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734B1 -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734B1
KR101927734B1 KR1020170139292A KR20170139292A KR101927734B1 KR 101927734 B1 KR101927734 B1 KR 101927734B1 KR 1020170139292 A KR1020170139292 A KR 1020170139292A KR 20170139292 A KR20170139292 A KR 20170139292A KR 101927734 B1 KR101927734 B1 KR 101927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outer frame
net
support
n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규
김복용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침식방재 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침식방재 협동조합 filed Critical 한국해양침식방재 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70139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은 해안가 및 해안 수중 내 고 파랑의 파력을 감쇄 가능하게 사방이 통수 가능한 스톤망체 구조로 적재 적용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면서 해양식물 및 어패류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해안 침식을 효율적으로 방지함을 제공하도록 정삼각뿔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복수 개의 사석이 내장되고 통수 가능한 통수벽면이 형성되는 스톤망체; 상기 스톤망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석이 내장된 내부공간을 벌집 구조로 구분 구획하여 상기 사석을 지지 고정하고, 상기 스톤망체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격벽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Submerged Breakwater Structure for Prevention of Coastal Corrosion}
본 발명은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안가 및 해안 수중 내 고 파랑의 파력을 감쇄 가능하게 사방을 통수 가능한 스톤망체 구조로 적재 적용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면서 해양식물 및 어패류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해안 침식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온난화 등에 의한 해수면의 상승 및 연속적인 파랑에너지와 조수간만의 차에 의한 장기적인 발생요인과 함께 항만시설이나 해안도로 등과 같은 인공시설물의 무분별한 개발요인으로 인하여 국내외로 많은 해안의 침식작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건설자재로 사용하기 위한 해안 인근에서의 모래 채취 등이 더해져 해안 침식의 정도가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해안 침식으로 인해 국토유실의 손실은 물론 해안 백사장에 서식하고 있는 각종 동식물 등의 생태계가 파괴되어 환경적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으며, 해안 침식에 따른 피해는 해안역의 수심변화에 따른 예상치 못한 파도의 발생으로 인명피해는 물론 각종 시설물의 파괴 등 물적 피해도 심각하게 유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안의 침식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안가에 방파제나 제방, 잠제 등의 많은 해안 구조물을 설치함에 따라 해안선과 백사장의 침식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해안 구조물과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20호(2011.01.19.)에는 해안가에 설치되어 모래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모래유실 방지용 잠제블럭에 있어서, 폭이 좁은 한 쌍의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보다 폭이 넓고 그 제1측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놓여진 한 쌍의 제2측면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판형태의 저판부와,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저판부와 대응되고 상기 제1측면과 대응되는 제3측면과 상기 제2측면과 대응되는 제4측면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판형태의 상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제2측면측 가장자리와 상판부의 제4측면측 가장자리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측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3측면 사이에 개구가 형성되는 사각통형태의 몸체부; 상기 저판부의 양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상판부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해안가로부터 밀려오는 해류 내의 모래를 걸러내기 위한 걸림부재; 상기 몸체부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막음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채워지며 자갈 또는 사석을 포함하는 충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부에는 상기 한 쌍의 제3측면 중 어느 한 제3측면의 중앙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쌍의 제3측면 중 다른 한 제3측면의 중앙에는 상기 제3측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홈부보다 폭이 좁고 그 홈부의 깊이보다 길게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부에는, 그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에는, 상기 어느 한 제3측면측의 삽입공 내면과 상기 홈부를 연통하는 제1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른 한 제3측면측의 삽입공 내면과 상기 돌출부의 외면을 연통하는 제2통공이 형성되게 구성됨에 따라 해안선 형태 및 해저면의 형상에 맞게 설치하여 모래유실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모래유실 방지용 잠제블럭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145257호(2012.05.04.)에는 수중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상부를 통과하는 파랑을 감쇄시키는 분수형 해안 잠제 구조물로서, 직육면체 형상의 잠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잠제 본체는 해당 본체 위로 통과되는 수평 방향의 파랑을 1차로 감쇄시키도록 상부의 전방 및 후방 사이에 소파 슬롯이 형성되도록 돌출된 방파 돌출 칼럼과, 파랑이 입수되는 본체 전방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후방의 방파 돌출 칼럼 외부로 수직 연장되어 이들 경로를 따라 파랑을 외부로 가이드하는 수직 전환 파랑 가이드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잠제 본체의 전방면에서 상기 수직 전환 파랑 가이드 통로의 주변부는 파랑이 입수하기 용이하도록 만곡된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파랑 에너지를 감쇄시키면서 항안류의 발생을 상쇄시켜 해안 침식을 방지할 수 있는 분수형 해안 잠제 구조물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중 등록특허공보 제1011020호 및 제1145257호의 경우에는 양자 모두 콘크리트 재료를 사용하여 블록형태로 성형제작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구조물 자체적으로 고 중량을 이룸에 따라 운반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 중 등록특허공보 제1011020호의 경우에는 개개의 구조물마다 해저 면 상에 지지못으로 고정하는 설치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모래로 조성된 해저 면 상의 설치작업이 매우 어려우며 고정효율이 떨어지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고, 나아가 사방이 폐쇄된 상태에서 단순히 하중증가를 위한 자갈 또는 사석 등의 충전부재를 내장토록 구성하기 때문에 통수기능을 전혀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011020호 (2011.01.19.) KR 등록특허공보 제10-1145257호 (2012.05.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방이 통수가능하면서 사석이 채워진 스톤망 구조체로 구성되므로, 현장 제작 및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제작비용이 최소화되고, 사석이 채워진 공간을 벌집 조립구조로 구분 구획하여 정삼각뿔 형상인 스톤망체의 형태를 유지하는 한편 우수한 통수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은, 정삼각뿔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복수 개의 사석이 내장되고 통수 가능한 통수벽면이 형성되는 스톤망체; 상기 스톤망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석이 내장된 내부공간을 벌집 구조로 구분 구획하여 상기 사석을 지지 고정하고, 상기 스톤망체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격벽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톤망체의 외부에는 상기 스톤망체의 각 변을 지지하도록 사방이 개방 형성된 유입면을 갖는 외곽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스톤망체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결속 가능하게 고정되는 걸이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곽프레임은 상기 유입면에 대응하여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톤망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지지 고정하는 벽면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면지지대는 상기 외곽프레임의 유입면 상에 고정상태로 연장 형성된 고정형지지대; 상기 외곽프레임의 유입면 중 어느 한쪽 면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외곽프레임 상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유입면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가변형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망체는 일단에 돌출 형성되되 끝단이 굽어진 형상을 이루고, 상기 스톤망체 또는 상기 격벽망체 상에 걸림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걸이편; 상기 걸이편의 반대편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톤망체 또는 상기 격벽망체 상에 굽힘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에 의하면, 사석을 내장하며 사방에 통수벽면을 갖는 스톤망 조립구조물로 구성되므로, 간단한 조립구조로부터 제작의 편의성 및 생산성을 도모함은 물론 제작비용을 줄여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스톤망체 내 사석을 지지 고정하면서 벌집 구조로 구분 구획하므로 스톤망체 형태 유지는 물론 우수한 통수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자체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은 스톤망체와의 걸림 고정에 이은 굽힘 고정으로 격벽망체를 일체화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제작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며 견고한 조립구조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톤망체의 다른 실시예 중 포켓망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톤망체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망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을 도시한 분리도.
도 8은 도 6에 따른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따른 외곽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벽면지지대 중 가변형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은 정삼각뿔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복수 개의 사석(23)이 내장되고 통수 가능한 통수벽면(21)이 형성되는 스톤망체(20), 상기 스톤망체(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석(23)이 내장된 내부공간을 벌집 구조로 구분 구획하여 상기 사석(23)을 지지 고정하고, 상기 스톤망체(20)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격벽망체(30)를 포함한다.
상기 스톤망체(20)에는 복수 개의 사석(23)이 내장되고 통수 가능한 통수벽면(21)이 형성된다.
상기 스톤망체(20)는 후술하게 될 외곽프레임(10)과 동일하게 정삼각뿔 형상을 이루며 정사면체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스톤망체(20)는 기본적인 외형을 이루되 테두리 모서리부위를 따라 연결결합되는 외곽강선을 구비하고, 상기 외곽강선을 기초로 금속재질의 철선을 엮어 상기 통수벽면(21)을 갖는 철망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스톤망체(20)는 모두 금속소재를 사용하되 아연알루미늄합금 처리되어 제작되므로, 물속에서의 녹이 발생되는 현상이 방지되면서 충분한 내구성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톤망체(2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사석(23)이 불규칙적으로 내장되며, 상기 사석(23)으로는 하천이나 석산 등에서 채취한 쇄석이나 호박돌 등의 자연석을 이용하거나, 자연석을 일정한 형상으로 가공한 가공석을 이용한다.
한편, 상기 스톤망체(2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사석(23)을 구분 수용할 수 있는 포켓망체(25)를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포켓망체(25)는 주머니 형태의 철망구조로서, 일정량의 사석(23)을 구분 수용하여 상기 스톤망체(2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포켓망체(25)를 구성하게 되면, 스톤망체(20) 내 사석(23)을 일정량씩 구분하여 설치작업이 용이하며, 크기가 작은 사석(23)까지도 효과적으로 설치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격벽망체(30)는 상기 스톤망체(20)의 통수성을 유지하면서 자체적인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상기 스톤망체(2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격벽망체(3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톤망체(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사석(23)이 내장될 수 있는 구분된 벌집 구조의 공간을 구분 구획하여 상기 사석(23)을 지지 고정한다.
상기 격벽망체(3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형으로 굽어진 만곡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직선형 또는 다중 면을 형성토록 각진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격벽망체(30)에 있어서도 상기 스톤망체(20)와 마찬가지로 금속재질의 철선을 엮은 철망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격벽망체(30)에는 상기 스톤망체(20) 내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도록 걸이편(31) 및 고정편(33)이 구분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31) 및 고정편(33)은 각각 상기 격벽망체(30)의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걸이편(31)은 상기 격벽망체(30)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톤망체(20) 또는 상기 격벽망체(30) 상에 걸림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구비된다. 즉, 상기 걸이편(31)은 상기 한쪽 끝단이 완만한 곡선형으로 굽어져 상기 스톤망체(20)나 상기 격벽망체(30)에 걸릴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33)은 상기 걸이편(31)의 반대편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톤망체(20) 또는 상기 격벽망체(30) 상에 탄력적으로 굽힘 고정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고정편(33)은 상기 스톤망체(20) 상에 일측 직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가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굽힘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스톤망체(20) 내 보다 원활한 설치 및 고정효율을 도모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걸이편(31) 및 고정편(33)을 구비한 격벽망체(30)를 구성하게 되면, 스톤망체(20)와의 걸림 고정에 이은 굽힘 고정으로 격벽망체(30)를 일체화할 수 있어 제작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며 견고한 조립구조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에 의하면, 사석을 내장하며 사방에 통수벽면을 갖는 스톤망 조립구조물로 구성되므로, 간단한 조립구조로부터 제작의 편의성 및 생산성을 도모함은 물론 제작비용을 줄여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스톤망체 내 사석을 지지 고정하면서 벌집 구조로 구분 구획하므로 우수한 통수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자체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톤망체(20)의 외부에는 상기 스톤망체(20)의 각 변을 지지하도록 사방이 개방 형성된 유입면(11)을 갖는 외곽프레임(1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곽프레임(10)은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톤망체(20)의 외곽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면서 전반적인 외형의 변형을 방지토록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외곽프레임(10)은 바닥면을 비롯하여 사방에 3개의 경사진 측면을 갖는 정삼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곽프레임(10)은 바닥면을 포함한 사방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스톤망체(20)를 내측에 설치할 수 있게 진입 경로를 조성하는 유입면(11)이 구비된다.
상기 외곽프레임(10)과 상기 스톤망체(2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분리가능한 조립구조를 이루므로, 해안가 현장에서의 구조물 제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측에는 상기 스톤망체(20)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결속 가능하게 고정되는 걸이수단(13)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수단(13)은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톤망체(20)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결속 가능하므로 상기 외곽프레임(10)에 상기 스톤망체(20)가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걸이수단(13)은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측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스톤망체(20)의 상단부를 고정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걸이구(14)와,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측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스톤망체(20)의 하단부를 결속 가능하게 고정하는 결속걸이구(15)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걸이구(14)는 상기 외곽프레임(10) 상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스톤망체(20)의 상단부가 걸림 고정될 수 있게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톤망체(20)에도 상기 고정걸이구(14)에 대응하여 끼움 고정될 수 있는 걸림단부(24)가 구비되는 것이 상호 효율적인 결합 성능 및 작업성을 도모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걸이구(15)는 스톤망체(20)의 하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외곽프레임(10) 상에 회전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쪽 끝단이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톤망체(20)를 결속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속걸이구(15)는 상기 스톤망체(20)에 대응하여 단순히 끼움 결합구조로 결속 고정되는 걸림 고정형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스톤망체(20)에 대응하여 결속시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잠금부재(16)를 구비한 체결 고정형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속걸이구(15)는 상기 외곽프레임(10) 상에 복수 개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결속걸이구(15)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걸이구(14) 및 결속걸이구(15)로 구성된 걸이수단(13)을 통해, 외곽프레임(10) 내 스톤망체(20)의 설치가 간편하면서 상호 결속력에 따른 구조물의 우수한 내구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걸이수단(13)을 통해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부에 상기 스톤망체(20)의 모서리를 결속하고 난 이후에는, 상기 외곽프레임(10)과 스톤망체(20)의 각 변에 다수의 철선을 이용하여 결속시킴으로써 상기 스톤망체(20)의 외곽 부분을 지지하면서 전반적인 외형의 변형을 방지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프레임(10)에는 상기 스톤망체(20)를 면 접촉상태로 지지 고정하여 상기 스톤망체(20)의 이탈을 방지시키기 위한 벽면지지대(17)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벽면지지대(17)는 상기 외곽프레임(10)의 유입면(11)에 대응하여 상하 종 방향 및 좌우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에서 벽면지지대(17)는 상기 외곽프레임(10)의 유입면(11)마다 십자형 또는 격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벽면지지대(17)는 상기 외곽프레임(10)의 유입면(11) 상에 고정상태로 연장 형성된 고정형지지대(17a)와, 상기 외곽프레임(10)의 유입면(11)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가변형지지대(17b)가 구비된다.
상기 가변형지지대(17b)는 상기 외곽프레임(10)의 유입면(11) 중 어느 한쪽 면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상기 가변형지지대(17b)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곽프레임(10) 내 상기 스톤망체(20)를 수용할 수 있게 상기 유입면(11)을 개폐시키는 구조로서, 상기 외곽프레임(10) 상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작업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유입면(11)의 개폐를 도모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벽면지지대(17)를 구성하게 되면, 내부 스톤망체(20)를 구속하여 미비한 움직임을 비롯한 이탈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외곽프레임 11 : 유입면
13 : 걸이수단 14 : 고정걸이구
15 : 결속걸이구 16 : 잠금부재
17 : 벽면지지대 17a : 고정형지지대
17b : 가변형지지대 20 : 스톤망체
21 : 통수벽면 23 : 사석
25 : 포켓망체 30 : 격벽망체
31 : 걸이편 33 : 고정편

Claims (5)

  1. 정삼각뿔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복수 개의 사석(23)이 내장되고 통수 가능한 통수벽면(21)이 형성되는 스톤망체(20);
    상기 스톤망체(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석(23)이 내장된 내부공간을 벌집 구조로 구분 구획하여 상기 사석(23)을 지지 고정하고, 상기 스톤망체(20)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격벽망체(30);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톤망체(20)의 외부에는,
    상기 스톤망체(20)의 각 변을 지지하도록 사방이 개방 형성된 유입면(11)을 갖는 외곽프레임(10)이 설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10)은,
    상기 유입면(11)에 대응하여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톤망체(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지지 고정하는 벽면지지대(17)를 포함하고,
    상기 벽면지지대(17)는,
    상기 외곽프레임(10)의 유입면(11) 상에 고정상태로 연장 형성된 고정형지지대(17a);
    상기 외곽프레임(10)의 유입면(11) 중 어느 한쪽 면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외곽프레임(10) 상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유입면(11)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가변형지지대(17b);
    를 포함하며,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측에는,
    상기 스톤망체(20)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결속 가능하게 고정되는 걸이수단(13)이 구비되며,
    상기 걸이수단(13)은,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측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스톤망체(20)의 상단부를 고정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걸이구(14); 및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측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스톤망체(20)의 하단부를 결속 가능하게 고정하는 결속걸이구(15);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걸이구(14)는,
    상기 외곽프레임(10) 상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스톤망체(20)의 상단부가 걸림 고정될 수 있게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톤망체(20)에는,
    상기 고정걸이구(14)에 대응하여 끼움 고정되는 걸림단부(24)가 구비되는 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망체(30)는,
    일단에 돌출 형성되되 끝단이 굽어진 형상을 이루고, 상기 스톤망체(20) 또는 상기 격벽망체(30) 상에 걸림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걸이편(31);
    상기 걸이편(31)의 반대편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톤망체(20) 또는 상기 격벽망체(30) 상에 굽힘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편(3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
KR1020170139292A 2017-10-25 2017-10-25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 KR101927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292A KR101927734B1 (ko) 2017-10-25 2017-10-25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292A KR101927734B1 (ko) 2017-10-25 2017-10-25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734B1 true KR101927734B1 (ko) 2019-03-12

Family

ID=6580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292A KR101927734B1 (ko) 2017-10-25 2017-10-25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73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0737U (ko) * 1986-06-05 1987-12-21
JP2001262536A (ja) * 2000-03-22 2001-09-26 Kazuhiko Kitagawa 篭状枠体と篭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器具
KR101011020B1 (ko) 2010-03-19 2011-01-26 박재훈 모래유실 방지용 잠제블럭
KR20110120165A (ko) * 2010-04-28 2011-11-03 (주)남영산업 호안 보호용 개비온
KR101145257B1 (ko) 2011-07-11 2012-05-25 (주) 아라기술 분수형 해안 잠제 구조물
KR101666626B1 (ko) * 2016-05-12 2016-10-14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프레임과 토목섬유를 이용한 호안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0737U (ko) * 1986-06-05 1987-12-21
JP2001262536A (ja) * 2000-03-22 2001-09-26 Kazuhiko Kitagawa 篭状枠体と篭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器具
KR101011020B1 (ko) 2010-03-19 2011-01-26 박재훈 모래유실 방지용 잠제블럭
KR20110120165A (ko) * 2010-04-28 2011-11-03 (주)남영산업 호안 보호용 개비온
KR101145257B1 (ko) 2011-07-11 2012-05-25 (주) 아라기술 분수형 해안 잠제 구조물
KR101666626B1 (ko) * 2016-05-12 2016-10-14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프레임과 토목섬유를 이용한 호안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26088A (ja) 永久・半永久防波堤構造体および海岸部および陸地部再生方法
KR100642573B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의 설치구조
KR101266152B1 (ko) 어집 기능을 갖는 투과성 잠제블럭
KR101927734B1 (ko)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 구조물
KR100513270B1 (ko) 하천 생태 보호용 물고기 집
EA003809B1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работ по борьбе с эрозией, регулированию горных потоков и укреплению берегов и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борьбы с эрозией, регулирования горных потоков и укрепления берегов
KR20190025119A (ko)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KR101766182B1 (ko)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구조물
KR100519108B1 (ko) 원형 식생블록을 갖는 하천 제방 보호용 호안블록
JP4629559B2 (ja) ドレーン構造およびドレーン構造の施工方法
KR100481970B1 (ko) 폐흄관을 이용한 하천제방 보호공 설치구조
KR200423790Y1 (ko) 호안 구조물용 포대
KR20100138705A (ko) 호안블록 지지용 기초블록
KR200272952Y1 (ko) 하천의 제방 구축용 돌망테 구조
JP3362243B2 (ja) 土木工事用網状収納体
KR100547001B1 (ko) 친환경적인 생태형 호안 블록 구조
KR100541841B1 (ko) 하천제방블록의 체결구조
KR101375232B1 (ko) 하천제방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제방구조
KR200367416Y1 (ko) 폐흄관을 이용한 하천제방 보호공 설치구조
KR200327410Y1 (ko) 호안블록의 체결장치
KR200386569Y1 (ko) 호안용 세골블록
KR102176648B1 (ko) 모듈결합형 방파제
KR200226344Y1 (ko) 하부 골조에 단위 소파블럭이 계지 조립되는 호안구조
KR200408221Y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KR200370003Y1 (ko) 모래퇴적용 그물망구조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