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766B1 -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함침튜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함침튜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766B1
KR101318766B1 KR1020130012263A KR20130012263A KR101318766B1 KR 101318766 B1 KR101318766 B1 KR 101318766B1 KR 1020130012263 A KR1020130012263 A KR 1020130012263A KR 20130012263 A KR20130012263 A KR 20130012263A KR 101318766 B1 KR101318766 B1 KR 101318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resin
impregnation
compression roll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재
이병헌
강철호
Original Assignee
한국라이텍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라이텍개발(주) filed Critical 한국라이텍개발(주)
Priority to KR1020130012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함침차량(10)의 적재함 하부에 다수개의 롤러(32)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하단부(30)와,
적재함의 전면 하부에서 후면 중앙부로 갈수록 상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후면 일측 하부에 적재함 하부에 연결된 높이조절장치(40)가 구비되며 프레임과 프레임 내부에 다수개의 롤라로 구비된 콘베어벨트(24)와, 상기 프레임 전면의 외부에 설치된 가이드모터(31)와, 상기 콘베어벨트(24)의 전면 중앙 일측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진공펌프(미도시)에 연결된 감압시스템흡입관(2)과,
상기 콘베어벨트(24)의 후면 상부에 설치된 수지주입기(70)로 구성된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함침튜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함침튜브 제조방법{ Moving Impregnation Device of Tube }
본 발명은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온에서 경화되는 함침액을 별도의 함침공장이 아닌 시공현장에서 튜브에 함침시키 위한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함침튜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 등으로 인해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도관의 보수 공사의 경우, 굴착 공사의 어려움을 해결 가능한 비굴착공법 중 보강 튜브 경화 공법은 폴리머 코팅 부직포에 수지를 함침시켜 제작된 튜브를 고온의 공기 또는 온수 등을 이용하여 열 경화시키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보강튜브 경화공법에 사용되는 튜브는 펠트와 필름으로 구성되며, 부직포 및 직포가 조합되어 짜여진 펠트는 수지가 흘러내리지 않게 담고 있는 기능을 하며 (종류에 따라 구조적인 역할을 하기도 함), 한쪽 면(시공 후 관 내면)에 불투성 플라스틱 막(필름)으로 코팅되어 경화, 반전 또는 팽창 공정에서 압력에 의해 수지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함침튜브를 이용한 비굴착식 배관 보수방법은 견인공법과 반전공법, 롤삽입공법 세 가지가 있다. 이 방법의 차이는 함침튜브를 배관에서 배치하기 위한 방식의 차이인데, 이를 살펴보면, 견인공법은 윈치를 이용하여 함침튜브를 배관 내부로 끌어당겨 이송하는 방법이고, 반전공법은 강한 압력을 불어넣어 함침튜브를 뒤집으면서 배관의 끝 부분까지 함침튜브 내부를 통해 이송되는 방법이다. 롤 삽입공법은 윈치로 롤을 끌어당길 때 이중롤러에 거취 된 함침튜브는 배관 바닥에 순차적으로 놓이면서 배관 끝 부분까지 함침튜브가 이송되는 방법이다.
견인공법은 함침튜브가 배관 내부에서 끌리기 때문에 파손의 우려가 있지만 이에 사용되는 장비가 상대적으로 간소한 장점이 있는 반면, 반전공법은 함침튜브가 파손될 우려는 없지만, 장비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고 작업공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롤 삽입방법은 간소한 장비로 함침튜브가 바닥에 끌리지 않게 이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롤 때문에 단차가 큰 경우(15%이상)나 곡관이 심한 경우에는 롤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반전공법과 견인공법 및 롤 삽입공법에 사용되는 튜브는 시공전 코팅된 필름면의 위치가 다르다. 즉, 반전공법의 경우 필름면이 외측에 있어 시공시 반전에 의해 시공 후 관 내면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견인공법 및 롤 삽입공법의 경우 필름면이 시공 전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시공 후 그대로 관 내면에 위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함침튜브는 별도의 장소에 있는 함침공장에서 함침작업을 수행하여 시공현장으로 이송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함침튜브의 제작 전에 배관의 길이, 배관의 두께, 이동시간 등을 고려하여 함침튜브의 제작 후에 현장으로 함침튜브를 이송하여야 하는 등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함침튜브를 현장으로 이송할 때, 함침튜브가 경화되지 않도록 첨가물을 함께 넣어 주어야 하고, 이동시간을 고려하여 냉장 보관하면서 이동하여야 하는 등 작업공정이 번거로워지고 현장의 기상악화 및 통행량에 의해 공사를 진행할 수 없는 경우 이미 함침된 함침튜브를 폐기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예를 들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46407호 및 10-0811292호에는 반전공법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시된 기술로, 튜브의 코팅면, 즉 필름면에 흠집을 내어(흡입공) 감압펌프에 의하여 튜브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필름면에 난 다수의 흠집은 경화, 반전 또는 팽창시 압력 누출에 의한 시공 실패를 초래할 수 있고, 테이핑 처리 등에 의해 시공 후 지장물로 시공의 만족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69872호에는 반전공법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시된 기술로, 튜브의 일단에서 내부로 소요되는 수지량의 절반을 주입한 후 일정두께로 압착하며 공기를 빼고, 반대방향으로 수지량의 절반을 주입한 후 튜브를 압착하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공정이 번거로우며, 많은 인력이 차량 내부에서 작업해야 하나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롤러를 압착하여 튜브에 포함된 공기를 배출한다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많은 양의 공기가 잔존하여 시공 후 품질의 저하를 나타낼 수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05330호에는 롭삽입공법 또는 견인공법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시된 기술로, 별도로 개발된 튜브(특허 10-1211608)(도시하지 않음)가 수지층을 통과하면서 롤러에 의한 압착과 분사에 의해 튜브내 공기를 배출하고 수지를 함침하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다. 현장함침의 효율성과 시공품질의 성능은 우수하나 함침을 위해 수지가 함침기 등 장비와 작업자에게 많이 묻는다는 단점이 있다.
1. 특허등록 10-0646407호 2. 특허등록 10-0811292호 3. 실용등록 20-0369872호 4. 특허등록 10-100533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함침튜브를 배관 보수작업이 필요한 현장에서 직접 제작할 수 있고, 작업성이 좋은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식함침차량(10)의 적재함 하부에 다수개의 롤러(32)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하단부(30)와,
적재함의 전면 하부에서 후면 중앙부로 갈수록 상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후면 일측 하부에 적재함 하부에 연결된 높이조절장치(40)가 구비되며 프레임과 프레임 내부에 다수개의 롤라로 구비된 콘베어벨트(24)와, 상기 프레임 전면의 외부에 설치된 가이드모터(31)와, 상기 콘베어벨트(24)의 전면 중앙 일측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진공펌프(미도시)에 연결된 감압시스템흡입관(2)과,
상기 콘베어벨트(24)의 후면 상부에 설치된 수지주입기(70)로 구성된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함침튜브 제조방법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함침튜브를 별도로 공장에서 제작하여 이송할 필요없이 공사 현장에서 직접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함침튜브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함침튜브가 경화하지 않도록 냉장보관을 할 필요가 없으며, 함침튜브가 경화되지 않도록 별도의 첨가물을 넣어 주는 등 부가적인 작업 및 부대비용이 필요 없게 되어, 배관 보수공사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고, 배관 보수공사 절차가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긴 연장의 함침튜브 제작이 용이 하며, 작업자나 장비 등에 수지가 접촉하는 면적을 줄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수지를 튜브에 함침시키고 함침된 튜브를 권취 시키는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지주입기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지펼치기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식현장 함침기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를 사용하여 배관을 보수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 상태도.
도 9는 경화작업 모식도.
도 10은 시공완료 모식도.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식함침차량(10)의 적재함 하부에 다수개의 롤러(32)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하단부(30)와,
적재함의 전면 하부에서 후면 중앙부로 갈수록 상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후면 일측 하부에 적재함 하부에 연결된 높이조절장치(40)가 구비되며 프레임과 프레임 내부에 다수개의 롤라로 구비된 콘베어벨트(24)와, 상기 프레임 전면의 외부에 설치된 가이드모터(31)와, 상기 콘베어벨트(24)의 전면 중앙 일측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진공펌프(미도시)에 연결된 감압시스템흡입관(2)과,
상기 콘베어벨트(24)의 후면 상부에 설치된 수지주입기(70)로 구성된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함침튜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탑차에 드라이 튜브(미도시)가 권취되어 현장으로 이송되어 오면 다단의 이송 롤러가 설치되어 상단부까지 튜브를 이송해주는 적재함의 아랫단 ; 상기 아랫단에서 이송되어 온 튜브를 함침 시키고 두께를 조절하며 이송할 수 있도록 헤드푸리, 헤드푸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착 롤러가 구비되며, 콘베이어밸트 시스템이 구비되어 계속적으로 튜브가 이송되며, 주입된 수지를 설계두께에 맞게 평탄화 시키기 위한 테일푸리, 테일푸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착 롤러가 구비되며, 양쪽의 압착 롤러는 상하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된 적재함의 상단부 ; 그리고 상기 상단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조절 장치로 구성되는 시공현장에서 함침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인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식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된 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식 공정이 아니라 배치식(간헐식)으로서,
권취된 튜브를 인출하고 일정길이로 인출되면, 인출을 중단시키고, 튜브의 일측을 칼로 찢어서, 수지 공급관을 튜브 내로 삽입시켜 튜브 내로 수지를 공급하고, 튜브의 다른 일측에서는 칼로 튜브의 일측을 베어 진공펌프에 연결된 감압시스템흡입관(2)를 삽입시켜 튜브 내를 감압상태로 하여 수지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일정량의 수지가 튜브 내로 공급되면 수지공급 중단 및 감압시스템흡입관(2)를 튜브에서 탈리시키고, 찢어진 부분을 테이프로 밀봉한 후, 함침된 튜브를 콘베어벨트를 통해 이동시켜, 테일푸리와 테일압축롤러를 밀착시켜 수지가 튜브 내에 일정량 함침되게 한 후,
다른 권취롤에서 함침된 튜브를 권취되게 하고, 이와 동시에,
권취 된 튜브를 인출시키고 일정길이로 인출되면, 인출을 중단하고,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함침튜브를 현장에서 제조하는 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의 콘베어벨트 높이조절장치의 높낮이 구동방법과, 수지주입기의 수지주입관 등의 튜브에 삽입 및 탈리와, 감압시스템흡입구의 탈착장치와 헤드압축롤러, 테일압축롤러 높낮이 구동방법과, 권취 롤라를 구동시키는 권취 기구동모터는 도시하지 않았으며, 상기와 같은 장치 및 기술은 당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장치 및 기술을 이용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기로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
함침을 수행하기 전 튜브(1)는 내면에 PE 또는 PE필름 이 코팅된 면이 위치하고 외면에는 비닐이 씌워진 채, 이동식 함침차량 적재함의 권취롤에 권취시켜 시공현장으로 이송시킨 후, 이동식 함침차량(10) 적재함의 하단부(30)의 설치된 롤러(32)를 거쳐 콘베어벨트의 전면에 설치된 헤드압축롤러(26)과 헤드푸리(25)사이를 거쳐 콘베어벨트(24)를 통해 콘베어벨트(24)의 후면에 설치된 테일압축롤러(21)과 테일푸리(22)사이를 통과하여 권취한 다음,
(이때, 콘베어벨트(24)의 후면 일측 하부에 설치된 높이조절장치(40)을 가동시켜 튜브 내부로 주입된 수지가 잘 흐를수 있도록 경사지게 세팅하여 작업한다.)
장치를 정지시킨 후 헤드압착롤러(26)를 통과한 근처에 튜브(1)의 비닐면에 칼로 흠집(흡입공)을 내고, 감압펌프 시스템흡입구(2)를 연결하여 튜브(1)내에 있는 공기를 제거한 후, 테일압축롤러(21)을 통과한 튜브의 일단에 칼로 흡집을 내어 수지주입기(70)의 수지탱크(71)의 하부에 연결된 수지주입관(78) 을 튜브내로 삽입시켜 수지공급 펌프(74)를 작동시켜 튜브(1)내로 수지를 공급하고, 혼합 제조된 경화수지(미도시)를 일정량 주입하여 튜브를 함침하기 시작하고, 주입이 끝나면, 수지공급 중단하고, 수지주입관(78) 을 튜브 외부로 제거 및 감압시스템흡입관(2)를 튜브에서 탈리시키고, 흠집 부분을 테이프로 밀봉하여 튜브에 수지를 함침한 다음,
콘베어밸트(24)를 작동하고 테일압축롤러(21) 를 하강시켜 테일푸리(22)와 설계 두께만큼 간격을 두게 되면 함침튜브(3)는 일정한 두께로 함침이 되며, (이때 수지는 테일압축롤러(21) 와 콘베어밸트(24)의 이동에 의해 평탄화 작업이 진행 되게 된다.
이때 튜브 내부에 수지를 주입한 후 평탄화 작업을 빠르고 쉽게 하기 위하여 수지펼치기(50)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평탄화작업을 할 수도 있다.)
함침튜브(3)는 별도의 차량에 탑제된 다른 권취롤에 연결하여 권취시키고, 이와 동시에 처음으로 돌아가 권취롤에서 튜브를 인출시키고 일정길이로 인출되면, 인출을 중단하고,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함침작업을 진행하여 튜브에 수지를 함침시켜 함침튜브를 현장에서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이동식 현장 함침기에서 함침된 튜브는 도8과 같이 시공현장에서 배관하고자 하는 곳을 미리 탐사한 후, 정리한 다음,
도9와 같이 함침튜브를 삽입한 다음, 도10과 같이 보일러를 이용하여 시공된 함침튜브에 열을 가하여 경화시킨 후에, 도 11과 같이 시공을 완료하였다.
이하 본 발명 일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의 모습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일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의 모습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의 함침 모식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함침튜브의 평탄화 작업을 도울 수 있도록 제작된 핸드롤러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8에는 본 발명 일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를 사용하여 배관을 보수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순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튜브(1), 감압시스템흡입관(2), 함침튜브(3), 팩커(4), 보수관(5), 이동식 함침차량(10), 상단부(20), 테일압축롤러(21), 테일푸리(22), 케리어롤러(23), 콘베어밸트(24), 헤드압축롤러(26), 헤드푸리(25), 리턴롤러(27), 체인기어(28), 체인(29), 하단부(30), 기어드모터(31), 롤러(32), 높이조절장치(40), 수지펼치기(50), 수지주입기(70), 수지탱크(71), 교반모터(72), 교반날개(73), 펌프(74), 공급관(75) , 수지주입관(78) , 준설차량(J), 윈치(W), 롤러(R), 손잡이(H)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는 도1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함침차량(10)의 적재함 하부에 다수개의 롤러(32)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하단부(30)와,
적재함의 전면 하부에서 후면 중앙부로 갈수록 상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후면 일측 하부에 적재함 하부에 연결된 높이조절장치(40)가 구비되며 프레임과 프레임 내부에 다수개의 롤라로 구비된 콘베어벨트(24)와, 상기 프레임 전면의 외부에 설치된 가이드모터(31)와, 상기 콘베어벨트(24)의 전면 중앙 일측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 되어 설치되며 진공펌프(미도시)에 연결된 감압시스템흡입관(2)과,
상기 콘베어벨트(24)의 후면 상부에 설치된 수지주입기(70)로 구성되며,
상기 콘베어벨트(24)는 도1,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상부에 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케리어롤러(23)와,
상기 프레임하부에 케리어롤러(23)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리턴롤러(27)와,
상기 프레임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모터(31)와 체인으로 연결된 체인기어(28)가 일측끝단면에 삽입되고 고정되는 헤드압축롤러(26)와,
상기 헤드압축롤러(26)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헤드푸리(25)와,
상기 프레임 후면 끝단부에 설치된 테일푸리(22)와,
상기 테일푸리(22)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테일압축롤러(21) 로 구성되며,
상기 수지주입기(7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탱크(71)와, 상기 수지탱크(71)의 상부에 설치된 교반모터(72)와, 상기 교반모터(72)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지탱크(71)의 중앙에 설치된 교반모터(72)와,
상기 수지탱크(71)의 하부에 설치된 펌프(74)와, 상기 펌프(74)의 하부에 설치된 공급관(75) 과, 상기 공급관(75) 에 연결된 수지주입관(78) 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수지펼치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부에 설치된 롤러(R)의 양쪽 끝단이 두 개의 지지대에 의해 상부의 손잡이(H)에 연결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튜브(1), 감압시스템흡입관(2), 함침튜브(3), 팩커(4), 보수관(5), 이동식 함침차량(10), 상단부(20), 테일압축롤러(21), 테일푸리(22), 케리어롤러(23), 콘베이어밸트(24), 헤드압축롤러(26), 헤드푸리(25), 리턴롤러(27), 체인기어(28), 체인(29), 하단부(30), 기어드모터(31), 롤러(32), 높이조절장치(40), 수지펼치기(50), 수지주입기(70), 수지탱크(71), 교반모터(72), 교반날개(73), 펌프(74), 공급관(75) , 수지주입관(78) , 준설차량(J), 윈치(W), 롤러(R), 손잡이(H),

Claims (3)

  1.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에 있어서,
    이동식함침차량(10)의 적재함 하부에 다수개의 롤러(32)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하단부(30)와,
    적재함의 전면 하부에서 후면 중앙부로 갈수록 상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후면 일측 하부에 적재함 하부에 연결된 높이조절장치(40)가 구비되며 프레임과 프레임 내부에 다수개의 롤라로 구비된 콘베어벨트(24)와, 상기 프레임 전면의 외부에 설치된 가이드모터(31)와, 상기 콘베어벨트(24)의 전면 중앙 일측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진공펌프(미도시)에 연결된 감압시스템흡입관(2)과,
    상기 콘베어벨트(24)의 후면 상부에 설치된 수지주입기(70)로 구성되며,
    상기 콘베어벨트(24)는 프레임 상부에 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케리어 롤러(23)와, 상기 프레임 하부에 케리어롤러(23)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리턴롤러(27)와, 상기 프레임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모터(31)와 체인으로 연결된 체인기어(28)가 일측 끝 단면에 삽입되고 고정되는 헤드압축롤러(26)와,
    상기 헤드압축롤러(26)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헤드푸리(25)와, 상기 프레임 후면 끝단부에 설치된 테일푸리(22)와,
    상기 테일푸리(22)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테일압축롤러(2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주입기(70)는 수지탱크(71)와, 상기 수지탱크(71)의 상부에 설치된 교반모터(72)와, 상기 교반모터(72)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지탱크(71)의 중앙에 설치된 교반모터(72)와,
    상기 수지탱크(71)의 하부에 설치된 펌프(74)와, 상기 펌프(74)의 하부에 설치된 공급관(75)과, 상기 공급관(75)에 연결된 수지주입관(7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
  3.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를 이용한 함침튜브 제조방법에 있어서,
    함침을 수행하기 전 튜브(1)는 내면에 PE 또는 PU필름이 코팅된 면이 위치하고 외면에는 비닐이 씌워진 채, 이동식 함침차량 적재함의 권취롤에 권취시켜 시공현장으로 이송시킨 후, 이동식 함침차량(10) 적재함의 하단부(30)의 설치된 롤러(32)를 거쳐 콘베어벨트의 전면에 설치된 헤드압축롤러(26)과 헤드푸리(25)사이를 거쳐 콘베어벨트(24)를 통해 콘베어벨트(24)의 후면에 설치된 테일압축롤러(21)과 테일푸리(22)사이를 통과하여 권취한 다음,
    장치를 정지시킨 후 헤드압착롤러(26)를 통과한 근처에 튜브(1)의 비닐면에 칼로 흠집(흡입공)을 내고, 감압펌프 시스템흡입구(2)를 연결하여 튜브(1)내에 있는 공기를 제거한 후, 테일압축롤러(21)을 통과한 튜브의 일단에 칼로 흡집을 내어 수지주입기(70)의 수지탱크(71)의 하부에 연결된 수지주입관(78)을 튜브 내로 삽입시켜 수지공급 펌프(74)를 작동시켜 튜브(1) 내로 수지를 공급하고, 혼합 제조된 경화수지(미도시)를 일정량 주입하여 튜브를 함침하기 시작하고, 주입이 끝나면, 수지공급 중단하고, 수지주입관(78)을 튜브 외부로 제거 및 감압시스템흡입관(2)를 튜브에서 탈리시키고, 흠집 부분을 테이프로 밀봉하여 튜브에 수지를 함침한 다음,
    콘베어밸트(24)를 작동하고 테일압축롤러(21)를 하강시켜 테일푸리(22)와 설계두께 만큼 간격을 두게 되면 함침튜브(3)는 일정한 두께로 함침이 되며, 함침튜브(3)는 별도의 차량에 탑제된 다른 권취 롤에 연결하여 권취시키고, 이와 동시에 처음으로 돌아가 권취 롤에서 튜브를 인출시키고 일정길이로 인출되면, 인출을 중단하고,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함침작업을 진행하여 튜브에 수지를 함침시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를 이용한 함침튜브의 제조방법.
KR1020130012263A 2013-02-04 2013-02-04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함침튜브 제조방법 KR101318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263A KR101318766B1 (ko) 2013-02-04 2013-02-04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함침튜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263A KR101318766B1 (ko) 2013-02-04 2013-02-04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함침튜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766B1 true KR101318766B1 (ko) 2013-10-16

Family

ID=4963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263A KR101318766B1 (ko) 2013-02-04 2013-02-04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함침튜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7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896B1 (ko) 2017-03-14 2017-07-27 주식회사 에코하이텍 관로 전체보수용 튜브의 수지 함침장치
KR101801290B1 (ko) * 2017-03-14 2017-12-20 애경화학 주식회사 튜브 함침용 함침장치와 취기저감형 수지를 이용한 관로 내면의 비굴착 전체보수공법
KR101830773B1 (ko) 2017-07-06 2018-02-21 (주)아록이엔지 진동에 의해 함침 효율이 향상된 배관보수용 튜브의 함침장치
KR101846531B1 (ko) 2017-07-06 2018-05-18 (주)아록이엔지 배관보수용 튜브의 함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292B1 (ko) * 2006-10-27 2008-03-07 (주) 마스터라이너코리아 보강튜브 내부 수지액 함침장치
KR100990510B1 (ko) 2010-04-23 2010-10-29 봉화토건 합자회사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KR101005330B1 (ko) 2010-05-18 2011-01-24 김철환 라이너 함침장치
KR101161455B1 (ko) 2003-11-07 2012-07-02 이나 애쿼지션 코포레이션. 현장 경화형 라이너용의 수지 함침 타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455B1 (ko) 2003-11-07 2012-07-02 이나 애쿼지션 코포레이션. 현장 경화형 라이너용의 수지 함침 타워
KR100811292B1 (ko) * 2006-10-27 2008-03-07 (주) 마스터라이너코리아 보강튜브 내부 수지액 함침장치
KR100990510B1 (ko) 2010-04-23 2010-10-29 봉화토건 합자회사 하수도관로 비굴착 보강튜브 삽입장치
KR101005330B1 (ko) 2010-05-18 2011-01-24 김철환 라이너 함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896B1 (ko) 2017-03-14 2017-07-27 주식회사 에코하이텍 관로 전체보수용 튜브의 수지 함침장치
KR101801290B1 (ko) * 2017-03-14 2017-12-20 애경화학 주식회사 튜브 함침용 함침장치와 취기저감형 수지를 이용한 관로 내면의 비굴착 전체보수공법
KR101830773B1 (ko) 2017-07-06 2018-02-21 (주)아록이엔지 진동에 의해 함침 효율이 향상된 배관보수용 튜브의 함침장치
KR101846531B1 (ko) 2017-07-06 2018-05-18 (주)아록이엔지 배관보수용 튜브의 함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766B1 (ko)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함침튜브 제조방법
US4182262A (en) Apparatus for impregnating a tube
KR100951450B1 (ko) 관로보수용 튜브재 반전장치
CN108488484B (zh) 一种高效的承插管道接口安装装置
WO2017173845A1 (zh) 一种用于制备竹缠绕复合管的自动化制造系统
CN110540089B (zh) 一种方便取下卷材的卷材收卷装置
CN110513564B (zh) 一种紫外光固化内衬修复施工方法
KR100229398B1 (ko) 이중관의 추진공법에 대한 활재 또는 이입재주입방법 및 주입장치
KR100948393B1 (ko) 배관보수용 튜브의 함침장치
KR101117609B1 (ko)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및 공법
JPH10146896A (ja) 管路及びダクト系にライニングを施すためのホースを製造する方法と装置
NZ538556A (en) Method for high-frequency tuning an electrical devic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suitable therefor
KR101113951B1 (ko) 관라이닝 백의 제조방법
CN116494582A (zh) 一种玻璃纤维树脂软管干管生产系统及制备方法
US6054180A (en) Method for impregnating a tubular resin-absorbable liner with resin
KR101846531B1 (ko) 배관보수용 튜브의 함침장치
CN214239929U (zh) 一种用于环保热熔胶复合墙布的复合设备
KR101190800B1 (ko)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라이닝재의 반전방법
KR101005330B1 (ko) 라이너 함침장치
KR100811292B1 (ko) 보강튜브 내부 수지액 함침장치
CN108058398A (zh) 一种全自动化浴帘机
KR101164586B1 (ko) 관로 보수용 튜브반전 장치
KR20110128028A (ko)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라이닝재의 반전방법
KR101110664B1 (ko) 관라이닝 백의 센터링 장치
KR100615422B1 (ko) 관 라이닝재의 반전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관 라이닝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