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691B1 -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691B1
KR100983691B1 KR1020030010590A KR20030010590A KR100983691B1 KR 100983691 B1 KR100983691 B1 KR 100983691B1 KR 1020030010590 A KR1020030010590 A KR 1020030010590A KR 20030010590 A KR20030010590 A KR 20030010590A KR 100983691 B1 KR100983691 B1 KR 100983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movable
scalpel
upper thread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9862A (ko
Inventor
닛토타카시
미나카와타카요시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78324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836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9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9/00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3/00Casings
    • D05B73/04Lower casings
    • D05B73/12Slides; Needl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윗실의 절단에 걸리는 시간을 길게 끌지 않고 소위 윗실의 남은 길이를 안정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재봉틀(1)은 바늘(6)과 반 회전북과의 협동에 의해 윗실루프(101)를 형성하고, 락스티치를 실시한다. 이 재봉틀(1)은 윗실루프(101)를 끌어올리는 실채기(14)와, 바늘(6) 및 실채기(14)를 구동하기 위한 주축모터(7)와, 반 회전북의 근방에 있어서 고정된 고정메스(27)와, 고정메스(27)에 대해 접리가 자유로운 가동메스(28)와, 가동메스(28)를 구동하기 위한 펄스모터(21)와, 펄스모터(21) 및 주축모터(7)를 제어하는 제어장치(8)를 구비한다. 제어장치(8)의 제어에 의해 최종의 솔기로 가동메스(28)가 고정메스(27)를 만나기 직전에 가동메스(28)가 정지하고, 그 후 실채기(14)가 상승하고나서 실채기(14)가 정지하며, 그 후 가동메스(28)가 움직이는 것으로 고정메스(27)에 의해 윗실 및 밑실을 절단한다.

Description

재봉틀{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된 재봉틀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상기 재봉틀에 구비되는 실절단 장치를 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재봉틀의 베드부의 전단부분을 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상기 실절단 장치에 구비되는 2단 캠부재(22)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상기 재봉틀의 제어계가 도시된 블록도.
도 6은 상기 재봉틀의 바늘봉의 움직임에 대한 가동메스 및 반 회전북의 움직임의 타이밍을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
도 7은 (a)~(d)의 각 도는 피봉제물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가동메스를 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a)~(d)의 순으로 가동메스의 동작과정, 윗실 및 밑실의 상태의 과정이 도시되고 있다.
도 8은 (e)~(h)의 각 도는 피봉제물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가동메스를 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e)~(h)의 순으로 가동메스의 동작과정, 윗실 및 밑실의 상태의 과정이 도시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재봉틀 5: 바늘봉
6: 바늘 7: 주모터(주구동수단)
8: 제어장치(제어수단) 9: 윗실안내기구
14: 실채기 20: 실절단 장치
21: 펄스모터(메스구동수단) 27: 고정메스
28: 가동메스 48: 조작패널(설정수단)
101: 윗실루프 101a: 바늘측 부분(절단하지 않을 부분)
101b: 솔기측 부분(절단할 부분)
본 발명은 윗실을 절단하기 위한 가동메스 및 고정메스와, 가동메스를 구동하는 메스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재봉틀로서, 특히 상기 메스구동수단이 봉제구동원과는 별개로 배치되는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재봉틀에서는 주축을 회전시키는 주모터의 동력이 주축을 통해 암부에 배치된 바늘 및 실채기에 전달됨으로써 바늘 및 실채기가 승강운동하고 또 주모터의 동력이 하축을 통해 베드부안에 배치된 북에 전달됨으로써 북이 구동된다.
또 종래의 재봉틀에 있어서는 윗실을 절단하기 위한 윗실절단장치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윗실절단장치는 북 근처에 고정된 고정메스와, 고정날에 대 해 접리이동하는 가동메스를 구동하고, 가동메스가 고정날로부터 떨어지도록 보내며, 그 후 고정날에 다가가는 돌아오는 과정에 있어서, 가동메스가 북에 포착되는 윗실을 걸고나서 가동메스가 고정메스와 결합함으로써 윗실이 절단된다.
상기 윗실절단장치를 구동하는 수단으로서는 봉제종료시에 바늘이 하강할 때 주축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실절단 캠에 연동하여 연동메스가 동작하는 기계구동형의 것이 알려져 있다. 즉 가동메스가 바늘, 북 및 실채기에 연동하여 구동된다. 또 실절단을 위한 고유의 모터를 배치하여 봉제종료시에 바늘이 하강할 때 이 실절단 모터가 작동하는 것으로 이 실절단 모터의 동력이 가동메스에 직접 전달되어 가동메스가 동작하고 윗실을 절단하는 독자구동형의 재봉틀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기계구동형 혹은 독자구동형 중 어느 한 재봉틀에 있어서도, 북에 포착되는 윗실을 가동메스가 포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동메스가 바늘, 북 및 실채기에 동기하여 구동해야 한다. 구동메스에 의한 절단시에는 윗실이 실채기에 의해 거세게 인장되므로 절단후의 윗실의 남은 길이, 즉 바늘의 실통과 구멍에서 절단단까지의 윗실의 길이가 일정하게 안정되지 않는다. 남은 길이가 길면 다음 봉제의 봉제시작의 바늘낙하점에서 뻗는 윗실단이 길어져 봉제품의 외관이 좋지 않게 되어 봉제종료후에 작업자가 손으로 이 윗실단을 절단해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한다. 한편 남은 길이가 짧으면 다음의 봉제시작에 바늘이 하강할 때 윗실이 바늘의 실통과 구멍에서 빠져버리고 나서 바늘이 봉제천에 하강하고, 바늘에 의해 봉제천에 필요없는 바늘낙하흔적을 남겨 봉제품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 바늘에 실을 다시 통과하게 한 후 봉제를 재개해야 하므로 작업효율을 저하시킨다.
한편 실채기에 의해 윗실을 인장하는 세기를 억제하기 위해 실채기의 동작을 저속으로 한 경우, 실채기의 동작에 가동메스가 동기하여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윗실의 절단동작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져 봉제효율이 저하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윗실의 절단에 걸리는 시간을 길게 끌지 않고 윗실의 남은 길이를 적절한 길이로 안정되게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봉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관한 재봉틀은 예를들어 도 1~도 5와 같이,
상하의 왕복동작에 의해 바늘에 이르는 윗실을 이완시키는 실채기(예를들어 실채기(14))와,
상기 실채기를 왕복구동하는 주구동수단(예를들어 주모터(7))과,
비늘판에 고정된 고정메스(예를들어 고정메스(27))와,
이동함으로써 상기 윗실의 루프를 절단할 부분과 절단하지 않을 부분으로 나누어 상기 절단할 부분을 상기 고정메스를 향해 당긴 후, 상기 절단할 부분을 상기 고정메스에 의해 자르는 가동메스(예를들어 가동메스(28))와,
상기 주구동수단과는 별개이고, 상기 가동메스를 구동하는 메스구동수단(예 를들어 펄스모터(21))을 구비한 재봉틀에 있어서,
실절단할 때 상기 실채기가 상승하여 정지할 때 까지 상기 가동메스가 이동하기 시작하여 상기 고정메스를 상기 절단할 부분을 당긴 후, 또한 상기 실채기의 왕복이동이 정지한 후 상기 가동메스가 다시 상기 절단할 부분을 상기 고정메스에 의해 절단하도록 상기 주구동수단 및 상기 메스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예를들어 제어장치(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서는 실채기의 동작중에 가동메스가 윗실루프를 고정메스를 향해 당기고, 실채기가 정지한 후 가동메스가 고정메스에 의해 윗실을 절단한다. 실채기가 정지하면 윗실루프가 인장되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개소에서 윗실이 절단되어 윗실의 남은 길이가 안정된다. 또 실채기가 정지하고나서 가동메스가 윗실을 절단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메스가 윗실을 고정메스를 향해 당길 때 까지의 동작을 저속으로 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윗실의 절단에 걸리는 시간을 길게 끌지 않고도 윗실의 남은 길이를 적정한 길이로 안정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재봉틀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실채기가 하강을 시작하고나서 상기 메스구동수단을 작동시키고, 상기 가동메스가 상기 절단할 부분을 상기 고정메스로 당기고 나서 상기 메스구동수단을 정지하며, 그 후 상기 실채기가 상승한 후, 나서 상기 주구동 수단을 정지하고 그 후 다시 상기 메스구동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서는 실채기가 하강을 시작하고나서 메스구동수단이 작동하고, 그 후 주구동수단의 구동 중 즉 실채기가 하강한 후, 정지할 때까지 동안 가동메스가 윗실을 고정메스로 당기고 있기 때문에 청구항 1기재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윗실의 절단에 걸리는 시간을 길게 끌지 않고도 윗실의 남은 길이를 적당한 길이로 안정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은 예를들어 도 5와 같이 청구항 2기재의 재봉틀로서,
상기 주구동수단이 정지하고 나서 상기 메스구동수단이 다시 작동할 때 까지의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수단(예를들어 조작패널(48))을 구비하고,
상기 주구동수단이 정지하고 나서 상기 시간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수단이 메스구동수단을 다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2기재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가동메스에 윗실루프가 얽히고 나서 가동메스와 고정메스에 의해 윗실이 절단되므로 윗실의 남은 길이가 안정된다.
그러나 실채기가 정지하고 나서 가동메스에 윗실이 완전히 얽힐 때 까지의 시간은 윗실의 굵기 또는 실텐션기로부터 윗실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한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서는 주구동수단이 정지하고 나서 메스구동수단이 다시 작동할 때 까지의 시간, 즉 실채기가 정지하고 나서 가동메스와 고정메스에 의해 윗실이 절단될 때 까지의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윗실의 굵기 또는 장력에 따라 메스구동수단이 다시 작동할 때 까지의 시간을 조정할 수 있어 어떠한 굵기의 윗실이라도 혹은 어떠한 크기의 장력이 윗실에 작용해도 윗실의 남은 길이를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를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를 도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되는 재봉틀(1)은 피봉제물에 락스티치를 실시하는 재봉틀로서의 기본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즉 재봉틀(1)은 수평한 베드면(2a)을 갖는 베드부(2)와, 베드부(2)의 후단부에 입설된 종동부(3)와, 종동부(3)의 상부로부터 베드부(2)와 평행하게 되도록 앞쪽으로 뻗어나오는 암부(4)와, 암부(4)의 전단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뻗어나오는 바늘봉(5)과, 바늘봉(5)의 하단부에 부착된 바늘(6)과, 베드부(2)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반 회전북(도시생략)과, 암부(4) 기틀에 지지되어 봉제동작의 구동원이 되는 주모터(7)와, 여러가지의 데이터 입력을 행하기 위해 이용하는 조작패널(48)(도 5)과, 재봉틀(1)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8)(도 5)를 구비하고 있다.
베드부(2)의 베드면(2a)에는 피봉제물(100)(도 7 등에 도시)이 올려놓여지고, 이 피봉제물(100)은 이송기구(도시생략)에 의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보내진다. 또한 이 이송기구는 제어장치(8)에 의해 제어된다.
재봉틀 암부(4) 기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주축(도시생략)이 주모터(7)의 구동취출축에 직결되고 있다. 주축의 회전운동을 바늘봉(5) 상하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클랭크기구가 주축과 바늘봉(5)과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따라서 주모터(7)가 작동하면 주모터(7)의 운동이 주축 및 클랭크 기구에 의해 바늘봉(5)에 전동하고, 바늘봉(5)이 상하로 왕복이동한다. 주모터(7)의 구동취출축 엔코더(47)(도 5에 도시)가 배치되고, 엔코더(47)는 주모터(7)의 구동취출축의 회 전각도 예를들어 구동취출축이 1°회전할 때 마다 펄스신호를 제어장치(8)에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엔코더(47)는 주축에 배치해도 된다.
하단부분에 실통과 구멍이 형성된 바늘(6)이 바늘봉(5) 하단에 고정된다. 윗실공급원에서 도출된 윗실은 바늘(6)에 이르러 실통과 구멍을 지나고 있다. 한편 바늘(6)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반 회전북(도시하지 않음)은 하강한 바늘(6)로부터 윗실 T를 포착하는 뾰족한 끝을 구비하고, 하축에 의해 구동되어 반회전의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다. 하축은 전동기구를 통해 주축에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반 회전북은 주모터(7)에 연동한다. 또한 도 3과 같이 베드부(2)의 베드면(2a)에는 바늘구멍(19)이 형성된 바늘판(18)이 고정된다.
바늘(6)이 1회 상하운동하는 동안에 반 회전북이 1회 왕복운동을 행한다. 그리고 바늘(6)이 하강했을 때 반 회전북이 뾰족한 끝으로 윗실 T를 포착함으로써 솔기로부터 바늘(6)의 실통과 구멍에 이르는 윗실루프가 형성되고, 반 회전북이 가는 것으로 윗실루프가 벌어져 반회전북이 돌아오기 시작할 때 뾰족한 끝에서 윗실 T가 개방되어 윗실 T가 밑실 U에 얽힌다. 이와같은 바늘(6)과 반 회전북과의 협동에 의해 윗실 T에 밑실 U가 얽히고, 피봉제물(100)에 락스티치의 솔기가 형성된다.
도 1과 같이 재봉틀(1)은 윗실 T를 윗실공급원에서 바늘(6)로 안내하는 윗실 안내기구(9)를 구비하고 있다. 윗실안내기구(9)는 실안내 부재(10)(11)(13)와, 실뜨기 스프링(12)과, 실채기(14)와, 실텐션 장치(15)를 구비한다.
실안내 부재(11)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실텐션 장치(15)는 고정접시 및 가동접시로 이루어지는 텐션접시 쌍(16)과, 솔레노이드(17)(도 5) 등을 구비한다. 텐 션접시 쌍(16)은 고정접시에 대해 가동접시가 대향배치되고 있다. 실안내 부재(11)로부터 이끌린 윗실 T는 양 접시 사이에 끼워져 장력이 부여되고 있다.
솔레노이드(17)는 텐션접시 쌍(16)에 추력(즉 가동접시를 고정접시에 접근시키는 힘)을 부여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17)의 추력에 의해 텐션접시 쌍(16)으로부터 윗실 T에 압압력이 작용한다. 솔레노이드(17)의 추력의 크기 즉 텐션접시 쌍(16)으로부터 윗실 T에 부여되는 장력의 크기는 솔레노이드(17)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에 비례한다. 제어장치(8)가 솔레노이드(17)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윗실 T에 부여되는 장력의 크기가 제어된다. 또한 솔레노이드(17)로서는 예를들어 일본국 특개 2000-202183호 공보에 기재되는 실텐션 장치의 솔레노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솔레노이드는 가동부(즉 플랜저)로부터 실텐션 접시(즉 텐션접시 쌍)에 작용하는 추력이 가동부의 스트로크에 의하지 않는 특정 스트로크 사이를 갖고,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전류가 일정하면 실텐션 접시로부터 실에 부여되는 실장력이 실의 굵기에 의해 달라지지 않는다. 또 이 특정스트로크 구간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면 실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텐션접시 쌍(16)으로부터 이끌린 윗실 T는 실뜨기 스프링(12)에 걸리고 나서 실안내 부재(13)로 이끌리고 있다. 윗실 T의 장력이 0 또는 미약한 경우에는 실뜨기 스프링(12)은 텐션접시 쌍(16)을 중심으로 시계회전 측(도 1의 방향에서 본 경우.)의 원점위치 OP에 있다. 이 때 실뜨기 스프링(12)과 실안내 부재(13)와 텐션접시 쌍(16)을 묶는 선은 직선모양이 되지 않고 텐션접시 쌍(16)으로부터 실안내 부재(13)까지 사이의 윗실 T의 경로는 더욱 길어지고 있다. 그리고 윗실 T에 작용 하는 장력이 커짐에 따라 실뜨기 스프링(12)은 텐션접시 쌍(16)을 중심으로 반시계 회전(도 1방향에서 본 경우) 근처에 위치하고, 윗실 T의 장력이 소정이상이 된 경우에는 실뜨기 스프링(12)과 실안내 부재(13)와 텐션접시 쌍(16)을 묶는 선은 직선모양이 되고, 텐션접시 쌍(16)으로부터 실안내 부재(13)까지 사이의 윗실 T의 경로는 더욱 짧아진다.
실안내 부재(13)와 바늘(6)사이의 윗실경로상 배치된 실채기(14)에는 실통과 구멍이 형성된다. 실안내 부재(13)로부터 이끌린 윗실 T는 실채기(14)의 실통과 구멍을 거쳐 바늘(6)의 실통과 구멍에 이르고 있다.
실채기(14)는 기부를 전달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주축에 연결하고, 선단부를 암부(4)의 기틀 바깥쪽으로 돌출 배치하여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주축의 회전운동을 전동기구에 의해 상하운동으로 반환되어 실채기(14)에 전달되고 실채기(14)가 상하로 왕복이동한다. 또한 실채기(14)의 상하이동은 바늘봉(5)의 상하이동에 대해 위상이 어긋나 동일하다. 즉 도 6과 같이 바늘봉(5)과 실채기(14)의 하사점 및 상사점에 위치하는 타이밍이 어긋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실채기(14)가 하사점에 위치한 경우에는 실채기(14)는 실 안내부재(13)에 더욱 다가가므로 실안내 부재(13)로부터 실채기(14) 까지의 윗실 T의 경로는 더욱 짧아진다. 또 실채기(14)가 상사점에 위치한 경우에는 실채기(14)는 실안내 부재(13)로부터 더욱 멀어지므로 실안내 부재(13)로부터 실채기(14)까지의 윗실 T의 경로는 더욱 길어진다. 실채기(14)는 이와같은 상하이동에 의해 윗실공급원으로부터 바늘(6)로 윗실 T를 공급하거나 반 회전북에 의해 윗실루프가 벌어질 때 윗실을 느슨하게 하거나 반 회전북의 뾰족한 끝에서 윗실 T가 개방된 후 벌어진 윗실루프를 끌거나 한다.
또한 도 2 및 도 3과 같이 이 재봉틀(1)은 반 회전북 안의 보빈으로부터 솔기에 이르는 밑실 U 및 윗실공급원에서 솔기에 이어지는 윗실 T를 베드부(2)안에서 절단하는 실절단 장치(20)를 구비한다. 실절단 장치(20)는 제 1링크(23), 연결봉(24), 제 2링크(25) 및 제 3링크(26) 등으로 구성되는 링크기구와, 실절단 구동원이 되는 펄스모터(21)와, 펄스모터(21)의 동력을 상기 링크기구에 전동하는 2단캠 부재(22)와, 바늘판(18)에 고정된 고정메스(27)와, 고정메스(27)에 대해 접리가능하도록 배치된 가동메스(28) 등을 구비한다.
종동부(3)안에 배치된 펄스모터(21)는 종동부(3)에 고정된 모터토대(29)에 고정된다. 펄스모터(21)의 구동취축출(21a)(도 4)은 모터토대(29)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관통하고, 2단 캠부재(22)의 중심부(상세하게는 후술의 실절단 캠체(30)의 중심부))가 고정된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2단캠 부재(22)는 실절단 캠체(30)와, 이 실절단 캠체(30)와 일체로 배치된 밀어올리는 캠체(31)를 구비한다. 밀어올리는 캠체(31)는 외주캠이 되고, 그 외주캠면에는 밀어올리는 전동기구(링크기구)(32)의 일단측에 배치된 종동자(34)가 늘 접촉하게 된다. 펄스모터(21)에 의해 실절단 캠체(30)가 1회전하는 동안에 밀어올리는 전동기구(32)를 도 2 전후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밀어올리는 구동다리(35)가 1왕복의 승강을 함과 동시에 밀어올리는 전동기구(32)의 동작에 연동하여 와이퍼 전동기구(링크기구)(33)를 통해 와이퍼(36)를 동작하 고, 와이퍼(36)가 실절단 장치(20)로 절단된 윗실 T를 바늘구멍(19)에서 꺼내도록 좌우방향으로 왕복요동하도록 되어있다. 밀어올리는 구동다리(35)가 하강하면 밀어올리는 구동다리(35)가 밀어올리는 구동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접촉하여 밀어올리는 구동부재를 하강함으로써 피봉제물을 베드면(2a)상에 밀어부치고 있는 천누름부(도시하지 않음)를 탄성력에 맞서 상승하도록 되어있다.
도 4와 같이 실절단 캠체(30)에 캠홈(37)이 형성된다. 한편 제 1링크(23)의 상단부에는 캠홈(3)에 대해 접동이 자유롭게 감합하도록 종동자로서의 굴림대(38)가 부착된다. 실절단 캠체(30)가 구동취출축(21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굴림대(38)가 캠홈(37)을 따라 접동하고, 실절단 캠체(30)가 1회전하는 동안에 굴림대(38)는 도 2 전후방향으로 1왕복한다.
도 2와 같이 제 1링크(23)는 종동부(3)안에 있어서 상하로 뻗는 부재이며, 그 상하중간부에 있어서 약간 굴곡하고 있다. 제 1링크(23)는 그 중심부에 있어서 지지핀(39)에 의해 종동부(3)에 부착되고 있고, 지지핀(39)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방향의 축둘레에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실절단 캠체(30)가 1회전하는 동안에 제 1링크(23)는 지지핀(39)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1왕복의 요동을 행한다. 또한 제 1링크(23)는 전후로 1왕복 요동한 후 정지하고, 제 1링크(23)가 전후로 1왕복 요동하는 도중은 밀어올리는 전동기구(32) 및 와이퍼 전동기구(33)가 작동하지 않으며 제 1링크(23)가 정지하는 도중은 밀어올리는 전동기구(32) 및 와이퍼 전동기구(33)가 작동하도록 밀어올리는 캠체(31)의 외주면 및 캠홈(37)의 형상이 형성된다.
제 1링크(23)의 하단부에는 차광부재(40)가 부착된다. 또 제 1링크(23)의 하단부의 근방에 있어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포트인터럽터(41)가 베드부(2)에 고정된다. 이 포트인터럽터(41)는 실절단 장치(200)의 원점위치 OP를 검지하는 것으로 차광부재(40)가 포트인터럽터(41)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일 때, 제 1링크(23)의 상단부가 전후의 왕복궤도의 전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원점위치 OP에 있는 뜻의 신호가 포트인터럽터(41)로부터 제어장치(8) 입력된다.
제 1링크(23)의 하단부는 연결봉(24)의 후단부에 연결하고 있고, 연결봉(24)의 후단부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연결봉(24)은 베드부(2)의 내부공간에서 전후로 뻗고, 연결봉(24)의 전단부는 바늘판(18)의 아래쪽까지 이르고 있다. 도 3과 같이 연결봉(24)의 전단부는 핀(42)에 의해 제 2링크(25)의 일단부에 연결하고 있고, 연결봉(24)에 대해 제 2링크(25)는 핀(42)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의 축회전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제 2링크(5)의 중간부는 바늘 구멍(19)의 앞쪽에 있어서 단나사(43)에 의해 바늘판(8)에 부착되고 있으며, 제 2링크(25)는 바늘판(18)에 대해 단나사(43)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의 축둘레에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제 2링크(25)의 타단부는 핀(44)에 의해 제 3링크(26)의 일단부에 연결하고 있고, 제 2링크(25)에 대해 제 3링크(26)는 핀(44)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의 축둘레에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제 3링크(26)의 타단부는 핀(45)에 의해 가동메스(28)의 대략 중앙부분에 연결하고 있고, 제 3링크(26)에 대해 가동메스(28)는 핀(45)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의 축둘레에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가동메스(28)의 기단부는 단나사(46)에 의해 바늘판(18)에 부착되고 있고, 바늘판(18)에 대해 가동메스(28)는 단나사(46)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의 축둘레에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가동메스(28)의 선단부분과 기단부 사이에 핀(45)이 배치되고, 그 선단부분에는 단나사(46)를 중심으로 하여 둘레방향을 향해 뾰족한 돌기끝(28a) 및 돌기끝(28b)이 형성된다. 도 3의 방향에서 보아 돌기끝(28a)은 시계방향을 향하여 뾰족하고, 돌기끝(28b)은 반시계 방향을 향해 뾰족하다. 또 평면에서 보아 가동메스(28)의 시계방향측의 측테두리(28c)는 돌기끝(28a)에서 오목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고 있고, 가동메스(28)의 반시계 방향측의 측테두리(28d)도 오목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고 있으며, 가동메스(28)의 반경방향의 선단테두리(28f)는 원호모양으로 형성된다. 가동메스(28)의 선단부분의 윗면에는 날모양의 날부(28e)가 형성된다. 다음에 돌기끝(28a)을 실포착부(28a)라 칭하고, 측테두리(28d)의 오목한 부분을 실당김 부(28d)라 칭한다.
그리고 펄스모터(21)의 동력이 제 1링크(23), 연결봉(24), 제 2링크(25) 및 제 3링크(26)에 의해 가동메스(28)에 전동하도록 되어있다. 즉 펄스모터(21) 및 실절단 캠체(30)에 의해 제 1링크(23)의 상단부가 전후로 1왕복하면 가동메스(28)가 단나사(46)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1왕복의 요동을 하도록 되어있다. 평면에서 보아 가동메스(28)의 선단부분의 전후의 궤도상에 바늘구멍(19)이 배치되고, 가동메스(28)의 선단부분은 바늘구멍(19)을 걸쳐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실절단 장치(20)의 원점위치 OP라 함은 가동메스(28)가 전후의 궤도의 최전단에 위치하고 있는(즉 궤도에서 가장 반시계 회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개소를 말하고, 가동메스(28)가 원점위치 OP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실포착부(28a)는 바늘 구멍(19)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2점쇄선의 원호는 돌기끝(28b)의 궤도를 도시한다.
고정메스(27)는 바늘구멍(19)의 앞쪽에 배치되고, 가동메스(28)가 원점위치 OP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동메스(28)는 고정메스(27) 밑에 겹쳐지고 있다. 고정메스(27)에는 날모양의 날부(27a)가 형성되고 있고, 날부(27a)는 바늘구멍(19) 바로 앞에서 뒤쪽으로 향하고 있다. 그리고 평면에서 보아 날부(27a)는 가동메스(28)의 날부(28e)의 궤도상에 배치된다. 또한 연결봉(24), 제 2링크(25), 제 3링크(26), 고정메스(27) 및 가동메스(28)는 바늘판(18)의 아래쪽에 배치되지만 도 3에서는 이를 실선으로 도시한다.
다음에 재봉틀(1)의 제어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와 같이 제어장치(8)는 CPU(51)와, RAM(52), ROM(53)과, 인터페이스(54)와, 이들을 접속하는 시스템 버스를 구비하는 연산처리장치를 기본구성으로 하고 있고, 또한 시스템 버스에 접속되는 구동회로(5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CPU(51)에는 시스템버스 및 구동회로(55)등을 통해 주모터(7), 펄스모터(21) 및 솔레노이드(17)가 접속된다. 또 인터페이스(54)를 통해 조작패널(48), 엔코더(47) 및 포트인터럽터(41)가 CPU(51)에 접속된다.
ROM(53)에는 주모터(7), 솔레노이드(17) 및 펄스모터(21) 등을 제어하여 봉 제동작 및 봉제에 부수하는 동작을 재봉틀(1)에 행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 및 이 제어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제어데이터 등이 격납되고 있다. CPU(51)는 RAM(52)을 작업영역으로서 ROM(53)에 격납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른 연산을 행한다. CPU(51)는 연산결과에 따른 신호를 주모터(7), 솔레노이드(17) 및 펄스모터(21) 등에 출력하여 재봉틀(1)을 제어하고, 이로써 재봉틀(1)은 락스티치에 의한 솔기형성을 행한다.
또 제어장치(8)는 CPU(51)로 펄스모터(21)로부터 CPU(51)에 입력되는 펄스신호에 의해 펄스모터(21)의 회전각도를 인식하고, 포트인터럽터(41)로부터 CPU(51)에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가동메스(28)가 초기위치에 있는 것을 인식하며 또 엔코더(27)로부터 CPU(51)에 입력되는 펄스신호에 의해 주모터(7)의 회전각도를 인식한다.
조작패널(48)은 작업자에 의한 여러가지 데이터 입력조작에 따라 신호를 발생한다. 특히 주모터(7)가 정지하고 나서 펄스모터(21)가 다시 작동할 때 까지의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다음에 제어장치(8)의 처리의 흐름, 그 처리에 의한 재봉틀(1)의 동작을 도 6~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횡축은 주축의 회전각도를 도시하고 있고, 바늘봉(5)이 상사점에 위치했을 때의 주축의 회전각도를 0°로 하고 있다. 또 종축은 바늘봉(5)의 상하위치(바늘봉 운동곡선 A), 가동메스(28)의 궤도상에서의 위치(실뜨기 곡선 B), 실채기의 상하위치(실채기운동 곡선 C), 반 회전북의 실끄는 양(북 실뜨기 곡선 D)을 도시한다.
우선 작업자가 조작패널(48)을 조작하여 설정시간을 입력하면 제어장치(8)는 그 설정시간을 RAM(52)에 기억한다. 이어서 제어장치(8)는 포트인터럽터(4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가동메스(28)가 원점위치 OP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가동메스(28)가 원점위치 OP에 없는 경우에는 제어장치(8)가 펄스모터(21)를 제어함으로써 굴림대(38)가 최전단에 위치할 때 까지 실절단 캠체(3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가동메스(28)가 궤도의 최전단인 원점위치 OP까지 이동한다. 가동메스(28)가 원점위치 OP에 위치하면(원점위치 OP에 있다는 신호가 제어장치(8)에 입력되면) 제어장치(8)는 펄스모터(21)를 정지한다.
가동메스(28)가 원점위치 OP에 있는 경우, 제어장치(8)가 주모터(7)에 봉제개시지령을 출력하면 주모터(7)가 작동한다. 이에 따라 바늘봉(5) 및 실채기(14)가 상하의 왕복운동을 소정회수 반복함과 동시에 반 회전북이 반회전의 왕복운동을 소정회수 반복한다. 이에 따라 바늘(6)과 실채기(14)의 협동에 의해 피봉제물(100)에 락스티치의 솔기가 형성된다. 또한 봉제중은 봉제장치(8)에 의해 솔레노이드(17)에 소여의 레벨의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텐션접시 쌍(16)으로부터 윗실 T에 압압력이 작용하고, 윗실 T에 소여의 크기의 장력이 작용하지만 제어장치(8)가 전류의 레벨을 변경하는 것으로 윗실 T에 작용하는 장력을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최종의 바늘낙하 즉 락스티치의 최후의 솔기가 형성될 때의 재봉틀(1)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바늘봉(5)이 상사점 ta에 위치한 시점(즉 주축이 회전각도 0°인 시점)(다음주축의 회전각도를 단순히 각도라 함))에서는 실채기(14)는 상사점 tc에 위치하지 않고 바늘봉(5)이 하강하기 시작한 직후는 실채기(14)가 상승하고 있다. 그리고 각도 약 71°에서 실채기(14)가 하강하기 시작하고, 각도 180°에서 바늘봉(5)이 하사점 tb에 이르러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바늘봉(5)이 상승하기 시작한 후 각도 약 25°에서 반 회전북이 뾰족한 끝으로 바늘(6)로부터 윗실 T를 포착한다(도 7(a)). 그 후도 실채기(14)가 하강하는 도중으로 반 회전북이 윗실 T를 인장하고 있기 때문에 윗실 T의 루프(101)가 벌어진다.
계속하여 실채기(14)가 하강하고, 바늘봉(5)이 상승하며, 반 회전북이 윗실루프(101)를 끌고 그리고 각도 약 260°에서 제어장치(8)는 펄스모터(21)의 작동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실절단 캠체(30)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굴림대(38)가 뒤로 이동하기 시작하며, 가동메스(28)가 원점위치 OP로부터 뒤로(평면에서 보아 시계회전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도 7(b)). 또한 가동메스(28)가 뒤로 이동하면 실포착부(28a)가 윗실루프(101)의 안으로 진입하고, 윗실루프(101)의 바늘측 부분(절단하지 않을 부분)(101a)이 측테두리(28c)로 진입함과 동시에 밑실 U가 가동메스(28)의 선단테두리(28f)에 의해 제거된다(도 7(c)). 또한 가동메스(28)가 뒤로 이동하면 윗실루프(101)의 솔기측 부분(절단할 부분)(101b)이 선단테두리(28f)에 의해 제거된다(도 7(d)).
그리고 가동메스(28)는 각도 약 320°부터 330°사이에서 궤도의 최후위치 LP(가장 시계회전측의 위치)에 위치하고 나서 최후위치 LP로부터 앞으로(반시계 회전) 이동하기 시작하지(즉 돌아오기 시작한다)만, 솔기측 부분(101b)이 돌기끝(28b)을 넘어, 실당김 부(28d)로 진입하여 포착된다(도 8(e)). 이상과 같이 가동메스(28)가 원점위치 OP로부터 최후위치 LP로 간 후 돌아오기 시작하는 것에 의해 윗실루프(101)가 바늘측 부분(101a)과 솔기측 부분(101b)으로 나눠진다. 또한 가동메스(28)가 돌아오기 시작하는 시점에서는 실채기(14) 및 바늘봉(5)은 상승하고 있고, 실채기(14)는 각도 약 310°에서 하사점 td에 이르러 상승하기 시작한다.
계속하여 가동메스(28)가 앞으로 이동하면 실당김 부(28d)에 밑실 U가 진입하고, 밑실 U가 가동메스(28)에 의해 포착되며 각도 약 345°에서 반 회전북의 뾰족한 끝에서 윗실 T가 개방된다(도 8(f)). 계속하여 가동메스(28)가 앞으로 이동하면 밑실 U 및 솔기측 부분(101b)이 실당김 부(28d)에 의해 고정메스(27)의 날부(27a)로 유도되도록 인장되고 또한 실채기(14)가 상승함으로써 윗실루프(101)가 인장된다. 이에 따라 윗실루프(101)가 작아져, 가동메스(28)에 윗실이 얽키거나 가동메스(28)가 고정메스(27)의 아래에 진입하고 있기 때문에 솔기측 부분(101b)은 가동메스(28)의 날부(28e)로 유도되기 시작한다(도 8(g)). 또한 실채기(14)가 돌아올 때에 밑실 U의 꺼내는 속도가 너무 빨라 보빈이 공회전하지 않도록 제어장치(8)는 갈 때 보다 돌아올 때의 펄스모터(21)의 회전속도를 느리게 하고, 가동메스(28)의 움직임을 천천히 하고 있다.
또한 가동메스(28)가 앞으로 이동하고, 가동메스(28)의 날부(28e)가 고정메스(27)의 날부(27a)를 만나기 직전에(주축이 1회전하여 다음의 각도약 15°에서 약 25°사이로서, 바람직하게는 각도 20°로) 제어장치(8)는 펄스모터(21)에 정지지령을 출력하고 펄스모터(21)가 정지한다. 이로써 가동메스(28)의 가는 동작도 정지한다(도 8(h)). 이 시점에서 가동메스(28)에 윗실루프(101)가 얽혀있다. 또 이 시점에서 바늘봉(5)은 하강중이고, 실채기(14)는 상승중이다.
그리고 각도 20°에서 제어장치(8)가 솔레노이드(17)에 흐르는 전류를 내리거나 혹은 솔레노이드(17)의 전류를 멈추는 것으로 텐션접시 쌍(16)에서 윗실 T에 작용하는 압압력이 봉제중보다 내려가거나 혹은 텐션접시 쌍(16)에 의한 윗실 T의 협지가 개방된다. 그리고 실채기(14)가 상사점에 이르기 조금 전에 즉 각도 45°에서 제어장치(8)는 주모터(7)에 정지지령을 출력하는 것으로 주모터(7)가 정지하고, 실채기(14)의 상승이 정지하며, 바늘봉(5)의 하강이 정지한다. 여기서 각도 20°부터 각도 45°사이에서는 윗실루프(101)가 가동메스(28)에 얽혀있기 때문에 실채기(14)의 상승에 의해 윗실 T가 인장되면 윗실 T가 예기치 못한 타이밍에서 절단될 염려가 있다. 그러나 각도 20°부터 각도 45°사이에서는 텐션접시 쌍(16)에서 윗실 T에 압압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실채기(14)가 상승하는 것으로 윗실 T는 윗실공급원에서 인출된다. 그 때문에 뜻하지 않게 윗실 T가 절단되는 경우가 방지된다.
또 각도 20°부터 각도 45°사이에서는 텐션접시 쌍(16)에서 윗실 T에 압압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 데다가 실채기(14)가 상승하는 것으로 윗실 T가 인출되므로 윗실 T의 장력이 안정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실뜨기 스프링(12)이 텐션접시 쌍(16)을 중심으로 하여 도 1의 화살표 α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요동하게 되고, 윗실공급원에서 가동메스(28)에 이르는 윗실 T의 길이가 안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도 20°부터 각도 45°사이에서 윗실 T가 절단되면 윗실 T의 남은 길이, 즉 바늘(6)의 실통과 구멍에서 절단단까지의 윗실 T의 길이가 안정되지 않을 염려가 있다. 그러나 가동메스(28)의 날부(28e)가 고정메스(27)의 날부(27a)를 만나기 전 즉 윗실 T가 절단되기 직전에서 가동메스(28)가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윗실 T의 남은 길이가 안정되지 않는 것이 방지된다.
주모터(7)가 정지하면 제어장치(8)는 경시를 행하고, 최초에 조작패널(48)에 의해 설정된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 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설정시간이 경과하면(도 6에서는 약 10msec), 제어장치(8)가 다시 펄스모터(21)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가동메스(28)가 원점위치 OP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가동메스(28)가 원점위치 OP로 되돌아 갈 때 까지 사이에 가동메스(28)의 날부(28e)가 고정메스(27)의 날부(27a)를 만나, 가동메스(28)가 원점위치 OP에서 정지하고, 날부(27a)와 날부(28e)에 의해 윗실 T가 솔기측 부분(101b)에서 잘려짐과 동시에 밑실 U도 잘려진다. 그 후 누름부가 상승하고 와이퍼(36)에 의해 윗실 T가 인출되어 제어장치(8)는 펄스모터(21)를 정지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주모터(7)의 정지후에 있어서는 횡축은 주모터(7)가 정지하고나서의 시간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장치(8)에 의해 주 모터(7) 및 펄스모터(21)가 제어되는 것으로 바늘봉(5), 실채기(14) 및 가동메스(28)는 도6~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타이밍으로 동작한다. 즉 최후의 솔기의 바늘(6)의 상하 이동시에는 실채기(14)가 상승하여 윗실루프(101)를 인장하는 도중에 가동메스(28)가 윗실루프(101)를 바늘측 부분(101a)과 솔기측 부분(101b)으로 나누어, 솔기측 부분(101b)을 고정메스(27)로 당기고 있다. 그 후 가동메스(28)가 고정메스(27)를 만나기 직전에 가동메스(28)가 정지하고 있다. 그 후 실채기(14)에 의해 윗실루프(101)가 가동메스(28)에 얽혀 윗실의 장력이 안정될 때 까지 실채기(14)가 상승하고, 그 후 실채기(14) 및 바늘봉(5)이 정지한 후 가동메스(28)가 고정메스(27)와 만나 윗실T 및 밑실U가 절단된다. 실채기(14)가 정지하면 윗실 T가 인장되지 않기 때문에 그 후 가동메스(28)와 고정메스(27)로 윗실 T가 절단되면 늘 일정한 개소에서 윗실 T가 절단된다. 따라서 윗실 T의 남은 길이 즉 절단후에 바늘(6)의 실통과 구멍에서 뻗어나온 윗실 T가 적정한 정도의 길이로 안정된다.
또 가동메스(28)가 솔기측 부분(101b)을 고정메스(27)로 당길 때까지의 동작은 최후의 1바늘 도중 즉 최후에 바늘봉(5) 및 실채기(14)가 하강하여 상승하는 동작 사이에 행해진다. 따라서 봉제종료후 윗실 T가 절단될 때 까지 시간이 길어지지 않고 윗실 T의 남은 길이를 적정한 정도의 길이로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또 가동메스(28)가 정지후에 실채기(14)가 상승하는 것으로 가동메스(28)에 윗실루프(101)가 완전히 얽히어 그 후 가동메스(28)가 다시 동작하고 있다. 따라서 윗실루프(101)의 느슨함에 의한 윗실의 절단불량이 억제된다.
또 실채기(14)의 상승이 정지하고 나서 가동메스(28)가 다시 작동할 때 까지의 시간을 조작패널(48)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윗실의 굵기, 또는 텐션접시 쌍(16)으로부터 윗실 T에 작용하는 압압력에 의해 실채기(14)가 정지하고 나서 윗실 T의 장력이 안정될 때 까지의 시간이 달라도 장력이 안정될 때 까지의 시간에 조작패널(48)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윗실 T의 남은 길이를 안정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솔레노이드(17)에 흐르는 전류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으로 주모터(7)의 정 지직전의 각도 20°에서 각도 45°까지 사이에 텐션접시 쌍(16)으로부터 윗실 T에 작용하는 압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 사이에 텐션접시 쌍(16)에서 윗실 T에 작용하는 압압력을 크게함에 따라 바늘(6)에서 빠지는 윗실량이 많아지고, 역으로 압압력을 작게함에 따라 윗실공급원으로부터 빠지는 윗실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바늘(6)로부터 빠지는 윗실량이 많아짐에 따라 윗실의 남은 길이가 짧아지고, 윗실공급원에서 빠지는 윗실량이 많아짐에 따라 윗실의 남은 길이가 길어진다. 따라서 솔레노이드(17)에 흐르는 전류를 조정하는 것으로 윗실의 남은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을 행해도 된다.
예를들어 주모터(7)의 정지직전의 각도 약 20°에서 주모터(7) 정지후 약 10msec까지 사이, 제어장치(8)가 펄스모터(21)의 정지를 유지함으로써 가동메스(28)가 정지했지만 이 기간중에 가동메스(28)가 정지하고 있으면 펄스모터(21)가 정지하지 않고 계속하여 동작해도 된다. 예를들어 실절단 캠체(30)의 캠홈(37)의 일부에 정지구간을 배치하여 각도 약 20°에서 굴림대(38)가 정지구간으로 돌입하고, 펄스모터(21)가 동작을 계속하여 주모터(7)의 정지후에 굴림대(38)가 정지구간에서 벗어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정지구간에 있는 굴림대(38)는 실절단 캠체(30)가 회전해도 전후로 이동하지 않고 예를들어 정지구간에서는 펄스모터(21)의 구동취출축(21a)에서 캠홈(37)까지의 지름이 늘 일정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락스티치를 실시하는 재봉틀에 본 발명을 적용했지만 체인스티치를 행하는 재봉틀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에 의해 주구동수단 및 메스구동수단이 제어되는 것으로 실채기의 동작중에 가동메스가 윗실루프를 고정메스를 향해 당기고, 실채기가 정지한 후 가동메스가 고정메스에 의해 윗실을 절단한다. 실채기가 정지하면 윗실루프가 인장되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개소에서 윗실이 절단되어 윗실의 남은 길이가 적절한 길이로 안정된다. 또 실채기가 정지하고 나서 가동메스가 윗실을 절단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메스가 윗실을 고정메스를 향해 당길 때 까지의 동작을 저속으로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윗실의 절단에 걸리는 시간을 길게 끌지 않고도 윗실의 남은 길이를 적절한 길이로 안정되게 할 수 있고, 또한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봉제품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Claims (3)

  1. 상하의 왕복동작에 의해 바늘에 이르는 윗실을 이완시키는 실채기와,
    상기 실채기를 왕복구동하는 주구동수단과,
    바늘판에 고정된 고정메스와,
    이동함으로써 상기 윗실의 루프를 절단할 부분과 절단하지 않을 부분으로 나누어 상기 절단할 부분을 상기 고정메스를 향해 당긴 후, 상기 절단할 부분을 상기 고정메스에 의해 자르는 가동메스와,
    상기 주구동수단과는 별개이고, 상기 가동메스를 구동하는 메스구동수단을 구비한 재봉틀에 있어서,
    실절단할 때, 상기 실채기가 상승하여 정지할 때 까지 상기 가동메스가 이동하기 시작하여 상기 고정메스를 향해 상기 절단할 부분을 당긴 후, 상기 가동메스가 정지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실채기의 왕복이동이 정지한 후 상기 가동메스가 다시 상기 절단할 부분을 상기 고정메스에 의해 절단하도록 상기 주구동수단 및 상기 메스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실채기가 하강을 시작하고나서 상기 메스구동수단을 작동시키고, 상기 가동메스가 상기 절단할 부분을 상기 고정메스로 당긴 후 상기 메스구동수단을 정지하며, 그 후 상기 실채기가 상승한 후, 상기 주구동 수단을 정지하고 그 후 다시 상기 메스구동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 구동수단이 정지한 후, 상기 메스구동수단이 다시 작동할 때 까지의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주 구동수단이 정지한 후, 상기 시간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수단이 메스구동수단을 다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KR1020030010590A 2002-02-20 2003-02-20 재봉틀 KR100983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43453 2002-02-20
JP2002043453A JP4108991B2 (ja) 2002-02-20 2002-02-20 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862A KR20030069862A (ko) 2003-08-27
KR100983691B1 true KR100983691B1 (ko) 2010-09-24

Family

ID=27783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590A KR100983691B1 (ko) 2002-02-20 2003-02-20 재봉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08991B2 (ko)
KR (1) KR100983691B1 (ko)
CN (1) CN100543215C (ko)
DE (1) DE1030702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2545B2 (ja) * 2005-05-12 2011-03-02 Juki株式会社 糸切り装置
JP4782526B2 (ja) * 2005-09-30 2011-09-28 Juki株式会社 ミシン
EP2312033B1 (en) * 2009-10-13 2016-08-24 JUKI Corporation Sewing machine
JP2012105896A (ja) * 2010-11-19 2012-06-07 Juki Corp ミシン
JP2012165849A (ja) * 2011-02-14 2012-09-06 Brother Ind Ltd ミシン及びミシンの糸切り方法
KR20160138790A (ko) 2015-05-26 2016-12-06 농업회사법인 경북대학교포도마을주식회사 포도씨를 이용한 포도음용수 제조방법
CN109537194B (zh) * 2018-11-30 2023-10-27 浙江翔科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及自动抬压脚剪线控制方法
CN111235773B (zh) * 2020-03-23 2021-12-21 浙江杰克智能缝制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及其面线张力调节和少鸟巢装置
CN114575045A (zh) * 2020-11-30 2022-06-03 琦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离式平缝机
CN114575051B (zh) * 2020-11-30 2024-09-24 琦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离式平缝机的独立运行底线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7182A (ja) 1999-05-07 2000-11-21 Juki Corp 糸切装置付ミシン
JP2001046770A (ja) 1999-08-05 2001-02-20 Juki Corp ベルトループ縫付けミシン
KR20010095121A (ko) * 2000-04-04 2001-11-03 야마오카 다께오 단추를 다는 재봉틀
KR20030018236A (ko) * 2001-08-27 2003-03-06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미싱의 실 절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26907U (de) * 1959-03-26 1961-02-16 Kochs Adler Ag Fadenabschneidevorrichtung an naehmaschinen.
DE1485265C2 (de) * 1962-09-18 1975-12-11 G. M. Pfaff Ag, 6750 Kaiserslautern Fadenschneideinrichtung an Nähmaschinen
DE1260941B (de) * 1964-12-15 1968-02-08 Duerkoppwerke Ges Mit Beschrae Stichgruppen-Doppelsteppstichnaehmaschine
US3386402A (en) * 1966-07-05 1968-06-04 Singer Co Thread trimm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DE19746653C1 (de) * 1997-10-22 1998-11-12 Pfaff Ag G M Verfahren zum Verkürzen des nähgutseitigen Greiferfadenendes bei Nähmaschinen mit Fadenschneideinrichtung
JP4046431B2 (ja) * 1999-01-18 2008-02-13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糸調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7182A (ja) 1999-05-07 2000-11-21 Juki Corp 糸切装置付ミシン
JP2001046770A (ja) 1999-08-05 2001-02-20 Juki Corp ベルトループ縫付けミシン
KR20010095121A (ko) * 2000-04-04 2001-11-03 야마오카 다께오 단추를 다는 재봉틀
KR20030018236A (ko) * 2001-08-27 2003-03-06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미싱의 실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36280A (ja) 2003-08-26
JP4108991B2 (ja) 2008-06-25
DE10307020B4 (de) 2008-07-31
CN1439758A (zh) 2003-09-03
CN100543215C (zh) 2009-09-23
KR20030069862A (ko) 2003-08-27
DE10307020A1 (de) 200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5807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и тип шва
KR100983691B1 (ko) 재봉틀
JP2007282747A (ja) ミシン
JP6560913B2 (ja) ミシン
JP2007252495A (ja) ミシン
JP5925603B2 (ja) ミシン
JPH01303188A (ja) ベルトを縫付けるための縫製ミシン
JP2017221644A (ja) 扁平縫いミシン
JP2009061020A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KR101809269B1 (ko) 미싱
KR102557765B1 (ko) 짧은 목표-시임 폭을 갖는 시임-시작 윗실의 형성 방법 및 이 방법의 실시를 위한 어셈블리
JP2006102400A (ja) ミシン
JP5468236B2 (ja) 玉縁縫いミシン
JP2009240389A (ja) ミシン
JP6441221B2 (ja) ミシン
JP2006149440A (ja) ミシン
JP2003326038A (ja) ミシン
JP3940210B2 (ja) ベルトループ供給装置
JP4564373B2 (ja) ミシン
JP2009207665A (ja) ミシン
CN108796855B (zh) 产生具有目标线缝突出部的线缝起始顶线的组件和缝纫机
CN101514518B (zh) 缝纫机的切线装置
JP4642545B2 (ja) 糸切り装置
JP2009050638A (ja) ミシン
JP2018046894A (ja) ミシン及び縫製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