지 0.004중량% 및 천연향 0.5 내지 1중량%을 포함하는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죽염은,
    순수 죽염 및 포화 죽염수를 포함하고,
    상기 순수 죽염 및 포화 죽염수는,
    상기 9번 구운 죽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
KR1020170145734A 2017-11-03 2017-11-03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2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734A KR102032295B1 (ko) 2017-11-03 2017-11-03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734A KR102032295B1 (ko) 2017-11-03 2017-11-03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388A true KR20190050388A (ko) 2019-05-13
KR102032295B1 KR102032295B1 (ko) 2019-10-15

Family

ID=6658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734A KR102032295B1 (ko) 2017-11-03 2017-11-03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2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7413A (zh) * 2022-03-22 2022-05-31 武汉竹露饮料有限公司 一种具有促进消化功能的九烤竹盐饮用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105B1 (ko) * 1999-02-24 2002-01-29 최차기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3513A (ko) * 2014-03-31 2015-10-08 (주)제노랩 천연 미백복합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KR20160088720A (ko) * 2015-01-16 2016-07-26 함수암 백화고 비누
KR20160133215A (ko) * 2015-05-12 2016-11-22 최선표 죽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죽염
KR101680345B1 (ko) * 2015-12-31 2016-11-28 (주)에이씨티 발아 인삼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1727A (ko) * 2015-12-16 2017-06-26 조두영 숙성된 원료를 이용한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105B1 (ko) * 1999-02-24 2002-01-29 최차기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3513A (ko) * 2014-03-31 2015-10-08 (주)제노랩 천연 미백복합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KR20160088720A (ko) * 2015-01-16 2016-07-26 함수암 백화고 비누
KR20160133215A (ko) * 2015-05-12 2016-11-22 최선표 죽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죽염
KR20170071727A (ko) * 2015-12-16 2017-06-26 조두영 숙성된 원료를 이용한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KR101680345B1 (ko) * 2015-12-31 2016-11-28 (주)에이씨티 발아 인삼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7413A (zh) * 2022-03-22 2022-05-31 武汉竹露饮料有限公司 一种具有促进消化功能的九烤竹盐饮用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295B1 (ko) 201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726B1 (ko) 아토피성 피부 질환 치료용 천연 특수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CN104825351A (zh) 一种沉香美白洗面奶及其制备方法
CN108653013A (zh) 一种植物保湿水润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KR101209189B1 (ko) 항균 기능을 갖는 약초비누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83943A (ko) 천연 허브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및 두피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N108186481A (zh) 一种具有水嫩保湿功效的护肤组合物及其应用
KR101940926B1 (ko) 죽염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1183B1 (ko) 한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198872B1 (ko)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9554A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5371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9051B1 (ko) 무좀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32293B1 (ko) 죽염을 이용한 천연바디워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5799B1 (ko)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32295B1 (ko) 죽염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3683B1 (ko) 동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품
CN101558874A (zh) 美洲大蠊蜜炼风味膏及制作方法
KR20170141564A (ko) 프로폴리스 및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0859B1 (ko) 엉겅퀴 꽃 발효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13501A (ko) 피부 보호효과를 갖는 비파나무 잎 미네랄당 숙성액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94707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49390A (ko) 탈모예방 및 발모성장을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574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