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227B1 - 정보 처리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227B1
KR100986227B1 KR1020057003835A KR20057003835A KR100986227B1 KR 100986227 B1 KR100986227 B1 KR 100986227B1 KR 1020057003835 A KR1020057003835 A KR 1020057003835A KR 20057003835 A KR20057003835 A KR 20057003835A KR 100986227 B1 KR100986227 B1 KR 100986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dvd
chapt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7218A (ko
Inventor
마코토 우루시하라
게이스케 히로이
히데유키 아가타
다카시 오쿠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57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포맷으로 제1 기록 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2 포맷으로 제2 기록 매체에 기록시킬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사용자의 수동 조작의 개입없이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정보처리장치는 지금 소정의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된 프레임의 기록시각이 그 프레임 직전에,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된 프레임의 기록 시각보다 오래된 시각으로 판정된 경우(스텝 S89), 또는 일정시간 동안, 재생장치에 의해 미기록 영역이 재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90),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을 중지하고 (스텝 S92),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을 정지시킨다(스텝 S93). 본 발명은 디지털 카셋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키는 정보처리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정보 처리 장치, 컨텐츠 데이터, 퍼스널 컴퓨터, 기록매체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제1 포맷으로 제1 기록 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2 포맷으로 제2 기록 매체에 기록시킬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사용자의 수동 조작의 개입없이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이하, 적절히 PC라고도 기술함), 및,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적절히 DV라고도 기술함)의 보급이 진행되어,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이 DV를 사용하여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PC에 읽어들여, DVD(Digital Versatile Disc)에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 DV로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를, DV로부터 PC에 입력하는 작업과 그 오소링(authoring) 작업(예를 들면, 읽어들인 비디오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키는 작업)은, 각각 다른 프로세스로 되어 있고, 그러므로, 사용자는, DV로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키는 경우, 복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며, 또한, 많은 작업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는, DV로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키는 경우, DV로부터, DV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PC에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웨어 프로그 램( 그리고,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웨어 프로그램을, 이하,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 이라고 칭한다)을 PC 상에 수동으로 기동시켜,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으로 정해진 조작(수동 조작)을 행하고, DV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PC에 읽어들이게 하고, DV 포맷인 채로, 예를 들면, PC 내의 하드 디스크에 기억시킨다.
그 후, 사용자는,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을 수동으로 종료하고 하드 디스크에 기억된 비디오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키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웨어 프로그램(이하,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 웨어 프로그램을, DVD 기록 프로그램 이라고 칭함)을 PC 상에 수동으로 기동시켜, DVD 기록 프로그램으로 정해진 조작(수동 조작)을 행하여, 하드 디스크에 기억되어 있는 비디오 데이터의 포맷을, DV 포맷에서 DVD 포맷으로 변환시킨 후, DVD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켜, 그것이 종료되면, DVD 기록 프로그램을 수동으로 정지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PC를 사용하여, DV로 기록한 비디오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키는 경우, 복수의 수동 조작에 따른 복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여, 또한, 그에 따라, 많은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데이처 취득 프로그램으로서는, 예를 들면, 「DVgate(디 브이 게이트)」상품 설명, [online], 소니 드라이브 홈 페이지, [2002년 8월 30일 검색], 인터넷, <URL : http: //www.sony.jp/products/Consumer/PCOM/Software_(02q)2/DVgate/index.html>이 개시되어 있다.
또, 종래의 DVD 기록 프로그램으로서는, 예를 들면, 「Simple DVD Maker」상 품 설명, [online], 소니 드라이브 홈 페이지 「Simple DVD Maker」의 설명, [2002년 8월 30일 검색], 인터넷, <URL : http: //www.sony.jp/products/Consumer/PCOM/Fun/DVD-RW/>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제1 포맷으로 제1 기록 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2 포맷으로 제2 기록 매체에 기록시킬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사용자의 수동 조작 개입없이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포맷으로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와 접속하는 접속 수단과, 접속 수단에 접속된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과,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컨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제1 포맷에서 제2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변환 수단에 의해 제2 포맷으로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착탈(着脫) 가능한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과, 재생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접속 수단에 재생 장치가 접속되고, 또한, 재생 장치에 의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검출 수단에 의해 신호가 검출되었을 경우,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 변환 수단, 및, 기록 제어 수단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 하여, 그 순번으로 연속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처리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속 수단에 접속된 재생 장치에 의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제어 수단과, 재생 제어 수단에 의해 재생이 제어된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컨텐츠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은, 재생 제어 수단에 의해 재생이 제어된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고, 기록 제어 수단은,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컨텐츠 데이터의 시간 정보에 따라, 제2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고, 처리 제어 수단은, 검출 수단에 의해 신호가 검출되었을 경우, 정보 취득 수단의 처리를, 전술한 일련의 처리 중의 하나의 처리로 해서, 기록 제어 수단의 처리 전에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재생 장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며, 제1 포맷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포맷이며,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컨텐츠 데이터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고, 재생 제어 수단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 빨리 감기, 및, 되감기 처리, 및 그러한 처리의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는, 동화상, 및 그 동화상에 대응하는 음성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이며,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컨텐츠 데이터의 시간 정보에 따라, 기록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기록 매체에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의 동화상의 화질 및 화상 사이즈, 및 음성의 음질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기록 제어 수단은,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동화상의 화질, 및, 화상 사이즈, 및, 음성의 음질로,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고, 처리 제어 수단은, 검출 수단에 의해 신호가 검출되었을 경우, 결정 수단의 처리를, 전술한 일련의 처리 중의 하나의 처리로 해서, 정보 취득 수단의 처리 후이면서, 또한, 기록 제어 수단의 처리 전에 실행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포맷은, DVD 규격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포맷이며,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컨텐츠 데이터의 시간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컨텐츠 데이터의 DVD 메뉴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기록 제어 수단은,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DVD 메뉴에 따라, 제2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고, 처리 제어 수단은, 검출 수단에 의해 신호가 검출되었을 경우, 생성 수단의 처리를, 전술한 일련의 처리 중의 하나의 처리로 해서, 정보 취득 수단의 처리 후이면서, 또한, 기록 제어 수단의 처리 전에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소정의 조건을 트리거(trigger)로 해서, 소정의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된 제1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컨텐츠 데이터 취득 스텝과, 컨텐츠 데이터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컨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제1 포맷에서 제2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 스텝과, 변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제2 포맷으로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컴퓨터로부터 착탈(着脫)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일련의 처리로 하여, 그 순번으로 연속하여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컴퓨터에 재생 장치가 접속되고, 또한, 재생 장치에 의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 소정의 심볼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표시 제어 스텝 처리에 의해 표시가 제어된 심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진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텝을 또한 실행시켜, 검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심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고 검출될 경우, 그것을 트리거(trigger)로해서, 컴퓨터에, 컨텐츠 데이터 취득 스텝, 변환 스텝, 및, 기록 제어 스텝을, 일련의 처리로 하여, 그 순번으로 연속하여 실행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소정의 재생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재생 장치가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고, 또한, 재생 장치에 의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신호가 검출되면, 그것이 트리거(trigger)가 되어,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된 제1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가 정보 처리 장치 내에 취득되어, 취득된 컨텐츠 데이터의 포맷이, 제1 포맷에서 제2 포맷으로 변환되고, 제2 포맷으로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가,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착탈(着脫)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때까지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 하여, 그 순번으로 연속하여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재생 장치와 유선으로 접속되어도 되고, 무선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 자체에 내장된 드라이브에 장착된 기록 매체의 기록 제어를 행해도 되고, 외부의 드라이브 장치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되어, 외부의 드라이브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외부의 드라이브 장치에 장착된 기록 매체의 기록 제어를 행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물론,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도 적용 가능하고,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 중에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 중에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퍼스널 컴퓨터가 가지는 소프트 웨어의 하나인,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의 처리예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6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조사 내용의 예(테이프의 기록 조사 내용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데이터 취득/DVD 기록 처리 중에서, 비트 레이트 설정 처리의 상세 예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8은, DVD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총계 시간과 비트 레이트와의 관계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DVD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총계 시간과 DVD에 기록한 경우의 용량의 관계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 중에서, 취득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5의 데이터 취득/DVD 기록 처리 중에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의 상세 예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2는, 도 10의 취득부 중에서) 분할 취득부의 구체적인 처리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취득부 중에서 분할 취득부의 구체적인 처리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0의 취득부 중에서 분할 취득부의 구체적인 처리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0의 취득부 중에서 분할 취득부의 구체적인 처리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0의 취득부 중에서 분할 취득부의 구체적인 처리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1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의 취득 처리 중에서, 자동 취득 처리의 상세 예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8은, 도 11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 중에서, 자동 취득 처리의 상세 예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9는, 도 5의 데이터 취득/DVD 기록 처리 중의, 챕터(chapter)의 등록 처리의 상세 예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20은, 도 19의 챕터 등록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9의 챕터 등록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9의 챕터 등록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정보 처리 시스템(1)에는, 접속선(15)에 의해 서로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11)(이하, PC(11)라고 기술함), 및,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2)(이하, DV(12)라고 기술함)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선(15)은, 유선이나 무선이라도 관계없고, 그 실시예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i.LINK(상표)의 전용 케이블이 된다. 즉, 이 예 에서는, 예를 들면, PC(11)와 DV(12)는, i.LINK에 의해 접속된다. i.LINK는, 본원 출원인인 소니 주식회사의 상표이며,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의 고속 디지털 시리얼 인터페이스이다. 따라서, PC(11)와 DV(12)는 각각, IEEE1394의 규격에 준거하는 데이터(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한다.
DV(12)는, DV(12) 자체, 또는, 다른 DV에 의해 소정의 비디오 데이터가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가 장착된 경우, PC(11)의 제어(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에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고, 그것을 재생 비디오 신호로서, 케이블(15)을 통하여 PC(11)에 송신한다.
PC(11)는, DV(12)로부터 접속선(15)를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재생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재생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포맷을, DV 포맷에서 DVD(Digital Versatile Disc) 포맷(예를 들면,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포맷)으로 변환시켜, PC(11)에 장착된 DVD(14)에 기록한다. 그리고, 여기서는, DVD-R, DVD-RW, DVD+R, DVD+RW, 및, DVD-RAM를 모두 일괄하여, DVD(14)라고 한다.
도 2는, PC(11)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PC(11)에 있어서, 에를 들면, CPU(21)는 인텔(Intel)사 제의 펜티엄(등록상표)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되며, 프론트 사이드 버스(FSB)(54)에 접속되어 있다. FSB54에는 또한, 노스 브리지(Northbridge)(23)가 접속되어 있고, 노스 브리지(23)는, AGP(Accelerated Graphics Port)(55)를 포함하고 있는 동시에, 허브 인터 페이스(53)에 접속되어 있다.
노스 브리지(23)는, 예를 들면, 인텔사 제의 AGP Host Bridge Controller인440BX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CPU(21) 및 메모리(22)를 제어한다. 메모리(22)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캐시 기억 장치(모두 도시하지 않음)로서 구성되어 있다.
RAM은, 예를 들면, DRAM(Dynamic RAM)으로 구성되며, CPU(2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CPU(21)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RAM은, 기동 완료 시점에 있어서, HDD(34)로부터 로드된 OS(Operating System)나 인터넷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OS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이른바 윈도우즈(등록상표) XP, 또는 애플 컴퓨터사의 이른바 Mac OS(등록상표) 등에 대표되는, 컴퓨터의 기본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다.
캐시 기억 장치는, SRAM(Static RAM) 등 RAM와 비교하여, 보다 고속으로 기록 또는 판독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로 구성되며, CPU(21)가 사용하는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CPU(21)는, 그 내부에 1차적인, 캐시 기억 장치와 비교하여, 보다 고속으로 동작할 수 있고, CPU(21)자신이 제어하는 캐시를 가진다.
노스 브리지(23)는 또, AGP(55)를 통하여, 비디오 컨트롤러(24)를 제어한다. 비디오 컨트롤러(2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25) 또는 VGA(Video Graphics Array)방식의 디스플레이(이하, VGA(26)로 기술함)를 컨트롤한다.
비디오 컨트롤러(24)는, CPU(21)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를 수신하여, 수신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는, 수신한 데이터를 그대로 내장하는 비디오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시킨다. 비디오 컨트롤러(24)는, LCD(25) 또는 VGA(26)에, 비디오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시킨다. LCD(25) 또는 VGA(26)는, 비디오 컨트롤러(24)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기본으로, 화상 또는 문자 등을 표시한다.
노스 브리지(23)는 또한, 허브 인터페이스(53)을 통하여, 사우스 브리지(27)와도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우스 브리지(27)는, 인텔사 제의 PIIX4E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AC 링크 버스(56), USB 버스(57), 또는, IDE 버스(58)에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제어 등, 각종 I/O(Input / Output)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AC링크 버스(56)에는, 모뎀(28) 및 음성 입출력부(29)가 접속되어 있다. 모뎀(28)은, 공중 회선망에 접속되어 있고, 공중 회선망 또는 인터넷(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개입시키는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음성 입출력부(29)는, 마이크로폰(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음성을 수집하여, 그 음성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메모리(22)에 출력한다. 또 음성 입출력부(29)는,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고, 스피커에 음성을 출력시킨다.
사우스 브리지(27)의 USB 버스(57)에는, USB 커넥터(30)가 접속되고, 각종 USB 디바이스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USB 버스(57)을 통하여, 메모리-스틱 슬롯(31)으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부(33)가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스틱 슬롯(31)에는, 메모리-스틱(상표)(32)이 장착된다.
메모리-스틱(32)은, 본원 출원인인 소니 주식회사에 의해 개발된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일종이다. 이 메모리-스틱(32)는, 세로 21.5 × 가로 50 × 두께 2.8 [mm]의 소형 박형 형상의 플라스틱 케이스 내에 전기적으로 재기록(再記錄)이나 소거가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인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의 일종인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저장 한 것이며, 10 핀 단자를 통하여 화상이나 음성, 음악 등 각종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블루투스 통신부(33)는, 블루투스 규격에 의한 통신을 행한다.
사우스 브리지(27)의 IDE 버스(58)에는, HDD(34)가 접속되어 있다. 또, IDE 버스(58)에는, 이른바 IDE 디바이스로 불리우는, 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드라이브(35)나, DVD-R/RW 드라이브(36)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DVD-R/RW 드라이브(36)에는, 전술한 DVD(14)가 장착된다.
또, 사우스 브리지(27)에는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39),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51), 및, LPC(Low Pin Count) 버스(52)가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BIOS(39)는, PC(11)의 기본 동작 명령을 모아 놓은 프로그램 군이며, ROM(Read Only Memory)(도시하지 않음) 등에 기억되어 있다. 또, BIOS(39)는, OS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주변기기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LPC 버스(52)에는, I/O(Input/Output)인터페이스(37), 및 컨트롤러(38)가 접속되어 있다.
I/O인터페이스(37)에는, 패럴렐 단자(40)와 시리얼 단자(41)가 접속되어 있고, 각 단자에 접속된 기기와 데이터의 입출력을 한다.
컨트롤러(38)에는, 죠그 다이얼(42), 키보드(43) 및 마우스(44) 등의 입력 기기(입력 수단)가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러(38)는, 이들 입력 기기의 제어를 행하면서, 전원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제어도 행한다.
PCI 버스(51)에는, i.LINK(45)와 PC 카드 인터페이스(46)가 접속되어 있다. i.LINK(45)는, 전술한 바와 같이, CPU(21)로부터 공급된 신호(예를 들면, 후술하는 DV(12)의 재생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 등)를 전용 케이블(15)을 통하여 DV(12)에 공급함과 동시에, DV(12)로부터 케이블(15)을 통하여 공급되는 신호(예를 들면, 후술하는 재생 비디오 신호)를 CPU(21), 메모리(22), 또는 HDD(34)에 공급한다. PC 카드 인터페이스(46)는, 슬롯(47)에 접속된 기기(카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CPU(21) 또는 메모리(22)에 공급하면서, CPU(2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슬롯(47)에 접속되어 있는 카드에 출력한다.
슬롯(47)에는 필요에 따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라이브(48)가 접속된다. 이 경우, 드라이브(48)는, 슬롯(47) 및 PC 카드 인터페이스(46)을 통하여, PCI 버스(51)에 접속된다. 드라이브(48)는, 장착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식 기록 매체(49)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데이터를 메모리(22)에 공급한다. 또, CPU(21)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드라이브(48)에 장착되는 이동식 기록 매체(49)에 기억시킨다.
도 3은,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1) 중에서, DV(12)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DV(12)에는, 피사체를 동화상으로서 촬영하고, 그것을 화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71), CCD(71)가 촬영한 시점의, DV(12)의 주위의 음성을 취득하고, 그것을 음성 신호로서 출력하는 마이크로폰(72), CCD(71)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신호와, 마이크로폰(72)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를 합성하고, 그것을 기록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합성부(73), 비디오 신호 합성부(73)로부터 공급된 기록 비디오 신호를 A/D변환(Analog to Digital 변환)한 후, 인코드하고, 또한 변조하여 헤드(75)에 공급하고, 전술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에 기록시키는 동시에,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로부터 헤드(75)를 통하여 재생된 재생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 재생부(74) 및 헤드(75)가 형성되어 있다.
DV(12)에는 또, 비디오 신호 기록 재생부(74)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의 공급을 받아 이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하고, 이것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비디오 신호 기록 재생부(74)에 출력하는 것외에, 조작부(77)로부터의 조작 명령 신호나, PC(11)로부터 접속 케이블(15), 및, i.LINK(78)를 통하여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DV(12)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6) 및 버튼, 스위치,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 등에 의해 구성되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 조작이 이루어질 때, 그 입력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77)가 형성되어 있다.
DV(12)에는 또한, i.LINK(78), 비디오 신호 분리부(79), 스피커(80)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81)가 형성되어 있다.
i.LINK(78)는, 전술한 PC(11)의 i.LINK(45)(도 2)와 전용의 접속 케이블(15)을 통하여 접속되고, 비디오 신호 기록 재생부(74)로부터 공급된 재생 비디오 신호(디지털 신호)를, 케이블(15)을 통하여 PC(11)에 송신하는 동시에, PC(11)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를, 케이블(15)을 통하여 수신하고, 제어부(76)에 공급한다.
PC(11)가 송신하는 제어 신호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가 사용 가능하다.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제어 신호 중에서,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에서 적어도, 통상 속도에서의 재생, 통상 속도에 대하여 k 배속의 재생(k는, 1을 제외한 임의의 수치이며, 양수의 경우, 순 방향의 재생을 나타내고, 음수의 경우, 역 방향의 재생을 나타낸다) 및 빨리 감기, 되감기 및 테이프 동작(재생(K 배속의 재생 포함),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동작)의 정지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가 이용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재생(k 배속의 재생 포함하는),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의 제어 신호가 PC(11)로부터 케이블(15)을 통하여 송신되면, 제어부(76)는, 그것을 i.LINK(78)를 통하여 수신하고,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재생(k 배속의 재생 포함),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의 처리 중에서, 수신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다음에, 정지 제어 신호가 PC(11)로부터 케이블(15)을 통하여 송신되면, 제어부(76)는, 그것을 i.LINK(78)를 통하여 수신하고, DV(12)에 장착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3)에 대하 여 지금 실행하고 있는 처리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DV(12)는, i.LINK(78)를 통하여, PC(11)에 의해 원격 조작이 가능하다.
비디오 신호 분리부(79)는, 비디오 신호 기록 재생부(74)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의 재생 비디오 신호를 복조하고, 디코드하여, 또한 D/A(Digital to Analog)변환한 후, 음성 신호와 화상 신호로 분리하고, 음성 신호를 스피커(80)에 공급함과 동시에, 화상 신호를 LCD(81)에 공급한다. 스피커(80)는, 비디오 신호 분리부(79)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LCD(81)는, 비디오 신호 분리부(79)로부터 공급된 화상 신호를, 동화상으로 표시한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도 2의 PC(11)가 포함하고 있는 기능 중에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능, 즉,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에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이하, 기록 데이터라 칭함)를 취득하고,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된 DVD(14)에 기록하는처리를, 일련의 처리로 하여 연속하여(일괄하여) 실행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 웨어 프로그램(이하, 그와 같은 소프트 웨어 프로그램을,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라 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이 예의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에는, 기동부(101), 처리 제어부(102), DV 제어부(103), 조사부(104), 취득부(105),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 메뉴 작성부(107), DVD 기록부(108), DVD 포맷부(109), 및,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를 제외한 것, 즉, 기동부(101) 내 지 DVD 포맷부(109)는, 각각,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모듈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 복수개의 모듈은, 각각, 1개의 독립된 알고리즘을 가지며, 또한, 그 알고리즘에 따라 고유의 동작을 실행한다. 즉, 각 모듈은, CPU(21)(도 2)에 의해 적절하게 판독되고,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동부(101)는, DV(12)와의 접속 상태를 항상 감시하여, DV(12)가 PC(11)에 접속되고, 또한, DV(12)의 전원이 투입된 것을 검출하면,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 전체를 기동시킨다.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가 기동되면, 처리 제어부(102)가, 조사부(104) 내지 DVD 포맷부(109)의 각 처리를, 소정의 순번(여기서는, 도면 중, 처리 제어부(102)와 조사부(104) 내지 DVD 포맷부(109)와의 사이에 각각 그은 화살표 위에 기술되어 있는 번호의 순번)으로 순차적으로, 연속하여(일련의 처리로 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처음에, DVD 포맷부(109)가,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된 DVD(14)를 기록 가능한 상태로 하면, 조사부(104)가,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기록 내용을 조사하고,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가, 그 조사 결과에 따라, DVD(14)에 비디오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서 최적인 비트 레이트(화상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및, 음성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를 설정한다.
그리고, 취득부(105)가,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포맷을, DV 포맷에서 DVD 포맷으로 변환시켜, DVD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HDD(34)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계속해서, 메뉴 작성부(107)가, HDD(34)에 기억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DVD 메뉴를 작성하고, DVD 기록부(108)가, 작성된 DVD 메뉴에 따라, HDD(34)에 기억된 비디오 데이터를,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된 DVD(14)에 기록한다.
DV 제어부(103)는, 조사부(104)나 취득부(105)로부터의 처리 제어부(102)를 개입시키는 명령(요구)에 따라, 전술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DV(12)에 송신함으로써,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재생(k 배속 재생을 포함하는), 되감기, 또는 빨리 감기 등을 제어한다.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는, 예를 들면, 메모리(22)(도 2) 내에 구성되며, 조사부(104)에 의해 조사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내용이나,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에 의해 설정된 비트 레이트의 설정의 내용이 기억된다.
다음으로, 도 5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도 4의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에 있어서, 기동부(101)는, DV(12)(도 1)가, PC(11)(도 1)에 접속되고, 또한, 전원(도시하지 않음)이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에 있어서, DV(12)가, PC(11)에 접속되고, 또한, 전원이 투입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기동부(101)는, 그 처리를 스텝 S1로 되돌려,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기동부(101)는, DV(12)가, PC(11)에 접속되고, 또한, 전원(도시하지 않음)이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항상 감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지금, 도 3에 있어서, DV(12)의 i.LINK(78)와 PC(11)의 i.LINK(45)(도 2)가 케이블(15)을 통하여 접속되고, 또한, DV(12)의 전원이 투입되었다고 하면, DV(12)의 제어부(76)는, 미리 설정된 DV(12)를 나타내는 소정의 식별 번호를, i.LINK(78) 및 케이블(15)을 통하여, PC(11)에 송신한다.
즉, DV(12)의 전원이 투입 된 것은, 컨텐츠 데이터(디지털 비디오 데이터(13)의 기록 데이터)의 재생 가능을 나타내고, PC(11)에 접속되는 것은, PC(11)가, DV(12)에 의해 재생된 컨텐츠 데이터 취득이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 식별 번호는, PC(11)에 DV(12)가 케이블(15)을 통하여 접속되고, 또한, DV(12)에 의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라고도 할 수 있다.
그래서, 도 4에 있어서, 기동부(101)는, 이 식별 번호를, i.LINK(45)(도 2)를 통하여 수신하면, 도 5의 스텝 S1에 있어서, DV(12)가, PC(11)에 접속되고, 또한, 전원이 투입되었다고 판정하고, 그 처리를 스텝 S2로 진행한다.
처리가 스텝 S2로 진행되면, 처리 제어부(102)는, 후술하는 스텝 S2내지 S13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 하여 일괄하여(연속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한다. 환언하면, 사용자측에서 보면, 스텝 S2내지 S13의 처리가, 사용자의 수동 조작의 개재가 없고, 자동적, 순차적으로 실행되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의 개재가 없어도(도 2의 죠그 다이얼(42), 키보드(43), 또는, 마우스(44)등의 입력 기기로부터의 입력이 없어도), CPU(21)가 자기 자신의 판단으로(지금 실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자동적이라고 한다.
다만, 이 경우, 처리 제어부(102)의 처리(전술한 시켄스(sequence)제어)를 실행시키기 위한 트리거(trigger)가 필요하였다. 이 트리거(trigger)는, 특별히 한 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동부(101)의 검출(DV(12)가, PC(11)에 접속되고, 또한 전원이 투입된 것을 검출) 자체가 트리거(trigger)가 되어(스텝 S1의 처리에 있어서, 조건이 만족되어졌다고 판정되면), 즉시 스텝 S2의 처리가 개시되어도 된다. 혹은, 기동부(101)의 검출 후, 스텝 S2 이후의 처리의 실행을 명령하는 소프트 버튼(도시하지 않음)이 LCD(25)(도 2) 등에 표시되고, 그것을 인식한 사용자가, 마우스(44)(도 2) 등을 조작하고, 그 소프트 버튼을 선택한 경우(마우스(44)의 커서(도시하지 않음)를 소프트 버튼 위에 올려서, 마우스(44)의 좌측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클릭한 경우), 사용자의 클릭 조작(소프트 버튼의 선택 조작)이 트리거(trigger)가 되어, 스텝 S2의 처리가 개시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트리거(trigger)에 의해, 스텝 S2에 있어서, DVD 포맷부(109)는,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된 DVD(14)가 기록이 끝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에 있어서, DVD(14)가 기록이 끝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DVD 포맷부(109)는, 그 처리를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이에 비해, 스텝 S2에 있어서, DVD(14)가 기록이 끝난 상태 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DVD 포맷부(109)는, 스텝 S3에 있어서, DVD(14)의 기록 내용이 소거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DVD(14)의 기록 내용이 소거 불가능(가능하지 않음)이라고 판정된 경우, DVD 포맷부(109)는, 스텝 S4에 있어서, LCD(25)(도 2) 등에 DVD(14)의 교환을 재촉하는 메시지를 표시시켜, 그 처리를 스텝 S2로 되돌려,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기록 내용의 소거가 불가능한 DVD(14)가 DVD-R/RW 드라이브(36)로부터 빠져나와 새로운 DVD(14)가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되면, DVD 포맷부(109)는, 스텝 S2의 처리에서, 새로운 DVD(14)가 기록이 끝난 상태인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에 비해, 스텝 S3에 있어서, DVD(14)의 기록 내용이 소거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DVD 포맷부(109)는, 스텝 S5에 있어서, DVD(14)의 기록 내용을 소거한다.
이와 같이, DVD 포맷부(109)는, 스텝 S2내지 S5의 처리에서, DVD(14)의 상태를, 새로운 데이터가 기록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 DVD 포맷부(109)의 처리(스텝 S2내지 S5의 처리) 순번은, 도 5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DVD 기록부(108)의 처리(후술하는 스텝 S13의 처리)전까지 실행되면, 어느 순번이 되어도 상관없다.
스텝 S2의 처리에서, DVD(14)가 기록이 끝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 S5의 처리가 종료되었을 경우, 즉, DVD 포맷부(109)가 그 처리를 완료한 경우, 처리 제어부(102)는, 그에 계속해서, 조사부(104)의 처리를 실행시킨다.
즉, 조사부(104)는, 스텝 S6에 있어서,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되감기를 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사부(104)가, 처리 제어부(102)를 통하여 DV 제어부(103)에 ,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되감기를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이 요구를 받아, 「되감기」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i.LINK(45)(도 2)를 통하여 DV(12)에 송신한다.
도 3에 있어서, 송신된 제어 신호가, 케이블(15) 및 i.LINK(78)를 통하여 제어부(76)에 공급되면, 제어부(76)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되감기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도 4의 조사부(104)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선두까지 되감아졌다고 i.LINK(45)(도 2)를 통하여 검출하면, 도 5의 스텝 S7에 있어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내용을 조사한다.
스텝 S7의 처리에서 행하여지는 조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이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방법을 이용한다.
즉, 조사부(104)가, 처리 제어부(102)를 통하여 DV 제어부(103)에,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빠른 재생을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이 요구를 받아, 「k(k는, 1보다 큰 임의의 정수치) 배속의 재생」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i.LINK(45)(도 2)를 통하여 DV(12)에 송신한다.
도 3에 있어서, 송신된 제어 신호가, 케이블(15) 및 i.LINK(78)를 통하여 제어부(76)에 공급되면, 제어부(76)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를 k 배속으로 빠르게 재생 처리를 개시한다. 그리고, 비디오 신호 기록 재생부(74)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로부터 헤드(75)를 통하여 재생된 재생 비디오 신호를, i.LINK(78), 케이블(15)을 통하여 PC(11)에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k 배속의 빠른 재생의 경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에 기록된 모든 프레임이 재생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 매수의 프레임이 솎아져서 재생된다. 즉, 지금과 같은 경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에 기록된 모든 프레임 중에서, 소정 간격의 위치에 있는 프레임이 스캔되어, 스캔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 만이, 재생 비디오 신호로서, DV(12)로부터 PC(11)에 송신된다. 그리고,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포맷에서는, 1초동안에 30장의 화상이 기록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고, 이 화상을, 여기서는, 프레임 이라고한다.
그래서, 도 4의 조사부(104)는, 그 재생 비디오 신호(스캔된 프레임의 데이터)를, i.LINK(45)(도 2)를 통하여 취득하고, 또한, 취득한 프레임의 데이터 중에서, 그 프레임의 시간 정보를 취득한다.
즉, 프레임 데이터 중에는, 그 프레임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화상 및 음성 데이터)이외에, 예를 들면, 그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의 정보, 그 프레임의 촬영 시각(년, 월, 일, 시, 분, 및 초) 정보, 그 프레임이 녹화 개시점인 경우, 그것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녹화 개시점 정보라고 함)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도 3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부(77) 중의 녹화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눌러서, 촬영을 개시한 시점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위치(점)를, 녹화 개시점 이라고한다. 또, 녹화 개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하나 전의 프레임을, 여기서는, 편의상, 녹화 종료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이라고 한다. 즉, 녹화 종료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에는, 녹화 종료점 정보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도 4의 조사부(104)는, 그와 같은, 프레임(다만, 스캔된 프레임)의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시간 정보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 록 내용을 조사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사부(104)는, 녹화 개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검출하면, 그 프레임의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그 다음에, 녹화 종료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검출하면, 그 프레임의 시간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조사부(104)는, 지금 검출한, 녹화 개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부터, 녹화 종료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까지를 1개의 녹화 구간으로 인식하고, 그 녹화 구간의 시간 정보를 생성한다. 즉, 그 녹화 구간의 개시 시각(년, 월, 일, 시, 분, 및, 초), 종료 시각(년, 월, 일, 시, 분, 및, 초), 및 그 녹화 구간의 길이(시간)를 포함하는 녹화 구간의 시간 정보가 생성된다.
그런데, DVD(14)는, 일반적으로, 총 녹화 데이터가, 미리 복수개의 녹화 구간으로 구분되어 있어 소정의 조작이 행해지면 임의의 녹화 구간의 선두부터 재생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DVD(14)의 녹화 구간을, 일반적으로, 챕터(chapter)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PC(11)에 받아들여진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녹화 데이터가, DVD(14)에 기록되는 경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녹화 데이터 중에서, 소정의 녹화 개시점으로부터 다음 녹화 종료점까지의 하나의 녹화 구간이, 1개의 DVD(14) 챕터로서 취급된다. 따라서, 이하, 그와 같은, 녹화 개시점으로부터 녹화 종료점까지의 녹화 구간을, DVD(14)에 기록되기 전에 있어서도, 챕터라고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지금과 같은 경우, 조사부(104)가 조사 가능한 프레임(실제로 취득하는 프레임)은, 스캔된 프레임 만이며, 녹화 개시점이나 녹화 종 료점을 포함하는 프레임이 스캔된다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조사부(104)는, 지금 취득한 제1 프레임의 촬영 시각과 직전에 취득한 제2 프레임의 촬영 시각을 비교하고, 소정 시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제1과 제2 프레임은, 각각 상이한 챕터의 프레임으로서 인식한다. 즉, CPU(21)(도 2)는, 직전에 취득한 제2 프레임을, 녹화 종료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지금까지 조사해 온 대상 챕터의 최종 프레임)으로 간주하고, 또한, 지금 취득한 제1 프레임을, 녹화 개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대상 챕터의 다음 챕터(다음에 조사하는 챕터)의 선두 프레임)로 간주하고, 그 직전에 취득한 제2 프레임과 지금 취득한 제1 프레임의 사이를, 챕터가 끊어지는 곳으로 인식한다.
이같이 하여, 조사부(104)는, 챕터를 인식할 때마다, 새롭게 인식한 챕터의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간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지금,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내용의 일부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번호 0 내지 1000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녹화 구간(121), 프레임 번호 1001 내지 1999까지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녹화 구간(122), 프레임 번호 2000 내지 3300까지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녹화 구간(123) 및 프레임 번호 3301 내지 4000까지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녹화 구간(124)으로 구성된다고 하자. 그리고, 도면 중, 각녹화 구간 121 내지 124 중에서, 「ST」라고 기술되어 있는 영역(1초 분의 프레임(30 프레임))은, 전술한 녹화 개시점 정보 등이 비디오 데이터에 부가 및 기억되어 있는 영역(프레임)을, 「구간 데이터」라고 기술되어 있는 영역은, 비디오 데이터 만이 기록되어 있는 영역을, 각각 나 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있어서, 조사부(104)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내용을 조사할 때, 빠른 재생에 의해 스캔된 프레임 만이 공급되어 진다. 따라서, 조사부(104)의 스텝 S7(도 5)의 처리에서 조사된 내용은, 도 6의 조사 내용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 녹화 구간 121 내지 124가 아니고, 챕터(구간 데이터) 131 내지 134이 된다.
즉, 도 6의 예에서는, 녹화 구간(121)은, 프레임 번호 1 내지 998까지의 프레임의 데이터가, 챕터(131)로 인식되고, 프레임 0, 프레임 999, 및 프레임 1000은, 챕터(131)로 인식되지 않는다.
녹화 구간(122)은, 프레임 번호 1003 내지 1998까지의 프레임의 데이터가, 챕터(132)로 인식되고, 프레임 1001, 프레임 1002, 및 프레임 1999는, 챕터(132)로서 인식되지 않는다.
녹화 구간(123)은, 프레임 번호 2003 내지 3228까지의 프레임의 데이터가, 챕터(133)로 인식되고, 프레임 2000 내지 2002, 프레임 3229, 및 프레임 3300은, 챕터(133)로서 인식되지 않는다.
녹화 구간(124)은, 프레임 번호 3307 내지3338까지의 프레임의 데이터가, 챕터(134)로 인식되고, 프레임 3301 내지 3306, 프레임 3339, 및 프레임 4000은, 챕터(134)로서 인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텝 S7(도 5)의 처리에서 인식되지 않았던 데이터(141) 내지 데이터(148)를, 미인식 데이터라 한다.
그리고, 도 4의 조사부(104)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테이프 엔드까지 빨리 감기 재생된 것을 i.LINK(45)(도 2)를 통하여 검출하면, 그 때까지 인식한 각 챕터의 각 시간 정보를 리스트화한 챕터 리스트(도시하지 않음)를 생성하고, 또한,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각 챕터의 시간(챕터의 개시 시각으로부터 종료시각까지의 시간)을 각각 총계하고, 그 총계한 시간에, 미인식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을 가산함으로써,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를 연산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각 챕터의 선두 프레임과 최종 프레임의 각각은, 실제 녹화 구간의 선두 프레임과 최종 프레임의 각각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있어서, 녹화 구간(121)의 선두 프레임은, 프레임 번호 0인 프레임이며, 최종 프레임은 프레임 번호 1000인 프레임이다. 이에 비해, 조사부(104)(도 4)가 인식한 챕터(131)의 선두 프레임은, 프레임 번호 1인 프레임이며, 최종 프레임은 프레임 번호 998인 프레임이다.
그래서,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각 챕터의 선두 프레임과 최종 프레임 중의, 녹화 개시점 정보, 또는, 녹화 종료점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프레임에 대하여, 조사부(104)는 소정의 플래그(그와 같은 플래그를, 이하, 미정 플래그라 한다)를 부가하고, 그와 같은 미정 플래그도, 챕터 리스트의 정보로서 추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여기서는, 조사부(104)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내용으로서, 총 챕터의 각각의 시간 정보(챕터 리스트) 및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를 조사한다. 그리고, 조사부(104)는, 조사한 기록 내용(챕터 리스트, 및, 총계 시간 Tx)을 처리 제어부(102)를 통하여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되는 내용(스텝 S7(도 5)의 처리에서 조사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내용)은, 물론, 상기 예 이외의 정보가 되어도 된다.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내용이,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되면 처리 제어부(102)는, 거기에 계속하여,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의 처리를 실행시킨다.
즉,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도 5의 스텝 S8에 있어서, 지금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에 따라, 후술하는 스텝 S13의 처리에서,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된 DVD(14)에,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 있어서, 동화상(화상 데이터)의 화질, 및, 화상 사이즈 및 음성(음성 데이터)의 음질을, 각각 결정한다.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 중에서, 화상 데이터의 화질, 및, 화상 사이즈 및 음성 데이터의 음질은, 각각, DVD(14)에,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의 비트 레이트(화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의 화상의 비트 레이트와 음성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 있어서 각 음성의 비트 레이트)에 의존한다. 즉, 스텝 S8의 처리에서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에 따라, DVD(14)의 최대 용량(기록 가능한 용량)의 범위 내에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총 기록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한 비트 레이트 중에서, 최적인 비트 레이트가 설정된다.
따라서, 이하, 이와 같은 스텝 S8의 처리를, 「비트 레이트 설정 처리」라고 한다. 그리고, 이 예에서 「비트 레이트 설정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는, 도 7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은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의 처리 후, 처리 제어부(102)는, 취득부(105)의 처리를 계속해서 실행시킨다. 즉, 도 5의 스텝 S9에 있어서, 취득부(105)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DV(12)로부터 i.LINK(45)(도 2)를 통하여 취득하고, HDD(34)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취득부(105)는 또한, HDD(34)에 기억시킨 비디오 데이터의 포맷을, DV 포맷에서 DVD 포맷(예를 들면, MPEG-2 포맷)으로 변환하고, HDD(34)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변환 전의 DV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HDD(34)에서 삭제한다. 이하, 이와 같은 스텝 S9의 처리를,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라고 칭한다. 그리고, 이 예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는, 도 10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런데, DVD(14)에는, 실제의 비디오 데이터 외에, DVD 메뉴 라고 불리우는 메뉴도 기록 가능하게 되어 있고, 사용자는, 이 DVD 메뉴에 따라, DVD(14)에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에 관한 다양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DVD 메뉴 중에는, 챕터 메뉴 라는 메뉴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챕터 메뉴에 등록 되어 있는 챕터로부터, 원하는 챕터를 선택함으로써, 선택한 챕터의 선두로부터 재생 할 수 있다.
그래서, 처리 제어부(102)는, 취득부(105)의 처리에 이어서, 메뉴 작성부(107)의 처리를 실행시킨다. 즉, 스텝 S10에 있어서, 메뉴 작성부(107)는, 스텝 S7의 처리에서 생성되어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되어 있는 챕터 리스트(실제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텝 S9의 처리에서 갱신된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챕터 중에서, 소정의 챕터를 선택하고, 그것을 챕터 메뉴에 등록하고, 최종(DVD(14)에 기록하는 경우의) 챕터 메뉴를 생성한다. 이하, 이와 같은 스텝 S10의 처리를, 「챕터 등록 처리」라고 한다. 그리고, 이 예에서의 「챕터 등록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는, 도 19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메뉴 작성부(107)는, 스텝 S10의 「챕터 등록 처리」에 이어서, 스텝 S11에 있어서, 이와 같은, 스텝 S10의 처리에서 생성한 챕터 메뉴를 포함하는 DVD 메뉴를 작성한다.
메뉴 작성부(107)의 처리에 의해 DVD 메뉴가 작성되면, 처리 제어부(102)는, 거기에 계속하여, DVD 기록부(108)의 처리를 실행시킨다. 즉, DVD 기록부(108)는, 스텝 S12에 있어서, DVD 구조를 작성하면, 스텝 S13에 있어서, 지금 작성한 DVD 구조에 따라, 스텝 S8의 처리에서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에 의해 설정된 비트 레이트(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된 비트 레이트)로, 스텝 S9의 처리에서 취득부(105)에 의해 취득된 비디오 데이터(HDD(34)에 기억되어 있는 DVD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된 DVD(14)에 기록한다(기록시킨다). 그리고, 여기서는, DVD 메뉴에 따라 생성되는, 지금부터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배치 위치나, 계층이라 불리는 데이터 구조를, DVD 구조라고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2에 있어서, PC(11)에는, DV(12)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것을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된 DVD(14)에 기록시킬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일괄하여 행하는(연속하여 행하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가, HDD(34) 등에 미리 인스톨되어 있다. 따라서, DV(12)가, PC(11)에 접속되고, 또한, 전원이 투입되었다고, DV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의 기동부(101)에 의해 검출되면, DV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가 자동적으로 기동되어 그 처리(전술한 스텝 S2내지 S13까지의 일련의 처리)가, 사용자의 수동 조작의 개재 없이(자동적으로)실행된다.
환언하면, PC(11)는, 제1 포맷으로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와 접속하는 접속 수단과, 접속 수단에 접속된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과,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컨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제1 포맷에서 제2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변환 수단에 의해 제2 포맷으로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착탈(着脫) 가능한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과, 재생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접속 수단에 재생 장치가 접속되면서 동시에 재생 장치에 의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검출 수단에 의해 신호가 검출되었을 경우,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 변환 수단, 및, 기록 제어 수단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 하여, 그 순번으로 연속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처리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는, 그다지 특별한 조작을 않고서도(단지, DV(12)를 PC(11)에 접 속하고, DV(12)의 전원을 투입하는 것만으로, 필요에 따라, 또한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의 실행을 명령하는 소프트 버튼을, 마우스(44)로 클릭하는 것만으로), DV(12)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가, PC(11)에 자동적으로 받아들여진 후, 계속해서,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된 DVD(14)에 자동적으로 기록 된다.
따라서,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는,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있어서, PC(11)에 자동적으로 받아들여진 비디오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DVD-R/RW드라이브(36)에 장착되는 DVD(14)뿐만아니라, 다양한 기록 매체, 예를 들면, CD-ROM 드라이브(35)에 장착되는 CD-R(도시하지 않음), 메모리-스틱 슬롯(31)에 장착되는 메모리-스틱(32), 또는, 드라이브(48)에 장착되는 이동식 기록 매체(49) 등에 기록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비트 레이트 설정 처리(스텝 S8의 처리)」,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스텝 S9의 처리)」 및 「챕터 등록 처리(스텝 S10의 처리)」를 각각 상세하게, 그 순서대로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최초에 도 7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이 예에 있어서 「비트 레이트 설정 처리」를 상세를 설명한다.
우선, 도 4의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스텝 S31에 있어서, 전술한 스텝 S7(도 5)의 처리에서 조사부(104)에 의해 조사되어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 (110)에 기억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에 따라,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 중에서, 화상 데이터를, 최고값인 제1 값의 비트 레이트로, 음성 데이터를, 최고값인 제2 값의 비트 레이트로, DVD(14)에 기록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화상의 비트 레이트의 제1 값(최고값)은, 8 메가[bps]이며, 음성의 비트 레이트의 제2 값(최고값)은, 비압축의 스트레이트 PCM(Pulse Code Modulation)포맷으로 규정되어 있는 1.567메가[bps]가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스텝 S31의 처리에 있어서, 다음의 부등식(1)이 성립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DVD(14)에 기록하는 데이터 중에서, 화상 데이터를 최고값인 제1 값의 비트 레이트로, 음성 데이터를 최고값인 제2 값의 비트 레이트로, DVD(14)에 기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B1 + B2) × Tx < Cmax ···(1)
부등식(1)에 있어서, B1은 화상의 비트 레이트의 제1 값[bps]을, B2는 음성의 비트 레이트의 제2 값[bps]을, Tx는 DVD(14)에 기록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총계 시간[s](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s])을, Cmax는 DVD(14)의 기록 가능한 최대 용량[bit]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스텝 S31에 있어서, 전술한 부등식(1)이 성립한다고 판정된 경우,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스텝 S32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제1 값 B1의 비트 레이트로, 음성 데이터를 제2 값 B2의 비트 레이트로(비압축 스트레이트 PCM 포맷으로), DVD(14)에 기록하는 제1 설정에 설정하고, 처리를 리턴시킨다.
이에 비해, 스텝 S31에 있어서, 전술한 부등식(1)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스텝 S33에 있어서,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 중에서, 화상 데이터를, 최고값인 제1 값의 비트 레이트로, 음성 데이터를, 최고값인 제2 값보다 낮은, 미리 설정된 제3 값의 비트 레이트로, DVD(14)에 기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음성의 비트 레이트의 제3 값은, Dolby AC-3 압축 포맷으로 규정되어 있는 0.384메가[bps]가 된다.
이런 경우,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스텝 S33에 있어서, 다음의 부등식(2)가 성립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DVD(14)에 기록하는 데이터 중에서, 화상 데이터를, 제1 값의 비트 레이트로, 음성 데이터를, 제3 값의 비트 레이트로, DVD(14)에 기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B1 + B3) × Tx < Cmax ···(2)
부등식(2)에 있어서, B3은 음성의 비트 레이트의 제3 값[bps]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33에 있어서, 전술한 부등식(2)이 성립한다고 판정된 경우,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스텝 S34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제1 값 B1의 비트 레이트로, 음성 데이터를 제3 값 B3의 비트 레이트로(Dolby AC-3의 압축 포맷으로), DVD(14)에 기록하는 제2 설정에 설정하고, 처리를 리턴시킨다.
이에 비해, 스텝 S33에 있어서, 전술한 부등식(2)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정 될 경우,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스텝 S35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의 기록을, 제3 값 B3의 비트 레이트에 설정하고, DVD(14)의 용량 내에서 기록 가능한, 화상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를 연산한다.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다음의 부등식(3)이 성립하도록 화상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값 B4를 연산한다.
(B4+ B3) × Tx < Cmax ···(3)
부등식(3)에 있어서, B4는, 스텝 S35의 처리에서 설정(연산)하는 화상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의 제4 값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화상 데이터를, 스텝 S35의 처리에서 연산한 제4 값 B4의 비트 레이트로, 음성 데이터를, 제3 값B3의 비트 레이트(Dolby AC-3의 압축 포맷)로, DVD(14)에 기록하는 제3 설정에 설정하고, 그 처리를 리턴시킨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비트 레이트 설정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스텝 S7(도 5)의 처리에서 조사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와, 설정되는 비트 레이트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와 DVD(14)에 기록된 경우의 데이터 용량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지금,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로서, 총계 시간 Tx가 시간 Ta(다만, 총계 시간 Ta는, 제1 설정이 적용되는 최대 시간 T1 이하의 시간)의 데이터 Da, 총계 시간 Tx가 시간 Tb(단, 총계 시간 Tb는, 제2 설정이 적용되는 최대 시간 T2 이하의 시간)의 데이터 Db 및 총계 시간 Tx가 시간 Tc(단, 총계 시간 Tc는, 제3 설정이 적용되는 범위 내의 시간)의 데이터 Dc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런 경우, 데이터 Da에는, 제1 설정이 설정된다. 즉, 데이터 Da의 총계 시간은 시간 Ta이므로, 화상의 비트 레이트 값은, 도 8의 선(1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의 최고값인 제1 값 B1이 설정되고, 음성의 비트 레이트 값은, 도 8의 선(1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의 최고값인 제2 값 B2가 설정된다(비압축의 스트레이트 PCM 포맷이 설정된다). 따라서, 도 9의 선(16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Da가 DVD(14)에 기록된 경우, DVD(14)의 기록 가능한 총용량(최대 용량 Cmax) 중의 용량 Cb가 사용된다(기록종료가 된다).
데이터 Db에 있어서는, 제2 설정이 설정된다. 즉, 데이터 Db의 총계 시간은 시간 Tb이므로, 화상의 비트 레이트 값은, 도 8의 선(1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의 최고값인 제1 값 B1이 설정되고, 음성의 비트 레이트 값은, 도 8의 선(1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의 최고값 B1보다 낮은 제3 값 B3가 설정된다(Dolby AC-3 등의 압축 포맷이 설정된다). 따라서, 도 9의 선(16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Db가 DVD(14)에 기록된 경우, DVD(14)의 기록 가능한 총용량(최대 용량 Cmax) 중에서 용량 Ca가 사용된다(기록종료가 된다).
데이터 Dc에 있어서는, 제3 설정이 설정된다. 즉, 데이터 Dc의 총계 시간은 시간 Tc이므로, 화상의 비트 레이트 값은, 총계 시간 Tx의 증가에 따라 비트 레이트가 선형(linear)으로 감소하는 특성(도 8의 예에서는, 선(152)로 표현되는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제4 값 B4가 설정되고(스텝 S35의 처리에서 연산되고), 음성의 비트 레이트 값은, 도 8의 선(1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값 B3가 설정된다(Dolby AC-3 등의 압축 포맷이 설정된다). 따라서, 도 9의 선(16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Dc가 DVD(14)에 기록된 경우, DVD(14)의 기록 가능한 최대 용량 Cmax까지 사용된다(기록종료가 된다).
이와 같이,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스텝 S7(도 5)의 처리에서 조사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가, 시간 T1이하의 경우, 화상과 음성의 비트 레이트 둘 다 최고의 값(화상의 제1 값 B1과 음성의 제2 값 B2)이 되는 제1 설정이 설정된다.
총계 시간 Tx가, 시간 T1보다 길고, 시간 T2 미만의 경우, 화상의 비트 레이트는, 최고의 제1 값 B1인 채로, 음성의 비트 레이트만, 그 값을 감소할 수 있는(제2 값보다 낮은 제3 값이 지정되는) 제2 설정이 설정된다.
여기서, 제2 설정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질이 그대로이면서, 음질이 먼저 감소할 수 있는 설정으로 되어 있지만, 물론, 음질을 그대로, 화질을 먼저 감소할 수 있는 설정으로 해도 된다. 단, 다음의 이유로 인해, 제2 설정은, 이번 예(화질은 그대로, 음질을 먼저 감소하는 설정)쪽이 매우 적합하다. 즉, 제1 이유는, 화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음성 데이터 쪽이, 비트 레이트가 감소해도, 거기에 따른 열화(劣化)의 상태가 사용자에게 전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환언하면, 음성의 비트 레이트가, 제2 값 B2에서 제3 값 B3으로 감소해도, 인간의 청각은, 음질이 떨어졌는지 그다지 느껴지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제2 이유로서, 일반적인 경향으로서, 음질보다 화질을 우선하는 사용자가 많기 때문이다.
또, 음성의 비트 레이트를 감소하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화상의 비트 레이트의 제4 값 B4가 연산되어 결정 되도록(도 8의 선(152)에 따라 결정 되도록), 총계 시간 Tx의 길이로 따라, 서서히(연속적으로) 비트 레이트를 감소하는 방법이 되어도 된다. 단, 이하의 2가지 이유에 의해, 음성의 비트 레이트를 감소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어느 점(시간 T1)을 경계로, 제2 고정값 B2에서, 그것보다 낮은 제3 고정값 B3에 비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방법이 매우 적합하다. 즉, 전술한 제1 이유와 마찬가지 이유와 원래 음성의 최고의 값인 제2 값 B2 자체가, 화상의 비트 레이트와 비교하여 매우 낮은 값으로 되어 있고, 음성의 비트 레이트가 조금씩 감소되어도, DVD(14)에 기록되는 용량의 저감에 그다지 공헌하지 않는다는 제3 이유인 두가지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총계 시간 Tx가, 시간 T2보다 긴 경우, 이번에는, 또한 화상의 비트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제3 설정이 설정된다.
화상의 비트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방법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음성과 같이, 어느 점을 경계로 비연속적으로 비트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되어도 된다. 단, 음성과는 반대의 이유로 인해, 전술한 제4 값 B4가 연산되어 결정 되도록(도 8의 선(152)에 따라 결정 되도록), 총계 시간 Tx의 길이에 따라, 서서히(연속적으로)비트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매우 적합하다. 즉, 화상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트 레이트가 감소하면, 거기에 따른 열화(劣化)의 정도가 사용자에게 전해지기 쉬운(인간의 시각에 있어서는, 화질의 열화가 민감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라는 제4 이유(제1 이유와는 반대의 이유)와 화상의 최고값인 제1 값 B1은 매우 높은 값이며, 화상의 비트 레이트의 저하가, DVD(14)에 기록되는 용량의 저감에 크게 공헌한다는 제5 이유(제3 이유와는, 반대의 이유)의 2가지 이유가 있기때문이다.
이와 같이, 도 4의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비트 레이트 설정 처리」를 실행하므로,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사용자는, DV(12)로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DVD에 기록하게 하는 경우, 수작업으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를 연산하고(또는, PC에 연산시키고), 수작업으로, 그 총계 시간 Tx에서, DVD에 기록되는 경우의 비트 레이트를 연산하고, 수작업으로 연산한 비트 레이트를, PC에 등록한 후에, PC의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을 기동시켜, DV(12)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PC에 읽어 들여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을 종료한 후에, DVD 기록 프로그램을 기동시켜, PC에, 받아들여진 비디오 데이터를, 등록한 비트 레이트(수작업으로 연산된 비트 레이트)로, DVD에 기록하게 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비트 레이트를 연산하기 위해서는, DVD의 규격, DV의 규격 및 그 외 다양한 규격, 및 그들에 부수되는 지식에 정통하고, 또한, 이들을 조작할 수 있는 고도의 기능이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록 그와 같은 고도의 지식 및 기능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라도, 원하는 화질이나 음질(일반적으로, DVD의 용량에 수용되는 범위 내에서 최고의 화질이나 음질)을 만족하는 비트 레이트를 연산하는 것은 매우 곤란한 작업이라는 문제점이 있었 다.
또, 사용자는, PC를 사용하지 않고, DVD-R레코더의 기기 등을 직접 DV(12)에 연결하고, DV(12)로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DVD-R레코더에 장착된 DVD에 기록하게 하는 경우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DVD-R레코더 측에서 미리 설정된 비트 레이트가 이용되므로, 반드시 최적 비트 레이트(화질과 음질)로 DVD에 기록되지는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전술한 바와 같이, PC(11)(도 2)에 있어서는,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도 4)의(1)기능으로서,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굳이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고(다만, DV(12)를 PC(11)에 접속하고, DV(12)의 전원을 투입하는 것만으로),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최적인 비트 레이트가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환언하면, PC(11)는, 제1 포맷으로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소정의 시간 정보를 조사하는 조사 수단과,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된 컨텐츠 데이터의 시간 정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착탈(着脫) 가능한 소정의 기록 매체에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비트 레이트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컨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제1 포맷에서 제2 포맷으로 변환하고,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비트 레이트로, 기록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비트 레이트 설정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비트 레이트의 설정에 대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 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취득부(105)(도 4)가 실행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취득부(105)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득부(105)에는, HDD(34)의 빈 용량을 조사하고, DV(12)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의 모드를 선택하는 취득 모드 선택부(171), 취득 모드 선택부(171)에 의해, 데이터를 분할하여 취득하는 모드가 선택된 경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한 각 비디오 데이터를, DV 포맷으로 DV(12)에서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받아들여, HDD(34)의 후술하는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시켜 가는 분할 취득부(172),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비디오 데이터의 포맷을, DV 포맷에서 DVD 포맷으로 변환하고,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시키는 포맷 변환부(173) 및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되어 있는 DV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삭제하는 취득 데이터 삭제부(174)가 형성되어 있다.
취득부(105)에는 또, 취득 모드 선택부(171)에 의해,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취득하는 모드가 선택된 경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DV 포맷으로 DV(12)에서 일괄적으로 받아 들여,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시키는 일괄 취득부(175) 및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에서 받아 들일 대상인 기록 데이터가, 낡은 비디오 데이터 위에 계속 중복해서 찍혀진 경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재생이, 받아 들일 대상의 기록 데이터보다 오래된 비디오 데이터가 되었을 때, 일괄 취득부(175)(필요에 따라 분할 취득부(172))에 대하여, 취득 처리의 정지 명령을 하는 중복 녹화 감시부(176)가 형성되어 있다.
취득부(105)에는 또한, 중복 녹화 감시부(176)와 마찬가지로, 일괄 취득부(175)(필요에 따라 분할 취득부(172))에 대하여 취득 처리의 정지 명령을 행하는, 미기록 영역 감시부(177) 및 테이프 엔드 감시부(178)가 형성되어 있다. 미기록 영역 감시부(177)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재생 중에, 일정 시간 이상의 미기록 영역이 계속되었을 경우, 정지 명령을 출력한다. 테이프 엔드 감시부(178)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가 테이프 엔드까지 재생된 경우, 정지 명령을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이 예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처음에, 스텝 S51에 있어서, 취득 모드 선택부(171)은, HDD(34)의 빈 영역(34-1)의 용량(이하, 빈 용량 이라고 함)을 조사하고, 스텝 S52에 있어서, DVD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가, 조사된 HDD(34)의 빈 용량에 수용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취득 모드 선택부(171)는, 스텝 S7(도 5)의 처리에서, 조사부(104)(도 4)에 의해 조사되어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에, 스텝 S8(도 5과 도 7)의 처리에서,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도 4)에 의해 설정되고,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되고 비트 레이트(제1 내지 제3 설정 중 중 어느 하나의 설정으로 규정되어 있는 화상의 비트 레이트와 음성의 비트 레이트 값의 합)를 곱해서, DVD(14)의 기록 용량 Cd를 연산한다. 즉, 도 10에 있어서는, HDD(34)의 빈 영역(34-1)중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의 용량이, DVD(14)의 기록 용량 Cd가 된다.
그리고, 취득 모드 선택부(171)는, 스텝 S51의 처리에서 조사한 HDD(34)의 빈 용량 Ch1로부터, 연산한 DVD(14)의 기록 용량 Cd를 감산함으로써,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DV 포맷인 채로 받아 들여, HDD(34)에 일시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한 용량 Ch2(이하, 수용 용량 Ch2라 함)를 연산한다. 즉, 도 10에 있어서는, HDD(34)의 빈 영역(34-1)중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의 용량이, 수용 용량 Ch2가 된다.
연산된 수용 용량 Ch2가, DVD(14)에 기록하는 모든 챕터 데이터의 데이터량(지금부터 입력하는 DV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 기록 데이터의 데이터량이며,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취득 모드 선택부(171)자체로부터 연산된다)보다 큰 경우, 스텝 S52에 있어서, DVD(14)에 기록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가, HDD(34)의 빈 용량에 수용될 수 있다고 판정된다.
그리고, 취득 모드 선택부(171)가, 처리를 스텝 S53으로 진행되게 하면, 일괄 취득부(175)가, 스텝 S53에 있어서, DV(12)로부터 i.LINK(45)(도 2)를 통하여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DV 포맷인 채로 일괄하여(모두) 취득하고,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일괄 취득부(175)에 의한 취득 처리가 완료되면, 포맷 변환부(173)는, HDD(34)의 DV 포맷 기 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DV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DVD 포맷으로 변환하고,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수용 데이터 삭제부(174)는,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DV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하에서, 이와 같은 스텝 S53의 처리를, 「자동 취득 처리」라고 한다. 그리고, 이 예의 「자동 취득 처리」의 상세한 것에 관해서는, 도 17 및 도 18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즉, 취득 모드 선택부(171)는, 스텝 S52의 처리에서, DVD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가, HDD의 빈 용량에 수용될 수 있다고 판정된 경우, 취득 모드로서, 주로 일괄 취득부(175)가 실행하는 「자동 취득 처리」에 대응하는 모드를 선택한다.
이에 비해, 수용 용량 Ch2(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의 용량 Ch2)가, DVD(14)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지금부터 입력하는 DV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데이터량보다 작은 경우, 스텝 S52에 있어서, DVD(14)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가, HDD(34)의 빈 용량에 수용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정되어, 이하의 스텝 S54내지 S62의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이하, 스텝 S54내지 S62의 처리를, 전술한 「자동 취득 처리」라고 하고, 「배치 캡쳐 처리」라고 한다.
환언하면, 제1 포맷에 있어서의 컨텐츠 데이터의 제1 데이터량(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 11의 스텝 S52에 기재된 「DVD(14)에 기록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 」, 즉,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DV 포맷에 있어서의 데이터량(명세서중에 여기에 대응하는 기재가 있음), 제2 포맷에 있어서의 컨텐츠 데이터의 제2 데이터량(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DVD 포맷에 있어서의 데이터량이며, 도 10의 HDD(34)의 빈 영역(34-1)중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의 용량(DVD(14)의 기록 용량 Cd)에 상당하는 데이터량)이 연산되어, 연산된 제1 데이터량 및 연산된 제2 데이터량이 가산되어, 제1 임계값이 연산되어 스텝 S52의 처리에서, HDD의 빈 용량(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 10의 HDD(34)의 빈 영역(34-1)의 용량 Ch1)이, 연산된 제1 임계값보다 작은지의 여부가 판정됨에 따라, DVD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가, HDD의 빈 용량에 수용될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즉, 취득 모드 선택부(171)는, 스텝 S52의 처리에서, DVD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가, HDD의 빈 용량에 수용할 수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취득 모드로서, 주로 분할 취득부(172)가 실행하는 「배치 캡쳐 처리」에 대응하는 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배치 캡쳐 처리」 실행이 선택되면, 우선, 스텝 S54에 있어서, 분할 취득부(172)가, HDD(34)의 빈 용량(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 (34-2)의 수용 용량 Ch2)에 따라, 한 번에 취득하는 최대의 데이터량(이하, 단지 최대 데이터량 이라 함)을 연산한다. 즉, 최대 데이터량이,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 (34-2)의 수용 용량 Ch2이하로 설정된다.
그리고, 스텝 S55에 있어서, 분할 취득부(172)는, 스텝 S7(도 5)의 처리에 서, 조사부(104)(도 4)에 의해 조사되어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분(110)(도 4)에 기억된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모든 챕터(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챕터) 중에서, 스텝 S54의 처리에서 연산한 최대 데이터량 이상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5에 있어서, 최대 데이터량 이상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분할 취득부(172)는, 스텝 S56의 처리에서, 최대 데이터량 이상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를, 최대 데이터량 이하의 소정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복수개의 분할 구간으로 구분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지금, 스텝 S7(도 5)의 처리에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내용의 일부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 데이터량보다 작은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181), 최대 데이터량보다 큰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182), 및, 최대 데이터량보다 작은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183)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한다. 환언하면,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된 챕터 리스트에, 챕터(181) 내지 챕터(183)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데이터(191) 내지 데이터(196)는, 미인식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스텝 S55(도 11)의 처리에서, 최대 데이터량 이상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182)가 존재한다고 판정되면, 스텝56(도 11)의 처리에서, 최대 데이터량 이상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182)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 데이터량 이하의 소정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분할 구간(182-1)과 분할 구간(182-2)으로 구분된다.
이런 경우,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된 챕터 리스트도 변경된다. 즉, 챕터(182)의 챕터 정보가 소거되어, 소거된 위치에 분할 구간(182-1)과 분할 구간(182-2)에 각각의 구간 정보(챕터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가 추가 된다.
이 때, 분할 구간(182-1)의 앞에는 미인식 데이터(193)가 존재하므로, 분할 구간(182-1)의 선두 프레임에는, 전술한 미정 플래그가 부가 되지만(분할전의 챕터(182)의 선두 프레임의 미정 플래그가 그대로 남겨지지만), 분할 구간(182-1)의 뒤에는, 미인식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분할 구간(182-1)의 최종 프레임과 분할 구간(182-2)의 선두 프레임은 연속하고 있으므로), 분할 구간(182-1)의 최종 프레임에는, 미정 플래그가 부가 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분할 구간(182-2)의 선두 프레임에는, 미정 플래그가 부가 되지 않지만, 분할 구간(182-2)의 최종 프레임에는, 미정 플래그가 부가 된다(분할전의 챕터(182)의 최종 프레임의 미정 플래그가 그대로 남겨진다).
그리고, 도 13의 예에서는, 2개의 분할 구간으로 구분되는 예가 나타나 있지만, 구분되는 개수, 즉, 1개의 챕터로부터 구분되는 분할 구간의 수는, 스텝 S54의 처리에서 연산된 최대 데이터량 이하의 분할 구간으로 구분되다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비해, 도 11의 스텝 S55에 있어서, 최대 데이터량 이상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6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고, 처리는 스텝 S57로 진행한다.
스텝 S55에 있어서, 최대 데이터량 이상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 S56의 처리를 종료한 경우, 도 10의 분할 취득부(172)는, 스텝 S57에 있어서,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된 챕터 리스트에 의해, 다음에 취득 예정의 챕터의 데이터, 또는, 분할 구간의 데이터를, DV(12)로부터 i.LINK(45)(도 2)를 통하여 취득하고,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시킨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지금, 분할 취득부(172)가, 다음에 취득 예정의 챕터으로서, 프레임 번호(53) 내지 프레임 번호(68)까지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챕터를 인식했다고 하고, 또, 인식된 챕터에 대응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실제의 기록 내용,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번호(50) 내지 프레임 번호(70)까지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녹화 구간(201)이라고 하자.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녹화 구간(201) 중의 데이터(201-1)와 데이터( 201-3)는, 미인식 데이터로되어 있으므로, 조사부(104)(도 4)에 의해 인식된 챕터의 선두 프레임(프레임 번호(53)의 프레임)과 최종 프레임(프레임 번호(68)의 프레임)에는, 각각, 전술한 미정 플래그가 부가 되어 있다.
따라서, 분할 취득부(172)는, 선두 프레임의 미정 플래그를 검출하면, 되감기 재생(예를 들면, -1 배속 재생)을 DV 제어부(103)(도 4)에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그 요구를 받으면, 「되감기 재생」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i.LINK(45)(도 2)를 통하여 DV(12)에 송신함으로써, DV(12)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되감기 재생을 제어한다.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되감기 재생을 하면(DV(12)의 헤드(75)(도 3)의 위치가, 도 14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도 15에 나타내는 점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해 가면), 프레임 번호(53)에서 하나씩 번호가 되돌려지면서, 그들의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재생 비디오 신호가, DV(12)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신되게 된다.
그래서, 분할 취득부(172)는, i.LINK(45)(도 2)를 통하여 이 재생 비디오 신호를 취득하고, 각 프레임마다, 녹화 개시점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지를 조사한다. 그리고, 분할 취득부(172)는, 녹화 개시점 정보를 검출하면, 검출한 녹화 개시점 정보가 포함되는 프레임(지금의 경우(도 15의 경우), 프레임 번호 50인 프레임)을, 다음에 취득 예정의 챕터의 선두 프레임으로 갱신한다(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되어 있는 챕터 리스트를 갱신한다).
그리고, 분할 취득부(172)는, 갱신한 선두 프레임(프레임 번호 50인 프레임)으로부터, 통상 속도로 재생을 해줄 것을 DV 제어부(103)(도 4)에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그 요구를 받으면, 「통상(1배) 재생」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i.LINK(45)(도 2)를 통하여 DV(12)에 송신함으로써, DV(12)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통상 재생을 제어한다.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통상 재생이 이루어지면(DV(12)의 헤드(75)(도 3)의 위치가, 도 16에 나타내는 점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해 가면), 프레임 번호 50(실제는, 그 보다 조금 전의 프레임 번호)에서 1개씩 번호가 진행되면서(증가하면서), 그들의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재생 비디오 신호가, DV(12)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신된다.
그래서, 분할 취득부(172)는, i.LINK(45)(도 2)를 통하여 이 재생 비디오 신호의 취득을 개시하고, 지금의 경우(도 16의 경우), 프레임 번호 50인 프레임으로부터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개시하고, 미정 플래그를 검출하면(지금의 경우(도 16의 경우), 프레임 번호 68인 프레임을 취득하면), 다음의 녹화 종료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녹화 개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하나 전의 프레임이며, 지금의 경우(도 16의 경우), 프레임 번호 70인 프레임)까지를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시킨 후, 자기 자신의 취득 처리를 정지하는 동시에, 통상 재생을 정지 시킬 것을 DV 제어부(103)(도 4)에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그 요구를 받으면, 「정지」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i.LINK(45)(도 2)를 통하여 DV(12)에 송신함으로써, DV(12)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통상 재생의 정지를 제어한다.
그리고, 미정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술한 되감기 처리 등은 행하지 않고, 단지,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최종 프레임까지가 재생되고, 그것이 PC(11)에 수록 된다.
이와 같이, 분할 취득부(172)는, 전술한 방법(도 14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DV(12)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내용을 빠짐없이 취득할 수 있게 된다.
즉, 예를 들면, 만일 분할 취득부(172)가, 단지,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된 챕터 리스트에 따라서, 도 16에 나타내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실제 기록 내용인 녹화 구간(201)의 데이터를, 챕터의 데이터로서 취득하고자 한 경우, 챕터 리스트에는, 스텝 S7(도 5)의 스캔 처리에서 검출된 데이터(201-2)만이 챕터로서 등록 되어 있으므로, 분할 취득부(172)는, 녹화 구간(201) 중의, 스캔으로 검출된 챕터에 대응하는 데이터(201-2)만 취득할 수 있다(미인식 데이터(201-1)와 미인식 데이터(201-3)를 취득할 수 없다).
이에 비해, 이 예의 분할 취득부(172)는, 전술한 방법(도 14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데이터의 취득 처리를 행하므로, 녹화 구간(201)의 전부를, 챕터의 데이터(204)로서 확실하게 취득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챕터의 데이터는, DV 포맷인 채로 기억된다. DV 포맷에 있어서는, 1 프레임이, 120000[바이트]로 되어, 프레임 레이트가, 29.97[프레임/초]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1초 간의 데이터량은, 3596400[바이트/초]= (120000[바이트/프레임]* 29.97[프레임/초])가 되어, 1분 간으로 환산하면, 215784000[바이트](215.79MB)나 된다.
이에 비해, DVD 포맷, 이 예에서, 예를 들면, MPEG-2 포맷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의 비트 레이트가, 최대 8M[bps](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도 4)에 의해 설정되는 최대의 제1 값)로 되어 있으므로, 1분간의 데이터량은, 최대로 해도 60MB가 되어, DV 포맷의 약 3.4분의 1이하로 줄어든다.
그래서, 도 11의 스텝 S58에 있어서, 포맷 변환부(173)는, 스텝 S57의 처리에서 분할 취득부(172)에 의해 취득되고,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 에 기억된 DV 포맷의 데이터(챕터의 데이터, 또는, 분할 구간의 데이터)를, DVD 포맷으로 변환하고,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스텝 S59에 있어서, 수용 데이터 삭제부(174)는, 스텝 S57의 처리에서 분할 취득부(172)에 의해 취득되어,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DV 포맷의 데이터(스텝 S58의 처리에서, 포맷 변환부(173)에 의해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된 DVD 포맷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DV 포맷의 데이터)를 삭제한다.
스텝 S60에 있어서, 포맷 변환부(173)는, 스텝 S58의 처리에서, DVD 포맷으로 변환하고,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시킨 데이터에 녹화 종료점(정보)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스텝 S58의 처리에서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된 비디오 데이터가, 스텝 S56의 처리에서 구분된 분할 구간 중의, 마지막 분할 구간 이외의 데이터일 경우, 그 비디오 데이터에는 녹화 종료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스텝 S60에 있어서, 기억한 데이터에 녹화 종료점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어, 스텝 S62로 처리가 진행된다.
이에 비해, 스텝 S58의 처리에서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된 비디오 데이터가, 스텝 S56의 처리에서 구분된 구분 구간 중의, 마지막 분할 구간의 데이터일 경우, 또는, 분할되어 있지 않은 챕터의 데이터일 경우, 스텝 S60에 있어서, 기억한 데이터에 녹화 종료점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포맷 변환부(173)는, 스텝 S61에 있어서, 챕터를 설정한다.
즉,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된 비디오 데이터가, 스텝 S56의 처리에서 구분된 구분 구간 중에서, 마지막 분할 구간의 데이터일 경우, 포맷 변환부(173)는,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된 다른 분할 구간과 마지막 분할 구간을 합쳐서, 챕터의 데이터로서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시키고(덧쓰기를 시키고),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된 챕터 리스트도 갱신한다.
또,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된 데이터가, 분할되어 있지 않은 챕터의 데이터일 경우, 포맷 변환부(173)는, 단지,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된 챕터 리스트를 갱신한다. 예를 들면,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된 데이터가, 도 16의 챕터의 데이터(204)가 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챕터 리스트의 선두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는, 스텝 S57의 처리의 단계에서, 53에서 50으로 갱신되어 있다. 그러나, 챕터 리스트의 최종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가, 68인 채이므로, 스텝 S61의 처리에서, 70으로 갱신된다.
도 11로 되돌아와서, 스텝 S60의 처리에서, 기억된 데이터에 녹화 종료점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 S61의 처리가 종료되었을 경우, 분할 취득부(172)는, 스텝 S62에 있어서, DVD(14)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챕터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를, DV(12)로부터 취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62에 있어서, DVD(14)에 기록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를, DV(12)로부터 아직 취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57로 복귀하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그 다음에 취득 예정인 챕터의 데이터, 또는, 분할 구간의 데이터가, DV 포맷으로 받아 들여져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후, DVD 포맷으로 변환되어,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 (34-3)에 기억되면,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DV 포맷의 데이터가 삭제된다.
그리고, 이상의 스텝 S57내지 S62의 처리가 반복되어져, 마지막 챕터의 데이터가,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되면, 스텝 S62에 있어서, DVD(14)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를, DV(12)로부터 취득했다고 판정되어, 처리가 종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취득부(105)(도 4와 도 10)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중의 「배치 캡쳐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로부터, PC 등에 비디오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2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다.
즉, 제1 방법은, 사용자가, DV(12)를 조작하여,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수용 개시 위치까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을 이동시킨 후, PC에 수용을 개시시키면서 동시에, DV(12)에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재생을 실행시켜, 필요한 부분을 읽어들이고 그것이 종료하면, PC의 수용 처리를 정지시켜, DV(12)에 디지털 테이프(13)의 정지 처리를 실행시키는 방법이다.
또, 제2 방법은, 사용자가, DV(12)를 조작하고, 사용자 자체의 원하는 수용 개시 위치에 디지털 테이프(13)을 이동시킨 후, PC에 그 위치를 수용 개시 위치로 등록시켜, 다음에, DV(12)를 조작하고, 수용 정지 위치에 디지털 테이프(13)를 이동시킨 후, PC에 그 위치를 수용 종료 위치로 등록시킨 후, 수용 처리를 실행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제1 방법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데이터를 읽어들이면서, 보조기억장치(PC의 HDD 등)의 빈 용량을 확인하면서, 사용자 자신이 수동으로, 입력하는 범위를 분할하여 수용을 실시하여야 했기때문에, 어느 범위(길이)로 분할하면 되는지를 판단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제1 방법에 있어서는, 그와 같이 하여 분할된 분할 부분의 이음매의 제어는 매우 곤란하고, 비록 분할된 데이터의 이음매의 제어가 실행되었다고 해도, 이음매 제어에 의해 연결될 수 있었던 데이터는, 같은 데이터가 중복되거나, 데이터에 누락되어 버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제2 방법에 있어서는, 제1 방법과 비교해서, 분할 부분의 이음매를 제어하기가 다소 용이하지만, 분할하는 범위(길이)의 설정은, 제1 방법과 마찬가지로, 매우 곤란한 작업이고, 또한 분할점마다 지정을 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PC(11)(도 2)는,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도 4)의(1)기능으로서, 「배치 캡쳐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일괄 취득이 불가능한 경우라도, 사용자는, 굳이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고(단지, DV(12)를 PC(11)에 접속하고, DV(12)의 전원을 투입하는 것 만으로), 다음 처리가 이루어지고,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PC(11)에 받아 들여진다.
환언하면, 제1 포맷으로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기억 수단의 빈 용량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기억 수단의 빈 용량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로 구분하고, 구분한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 중에서 소정의 제1 구간 데이터를 취득하고,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 구간 데이터의 포맷을, 제1 포맷에서 제2 포맷으로 변환하고, 데이터량이 제1 구간 데이터보다 작은 제2 구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2 구간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변환 수단과, 변환 수단에 의해 제1 구간 데이터의 포맷이 변환되어, 생성된 제2 구간 데이터가, 기억 수단에 기억된 경우,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 중에서, 제1 구간 데이터와는 상이한 제3 구간 데이터가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기 전에,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 구간 데이터를 소거하는 소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가, 복수개의 데이터(챕터의 데이터, 또는, 분할 구분의 데이터)로 구분되어, 구분된 데이터가 각각 1개씩 분할되어 순차적으로 취득되어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일시 기억된 후, DVD 포맷으로 변환되어, HDD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되면, 거기에 대응하는,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DV 포맷의 데이터가 삭제된다.
이와 같이, HDD(34)의 빈 용량이 적고,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일괄 수용이 불가능할 경우라도,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모든 기록 데이터를 읽어 들일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보조기억장치(HDD(34))의 빈 용량을 신경쓰는 일 없이, DV(12)에 삽입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모든 기록 데이터를 빠짐없이, 또한, 단시간에 PC(11)에 읽어 들일 수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은 「배치 캡쳐 처리」를 한 경우에도, 일부의 데이터가 중복해서 받아 들여지거나 일부의 데이터가 받아 들여지지 않는 에러가 발생 하지 않고,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모든 기록 데이터가 확실하고도 정확하게 받아 들여진다.
따라서, 취득부(105)는, 「배치 캡쳐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DV(12)로부터 PC 등으로 수용할 때에 있어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도 11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중의 「배치 캡쳐 처리(스텝 S54내지 S62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중에서 「자동 취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 S52에 있어서, DVD(14)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가, HDD(34)의 빈 용량에 수용된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3에 있어서, 「자동 취득 처리」가 실행된다.
이 예에 있어서 「자동 취득 처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7과 도 18의 플로 차트에 나타나 있다. 따라서, 도 17으로 도 18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이 예에 있어서의 「자동 취득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7의 스텝 S81에 있어서, 도 10의 일괄 취득부(175)는, 수용 개시 위치(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되어 있는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선두 챕터의 선두 프레임)로부터 데이터 취득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일괄 취득부(175)는,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현재 위치가, 수용 개시 위치와 일치하고 있는지(실제는, 수용 개시 위치의 조금 앞의 위치 인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81에 있어서, 수용 개시 위치로부터의 데이터의 취득이 불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가능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일괄 취득부(175)는, 스텝 S82에 있어서, 수용 개시 위치에 따라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를 실시한다.
즉, 일괄 취득부(175)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현재 위치가, 수용 개시 위치보다 앞에 있는 경우는, 빨리 감기를 시킬 것을, 수용 개시 위치보다 뒤에 있는 경우는, 되감기를 시킬 것을, DV 제어부(103)(도 4)에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그 요구를 받으면,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i.LINK(45)(도 2)를 통하여 DV(12)에 송신함으로써, DV(12)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지금, 일괄 취득부(175)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선두 위치로부터 기록되어 있는 기록 데이터의 취득을 하게되다면, 일괄 취득부(175)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선두 위치까지 되감기 할 것을, DV 제어부(103)에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그 요구를 받으면, 「되감기」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i.LINK(45)를 통하여 DV(12)에 송신함으로써, DV(12)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되감기를 제어한다.
그리고, 일괄 취득부(175)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선두 위치까지 되감기가 완료된 것을 검출하면, 스텝 S83에 있어서, 데이터의 취득을 개시시켜, 스텝 S84에 있어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를 재생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일괄 취득부(175)는, 통상 속도에서의 재생을 DV 제어부(103)(도 4)에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그 요구를 받으면, 「통상 재생」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i.LINK(45)(도 2)를 통하여 DV(12)에 송신함으로써, DV(12)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통상 재생을 제어한다.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가 통상 재생을 하면, 수용 개시 위치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에서 순서대로, 재생된 비디오 데이터(재생 비디오 신호)가 순차적으로 송신된다.
그래서, 일괄 취득부(175)는, i.LINK(45)(도 2)를 통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취득하고, 취득한 비디오 데이터를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스텝 S85에 있어서, 일괄 취득부(175)는, 녹화 개시점을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85에 있어서, 녹화 개시점을 검출한 경우, 즉, 녹화 개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취득한 경우, 일괄 취득부(175)는, 스텝 S86에 있어서, 녹화 개시 시각(그 프레임에 포함되는 촬영 시각 정보(년, 월, 일, 시, 분, 및 초))를 취득한다.
스텝 S85에 있어서, 녹화 개시점을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검출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 S86의 처리를 종료한 경우, 일괄 취득부(175)는, 스텝 S87에 있어서, 녹화 종료점을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87에 있어서, 녹화 종료점을 검출한 경우, 즉, 녹화 종료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취득한 경우, 일괄 취득부(175)는, 스텝 S88에 있어서, 녹화 종료시각(그 프레임에 포함되는 촬영 시각 정보(년, 월, 일, 시, 분, 및 초))를 취득하고, 챕터를 설정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되어 있는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챕터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모든 프레임 중에서, 스텝 S7의 처리(도 5)에 의해, 빨리 감기 재생에 의해 스캔된 프레임으로만 작성된 것이다(예를 들어, 전술한 도 6참조). 따라서, 일괄 취득부(175)는, 스텝 S85내지 S88의 처리에서, 실제 녹화 개시점과 그 다음에 나타나는 녹화 종료점을 검출하고, 그들 사이의 녹화 구간을 챕터로 설정하고, 그 챕터의 녹화 개시 시각 및 녹화 종료시각 등을 포함하는 챕터 정보를 생성하고,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되어 있는 챕터 리스트를 갱신한다.
도 18의 스텝 S89에 있어서, 중복 녹화 감시부(176)는, 일괄 취득부(175)에 의해, 지금 취득된 프레임의 시각(지금 DV(12)에 의해 재생된 제1 프레임에 포함되는 촬영 시각 정보(년, 월, 일, 시, 분, 및 초))이, 직전에 취득된 프레임의 시각(제1 프레임의 직전에, DV(12)에 의해 재생된 제2 프레임에 포함되는 촬영 시각 정보(년, 월, 일, 시, 분, 및 초))보다 오래된 시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일괄 취득부(175)에 의해, 지금 취득된 프레임의 시각이, 직전에 취득된 프레임의 시각보다 오래된 시각인 경우, 지금 취득된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1 비디오 데이터와, 그 직전의 프레임 이전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2 비디오 데이터는,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데이터가 아니고, 제1 비디오 데이터는, 제2 비디오 데이터로보다 시간적으로 그 전의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과거에 기록된 제1 비디오 데이터 위에, 새로운 제2 비디오 데이터(이번 취득 대상의 비디오 데이터)가 덧쓰기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스텝 S89에 있어서, 일괄 취득부(175)에 의해, 지금 취득된 프레임의 시각이, 직전에 취득된 프레임의 시각보다 오래된 시각으로 판정된 경우, 중복 녹화 감시부(176)는, 지금까지 취득된(수용 대상의)제2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하고, 일괄 취득부(175)에 대하여, 취득 처리의 정지를 명령한다.
일괄 취득부(175)는, 이 정지 명령을 받으면, 스텝 S92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을 정지하고, 스텝 S93에 있어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를 정지시킨다.
즉, 일괄 취득부(175)는, 통상 재생의 정지를 DV 제어부(103)(도 4)에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이 요구를 받으면, 「정지」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i.LINK(45)(도 2)를 통하여 DV(12)에 송신함으로써, DV(12)가 디지털 비디 오 테이프(13)의 정지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중복 녹화 감시부(176)의 처리에 따라, 취득부(105)는, 과거에 녹화된 제1 비디오 데이터 위에, 이번 수용 대상이 된 제2 비디오 데이터가 덧쓰기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로부터도, 수용 대상의 제2 비디오 데이터 만을 확실하게 취득 가능하게 된다.
이에 비해, 스텝 S89에 있어서, 일괄 취득부(175)에 의해, 지금 취득된 프레임의 시각이, 직전에 취득된 프레임의 시각보다 오래된 시각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중복 녹화 감시부(176)는, 지금까지 취득되어 온(수용 대상의) 제2 비디오 데이터가 아직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이번에는, 미기록 영역 감시부(177)가, 스텝 S90에 있어서, 일정 시간 동안, 미기록 영역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일정 시간 동안, 미기록 영역이 계속되었을 경우(스텝 S90에 있어서, 일정 시간 동안, 미기록 영역 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미기록 영역 감시부(177)는, 지금까지 취득되어 온(수용 대상의) 제2 비디오 데이터가, 그 이후의 부분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고(제2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이 종료되었다고 간주하고), 일괄 취득부(175)에 대하여, 취득 처리의 정지를 명령한다.
일괄 취득부(175)는, 이 정지 지정을 받으면, 스텝 S92에 있어서, 데이터의 취득을 정지하고, 스텝 S93에 있어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미기록 영역 감시부(177)의 처리에 의해, 취득부(105)는, 이번 수용 대상의 제2 비디오 데이터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테이프 엔드까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테이프 엔드까지 재생시키는 일 없이, 수용 대상의 제2 비디오 데이터 만을 확실하게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수용 시간의 단축이 가능해진다.
이에 비해, 스텝 S90에 있어서, 일정 시간 동안, 미기록 영역이 연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미기록 영역 감시부(177)는, 지금까지 취득한(수용 대상의) 제2 비디오 데이터가 아직 종료 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이번에는, 테이프 엔드 감시부(178)가, 스텝 S91에 있어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테이프 엔드까지 재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91에 있어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테이프 엔드까지 재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85(도 17)로 복귀하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지금까지 취득되어 온(수용 대상의) 제2 비디오 데이터가 종료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 일괄 취득부(175)에 의한 데이터의 취득 처리가 계속 되어진다.
이에 비해,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테이프 엔드까지 재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일괄 취득부(175)에 대하여, 그 취득 처리의 정지를 명령한다.
일괄 취득부(175)는, 이 정지 명령을 받아 들이면, 스텝 S92에 있어서, 데이터의 취득을 종료하고, 스텝 S93에 있어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일괄 취득부(175)에 의한 데이터의 취득 처리가 완료되면(스텝 S93의 처리가 종료되면), 포맷 변환부(173)는, 스텝 S94에 있어서, 일괄 취득 부(175)에 의해 취득되고,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DV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DVD 포맷(이 예에서는, MPEG-2 포맷)으로 변환시켜,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스텝 S95에 있어서, 취득 데이터 삭제부(174)가, 일괄 취득부(175)에 의해 취득되어,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DV 포맷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처리를 리턴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취득부(105)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중에서 「자동 취득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배치 캡쳐 처리」의 효과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종래에는,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로부터, PC 등에 비디오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두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었다.
즉, 제1 방법은, 사용자가, DV(12)를 조작하고,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수용 개시 위치까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를 이동시킨 후, PC에 수용을 개시시키면서 동시에, DV(12)에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재생을 실행시켜, 필요한 부분을 읽어들이는 작업이 종료되면, PC의 수용 처리를 정지시켜, DV(12)에 디지털 테이프(13)의 정지 처리를 실행시키는 방법이다.
또, 제2 방법은, 사용자가, DV(12)를 조작하고,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수용 개시 위치에 디지털 테이프(13)을 이동시킨 후, PC에 그 위치를 수용 개시 위치로 하고, 등록시킨 다음, DV(12)를 조작하여, 수용 정지 위치에 디지털 테이프(13)를 이동시킨 후, PC에 그 위치를 수용 종료 위치로 등록시킨 후, PC에 수용 처리를 실행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제1 방법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DV(12)를 수동으로 조작하고, 디지털 테이프(13)의 되감기, 정지 및 재생 처리를 실행시켜야만 했고, 디지털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PC로 수용 중에는, 사용자가 실행하고 있는 영상을 감시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사용자는 영상을 감시하지 않고, 디지털 테이프(13)의 테이프 엔드까지 PC에 저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럴 경우, 이번에는, 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에서, 과거에 녹화된 제1 비디오 데이터의 상에, 이번에 수용 대상인 제2 비디오 데이터가 덧쓰기되어 있었다고 하면, 그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로부터는, 사용자가 수용을 원하는 제2 비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사용자가 수용을 원하지 않는) 제1 비디오 데이터까지 받아들여 버리는 문제점이나, 테이프 엔드까지 기록되지 않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에서, 불필요한 미기록 영역(공 데이터)까지 받아들여, 그 결과, 수용 시간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 제2 방법에 있어서도, 수용 개시 위치, 또는 종료 위치까지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이동 및 확인이나 등록 조작은, 사용자의 수작업(DV(12)의 수동 조작)이 필요하고, 그 결과, 그러한 조작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PC(11)(도 1와 도 2)는,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도 4)의 하나의 기능인 「자동 취득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가 어떠한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는, 그다지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고(단지, DV(12)를 PC(11)에 접속하고, DV(12)의 전원을 투입하는 것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비디오 데이터만 자동적으로 받아들여져 그 수용이 종료되면, 수용 처리 자체가 즉시 정지된다.
환언하면, PC(11)는, 소정의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소정의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에서, 각 프레임에 포함되는 시간 정보 중에 있는, 프레임이 기록된 기록 시각을 감시하고, 복수개의 프레임 중에서, 지금 감시한 제1 프레임의 기록 시각이, 제1 프레임보다 시간적으로 앞서 감시한 제2 프레임의 기록 시각보다 오래된 시각인 경우, 취득 수단에 의한 컨텐츠 데이터의 취득 처리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취득 정지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과거의 제1 비디오 데이터(수용이 불필요한 제1 비디오 데이터) 위에, 지금 수용 대상의 제2 비디오 데이터가 중복되어 녹화되어 있는 경우라도, 과거의 제1 비디오 데이터가 받아들여지는 일 없이, 수용 대상의 제2 비디오 데이터 만이 확실하게 받아들일 수 있게된다.
또, PC(11)는, 소정의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소정의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재생 장치의 재생 내용을 감시하고, 소정 시간 이상, 컨텐츠 데이터의 기록 데이터가 재생되지 않는 경우, 취득 수단에 의한 컨텐츠 데이터의 취득 처리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취득 정지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취득부(105)는, 「자동 취득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DV(12)로부터 PC 등으로 수용할 때에 있어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배치 캡쳐 처리」에 있어서도, 도 11의 스텝 S62대신에, 도 18의 스텝 S89내지 S91가 삽입됨으로써, 전술한 「자동 취득 처리」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단, 이 경우, 스텝 S89내지 S9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처리에서 'YES'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리턴되고, 또, 스텝 S91의 처리에서 'NO'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57로 복귀하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환언하면, 도 10의 화살표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복 녹화 감시부(176), 미기록 영역 감시부(177), 및, 테이프 엔드 감시부(178)는, 각각 정지 명령을 일괄 취득부(175) 뿐만아니라, 분할 취득부(172)에 대해서도 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도 19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이 예의 「챕터 등록 처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11에 있어서, 도 4의 메뉴 작성부(107)는, 규정 시간을 선택한다. 규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선택된다. 사용자는, 임의의 시간이 설정 가능하지만, 여기서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면, 10분, 30분 및 1일(24시간) 중에서 설정된다고 하자. 그리고, 규정 시간의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스텝 S112에 있어서, 메뉴 작성부(107)는, 대상 챕터를, 스텝 S9(도 5)의 처리에서 갱신된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모든 챕터(스텝 S9의 처리에서 취득된 디지 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챕터) 중에서, 최초의 챕터(선두 챕터)로 설정한다.
그리고, 「챕터 등록 처리」의 설명에 있어서는, 처리의 대상이 되는 챕터를, 다른 챕터와 구별하기 위하여, 대상 챕터 라고한다.
스텝 S113에 있어서, 메뉴 작성부(107)는, 챕터 메뉴에 1개 전에 등록한 챕터의 녹화 개시 시각(그 시점 직전의 스텝 S114의 처리에서 등록한 챕터의 선두 프레임에 포함되는 촬영 시각 정보(년, 월, 일, 시, 분, 및 초))와 대상 챕터의 녹화 개시 시각(대상 챕터의 선두 프레임에 포함되는 촬영 시각 정보(년, 월, 일, 시, 분, 및 초))와의 시간 간격이, 스텝 S111의 처리에서 선택된 규정 시간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3에 있어서, 챕터 메뉴에 등록한 1개 전의 챕터의 녹화 개시 시각과 대상 챕터의 녹화 개시 시각과의 시간 간격이, 규정 시간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메뉴 작성부(107)는, 스텝 S114에 있어서, 대상 챕터를, 챕터 메뉴에 등록한다. 즉, 이 경우, 대상 챕터는, 챕터 메뉴에 표시되는 챕터가 된다.
이에 비해, 스텝 S113에 있어서, 챕터 메뉴에 등록한 1개 전의 챕터의 녹화 개시 시각과 대상 챕터의 녹화 개시 시각과의 시간 간격이, 규정 시간 미만인 경우(규정 시간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메뉴 작성부(107)는, 대상 챕터를, 챕터 메뉴에 등록하지 않고(스텝 S114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처리를 스텝 S115로 진행한다.
이 경우, 또는, 스텝 S114의 처리를 종료한 경우, 메뉴 작성부(107)는, 스텝 S115에 있어서, 대상 챕터가 최종 챕터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5에 있어서, 대상 챕터가 최종 챕터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메뉴 작성부(107)는, 스텝 S116에 있어서, 다음 챕터를, 대상 챕터로 설정한 후, 처리를 스텝 S113으로 되돌려,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스텝 S9(도 5)의 처리에서 갱신된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모든 챕터(스텝 S9의 처리에서 취득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챕터) 에 대하여, 각 챕터마다, 스텝 S113의 조건이 만족되는지 아닌지가 판정되어 모든 챕터 중에서, 스텝 S113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챕터가, 챕터 메뉴에 등록 되어 진다(챕터 메뉴에 표시되는 챕터로서 등록되어진다).
그리고, 최종 챕터가, 대상 챕터가 되어, 챕터 메뉴에 등록 여부를 결정하는 처리가 행해지면(스텝 S113의 처리와, 필요에 따라 스텝 S114의 처리가 행해지면), 스텝 S115에 있어서, 대상 챕터가 최종 챕터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가 리턴된다.
「챕터 등록 처리」의 구체예를, 도 20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규정 시간은, 가변으로 되어 있고, 여기서는, 10분, 30분, 1일(24시간) 중에서 선택된다. 도 20은, 규정 시간이 10분으로 선택된 경우의 예를, 도 21은, 규정 시간이 30분으로 선택된 경우의 예를, 도 22는, 규정 시간이 1일로 선택된 경우의 예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지금,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챕터(211)내지 챕터(217)가, 그 순번으로 배치되어(그 순번으로 재생되도록)구성되는 비디오 데이터가 있다고 하자. 그리고, 챕터(211)내지 챕터(217)에서 왼쪽 위에 기재된 수치는, 그 챕터의 녹화 개시점의 시각(그 챕터의 선두 프레임의 시각)을 나타내고, 또 챕터(211) 내지 챕터(217)에서 오른쪽 위에 기재된 수치는, 그 챕터의 녹화 종료점의 시각(그 챕터의 최종 프레임의 시각)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챕터(211)의 녹화 개시점의 시각은, 10:00(10시)이고, 녹화 종료점의 시각은, 10:08(10시 8분)으로 되어 있다.
이런 경우, 우선, 챕터(211)가, 대상 챕터로 설정된다. 그 시점에서는, 아직 챕터 메뉴(221-1)에 등록 되어 있는 챕터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 챕터(211)가, 챕터 메뉴(221-1)에 등록 된다. 즉, 비디오 데이터를 구성하는 챕터 중에서 선두 챕터는, 자동적으로 챕터 메뉴에 등록 된다.
다음으로, 챕터(211)의 다음 챕터(212)가, 대상 챕터로 설정되면, DVD 메뉴(221-1)에 1개 전에 등록된 챕터(211)의 녹화 개시점의 시각 10:00과 대상 챕터(212)의 녹화 개시점의 시각 10:10과의 시간 간격(10분)이, 규정 시간(10분)이상이므로, 챕터(212)가, 챕터 메뉴(221-1)에 등록 된다.
그 후, 같은 처리가 반복되어져 챕터(213)도, 챕터 리스트(221-1)에 등록 되어, 이번에는, 챕터(213)의 다음 챕터(214)가, 대상 챕터에 설정되면, DVD 메뉴(221-1)에 등록된 1개 전의 챕터(213)의 녹화 개시점의 시각 10:35과 대상 챕터(214)의 녹화 개시점의 시각 10:39과의 시간 간격(4분)이, 규정 시간(10분)미만이므로, 챕터(214)가, 챕터 메뉴(221-1)에 등록 되지 않고, 이어서, 챕터(215)가 대상 챕터로 설정된다.
그 후, 전술한 처리가, 최종 챕터(217)에 이르기까지 반복되어, 최종적으로, 도 20에 나타낸 것과 같은 챕터 메뉴(221-1)가 생성된다.
즉, 챕터(215)는, DVD 메뉴(221-1)에 등록된 1개 전의 챕터(213)의 녹화 개시점의 시각 10:35과 챕터(215)의 녹화 개시점의 시각 10:42과의 시간 간격(7분)이, 규정 시간(10분)미만이므로, 챕터 메뉴(221-1)에 등록 되지 않는다.
이에 비해, 챕터(216)는, DVD 메뉴(221-1)에 등록된 1개전의 챕터(213)의 녹화 개시점의 시각 10:35과 챕터(216)의 녹화 개시점의 시각 11:30과의 시간 간격(55분)이, 규정 시간(10분) 이상이므로, 챕터 메뉴(221-1)에 등록 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챕터(217)는, DVD 메뉴(221-1)에 등록된 1개전의 챕터(216)의 녹화 개시점의 시각 11:30과 챕터(216)의 녹화 개시점의 시각 12:00과의 시간 간격(30분)이, 규정 시간(10분) 이상이므로, 챕터 메뉴(221-1)에 등록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규정 시간은 가변이며, 임의의 시간이 스텝 S111(도 19)의 처리에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0에 있어서는, 규정 시간이 10분으로 되어있지만, 규정 시간이 30분으로 되어있으면, 도 20과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챕터(211) 내지(217)로 구성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의해서는, 도 21에 나타낸 것와 같은 챕터 메뉴(221-2)가 생성된다.
도 20의 챕터 메뉴(221-1)와 도 21의 챕터 메뉴(221-2)를 비교하면, 도 20의 챕터 메뉴(221-1)에 등록 되어 있는 챕터 메뉴(212)가, 도 21의 챕터 메뉴 (221-2)에는 등록 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챕터(212)에 있어서, DVD 메뉴(221-1)에 등록된 1개전의 챕터(211)의 녹화 개시점의 시각 10:00과 대상 챕터 (212)의 녹화 개시점의 시각 10:10과의 시간 간격은 10분이며,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정 시간이 10분인 경우는, 스텝 S113(도 11)의 조건이 만족되지만,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정 시간이 30분인 경우에는, 스텝 S113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규정 시간은, 임의의 시간 만이 아니고, 전술한 1일, 1주일, 1개월 또는, 1년 단위(초, 분, 또는 시간의 단위와는 상이한 단위)로도 설정이 가능하다.
다만, 이들 단위가 설정되는 경우, 날짜 경계선을 단위 설정 기준으로 삼는다. 날짜 경계선은, 단순하게 0:00으로 고정해도 된다. 그러나, 최근의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전날부터 0:00을 넘어 다음 날까지 하나의 이벤트가 계속될 경우가 많이 있어서, 그와 같은 경우, 단순하게 0:00으로 끊어 버리면, 하나의 이벤트가 분할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래서,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날짜 경계선을, 임의의 시각으로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날짜 경계선은, 설계자에 의해 미리 설정 되어도 되지만,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시각이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규정 시간이, 날짜(1일)가 되면, 도 22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같은 날의 챕터 중에서 선두 챕터(예를 들어, 7/1의 챕터(231)와 챕터(232)중에서, 선두 챕터(231))가, 챕터 메뉴(241)에 등록 된다. 즉, 챕터 메뉴(241)에는, 7/1의 선두 챕터(231), 7/2의 선두 챕터(233), 7/3의 선두 챕터(234) 및 7/4의 선두 챕터(235)가 등록 된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챕터(23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록 챕터 의 종료시각이, 전술한 날짜 경계선의 시각을 넘어도, 연속 녹화(녹화 개시점으로부터 녹화 종료점까지의 사이의 녹화)인 경우, 날짜 경계선에서 분할되어, 날짜 경계선 이후의 데이터가 다음 날의 선두 챕터로 취급되지는 않고, 어디까지나 1개의 챕터로 취급된다. 즉, 그 다음의 챕터(지금의 경우, 챕터(235))가, 다음 날의 선두 챕터로 여겨져, 챕터 메뉴에 등록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챕터 메뉴 작성부(107)(도 4)는, 「챕터 메뉴 등록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DV(12)로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DVD에 기록할 경우, 거기에 대응하는 DVD 메뉴의 챕터 메뉴를 PC에 작성시키는 것은 가능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PC를 통하여, 사용자의 수작업으로 지정된 챕터를 챕터 메뉴에 등록하든지, 받아들여진 비디오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챕터를 챕터 메뉴에 등록하였다. 그러므로, 챕터 메뉴의 작성 시간이 장시간이 된다는 문제점과 불필요한 챕터까지 DVD의 메뉴에 등록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와 같이, 녹화 개시점과 녹화 종료점까지의 녹화 구간이 챕터로 되는 경우, 1개의 비디오 데이터(DVD(14)에 기록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매우 많은 챕터로 구성되어, 이들 다수의 챕터 전부가 챕터 메뉴에 등록 되면, 그 챕터 메뉴의 작성에 시간이 걸림과 동시에, 사용자는, 작성된 챕터 메뉴에서, 원하는 챕터를 탐색하는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또, 연속 비디오 데이터를, 단순하게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단락지어, 챕터 메뉴를 작성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지만, 이 방법의 경우, 챕터 메뉴에 등록된 챕터가, 반드시 이벤트마다 작성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 방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챕터 메뉴를 자동적으로 작성하는 것은 곤란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PC(11)(도 1과 도 2)에 있어서는,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도 4)의 하나의 기능으로서,「챕터 등록 처리」가 구비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그다지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고(다만 단지, DV(12)를 PC(11)에 접속하고, DV(12)의 전원을 투입하는 것만으로), 녹화 개시 정보(녹화 개시점)에 따라, 챕터 메뉴가 자동적으로 생성되므로, 사용자의 작업 시간이 걸리지 않고, 자동적으로 챕터 메뉴의 작성이 가능하게 된다.
환언하면, PC(11)는, 소정의 컨텐츠 데이터가, 복수 구간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 복수 구간 중의 소정 구간을 항목으로 하는, 컨텐츠 데이터 구간의 녹화 순번을 나타내는 목차를 작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복수 구간의 각 구간을, 구간의 녹화 순번대로, 대상 구간으로서 순차적으로 설정하고, 목차 항목으로서 1개 전에 등록한 구간의 녹화 개시 시각과 설정한 대상 구간의 녹화 개시 시각과의 시간 간격이, 소정의 규정 시간 이상인 경우, 대상 구간을 목차의 항목으로서 등록하는 처리를 반복하고, 목차를 작성하는 목차 작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각 챕터간의 촬영 개시시각에 따라, 챕터 메뉴가 생성되기 위해서, 소정의 촬영 이벤트 간격마다, 챕터 메뉴 작성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운동회에서 각종 경기가 촬영 이벤트인 경우, 결혼식의 1차 모임와 2차 모임이 각각 촬 영 이벤트인 경우, 또는, 축구경기의 전반과 후반이 각각 촬영 이벤트일 경우 등에 있어서, 여기서 설명한 「챕터 등록 처리」의 효과를 현저하게 볼 수 있게된다.
따라서, 메뉴 작성부(107)는, 「챕터 메뉴 등록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챕터 메뉴의 작성에 대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을 예를 들어, 설명을 하였으나, 실시예는, 도 1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C(11)와 DV(12)의 접속 방법은, 전술한 일련의 처리가 가능한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PC(11)에 크레이들(301; cradle)이 접속되고, 크레이들(301)에 DV(12)를 장착함으로써, PC(11)와 DV(12)가 접속되어도 된다. 즉, 이 경우, 케이블(15)(도 1)대신에, 크레이들(301)이 접속되고, DV(12)가 크레이들(301)에 장착되면, PC(11)의 i.LINK(45)(도 2)와 DV(12)의 i.LINK(78)(도 3)가 접속된다.
또는,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11)와 DV(12)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311)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는, PC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의 형태가 가능하며, 예를 들면,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학 드라이브 기기(321)가 되어도 된다.
광학 드라이브 기기(321)의 구성은, 특별히 도시 하지는 않지만, 기본적으로, 전술한 도 2의 DVD-R/RW 드라이브(36)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단, 이 경우, 광학 드라이브 기기(321)에는,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소프트 웨어 프로그램(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도 4))나, DV(12)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예를 들면, 도 2의 HDD(34)와 같은 하드 디스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예를 들면, 도 2의 CPU(21)와 같은 CPU)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예를 들면, RAM 등) 및 DV(12)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i.LINK도 필요하다.
또는, DV(12)자체에,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소프트 웨어 프로그램(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도 4))이 인스톨되어도 된다.
그런데,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 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 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을 전용 하드웨어에 내장하고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이 실행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 퍼스널 컴퓨터 등에,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기록 매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와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c)를 포함), 광디스크(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 광자기 디스크(MD(Mini-Disc)(등록상표)를 포함),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식 기록 매 체(49)(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되는 것뿐만이 아니고, 컴퓨터에 미리 내장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이나, HDD(34)가 포함되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소프트 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지만,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에 대응하는 하드웨어를 가진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매체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로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전술한 예에 있어서는, DV(12) 포맷을 예를 들어 설명을 했기때문에, 프레임이 사용되었지만, 필드가 사용되어도 되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러한 것(프레임, 또는, 필드)을, 액세스 유닛이라고도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처리 수단, 및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킬 수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가 장착된 DV를 PC에 접속하고, DV의 전원을 투입하는 것만으로(또한 필요에 따라, 처리의 실행을 명령하기 위해 PC의 마우스 클릭 조작을 한번 하는 것만으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를, DV로부터 PC에 수용, DV 포맷에서 DVD 포맷으로 변경시켜, DVD에 기록시킬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가 있다. 즉, 제1 포맷으로 제1 기록 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2 포맷으로 제2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사용자의 수동 조작의 개입 없이 실행시킬 수가 있다.

Claims (6)

  1. 소정의 재생 장치에 의해 그 내용이 재생되는 소정의 기록 매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로서, 각각의 기록 시각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액세스 유닛으로 구성되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 대상으로서, 상기 재생 대상 내의 소정의 액세스 유닛의 상기 기록 매체에서의 기록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기록 위치로부터 상기 재생 장치의 재생 처리를 개시함으로써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재생 제어 수단과,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한 재생 내용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재생되는 복수개의 상기 액세스 유닛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기록 시각을 감시하고, 복수개의 상기 액세스 유닛 중에서 감시한 시점에서의 제1 액세스 유닛의 상기 기록 시각이, 상기 제1 액세스 유닛보다 시간적으로 전(前)에 감시한 제2 액세스 유닛의 상기 기록 시각보다 오래된 시각인 경우,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취득 처리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취득 정지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장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며,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고,
    상기 취득 수단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장착된 상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 빨리 감기, 되감기의 처리, 또는 상기 처리의 정지를 제어하고,
    상기 취득 수단은 또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취득 처리를 개시하는 경우, 상기 재생 제어 수단에 대하여, 상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장착된 상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을 요구하고, 상기 취득 정지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취득 처리의 정지가 제어된 경우, 상기 재생 제어 수단에 대하여 상기 재생의 정지를 요구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장착된 상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선두 위치로부터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취득 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상기 재생 제어 수단에 대하여, 상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장착된 상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상기 선두 위치까지 되감기를 요구하고,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상기 선두 위치까지 되감기가 완료된 것을 검출한 시점에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취득 처리를 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컴퓨터에,
    소정의 재생 장치에 의해 그 내용이 재생되는 소정의 기록 매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로서, 각각의 기록 시각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액세스 유닛으로 구성되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 대상으로서, 상기 재생 대상 내의 소정의 액세스 유닛의 상기 기록 매체에서의 기록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기록 위치로부터 상기 재생 장치의 재생 처리를 개시함으로써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 제어하는 재생 제어 스텝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제어에 의한 재생 내용을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제어에 의해 재생되는 복수개의 상기 액세스 유닛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기록 시각을 감시하고, 복수개의 상기 액세스 유닛 중에서 감시한 시점에서의 제1 액세스 유닛의 상기 기록 시각이, 상기 제1 액세스 유닛보다 시간적으로 전(前)에 감시한 제2 액세스 유닛의 상기 기록 시각보다 오래된 시각인 경우, 상기 재생 내용의 취득 처리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취득 정지 제어 스텝
    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5. 삭제
  6. 삭제
KR1020057003835A 2002-09-06 2003-09-02 정보 처리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0986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60940 2002-09-06
JP2002260940A JP4337317B2 (ja) 2002-09-06 2002-09-06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218A KR20050057218A (ko) 2005-06-16
KR100986227B1 true KR100986227B1 (ko) 2010-10-07

Family

ID=3197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835A KR100986227B1 (ko) 2002-09-06 2003-09-02 정보 처리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72564B2 (ko)
EP (1) EP1536641A4 (ko)
JP (1) JP4337317B2 (ko)
KR (1) KR100986227B1 (ko)
CN (1) CN100448284C (ko)
WO (1) WO2004023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0330A1 (en) * 2005-04-07 2008-05-22 Iof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User Generated Data Pertaining to Sequential Content
JP2008243246A (ja) * 2007-03-26 2008-10-09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記録装置
US8914826B2 (en) * 2008-12-23 2014-12-1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chapter menu for a video program
CN102333247B (zh) * 2011-07-29 2014-10-08 深圳万兴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视频录制装置及视频录制方法
US10063922B2 (en) 2014-09-15 2018-08-28 Vasona Networks Inc. Performance metrics for downloads of encrypted video
US11165680B2 (en) 2014-09-15 2021-11-02 Vasona Networks, Inc. Bit-rate extraction for encrypted vide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6736A (ja) * 1998-08-28 2000-03-14 Sony Corp ダビ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053A (ja) 1983-07-27 1985-02-13 Olympus Optical Co Ltd テ−プコピ−装置
JP2977829B2 (ja) * 1989-01-11 1999-11-15 株式会社東芝 動画像再生装置および動画像再生方法
DE4205762A1 (de) * 1992-02-15 1993-08-19 Andreas Dreier Video-rekorder
JP3134657B2 (ja) * 1994-03-18 2001-02-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ディスク装置
JPH0845255A (ja) 1994-08-03 1996-02-16 Sony Corp オーディオビデオ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H08116514A (ja) 1994-10-18 1996-05-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要約方法および装置
WO1997010673A1 (fr) * 1995-09-11 1997-03-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e de collecte de donnees video/audio utilisant une camera video, et son systeme d'edition
JPH10247302A (ja) * 1997-03-03 1998-09-14 Canon Inc 磁気記録再生装置
JP3932631B2 (ja) * 1997-03-21 2007-06-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圧縮動画像データカット検出装置
US6233389B1 (en) 1998-07-30 2001-05-15 Tivo, Inc. Multimedia time warping system
JP2000059731A (ja) 1998-08-07 2000-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編集装置
JP2000149504A (ja) * 1998-10-30 2000-05-30 Aiwa Co Ltd ダビング方法およびオーディオ装置
EP1189444A1 (en) 2000-09-16 2002-03-20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data recorder for converting first data packet timestamps based on a first clock rate to second data packet timestamps based on a second clock rate
JP2002112167A (ja) 2000-09-27 2002-04-12 Brother Ind Ltd 映像データ編集装置及び記憶媒体
US7386218B2 (en) * 2002-04-17 2008-06-10 Dell Product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video CD author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6736A (ja) * 1998-08-28 2000-03-14 Sony Corp ダビ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37317B2 (ja) 2009-09-30
EP1536641A1 (en) 2005-06-01
WO2004023802A1 (ja) 2004-03-18
KR20050057218A (ko) 2005-06-16
CN1679324A (zh) 2005-10-05
EP1536641A4 (en) 2009-11-04
JP2004104286A (ja) 2004-04-02
CN100448284C (zh) 2008-12-31
US7672564B2 (en) 2010-03-02
US20060126449A1 (en)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257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0030800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媒体
JP2007235374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記録媒体、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218029B2 (ja) 映像記録装置
KR100986227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0988256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7830421B2 (en) Reproducing apparatus
JP442384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33731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02938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0414972C (zh) 摄像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111540B1 (ko)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및프로그램
US20080279526A1 (en) Record/playbac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H07123297B2 (ja) スチル画デイスクの音声記録方式
JP432968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400684B2 (ja) 情報処理装置、記録再生装置
KR20060098816A (ko) 연결 녹화정보를 이용한 녹화 방법
JP2002324383A (ja) 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装置
KR20040079209A (ko) 디지털 녹화기에서의 재생 목록 편집방법
JP2006048826A (ja) 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