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670B1 - 높이조절 및 회전수단을 구비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및 회전수단을 구비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670B1
KR101187670B1 KR1020100045439A KR20100045439A KR101187670B1 KR 101187670 B1 KR101187670 B1 KR 101187670B1 KR 1020100045439 A KR1020100045439 A KR 1020100045439A KR 20100045439 A KR20100045439 A KR 20100045439A KR 101187670 B1 KR101187670 B1 KR 101187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late
reversing device
fixed
pipe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842A (ko
Inventor
김경제
Original Assignee
(주)보령알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령알엔씨 filed Critical (주)보령알엔씨
Priority to KR1020100045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670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1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ev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being turned inside 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맨홀 내의 바닥면 상에 위치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판; 상기 승강판의 상부에 삽입 설치되어 좌우로 180°회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상면 양측에 상판을 구비하여 고정설치되는 양측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설치되어 내면이 열경화성수지로 함침된 상태의 튜브를 안내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롤러의 하부에 설치되어 밀폐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를 통과하여 안내되는 튜브가 유입되는 입구와, 하부가 "ㄴ"자 형상을 이루어 튜브의 끝단이 반전된 상태로 고정되어 배출되는 출구와, 상기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튜브를 반전시키면서 가로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튜브에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순환시키도록 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양측 지지대에 다수의 고정지지대로 고정설치되는 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를 보수하고자 하는 노후된 관로가 위치하는 맨홀 내에 설치하여 관로로 삽입되는 튜브의 파손을 방지하고,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관로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 및 좌우로 180°회전가능하도록 하여 맨홀 바닥면으로부터 관로의 높이나 방향에 관계없이 반전된 튜브를 관로의 입구 방향으로 용이하게 위치되게 하여 보수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높이조절 및 회전수단을 구비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Reversing apparatus of tube used in repairing pipe line with adjusting height and Rotation}
본 발명은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로 보수작업시 튜브 반전장치를 맨홀 내에 설치하여 작업공간을 최소화하고, 본체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맨홀 바닥면으로부터 관로의 높이나 방향에 관계없이 반전된 튜브를 관로로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각종 상ㆍ하수관, 통신 케이블관, 전력케이블관 등의 관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노후되어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함으로써, 막대한 양의 물이 누수 되거나 토양은 물론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등의 생활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노후된 관로를 보수하게 되는데 이러한 관로를 보수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지면을 굴착한 후 노후화된 관로를 신품 관로로 교체하거나 부분적으로 보수하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지면 굴착방식은 주변 환경의 손상과 더불어 공사가 완료된 후 토양의 침식으로 인한 지면 침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혼잡한 도심지역의 경우 교통체증을 유발하고 시민들에게 불편을 초래하며, 보수 작업이 복잡하므로 보수 비용과 작업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의 지면 굴착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후된 관로가 매설된 지면 또는 도로를 굴착하지 않고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 된 노후 관로를 보수할 수 있는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도로 복구공사 등이 불필요하므로 시공성, 신뢰성, 경제성 면에서 장점이 많은 공법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으로는 노후된 관로상에 열경화성 수지 또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이 코팅된 튜브를 튜브 반전장치를 이용하여 관로의 내부에 반전시켜 삽입하고, 고온의 온수, 공기 등의 압력으로 튜브를 팽창시켜 관로의 내면에 압착시킨 상태에서 튜브의 일면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 또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관로의 내면에 경화시켜 융착함으로써 새로운 복합관을 형성하여 관로를 보수하는 공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에서 온수를 이용하는 공법에 있어서는 관로 내로 반전 삽입된 관형상 튜브에 채워지는 물의 전부를 가열하여 온수로 할 필요가 있으므로 특히 관로의 직경이 큰 경우 또는 길이가 긴 경우에는 다량의 물을 가열할 필요가 있고, 보일러, 온수 펌프 등의 가열 및 순환설비도 대형화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외에 시공시간이 지연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공기를 이용하는 공법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통형 반전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대형 차량에 탑재되므로 협소한 도로나 골목길에서는 작업이 어려우며, 또한 온수나 공기를 이용하는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의 운전을 위한 인력을 많이 필요로 하게 되어 운전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온수나 공기를 이용하는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가 맨홀에 근접되게 지상에 설치되어 노후된 관로의 보수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를 통하여 맨홀로부터 관로로 투입되는 튜브를 관로의 입구로 원활하게 투입시킬 수 없고, 관로가 매설된 방향에 따라 중량의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를 이동하여 위치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며, 튜브가 관로로 최초 진입할 때 관로의 입구가 맨홀로부터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반전장치 본체를 회전시키 튜브를 관로로 진입시키는 경우 절곡된 단부에 튜브가 접촉되면서 마찰력이 증가하여 반전작업이 지연되거나 튜브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공기를 이용하는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를 보수하고자 하는 노후된 관로가 위치하는 맨홀 내에 설치하여 본체에서 반전된 튜브를 관로의 입구로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로로 투입되는 튜브의 파손을 방지하고,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관로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본체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 및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맨홀 바닥면으로부터 관로의 높이나 방향에 관계없이 반전된 튜브를 관로의 입구 방향으로 위치되게 하여 보수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는,
맨홀 내의 바닥면 상에 위치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판;
상기 승강판의 상부에 삽입 설치되어 360°회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상면 양측에 상판을 구비하여 고정설치되는 양측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설치되어 내면이 열경화성 수지로 함침된 상태의 튜브를 안내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롤러의 하부에 설치되어 밀폐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를 통과하여 안내되는 튜브가 유입되는 입구와, 하부가 "ㄴ"자 형상을 이루어 튜브의 끝단이 반전된 상태로 고정되어 배출되는 출구와, 상기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튜브를 반전시키면서 가로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튜브에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순환시키도록 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양측 지지대에 다수의 고정지지대로 고정설치되는 본체;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판은 하부 양측에 회전나사봉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부가 저면에 하향 돌출되게 고정설치된 너트부재에 나사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판에 설치된 제1 모터의 모터 체인기어와 일측 회전나사봉의 구동 체인기어가 제1 체인으로 연결설치되고, 상기 일측 회전나사봉의 구동 체인기어 상부의 체인기어와 타측 회전나사봉의 체인기어가 제2 체인으로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제어에 의한 정,역회전에 의해 각각의 회전나사봉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판은 저면에 일체로 하향 돌출된 회전축에 고정설치되는 기어와 상기 승강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제2 모터에 축착된 기어가 맞물려 제2 모터의 구동제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수평조절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판의 저면에는 상기 승강판과의 사이에 볼베어링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판의 상면 둘레부에는 보호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고정지지대는 관상 또는 봉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프레임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에 의하면, 관로 보수작업시 튜브 반전장치를 맨홀 내에 설치하여 본체에서 반전된 튜브를 관로의 입구로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으므로 맨홀과 관로에 의한 튜브의 파손을 방지하고, 지상의 면적을 크게 차지하지 않고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관로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는 상기 본체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360°회전이 가능하므로 맨홀 바닥면으로부터 관로의 높이나 방향에 관계없이 반전된 튜브를 관로의 입구 방향으로 위치되게 하여 관로로 용이하게 반전된 튜브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로 보수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작업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운전을 위한 인력을 최소화하여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에서 본체가 상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에서 본체가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에 의해 관로 보수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에서 본체가 상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에서 본체가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에 의해 관로 보수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100)는, 상기도 1에서와 같이 고정판(10), 승강판(20), 회전판(30), 지지대(40), 롤러(50), 본체(6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10)은 원형으로 된 판상의 부재로서 맨홀(200) 내의 바닥면 상에 위치하게 되며, 저면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수평조절구(11)가 설치되어 있고, 상면 둘레부에 고정판(10) 상부의 승강판(20) 및 상기 승강판(20)과 연관된 구성품들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호커버(12) 상부에는 회전판(30)이 이격되게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30)의 상면 양측에는 상판(41)을 구비한 지지대(40)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40)는 후술하는 롤러(50), 본체(60) 등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판상의 부재 또는 봉상의 부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판(41)에는 소형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튜브 반전장치(10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걸고리구(42)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측 지지대(40) 내의 상부에는 전,후측으로 한 쌍의 롤러(50)가 지지대(4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롤러(50)는 후술하는 본체(60)의 입구(62) 내로 튜브(70)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부재로서,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내면이 열경화성 수지로 함침된 상태로 안내되는 튜브(70)를 가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한 쌍의 롤러(50) 중 일측의 롤러(50)의 회전축(51)이 롤러(50) 간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상기 지지대(40)에 슬롯(43)이 형성되어 회전축(5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50)는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었지만 튜브(70)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롤러(50)의 하부에는 상기 롤러(50)를 통과하여 안내되는 튜브(70)가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고정설치되어 있는 호퍼 형상의 튜브가이드(61)가 본체(60)의 상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60)는 상기 롤러(5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밀폐된 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양측 지지대(40)에 다수개의 고정지지대(44)로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50)를 통과하여 안내되는 튜브(70)를 가압하여 관로(300) 내로 삽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지지대(44)는 관상 또는 봉상 등으로 구성된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60)의 전면에는 상기 튜브(70)에 공기를 주입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튜브(70)를 반전시키면서 가로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66)와, 상기 튜브(70)에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순환시키도록 하는 공기배출구(67)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본체(60)의 전면에는 공기유입구(66) 하나만을 형성되어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겸하여 할 수 있고, 또한 공기유입구(66) 및 공기배출구(67)를 각각 다수로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60) 하부의 끝단에는 보수될 관로(300)의 내부로 삽입될 튜브(70)의 끝단이 반전된 상태로 고정부재(65)에 의하여 고정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60)의 상면에는 상기 롤러(50)를 통과하여 안내되는 튜브(70)가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고정설치되어 있는 호퍼 형상의 튜브가이드(61)를 통하여 튜브(70)가 유입되는 입구(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60)의 하부에는 관로(300) 내부로 튜브(7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ㄴ"자 형상을 이루어 튜브(70)의 끝단이 반전된 상태로 고정되어 배출되는 출구(6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출구(63)는 반전된 튜브(70)가 삽입될 관로(300)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60)의 입구(62) 측 내부에는 후술하는 공기유입구(66)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입구(62)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본체(60)의 내벽에 체크밸브 부재(64)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판(10)의 상부에는 승강판(20)이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판(20)의 저면에는 기어(28)가 축착된 제2 모터(27)가 고정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판(10)과 승강판(20) 사이에는 양측에 회전나사봉(22)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부가 상기 승강판(20)의 저면에 하향 돌출되게 고정설치된 너트부재(21)에 나사결합되어 있고, 하부가 상기 고정판(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일측 회전나사봉(22)에는 구동체인기어(23)와 이의 상부에 상기 구동체인기어(23)와 동시에 회전되는 체인기어(25)가 고정되어 있고, 타측 회전나사봉(22)에는 상기 일측 회전나사봉(22)의 체인기어(25)와 동일한 수평선상 위치에 체인기어(25)가 고정되어 상기 고정판(10)에 설치된 제1 모터(13)의 모터 체인기어(14)와 상기 일측 회전나사봉(22)의 구동체인기어(23)가 제1 체인(24)으로 연결설치되고, 상기 일측 회전나사봉(22)의 구동체인기어(23) 상부에 고정된 체인기어(25)와 타측 회전나사봉(22)의 체인기어(25)가 제2 체인(26)으로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1 모터(13)의 구동제어로 각각의 회전나사봉(22)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모터(13)의 구동제어에 의한 정회전에 의해 다수의 회전나사봉(22)이 상기 너트부재(21)로부터 나사가 풀리게 되면서 승강판(20)이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어 회전판(30) 및 지지대(40)에 고정설치된 본체(60)가 상승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모터(13)의 구동제어에 의한 역회전에 의해 다수의 회전나사봉(22)이 상기 너트부재(21)에 나사가 조이게 되면서 승강판(20)이 수직방향으로 하강하게 되어 회전판(30) 및 지지대(40)에 고정설치된 본체(60)도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판(20)은 동시에 회전되는 각각의 회전나사봉(22)에 의한 나사 풀림과 조임에 의해 항상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나사봉(2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판(10)에 베어링(1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서 상기 타측 회전나사봉(22)이 하나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 회전나사봉(22)을 3개 이상 다수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나사봉(22)은 상기 고정판(10)으로부터 이의 상부에 위치한 승강판(20), 회전판(30) 및 상기 회전판(30)에 고정설치된 지지대(40)와 상기 지지대(40)에 고정설치된 본체(60) 등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 설치된다.
상기 승강판(20)의 상부에는 회전판(3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30)에는 저면에 회전축(31)이 일체로 하향 돌출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31)에는 기어(32)가 삽입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1)에 고정설치된 기어(32)는 상기 승강판(20)의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제2 모터(27)에 축착된 기어(28)와 맞물려 제2 모터(27)의 정역전 구동제어에 의하여 회전판(30)이 좌우로 180°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판(3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판(20)에 베어링(29)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30)의 회전축(31)에 고정설치되는 기어(32)의 공회전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키(33)와 고정나사(3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30)의 저면에는 회전판(3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판(20)과의 사이에 볼베어링(35)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상판(41)에 설치된 걸고리구(42)를 걸어서 맨홀(200)의 내부 바닥면으로 이동하여 설치시키고, 상기 제1 모터(13)를 구동시켜 상기 본체(60)의 출구(63)를 보수작업에 적합한 관로(300)의 중심 높이로 상,하 조절하여 위치시키고, 상기 제2 모터(27)를 구동시켜 본체(60)의 출구(63)를 보수하고자 하는 관로(300)의 전방향에 위치되도록 회전판(3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승강판(20)과 동시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판(30) 및 상기 지지대(40)에 고정설치된 본체(60)도 동시에 이동함으로써 본체(60)의 출구(63) 위치에 대한 상,하 수직방향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회전판(30)과 동시에 좌우 180°회전되는 본체(60)에 의해 관로(300)의 방향과 관계없이 본체(60)의 출구(63)를 보수하고자 하는 관로(300)를 향하여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튜브공급장치(80)로부터 공급된 튜브(70)를 상기 롤러(50)로 이송하고, 상기 튜브가이드(61)를 통하여 상기 본체(60)의 입구(62) 및 출구(63)를 통과시킨 다음, 상기 튜브(70)의 끝부분을 뒤집어서 상기 고정부재(65)에 고정시키면 튜브(70)를 반전시키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이후, 상기 본체(60)의 전면에 위치한 공기유입구(66)에 공기공급장치(90)를 공기공급관(95)으로 연결시킨 후 상기 튜브(70) 쪽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튜브(70)에 공급된 공기는 상기 튜브(70)의 끝 부분이 뒤집히면서 형성되는 공간 내로 공급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공기공급장치(90)는 계속 튜브(70)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튜브(70)는 공급되는 공기 압력에 의하여 반전이 계속되고 보수하고자 하는 관로(3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채워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관로(300)에 튜브(70)가 채워지게 되면, 상기 튜브(70) 내로 유입되는 고온의 공기에 의하여 상기 관로(300)의 내면과 접하는 상기 튜브(70)의 일면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가 일체로 경화되면서 융착된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열경화 작업이 완료되어 새로운 복합관이 형성되면 상기 본체(60)의 공기배출구(67)를 통하여 상기 튜브(70) 내의 공기가 배출된다.
상기 튜브(70) 내의 공기가 배출되면 관로(300) 내의 튜브(70)를 회수함으로써 관로(300)의 보수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100)는 맨홀(200) 내에 설치되므로 상기 맨홀(200) 주변에서 많은 면적을 차지하지 않고 좁은 작업공간만으로 상기 튜브(70)를 관로(300)에 삽입하는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고정판 11 : 수평조절구
12 : 보호커버 13 : 제1 모터
14 : 모터 체인기어 15 : 베어링
20 : 승강판 21 : 너트부재
22 : 회전나사봉 23 : 구동 체인기어
24 : 제1 체인 25 : 체인기어
26 : 제2 체인 27 : 제2 모터
28 : 기어 29 : 베어링
30 : 회전판 31 : 회전축
32 : 기어 33 : 키
34 : 고정나사 35 : 볼베어링
40 : 지지대 41 : 상판
42 : 걸고리구 43 : 슬롯
44 : 고정지지대 50 : 롤러
51 : 회전축 60 : 본체
61 : 튜브가이드 62 : 입구
63 : 출구 64 : 체크밸브부재
65 : 고정부재 66 : 공기유입구
67 : 공기배출구 70 : 튜브
80 : 튜브공급장치 90 : 공기공급장치
95 : 공기공급관
100 : 튜브 반전장치 200 : 맨홀
300 : 관로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맨홀(200) 내의 바닥면 상에 위치되는 고정판(10)과;
    하부 양측에 회전나사봉(22)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부가 저면에 하향 돌출되게 고정설치된 너트부재(21)에 나사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고정판(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10)에 설치된 제1 모터(13)의 모터 체인기어(14)와 일측 회전나사봉(22)의 구동 체인기어(23)가 제1 체인(24)으로 연결설치되고, 상기 일측 회전나사봉(22)의 구동 체인기어(23) 상부의 체인기어(25)와 타측 회전나사봉(22)의 체인기어(25)가 제2 체인(26)으로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1 모터(13)의 구동제어에 의한 정,역회전에 의해 각각의 회전나사봉(22)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판(20)과;
    상기 승강판(20)의 상부에 삽입 설치되고 저면에 일체로 하향 돌출된 회전축(31)에 고정설치되는 기어(32)와 상기 승강판(20)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제2 모터(27)에 축착된 기어(28)가 맞물려 제2 모터(27)의 정역전 구동제어로 회전되는 회전판(30)과;
    상기 회전판(30)의 상면 양측에 상판(41)을 구비하여 고정설치되는 양측 지지대(40)와;
    상기 지지대(40)의 상측에 설치되어 내면이 열경화성수지로 함침된 상태의 튜브를 안내하는 한 쌍의 롤러(50)와;
    상기 양측 지지대(40)에 다수의 고정지지대(44)로 고정설치되고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66)와 상기 튜브에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거나 순환시키는 공기 배출구(67)를 구비한 본체(60)와;
    상기 본체(6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밀폐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50)를 통과하여 안내되는 튜브(70)가 유입되는 입구(62)와;
    및 상기 입구(62)와 연결되고 하부가 "ㄴ"자 형상을 이루어 튜브(70)의 끝단이 반전된 상태로 고정되어 배출되는 출구(6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는,
    상기 고정판(10)의 저면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수평조절구(11)를 더 포함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관롭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는,
    상기 회전판(30)의 저면에 상기 승강판(20)과의 사이에 볼베어링(35)를 더 포함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는,
    상기 고정판(10)의 상면 둘레부에 보호커버(12)를 더 포함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는,
    튜브 가이드(61)를 더 포함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는,
    상기 본체(60) 내부에 체크밸브 부재(64)를 더 포함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KR1020100045439A 2010-05-14 2010-05-14 높이조절 및 회전수단을 구비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KR101187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439A KR101187670B1 (ko) 2010-05-14 2010-05-14 높이조절 및 회전수단을 구비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439A KR101187670B1 (ko) 2010-05-14 2010-05-14 높이조절 및 회전수단을 구비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842A KR20110125842A (ko) 2011-11-22
KR101187670B1 true KR101187670B1 (ko) 2012-10-09

Family

ID=4539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439A KR101187670B1 (ko) 2010-05-14 2010-05-14 높이조절 및 회전수단을 구비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6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098B1 (ko) * 2014-03-26 2015-02-25 주식회사 마중물 보강 튜브 공급 속도 조절 장치를 포함한 보강 튜브 공급 장치
KR101458454B1 (ko) * 2014-03-26 2014-11-07 주식회사 마중물 보강 튜브를 이용한 관로의 보강 방법
CN110513564B (zh) * 2019-09-04 2021-08-24 重庆建工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紫外光固化内衬修复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8399A (ja) 1999-11-11 2001-05-22 Shonan Gosei Jushi Seisakusho:Kk 管ライニング材反転ノズル及び管ライニング工法
KR100822336B1 (ko) 2006-10-30 2008-04-16 (주) 마스터라이너코리아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8399A (ja) 1999-11-11 2001-05-22 Shonan Gosei Jushi Seisakusho:Kk 管ライニング材反転ノズル及び管ライニング工法
KR100822336B1 (ko) 2006-10-30 2008-04-16 (주) 마스터라이너코리아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842A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44389B (zh) 一种混凝土管桩生产线及其生产工艺
KR101187670B1 (ko) 높이조절 및 회전수단을 구비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KR100555026B1 (ko)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CN111765319B (zh) 大口径排水管道用修复装置
KR100886461B1 (ko) 하수관거 차수로봇용 가물막이 수밀패널
KR100822336B1 (ko)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CN117231159B (zh) 一种自流井的膨润土封堵施工装置
CN111810718B (zh) 一种用于大直径污水干管修复方法
CN106759385B (zh) 市政排水管线坑槽支护结构
KR200321707Y1 (ko)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KR100895342B1 (ko) 차수로봇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물 돌리기 방식 건식 보수 보강 공법
CN208011150U (zh) 一种下水道修补车
KR101904751B1 (ko) 급결시멘트를 이용한 대구경 하수관로 보수장치
KR101086827B1 (ko) 가물막이 수밀 패널 위치 제어가 가능한 하수관거 차수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212388715U (zh) 一种一体化预制泵站冲洗式底座
KR100817852B1 (ko) 상하수도 시공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20066827A (ko) 함침튜브의 삽입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관 보수방법
CN205473284U (zh) 用于投放河道底泥修复物质的装置
KR100942008B1 (ko)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 및 장치
KR20090041835A (ko) 다회 반전을 위한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지중 매설상하수도관의 비굴착장치
CN213145754U (zh) 一种用于大直径污水干管修复的一体化管节定位顶进装置
CN215977146U (zh) 一种水利工程用防冻闸门装置
KR101076592B1 (ko) 상수도 배관용 라이닝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0633737B1 (ko) 공·수압 복합형 반전 삽입장치를 이용한 관고정식 상·하수도 노후관의 열경화성 수지액 함침 pe 연질 부직포 보강튜브 삽입 보수공법.
KR200378117Y1 (ko) Pe 연질 부직포 보강 튜브의 공·수압 복합 수직형 관 고정식 반전 삽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