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801B1 -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 Google Patents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801B1
KR100985801B1 KR1020100023705A KR20100023705A KR100985801B1 KR 100985801 B1 KR100985801 B1 KR 100985801B1 KR 1020100023705 A KR1020100023705 A KR 1020100023705A KR 20100023705 A KR20100023705 A KR 20100023705A KR 100985801 B1 KR100985801 B1 KR 100985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peroxide
sterilization
chamber
fan
steriliz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철원
Original Assignee
유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원 filed Critical 유철원
Priority to KR102010002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8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801B1/ko
Priority to PCT/KR2011/001847 priority patent/WO2011115428A2/ko
Priority to US13/635,466 priority patent/US2013000438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8Hydrogen pe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5/00Peroxides; 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Superoxides; Ozonides
    • C01B15/01Hydrogen peroxide
    • C01B15/013Separation; Purification; 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는, 피멸균물이 수용되는 멸균 챔버를 갖는 하우징, 멸균 챔버에 피멸균물을 멸균하기 위한 과산화수소증기를 공급하기 위해 멸균 챔버와 연결되는 증발기, 증발기에 액상의 과산화수소를 공급하기 위해 증발기와 연결되는 과산화수소 공급장치, 증발기에 공급된 과산화수소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키고 증발된 수분을 흡입하여 과산화수소를 농축시킬 수 있도록 증발기와 연결되는 농축용 챔버, 농축용 챔버에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해 농축용 챔버와 연결되는 진공 펌프, 멸균 챔버 내부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해 멸균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팬 및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갖는 송풍기, 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멸균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팬 히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는 농축용 챔버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를 농축할 수 있어 피멸균물에 대한 멸균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STERILIZ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HYDROGEN PEROXIDE}
본 발명은 화학 멸균제(Chemical sterilant)를 사용하여 피멸균물을 멸균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피멸균물을 멸균할 수 있는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기구의 멸균에 있어서, 멸균(Sterilization)이란 세척(Cleaning) 또는 소독(Disinfection) 등과는 달리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통하여 살아있는 모든 종류의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의미하는 점에서 높은 수준의 처리를 의미한다. 의료용 기구는 전통적으로 높은 건열(Dry heat) 또는 수증기에 의해 제공되는 열을 사용하거나, 포름알데히드 또는 산화 에틸렌(Ethylene oxide)과 같은 화학물질을 가스 또는 증기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멸균시킨다.
그런데 섬유 광학 장치, 내시경, 동력이 내장된 기구 등과 같은 다수의 의료용 기구는 열, 수분 또는 둘 다에 대해 취약하여 열을 이용하는 종래의 멸균방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산화 에틸렌 가스나 포름알데히드 가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이들이 잠재적인 위험이 있는 발암성의 독성 가스이므로 작업에 큰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산화 에틸렌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멸균된 제품으로부터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8시간 이상의 긴 정화 시간(Aeration time)을 필요로 하여 이는 멸균 사이클 시간을 연장시키는 큰 요인이 된다. 그리고 설치 환경 및 관리에 있어서 독립된 공간과 가스검출기의 설치를 필요로 하므로, 작업이 매우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
산화 에틸렌 가스나 포름알데히드 가스를 이용하는 멸균방법 이외에, 플라즈마를 이용한 멸균방법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멸균장치에 있어서, 플라즈마 상태에서 과산화수소를 주입할 경우 압력이 올라가 플라즈마를 생성시키기 어렵고, 과산화수소가 주입된 상태에서 플라즈마가 생성될 경우 플라즈마가 과산화수소를 분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플라즈마 공정이 과산화수소 주입 전 그리고 후 단계에 놓이게 되는데, 이것은 플라즈마에 의한 멸균이라기보다는 과산화수소에 의한 멸균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 플라즈마 멸균방법은 피멸균물과 플라즈마가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쉬워 폴리머 계통의 의료기구는 변색 또는 물질경화 같은 성질의 변화를 야기하기 쉽다. 그리고 반응용기 내에서 균일하게 플라즈마를 발생시켜야 하기 때문에 반응용기의 크기에 심각한 제한을 갖는다. 또한, 반응용기에 멸균시킬 제품의 양이 많으면 멸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기 쉽다.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피멸균물을 멸균하는데 있어서, 위험물 안전관리법에 의해 농도가 60%이상인 고농도 과산화수소는 취급, 운송 및 사용이 금지되어 있어 보통 50 ~ 58%의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므로, 목적하는 충분한 멸균력을 얻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증기 멸균법이다. 증기 멸균법은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가열하여 증기화시킴으로써 멸균력을 향상시킨다.
종래 증기 멸균법은 반응용기 내부나 외부에서 과산화수소를 증기로 생성시켜 확산시킨 다음,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피멸균물과 접촉시키는 것이어서, 저압의 진공분위기에서 멸균공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종래 증기 멸균법은 가늘고 긴 루멘(Lumen), 즉 직경이 1㎜이하이고 길이가 50㎝이상인 유연한 내시경 등엔 멸균의 핵심역할을 수행하는 과산화수소증기의 침투력이 작다.
즉, 물이 과산화수소보다 증기압이 높아 보다 신속하게 증발되고, 물의 분자량이 낮기 때문에 물이 과산화수소보다 신속하게 기상으로 확산된다. 따라서, 수증기는 보다 신속하게 가늘고 긴 확산 제한 영역 속으로 확산되어 과산화수소증기의 주입을 억제함으로써, 피멸균물에 대한 멸균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과산화수소 및 플라즈마를 이용한 멸균방법에 있어서 멸균 챔버의 온도 및 피멸균물의 온도가 멸균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60℃이하의 온도를 사용하는 종래 저온 멸균기에 있어서는 온도를 높이는 수단으로 진공상태에서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하거나, 단순히 멸균 챔버를 외부에서 60℃이하로 유지하여 내부 복사열을 이용한 소극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으로 병원에서는 피멸균물을 세척한 후 간단히 물기를 제거하고 바로 멸균장치를 이용하여 멸균을 하게 되는데, 종래의 플라즈마 및 과산화수소 멸균장치는 종종 불완전 멸균이 발생하여 재멸균 과정을 거쳐야 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불완전 멸균의 원인은 낮은 온도의 피멸균물로 인해 멸균 챔버의 온도가 낮아지면, 과산화수소 수용액이 기화되었을 때 길고 좁은 루멘과 같은 확산 제한 영역을 갖는 복잡한 피멸균물 속으로 깊숙이 침투되지 못하고 응축되며, 아무리 많은 양의 과산화수소를 주입하더라도 온도가 낮을 경우 기화될 수 있는 양은 한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저온 플라즈마 및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멸균방법 및 멸균장치는 건조 기능을 갖지 못한다. 따라서, 별도의 건조기를 이용하여 멸균 공정이 완료된 피멸균물을 건조시키기 때문에 불편하고, 전체 작업 시간이 길다.
이러한 여러 가지 종래 기술의 문제로 인해, 증기의 확산이 제한되는 길고 좁은 영역을 갖는 피멸균물이나 말단이 폐색된 피멸균물 등 다양한 피멸균물을 저온에서 원활하게 멸균할 수 있고, 저온 환경에서 완벽하게 건조할 수 있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각각의 피멸균물에 맞는 멸균 시간과 멸균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멸균 공정을 다양화하고, 좁고 긴 영역을 갖는 피멸균물 등 다양한 피멸균물에 대한 멸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는, 피멸균물이 수용되는 멸균 챔버를 갖는 하우징, 상기 멸균 챔버에 상기 피멸균물을 멸균하기 위한 과산화수소증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멸균 챔버와 연결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액상의 과산화수소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는 과산화수소 공급장치, 상기 증발기에 공급된 과산화수소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키고 증발된 수분을 흡입하여 상기 과산화수소를 농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는 농축용 챔버, 상기 농축용 챔버에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농축용 챔버와 연결되는 진공 펌프, 상기 멸균 챔버 내부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멸균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팬 및 상기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갖는 송풍기, 상기 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멸균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팬 히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는 상기 증발기와 상기 농축용 챔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농축용 챔버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는 농축조절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는 상기 농축용 챔버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농축용 챔버에 연결되는 농축용 챔버 압력해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 펌프는 상기 멸균 챔버에 진공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멸균 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멸균 챔버와 상기 진공 펌프의 사이에는 상기 멸균 챔버와 상기 진공 펌프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멸균 챔버 압력조절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는 상기 멸균 챔버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멸균 챔버에 연결되는 멸균 챔버 압력해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는 상기 증발기를 가열하기 위한 증발기 히터와 상기 농축용 챔버를 가열하기 위한 농축용 챔버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축용 챔버의 부피는 10ml ~ 상기 멸균 챔버의 부피 사이의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는 상기 농축용 챔버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농축용 챔버에 연결되는 농축용 챔버 압력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하우징의 한쪽 측벽 쪽에 가까이 배치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측벽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상기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팬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팬 히터는 상기 팬과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멸균 챔버 내부의 공기를 상기 팬의 전방에서 후방 쪽으로 유동시키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멸균 챔버 내부의 상기 팬 전방에는 상기 팬 쪽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팬의 중심 쪽으로 집중시키기 위해 상기 팬과 대면하는 통로가 마련된 가이드 판이 설치되며, 상기 멸균 챔버 내부의 공기는 상기 통로, 상기 팬 및 상기 팬 히터를 거쳐 상기 측벽에 부딪힌 후, 상기 가이드 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다시 상기 팬의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는 상기 통로에 배치되어 상기 멸균 챔버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멸균 챔버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는, 상기 멸균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촉매, 상기 광촉매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 멸균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자외선 램프를 갖는 자외선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는 상기 팬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는 이산화티탄(TiO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방법은, (a) 멸균 챔버의 내부에 피멸균물을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멸균 챔버 내부에 설치되는 팬과 팬 히터를 작동시켜 상기 멸균 챔버 내부의 공기 및 상기 피멸균물을 승온시키는 단계; (c) 상기 멸균 챔버와 연결되는 증발기에 액상의 과산화수소를 공급하는 단계; (d)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는 농축용 챔버의 압력을 대기압 미만으로 저감시키는 단계; (e) 상기 증발기와 상기 농축용 챔버 사이의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증발기에 공급된 과산화수소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키고, 증발된 증기를 상기 농축용 챔버로 흡입하여 상기 과산화수소를 농축하는 단계; (f) 상기 과산화수소에서 증발된 수분이 상기 농축용 챔버로 유입되어 상기 농축용 챔버의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증발기와 상기 농축용 챔버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는 단계; (g) 상기 멸균 챔버와 상기 증발기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방하여 농축된 상기 과산화수소를 상기 멸균 챔버로 공급하는 단계; 및 (h) 상기 멸균 챔버 내부에 설치되는 팬과 팬 히터를 작동시켜 상기 멸균 챔버 내부의 공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강제 유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방법은, 상기 (g) 단계 이전에 상기 (d) 단계 내지 상기 (f) 단계가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증발기와 상기 농축용 챔버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 및 상기 농축용 챔버의 온도는 30℃ ~ 150℃ 사이의 온도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g) 단계 이전에 상기 멸균 챔버의 압력을 대기압 미만으로 만드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g) 단계 이후, 상기 멸균 챔버에 외기를 공급하여 상기 멸균 챔버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만드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방법은, 상기 (g) 단계 이전, 또는 상기 (g) 단계 이후에, 상기 멸균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광촉매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는 증발기에 연결된 농축용 챔버의 압력을 저감시켜서 증발기에 공급된 과산화수소로부터 수분을 증발시켜 과산화수소를 농축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를 통해 농축된 과산화수소증기를 멸균 챔버로 공급할 수 있어서 멸균 챔버에 수용되는 피멸균물에 대한 멸균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과산화수소에 대한 수분의 증발 횟수를 조절하여 각 횟수에 따라 과산화수소의 농도와 양을 조절하여 각기 다른 피멸균물에 적합한 멸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내시경과 같은 좁고 긴 물품이나, 한쪽이 막힌 루멘 형태의 피멸균물 등 다양한 형태의 피멸균물에 대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각 피멸균물에 맞는 공정시간과 멸균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공정을 다양화하여 멸균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멸균에 의해 피멸균물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는 멸균 챔버 내부의 피멸균물을 팬과 히터를 이용한 온풍의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승온시킬 수 있고, 멸균 챔버 내부의 공기 및 피멸균물의 온도를 고르게 승온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과산화수소가 기화될 때 수분이 먼저 길고 좁은 확산 제한 영역으로 침투하여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과산화수소가 응축되지 않고 더 많은 양이 기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멸균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는 광촉매와 자외선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산소, 수분 및 주입된 과산화수소를 플라즈마 상태로 만들고 이를 팬을 이용하여 순환시킴으로써, 고밀도의 OH라디칼을 생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고가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고, 멸균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는 팬과 히터로 발생시킨 열풍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멸균 챔버 내부의 공기와 피멸균물을 전체적으로 충분히 승온시킨 후 진공 배기시킴으로써, 피멸균물 및 멸균 챔버 내부의 수분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건조기가 없이 피멸균물을 충분히 건조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건조기가 필요없어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를 이용한 멸균 과정에서 농축용 챔버의 압력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를 이용한 멸균 실험예에서 농축 과정의 반복에 따른 증발기 및 농축챔버의 내부 압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팬과 팬 히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와 팬과 히터를 사용할 때 시간에 따른 멸균 챔버의 온도 변화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멸균 챔버의 온도와 과산화수소의 농도에 따른 멸균 챔버 내부의 과산화수소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팬 및 자외선 발생기 동작 전후를 비교하여 과산화수소의 농도 변화를 10초 간격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10)는, 피멸균물이 수용되는 멸균 챔버(11)를 갖는 하우징(12), 멸균 챔버(11)에 과산화수소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발기(13), 증발기(13)에 과산화수소를 공급하기 위한 과산화수소 공급장치(14), 증발기(13)에 공급된 과산화수소를 농축시키기 위한 농축 장치(15),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진공 펌프(16), 멸균 챔버(11) 내부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기(17),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 발생기(18)를 포함한다. 하우징(12)의 일측에는 피멸균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9)가 결합된다.
멸균 챔버(11)는 증발기(13) 및 진공 펌프(15)와 연결된다. 멸균 챔버(11)와 증발기(13)의 사이에는 과산화수소증기 공급조절 밸브(20)가 설치되고, 멸균 챔버(11)와 진공 펌프(16)의 사이에는 멸균 챔버 압력조절 밸브(21)가 설치된다. 또한, 멸균 챔버(11)의 일측에는 외부 공기를 멸균 챔버(11)로 유입시키기 위한 멸균 챔버 압력해제 밸브(22)가 연결된다. 이들 과산화수소증기 공급조절 밸브(20), 멸균 챔버 압력조절 밸브(21) 및 멸균 챔버 압력해제 밸브(22)는 제어장치(47)에 의해 제어된다.
과산화수소증기 공급조절 밸브(20)는 멸균 챔버(11)와 증발기(13)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함으로써 멸균 챔버(11)에 대한 과산화수소증기의 공급을 조절한다. 멸균 챔버 압력조절 밸브(21)는 멸균 챔버(11)와 진공 펌프(15)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며, 멸균 챔버 압력조절 밸브(21)가 개방된 상태에서 진공 펌프(15)가 작동하면 멸균 챔버(11)의 공기가 진공 펌프(15) 쪽으로 배출되어 멸균 챔버(11)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멸균 챔버 압력해제 밸브(22)는 멸균 챔버(11)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것으로, 멸균 챔버 압력해제 밸브(22)가 개방되면 외부 공기가 멸균 챔버(11)로 유입되어 멸균 챔버(11)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멸균 챔버(11)의 내부 압력은 하우징(12)에 설치된 멸균 챔버 압력계(23)에 의해 검출되고, 제어장치(47)가 멸균 챔버 압력계(23)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진공 펌프(15), 멸균 챔버 압력조절 밸브(21), 멸균 챔버 압력해제 밸브(22)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멸균 챔버(11)의 내부 압력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멸균 챔버(11)의 내부 온도는 멸균 챔버(11) 내부에 배치된 팬 히터(24), 하우징(12)에 설치된 제 1 멸균 챔버 히터(25) 및 도어(19)에 설치된 제 2 멸균 챔버 히터(26)에 의해 조절된다. 이들 히터(24)(25)(26)는 제어장치(47)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장치(47)는 팬 히터 센서(27), 제 1 멸균 챔버 히터 센서(28), 제 2 멸균 챔버 히터 센서(29) 및 멸균 챔버 온도 센서(51)로부터 신호를 제공받고 각 히터(24)(25)(26)를 제어함으로써 멸균 챔버(11)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증발기(13)는 과산화수소 공급장치(14)와 연결된다. 증발기(13)와 과산화수소 공급장치(14)의 사이에는 제어장치(47)에 의해 제어되는 과산화수소 공급조절 밸브(30)가 설치된다. 과산화수소 공급장치(14)는 액상의 과산화수소를 증발기(13)에 공급한다. 증발기(13)의 온도는 제어장치(47)에 의해 제어되는 증발기 히터(31)에 의해 조절된다. 제어장치(47)는 증발기 히터 센서(3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증발기 히터(31)를 제어함으로써 증발기(13)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농축 장치(15)는 증발기(13) 및 진공 펌프(16)와 연결된다. 농축 장치(15)의 내부에는 증발기(13)에서 증발되는 과산화수소나 수분을 수용하기 위한 농축용 챔버(33)가 마련된다. 농축 장치(15)와 증발기(13)의 사이에는 농축조절 밸브(34)가 설치되고, 농축 장치(15)와 진공 펌프(16)의 사이에는 농축용 챔버 압력조절 밸브(35)가 설치된다.
이 밖에 농축 장치(15)에는 농축용 챔버 압력해제 밸브(36)와 농축용 챔버 압력계(37)가 설치된다. 농축조절 밸브(74), 농축용 챔버 압력조절 밸브(35) 및 농축 챔버 압력해제 밸브(36)는 제어장치(47)에 의해 제어된다. 농축용 챔버(33)의 온도는 농축용 챔버 히터(38)에 의해 조절된다. 농축용 챔버 히터(38)는 제어장치(47)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한다. 제어장치(47)는 농축용 챔버 히터 센서(39)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농축용 챔버 히터(38)를 제어함으로써 농축용 챔버(33)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진공 펌프(16)는 제어장치(47)에 의해 제어되며, 멸균 챔버(11)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멸균 챔버(11)의 내부 압력을 저감시킨다. 또한, 진공 펌프(16)는 농축용 챔버(33)에 진공압을 제공함으로써 농축용 챔버(33)의 내부 압력을 떨어트린다. 농축용 챔버(33)의 압력이 떨어질 때 농축조절 밸브(34)가 개방되면 증발기(13)에 제공된 과산화수소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하여 농축용 챔버(33)로 흡입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송풍기(17)는 멸균 챔버(11) 내부에 배치된 팬(40)과 팬(4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41)를 포함한다. 모터(41)는 하우징(12)의 외부에 설치되며, 모터(41)의 회전축(41a)은 하우징(12)의 측벽을 관통하여 팬(40)과 연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모터(41)의 회전축(41a)이 관통하는 하우징(12)의 측벽에는 멸균 챔버(11)와 외부와의 공기 유동을 막기 위한 실링부재가 설치된다. 팬(40)의 표면에는 이산화티탄(TiO2) 등의 광촉매(42)가 코팅된다.
팬(40)은 멸균 챔버(11)의 한쪽 측벽 가까이 배치됨으로써 멸균 챔버(11) 내의 공기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유동시킬 수 있다.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팬(40)의 전방에는 가이드 판(43)이 배치된다. 가이드 판(43)은 팬(40)과 대면하는 통로(44)를 갖는다. 팬(40)은 멸균 챔버(11)의 공기를 끌어당기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며, 멸균 챔버(11)의 공기는 가이드 판(43)의 통로(44) 및 팬(40)을 거쳐 팬(40)의 후방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팬(40)의 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팬(40)과 측벽 사이에 배치된 팬 히터(24)에 의해 가열되고 팬 히터(24)를 거친 공기는 측벽에 부딪힌 후, 측벽을 따라 팬 히터(24)의 외측으로 유동한다. 계속해서 팬 히터(24)의 외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가이드 판(43)과 멸균 챔버(11)의 상면 사이의 공간, 가이드 판(43)과 멸균 챔버(11)의 하면 사이의 공간, 또는 가이드 판(43)과 멸균 챔버(11)의 전후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다시 팬(40)의 전방 쪽으로 유동한다. 따라서, 멸균 챔버(11)의 공기는 전체적으로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다. 멸균 챔버(11)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멸균 챔버 온도 센서(51)는 가이드 판(43)의 통로(44)에 배치된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 팬 히터(24) 없이 멸균 챔버(11)를 감싸는 제 1 멸균 챔버 히터(25)나 제 2 멸균 챔버 히터(26) 만을 이용하여 멸균 챔버(11)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팬(40)의 회전 방향은 상술한 것의 반대 방향이 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멸균 챔버(11)의 일측에는 자외선 발생기(18)가 설치된다. 자외선 발생기(18)는 광촉매(42)가 코팅된 팬(40)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 램프(45)와 자외선을 감지하기 위한 자외선 센서(46)를 포함한다. 자외선 램프(45)와 자외선 센서(46)는 제어장치(47)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장치(47)는 자외선 센서(46)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자외선 램프(45)의 동작을 제어한다. 광촉매(42)와 자외선을 이용하면 공기 중의 수분, 과산화수소 증기 등을 OH라디칼로 변경시킴으로써 멸균력을 높이고,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42)와 자외선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광촉매(42)는 팬(40) 이외에 하우징(12)의 내면이나 가이드 판(43) 등 멸균 챔버(11)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장치(47)는 각종 센서 및 압력계에서 발생하는 신호 및 입력장치(48)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멸균장치(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장치(47)는 출력장치(49)를 통해 멸균 챔버(11)의 온도 및 압력 등 멸균장치(10)의 동작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밖에 미설명 부호 50은 멸균 챔버 압력해제 밸브(22)가 개방될 때 오염된 공기가 멸균 챔버(1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를 이용하여 피멸균물을 멸균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피멸균물을 세척한 후, 세척된 피멸균물을 멸균 챔버(11)에 넣는다. 도어(19)를 닫고 대기압 상태에서 모터(41)를 가동하여 팬(40)을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팬 히터(24)를 작동시킨다. 이때, 멸균 챔버(11) 내부의 공기가 유동하면서 팬 히터(24)에 의해 가열된 후 피멸균물 및 멸균 챔버(11) 전체에 고르게 전달된다. 팬 히터(24)와 함께 제 1 멸균 챔버 히터(25) 및 제 2 멸균 챔버 히터(26)를 작동시키면 멸균 챔버(11) 내부의 온도 및 피멸균물을 더욱 신속하게 승온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멸균 챔버(11)의 온도는 30 ~ 60℃ 사이의 적절한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과정에서 OH라디칼에 의한 제 1 멸균을 진행할 수도 있다. 즉, 온도를 승온시킨 상태에서 자외선 발생기(18)가 팬(40)에 코팅된 광촉매(42)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광촉매(42)와 자외선의 작용으로 공기 중의 산소, 수분을 싱글렛 옥시젼(O1-), 수퍼 옥사이드 아니온(O2-), 광오존(O3-)과 하이드록실 이온(OH-), 하이드로젼 프로톤(H+) 등의 산소 음이온들이 함께 혼재되어 있는 플라즈마 상태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팬(40)을 이용하여 순환시켜 생성과 연쇄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고밀도의 OH라디칼을 생성시킬 수 있고, 이로써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고가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멸균 챔버(11)의 온도는 상술한 범위 이외의 적절한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 1 멸균은 공정에 따라서는 생략이 되기도 한다.
멸균 챔버(11) 및 피멸균물을 상온보다 높은 온도(예컨대, 50℃~ 60℃)로 승온시키는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또는 제 1 멸균이 진행되는 동안 증발기(13)에서 과산화수소를 농축시킨다. 과산화수소를 농축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증발기 히터(31) 및 농축용 챔버 히터(38)를 이용하여 증발기(13)와 농축용 챔버(33)의 온도를 똑같이 맞춘 후, 과산화수소 공급조절 밸브(30)를 조절하여 증발기(13)에 액상의 과산화수소를 공급한다. 다음으로, 과산화수소 공급조절 밸브(30)를 닫고 진공 펌프(16)를 작동시키면서 농축용 챔버 압력조절 밸브(35)를 열어 농축용 챔버(33)의 압력을 대기압 이하의 적절한 증발 압력(P1)까지 낮춘다. 이 과정은 도 3에서 A로 표시된 부분이다.
농축용 챔버(33)의 압력이 증발 압력(P1)까지 떨어지면, 농축조절 밸브(34)를 연다. 이때, 증발기(13)에 공급된 과산화수소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하여 농축용 챔버(33)로 흡입된다. 수분이 농축용 챔버(33)로 유입되면 농축용 챔버(33)의 압력은 상승하게 되며, 수분이 포화되면 농축용 챔버(33)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과정은 도 3에서 B로 표시된 부분이다.
수분 유입에 의한 농축용 챔버(33)의 압력 상승은 증발기(13)로 공급된 과산화수소의 양과 농도, 농축용 챔버(33)의 부피, 온도 및 압력, 그리고 증발기(13)의 온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수분이 증발하여 농축용 챔버(33)로 유입될 때 과산화수소가 일부 증발하여 수분과 함께 농축용 챔버(33)로 유입될 수도 있다. 농축용 챔버(33)로 흡입된 수분이 포화 상태가 되면 농축조절 밸브(34)를 닫는다.
다음으로, 농축용 챔버 압력조절 밸브(35)를 열어 농축용 챔버(33)로 유입된 수분을 진공 펌프(16)를 이용하여 농축용 챔버(33)로부터 제거하고 농축용 챔버(33)의 압력을 다시 증발 압력(P1)까지 낮춘다. 이 과정은 도 3에서 C로 표시된 부분이며, 도 3에서 B, C 과정이 농축 1회에 해당한다. 이렇게 증발기(13)에 공급된 과산화수소에서 수분이 제거됨으로써 증발기(13)에 공급된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증가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농축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증발기(13)의 내부 압력은 감소하고 증발기(13)에 공급된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지속적으로 높아진다.
여기에서, 공급되는 과산화수소의 양, 농도, 농축용 챔버(33)의 부피, 온도 및 압력, 증발기(13)의 온도 등은 멸균 챔버(11)에 수용되는 피멸균물의 종류, 부피, 개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공급되는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1 wt% ~ 60 wt% 사이의 농도일 수 있고, 증발기(13)의 온도는 30℃ ~ 150℃ 사이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농축용 챔버(33)는 그 부피가 10ml ~ 멸균 챔버 부피 사이의 크기이고, 온도는 30℃ ~ 150℃ 사이로 설정될 수 있다. 농축용 챔버(33)의 증발 압력(P1)은 대기압 이하의 0 ~ 760 Torr 사이의 적절한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아래의 표1과 도 4는 상술한 것과 같은 농축 과정을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5회 반복한 실험예의 결과이다.

0회 1 회 2회 3회 4회 5회
과산화수소 양 5ml
5ml 5ml 5ml 5ml 5ml
과산화수소 농도
58 wt% 58 wt% 58 wt% 58 wt% 58 wt% 58 wt%
증발기 온도
60℃ 60℃ 60℃ 60℃ 60℃ 60℃
농축용 챔버 온도
60℃ 60℃ 60℃ 60℃ 60℃ 60℃
농축용 챔버 시작 압력
5 Torr 5 Torr 5 Torr 5 Torr 5 Torr 5 Torr
농축용 챔버 종료 압력
- 64 Torr 56 Torr 48 Torr 41 Torr 34 Torr
잔류 과산화수소량
- 4.3ml 3.6ml 2.9ml 2.2 ml 1.6
잔류 과산화수소 농도
- 65 wt% 71 wt% 78wt% 85 wt% 91wt%
본 실험예에서 멸균에 사용된 과산화수소의 양은 5ml이고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58 wt%이다. 농축용 챔버(33)의 부피는 5 liter이고 온도는 60℃이며, 증발기(13)의 용량은 100 ml이고 온도는 60℃로 설정된 것이다. 농축용 챔버(33)의 증발 압력(P1)은 5 Torr이다.
표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농축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증발기(13) 및 농축용 챔버(33)의 내부 압력은 일정하게 감소하고 증발기(13)에 공급된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농축조절 밸브(34)가 열린 상태이므로 증발기(13)와 농축용 챔버(33)의 압력은 같다.
이러한 과산화수소의 농축을 통한 살균력 향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예는 다음과 같다.
농축용 챔버(33)를 통한 농축이 이루어지는 과정 중에 멸균 챔버 압력조절밸브(21)를 열어 멸균 챔버(11)의 압력을 약 0.5 ~ 1 Torr로 낮춘다. 멸균 챔버(11)의 압력은 대기압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Torr 이하의 적절한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멸균 챔버(11)의 압력 조절은 농축 과정과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고 농축이 완료된 후에 진행되거나, 농축 과정 이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멸균 챔버(11)의 압력은 농축된 과산화수소가 주입될 때 대기압 미만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과 같은 과산화수소 농축 과정이 완료되면, 농축조절 밸브(34)를 닫고 과산화수소증기 공급 밸브(20)를 열어 농축된 과산화수소를 멸균 챔버(11)로 공급하여 멸균 챔버(11)에 수용된 피멸균물에 대한 멸균 과정을 진행한다. 그리고 농축용 챔버 압력조절 밸브(35)를 닫고 농축용 챔버 압력해제 밸브(36)를 열어 농축용 챔버(33)를 대기압 상태로 복귀시킨다.
본 실험예에서 멸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생물학적 지시계로서 106개의 바실러스 스테아로써모필루스(Bacillus Stearothermophilus) 생포자(viable spore)를 이용하였다. 멸균 챔버(11)에 수용되는 피멸균물로는 침투가 어려운 힌지에 상기 생포자를 접종한 수술용 가위 10개, 경질 내시경을 대표하는 스테인레스스틸 관의 Ø1mm x 60cm 중심에 생포자를 접종한 Hard Lumen 10개, 연질 내시경을 대표하는 Teflon 관의 Ø1mm x 2m 중심에 생포자를 접종한 Soft Lumen 10개, 산화 에틸렌 가스 멸균기와 진공 Type Steam 멸균기의 PCD(Process Challenge Device)로 사용되는 한쪽이 막힌 형태의 내경 Ø2 x 1,500mm 의 말단 부위에 생포자가 접종된 Dics를 삽입한 PCD 5개를 이용하여 농축 회수에 따른 멸균력을 비교 평가 하였다. 이때 멸균 챔버(11)의 설정온도는 50 ℃, 멸균 챔버(11)의 용량은 50 liter이었다.
상술한 실험예에 의한 결과는 아래의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다.

농축 1 회 농축 2회 농축 3회 농축 4회 농축 5회
수술용 가위
5/10 7/10 10/10 10/10 10/10
Hard Lumen(Φ1mm x 600mm)
0/10 3/10 7/10 9/10 10/10
Soft Lumen(Φ1mm x 2,000mm)
2/10 5/10 8/10 10/10 10/10
한쪽이 막힌PCD(Φ2mm x 1,500mm)
0/5 0/5 2/5 4/5 5/5
표 2를 보면 농축 과정의 반복 횟수가 증가할수록 멸균 효과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농축 과정의 반복 횟수가 증가할수록 과산화수소의 양은 줄어들지만, 농도가 높아짐으로써 피멸균물에 대한 과산화수소의 침투력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즉,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높아지면 과산화수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분압이 낮고 분자량이 가벼운 수분이 먼저 피멸균 부위에 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수분이 과산화수소의 유입을 방해하는 종래의 문제를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멸균력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를 이용한 멸균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멸균 챔버(11)에 수용된 피멸균물을 멸균하기에 적합한 농도로 과산화수소 농축 과정이 완료되고, 멸균 챔버(11) 및 피멸균물의 온도가 적절히 승온되면, 농축조절 밸브(34)를 닫고 과산화수소증기 공급 밸브(20)를 열어 농축된 과산화수소를 멸균 챔버(11)로 공급한다.
과산화수소 공급 시 멸균 챔버(11)의 압력은 멸균 챔버 압력조절 밸브(21)를 개방함으로써 적절한 진공압으로 조절된다. 멸균 챔버(11)의 압력은 대기압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Torr 이하의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과산화수소증기가 멸균 챔버(11)로 유입될 때, 팬(34)과 자외선 발생기(17)는 작동하지 않는다.
과산화수소증기가 주입되면 멸균 챔버(11)의 압력은 상승하다가 포화가 되면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 과정에서 과산화수소증기가 피멸균물에 침투된다. 이후, 멸균 챔버 압력해제 밸브(22)를 열어 멸균 챔버(11)의 압력을 상승시켜, 피멸균물에 대한 과산화수소증기의 추가적인 침투를 유도하여, 과산화수소 증기로 피멸균물을 멸균하는 제 2 멸균을 진행한다.
그리고 대기압 상태에서 자외선 램프(45), 팬(40) 및 팬 히터(24)를 동작시켜 플라즈마 상태를 만들고 OH라디칼을 생성시켜 제 3 멸균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과산화수소는 물과 산소로 분해되며, 또한 OH라디칼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과산화수소의 분해 및 탈취가 이루어진다. 이후, 멸균 챔버(11)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과산화수소 잔류량을 제거하고, 다시 외기를 제공하여 멸균 공정을 완료한다.
이렇게 송풍기(17)와 팬 히터(24)를 이용하여 멸균 챔버(11) 및 피멸균물을 승온시킴으로써, 과산화수소증기가 응축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더 많은 양의 과산화수소증기를 피멸균물에 침투시킴으로써 멸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5의 그래프는 팬과 팬 히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와 팬과 히터를 사용할 때 시간에 따른 멸균 챔버의 온도 변화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보면 팬(40)과 팬 히터(24)를 사용할 경우 멸균 챔버(11)의 온도를 보다 신속하게 승온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실험에 사용된 멸균 챔버(11)의 부피는 50 Liter, 송풍기(17)의 용량은 15 ~ 20 m3/min, 팬 히터(24)의 용량은 1500 W이다.
도 6의 그래프는 멸균 챔버의 온도와 과산화수소의 농도에 따른 멸균 챔버 내부의 과산화수소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보면 50℃의 60 wt%와 40℃의 80 wt%의 농도가 거의 동일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온도의 상승이 농도가 높은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것만큼의 효과가 있음을 알려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10)는 팬(40)에 코팅된 광촉매(42)와 자외선 발생기(18)를 이용하여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42)와 자외선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멸균 챔버(11) 내부로 과산화수소증기가 유입된 상태에서 자외선 발생기(18)가 팬(40)에 코팅된 광촉매(42)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광촉매(42)와 자외선의 작용으로 공기 중의 산소, 수분, 과산화수소를 싱글렛 옥시젼(O1-), 수퍼 옥사이드 아니온(O2-), 광오존(O3-)과 하이드록실 이온(OH-), 하이드로젼 프로톤(H+) 등의 산소 음이온들이 함께 혼재되어 있는 플라즈마 상태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팬(40)을 이용하여 순환시켜 생성과 연쇄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고밀도의 OH라디칼를 생성시킬 수 있고, 이로써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고가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다.
OH라디칼 즉 수산기의 산화력은 오존보다는 약 1.35배, 이산화염소보다 약 1.86배, 과산화수소보다 약 1.57배나 더 강력한 살균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과산화수소증기만 사용하는 것보다 과산화수소증기를 이용한 멸균 전·후로 플라즈마를 함께 사용하면 멸균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아래의 표3은 팬, 팬 히터 및 자외선 발생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와 팬, 팬 히터 및 자외선 발생기를 작동시킬 때 멸균력을 비교한 실험 결과이다.
(사멸 수량/실험 수량)

팬, 팬 히터 및 자외선 발생기 미동작 팬, 팬 히터 및 자외선 발생기 동작
수술용 가위
5/10 10/10
Hard Lumen(φ1mm x 600mm)
0/10 9/10
Soft Lumen(φ1mm x 2,000mm)
2/10 10/10
한쪽이 막힌PCD(φ2mm x 1,500mm)
0/5 4/5
본 실험예에서 멸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생물학적 지시계로서 106개의 바실러스 스테아로써모필루스(Bacillus Stearothermophilus) 생포자(viable spore)를 이용하였다. 멸균 챔버(11)에 수용되는 피멸균물로는 침투가 어려운 힌지에 상기 생포자를 접종한 수술용 가위 10개, 경질 내시경을 대표하는 스테인레스스틸 관의 Φ1mm x 60cm 중심에 생포자를 접종한 Hard Lumen 10개, 연질 내시경을 대표하는 Teflon 관의 Φ1mm x 2m 중심에 생포자를 접종한 Soft Lumen 10개, 산화 에틸렌 가스 멸균기와 진공 Type Steam 멸균기의 PCD(Process Challenge Device)로 사용되는 한쪽이 막힌 형태의 내경 Φ2 x 1,500mm 의 말단 부위에 생포자가 접종된 Dics를 삽입한 PCD 5개를 이용하여, 팬(34), 팬 히터(24) 및 자외선 발생기(17)의 동작, 미동작에 따른 멸균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서, 멸균 챔버(11)의 부피는 50 Liter, 멸균 챔버(11)의 온도는 50 ℃, 송풍기(17)의 용량은 15 ~ 20 m3/min, 팬 히터(24)의 용량은 1500 W, 공급된 과산화수소는 농도 58 wt%에 2ml, 자외선의 조사 세기는 20 W, 광촉매(42)는 이산화티탄(TiO2), 광촉매(42)의 표면적은 약 40 cm2이다. 상기 실험은 팬, 팬 히터 및 자외선 발생기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므로 과산화수소의 농축과정을 거치지 않고, 공급된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이다.
또한, 광촉매(42)와 자외선을 이용하면 멸균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과산화수소의 분해 및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진공이 아닌 대기압 상태에서 플라즈마에 의한 멸균이 이루어지므로, 다음과 같은 원리로 과산화수소가 분해되고 과산화수소 특유의 냄새뿐 아니라 멸균 시 발생하는 각종 악취가 분해되어 탈취된다.
(1) 광촉매(42, 이산화티탄)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전자(e-)와 정공(h+)이 발생된다.
(2) 발생된 전자와 정공은 산소, 물, 과산화수소와 반응하여 다음과 같이 과산소라디칼(O2-)과 하이드록시라디칼(OH+)을 생성한다.
H2O2 → H2O + O2
O2 + e- = O2- (+) H2O + h+ = OH+
(3) 생성된 라디칼들(O2-, OH+)은 강한 산화력이 있어 악취, 세균, 박테리아, 곰팡이, NOx,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을 산화 및 환원시킨다.
(4) 팬(40)을 이용하여 상기 반응을 연쇄 반응 및 반복 반응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이산화탄소(CO2)와 물(H2O)로 변화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과산화수소를 분해하고 과산화수소 특유의 냄새뿐 아니라 멸균 시 발생하는 각종 악취를 분해하여 탈취시킬 수 있다.
도 7은 팬 및 자외선 발생기 동작 전후를 비교하여 과산화수소의 농도 변화를 10초 간격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광촉매(42)와 자외선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와 사용할 경우의 멸균 챔버(11)의 과산화수소와 물의 농도를 비교해 보면, 광촉매와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에 과산화수소가 물이 되는 속도가 훨씬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에서, 멸균 챔버(11)의 온도는 50 ℃, 멸균 챔버(11)의 용량은 50 liter, 자외선의 조사 세기는 20 W, 광촉매(42)의 코팅 면적은 약 40 cm2, 송풍기(17)의 용량은 15 ~ 20 m3/min, 공급된 과산화수소는 농도 58 wt%에 2 ml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는 피멸균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기능을 갖는다. 피멸균물을 건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멸균 공정이 끝나면, 대기압 상태에서 팬(40)과 팬 히터(24)를 이용하여 멸균 챔버(11) 내부의 피멸균물 및 잔류 수분을 승온시킨다. 이때, 승온 온도는 30 ~ 60 ℃가 적정하다. 피멸균물이 적정 온도까지 승온되면 멸균 챔버 압력조절 밸브(21)를 열고 진공 펌프(16)를 작동시켜 진공 배기시킴으로써 멸균 챔버(11)의 압력을 소정 압력까지 떨어뜨린다. 이때, 멸균 챔버(11)의 압력은 대기압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Torr 이하인 것이 적정하다.
일정 시간 멸균 챔버(11)를 진공 배기시킨 후, 배기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멸균 챔버 압력조절 밸브(21)를 닫고 멸균 챔버 압력해제 밸브(22)를 열어 멸균 챔버(11)에 다시 공기를 주입한다. 그리고 다시 팬(40)과 팬 히터(24)를 작동시켜 멸균챔버(11) 내부를 승온시킨 후, 다시 진공 배기 공정을 진행한다. 이러한 가열 및 진공 배기 공정을 반복하면 피멸균물에 잔류하는 수분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아래의 표4는 과산화수소 농축과 더불어 팬(40), 팬 히터(24) 및 자외선 발생기(18)를 작동할 경우의 멸균력 향상 효과를 나타낸 실험예의 결과이다.
아래의 표 4는 과산화수소가 농축되지 않고 팬, 팬 히터 및 자외선 발생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와, 과산화수소가 농축되고 팬, 팬 히터 및 자외선 발생기가 작동할 때 멸균력을 비교한 실험 결과이다.
(사멸 수량/실험 수량)

팬, 팬 히터 및 자외선 발생기
미동작

팬, 팬 히터 및 자외선 발생기 동작
미농축
(58wt %)
농축 1 회 농축 2회 농축 3회 농축 4회 농축 5회
Hard Lumen
(Φ0.5mm x 600mm)
0/10 3/10 5/10 8/10 10/10 10/10
Soft Lumen
(Φ0.5mm x 2,000mm)
0/10 4/10 7/10 9/10 10/10 10/10
본 실험예에서 멸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생물학적 지시계로서 106개의 바실러스 스테아로써모필루스(Bacillus Stearothermophilus) 생포자(viable spore)를 이용하였다. 멸균 챔버(11)에 수용되는 피멸균물로는 경질 내시경을 대표하는 스테인레스스틸 관의 Φ0.5mm x 60cm 중심에 생포자를 접종한 Hard Lumen 10개, 연질 내시경을 대표하는 Teflon 관의 Φ0.5mm x 2m 중심에 생포자를 접종한 Soft Lumen 10개가 이용되었다. 실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과산화수소를 농축하여 멸균 챔버(11)에 공급하고, 팬(40), 팬 히터(24) 및 자외선 발생기(18)를 사용할 경우 멸균력이 상당히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10)는 의료기구 등 피멸균물의 형태에 따라 과산화수소의 양 및 농도를 어렵지 않게 조절할 수 있어 피멸균물의 멸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간단한 피멸균물은 적은 양의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에 멸균할 수 있고, 구조가 복잡한 피멸균물은 전체 작업 시간을 늘려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높임으로써 충분한 멸균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과산화수소에 약한 피멸균물에 대해서는 저농도의 과산화수소를 공급함으로써 피멸균물이 손상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팬(40)과 팬 히터(24)를 이용하여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피멸균물에 대한 멸균력을 더욱 높일 수 있고, 별도의 건조기가 필요없이 피멸균물을 건조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멸균장치 11 : 멸균 챔버
12 : 하우징 13 : 증발기
14 : 과산화수소 공급장치 15 : 농축 장치
16 : 진공 펌프 17 : 송풍기
18 : 자외선 발생기 19 : 도어
20 : 과산화수소증기 공급조절 밸브 21 : 멸균 챔버 압력조절 밸브
22 : 멸균 챔버 압력해제 밸브 23 : 멸균 챔버 압력계
24 : 팬 히터 25, 26: 제 1, 2 멸균 챔버 히터
30 : 과산화수소 공급조절 밸브 31 : 증발기 히터
33 : 농축용 챔버 34 : 농축조절 밸브
35 : 농축용 챔버 압력조절 밸브 36 : 농축용 챔버 압력해제 밸브
37 : 농축용 챔버 압력계 38 : 농축용 챔버 히터
40 : 팬 41 : 모터
42 : 광촉매 43 : 가이드 판
45 : 자외선 램프 47 : 제어장치

Claims (24)

  1. 피멸균물이 수용되는 멸균 챔버를 갖는 하우징;
    상기 멸균 챔버에 상기 피멸균물을 멸균하기 위한 과산화수소증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멸균 챔버와 연결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액상의 과산화수소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는 과산화수소 공급장치;
    상기 증발기에 공급된 과산화수소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키고 증발된 수분을 흡입하여 상기 과산화수소를 농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는 농축용 챔버;
    상기 농축용 챔버에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농축용 챔버와 연결되는 진공 펌프;
    상기 멸균 챔버 내부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멸균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팬 및 상기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갖는 송풍기; 및
    상기 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멸균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팬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하우징의 한쪽 측벽 쪽에 가까이 배치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측벽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상기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팬과 연결되며,
    상기 팬 히터는 상기 팬과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팬은 상기 멸균 챔버 내부의 공기를 상기 팬의 전방에서 후방 쪽으로 유동시키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멸균 챔버 내부의 상기 팬 전방에는 상기 팬 쪽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팬의 중심 쪽으로 집중시키기 위해 상기 팬과 대면하는 통로가 마련된 가이드 판이 설치되며,
    상기 멸균 챔버 내부의 공기는 상기 통로, 상기 팬 및 상기 팬 히터를 거쳐 상기 측벽에 부딪힌 후, 상기 가이드 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다시 상기 팬의 전방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상기 농축용 챔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농축용 챔버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는 농축조절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용 챔버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농축용 챔버에 연결되는 농축용 챔버 압력해제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펌프는 상기 멸균 챔버에 진공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멸균 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멸균 챔버와 상기 진공 펌프의 사이에는 상기 멸균 챔버와 상기 진공 펌프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멸균 챔버 압력조절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 챔버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멸균 챔버에 연결되는 멸균 챔버 압력해제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를 가열하기 위한 증발기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용 챔버를 가열하기 위한 농축용 챔버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용 챔버의 부피는 10ml ~ 상기 멸균 챔버의 부피 사이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용 챔버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농축용 챔버에 연결되는 농축용 챔버 압력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에 배치되어 상기 멸균 챔버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멸균 챔버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촉매; 및
    상기 광촉매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 멸균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자외선 램프를 갖는 자외선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는 상기 팬의 표면, 하우징의 내면 및 가이드 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는 이산화티탄(TiO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00023705A 2010-03-17 2010-03-17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KR100985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705A KR100985801B1 (ko) 2010-03-17 2010-03-17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PCT/KR2011/001847 WO2011115428A2 (ko) 2010-03-17 2011-03-16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US13/635,466 US20130004384A1 (en) 2010-03-17 2011-03-16 Steriliz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hydrogen perox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705A KR100985801B1 (ko) 2010-03-17 2010-03-17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801B1 true KR100985801B1 (ko) 2010-10-06

Family

ID=43135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705A KR100985801B1 (ko) 2010-03-17 2010-03-17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004384A1 (ko)
KR (1) KR100985801B1 (ko)
WO (1) WO2011115428A2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5378A (ja) * 2010-12-24 2012-07-19 Nikki Universal Co Ltd 濃縮器及びこれを備えた過酸化水素ガス発生装置
EP2578242A1 (en) * 2011-10-06 2013-04-10 Canon Marketing Japan Kabushiki Kaisha Sterilization apparatus and sterilization method
CN103083699A (zh) * 2012-12-29 2013-05-08 成都老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过氧化氢等离子体灭菌器的提纯装置
WO2014208806A1 (ko) * 2013-06-24 2014-12-31 한국 기초 과학 지원연구원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멸균 장치
WO2015008947A1 (ko) * 2013-07-15 2015-01-22 (주) 씨엠테크 멸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
KR101758077B1 (ko) * 2015-04-20 2017-07-17 (주) 씨엠테크 멸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
KR101921472B1 (ko) * 2017-03-30 2018-11-26 곽종신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멸균장치
CN109289067A (zh) * 2018-11-16 2019-02-01 成都凌英科技有限公司 一种器械灭菌器、器械灭菌系统及器械灭菌方法
WO2019059559A1 (ko)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큐브인스트루먼트 저온 멸균 장치를 이용한 멸균 방법
CN109568617A (zh) * 2018-12-17 2019-04-05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食品检测用具消毒装置
KR102248516B1 (ko) 2020-10-14 2021-05-06 유재광 멸균장치
WO2021137381A1 (ko) * 2020-01-02 2021-07-08 주식회사 휴온스메디케어 과산화수소 증기발생기, 이를 구비하는 공간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KR102571527B1 (ko) * 2023-05-09 2023-08-28 신재규 멀티 멸균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5328A1 (de) * 2012-06-19 2013-12-19 MMM Münchener Medizin Mechanik GmbH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 Desinfektion von Reinigungsgut
CN103051177B (zh) * 2012-12-20 2015-03-11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快速响应的控制电路及其控制方法
JP6322050B2 (ja) * 2014-05-20 2018-05-09 株式会社フジキン 流体濃縮気化装置
CN104940967A (zh) * 2015-05-26 2015-09-30 苏州福利恒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器械清洗消毒装置
KR101924992B1 (ko) * 2016-10-25 2018-12-04 주식회사 플라즈맵 멸균 장치 및 멸균 방법
CN114617999A (zh) 2017-03-27 2022-06-14 里珍纳龙药品有限公司 灭菌方法
BR112020011830A2 (pt) 2017-12-13 2020-11-24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dispositivos e métodos para distribuição de dose de precisão
AU2020289563A1 (en) 2019-06-05 2022-01-20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ecision dose delivery
CN114306692A (zh) * 2021-12-30 2022-04-12 老肯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率灭菌的过氧化氢等离子灭菌器及灭菌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8622B1 (en) * 1999-05-04 2003-05-06 Steris Corporation Sub-critical fluid cleaning and antimicrobial decontamination system and process
KR20030073329A (ko) * 2002-03-11 2003-09-19 박현진 왁스층으로 이루어진 과일 표면에 대한 점착능과 자기소화억제능이 향상된 키토산을 함유하는 코팅제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200373329Y1 (ko) * 2004-10-12 2005-01-27 한월희 냉온풍이 발생되는 공기 소독 정화 장치
KR100939788B1 (ko) * 2009-07-02 2010-01-29 강기남 과산화수소의 분리 농축을 이용한 멸균 방법 및 장치
US7670550B2 (en) * 1998-12-30 2010-03-02 Ethicon, Inc. Rapid steriliz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483U (ko) * 1996-04-17 1997-11-10 영 김 건조기
US6558640B1 (en) * 2000-08-18 2003-05-06 Novalabs, Llc Household product sanitizer
ES2269924T3 (es) * 2002-06-28 2007-04-01 Ethicon, Inc. Sistema y metodo de esterilizacion con vaporizador/condensador que funciona con bomba de calor.
WO2004062800A1 (en) * 2003-01-06 2004-07-29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Hydroxyl free radical-induced decontamination of airborne spores, viruses and bacteria in a dynamic system
US20070098591A1 (en) * 2005-10-31 2007-05-03 Georg Frinke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energy vaporization of liquid oxidizing agents or solutions
KR200417529Y1 (ko) * 2006-03-20 2006-05-30 정광훈 전기 식기 소독기
BRPI0815655B1 (pt) * 2007-08-07 2017-06-13 Synexis Llc Process for microbial control, disinfection or repair of environment and diffuse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non-hydrated purified hydrogen peroxide from the humid air of the environment
US20090090022A1 (en) * 2007-10-09 2009-04-09 Hememics Biotechnologies, Inc. Desiccation Chamber and Methods for Drying Biological Materia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0550B2 (en) * 1998-12-30 2010-03-02 Ethicon, Inc. Rapid sterilization system
US6558622B1 (en) * 1999-05-04 2003-05-06 Steris Corporation Sub-critical fluid cleaning and antimicrobial decontamination system and process
KR20030073329A (ko) * 2002-03-11 2003-09-19 박현진 왁스층으로 이루어진 과일 표면에 대한 점착능과 자기소화억제능이 향상된 키토산을 함유하는 코팅제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200373329Y1 (ko) * 2004-10-12 2005-01-27 한월희 냉온풍이 발생되는 공기 소독 정화 장치
KR100939788B1 (ko) * 2009-07-02 2010-01-29 강기남 과산화수소의 분리 농축을 이용한 멸균 방법 및 장치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5378A (ja) * 2010-12-24 2012-07-19 Nikki Universal Co Ltd 濃縮器及びこれを備えた過酸化水素ガス発生装置
EP2578242A1 (en) * 2011-10-06 2013-04-10 Canon Marketing Japan Kabushiki Kaisha Sterilization apparatus and sterilization method
US8894926B2 (en) 2011-10-06 2014-11-25 Canon Marketing Japan Kabushiki Kaisha Sterilization apparatus and sterilization method
CN103083699A (zh) * 2012-12-29 2013-05-08 成都老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过氧化氢等离子体灭菌器的提纯装置
CN103083699B (zh) * 2012-12-29 2014-12-31 成都老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过氧化氢等离子体灭菌器的提纯装置
WO2014208806A1 (ko) * 2013-06-24 2014-12-31 한국 기초 과학 지원연구원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멸균 장치
WO2015008947A1 (ko) * 2013-07-15 2015-01-22 (주) 씨엠테크 멸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
KR101524042B1 (ko) * 2013-07-15 2015-06-01 (주) 씨엠테크 멸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
US10369241B2 (en) 2013-07-15 2019-08-06 Cmtech Co., Ltd. Sterilization apparatus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same
KR101758077B1 (ko) * 2015-04-20 2017-07-17 (주) 씨엠테크 멸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
KR101921472B1 (ko) * 2017-03-30 2018-11-26 곽종신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멸균장치
WO2019059559A1 (ko)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큐브인스트루먼트 저온 멸균 장치를 이용한 멸균 방법
KR20190032741A (ko)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큐브인스트루먼트 저온 멸균 장치를 이용한 멸균 방법
CN109289067A (zh) * 2018-11-16 2019-02-01 成都凌英科技有限公司 一种器械灭菌器、器械灭菌系统及器械灭菌方法
CN109289067B (zh) * 2018-11-16 2023-10-10 成都九元科技有限公司 一种器械灭菌器、器械灭菌系统及器械灭菌方法
CN109568617A (zh) * 2018-12-17 2019-04-05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食品检测用具消毒装置
CN109568617B (zh) * 2018-12-17 2021-03-12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食品检测用具消毒装置
WO2021137381A1 (ko) * 2020-01-02 2021-07-08 주식회사 휴온스메디케어 과산화수소 증기발생기, 이를 구비하는 공간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KR102248516B1 (ko) 2020-10-14 2021-05-06 유재광 멸균장치
KR102571527B1 (ko) * 2023-05-09 2023-08-28 신재규 멀티 멸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04384A1 (en) 2013-01-03
WO2011115428A3 (ko) 2012-03-15
WO2011115428A2 (ko)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801B1 (ko)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KR100985798B1 (ko)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JP4815170B2 (ja) 滅菌方法及び装置
KR100874681B1 (ko) 과산화수소를사용하는예비처리를이용하는살균방법
KR100874770B1 (ko) 과산화수소 증기 멸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멸균 방법
EP1265644B1 (en) Control of gaseous sterilisation
US7803317B2 (en) Method for decontaminating temperature-sensitive objects
KR101921472B1 (ko)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멸균장치
JP2006204889A5 (ko)
KR101111388B1 (ko) 과산화수소 증기를 이용한 이동식 멸균장치
KR101224842B1 (ko) 저온 플라즈마 멸균기내 멸균제를 공급하는 장치
WO2007111105A1 (ja) 培養装置
KR101254190B1 (ko) 저온 플라즈마 멸균기내에 멸균제를 기화시키는 장치
JP2007505715A (ja) 領域内の殺菌剤濃度を増加させ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201808347A (zh) 用於滅菌內視鏡之設備及方法
KR20120028413A (ko) 과산화수소, 오존 및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독 멸균장치 및 방법
EP1308173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centrating a sterilant and sterilizing articles with the concentrated sterilant
TW201832785A (zh) 具有獨立真空腔室的滅菌系統
US20190231913A1 (en) Device for hydrogen peroxide sterilization
KR101215928B1 (ko) 오존을 이용한 소독 멸균장치 및 방법
KR101453767B1 (ko) 플라즈마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US202003605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aporized hydrogen peroxide cleaning of contents of a chamber of a container
JP2022044186A (ja) 除染方法及び除染装置
JP2008113683A (ja) 殺菌ガス浸透装置
CN116657376A (zh) 一种衣物处理设备控制方法及衣物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