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490B1 -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 - Google Patents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490B1
KR100870490B1 KR1020080034331A KR20080034331A KR100870490B1 KR 100870490 B1 KR100870490 B1 KR 100870490B1 KR 1020080034331 A KR1020080034331 A KR 1020080034331A KR 20080034331 A KR20080034331 A KR 20080034331A KR 100870490 B1 KR100870490 B1 KR 100870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tube
resin
water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재
Original Assignee
미래피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피앤씨(주) filed Critical 미래피앤씨(주)
Priority to KR1020080034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ring, a band or a sleev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41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pressed against the wall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pulled into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4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pulled into the damaged section and being inf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후된 상수도관 또는 하수도관의 보강 및 보수를 위하여 상하수관의 내경면에 삽입하는 부직포 튜브를 미리 수지에 용이하게 함침시킬 수 있고, 수지 함침된 부직포 튜브를 상하수관의 내부로 손쉽게 유도시킬 수 있도록 한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소정량의 에폭시 수지가 충진되는 양단 개방형 비닐과;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의 일측 및 타측단부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롤러와;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의 내부를 지나가면서 비닐 내부에 충진된 수지에 함침되는 부직포 튜브와;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의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내설되어 상기 부직포 튜브 및 비닐의 하피층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는 복수개의 승하강 롤러체와;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의 상부쪽 외부 위치에서, 상기 양단형 비닐의 상피층과 그 내부에 배열된 복수개의 승하강 롤러체를 잡아주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원하는 높이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높낮이 조절체와; 상기 한 쌍의 고정롤러 및 상기 지지체의 고정 설치를 위한 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를 제공한다.
상하수도관, 보강, 보수 장치, 수지, 부직포 튜브, 비닐, 함침, 롤러, 지지체, 높낮이 조절체, 프레임

Description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Device for reinforcement water pipe and drain pipe}
본 발명은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후된 상수도관 또는 하수도관의 보강 및 보수를 위하여 상하수관의 내경면에 삽입하는 부직포 튜브를 미리 수지에 용이하게 함침시킬 수 있고, 수지 함침된 부직포 튜브를 상하수관의 내부로 손쉽게 유도시킬 수 있도록 한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후화된 상하수관을 비굴착식 방식으로 보강하는 방법으로는 하수도인 경우에 부직포 튜브를 이용한 수압 반전 삽입 공법, 공기압 반전 삽입 공법, 견인 삽입 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수도인 경우에 고밀도 폴리에틸렌관을 이용한 변형관 견인 삽입 공법이 많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공법들중, 수압 반전 삽입 공법은 높은 온도의 물을 유지하기 위해 시간이 많이 걸리고, 반전가대의 설치 등으로 인한 준비 시간 및 교통 방해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공기압 반전 삽입 공법은 수압 반전 삽입 공법과 마찬가지로 반전가대가 필요한데, 공기압과 더불어 증기열로 경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해야 하므로, 수압 반전 삽입공법에 비하여 그 장치가 매우 커서 반전가대 설치에 따른 문제점과 더불어 좁은 골목이나 작은 길에서는 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수도에 사용되는 변형관 삽입 공법은 폴리에틸렌 특성상 열에 약한 열가소성이기 때문에, 나중에 연결관 결합 공사시 관이 변형될 수 있고 부직포와 같이 구부러진 관로에서는 기존 관로와 일치되지 않고 들뜨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하수관의 보수를 위하여 상하수관의 내경면에 밀착 삽입되는 원통형의 부직포 튜브는 첨부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튜브(1)에 이음매가 돌출되고, 이를 관로에 밀착시켜 접착할 경우 돌출된 부위로 인해 장기잔 사용시 관로에서 떨어져 나가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 이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방법(특허 제10-0736868호)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수할 관로의 크기에 맞게 재단한 보강섬유층(3)의 일단부에 제1연결부(3a)를 형성시키고, 제1연결부(3a)에 단차없이 연결되도록 타단부에 제2연결부(3b)를 형성시킨다.
이러한 보강섬유층(3)의 일면에 부직포층(2)를 부착시키고, 보강섬유층(3)의 타면에 양단부의 연결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합성수지로 라미네이팅하여 합 성수지층(4)을 만든다.
이와 같이 부직포층(2), 보강섬유층(3), 합성수지층(4)으로 이루어진 튜브판을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직포층(2)이 내주면이 되도록 원통 형태로 말고, 이와 같이 말린 원통형 튜브(5)의 양단부 연결부를 이음매가 돌출되지 않도록 연결하고 그 연결부위를 고정하여서 튜브(5)를 제조한다.
상기 튜브(5)의 외주면 중 라미네이팅이 되지 않은 부위, 즉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층(4)의 양단부 사이의 공간에 동일한 재질로 코팅하여서 마무리한 다음,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5)의 부직포층(2)이 외주면을 이루도록 이를 뒤집는다.
이와 같이 하여, 튜브(5)가 제조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용수지(7)가 충진된 저장조(6)에 튜브(5)를 통과시켜 경화용수지(7)가 튜브(5)에 함침되도록 하고, 이후 급랭장치(8)를 상하수관(9)에 투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튜브(5)를 경화용수지(7)에 통과시키는 이유는 튜브(5)의 부직포층(2)에 경화용수지(7)를 함침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저장조(6)에는 튜브(5)가 통과할 시 잠길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경화용수지(7)가 저장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튜브(5)가 저장조(6)를 통과하면서 저장조(6) 내의 경화용수지(7)가 점차 감소되면, 이에 경화용수지(7)를 보충하여서 저장조(6) 내에 항상 일정량 이상의 경화용수지(7)가 저장되도록 보충한다.
이와 같이, 상기 튜브(5)를 경화용수지(7)가 저장된 저장조를 지나게 하여 함침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경화용수지(7)가 조밀한 부직포층(2)에 제대로 함침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노후된 상수도관 또는 하수도관의 내경면에 부직포 튜브를 삽입하기 전에 적정량의 수지를 부직포 튜브에 함침시킬 수 있고,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를 상하수도관의 내부로 손쉽게 견인하여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한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량의 에폭시 수지가 충진되는 양단 개방형 비닐과;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의 일측 및 타측단부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롤러와;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의 내부를 지나가면서 비닐 내부에 충진된 수지에 함침되는 부직포 튜브와;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의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내설되어 상기 부직포 튜브 및 비닐의 하피층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는 복수개의 승하강 롤러체와;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의 상부쪽 외부 위치에서, 상기 양단형 비닐의 상피층과 그 내부에 배열된 복수개의 승하강 롤러체를 잡아주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원하는 높이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높낮이 조절체와; 상기 한 쌍의 고정롤러 및 상기 지지체의 고정 설치를 위한 프레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ㆍ하수관 보강 및 보수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상기 복수개의 승하강 롤러체는 상기 비닐을 통과하는 부직포 튜브를 하방향으로 가압시키는 가압롤러와, 이 가압롤러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비닐의 상피층과 밀착되는 견인홀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지지체는: 복수개의 제1견인홀더 지지홈이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바와; 복수개의 제2견인홀더 지지홈이 내측면에 형성된 이동바와; 일측단은 상기 고정바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서 상기 이동바에 삽입 관통되는 간격 조절핀과; 상기 고정바의 외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높이조절용 핀; 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바가 조절핀을 따라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높낮이 조절체는: 상기 프레임에 서로 마주보며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수직지지대와; 상기 제1수직지지대에 상하방향으로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며, 상기 간격 조절핀의 자유단 끝단이 삽입 안착되는 다수개의 제1높이조절용 홈과;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상하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의 높이조절용 핀이 삽입 안착되는 다수개의 제2높이조절용 홈;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단부에는 상기 비닐내로 부직포 튜브를 폭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판이 장착되고, 이 제1가이드판의 바로 아래쪽에는 상기 비닐내로 부직포 튜브를 롤링시켜 안내하는 유도롤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프레임의 타측 상단부에는 상기 비닐내로부터 배출되는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를 배출 안내하는 제2가이드판이 장착되고, 이 제2가이드판의 바로 위쪽에는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를 가압하여 함침액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함침용 롤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함침용 롤러를 빠져나온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를 보수가 필요한 상하수도관의 입구까지 유도 안내하는 유도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가 상하수도관의 내부로 용이하게 견인되며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수도관의 바닥면에 다수개의 플렉시블 파이프와, 이 플렉시블 파이프를 등간격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체가 분리 가능하게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복수개의 승하강 롤러체가 부직포 튜브와 비닐의 하피층을 하방향으로 가압하고, 에폭시 잔량에 따라 복수개의 승하강 롤러체 높이를 낮게 조절해줌으로써, 비닐내의 에폭시 수지를 잔여량까지 모두 소모할 수 있고, 수지 잔여량이 남지 않으므로 비닐의 해체 및 수세 작업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2) 수지 함침된 부직포 튜브를 상하수도관 내부의 원하는 위치까지 플렉시블 파이프를 이용하여 손쉽게 이송시킬 수 있다.
3) 수지 함침 후, 부직포 튜브를 곧바로 상하수도관의 내부에 투입하여 보수공사를 수행하므로, 별도의 비용 증가없이 보수공사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비닐이 장착되어 부직포 튜브가 통과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 및 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롤러체와 지지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는 에폭시 수지가 충진된 양단 개방형 비닐의 양끝단부를 고정시킨 후, 비닐 내부로 부직포 튜브를 삽입하여 부직포 튜브가 에폭시 수지에 의하여 함침되도록 한 다음, 보수를 필요로 하는 상하수도관으로 용이하게 삽입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에폭시 수지(12)가 충진되는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10)의 양측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프레임(14)의 양측 상부 위치에 한 쌍의 고정롤러(16)가 장착된다.
이에,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10)의 양측단부는 각각 상기 고정롤러(16)에 말려진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부직포 튜브(18)가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10)의 내부를 지나가면서 비닐 내부에 충진된 수지에 함침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14)의 일측 상단부에는 상기 비닐(10)내로 부직포 튜브(18)를 그 폭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직사각 블럭 형상의 제1가이드판(20)이 장착되고, 이 제1가이드판(20)의 바로 아래쪽에는 상기 비닐(10)내로 부직포 튜브(18)를 롤링시켜 안내하는 유도롤러(22)가 장착되며, 이 유도롤러(22)의 바로 아래쪽에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10)을 고정시키는 고정롤러(16)가 장착된다.
반면, 상기 프레임(14)의 타측 상단부에서 고정롤러(16)가 설치된 바로 위쪽 위치에 상기 비닐(10)의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18)를 배출 안내하는 직사각판 형상의 제2가이드판(24)이 장착되고, 이 제2가이드판(24)의 바로 위쪽에는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18)를 가압하여 함침수지액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함침용 롤러(26)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4)의 타측 상단부에 장착된 고정롤러(16)와 그 위쪽의 함침용 롤러(26) 사이에는 수지차단판(77)이 일체로 장착된다.
상기 비닐(10)로부터 배출되는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는 많은 양의 수지가 함침된 상태이므로, 상기 부직포 튜브(18)가 함침용 롤러(26)를 통과하며 압축되는 순간, 과량의 수지가 부직포 튜브(18)로부터 짜지듯이 제거되어, 결국 부직포 튜브에는 적정량의 수지가 함침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부직포 튜브(18)로부터 짜내어져 제거된 수지액은 바로 아래쪽의 수지차단판(77)을 타고 다시 비닐(10)의 내부로 들어가 재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10)과, 이 비닐(10)내를 통과하는 부직포 튜브(18)는 그 중앙부분에 대한 지지수단이 없으면, 외부력에 의하여 흔들릴 수 있고, 또한 비닐(10)내에 충진된 에폭시 수지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또한 비닐내에 충진된 에폭시 수지량이 감소하면 부직포 튜브 전체면이 일정하게 수지로 함침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비닐(10)의 내부를 부직포 튜브(18)가 계속 통과하여 부직포 튜브(18)에 수지(12)가 계속 함침됨에 따라, 비닐내에 충진된 에폭시 수지량이 감소하게 되고, 잔류 에폭시 수지(12)는 비닐(10)의 바닥쪽에 모이게 되므로, 첨부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 튜브(18)에 수지(12)가 고르게 함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첨부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닐(10) 및 부직포 튜브(18)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잔류 에폭수 수지량까지 모두 부직포 튜브(18)에 함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는 복수개의 승하강 롤러체(30)와, 이 승하강 롤러체(30)를 잡아주는 지지체(40)와, 이 지지체(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체(5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승하강 롤러체(30)는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10)의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내설되어 상기 부직포 튜브(18) 및 비닐(10)의 하피층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승하강 롤러체(30)의 구성을 보면, 상기 비닐(10)을 통과하는 부직포 튜브(18)를 하방향으로 가압시키는 가압롤러(32)와, 상기 가압롤러(32)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비닐(10)의 상피층과 밀착되는 견인홀더(3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40)는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10)의 상부쪽 외부 위치에서,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10)의 상피층과 그 내부에 배열된 복수개의 승하강 롤러체(30)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체(40)의 구성을 보면, 도 3a 및 도 3b에서 더 잘 볼 수 있듯이, 복수개의 제1견인홀더 지지홈(42)이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바(41)와, 복수개의 제2견인홀더 지지홈(44)이 내측면에 형성된 이동바(43)와, 일측단은 상기 고정바(41)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서 상기 이동바(43)에 삽입 관통되는 간격조절핀(45)과, 상기 고정바(41)의 외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높이조절용 핀(4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 롤러체(30)의 견인홀더(34)를 바로 위의 비닐(10) 상피층과 함께 상기 지지체(40)의 고정바(41) 및 이동바(43)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견인홀더 지지홈(42,44) 사이에 배열시킨 상태에서, 상기 간격 조질핀(45)에 슬라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이동바(43)를 상기 고정바(41)쪽으로 직선 이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견인홀더 지지홈(42,44)내에 상기 견인홀더(34)가 비닐(10)의 상피층과 함께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견인홀더(34)가 비닐(10)의 상피층과 함께 상기 제1 및 제2 견인홀더 지지홈(42,44)내에서 조여지며 고정된 상태가 되고, 결국 가압롤러(32)와 견인홀더(34)로 구성된 복수개의 승하강 롤러체(30)는 비닐(10) 내부에서 그 폭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체(50)는 상기 지지체(40)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구성을 보면, 상기 프레임(14)에 서로 마주보며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수직지지대(51,53)와, 상기 제1수직지지대(51)에 상하방향으로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높이조절용 홈(52)과, 상기 제2수직지지대(53)에 상하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높이조절용 홈(5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40)의 간격 조절핀(45)의 자유단 끝단이 상기 제1수직지지대(51)의 제1높이조절용 홈(52)들중 선택된 하나에 삽입되어 거치되고, 동시에 상기 지지체(40)의 고정바(41)에 형성된 높이조절용 핀(46)이 상기 제2수직지지대(53)의 제2높이조절용 홈(54)들중 선택된 하나에 삽입되어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체(40)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단부에 장착된 제1가이드판(20)의 안내를 받으면서 부직포 튜브(18)를 비닐쪽으로 밀어넣으면, 동시에 상기 제1가이드판(20)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된 유도롤러(22)가 회전하면서 부직포 튜브(18)를 비닐(10)의 내부로 유도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부직포 튜브(18)가 비닐(10)의 내부로 이송되면, 비닐(10)의 내부에 충진된 에폭시 수지(12)를 통과하게 되어, 부직포 튜브(18)에 대한 수지 함침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비닐(10)내에 위치된 상기 승하강 롤러체(30)의 가압롤러(32)가 부직포 튜브(18)의 상면을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부직포 튜브(18)에 수지(12)가 고르게 함침되어진다.
즉, 상기 승하강 롤러체(30)의 가압롤러(32)는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10)의 내부에서 부직포 튜브(18) 및 비닐(10)의 하피층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는 바, 이때의 가압롤러(32)의 가압력에 의하여 부직포 튜브(18)는 수지의 내부로 잠기게 되어, 결국 부직포 튜브(18)에 대한 수지 함침이 고르게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승하강 롤러체(30)의 견인홀더(34)는 비닐(10)의 상피층과 함께 상기 지지체(40)의 고정바(41) 및 이동바(43)에 형성된 제1 및 제2견인홀더 지지홈(42,44)내에서 견인되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비닐(10)의 내부를 부직포 튜브(18)가 계속 통과하여 부직포 튜브(18)에 수지(12)가 계속 함침됨에 따라, 비닐(10)내에 충진된 에폭시 수지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상기 지지체(40)의 높이를 낮게 조절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체(40)에 견인되어 있는 승하강 롤러체(30)의 높이도 함께 낮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하강 롤러체(30)의 가압롤러(32)가 부직포 튜브(18) 및 비닐(10)의 하피층을 보다 큰 힘으로 가압하여 잔여 에폭시 수지가 부직포 튜브(18)에 보다 용이하게 함침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체(40)의 간격 조절핀(45)의 자유단 끝단을 상기 제1수직지지대(51)의 제1높이조절용 홈(52)들중 보다 아래쪽의 것에 삽입하여 거치시키고, 동시에 상기 지지체(40)의 고정바(41)에 형성된 높이조절용 핀(46)을 상기 제2수직지지대(53)의 제2높이조절용 홈(54)들중 보다 아래쪽의 것에 삽입하여 거치시킴으로써, 상기 지지체(4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동시에 지지체(40)에 견인되어 있는 상기 승하강 롤러체(30)의 높이도 낮아지게 된다.
이에, 비닐(10)내에서 상기 승하강 롤러체(3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면, 상기 가압롤러(32)가 부직포 튜브(18) 및 비닐(10)의 하피층을 보다 큰 힘으로 가압하게 되어, 비닐(10)과 부직포 튜브(18)는 "V"자 형태가 되고, 따라서 잔여 에폭시 수지(12)가 중력에 의하여 중앙쪽으로 모이게 되어 부직포 튜브(18)에 대한 수지 함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결국 비닐내의 에폭시 수지(12) 잔량까지 모두 부직포 튜브(18)를 함침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18)는 상기 프레임(14)의 타측 상단부에 장착된 제2가이드판(24)의 안내를 받으면서 바로 위쪽의 함침용 롤러(26)를 통과하여 배출된다.
이때, 상기 비닐(10)로부터 배출되는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18)는 많은 양의 수지가 함침된 상태이므로, 상기 부직포 튜브(18)가 함침용 롤러(26)를 통과하는 순간, 과량의 수지가 부직포 튜브(18)로부터 짜지듯이 제거되어, 결국 부직포 튜브(18)에는 적정량의 수지만이 함침된 상태가 되며, 상기 부직포 튜브(18)로부터 짜내어져 제거된 수지액은 바로 아래쪽의 제2가이드판(24)을 타고 다시 비 닐(10)의 내부로 들어가 재사용된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를 이용하여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를 상하수도관의 내부로 견인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침용 롤러(26)의 출구에서 보수가 필요한 상하수도관(60)의 입구까지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18)를 용이하게 유도하기 위한 통로수단으로서 중공의 유도관(62)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함침용 롤러(26)를 통해 배출된 부직포 튜브(18)는 중공의 유도관(62)의 내부를 따라 하강하면서 보수가 필요한 상하수도관(60)의 입구까지 이송된다.
이때, 상기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18)의 전단끝에는 견인고리(64a)가 부착되고, 이 견인고리(64a)에는 와이어(66a: 견인줄)가 연결되는 바, 이 와이어(66a)를 반대쪽 맨홀(68) 위쪽에서 잡아 당기게 된다.
이에, 상기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18)는 보수가 필요한 상하수도관(60)의 입구에서 그 출구까지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도관(62) 및 상하수도관(60)의 내표면은 거칠기 때문에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18)가 유도관(62) 및 상하수도관(60)내에서 그 마찰력으로 인하여 잘 이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관(62) 및 상하수도관(60)의 바닥면에 다수개의 플렉시블 파이프(70)를 수지 함침된 튜브(18)가 들어오기 전에 분리 가능하게 내재시키고,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70)의 양끝단에는 플렉시블 파이프의 삽입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체(72)를 미리 분리 가능하게 내재시킨다.
따라서, 상기 유도관(62) 및 상하수도관(60)의 바닥면에 다수개의 플렉시블 파이프(70)가 등각격을 이루며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18)가 유도관(62)을 따라 상하수도관(60)으로 유입될 때, 상기 유도관(62) 및 상하수도관(60)의 바닥에 배치된 플렉시블 파이프(70)를 따라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면서 손쉽게 이송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18)가 상하수도관(60)의 입구에서 원하는 위치까지 이송 완료되면,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70) 및 이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체(72)를 상하수도관(60)으로부터 외부로 제거해준다.
이때, 상기 고정체(72)에 견인고리(64b)가 부착되고, 이 견인고리(64b)에 와이어(66b)가 연결시켜, 이 와이어(66b)를 반대쪽 맨홀(68)에서 잡아 당김으로써, 플렉시블 파이프(70) 및 고정체(72)가 외부로 배출 제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유도관(62)에 설치된 플렉시블 파이프(70) 및 고정체(72)는 유도관(62)의 입구에서 위쪽으로 끌어 당겨 제거하면 된다.
이후, 실질적인 상하수도관에 대한 보수 작업이 이루어진다.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를 이용하여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를 상하수도관의 내부로 견인한 후, 부직포 튜브를 팽창시켜 상하수도관을 보수하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18)가 보수를 요하는 상하수도관(60)의 입구에서 원하는 위치까지 이송 완료되고, 플렉시블 파이프(70) 및 고정체(72)가 제거된 후, 상기 부직포 튜브(18)의 일측단에 공기흡입통로를 갖는 제1커넥터(74)를 연결시키고, 타측단에 공기배출경로를 갖는 제2커넥터(76)를 연결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1커넥터(74)를 통해 압축공기 및 스팀을 주입하면, 상기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18)가 압축공기에 의하여 팽창되면서 상하수관(60)의 내표면에 밀착되고, 이와 함께 스팀에 의하여 부직포 튜브(18)에 함침되어 있던 수지의 경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보수를 요하는 상하수도관(60)의 내표면에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18)를 밀착 경화시킴으로써, 상하수도관에 대한 실질적인 보수작업이 종료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74,76)의 분리와 함께 상하수도관(60)의 외부로 돌출된 부직포 튜브(60)의 잔여 길이분을 커팅해준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비닐내로 부직포 튜브가 통과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의 승하강 롤러체와, 지지체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를 이용하여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를 상하수도관의 내부로 견인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의 일 구성으로서, 플렉시블 파이프와, 이를 고정하는 고정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를 이용하여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를 상하수도관의 내부로 견인한 후, 부직포 튜브를 팽창시켜 상하수도관을 보수하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부직포 튜브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부직포 튜브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부직포 튜브에 대한 수지 함침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비닐 12 : 수지
14 : 프레임 16 : 고정롤러
18 : 부직포 튜브 20 : 제1가이드판
22 : 유도롤러 24 : 제2가이드판
26 : 함침용롤러 30 : 승하강 롤러체
32 : 가압롤러 34 : 견인홀더
40 : 지지체 41 : 고정바
42 : 제1견인홀더 지지홈 43 : 이동바
44 : 제2견인홀더 지지홈 45 : 간격조절핀
46 : 높이조절용 핀 50 : 높낮이 조절체
51 : 제1수직지지대 52 : 제1높이조절용 홈
53 : 제2수직지지대 54 : 제2높이조절용 홈
60 : 상하수도관 62 : 유도관
64a,64b : 견인고리 66a,66b : 와이어
68 : 맨홀 70 : 플렉시블 파이프
72 : 고정체 74 : 제1커넥터
76 : 제2커넥터 77 : 수지차단판

Claims (8)

  1. 한 쌍의 수직판이 이격되어서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양단이 개방된 비닐로 된 튜브 형태의 내부 공간 일부에 에폭시 수지가 담겨지는 양단 개방형 비닐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서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의 일측 및 타측단부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롤러와;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에 담겨진 수지가 함침되도록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의 내부를 통과하는 부직포 튜브와;
    상기 비닐을 통과하는 부직포 튜브를 하방향으로 가압시키는 가압롤러와, 상기 가압롤러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비닐의 상피층과 밀착되는 견인홀더로 구성되어서, 상기 부직포 튜브 및 비닐의 하피층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는 복수개의 승하강 롤러체와;
    상기 비닐의 상피층 및 상기 견인홀더의 일부분이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제1견인홀더 지지홈이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바와, 상기 비닐의 상피층 및 상기 견인홀더의 나머지 부분이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제2견인홀더 지지홈이 내측면에 형성된 이동바와, 일측단은 상기 고정바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서 상기 이동바에 삽입 관통되어서 상기 이동바가 직선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간격 조절핀과, 상기 고정바의 외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높이조절용 핀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양단 개방형 비닐의 상부쪽 외부 위치에서 상기 양단형 비닐의 상피층과 그 내부에 배열된 복수개의 승하강 롤러체를 잡아주는 지지체와;
    상기 프레임에 서로 마주보며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수직지지대와, 상기 제1수직지지대에 상하방향으로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며 상기 간격 조절핀의 자유단 끝단이 삽입 안착되는 다수개의 제1높이조절용 홈과,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상하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의 높이조절용 핀이 삽입 안착되는 다수개의 제2높이조절용 홈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지지체를 원하는 높이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높낮이 조절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단부에는 상기 비닐내로 부직포 튜브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판이 장착되고, 이 제1가이드판의 바로 아래쪽에는 상기 비닐내로 부직포 튜브를 롤링시켜 안내하는 유도롤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타측 상단부에는 상기 비닐내로부터 배출되는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를 배출 안내하는 제2가이드판이 장착되고, 이 제2가이드판의 바로 위쪽에는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를 가압하여 함침액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함침용 롤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함침용 롤러의 출구에서 보수가 필요한 상하수도관의 입구까지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에 대한 유도 안내를 위한 통로로서 중공의 유도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함침된 상태의 부직포 튜브가 상기 유도관을 통과하는 동시에 상하수도관의 내부로 용이하게 견인되며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관 및 상하수도관의 바닥면에 다수개의 플렉시블 파이프와, 이 플렉시블 파이프를 등간격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체가 분리 가능하게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
KR1020080034331A 2008-04-14 2008-04-14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 KR100870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331A KR100870490B1 (ko) 2008-04-14 2008-04-14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331A KR100870490B1 (ko) 2008-04-14 2008-04-14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490B1 true KR100870490B1 (ko) 2008-11-26

Family

ID=4028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331A KR100870490B1 (ko) 2008-04-14 2008-04-14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4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510B1 (ko) * 2010-04-23 2010-10-29 봉화토건 합자회사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KR101005330B1 (ko) * 2010-05-18 2011-01-24 김철환 라이너 함침장치
KR101018684B1 (ko) 2010-05-18 2011-03-04 김철환 라이너를 이용한 배관보수 방법
KR101357623B1 (ko) 2013-08-26 2014-02-05 덕산건설 주식회사 관로 보수용 펠트의 텐션 조절 장치를 갖춘 반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790A (ja) * 1995-07-27 1997-02-10 Toray Ind Inc 樹脂含浸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09486A (ko) * 2004-07-24 2006-02-01 임홍섭 콘크리트 보강재,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790A (ja) * 1995-07-27 1997-02-10 Toray Ind Inc 樹脂含浸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09486A (ko) * 2004-07-24 2006-02-01 임홍섭 콘크리트 보강재,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510B1 (ko) * 2010-04-23 2010-10-29 봉화토건 합자회사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KR101005330B1 (ko) * 2010-05-18 2011-01-24 김철환 라이너 함침장치
KR101018684B1 (ko) 2010-05-18 2011-03-04 김철환 라이너를 이용한 배관보수 방법
KR101357623B1 (ko) 2013-08-26 2014-02-05 덕산건설 주식회사 관로 보수용 펠트의 텐션 조절 장치를 갖춘 반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490B1 (ko)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
US902864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lining conduits
CA3048021C (en) Continuous construction of composite pipe
US20120043006A1 (en) Method of producing a resin-impregnated fiber tube and method of internally lining conduits and pipes
ES2881874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fabricación de un manguito de revestimiento para tuberías
EP1001206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anieren eines im Erdreich verlegten Altrohrstranges
JP2018531161A6 (ja) 管用ライナーホースの製造方法及び装置
EP0301204B1 (de) Schlauch für die Innenerneuerung von Rohrleitungen und Verwendung desselben
CZ27090A3 (cs) Provzdušňovací systém nádrže naplněné kapalinou
CZ2003796A3 (cs) Způsob vykládání potrubního vedení flexibilní vložkou
CN210069249U (zh) 一种地下管网紫外光固化修复施工装置
CN208595353U (zh) 一种管道用非开挖式局部修补装置
KR20000052348A (ko) 섬유실 슬래싱 시스템
FI57140C (fi) Foerfarandet foer att byta vaevnader i synnerhet viror i en pappersmaskin och hjaelpmedel foer anvaendning vid foerfarandet
EP1090448A1 (de) Verfahren zur installation mindestens einer leitung und/oder eines leerrohrs in verlegten, zur versorgung oder entsorgung dienenden rohren, insbesonde kanalrohr-systemen oder -netzen und dergleichen
US6669819B2 (en) Device for continuous reeling of a pulp sheet
DE19921382C2 (de) Verfahren zur Installation mindestens einer Leitung und/oder eines Leerrohrs in verlegten, zur Versorgung oder Entsorgung dienenden Rohren, insbesondere Kanalrohr-Systemen oder -Netzen und dgl.
KR100922596B1 (ko) 관로 보수용 보수재의 제조장치
JP3569688B2 (ja) 育苗システム及びその構築方法
US2009362A (en) Method of constructing monolithic canalized structures
JPH0544117Y2 (ko)
CN114992422B (zh) 一种紫外光固化内衬修复装置及其施工方法
KR100532826B1 (ko) 지하 매설관의 보수 보강기구 및 이를 이용한 수지의 균일안배방법
DE1796920U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hohlprofilstaeben aus haertbaren kunststoffen, die mittels glasfasergewebe armiert sind.
DE10202012698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härten eines mit einem aushärtbaren Material getränkten Inliner-Schlauch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