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318B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4318B1 KR100984318B1 KR1020077021775A KR20077021775A KR100984318B1 KR 100984318 B1 KR100984318 B1 KR 100984318B1 KR 1020077021775 A KR1020077021775 A KR 1020077021775A KR 20077021775 A KR20077021775 A KR 20077021775A KR 100984318 B1 KR100984318 B1 KR 1009843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ow
- slit
- fibers
- head
- cushion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베개는, 평편 형상으로 형성된 쿠션재로 이루어진 베개 몸체와, 베개 몸체의 표면을 피복하는 신축성을 갖는 커버를 구비한다. 베개 몸체는 중앙부에 후두부 지지부를 가짐과 동시에, 후두부 지지부의 좌우양측에 각각 측두부 지지부를 갖는다. 후두부 지지부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슬릿을 갖고, 양 측두부 지지부는 제1 슬릿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2 슬릿 및 제3 슬릿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돌아눕기를 부드럽게(smoothly)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돌아누움에 따라 두부(頭部)의 위치가 변화하여도 두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적정한 수면을 이끌어주는 베개로서, 일본등록실용신안 제3109464호의 공보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 이 베개에는, 두부 지지부의 중앙부에 후두부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후두부 피트 라인이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두부 지지부의 하측에는 목부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베개에는, 상기 두부 지지부 및 상기 목부 지지부의 좌우양측에 각각 사이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양 사이드부의 하단부가 어깨 피트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각 지지부 및 사이드부는 각각 봉지 형상을 이루고, 각 지지부 및 사이드부에는, 예를 들면, 울 놉스, 파이브재 또는 비즈재로 이루어진 속이 충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베개에서는, 두부 지지부에 후두부 피트 라인을 형성함에 따라, 베개와 후두부와의 밀착이 좋아지고, 돌아누울 때에도 부드럽게 머리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개에는 어깨 피트 라인이 형성됨에 따라, 베개와 어깨 라인이 잘 들어맞으므로, 베개와의 일체감이 생겨 정신적인 안락함을 얻을 수 있다.
종래의 베개에서는, 후두부 피트 라인이 두부 지지부의 겉 커버를 상하방향으로부터 접합하여 파임이 발생됨에 따라 가늘고 얕은 홈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두부 피트 라인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기 속이 존재하지 않고, 또한 탄성도 부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의 베개는 두부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기능이 약하고, 상기 두부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두부 지지부가 그만큼 변형되지 않으며, 두부의 돌아눕기를 부드럽게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종래의 베개는, 두부 지지부 및 목부 지지부보다도 양 사이드부의 높이가 높으므로, 돌아눕기를 부드럽게 수행하기가 어렵다. 또한, 종래 베개에서는, 돌아누운 상태의 측두부가 사이드부의 상면에 의해 단순히 지지되어 있을 뿐으로, 측두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후두부 또는 측두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아눕기를 부드럽게(smoothly) 수행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는,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한 쿠션재로 이루어진 베개 몸체와, 상기 베개 몸체의 표면을 피복하는 신축성을 갖는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베개 몸체는 중앙부에 후두부 지지부를 가지며, 동시에 상기 후두부 지지부의 좌우양측에 각각 측두부 지지부를 갖는다. 상기 후두부 지지부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슬릿을 갖고, 상기 양측두부 지지부는 상기 제1 슬릿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2 슬릿 및 제3 슬릿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베개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3은 베개 몸체의 제1 내지 제3 쿠션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4-4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프레스 에어, 우레탄 폼 및 경면의 탄성 특성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베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7-7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돌아눕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베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돌아눕기 동작의 종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10-10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베개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비교예의 베개를 사용한 경우의 경과 시간과 혈류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비교예에 따른 베개를 사용한 경우에, 경과 시간과 혈류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제1 슬릿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베개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11)는 전체적으로 거의 같은 두께를 가지고, 편평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베개(11)는 베개 몸체(12)를 가지고, 베개 몸체(12)의 외표면에는 커버(13)가 피복되어 있다. 베개 몸체(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반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제1 쿠션재(15)와, 그 상하 양면에 접촉하는 서브 쿠션재로서의 제2 및 제3 쿠션재들(16, 1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쿠션재들(15, 16, 17)의 중앙부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세로로 긴 편평한 마름모 형상을 이루는 제1 슬릿(21)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내지 제3 쿠션재들(15, 16, 17)의 좌우양측부에는, 편평한 마름모 형상의 제2 및 제3 슬릿들(22, 23)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정도에 상기 제1 슬릿(21)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사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명세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베개(11)의 두정부측의 단면을 상단면(E1), 어깨측의 단면을 하단면(E2)이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11)의 좌우방향에 관하여 중앙부에는 후두부 지지부(11a)가 형성되고, 후두부 지지부(11a)의 좌우양측부에는 측두부 지지부들(11b, 11b)이 형성되어 있다. 베개(11)의 하단면(E2)은 전체적으로 중앙 정도에 위 방향으로 변위하는 골짜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골짜기의 바닥이 되는 중앙부는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호 형상의 부위의 바로 위 부위가 제1 경골 지지부(11c)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베개(11)의 상단면(E1)은 전체적으로 중앙 정도에 위 방향으로 밀려 올라간 산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원호 형상을 이루는 팽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팽출부가 제2 경골 지지부(11d)를 형성하고 있다. 베개(11)의 하단면(E2)의 좌우양측의 경사부는 어깨 접촉부들(11e, 11e)을 형성하고 있다.
커버(13)의 하단면(E2)측에는, 베개 몸체(12)를 꺼내고 넣기 위한 개구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면 패스너를 갖는 개폐 가능한 2층의 개폐용 커버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커버(13), 제1 쿠션재(15) 및 제2 및 제3 쿠션재들(16, 17)의 각각의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버(13)의 재료로서는, 통기성 및 신축성을 갖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텔 및 나일론 등의 실이나 섬유로 이루어진 더블 러셀형 메쉬, 또는 신축성이 있는 편물이나 직물, 천연 섬유의 편물 등의 표면용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커버(13)의 재료로서는, 통기성 및 신축성이 좋은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가 적합하다.
상기 제1 쿠션재(15)는 통기성을 갖는 고반발 탄성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반발 탄성 재료로서는, 직경이 예를 들면 0.3mm ~ 1.5mm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불규칙적으로 뒤엉키게 함으로써 공공율(空孔率)이 높은 매트 형상으로 형성한 것(상품명: 프레스 에어, 주식회사 토요 방적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대신에, 탄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염화 비닐 섬유 등의 합성 섬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섬유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혹은, 탄성을 갖는 야자껍질섬유 등의 천연 섬유로 이루어진 매트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예를 들면, 경질의(허리가 있는) 믹스 우레탄 폼(재생 우레탄 폼), 우레탄 폼, 고무계 스폰지 및 폴리에틸렌계 스폰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믹스 우레탄 폼은, 재생된 우레탄 폼 칩을 접착제에 의해 접착함에 따라 형성된 보통의 우레탄 폼보다도 경질의(허리가 강한) 우레탄 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쿠션재(15)의 탄성 특성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쿠션재(15)의 탄성 특성은, 소정 길이(예를 들면 50mm ~ 100mm)를 갖고 150mm의 직경을 갖는 시료를 25% 압축하는 데 필요한 압축 하중이 150N ~ 300N의 범위 내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쿠션재(15)(프레스 에어)로서, 도 5의 곡선(G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5% 압축했을 때의 압축 하중이 200N/Φ150mm가 되고 압축 곡선(상측)과 회복 곡선(하측)과의 차가 작아지는 프레스 에어를 사용하므로, 제1 쿠션재(15)의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곡선(G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가 있는 우레탄 폼도, 25% 압축했을 때의 압축 하중이 170N/Φ150mm이 되고 압축 곡선(상측)과 회복 곡선(하측)과의 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제1 쿠션재(15)의 재료로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경면(硬綿)의 경우에는, 도 5의 곡선(G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25%압축했을 때의 압축 하중이 680N/Φ150mm로 가장 높고, 압축 곡선(상측)과 회복 곡선(하측)과의 차가 크기 때문에, 제1 쿠션재(15)의 재료로서 적합하지 않다. 요약 하면, 제1 쿠션재(15)로서는, 고탄성이며, 상기 압축 곡선과 회복 곡선과의 차가 작은 특성을 갖는 것, 즉 압축 회복 특성이 뛰어한 것이 적합하다.
상기 제2 및 제3 쿠션재들(16, 17)은 유연성, 통기성 및 신축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면 펠트 상태의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매트, 천연 고무의 발포체, 합성 고무의 발포체, 천연 수지의 발포체 또는 합성 수지의 발포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쿠션재(15)의 두께(t1)는 20mm ~ 150mm의 범위로 설정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50mm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2 및 제3 쿠션재들(16, 17)의 두께(t2)는 2mm ~ 50mm의 범위로 설정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5mm로 설정되어 있다. 베개의 쿠션재 전체로서의 탄성 복원력의 적정한 범위는, 사용자에 따라 다르다.
이 때문에, 제1 쿠션재(15)의 두께(t1) 및 제2 및 제3 쿠션재들(16, 17)의 두께(t2)는, 예를 들면 두께(t1)를 50mm로 한 경우에, 두께(t2)를 예를 들어 20mm, 30mm 또는 40mm로 하여 조절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슬릿들(21, 22, 23)의 길이는 80mm ~ 300mm로 설정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230mm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슬릿들(21, 22, 23)의 길이 방향 중앙부의 최대폭 치수는, 2mm ~ 20mm으로 설정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10mm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베개(11)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11)의 후두부 지지부(11a)에 와상(臥床)상태의 인체의 후두부를 실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부의 중량에 의해 제1 슬 릿(21)의 좌우 양측의 제1 쿠션재(15)의 상연부들(15a, 15b)이 압축됨과 동시에, 제1 슬릿(21)의 상부가 넓은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 결과, 후두부 지지부(11a)에 후두부가 안정되게 지지된다.
후두부 지지부(11a)에는, 두부에 의해 압축되어 폭을 넓힐 수 있는 제1 슬릿(21)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인체가 돌아누울 때, 예를 들면, 도 7에서 두부가 두 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면, 그에 따라 제1 슬릿(21)의 좌측의 제1 쿠션재(15)의 상연부(15a)가 압축되어서 탄성 변형된다. 그 결과, 돌아누움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11)의 후두부 지지부(11a)에서 측두부 지지부(11b)로 돌아누움 동작이 이루어지면, 측두부가 제2 슬릿(22)의 좌우 한쌍의 상연부들(15c, 15d) 중, 우측의 상연부(15d)와 대응한다. 이에 따라, 우측의 상연부(15d)가 좌측의 상연부(15c)보다도 먼저 압축되므로, 우측의 상연부(15c)에 의해 측두부의 회동에 저항이 부여되고, 두부가 오버런(over-run)하여 회동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2 슬릿(22)과 대응하는 측두부 지지부(11b)에 의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두부가 안정되게 지지된다. 상기 측두부가 측두부 지지부(11b)로부터 후두부 지지부(11a)의 돌아누움에 의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와상 상태로 복귀할 때에도, 상술한 동작과 반대의 동작이 이루어지고, 돌아눕기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11)는 상하를 반대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경골 지지부(11d)에 의해, 인체의 동체와 목 사이의 경골 전체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두부는 보다 안정되게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의 이점들을 얻을 수 있다.
(1) 본 실시예의 베개는, 쿠션재로 이루어진 베개 몸체(12)의 후두부 지지부(11a)의 중앙부에 제1 슬릿(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두부에 의해 제1 슬릿(21)의 좌우양측에 위치하는 제1 쿠션재(15)의 상연부들(15a, 15b)(도 7참조)이 탄성 변형함에 따라 후두부 지지부(11a)가 오목 형상의 구면 형상으로 패인다. 이 결과, 상기 후두부가 안정되게 지지된다. 또한, 두부가 도 7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2점 쇄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회동되도록 돌아누우면, 제1 슬릿(21)의 좌측의 상연부(15a)가 더 압축됨과 동시에, 우측의 상연부(15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두부가 눌린다. 이 결과, 좌측으로의 돌아눕기 동작을 부드럽게 수행할 수 있다.
(2) 본 실시예에서, 두부가 예를 들면 좌측으로 돌아눕는 과정에서는, 측두부가 제2 슬릿(22)의 상부에 이동됨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쿠션재(15)의 상연부(15d)가 먼저 압축되어서 상연부(15c)보다도 낮아진다. 따라서, 두부가 제2 슬릿(22)을 오버런하여 회동되지 않고, 돌아눕기 동작을 부드럽하게 이룰 수 있다. 또, 상기 제2 슬릿(22)에 의해, 측두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도 있다.
(3) 본 실시예에서, 베개 몸체(12)를 통기성이 양호한 제1 쿠션재(15)와 제2 및 제3 쿠션재들(16, 17)에 의해 형성함과 동시에, 커버(13)를 동일하게 통기성 및 신축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하였다. 또, 제1 내지 제3 쿠션재들(15, 16, 17)에 제1 내지 제3 슬릿들(21, 22, 23)을 형성하였다. 이 결과, 베개(11)의 내부의 공기의 유통성이 향상되어 두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적정하게 확산되므로, 쾌적한 수면을 이룰 수 있다.
(4) 본 실시예에서, 베개(11)에는 제1 슬릿(2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후두부가 후두부 지지부(11a)에 지지되었을 때, 상기 후두부의 중량에 의해 제1 슬릿(21)이 자유자재로 열리기 때문에, 어떠한 자세로 두부를 움직여도 상기 두부에 균등하게 압력이 걸리고, 그 압력이 분산된다. 이 때문에, 상기 두부의 표면에 존재하는 근육 및 표재성 정맥에 걸리는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표재성 정맥의 압력은 통상 32mmHg ~ 35mmHg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 압력에 최대한 근접시킬 수 있다.
실험에 따르면, 커버의 내부에 저반발 우레탄 폼을 내장한 종래의 베개에서는, 두부에서 평균 68mmHg ~ 75mmHg의 압력이 걸렸으나, 본 발명에 따른 베개(11)에서는 평균 41mmHg의 압력이 걸린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베개(11)에 의해, 와상 상태에서의 두부에 걸리는 압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에 의하면, 두부에 걸리는 압력의 분산 효과에 의해, 발꿈치와 엉덩이 및 허리에 걸리는 압력도 분산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5) 본 실시예에서, 베개 몸체(12)의 하부에 어깨 접촉부(11e)를 설치하였으므로, 어깨 및 견갑골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흉곽을 넓혀 편히 호흡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베개에 의한 어깨의 체압보다도 체압을 내릴 수 있다. 체압 측정기를 이용하여 체압을 측정한 결과, 상술한 종래의 베개에 의한 어깨의 체 압은 25.8mmHg인 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베개(11)를 사용한 결과, 10.3mmHg로 저하되었다. 또한, 다른 피험자는 26.9mmHg에서 6.4mmHg로 저하되었다.
다음으로, 종래의 저반발 우레탄 폼을 사용한 부드러운 베개를 사용했을 때의 혈류량과,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에어(고반발 탄성부재)를 사용한 두께 6cm의 베개(11)를 사용했을 때의 혈류량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측정 부위는 피험자의 이마 부분(전두엽)이고, 측정기로서 NIRO-100(주식회사 하마마츠 포토닉스 제품)을 사용하여, 근적외 분광법에 의해 이마 부분(전두엽)의 조직 혈액 농도(nTHI)를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으로서, 안정 상태에서 베개를 소정시간 사용한 후에, 10 내지 15분간 연속하여 혈류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12 및 도 13에서, 각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각 세로축은 혈류량을 나타낸다. 도 12에서 기복이 있는 곡선은, 피험자가 종래의 베개를 30분간 안정상태에서 사용한 후에, 상기 베개의 사용을 계속하면서 혈류량의 측정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곡선은 혈류량을 나타내는 세로축의 "1"을 기점으로 하여, 혈류량의 변화를 플러스 및 마이너스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2에서, 완만한 곡선은 기복이 있는 곡선을 기반으로 로그 그래프화한 것이다. 이들의 곡선에서 알 수 있듯이, 시간이 경과함과 함께 혈류량은 저하되는 경향에 있고, 15분 후에는 약 17%의 혈류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피험자가 종래의 베개를 사용한 후에, 안정 상태에서 본 실시예의 베개(11)를 30분간 사용하고, 그 후에 베개(11)의 사용을 계속하여 혈류량의 측정을 수행한 결과, 도 13에 도시된 기복이 있는 곡선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또한 도 13 에서, 완만한 곡선은 기복이 있는 곡선을 기반으로 로그 그래프화 한 것이다. 이들 곡선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11)에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혈류량은 증가하고, 8분 후에는 약 1.5배의 혈류량이 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딱딱한 메밀 껍질제의 베개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그 피험자의 혈류량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종래의 베개를 사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간의 경과와 함께 혈류량이 저하되는 경향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전두엽의 혈류량이 증가하면, 전신이 릴렉스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전신의 혈류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11)는, 부드러운 베개나 딱딱한 베개의 종래의 베개와 비교하여, 릴렉스된 적정한 수면을 제공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슬릿들(21, 22, 23)과 동일한 슬릿을 예를 들면 7부분 또는 그 이상 방사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릿(21) 내지 제3 슬릿(23)의 중간부에는, 쐐기 형상의 홈부(21a)가 새겨지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21a)를 제1 슬릿(21)의 중심부에 형성함과 동시에, 원호 형상의 홈부(21b)를 제1 슬릿(21)의 하단부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릿(21)에 상기 원호 형상의 홈부(21b)를 3부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슬릿들(21, 22, 23)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 어 있으나, 관통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 경우, 베개의 두께 방향의 중심부에서 슬릿의 내면이 접속되거나, 하단부에서 접속되어도 무방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최하단에 두께가 예를 들어 30mm의 제1 쿠션재(15)를 배치하고, 그 상면에 고무 발포체(예를 들면 스폰지 고무) 또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우레탄, 폴리우레탄 혹은 폴리올레핀)의 발포체로 이루어진 두께가 예를 들어 10mm의 쿠션재를 적층한다. 또, 그 쿠션재의 상면에 두께가 예를 들면 20mm의 제2 쿠션재(16)와 동일한 쿠션재를 적층하고, 베개 전체적으로 쿠션재를 삼층 구조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각 쿠션재의 두께 치수는, 사용자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이 베개는 표리 양면에서 쿠션성이 다르므로,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 표리 반전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베개의 두께가 다른 것을 상하 2단으로 겹쳐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및 제3 쿠션재들(16, 17)을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베개 몸체(12)의 제1 쿠션재(15)의 재료로서, 통기성이 없는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펀칭함에 따라 통기공을 형성하고, 통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쿠션재(15)에서, 예를 들면, 상하방향으로 지향하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을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 연결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7)
-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된 쿠션재를 포함하며, 중앙부에 후두부 지지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후두부 지지부의 좌우양측에 각각 측두부 지지부를 갖는 베개 몸체; 및상기 베개 몸체의 표면을 피복하는 신축성을 갖는 커버를 구비하며,상기 후두부 지지부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슬릿을 갖고, 상기 양 측두부 지지부는 상기 제1 슬릿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2 슬릿 및 제3 슬릿을 가지며,상기 제1 내지 제3 슬릿들은 상기 쿠션재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쿠션재는 통기성을 갖는 탄성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내지 제3 슬릿들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마름모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쿠션재의 상면과 상기 커버와의 사이 및 상기 쿠션재의 하면과 상기 커버와의 사이에는, 상기 쿠션재 보다도 탄성이 낮은 서브 쿠션재가 배치되고,상기 서브 쿠션재는 상기 제1 내지 제3 슬릿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슬릿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쿠션재는, 탄성을 갖는 폴리에스텔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염화 비닐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매트, 탄성을 갖는 야자껍질섬유로 이루어진 매트, 천연 섬유로 이루어진 매트, 믹스 우레탄 폼, 우레탄 폼, 고무계 스폰지 및 폴리에틸렌계 스폰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상기 서브 쿠션재는, 펠트 형태의 부직포 매트, 천연 고무의 발포체, 합성 고무의 발포체, 천연 수지의 발포체 및 합성 수지의 발포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베개 몸체의 두정부측의 단부에는 경골 지지부가 팽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379940 | 2005-12-28 | ||
JP2005379940A JP4680057B2 (ja) | 2005-12-28 | 2005-12-28 | 枕 |
PCT/JP2006/326057 WO2007074867A1 (ja) | 2005-12-28 | 2006-12-27 | 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7549A KR20080007549A (ko) | 2008-01-22 |
KR100984318B1 true KR100984318B1 (ko) | 2010-09-30 |
Family
ID=3821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21775A KR100984318B1 (ko) | 2005-12-28 | 2006-12-27 | 베개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810192B2 (ko) |
EP (1) | EP1967097A4 (ko) |
JP (1) | JP4680057B2 (ko) |
KR (1) | KR100984318B1 (ko) |
CN (1) | CN100571581C (ko) |
TW (1) | TW200730116A (ko) |
WO (1) | WO200707486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62157B2 (en) * | 2009-11-25 | 2012-09-11 | Leslie Aisner Novak | Hinge collapsible portable slat seat |
US8342126B2 (en) * | 2010-02-18 | 2013-01-01 | Molly Mutt, Llc | Enhanced pet bed system |
US9043991B2 (en) | 2010-02-18 | 2015-06-02 | Molly Mutt, Llc | Enhanced bolster structures, systems, and processes |
CN102078114A (zh) * | 2010-12-07 | 2011-06-01 | 桐乡众想纺织有限公司 | 慢回弹纤维枕垫 |
CN102669985A (zh) * | 2012-05-09 | 2012-09-19 | 江苏堂皇集团有限公司 | 一种低磁高穿透床垫 |
US9138087B2 (en) * | 2014-02-07 | 2015-09-22 | Latitude Innovations | Universal prone/supine pillow |
US10583030B2 (en) * | 2015-05-28 | 2020-03-10 | Larry J. Mattson | Sleep device |
US10349762B2 (en) * | 2016-04-15 | 2019-07-16 | Steinbock Design, LLC | Fabric cover |
US10441487B1 (en) * | 2018-04-11 | 2019-10-15 | Sleepeze, LLC | Surgical recovery pillow |
US11826287B2 (en) | 2020-03-20 | 2023-11-28 | Michelle Marie Wilkie | Two identical adjustable graduated pillows for surgery and post-surgery head immobilization and head positioning |
US11641949B1 (en) * | 2022-01-11 | 2023-05-09 | James Yang | Hidden cushion pocke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71726B2 (en) | 2001-03-30 | 2002-10-29 | Seda Chemical Products Co., Ltd. | Ergonomic pillow |
JP2005006920A (ja) | 2003-06-19 | 2005-01-13 | Hironori Ishii | 枕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030602Y1 (ko) * | 1963-12-13 | 1965-10-26 | ||
AU1760476A (en) * | 1975-10-21 | 1978-03-16 | Craig A | Improvements in cushions or pillows |
US4688780A (en) * | 1986-03-31 | 1987-08-25 | Siemens Gammasonics, Inc. | Patient support |
JP2625551B2 (ja) * | 1989-08-17 | 1997-07-02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メタノールリフォーマ |
JP2507844Y2 (ja) | 1990-02-23 | 1996-08-21 | シャープ株式会社 | 端末用網制御装置 |
US5018231A (en) | 1990-08-27 | 1991-05-28 | Jason Wang | Neck guard pillow |
JPH0518367U (ja) * | 1991-08-24 | 1993-03-09 | 丈助 猪股 | 枕 |
US5163194A (en) | 1992-01-31 | 1992-11-17 | Imperial Feather Corporation (Toronto) Ltd. | Adjustable cervical pillow |
US5214814A (en) | 1992-03-04 | 1993-06-01 | Eremita Nunzio A | Multiple posture sleeping pillow with arm rest |
USD342410S (en) * | 1992-09-21 | 1993-12-21 | Boyd Barbara J | Combined prone pillow and case |
USD363403S (en) * | 1994-09-27 | 1995-10-24 | Dixon Linda H | Bullseye therapeutic pillow |
USD385741S (en) * | 1996-09-03 | 1997-11-04 | Lebenbaum Jacob R | Cushion |
US5781947A (en) * | 1996-11-12 | 1998-07-21 | Sramek; Roger | Adjustable cervical pillow with depressions for a user's ears |
US5778469A (en) * | 1997-05-13 | 1998-07-14 | Festa; John Philip | Therapeutic cervical pillow |
JPH114740A (ja) | 1997-06-16 | 1999-01-12 | Achilles Corp | 枕 |
US6038719A (en) * | 1999-02-26 | 2000-03-21 | Castagna; Doris | Novelty pillow |
JP2000253977A (ja) * | 1999-03-10 | 2000-09-19 | Keisaku Arashiro | 枕 |
JP3075201U (ja) * | 2000-07-27 | 2001-02-16 | 株式会社東洋クオリティワン | 健康用枕 |
TWI225391B (en) * | 2000-10-27 | 2004-12-21 | Chang-Gyu Kim | Cervical pillow for protection of cervical vertebrae |
US6547327B1 (en) * | 2001-07-11 | 2003-04-15 | Paul M. Yates | Breathable cushion |
-
2005
- 2005-12-28 JP JP2005379940A patent/JP468005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12-27 KR KR1020077021775A patent/KR10098431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12-27 US US11/885,800 patent/US781019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2-27 EP EP06843439A patent/EP1967097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6-12-27 CN CNB2006800043176A patent/CN10057158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2-27 WO PCT/JP2006/326057 patent/WO200707486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12-28 TW TW095149414A patent/TW200730116A/zh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71726B2 (en) | 2001-03-30 | 2002-10-29 | Seda Chemical Products Co., Ltd. | Ergonomic pillow |
JP2005006920A (ja) | 2003-06-19 | 2005-01-13 | Hironori Ishii | 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80155752A1 (en) | 2008-07-03 |
CN100571581C (zh) | 2009-12-23 |
EP1967097A4 (en) | 2010-02-17 |
JP4680057B2 (ja) | 2011-05-11 |
WO2007074867A1 (ja) | 2007-07-05 |
US7810192B2 (en) | 2010-10-12 |
KR20080007549A (ko) | 2008-01-22 |
CN101115420A (zh) | 2008-01-30 |
JP2007175414A (ja) | 2007-07-12 |
EP1967097A1 (en) | 2008-09-10 |
TW200730116A (en) | 2007-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4318B1 (ko) | 베개 | |
US8822012B2 (en) | Yoga mat with support and traction | |
JPH04242607A (ja) | マットレス | |
CN109219346A (zh) | 宠物用床 | |
WO2014196114A1 (ja) | シートクッション | |
RU183681U1 (ru) | Подушка на сидение | |
JP4947621B2 (ja) | 敷きマット | |
US20090229055A1 (en) | Ergonomic pillow for neck and upper shoulder muscle release | |
JP5036549B2 (ja) | 枕 | |
JP2005312649A (ja) | マットレス本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ベッド | |
JP2001161501A (ja) | 下敷き用寝具 | |
JP2897953B2 (ja) | 鞄 | |
JPH0144124Y2 (ko) | ||
JP4220226B2 (ja) | 敷マット | |
JPH08131490A (ja) | クッション材 | |
CN220587915U (zh) | 一种复合坐垫 | |
CN211092848U (zh) | 一种座包结构及具有该座包结构的座椅 | |
WO2022244559A1 (ja) | 枕 | |
CN207388457U (zh) | 一种多层耐磨型沙滩鞋鞋面面料 | |
JPS5938946Y2 (ja) | マツトレス | |
JP2022161012A (ja) | 足枕 | |
JP2600606Y2 (ja) | 積層シート | |
JPS5941739Y2 (ja) | 敷寝具用クツシヨン材 | |
JPS601003B2 (ja) | 椅子用座蒲団 | |
JP2005334324A (ja) | 健康クッショ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