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229B1 - 수계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계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229B1
KR100990229B1 KR1020080083545A KR20080083545A KR100990229B1 KR 100990229 B1 KR100990229 B1 KR 100990229B1 KR 1020080083545 A KR1020080083545 A KR 1020080083545A KR 20080083545 A KR20080083545 A KR 20080083545A KR 100990229 B1 KR100990229 B1 KR 100990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water
detergent composition
wastewater treatment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816A (ko
Inventor
이준균
오원근
박태수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83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22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4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2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5Amino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26Low foaming or foam regulat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16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40Specific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46Specific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applying energy, e.g. irradi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전자, 기계 금속, 자동차 산업 등 각종 산업 현장에서 제품을 생산하거나 부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불량품 발생을 최소화하고 제품의 품질 및 기능을 향상시키며 후속공정을 원활히 수행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수계 세정제 조성에 관한 것으로, 가성소다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로 구성된 빌더, 소디움 디-글루코네이트인 금속제거제, 알킬에테르설포네이트(AES)계, 아민옥사이드(AAO)계 또는 폴리옥시에틸렌(POE)계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된 계면활성제, 소디움코코프로필렌디아민프로피온산인 가용화제, 실리콘수지인 소포제 및 물로 이루어진 수계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수계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성, 헹굼성, 환경성, 안정성, 재질영향성, 경제성의 영향변수를 고려하여 구성한 것으로, 세정 성능이 우수하고 오염물질이 플럭스일 경우 충분히 대체 가능하며, 세정 후 헹굼조에서 오염물을 헹굼액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오염된 헹굼액을 재활용함으로써 수계 세정제의 단점인 폐수처리 문제점을 해결하고 운전경비를 절감함으로써 폐수처리의 효율성과 폐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정밀금형산업, 수계세정제, 알킬에테르설포네이트(AES), 알킬아민옥사이드(AAO), 폴리옥시에틸렌(POE),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운전경비, 소포제, 폐수처리

Description

수계 세정제 조성물 {Aquous deter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전기 전자, 기계 금속, 자동차 산업 등 각종 산업 현장에서 제품을 생산하거나 부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불량품 발생을 최소화하고 제품의 품질 및 기능을 향상시키며 후속공정을 원활히 수행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수계 세정제 조성에 관한 것으로, 가성소다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로 구성된 빌더, 소디움 디-글루코네이트인 금속제거제, 알킬에테르설포네이트(AES)계, 아민옥사이드(AAO)계 또는 폴리옥시에틸렌(POE)계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된 계면활성제, 소디움코코프로필렌디아민프로피온산인 가용화제, 실리콘수지인 소포제 및 물로 이루어진 수계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수계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성, 헹굼성, 환경성, 안정성, 재질영향성, 경제성의 영향변수를 고려하여 구성한 것으로, 세정 성능이 우수하고 오염물질이 플럭스일 경우 충분히 대체 가능하며, 세정 후 헹굼조에서 오염물을 헹굼액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오염된 헹굼액을 재활용함으로써 수계 세정제의 단점인 폐수처리 문제점을 해결하고 운전경비를 절감함으로써 폐수처리의 효율성과 폐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현재 전기 전자, 기계 금속, 자동차 산업 등 각종 산업 현장에서 제품을 생산하거나 부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불량품 발생을 최소화하고 제품의 품질 및 기능을 향상시키며 후속공정을 원활히 수행할 목적으로 세정제를 많이 이용하여 세정을 수행하고 있다.
세정제는 그 형태에 따라 수계, 준 수계, 탄화수소계, 알코올계, 할로겐계 세정제로 구분하고 있고 오존파괴, VOC 문제, 유독성 문제 등에 따라 수계 세정제가 환경친화적인 면에서 점차적으로 산업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수계 세정제에 포함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세척력, 에멀션화력, 분산력, 삼투력, 기포력(起泡力) 등을 지니고 있어, 각기 그 특성에 따라 세척제, 섬유처리제, 에멀션화제, 부유선광제(浮遊選鑛劑) 시멘트용 기포제, 윤활유 첨가제, 살균제, 도료분산제(塗料分散劑)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가장 오래 전부터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의 기능으로서, 계면활성제는 액체를 사용해서 세정하는 습식 세정에 사용된다.
습식 세정에는 세정ㆍ린스ㆍ건조 등의 모든 공정에서 물을 사용하는 수계 세정, 용제와 물을 함께 사용하는 준 수계 및 용제만을 사용하는 비수계 세정 방법이 있다.
수계 세정에는 세정력이 우수하고, 세정 후 피세정물 표면에 세정액이 남지 않고, 폐수 처리가 용이한 계면활성제가 필요하며, 준 수계 세정에는 유화에 의한 린스 공정에서 계면활성제가 유화를 안정화시키고, 폐수 처리할 때에는 물과 기름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가 필요하다.
그리고 비수계 세정에서는 입자상 오염 물질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면활성제가 필요하다. 유기, 무기, 원자ㆍ이온상 및 입자상 등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피세정 표면이나 오염 물질에 대해서 세정액이 잘 젖고, 표면과 오염 물질과의 사이에 세정액이 침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계면활성제의 첨가는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표면이나 오염 물질에 대한 젖음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표면 및 오염 물질이 극성인지 비극성인지, 세정액이 수계인지 비수계인지에 따라서 계면활성제의 배향 흡착막의 형성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세정후의 피세정물 표면에 남지 않는 계면활성제는 전자나 정밀 기계 부품을 대상으로 하는 정밀 세정 분야에서 대단히 요망되고 있는 것으로, 각종 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빌더(builder)와 함께 적절한 계면활성제 및 첨가제를 선택하여 세정성, 헹굼성, 환경성, 안정성, 재질영향성, 경제성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정 성능이 우수하고 오염물질이 플럭스일 경우 충분히 대체 가능하며, 세정 후 헹굼조에서 오염물을 헹굼액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오염된 헹굼액을 재활용할 수 있어 운전경비를 절감함으로써 폐수처리의 효율성과 폐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세정 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가성소다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으로 구성된 빌더, 소디움 디-글루코네이트인 금속제거제, 알킬에테르설포네이트(AES)계, 아민옥사이드(AAO)계 또는 폴리옥시에틸렌(POE)계 중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 소디움코코프로필렌디아민프로피온산인 가용화제, 실리콘수지인 소포제 및 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계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성, 헹굼성, 환경성, 안정성, 재질영향성, 경제성의 영향변수를 고려하여 구성한 것으로, 세정 성능이 우수하고 오염물질이 플럭스일 경우 충분히 대체 가능하며, 세정 후 헹굼조에서 오염물을 헹굼액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오염된 헹굼액을 재활용함으로써 수계 세정제의 단점인 폐수처리 문제점을 해결하고 운전경비를 절감함으로써 폐수처리의 효율성과 폐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빌더로서 가성소다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금속제거제로서 소디움 디-글루코네이트, 계면활성제로서 알킬에테르설포네이트(AES)계, 폴리옥시에틸렌(POE)계 또는 아민옥사이드(AAO)계, 가용화제로서 소디움코코프로필렌디아민프로피온산, 소포제로서 실리콘수지 및 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계 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으로서 피세정물을 세정 온도 30~45℃, 세정 시간 10~30분간 초음파 세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빌더로서 가성소다는 2~7부피%,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은 7~13부피%, 금속제거제로서의 소디움 디-글루코네이트는 2~7부피%, 계면활성제로서 알킬에테르설포네이트(AES)계, 폴리옥시에틸렌(POE)계 또는 아민옥사이드(AAO)계는 0.1~1.0부피%, 가용화제로서의 소디움코코프로필렌디아민프로피온산은 0.05~0.30부피%, 소포제로서의 실리콘수지는 0.001~0.010부피%가 적당하고 나머지는 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빌더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세척력이 떨어져 좋지 않고 너무 많아도 기포의 불안정 및 세척시 제거가 어려워 좋지 않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의 선택은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으로 그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층간 밀착성이 저하 되어 좋지 않고 너무 많아도 상이 불안정 하여 기포의 안정화가 없어 좋지 않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 혹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가운데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특히 HLB(hydrophile liphophile balance) 13~15의 값의 세제류에 쓰이는 계면활성제로서 하기 3가지가 바람직하다.
(1) 음이온 알킬에테르설포네이트(AES) 계열
소디움라우릴에테르설포네이트(Sodium lauryl ether sulfonate)
삭제
삭제
(2) 비이온 알킬아민옥사이드(AAO) 계열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Alkyl dimethyl amine oxide), 바람직하게는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Lauryl dimethyl amine oxide)
삭제
삭제
(3) 비이온 폴리옥시에틸렌(POE) 계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알킬에테르설포네이트계
(AES)

Sodium lauryl ether sulfonate
Figure 112010031068902-pat00001



알킬아민옥사이드계
(AAO)
Alkyl dimethyl amine oxide
Figure 112010031068902-pat00002
Lauryl dimethyl amine oxide
Figure 112010031068902-pat00003

폴리옥시에틸렌계
(POE)
Polyoxyethylene alkyl ether
Figure 112010031068902-pat00004
, R = CH2CH3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Figure 112010031068902-pat00005
또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는 하기 표 2와 같은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 번 계면활성제 성분 배합비율(V%)

1

소디움라우릴에테르설포네이트

100

2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100

3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80:
20

4
소디움라우릴에테르설포네이트
+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40:
40:
20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세정제 조성물)
하기 표 3의 비율로 본 발명의 수계 세정제 조성물을 얻는다.

기능

성분

분자식

배합비율

빌더
(Builder)
가성소다 NaOH 5% 5ml
(0.05mol)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DTA)
C10H16N2O8 9.394% 9.394ml
(0.03mol)
금속제거제 소디움 디-글루코네이트
C6H11NaO7 5% 5ml
(0.05mol)
수용액
H2O 80% 80ml
계면활성제 AES, POE 또는 AAO계
0.5% 0.5ml
기타
가용화제 소디움코코프로필렌디아민
프로피온산
0.1% 0.1ml
소포제 실리콘수지
0.006% 0.006ml
실시예 2(세정방법)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수계 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으로서 피세정물을 하기 표 4의 조건으로 초음파 세정한다.
구 분 항 목 비 고
세정온도 40℃
세정위치 중앙 81mm 500x300x150cm 기준
그물코 10x5mm
세정시간 20분
초음파 40KHz
실험예
1) 환경친화적인 세정제 배합기술
본 발명의 수계 세정제 배합은 물/계면활성제 등의 성분을 이용하여 세정성, 헹굼성, 환경성, 안정성, 재질영향성, 경제성의 영향변수를 고려하여 기본적인 배합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여기에 피세정물의 종류, 오염원의 종류, 세정조건(작업조건) 등에 따라 기타 보조제를 첨가하여 최적의 세정제를 조성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환경친화적인 물질을 선택하여 O/W(수중유형), W/O(유중수형) 마이크로 이멀션형태의 세정제들을 조성한 것이다.
조성된 세정제들의 액적크기 (drop size) 는 대략 15.8 nm로 나타나 복잡한 형상과 미세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피세정물들의 세정에 효과적일 수 있으며 습윤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표면장력은 30.2~32.5 dyne/cm의 낮은 값을 보여 오염물질이 묻어있는 피세정물의 표면에 침투가 용이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2) 세정성능 평가
본 발명의 세정제들을 전기ㆍ전자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오염물질(플럭스)에 대하여 일정한 세정조건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오염물질이 플럭스인 경우 FT-적외선 분광광도계(FT-IR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일정 세정시간 후 표면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세정전의 플럭스 주성분인 아비에트산(abietic acid)에 대한 중요 최고치(2932.98 nm, 1690.98 nm, 1280.21 nm)가 20 분 세정 후 완전히 사라진 것이 측정되어 세정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응품(Somax, super 102c)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세정이 완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정과정을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해서 세정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피세정물의 표면에 잔존하고 있는 오염물질을 이미지 분석을 통해 피세정물의 오염정도를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세정제는 10분 세정 후 대응품(Somax, super 102c) 대비 우수한 세정성능을 보였으며 세정시간이 20분 경과하였을 경우는 피세정물상의 오염물질이 완전히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오염물질인 아비에트산이 고리모양 화합물(cyclic compound)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유사한 구조를 지닌 오일을 함유한 세정제가 높은 용해력을 보여 세정성능이 우세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대응품(Somax, super 102c)에 비하여 우수한 세정성능을 보여 오염물질이 플럭스일 경우 충분히 대체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우수한 유수분리
일반적으로 수계/준 수계 세정제는 헹굼과정에서 다량의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폐수처리의 효율성과 폐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세정시스템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세정 후 헹굼조에서 오염물을 헹굼액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오염된 헹굼액을 재활용함으로써 수계 세정제의 단점인 폐수처리 문제점을 해결하고 운전경비를 절감할 수 있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가성소다 2~7부피%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7~13부피%로 구성된 빌더;
    소디움 디-글루코네이트인 금속제거제 2~7부피%;
    알킬에테르설포네이트(AES)계, 알킬아민옥사이드(AAO)계, 폴리옥시에틸렌(POE)계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선택된 계면활성제 0.1~1.0부피%;
    소디움코코프로필렌디아민프로피온산인 가용화제 0.05~0.30부피%;
    실리콘수지인 소포제 0.001~0.010부피%; 및
    나머지 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세정제 조성물.
  4. 삭제
KR1020080083545A 2008-08-26 2008-08-26 수계 세정제 조성물 KR100990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545A KR100990229B1 (ko) 2008-08-26 2008-08-26 수계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545A KR100990229B1 (ko) 2008-08-26 2008-08-26 수계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816A KR20100024816A (ko) 2010-03-08
KR100990229B1 true KR100990229B1 (ko) 2010-10-29

Family

ID=42176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545A KR100990229B1 (ko) 2008-08-26 2008-08-26 수계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652B1 (ko) * 2011-05-13 2017-10-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탁용 시트
KR101507763B1 (ko) * 2013-04-22 2015-04-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계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
KR101507766B1 (ko) * 2013-04-22 2015-04-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생분해성이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KR101497879B1 (ko) * 2014-09-30 2015-03-04 송봉연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521431B1 (ko) * 2022-11-04 2023-04-13 대동금속(주) 박리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3099A (ja) 2001-10-15 2003-07-09 Teepol Ltd アルカリ性洗浄剤組成物
US20070259802A1 (en) * 2006-05-04 2007-11-08 Heintz Stavroula M Cleaning compositions for hard to remove organic materi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3099A (ja) 2001-10-15 2003-07-09 Teepol Ltd アルカリ性洗浄剤組成物
US20070259802A1 (en) * 2006-05-04 2007-11-08 Heintz Stavroula M Cleaning compositions for hard to remove organic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816A (ko) 201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229B1 (ko) 수계 세정제 조성물
CN103334112B (zh) 金属表面除油清洗剂
JPH10264362A (ja) 水性洗浄方法
CN103834484A (zh) 一种环保水性线路板专用清洗剂及其制备方法
JP5336173B2 (ja) 硬質表面用洗浄剤組成物
JPH04136194A (ja) 洗浄方法
KR101507763B1 (ko) 수계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세정방법
KR20150000129A (ko) 글라스 기판의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액
JP4603289B2 (ja) 硬質表面用洗浄剤組成物
KR101425608B1 (ko) 상온에서 적용 가능한 상온탈지제 및 이를 이용한 탈지방법
CN111155135B (zh) 拉伸黑痕清洗用半水基清洗剂及其使用方法
JPH0680995A (ja) 低残渣洗浄剤
JP5448625B2 (ja) リンス工程のない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JP6113034B2 (ja) 水切り洗浄方法および水切り洗浄剤組成物
KR100690271B1 (ko) 탈지 세정제의 제조 방법
JP3246694B2 (ja) 物品の洗浄方法
JPH05287300A (ja) 洗浄剤組成物
KR101507766B1 (ko) 생분해성이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KR101275549B1 (ko) 오염원 재부착 방지 및 저기포 수용성 세정제 조성물
JP4874772B2 (ja) スライスしたシリコンウエハ又はインゴット用洗浄剤組成物
JPH06336600A (ja) 洗浄組成物および洗浄方法
JPH09310100A (ja) 脱脂用洗浄剤
KR101294303B1 (ko) 준수계 세정제 조성물
KR20230085905A (ko) 전자 장치 부품용 세정제
CN108949383B (zh) 清洗剂组合物和使用其的清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