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800B1 -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라이닝재의 반전방법 - Google Patents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라이닝재의 반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800B1
KR101190800B1 KR1020100047622A KR20100047622A KR101190800B1 KR 101190800 B1 KR101190800 B1 KR 101190800B1 KR 1020100047622 A KR1020100047622 A KR 1020100047622A KR 20100047622 A KR20100047622 A KR 20100047622A KR 101190800 B1 KR101190800 B1 KR 101190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material
pipe
tube lining
cylindrical drum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8031A (ko
Inventor
박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인프라서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인프라서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047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800B1/ko
Publication of KR2011012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being turned inside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52Testing, e.g. testing for the presence of pin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65Heat treatment
    • B29C63/0069Heat treatment of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 B29C63/08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by winding hel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부에 노후 관로를 보수할 관라이닝재를 권취하기 위한 회전축이 설치되는 밀폐형 원통드럼과, 원통드럼의 후방 하부에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회전축에 권취될 관라이닝재가 삽입되는 관라이닝재 삽입부와, 원통드럼의 관라이닝재 삽입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축에 권취된 관라이닝재를 반전배출시키기 위한 관라이닝재 배출부와, 원통드럼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통드럼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용 도어유닛 및 원통드럼 내부로 가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가압공기 공급구를 포함하는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라이닝재 반전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라이닝재의 반전방법{INVERSION APPARATUS FOR LINING MATERIAL AND INVERS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수관, 상수관, 공업용수관, 농업용수관 등을 포함하는 관로의 노후시 노후된 관로를 보강하여 수복하기 위한 관라이닝재를 반전시키기 위한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라이닝재 반전방법에 관한 분야이다.
지중에 매설된 하수관, 상수관, 공업용수관, 농업용수관 등을 포함하는 관로는 오랜 시간이 경화하여 노후한 경우, 노후된 관을 지중에서 굴착하지 않고, 그 내면에 보수용 관라이닝재(라이닝튜브)를 접합하여 관로 내벽을 보수하는 관로보수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관로보수공법의 일예로서, 외표면을 플라스틱필름으로 기밀하게 덮은 관상수지흡수재에 경화성수지를 함침한 관라이닝재를 노후관내에 반전 삽입하고, 이어서 관라이닝재 내부를 가압하여 관라이닝재를 노후관 내벽에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고, 관라이닝재 내에 온수 또는 스팀 등의 열매체를 공급하여 관라이닝재를 경화시킴으로써 노후관을 보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관라이닝재를 노후관내에 반전 삽입하는 방법은, 관라이닝재의 일단을 접고, 반전노즐에 체결밴드 등으로 부착하고, 관라이닝재 내부에 수압 또는 공기압 등의 유체압을 작용시켜서 관라이닝재를 반전시켜서, 관로 내부에 인입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관라이닝재를 관로 내에 반전 삽입시키는 경우, 관로가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매설되어 있으므로 맨홀 또는 설치되는 갱도를 통해서 반전시켜 관로 내부로 진입시키게 되는데, 맨홀 또는 갱도와 관로가 거의 수직으로 굴곡된 부분을 관라이닝재가 반전되어 통과할 때는 큰 반전압력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큰 반전압력을 가하기 위해서는 수두압을 이용한 반전방법으로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밀폐용기에 관라이닝재를 수납하여 반전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압이 가장 좋은 원통드럼형 밀폐용기(20)가 굴곡부를 갖는 관로(10)의 보수를 위해 관라이닝재(1)를 반전할 때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원통드럼형 밀폐용기(20)는 내부에 관라이닝재(1)를 감기 위한 회전축이 구비되어 있어서 이 회전축(25)에 관라이닝재를 손상 없이 좌우로 분할하여 균형있게 권취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관라이닝재(1)의 후단을 밀폐용기(20)의 반전노즐(23)이 설치되는 반전출구(21)를 통해 밀폐용기(20) 내부로 삽입하여 순차적으로 회전축에 감았다. 그러나, 경화전의 관라이닝재(1)는 원형의 구조로서, 두 겹으로 접힌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원형의 직경에 대해서 약 1.57배의 큰 접음폭을 갖는다. 따라서 관라이닝재(1)를 권취시에 반전노즐(23)을 통과하면, 관라이닝재(1)의 접힌 양측이 접혀져서 반전노들(23) 선단에 스치게 되어 흠집이 생길 수 있으며, 또한 접음선이 남은 상태로 회전축에 권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라이닝재(1)를 회전축에 좌우 균형있게 권취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결국 평판형으로 접힌 관라이닝재(1)를 흠집 등의 손상 없이 자연스럽게 회전축에 좌우 균형있게 권취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상면 또는 도로면에 대해 거의 수평으로 매설된 노후 관로(10)를 수지를 함침한 관라이닝재(10)를 이용하여 보수할 경우, 도로면 또는 지상면에 대해 거의 수직상태인 맨홀 또는 갱도(11)를 통해 관라이닝재(1)를 관로(10) 내부로 반전시켜야 되는데, 이때 관라이닝재(10)가 대략 45˚~90˚굽어지도록 방향을 전환시켜야 하므로, 이와 같이 굽어진 부분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큰 반전압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예를 들어 대략 90˚ 각도 정도로 굽어진 부분을 통과시킬 경우에는, 관라이닝재(10)를 반전시키기 위해서 콤프레서(27)에서는 거의 관라이닝재(10)의 파열압력 부근까지 압력을 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큰 반전압력이 요구되어 대용량의 콤프레서가 필요하게 되며, 관라이닝재(10)가 파열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관라이닝재를 손상없이 안전하게 권취하고, 반전시킬 수 있는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라이닝재 반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라이닝재 반전장치는, 내부에 노후 관로를 보수할 관라이닝재를 권취하기 위한 회전축이 설치되는 밀폐형 원통드럼과; 상기 원통드럼의 후방 하부에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 권취될 관라이닝재가 삽입되는 관라이닝재 삽입부와; 상기 원통드럼의 상기 관라이닝재 삽입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권취된 관라이닝재를 반전배출시키기 위한 관라이닝재 배출부와; 상기 원통드럼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통드럼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용 도어유닛; 및 상기 원통드럼 내부로 가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가압공기 공급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점검용 도어유닛은, 상기 원통드럼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대점검구멍과; 상기 대점검구멍을 개폐시키도록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대점검구멍보다 작으며 사람의 출입이 가능한 사이즈의 소점검구멍을 가지는 메인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의 소점검구멍을 개폐시키도록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도어와 보조도어 각각은 패킹부재에 의해 상기 대점검구멍 및 소점검구멍 각각과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라이닝재 삽입부는, 상기 원통드럼의 후방 하부에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는 관라이닝재 삽입구와; 상기 관라이닝재 삽입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삽입되는 관라이닝재를 가이드 하는 제1가이드롤러; 및 상기 관라이닝재 삽입구를 개폐시키도록 결합되는 밀폐용 뚜껑;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부는, 상기 관라이닝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관라이닝재 배출관과;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관라이닝재를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롤러; 및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관라이닝재의 선단을 반전시켜 고정시키는 반전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 상기 관라이닝재보다 먼저 권취되어 상기 관라이닝재의 후단과 연결되는 열매체 공급관; 및 상기 열매체 공급관과 함께 상기 회전축에 권취되어 상기 관라이닝재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관라이닝재의 급속한 폭주반전을 제어하는 반전제어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관라이닝재가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부를 통해 상기 보수 관로 내부로 반전삽입시 반전삽입되는 관라이닝재의 반전속도를 상기 반전제어라인이 조절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라이닝재 반전방법은,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원통드럼의 관라이닝재 삽입부를 통해 상기 원통드럼 내부로 관라이닝재를 진입시켜 상기 회전축에 권취하는 단계; 상기 회전축에 권취 완료된 관라이닝재의 선단을 상기 원통드럼의 관라이닝재 배출부의 반전노즐에 반전시켜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가압공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원통드럼 내부로 가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관라이닝재의 선단부터 반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에 상기 관라이닝재를 권취하기 전에 열매체 공급관과 함께 반전제어라인을 권취하여 상기 관라이닝재의 후단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드럼의 관라이닝재 삽입부와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부 각각으로 연결되도록 통선로프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회전축에 상기 관라이닝재를 권취 후 남는 선단을 상기 통선로프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관으로 노출된 통선로프를 견인하여 상기 관라이닝재의 선단을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관으로 노출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반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관라이닝재의 외측에 외측 라이너가 위치하도록 상기 외측 라이너와 함께 상기 관라이닝재를 상기 관로 내부로 반전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반전진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부에 상기 외측 라이너의 후단을 연결하고, 상기 외측라이너의 후단으로부터 예비반전길이 및 인입길이 만큼을 남기고 나머지는 상기 관로 내부로 진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원통드럼 내부로 가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관라이닝재를 상기 외측 라이너 내부에 상기 예비반전길이만큼 1차로 반전시켜 진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1차 반전 후, 상기 원통드럼에 가했던 가압공기를 배기하는 단계와; 상기 가압공기를 배기한 상태에서, 상기 외측 라이너와 상기 관라이닝재의 반전된 부분이 함께 상기 관로 입구에 위치되도록 상기 인입길이만큼 진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외측 라이너와 상기 관라이닝재를 상기 인입길이만큼 상기 관로 내로 이동시킨 후, 상기 원통드럼에 가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관라이닝재를 상기 관로 내의 외측 라이너 내부로 2차로 반전시켜 진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인입길이만큼 진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관로의 반대측 출구측에서 상기 외측 라이너를 견인하는 단계; 및 상기 원통드럼이 적재된 운반차량을 후진시켜서 상기 외측 라이너 및 관라이닝재를 상기 관로 입구 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반전방법에 따르면, 원통드럼에 관라이닝재를 권취시 먼저 권취되어 있는 열매체 공급관 및 반전제어라인에 연결시킴으로써, 관라이닝재를 관로 내로 반전삽입시, 관라이닝재가 급속폭주반전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열매체 공급관 등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통드럼에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소점검구멍을 형성함으로써, 관라이닝재의 권취시 사람이 원통드럼 내부로 들어가서 관라이닝재가 회전축에 균일하게 안정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원통드럼에 관라이닝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와, 반전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을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관라이닝재의 손상없이 원통드럼 내부에 관라이닝재를 좌우 폭을 정렬시켜 권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라이닝재의 권취시와 반전시 가이드롤러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관라이닝재의 자연스러운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관라이닝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통선로프를 이용하여 삽입구로 인입시켜 권취한 관라이닝재의 선단을 배출관 쪽으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반전시킬 수 있다.
또한, 관라이닝재를 관로 내부로 반전시켜 인입시킬 때, 외측라이너를 이용하게 되면, 관로와 맨홀 사이의 굴곡부에서 관라이닝재를 반전시키지 않고, 반전된 부분을 관로 내로 용이하게 인입시킨 뒤, 관로 내에서 다시 반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관라이닝재의 반전시 굴곡부에서 요구되는 큰 반전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작은 반전압력으로도 용이하게 관라이닝재의 반전이 이루어지게 되면다.
또한, 외측라이너를 이용하여 그 내부에서 관라이닝재를 반전시켜 관로로 인입시킴으로써, 반전시 관라이닝재에 함침됨 수지가 밖으로 새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외측라이너에 수지가 함침되도록 함으로써, 보수에 필요한 판두께를 외측라이너와 함께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관라이닝재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반전에 필요한 반전압력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측라이너 내에서 반전된 관라이닝재를 관로 내부로 진입시킬 때, 가해졌던 공기압을 배기시킨 뒤에 인입시키게 되므로, 관로 내부로의 인입이 용이하며, 펌프를 이용하여 강제로 배기시킬 경우에는 작업속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전작업시 외측라이너에 진공압을 작용시키게 되면, 관라이닝재로부터 기포를 빼낼 수 있어서, 신뢰성이 향상된 경화 플라스틱파이프를 얻을 수 있어서, 관로 보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외측라이너를 관라이닝재와 겹쳐서 설계 판두께를 확보할 수 있으며, 반전되는 관라이닝재의 판두께를 얇게 설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반전압력을 경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원통드럼 내부에 관라이닝재를 보다 길게 하여 권취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1회에 시공할 수 있는 길이를 최대로 늘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통드럼형 밀폐용기를 이용한 관라이닝재 반전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라이닝재 반전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관라이닝재 반전장치를 운반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관라이닝재를 권취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원통드럼 내부에 관라이닝재를 권취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원통드럼 내부에 관라이닝재의 권취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라이닝재 반전방법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7 및 도 8 각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라이닝재 반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관라이닝재를 관로 내부로 진입시켜서 경화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라이닝재 반전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라이닝재 반전장치(100)는 운반차량(30)의 적재부(31)에 탑재되어 보수할 관로(10)가 있는 현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관라이닝재 반전장치(100)는 원통드럼(110)과, 원통드럼(110)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120)과, 회전축(120)과, 회전축(120)의 양단 각각에 결합되는 가이드릴(130)과, 관라이닝재 삽입부(140)와, 관라이닝재 배출부(150)와, 점검용 도어유닛(160) 및 가압공기 공급구(170)를 구비한다.
상기 원통드럼(110)은 원통형상의 밀폐용기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관라이닝재(200)가 권취되는 회전축(1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회전축(120)은 미도시된 구동모터 또는 구동펌프에 의해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20)에 관라이닝재 삽입부(140)를 통해 인입되는 관라이닝재(120)가 권취되어 수납된다.
상기 회전축(120)의 양측에는 가이드릴(130)이 설치되어 회전축(120)에 권취되는 관라이닝재(200)가 좌우 정렬되어 권취되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관라이닝재 삽입부(140)는 원통드럼(110)의 후방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통드럼(110) 내부로 권취되는 관라이닝재(200)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관라이닝재 삽입부(140)는 원통드럼(110)의 후방 하부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관라이닝재 삽입구(141)와, 상기 관라이닝재 삽입구(141)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밀폐용 커버(143) 및 관라이닝재 삽입구(141) 내부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롤러(145)를 구비한다.
상기 관라이닝재 삽입구(141)는 원통드럼(110)의 후방 하측에 좌우 소정 폭으로 형성된다. 이 관라이닝재 삽입구(141)는 상기 밀폐용 커버(143)를 나사 및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시킴으로써 밀폐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상태에서는, 밀폐용 커버(143)가 패킹부재(144)를 관라이닝재 삽입구(141)와의 사이에 개재시킨 상태로 관라이닝재 삽입구(141) 단부의 플랜지에 결합됨으로써, 관라이닝재 삽입구(141)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원통드럼(110) 내부에 관라이닝재(200)를 권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 커버(143)를 분리하여 관라이닝재 삽입구(14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관라이닝재(200)를 원통드럼(110)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관라이닝재 삽입구(141)는 장방형으로서, 그 높이(T)는 관라이닝재(200)의 최대두께에 맞추어 20mm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라이닝재 삽입구(141)의 폭은 운반차량(30)의 폭에 맞추고, 원통드럼(110)의 폭은 2700mm 이하로 설정된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145)는 관라이닝재 삽입구(141)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관라이닝재 삽입구(141)를 통해 유입되는 관라이닝재(200)를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회전축(120)에 권취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구성의 관라이닝재 삽입부(140)에 의하면, 삽입구(141)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입구(141) 내부로 관라이닝재(200)를 권취 할 때, 관라이닝재(200)가 삽입구(141) 주변에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진입될 수 있으며, 제1가이드롤러(143)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자연스럽게 흠집나지 않게 권취될 수 있다.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부(150)는 원통드럼(110)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는 배출관(151)과, 배출관(15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롤러(153) 및 배출관(151)의 단부에 결합되는 반전노즐(155)을 구비한다.
상기 배출관(151)은 원통드럼(110)의 후방 상부에 위치되며, 소정 직경과 길이로 형성된다. 배출관(151)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배출되는 관라이닝재(200)가 하부로 자연스럽게 반전되면서 배출되도록 한다. 배출되는 관라이닝재(200)를 가이드 하도록 배출관(151)의 내부에는 제2가이드롤러(15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151)의 구경은 원통드럼(110)의 전체 높이의 2/3 이하일 때, 균형이 양호하므로, 대략 18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가이드롤러(153)에 의해서 관라이닝재(200)가 자연스럽게 가이드되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배출관(151)의 끝단부에는 플랜지(152)가 확장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52)에 반전노즐(155)이 클램퍼나 별도의 체결부재(157)에 의해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57)로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전노즐(155)은 관라이닝재(200)를 배출관(151)을 통해 반전시켜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 관라이닝재(200)의 선단을 반전시켜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밴드(156)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현장에서 설치되며, 추후에 관라이닝재(200)를 모두 반전시켜 배출시킨 뒤에는 배출관(151)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점검용 도어유닛(160)은 원통드럼(110)의 후방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통드럼(110) 내부를 확인하거나 작업을 하기 위해 출입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점검용 도어유닛(160)은, 원통드럼(110)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대점검구멍(161)과, 메인도어(163)와, 보조도어(165)를 구비한다.
상기 대점검구(161)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원통드럼(110)의 내부 부품(기재) 등의 보수 관리시 장비 및 부품(기재)의 출입을 고려하여 직경이 1200mm ~ 180mm 정도의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도어(163)는 대점검구멍(161)를 개폐시키도록 결합되며, 패킹부재를 사이에 두고 테두리의 플랜지를 체결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견고하면서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하여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163)에는 대점검구멍(161)보다 작은 크기로 소점검구멍(164)이 형성된다. 상기 소점검구멍(164)은 사람이 원통드럼(110) 내부로 들어가서 작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그 직경이 60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점검구멍(164)은 상기 보조도어(165)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도어(165)는 소점검구멍(164)의 테두리의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패킹부재를 두고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견고하면서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보조도어(165)에는 에어노즐(166)이 설치되어 있어서, 원통드럼(110) 내부의 공기를 배출되도록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를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노즐(166)은 보조도어(165) 이외에도 다른 부분에 복수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가압공기 공급구(170)는 원통드럼(110)의 전방 하측에 설치된다. 이 가압공기 공급구(170)는 콤프레서(40; 도 3 참조)에 연결되어, 콤프레서(40)에서 공급되는 가압공기를 원통드럼(1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가압공기 공급구(170)도 원통드럼(110)의 복수 지점에 복수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콤프레서(40)는 운반차량(20)의 적재부(31)에 적재되어 함께 이송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콤프레서(40) 및 원통드럼(110) 내의 회전축(120) 등과 같이 구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전기(50)도 콤프레서(40)와 함께 운반차량(30)의 적재부(31)에 함께 적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관라이닝재 삽입구(14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그 관라이닝재 삽입구(141)로 관라이닝재(200)를 원통드럼(110) 내부의 회전축(120)에 권취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20)에는 관라이닝재(200)를 권취하기 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매체 공급관(181)과, 반전제어라인(183)이 먼저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매체 공급관(181)은 관라이닝재(200)를 관로(10) 내부에 반전삽입할 때, 그 반전삽입된 관라이닝재(200)의 후단(210)을 따라서 관라이닝재(200)의 내부에 위치되어 열매체 즉, 고온의 수증기 또는 온수를 분사하여 관라이닝재(200)를 관로(10) 내벽에서 경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열매체 공급관(181)은 공지의 기술로 알려진 것이므로, 자세한 구성을 생략한다.
상기 반전제어라인(183)은 열매체 공급관(181)과 함께 관라이닝재(200)의 후단(210)에 엔드후크(220)에 의해 연결되며, 회전축(120)에 열매체 공급관(181)과 함께 권취 된다. 이러한 반전제어라인(183)은 관라이닝재(200)를 반전시켜 관로(10) 내로 진입시킬 때, 관라이닝재(200)의 후단까지 완전히 반전되어 관로(10)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공기 가압력에 의해 관라이닝재(200)가 급속 발진하는 것을 억제시켜서 열매체 공급관(181)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반전제어라인(183)은 로프 또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통드럼(110)의 내부에는 관로(10) 내부에서 열매체 공급관(181)을 통해 관라이닝재(200)의 경화를 위해 공급하는 온수를 빨아들여 회수할 때 사용되는 회수관(185)이 더 보관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수관(185)은 가이드릴(130)보다 작은 직경으로 그 내측에 설치되는 회수관 지지리브(131)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수관(185)은 비교적 그 직경이 크며, 그 일단은 연결로프에 의해 상기 열매체 공급관(181) 또는 제어라인(183)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관라이닝재(200)를 관로(10) 내부로 반전시켜 완전히 진입시키게 되면, 열매체 공급관(181)과 제어라인(183)도 반전된 관라이닝재(200) 내부로 끌려서 들어가면서 회전축(120)에서 풀려나가고, 이어서 회수관(185)도 최종적으로 원통드럼(110)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밖으로 완전히 나온 열매체 공급관(181), 반전제어라인(183) 및 회수관(185)을 관라이닝재(200)의 경화작업을 위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라이닝재(200)를 원통드럼(110) 내부에 권취시킨 상태에서 관라이닝재(200)의 선단(230)을 관라이닝재 배출관(151)으로 빼낼 수 있도록 통선로프(187)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선로프(18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라이닝재 삽입구(141)와 관라이닝재 배출관(151) 각각으로 연통되어 연결되도록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관라이닝재(200)를 관라이닝재 삽입구(141)를 통해 원통드럼(110) 내부로 삽입한 후, 관라이닝재(200)가 완전히 삽입되기 전에 그 선단(230)에 통선로프(187)를 연결한다. 그리고 관라이닝재 배출관(151)으로 나와 있는 통선로프(176)를 견인함으로써, 관라이닝재(200)의 선단(200)을 관라이닝재 배출관(151)으로 나오도록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관라이닝재(200)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글래스화이버 복합폴리에스테르 부직포로 이루어진 수지흡수시트를 봉합하여 관 형상으로 가공 형성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지흡수시트를 복수 겹쳐서 관라이닝재의 판두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관 형상으로 가공된 수지흡수시트의 외표면은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폴리아미드 복합필름 등의 플라스틱필름으로 기밀하게 덮어진다. 여기서 필름의 두께는 0.1mm~2.0mm로 설정될 수 있다.
외표면을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덮여진 관형상 수지흡수재에 에폭시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비닐에스테르수지 등의 액상경화수지가 함침되어 관라이닝재(200)가 제작된다. 관라이닝재(200)의 후단(210)은 미도시된 공기배출밸브가 설치되어 기밀하게 밀폐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후단(210)에는 엔드후크(220)가 설치되어 열매체 공급관(181) 및 반전제어라인(183)이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라이닝재 반전장치(100)에 관라이닝재(200)를 시공 현장에서 권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드럼(110)을 운반차량(30)에 탑재하여 현장으로 이송한다. 또한, 원통드럼(110)에 권취할 관라이닝재(200)는 별도의 운반차량(60)에 탑재된 수조(70)에 담아서 현장으로 이송한다. 이송되는 동안 관라이닝재(200)가 열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조(70)에는 얼음물이 채워져서 관라이닝재(200)를 냉각된 상태로 현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그리고 현장으로 이송된 관라닝재(200)의 후단을 원통드럼(110)으로 삽입시켜 권취하기에 앞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선로프(187)를 먼저 관라이닝재 삽입구(141)와 관라이닝재 배출관(151)으로 각각 통과되도록 연결하여 놓는다. 이어서 열매체 공급관(181)과 반전제어라인(183)을 관라이닝재(200)의 후단(210)의 엔드후크(220)와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회전축(120)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관라이닝재(200)를 관라이닝재 삽입구(141)를 통해서 원통드럼(110) 내부로 삽입하여 권취한다.
이때 보조도어(165)를 분리하고 소점검구멍(164)을 통해 작업자가 원통드럼(110) 내부로 들어가서, 관라이닝재(200)가 회전축(120)에 좌우 정렬되어 적절히 권취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70)에 수납된 관라이닝재(200)가 원통드럼(110)으로 이동하여 회전축(120)에 권취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관라이닝재(200)를 회전축(120)에 권취하는 작업이 끝나기 전에, 미리 설치되어 있던 통선로프(187)의 일단에 관라이닝재(200)의 선단(230)을 연결한다. 이어서 관라이닝재 배출관(151)으로 노출된 통선로프(187)의 타단을 견인하게 되면, 관라이닝재(200)의 선단(230)이 관라이닝재 배출관(151)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관라이닝재 배출관(151)의 플랜지(152)에는 미리 반전노즐(155)을 클램퍼 또는 체결부재 등을 이용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 반전노즐(155)의 구경은 관라이닝재(200)의 구경에 대응되는 사이즈를 가지는 것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인출된 관라이닝재(200)의 선단(230)을 반전노즐(155)의 내부를 통과하여 밖으로 나올 때까지 인출한 뒤, 인출된 관라이닝재(200)의 선단(230)을 반전시켜 접은 상태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노즐(155)의 선단에 부착한다. 이때,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밴드(156)를 이용하여 관라이닝재(200)를 반전노즐(155)의 외주에 견고하게 체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관라이닝재(200)를 원통드럼(110)에 수납시키고, 반전시킬 준비가 되면 관라이닝재(200)를 반전시켜서 보수할 관로(10) 내부로 진입시키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때, 앞서 관라이닝재(200)를 원통드럼(110) 내부에 권취시키기 위해 개방해 두었던 관라이닝재 삽입구(141)는 밀폐용 커버(145)를 이용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밀폐시킨다. 물론, 작업자가 들어갔던 소점검구멍(164)도 보조도어(165)를 결합하여 밀폐시킨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원통드럼(110) 내부에 권취되어 준비된 관라이닝재(200)를 반전시켜서 관로(10) 내부로 진입시키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콤프레서(40)를 구동시켜 가압공기 공급구(170)를 통해 원통드럼(110) 내부로 가압공기를 공급한다. 이때, 가압공기의 가압압력은 별도의 압력게이지를 통해 적정압력이 유지되도록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가압공기가 공급되면, 관라이닝재(200)의 선단(230) 내측에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압이 작용하고, 그 공기압에 의해 회전축(120)으로부터 관라이닝재(200)가 풀리면서 반전되어 관라이닝재 배출관(151)을 통해 반전배출된다. 이와 같이 관라이닝재(200)가 반전진행되고 있는 상황을 작업자가 원통드럼(110)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원통드럼(110)에는 미도시된 확인창이 투명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원통드럼(110)으로부터 관라이닝재(200)가 반전되어 전진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된 관라이닝재(200)는 맨홀(11)을 통과하여 관로(10) 내로 반전되면서 진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라이닝재(200)의 후단(210)까지 원통드럼(110)에서 모두 빠져나와 맨홀(11)과 관로(10) 사이의 굴곡부를 지하는 순간에는 저항이 적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굴곡부를 관라이닝재(200)의 후단이 통과하면서 공기압력에 의해 급속폭주반전하는 것이 후단(210)에 열매체 공급관(181)과 함께 연결된 반전제어라인(183)에 의해 억제됨으로써, 관라이닝재(200)가 자연스럽게 반전되어 전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열매체 공급관(181)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관라이닝재(200)의 후단(210) 까지 관로(10)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관라이닝재(200)의 반전은 작은 공기압력에 의해서도 진행될 수 있으므로, 후단(210)이 맨홀(11)과 관로(10) 사이의 굴곡진 부분을 통과하는 순간 관라이닝재(200)가 급속폭주반전되는 것을 상기 반전제어라인(183)에 의해 억제되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천천히 반전되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폭주반전에 따른 관라이닝재(200)의 손상이나, 기타 부품이나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관라이닝재(200)가 회전축(120)에 권취되어 있는 동안에는 공기압력에 의한 관라이닝재(200)의 급속폭주반전이 제어되지만, 관라이닝재(200)가 회전축(120)으로부터 모두 인출되어 있는 경우, 열매체 공급관(181)의 인장력만으로는 급속폭주반전을 제어할 수 없으며, 보다 악화된 상황의 경우에는 열매체 공급관(181)이 당겨져서 끊어질 수도 있지만, 반전제어라인(183)을 추가로 설치하여 열매체 공급관(181)과 함께 권취시켜 둠으로써, 관라이닝재(200)의 급속폭주반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9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관라이닝재(200)의 후단(210)이 관로(10)의 타측 개구 쪽까지 전진되어 완전히 반전삽입된 상태에서는, 반전노즐(155)을 절단하던가 아니면 관라이닝재 배출관(151)과 분리한 뒤, 그 분리된 반전노즐(155)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11)을 덮는 커버(157)에 결합한 뒤, 뚜껑(178)으로 밀봉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회수관(185)을 관라이닝재(200) 내부에 집어넣고, 그 관라이닝재(200) 내부에 미도시된 콤프레서를 이용하여 공기압력을 가하여 관로(10) 내벽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열매체 공급관(181)으로는 온수공급부(310)로부터 온수를 공급하게 되면, 열매체 공급관(181)에서 온수가 분사되어 관로(10)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관라이닝재(200)를 가열하여 경화시킴으로써, 관로(10)를 보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수관(185)을 통해서는 펌프(320)의 구동에 의해 관라이닝재(200) 내부의 온수를 외부로 빼내서 회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라이닝재 반전장치(100)를 이용하게 되면, 원통드럼(110)의 내부에 관라이닝재(200)를 권취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원통드럼(110) 내부에서 외부로 관라이닝재(200)를 반전시키는 작업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관라이닝재(200)의 권취동작과 반전동작시 관라이닝재(200)가 원통드럼(110)에 접촉되거나 긁히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관라이닝재(200)의 손상 없이 반전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열매체로서 온수를 공급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고온의 스팀을 열매체로서 분사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라이닝재 반전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드럼(110)에 관라이닝재 배출관(151)에 설치된 반전노즐(155)에 외측 라이너(400)를 먼저 결합하여 설치한다. 즉, 외측라이너(400)의 후단을 반전노즐(155)에 결합된 관라이닝재(200)의 외측을 덮도록 끼워서, 체결밴드를 이용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외측라이너(400)의 선단을 관로(10) 내부로 미리 진입시켜서 관로(10)의 반대측 출구 쪽으로 인출시켜 놓는다.
즉, 관로(10) 내부를 클리닝 한 후, 외측 라이너(400)의 선단에 미도시된 인입로프를 연결하여 관로(10) 내로 인입한다. 여기서, 외측라이너(400)는 관로(10) 전체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반드시 준비할 필요는 없으며, 적절한 길이로 준비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라이너(400)를 관로(10) 내로 인입할 때, 외측 라이너(400)의 후단으로부터 예비반전길이(l) 및 인입길이(y)의 합의 길이만큼 관로(10) 외부에 남기고 나머지는 관로(10) 내부로 인입시킨다.
이와 같이 외측라이너(400)를 설치한 후, 원통드럼(110) 내부에 압력공기를 공급하여 관라이닝재(200)가 지상에 위치된 외측 라이너(400)의 내부로 반전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라이닝재(200)는 외측라이너(400)의 예비반전길이(l)를 지나서 인입길이(y)의 직전까지 지상에서 반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지상에서 관라이닝재(200)를 외측 라이너(400)의 내부로 1차로 반전 삽입한 후에는, 원통드럼(110) 내부에 가해졌던 공기압을 해제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원통드럼(100)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켜 공기압을 신속하게 해제하여 작업속도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자연배기시켜 진행할 수도 있다.
공기압을 해제한 후에는, 관로(10)의 타측 개구에서 외측 라이너(400)에 연결하여 두었던 견인로프를 윈치 등의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견인하여, 외측 라이너(400)와 관라이닝재(200)를 관로(10)의 입구 쪽으로 인입시킨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라이너(400)의 인입길이(y)만큼 관로(10) 내부로 인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라이너(400)와 관라이닝재(200)가 보다 용이하게 관로(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원통드럼(110)을 적재한 운반차량(30)을 후진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인입길이(y) 만큼 외측라이너(400)와 관라이닝재(200)가 관로(10) 입구로 인입되며, 다시 원통드럼(110) 내부로 가압공기를 공급하여 관라이닝재(200)가 관로(10) 내의 외측라이너(400) 내부에서 반전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관라이닝재(200)의 반전중에는 외측라이너(400) 내에 진공압이 작용하도록 별도의 진공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면, 경화전의 관라이닝재(200) 중에 포함되는 기포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후에 양호한 경화물(경화된 플라스틱파이프)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외측라이너(400)를 이용하지 않고 관라이닝재(200)를 관로(10) 내로 반전시겨 인입시킬 경우, 도로면 또는 지면과 거의 수평으로 설치된 관로(10)에 대해 수직인 맨홀 또는 갱도(11)를 관라이닝재(200)가 통과할 때, 거의 90˚로 꺽여서 통과해야 하므로, 맨홀 또는 갱도(11)와 관로(10) 사이의 굴곡부에서는 반전이 쉽지 않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같이 외측 라이너(400)를 이용하여 관라이닝재(200)의 반전된 부분을 외측라이너(400)와 함께 관로(10)의 입구로 인입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되며, 관라이닝재(200)의 반전된 부분이 관로(10) 내부로 진입된 상태에서는 보다 용이하게 반전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운반차량(30)의 후미 쪽으로 부터 관라이닝재(200)가 자연스럽게 반전되어 관로(10)의 입구로 진입될 수 있도록 운반차량(30)을 보수할 관로(10)의 입구쪽 방향과 마주하도록 위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반전작업을 하게 됨으로써, 관라이닝재(200)가 꺽이지 않고 하향 경사진 자세로 자연스럽게 반전되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은 반전압력으로도 관라이닝재(200)를 쉽게 반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외측라이너(400)를 이용하여 관라이닝재(200)를 관로(10) 내에 반전시킬 경우, 수지가 함침된 외측라이너(400)가 굴곡부에서 손상되거나, 함침된 수지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라이너(400)는 일 실시예로서, 수지를 흡착하는 기능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 경우, 관라이닝재(200)에 여분의 수지까지 포함하여 충분한 양의 수지를 함침시켜 구도, 도 7 및 도 8과 같이 관라이닝재(200)를 외측라이너(400) 내로 반전삽입시킬 때, 외측라이너(400) 내의 공기를 진공펌프로 뽑아서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면, 관라이닝재(200)에 함침된 여분의 수지가 외측라이너(400)에 함침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라이너(400)를 포함하여 실제 관로(10)의 보수에 필요한 판두께(관라이닝재의 설계두께)를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실제로 반전시켜야 하는 관라이닝재(2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반전시 필요한 압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쉽게 반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외측라이너(400) 자체에도 경화성 수지를 미리 함침하여 둘 수 있다. 이 경우, 추후에 관라이닝재(200)를 반전시켜서 외측라이너(400) 내부에 결합되면, 외측라이너(400)와 관라이닝재(200)들의 두께의 합이, 보강에 필요한 판두께가 되므로, 관라이닝재(2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서 반전압력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외측라이너(400)는 복수 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외측라이너 각각의 두께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외측라이너(400)의 두께를 감안하여 관라이닝재(200)의 두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반전압력도 임의로 조정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길이기 긴 관라이닝재(200)를 마련하여 장거리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외측라이너(400)는 다른 예로서,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아미드의 실을 관형상으로 짠 것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의 직포의 단부를 봉합으로 관형상으로 가공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외측라이너(400)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시트형상 부직포의 단부를 봉합하여 관형상으로 가공하여도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통기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글래스화이버의 매트를 복합하여 니들펀칭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외측라이너(400)는 직포에 부직포를 니들펀칭으로 복합시킨 시트의 단부를 봉합하여 관형상으로 가공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외측라이너(400)는 직포 또는 부직포에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등의 플라스틱필름을 코팅해두고 단부를 봉합하고, 봉합부를 리본테이프로 밀봉한 기밀성이 있는 구조로 제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외측라이너(400)를 부직포로 제작할 경우에는, 부직포가 수지의 흡수재가 될 수 있으므로, 관라이닝재(200)의 두께 증가를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보다 바람직한 재질이 될 수 있다.
또한, 외측라이너(400)를 직포로 제작할 경우에는, 관라이닝재(200)의 경화 후 인장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내압관의 수복에 매우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외측라이너(400)를 이용하여 관라이닝재(200)를 관로(10) 내부로 완전히 반전시키는 작업이 완료되면, 반전노즐(155)을 관라이닝재(200)의 후단 즉, 출구를 원통드럼(110)에서 분리한 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노들(155)에 밀폐용 뚜껑(158)을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관라이닝재(200) 내부로 공지된 기술과 같이 가압공기를 공급하여 관로(10) 내벽에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열매체 공급관(181)을 이용하여 관라이닝재(200) 내부에 열매체 즉, 온수 또는 스팀을 분사하여 관라이닝재(200)가 경화되어 노후 관로(10) 내에 플라스틱파이프가 형성되도록 하여 관로 보수를 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관로 11..맨홀
30,60..운반차량 40..콤프레서
50..발전기 100..반전장치
110..원통드럼 120..회전축
130..가이드릴 140..관라이닝재 삽입부
150..관라이닝재 배출부 160..점검용 도어유닛
170..가압공기 공급구 200..관라이닝재
310..온수 공급부 320..펌프
400..외측라이너

Claims (11)

  1. 내부에 노후 관로를 보수할 관라이닝재를 권취하기 위한 회전축이 설치되는 밀폐형 원통드럼과;
    상기 원통드럼의 후방 하부에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 권취될 관라이닝재가 삽입되는 관라이닝재 삽입부와;
    상기 원통드럼의 상기 관라이닝재 삽입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권취된 관라이닝재를 반전배출시키기 위한 관라이닝재 배출부와;
    상기 원통드럼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통드럼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용 도어유닛; 및
    상기 원통드럼 내부로 가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가압공기 공급구;를 포함하며,
    상기 관라이닝재 삽입부는,
    상기 원통드럼의 후방 하부에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는 관라이닝재 삽입구와;
    상기 관라이닝재 삽입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삽입되는 관라이닝재를 가이드 하는 제1가이드롤러; 및
    상기 관라이닝재 삽입구를 개폐시키도록 결합되는 밀폐용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부는,
    상기 관라이닝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관라이닝재 배출관과;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관라이닝재를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롤러; 및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관라이닝재의 선단을 반전시켜 고정시키는 반전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관라이닝재 삽입부와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부 각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통선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라이닝재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용 도어유닛은,
    상기 원통드럼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대점검구멍과;
    상기 대점검구멍을 개폐시키도록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대점검구멍보다 작으며 사람의 출입이 가능한 사이즈의 소점검구멍을 가지는 메인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의 소점검구멍을 개폐시키도록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도어와 보조도어 각각은 패킹부재에 의해 상기 대점검구멍 및 소점검구멍 각각과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상기 관라이닝재보다 먼저 권취되어 상기 관라이닝재의 후단과 연결되는 열매체 공급관; 및
    상기 열매체 공급관과 함께 상기 회전축에 권취되어 상기 관라이닝재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관라이닝재의 급속한 폭주반전을 제어하는 반전제어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관라이닝재가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부를 통해 상기 보수 관로 내부로 반전삽입시 반전삽입되는 관라이닝재의 반전속도를 상기 반전제어라인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6. 내부에 노후 관로를 보수할 관라이닝재를 권취하기 위한 회전축이 설치되는 밀폐형 원통드럼과;
    상기 원통드럼의 후방 하부에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 권취될 관라이닝재가 삽입되는 관라이닝재 삽입부와;
    상기 원통드럼의 상기 관라이닝재 삽입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권취된 관라이닝재를 반전배출시키기 위한 관라이닝재 배출부와;
    상기 원통드럼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통드럼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용 도어유닛; 및
    상기 원통드럼 내부로 가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가압공기 공급구;를 포함하는 관라이닝재 반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통드럼의 관라이닝재 삽입부를 통해 상기 원통드럼 내부로 관라이닝재를 진입시켜 상기 회전축에 권취하는 단계;
    상기 회전축에 권취 완료된 관라이닝재의 선단을 상기 원통드럼의 관라이닝재 배출부의 반전노즐에 반전시켜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가압공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원통드럼 내부로 가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관라이닝재의 선단부터 반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드럼의 관라이닝재 삽입부와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부 각각으로 연결되도록 통선로프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회전축에 상기 관라이닝재를 권취 후 남는 선단을 상기 통선로프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관으로 노출된 통선로프를 견인하여 상기 관라이닝재의 선단을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관으로 노출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라이닝재 반전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상기 관라이닝재를 권취하기 전에 열매체 공급관과 함께 반전제어라인을 권취하여 상기 관라이닝재의 후단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라이닝재 반전방법.
  8. 삭제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관라이닝재의 외측에 외측 라이너가 위치하도록 상기 외측 라이너와 함께 상기 관라이닝재를 상기 관로 내부로 반전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라이닝재 반전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진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관라이닝재 배출부에 상기 외측 라이너의 후단을 연결하고, 상기 외측라이너의 후단으로부터 예비반전길이 및 인입길이 만큼을 남기고 나머지는 상기 관로 내부로 진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원통드럼 내부로 가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관라이닝재를 상기 외측 라이너 내부에 상기 예비반전길이만큼 1차로 반전시켜 진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1차 반전 후, 상기 원통드럼에 가했던 가압공기를 배기하는 단계와;
    상기 가압공기를 배기한 상태에서, 상기 외측 라이너와 상기 관라이닝재의 반전된 부분이 함께 상기 관로 입구에 위치되도록 상기 인입길이만큼 진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외측 라이너와 상기 관라이닝재를 상기 인입길이만큼 상기 관로 내로 이동시킨 후, 상기 원통드럼에 가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관라이닝재를 상기 관로 내의 외측 라이너 내부로 2차로 반전시켜 진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라이닝재 반전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길이만큼 진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관로의 반대측 출구측에서 상기 외측 라이너를 견인하는 단계; 및
    상기 원통드럼이 적재된 운반차량을 후진시켜서 상기 외측 라이너 및 관라이닝재를 상기 관로 입구 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라이닝재 반전방법.
KR1020100047622A 2010-05-20 2010-05-20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라이닝재의 반전방법 KR101190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622A KR101190800B1 (ko) 2010-05-20 2010-05-20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라이닝재의 반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622A KR101190800B1 (ko) 2010-05-20 2010-05-20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라이닝재의 반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031A KR20110128031A (ko) 2011-11-28
KR101190800B1 true KR101190800B1 (ko) 2012-10-15

Family

ID=4539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622A KR101190800B1 (ko) 2010-05-20 2010-05-20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라이닝재의 반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687B1 (ko) * 2018-07-16 2019-03-27 김철환 자율주행기술기반의 시공튜브내 계측, 관측로봇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KR102165785B1 (ko) * 2018-07-24 2020-10-14 홍익산업개발 주식회사 비굴착 상하수도 전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522A (ja) 1998-09-24 2000-04-04 Osaka Gas Co Ltd 管内ライニング工法
KR100871311B1 (ko) 2008-04-22 2008-12-01 장수건설주식회사 스팀역류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도 반전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522A (ja) 1998-09-24 2000-04-04 Osaka Gas Co Ltd 管内ライニング工法
KR100871311B1 (ko) 2008-04-22 2008-12-01 장수건설주식회사 스팀역류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도 반전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031A (ko) 201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2319B1 (ko) 기존의 지하 도관내에 파이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US7398797B2 (en) Pipe lining method
JP2927407B2 (ja) 管ライニング工法
JP2009515746A (ja) 長手方向に補強された、その場硬化型ライナーと、補強コーティング
JP4833075B2 (ja) 内側の不浸透層を有する現場硬化型ライナーの設置方法
KR20060076735A (ko) 라이닝재 반전장치
US7686054B2 (en) Apparatus for everting a lining material
KR101291611B1 (ko) 트윈 회전롤러와 기류차단 실리콘 고무패드를 이용한 비굴착식 관로보수 공법
NO339436B1 (no) Harpiksimpregneringstårn for vulkanisert på stedet kledning
KR101190800B1 (ko)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라이닝재의 반전방법
KR101190799B1 (ko)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라이닝재의 반전방법
KR101318766B1 (ko) 이동식 튜브 함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함침튜브 제조방법
KR101117609B1 (ko)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및 공법
RU2479784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US20090183794A1 (en) Lateral pipe lining material and lateral pipe lining method
KR20000006990A (ko) 노후된 관을 보수하기 위한 연질튜브 반전삽입 밀착방법및 장치
KR101197722B1 (ko) 관라이닝재 반전방법
KR101267482B1 (ko) 함침튜브의 삽입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관 보수방법
KR200181845Y1 (ko) 노후된 관을 보수하기 위한 연질튜브 반전삽입 밀착장치
KR101190802B1 (ko) 관라이닝재 반전방법
JP2006205719A (ja) 枝管ライニング工法
KR101005330B1 (ko) 라이너 함침장치
JP6847468B2 (ja) 管路補修装置
JP6666801B2 (ja) 既設管の更生方法
KR101215618B1 (ko)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 공법용 매니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