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658B1 - 잠겨진 교반 로터를 가진 고리형 원심 추출기 - Google Patents

잠겨진 교반 로터를 가진 고리형 원심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658B1
KR100989658B1 KR1020047002944A KR20047002944A KR100989658B1 KR 100989658 B1 KR100989658 B1 KR 100989658B1 KR 1020047002944 A KR1020047002944 A KR 1020047002944A KR 20047002944 A KR20047002944 A KR 20047002944A KR 100989658 B1 KR100989658 B1 KR 100989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emulsion
rotor
stabilization
centrifugal ex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5116A (ko
Inventor
리발리에빠뜨릭
뒤아메쟝
강디플로랑
Original Assignee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또미끄 에 오 에네르지 알떼르나띠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또미끄 에 오 에네르지 알떼르나띠브스 filed Critical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또미끄 에 오 에네르지 알떼르나띠브스
Publication of KR2005002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02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out inserted separat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4Solvent extraction of solutions which are liquid
    • B01D11/0476Moving receptacles, e.g. rotating receptacles
    • B01D11/048Mixing by counter-current streams provoked by centrifugal force, in rotating coils or in other rotating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2Continuous feeding or discharging;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6Arrangement of distributors or collectors in centrifu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원의 액체-액체 원심 추출기는 에멀젼 챔버(32)와 안정화 챔버(35)를 구비하는데, 이들은 축(29)의 일부를 회전자에 부가하였기 때문에 정렬되며, 보다 자유롭게 챔버들의 치수를 선택될 수 있게 함으로써 흐름과 작업이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잠겨진 교반 로터를 가진 고리형 원심 추출기{Annular centrifugal extractor with embedded stirring rotor}
본 발명은 2가지 액체들을 추출하는 과정을 위한 원심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원심 분리기를 통하여 혼합물의 성분을 위한 액체-액체 추출 과정은 특히 화학, 약학 및, 핵 산업을 위해서 널리 사용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도록 사용되는 특정의 장비는 고리형 원심 분리 추출기인데, 여기에서 혼합물들은 일 단부에 있는 회전 로터의 용기 안으로 도입되어서 반대편 단부에서 배출된다. 혼합물의 무거운 상(相;phase)은 용기의 외주에 원심 분리되는 반면에, 가벼운 상(相)은 회전 중심에 근접하게 모이는 윗물 붓기(decantation)로부터 분리의 결과가 생긴다.
추출을 2 개의 액체들에 적용시키는 추출기는 일반적으로 2 중의 입구를 가지는데, 즉, 혼합되고 분리되어야 하는 액체의 상(相)들은 일반적으로 상이한 도관을 통하여 유입된다. 이들은 용기로 들어가기 이전에 로터에 의해서 에멀젼(emulsion)으로 혼합된다. 이러한 액체 상(相)들중 하나는 공급 상(相)으로 지칭되고 추출되어야 하는 용질(solute)을 포함하며, 다른 것은 용매(solvent)로 지칭되고 바람직스럽게는 특정의 용질을 채용한다. 상(相)들을 혼합하고 이후에 그들을 분리하는 것은 이들 용질들을 용매와 공급 상(相)의 추출물 안으로 통과시키는 것이다. 용질의 전달은 수성 상(aqueous phase)으로 용매의 방향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분리추출(disextraction)로 지칭된다.
공지의 고리형 추출기의 예는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실질적으로 하우징(1)과 그 안에서 회전하는 로터(2)를 구비한다. 로터(2)는 모터 축(3), 용기(4) 및, 이들 두 가지를 서로 연결하는 블록(5)을 구비한다. 이것은 수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용기(4)는 저부에 배치된다. 하우징(7)은 상(相)들의 2 개 입구 채널(6,7)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용기를 구비하는 내부 챔버(8) 안으로 비워지며, 다음에 용기(4)와 하우징(1) 사이의 좁은 고리형 공간(9) 안으로 유동하게 되며, 여기에서 용기(4)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자르는(chopping) 힘에 의해서 유상으로(emulsify) 만들어진다. 하우징(1)의 저부에 도달하자마자, 이들은 용기(4)의 아래로 유동한다. 카운터 블레이드(11)로 알려진 부조(relief, 11)가 하우징(1)의 베이스에 설치되어서 에멀젼의 회전에 제동을 가하며 그것을 용기(4)의 저부 중심에 위치된 오리피스(10)를 향하여 배향시킨다.
원심력의 효과로부터, 상(相)들의 에멀젼은 오리피스(10) 위로 통과된 이후에 용기(4)의 내측으로 가만히 유입되어서, 무거운 상(相)은 용기(4)의 벽에 대하여 계면(12)에 이르기까지 모이게 되고, 가벼운 상(相)은 이러한 계면(12)을 지나서 회전의 축을 향하게 된다. 분리된 혼합물은 용기(4)의 상부로 유동하여 그로부터 무거운 상(相)의 편으로 위치된 도관(13)을 통하여, 그리고 가벼운 상(相)의 편으로 위치된 제 1 의 유출부(14)를 통하여 배출된다. 도관(13)은 중간의 무거운 상(相)의 챔버(15)로 이어지며, 상기 무거운 상(相)은 제 2 의 유출구(15)를 통과함으로써 떠나게 되어, 무거운 상(相)의 집적용 고리부(17)를 향하여 배출된다. 가벼운 상(相)은 중간의 챔버(19) 안으로 통과되며, 이후에 배출 채널(20) 안으로 들어가는데, 이것은 가벼운 상(相)을 가벼운 상(相)의 집적용 고리부(21)로 이끈다.
집적용 고리부(17,21)는 하우징(1)의 주위 벽에서 하나가 다른 것의 위에 위치되는 반면에, 상부에 있는 요소들은 용기(4)와 일체로 된 블록(5) 안에 가공되었다. 유출 파이프(18,22)들은 집적용 고리부(17,21) 안에서 종료되어서 분리된 상(相)들을 외부로 이송한다. 특정의 정교함이 이러한 고리형 추출기의 구조를 복잡하게 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도 용기(4)의 회전에 따라서, 에멀젼을 용기 안으로 흡입하는 용량뿐만 아니라 분리를 야기하는 부어넣기(decantation)와, 에멀젼을 발생시키는 교반에 관련하여, 장치를 정확하게 조절하는데 있어서의 곤란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3 가지 함수들을 최적 기능으로 조화시키는 회전 속도는 종종 찾기가 불가능하다. 가장 현저한 위험은 용기 안의 에멀젼에서 상(相)들이 과도하게 흡출(aspiration)되는 것인데, 이것은 아주 순간적인 접촉 시간을 초래하고 결국에는 불량한 이전 효율을 초래하거나, 또는 공기의 흡출에 이르게 된다. 로터(3)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이러한 위험은 제거되지만, 부어넣기는 작아지게 된다.
또한 추출기의 요소들에 대한 바람직한 치수들을 선택하는 것도 곤란한데, 특히 용기(4)에 대해서 곤란하며, 용기의 직경과 높이는 에멀젼의 자르기(chopping)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하여야 하며, 에멀젼의 자르기는 하우징(1) 과 용기(4) 사이 간격의 협소함과 함께 전개되며, 공간(9) 내에서 충분한 유동 길이에 걸쳐서 발휘되어야 한다. 이것은 용기(4)의 체적이 상당해지는 것과, 추출기의 정체(hold-up)로서 알려진 것이 증가되는 결과를 가져오는데, 즉, 액체의 양이 그곳에서 다시 유지되고, 공업적인 과정의 다른 처리에서 일시적으로 빼내어지기 때문에 액체량이 감소되며 그것이 정지 동안에 추출기를 비우는 것을 복잡하게 한다.
또한 용기(4) 안에서 회전이 재개되기 전에, 액체를 오리피스(10)로 배향시키도록 에멀젼에서의 액체 회전이 카운터 블레이드(11)에 의해서 제동됨으로써 에너지 손실이 야기된다는 점도 단점이다. 마지막으로, 계면(12)이 기대되는 범위내에 항상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과, 이것이 추출기의 작동을 불확실하게 한다는 점이 때때로 이야기되었다.
상기의 모든 인자들은 이러한 유형의 추출기에서 발생하는 특정한 작동상의 한계, 특히 분리 비율에 대한 한계를 설명한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용기, 고정자, 회전자의 용기 안에 있는 안정화 챔버 및,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의 에멀젼 챔버를 구비하는 2 개의 유동상(相)의 원심 추출기를 구비하고, 에멀젼 챔버와 안정화 챔버는 그들 사이에서 교통하며 에멀젼 챔버는 안정화 챔버의 아래에 배치되고, 에멀젼 챔버와 안정화 챔버는 회전자의 회전축 상(上)에 연속적으로 정렬되며 회전자는 에멀젼 챔버를 한정하는 축의 일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창안 장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멀젼 챔버와 안정화 챔버의 직경 크기는 독립적이 되어서, 그들이 보다 잘 선택될 수 있게 한다. 공정의 조화에 바람직스러운, 꾸에뜨 쁘와이제유(Couette-Poiseuille) 유동이 그 안에 일어나도록 에멀젼 챔버는 작은 반경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반면에, 안정화 챔버는 에멀젼 챔버의 반경보다 큰 반경으로 훨씬 넓게 유지될 수 있는데, 이는 이전의 구성에 의해서 배제되었던 것이지만, 월등한 원심력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2 개 챔버들의 높이(또는 길이)도 또한 독립적이어서, 짧은 안정화 챔버의 체적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지만, 에멀젼 챔버는 길고 좁아서 에멀젼 챔버에 유리하다. 그에 반하여 공지된 디자인에서는 안정화 챔버가 에멀젼 챔버보다 길었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모듈화된 구성인데, 여기에서 회전자와 고정자는 조립 가능한 부분들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며, 회전자는 안정화 챔버의 주위 벽을 가지는 제 1 부분과 축의 일부를 구비하는 제 2 부분을 구비한다. 만일 회전자와 고정자를 구성하도록 상이한 편수의 세트들이 사용된다면, 에멀젼 챔버와 안정화 챔버의 치수를 선택하여 그들을 특정의 추출 공정 조건들에 적합화시킬 수 있다. 특정한 배치에 따라서, 회전자의 제 2 부분은 제 1 부분에 부착된 용기의 베이스 및, 축의 부분에 베이스를 접합시키는 반경을 구비하거나; 또는 고정자가 2 개의 중첩된 부분들을 구비하여 그들중 하나는 에멀젼 챔버의 외부벽을 한정하는 공동에 의해서 속이 비워지거나; 또는 용기가 안정화 챔버의 외측에서 가벼운 상(light phase)의 움직일 수 있는 배출 부분이다.
유동의 운동은 에멀젼 챔버와 안정화 챔버 사이에서 훨씬 더욱 규칙적인데, 이는 같은 유형의 카운터 블레이드 또는 수단을 사용하여 유체의 회전을 변환시키지 않으면서 챔버들의 정렬이 하나로부터 다른 것으로의 통과에 의해 수반되기 때문이다.
좁은 에멀젼 챔버는 추출기의 베이스에서 상당한 체적을 배출하는데, 이것은 상(相)들의 유입 채널에 의해서 점유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 채널은 에멀젼 챔버의 측부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그들의 베이스에서 접하게 된다. 이러한 채널들은 유지 채널의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즉, 상(相)들이 에멀젼 챔버 안으로 통과되기 전에 저장조들이 부분적으로 상(相)들에 의해서 채워진다. 다음에 에멀젼 챔버에서 공기를 빨아들이게 될 수 있는데, 이는 에멀젼에서 일정한 체적을 유지하게 하며, 그리고 안정화시키는 것만큼 에멀젼에서 추출기의 작업을 조정하게 된다.
회전자의 축의 일부가 반경에 있어서 에멀젼 챔버의 방향으로 안정화 챔버의 안으로 연장된 부분에서 증가한다면 다른 유리한 배치가 얻어진다.
다른 가능성은, 축의 일부가 안정화 챔버의 액체 안으로 그것이 가장 넓은 곳에서 잠기게 된다면 이번에는 에멀젼 챔버의 하류 방향에서 공기 유입부가 차단된다.
여기에서 최종적으로 언급되어야 하는 개선점은, 안정화 챔버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고리형 유출부에 의해서 하류측으로 제한되는, 상(相)들의 중간 챔버들이 서로 교통한다면 구현된다. 결과적인 압력의 균등화는 계면 위치 상(上)에서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도 1 은 공지의 고리형 원심 추출기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기를 도시한다.
모든 이들 개선점들과 다른 점들은 도 2 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나타나게 되는데,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하우징(고정자)는 참조 번호 25 로, 회전자는 참조 번호 26 으로, 그리고 회전축은 참조 번호 27 로 표시된다. 회전자(26)는 이번에 하우징(25)의 위로 연장된 용기(28)와, 축(27)에 대하여 동축선 상(上)에 있고 용기(28)의 아래로 거의 하우징(25)의 아래에까지 그리고 용기(28)의 내측으로 연장된 축(29)의 일부를 구비한다. 에멀젼 챔버(32)는 축(29)의 부분과 하우징(25)의 벽(알려진 구현예에서의 것보다 두껍다)에 의해서 한정된다; 이것은 하우징(25)에 따라서 고리형 립(lip,69)에 의하여 용기(28)의 내측에서 특정의 높이로 연장되며 액체가 용기(28)와 하우징(25) 사이에 위치된 공간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에멀젼 챔버(32)를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블레이드(61)는 상기 고정자의 하부 부분 안에 위치되는데, 이것은 예를 들면 장치가 액체의 존재시에 시동되는 경우에 상기 언급된 공간에 존재하는 그 어떤 액체라도 반환시키게 된다. 에멀젼 챔버(32)는 2 개 상(相)들의 유입 및 유지 채널(30,31)에 의해서 공급되는데, 이들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에멀젼 챔버(32)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연장되고 수직의 연결 채널(34)과 하부 오리피스(33)를 통하여 접하게 된다. 액체 상(相)들은 그 어떤 환경하에서도 대부분의 유입 및 유지 채널(30,31)을 채우게 되며 그들이 오리피스(33)를 가로지른 이후에만 회전에 설정된다.
축(29)의 상부 부분에는 통(muff) 형태의 가동 부분(35)이 설치되는데, 그것의 반경은 안정화 챔버(36)의 부분을 제한하는 디스크(38)를 형성하는 것으로써 베이스를 향하여 증가하며, 안정화 챔버는 그 둘레로 연장된다. 부어넣기(decant)를 위해서 남겨지는 액체의 체적은 선택된 가동 부분(35)의 체적과 고리형 유출구(37)에 의해서 제어되는데, 그것의 내부 반경은 상기 디스크(38)의 내부 반경보다 작으며, 따라서 디스크는 잠겨져서 공기가 하류를 통하여 에멀젼 챔버(32)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유입 및 유지 채널(30,31)을 채우는 액체가 상류측으로 마찬가지의 보호를 제공하는 것과 같다. 가동 부분은 액체를 안정화 챔버(36) 안으로 이전시키기 위한 블레이드(56)를 가진다.
유출구(37)를 지나서 연장되는 것은 가벼운 상(相)을 위한 중간 챔버(39)인데, 이것은 나선으로 배치될 수 있는 가벼운 상(相)의 집적용 고리부(40)와 교통하며, 즉, 그것의 베이스는 유출 채널(41)에 이르기까지 아래로 낮추어져서 분리기 밖으로의 유동을 유리하게 한다. 용기 안의 공동 채널(42)은 무거운 상(相)이 안정화 챔버(36)로부터 배출될 수 있게 하여 무거운 상(相)을 위한 중간 챔버(43)와 접하게 하며 제 2 의 고리형 유출구(44)를 통하여 나갈 수 있게 한다. 무거운 상(相)은 다음에 집적용 고리부(45)와 다시 접하게 되는데, 집적용 고리부도 선택적으로는 나선형이거나 또는 낮추어질 수 있어서, 집적용 고리부(45)의 가장 아래 지점에서 종료되는 유출 채널(46)을 통하여 분리기를 떠나게 한다. 교통 부분(47)은 중간 챔버(39,43)를 연결하여 그곳의 압력을 평형화함으로써, 안정화 챔버(36) 안에 있는 계면(48)의 위치에서 불확실성의 매개 변수(parameter)들을 감소시킨다. 고리형 유출구(37,44)들이 모두 가동 부분이고, 분리기를 제어하는 조건들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이들이 다른 것들로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용기(28)는 나사화된 베이스(57)를 구비하며, 이것은 제거되었을 때 축(29)의 부분이 제거될 수 있게 하며, 다음에 나사화된 베이스(57) 상(上)에 고정되거나 또는 조립되어서 반경부(66)를 통하여 그에 접합된, 부어넣는 장치(decanter)의 가동 부분(35)이 제거될 수 있게 한다. 그것에 더불어, 하우징(25)은 상부 부분(67)과 하부 부분(68)을 구비하는데, 이들은 중심 조절과 개스킷으로써 하나가 다른 것의 위에 중첩된다. 하부 부분(68)은 유입 및 유지 채널(30,31)을 구비하며, 에멀젼 챔버(32)는 그 안에서 공동화되어 있다. 상부 부분(67)은 용기(28)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은 추출기의 모듈화(modularity)를 제공하는데, 이것은 본 발명의 실질적인 장점을 구성한다. 로터(26)는 상이한 치수들의 개별 세트(set)들로부터 선택된 용기(28)와 축(29)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하우징(25)은 무엇보다도 에멀젼 챔버(32)의 공동과 용기(28)에 대하여 상이한 치수들의 개별 세트로부터 선택된 하부 부분(68)과 상부 부분(67)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에멀젼 챔버(32)와 용기(28)의 치수들이 적용되어야 하는 공정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온다. 에멀젼 챔버(32)의 폭은 에멀젼을 발생시키는 자르기(chopping)의 필요한 강도에 달려있게 될 것이다. 용기(28)의 높이는 필요한 조사 체적(inventory volume)에 달려있을 것이다. 로터(26)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공정의 수정을 구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상(phases)들을 구비하는 용기(28)의 체적을 조절하는 다른 가능성은, 유출구(37)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유출구의 하부 에지(edge)는 상이한 직경을 가진다.
용기(28)는 나사화된 베이스(57)와는 별도로, 설정 챔버(36)의 외부 벽을 구비하는 주 동체(50)를 구비함으로써, 오직 유출구(37)만으로 용기(28) 안에 유지되는 상(相)들의 체적을 정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사가 풀리자마자 유출구(44)의 회수를 가능하게 하는 나사화된 덮개(58)(축(27)을 유지하고 있음)를 상부에 구비한다. 덮개(59)가 제거된 이후에 전체 회전자(26)는 하우징(25)으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변류기(deflector, 49)는 동체(50)의 상부에 연장되어 회전자에 속하게 되며 중간의 챔버를 구비한다.
마지막으로, 추출기는 하우징(25)의 베이스에 한쌍의 권선부(51,52)를 구비하는데, 이들 모두는 수직의 비워진 도관(53,54)에 의해 비워지며, 도관들중 제 1 의 것은 혼합된 액체에 대하여 물꼭지(tapping)를 달아서 처리하기 위하여 용기(28)의 아래로 이어지는 물꼭지 채널(55)에 맞대기 용접되고, 그들중 제 2 의 것은 추출기를 비우도록 채널(34)의 저부에 맞대기 용접된다.
시제품에서 처리되는 공급 상(相)의 비율은 동일한 전체 끌어올림의 양에 대하여 (용질의 정상적인 추출 비율과 관련하여) 공지 장치에서 보다 3 배였다.
본 발명은 산업용의 추출 작업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내부에 형성된 용기(28)를 구비하는 중심 회전자(26); 중심 회전자(26)를 포함하도록 상기 중심 회전자(26)의 외부에 위치한 고정자(25); 중심 회전자(26)의 용기(28) 안에 있는 안정화 챔버(36); 및, 중심 회전자(26)와 고정자(25) 사이에 있는 에멀젼 챔버(32);를 구비하는, 2 개 유체 상(相)을 위한 원심 추출기로서,
    에멀젼 챔버(32)와 안정화 챔버(36)는 서로 교통하고, 에멀젼 챔버는 안정화 챔버의 아래에 배치되며,
    에멀젼 챔버 및 안정화 챔버는 중심 회전자(26)의 회전축(27) 상(上)에 연속으로 정렬되고, 중심 회전자는 에멀젼 챔버를 한정하는 축(29)의 부분을 포함하고, 고정자 및 중심 회전자는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 부분들로 이루어지고, 중심 회전자는 안정화 챔버(36)의 주위 벽을 포함하는 제 1 부분(50) 및, 축(29)의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부분을 구비하는, 2 개 유체 상(相)의 원심 추출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중심 회전자의 제 2 부분은 제 1 부분(50)에 부착된 용기(28)의 베이스(57)와, 베이스(57)를 축의 부분(29)에 결합시키는 반경부(6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유체 상(相)의 원심 추출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고정자(25)는 2 개의 중첩된 부분(67,68)을 구비하며, 그들중 하나는 용기의 공동을 위해서 비워지고, 다른 것은 에멀젼 챔버(29)의 외부 벽을 한정하는 공동으로부터 밖으로 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 유체 상(相)의 원심 추출기.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안정화 챔버는 에멀젼 챔버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 유체 상(相)의 원심 추출기.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에멀젼 챔버는 유체 상(相)들의 유입 및 유지 채널(30, 31)들과 교통하고, 유입 및 유지 채널(inlet and retention channel)들은 에멀젼 챔버의 측부에서 연장되고 하부 단부를 통하여 에멀젼 챔버의 하단부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 유체 상(相)의 원심 추출기.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중심 회전자의 축의 부분은 안정화 챔버 안으로 연장되는 부분(38)에서 에멀젼 챔버를 향하여 진행되면서 반경이 증가되고, 상기 부분(38)은 용기(28)의 일부(37)의 개방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가지며, 그것을 통하여 가벼운 유체 상(相)은 안정화 챔버(36)의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 유체 상(相)의 원심 추출기.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안정화 챔버의 하류에 위치되어 고리형 유출구(37,44)에 의해서 한정된, 상(相)들의 중간 챔버(39,43)들은 서로 교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 유체 상(相)의 원심 추출기.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축의 부분은 안정화 챔버의 안으로 연장되고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 유체 상(相)의 원심 추출기.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안정화 챔버의 하류측에 상(相)들의 집적용 고리부(40,45)를 구비하고, 분리기의 유출구 오리피스를 향하여 경사진 베이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 유체 상(相)의 원심 추출기.
  11.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용기(28)는 안정화 챔버(36)의 외측에 가벼운 상(相)을 위한, 움직일 수 있는 배출 부분(3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 유체 상(相)의 원심 추출기.
  12.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고정자(25)는 에멀젼 챔버(32)를 한정하는 역할을 하고 용기(28) 안으로 연장된 고리형 립(lip, 6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 유체 상(相)의 원심 추출기.
KR1020047002944A 2002-07-01 2003-06-27 잠겨진 교반 로터를 가진 고리형 원심 추출기 KR100989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08206A FR2841485B1 (fr) 2002-07-01 2002-07-01 Extracteur centrifuge annulaire a rotor d'agitation noye
FR02/08206 2002-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116A KR20050025116A (ko) 2005-03-11
KR100989658B1 true KR100989658B1 (ko) 2010-10-26

Family

ID=29725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944A KR100989658B1 (ko) 2002-07-01 2003-06-27 잠겨진 교반 로터를 가진 고리형 원심 추출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134991B2 (ko)
EP (1) EP1551555B1 (ko)
JP (1) JP4745659B2 (ko)
KR (1) KR100989658B1 (ko)
CN (1) CN1293946C (ko)
AT (1) ATE535306T1 (ko)
AU (1) AU2003258830A1 (ko)
ES (1) ES2376663T3 (ko)
FR (1) FR2841485B1 (ko)
RU (1) RU2004105945A (ko)
WO (1) WO20040026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1485B1 (fr) * 2002-07-01 2004-08-06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Extracteur centrifuge annulaire a rotor d'agitation noye
JP3711277B2 (ja) * 2002-12-17 2005-11-02 核燃料サイクル開発機構 非接触軸支構造の遠心抽出器
US8636634B2 (en) * 2007-04-02 2014-01-28 Rasp Technologies, Llc Reaction and separation processor and process for producing biodiesel
US8394006B2 (en) 2010-11-19 2013-03-12 Kensey Nash Corporation Centrifuge
US8870733B2 (en) 2010-11-19 2014-10-28 Kensey Nash Corporation Centrifuge
US8469871B2 (en) 2010-11-19 2013-06-25 Kensey Nash Corporation Centrifuge
US8556794B2 (en) 2010-11-19 2013-10-15 Kensey Nash Corporation Centrifuge
US8317672B2 (en) 2010-11-19 2012-11-27 Kensey Nash Corporation Centrifuge method and apparatus
CN102078704B (zh) * 2010-12-31 2012-08-29 玄浩 离心萃取器
CN102824755B (zh) * 2012-09-05 2014-06-11 江苏圣奥化学科技有限公司 环隙式离心萃取机及其在含4-氨基二苯胺还原液的油相和水相分离工艺中的应用
CN110064527B (zh) 2014-01-31 2021-12-14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脂肪组织离心装置和使用方法
US9902625B2 (en) * 2014-09-03 2018-0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val of HAB-produced toxins from bodies of water
US10927341B2 (en) * 2016-03-22 2021-02-23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Multi-functional fluid flow device
US20190184313A1 (en) * 2017-12-15 2019-06-20 Minextech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insoluble liquids of different densities
CN110013684A (zh) * 2019-03-25 2019-07-16 李爱民 逆流管式微通道液-液离心萃取机
CN110118680B (zh) * 2019-05-08 2021-11-16 山东省计量科学研究院 一种红外全自动测油高效萃取装置及萃取方法
RU197635U1 (ru) * 2020-02-07 2020-05-18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монтажной технологии - Атомстрой" (АО "НИКИМТ-Атомстрой") Герметичный центробежный экстракто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4805A (ja) * 1988-04-27 1989-11-02 Hitachi Ltd 遠心抽出機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4007A (en) * 1945-06-21 1949-06-21 Shell Dev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acting fluids
US2474006A (en) * 1949-04-11 1949-06-21 Shell Dev Rotary contactor for fluids
US2819014A (en) * 1951-11-19 1958-01-07 Sharples Corp Centrifugal phase contactor
US3332614A (en) * 1964-10-30 1967-07-25 Donald S Webster Centrifugal extractor
DE1907195A1 (de) * 1969-02-13 1970-09-03 Wiederaufarbeitung Von Kernbre Magnetarretierte,ausbaubare Schnellmischtrenner fuer radioaktive Fluessigkeiten
JPS57117358A (en) * 1981-01-14 1982-07-21 Toshiba Corp Centrifugal extractor
JPS57180402A (en) * 1981-04-28 1982-11-06 Toshiba Corp Centrifugal extractor
JPS57180403A (en) * 1981-04-30 1982-11-06 Toshiba Corp Centrifugal extractor
JPS57180404A (en) * 1981-04-30 1982-11-06 Toshiba Corp Centrifugal extractor
FR2576525B1 (fr) * 1985-01-25 1990-03-0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Extracteur centrifuge pour l'extraction liquide-liquide en presence de particules solides, et installation faisant intervenir plusieurs de ces extracteurs
GB8521629D0 (en) * 1985-08-30 1985-10-23 Atomic Energy Authority Uk Contactor
JPS631466A (ja) * 1986-06-19 1988-01-06 Power Reactor & Nuclear Fuel Dev Corp 遠心速抽出器
JPS631469A (ja) * 1986-06-19 1988-01-06 Power Reactor & Nuclear Fuel Dev Corp 遠心速抽出器
US4824431A (en) * 1987-01-13 1989-04-25 Mcalister Steven A Centrifugal concentrator
JPH0199605A (ja) * 1987-10-13 1989-04-18 Hitachi Ltd 遠心抽出機
GB8811195D0 (en) * 1988-05-11 1988-06-15 Atomic Energy Authority Uk Rotary centrifugal contactor
JPH02102495A (ja) * 1988-10-12 1990-04-16 Hitachi Ltd 遠心抽出機
US4959158A (en) * 1989-03-30 1990-09-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Method for separating disparate components in a fluid stream
US4925441A (en) * 1989-06-13 1990-05-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Centrifugal contactor modified for end stage operation in a multistage system
US5024647A (en) * 1989-06-13 1991-06-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Centrifugal contactor with liquid mixing and flow control vanes and method of mixing liquids of different phases
JPH0775643B2 (ja) * 1990-12-18 1995-08-16 動力炉・核燃料開発事業団 内部循環型遠心抽出器
FR2674771B1 (fr) * 1991-04-08 1995-04-21 Robatel Slpi Perfectionnements aux extracteurs centrifuges du type mono-etage et multi-etages.
US5624371A (en) * 1991-12-12 1997-04-29 Framo Developments (Uk) Limited Self-regulating centrifugal separator
US5254076A (en) * 1992-08-06 1993-10-19 Arch Development Corporation Centrifugal pyrocontactor
CA2131738C (en) * 1993-11-17 2001-09-04 Lonny R. Kelley Flow enhanced one-pass centrifuge separator
US5591340A (en) * 1995-09-01 1997-01-07 Costner Industries Nevada, Inc. Centrifugal separator
US5571070A (en) * 1996-01-16 1996-11-05 Costner Industries Nevada, Inc. Rotor sleeve for a centrifugal separator
US6238329B1 (en) * 1999-02-05 2001-05-29 Ernest E. Rogers Centrifugal separator for mixed immiscible fluids
US6203483B1 (en) * 1999-04-14 2001-03-20 Ut-Battelle, Llc Method for solvent extraction with near-equal density solutions
CN2374247Y (zh) * 1999-05-18 2000-04-19 彭云安 高压离心式真空滤油机
KR100355893B1 (ko) * 2000-03-09 2002-10-12 한국전력공사 높이 조절 분리둑과 방향전환판을 이용한 유기상원심분리장치
US6440054B1 (en) * 2000-09-18 2002-08-27 George M. Galik Apparatus for liquid-liquid extraction
FR2841485B1 (fr) * 2002-07-01 2004-08-06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Extracteur centrifuge annulaire a rotor d'agitation noye
JP3757197B2 (ja) * 2002-08-02 2006-03-22 核燃料サイクル開発機構 遠心抽出器
JP3711277B2 (ja) * 2002-12-17 2005-11-02 核燃料サイクル開発機構 非接触軸支構造の遠心抽出器
US7150836B2 (en) * 2004-07-16 2006-12-19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Microwave-emitting rotor, separator apparatus including same, methods of operation and design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4805A (ja) * 1988-04-27 1989-11-02 Hitachi Ltd 遠心抽出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03944A1 (en) 2005-01-06
RU2004105945A (ru) 2005-08-10
CN1293946C (zh) 2007-01-10
EP1551555B1 (fr) 2011-11-30
FR2841485A1 (fr) 2004-01-02
FR2841485B1 (fr) 2004-08-06
WO2004002631A3 (fr) 2004-04-15
KR20050025116A (ko) 2005-03-11
JP2005531398A (ja) 2005-10-20
JP4745659B2 (ja) 2011-08-10
US7134991B2 (en) 2006-11-14
ES2376663T3 (es) 2012-03-15
WO2004002631A2 (fr) 2004-01-08
EP1551555A2 (fr) 2005-07-13
AU2003258830A1 (en) 2004-01-19
ATE535306T1 (de) 2011-12-15
CN1615180A (zh)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658B1 (ko) 잠겨진 교반 로터를 가진 고리형 원심 추출기
NL9420036A (nl) Centrifugaal afscheider en werkwijze.
EP0557251B1 (en) A separator of solid particles for variable discharge fluid flow rates in dental apparatus
NL9320036A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centrifugaal scheiden van een mediummengsel in zijn samenstellende delen.
US20110003676A1 (en) A separation device
EP1163055B1 (en) Centrifugal separator with control equipment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separating operation
KR100623114B1 (ko) 분리 장치
CN211660259U (zh) 一种立式离心机
JP3323496B2 (ja) デカンタ遠心分離機用膨脹形ダム
EP0047677A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separating solids and liquids in a solids-liquid mixture
WO20191188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insoluble liquids of different densities
HUT65517A (en) Multi-stage extractional centrifuge
CN117813141A (zh) 用于分离流体混合物的设备和方法
EP34749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flow red blood cell washing
AU2020273371A1 (en) Sand separator with gas vent
WO1996019276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separating a mixture of gas and liquid
NL1028691C1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scheiden van een fluïdum en meer speciaal een emulsie.
CN110917657B (zh) 适于易乳化体系的离心萃取器
EP0208761A1 (en) Centrifugal separator
CN116273498A (zh) 一种用于稀土氧化镨钕萃取的乳化物处理装置
KR20230097193A (ko) 디스크 스택을 포함하는 원심 분리기
JPH02298372A (ja) 遠心抽出器用分離ロータ
JPH01189357A (ja) 遠心分離機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