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688B1 -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688B1
KR101124688B1 KR1020090095430A KR20090095430A KR101124688B1 KR 101124688 B1 KR101124688 B1 KR 101124688B1 KR 1020090095430 A KR1020090095430 A KR 1020090095430A KR 20090095430 A KR20090095430 A KR 20090095430A KR 101124688 B1 KR101124688 B1 KR 101124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rame
sides
spac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229A (ko
Inventor
변창성
Original Assignee
변창성
(주)성진지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창성, (주)성진지앤에스 filed Critical 변창성
Priority to KR1020090095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6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8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42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 E06B3/66347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with integral grooves or rabbets for holding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61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with special structural provisions for holding drying agents, e.g. packed in special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66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specially adapted for units comprising more than two panes or for attaching intermediate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차단 스페이서가 설치된 복층유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 동시에 단열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는 다수의 유리를 결합하는 열교차단 스페이서의 구조를 개선한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에 있어 동일한 크기를 갖는 내/외측유리, 그리고 상기 내,외측유리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유리가 프레임의 중앙에 개재시킨 상태로 적층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부를 갖도록 하여 구성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부의 중앙격벽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건습공간부와 제습공간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건습공간부와 제습공간부 사이에 분할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격벽 양측에 형성된 제습공간부에 제습제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상부의 중앙에 유리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리삽입구에 중앙유리 하단의 양측부를 끼움결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유리결속부재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가 제공된다.
복층유리. 스페이서, 간봉, 프레임, 유리, 결속, 단열부재

Description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Spacer Structure for Multi Layer Glass}
본 발명은 열교차단 스페이서가 설치된 복층유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 동시에 단열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는 다수의 유리를 결합하는 열교차단 스페이서의 구조를 개선한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복층유리는 두 장 이상의 유리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한 것으로, 유리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하기 위해 스페이서를 사용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두 장의 유리의 사이에 유리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복층유리는 내외측 유리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 구조이므로, 홑유리와 비교하여 실내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외부온도의 저하에도 불구하고 내측유리의 표면온도는 상대적으로 덜 저하되어 이슬맺힘 현상이 억제된다. 그리고, 방음성능이 우수하여 실내외 사이의 소음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층유리는 비교적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경제력 향상에 따른 생활환경의 고급화 및 그 제조기술의 발전 등에 의해 사용이 점차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즉, 대 형빌딩은 물론이고 최근에는 소규모의 상점과 개인주택에 이르기까지 소음에서 벗어나 좀더 안락한 주거환경을 추구하려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따라 복층유리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복층유리의 보편적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층유리는, 한 쌍의 내외측 유리(20, 21)가 제공되고, 이같은 내외측 유리(20, 21)가 그 사이로 제공되는 금속재의 스페이서(22)(일명, ‘간봉’이라 함.)에 일면을 각각 접합하여, 상기 스페이서(22)의 폭에 해당하는 건조공기층을 유지한 상태로 구성된다. 도면부호 23은 상기 내외측 유리(20, 21)와 스페이서(22)를 접합하는 접착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이중의 복층유리 외에도, 유리와 스페이서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3중 이상의 복층유리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데 3중유리의 경우 단열성은 증가하나 스페이서가 중복 설치됨으로 유리와 스페이서의 부착면이 4면으로 되고 전체두께와 유리무게가 증가하여 스페이서에 전달되는 구조적 응력이 대폭 증가하여 내구성이 감소하는 약점이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복층유리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 벽면에 형성되는 창 설치용 개방부 내측으로 샤시프레임(24)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샤시프레임(24)을 따라 결합부(26)가 형성되며, 이 같은 결합부(26)에 상기 복층유리가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기온 변화에 의해 상기 내외측 유리(20, 21)와 샤시프레임(24)이 이완 및 수축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변형에 대응하여, 상기 내외측 유리(20, 21)의 사 방 측면과 샤시프레임(24)의 결합부(26) 사이에 신축소재의 채움부재(25)가 삽입되고, 이 같은 채움부재(25)의 외측에 실리콘이 도포되어 빗물과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개시된 것으로, 중앙 유리고정용 유리결속부재 설치되어 좌우 유동에 대한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복층유리용 스페이서를 금속제 사이에 열교차단재인 즉, 단열부재가 부착된 스페이서로 복층유리의 결합에 따른 오차를 방지하고, 제습용 간봉을 간봉틀이 제작된 후 틀에 끼울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고 습기 유입을 차단하면서 유리 밀봉 전에 제습제를 삽입하여 제습제의 흡수력 저하를 방지하는 한편, 상기 유리결속부재가 안착되는 유리삽입구에 습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제1통공인 통기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스페이서 외측부에 내/외부의 온도차에 따른 복층유리 내부의 열적변화의 차이가 없도록 단열부재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스페이서 외측과 서로 결합된 후 쉽게 탈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동일한 크기를 갖는 내/외측유리, 그리고 상기 내,외측유리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유리가 프레임의 중앙에 개재시킨 상태로 적층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부를 갖도록 하여 구성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부의 중앙격벽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건습공간부와 제습공간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건습공간부와 제습공간부 사이에 분할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격벽 양측에 형성된 제습공간부에 제습제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상부의 중앙에 유리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리삽입구에 중앙유리 하단의 양측부를 끼움결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유리결속부재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유리결속부재 양측의 상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밀착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리삽입구의 바닥면 중앙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양측으로 각각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 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1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 양측면에 각 상/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프레임 중앙에 형성된 걸림리부에 결속되도록 단열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양측면에 형성된 단열부재 대신에 프레임 양측면과 상기 프레임 상부 경사면을 연계하여 유리삽입구 내주면 전체를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된 단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리삽입구에 형성된 단열부재 일면에 상기 유리삽입구 바닥면 양측에 형성된 단차부에 연통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2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양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프레임의 양측면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속리브에 결속되고, 상기 개방된 프레임의 양측면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속리브에 결속되도록 상/하단부에 결속홈이 형성된 단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저면 양측으로 상기 저면 중앙과 단차지게 접착홈이 상기 프레임 양단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용 스페이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중앙격벽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건습공간부와 제습공간부 단위체가 각각 구획되어 형성됨으로서, 제습제가 설치된 제습공간부로부터 노출된 습기를 흡착하여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각 제습공간부 일측으로 형성된 건습공간부로부터 복층유리 내/외부의 온도차에 따른 스페이스 내부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하여 온도차에 따른 습기 또는 소음을 원천적으로 제거 또는 차단함 으로서 복층유리의 최적조건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스 상부 중앙에 유리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리삽입구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제습공간부에 설치된 제습제에 수분의 흡착이 원활히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유리삽입구에 유리결속부재가 형성되어 복층유리 외부로부터 충격과 진동에 충격흡수를 완화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단열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높아지고, 상기 유리결속부재와 유리삽입구가 밀접하게 결속되는 대신에 양측부 및 하부에 미세한 자유공간이 형성되어 방습 및 단열효과가 더 커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복층유리면과 면접되는 스페이스 일측면 사이에 단열부재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온도와 내부의 온도차에 따른 온도변화를 중화시켜주는 역할로 단열성을 극대화하는 역할로 작용하게 된다.
그 외에서 본 발명에서는 스페이서 양측에 합성수지 재질의 단열부재가 형성됨으로, 1차봉착제인 부틸접착제를 사용하여 복층유리와 부착하는 것이 금속재질의 프레임에 직접 접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접착되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견고한 단열을 겸비한 복층유리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를 갖는 내/외측유리(10a, 10b), 그리고 상기 내/외측유리(10a, 10b)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유리(10c)가 프레임(200)의 중앙에 개재시킨 상태로 결속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200)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부를 갖도록 하여 구성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0) 내부의 중앙격벽(210)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건습공간부(230)와 제습공간부(22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건습공간부(230)와 제습공간부(220) 사이에 분할격벽(240)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격벽(210) 양측에 형성된 제습공간부(220)에 제습제(221)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00) 상부의 중앙에 유리삽입구(250)가 형성되고, 상기 유리삽입구(250)에 중앙유리(10c) 하단의 양측부를 끼움결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유리결속부재(260)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100)가 제공된다.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0)의 형상은 대략 횡단면이 직사각형과 유사하게 되는데, 실제로는 인접하는 상부 유리삽입구(250) 양측으로 두 모서리 부분이 경사지게 되어 상기 상부 중앙에 형성된 횡단면이 6각형으로 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0)은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잘랐을 때, 그 내부 양단에 각각 건습공간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각 건습공간부(230) 일측에 분할격벽(240)을 두고 구획되게 각각 제습공간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각 제습공간부(220) 사이에 중앙격벽(210)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즉, 상기 중앙격벽(210)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건습공간부(230)와 제습공간부(220)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중앙격벽(210)을 기준으로 각 측부 형상인 횡단면 형상은 대략 사다리꼴로 된다. 물론, 상기 각 측부 형상의 횡단면이 반드시 사다리꼴일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습공간부(220)의 내부에는 제습제(221)가 채워진다. 상기 제습제(221)로는 실리카겔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습제(221)인 실리카겔은 그 알갱이의 직경이 대략 1.0에서 1.2mm정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0) 내부의 양단에 형성된 건습공간부(230)는 내/외측유리(10a, 10b)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온도와 프레임(200) 내부의 온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상기 건습공간부(230)의 온도에 의해 내/외측유리(10a, 10b)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주는 것으로, 상기 내/외측유리(10a, 10b) 외부의 온도가 직접적으로 프레임(20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프레임(200) 내부의 습기발생을 없애주는 반면, 내/외측유리(10a, 10b)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상기 건습공간부(230)에 의해 소음이 소멸되어 방음역할로 제공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제습공간부(220)는 내/외측유리(10a, 10b)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제습공간부(220) 내부에 제습제(221)가 설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외에, 상기 건습공간부(230)의 온도변화 또는 소음을 없애주는 역할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습공간부(220)도 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습공간부(220)에 구비된 제습제(221)의 제습을 위해 습기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리삽입구(250) 바닥면의 단차부(252)에 제1통공(253)이 형성됨으로서 습기가 이동되어 제습제(221)에 의해 수분이 흡착되게 된다.
그리고,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0) 상부의 중앙에 “┗┛”형상으로 함몰된 유리삽입구(250)가 형성되고, 상기 유리삽입구(250)에 중앙유리 하단의 양측부를 끼움결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유리결속부재(260)가 형성됨에 있어, 상기 중앙유리(10c)가 내/외측유리(10a, 10b) 사이에 공간을 두고 형성됨으로서, 창밖의 외부 온도가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내/외측유리(10a, 10b) 외부의 소음이 중앙유리(10c)가 내/외측유리(10a, 10b) 사이에 공간을 두고 형성됨으로서 상기 공간에 의해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로 상기 공간이 소음의 차단효과 즉, 방음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중앙유리(10c)가 상기 유입삽입구(250)에 결속됨에 상기 중앙유리(10c) 하부 양측단을 끼움결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유리결속부재(26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리결속부재(26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금속재의 프레임(200)과 면접시 온도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게다가 상기 유리삽입구(250)에 유리결속부재(260)가 내속시 상기 유리삽입구(250) 내측면과 상기 유리결속부재(260) 외측면과는 미세한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외측유리(10a, 10b)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가 이 공간을 통해 유도될 수 있도록 하 였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리결속부재(260) 양측의 상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밀착턱(261)이 더 형성됨으로서, 상기 유리결속부재(260) 내측면과 면접되는 중앙유리 일측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게 되며, 상기 공간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내/외측유리(10a, 10b) 외부로부터 외압이 발생시 내/외측유리(10a, 10b) 내부에도 내압이 발생하여 중앙유리(10c)가 미세하게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데, 이러한 중앙유리(10c)의 휘어짐에 공간 편차를 주어 안전하게 중앙유리(10c)의 휘어짐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유리결속부재(260)의 밀착턱(261)에 의해 발생된 유리결속부재(260)와 중앙유리(10c)의 공간이 이러한 중앙유리(10c)의 휘어짐에 대한 탄성거리를 확보하고, 내/외측유리(10a, 10b)의 내압에 대한 완충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유리결속부재(260)가 제공된다.
또한,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리삽입구(250)의 바닥면 중앙에 돌출부(25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51) 양측으로 각각 단차부(252)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252) 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1통공(253)이 형성됨은 상술한 내/외측유리(10a, 10b) 내부에 발생된 습기를 유도하는 역할로 제1통공(253)이 단차부(252)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로 프레임(200)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유리삽입구(250) 바닥면 중앙에 돌출부(251)가 형성됨은 상기 유리결속부재(260)의 저면과 면접시 밀착되지 않고 상기 돌출부(251)에 의해 양측에 공간 이 형성되어 상기 내/외측유리(10a, 10b) 내부에 발생된 습기가 상기 유리삽입구(250) 내측과 유리결속부재(260) 외측 사이에 미세공간을 통해 습기가 유도되어 상기 공간으로 유도되어 상기 제1통공(253)을 통해 제습공간부(220)의 제습제(221)로 흡착되게 된다.
또한, 도 5, 도 8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0)의 양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200) 양측면에 각 상/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31)과 상기 프레임(200) 중앙에 형성된 걸림리부(232)에 결속되도록 단열부재(300a)가 형성됨으로, 상기 단열부재(300a)는 프레임(200)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상기 프레임(200)의 양측면 상/하단의 걸림턱(231)에 결속되며, 중앙을 보강 결속되도록 상기 프레임(200) 중앙에 걸림리브(232)가 형성되어 상기 단열부재(300a) 내측 중앙을 결속하게 된다.
도 5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0) 양측면에 단열부재(300a)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내/외측유리(10, 10b)와 프레임(200)간 즉, 유리와 금속재간 1차봉착제(20)인 부틸접착제에 의해 접착력의 저하로 더욱 높이기 위해 상기 합성수지 재질의 단열부재(300a)를 구성함으로서 유리와 합성수지간의 부틸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력을 더욱 증강되게 되며, 상기 단열부재(300a)가 상기 내/외측유리(10a, 10b)와 프레임(200) 양측간 면접됨으로서, 상기 내/외측유리(10a, 10b)와 프레임(200)간 온도변화에 따른 내/외측유리(10a, 10b)의 내/외부 전이온도를 사전에 차단하는 역할로 단열부재(300a)가 제공된다.
또한, 도 11에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양측면에 형성된 단열부재(300a) 대신에 프레임(200) 양측면과 상기 프레임(200) 상부 경사면을 연계하여 유리삽입구(250) 내주면 전체를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된 단열부재(300b)가 구비됨은 즉, 상기 프레임(200)의 양측면과 경사면 및 유리삽입구(250)를 포함한 상부면에 일체로 프레임(200) 외측형상 그대로 단열부재(300b)가 커버되는 것으로 내/외측유리(10a, 10b)의 내/외부 온도변화를 최대한으로 줄여주는 견고한 단열부재(300b)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리삽입구(250)에 형성된 단열부재(300b) 일면에 상기 유리삽입구(250) 바닥면 양측에 형성된 단차부(252)에 연통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2통공(310)이 형성되어 상기 내/외측유리(10a, 10b) 내부의 습기가 상기 유리삽입구(250) 내측면에 커버된 단열부재(300b) 내측면과 유리결속부재(260) 외측면에 미세공간을 통해 습기가 유도되어 상기 유리삽입구(250)의 단열부재(300b) 일면에 형성된 제2통공(310)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단열부재(300b) 저면과 유리삽입구(250) 단차부(252)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도되고, 상기 유도된 습기는 다시 상기 단차부(252)에 형성된 제1통공(253)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습공간부(220)에 설치된 제습제(221)로 흡착되게 된다.
또한, 도 16과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0) 양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프레임(200)의 양측면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속리브(233)에 결속되고, 상기 개방된 프레임(200)의 양측면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속리브(233)에 결속되도록 상/하단부에 결속홈(320)이 형성된 단열부재(300c)가 구비되는 것은 상기 내/외측유리(10a, 10b)의 내/외부로부터 온도변화에 다른 단열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200) 양측면을 개방하여 단열부재(300c)만으로 프레임(200) 양측면을 커버함으로서, 상기 단열성이 높은 단열부재(300c)만으로 온도 전이가 빠른 금속재와 면접토록 하지 않고 단열부재(300c)만으로 온도변화를 최소화하여 내/외측유리(10a, 10b) 내/외부의 단열효과를 높이는 역할로 상기 단열부재(300c)가 제공된다.
또한, 도 18과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0)의 저면 양측으로 상기 저면 중앙과 단차지게 접착홈(270)이 상기 프레임(200) 양단까지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서, 상기 접착홈(270)에만 밀봉재(30)를 접착함으로서 밀봉재(30)가 소량 소모됨으로서 재료비가 저감되고, 작업속도가 빨라 신속히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접착홈(270)에 도포되는 밀봉재(30)는 완충 및 기밀작용을 하는 밀봉재(30)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밀봉재(30)는 상기 스페이서(100)의 프레임(200) 및 내/외측유리(10a, 10b)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외측유리(10a, 10b)가 미세한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유동시 금속재인 샤시프레임의 내면과 접촉되면서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밀봉재(30)의 소재로 실리콘을 사용하였으며,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 프레임(200)은 열을 전도하지 않 는 소재이므로,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프레임(200)을 통한 열전도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프레임(200)이 적용된 복층유리에서는 프레임(200)을 통한 열전도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현상이 방지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결로현상 발생시 상기 내/외측유리(10a, 10b)와 프레임(200)간의 접합력을 저하시키거나 또는 밀봉재(30)의 훼손을 촉진시키는 등 복층유리 및 창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이와 같은 결로현상이 방지됨은 복층유리와 창틀이 장기간에 걸쳐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여 수명이 연장되는 결과로 이어진다.
또한, 일기변화에 의한 강풍 동반시나 기타 외력이 상기 내/외측유리(10a, 10b)를 향해 작용하더라도, 신축성을 갖는 유리결합부재(260)가 그 충격력을 완화시키게 되어 프레임(200) 및 내/외측유리(10a, 10b)의 훼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외측유리(10a, 10b)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프레임(200)에 그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스페이서(100)의 프레임(200) 또는 상기 프레임(200) 양측에 결속된 단열부재(300a, 300b, 300c)가 신축되면서 상기 내/외측유리(10a, 10b)의 유동 간격을 보상하게 되는 것이므로, 프레임(200)과 내/외측유리(10a, 10b), 단열부재(300a, 300b, 300c)와 내/외측유리(10a, 10b)의 접합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이에 따라 복층유리의 수명이 연장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일예로 복층유리가 고지대에 설치되는 경우, 복층유리를 이루는 외측유리(10b)는 구조물의 실내외 압력차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외측유리(10b)가 소정 각도로 휘는 현상이 유발된다. 이때, 상기 외측유리(10b)가 휘 면서 실외측으로 유동되는 간격만큼 상기 프레임(200) 또는 단열부재(300a, 300b, 300c)가 늘어나면서 그 간격을 보상하게 되므로써, 상기 스페이서(100)의 프레임(200)과 외측유리(10b), 외측유리(10b)와 단열부재(300a, 300b, 300c)와의 접합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열부재(300a, 300b, 300c) 대신에 흡습성과 접착성을 동시에 가지는 고분자 물질인 흡습부재(300d)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습제(221)의 역할인 수분의 흡습성을 가지는 동시에 내/외측유리(10a, 10b)와 프레임(200)간의 접착력을 향상하기 위한 재질로 이루어진 흡습부재(300d)로 상술한 1차봉착제(20)인 부틸접착제의 역할인 내/외측유리(10a, 10b)를 프레임(200)에 접착하는 구실로 작용하는 것을 대신하여 내/외측유리(10a, 10b)와 프레임(200)간에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반면, 수분의 흡습성을 동시에 갖춘 흡습부재(300d)를 형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도 1은 종래의 복츨유리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복층유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가 설치된 사시도(1).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의 “A”부위의 확대도.
도 7은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의 “B”부위의 확대도.
도 8은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가 설치된 구조도.
도 9는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의 프레임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의 “C”부위의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2)
도 12는 도 11의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의 프레임-단열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도12의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의 “D”부위의 확대도.
도 14는 도 11의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가 설치된 구조도.
도 15는 도 14의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3).
도 17은 도 16의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의 단열부재-프레임 분리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4).
도 19는 도 18의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의 단열부재-프레임 분리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의 프레임-흡습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내/외측유리 : 10a, 10b, 중앙유리 : 10c, 제1봉착제 : 20, 밀봉재 : 30, 스페이서: 100, 프레임 : 200, 중앙격벽 : 210, 제습공간부 : 220, 제습제 : 221, 건습공간부 : 230, 걸림턱 : 231, 걸림리브 : 232, 결속리브 : 233, 분할격벽 : 240, 유리삽입구 : 250, 돌출부 : 251, 단차부 : 252, 제1통공 : 253, 유리결속부재 : 260, 밀착턱 : 261, 접착홈 : 270, 단열부재 : 300a, 300b, 300c, 흡습부재 : 300d, 제2통공 : 310, 결속홈 : 320

Claims (8)

  1. 동일한 크기를 갖는 내/외측유리, 그리고 상기 내/외측유리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유리가 프레임의 중앙에 개재시킨 상태로 적층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 내부의 중앙격벽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건습공간부와 제습공간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건습공간부와 제습공간부 사이에 분할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격벽 양측에 형성된 제습공간부에 제습제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상부의 중앙에 유리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리삽입구에 중앙유리 하단의 양측부를 끼움결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양측의 상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밀착턱이 형성된 유리결속부재로 구성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유리삽입구의 바닥면 중앙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양측으로 각각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 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1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 양측면에 각 상/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프레임 중앙에 형성된 걸림리부에 결속되도록 단열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면에 형성된 단열부재 대신에 프레임 양측면과 상기 프레임 상부 경사면을 연계하여 유리삽입구 내주면 전체를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된 단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삽입구에 형성된 단열부재 일면에 상기 유리삽입구 바닥면 양측에 형성된 단차부에 연통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2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양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프레임의 양측면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속리브에 결속되고, 상기 개방된 프레임의 양측면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속리브에 결속되도록 상/하단부에 결속홈이 형성된 단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저면 양측으로 상기 저면 중앙과 단차지게 접착홈이 상기 프레임 양단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KR1020090095430A 2009-10-08 2009-10-08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KR101124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430A KR101124688B1 (ko) 2009-10-08 2009-10-08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430A KR101124688B1 (ko) 2009-10-08 2009-10-08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229A KR20110038229A (ko) 2011-04-14
KR101124688B1 true KR101124688B1 (ko) 2012-03-19

Family

ID=4404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430A KR101124688B1 (ko) 2009-10-08 2009-10-08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6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425Y1 (ko) * 2016-10-25 2017-05-15 신상군 지진에 내구성을 가지는 복층유리
CN109577829B (zh) * 2019-01-22 2024-03-19 齐鲁理工学院 一种隔热隔音易安装门窗
KR20210078328A (ko) * 2019-12-18 2021-06-2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복층 유리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701Y1 (ko) 2002-07-05 2002-11-30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KR100444151B1 (ko) * 2002-03-19 2004-08-11 대림산업 주식회사 열교차단 스페이서가 설치된 고성능 복층유리
KR20070000480U (ko) * 2007-04-06 2007-04-25 김용섭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KR20090097061A (ko) * 2008-03-10 2009-09-15 변창성 복층 유리 간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151B1 (ko) * 2002-03-19 2004-08-11 대림산업 주식회사 열교차단 스페이서가 설치된 고성능 복층유리
KR200296701Y1 (ko) 2002-07-05 2002-11-30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KR20070000480U (ko) * 2007-04-06 2007-04-25 김용섭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KR20090097061A (ko) * 2008-03-10 2009-09-15 변창성 복층 유리 간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229A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472B1 (ko) 커튼월의 이중 결합구조
KR200491614Y1 (ko) 오염방지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마감패널 조립체
KR101729645B1 (ko) 이격 틈새를 갖는 내부 공기 배출형 내진 외벽패널 조립체
KR20090072865A (ko) 브리지 가스켓을 갖는 이중창호
KR20190107132A (ko) 증가된 침입저항(Breakthrough-Resistance) 및 어댑터를 구비하는 절연 글레이징
KR101124688B1 (ko)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CN101166884A (zh) 用于将玻璃窗固定到外壁结构的装置以及方法
KR100743921B1 (ko) 복층 유리 간봉
KR100764145B1 (ko) 페어그라스 및 창문의 고정구조
KR101265743B1 (ko) 단열 및 결로 방지용 유리창 결합장치
KR101741803B1 (ko) 통합형 커튼월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시스템
KR101261789B1 (ko) 고단열 창호용 복층유리 스페이서 구조체
CN215595335U (zh) 一种隔音隔热型断桥铝门窗型材
KR101035185B1 (ko) 단열 및 결로 방지용 삼중 복층유리
CN215166964U (zh) 一种抗变形铝板幕墙
KR101203829B1 (ko) 단열 및 습기유입 방지용 삼중 복층유리 결합장치
CN207131277U (zh) 一种新型防裂木门
KR200296701Y1 (ko)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KR101024618B1 (ko)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WO2016098831A1 (ja)
KR20130129754A (ko)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KR101120479B1 (ko) 지붕패널에 태양광모듈을 지지하는 기구
KR200381374Y1 (ko) 습기 방지용 창문 프레임
CN211549406U (zh) 一种抗风压的降噪门窗
CN217711276U (zh) 一种组合式大跨度玻璃幕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