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556B1 - 와인더기에 있어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 - Google Patents

와인더기에 있어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556B1
KR100704556B1 KR1020060011392A KR20060011392A KR100704556B1 KR 100704556 B1 KR100704556 B1 KR 100704556B1 KR 1020060011392 A KR1020060011392 A KR 1020060011392A KR 20060011392 A KR20060011392 A KR 20060011392A KR 100704556 B1 KR100704556 B1 KR 100704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thread
tension bar
feed roll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호
김환국
Original Assignee
권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호 filed Critical 권영호
Priority to KR1020060011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5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36Floating elements compensating for irregularities in supply or take-up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02Stationary rods or plates

Landscapes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인더기에 있어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을 용도에 맞는 보빈으로 옮겨 감는 과정에서 실을 이송할 때 실에 장력을 균일하게 하고 또 실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된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는 스프링(5)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편(7)과 구멍(8)을 갖는 메인프레임(2)을 형성하고 텐션바(3)를 구비한 텐션바프레임(4)을 마련하여 상호 결합한 후, 스프링(5)을 텐션바프레임(4)에 고정하고 스프링(5)의 양단은 지지편(7)에 핀(11)으로 고정하여 텐션바와 텐션바프레임이 스프링에 탄성작용을 받을 수 있게 하여서 된 텐션장치를 와인더기의 본체 전면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피드롤러에서 수평으로 인근위치에 형성된 구멍으로 텐션바프레임의 일부와 텐션바를 돌출시켜 구성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피드롤러장치는 원동피드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하부보빈에 있는 실이 상부보빈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하부보빈에 실이 풀려지는 위치에 따라서 속도가 다르거나 실의 매듭 등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원활하게 풀려지지 않을 때 발생하는 인장력에도 실이 늘어짐 현상과 절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력에 약한 사종을 가공하기 위한 와인딩작업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고, 또 구조적으로 매우 간편하여 와인더의 원가와 유지관리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텐션장치, 메인프레임, 텐션바, 텐션바프레임, 스프링, 원형돌출부, 와인더기.

Description

와인더기에 있어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Tension control does possible fid roller device in wind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텐션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종래 피드롤러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텐션장치
2: 메인프레임
3: 텐션바
4: 텐션바프레임
5: 스프링
6: 스프링공
7: 지지편
8: 구멍
10: 원형돌출부
11: 핀
본 발명은 와인더기에 있어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을 용도에 맞는 보빈으로 옮겨 감는 과정에서 실을 이송할 때 실에 장력을 균일하게 하고 또 실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된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직물지를 제직하기 위한 실은 여러 단계의 가공을 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실의 가공용도에 따라 적절한 보빈으로 권취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종래 상기와 같은 작업을 하기 위한 와인더기들 중에는 와인더기 하부에 있는 보빈에 실을 상부 스핀들에 설치되어 있는 보빈으로 권취하면서 적당한 장력을 유지시켜주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 이러한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 보빈에 있는 실을 상부 보빈쪽으로 이송시키는 피드롤러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피드롤러장치의 예를 도 5에서와 같이 살펴보면, 와인더기의 하부에 있는 보빈 윗쪽에 실이 이송되는 길목에 모터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원동피드롤러(40)와 피동피드롤러(4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피드롤러장치(42)는 하부에 있는 보빈(43)에 실(45)을 상부 스 핀들(46)에 설치되어 있는 보빈(44)에서 권취하는 만큼 강제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피드롤러장치는 실이 원동피드롤러(40)와 피동피드롤러(41)를 경유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피드롤러들의 회전속도의 가변에 의해서 실이 고속 또는 저속으로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피드롤러장치(42)는 원동피드롤러(40)의 회전속도와 피동되는 피동피드롤러(41)가 같은 속도를 가지고 회전하는 기능이 전부이다.
그렇기 때문에 하부 보빈에 있는 실을 상부 스핀들에 설치되어 있는 보빈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이 전부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피드롤러장치는 실에 장력을 조절하는 것과 출렁이는 것을 해결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원동 및 피동피드롤러의 회전속도와 하부 보빈에 있는 실이 풀려지는 속도가 맞지 않을 때 즉, 하부 보빈에서 실이 풀려지면서 매듭 등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원활하게 풀려지지 않을 때 실이 늘어짐 현상을 유발시키거나 또는 절사되는 단점이 있어, 특히 장력에 약한 사종을 가공하기 위한 와인딩작업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에 있는 보빈의 실을 상부 스핀들에 설치된 보빈으로 권취하기 위하여 실을 원동 피드롤러의 작용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실에 미치는 장력이 가변하는 경우에도 가변하는 장력에 매우 예민하게 대응하면서 상부 보빈으로 실을 이송하여 실이 원만하게 권취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에 있어서도 그 구조를 매우 간편하게 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유지관리시에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를 제공하는데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인더기에 있어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는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편을 갖는 메인프레임과 텐션바를 구비한 텐션바프레임을 스프링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을 갖는 텐션장치를 와인더기의 본체 전면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피드롤러에서 수평으로 인근위치에 형성된 홈으로 텐션바를 돌출시켜 구성한 것으로서,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텐션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종래 피드롤러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와인더기에 있어,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는 모터장치(20)와 연결되어 회전토록 구성된 기존의 원동피드롤러(2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 상기 원동피드롤러(21)에서 수평으로 인근한 위치에 텐션장치(1)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텐션장치(1)는 메인프레임(2)과, 텐션바(3)를 구비한 텐션바프레임(4), 그리고 이들을 탄력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프링(5)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프레임(2)은 양쪽에 스프링을 연결할 수 있도록 스프링공(6)이 마련된 지지편(7)이 형성되고, 가운데에 텐션바프레임이 관통/설치되도록 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2)의 가운데 형성된 구멍(8)에는 텐션바(3)가 구비된 텐션바프레임(4)을 관통/설치하고 텐션바프레임(4)의 후단부에 스프링(5)을 관통시켜 스프링(5)과 텐션바프레임(4)이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편(9)으로 결합하고, 스프링(5)의 양단은 메인프레임(2)의 양쪽 지지편(7)에 형성된 스프링공(6)에 끼워서 핀(11)으로 스프링(5)의 양단을 고정하였고, 텐션바(3)는 실이 이송될 때 텐션바(3)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가늘게 구성하고 단부에는 원형돌출부(10)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60은 상부보빈, 70은 하부보빈, 80은 스핀들, 90은 트레버스캠,100은 실을 표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와인더기에 있어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부보빈(70)에 있는 실(100)을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동피드롤러(21)와 텐션바(3)를 경유시킨 다음, 트레버스캠(90)과 스핀들(80)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보빈(60)에 연결하여 와인더기를 작동시켜주면, 실(100)이 상부보빈(60)에 권취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원동피드롤러(21)가 모터장치(2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을 하여 하부보빈(70)에 있는 실(100)이 원동피드롤러(21)와 텐션바(3)를 거쳐 강제적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하부보빈(70)에서 풀려지는 실(100)이 정상적으로 풀려지면 텐션바(3)가 정위치에서 약간씩 움직이면서 실의 장력을 조절하게 되고, 스프링(5)도 정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나 실의 매듭이나 기타 나쁜 조건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실이 원만하게 풀려지지 않으면 텐션바(3)가 원동피드롤러(21)쪽으로 당겨짐으로써 상호 간격을 좁혀주는 작용을 텐션바(3)가 하게 되므로 실이 단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이때에는 스프링(5)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당겨지면서 텐션바(3)에 탄성을 주게 되고, 다시 실이 정상적으로 풀려지면 텐션바(3)가 스프링(5)의 탄성에 의해서 정위치에 복귀하는 작용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텐션바(3)가 원동피드롤러(21)쪽으로 당겨져도 실(100)이 텐션바(3)를 이탈하지 않게 되는 것은 텐션바(3)가 끝단으로 갈수록 가늘게 형성되어 있고, 실은 이동할 때 굵은쪽(지름이 큰쪽)으로 올라가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가능한 실이 텐션바를 이탈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혹 텐션바(3)가 심하게 당겨지는 경우에는 단부에 형성된 원형돌출부(10)에 걸려서 실이 텐션바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텐션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텐션바(3)가 실(100)이 풀려지는 조건에 따라 예민하게 움직이는 것은 메인프레임(2)의 양쪽에 형성된 지지편(7)과 텐션바프레임(4)이 스프링(5)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피드롤러장치는 원동피드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하부보빈에 있는 실이 상부보빈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하부보빈에 실이 풀려지는 위치에 따라서 속도가 다르거나 실의 매듭 등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원활하게 풀려지지 않을 때 발생하는 인장력에도 실이 늘어짐 현상과 절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력에 약한 사종을 가공하기 위한 와인딩작업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고, 또 구조적으로 매우 간편하여 와인더의 원가와 유지관리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는 모터장치(20)와 연결되어 회전토록 구성된 기존의 원동피드롤러(21)를 포함하고, 원동피드롤러(21)에서 수평으로 인근한 위치에 텐션장치(1)를 설치구성되며,
    상기 텐션장치(1)는 양쪽에 스프링을 연결할 수 있도록 스프링공(6)이 마련된 지지편(7)이 형성되고 가운데에 텐션바프레임이 관통/설치되도록 구멍(8)이 형성된 메인프레임(2)과, 텐션바(3)가 구비된 텐션바프레임(4)을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구멍(8)에 설치하고 텐션바프레임(4)의 후단부에 스프링(4)을 관통시켜 스프링(5)과 텐션바프레임(4)이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편(9)으로 결합하고 스프링(5)의 양단은 메인프레임(2)의 양쪽 지지편(7)에 형성된 스프링공(6)에 끼워서 핀(11)으로 고정하며,
    상기 텐션바(3)는 실이 이송될 때 텐션바(3)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가늘게 구성되고 단부에는 원형돌출부(10)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더기에 있어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
KR1020060011392A 2006-02-07 2006-02-07 와인더기에 있어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 KR100704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392A KR100704556B1 (ko) 2006-02-07 2006-02-07 와인더기에 있어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392A KR100704556B1 (ko) 2006-02-07 2006-02-07 와인더기에 있어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4556B1 true KR100704556B1 (ko) 2007-04-06

Family

ID=3816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392A KR100704556B1 (ko) 2006-02-07 2006-02-07 와인더기에 있어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5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2721A (zh) * 2022-04-22 2022-08-23 杭州特种纸业有限公司 一种用于钢纸生产的胶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454A (ja) * 1992-11-30 1994-06-14 Victor Co Of Japan Ltd 帯状体又は線状体の張力制御装置
JPH0741253A (ja) * 1993-07-30 1995-02-10 Suzuki Motor Corp ケーブル張力検出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ケーブル用適正張力設定装置
JPH07309533A (ja) * 1994-05-13 1995-11-28 Ogura Clutch Co Ltd 張力調整装置の制御回路並びに該装置の電磁ヒステリシスブレーキ
KR100641681B1 (ko) 2005-04-25 2006-11-03 권영호 와인더의 권취장력 조절방법 및 조절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454A (ja) * 1992-11-30 1994-06-14 Victor Co Of Japan Ltd 帯状体又は線状体の張力制御装置
JPH0741253A (ja) * 1993-07-30 1995-02-10 Suzuki Motor Corp ケーブル張力検出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ケーブル用適正張力設定装置
JPH07309533A (ja) * 1994-05-13 1995-11-28 Ogura Clutch Co Ltd 張力調整装置の制御回路並びに該装置の電磁ヒステリシスブレーキ
KR100641681B1 (ko) 2005-04-25 2006-11-03 권영호 와인더의 권취장력 조절방법 및 조절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2721A (zh) * 2022-04-22 2022-08-23 杭州特种纸业有限公司 一种用于钢纸生产的胶化装置
CN114932721B (zh) * 2022-04-22 2023-12-29 杭州特种纸业有限公司 一种用于钢纸生产的胶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17519B (zh) 络筒装置
CN105253713B (zh) 纱线卷绕机及纱线卷绕方法
EP2298971B1 (en) Spinning machine with yarn accumulating roller
KR100704556B1 (ko) 와인더기에 있어 텐션조절이 가능한 피드롤러장치
EP3865441B1 (en) Yarn winding machine
CN105297197A (zh) 纺织机及纺织方法
CN106477388A (zh) 一种整经筒子架的纱线张力调节装置
JPH11152652A (ja) ジェット織機の緯糸切断糸の処理装置
TWI585256B (zh) 用於喂紗至紡織機之喂紗裝置
KR100871902B1 (ko) 가변 메인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정경 장치
EP3025996B1 (en) Yarn winding machine with a yarn joining device, and yarn joining method
KR20180006687A (ko) 원사 분리용 분사 정경시스템
KR20060111745A (ko) 와인더의 권취장력 조절방법
BE1008376A3 (nl) Weefmachine met afvallint.
CN114318699B (zh) 盘带绣收放绳装置和控制方法
KR910003887B1 (ko) 방직기, 특히 편물기용 실저장·공급장치
KR102146632B1 (ko) 정경기용 원사의 장력감지장치
SK285713B6 (sk) Zariadenie na rozrezávanie káblov vytvorených z termoplastických vlákien a spôsob jeho činnosti
KR102021582B1 (ko) 정경기 및 정경방법
KR20180000208U (ko) 분사 정경시스템용 장력조절장치
CN210085713U (zh) 一种经编机的放卷装置
KR200265202Y1 (ko) 스판덱스 원사 자동 분리장치
EP1036867B1 (en) Apparatus for assisting the return of threads into respective presentation channels within warpers which carry out thread-by-thread warping
CN210506661U (zh) 一种整经机上的张力调整装置
KR200176901Y1 (ko) 낚시줄 권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