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527B1 - 멀티 멸균기 - Google Patents

멀티 멸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527B1
KR102571527B1 KR1020230059933A KR20230059933A KR102571527B1 KR 102571527 B1 KR102571527 B1 KR 102571527B1 KR 1020230059933 A KR1020230059933 A KR 1020230059933A KR 20230059933 A KR20230059933 A KR 20230059933A KR 102571527 B1 KR102571527 B1 KR 102571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erilization
chamber
steriliz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9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규
Original Assignee
신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규 filed Critical 신재규
Priority to KR1020230059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94Gaseous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멸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멸균작업이 요구되는 다양한 종류의 멸균물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멸균할 수 있고, 에틸렌 옥사이드가스를 이용한 멸균 및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멸균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멸균기는, 멸균물의 멸균작용이 이루어지는 멸균실을 포함하는 챔버; 상기 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멸균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부; 상기 멸균실의 공기를 배출시켜 진공압력을 형성하는 진공부; 및 상기 멸균실에 에틸렌 옥사이드가스 또는 기체 상태의 멸균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멀티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멸균기{MULTI STERILIZER}
본 발명은 멀티 멸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틸렌 옥사이드가스를 이용한 멸균 및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멸균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멀티 멸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장치의 멸균은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e Oxide; ETO) 가스를 이용하는 방법, 오존과 물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고전적으로는 고온 스팀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ETO 접촉방식은 멸균효과는 우수하나 ETO 가스가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건강에 큰 위해를 줄 수 있으며 다루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오존과 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매우 긴 처리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고온스팀을 이용한 멸균방식은 멸균시간도 짧고 멸균효과도 우수하지만, 열에 약한 처리물은 사용이 불가능 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 플라즈마와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멸균 장치가 개발되었다.
즉, 의료기구 등 피처리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세균과 같은 미생물을 제거하는 데에는 멸균제로서 과산화수소(H2O2)를 사용하는 멸균 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멸균기는 멸균챔버, 진공펌프 및 멸균제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멸균챔버는 내부의 처리공간에 멸균물이 투입되고, 진공펌프는 처리공간에 진공을 형성하며, 멸균제 공급장치는 진공상태의 처리공간에 기체형태의 과산화수소를 공급한다.
이와 같은 멸균기는 처리공간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배출되는 기상 과산화수소를 플라즈마에 의하여 인체와 환경에 무해한 물, 산소 및 수소로 분해할 수 있다.
이러한 멸균 장치는 과산화수소와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서 생성된 OH 라디컬을 이용하여 피처리물에 대한 멸균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만족할 만한 멸균성능을 보이고 있다.
멸균 장치에 의해 멸균 공정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피처리물 및 반응 챔버의 가열이 필요하기 때문에 반응 챔버의 외벽가열에 의한 복사가열로가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고가의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 멸균장치와 플라즈마와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멸균 장치를 각각 구매하여 사용했기 때문에 그 구매 비용이 상당히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에틸렌 옥사이드가스 멸균장치와 플라즈마와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멸균 장치를 실내에 각각 배치했기 때문에 실내 공간의 활용도가 저하되며, 공간이 좁은 장소에는 함께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17386호(2013.10.04.)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멸균작업이 요구되는 다양한 종류의 멸균물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멸균할 수 있고, 에틸렌 옥사이드가스를 이용한 멸균 및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멸균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멀티 멸균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멸균기는, 멸균물의 멸균작용이 이루어지는 멸균실을 포함하는 챔버; 상기 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멸균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부; 상기 멸균실의 공기를 배출시켜 진공압력을 형성하는 진공부; 및 상기 멸균실에 에틸렌 옥사이드가스 또는 기체 상태의 멸균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멀티 공급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 공급부는, 상기 멸균실에 연결되는 제1 연결라인 및 상기 제1 연결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멸균실에 에틸렌 옥사이드가스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재를 포함하는 제1 공급수단; 및 상기 멸균실에 연결되는 제2 연결라인 및 상기 제2 연결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멸균실에 기체 상태의 과산화수소를 공급하는 제2 공급부재를 포함하는 제2 공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급수단 및 제2 공급수단은 선택적으로 개별작동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의 일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멸균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챔버의 일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상기 멸균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을 지지하며, 충격을 흡수하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완충지지부;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바닥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탄성지지부; 상기 제1 탄성지지부들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면에 상기 멸균물이 안착되고, 상기 멸균물에서 분리되는 이물질을 하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과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지지판; 상기 하우징의 상면 개방부를 개폐하며,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흡기홀이 형성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저면에 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탄성지지부;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매립되며, 상기 멸균물에서 분리되는 이물질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배출팬;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각각 수직배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각각 승강되는 승강작동부;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서 상기 승강작동부에 의해 승강되며, 하강될 시 상기 덮개부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매립되며, 상기 멸균물에서 분리되는 이물질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2 배출팬; 상기 승강작동부의 저면을 각각 지지하는 롤러;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롤러를 각각 상승시켜 상기 가압부를 상기 덮개부의 상측으로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실린더가 상기 가압부를 상기 덮개부의 상측으로 이격시키면, 상기 가압부가 하강되어 상기 덮개부의 상면을 타격하도록 상기 승강실린더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롤러를 상기 승강작동부에서 이탈시키는 이탈실린더; 상기 가압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저장조; 및 상기 가압부의 중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상기 저장조의 내부공간에 물을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멸균기는, 에틸렌 옥사이드를 이용하여 멸균하는 모드와, 과산화수소와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멸균하는 모드를 각각 제공함에 따라 에틸렌 옥사이드 멸균기와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플라즈마 멸균기를 각각 구매하지 아니하도록 하면서도 제품의 원가를 줄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멸균물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멸균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멸균기에 적용된 클리닝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멸균기에 적용된 클리닝부의 일부 구성을 확대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멸균기(1)는, 에틸렌 옥사이드가스를 이용한 멸균 기능 및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멸균 기능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멸균물을 깨끗하게 클리닝 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멸균기(1)는, 챔버(10)와, 히터부(20)와, 진공부(30)와, 멀티 공급부(40)와, 플라즈마 발생기(50) 및 클리닝부(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10)는 멸균물에 대한 멸균처리가 수행되는 반응기이다.
이때, 멸균물은 메스, 포셉(Forceps), 핀셋 등 각종 의료기구, 조리 기구, 기타 청결을 위해 멸균이 필요한 다양한 물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멸균기(1)가 멸균하는 멸균물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음을 밝힌다.
챔버(10)의 내부에는 멸균물의 멸균작용이 이루어지는 멸균실이 형성된다.
챔버(10)의 일측에는 멸균물이 출입하는 출입구가 형성된다.
출입구는 도어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된다.
챔버(10)의 멸균실에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 센서(60)와, 멸균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 센서(70)와, 멸균실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추가로 챔버(10)의 멸균실에는 멸균실과 멸균물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가열기 및 멸균실의 과압시 압력을 개방하는 안전밸브(11)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아울러, 챔버(10)에는 진공배기구 및 기체상태의 과산화수소 공급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멸균실에는 멸균물이 안착되는 안착판이 형성된다.
안착판에는 공기, 열기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한편, 히터부(20)는 멸균실의 온도를 승온시키는 구성이다.
히터부(20)는 챔버(10)의 외면과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히터부(20)는 외면 또는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히터부(20)는 멸균실을 승온 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와, 개수, 크기 및 위치에 적용된다.
일 예로, 히터부(20)는 외부전원을 인가 받아 발열 작동하는 가열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히터부(20)는 챔버(10)의 외면 또는 외면에 설치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발열블록 및 발열블록에 매립되며, 외부전원을 인가 받아 발열작동 하는 가열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히터부(20)는 챔버(10)의 외면에 설치되는 코일관 및 코일관의 내부에 물 또는 공기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가열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히터부(20)는 멸균실에서 챔버(10)의 바닥면과, 천장면 내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진공부(30)는 멸균실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 진공압력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써, 공지의 진공펌프로 형성될 수 있다.
진공부(30)는 제3 연결라인(31)을 통해 멸균실에 연결되며, 멸균실에 존재하는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 멸균실을 설정된 진공압력으로 만들어준다.
이때, 멸균실은 진공부(30)에 의해 대기압과 습증기가 감소되어 진공압력을 형성하게 된다.
제3 연결라인(31)에는 제3 제어밸브(31a)가 설치된다. 제3 제어밸브(31a)는 제3 연결라인(31)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 공지의 솔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멀티공급부는 멸균실에 에틸렌 옥사이드가스 또는 기체 상태의 멸균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즉, 멀티공급부를 통해 멸균실에 멸균을 위한 에틸렌 옥사이드가스만 공급하거나 또는, 기체 상태의 멸균제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멀티공급부는 제1 공급수단(41) 및 제2 공급수단(42)을 포함한다.
제1 공급수단(41)은 멸균실에 에틸렌 옥사이드가스를 공급하는 구성으로써, 제1 연결라인(411) 및 제1 공급부재(412)를 포함한다.
제1 연결라인(411)은 멸균실에 연결된다. 제1 연결라인(411)에는 제1 제어밸브(411a)가 설치된다. 제1 제어밸브(411a)는 제1 연결라인(411)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 공지의 솔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급부재(412)는 제1 연결라인(411)에 연결되고, 별도의 연결라인을 통해 에틸렌 옥사이드가스가 저장된 저장탱크나 저장통(422a)에도 연결된다.
제1 공급부재(412)는 펌프 또는 에어콤프레셔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급부재(412)는 연결라인 및 제1 연결라인(411)을 통해 저장탱크나 저장통(422a)에 저장된 에틸렌 옥사이드가스를 멸균실에 공급하여 멸균실에 수용된 멸균물들을 멸균하게 된다.
한편, 제2 공급수단(42)은 제2 연결라인(421) 및 제2 공급부재(422)를 포함한다.
제2 연결라인(421)은 멸균실에 연결된다. 제2 연결라인(421)에는 제2 제어밸브(421a)가 설치된다. 제2 제어밸브(421a)는 제2 연결라인(421)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 공지의 솔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급부재(422)는 제2 연결라인(421)에 연결된다.
제2 공급부재(422)는 액체상태의 멸균제를 기화하여 기체상태의 멸균제를 멸균실에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공급부재(422)는 액상의 멸균제를 저장하는 저장통(422a)과, 저장통(422a)로부터 제공되는 액상의 멸균제를 증기화하여 기체로 변환시키는 증기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멸균제는 과산화수소(H202)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통(422a)에 저장되는 과산화수소는 액체상태로, 물 80~40중량%와, 과산화수소 20~60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플라즈마 발생기(50)는 제2 공급부재(422)가 멸균실에 멸균제를 공급할 시 멸균실에 플라즈마를 공급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플라즈마 발생기(50)는 별도의 연결라인을 통해 에어필터(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는 에어필터(2)를 통해 필터링된 후 플라즈마 발생기(50)에 공급된다.
플라즈마 발생기(50)는 저온 플라즈마 가스를 발생시키고, 증기발생기로부터 제공되는 과산화수소 가스와 혼합되어 OH 라디컬과 O라디컬이 신속하게 분리되어 이온화되도록 함으로써, 멸균물에 대한 멸균효율을 크게 상승시키게 된다.
플라즈마 발생기(50)는 전자파 발생원을 통해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킨다. 마이크로웨이브란 0.3 내지 300 ㎓의 주파수의 전자기파로군용 레이더, 가정용 조리기, 무선통신 등의 분야에 사용되며 물원자의 회전 진동수(Rotational Frequency)와 대역이 같아 물에 흡수되어 물 분자를 가열하는 특징을 갖는다.
플라즈마 발생기(50)의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플라즈마가 발생하며, 멸균물은 저장통(422a)에서 공급된 과산화수소가,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발생기(50)로부터 공급된 플라즈마에 의하여 챔버(10)의 멸균실에서 분해되어 형성되는 라디칼 원소에 의하여 멸균된다.
라디칼 원소는 OH 라디칼, HO2 라디칼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멸균반응을 가속시키는 고산화성 화학물질들이 생성된다.
계속해서, 기화된 멸균제는 제2 연결라인(421)을 통해 멸균실에 수용된 멸균물들에 공급된다. 이때, 제2 연결라인(421)에는 제2 제어밸브(421a)가 설치된다.
제2 제어밸브(421a)는 제2 연결라인(421)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 공지의 솔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증기발생기는 액체형태로 제공되는 멸균제를 기체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히터 또는 초음파 진동발생 등의 수단을 통해 액체 상태의 멸균제를 기체로 변환시킨다.
이상 설명한 제1 공급수단(41) 및 제2 공급수단(42)은 개별작동 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챔버(10)에는 제1 공급부재(41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온/오프 스위치 및 제2 공급부재(42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온/오프 스위치가 각각 마련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멸균기는 제1 온/오프 스위치를 통해 제1 공급부재(412)를 작동시켜 멸균실에 에틸렌 옥사이드가스를 공급하여 멸균물을 멸균할 수 있고, 제1 공급부재(412)의 작동을 정지시킨 다음, 제2 온/오프 스위치를 통해 제2 공급부재(422)를 작동시켜 멸균실에 멸균제를 공급하여 멸균물을 멸균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에틸렌 옥사이드는 공기보다 무겁고 독성이 있으며, 총 멸균시간이 10시간 이상 오래 걸리지만, 저온으로 멸균할 수 있는 특징으로 인해 섬유, 다공질, 금속, 합성수지 등 다양한 종류의 멸균물, 많은 양의 멸균물 등을 멸균할 수 있다.
그리고, 과산화수소를 기화하여 발생된 증기를 이용하여 멸균하는 방식의 경우 산소와 물로 분해되어 인체에 해가 없고 친환경적이며, 총 멸균시간은 1시간 내외로 에틸렌 옥사이드를 이용한 멸균방식에 비해 멸균시간이 빠른 장점이 있으나, 과산화수소를 기화할 때 종이, 섬유, 분말 등과 같은 흡수성재질과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멸균물에는 흡수가 되고 침투성이 좋지 않아 멸균되어지는 멸균물의 종류가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급하게 멸균물을 멸균하고자 할 경우, 제2 공급수단(42), 즉 과산화수소와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멸균하면 되고, 과산화수소와 플라즈마를 이용한 멸균 방식에 비해 멸균물을 완벽하게 멸균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 공급수단(41), 즉 에틸렌 옥사이드를 이용하여 멸균하면 된다.
아울러, 반드시 저온에서 멸균해야만 하는 재질의 멸균물, 예를 들면 내시경, 전자 의료기기 등도 에틸렌 옥사이드를 이용하여 멸균하면 된다.
나아가, 저녁시간대나 취침 시간대에는 멸균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에틸렌 옥사이드를 통해 멸균물을 멸균하면 되고, 오전 7시에서 오후 6시 등 활동시간 대에는 멸균시간이 비교적 짧은 과산화수소와 플라즈마를 통해 멸균물을 멸균해도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멸균기는 에틸렌 옥사이드를 이용하여 멸균하는 모드와, 과산화수소와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멸균하는 모드를 각각 제공함에 따라 에틸렌 옥사이드 멸균기와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플라즈마 멸균기를 각각 구매하지 아니하도록 하면서도 제품의 원가를 줄여 경제적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클리닝부(80)는 멸균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 굳어 있는 피 등의 각종 이물질 제거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클리닝부(80)는 하우징(81)과, 완충지지부(82)와, 제1 탄성지지부(83)와, 지지판(84)과, 덮개부(85)와, 제2 탄성지지부(86)와, 제1 배출팬(87)과, 받침대(88)와, 레일부(89)과, 승강작동부(90)와, 가압부(91)와, 제2 배출팬(92)과, 승강실린더(94)와, 이탈실린더(95)와, 저장조(96) 및 펌프(97)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멸균기(1)는 챔버(10)와, 진공부(30)와, 멀티공급부를 통한 멸균물의 멸균공정이 완료된 이후에 클리닝부(80)로 멸균물을 클리닝하거나 또는, 멸균공정 이전에 클리닝부(80)로 멸균물을 클리닝하게 된다.
하우징(81)은 챔버(10)의 일측으로 약 1m 내지 5m 정도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하우징(81)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멸균물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81)은 클리닝부(8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동대차에 탑재될 수 있다.
이동대차(100)는 수평판(101) 및 수평판(101)의 상면 가장자리에 일정높이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봉(102) 및 경사봉(102)의 상측에 형성되는 손잡이(103)를 포함한다.
수평판(101)의 저면 각 모서리에는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휠(104)이 각각 설치된다.
휠(104)은 이동대차(100)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완충지지부(82)는 수평판(101)의 상면에 고정되어 하우징(81)의 저면을 지지한다.
완충지지부(82)는 후술되는 가압부(91)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을 흡수하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제1 탄성지지부(83)는 하우징(81)의 수용공간에 배치된다.
제1 탄성지지부(83)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하우징(81)의 바닥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수직배치된다.
제1 탄성지지부(83)는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지지판(84)은 제1 탄성지지부(83)들의 상면에 공동으로 안착 또는 고정된다.
지지판(84)의 상면에는 멸균물들이 안착된다. 따라서 지지판(84)은 제1 탄성지지부(83)들을 매개로 멸균물들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때, 멸균물들은 지지판(84)의 상면에 서로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안착된다.
따라서, 멸균물들은 후술되는 가압부(9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요동되면서 충돌되며, 충돌에 의해 멸균물에 묻어 있는 먼지가 제거됨을 물론, 멸균물에 굳어 있는 피가 충돌에 의해 파쇄되어 제거된다.
지지판(84)에는 멸균물에서 분리되는 이물질을 하 방향 즉, 하우징(81)의 바닥면 측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과홀(84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덮개부(85)는 하우징(81)의 상면 개방부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그리고, 덮개부(85)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흡기홀(85a)이 형성된다.
일예로, 흡기홀(85a)은 복수개로 적용되며, 후술되는 제2 배출팬(92)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흡기홀(85a)은 일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덮개부(85)를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흡기홀(85a)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흡기홀(85a)은 덮개부(85)의 전체 면적 대비 약 50% ~ 70%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판(84)의 상면과 덮개부(85)의 저면에는 멸균물이 충돌할 시 보호하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완충소재로 형성되는 완충패드가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제2 탄성지지부(86)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덮개부(85)의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일 예로, 제2 탄성지지부(86)는 하단이 지지판(84)의 상면에 안착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2 탄성지지부(86)는 하단이 지지판(84)의 상면과 소정거리 이겨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지지부(86)는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제1 배출팬(87)은 하우징(81)의 측벽에 형성된 매립홀에 매립된다.
이때, 매립홀은 복수개로 적용되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매립홀은 지지판(84)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배출팬(87)은 멸균물에서 분리되어 통과홀(84a)을 통해 낙하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하우징(81)의 외부로 배출한다.
받침대(88)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하우징(81)을 사이에 두고 수평판(101)의 상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레일부(89)는 받침대(88)의 상면에 각각 수직배치 된다.
레일부(89)의 하단에는 받침대(88)의 상면에 볼팅결합되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89)에는 승강작동부(90)를 승강시키기 위한 레일홀(89a)이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레일홀(89a)은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대략 "ㅏ"자 또는 "ㅓ"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승강작동부(90)는 상부 수평부(90a)와, 상부 수평부(90a)의 끝단에서 하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직부(90b) 및 수직부(90b)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하부 수평부(90c)를 포함한다.
상부 수평부(90a)의 일측은 레일홀에 수용된 상태로 승강되도록 "ㅏ"자 또는 "ㅓ"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압부(91)는 대략 사각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91)는 덮개부(85)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측과 타측이 하부 수평부(90c)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하부 수평부(90c)에는 가압부(91)의 일측면에 볼팅 결합되는 플랜지가 형성된다.
가압부(91)는 승강작동부(90)와 함께 승강되며, 덮개부(85)의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하강시킨다.
가압부(91)는 덮개부(85)에 충분한 타격력을 가해 제1 탄성지지부(83) 및 제2 탄성지지부(86)가 수축 및 팽창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출팬(92)은 가압부(9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매립홀에 각각 매립된다.
따라서, 제2 배출팬(92)은 멸균물들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멸균물에서 분리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하우징(81)의 외부로 배출한다.
롤러(93)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부 수평부(90a)의 저면을 각각 지지한다.
롤러(93)는 후술되는 승강실린더(94)의 피스톤 상단에 제자리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승강실린더(94)가 후술되는 이탈실린더(95)의 작동에 의해 승강작동부(90)에서 원활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롤러(93)의 작용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승강실린더(94)는 가압부(91)를 상승시키고, 이탈실린더(95)는 상승된 가압부(91)를 하강시키는 구성이다.
승강실린더(94)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받침대(88)의 일측에 각각 배치된다.
승강실린더(94)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된다. 따라서, 승강실린더(94)는 유압이 주입되면 피스톤이 상승된다. 그리고, 피스톤이 상승되면 롤러(93)에 의해 승강작동부(90) 및 가압부(91)가 함께 일정 높이로 상승된다. 이로 인해, 가압부(91)는 덮개부(85)의 상측으로 일정 높이 이격된다.
한편, 이탈실린더(95)는 상승실린에 의해 상승된 가압부(91)를 낙하시켜 덮개부(85)를 타격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탈실린더(95)는 수평판(101)에 탑재된 상태로 사용된다.
이탈실린더(95)는 로드레스 실린더 또는 리니어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이탈실린더(95)의 피스톤에는 승강실린더(94)가 탑재된다.
이때, 승강실린더(94)의 하단에는 이탈실린더(95)의 피스톤에 탑재되는 탑재판(9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탈실린더(95)의 일측과 타측에는 레일(미도시)이 배치되고, 탑재판(941)의 저면에는 레일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되는 한쌍의 승강작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실린더(95)는 승강실린더(94)가 가압부(91)를 덮개부(85)의 상측으로 이격시키면, 승강실린더(94)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롤러(93)를 승강작동부(90)에서 이탈시킨다. 따라서, 가압부(91)가 낙하되어 덮개부(85)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승강실린더(94) 및 이탈실린더(95)는 리모콘으로 제어될 수 있다.
리모콘에는 승강실린더(94)에 유압을 공급하여 피스톤 및 롤러(93)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1 버튼과, 승강실린더(94) 내의 유압을 배출하여 유압탱크(미도시)로 이송시킴으로써, 피스톤 및 롤러(93)를 하강시키기 위한 제2 버튼과, 이탈실린더(95)의 피스톤을 전진시켜 롤러(93) 및 승강실린더(94)를 상부 수평부(90a)의 하측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3 버튼 및 이탈실린더(95)의 피스톤을 후진시켜 롤러(93) 및 승강실린더(94)를 상부 수평부(90a)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제4 버튼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3 버튼을 눌러서 승강실린더(94)를 상부 수평부(90a)의 하측에 위치시킨 다음, 제1 버튼을 눌러서 피스톤 및 롤러(93)를 상승시켜 승강작동부(90) 및 가압부(91)를 함께 상승시킨 후, 제4 버튼을 눌러서 롤러(93) 및 승강실린더(94)를 상부 수평부(90a)에서 이탈시키면 승강작동부(90) 및 가압부(91)가 낙하되며, 가압부(91)가 덮개부(85)의 상면을 타격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91)가 낙하될 시 가압부(91)의 양측면에 형성된 안착날개(91a)가 하우징(81)의 상면에 안착되어, 가압부(91)의 하강이 정지되고, 가압부(91)의 하측 일정영역만 덮개부(85)를 타격하면서 하우징(81)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덮개부(85)는 가압부(91)에 의해 하강될 시 제2 탄성지지부(86)를 압축시키면서 지지판(84)을 하강시키며, 지지판(84)은 하강되면서 제1 탄성지지부(83)를 압축시킨다.
따라서, 제1 탄성지지부(83) 및 제2 탄성지지부(86)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반복적으로 압축 및 팽창 작동하게 되어, 지지판(84)은 제1 탄성지지부(83) 및 제2 탄성지지부(86)의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상,하 방향 요동치게 된다.
이로 인해, 지지판(84)의 상면에 안착된 멸균물들도 상,하 방향으로 요동치게 된다. 그리고, 멸균물들 중 일부는 지지판(84)에 반복적으로 충돌되고, 상,하로 적층된 멸균물들은 서로 충돌하게 된다.
이러한 충돌에 의해 멸균물들의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이 가벼운 이물질이 분리된다. 분리된 이물질 중 일부는 통과홀(84a)들을 통해 낙하되어 제1 배출팬(87)을 통해 배출되고, 다른 일부는 비산되어 제2 배출팬(92)을 통해 배출된다.
나아가, 멸균물인 메스, 포셉(Forceps), 핀셋 등은 모두 일정 무게를 갖는 금속재질이므로, 멸균물들이 서로 충돌될 시 표면에 굳어 있는 환자의 피나 액체의 의료용 물질이 확률적으로 파쇄되어 멸균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피나 의료용 물질의 일부는 제1 배출팬(87) 및 제2 배출팬(92)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일정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1 탄성지지부(83) 및 제2 탄성지지부(86)의 팽창 및 수축 작동이 멈추거나 팽창 및 수축 범위가 약해지는 경우, 제2 버튼과 제3 버튼을 순차적으로 눌러 롤러(93) 및 승강실린더(94)를 상부 수평부(90a)의 하측에 위치시킨 다음, 제1 버튼과 제4 버튼을 순차적으로 눌러 가압부(91)가 다시 덮개부(85)를 타격하도록 하면 된다.
한편, 제1 탄성지지부(83) 및 제2 탄성지지부(86)의 두께가 두껍고 그 적용개수가 많을 경우나 지지판(84)에 안착하는 멸균물의 개수가 많을 경우에는 가압부(91)만으로 덮개부(85)를 타격하여도 제1 탄성지지부(83) 및 제2 탄성지지부(86)를 최대치로 수축 또는 팽창시키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저장조(96) 및 펌프(97)가 적용된다.
저장조(96) 및 펌프(97)는 제1 탄성지지부(83) 및 제2 탄성지지부(86)의 두께가 두껍고 그 적용개수가 많을 경우나 지지판(84)에 안착하는 멸균물의 개수가 많을 경우 가압부(91)의 중량을 가변시켜 덮개부(85)의 대한 타격력을 증대시키는 구성이다. 즉, 저장조(96) 및 펌프(97)를 통해 가압부(91)의 중량을 증가시켜 제1 탄성지지부(83) 및 제2 탄성지지부(86)를 최대치로 수축 또는 팽창시킬 수 있다.
저장조(96)는 가압부(91)의 상면에 배치된다. 저장조(96)는 볼트를 통해 가압부(9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저장조(96)는 제2 배출팬(92)을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을 막지 아니하도록 가압부(91)의 매립홀을 막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일 예로, 가압부(91)의 매립홀을 가압부(91)의 중앙부분에 형성되고, 저장조(96)는 가압부(91)의 상면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저장조(96)의 일측면에는 펌프(97)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주입구(96a)가 형성된다.
펌프(97)는 멀티 멸균기(1)가 배치되는 장소의 지면에 안착되거나 또는, 전술한 이동대차에 탑재될 수 있다.
펌프(97)는 일측에 마련된 별도의 물저장탱크(미도시) 및 저장조(96)에 연결호스(H)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저장조(96)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저장조(96) 내의 물을 물저장탱크로 이송시킬 수 있다.
펌프(97)로 저장조(96)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면 덮개부(85)에 대한 가압부(91)의 타격력이 강해지고, 저장조(96) 내의 물을 배출하면 덮개부(85)에 대한 가압부(91)의 타격력이 비교적 약해진다.
따라서, 제1 탄성지지부(83) 및 제2 탄성지지부(86)의 두께가 두껍고 그 적용개수가 많을 경우나 지지판(84)에 안착하는 멸균물의 개수가 많을 경우, 펌프(97)를 통해 저장조(96)에 물을 추가로 공급하여 덮개부(85)에 대한 가압부(91)의 타격력을 증가시키면 된다.
그리고, 펌프(97)를 통해 가압부(91)의 중량을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음에 따라, 제1 탄성지지부(83) 및 제2 탄성지지부(86)의 두께나 적용개수, 멸균물의 개수에 따라 저장조(96)에 공급하는 물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멀티 멸균기 10 : 챔버
11 : 안전밸브 20 : 히터부
30 : 진공부 31 : 제3 연결라인
31a : 제3 제어밸브 40 : 멀티 공급부
41 : 제1 공급수단 411 : 제1 연결라인
411a : 제1 제어밸브 412 : 제1 공급부재
42 : 제2 공급수단 421 : 제2 연결라인
421a : 제2 제어밸브 42 : 제1 공급부재
422a : 저장통 422b : 증기 발생기
50 : 플라즈마 발생기 60 : 온도측정 센서
70 : 압력측정 센서 80 : 클리닝부
81 : 하우징 82 : 완충지지부
83 : 제1 탄성지지부 84 : 지지판
84a : 통과홀 85 : 덮개부
85a : 흡기홀 86 : 제2 탄성지지부
87 : 제1 배출팬 88 : 받침대
89 : 레일부 89a : 레일홀
90 : 승강작동부 90a : 상부 수평부
90b : 수직부 90c : 하부 수평부
91 : 가압부 91a : 안착날개
92 : 제2 배출팬 93 : 롤러
94 : 승강실린더 95 : 이탈실린더
96 : 저장조 96a : 주입구
97 : 펌프

Claims (2)

  1. 멸균물의 멸균작용이 이루어지는 멸균실을 포함하는 챔버;
    상기 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멸균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부;
    상기 멸균실의 공기를 배출시켜 진공압력을 형성하는 진공부;
    상기 멸균실에 에틸렌 옥사이드가스 또는 기체 상태의 멸균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멀티 공급부; 및
    상기 챔버의 일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멸균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공급부는,
    상기 멸균실에 연결되는 제1 연결라인 및 상기 제1 연결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멸균실에 에틸렌 옥사이드가스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재를 포함하는 제1 공급수단; 및
    상기 멸균실에 연결되는 제2 연결라인 및 상기 제2 연결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멸균실에 기체 상태의 과산화수소를 공급하는 제2 공급부재를 포함하는 제2 공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급수단 및 제2 공급수단은 선택적으로 개별작동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챔버의 일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상기 멸균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을 지지하며, 충격을 흡수하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완충지지부;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바닥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탄성지지부;
    상기 제1 탄성지지부들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면에 상기 멸균물이 안착되고, 상기 멸균물에서 분리되는 이물질을 하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과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지지판;
    상기 하우징의 상면 개방부를 개폐하며,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흡기홀이 형성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저면에 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탄성지지부;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매립되며, 상기 멸균물에서 분리되는 이물질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배출팬;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각각 수직배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각각 승강되는 승강작동부;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서 상기 승강작동부에 의해 승강되며, 하강될 시 상기 덮개부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매립되며, 상기 멸균물에서 분리되는 이물질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2 배출팬;
    상기 승강작동부의 저면을 각각 지지하는 롤러;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롤러를 각각 상승시켜 상기 가압부를 상기 덮개부의 상측으로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실린더가 상기 가압부를 상기 덮개부의 상측으로 이격시키면, 상기 가압부가 하강되어 상기 덮개부의 상면을 타격하도록 상기 승강실린더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롤러를 상기 승강작동부에서 이탈시키는 이탈실린더;
    상기 가압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저장조; 및
    상기 가압부의 중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상기 저장조의 내부공간에 물을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멀티 멸균기.
  2. 삭제
KR1020230059933A 2023-05-09 2023-05-09 멀티 멸균기 KR102571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933A KR102571527B1 (ko) 2023-05-09 2023-05-09 멀티 멸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933A KR102571527B1 (ko) 2023-05-09 2023-05-09 멀티 멸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527B1 true KR102571527B1 (ko) 2023-08-28

Family

ID=87806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933A KR102571527B1 (ko) 2023-05-09 2023-05-09 멀티 멸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5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801B1 (ko) * 2010-03-17 2010-10-06 유철원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KR101317386B1 (ko) 2012-04-02 2013-10-11 주식회사 엠케이티 의료용 증기멸균기
JP2015229034A (ja) * 2014-06-06 2015-12-21 三浦工業株式会社 ガス滅菌器
KR20200035738A (ko) * 2018-09-27 2020-04-06 한소 주식회사 난기류를 이용한 멸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210020626A (ko) * 2019-08-16 2021-02-24 신재규 저온 멸균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801B1 (ko) * 2010-03-17 2010-10-06 유철원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KR101317386B1 (ko) 2012-04-02 2013-10-11 주식회사 엠케이티 의료용 증기멸균기
JP2015229034A (ja) * 2014-06-06 2015-12-21 三浦工業株式会社 ガス滅菌器
KR20200035738A (ko) * 2018-09-27 2020-04-06 한소 주식회사 난기류를 이용한 멸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210020626A (ko) * 2019-08-16 2021-02-24 신재규 저온 멸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2489B2 (en) Decontamin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ultrasonic cavitation
KR102313772B1 (ko) 초음파 공동화를 이용하는 오염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743058B1 (ko) 감염성 폐기물의 압축 감용화장치
CN105833313B (zh) 一种针灸工具储藏和定时消毒装置
WO2005067984A1 (en) Vacuum sterilization process and devices
CN107106713B (zh) 等离子体处理装置及物品处理方法
WO2021170029A1 (zh) 一种消毒消杀系统及消杀方法
CN102089011A (zh) 基于子循环的气溶胶消毒系统
KR102571527B1 (ko) 멀티 멸균기
US20130071300A1 (en) Bills-only sterilizer
KR102597012B1 (ko) 의료용 멸균기
KR20200097866A (ko) 멸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공간 및 표면 소독 시스템
TW201315489A (zh) 感染性廢棄物的壓縮減容化裝置
KR102571526B1 (ko) 고압 증기 멸균기
CN211356926U (zh) 一种杀菌消毒烘干装置
KR101273888B1 (ko) 평면형태의 대기압 공기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형의 다용도 멸균소독기
JP3813586B2 (ja) マイクロ波プラズマ滅菌方法
KR102319254B1 (ko) 응급환자 이송수단용 살균장치
CN114453317A (zh) 一种物理灭活医疗器械消毒设备及其工作方法
CN207384516U (zh) 一种超声室用消毒柜体
KR100638113B1 (ko) 소독효율을 극대화 시킨 문화재 유물 및 기록물의 소독방법
CN217519993U (zh) 适用于公共密闭空间内的空气病毒/细菌消杀系统
CN111920985B (zh) 一种深度灭菌的生物安全柜及其灭菌方法
CN218173317U (zh) 一种医疗器材存放装置
CN211751181U (zh) 封闭循环真空高压无毒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