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492B1 - 로크너트 - Google Patents

로크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492B1
KR100988492B1 KR1020080070505A KR20080070505A KR100988492B1 KR 100988492 B1 KR100988492 B1 KR 100988492B1 KR 1020080070505 A KR1020080070505 A KR 1020080070505A KR 20080070505 A KR20080070505 A KR 20080070505A KR 100988492 B1 KR100988492 B1 KR 100988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lock nut
bolt
diameter por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742A (ko
Inventor
문상열
Original Assignee
(주)파워렉스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워렉스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파워렉스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80070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492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F16B39/1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made of thin sheet material or formed as spring-was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08Corrosion preve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2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with thread-engaging surfaces formed by inserted coil-springs, discs, or the like; Independent pieces of wound wire used as nuts; Threaded inserts for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로 유입된 빗물 등의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로크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크너트는 확경부(11b)에 배수구(14)가 형성되어, 확경부(11b)로 유입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므로, 내부로 유입된 수분에 의해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로크너트, 수분, 배수, 배수구, 부식,

Description

로크너트{lock nut}
본 발명은 내부로 유입된 빗물 등의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로크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너트는 볼트에 나사결합되어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부재를 상호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최근에는 너트와 볼트를 결합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너트가 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로크너트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로크너트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볼트(1)의 나사부(1a)가 끼워지는 결합공(11)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너트본체(10)와, 너트본체(10)의 결합공(11)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코일스프링(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공(11)은 볼트(1)의 나사부(1a)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11a)와, 결합부(11a)에 비해 내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20)이 삽입설치되는 확경부(11b)로 이루어져, 결합공(11)에 볼트(1)를 결합하면, 볼트(1)의 나사 부(1a)가 결합부(11a)의 나사산과 맞물림과 동시에, 코일스프링(20)이 볼트(1)의 나사부(1a)와 맞물려 볼트(1)의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로크너트가 볼트(1)에 결합된 상태에서 진동 등과 같은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로크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확경부(11b)는 결합부(11a)에 비해 너트본체(10)의 후면, 즉, 너트본체(10)가 볼트(1)와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쪽 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확경부(11b)의 후단에는 코일스프링(20)의 후단부가 걸리는 걸림턱(12)이 형성된다. 또한, 너트본체(10)의 후면에는 방사방향의 고정홈(13)이 형성되며, 코일스프링(20)의 후단에는 외부로 절곡된 고정부(21)가 형성되어, 코일스프링(20)의 고정부(21)를 고정홈(13)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로크너트는 너트본체(10)의 후단부에 상기 확경부(11b)가 형성되므로, 로크너트를 볼트(1)에 결합한 상태에서, 너트본체(10)의 후단부와 볼트(1)의 나사부(1a) 사이에 틈이 발생된다.
따라서, 빗물 등과 같이,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이 확경부(11b) 내부로 유입되며, 이와같이 확경부(11b)로 유입된 수분이 쉽게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므로, 수분에 의해 로크너트와 볼트(1)의 나사부(1a)에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차량의 드라이브샤프트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허브너트로 전술한 로크너트를 사용할 경우, 로크너트의 결합공(11)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차량 의 주행상황에 따라 염분 등과 같은 부식성 성분이 함유된 수분이 내부로 유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어, 차량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일반적인 너트에 비해, 내부공간이 넓은 학경부(11b)를 갖는 로크너트에서 심하게 발생되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로크너트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로크너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볼트가 끼워지는 결합공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너트본체와; 너트본체의 결합공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은 볼트의 나사부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와; 결합부에 비해 내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이 삽입설치되는 확경부로 이루진 로크너트에 있어서,
상기 너트본체의 확경부에는 너트본체의 외측 둘레면으로 연장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너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크너트는 확경부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확경부로 유입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므로, 내부로 유입된 수분에 의해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크너트는 볼트(1)가 끼워지는 결합공(11)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너트본체(10)와; 너트본체(10)의 결합공(11)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코일스프링(20)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11)은 볼트(1)의 나사부(1a)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11a)와; 결합부(11a)에 비해 내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20)이 삽입설치되는 확경부(11b)로 이루진 것은 종래의 로크너트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확경부(11b)는 결합부(11a)에 비해 너트본체(10)의 후면, 즉, 너트본체(10)가 볼트(1)와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쪽 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확경부(11b)의 후단에는 코일스프링(20)의 후단부가 걸리는 걸림턱(12)이 형성된다. 또한, 너트본체(10)의 후면에는 방사방향의 고정홈(13)이 형성되며, 코일스프링(20)의 후단에는 외부로 절곡된 고정부(21)가 형성되어, 코일스프링(20)의 고정부(21)를 고정홈(13)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너트본체(10)의 확경부(11b)에는 너트본체(10)의 외측 둘레면으로 연장되는, 즉, 상기 확경부(11b)와 너트본체(10)의 외측 둘레면을 관통하는 배수구(14)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14)는 너트본체(10)의 후면 둘레부를 너트본체(10)의 길이방향 즉, 너트본체(10)의 후면에서 전면방향으로 가압하여, 측면이 너트본체(10)의 후면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전 공정에서 결합부(11a)와 확경부(11b)를 갖는 결합공(11)이 형성된 너트본체(10)를 제작한 후, 단조성형기에 너트본체(10)를 고정하고, 너트본체(10)의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폭이 좁은 판형상의 해머를 이용하여, 너트본체(10)의 후면을 타격하므로써, 배수구(14)가 너트본체(10)의 외주면을 방사방향으로 절개한 형태로 구성되도록 제작한다.
이때, 상기 배수구(14)는 너트본체(10)의 둘레면에 120°로 분산배치되도록 3개 정도 형성하며, 그 길이는 너트본체(10)의 후면에서 확경부(11b)의 전단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로크너트는 볼트(1)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수분이 유입되면 공간이 넓은 확경부(11b) 내부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서로 모인 후 배수구(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수분에 의해 로크너트나 볼트(1)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14)는 너트본체(10)의 후면을 해머로 타격하여 너트본체(10)의 후면을 방사방향으로 절개하여 너트본체(10)의 전면쪽으로 연장된 형태로 제작되므로, 너트본체(10)의 후단에서 유입되는 수분이 확경부(11b)의 전단쪽으로 도달하기 전에 미리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차량의 허브너트로 사용되는 로크너트의 경우, 중심축이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의 운행시 드라이브샤프트와 함께 고속회전되므로, 내부로 유입된 물이 원심력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배출되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로크너트는 확경부(11b)가 결합부(11a)에 비해 너트본체(10)의 후면쪽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었으나, 확경부(11b)가 결합부(11a)에 비해 너트본체(10)의 전면쪽에 위치되는 로크너트의 경우, 너트본체(10)의 전면을 후면방향으로 타격하여, 배수구(14)가 너트본체(10)의 전면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로크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로크너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크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너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너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Claims (2)

  1. 볼트(1)가 끼워지는 결합공(11)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너트본체(10)와; 너트본체(10)의 결합공(11)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코일스프링(20)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11)은 볼트(1)의 나사부(1a)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11a)와; 결합부(11a)에 비해 내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20)이 삽입설치되는 확경부(11b)로 이루어진 로크너트에 있어서,
    상기 너트본체(10)의 확경부(11b)에는 너트본체(10)의 외측 둘레면으로 연장되는 배수구(14)가 형성되되, 이 배수구(14)는 상기 너트본체(10)의 전면 또는 후면 둘레면을 길이방향으로 타격 또는 가압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너트.
  2. 삭제
KR1020080070505A 2008-07-21 2008-07-21 로크너트 KR100988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505A KR100988492B1 (ko) 2008-07-21 2008-07-21 로크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505A KR100988492B1 (ko) 2008-07-21 2008-07-21 로크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742A KR20100009742A (ko) 2010-01-29
KR100988492B1 true KR100988492B1 (ko) 2010-10-18

Family

ID=4181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505A KR100988492B1 (ko) 2008-07-21 2008-07-21 로크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6102A (zh) * 2013-12-31 2015-07-01 贵州航天乌江机电设备有限责任公司 防止阳极组装车间磷铁环压脱机螺母松动的方法及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4022A (ja) * 1991-07-10 1994-04-05 Alian Internatl Ag 戻り止めナット
KR19980044134A (ko) * 1996-12-05 1998-09-05 박병재 페인트 클리어용 너트구조
JP2005121154A (ja) 2003-10-17 2005-05-12 Orita Rasen Seisakusho:Kk 弛み止めナット
KR100701782B1 (ko) * 2006-12-07 2007-03-29 (주)성실기계 풀림방지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4022A (ja) * 1991-07-10 1994-04-05 Alian Internatl Ag 戻り止めナット
KR19980044134A (ko) * 1996-12-05 1998-09-05 박병재 페인트 클리어용 너트구조
JP2005121154A (ja) 2003-10-17 2005-05-12 Orita Rasen Seisakusho:Kk 弛み止めナット
KR100701782B1 (ko) * 2006-12-07 2007-03-29 (주)성실기계 풀림방지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6102A (zh) * 2013-12-31 2015-07-01 贵州航天乌江机电设备有限责任公司 防止阳极组装车间磷铁环压脱机螺母松动的方法及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742A (ko) 201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05607B (zh) 一种防松止退可靠的螺钉组件
JP2011510242A (ja) ねじ込みインサートおよび車両用部品
US20100196120A1 (en) Fastener relief path
KR100988492B1 (ko) 로크너트
JP5049297B2 (ja) 電気力学的な破砕装置に用いられる作業電極、作業電極に用いられる交換部材及び作業電極の使用
CN101922496A (zh) 一种螺栓及其螺栓连接结构
JP2009287766A (ja) ナット部材
JP2008144955A (ja) 締結部材のねじ山
KR20100009746A (ko) 풀림방지용 너트캡
US9422967B2 (en) Exchangeable wheel stud
CN101123374A (zh) 一种用于电机的防水密封结构
KR20050094490A (ko) 차량의 서브프레임 고정장치
JP2019209382A (ja) 締付トルク管理具及び締付トルク管理具と締結具との組み合わせ
KR20030016100A (ko) 체결력이 개선된 캡 너트
KR200385159Y1 (ko) 플랜지 너트 구조
KR20080054681A (ko) 록크 너트
KR100665920B1 (ko) 자동차 흡차음재 체결용 볼트플러그
KR20090007390U (ko) 마그네틱 기어 고정 슬리브
JP2014109378A (ja) 爪車ロックボルト
KR100918673B1 (ko) 너트 자동조임장치
KR100916461B1 (ko) 자동차용 엔진의 기어 볼트 풀림 방지 장치
CN107159395A (zh) 一种玻璃破碎装置中的转子
KR200324231Y1 (ko) 커플링볼트 결합구조
CN201714786U (zh) 十二角梅花全螺纹螺栓装置
KR200388166Y1 (ko) 풀림 방지용 스크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