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949B1 - 복층 유리 간봉 - Google Patents

복층 유리 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949B1
KR100982949B1 KR1020080022231A KR20080022231A KR100982949B1 KR 100982949 B1 KR100982949 B1 KR 100982949B1 KR 1020080022231 A KR1020080022231 A KR 1020080022231A KR 20080022231 A KR20080022231 A KR 20080022231A KR 100982949 B1 KR100982949 B1 KR 100982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liver
binding
liver rod
insul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7061A (ko
Inventor
변창성
Original Assignee
변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창성 filed Critical 변창성
Priority to KR102008002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949B1/ko
Publication of KR2009009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28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rubber, plastics or simila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 유리 간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봉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양 강화유리와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간봉의 양측면에 단열부재를 피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간봉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속구를 통해 단열부재 압출물이 상기 결속구를 통해 압출볼이 형성되어 강한 결속력을 가지도록 하며, 상기 단열부재 외측면과 유리면과의 접착층에 의한 접착력을 향상하도록 상기 단열부재 외측면에 결속홈을 형성하여 접착층과의 결속력을 향상하도록 제공된 복층 유리 간봉에 관한 것이다.
복층유리, 간봉, 단열

Description

복층 유리 간봉{Spacer of pair glass}
본 발명은 복층 유리 간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봉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양 강화유리와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간봉의 양측면에 단열부재를 피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간봉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속구를 통해 단열부재 압출물이 상기 결속구를 통해 압출볼이 형성되어 강한 결속력을 가지도록 하며, 상기 단열부재 외측면과 유리면과의 접착층에 의한 접착력을 향상하도록 상기 단열부재 외측면에 결속홈을 형성하여 접착층과의 결속력을 향상하도록 제공된 복층 유리 간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봉은 건물의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창틀이나 샤시 등에 설치되는 복층 유리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유리 사이에 접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복층 유리는 단열이나 소음 차단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복층 유리 사이에는 간봉이 설치되어 유리 사이의 공기층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며, 이러한 간봉은 대개 알루미늄 소재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간봉은 열전도율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복층 유리 사이에서 열전도 되도록 하므로, 단열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탄성이 없으 므로 취급, 시공 과정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되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1994-33373호(고안의 명칭: 복층 유리용 간봉, 이하 '인용고안 1'이라 함)가 제안되었으며,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용고안 1은 상면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11)가 형성되고, 내측에 방습제의 충진용 공간부가 형성된 복층 유리용 간봉(10)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압출 성형되고, 실리콘과 안정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부양측의 경사부(12)에 다수의 줄무늬 돌조가 형성되며, 양 판유리와의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양측면에 접착층(14)을 도포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14)에 접착지(15)를 부착하였다.
이와 같은 인용고안 1은 낮은 열전도율로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그 재질이 합성수지이므로, 간봉을 유리면에 접착시 쉽게 휨으로써 형태가 불안정하여 접착 작업이 매우 까다로우므로 시공성이 불량하게 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며, 간봉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다수의 작업자가 유리판을 함께 잡고 작업하여야 하므로 인건비 부담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 제0402312호(등록의 명칭 : 이중유리창용 간봉, 이하 '인용고안 2'이라 함)에서 간봉(20a)의 내층에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보강재(10a)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외층에 간봉(20a)이 합성수지로 성형하며, 간봉(20a)의 상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통공(21a)을 형성한 구조로 제안하고 있으며, 이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용고안 2에 대한 문제점은 첫 번째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면 즉 이중 유리면 내부에 삽입되는 간봉의 면은 유리면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현상으로 수분이 발생되어 간봉의 통공을 통해 간봉내부에 구비된 흡습제로 수분을 흡수하여 수분 및 결로가 없는 투명의 유리창을 볼 수 있으며, 이때 간봉의 통공이 있는 면이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어 장기간 수분과의 접촉으로 인해 부식이 발생하여 합성수지재의 백화현상이 일어나 통공크기의 증가 및 통공이 구비된 면의 두께가 점점 약화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두 번째로 겨울철과 같은 안팎의 기온차가 심할 경우 이중 유리면 내부에 수분 및 결로가 증가됨에 따라 간봉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기 통공이 구비된 간봉의 일면에는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어 일부 수분은 통공을 통해 흡습제로 흡습이 되나 합성수지재의 특성상 수분이 합성수지재 표면에 붙어 수분들이 모여 큰 물방울이 생기게 되어 이중 유리면 내부에 물이 차는 현상이 일어난다.
세 번째로 간봉의 외층면이 전부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어, 간봉의 양측면 및 후면(통공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서 유리면과 접착되는 간봉의 양측면과 유리를 지지하는 알루미늄 샷시와 같은 지지케이스와 접착되는 후면에 각각 실란트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접착제는 합성수지와는 상대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박리현상이 일어나 함성수지제의 표면을 부식시켜 접착시키는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임시적인 접착방법에 하나여서 주로 사용되는 접착제인 실란트는 합성수지와는 접착이 용이하지 않아 유리면과의 간봉 이탈 및 지지케이스와의 간봉 이탈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출원인이 특허 등록된 제074391호에서 도 3과 같이 상면(120), 양측면(130), 경사면(140) 및 밑면(150)으로 이루어져 단면상 내부에 공간부(110)를 갖추고, 상기 경사면(140)은 양측면과 밑면이 연결되는 부분에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면(140) 양끝단에 돌출된 보강부재(1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120)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통공(125)이 구비되어 있는 통상의 복층 유리 간봉(100)에 있어서, 상기 상면(120)을 제외한 양측면(130)과 경사면(140) 및 밑면(150)을 피복하는 일체형의 단열캡(200)이 구비되는 복층 유리 간봉에서 상기 간봉의 양측면과 면접하는 단열캡(200)의 내측면과의 결속력에 있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봉의 상면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단열캡(200) 끝단에 단턱을 형성함으로서 결속되는 원리이나 접착층이 없는 관계로 수분이 함유한 공기의 유입이 개방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외부충격에 의해 간봉(100)과 단열캡(200)의 면접부위가 벌어짐 현상을 일으켜 간봉(100)과 단열캡(200)과의 결속력을 더욱 향상시켜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층 유리 간봉의 양측면에 피복되는 단열부재의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해 간봉의 양측면을 결속구를 형성함으로 간봉과 단열부재와의 강한 결속력을 가지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며, 상기 단열부재 외측면과 유리면과의 접착력을 향상하고자 하는 또다른 목적으로 상기 단열부재 외측면에 결속홈을 형성함으로서 접착층의 강한 결속력을 가지는 복층 유리 간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면, 양측면, 경사면 및 밑면으로 이루어져 단면상 내부에 공간부를 갖추고, 상기 상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되어 있는 통상의 복층 유리 간봉에 있어서,
상기 양측면에 원형의 지름이 1∼5㎜크기로 관통된 다수개의 결속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가 형성된 간봉 양측면에 합성수지제의 피복층이 압출성형되어 결속구 내측으로 압출볼이 형성된 단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복층 유리 간봉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열부재 외측면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형상을 가진 결속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 간봉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복층 유리 간봉의 양측면에 접속하는 강화유리와의 접착력을 강화하고 단열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간봉 양측면에 단열부재를 피복시키고 상기 단열부재 외측면에 결속홈을 형성함으로서 유리면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유리면과의 더욱 강한 접착력과 결속력을 향상함으로서 공기를 밀폐시키기 위해 간봉과 유리면과의 접착력의 강화 및 단열효과를 높이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상기 기존에 개발된 간봉 도 4와 도 5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면(120), 양측면(130), 경사면(140) 및 밑면(150)으로 이루어져 단면상 내부에 공간부(110)를 갖추고, 상기 상면(120)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통공(125)이 구비되어 있는 통상의 복층 유리 간봉(100)에 있어서, 상기 양측면(130)에 원형의 지름이 1∼5㎜크기로 관통된 다수개의 결속구(160)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160)가 형성된 간봉(100) 양측면에 합성수지제의 피복층이 압출성형되어 결속구(160) 내측으로 압출볼(210)이 형성된 단열부재(200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복층 유리 간봉(이하 ‘간봉’이라 함)을 제공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부재(200a) 외측면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형상을 가진 결속홈(22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 간봉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간봉(100)의 양측면(130)에 원형의 지름이 1∼5㎜크기로 관통된 다수개의 결속구(160)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간봉(100)의 양측면(130)에 합성수지제의 피복층이 압출성형되는데 그 압출성형에 있어 압출성형(extrusion)공법을 이용한 압출성형기(Extruder)에 의해 간봉을 밀어내면서 상기 간봉(100)의 양측면에 합성수지제인 피복층을 도포하면서 압출성형하는 과정을 통해 단열부재(200a)를 적층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간봉(100)의 양측면(130)에 형성된 결속구(160)를 통해 합성수지제인 피복층이 침투하여 상기 결속구(160)를 통과한 합성수지제는 응집과 장력에 의해 상기 결속구(160)의 구멍크기보다 큰 덩어리의 합성수지제의 압출볼(210)이 형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간봉(100)과 단열부재(200a)와의 결합력을 강하게 하여 간봉(100)의 측면으로부터 단열부재(200a)가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봉(100)의 양측면(130)에 피복된 단열부재(200a)는 상기 결속구(160)로 유입된 압출볼(210)과의 강한 결속으로 인해 간봉(100)과의 결속이 향상되어지며, 또한 단열부재(200a)가 간봉(100)의 양 측면에 피복됨으로서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유리내부에 발생되는 수분의 침투를 막을 수 있도록 단열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즉, 알루미늄 또는 일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된 간봉(100)의 공간부(110)에 실리카 겔과 같은 흡습제(미도시)가 이중 유리(300)면에 발생되는 수분을 흡습하면서 수분에 따른 간봉의 급격한 온도차에 의해 간봉(100)의 상면(120)에 미세한 수분이 면착하게 되는데 이는 흡습제(미도시)에 의해서도 제거할 수 없는 것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간봉(100)의 양측면(130)을 커버하는 단열부재(200a)가 구비됨으로서 간봉(100)의 공간부(110)에 구비된 흡습제(미도시)에 의해 흡습된 수분이 다시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간봉(100)의 공간부(110)에 수용된 흡습제(미도시)에 수분이 흡습됨에 따라 공간부(110)에서는 온도차가 발생하여 간봉(100)의 재질이 금속재로 인해 간봉(100)의 양측면(130)에 수분이 면착되어 있어, 이러한 수분이 간봉(100)의 양측면(130)에 면착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간봉(100)의 공간부(110)에서 발생되는 급격한 온도차를 줄이기 위해 단열부재(200a)를 간봉(100)의 양측면(130)에 피복함으로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간봉(100)의 양측면(130)에 피복된 단열부재(200a) 외측면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형상을 가진 다수개의 결속홈(220)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형상을 가진 결속홈(220)이 형성된 단열부재(200a) 외측면에 유리(300)면과 접착하기 위해 상기 단열부재(200a) 외측면에 접착층(400)이 도포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단열부재(200a)에 형성된 결속홈(220)에 접착층(400)의 접착액이 유입되어 단열부재(200a)와 유리(300)면의 강한 결속력을 가지게 된다.
도 10과 같이 상기 두 개의 유리(200)면 테두리 사이에 사각(四角) 띠형상으로 설치되는 간봉(100)에 있어 상기 사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는 4개의 각(角)부위에 각각의 간봉(100)을 연결/결속하기 위해 연결구를 설치하는 대신에 본 발명은 각각의 간봉(100) 연결부위를 연결하여 연결부위 측면일체를 용접처리하여 일체형의 사각 띠형상의 간봉(100)을 설치함에 자명할 것이며, 이는 간봉(100) 측면에 단열부재(200a)가 피복됨에 따라 연결구가 체결되면 연결구와 유리면 사이에 온도차를 막아 줄 수 있는 아무런 특징이 없음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연결구 없이 이루어진 용접형의 일체형 사각 띠형상 간봉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간봉(100)의 양측면에 피복되는 단열부재(200a)의 소재는 열적변형이 없는 에폭시수지와 테프론수지 중 택일하여 단열부재 소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간봉(100)과 유리(300)와의 접착에 사용되는 접착층의 실란트와 같은 실리콘 계열을 사용함에 실내/실외의 온도차에 의한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해 간봉과 접착층과의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여 이중 유리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여 결로현상 또는 수분 면착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단열부재(200a)에 사용되는 소재를 에폭시수지와 테프론수지 중 택일하여 사용함으로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복층 유리 간봉은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도 1은 종래의 복층 유리 간봉의 사시도(1).
도 2는 종래의 복층 유리 간봉의 사시도(2).
도 3은 종래의 복층 유리 간봉의 사시도(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 간봉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 간봉에 단열부재를 피복하는 과정의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 간봉을 유리창에 설치하기전의 조립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 간봉을 유리창에 설치한 후의 A-A` 조립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 간봉의 단열부재 외측면에 결속홈이 형성된 상태도.
도 9는 도 8의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 간봉의 단열부재 외측면에 결속홈이 형성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부재 외측면에 결속홈이 형성된 복층 유리 간봉을 유리창에 설치하기 전의 조립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부재 외측면에 결속홈이 형성된 복층 유리 간봉과 유리창 사이의 접착층을 접착시키는 구조도.
도 12는 도 11의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접착층-단열부재로 구성된 복층 유리 간봉의 B-B`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간봉 100 공간부 110 상면 120 통공 125 양측면 130 경사면 140 밑면 150 결속구 160 단열부재 200a 압출볼 210 결속홈 220 유리 300 접착층 400

Claims (2)

  1. 상면(120), 양측면(130), 경사면(140) 및 밑면(150)으로 이루어져 단면상 내부에 공간부(110)를 갖추고, 상기 상면(120)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통공(125)이 구비되어 있는 통상의 복층 유리 간봉(100)에 있어서,
    상기 양측면(130)에 원형의 지름이 1∼5㎜크기로 관통된 다수개의 결속구(160)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160)가 형성된 간봉(100) 양측면에 합성수지제의 피복층이 압출성형되어 결속구(160) 내측으로 압출볼(210)이 형성하되, 외측면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형상을 가진 결속홈(220)을 형성하는 단열부재(200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복층 유리 간봉.
  2. 삭제
KR1020080022231A 2008-03-10 2008-03-10 복층 유리 간봉 KR100982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231A KR100982949B1 (ko) 2008-03-10 2008-03-10 복층 유리 간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231A KR100982949B1 (ko) 2008-03-10 2008-03-10 복층 유리 간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061A KR20090097061A (ko) 2009-09-15
KR100982949B1 true KR100982949B1 (ko) 2010-09-17

Family

ID=4135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231A KR100982949B1 (ko) 2008-03-10 2008-03-10 복층 유리 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9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884A (ko) * 2014-02-06 2015-08-17 최문열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1107A (ko) * 2015-08-17 2017-02-27 김용대 흡습 단열 기능을 가지는 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688B1 (ko) * 2009-10-08 2012-03-19 변창성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768A (ja) * 1991-07-09 1993-02-19 Ube Ind Ltd 板材成形方法
EP0785336A1 (en) * 1996-01-22 1997-07-23 Bay Mills Limited Insulating spacer for creating a thermally insulating brid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768A (ja) * 1991-07-09 1993-02-19 Ube Ind Ltd 板材成形方法
EP0785336A1 (en) * 1996-01-22 1997-07-23 Bay Mills Limited Insulating spacer for creating a thermally insulating bridg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884A (ko) * 2014-02-06 2015-08-17 최문열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및 그 제조방법
KR101596114B1 (ko) 2014-02-06 2016-02-26 최문열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1107A (ko) * 2015-08-17 2017-02-27 김용대 흡습 단열 기능을 가지는 창호
KR102555080B1 (ko) * 2015-08-17 2023-07-12 김용대 흡습 단열 기능을 가지는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061A (ko) 200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2716B2 (en) Encapsulated composit fibrous aerogel spacer assembly
JP3409030B2 (ja) 絶縁板ユニットのためのスペーサ形材
US6989188B2 (en) Spacer profiles for double glazings
JP5541829B2 (ja) リブ付きチューブの連続可撓性スペーサーアセンブリおよび窓アセンブリ
KR100743921B1 (ko) 복층 유리 간봉
JP5976107B2 (ja) 絶縁ガスの層を含む少なくとも一つの内部空間を含む絶縁板ガラスパネル、及びかかる板ガラスパネルの製造方法
JP2018503582A (ja) 断熱ガラス窓
KR102567521B1 (ko) 보강 요소를 갖는 스페이서
JP2004513273A5 (ko)
US5466534A (en) Metal-polymer composite insulative spacer for glass members and insulative window containing same
KR100982949B1 (ko) 복층 유리 간봉
JPH11247540A (ja) 複層ガラス用のスペーサ及び複層ガラス
US7954283B1 (en) Fibrous aerogel spacer assembly
JP2023503705A (ja) 向上した接着性を有するスペーサ
KR20220130200A (ko) 단속(斷續)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KR20210039463A (ko) 금속 측면부들을 구비한 스페이서
JP4164752B2 (ja) 複層ガラス支持構造及び複層ガラス
CN203783383U (zh) 一种铝木复合隐扇
CN220580862U (zh) 一种无转角视觉无抵挡中空玻璃
CN220133844U (zh) 一种双道密封中空玻璃
CN211447254U (zh) 一种防水性能好的超强度复合木
CN211623144U (zh) 中空玻璃结构
JPH0721824Y2 (ja) サッシ付複層ガラス
CN210164383U (zh) 一种铝合金窗套保温结构
CN210976184U (zh) 一种空心刨花板复合隔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