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701Y1 -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 Google Patents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701Y1
KR200296701Y1 KR2020020020240U KR20020020240U KR200296701Y1 KR 200296701 Y1 KR200296701 Y1 KR 200296701Y1 KR 2020020020240 U KR2020020020240 U KR 2020020020240U KR 20020020240 U KR20020020240 U KR 20020020240U KR 200296701 Y1 KR200296701 Y1 KR 200296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pacer
unit body
pair
unit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용주
홍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소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소용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Priority to KR2020020020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701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전도와 음교를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복층유리의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먼저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이 방지효과와, 둘째로 신축성을 보유하므로써 스페이서를 통한 음교를 방지하여 차음성을 향상시키며, 셋째로 3중 또는 4중유리 경우 중앙유리를 스페이서 상부에 장착할 수 있는 홈을 설계하여 외측유리와 내측유리의 응력전달을 스페이서에 의해 직접 힘이 전달되게 함으로써 견고한 접합상태를 유지하여 복층유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상호 대칭형상의 단면으로 제작된 금속 스페이서에 합성수지계 결합패드(2액형우레탄 또는 폴리아미드)를 결합시켜 소정 폭의 단절틈새를 구비하는 한 쌍의 단위몸체(10,10a)와; 상기 단위몸체 사이의 상기 단절틈새 내측으로 설치되며, 양측면이 상기 단위몸체의 마주보는 일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단위몸체를 연결시키는 결합패드(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Spacer Strycture for Multi Layer Glass}
본 고안은 열전도와 음교를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복층유리의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먼저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이 방지효과와, 둘째로 신축성을 보유하므로써 스페이서를 통한 음교를 방지하여 차음성을 향상시키며, 셋째로 3중 또는 4중유리 경우 중앙유리를 스페이서 상부에 장착할수 있는 홈을 설계하여 외측유리와 내측유리의 응력전달을 스페이서에 의해 직접 힘이 전달되게 함으로써 견고한 접합상태를 유지하여 복층유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유리는 내외측 유리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한 구조이므로, 홑유리와 비교하여 실내에너지의 손실을 감소시킬 뿐만아니라, 외부온도의 저하에도 불구하고 내측유리의 표면 온도는 크게 저하되지 않아 이슬맺힘 현상이 억제된다. 또한, 방음기능이 우수하여 외부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키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복층유리는 비교적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경제력 향상에 따른 생활환경의 고급화 및 그 제조기술의 발전 등에 의해 사용이 점차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즉, 대형빌딩은 물론이고 최근에는 소규모의 상점과 개인주택에 이르기까지 소음에서 벗어나 좀더 안락한 주거환경을 추구하려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따라 복층유리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복층유리의 보편적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층유리는, 한 쌍의 내외측 유리(200,201)가 제공되고, 이같은 내외측 유리(200,201)가 그 사이로 제공되는 금속재의 스페이서(202)에 일면을 각각 접합하여, 상기 스페이서(202)의 폭에 해당하는 건조공기층을 유지한 상태로 구성된다. 도면부호 203은 상기 내외측 유리(200,201)와 스페이서(202)를 접합하는 접착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이중의 복층유리 외에도, 유리와 스페이서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3중 이상의 복층유리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데 3중유리의 경우 단열성은 증가하나 스페이서가 중복 설치됨으로 유리와 스페이서의 부착면이 4면으로 되고 전체두께와 유리무게가 증가하여 스페이서에 전달되는 구조적 응력이 대폭 증가하여 내구성이 감소하는 약점이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복층유리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 벽면에 형성되는 창 설치용 개방부 내측으로 샤시프레임(204)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샤시프레임(204)을 따라 결합부(206)가 형성되며, 이같은 결합부(206)에 상기 복층유리가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기온 변화에 의해 상기 내외측 유리(200,201)와 샤시프레임(204)이 이완 및 수축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변형에 대응하여, 상기 내외측 유리(200,201)의 사방 측면과 샤시프레임(204)의 결합부(206) 사이에 신축소재의 채움부재(205)가 삽입되고, 이같은 채움부재(205)의 외측에 실리콘이 도포되어 빗물과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복층유리는 내외측 유리의 사이에 금속재의 스페이서를 부착한 구조이므로, 실내외의 온도가 현저하게 차이나는 경우 상기 스페이서를 통해 열전도 현상이 발생되면서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현상이 발생된다.
예를 들면, 겨울철인 경우 난방기의 가동에 의해 실내는 덥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난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실외는 자연상태 그대로 저온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실내의 온기가 상기 금속재의 스페이서를 통해 열전도되면서 실외측으로 손실되며, 그 과정에서 상기 스페이서 및 그와 접촉되는 내외측 유리면에 온도차에 의한 물방울 맺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물방울은 상기 내외측 유리와 스페이서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의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상기 내외측 유리를 고정하는 부재물의 기능을 저하시켜 복층유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상기 금속재의 스페이서는 강성이 취약하여 프레임의 변형 및 신축팽창시 발생하는 전단력에 구조적 약점이 있으며, 신축성이 없어 년교차 및 일교차에 의한 내부공기의 수축팽창의 압력변화에 대응할 수 없어 스페이서와 유리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초래되었다. 특히 신축성의 부재는 내외측 유리를 일체화시킴으로써 공명현상과 음교현상을 초래하여 차음성의 악화를 가져왔다.
또한, 복층유리가 고지대에 시공된 건축물이나 고층건물의 고층과 같이 저기압대에 위치하는 구조물로 설치될 경우, 상기 복층유리의 내외측 유리 사이에 수용된 압축공기는 저기압대의 외부를 향해 팽창하려 하고, 이러한 압축공기의 팽창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면서 외측유리는 점차 실외측을 향해 밀리게 된다. 이때, 상기 외측유리와 접착된 스페이서는 외측유리의 밀림 간격을 보상할 수 있는 신축기능을 갖지 못하므로, 상기 외측유리의 밀림 현상이 지속됨과 함께 외측유리와 스페이서의 접합면에 균열이 발생된다. 따라서 작은 충격에도 외측유리와 스페이서가 분리되는 현상이 초래되고, 이는 복층유리의 수명단축과 잦은 보수 및 재설치로 이어져 경제적인 낭비와 번거로움을 유발하였다.
상기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내외측 유리를 보다 두껍게 구성하여 고중량을 이두도록 하므로써 유동이 억제되도록 한 형태의 복층유리가 제공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제작된 복층유리는, 그 설치에 필요한 공간의 확대를 가져오는 동시에, 하나의 복층유리를 제조하는데 다량의 재료가 소모되어 제품가격의 상승을 가져오는 등 비효율성이 지적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복층유리에 결합되는 스페이서가 열전도 차단부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실내외의 온도차가 현저하더라도 스페이서를 통한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아 결로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복층유리에 결합되는 스페이서가 소정의 신축성을 보유토록 구성되므로써, 복층유리를 이루는 내외측의 유리들이 소정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해도 유리와 스페이서 간의 결합부가 안정적인 접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출성형으로 단면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구조적 강성을 확보가 가능하고 및 3중유리시 중앙유리를 취부할 수 있는 홈을 제공하여 4면접착시 발생하는 구조적 성능 저하에 의한 내구성 감소를 개선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복층유리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복층유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가 적용된 복층유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가 적용된 복층유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0: 스페이서 10: 단위몸체 11: 공간부 12: 통기공 13: 건습제 14: 지지편 20: 결합패드 30: 내측유리 31: 외측유리 40: 접착제 41: 밀봉재 50: 중앙유리 고정부 51: 가이드홈 60: 중앙유리 61: 통기공 70: 코킹부재 70a: 절개홈부 71: 세팅브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호 대칭모양으로 설치되어 그 사이에 소정 폭의 단절틈새를 구비하는 한 쌍의 단위몸체와; 상기 단위몸체사이의 상기 단절틈새 내측으로 설치되며, 양측면이 상기 단위몸체의 마주보는 일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단위몸체를 연결시키는 결합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으로 제공된 단위몸체의 마주보는 일면에는, 상기 결합패드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절곡된 형태로 돌출된 지지편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몸체는 일면에 통기공을 천공한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건습제 수용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위몸체를 연장하여 내측 방향으로 중앙유리의 단부를 끼움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유리 고정부의 선단에는 상기 지지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및 그가 적용된 복층유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페이서(1)는, 한 쌍의 단위몸체(10,10a)와, 신축작용 및 냉교차단을 수행하는 결합패드(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위몸체(10,10a)는 상호 대칭을 이루게 위치하며, 이같은 단위몸체(10,10a)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두 부재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절단틈새(t)가 형성된다.
상기 단위몸체(10,10a)의 상세 구조를 일측의 단위몸체(10)를 기준하여 설명하면, 상기 단위몸체(10)는 내부가 채워진 구조여도 무방하겠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단위몸체(10)를 중공 형태로 구성하여 그 내측에 공간부(11)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공간부(11)가 외부와 통하도록 상기 단위몸체(10)의 일면에 통기공(12)이 천공되며, 상기 공간부(11)에 건습제(13)가 채워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겠다. 이렇게 구성하므로써, 상기 단위몸체(10) 및 그에 결합되는 유리로 조정된 내부공기의 수증기를 신속히 건조 시킬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패드(20)는 신축성과 단열효과를 지닌 소재로 이루어지며, 이같은 결합패드(20)는 상기 한 쌍으로 제공된 단위몸체(10,10a)가 상호 소정 간격을 유지한체 연결되도록 한다. 즉, 상기 결합패드(20)의 양측면이 상기 단위몸체(10,10a)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각각 고정되며, 이러한 결합패드(20)를 매개로 두 단위몸체(10,10a)는 연결된다. 이때, 상기 결합패드(20)의 신축 작용에 의해서 상기 단위몸체(10,10a) 간의 간격은 미소 폭의 변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패드(20)가 고정되는 상기 단위몸체(10,10a)의 벽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겠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단위몸체(10,10a)의 벽면에 절곡된 형태로 돌출된 지지편(14,14a)을 구성하고, 이같은 지지편(14,14a)의 절곡된 부위가 상기 결합패드(20)를 파지토록 하므로써, 상기 결합패드(20)가 상기 단위몸체(10,10a)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겠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단위몸체(10,10a) 사이로 상기 결합패드(20)를 설치하는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결합패드(2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구조로 상기 단위몸체(10,10a)를 압출 성형한다. 즉, 상기 단위몸체(10,10a)는 하부에 연결부(c)를 형성한체 상부는 절단 상태를 유지하도록 성형된다. 그리고, 충진기를 이용하여 적정 비율로 혼합된 액상의 재료를 주입하는 것이며, 이같은 액상재료가 응고되어 상기 결합패드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결합패드가 완전히 응고된 후 상기 단위몸체(10,10a) 하부의 연결부(c)를 절단하여 주게 된다. 상기 결합패드(20)를 구성하는 액상재료로는 2액형 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스페이서가 복층유리에 적용되는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한다.
한 쌍의 단위몸체(10,10a) 및 결합패드(20)로 구성된 스페이서(1)의 양측면에 복층유리를 이루는 내외측 유리(30,31)가 각각 접합된다. 이때, 상기 내외측 유리(30,31)로는 창문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유리를 사용할 수 있겠지만, 바람직하게는,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높아 밝은 실내분위기를 유지시키고, 열의 반사율이 우수하여 실내 보온기능이 우수하며, 또한 여름철에는 코팅막이 외부 열기를 차단하여 냉방기능이 뛰어난 로이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부호 40은 상기 스페이서(1)와 내외측 유리(30,31)를 결합시키는 접착제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부호 41은 완충 및 기밀작용을 하는 밀봉재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같은 밀봉재(41)는 상기 스페이서(1) 및 내외측 유리(30,31)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외측 유리(30,31)가 미세한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유동시 금속재인 샤시프레임의 내면과 접촉되면서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밀봉재의 소재로 실리콘을 사용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결합패드(20)는 열을 전도하지 않는 소재이므로,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를 통한 열전도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스페이서(1)가 적용된 복층유리에서는 스페이서를 통한 열전도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현상이 방지된다. 이는, 상기 결로현상 발생시 상기 내외측 유리(30,31)와 스페이서(1) 간의 접합력을 저하시키거나 또는 밀봉재(41)의 훼손을 촉진시키는 등 복층유리 및 창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이같은 결로현상이 방지됨은 복층유리와 창틀이 장기간에 걸쳐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여 수명이 연장되는 결과로 이어진다.
또한, 일기변화에 의한 강풍 동반시나 기타 외력이 상기 내외측 유리(30,31)를 향해 작용하더라도, 신축성을 갖는 결합패드(20)가 그 충격력을 완화시키게 되어 스페이서(1) 및 유리(30,31)의 훼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외측 유리(30,31)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페이서(1)에 그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스페이서(1)의 결합패드(20)가 신축되면서 상기 내외측 유리(30,31)의 유동 간격을 보상하게 되는 것이므로, 스페이서(1)와 내외측 유리(30,31)의 접합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이에 따라 복층유리의 수명이 연장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일예로 복층유리가 고지대에 설치되는 경우, 복층유리를 이루는 외측유리(31)는 구조물의 실내외 압력차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힘을 받게되고, 이로 인해 상기 외측유리(31)가 소정 각도로 휘는 현상이 유발된다. 이때, 상기 외측유리(31)가 휘면서 실외측으로 유동되는 간격만큼 상기 결합패드(20)가 늘어나면서그 간격을 보상하게 되므로써, 상기 스페이서(1)와 외측유리(31)와의 접합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몸체(10,10a)의 내측에 수용된 건습제(13)가 상기 내외측 유리(30,31) 사이에 형성되는 수증기를 신속히 건조시킴에 따라, 상기 내외측 유리(30,31)의 내면에 물방울이 맺혀 복층유리를 통한 시계가 악화되거나 또는 수증기가 유리 면을 타고 흘러내려 내외측 유리 사이의 바닥면에 고이게 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1)가 2중의 복층유리에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스페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밖에 마주보는 유리의 사이마다 스페이서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3중 이상의 복층유리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형태 및 그를 적용한 3중유리를 나타낸 것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제공되는 단위몸체(10,10a)의 일부를 변형시켜 중앙유리 고정부(50)를 형성시키고, 상기 중앙유리 고정부(50)에 중앙유리(60)를 결합시키기 위한 가이드홈(51)을 구성한 형태이다. 상기 가이드홈(51)에는 내외측 유리(30,31)의 사이로 위치하게 되는 상기 중앙유리(60)를 끼워 고정하는 것으로써, 즉 본 실시예의 스페이서(100)는 삼중으로 구성되는 복층유리에 적용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51)의 내면과 상기 중앙유리(60)의 단부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중앙에 절개홈부(70a)가 형성된 코킹부재(70)를 상기 가이드홈(51)에삽입하고, 이같은 코킹부재(70)의 상기 절개홈부(70a)에 상기 중앙유리(60)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구성하므로써, 상기 중앙유리(60)는 상기 중앙유리 고정부(50)에 보다 안정감 있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71과 같이 상기 가이드홈(51)의 바닥면에 신축성을 갖는 세팅브럭(71)을 설치하고, 이같은 세팅브럭(71)의 상부에 상기 코킹부재(70)가 설치되도록 하므로써, 소정 경도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중앙유리(60)와 단위몸체(10a)의 중앙유리 고정부(50) 내면이 직접 접촉되지 않고 그 사이에 완충구간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같은 스페이서(100)의 양측에 내외측 유리(30,31)가 접착제(4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스페이서(100)와 내외측 유리(30,31)의 선단에 밀봉재(41)가 제공됨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중앙유리 고정부(50)의 상기 세팅브럭(71)을 지지하고 있는 벽면부에 통기공(52)을 천공하므로써, 중앙유리(60)가 끼워진 가이드홈(51)과 상기 통기공(52)을 통해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해짐에 따라, 상기 중앙유리(60)에 의해 양측으로 분할된 복층유리의 내부공간이 상호 통하여 두 공간부가 동일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3중유리의 구성은, 3개의 독립된 압출성형물은 각각 제작하고, 이같은 3개의 압출성형물을 결합시켜 일체화된 스페이서를 이루도록 한 것이므로, 제조공정이 용이하고 구조적인 안정감을 꾀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게 된다.
즉, 내측유리(30)에 일측의 단위몸체(10a)를 접착제(40)로 결합하고, 반대측의 단위몸체(10)에 외측유리(31)를 접착제(40)로 결합한다. 그리고, 내외측유리(30,31)를 각각 결합하고 있는 상기 양측의 단위몸체(10,10a)가 "ㄷ"자 형의 결합구(10c)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압출성형물인 상기 세개의 부재(10,10a,10c)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스페이서(100)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결합된 상기 두 단위몸체(10,10a)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51)으로 중앙유리(60)를 삽입하여 코킹부재(70)와 세팅브럭(71)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어서 실리콘을 주입하여 양생시킨 후, 밀봉재(41)을 붙이면 3중유리가 완성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3중유리는, 각 압출성형물(10,10a,10c), 그에 결합되는 유리(30,31,60), 그리고 실리콘 등이 일체화된 안정된 단면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제작시 조립공정이 용이하며 생산효율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으면서도,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3개의 압출성형물이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모멘트의 전달이 극대화되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삼중유리의 구성은 기존의 일반스페이서 2개를 연속부착한 삼중유리의 구조적 취약점인 4면접착방식과 스페이서의 강성확보가 유리한 단면 구성이 됨으로써 구조적 성능향상으로 삼중유리의 내구성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실시예 들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복층유리용 스페이서에 의해서, 스페이서를 통해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결로현상이 방지되며, 이는 복층유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와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실내외의 압력차가 심한 고지대에 설치되는 경우나, 또는 실내외의 온도차가 심하게 차이나는 상황에서도 유리와 스페이서 간의 결합력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잦은 보수나 교체를 요하지 않아 경제적인 동시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소정의 신축성이 있는 결합패드가 음교 및 공명현상을 차단하여 차음성을 향상시키고, 삼중유리의 경우는 스페이서의 일체화로 강성확보가 유리하고 4면접착의 단점을 개선함으로써 내구성향상과 대형유리의 제작시 평활도 확보에 유리하다.

Claims (5)

  1. 상호 이격된 상태로 대칭형상으로 설치되어 그 사이에 소정 폭의 단절틈새를 구비하는 한 쌍의 단위몸체와;
    상기 단위몸체 사이의 상기 단절틈새 내측으로 설치되며, 양측면이 상기 단위몸체의 마주보는 일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단위몸체를 연결시키는 결합패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으로 제공된 단위몸체의 마주보는 일면에는, 상기 결합패드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절곡된 형태로 돌출된 지지편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몸체는, 일면에 통기공을 천공한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건습제 수용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몸체를 연장하여 내측 방향으로 중앙유리의 단부를 끼움 결합하기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유리 고정부의 선단에 상기 지지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에는, 그 내면과 상기 중앙유리의 하단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완충기능을 위한 세팅브럭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KR2020020020240U 2002-07-05 2002-07-05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KR200296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240U KR200296701Y1 (ko) 2002-07-05 2002-07-05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240U KR200296701Y1 (ko) 2002-07-05 2002-07-05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701Y1 true KR200296701Y1 (ko) 2002-11-30

Family

ID=7305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240U KR200296701Y1 (ko) 2002-07-05 2002-07-05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70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263B1 (ko) 2008-10-14 2010-08-18 주식회사 국영지앤엠 삼중 유리 간봉재 및 이를 이용한 삼중 유리 제조 방법
KR101024618B1 (ko) * 2007-05-04 2011-03-25 (주)하이퍼윈도우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KR101124688B1 (ko) 2009-10-08 2012-03-19 변창성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KR101913189B1 (ko) * 2016-04-14 2018-10-30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KR20210102787A (ko) 2020-02-12 2021-08-20 정영호 이중 유리패널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618B1 (ko) * 2007-05-04 2011-03-25 (주)하이퍼윈도우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KR100976263B1 (ko) 2008-10-14 2010-08-18 주식회사 국영지앤엠 삼중 유리 간봉재 및 이를 이용한 삼중 유리 제조 방법
KR101124688B1 (ko) 2009-10-08 2012-03-19 변창성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KR101913189B1 (ko) * 2016-04-14 2018-10-30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KR20210102787A (ko) 2020-02-12 2021-08-20 정영호 이중 유리패널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472B1 (ko) 커튼월의 이중 결합구조
KR102048785B1 (ko) 친환경 복합 커튼월
ES2909754T3 (es) Separador con elementos de refuerzo
KR200296701Y1 (ko)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CN101631926A (zh) 双层玻璃间隔条
TWI666376B (zh) 強化絕熱玻璃單元
KR20220130200A (ko) 단속(斷續)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KR20220084768A (ko) 단열 커튼월
CN215595335U (zh) 一种隔音隔热型断桥铝门窗型材
KR101124688B1 (ko)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CN214531680U (zh) 一种外墙干挂用断热桥龙骨
CN106193908A (zh) 一种节能铝合金型材及双断桥铝合金型材
KR200256877Y1 (ko) 열교차단 스페이서가 설치된 고성능 복층유리
CN212506949U (zh) 一种便于安装的玻璃幕墙
KR20100010439U (ko) 누수방지용 단열창호
KR100444151B1 (ko) 열교차단 스페이서가 설치된 고성능 복층유리
KR200420873Y1 (ko) 알루미늄 합금 서브프레임과 합성수지 서브프레임이 결합된슈퍼 윈도우 프레임
CN218264416U (zh) 一种新型工业化建筑墙体结构
KR100654407B1 (ko)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복층유리 구조체
CN212957360U (zh) 一种被动式四季花园房立面异型转角
CN219012364U (zh) 一种组合式建筑门窗
CN219451336U (zh) 一种保温型的建筑墙面结构
WO2023006008A1 (en) Insulating glazing unit,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JPH084441A (ja) ユニット式組立軽量断熱遮音障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216641819U (zh) 易组装且密封性能好的门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