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773B1 - 해수에 강한 프레임 없는 돌망태 - Google Patents

해수에 강한 프레임 없는 돌망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773B1
KR100985773B1 KR1020080032247A KR20080032247A KR100985773B1 KR 100985773 B1 KR100985773 B1 KR 100985773B1 KR 1020080032247 A KR1020080032247 A KR 1020080032247A KR 20080032247 A KR20080032247 A KR 20080032247A KR 100985773 B1 KR100985773 B1 KR 100985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trunk
net
fram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6856A (ko
Inventor
조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현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현선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현선재
Priority to KR1020080032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77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6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에 강한 프레임 없는 돌망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편부를 외각 사방에 두른 뚜껑망을 다수번 연속 절곡하는 몸통선의 절곡부를 엮어 만든 몸통망의 양측면에 꼬아 결합하여 측면을 형성하되, 상기 몸통망의 상, 하측을 상부로 말아올려 결합시켜 몸통부를 형성함으로써, 망태의 형태를 구성하도록 하고, 구성된 형태가 유지되도록 다수개의 철편부를 양끝단에서 용접하여 링 형태로 만든 사각링을 상기 망태의 내부에 수직으로 세워 결합하는 구성을 별도로 더 구비하여, 별도의 지지대 및 프레임 없이도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망태를 손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해수에 강한 프레임 없는 돌망태에 관한 것이다.
돌망태, 프레임, 해수, 부식

Description

해수에 강한 프레임 없는 돌망태{FRAMELESS MATTRESS TYPE GABION}
본 발명은 별도의 지지대 및 프레임 없이 일정형태의 망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돌망태에 관한 것이다.
돌망태란 아연도금철선, 또는 PVC융착철선을 사용해 그물형 망태로 제작하여, 그 철망 안에 돌을 넣어 시공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하천제방 보호에 많이 쓰인다.
종래에도 돌망태를 제조하기 위한 철판망 및 그 철판망으로 제조된 돌망태가 있었으나, 이는 단순히 철판망을 필요한 크기로 절단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그 철판망을 이용하여 돌망태를 제조할 때에도 철판망의 4 측면(변부)에 직선으로 된 철선을 돌려가며 조임을 하고, 돌망태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한쪽 철판망의 철선과 다른쪽 철판망 철선을 별도의 결속구를 이용하여 결속, 연결하는 것으로 철판망에 철선을 용접하기가 어려움이 있는 등 돌망태를 조립 구성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인건비 등의 공사비용의 상승요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철판망을 필요한 크기로 절단한 다음 절단한 각각의 철판망의 4 측면에 凹 형 경첩과 凸 형 경첩을 대응하 도록 교차로 용접하여 부착하고, 돌망태 조립시 그 요형 경첩과 철형 경첩을 결합하여 결속핀으로 끼워 결속하여 돌망태를 제조하고 있으나, 이는 결속하기에는 극히 편리하지만 경첩이 부분적으로 용접되어 있음으로 조립 후의 돌망태가 견고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도 1은 "제방 축조용 돌망태"(출원번호 10-2004-0094245, 2004년 11월 17일)로서, 상기 종래발명에 따른 돌망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돌망태의 경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제방부재(돌, 자갈, 흙, 모래)를 담기 위한 돌망태를 형성하기 위해, 전판(50)과 후판(51)의 틀을 외곽프레임(53)으로 형성하되, 상기 외각프레임(53)의 상, 하, 좌, 우 모서리 부분에서 한번씩 꼬아 홀더(52)를 형성한 것이다.
이후, 봉 형태의 프레임(40)을 상기 전판(50)의 홀더(52), 본체(30), 후판(51)에 형성된 홀더(52) 순으로 끼워 망태 형상을 갖추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발명의 경우, 프레임(40)이란 지지부재가 별도로 다수개 더 구비되어야 하고, 전판(50)과 후판(51)을 형성시 홀더(52)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더 추가되는 등 작업공수가 증가함으로 인한 제작비 및 제작시간의 낭비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발생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방 최외각에 철편부를 형성하며 다수개의 뚜껑틀선이 엮어진 내부를 가지는 뚜껑망과, 다수개의 몸통선이 엮어진 형태의 몸통망을 구성되되, 상기 몸통망의 양측에 뚜껑망을 수직으로 세워 엮어 연결시키고, 상기 몸통망의 상, 하측을 다단으로 절곡시키며 상면으로 말아올려 망태의 형태를 갖추도록 하여 별도의 지지대나 프레임 없이도 망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망태의 내부에 다수의 철편부가 브레이징 접합되어 사각의 링형태를 형성하는 사각링을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망태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한 해수에 강한 프레임 없는 돌망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방 등에서 사용되는 돌망태에 있어서, 다수의 절곡부를 형성하는 뚜껑틀선과, 다수의 뚜껑틀선을 상호간 절곡부가 얽히도록 편직하되, 편직된 다수의 뚜껑틀선의 상, 하, 좌, 우측에 브레이징 접합되어 틀을 형성하는 철편부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뚜껑망과; 다수의 절곡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몸통선이 상호간 절곡부가 얽히도록 편직되어 이루어지되, 편직된 뚜껑틀선의 양단부가 상측으로 각각 다수번 절곡되어 대응연결되도록 하며, 개구된 좌, 우측에는 상기 뚜껑망이 수직으로 세워져 엮어지는 몸통망과; 다수개의 철편부가 상호간 브레이징 접합되어 사각틀 형태를 이루며, 상기 몸통망의 내부 중단에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몸통망이 사각 망 형태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다수개의 사각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방 최외각에 철편부를 형성하며 다수개의 뚜껑틀선이 엮어진 내부를 가지는 뚜껑망과, 다수개의 몸통선이 엮어진 형태의 몸통망을 구성되되, 상기 몸통망의 양측에 뚜껑망을 수직으로 세워 엮어 연결시키고, 상기 몸통망의 상, 하측을 다단으로 절곡시키며 상면으로 말아올려 망태의 형태를 갖추도록 하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망태의 내부에 다수의 철편부가 브레이징 접합되어 사각의 링 형태를 형성하는 사각링을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망태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으면서 별도의 지지대나 프레임 없이도 망태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그로 인한 제작시간의 단축 및 재료비 절감의 효과가 있는 해수에 강한 프레임 없는 돌망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컨대, 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는 것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수에 강한 프레임 없는 돌망태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수에 강한 프레임 없는 돌망태는 별도의 추가부재나 프레임과 같은 지지부재 없이도 망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돌망태에 관한 것이며, 몸통망(20), 뚜껑망(10), 사각링(40)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돌망태는
제방 등에서 사용되는 돌망태에 있어서, 다수의 절곡부(13)를 형성하는 뚜껑틀선(11)과, 다수의 뚜껑틀선(11)을 상호간 절곡부(13)가 얽히도록 편직하되, 편직된 다수의 뚜껑틀선(11)의 상, 하, 좌, 우측에 브레이징 접합되어 틀을 형성하는 철편부(30)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뚜껑망(10)과; 다수의 절곡부(13)를 형성하는 다수의 몸통선(21)이 상호간 절곡부(13)가 얽히도록 편직되어 이루어지되, 편직된 뚜껑틀선(11)의 양단부가 상측으로 각각 다수번 절곡되어 대응연결되도록 하며, 개구된 좌, 우측에는 상기 뚜껑망(10)이 수직으로 세워져 엮어지는 몸통망(20)과; 다수개의 철편부(30')가 상호간 브레이징 접합되어 사각틀 형태를 이루며, 상기 몸통망(20)의 내부 중단에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몸통망(20)이 사각 망 형태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다수개의 사각링(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철편부(30, 30')는 4 내지 5mm의 지름을 가지며, 다수개가 용접되어 사각틀 형태를 이루되, 상기 다수개의 철편부(30, 30')의 소정길이가 외부로 돌출되어 연결편(31)이 형성되도록 용접부위에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편(31)은 갈고리 형태가 되도록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뚜껑망(10) 또는 사각링(40)을 상기 몸통망(20)에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별도의 지지부재 없이도 상기 뚜껑망(10) 또는 사각링(40)에 의해 상기 몸통망(20)이 다수번 절곡되어 사각 망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편(31)은 상기 뚜껑망(10) 및 사각링(40)의 틀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철편부(30)(30') 중, 상기 뚜껑망(10) 및 사각링(40)이 수직으로 세워질 시 상측에 위치되는 철편부(30)(30')의 양단부가 절곡되도록 하여, 상기 몸통망(20)의 양단부가 상측으로 각각 다수번 절곡되어지면서 연결편(31)에 걸쳐져 사각 망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뚜껑망(10)과 몸통망(20)은 다수개의 뚜껑틀선(11) 또는 몸통선(21)의 절곡부(13)가 얽히며 편직됨으로써 형성되는 다수개의 망목부(12) 가로 및 세로 길이가 70 내지 100㎜가 되도록 하며, 상기 뚜껑틀선(11)과 몸통선(21)은 2.7 내지 4mm의 지름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수에 강한 프레임 없는 돌망태는 아연 또는 알루미늄으로 도금되거나, 또는 아연으로 1차 도금 후 알루미늄으로 2차 도금되어, 부식이 방지됨으로써 해수에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돌망태는 망태의 몸통을 구성하는 몸통망(20)과, 상기 몸통망(20)의 양측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뚜껑망(1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통망(20)은 다수개의 몸통선(2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통선(21)은 파형으로 연속적으로 절곡하여 다수의 절곡부(13)를 형성하도록 하며, 이와 같은 다수개의 몸통망(20)을 절곡부(13)와 절곡부(13)간이 상호 대응되며 엮이도록 편 직(編織)하여 망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절곡부(13)와 절곡부(13)간이 엮이면서 생기는 다수의 공간을 망목부(12)라 본 발명에서는 지칭하고 있으며, 상기 망목부(12)의 크기는 가로, 세로 모두 70 내지 100mm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통망(20)을 형성하고 있는 다수개 몸통선(21)의 지름은 2.7 내지 4mm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상기 뚜껑망(10)은 상기에서 설명된 몸통망(20)과 동일한 형태의 망을 가지되, 최외각 사방에 다수개의 철편부(30)를 두르고 있다는 것이 상이하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뚜껑망(10)은 다수개의 뚜껑틀선(11)과 철편부(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틀선(11)은 파형 형상으로 연속절곡되어 다수개의 절곡부(13)를 형성하도록 하고, 이와 같은 다수개의 뚜껑틀선(11)의 절곡부(13)들이 상호간 대응되며 엮여지며 망을 형성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뚜껑틀선(11)으로 이룬 망의 사방 최외각에 철편부(30)를 각각 둘러 용접하게 되는데, 상기 철편부(30)만을 놓고 보면, 다수개 상기 철편부(30)의 상호간 끝단부가 대응되며 용접되어 사각틀 형상을 가진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철편부(30)와 다수개의 뚜껑틀선(11)과의 결합방법은 상기 철편부(30)에 뚜껑틀선(11)의 외각을 엮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엮은 후, 브레이징(Brazing, 용접)하여 결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엮음 없이 바로 상호간 접합되는 부위를 브레이징하여 상호간을 결합할 수 있음이니 이와 같은 결합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뚜껑망(10)에 사용되는 철편부(30)의 지름을 4 내지 5mm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철편부(30)의 지름은 후술 될 사각링(40)에 사용되는 철편부(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사각틀을 형성하는 상기 다수개 철편부(30)들은 상호간 끝단부가 대응되며 용접되어 사각틀 형상을 가진 형상을 가지되, 용접된 후 끝단 소정길이가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편(31)을 형성하는데, 본원발명에서는 소정길이를 가지는 상기 연결편(31)을 상부로 절곡시켜 갈고리 모양을 가지도록 한다. 이는 후술 될, 사각링(40)의 철편부(30') 형성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연결편(31)의 역할은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뚜껑망(10)과 몸통망(20)이 망태를 이루는 방법을 설명하면,
1. 몸통망(20)을 지면에 펼친다.
2. 상기 몸통망(20)의 양측면에 뚜껑망(10)을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세운 후, 상기 몸통망(20)의 몸통선(21)을 뚜껑망(10)의 철편부(30)에 철선으로 엮거나, 또는 브레이징하여 고정시킨다.
3. 상기 몸통망(20)의 상, 하측을 말아올리되, 상기 몸통망(20)의 몸통선(21)에, 양측면에 세워진 뚜껑망(10)의 상부 양측에 돌출된 연결편(31)을 걸어 상기 몸통망(20)이 펴지지않고 세워지도록 한 후, 그 상태로 상기 몸통망(20)을 상부면을 향해 절곡시키며 말아올려 망태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연 결편(31)은 상기 몸통망(20)이 다수번 절곡되어 망태 형상을 갖출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망태 형상을 갖추기 위해 상기 몸통망(20)은 다수번 절곡되어야 하는데, 절곡되는 과정에서 원상태로 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잡아주는 역할을 망태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뚜껑망(10) 및 하기에서 설명될 사각링(40)의 연결편(31)이 담당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통망(20)의 상, 하측 양측면 또한, 말아 올려지면서 복수개의 뚜껑망(10)에 각각 엮여지도록 하여, 사각형 형태의 망태가 이뤄지도록 한다.)
4. 상부면에서 상기 몸통망(20)의 상, 하측을 연결한다.
상기 1, 2, 3, 4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망태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돌망태는 별도의 지지부재나 프레임이 필요치 않다는 것이다.
물론, 상기 몸통망(20)을 먼저 펼치는 순서와 뚜껑망(10)을 측면에 결합하는 순서는 상호간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손쉽게 바뀔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뚜껑망(10)을 세운 후 몸통망(20)을 펼쳐 엮을 수도 있으며, 상기 뚜껑망(10)을 펼친 후 뚜껑망(10)을 연결할 수도 있는 등 그 순서는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사각링(40)은 상기에서 설명된 몸통망(20)과 뚜껑망(10)으로 이루어진 망태의 내부에 개입되는 것으로, 상기 망태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각링(40)은 뚜껑망(10)과 몸통망(20)으로 이루어진 망태의 내부에 지면과 수직을 이루며 내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철편부(30')가 사각틀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의 끝단부를 브레이징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사각링(40)에 사용되는 철편부(30') 및 상기 뚜껑망(10)에 사용되는 철편부(30) 모두 사각틀 형상을 가지도록 한 것으로, 더불어, 상기 다수개의 철편부(30, 30') 끝단은 완벽하게 끝단이 상호간 수직을 이루며 브레이징 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길이가 외부로 돌출형성되며 교차되도록 끝단부를 접합시켜 브레이징되어진다.
상기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뚜껑망(10)의 철편부(30) 및 사각링(40)의 철편부(30')의 끝단부는 연결편(31)이라 본 발명에서 명명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편(31)을 갈고리 형상으로 상부로 절곡시켜 사용하는데,
즉, 사각링(40)과 뚜껑망(10)에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편(31) 모두 상기 몸통망(20)에 연결하여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더불어, 상기 사각링(40)의 내부를 뚜껑망(10)처럼 내부에 뚜껑틀선(11)을 구비하여 망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각링(40)을 망태의 내부를 다수개로 분할하는 격벽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이다.
또한, 상기 사각링(40)과 뚜껑망(10)의 철편부(30)(30')에 형성되는 연결편(31)의 형성위치를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사각링(40)과 뚜껑망(10) 각각의 외각을 형성하는 각각의 다수개의 철편들(30)(30')중 상부측 양끝단이 절곡되도록 하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 하, 좌, 우에 각각 위치되어 상호간의 단부가 교차되면서 사각틀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철편부(30)(30') 양끝단을 전부 절곡시켜 연결편(31)을 형성하거나, 상, 하, 좌, 우 중 선택적으로 선택한 철편부(30)(30')의 양끝단을 절곡시켜 연결편(31)을 형성한 후, 이를 몸통망(20)에 걸어 사용할 수도 있음이다.
상기와 같이 몸통망(20), 뚜껑망(10), 사각링(40)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망태는 아연도금을 하거나, 또는 알루미늄 도금을 하거나, 또는 아연도금 후 알루미늄 도금을 함으로써, 해수에서도 녹이 슬지 않는 등 부식성에 강해지도록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돌망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망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망과 몸통망의 결합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망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망태를 나타낸 또 다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망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표시>
10: 뚜껑망 11: 뚜껑틀선
12: 망목선 13: 절곡부
20: 몸통망 21: 몸통선
30, 30': 철편부 31: 연결편
40: 사각링

Claims (6)

  1. 제방 등에서 사용되는 돌망태에 있어서,
    다수의 절곡부(13)를 형성하는 뚜껑틀선(11)과, 다수의 뚜껑틀선(11)을 상호간 절곡부(13)가 얽히도록 편직하되, 편직된 다수의 뚜껑틀선(11)의 상, 하, 좌, 우측에 브레이징 접합되어 틀을 형성하는 철편부(30)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뚜껑망(10)과;
    다수의 절곡부(13)를 형성하는 다수의 몸통선(21)이 상호간 절곡부(13)가 얽히도록 편직되어 이루어지되, 편직된 뚜껑틀선(11)의 양단부가 상측으로 각각 다수번 절곡되어 대응연결되도록 하며, 개구된 좌, 우측에는 상기 뚜껑망(10)이 수직으로 세워져 엮어지는 몸통망(20)과;
    다수개의 철편부(30')가 상호간 브레이징 접합되어 사각틀 형태를 이루며, 상기 몸통망(20)의 내부 중단에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몸통망(20)이 사각 망 형태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다수개의 사각링(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개의 철편부(30, 30')는 4 내지 5mm의 지름을 가지며, 다수개가 용접되어 사각틀 형태를 이루되, 상기 다수개의 철편부(30, 30')의 소정길이가 외부로 돌출되어 연결편(31)이 형성되도록 용접부위에서 교차되고,
    상기 연결편(31)은 갈고리 형태가 되도록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뚜껑망(10) 또는 사각링(40)을 상기 몸통망(20)에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별도의 지지부재 없이도 상기 뚜껑망(10) 또는 사각링(40)에 의해 상기 몸통망(20)이 다수번 절곡되어 사각 망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연결편(31)은 상기 뚜껑망(10) 및 사각링(40)의 틀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철편부(30)(30') 중, 상기 뚜껑망(10) 및 사각링(40)이 수직으로 세워질 시 상측에 위치되는 철편부(30)(30')의 양단부가 절곡되도록 하여, 상기 몸통망(20)의 양단부가 상측으로 각각 다수번 절곡되어지면서 연결편(31)에 걸쳐져 사각 망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뚜껑망(10)과 몸통망(20)은 다수개의 뚜껑틀선(11) 또는 몸통선(21)의 절곡부(13)가 얽히며 편직됨으로써 형성되는 다수개의 망목부(12) 가로 및 세로 길이가 70 내지 100㎜가 되도록 하며, 상기 뚜껑틀선(11)과 몸통선(21)은 2.7 내지 4mm의 지름을 가지도록 하고,
    아연 또는 알루미늄으로 도금되거나, 또는 아연으로 1차 도금 후 알루미늄으로 2차 도금되어, 부식이 방지되도록 한 해수에 강한 프레임 없는 돌망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032247A 2008-04-07 2008-04-07 해수에 강한 프레임 없는 돌망태 KR100985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247A KR100985773B1 (ko) 2008-04-07 2008-04-07 해수에 강한 프레임 없는 돌망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247A KR100985773B1 (ko) 2008-04-07 2008-04-07 해수에 강한 프레임 없는 돌망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856A KR20090106856A (ko) 2009-10-12
KR100985773B1 true KR100985773B1 (ko) 2010-10-06

Family

ID=4153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247A KR100985773B1 (ko) 2008-04-07 2008-04-07 해수에 강한 프레임 없는 돌망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7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952Y1 (ko) * 2002-01-26 2002-04-20 정재욱 하천의 제방 구축용 돌망테 구조
KR20020072952A (ko) * 2001-03-14 2002-09-19 강봉섭 과립형 고형 비료 제조 장치
KR20040036878A (ko) * 2004-03-31 2004-05-03 남정호 전자식 도어록이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200436878Y1 (ko) * 2007-01-22 2007-10-11 주식회사 상현선재 유연성 커버를 가지는 돌망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952A (ko) * 2001-03-14 2002-09-19 강봉섭 과립형 고형 비료 제조 장치
KR200272952Y1 (ko) * 2002-01-26 2002-04-20 정재욱 하천의 제방 구축용 돌망테 구조
KR20040036878A (ko) * 2004-03-31 2004-05-03 남정호 전자식 도어록이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200436878Y1 (ko) * 2007-01-22 2007-10-11 주식회사 상현선재 유연성 커버를 가지는 돌망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856A (ko) 2009-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6001B1 (en) Gabion
SK6963Y1 (sk) Spevnený gabion s krabicovou konštrukciou, spôsob jeho výroby a spôsob výroby prekrútenej kovovej pletivovej konštrukcie
JP2009536699A (ja) 蛇籠
KR100985773B1 (ko) 해수에 강한 프레임 없는 돌망태
JP3167363U (ja) かご枠
KR20180009069A (ko)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
CN101967900A (zh) 一种建筑墙壁抗震方法
KR101758111B1 (ko) 견인수단이 구비된 개비온과 그 시공방법
KR20110000311A (ko) 개비온 블록의 단위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개비온 블록 및 매트리스 개비온의 제조방법
JP3104016B2 (ja) かごマットユニット及びかごマットの構築方法
SA515360770B1 (ar) سياج وطريقة لتثبيت سياج
KR200436878Y1 (ko) 유연성 커버를 가지는 돌망태
JP3171588U (ja) ジャカゴ、端部用ジャカゴおよびジャカゴ連結用胴網
KR100614927B1 (ko) 제방 축조용 돌망태
JP2013014945A (ja) 屈曲パネル、ドレンカゴ構築用ユニット、ドレンカゴ構築方法およびドレンカゴ
JP3161412U (ja) 組立式フェンス
JP2017066837A (ja) ふとん篭用金網パネル及びふとん篭
JP6660805B2 (ja) かご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927734B1 (ko)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
JP2002339333A (ja) 石詰籠
KR200422861Y1 (ko) 매트리스 개비온
JP2004060182A (ja) ふとん籠セットおよびこのふとん籠セットを用いたふとん籠
JP2000027151A (ja) 折り畳み式カゴ枠
KR100913736B1 (ko) 돌망태 제조방법
KR200375626Y1 (ko) 제방 축조용 돌망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