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59559A1 - 저온 멸균 장치를 이용한 멸균 방법 - Google Patents

저온 멸균 장치를 이용한 멸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59559A1
WO2019059559A1 PCT/KR2018/010204 KR2018010204W WO2019059559A1 WO 2019059559 A1 WO2019059559 A1 WO 2019059559A1 KR 2018010204 W KR2018010204 W KR 2018010204W WO 2019059559 A1 WO2019059559 A1 WO 201905955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erilizing
sterilization
space
air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02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원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브인스트루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브인스트루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브인스트루먼트
Priority to CN201880074946.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372615B/zh
Priority to EP18857509.6A priority patent/EP3685860A4/en
Priority to JP2020538509A priority patent/JP7022836B2/ja
Publication of WO201905955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595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temperature steriliz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irculation unit having a vacuum pump and a tank in a sterilizing space to realize a closed circuit between a sterilizing space and a vacuum pump and a tank.
  •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is repeated by the air circulation unit and the pressure is varied.
  • the sterilization material effectively penetrates into the sealing member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sealing the sterilization object and the sterilization spac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temperature sterilization method capable of improving sterilization efficiency.
  • Sterilization means completely eliminating all living microorganisms that are different from Cleaning or Disinfection. Sterilization is accomplished through a variety of physical and chemical actions, and is indispensable, especially in the field of medical devices.
  • the medical pouch is made of a transparent polymer material o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tie-back which can permeate the gas, so that the sterilizing material can pass through.
  • the material of the permeable surface for the sterilizing material such as the tie bag is composed of minute pores so as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the bacteria, so that there is a part where the temperature rise of the object to be sterilized by transmission or blowing of the sterilizing material due to diffusion is difficult to exhibit sufficient performance.
  •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7-0065359 discloses a sterilization method in which hydrogen peroxide in a vacuum state is put into a sterilizing material and a pressure rise occurs at one end and then hydrogen peroxide gas is diffused. And the method of supplying ozone by using plasma is used up to several times.
  • each pressure is to form a low vacuum using a vacuum pump, then to increase the pressure through the diffusion of the sterilizing material and to introduce sterilization to the inside of the elongated tube by injecting outside air to increase the penetration power.
  • a considerable amount of the sterilization material, except for the sterilization material used for steriliza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acuum pump, sterilization re-input, and pressure increase step, resulting in waste of the sterilization material.
  •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23705 proposes a method of generating a flow of fluid in a vacuum-generated chamb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a target of diffusion and sterilization of the sterilizing material. This suggests a way to quickly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terilization target. This has the advantage of rapidl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terilization to remove the remaining sterilization material after drying and sterilization, thus reducing the total sterilization tim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hin and long tub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fficulty in reaching the sterilizing material by diffusion of gas only.
  • Patent document 0001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0782040 (sterilization method using hydrogen peroxide and ozone and device according to the method, registration date December 4, 2007)
  • Patent document 0002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0985801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hydrogen peroxide and sterilization method, registered on September 30, 2010)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rilizing apparatus which can increase the sterilizing effect by supplying a sterilizing material smoothly to a sterilizing object sealed in a sealing member.
  • an air circulation unit composed of a vacuum pump and a tank is constituted so that the pressure is repeatedly varied through injection and discharge of air in the sterilization space.
  • the pressure of the sterilizing space is varied, the volume of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is varied repeatedly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terilizing space and the sealing member, thereby allowing the sterilizing material to penetrate into the sealing member.
  • air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sterilizing space, it is heated by the heater and then injected into the sterilizing space to uniformly distribute the temperature in the sterilizing space and transfer heat energy to the sterilizing object to maintain the temperature suitable for sterilization .
  • the low temperature steril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rilizing space (11) for accommodating a sterilizing object (13); A sterilizing agent injecting unit injecting sterilizing material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An external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outside air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An air circulation unit for repeatedly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an evacuating unit for evacuating air in the sterilizing space 11 to the outside.
  • the sterilizing material injection unit includes a sterilizing material container 24 containing the sterilizing material, a sterilizing material injection valve 25 controlling the sterilizing material injection in the sterilizing space 11, a vaporizer heater for heating and vaporizing the sterilizing material 26).
  • the external air injection unit includes an external air filter 21 for filtering external air, a plasma module 22 for plasma processing external air, an external air injection valve 23 for controlling external air injection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 the air circul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and includes a vacuum pump 16 for discharging air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and a vacuum pump 16 for discharging air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A vacuum valve 15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gas in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a vacuum pump 16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terilizing space 11, A tank 18 connected to the sterilizing space 11 to inject air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a control valve 18 provided between the vacuum pump 16 and the tank 18 to control the injection of air into the tank 18, A tank-in-valve 17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tank 18 and the sterilization space 11 for controlling the injection of air compressed in the tank 18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19).
  • the evacuation unit is provided on the detour to connect the vacuum pump 16 to the outside.
  • the vacuum pump 16 can evacuat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terilizing space 11 to the outside And an exhaust valve (28)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20 for heating the air injected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from the external air injecting unit and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circulating unit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
  • the low temperature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low temperature steriliz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terilization source injection unit, the external air injection unit, the air circulation unit, and the exhaus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sterilization space (11)
  • the pressure in the sterilizing space 11 is repeatedly varied to inject and discharge the vaporized sterilizing material into the sealing member inner 14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the sealing member inner 14, Circulating sterilization step (13) is sterilized;
  • the preheating step may include a first vacuum step (S100) in which the air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exhaust part, the external air plasma treated by the external air injection part The sterilizing space 11 is filled with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the inside of the sterilizing space 11 is filled with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a pre-treating step (S300) of heating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the sterilizing object (14) by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into the sealing member (14) due to the car.
  • S100 first vacuum step
  • S300 pre-treating step of heating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the sterilizing object (14) by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into the sealing member (14) due to the car.
  • the circulating sterilization step may include a second vacuum step S400 of discharging the air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to the outside by the exhaust part, a step of vaporizing the sterilization space 11 by the sterilization material injection part (S600) in which outside air is injected to increase the pressure in the sterilizing space (11) by the outside air injecting unit (S600); a sterilizing unit Air is inject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sterilizing space 11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And a sterilizing step (S700) for sterilizing the sterilizing object (14).
  • a second vacuum step S400 of discharging the air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to the outside by the exhaust part a step of vaporizing the sterilization space 11 by the sterilization material injection part (S600) in which outside air is injected to increase the pressure in the sterilizing space (11) by the outside air injecting unit (S600); a sterilizing unit Air is inject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sterilizing space 11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terilizing space
  • the evacuation step may include a second outside air injection step (S800) in which outside air is injected to increase the pressure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by the external air injection unit and to lower the concentration of the sterilizing material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 S800 outside air injection step
  •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is repeated by the air circulation unit and the air is circulated to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terilization space 11 and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S900) of removing the sterilizing material (S900) from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by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 a second residual sterilizing material removal step (S1000) in which the remaining sterilizing material in the space (1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n air circulation unit using a vacuum pump and a tank.
  • a vacuum pump By using a vacuum pump, the air in the sterilization space is discharged, the pressure is lowered, and the pressure is increased by injecting air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by using the tank.
  • the pressure in the sterilization space is varied and a pressur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sterilization space and the inside of the sealed member where the sterilization object is sealed.
  •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into the sealing member are repeat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and the volume of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is varied, thereby infiltrating the sterilizing material into the sealing member.
  • the sterilization space is heated and injected using a heater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the temperature in the sterilization space can be heated to a temperature suitable for sterilization, and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can be heated Air is injected and discharged repeatedly.
  • the sterilizing space and the inner temperature of the sealing member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Since the sterilizing space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sealing member are uniformly distributed, when the vaporized sterilizing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seal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densation phenomenon in which the sterilizing material is liquefied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terilizing space and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 FIG. 2 is a flowchart of a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low temperature steril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pressure chang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teriliz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conceptual view of the low temperature steril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low temperatur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 the chamber 10 accommodates the sterilization space 11 and an opening and closing door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chamber 10 to facilitate access to the inside of the sterilization space 11.
  • the sterilization object 13 sealed in the sealing member 12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is sterilized.
  • the sealing member 12 sealed with the sterilizing object 13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polymer material, and the other surfa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res so that gas can be permeated.
  • the gas permeable pores are made of fine pores so as to prevent permeation of bacteria.
  • the low-temperature sterilization apparatus includes a sterilization re-injection unit, an external air injection unit, an air circulation unit, and an exhaust unit.
  • the sterilization material injection unit includes a sterilization material container 24 containing a sterilization material, a sterilization material injection valve 25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sterilization material to control the injection of the sterilization material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And a vaporizer heater 26 which is vaporized so as to be injected into the space 11.
  • the sterilization material inlet valve 25 is opened to inject the sterilization material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 the sterilization material injection valve 25 is locked so that the sterilization material flows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
  • the sterilizing materi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hydrogen peroxide, it can be used as a sterilizing material if sterilization effect such as nitrogen dioxide, ethylene oxide gas and the like is available.
  • the outside air injecting unit includes an outside air injection filter 21 for filtering outside air, a plasma module 22 for performing plasma treatment of the filtered outside air as needed, and a plasma module 22 for injecting outside air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an outside air injection valve 23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air.
  • an outside air injection filter 21 for filtering outside air
  • a plasma module 22 for performing plasma treatment of the filtered outside air as needed
  • a plasma module 22 for injecting outside air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 an outside air injection valve 23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air.
  • the air circul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and includes a vacuum pump 16 for discharging air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and a vacuum pump 16 provided between the sterilization space 11 and the vacuum pump 16, A vacuum valve 15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gas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and a vacuum pump 16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terilization space 11, A tank 18 connected between the vacuum pump 16 and the tank 18 for controlling the injection of air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A valve 17 and a tank out valve 19 provided between the tank 18 and the sterilization space 11 for controlling the injection of air compressed in the tank 18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Consists of.
  • the sterilizing space 11, the vacuum pump 16, and the tank 1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openable vacuum valve 15, the tank in valve 17 and the tank out valve 19, Can constitute a closed circuit that circulates.
  • the closed circuit the pressure of the sterilizing space 11 can be repeatedly raised and lowered.
  • the pressure of the sterilization space 11 also rises and falls repeatedly. At this time, a pressure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the sealing member 14 so that the air in the sterilizing space 11 is injected into the sealing member 14,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sterilizing space (11).
  • the air compressed in the tank 18 is injected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the air is heated in the heater 20 and injected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 the temperature in the sterilizing space 11 is uniformly distribut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erilizing object 13 can be elevated to be suitable for sterilization. Also, condensation occurring in the sealing member inner portion 14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can be prevented.
  • the evacuation unit is provided on the detour to connect the vacuum pump 16 and the outside.
  • the vacuum pump 16 can open and close the evacuating unit 11 so that air discharged from the sterilizing space 11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And an exhaust valve 28.
  • the vacuum valve 15 and the exhaust valve 28 are opened and the vacuum pump 16 is operated to sterilize the sterilization space 11 when the sterilization space 11 is evacuated or the sterilization operation is completed, So that the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FIG. 2 is a flow chart of the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low temperature steril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graph of pressure chang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teriliz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ow-temperature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low-temperature sterilization apparatus includes a first vacuum step S100, a plasma treatment step S200, a pre-treatment step S300, a second vacuum step S400, S500), a first outside air injection step (S600), a sterilization step (S700), and a second outside air injection step (S800).
  • the low temperature steriliz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residual sterilizing material removal step (S900) and a second residual sterilizing material removal step (S1000) after the outside air injection step (S800).
  • the first vacuum step S100 is to place the sealing member 12 sealed with the sterilizing object 13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in the chamber 10 and then to apply the pressure of the sterilization space 11 To maintain the vacuum. That is, as shown in the section S100 of the graph shown in FIG. 3, the air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exhaust unit and is reduced to a pressure lower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760 torr).
  • the outside air is plasma-treated by the external air injection unit and injected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At this time, the plasma-treated outside air is injected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thereby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sterilizing space 11 as shown in a section S200 of the graph shown in FIG.
  • the injection and discharge of air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are repeated by the air circulating unit. At this tim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the injection and discharge of air into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are repeated.
  • the gas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is discharged using the vacuum pump 16, the gas compressed in the tank 18 is injected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 air can be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or air in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can be discharged.
  • the pre-processing step S300 may also transmit thermal energy to the sealing member inner 14. That is, in the preprocessing step S300, when the plasma-treated outside air or the air compressed in the tank 18 is injected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the air is heated by the heater 20 so that the sterilization space 11 ). The heated air injected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may be injected into the sealing member 14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by the air circulating unit to transfer heat energy to the sterilizing object 13. [ Accordingly, the pre-processing step S300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terilizing object 13 can be continuously heated to a temperature suitable for sterilization. Furthermore, condensation that may occur in the sealing member inner 14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can be prevented.
  • the second vacuum step S400 reduces the pressure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to a lower pressure than the preprocessing step S300.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a section S400 of the graph shown in FIG. 3, a gas present in the sterilizing space 1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evacuation unit to form a vacuum in the sterilizing space 11 do.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 of the sterilization space 11 is kept at a vacuum pressure of 0 to 50 torr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econd vacuum step S400, the gas in the sterilizing space 1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providing a condition for vaporizing the hydrogen peroxide as the sterilizing material.
  • the sterilization re-injection step (S500) is a step of injecting the sterilization material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section S500 of the graph shown in FIG. 3, the sterilization material injecting step (S500) includes injecting the sterilized material vaporized by the sterilization material injecting unit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So that the pressure in the sterilizing space 11 is raised.
  • the inflow and discharge of air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are repeated by the air circulation unit so that the sterilized material vaporized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can be diffused.
  • the first ambient air injection step S600 is a step of injecting outside air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by an external air injection unit. That is, as shown in the section S600 of the graph shown in FIG. 3, the first outside air injection step (S600) raises the pressure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by injecting outside air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At this time, the pressure in the sterilizing space (11) rises and a pressur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The pressure difference allows the sterilization material injected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to be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aling material 14 in the sterilization material injection S500.
  • the air circulation unit In the sterilization step (S700), as in the pre-processing step (S300), the air circulation unit repeatedly injects and discharges air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At this tim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the injection and discharge of air into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are repeated.
  • the pressure in the sterilizing space 11 is controlled by the vacuum pump 16 of the air circulating unit so that air in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by the tank 18 of the air circulation part and is raised. This is repeated, and the pressure of the sterilizing space 11 is repeatedly varied. At this time, the volume of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is changed repeatedly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so that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is filled with the sterilizing material, And the sterilizing object 13 in the sealing member interior 14 can be sterilized.
  • the sterilization step (S700) may also transmit thermal energy to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That is, in the sterilization step S700, when the air compressed in the tank 18 is injected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the air is heated by the heater 20 and injected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The heated air injected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is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aling member 14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by the air circulation unit and transfers thermal energy to the sterilization object 13. Accordingly, the sterilizing step (S700) transfers heat energy to the sterilizing object (13) so that the sterilizing object (13) can maintain a temperature suitable for sterilization.
  • the second ambient air injection step S800 is a step of injecting outside air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by an external air injection unit. That is, as shown in the section S800 of the graph shown in FIG. 3, the second outside air injection step (S800) increases the pressure by injecting outside air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As a result, the pressure in the sterilizing space 11 is increased,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terilizing material in the sterilizing space 11 can be reduced.
  • the first residual sterilizing material removing step S900 is a step of discharging the sterilizing material of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by changing the pressure in the sterilizing space 11. [ That is, the first residual sterilizing material removal step S900 repeatedly changes the pressure in the sterilizing space 11 as shown in S900 of the graph shown in FIG. 3, And removing the sterilization material remaining in the sealing member inner 14 and the sterilization object 13. [
  • the first residual sterilizing material removing step S900 is repeatedly performed by repeating the steps of repeating the steps S 300 and S 700 to repeatedly apply the pressure in the sterilizing space 11 by the air circulating unit .
  • the injection and discharge of the air into the sealing member 14 are repeated so that the sterilizing material remaining in the sealing member inner 14 flows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 the first residual sterilizing material removing step S900 may be performed by the heater 20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as in the pre-processing step S300 and the sterilizing step S700
  • the sterilizing material can be maintained in a gaseous state by transferring heat energy to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because it is heated and injected.
  • external air is injected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by an external air injection unit to discharge the sterilizing material remaining in the sterilizing space 11 to the outside, And discharging the air in the sterilizing space 11 to the outside by the use of the sterilizing device.
  • the second residual sterilizing material removing step (S1000) includes a step of discharging the air in the sterilizing space (11) to the outside by the discharge unit as shown in a section S1000 of the graph shown in FIG. 3 And the external air is injected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by the external air injecting unit repeatedly, so that the pressure in the sterilizing space 11 is varied.
  • outside air is injected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by the external air injecting unit, thereby lowe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terilizing material in the sterilizing space (11).
  • the second residual sterilizing material removal step (S1000) includes a process of discharging the air in the sterilizing space (11) to the outside by an evacuation unit and a process of injecting outside air into the sterilizing space (11) , The sterilizing material in the sterilizing space 11 can be removed.
  • the sterilization material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second residual sterilizing material removal step (S1000) is separated into steam and oxygen by the catalyst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air in the sterilization space 11 is discharged by using the vacuum pump 16 to reduce the pressure, and the gas compressed in the tank 18 is introduced into the sterilization space 11
  • the sterilizing material is infiltrated into the sealing member inside 14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terilizing space 11 and the sealing member 14 so that the sterilizing object 13 can be sterilized have.
  • the object to be sterilized 13 of the inside of the sealing member 14 can be raised to a temperature suitable for sterilization and the condensation inside the sealing member 14 can be preven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멸균 장치를 이용한 멸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온 멸균 장치에 개폐 가능한 밸브에 의해 멸균 공간, 진공 펌프 및 탱크를 포함하는 폐회로가 구현되어, 진공 펌프에 의해 멸균 공간 내 공기가 배출되고, 탱크에 의해 멸균 공간 내로 공기가 주입되는 과정이 반복되어 멸균 공간 내 압력은 반복적으로 가변된다. 공기 순환부에 의해 멸균 공간의 압력이 반복적으로 가변되며 멸균 공간과 밀봉 부재 내부 사이에 압력 차가 발생하고, 압력 차에 의해 밀봉 부재 내부로 공기가 주입 및 배출되는 과정을 통해 기화 처리된 멸균재가 밀봉 부재 내부로 침투해서 멸균 대상물을 멸균한다.

Description

저온 멸균 장치를 이용한 멸균 방법
본 발명은 저온 멸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멸균 공간에 진공 펌프와 탱크가 구비된 공기 순환부를 구성하여 멸균 공간과 진공펌프 및 탱크 사이에 폐회로를 구현한다. 공기 순환부에 의해 멸균 공간에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반복되며 압력이 가변되고, 멸균 대상물을 밀봉하고 있는 밀봉 부재 내부와 멸균 공간의 압력 차이에 의해 밀봉 부재 내부로 멸균재가 효과적으로 침투하여 멸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저온 멸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멸균(Sterilization)이란 세척(Cleaning) 또는 소독(Disinfection)과는 차별되게 살아있는 모든 종류의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멸균작용은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의료기구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각종 물품을 멸균할 때는 건열(Dry heat) 또는 수증기에 의해 제공되는 열을 사용하거나, 산화에틸렌 가스, 과산화수소와 같은 화학물질로 된 멸균재를 증기상태로 만든 다음 사용한다. 그러나 물품의 종류에 따라 높은 열이나 수증기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경우는 멸균 방법에 있어서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한편 핀셋, 나이프 또는 가위 등 각종 의료 기구는 멸균 시 파우치에 넣은 상태에서 멸균시킨다. 이때, 의료용 파우치는 일면은 투명한 폴리머 재질로 구성되며, 다른 면은 기체의 투과가 가능한 타이백 등의 재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멸균재가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타이백 등 멸균재용 투과면의 재질은 세균의 침투는 막을 수 있을 만큼 미세한 기공으로 이루어져 있어 확산에 의한 멸균재의 전달이나 송풍에 의한 내부 멸균대상의 온도상승은 충분한 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 경우, 파우치의 입구를 밀봉하여 멸균하는 경우에는 2차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멸균재 침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파우치의 입구를 개방하고 멸균하는 경우에는 멸균재 침투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멸균이 끝나고 2차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렇듯 파우치에 넣은 상태이기 때문에 의료기구의 미세한 부분까지 완벽하게 멸균재를 침투시켜 멸균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65359호에 의하면, 진공에서 증기상태의 과산화수소를 멸균재로 투입하고 일단의 압력상승이 생긴 후 과산화수소 기체의 확산에 의존하는 멸균 방법에 대하여, 경우에 따라 과산화수소 기체를 수차례 공급하는 공정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오존을 공급하는 방법까지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매 압력을 조정하는 단계가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저 진공을 형성 후 멸균재의 확산을 통한 압력상승 및 침투력을 높이기 위한 외부 공기를 투입하여 가늘고 기다란 관의 내부까지 멸균을 시도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진공, 멸균재 투입 그리고 압력상승의 단계를 거치며 일부 멸균에 이용되는 멸균재를 제외한 상당한 양의 멸균재는 진공 펌프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멸균재의 낭비가 초래된다.
이에 대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0-0023705호는 진공으로 압력이 형성된 챔버 내부에 유체의 흐름을 생성하여 멸균재의 확산 및 멸균 대상의 온도를 보다 빠르게 올릴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것은 내부 멸균 대상의 온도를 빠르게 올릴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것은 내부 멸균 대상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켜 건조 및 멸균 후 잔류하는 멸균재를 제거하는데도 장점이 있어 전체 멸균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가늘고 기다란 관의 경우 기체의 확산만으로 멸균재의 도달이 어려웠던 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또한 멸균재 농축 과정에서 손실이 있으며, 위 두 종래 기술의 공통적인 문제로 보이는 의료용 파우치에 포장된 경우 위의 장점을 충분히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결과적으로 위에 예시된 종래기술로는 파우치에 밀봉되어 있는 의료 기구를 완벽하게 멸균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특허출원 제0782040호(과산화수소 및 오존을 사용하는 멸균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장치, 등록일 2007.12.04.)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특허출원 제0985801호(과산화수소 이용 멸균 장치 및 멸균 방법, 등록일 2010.09.3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밀봉 부재에 밀봉된 멸균 대상물에 멸균재가 원활하게 공급됨으로써 멸균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는 멸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진공 펌프와 탱크로 구성된 공기 순환부를 구성하여, 멸균 공간 내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을 통해 압력이 반복적으로 가변된다. 멸균 공간의 압력이 가변됨에 따라 멸균 공간과 밀봉 부재의 압력 차로 인해 밀봉 부재 내부의 부피가 반복적으로 가변되고, 이를 통해 멸균재가 밀봉 부재 내부로 침투할 수 있다. 또한, 멸균 공간 내로 공기가 주입될 때 히터를 통해 가열 후 멸균 공간 내로 주입함으로써 멸균 공간 내 온도를 고르게 분포할 수 있으며, 상기 멸균 대상물에 열에너지를 전달해 멸균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온 멸균 장치는, 멸균 대상물(13)을 수용하는 멸균 공간(11); 상기 멸균 공간(11)에 멸균재를 주입하는 멸균재 주입부; 상기 멸균 공간(11)에 외부 공기를 주입하는 외부 공기 주입부; 상기 멸균 공간(11)에 공기의 주입과 배출을 반복하는 공기 순환부; 상기 멸균 공간(1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멸균재 주입부는, 상기 멸균재가 수용된 멸균재 용기(24), 상기 멸균 공간(11) 내 멸균재 주입을 제어하는 멸균재 주입 밸브(25), 상기 멸균재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기화기 히터(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공기 주입부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외부 공기 필터(21), 외부 공기를 플라즈마 처리하는 플라즈마 모듈(22), 상기 멸균 공간(11) 내 외부 공기 주입을 제어하는 외기 주입 밸브(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순환부는, 상기 멸균 공간(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멸균 공간(11) 내 공기를 배출시키는 진공 펌프(16),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진공 펌프(16)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멸균 공간(11) 내 기체의 배출을 제어하는 진공 밸브(15), 상기 진공 펌프(16)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에서 배출된 공기를 주입받아 압축 수용하고, 상기 멸균 공간(11)과 연결되어 상기 멸균 공간(11)에 공기를 주입하는 탱크(18), 상기 진공 펌프(16)와 상기 탱크(18)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탱크(18) 내 공기의 주입을 제어하는 탱크 in 밸브(17), 상기 탱크(18)와 상기 멸균 공간(11)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멸균 공간(11) 내에 상기 탱크(18)에서 압축된 공기의 주입을 제어하는 탱크 out 밸브(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기부는, 상기 진공 펌프(16)와 외부를 연결하는 우회로, 상기 우회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진공 펌프(16)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에서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배기 밸브(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공기 주입부에서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주입되는 공기 및 상기 공기 순환부에서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주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멸균재 주입부, 외부 공기 주입부, 공기 순환부, 배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저온 멸균 장치를 이용한 저온 멸균 방법은, 멸균 공간(11) 및 일면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밀봉 부재(12)에 밀봉되어 상기 멸균 공간(11)에 수용되는 멸균 대상물(13)이 멸균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되는 예열 단계; 상기 멸균 공간(11) 내 압력을 반복적으로 가변시켜서 상기 멸균 공간(11)과 밀봉 부재 내부(14)의 압력 차로 인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로 기화 처리된 멸균재가 주입 및 배출되며 상기 멸균 대상물(13)이 멸균되는 순환 멸균 단계; 상기 순환 멸균 단계 이후,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 및 상기 멸균 공간(11)에 잔류하는 상기 멸균재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예열 단계는, 상기 배기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 1 진공 단계(S100), 상기 외부 공기 주입부에 의해 플라즈마 처리된 외부 공기가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주입되는 플라즈마 처리 단계(S200), 상기 공기 순환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로의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되어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압력 차로 인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로 공기가 주입 및 배출되어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멸균 대상물(14)을 가열하는 전처리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순환 멸균 단계는, 상기 배기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 2 진공 단계(S400), 상기 멸균재 주입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기화 처리된 멸균재가 주입되는 멸균재 주입 단계(S500), 상기 외부 공기 주입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 압력을 높이기 위해 외부 공기가 주입되는 제 1 외기 주입 단계(S600), 상기 공기 순환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로의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되어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압력 차로 인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로 공기가 주입 및 배출되어 상기 멸균 대상물(14)을 멸균하는 멸균 단계(S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기 단계는, 상기 외부 공기 주입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 압력을 높이고, 상기 멸균 공간(11) 내 멸균재 농도를 낮추기 위해 외부 공기가 주입되는 제 2 외기 주입 단계(S800), 상기 공기 순환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로의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되어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압력 차로 인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로 공기가 주입 및 배출되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에서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상기 멸균재가 배출되는 제 1 잔류 멸균재 제거 단계(S900), 상기 외부 공기 주입부와 상기 배기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 잔류하는 멸균재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 2 잔류 멸균재 제거 단계(S1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 펌프와 탱크를 이용해 공기 순환부를 구성한다. 진공 펌프를 이용해서 멸균 공간 내 공기가 배출되어 압력이 낮아지고, 탱크를 이용해서 멸균 공간 내로 공기를 주입하여 압력이 높아진다. 이를 반복하여 멸균 공간의로의 공기의 주입과 배출을 반복하며, 멸균 공간 내 압력을 반복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멸균 공간 내 압력이 가변되며, 멸균 대상물이 밀봉된 밀봉 부재 내부와 멸균 공간 사이에 압력 차이가 발생한다. 압력 차에 의해 밀봉 부재 내부로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반복되며 밀봉 부재 내부의 부피가 가변되고 이로 인해 밀봉 부재 내부로 멸균재가 침투된다.
또한, 멸균 공간 내로 공기가 주입될 때 구비된 히터를 이용해 가열되어 주입되기 때문에 상기 멸균 공간 내 온도를 멸균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으며, 상기 밀봉 부재 내부에도 공기 순환부에 의해서, 히터로부터 가열된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반복된다. 이로 인해 멸균 공간과 밀봉 부재 내부 온도는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멸균 공간과 밀봉 부재 내부의 온도가 균일하게 분포되기 때문에 기화 처리된 멸균재가 밀봉 부재 내부에 주입되었을 때, 멸균 공간과 밀봉 부재 내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멸균재가 액화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멸균 대상물에도 열에너지를 전달해서 멸균 대상물을 멸균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밀봉 부재에 밀봉된 멸균 대상물에 만족스러운 멸균 작용을 시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저온 멸균 장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저온 멸균 장치를 이용한 멸균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멸균 방법에 따른 멸균 장치의 압력 변화 그래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걸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저온 멸균 장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온 멸균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챔버(10)는 멸균 공간(11)을 수용하며, 상기 챔버(10)에 개폐도어(미도시됨)가 구비되어 상기 멸균 공간(11) 내부로의 접근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상기 멸균 공간(11)에서 밀봉 부재(12)에 밀봉된 멸균 대상물(13) 멸균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멸균 대상물(13)이 밀봉된 상기 밀봉 부재(12)는 일면이 투명한 폴리머 재질로 구성되며, 다른 면은 기체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이때, 기체의 투과가 가능한 기공은 세균의 침투는 막을 수 있도록 미세한 기공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저온 멸균 장치는 멸균재 주입부, 외부 공기 주입부, 공기 순환부 및 배기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멸균재 주입부는 멸균재가 수용된 멸균재 용기(24), 상기 멸균재를 상기 멸균 공간(11)으로의 주입을 제어하기 위해 개폐 가능한 멸균재 주입 밸브(25) 및 상기 멸균재가 기체 상태로 상기 멸균 공간(11)내에 주입될 수 있도록 기화 처리하는 기화기 히터(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멸균재 주입 밸브(25)를 열어서 상기 멸균재를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주입할 수 있으며, 멸균 작업이 끝나면 상기 멸균재 주입 밸브(25)를 잠가서 상기 멸균재가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주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멸균재는 과산화수소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산화질소, 산화에틸렌 가스 등 멸균 효과가 있다면 멸균재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외부 공기 주입부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외기 주입 필터(21), 필터링한 외부 공기를 필요에 따라 플라즈마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플라즈마 모듈(22) 및 외부 공기를 상기 멸균 공간(11)으로의 주입을 제어하기 위해 개폐 가능한 외기 주입 밸브(2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외부 공기가 상기 멸균 공간(11)에 주입될 때, 히터(20)에서 가열되어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주입된다. 가열된 공기를 상기 멸균 공간(11)에 주입함으로써, 상기 멸균 공간(11) 내 온도가 균일하게 분포되며, 상기 멸균 대상물(13)의 온도를 멸균에 적합하도록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도 차로 인해 밀봉 부재 내부(14)에서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부는 상기 멸균 공간(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멸균 공간(11) 내 공기를 배출시키는 진공 펌프(16),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진공 펌프(16)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멸균 공간(11) 내 기체의 배출을 제어하는 진공 밸브(15), 상기 진공 펌프(16)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에서 배출된 공기를 주입받아 압축 수용하고, 상기 멸균 공간(11)과 연결되어 상기 멸균 공간(11)에 공기를 주입하는 탱크(18), 상기 진공 펌프(16)와 상기 탱크(18)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탱크(18) 내 공기의 주입을 제어하는 탱크 in 밸브(17) 및 상기 탱크(18)와 상기 멸균 공간(11)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멸균 공간(11) 내에 상기 탱크(18)에서 압축된 공기의 주입을 제어하는 탱크 out 밸브(1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진공 펌프(16)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 공기를 배출시키면 상기 멸균 공간(11)의 압력이 낮아지고, 상기 탱크(18)에서 압축된 공기가 상기 멸균 공간(11)에 주입되면 상기 멸균 공간(11)의 압력이 높아진다.
이때, 개폐 가능한 상기 진공 밸브(15)와 상기 탱크 in 밸브(17) 및 상기 탱크 out 밸브(19)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상기 진공 펌프(16) 및 상기 탱크(18)를 통해 공기가 순환하는 폐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폐회로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의 압력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할 수 있다.
폐회로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으로의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됨에 따라 상기 멸균 공간(11)의 압력도 상승과 하강을 반복한다. 이때,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압력 차가 발생하여 상기 멸균 공간(11)의 공기가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로 주입되기도 하고,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공기가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탱크(18)에서 압축된 공기가 상기 멸균 공간(11)에 주입될 때, 히터(20)에서 가열되어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주입된다. 가열된 공기를 상기 멸균 공간(11)에 주입함으로써, 상기 멸균 공간(11) 내 온도가 균일하게 분포되며, 상기 멸균 대상물(13)의 온도를 멸균에 적합하도록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도 차로 인해 밀봉 부재 내부(14)에서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진공 펌프(16)와 외부를 연결하는 우회로, 상기 우회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진공 펌프(16)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에서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배기 밸브(2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멸균 공간(11)을 진공 상태로 만들 때 또는 멸균 작업이 끝났을 때, 상기 진공 밸브(15)와 상기 배기 밸브(28)를 열고, 상기 진공 펌프(16)를 작동시켜서 상기 멸균 공간(11)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저온 멸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저온 멸균 장치를 이용한 멸균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멸균 방법에 따른 멸균 장치의 압력 변화 그래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온 멸균 장치를 이용한 저온 멸균 방법은 제 1 진공 단계(S100), 플라즈마 처리 단계(S200), 전처리 단계(S300), 제 2 진공 단계(S400), 멸균재 주입 단계(S500), 제 1 외기 주입 단계(S600), 멸균 단계(S700) 및 제 2 외기 주입 단계(S80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저온 멸균 방법은 상기 외기 주입 단계(S800) 이후, 제 1 잔류 멸균재 제거 단계(S900) 및 제 2 잔류 멸균재 제거 단계(S100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제 1 진공 단계(S100)는 상기 멸균 대상물(13)이 밀봉된 상기 밀봉 부재(12)를 상기 챔버(10) 내의 상기 멸균 공간(11)에 위치시킨 후, 상기 멸균 공간(11)의 압력을 낮춰 진공을 유지시키는 단계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의 S100 구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기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대기압(760torr)보다 낮은 압력으로 감소시킨다.
플라즈마 처리 단계(S200)는 상기 외부 공기 주입부에 의해 외부 공기가 플라즈마 처리되어 상기 멸균 공간(11)에 주입된다. 이때, 플라즈마 처리된 외부 공기가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주입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의 S200 구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멸균 공간(11)의 압력을 상승시킨다.
전처리 단계(S300)는 상기 공기 순환부에 의해 멸균 공간(11)으로의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된다. 이때,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압력 차로 인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에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의 S300 구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멸균 공간(11) 내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되며, 상기 멸균 공간(11) 내 압력이 반복적으로 가변된다. 이때, 발생하는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압력 차로 인해 밀봉 부재 내부(14)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되기 때문에 상기 밀봉 부재(12)의 부피가 변화된다.
즉, 상기 전처리 단계(S300)는 상기 진공 펌프(16)를 이용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의 기체를 배출시키고, 상기 탱크(18)에서 압축된 기체를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주입하여 상기 멸균 공간(11)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로 공기를 주입시키거나,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 단계(S300)는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로 열에너지를 전달하기도 한다. 즉, 상기 전처리 단계(S300)는 플라즈마 처리된 외부공기 또는 상기 탱크(18)에서 압축된 공기는 상기 멸균 공간(11)에 주입될 때, 히터(20)에서 공기를 가열해서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주입된다. 상기 멸균 공간(11)에 주입된 가열된 공기는 상기 공기 순환부에 의해 발생한 압력 차로 인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로 주입되어 열에너지를 상기 멸균 대상물(13)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전처리 단계(S300)는 상기 멸균 대상물(13)을 멸균에 적합한 온도까지 지속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온도 차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제 2 진공 단계(S400)는 상기 멸균 공간(11) 내의 압력을 상기 전처리 단계(S300)보다 더 낮은 압력으로 감소시킨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의 S400 구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기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에 존재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멸균 공간(11)에 진공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멸균 공간(11)의 압력은 0 ~ 50 torr 범위의 압력으로 진공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 2 진공 단계(S400)는 상기 멸균 공간(11)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멸균재인 과산화수소를 기화시킬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멸균재 주입 단계(S500)는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상기 멸균재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의 S500 구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멸균재 주입 단계(S500)는 상기 멸균재 주입부에 의해 기화 처리된 상기 멸균재가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주입되어 상기 멸균 공간(11) 내 압력이 소정 상승된다.
이때, 상기 공기 순환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으로의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되어 상기 멸균 공간(11) 내에 기화 처리된 상기 멸균재가 확산될 수 있도록 한다.
제 1 외기 주입 단계(S600)는 외부 공기 주입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외부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의 S600 구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외기 주입 단계(S600)는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외부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멸균 공간(11) 내 압력을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멸균 공간(11) 내 압력이 상승하여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압력 차가 발생한다. 이 압력 차에 의해 상기 멸균재 주입 단계(S500)에서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주입된 상기 멸균재가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에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멸균 단계(S700)는 상기 전처리 단계(S300)와 동일하게, 상기 공기 순환부에 의해 멸균 공간(11)으로의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된다. 이때,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압력 차로 인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에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의 S700 구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멸균 공간(11) 내 압력은 상기 공기 순환부의 상기 진공 펌프(16)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의 공기가 배출되며 감소하고, 상기 공기 순환부의 상기 탱크(18)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로 공기가 주입되며 상승한다. 이를 반복하며, 상기 멸균 공간(11)의 압력이 반복적으로 가변된다. 이때,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압력 차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부피가 반복적으로 변화됨으로써,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로 상기 멸균재의 주입 및 배출이 반복되고,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상기 멸균 대상물(13)을 멸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멸균 단계(S700)는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로 열에너지를 전달하기도 한다. 즉, 상기 멸균 단계(S700)는 상기 탱크(18)에서 압축된 공기가 상기 멸균 공간(11)에 주입될 때, 상기 히터(20)에서 공기를 가열해서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주입된다. 상기 멸균 공간(11)에 주입된 가열된 공기는 상기 공기 순환부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차로 인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로 주입되고, 열에너지를 상기 멸균 대상물(13)에 전달한다. 이를 통해, 상기 멸균 단계(S700)는 상기 멸균 대상물(13)에 열에너지를 전달하여, 상기 멸균 대상물(13)이 멸균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 외기 주입 단계(S800)는 외부 공기 주입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외부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의 S800 구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 외기 주입 단계(S800)는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외부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압력을 상승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 압력이 상승되고, 상기 멸균 공간(11) 내 상기 멸균재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 1 잔류 멸균재 제거 단계(S900)는 상기 멸균 공간(11) 내 압력을 변화시켜,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멸균재를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배출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제 1 잔류 멸균재 제거 단계(S900)는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의 S900 구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멸균 공간(11)의 압력을 반복적으로 변화시켜,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공기가 주입 및 배출되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 및 상기 멸균 대상물(13)에 잔류하는 상기 멸균재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 1 잔류 멸균재 제거 단계(S900)는 상기 전처리 단계(S300) 및 상기 멸균 단계(S700)와 동일하게 상기 공기 순환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 압력을 반복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멸균 공간(11) 내 압력을 반복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로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에 잔류하는 상기 멸균재가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잔류 멸균재 제거 단계(S900)는 상기 전처리 단계(S300) 및 상기 멸균 단계(S700)와 같이, 상기 멸균 공간(11)에 공기가 주입될 때, 상기 히터(20)에 의해 가열돼서 주입되기 때문에,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에 열에너지를 전달하여 상기 멸균재가 기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잔류 멸균재 제거 단계(S1000)는 상기 멸균 공간(11) 내 잔류하는 상기 멸균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외부 공기 주입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에 외부 공기를 주입하고, 배기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2 잔류 멸균재 제거 단계(S1000)는,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의 S1000 구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기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과 외부 공기 주입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로 외부 공기를 주입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멸균 공간(11) 내 압력이 가변된다.
또한, 상기 제 2 잔류 멸균재 제거 단계(S1000)는 외부 공기 주입부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주입됨으로써, 상기 멸균 공간(11) 내 상기 멸균재의 농도를 낮출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잔류 멸균재 제거 단계(S1000)는 배기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과 외부 공기 주입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외부 공기를 주입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멸균 공간(11) 내 상기 멸균재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잔류 멸균재 제거 단계(S100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멸균재는 촉매에 의해 수증기와 산소로 분리시켜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저온 멸균 방법은 상기 진공 펌프(16)를 이용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 공기를 배출하여 압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탱크(18)에서 압축된 기체를 상기 멸균 공간(11) 내에 주입하여 압력을 상승시키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압력 차에 의해 밀봉 부재 내부(14)로 멸균재가 침투해서 상기 멸균 대상물(13)을 멸균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공기와 상기 탱크(18)에서 압축된 공기는 상기 멸균 공간(11) 내에 주입될 때, 상기 히터(20)에서 가열되어 주입되기 때문에 상기 멸균 공간(11) 내에 열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어, 밀봉 부재 내부(14)의 상기 멸균 대상물(13)을 멸균에 적합한 온도까지 올릴 수 있으며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에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한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 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 : 챔버
11 : 멸균 공간
12 : 밀봉 부재
13 : 멸균 대상물
14 : 밀봉 부재 내부
15 : 진공 밸브
16 : 진공 펌프
17 : 탱크 in 밸브
18 : 탱크
19 : 탱크 out 밸브
20 : 히터
21 : 외기 주입 필터
22 : 플라즈마 모듈
23 : 외기 주입 밸브
24 : 멸균재 용기
25 : 멸균재 주입 밸브
26 : 멸균재 기화실
27 : 압력 센서
28 : 배기 밸브
S100 : 제 1 진공 단계
S200 : 플라즈마 처리 단계
S300 : 전처리 단계
S400 : 제 2 진공 단계
S500 : 멸균재 주입 단계
S600 : 제 1 외기 주입 단계
S700 : 멸균 단계
S800 : 제 2 외기 주입 단계
S900 : 제 1 잔류 멸균재 제거 단계
S1000 : 제 2 잔류 멸균재 제거 단계

Claims (10)

  1. 멸균 대상물(13)을 수용하는 멸균 공간(11);
    상기 멸균 공간(11)에 멸균재를 주입하는 멸균재 주입부;
    상기 멸균 공간(11)에 외부 공기를 주입하는 외부 공기 주입부;
    상기 멸균 공간(11)에 공기의 주입과 배출을 반복하는 공기 순환부;
    상기 멸균 공간(1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멸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재 주입부는,
    상기 멸균재가 수용된 멸균재 용기(24),
    상기 멸균 공간(11) 내 멸균재 주입을 제어하는 멸균재 주입 밸브(25),
    상기 멸균재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기화기 히터(2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멸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공기 주입부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외부 공기 필터(21),
    외부 공기를 플라즈마 처리하는 플라즈마 모듈(22),
    상기 멸균 공간(11) 내 외부 공기 주입을 제어하는 외기 주입 밸브(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멸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부는,
    상기 멸균 공간(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멸균 공간(11) 내 공기를 배출시키는 진공 펌프(16),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진공 펌프(16)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멸균 공간(11) 내 기체의 배출을 제어하는 진공 밸브(15),
    상기 진공 펌프(16)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에서 배출된 공기를 주입받아 압축 수용하고, 상기 멸균 공간(11)과 연결되어 상기 멸균 공간(11)에 공기를 주입하는 탱크(18),
    상기 진공 펌프(16)와 상기 탱크(18)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탱크(18) 내 공기의 주입을 제어하는 탱크 in 밸브(17),
    상기 탱크(18)와 상기 멸균 공간(11)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멸균 공간(11) 내에 상기 탱크(18)에서 압축된 공기의 주입을 제어하는 탱크 out 밸브(1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멸균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진공 펌프(16)와 외부를 연결하는 우회로,
    상기 우회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진공 펌프(16)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에서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배기 밸브(2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멸균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공기 주입부에서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주입되는 공기 및 상기 공기 순환부에서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주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멸균 장치.
  7. 멸균재 주입부, 외부 공기 주입부, 공기 순환부, 배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저온 멸균 장치를 이용한 저온 멸균 방법에 있어서,
    멸균 공간(11) 및 일면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밀봉 부재(12)에 밀봉되어 상기 멸균 공간(11)에 수용되는 멸균 대상물(13)이 멸균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되는 예열 단계;
    상기 멸균 공간(11) 내 압력을 반복적으로 가변시켜서 상기 멸균 공간(11)과 밀봉 부재 내부(14)의 압력 차로 인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로 기화 처리된 멸균재가 주입 및 배출되며 상기 멸균 대상물(13)이 멸균되는 순환 멸균 단계;
    상기 순환 멸균 단계 이후,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 및 상기 멸균 공간(11)에 잔류하는 상기 멸균재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멸균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 단계는,
    상기 배기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 1 진공 단계(S100),
    상기 외부 공기 주입부에 의해 플라즈마 처리된 외부 공기가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주입되는 플라즈마 처리 단계(S200),
    상기 공기 순환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로의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되어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압력 차로 인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로 공기가 주입 및 배출되어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멸균 대상물(14)을 가열하는 전처리 단계(S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멸균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멸균 단계는,
    상기 배기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 2 진공 단계(S400),
    상기 멸균재 주입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기화 처리된 멸균재가 주입되는 멸균재 주입 단계(S500),
    상기 외부 공기 주입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 압력을 높이기 위해 외부 공기가 주입되는 제 1 외기 주입 단계(S600),
    상기 공기 순환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로의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되어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압력 차로 인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로 공기가 주입 및 배출되어 상기 멸균 대상물(14)을 멸균하는 멸균 단계(S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멸균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단계는,
    상기 외부 공기 주입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 압력을 높이고, 상기 멸균 공간(11) 내 멸균재 농도를 낮추기 위해 외부 공기가 주입되는 제 2 외기 주입 단계(S800),
    상기 공기 순환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로의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반복되어 상기 멸균 공간(11)과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의 압력 차로 인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로 공기가 주입 및 배출되어 상기 밀봉 부재 내부(14)에서 상기 멸균 공간(11)으로 상기 멸균재가 배출되는 제 1 잔류 멸균재 제거 단계(S900),
    상기 외부 공기 주입부와 상기 배기부에 의해 상기 멸균 공간(11) 내 잔류하는 멸균재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 2 잔류 멸균재 제거 단계(S10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멸균 방법.
PCT/KR2018/010204 2017-09-20 2018-09-03 저온 멸균 장치를 이용한 멸균 방법 WO2019059559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74946.9A CN111372615B (zh) 2017-09-20 2018-09-03 利用低温灭菌装置的灭菌方法
EP18857509.6A EP3685860A4 (en) 2017-09-20 2018-09-03 STERILIZATION PROCESS USING A LOW TEMPERATURE STERILIZATION DEVICE
JP2020538509A JP7022836B2 (ja) 2017-09-20 2018-09-03 低温滅菌装置を用いた滅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921A KR102059995B1 (ko) 2017-09-20 2017-09-20 저온 멸균 장치를 이용한 멸균 방법
KR10-2017-0120921 2017-09-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559A1 true WO2019059559A1 (ko) 2019-03-28

Family

ID=6580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0204 WO2019059559A1 (ko) 2017-09-20 2018-09-03 저온 멸균 장치를 이용한 멸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85860A4 (ko)
JP (1) JP7022836B2 (ko)
KR (1) KR102059995B1 (ko)
CN (1) CN111372615B (ko)
WO (1) WO20190595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921B1 (ko) * 2021-02-19 2023-11-06 주식회사 플라즈맵 플라즈마 표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표면처리 방법
KR102660970B1 (ko) * 2021-09-17 2024-04-29 주식회사 플라즈맵 멸균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 장치
KR102604832B1 (ko) * 2023-01-20 2023-11-22 주식회사 플라즈맵 폐회로 구조의 순환유로부를 포함하는 멸균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8460A (en) * 1989-03-08 1994-02-22 Abtox, Inc. Plasma cycling sterilizing process
KR20070065359A (ko) 2005-08-16 2007-06-22 테바 파마슈티컬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저염 함량의 로수바스타틴 칼슘
KR100782040B1 (ko) 2007-06-29 2007-12-04 주식회사 리노셈 과산화수소 및 오존을 사용하는 멸균방법 및 그 방법에따른 장치
KR20100023705A (ko) 2008-08-21 2010-03-04 김현식 도둑의 침입 방지 제품
KR100945549B1 (ko) * 2008-04-24 2010-03-08 (주)창조엔지니어링 저온 플라즈마 멸균 방법
KR100985801B1 (ko) 2010-03-17 2010-10-06 유철원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KR101298730B1 (ko) * 2011-06-21 2013-08-21 한신메디칼 주식회사 플라즈마 멸균 방법
KR20140049347A (ko) * 2012-10-17 2014-04-25 우병훈 멸균방법
KR20140110399A (ko) * 2013-03-07 2014-09-17 한신메디칼 주식회사 플라즈마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KR101846251B1 (ko) * 2016-08-17 2018-04-09 주식회사 큐브인스트루먼트 저온 멸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6959A1 (en) * 2004-11-26 2011-07-21 Human Meditek Co., Ltd. Hydrogen peroxide vapor sterilizer and sterilizing methods using the same
CN1985611A (zh) * 2005-12-20 2007-06-27 郑俊生 鲜奶灭菌法
WO2014020448A2 (en) * 2012-08-02 2014-02-06 Goa Teknoloji Danişmanlik Elektronik, Imalat Ticaret Ithalat Ihracat A. Ş. Multi mode low temperature plasma sterilizer
CN103083698B (zh) * 2013-02-16 2015-07-29 淄博康元医疗器械有限公司 三元复合灭菌方法及灭菌装置
CN103908688B (zh) * 2014-04-16 2016-08-24 张家港市华菱医疗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医用低温蒸汽甲醛灭菌柜的供气系统
KR101656732B1 (ko) * 2015-03-05 2016-09-19 한소 주식회사 멸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2018110793A (ja) * 2017-01-13 2018-07-19 三浦工業株式会社 低温蒸気ホルムアルデヒド滅菌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8460A (en) * 1989-03-08 1994-02-22 Abtox, Inc. Plasma cycling sterilizing process
KR20070065359A (ko) 2005-08-16 2007-06-22 테바 파마슈티컬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저염 함량의 로수바스타틴 칼슘
KR100782040B1 (ko) 2007-06-29 2007-12-04 주식회사 리노셈 과산화수소 및 오존을 사용하는 멸균방법 및 그 방법에따른 장치
KR100945549B1 (ko) * 2008-04-24 2010-03-08 (주)창조엔지니어링 저온 플라즈마 멸균 방법
KR20100023705A (ko) 2008-08-21 2010-03-04 김현식 도둑의 침입 방지 제품
KR100985801B1 (ko) 2010-03-17 2010-10-06 유철원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KR101298730B1 (ko) * 2011-06-21 2013-08-21 한신메디칼 주식회사 플라즈마 멸균 방법
KR20140049347A (ko) * 2012-10-17 2014-04-25 우병훈 멸균방법
KR20140110399A (ko) * 2013-03-07 2014-09-17 한신메디칼 주식회사 플라즈마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KR101846251B1 (ko) * 2016-08-17 2018-04-09 주식회사 큐브인스트루먼트 저온 멸균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685860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34137A (ja) 2020-11-26
CN111372615A (zh) 2020-07-03
KR102059995B1 (ko) 2019-12-27
EP3685860A4 (en) 2021-06-30
KR20190032741A (ko) 2019-03-28
EP3685860A1 (en) 2020-07-29
CN111372615B (zh) 2021-06-18
JP7022836B2 (ja)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59559A1 (ko) 저온 멸균 장치를 이용한 멸균 방법
AU737537B2 (en) Multi-compartment sterilization system
US72943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zing a lumen device
WO2011115428A2 (ko)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US5869000A (en) Partial vapor removal through exhaust port
JP2006305379A (ja) 多数の成分を含有する滅菌剤のための滅菌装置および方法
WO2012091521A2 (ko) 내시경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WO2012165921A1 (ko) 의료용 플라즈마 멸균장치
CN1216926A (zh) 在弥散受限的环境中进行消毒的方法
JPH11506677A (ja) プラズマ水蒸気滅菌装置及び方法
WO2016140449A1 (en) Steri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19054645A1 (ko) 불투과성 필름의 파우치를 이용한 멸균 장치 및 멸균 방법
KR101298730B1 (ko) 플라즈마 멸균 방법
KR101824143B1 (ko) 에틸렌옥사이드 가스 멸균기
WO2017065478A1 (ko) 부피 가변식 챔버를 가지는 저온 멸균장치
WO2018034516A1 (ko) 저온 멸균 방법
US78033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lumen device
EP1378253B1 (en) Sterilization with flow through container
WO2017105000A1 (ko) 진공 포장지 플라즈마 살균 장치
WO2017119582A1 (ko) 멸균 장치 및 멸균 방법
WO2018164453A1 (ko) 멸균제를 밀봉하여 보관하는 멸균 포장 용기
WO2018199574A2 (ko)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멸균장치
JP2013081539A (ja) 滅菌方法。
CN114288429B (zh) 一种用于医用防护用品消毒的正压惰气保护循环干热装置
KR102049727B1 (ko) 독립형 펌프모듈을 갖는 멸균 시스템 및 이의 멸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575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3850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575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