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510B1 -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510B1
KR100990510B1 KR1020100037991A KR20100037991A KR100990510B1 KR 100990510 B1 KR100990510 B1 KR 100990510B1 KR 1020100037991 A KR1020100037991 A KR 1020100037991A KR 20100037991 A KR20100037991 A KR 20100037991A KR 100990510 B1 KR100990510 B1 KR 100990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reinforcement tube
support frame
sewer pip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현
은길관
은선현
Original Assignee
봉화토건 합자회사
주식회사 봉화라이너
(주)월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봉화토건 합자회사, 주식회사 봉화라이너, (주)월암 filed Critical 봉화토건 합자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7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41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pressed against the wall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된 결합프레임의 하부 장착공간으로 이동롤러들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결합프레임의 측면에는 높이를 가지는 측판이 각각 장착되며, 상기 결합프레임의 전·후방 또는 전방이나 후방에는 지지를 위한 결합고리가 장착되는 지지틀과, 상기 측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고 상기 이동롤러들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는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에 열을 전달하는 히팅수단으로 구성되어 하수도관로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수도관로와 근접하는 상기 지지틀의 끝단으로 상기 하수도관로에 보강튜브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곡면가이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의 크기와 부피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원가는 절감하고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지틀의 하부에 곡면가이드를 더 장착하여 하수도관로의 내부로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를 손쉽게 인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Sewerage duct non-excavation reinforcement tube insertion system}
본 발명은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를 차량에서 보수하고자하는 하수도관로의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매설된 하수도관로 및 산업용 배관을 굴착하지 않고 노후 된 관로 내부를 청소하고, 관로 내로 한쪽 면이 코팅된 튜브(부직포)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보강튜브를 반전시켜 주면서 삽입한 후 보강튜브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열경화성 수지를 고형화시키도록 하되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면이 노후 된 관로의 내면과 일체화 되도록 하는 비굴착 방식의 관로 보수공법 및 장치는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비굴착 방식의 관로 보수공법 및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도관로(10)의 내부에 이물질을 준설하여 제거한 후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고, 세척이 이루어진 하수도관로(10)에는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30)를 반전하여 삽입한 후 반전장치(20)를 통하여 보강튜브(30)의 내측으로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보강튜브(30)가 하수도관로(10)에 끼워진 채로 열경화가 이루어져 갱생관을 만들게 된다.
그러나 상기 비굴착 방식의 관로 보수공법 및 장치는 하수도관로(10)의 내부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30)를 공급하고자 할 때, 상기 보강튜브(30)가 적층된 차량을 하수도관로(10)에 근접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면서 위치 조절해야함으로써 작업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하수도관로(10)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30)를 수직하강으로 상기 하수도관로(10)에 삽입함으로써 열경화성 수지가 하부로 쏠리게 될 뿐만 아니라 수직하중이 가해지는 보강튜브(3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하수도관로(10)에 보강튜브(30)의 삽입시 작업자가 항시 손과 발을 이용하여 곡면지게 형성해야 함으로써 작업이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인건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의 크기와 부피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원가는 절감하고 보관 및 이동은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지틀의 하부에 곡면가이드를 더 장착하여 하수도관로의 내부로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를 손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측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팅수단을 장착하여 이동롤러들을 거쳐 하수도관로로 삽입되는 보강튜브를 단시간에 하수도관로에 갱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된 결합프레임의 하부 장착공간으로 이동롤러들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결합프레임의 측면에는 높이를 가지는 측판이 각각 장착되며, 상기 결합프레임의 전·후방 또는 전방이나 후방에는 지지를 위한 결합고리가 장착되는 지지틀과, 상기 측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고 상기 이동롤러들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는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에 열을 전달하는 히팅수단으로 구성되어 하수도관로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수도관로와 근접하는 상기 지지틀의 끝단으로 상기 하수도관로에 보강튜브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곡면가이드가 장착되되, 상기 곡면가이드는 지지틀에 볼팅 또는 끼움 결합되는 곡면결합부와, 상기 곡면결합부와 연장형성되고 내면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곡면부와, 고무 또는 스펀지로 형성되어 상기 곡면부의 하부에 장착는 곡면 완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의 크기와 부피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원가는 절감하고 보관 및 이동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틀의 하부에 곡면가이드를 더 장착하여 하수도관로의 내부로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를 손쉽게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작업인원을 줄일 수 있어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팅수단을 장착하여 이동롤러들을 거쳐 하수도관로로 삽입되는 보강튜브를 단시간에 하수도관로에 갱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종래의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를 구성하는 지지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를 구성하는 지지틀에 높이조절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를 구성하는 지지틀에 곡면가이드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를 구성하는 측판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를 구성하는 히팅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인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100)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지지틀(200)과, 상기 지지틀(200)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높이조절부재(300)들과, 상기 지지틀(200)을 구성하는 측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히팅수단(4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틀(200)은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하부에는 장착공간(220)이 형성되는 결합프레임(210)과, 상기 결합프레임(210)의 장착공간(220)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이동롤러(230)들과, 상기 결합프레임(210)의 측면에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측판(240)과, 상기 결합프레임(210)의 전·후방 또는 전방이나 후방에 장착되는 결합고리(270) 등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틀(200)은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된 결합프레임(210)의 장착공간(220)에 간격을 두고 이동롤러(230)들을 장착하고 측면에는 높이를 가지는 측판(240)을 장착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롤러(230)들의 외주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완충부재(260)가 장착되어 상기 하수도관로(110)에 삽입되는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500)가 이동롤러(230)를 따라 고속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롤러(230)는 수평방향으로 다수개의 구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지지틀(200)은 도시된 도면과 같이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를 향하면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부를 통해 공급되는 보강튜브(500)를 별도 구성없이 위치중심을 맞추어 하수도관로(110)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210)의 측면에 장착되는 측판(24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단독으로 결합프레임(210)에 장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측판(240)은 상기 결합프레임(210)에 고정되면서 외측 끝단에 위치하는 고정 측판(241)과, 상기 고정 측판(241)의 내면에 위치하면서 회동가능하게 힌지(244) 결합되는 가동 측판(242)과, 상기 고정 측판(241)과 가동 측판(242)을 고정하는 고정핀(24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측판(240)은 힌지(244)를 중심으로 가동 측판(242)을 회동작동시켜 상기 이동롤러(230)가 아닌 가동 측판(242)을 따라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500)를 하수도관로(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프레임(210)의 전·후방 또는 전방이나 후방에 장착되는 결합고리(270)는 보강튜브(500)가 적층된 차량과 하수도관로(110)에 결합프레임(2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하수도관로(110)와 근접하는 상기 지지틀(200)의 끝단에는 상기 하수도관로(110)에 보강튜브(5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곡면가이드(25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곡면가이드(250)의 구성은 지지틀(200)에 볼팅 또는 끼움 결합되는 곡면결합부(250a)와, 상기 곡면결합부(250a)와 연장형성되고 내면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곡면부(250b)와, 고무 또는 스펀지로 형성되어 상기 곡면부(250b)의 하부에 장착는 곡면 완충부(250c)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곡면가이드(250)는 상기 지지틀(200)에 곡면결합부(250a)를 결합한 상태에서 이동롤러(230)를 통해 전달되는 보강튜브(500)를 곡면부(250b)를 통해 하수도관로(11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지틀(200)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높이조절부재(300)들은 상기 지지틀(200)을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틀(200)의 하부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고 볼팅 또는 끼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틀(200)의 하부에 높이조절부재(300)를 끼움 결합될 경우에는 상기 결합프레임(210)의 하부에 끼움 결합부(280)를 더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부재(30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재(300)들의 높이는 절첩 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단일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틀(200)을 구성하는 측판(24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히팅수단(400)은 열선, 원적외선, 열풍 중 택일하여 형성되어 상기 이동롤러(230)나 가동 측판(242)을 따라 이동하는 열경화성 수지가 힘침된 보강튜브(500)에 열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히팅수단(400)의 구성은 상기 측판(240)에 볼팅 또는 끼움 결합되는 히팅 케이스(410)와 상기 히팅 케이스(410)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열전달부재(420)와, 상기 열전달부재(420)의 상방에 장착되는 반사판(43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히팅수단(400)은 열전달부재(4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반사판(430)과 함께 하수도관로(110)에 삽입되는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500)에 전달하여 상기 하수도관로(110)의 내에 삽입되는 보강튜브(500)가 빠른 시간 내에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개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결합프레임(210)을 형성한 후, 상기 결합프레임(210)의 하부 장착공간(220)과 측면에 이동롤러(230)과 측판(240)을 각각 장착한 다음, 상기 결합프레임(210)의 전·후방 또는 전방이나 후방에는 지지를 위한 결합고리(270)를 형성하여 지지틀(20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이동롤러(230)들의 외주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완충부재(260)를 장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틀(200)의 측판(240)에 히팅 케이스(410)와, 상기 히팅 케이스(410)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열선, 원적외선, 열풍 중 택일하여 장착되는 열전달부재(420)와, 상기 열전달부재(420)의 상방에 장착되는 반사판(430)으로 구성되는 히팅수단(400)을 장착하면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1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100)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하수도관로(110)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500)를 삽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100)의 길이를 계산하여 보강튜브(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됨)(500)가 적재된 차량과 하수도관로(110)의 위치를 조절한다.
즉, 상기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100)를 하수도관로(110)의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튜브(500)가 적재된 차량을 전, 후진하여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튜브(500)가 적재된 차량에서 작업자가 보강튜브(500)를 당겨 이동롤러(230)에 보강튜브(500)가 안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롤러(230)에 안착되는 보강튜브(500)는 자중과 이동롤러(230)의 회전작동을 통해 하부로 이동하면서 하수도관로(110)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보강튜브(500)는 측판(240)에 장착되는 히팅수단(400)의 열전달부재(420)를 통해 열을 전달받은 상태에서 하수도관로(110)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100)를 통해 작업자는 적은 힘과 간단한 작업과정을 통해 보강튜브(500)를 하수도관로(110)에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110 : 하수도관로,
200 : 지지틀, 210 : 결합프레임,
220 : 장착공간, 230 : 이동롤러,
240 : 측판, 250 : 곡면가이드,
300 : 높이조절부재, 400 : 히팅수단,
500 : 보강튜브.

Claims (6)

  1.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된 결합프레임(210)의 하부 장착공간(220)으로 이동롤러(230)들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결합프레임(210)의 측면에는 높이를 가지는 측판(240)이 각각 장착되며, 상기 결합프레임(210)의 전·후방 또는 전방이나 후방에는 지지를 위한 결합고리(270)가 장착되는 지지틀(200)과,
    상기 측판(24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고 상기 이동롤러(230)들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는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500)에 열을 전달하는 히팅수단(400)으로 구성되어 하수도관로(110)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를 공급하는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하수도관로(110)와 근접하는 상기 지지틀(200)의 끝단으로 상기 하수도관로(110)에 보강튜브(5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곡면가이드(250)가 장착되되,
    상기 곡면가이드(250)는 지지틀(200)에 볼팅 또는 끼움 결합되는 곡면결합부(250a)와, 상기 곡면결합부(250a)와 연장형성되고 내면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곡면부(250b)와, 고무 또는 스펀지로 형성되어 상기 곡면부(250b)의 하부에 장착는 곡면 완충부(250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200)은 하부를 향하면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롤러(230)들은 외주면에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완충부재(260)가 장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판(240)은 상기 결합프레임(210)에 고정되면서 외측 끝단에 위치하는 고정 측판(241)과, 상기 고정 측판(241)의 내면에 위치하면서 회동가능하게 힌지(244) 결합되는 가동 측판(242)과, 상기 고정 측판(241)과 가동 측판(242)을 고정하는 고정핀(243)으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244)를 중심으로 가동 측판(242)을 회동작동시켜 상기 이동롤러(230)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200)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볼팅 또는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지지틀(200)을 경사지게 설치하는 높이조절부재(300)들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팅수단(400)은 열선, 원적외선, 열풍 중 택일하여 형성되되, 상기 히팅수단(400)은 측판(240)에 볼팅 또는 끼움 결합되는 히팅 케이스(410)와, 상기 히팅 케이스(410)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열전달부재(420)와, 상기 열전달부재(420)의 상방에 장착되는 반사판(4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KR1020100037991A 2010-04-23 2010-04-23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KR100990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991A KR100990510B1 (ko) 2010-04-23 2010-04-23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991A KR100990510B1 (ko) 2010-04-23 2010-04-23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510B1 true KR100990510B1 (ko) 2010-10-29

Family

ID=4313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991A KR100990510B1 (ko) 2010-04-23 2010-04-23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766B1 (ko) 2013-02-04 2013-10-16 한국라이텍개발(주)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함침튜브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490B1 (ko) * 2008-04-14 2008-11-26 미래피앤씨(주)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490B1 (ko) * 2008-04-14 2008-11-26 미래피앤씨(주)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766B1 (ko) 2013-02-04 2013-10-16 한국라이텍개발(주)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함침튜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48992B (zh) 用于长壁式开采作业的上/下单轨道系统
CN102518907A (zh) 非开挖内置套管管道修复设备及方法
KR101463593B1 (ko) 하수관을 포함하는 지중 관거의 보수를 위한 제관벨트 라이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거 보수 공법
KR100990510B1 (ko)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CN201145098Y (zh) 一种埋地套管内移动装置
KR100785832B1 (ko) 배관 보수를 위한 견인롤러
KR100822336B1 (ko)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JP6917742B2 (ja) 管路の更生方法
KR100986111B1 (ko) 하수관 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KR101904751B1 (ko) 급결시멘트를 이용한 대구경 하수관로 보수장치
CN104487638A (zh) 用于浓浆料的旋转布料机
KR101206997B1 (ko) 관로 갱생공법
US8939679B2 (en) Mobile pipe lining apparatus
KR101187670B1 (ko) 높이조절 및 회전수단을 구비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KR100817852B1 (ko) 상하수도 시공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48393B1 (ko) 배관보수용 튜브의 함침장치
CN107762536B (zh) 一种新型的隧道衬砌台车台阶式堵头及该堵头的加固方法
CN110821522A (zh) 一种布料小车、混凝土布料机及台车
CN105247140A (zh) 用于施工机械的管道固定装置
CN203156948U (zh) 一种混凝土搅拌站的卸料装置及混凝土搅拌站
KR20120066827A (ko) 함침튜브의 삽입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관 보수방법
KR101020932B1 (ko) 일체식 유자형 후렉시블 튜브피더를 이용한 상·하수도 노후관의 열경화성 수지액 함침 튜브 자체 반전삽입 갱생공법.
KR101040514B1 (ko) 대구경 관로보수용 튜브재 반전장치
KR101086827B1 (ko) 가물막이 수밀 패널 위치 제어가 가능한 하수관거 차수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213782778U (zh) 一种玻璃钢电缆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