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991B1 - 습식 집진형 제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 - Google Patents

습식 집진형 제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991B1
KR100989991B1 KR1020030049571A KR20030049571A KR100989991B1 KR 100989991 B1 KR100989991 B1 KR 100989991B1 KR 1020030049571 A KR1020030049571 A KR 1020030049571A KR 20030049571 A KR20030049571 A KR 20030049571A KR 100989991 B1 KR100989991 B1 KR 100989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llecting
flue gas
bubbler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0356A (ko
Inventor
이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49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991B1/ko
Publication of KR20050010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47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 G01N1/2258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in a stack or chimne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11Sample conditioning
    • G01N33/0014Sample conditioning by eliminating a g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2001/2244Exhaled gas, e.g. alcohol dete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2001/228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with cool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제강공장의 취련공정에서 발생하는 배가스의 분석을 위하여 흡입시 동시에 유입되고 취련중 동시에 발생하는 다량의 분진에 대한 정화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습식 집진형 배가스 분석계 샘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샘플가스의 샘플링이 시작되면, 흡입펌프(103f)가 작동되고 차단밸브(V1, V2, V8)가 개방되고, 샘플링이 완료되면 흡입펌프(103f)는 작동을 멈추며 차단 밸브(V2)를 차단되고 차단 밸브(V3, V4, V5, V6, V7)는 개방되어 질소는 차단 밸브(V3)를 동하여 프로브(103a)에 공급되어 백 퍼지 작동이 일어나며 차단 밸브(V5)가 개방되면 집진수가 집진 버블러(103b)로 공급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차단 밸브(V6)이 차단되면 집진 버블러에 집진수가 채워지고 차단 밸브(V7)가 개방되면 드레인 포트(108a)에 모아진 응축수가 배출되며 시간이 경과하면 차단 밸브(V7)는 차단되며 차단 밸브(V4)는 집진 버블러(103b)에 질소를 공급하게 개방된다.
Figure R1020030049571
샘플링 프로브, 집진 버블러, 필터링 쿨러

Description

습식 집진형 제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Analysing sampler for exhaust gas of steelmaking process}
도1은 기존의 배가스 분석계 샘플링 장치 구성도
도2는 기존의 프로브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의 전체 계통도
도4는 본 발명의 프로브의 단면도
도5a는 본 발명의 집진 버블러의 횡단면도이고, 도5b는 도5a의 D - D 단면도이며, 도5c는 도5a의 E - E 단면도
도6a는 본 발명의 노즐의 횡단면도이고, 도6b는 본 발명의 체크밸브의 횡단면도이며, 도6c는 체크밸브의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기계식 필터링 쿨러의 횡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기계식 필터링 쿨러와 드레인 포트의 연결을 도시하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의 작동관계를 도시하는 타임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a: 샘플링 프로브 103a: 습식 샘플링 프로브
103b: 집진 버블러 103c: 기계식 필터링 쿨러
103d: 전기식 쿨러 104c: 스프레이 노즐
105a: 샘플가스 인입라인 105b: 격막
105e: 노즐 105f: 수위 스위치
106a: 체크밸브 107b: 드레인 라인
108a: 드레인 포트
본 발명은 제강공장의 취련공정에서 발생하는 배가스의 분석을 위하여 흡입시 동시에 유입되고 취련중 동시에 발생하는 다량의 분진에 대한 정화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습식 집진형 배가스 분석계 샘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석계 프로브(probe)에 일반의 물을 집진수로서 이용하여 배가스(이하 샘플가스라 한다)와 같이 프로브내에 흡입된 분진을 집진하여 샘플가스의 흡입과 동시에 배출하게 되고, 이 후 고밀도의 분진에 집진된 상태의 샘플가스를 집진 버블러(bubbler)를 강제 통과시켜 샘플가스내에 잔류하는 미세분진을 포집하여 취련후 배출하게 되는습식 집진형 제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기계식 필터와 질소압력식 퍼지장치를 이용하여 배가스내에 함유된 다량의 분진을 제거하고 순수한 배가스를 취출하는 기계식 샘플링 장치는 접착력이 강한 샘플가스 내의 분진(주성분은 카본)으로 흡입된 분진이 프로브내에 접착되어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샘플가스의 흡입지연으로 샘플가 스 분석 지연이 발생하며, 프로브가 막힐 경우 배가스 분석이 불가능하게 되고, 필터의 소모성으로 인하여 정비비의 증가 및 과다 정비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기존의 배가스 분석계 샘플링 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가스 덕트(10)에 설치된 프로브(101a)는 1차 필터의 역활을 하며 대량의 분진을 제거한 후 배가스를 흡입한다. 이 때, 흡입은 샘플링 펌프(101d)를 통하여 이루어 진다.
흡입된 샘플가스는 관로를 통과하여 2차 필터(101b)와 3차 필터(101c)를 통과하여 미세 분진을 제거한 후 해당 분석계(101e)로 전달되어 분석이 이루어진다.
분석시간 종료 후 고압의 질소를 역으로 분사하여 관로와 프로브내에 잔류된 분진을 배출한다.
기존의 배가스 분석계 샘플링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 번째 문제점으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브(101a)는 샘플가스에 함유된 다량의 분진(102a)이 누적되어 관로를 막아버리게 되므로 샘플가스 유량의 감소를 유발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분석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분진의 부착이 진행될 경우 프로브의 내부가 막히게 되어 분석이 불가능하게 된다.
두 번째 문제점으로는 소모성 필터의 대량 사용을 유발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과다 정비의 원인이 된다.
세 번째 문제점으로는 분진의 부착 및 필터의 기능성 저하로 인하여 정비작업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프로브의 오버홀(over-hole)이 이루어지나 이로 인하여 연결부위의 파손 및 열화로 샘플가스 이외의 대기가 침투하여 정확한 샘플가스의 분 석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설비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계식 필터와 고압의 질소에 의한 강제 분진 배출식 배가스 분석계 샘플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집진수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집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기계식 필터의 배제로 인하여 분진 오염 등에 의한 과다 정비의 사례를 제거하며, 흡입과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인한 분진 누적에 의한 분석 지연 및 불가 사례를 제거하여 배가스 분석계의 신뢰도를 높이며, 분진에 대한 내구력을 향상시킨 집진수를 이용한 습식 집진형 제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습식 집진형 제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는, 배가스 덕트(10)로부터 배가스를 취출하는 습식 집진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에 있어서, 상기 배가스 덕트(10)에 마련된 습식 샘플링 프로브(103a)와 연결된 샘플라인에 각 제어용 차단밸브(V1, V2, V3, V4, V5, V6, V7, V8)를 구성하고, 차단밸브(V2) 후단에 흡입펌프(103f)와 집진 버블러(103b)를 구성하며, 차단밸브(V3, V4)는 샘플가스의 샘플링 완료에 따라 개방되면서 질소를 상기 습식 샘플링 프로브(103a)에 공급하고, 상기 집진 버블러(103b)는 후단에 필터를 내장한 기계식 필터링 쿨러(103c)와 전기식 쿨러(103d)를 구성하고 미세분진 필터(103e)를 거쳐 각각의 분석계에 연결되며, 상기 기계식 필터링 쿨러(103c)의 하단에는 드레인 포트(108a)가 연결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에는 본 발명의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의 전체 계통도가 도시되는데, 배가스 덕트(10)에 마련된 습식 샘플링 프로브(103a)와 연결된 샘플라인에 각 제어용 차단밸브(V1, V2, V3, V4, V5, V6, V7, V8)를 구성하고 차단 밸브(V2)의 후단에 흡입펌프(103f)와 집진 버블러(103b)를 구성한다.
차단밸브(V3, V4)는 질소를 공급하는 밸브이다.
집진 버블러(103b)는 후단에 필터를 내장한 기계식 필터링 쿨러(cooler)(103c)와 전기식 쿨러(103d)를 구성하고 미세분진 필터(103e)를 거쳐 각각의 분석계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습식 샘플링 프로브(103a)의 상세 구조는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에는 본 발명의 습식 샘플링 프로브(103a)의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습식 샘플링 프로브(103a)는 하단에 깔대기 구조를 가진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상단에는 집진용 물(이하 집진수라 한다) 연결구(104a)와 샘플라인(104b)이 연결되어 있다.
습식 샘플링 프로브(103a)의 내부 구조는 연결구(104a)의 하단에 집진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노즐(104c)이 구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 샘플라인(104b)이 하단 중앙을 향해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집진 버블러의 상세 구조를 도5a, 5b 및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a는 본 발명의 집진 버블러의 횡단면도이고, 도5b는 도5a의 D - D 단면도이며, 도5c는 도5a의 E - E 단면도이다.
도5a를 참조하면, 집진 버블러(103b)의 구조는 직육면체를 가진 버퍼에 샘플가스 인입라인(105a)과 출구(110)가 연결된다. 샘플가스 출구(110)의 하부에는 오버플로우 파이프(112)가 설치되어 버블러 내부에 집진수가 넘치면 배출시킨다.
샘플가스 인입라인(105a)은 중앙 하단으로 구부러져 있고 하단에는 십자형의 노즐(105e)구조를 가진다.
집진 버블러(103b)의 내부벽에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각각 3개씩의 격막(105b)이 구성되어 있다.
집진 버블러(103b) 내부에 집진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집진수 공급관(105g)과 배출관(111)와 수위 스위치(105f)가 각각 구성되어 있다.
도6a에는 본 발명의 노즐의 횡단면이 도시되고, 도6b는 본 발명의 체크밸브의 횡단면도이며, 도6c는 체크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6a에 도시된 노즐(105e)은 십자형이나 도면에는 한 쪽면 만이 도시되고 있다.
노즐(105e)의 구성은 도6a와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대기 모양의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는 원구의 체크밸브(106a),(106b)를 구성한다. 체크밸브는 샘플가스가 공급되지 않을 때 집진수가 노즐(105e)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기계식 필터링 쿨러의 상세 구조는 도7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7에는 본 발명의 기계식 필터링 쿨러의 횡단면도가 도시되는데, 기계식 필터링 쿨러(103c)는 내부에 필터(113)를 구성한 일반 필터 내장식 모니터링 필터의 구조에 외부의 냉각수를 이용한 냉각 튜브(107a)를 나선형으로 감아 구성한다. 기계식 필터링 쿨러(103c)의 하부에는 응축수 드레인 라인(107b)이 형성된다.
도8에는 본 발명의 기계식 필터링 쿨러와 드레인 포트의 연결이 도시되는데, 응축수 드레인 라인을 드레인 포트(108a)에 연결하며 드레인 포트 하단에는 제어용 차단 밸브(V7)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습식 집진형 제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의 작동을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습식 샘플러의 기본 원리는 습식 샘플링 프로브(103a)와 집진 버블러(103b)에서 대량 집진 및 미세분진 집진을 행하고, 이 때 발생하는 샘플가스내 습기를 기계식 필터링 쿨러(103c)와 전기식 쿨러(103d)로 제거하는 작동을 한다.
본 발명의 프로브 내부로 도4에 도시되듯이 집진수를 살수하여 샘플가스와 같이 유입된 분진을 샘플가스 흡입과 동시에 배출한다.
이 때, 스프레이되는 집진수 내부에 위치하는 샘플가스 라인(104b)은 분진이 제거된 샘플가스를 흡입하게 된다.
도5a를 참조하면, 집진 버블러(103b) 하단에 마련된 노즐(105e)을 통하여 분사되는 샘플가스는 집진수 내부를 통과하면서 미세분진을 집진수에 남기고 샘플가스만 출구(110)를 통하여 배출하게 된다.
이 때, 집진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격막(105b)을 통과하게 되므로 유체의 흐름이 격막(105b)에 부딪혀 집진수 내부를 통과하는 거리를 증가시키게 되므로 집진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샘플가스의 분석이 종료되면 배출관(111)을 통하여 집진수의 배출이 시작되고 내부에 침전되어 잔류된 분진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하여 동시에 공급라인과 샘플라인에 마련된 고압의 질소라인이 열려 노즐(105e)에 침착된 분진과 집진 버블러(103b) 내부에 침전된 잔류분진을 배출하게 된다. 배출작용이 종료되면 다시 집진수 공급관(105g)을 통하여 집진수를 채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가스가 기계식 필터링 쿨러(103c)에 도달하게 되면 외피가 냉각수에 의해서 차가와진 상태를 습기를 함유한 샘플가스가 통과하게 되어 응축수를 만들게 되고 이는 도1에 도시된 드레인 포트(108a)에 포집된다.
도9에는 본 발명의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의 작동관계가 타임챠트로 도시되는데, 샘플가스의 샘플링이 시작되면, 흡입펌프(103f)가 작동되고 차단밸브(V1, V2)가 개방된다.
또한 차단밸브(V8)는 항상 개방되어 있다.
샘플링이 완료되면, 흡입펌프(103f)는 작동을 멈추며 차단 밸브(V2)는 차단되고 차단 밸브(V3, V4, V5, V6, V7)는 개방된다.
따라서, 질소는 차단 밸브(V3)를 통하여 습식 샘플링 프로브(103a)에 공급되어 백 퍼지(back purge) 작동이 일어난다.
차단 밸브(V5)가 개방되면 집진수가 집진 버블러(103b)로 공급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차단 밸브(V6)이 차단되면 집진 버블러에 집진수가 채워진다.
차단 밸브(V7)가 개방되면 드레인 포트(108a)에 모아진 응축수가 배출되며 시간이 경과하면 차단 밸브(V7)는 차단된다.
차단 밸브(V4)는 집진 버블러(103b)에 질소를 공급하게 개방된다.
본 발명의 습식 집진형 제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는 기존 샘플링 장치의 고압 질소의 퍼지(back purge)로 인한 분진의 배출과 필터에 의한 분진 여과에 의존하므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인 분진에 대한 내구력 저하 및 샘플가스 취출의 안정성 저하, 그리고 과다정비의 유발에 의한 정비성 하락의 문제가 전혀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샘플러는 분진의 영향 최소화 및 설비의 내구력 증가로 인한 안정성으로 안정적인 샘플가스의 분석이 가능하며 신뢰성 향상이 보장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습식 집진형 제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는 흡입과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습식으로 안정적인 집진이 이루어지므로 인하여 샘플가스와 동시에 흡입되는 분진에 대한 내구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샘플링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소모성 필터의 사용이 불필요하고 구조가 간단해 지므로 정비성 향상 및 밀폐성 향상으로 배가스 흡입에 대한 외란을 배제할 수 있어 분석의 신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배가스 덕트(10)로부터 배가스를 취출하는 습식 집진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에 있어서,
    상기 배가스 덕트(10)에 마련된 습식 샘플링 프로브(103a)와 연결된 샘플라인에 각 제어용 차단밸브(V1, V2, V3, V4, V5, V6, V7, V8)를 구성하고, 차단밸브(V2) 후단에 흡입펌프(103f)와 집진 버블러(103b)를 구성하며, 차단밸브(V3, V4)는 샘플가스의 샘플링 완료에 따라 개방되면서 질소를 상기 습식 샘플링 프로브(103a)에 공급하고, 상기 집진 버블러(103b)는 후단에 필터를 내장한 기계식 필터링 쿨러(103c)와 전기식 쿨러(103d)를 구성하고 미세분진 필터(103e)를 거쳐 각각의 분석계에 연결되며, 상기 기계식 필터링 쿨러(103c)의 하단에는 드레인 포트(108a)가 연결되게 구성된 습식 집진형 제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샘플링 프로브(103a)는 하단에 깔대기 구조를 가진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상단에 집진수 연결구(104a)가 연결되고 집진수 연결구(104a)의 하단에는 집진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노즐(104c)이 형성되며, 상기 집진수 연결구(104a)의 하부에는 샘플라인(104b)이 하단 중앙을 향해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는 습식 집진형 제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버블러(103b)는 직육면체를 가진 버퍼에 샘플가스 인입라인(105a)과 출구(110)가 연결되고, 상기 샘플가스 인입라인(105a)은 중앙 하단으로 구부러져 있고 하단에는 십자형의 노즐(105e)구조를 가지며, 상기 노즐의 내부에는 체크밸브(106a),(106b)가 형성되고 내부벽에는 좌우 각각 3개씩의 격막(105b)이 구성되고, 상기 집진 버블러(103b)의 내부에 집진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집진수 공급관(105g)과 배출관(111) 및 수위 스위치(105f)가 각각 구성되는 습식 집진형 제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
KR1020030049571A 2003-07-19 2003-07-19 습식 집진형 제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 KR100989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571A KR100989991B1 (ko) 2003-07-19 2003-07-19 습식 집진형 제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571A KR100989991B1 (ko) 2003-07-19 2003-07-19 습식 집진형 제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356A KR20050010356A (ko) 2005-01-27
KR100989991B1 true KR100989991B1 (ko) 2010-10-26

Family

ID=3722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571A KR100989991B1 (ko) 2003-07-19 2003-07-19 습식 집진형 제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9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6739A (en) 1980-11-19 1982-05-29 Kobe Steel Ltd Gas sampling method
JPS59188553A (ja) 1983-04-11 1984-10-25 Hitachi Zosen Corp 窒素酸化物測定用サンプリングガスの前処理方法
KR20010094323A (ko) * 2000-04-06 2001-10-31 류재근 고온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JP2001349811A (ja) 2000-06-09 2001-12-21 Miura Co Ltd 塩素化有機化合物の採取器、塩素化有機化合物の採取方法および塩素化有機化合物の採取用補助フイルタ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6739A (en) 1980-11-19 1982-05-29 Kobe Steel Ltd Gas sampling method
JPS59188553A (ja) 1983-04-11 1984-10-25 Hitachi Zosen Corp 窒素酸化物測定用サンプリングガスの前処理方法
KR20010094323A (ko) * 2000-04-06 2001-10-31 류재근 고온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JP2001349811A (ja) 2000-06-09 2001-12-21 Miura Co Ltd 塩素化有機化合物の採取器、塩素化有機化合物の採取方法および塩素化有機化合物の採取用補助フイル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356A (ko)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1154614A (ru) Эндоскоп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с функцией очиски текучей средой
CN103344462A (zh) 具有除尘功能的气体采样器及气体采样方法
JPH0961315A (ja) 雰囲気中不純物の捕集方法および分析装置
CN209900926U (zh) 一种过高水蒸气除尘装置
KR100989991B1 (ko) 습식 집진형 제강 배가스 분석계 샘플러
CN201434864Y (zh) 煤气氧含量分析仪
CN109200711A (zh) 一种节能型循环除尘器
CN102829997B (zh) 一种用于烟气中液滴和粉尘的同步采样装置
KR101867556B1 (ko) 고로 가스 청정 설비의 집진수 처리 장치
CN106994297A (zh) 一种电气自动化工业除尘装置
CN210921715U (zh) 一种用于收集通风系统冷凝酸液的装置
CN106770977A (zh) 一种除油除水防堵VOCs在线监测装置
CN210645625U (zh) 一种喷涂粉尘过滤装置
US2725951A (en) Sampling device
CN209791117U (zh) 一种冶炼烟气脱硫装置
JP2002156314A (ja) サンプリング装置の洗浄方法
CN209985051U (zh) 一种气水分离器
CN202903550U (zh) 一种采集烟气中液滴和粉尘的一体化装置
CN208672388U (zh) 一种取样装置
CN207866796U (zh) 一种改良型探头
KR100990492B1 (ko) 백필터용 인젝터
JP3542873B2 (ja) 洗浄集じん装置
CN115430246B (zh) 一种多方式的粉尘气体治理装置及其使用方法
CN218003389U (zh) 一种烟气分析系统用防堵塞式反吹装置
CN210473402U (zh) 一种应用在纺织车间的空气过滤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