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369B1 -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369B1
KR100988369B1 KR1020080088016A KR20080088016A KR100988369B1 KR 100988369 B1 KR100988369 B1 KR 100988369B1 KR 1020080088016 A KR1020080088016 A KR 1020080088016A KR 20080088016 A KR20080088016 A KR 20080088016A KR 100988369 B1 KR100988369 B1 KR 100988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uide
roller
tension
ten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291A (ko
Inventor
여정석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080088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36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9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38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는 와이어가 감겨져 풀어지는 보빈; 상기 와이어를 와이어 가공기로 일정 길이씩 공급하는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와 보빈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선형을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공급롤러의 당김에 의하여 상기 보빈으로부터 풀어지는 와이어가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선형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유지부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인접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에 장력이 걸리는 경우, 탄성력에 의하여 장력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텐션부재; 상기 텐션부재의 회전반경을 감지하여 일정 범위 이상인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 그리고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텐션부재의 회전반경이 일정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공급롤러를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와이어, 간섭, 방지, 텐션, 롤러, 탄성

Description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WIRE FROM INTERFERENCE}
본 발명은 와이어 간섭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롤러에의하여 당겨지는 와이어의 선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장력을 흡수함으로써 와이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나 장치 등에서 전원의 공급은 피복된 와이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차량에서는 배터리 등의 응축 전류를 손실 없이 전기 전장 품에 전달하기 위하여 와이어를 셋트화한 와이어 하네스가 사용된다.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는 발전기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에너지를 각 전장품에 전달하고, 각종 스위치 및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해당 부품에 전달시켜준다.
따라서, 와이어 하네스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는 연결되는 각 부품 사이의 거리에 맞게 미리 절단되어 양단부가 탈피된 후, 터미널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가 공급되어 일정 길이로 절단되고, 와이어의 단부에 대한 피복재의 탈피작업이 수행되며, 피복된 부위에 실링부재가 끼워지고, 터미널이 압착되는 일련의 공정은 와이어 가공기에 의하여 진행된다.
이때, 이 와이어 가공기의 앞 부분에는 와이어를 일정 길이씩 공급하는 공급롤러가 배치되며, 공급롤러의 앞 부분에는 감겨진 와이어가 풀어짐으로써 공급롤러 측에 와이어를 공급하는 보빈과 안내롤러가 배치된다.
따라서, 모터의 회전에 의해 공급롤러가 회전됨으로써 와이어는 보빈에서 풀리어 안내롤러를 통과하고, 공급롤러의 마찰력에 의해 와이어 가공기의 절단부로 유동된다.
그러나, 공급롤러에 의해 보빈에서 풀려나는 와이어는 공급롤러에 의해 당겨지는 인출력을 받게 되므로, 공급롤러의 당김력에 의해 와이어 가공기의 절단부로 이동되는 길이보다 더 길게 인출된다.
따라서, 보빈에서 공급롤러로 공급되는 와이어가 필요 길이보다 길게 인출되어 와이어가 선형궤적에서 이탈하여 측방으로 요동침으로써 와이어가 주위 장비에 걸리거나, 와이어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안내롤러나 공급롤러로부터 와이어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롤러에 의하여 당겨지는 와이어가 선형궤적을 유지한 상태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와이어가 감겨져 풀어지는 보빈; 상기 와이어를 와이어 가공기로 일정 길이씩 공급하는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와 보빈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선형을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공급롤러의 당김에 의하여 상기 보빈으로부터 풀어지는 와이어가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선형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유지부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인접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에 장력이 걸리는 경우, 탄성력에 의하여 장력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텐션부재; 상기 텐션부재의 회전반경을 감지하여 일정 범위 이상인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 그리고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텐션부재의 회전반경이 일정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공급롤러를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는 보빈과 공급롤러의 사이에 선형유지부를 배치함으로써 와이어의 선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을 흡수함으로써 와이어가 궤적을 이탈하여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가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는 와이어(W)가 감겨져 풀어지는 보빈(1)과, 와이어(W)를 당겨서 와이어 가공기(3)로 일정 길이씩 공급하는 공급롤러(4)와, 상기 공급롤러(4)와 보빈(1)의 사이에 배치되어 와이어(W)의 선형 궤적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와이어(W)에 작용하는 장력을 흡수함으로써 와이어(W)가 궤적을 이탈하여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선형 유지부(5)를 포함한다.
이러한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4)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그 사이에 와이어(W)가 진입되는 한 쌍의 롤러(6)와, 상기 한 쌍의 롤러(6)를 일정 각도씩 구동시키는 모터(7)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7)는 구동축이 일정 각도씩 회전하는 스텝핑 모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회전축은 한 쌍의 롤러(6)에 연결됨으로써 한 쌍의 롤러(6)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7)가 구동하는 경우, 한 쌍의 롤러(6)가 일정 각도씩 회전함으로써 한 쌍의 롤러(6)의 사이에 진입된 와이어(W)를 일정 길이씩 가공기(3)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롤러(6)가 와이어(W)를 당길 때 와이어(W)에 과도한 장력이 전달되어 필요 길이 이상의 와이어(W)가 보빈(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인출된 와이어(W)가 측방으로 요동침으로써 선형 궤적을 이탈하여 주위에 걸릴 수 있음으로, 이러한 와이어(W)의 선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선형 유지부(5)가 구비된다.
상기 선형 유지부(5)는 프레임(F)에 마련되는 지지 플레이트(9)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9)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와이어(W)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11)와, 상기 가이드 롤러(11)로 인입되는 와이어(W)를 안내하는 제 1가이드부재(13)와, 제 1 가이드 부재(13)로 인입되는 와이어(W)에 장력이 걸리는 경우 이 장력을 해소시키는 텐션부재(Tension member;15)와, 텐션부재(15)의 회전반경을 감지하여 일정 범위 이상인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18)와, 상기 감지부(18)의 신호에 의하여 텐션부재(15)의 회전반경이 일정 범위 이상인 경우 공급롤러(4)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C)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선형 유지부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11)는 지지 플레이트(9)의 상부에 장착되며, 그 원주면에 와이어(W)가 감겨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러(11)는 보빈(1)으로부터 공급된 와이어(W)를 공급롤러(4)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 1가이드부재(13)는 상기 가이드롤러(11)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 1가이드부재(13)는 일측에 제 1안내홀(h1)이 형성되며, 제 1안내홀(h1)을 통하여 와이어(W)가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안내홀(h1)을 통과한 와이어(W)는 가이드롤러(11)로 일정하게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가이드부재(13)의 밑면에는 제 1절단방지부재(14)가 구비된다. 제 1절단방지부재(14)는 고리형상을 가지며 제 1안내홀(h1)과 유통된다. 또한, 제 1절단방지부재(14)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와이어(W)가 접촉되어 절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안내홀(h1)을 통과하는 와이어(W)가 선형궤적을 벗어나 측방으로 유동되는 경우, 와이어(W)가 제 1절단방지부재(14)의 제 1안내홀(h1) 테두리에 직접 접촉되어 절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텐션부재(15)는 지지 플레이트(9)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바(17)와, 이 회전바(17)의 일측(32)을 상향으로 탄력적으로 당기는 탄성부재(21)와, 상기 회전바(17)의 타측(33)이 하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S)와, 회전바(17)의 타측(33)에 구비되어 와이어(W)가 통과하는 제 2가이드부재(19)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바(17)는 지지 플레이트(9)상에 힌지핀(2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이 회전바(17)는 스토퍼(S)에 의하여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1)는 상부(27)는 지지 플레이트(9)상에 고정된 브래킷(25)에 연결되고, 하부(29)는 상기 회전바(17)의 일측(32)에 돌출된 걸림핀(3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21)는 회전바(17)의 일측(32)을 상향으로 당기게 됨으로써 회전바(17)의 타측(33)은 하부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가이드부재(19)에는 제 2안내홀(h2)이 형성되며, 제 2안내 홀(h2)을 통하여 와이어(W)가 통과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안내홀(h2)을 통과한 와이어(W)는 제 1가이드부재(13)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W)가 상기 제 2안내홀(h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와이어(W)에 장력이 발생되는 경우, 와이어(W)는 장력에 의하여 선형 궤적에서 이탈하여 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W)의 장력이 제 2가이드부재(19)에 전달되고, 전달된 장력에 의하여 제 2가이드부재(19)가 상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 2가이드 부재(19)가 고정된 상기 회전바(17)는 그 일측(32)이 탄성부재(21)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향으로 당겨진 상태이다.
따라서, 와이어(W)에 의하여 상기 제 2가이드부재(19)를 상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상기 탄성부재(21)의 탄성력에 흡수됨으로써 상기 제 2가이드부재(19)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여 와이어(W)가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가이드부재(19)의 밑면에는 제 2절단방지부재(16)가 구비된다. 제 2절단방지부재(16)는 고리형상을 가지며 제 2안내홀(h2)과 유통된다. 또한, 제 2절단방지부재(16)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와이어(W)가 접촉되어 절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안내홀(h2)을 통과하는 와이어(W)가 선형궤적을 벗어나 측방으로 유동되는 경우, 와이어(W)가 제 2절단방지부재(16)의 제 2안내홀(h2) 테두리에 직접 접촉되어 절단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회전바(17)가 와이어(W)의 장력을 흡수하면서 시계 방향으로 회 전하는 경우, 일정 회전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회전바(17)에 의한 장력 흡수가 한계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18)가 회전바(17)의 회전 궤적을 감지하여, 한계에 도달하면, 신호를 제어부(C)에 전달함으로써 공급롤러(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감지부(18)는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된 감지센서(20)와, 이 감지센서(2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바(17)의 소정 거리 상부에 위치되는 접촉단자(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바(17)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일정 범위 이상으로 회전한 경우, 상기 회전바(17)는 상기 접촉단자(22)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바(17)와 접촉단자(22)가 접촉하는 경우, 상기 감지센서(2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C)에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C)는 이러한 감지센서(20)의 신호를 접수한 후, 공급롤러(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와이어(W)는 추가적인 장력의 발생이 방지됨으로써, 와이어(W)가 절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Claims (7)

  1. 와이어가 감겨져 풀어지는 보빈;
    상기 와이어를 와이어 가공기로 일정 길이씩 공급하는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와 보빈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선형을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공급롤러의 당김에 의하여 상기 보빈으로부터 풀어지는 와이어가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선형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유지부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인접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에 장력이 걸리는 경우, 탄성력에 의하여 장력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텐션부재;
    상기 가이드롤러와 텐션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며, 제 1안내홀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롤러로 인입되는 와이어가 상기 제 1안내홀에 의하여 안내되는 제 1가이드 부재;
    상기 텐션부재의 회전반경을 감지하여 일정 범위 이상인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 그리고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텐션부재의 회전반경이 일정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공급롤러를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텐션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일측을 상향으로 탄력적으로 당기는 탄성부재와, 상기 회전바의 타측이 하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회전바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제 2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그 사이에 상기 와이어가 진입되 는 한 쌍의 롤러와, 상기 한 쌍의 롤러를 일정 각도씩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상에 고정된 브래킷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바의 일측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회전바의 일측을 상향으로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이드부재는 일측에는 제 2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안내홀의 하부에는 와이어 절단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바에 접촉가능한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
KR1020080088016A 2008-09-08 2008-09-08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 KR100988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016A KR100988369B1 (ko) 2008-09-08 2008-09-08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016A KR100988369B1 (ko) 2008-09-08 2008-09-08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291A KR20100029291A (ko) 2010-03-17
KR100988369B1 true KR100988369B1 (ko) 2010-10-18

Family

ID=4217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016A KR100988369B1 (ko) 2008-09-08 2008-09-08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380B1 (ko) * 2021-09-10 2024-01-08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1032A (ja) * 1995-11-29 1997-06-10 Yazaki Corp 電線の異常張力検知装置
JP2003201063A (ja) * 2002-01-07 2003-07-15 Sanken Electric Co Ltd 長手物体の移送装置
KR100832366B1 (ko) 2007-05-31 2008-05-26 (주)티에이치엔 전선 공급용 텐션 유지장치
KR20090132845A (ko) * 2008-06-23 2009-12-31 (주)티에이치엔 전선 공급용 장력 유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1032A (ja) * 1995-11-29 1997-06-10 Yazaki Corp 電線の異常張力検知装置
JP2003201063A (ja) * 2002-01-07 2003-07-15 Sanken Electric Co Ltd 長手物体の移送装置
KR100832366B1 (ko) 2007-05-31 2008-05-26 (주)티에이치엔 전선 공급용 텐션 유지장치
KR20090132845A (ko) * 2008-06-23 2009-12-31 (주)티에이치엔 전선 공급용 장력 유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291A (ko)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281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무대장치용 구동기기
KR101380577B1 (ko) 와이어 테이핑 장치
KR100988369B1 (ko)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
KR100988371B1 (ko) 전선 공급용 장력 유지장치
JP6404880B2 (ja) ツイスト線製造装置
JP2006306508A (ja) テーピング装置
JP3705359B2 (ja) 断線検知装置
KR100988367B1 (ko) 전선 공급용 장력 유지장치
TWI585256B (zh) 用於喂紗至紡織機之喂紗裝置
JPH0326421A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
KR101490633B1 (ko) 루퍼 장치
KR910003887B1 (ko) 방직기, 특히 편물기용 실저장·공급장치
JP2015182185A (ja) 電線ケーブル測長および電線ケーブルカット装置
JP2006248779A (ja) 線条物リール装置
CN210064674U (zh) 一种码布机的调速装置
CN219259132U (zh) 一种新型纱线输纱器
CN110690015A (zh) 绕包机断带监测装置
KR200317682Y1 (ko) 사료공급용 컨베어체인의 구동장치
KR100704556B1 (ko) 와인더기에 있어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
CN211017706U (zh) 一种端子机的进线装置
CN217102544U (zh) 一种放线张紧度感应装置及缆绳收放总成
KR20100120862A (ko) 권취장치
JP2684779B2 (ja) 糸半田自動送り装置
CN210085713U (zh) 一种经编机的放卷装置
JP2975908B2 (ja) 巻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