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941B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941B1
KR100983941B1 KR1020080051341A KR20080051341A KR100983941B1 KR 100983941 B1 KR100983941 B1 KR 100983941B1 KR 1020080051341 A KR1020080051341 A KR 1020080051341A KR 20080051341 A KR20080051341 A KR 20080051341A KR 100983941 B1 KR100983941 B1 KR 100983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elastic
buckle
coupling member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5795A (ko
Inventor
히사노리 가또오
히또시 가네꼬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5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Landscapes

  • Buckl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수형 부재(A)는 본체부(10)와, 한 쌍의 결합 부재(30)와, 한 쌍의 탄성 부재(50)를 갖는다. 본체부는 벨트 부착부(11)와 기초부(21)를 구비하고, 기초부는 결합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25A, 25B)와, 결합 부재를 노출시키는 개구(27)를 구비한다. 결합 부재는 기초부의 수용부의 내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동시에, 암형 부재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33)를 갖는다. 탄성 부재는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결합 부재를 수용부의 외측을 향해 압박하는 동시에, 기초부의 개구 주연에 걸리는 빠짐 방지부(52)를 갖는다.
Figure R1020080051341
버클, 결합 부재, 탄성 부재, 기초부, 벨트 부착부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를 구비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벨트 중 적어도 일단부, 혹은 2개의 각 벨트를 연결, 분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금속제의 버클은 중량감이 있고, 외관이 견고할 것 같은 인상을 부여하는 동시에, 고급감도 부여한다. 이로 인해, 가방 등에 부가 가치를 부가하기 위해, 금속제의 버클이 요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망에 응하는 버클로서, 문헌 1(한국 공개 실용신안 97-26659호 공보)에 개시된 버클이 알려져 있다. 이는,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수형 부재는 바닥판에 결합 핀을 돌출 설치한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양측에 서로 접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결합 핀에 헐겁게 끼우는 결합 구멍을 갖는 한 쌍의 결합 부재와, 이 한 쌍의 결합 부재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한 쌍의 코일 스프링과, 이들 한 쌍의 결합 부재 및 한 쌍의 코일 스프링을 본체부에 유지하는 덮개 부재와, 이 덮개 부재를 본체부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삽입한다. 그러면, 수형 부재의 한 쌍의 결합 부재가 코일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서로 내측으로 이동된 후,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 외측으로 이동하여 암형 부재에 결합된다.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결합 부재를 코일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서로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암형 부재로부터의 결합을 해제한 후,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로부터 인발한다. 이에 의해,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문헌 1에 기재된 버클은 수형 부재가 본체부와, 한 쌍의 결합 부재와, 한 쌍의 코일 스프링과, 덮개 부재와, 고정 나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품 개수가 많다.
그로 인해, 조립 시에는 본체부의 양측에 한 쌍의 결합 부재를 배치하고, 또한 각 결합 부재의 결합 구멍을 본체부의 결합 핀에 헐겁게 끼운 후, 이들 결합 부재 사이에 한 쌍의 코일 스프링을 배치하고, 한 쌍의 결합 부재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박하고, 마지막으로 이들의 상부로부터 덮개 부재를 씌우고 덮개 부재를 본체부에 고정 나사로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조립 공정 수가 늘어난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여 부품 개수의 삭감 및 조립 공정 수의 저감이 가능한 버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버클은 통 형상의 암형 부재와, 이 암형 부재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수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는 본체부와, 결합 부재와,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본체부는 금속 또는 금속분을 혼입시킨 수지재로 형성되고, 또한 벨트 부착부 및 이 벨트 부착부로부터 돌출된 기초부를 갖고, 상기 기초부는 상기 결합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이 수용부로부터 상기 결합 부재를 노출시키는 개구를 갖고, 상기 결합 부재는 금속 또는 금속분을 혼입시킨 수지재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기초부의 상기 수용부의 내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암형 부재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갖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수용부의 외측을 향해 압박하는 동시에, 상기 결합 부재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수용부(25)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기초부의 일부에 걸리는 빠짐 방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따르면, 탄성 부재는 기초부의 일부에 걸리는 빠짐 방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탄성 부재를 수용부 내에 수용하면, 탄성 부재의 빠짐 방지부가 기초부의 일부에 걸린다. 그러면, 탄성 부재는 결합 부재를 수용부의 외측을 향해 압박하는 동시에, 결합 부재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므로, 결합 부재의 내외로의 이동에 의해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대해 결합,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따르면, 탄성 부재를 수용부 내에 수용하면, 탄성 부재의 빠짐 방지부가 빠짐 방지로 되어 조립되므로, 종래의 버클에 비해 부품 개수를 삭 감시킬 수 있고, 따라서, 조립 공정 수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수용부의 내외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결합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결합 부재에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탄성 부재가 결합 부재의 이동에 연동 가능하게 결합 부재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결합 부재의 내측으로의 이동 및 외측으로의 이동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는 피유지부와, 이 피유지부의 상기 수형 부재 삽입 방향 단부 및 반삽입 방향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빠짐 방지부를 갖고, 이들 한 쌍의 빠짐 방지부가 상기 기초부의 상기 수용부 내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결합 부재에는 탄성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설치되고, 탄성 부재에는 결합 부재의 유지부에 유지되는 피유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유지부에 피유지부를 유지시킴으로써 탄성 부재를 결합 부재에 간단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의 피유지부의 양단부, 즉 수형 부재 삽입 방향 단부 및 반삽입 방향 단부에 빠짐 방지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탄성 부재를 유지한 결합 부재를 기초부의 수용부 내에 수용하면, 탄성 부재의 한 쌍의 빠짐 방지부가 기초부의 수용부 내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린다. 즉, 결합 부재는 탄성 부재를 유지 한 유지부를 사이에 두고, 삽입 방향 단부 및 반삽입 방향 단부의 양단부의 빠짐 방지부에 의해 기초부의 걸림부에 걸리기 때문에, 결합 부재를 기초부에 안정된 자세로 걸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결합 부재가 기초부로부터 간단하게 제거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빠짐 방지부는 상기 피유지부로부터 상기 결합 부재의 반수용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편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탄성 부재를 유지한 결합 부재를 기초부의 개구로부터 수용부 내에 수납하면, 기초부의 개구에 의해 한 쌍의 빠짐 방지부를 형성하는 경사편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수납되어 간다. 이윽고, 경사편이 개구를 통과하면, 경사편은 탄성 복귀되어 기초부의 개구 모서리에 걸리고, 이에 의해 결합 부재는 기초부로부터 빠짐 방지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를 유지한 결합 부재를 기초부의 개구로부터 수용부 내에 수납하는 것만으로, 결합 부재를 기초부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도 매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빠짐 방지부 사이에 탄성 변형부를 갖고, 상기 기초부는 내부에 상기 수용부를 갖는 상판 및 하판을 갖고, 이들 상판 및 하판이 벽부로 연결되고, 이 벽부에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부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기초부는 상판 및 하판을 갖고, 이들 상판 및 하판이 벽부로 연결되고, 이 벽부에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부가 접촉됨으로써 탄성력이 부여 되고, 또한 이 탄성 변형부가 빠짐 방지부 사이에 있음으로써 결합 부재를 내측으로 이동할 때에, 결합 부재를 안정된 자세로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결합 부재에 작용하고 있던 내측으로의 힘이 없어지면, 탄성 부재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결합 부재는 안정된 자세로 원위치로 복귀된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변형부가 상기 벽부에 접촉되어 있을 때에, 상기 빠짐 방지부가 상기 기초부의 상기 개구의 주연에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탄성 변형부가 벽부에 접촉되어 있을 때에, 빠짐 방지부가 기초부의 개구의 주연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즉 결합 부재는 외측으로 압박된 상태로 기초부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으므로,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 개수의 삭감 및 조립 공정 수의 저감이 가능한 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의 구성>
도1은 본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실시 형태의 버클을 구성하는 수형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수형 부재를 구성하는 결합 부재와 탄성 부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버클(1)은 벨트(2)(예를 들어, 가방의 어깨 벨트 등)의 단부(2A, 2B)를 연결,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암형 부재(B)와, 이 암형 부재(B)에 삽입 가능하고 또한 인발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형 부재(A)를 구비하고 있다.
[수형 부재(A)]
수형 부재(A)는 본체부(10)와, 한 쌍의 결합 부재(30)와, 한 쌍의 탄성 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중, 본체부(10)와 한 쌍의 결합 부재(30)는 금속의 다이캐스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한 쌍의 탄성 부재(50)는 탄성을 갖는 수지재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마그네슘, 티탄, 철, 구리, 아연, 혹은 이들 합금 등의 금속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탄 등의 경금속이나 이들 합금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을 갖는 수지재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본체부(10)]
본체부(10)는 벨트 부착부(11)와, 이 벨트 부착부(11)로부터 돌출된 기초부(21)를 갖는다.
벨트 부착부(11)는 양측의 측프레임(12)과, 이 양측의 측프레임(12)의 양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2개의 연결 레버(13, 14)와, 이 2개의 연결 레버(13, 14) 사이에서 측프레임(12)에 걸쳐진 중간 연결 레버(15)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벨트(2)의 단부(2A)를 중간 연결 레버(15)의 주위로 권취함으로써, 벨트(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기초부(21)는 벨트 부착부(11)의 연결 레버(14)로부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을 향해 돌출 성형된 상판(22) 및 하판(23)과, 이 상판(22) 및 하판(23)의 선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단부면판(24)을 구비하고, 이들로 둘러싸이는 내부에 결합 부재(30)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25)를 구비한 평판 형상을 나타낸다.
여기서,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이라 함은, 벨트 부착부(11)의 연결 레버(14)에 대해 측프레임(12)이 연장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도1 중 상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반삽입 방향이라 함은, 연결 레버(14)에 대해 측프레임(12)이 연장되는 방향(도1 중 하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내측이라 함은, 버클(1)의 폭 방향의 중심을 향하는 측으로, 외측과는 그 반대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22) 및 하판(23) 사이에 있어서,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 대략 중앙 위치에는 상판(22) 및 하판(23) 사이를 연결하여 연결 레버(14)로부터 단부면판(24)으로 연장되는 2개의 벽부(26)가 설치되고, 이 2개의 벽부(26)에 의해 수용부(25)가 좌우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이는 1개의 벽부(26)라도 좋다. 각 수용부(25A, 25B)의 외측에는 결합 부재(30)를 기초부(21)의 외부로부터 수용부(25A, 25B) 내로 수용하기 위한 개구(27)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27)는 상판(22)과 하판(23) 사이에서 벨트 부착부(11)와 단부면판(24)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벨트 부착부(11)측과 단부면판(24)측의 수용부(25) 내에는 후술하는 탄성 부재(50)의 빠짐 방지부(52)가 결합하는 걸림부(27A)를 구비한다. 또한, 개구(27)로부터는 결합 부재(30)가 노출되어 있고, 이 노출된 부분이 결합부(33)로서 형성된다.
각 벽부(26)는 연결 레버(14)로부터 단부면판(24)을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만곡되어 개구(27)의 주연에 근접한 후,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즉, 중간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산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각 벽부(26)의 최돌출단부로부터 개구(27)를 향해 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 돌조(28)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결합 부재(30)는 하판(23)에 형성된 가이드 돌조(28)에 의해 가이드되고, 다른 쪽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상판(22)에 형성된 가이드 돌조에 의해 가이드된다. 또한, 가이드 돌조에 대해서는 상판(22) 및 하판(23)의 양 판에 형성해도 좋다.
[결합 부재(30)]
결합 부재(30)는 기초부(21)의 수용부(25A, 25B)의 내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으로, 내측으로 이동하면, 결합 부재(30)는 수용부(25) 내에 인입되고, 그 상태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면, 개구(27)로부터 노출되는 결합 부재(30)의 비율이 많아진다. 결합 부재(30)는 결합 부재 본체(31)와, 이 결합 부재 본체(31)의 내면측을 일체로, 또한 판 형상으로 연장 설치된 지지편(34)과, 이 지지편(34)에 일체 성형되어 탄성 부재(50)를 유지하는 유지부(35)를 갖는다.
결합 부재 본체(31)는 외측면이 삽입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내측에 호 형상으로 만곡된 조작면(32)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반삽입 방향 단부에 암형 부재(B)의 피결합부(72)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34)은 결합 부재 본체(31)의 내면 삽입 방향 단부 및 반삽입 방향 단 부에 결합 부재(30)의 일측면에서, 수용부(25) 내로 수용될 때의 수용 방향[개구(27)에 대면하는 내면측]을 향해 결합 부재 본체(31)의 두께보다도 얇은 직사각형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지지편(34)에 연속하도록 해도 좋다.
유지부(35)는 각 지지편(34)에 설치되고, 삽입 방향 및 수용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2개의 유지축(3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유지축(36)은 수용부(25A, 25B)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기초부(21)의 상판(22) 또는 하판(23)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유지축(36)과 결합 부재 본체(31)의 내면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그 간격에 후술하는 탄성 부재(50)의 일부가 인입하여 걸린다.
[탄성 부재(50)]
탄성 부재(50)는 결합 부재(30)를 수용부(25A, 25B)의 외측을 향해 압박하는 동시에, 결합 부재(30)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으로 결합 부재(30)에 유지되는 동시에, 결합 부재(30)가 기초부(21)의 개구(27)로부터 수용부(25A, 25B) 내로 수용되었을 때, 기초부(21)의 일부에 걸리는 빠짐 방지부(52)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결합 부재(30)의 유지부(35)에 유지되는 피유지부(51)와, 이 피유지부(51)의 삽입 방향 단부 및 반삽입 방향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빠짐 방지부(52)와, 한 쌍의 빠짐 방지부(52)의 대략 중간 위치에 있어서 피유지부(51)에 설치된 탄성 변형부(53)를 갖는다.
피유지부(51)는 결합 부재 본체(31)의 내면과 유지부(35) 사이에 유지되는 제1 피유지편(51A)과, 이 제1 피유지편(51A)의 양단부로부터 내측[결합 부재 본체(31)와 반대측]을 향해 만곡되어 연장된 제2 피유지편(51B)을 구비한다.
피유지부(51)가 유지부(35)에 유지된 상태에서, 유지축(36)의 선단부와 상판(22) 또는 하판(23)의 간격은 탄성 부재(50)의 높이보다도 좁고, 이로 인해 수용부(25)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탄성 부재(50)가 유지축(36)으로부터 제거되는 일은 없다.
한 쌍의 빠짐 방지부(52)는 피유지부(51)의 제2 피유지편(51B)의 선단부로부터 결합 부재(30)측을 향해 굴곡되어 연장되어 결합 부재(30)의 반수용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편(52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경사편(52A)은 결합 부재(30)가 기초부(21)의 개구(27)로부터 수용부(25A, 25B) 내로 수용될 때,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수납부(25A, 25B) 내에 수납된 후, 탄성 복귀되어 그 선단부가 기초부(21)의 개구(27)의 주연에 걸린다. 이로 인해, 탄성 부재(50)의 삽입 방향 길이는 개구(27)의 그것보다도 길다. 경사편(52A)이 탄성 변형될 때에는, 변형의 정도에 따라서는 제2 피유지부(51B)도 변형된다.
탄성 변형부(53)는 피유지부(51)의 제1 피유지편(51A)의 중간 위치에서 2개의 유지축(36) 사이로부터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한 쌍의 탄성 끼움 지지편(53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탄성 끼움 지지편(53A)의 선단부는 대략 구형 형상으로 성형되는 동시에, 기초부(21)의 벽부(26)의 산형 경사면에 각각 접촉되어 있다.
경사편(52A)의 선단부의 위치는 개구(27)의 걸림부(27A)에 걸린 상태로 유지축(36)의 내측 단부보다도 결합 부재 본체(31)측까지 연장되어 있고, 유지축(36)과 탄성 부재(50)의 제1 피유지편(51A)이 수용부(25) 내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결합 부재(30)와 탄성 부재(50)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 탄성 부재(50)의 제1 피유지편(51A)과 유지부(35)가 결합되어 있는 면이 개구(27)의 단부 모서리보다도 내측, 즉 수용부(25)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형 부재(B)]
암형 부재(B)는 금속의 다이캐스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표측벽(61), 이측벽(62), 양측에 표측벽(61) 및 이측벽(62)을 연결하는 측벽(63)을 가진 편평 사각 통형상의 통체(64)를 갖는다. 또한, 여기서 이용하는 금속은 수형 부재(A)의 본체부(10)나 결합 부재(30)를 형성한 금속과 동일하나, 동일한 재료가 아니라도 좋다.
통체(64)에는 일단부에 수형 부재(A)의 결합 부재(30)가 삽입되는 삽입구(65)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벨트 부착부(66)가 형성되고, 내부에 삽입구(65)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수형 부재(A)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67)이 형성되어 있다. 벨트 부착부(66)는 벨트(2)의 단부(2B)를 삽입 관통시키는 벨트 삽입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측벽(63)에는 수형 부재(A)의 조작면(32)을 암형 부재(B)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71)가, 표측벽(61) 및 이측벽(62)의 내부를 향해 직사각형으로 절결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71)의 반삽입 방향 단부에는 수형 부재(A)의 결합부(33)가 결합되는 피결합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작용ㆍ효과>
수형 부재(A)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부 재(30)에 탄성 부재(50)를 유지시킨다. 이것에는 결합 부재(30)의 결합 부재 본체(31)와 유지부(35) 사이에 탄성 부재(50)의 제1 피유지편(51A)을 끼워 넣는다. 그러면, 탄성 부재(50)는, 결합 부재(30)의 수용 방향으로의 이동은 결합 부재 본체(31)와 유지부(35)에 의해 규제되고, 또한 삽입 방향의 이동은 제2 피유지편(51B)이 유지부(35)에 접촉함으로써 규제된다. 즉, 수용 방향으로의 이동 규제는 탄성 부재(50)가 결합부 본체(31)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규제하고,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 규제는, 탄성 부재(50)가 삽입 방향에 대해서는 반삽입 방향측에서, 반삽입 방향에 대해서는 삽입 방향측에서 결합 부재(30)의 유지부(35)와 각각 결합함으로써 규제된다. 이에 의해, 탄성 부재(50)는 결합 부재(30)에 대해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결합 부재(30)에는 탄성 부재(50)를 유지하는 유지부(35)가 설치되고, 탄성 부재(50)에는 결합 부재(30)의 유지부(35)에 유지되는 피유지부(5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유지부(35)에 피유지부(51)를 유지시킴으로써 탄성 부재(50)를 결합 부재(30)에 간단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50)에 대해, 결합 부재(30)의 지지편(34)이 하측이 되는 것(도4의 우측)과, 상측이 되는 것(도4의 좌측)을 준비해 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좌우에서 다른 부재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 조립의 실수도 발생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하여 탄성 부재(50)를 유지한 결합 부재(30)를,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부(21)의 개구(27)로부터 수용부(25A, 25B) 내로 수용한다.
결합 부재(30)가 기초부(21)의 개구(27)로부터 수용부(25A, 25B) 내로 수용 되어 가면, 기초부(21)의 개구(27)에 의해 탄성 부재(50)의 한 쌍의 빠짐 방지부(52)를 형성하는 경사편(52A)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수용되어 간다. 이윽고, 경사편(52A)이 개구(27)를 통과하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편(52A)은 탄성 복귀되어 기초부(21)의 개구(27)의 주연에 설치된 걸림부(27A)에 걸린다. 개구(27)의 주연에 있어서, 걸림부(27A)는 개구(27)에 있어서의 삽입 방향의 길이보다 긴 공간을 갖고 있고, 거기에 탄성 부재(50)의 경사편(52A)의 선단부가 접촉하여 결합된다.
이때, 탄성 부재(50)의 탄성 변형부(53)인 한 쌍의 탄성 끼움 지지편(53A)이 이미 기초부(21)의 벽부(26)의 산형 경사면을 사이에 둔 상태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이 한 쌍의 탄성 끼움 지지편(53A)에 의해 탄성 부재(50)에는 외측으로의 탄성력이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탄성력에 의해 경사편(52A)이 기초부(21)의 개구(27)의 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걸리기 때문에, 결합 부재(30)는 기초부(21)로부터 빠짐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결합 부재(30)에 탄성 부재(50)가 유지되고, 탄성 부재(50)의 빠짐 방지부(52)가 개구(27)의 주연의 걸림부(27A)에 밀착된 상태로 걸려 있으므로, 탄성 부재(50)의 빠짐 방지부(52)가 빠짐 방지되어, 결합 부재(30)가 기초부(21)로부터 제거되기 어렵다.
게다가, 탄성 부재(50)의 피유지부(51)의 양단부, 즉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 단부 및 반삽입 방향 단부에 빠짐 방지부(52)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탄성 부재(50)의 한 쌍의 빠짐 방지부(52)가 기초부(21)의 개구(27) 모서리에 걸린 다. 즉, 결합 부재(30)는 탄성 부재(50)를 유지한 유지부(35)를 사이에 두고, 삽입 방향 단부 및 반삽입 방향 단부의 양단부의 빠짐 방지부(52)에 의해 기초부(21)의 개구(27)의 주연에 걸리기 때문에, 결합 부재(30)를 기초부(21)에 안정된 자세로 걸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결합 부재(30)가 기초부(21)로부터 간단하게 제거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형 부재(A)의 조립 시에는, 탄성 부재(50)를 유지한 결합 부재(30)를 기초부(21)의 개구(27)로부터 수용부(25A, 25B) 내로 수납하는 것만으로, 결합 부재(30)를 기초부(21)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도 매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30)를 내측으로 이동하면, 한 쌍의 탄성 끼움 지지편(53A)이 벽부(26)의 대칭의 산형 경사면을 따라서 확장된 상태로 결합 부재(30)가 이동되므로, 결합 부재(30)가 평행하게 이동되어, 결합 부재(30)를 안정된 자세로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결합 부재(30)에 작용하고 있던 내측으로의 힘이 없어지면, 탄성 부재(50)의 한 쌍의 탄성 끼움 지지편(53A)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탄성 끼움 지지편(53A)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고자 하여, 산형 경사면과 미끄럼 접촉하면서 결합 부재(30)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므로, 결합 부재(30)는 안정된 자세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결합 부재(30)의 이동을 안정된 자세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결합 부재(30)가 이동할 때에는 상판(22) 또는 하판(23)에 형성한 가이드 돌조가 한 쌍의 탄성 끼움 지지편(53A) 사이에 미끄럼 접촉하여 가이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수형 부재(A)의 기초부(21) 및 결합 부재(30)를 암형 부재(B)의 삽입구(65)로부터 수납 공간(67)으로 삽입한다. 그러면, 결합 부재(30)가 수납 공간(67) 내로 삽입되어 가면, 결합 부재(30)는 암형 부재(B)의 측벽(63)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된다. 이윽고, 결합 부재(30)의 결합부(33)가 암형 부재(B)의 측벽(63)을 초과한 위치까지 삽입되면 결합 부재(30)는 외측으로 탄성 복귀된다. 그러면, 결합 부재(30)의 결합부(33)가 암형 부재(B)의 피결합부(72)에 결합된다. 즉, 수형 부재(A)가 암형 부재(B)에 결합된다. 도5에 있어서, 결합된 상태의 암형 부재(B)를 가상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암형 부재(B)의 개구부(71)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수형 부재(A)의 조작면(32)을 내측으로 압박한다. 그러면, 결합 부재(30)의 결합부(33)가 암형 부재(B)의 피결합부(72)로부터 제거되므로, 이 상태에서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로부터 인발하면, 양자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버클에서는 수형 부재(A)가 본체부(10)와, 한 쌍의 결합 부재(30)와, 한 쌍의 탄성 부재(50)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버클에 비해 부품 개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종래의 버클에 비해 덮개 부재나 고정 나사 등이 불필요하므로, 부품 개수를 삭감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탄성 부재(50)를 유지한 결합 부재(30)를 기초부(21)의 개구(27)로부터 수용부(25A, 25B) 내로 수납하는 것만으로, 수형 부재(A)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 공정 수의 저감도 도모된 다.
물론, 암형 부재(B)와, 수형 부재(A) 중 본체부(10) 및 한 쌍의 결합 부재(30)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금속제의 버클로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감이 있는 인상을 부여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조의 버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변형예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8, 도9 및 도10에 도시하는 구조의 버클이라도 좋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버클은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해 탄성 부재(50), 결합 부재(30), 기초부(21) 및 암형 부재(B)가 각각 상이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탄성 부재(50)에 대해서는, 피유지부(51) 및 빠짐 방지부(52)는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나, 탄성 변형부(53)의 형상이 상이하다. 이 탄성 변형부(53)는 피유지부(51)의 일단부(삽입 방향 단부)로부터 반삽입 방향을 향해 제1 피유지부(51A)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1 피유지부(51A)의 대략 중간점 위치로부터 반삽입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내측으로 만곡된 만곡편(53B)과, 이 만곡편(53B)의 선단부로부터 삽입 방향을 향해 제1 피유지편(51A)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 받침대편(53C)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편(53C)은 제1 피유지편(51A)의 중간 위치를 골고루 미치는 길이를 갖고, 그 양단부가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초부(21)는 2개의 벽부(26) 사이에 슬릿(29)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 다. 즉, 상판(22), 하판(23) 및 단부면판(24)이 폭 방향 대략 중간에서 분할되어 있다. 또한, 벽부(26)는 연결 레버(14)로부터 단부면판(24)을 향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것에 탄성 변형부(53)의 받침대편(53C)의 양단부가 접촉되어 있다.
암형 부재(B)에는 수납 공간(67) 내에 구획벽(68)이 삽입구(65)로부터 벨트 부착부(66)의 근방에 걸쳐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 구획벽(68)은 암형 부재(B)의 표측벽(61) 및 이측벽(62)을 연결하고 있는 구조이므로, 이들을 보강할 수 있는 동시에, 수형 부재(A)의 가이드로서의 기능도 더불어 갖는다. 즉, 수형 부재(A)가 암형 부재(B)에 삽입되면, 수형 부재(A)의 슬릿(29)이 구획벽(68)을 가이드로서 삽입되므로, 수형 부재(A)가 기울어진 자세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재(30)의 지지편(34)은 삽입 방향 단부 및 반삽입 방향 단부에 형성되고, 그 사이의 홈부가 기초부(21)에 형성된 가이드 돌조(28)와 미끄럼 접촉 가능하고, 이것에 가이드된다.
본 변형예에서 설명한 버클에 따르면, 도9에 나타내는 상태, 즉 결합 부재(30)가 기초부(21)의 수용부(25A, 25B) 내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결합 부재(30)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부(53)의 만곡편(53B)이 받침대편(53C)에 접근하도록, 또한 받침대편(53C)과 대략 평행한 자세로 탄성 변형되므로, 결합 부재(30)가 기울어져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받침대편(53C)은 벽부(26)에 접한 상태로 크게 이동하지 않고, 만곡편(53B)만이 받침대편(53C)과 대략 평행한 자세로 탄성 변형되므로, 결합 부재(30)가 기울어져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부재(50)의 빠짐 방지부(52)가 기초부(21)의 개구(27)의 주연에 걸리는 구성이었으나, 반드시 탄성 부재(50)의 빠짐 방지부(52)가 기초부(21)의 개구(27)의 주연에 걸리는 구조가 아니라도 좋다. 예를 들어, 기초부(21)의 수용부(25) 내에 걸림부로서의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에 탄성 부재(50)의 빠짐 방지부(52)가 걸리는 구성이라도 좋다. 유지부(35)의 유지축(36)은 1개라도 좋다. 또한, 결합 부재(30)의 유지부(35)가 지지편(34)으로부터 돌출되는 유지축(36)을 형성하는 구성 이외에, 지지편(34)에 표리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를 유지부로서 형성하고, 탄성 부재(50)에 피유지부로서, 그 구멍부에 결합하는 돌기를 형성하여, 이들이 걸리도록 하여 유지시키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빠짐 방지부(52)가 각각 탄성 변형되도록 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일방측만이 탄성 변형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타방측의 빠짐 방지부를 먼저 걸리게 한 후, 그곳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일방측의 빠짐 방지부(52)를 변형하여 걸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형 부재(A)의 구성으로서, 본체부(10)의 양측에 결합 부재(30)를 갖는 구성이었으나, 본체부(10)의 편측에만 결합 부재(30)를 갖는 구성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형 부재(A)를 구성하는 부재 중, 본체부(10) 및 결합 부재(30)를 금속제로 하였으나, 금속제로 한정되지 않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마그네슘, 티탄, 철, 구리, 아연, 혹은, 이들 합금 등의 금속분 등을 혼입시킨 수지재로 형성해도 좋다. 수지재에 금속분이 혼입되어 있으면, 표면 상태를 금속 과 동등한 질감, 중량감으로 마무리할 수 있으므로, 금속제로 한 것과 동등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암형 부재(B)도 금속제로 하였으나, 암형 부재(B)를 구성하는 재질에 대해서는 상관없다. 예를 들어, 수형 부재(A)의 본체부(10)나 결합 부재(30)를 형성한 재료 등과 동일한 금속분이나, 다른 종류의 금속분을 혼입한 수지재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부재(50)를, 탄성을 갖는 수지재로 구성하였으나, 탄성을 갖는 재료이면 수지재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금속제의 띠 판을 굴곡하여 형성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형 부재(A)의 결합부(33)가 암형 부재(B)의 개구부(71)의 단부에 설치한 피결합부(72)에 결합되는 구성이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수형 부재(A)의 표리에 돌출되는 결합부를 설치하고, 이 결합부가 암형 부재(B)의 수납 공간(67)의 내부에서 표측벽(61)과 이측벽(62)에 설치한 피결합부에 결합되는 구조로 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형 부재(A) 및 암형 부재(B)에 각각 벨트 부착부(11, 66)을 형성하였으나, 암형 부재(B)에 대해서는 벨트 부착부가 없어도 좋다. 즉, 암형 부재(B)를 직접 그 밖의 부재에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벨트(2)로서는, 띠 형상의 벨트로 한정되지 않고, 폭이 없는 가는 끈이라도 좋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버클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3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를 구성하는 결합 부재와 탄성 부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결합 부재와 본체부의 조립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5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결합 부재와 본체부의 조립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6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탄성 부재가 본체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결합 부재를 내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9는 상기 변형예의 일부 절결 단면도.
도10은 도9의 상태로부터 결합 부재를 내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클
2 : 벨트
10 : 본체부
11 : 벨트 부착부
12 : 측프레임
13, 14 : 연결 레버
15 : 중간 연결 레버
21 : 기초부
30 : 결합 부재
A : 수형 부재
B : 암형 부재

Claims (6)

  1. 통 형상의 암형 부재(B)와, 이 암형 부재(B)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수형 부재(A)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A)는 본체부(10)와, 결합 부재(30)와, 탄성 부재(50)를 갖고,
    상기 본체부(10)는 금속 또는 금속분을 혼입시킨 수지재로 형성되고, 또한 벨트 부착부(11) 및 이 벨트 부착부(11)로부터 돌출된 기초부(21)를 갖고,
    상기 기초부(21)는 상기 결합 부재(30)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25)와, 이 수용부(25)로부터 상기 결합 부재(30)를 노출시키는 개구(27)를 갖고,
    상기 결합 부재(30)는 금속 또는 금속분을 혼입시킨 수지재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기초부(21)의 상기 수용부(25)의 내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암형 부재(B)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33)를 갖고,
    상기 탄성 부재(50)는 상기 결합 부재(30)를 상기 수용부(25)의 외측을 향해 압박하는 동시에, 상기 결합 부재(30)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50)는 상기 수용부(25)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기초부(21)의 일부에 걸리는 빠짐 방지부(5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50)는 상기 결합 부재(30)가 상기 수용 부(25)의 내외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결합 부재(30)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결합 부재(30)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30)는 상기 탄성 부재(50)를 유지하는 유지부(35)를 갖고,
    상기 탄성 부재(50)는 상기 결합 부재(30)의 상기 유지부(35)에 유지되는 피유지부(51)와, 이 피유지부(51)의 상기 수형 부재 삽입 방향 단부 및 반삽입 방향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빠짐 방지부(52)를 갖고, 이들 한 쌍의 빠짐 방지부(52)가 상기 기초부(21)의 상기 수용부(25) 내에 형성된 걸림부(27A)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빠짐 방지부(52)는 상기 피유지부(51)로부터 상기 결합 부재(30)의 반수용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편(52A)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50)는 상기 한 쌍의 빠짐 방지부(52) 사이에 탄성 변형부(53)를 갖고,
    상기 기초부(21)는 내부에 상기 수용부(25)를 갖는 상판(22) 및 하판(23)을 갖고, 이들 상판(22) 및 하판(23)이 벽부(26)로 연결되고, 이 벽부(26)에 상기 탄성 부재(50)의 탄성 변형부(53)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 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50)는 상기 탄성 변형부(53)가 상기 벽부(26)에 접촉되어 있을 때에, 상기 빠짐 방지부(52)가 상기 기초부(21)의 상기 개구(27)의 주연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080051341A 2007-08-08 2008-06-02 버클 KR100983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07129 2007-08-08
JP2007207129A JP4912251B2 (ja) 2007-08-08 2007-08-08 バック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795A KR20090015795A (ko) 2009-02-12
KR100983941B1 true KR100983941B1 (ko) 2010-09-27

Family

ID=4038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341A KR100983941B1 (ko) 2007-08-08 2008-06-02 버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912251B2 (ko)
KR (1) KR100983941B1 (ko)
CN (1) CN100586327C (ko)
HK (1) HK1125800A1 (ko)
TW (1) TW2009179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45021U (zh) * 2009-06-16 2010-05-05 东莞市怡丰锁业有限公司 插扣头和插扣
JP6132603B2 (ja) * 2013-03-12 2017-05-2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KR20170037259A (ko) * 2015-09-25 2017-04-04 주식회사 우석 비상 동작이 가능한 작업용 안전 밴드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0025U (ko) 1977-02-03 1978-09-02
KR900007928U (ko) * 1988-10-07 1990-05-01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버클
US5355562A (en) 1992-09-17 1994-10-18 Yoshida Kogyo K.K. Buckle
KR970026659U (ko) * 1995-12-08 1997-07-24 이영섭 혁대버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1187B2 (ja) * 2000-09-27 2005-09-28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3892363B2 (ja) * 2002-08-08 2007-03-14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0025U (ko) 1977-02-03 1978-09-02
KR900007928U (ko) * 1988-10-07 1990-05-01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버클
US5355562A (en) 1992-09-17 1994-10-18 Yoshida Kogyo K.K. Buckle
KR970026659U (ko) * 1995-12-08 1997-07-24 이영섭 혁대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61608A (zh) 2009-02-11
JP2009039291A (ja) 2009-02-26
KR20090015795A (ko) 2009-02-12
CN100586327C (zh) 2010-02-03
TW200917987A (en) 2009-05-01
HK1125800A1 (en) 2009-08-21
JP4912251B2 (ja) 2012-04-11
TWI357308B (ko)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6226B2 (ja) 施錠可能バックル
JP3330448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の自動停止機構付きスライダー
KR20170125867A (ko) 손목 시계 밴드용 걸쇠 기구
KR101413400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EP3810525B1 (en) Strap adjustment system
KR100983941B1 (ko) 버클
GB2419917A (en) Buckle with slidable button and rotatable cover
JP2000135103A (ja) 合成樹脂製バックル
JP2009034383A (ja) バックル
KR101632531B1 (ko) 버클장치
US6138332A (en) Switch for a buckle, buck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uckle
JP2006122553A (ja) バックル装置
US5950286A (en) Separable bottom stop assembly of slide fastener
JPWO2011161801A1 (ja) フロントリリースバックル
JP2008148822A (ja) バックル
JP6523127B2 (ja) ドアストッパー
JPH04194183A (ja) 錠前
JP7088448B2 (ja) バックル装置
WO2013164888A1 (ja) フロントリリースバックル
JP2001329723A (ja) ラッチ受具
CN215125114U (zh) 一种母扣及带磁性的扣具
JP2525838Y2 (ja) バックル
JP2554504Y2 (ja) マグネットホルダ
JP2530206Y2 (ja) クリップ
JP2545883Y2 (ja) 電池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